KR20160094464A - 항비만효과를 가진 비빔소스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비빔면 - Google Patents

항비만효과를 가진 비빔소스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비빔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4464A
KR20160094464A KR1020150014764A KR20150014764A KR20160094464A KR 20160094464 A KR20160094464 A KR 20160094464A KR 1020150014764 A KR1020150014764 A KR 1020150014764A KR 20150014764 A KR20150014764 A KR 20150014764A KR 20160094464 A KR20160094464 A KR 201600944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owder
dried
parts
obes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47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19895B1 (ko
Inventor
정미자
서동준
신이나
이은혜
진수연
김은혜
오다솜
Original Assignee
광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주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광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147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9895B1/ko
Publication of KR201600944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44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98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98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23L1/39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3/00Soups; Sauc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6
    • A23L1/221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10Natural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Extra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09Types of pasta, e.g. macaroni or nood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흑마늘 건조분말, 풋고추 건조분말, 표고버섯 건조분말 및 양파 건조분말을 비빔소스 조성물 총 중량의 5~20중량%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비만효과를 가진 비빔소스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비빔면에 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비빔소스 조성물은 맛이 우수하면서도 항비만효과를 가지므로 높은 칼로리로 인하여 비만의 위험성이 있었던 기존의 비빔면의 단점을 보완하여 비만 걱정을 덜어줄 수 있는 비빔면을 제공함으로써 웰빙식품으로서의 인스턴트 면을 제공할 수 있어 면류 산업에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항비만효과를 가진 비빔소스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비빔면 {Mixed sauce composition for spicy noodles having anti-obesty effect and spicy noodles using it}
본 발명은 비빔면에 사용되는 비빔소스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비빔면에 대한 것이다.
현대사회에 들어서 서구화된 식생활패턴으로 인하여 단순당, 육류, 지방 등의 섭취가 증가함에 따라 각종 만성 질환이 크게 증가하고 있는데, 이러한 만성질환들은 비만과 매우 밀접하게 관련된 것으로 나타난다.
비만(obesity)은 체내에 지방조직이 과다하게 축적된 상태를 이르는 것으로, 지나친 열량섭취, 내분비 장애, 운동부족, 유전적 인자 등에 의해 발생하지만 주된 발생기전은 에너지 섭취와 소비의 불균형으로서, 에너비 소비효율이 나쁘면 지방축적에 의해 비만이 발생하게 된다. 비반의 종류는 다른 특별한 원인없이 섭취에너지에 비해 소비에너지가 적을 때 초래되는 단순성(본태성) 비만과 내분비질환이나 시상하부 장애 등 어떤 원인으로 인하여 비만이 되는 증후성 비만이 있으며, 비만의 95%는 단순성 비만에 해당한다. 이러한 비만인구는 매년 급증하고 있으며, WHO는 비만인구가 2005년 100억에서 2015년에는 50% 증가한 150억으로 증가할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비만은 비만 자체로 그치는 것이 아니라 각종 질병의 원인이 될 수 있으며, 비만에 의해 유발되는 대표적인 질환으로는 암, 심혈관 질환, 당뇨병 등이 있다. 이러한 질환은 2008년 한국인의 사망원인 1위(암, 25.1%), 3위(심장질환, 12.3%), 및 5위(당뇨병, 5.9%)를 차지하고 있어 경제적, 사회적 측면에서 막대한 손실을 유발하고 있다.
비만의 주요원인은 장기적이고 습관적인 과식, 운동부족, 인스턴트 음식의 섭취 등이므로, 비만을 치료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이러한 원인을 개선하는 것이다. 그러나 바쁜 현대인들에게 있어 식습관 개선과 운동은 쉬운 처방이 아니기 때문에 비만의 치료는 용이하지 않다.
현재 개발되어 시판되고 있는 비만치료제로는 시상하부를 자극하여 식욕을 억제시키는 식욕억제제인 시부트라민(sibutramine), 펜터민(phentermine), 디에틸프로피온(diethylpropion), 펜디메트라진(phendimetrazine), 벤즈페타민(benzphetamine)과 메탐페타민(methamphetamine); 췌장 지방분해효소 저해제를 이용하여 섭취된 지방의 흡수를 억제시키는 오르리스타트(orlistat); 및 α-글루코시다제 저해제(α-glucosidase inhibitor)로 당뇨병의 치료에 사용되고 있는 아카보스(acarbose) 등이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개발된 의약학적 비만치료제들은 탁월한 효능은 보이지만 불면증, 신경불안, 두통, 빈맥, 혈압상승, 위장장애, 과민증, 담즙분비장애, 지용성 비타민 흡수억제 등의 심각한 부작용을 동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이 비만에 대한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지만 현재까지 부작용이 없는 의과학적 치료법이나 약물은 개발되지 못하고 있으므로, 부작용이 없는 천연 약효식품(nutraceuticals)을 이용한 항비만 기능성 식품 또는 제품의 개발이 크게 관심을 받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다른 나라에 비해 비만인구는 적지만 다이어트 보조식품을 구매하는 양은 일본을 제외하고 가장 높은 것으로 추정되고 있어, 효과적인 항비만 기능성 식품 또는 제품이 개발된다면 국내외 시장에서 인기종목으로 부상할 것으로 생각된다.
바쁘고 빠른 생활에 익숙해져 있는 현대인들은 빠르고 간단하게 섭취할 수 있으면서도 먹었을 때 든든한 음식, 즉 인스턴트 음식을 선호하고 있다. 이러한 인스턴트 음식 중 대표적인 것이 라면이다. 면류, 특히 라면의 섭취량이 점점 증가하고 있어서 다양한 면류가 개발되고 있지만, 라면은 높은 열량을 가진 고열량식품이라는 단점이 있다. 즉, 인스턴트 라면은 현대인의 생활 패턴과 입맛에는 맞지만 높은 열량으로 인하여 비만의 위험을 증가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면류에 건강기능성을 더하고자 하는 노력은 계속되고 있지만 성공적인 제품개발은 미비한 실정이다.
1.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1-0050019호 2.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2-0027858호 3.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4-0012820호 4.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4-0055210호
1. Folin O, Denis WA. Colorimetric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phenols(phenol derivatives) in urine. J. Biol. Chem. 1915. 22: 305-308. 2. Moreno MIN, Isla MI, Sampietro AR, Vattuone MA. 2000. Comparison of the free radical-scavenging activity of propolis from several region of Argentina. J Ethnopharmacol 71: 109-114. 3. Choi JS, Park JH, Kim HG, Young HS, Mun SI. 1993. Screening for antioxidant activity of plants and marine algae and its active principles from Prunus daviana. Kor J Pharmacol 24: 299-303. 4. Oyaizu M. 1986. Stduies on products of browning reactions: antioxidative activities of products of browning reaction prepared from glucosamine. J apanese J Nutr 44: 307-315. 5. Ahn HY, Heo SJ, Kang MJ, Lee JH, Cha JY, Cho YS. 2011. Antioxidative activity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leaf and fruit extracts from Thuja orientalis. J life science 21: 746-752. 6. Hassas-Roudsari M, Chang PR, Pegg RB, Tyler RT. 2009. Antioxidant capacity of bioactives extracted from canola meal by subcritical water, ethanolic and hot water extraction. Food Chem 114: 717-726. 7. McNeel RL, Mersmann HJ. 2003. Effects of isomers of conjugated linoleic acid on porcine adipocyte growth and differentiation. J Nutr Biochem 14: 266-274. 8. Lee SI, Lee YK, Kim SD, Lee IA, Choi JK, Suh JW. Effect of soybean curd residue fermented by Monascus pilosus on the high fat diet-induced obese mice. J Appl Biol Chem. 57, 7-15. 9. Kim DJ, Jung JH, Kim SG, Lee HK, Lee SK, Hong HD, Lee BY, Lee OH. 2011. Antioxidant and anti-obesity activities of hot water and ethanolic extract from Cheonnyuncho (Opuntia humifusa). Korean J Food Preserv. 18, 366-373. 10. Colca JR, Dailey CF, Palazuk BJ, Hillman RM, Dinh DM, Melchior GW.1991. Pioglitazone hydrochloride inhibits cholesterol absorption and lowers plasma cholesterol concentrations in cholesterol fed rats. Diabetes. 40, 16691674. 11. Shafrir E. 2003. Diabetes mellitus. NewYork: McGraw-Hill. Diabetes in animals: Contribution to the und erstanding of diabetes by study of its etiopathology in animal models; pp. 23155. 12. Fontaine KR, Redden DT, Wang C, Westfall AO, Allison DB. 2003. Years of life lost due to obesity. JAMA. 289, 187193. 13. Saper CB, Chou TC, Elmquist JK. 2002. The need to feed: Homeostatic and hedonic control of eating. Neuron. 36, 199211. 14. Foster-Schubert KE. 2006. Cummings DE. Emerging therapeutic strategies for obesity. Endocr Rev. 27, 779793. 15. Cone RD, Lu D, Koppula S, Vage DI, Klungland H, Boston B, et al. 1996. The melanocortin receptors: agonists, antagonists, and the hormonal control of pigmentation. Recent Prog Horm Res. 51, 287317. 16. Sharma G, Mishra B. 2007. Piperine- A therapeutic agent and bioavalibility enhancer. J Pharm Res. 6, 129133. 17. Srinivasan K, Viswanad B, Lydia A, Kaul CL, Ramarao P. 2005. Combination of high-fat diet-fed and low-dose streptozotocin-treated rat: A model for type 2 diabetes and pharmacological screening. Pharmacol Res. 52, 313320. 18. Riccardi G, Giacco R, Rivellese AA. 2004. Dietary fat, insulin sensitivity and the metabolic syndrome. Clin Nutr. 23, 447456. 19. Riccardi G, Giacco R, Rivellese AA. 2004. Dietary fat, insulin sensitivity and the metabolic syndrome. Clin Nutr. 23, 447456. 20. Storlien LH, James DE, Burleigh KM, Chisholm DJ, Kraegen EW. 1986. Fat feeding causes widespread in-vivo insulin resistance, decreased energy expenditure and obesity in the rat. Am J Physiol. 251, E576583.
본 발명에서는 항비만효과를 가진 천연소재를 첨가한 비빔면 소스를 개발하여 한끼의 식사로 간편하게 활용할 수 있는 비빔면의 섭취가 비만을 유발하지 않도록 하는 항비만 비빔소스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항비만 비빔면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흑마늘 건조분말, 풋고추 건조분말, 표고버섯 건조분말 및 양파 건조분말을 비빔소스 조성물 총 중량의 5~20중량%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비만효과를 가진 비빔소스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비빔소스 조성물에서, 상기 흑마늘 건조분말, 풋고추 건조분말, 표고버섯 건조분말 및 양파 건조분말은 1~2:1~2:1~2:1~2의 중량비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비빔소스 조성물은 고추장 45~55중량부, 고추가루 2~4중량부, 설탕 6~9중량부, 흑마늘 건조분말 2~4중량부, 양파 건조분말 2~4중량부, 풋고추 건조분말 2~4중량부, 표고버섯 건조분말 2~4중량부, 매실액 6~9중량부, 토마토 케찹 3~7중량부, 참기름 13~17중량부, 식초 22~28중량부, 사이다 40~50중량부 및 참깨 0.5~2중량부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비빔소스 조성물을 포함하는 항비만효과를 가진 비빔면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비빔소스 조성물은 맛이 우수하면서도 항비만효과를 가진다. 따라서, 높은 칼로리로 인하여 비만의 위험성이 있었던 기존 비빔면의 단점을 보완하여 비만 걱정을 덜어줄 수 있는 비빔면을 제공함으로써, 인스턴트 라면은 무조건 건강에 좋지 않다는 소비자들의 인식을 바꿀 수 있는 웰빙식품으로서의 인스턴트 면을 제공할 수 있어 면류 산업에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비빔소스 추출물(SBN)의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비빔소스 추출물이 3T3-L1 지방세포 독성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비빔소스 추출물이 지방분화억제효능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것으로, 분화유도물질과 함께 다양한 농도의 추출물을 처리한 후 분화유도과정이 끝난 세포를 오일 레드 오 염색하여 현미경으로 관찰한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비빔소스 추출물이 지방분화억제효능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것으로, 분화유도물질과 함께 다양한 농도의 추출물을 처리한 후 분화유도과정이 끝난 세포를 오일 레드 오 염색하고 염색된 염색약을 추출하여 흡광도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비빔소스 추출물의 세포내 중성지방(TG) 생성 억제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에서는 비빔소스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비빔소스에 천연원료인 표고버섯, 양파, 흑마늘 및 풋고추를 혼합하여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원료인 표고버섯, 양파, 흑마늘 및 풋고추는 세척, 건조 및 분쇄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고버섯 건조분말, 양파 건조분말, 흑마늘 건조분말 및 풋고추건조분말은 비빔소스 조성물 총 중량의 5~20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5~10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흑마늘 건조분말, 풋고추 건조분말, 표고버섯 건조분말 및 양파 건조분말은 1~2:1~2:1~2:1~2의 중량비로 포함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비빔소스 조성물은 고추장 45~55중량부, 고추가루 2~4중량부, 설탕 6~9중량부, 흑마늘 건조분말 2~4중량부, 양파 건조분말 2~4중량부, 풋고추 건조분말 2~4중량부, 표고버섯 건조분말 2~4중량부, 매실액 6~9중량부, 토마토 케찹 3~7중량부, 참기름 13~17중량부, 식초 22~28중량부, 사이다 40~50중량부 및 참깨 0.5~2중량부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비빔소스 조성물은 인스턴트 면과 함께 포장되어 인스턴트 비빔면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비빔면의 제조는 당업계에서 공지된 통상적인 방법에 따른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비빔소스 조성물은 항비만효과를 나타내며, 따라서 이를 소스로 포함하여 제조된 비빔면도 항비만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
< 실시예 1>
원료인 표고버섯, 양파, 흑마늘 및 풋고추는 광주광역시 대형마트에서 구입하였으며, 세척 후 자연건조시키고 분쇄하여 사용하였다.
비빔소스는 고추장 50g, 고추가루 2g, 설탕 9g, 흑마늘 건조분말 5g, 양파 건조분말 5g, 고추 건조분말 0.3g, 표고버섯 건조분말 5g, 매실액 10g, 케찹 5g, 참기름 15g, 식초 15g, 사이다 45g 및 참깨 1g을 순서대로 넣어 잘 섞어 제조하였다.
< 실시예 2>
원료인 표고버섯, 양파, 흑마늘 및 풋고추는 광주광역시 대형마트에서 구입하였으며, 세척 후 자연건조시키고 분쇄하여 사용하였다.
비빔소스는 고추장 50g, 고추가루 3g, 설탕 7.5g, 흑마늘 건조분말 5g, 양파 건조분말 5g, 고추 건조분말 3g, 표고버섯 건조분말 5g, 매실액 7.5g, 케찹 5g, 참기름 15g, 식초 35g, 사이다 45g 및 참깨 1g을 순서대로 넣어 잘 섞어 제조하였다.
< 실시예 3>
원료인 표고버섯, 양파, 흑마늘 및 풋고추는 광주광역시 대형마트에서 구입하였으며, 세척 후 자연건조시키고 분쇄하여 사용하였다.
비빔소스는 고추장 50g, 고추가루 3g, 설탕 7.5g, 흑마늘 건조분말 3g, 양파 건조분말 3g, 고추 건조분말 3g, 표고버섯 건조분말 3g, 매실액 7.5g, 케찹 5g, 참기름 15g, 식초 25g, 사이다 45g 및 참깨 1g을 순서대로 넣어 잘 섞어 제조하였다.
[ 실험예 ]
추출물 및 동결건조 시료의 준비
상기 실시예 3에서 제조한 비빔소스에 10배 중량의 70% 에탄올을 첨가하고 진탕배양기(Shaking incubator; JSSI-100, JSR, Chungnam, Korea)에서 150rpm, 25℃로 10시간동안 추출한 후 여과(Whatman No.2)하고 농축(N-1200, EYELA, Tokyo, Japan) 및 동결건조(cleanVac-8, Hanil, Incheon, Korea)하여 비빔소스 추출물 시료(비빔소스의 70% 에탄올 추출물 시료, SBN 시료)를 제조하였다.
통계처리
실험에서 얻어진 결과의 통계적 유의성은 SPSS(stati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s, Version 10.0, Chicago, USA)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험군당 평균±표준편차로 표시하였고, 각 농도의 평균차의 통계적 유의성을 p<0.05 수준에서 던컨의 다중검정(Duncan's multiple range test)으로 검정하였다.
< 실험예 1>
관능검사
비빔소스의 관능검사는 대학생 50명을 선정하여 본 실험의 목적과 평가방법에 대한 교육 후 5점 척도법으로 실시하였으며, 상기 실시예 1 내지 3의 비빔소스를 비교하여 평가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관능검사에 참여한 지원자들은 설문지에 나이와 성별 등을 기록하고 비빔소스를 비벼 준비한 면 15g을 입 안에 넣고 20초간 씹어 구강표피를 골고루 자극한 후 뱉어내고, 한 시료의 평가를 마칠 때마다 물로 입을 세척하고 10분 경과한 후 다음 시료를 평가하였다.
관능평가 항목은 전체적인 외관(appearance), 색상(color), 향미(flavor), 조직감(texture), 맛(taste), 종합적인 기호도(overall acceptability)에 대하여 5점 척도법으로 매우 좋다(5점), 좋다(4점), 그저 그렇다(3점), 나쁘다(2점), 매우 나쁘다(1점)로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점수 외관 색상 향미 조직감 종합적인 기호도
실시예 1 2.94±1.08 3.13±1.01 3.13±0.94 3.06±0.88 3.10±0.93 2.87±1.04
실시예 2 3.13±1.02 3.5±0.88 3.23±1.02 2.83±0.90 3.03±0.98 3.03±1.05
실시예 3 3.10±0.92 3.31±0.99 3.14±1.11 3.31±0.95 3.31±1.02 3.28±0.87
상기 실시예 1 내지 3의 비빔소스를 관능검사한 결과, 외관, 색상, 향미, 조직감, 맛 및 종합적인 기호도면에서 실시예 3의 비빔소스가 실시예 1 및 2의 비빔소스보다 우수하거나 유사하였다.
< 실험예 2>
수분함량과 수율의 측정
실시예 3의 비빔소스의 수분함량과 수율을 측정하였다. 수분함량은 비빔소스 3g을 취하여 수분측정기(MA35M, Sartorius weighing Technology Gmbh Goetting, Germary)로 측정하였으며, 측정은 3회 반복하였다. 또한 실시예 3의 비빔소스를 70% 에탄올로 추출하여 동결건조시킨 후 수율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본 발명
수분함량(%) 50.48±0.86
수율(%) 33.82±0.52
< 실험예 3>
폴리페놀 함량 측정
실시예 3의 비빔소스의 폴리페놀 함량을 Folin-Denis(1915)법을 응용하여 측정하였다. 즉, 증류수에 용해시킨 시료 0.2㎖를 시험관에 넣고 증류수 5㎖를 가하여 혼합한 다음 실온에서 3분간 방치하였다. 그리고 10% 탄산나트륨(Na2CO3; DeaJung, Korea) 포화용액 1㎖를 가하여 혼합하고 실온에서 1시간동안 반응시킨 후 상등액을 취하여 70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표준물질로는 카페인산(caffeic acid; Sigma, USA)을 0∼100㎍/㎖의 농도로 제조하여 시료와 동일한 방법으로 분석하였으며, 표준검량곡선으로부터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함량을 계산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본 발명
총 폴리페놀 14.95±0.29
< 실험예 4>
플라보노이드 함량 측정
실시예 3의 비빔소스의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Moreno 등(2000)의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즉, 추출물 시료 0.5㎖에 10% 질산알루미늄(aluminum nitrate; Sigma, USA) 0.1㎖, 1M 아세트산칼륨(potassium acetate; Sigma, USA) 0.1㎖ 및 80% 에탄올 4.3㎖를 차례로 가하여 혼합하고 실온에서 40분간 방치한 다음 41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표준물질로는 퀘세틴(quercetin; Sigma, USA)을 0∼100㎍/㎖의 농도로 제조하여 시료와 동일한 방법으로 분석하였으며, 표준검량곡선으로부터 추출물의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계산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본 발명
총 플라보노이드 7.95±0.26
< 실험예 5>
DPPH 라디칼 소거활성 측정
DPPH(2,2-diphenyl-β-picrylhydrazyl)는 비교적 안전한 자유라디칼(free radical)로서 실제 항산화 활성도와 연관성이 높고 식물 추출물 등의 항산화 활성을 간단하게 측정할 수 있어서 보편적으로 이용되는 항산화 측정 방법이다(Ahn 등 2011).
DPPH 라디칼의 소거활성은 Choi 등(1993)의 방법에 의하여 측정하였다. 즉, 본 발명의 추출물 시료 0.4㎖에 1×10-4 M DPPH(Sigma, USA)용액 5.6㎖를 첨가하고 10분간 방치한 후 52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활성비교를 위한 표준물질로는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 Sigma, USA)을 사용하였으며, DPPH 자유라디칼의 소거활성은 시료 무첨가군에 대한 시료 첨가군의 흡광도 비로 나타내었다.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의 그래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추출물 시료(SBN 시료)는 0 내지 2.5mg/㎖까지는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을 나타내지 않았으나, 5mg/㎖와 10mg/㎖를 처리하였을 때에는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이 17.6%와 23.9%였다.
< 실험예 6>
환원력 측정
과산화의 전구물질과 반응하여 과산화 형성을 억제하는(Hassas-Roudsari 등 2009) 환원력을 확인하였다. 환원력은 Oyaizu 등(1986)의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즉, 농도별 시료(SBN) 1㎖, 인산완충액(200mM, pH 6.6) 1㎖ 및 1% 페리시안화칼륨(potassium ferricyanide; Biobasic, Korea) 1㎖를 차례로 가하여 섞은 후 50℃에서 20분 동안 반응시켰다. 10% TCA(DeaJung, Korea)용액 1㎖를 사용하여 2,000rpm에서 15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얻은 상등액 2㎖에 증류수 1㎖와 0.1% 염화제2철(ferric chloride; DeaJung, Korea) 1㎖를 가하여 혼합한 후 70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시료의 환원력은 흡광도 값으로 나타내었다. 그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농도(mg/㎖)
0.625 1.25 2.5 5 10
환원력 - - - 0.36±0.01 0.77±0.02
상기 표 5의 결과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시료는 0.625mg/㎖, 1.25mg/㎖ 및 2.5mg/㎖의 농도에서는 환원력을 나타내지 않았지만, 5mg/㎖ 농도부터는 농도의존적으로 환원력이 증가하였다.
< 실험예 7>
세포독성 확인
본 발명의 시료의 세포독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실험하였다.
세포독성을 확인하기 위한 세포로는 3T3-L1(Mouse embryonic fibroblast - adipose like cell line) 전지방세포를 ATCC(Americal Type Culture Collection, Manassans, VA, USA)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으며, 3T3-L1 지방세포에 대한 본 발명의 시료의 세포독성은 MTT 분석법(3-[4,5-dimethyl-thiazo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assay)에 의해 확인하였다.
3T3-L1 지방세포는 96-웰 플레이트(96-well plate)에 4×104cells/㎖로 분주하여 불활성화시킨 10% FBS(fetal bovine serum)과 1% PEST{페니실린(penicillin)과 스트렙토마이신(strepotimycin)}을 함유한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배지를 사용하여 5% CO2, 37℃에서 24시간 동안 인큐베이터(incubator)에서 배양하였다. 배양 후 배양액을 제거하고, DMEM 배지와 농도별 본 발명의 시료(0, 50, 100, 250, 500, 1000 및 2000㎍/㎖)를 24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이후 용매 DPBS(Dulbecco's Phosphate-Buffered Saline, 1X)에 5㎎/㎖로 용해시킨 MTT(3-[4,5-dimethyl-thiazo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용액을 각 웰(well) 마다 120㎕씩 처리하여 4시간 동안 5% CO2, 37℃ 인큐베이터에서 배양하였다. 배양 후 배양액을 제거한 뒤 각 웰마다 디메틸설폭사이드(DMSO; dimethyl sulfoxide)를 200㎕/웰씩 넣으면서 피펫을 이용하여 잘 섞어주었다. 그 후 ELISA 판독기(ELISA reader)로 570㎚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의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시료는 2000㎍/㎖ 농도에서도 3T3-L1 지방세포에 대하여 전혀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 실험예 8>
오일 레드 (Oil Red O) 염색법을 이용한 지방축적 억제효과 확인
본 발명의 시료의 지방축적 억제효과를 오일 레드 오(Oil Red O) 염색법을 이용하여 하기와 같이 확인하였다. 오일 레드 오 염색시약은 중성지질, 콜레스테롤 등과 결합하며, 지방분화로 인해 축적된 대부분의 지질은 중성지방으로 염색된 세포의 붉은색 정도를 통해 분화정도를 확인할 수 있다(McNeel 등 2003).
세포독성을 확인하기 위한 세포로는 3T3-L1(Mouse embryonic fibroblast - adipose like cell line) 전지방세포를 ATCC(Americal Type Culture Collection, Manassans, VA, USA)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3T3-L1 지방세포는 불활성화시킨 10% FBS(fetal bovine serum)과 1% PEST{페니실린(penicillin)과 스트렙토마이신(strepotimycin)}을 함유한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배지를 사용하여 5% CO2, 37℃에서 배양하였다.
배양 후 배지를 분화유도물질[0.5μM IBMX(3-Isobutyl-1-methylxanthine), 1μM 덱사메타손(Dexamenthason), 10㎍/㎖ 인슐린(Insulin)]이 들어있는 DMEM 배지로 교체하고 농도별 본 발명의 시료(0, 50, 100, 250, 500, 및 1000㎍/㎖)를 첨가하여 세포를 배양하였다. 배양 6일 후, 세포의 배양액을 제거하고 PBS(phosphate buffered saline)로 세척하였다. 지방세포로의 분화를 유도하지 않은 지방전구세포(pre-adipocyte)를 음성대조군(UC)으로 하였으며, 지방세포의 분화는 유도하였으나 본 발명의 시료로 처리하지 않은 지방세포를 양성대조군(CON)으로 하였다.
상기 각 그룹에 대하여, 10% 포름알데하이드(formaldehyde) 500㎕씩을 각 웰에 넣고 4℃에서 1시간 동안 고정시킨 다음, 포름알데하이드를 제거하고 인산완충식염수로 3회 세척한 후 CO2 인큐베이터에서 건조시켰다. 플레이트가 다 마르면 오일 레드 오 염색약을 500㎕씩 넣고 상온에서 어두운 상태로 30분간 염색한 후 인산완충식염수로 3회 세척하였다. 염색이 된 세포는 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관찰 후 웰 당 300㎕의 이소프로판올(iso-propanol)로 지방세포 내 염색된 염색약을 추출하고 ELISA 판독기로 500㎚에서의 광학밀도값(OD값; optical density)을 측정하였다. 상기 오일 레드 오 염색약은 오일 레드 오 염색약 500㎎을 이소프로판올 100㎕에 용해시킨 용액을 증류수와 6:4의 비율로 혼합한 후 0.45㎛ 필터(filter)로 여과한 용액이다. 그 결과를 도 3과 4에 나타내었다.
도 3과 4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시료를 처리하였을 때 지방세포에 축적된 지질의 양이 농도의존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실험예 9>
지방세포 내 중성지방 함량 분석
3T3-L1 지방세포를 6-웰 플레이트(6-well plate)에 7×104cells/㎖의 밀도로 분주하고 6일 동안 지방세포를 분화시키면서 동시에, 본 발명의 시료를 농도별로(0, 50, 100, 250, 500, 및 1000㎍/㎖) 처리하였다. 8일 후 각 웰을 인산완충식염수로 세척한 후 세포 스크레이퍼(cell scraper, SPL)를 이용하여 세포를 수득하고, 초음파 분쇄기(SONIFIER 450, BRANSON)를 이용하여 세포 내 중성지방을 추출하였다. 그 후, 트리글리세라이드 키트(TG-S, 아산제약)를 이용하여 상기 추출한 중성지방의 함량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시료를 처리하였을 때 농도의존적으로 지방세포에 축적된 중성지방의 양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1000㎍/㎖의 시료를 처리한 경우, 처리하지 않은 양성대조군과 비교하였을 때 지방세포 내 중성지방(TG)의 양이 약 20%정도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Claims (4)

  1. 흑마늘 건조분말, 풋고추 건조분말, 표고버섯 건조분말 및 양파 건조분말을 비빔소스 조성물 총 중량의 5~20중량%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비만효과를 가진 비빔소스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흑마늘 건조분말, 풋고추 건조분말, 표고버섯 건조분말 및 양파 건조분말은 1~2:1~2:1~2:1~2의 중량비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빔소스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빔소스 조성물은 고추장 45~55중량부, 고추가루 2~4중량부, 설탕 6~9중량부, 흑마늘 건조분말 2~4중량부, 양파 건조분말 2~4중량부, 풋고추 건조분말 2~4중량부, 표고버섯 건조분말 2~4중량부, 매실액 6~9중량부, 토마토 케찹 3~7중량부, 참기름 13~17중량부, 식초 22~28중량부, 사이다 40~50중량부 및 참깨 0.5~2중량부를 혼합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빔소스 조성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의 비빔소스 조성물을 포함하는 항비만효과를 가진 비빔면.
KR1020150014764A 2015-01-30 2015-01-30 비만예방효과를 가진 비빔소스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비빔면 KR1017198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4764A KR101719895B1 (ko) 2015-01-30 2015-01-30 비만예방효과를 가진 비빔소스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비빔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4764A KR101719895B1 (ko) 2015-01-30 2015-01-30 비만예방효과를 가진 비빔소스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비빔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4464A true KR20160094464A (ko) 2016-08-10
KR101719895B1 KR101719895B1 (ko) 2017-03-27

Family

ID=567131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4764A KR101719895B1 (ko) 2015-01-30 2015-01-30 비만예방효과를 가진 비빔소스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비빔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9895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6600A (ko) * 2008-09-01 2010-03-10 경남도립남해대학 산학협력단 흑마늘 건조분말 또는 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질대사 장애 및 당뇨 합병증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10014421A (ko) * 2009-08-05 2011-02-11 박종호 당뇨환자의 혈당조절용 천연양념
KR20110050019A (ko) 2009-11-06 2011-05-13 윤영웅 비빔면 전용 소스 및 그 제조방법
KR20120027858A (ko) 2010-09-13 2012-03-22 문인술 비빔면용 자연식 소스
KR101177379B1 (ko) * 2010-05-19 2012-08-27 주식회사 엔자임바이오 산사 추출물, 율무 추출물, 청고추 추출물 및 팥싹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KR20140012820A (ko) 2012-07-23 2014-02-04 농업회사법인(주)승화푸드 웰빙 비빔장 및 그 제조방법
KR20140055210A (ko) 2012-10-31 2014-05-09 이대동 비빔면용 소스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6600A (ko) * 2008-09-01 2010-03-10 경남도립남해대학 산학협력단 흑마늘 건조분말 또는 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질대사 장애 및 당뇨 합병증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10014421A (ko) * 2009-08-05 2011-02-11 박종호 당뇨환자의 혈당조절용 천연양념
KR20110050019A (ko) 2009-11-06 2011-05-13 윤영웅 비빔면 전용 소스 및 그 제조방법
KR101177379B1 (ko) * 2010-05-19 2012-08-27 주식회사 엔자임바이오 산사 추출물, 율무 추출물, 청고추 추출물 및 팥싹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KR20120027858A (ko) 2010-09-13 2012-03-22 문인술 비빔면용 자연식 소스
KR20140012820A (ko) 2012-07-23 2014-02-04 농업회사법인(주)승화푸드 웰빙 비빔장 및 그 제조방법
KR20140055210A (ko) 2012-10-31 2014-05-09 이대동 비빔면용 소스

Non-Patent Citation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 Folin O, Denis WA. Colorimetric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phenols(phenol derivatives) in urine. J. Biol. Chem. 1915. 22: 305-308.
10. Colca JR, Dailey CF, Palazuk BJ, Hillman RM, Dinh DM, Melchior GW.1991. Pioglitazone hydrochloride inhibits cholesterol absorption and lowers plasma cholesterol concentrations in cholesterol fed rats. Diabetes. 40, 16691674.
11. Shafrir E. 2003. Diabetes mellitus. NewYork: McGraw-Hill. Diabetes in animals: Contribution to the und erstanding of diabetes by study of its etiopathology in animal models; pp. 23155.
12. Fontaine KR, Redden DT, Wang C, Westfall AO, Allison DB. 2003. Years of life lost due to obesity. JAMA. 289, 187193.
13. Saper CB, Chou TC, Elmquist JK. 2002. The need to feed: Homeostatic and hedonic control of eating. Neuron. 36, 199211.
14. Foster-Schubert KE. 2006. Cummings DE. Emerging therapeutic strategies for obesity. Endocr Rev. 27, 779793.
15. Cone RD, Lu D, Koppula S, Vage DI, Klungland H, Boston B, et al. 1996. The melanocortin receptors: agonists, antagonists, and the hormonal control of pigmentation. Recent Prog Horm Res. 51, 287317.
16. Sharma G, Mishra B. 2007. Piperine- A therapeutic agent and bioavalibility enhancer. J Pharm Res. 6, 129133.
17. Srinivasan K, Viswanad B, Lydia A, Kaul CL, Ramarao P. 2005. Combination of high-fat diet-fed and low-dose streptozotocin-treated rat: A model for type 2 diabetes and pharmacological screening. Pharmacol Res. 52, 313320.
18. Riccardi G, Giacco R, Rivellese AA. 2004. Dietary fat, insulin sensitivity and the metabolic syndrome. Clin Nutr. 23, 447456.
19. Riccardi G, Giacco R, Rivellese AA. 2004. Dietary fat, insulin sensitivity and the metabolic syndrome. Clin Nutr. 23, 447456.
2. Moreno MIN, Isla MI, Sampietro AR, Vattuone MA. 2000. Comparison of the free radical-scavenging activity of propolis from several region of Argentina. J Ethnopharmacol 71: 109-114.
20. Storlien LH, James DE, Burleigh KM, Chisholm DJ, Kraegen EW. 1986. Fat feeding causes widespread in-vivo insulin resistance, decreased energy expenditure and obesity in the rat. Am J Physiol. 251, E576583.
3. Choi JS, Park JH, Kim HG, Young HS, Mun SI. 1993. Screening for antioxidant activity of plants and marine algae and its active principles from Prunus daviana. Kor J Pharmacol 24: 299-303.
4. Oyaizu M. 1986. Stduies on products of browning reactions: antioxidative activities of products of browning reaction prepared from glucosamine. J apanese J Nutr 44: 307-315.
5. Ahn HY, Heo SJ, Kang MJ, Lee JH, Cha JY, Cho YS. 2011. Antioxidative activity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leaf and fruit extracts from Thuja orientalis. J life science 21: 746-752.
6. Hassas-Roudsari M, Chang PR, Pegg RB, Tyler RT. 2009. Antioxidant capacity of bioactives extracted from canola meal by subcritical water, ethanolic and hot water extraction. Food Chem 114: 717-726.
7. McNeel RL, Mersmann HJ. 2003. Effects of isomers of conjugated linoleic acid on porcine adipocyte growth and differentiation. J Nutr Biochem 14: 266-274.
8. Lee SI, Lee YK, Kim SD, Lee IA, Choi JK, Suh JW. Effect of soybean curd residue fermented by Monascus pilosus on the high fat diet-induced obese mice. J Appl Biol Chem. 57, 7-15.
9. Kim DJ, Jung JH, Kim SG, Lee HK, Lee SK, Hong HD, Lee BY, Lee OH. 2011. Antioxidant and anti-obesity activities of hot water and ethanolic extract from Cheonnyuncho (Opuntia humifusa). Korean J Food Preserv. 18, 366-373.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9895B1 (ko) 2017-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es et al. The role of anthocyanins as antidiabetic agents: From molecular mechanisms to in vivo and human studies
Dembinska-Kiec et al. Antioxidant phytochemicals against type 2 diabetes
Jung et al. Phlorotannins isolated from the edible brown alga Ecklonia stolonifera exert anti-adipogenic activity on 3T3-L1 adipocytes by downregulating C/EBPα and PPARγ
Mahmoudi et al. Antidepressant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Artemisia absinthium L. at flowering stage
Zaini et al. Kundur [Benincasa hispida (Thunb.) Cogn.]: A potential source for valuable nutrients and functional foods
EP2391374B1 (en) Composition from sphaeranthus indicus and garcinia mangostana for the control of metabolic syndrome
Tantipaiboonwong et al. Anti-hyperglycaemic and anti-hyperlipidaemic effects of black and red rice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Kang et al. Antioxidant and antidiabetic activities of various solvent extracts from Stachys sieboldii Miq.
Parra et al. An overview on various aspects of plant Berberis Lycium Royale
KR20160063636A (ko) 참당귀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 및 항당뇨 기능성 조성물 및 한방소스 제조방법
Abelti et al. Review on edible water lilies and lotus: Future food, nutrition and their health benefits
Mehram et al. Potential effects of food processing byproducts on neurological and immunological disorders of obese rats
Farias-Pereira et al. Plant bioactive compounds from Mediterranean diet improve risk factors for metabolic syndrome
Sivamaruthi et al. A comprehensive review on functional properties of fermented rice bran
KR101719895B1 (ko) 비만예방효과를 가진 비빔소스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비빔면
Younus et al. Antioxidant, analgesic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in vitro and field-grown Iceberg lettuce extracts
Lal et al. Traditional, medicinal and nutraceutical values of minor fruit: Longan
KR101392715B1 (ko) 의이인탕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
Blando et al. Opuntia, ficus‐indica [L.] Mill. and Other Species: Source of Bioactives and Their Molecular Mechanisms of Action to Promote Human Health
Das et al. Anti-obesogenic effects of plant natural products: A focus on Korean traditional foods
KR20160094465A (ko) 항비만효과를 가진 짜장소스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짜장면
Sassi et al. Bottle gourd (Lagenaria siceraria) extracts improve glucose and lipid metabolism in 3T3-L1 adipocytes
KR20180041062A (ko) 갈색 지방화 유도용 조성물
KR101517828B1 (ko) 홍삼 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
KR102506673B1 (ko) 클로렐라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개선, 치료, 또는 예방용, 또는 발모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