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4101A - 온라인 및 오프라인 연결을 위한 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온라인 및 오프라인 연결을 위한 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4101A
KR20160094101A KR1020150015246A KR20150015246A KR20160094101A KR 20160094101 A KR20160094101 A KR 20160094101A KR 1020150015246 A KR1020150015246 A KR 1020150015246A KR 20150015246 A KR20150015246 A KR 20150015246A KR 20160094101 A KR20160094101 A KR 201600941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ser terminal
service
serial number
servic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52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환
김나랑
김보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성주디앤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성주디앤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성주디앤디
Priority to KR10201500152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94101A/ko
Publication of KR201600941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41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55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histo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1Item recommend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비스 정보와 대응하는 일련번호를 생성하고, 사용자 단말기에서 요청하는 일련번호와 대응하는 서비스 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서비스 장치, 일련번호를 입력받고, 상기 서비스 장치에서 수신한 상기 서비스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는 온라인 및 오프라인 연결을 위한 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온라인 및 오프라인 연결을 위한 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Integrated service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on-line and off-line connection}
본 발명은 서비스 정보와 대응하는 일련번호를 생성하고, 사용자 단말기에서 요청하는 일련번호와 대응하는 서비스 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서비스 장치, 일련번호를 입력받고, 상기 서비스 장치에서 수신한 상기 서비스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는 온라인 및 오프라인 연결을 위한 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소비 패턴이 비정형화된 밀레니엄 세대가 부상하며, 모바일 기기가 보편화되며 네트워크 및 통신기술이 발전하여, 과거 오프라인 매장에서 상품을 구매하여야 하는 소비 패러다임이 급격하게 변화하고 있다. 백화점과 대형 마트 등에서는 온라인으로 구매를 할 수 있는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하고 있으며, 소비자는 온라인 구매를 진행하는 경우 인터넷 기사, 커뮤니티, 블로그, 전문가 의견, 이미 상품을 구매한 구매자 의견 등을 다각도로 종합하는 비율이 매우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온라인 구매 시스템은 온라인 구매를 진행하는 경우 상품의 복잡한 제품명(ex; 루이비통 가방 루이 A15560462)을 전부 입력해야 하는 등 번거로운 절차를 거쳐야 하였으며, 소비자가 오프라인 매장에서 진열장의 상품을 확인 후 온라인 쇼핑 등을 통하여 상품을 온라인 구매를 진행하는 경우, 매장의 상품에는 상품의 정확한 상품명이 제대로 표시되어 있지 않아, 소비자는 온라인 상에서 상품의 구매를 원활하게 진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존재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기존의 온라인 구매 시스템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품 정보, 이벤트 정보, 컨텐츠 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정보에 각각 대응하는 5자리의 일련번호를 생성하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일련번호가 입력되면 일련번호와 대응하는 서비스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 장치 및 온라인/오프라인 연결을 위한 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안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기술적 과제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및 오프라인 연결을 위한 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서비스 정보와 대응하는 일련번호를 생성하고, 사용자 단말기에서 요청하는 일련번호와 대응하는 서비스 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서비스 장치, 일련번호를 입력받고, 상기 서비스 장치에서 수신한 상기 서비스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사용자 단말기, 매장에 설치되고, 서비스 장치에 등록된 사용자 단말기가 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 감지되면, 상기 매장과 감지된 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정보를 서비스 장치에 전송하는 비콘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및 오프라인 연결을 위한 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가 개인용 컴퓨터, 휴대용 단말기, 매장 단말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장치는, 상품 정보, 이벤트 정보, 컨텐츠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서비스 정보와 각각 대응하는 일련번호를 생성하는 번호 생성부, 상기 서비스 정보와 상기 일련번호를 저장하는 저장부,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서비스 정보 및 상기 일련번호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일련번호 입력에 의한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일련번호와 대응하는 서비스 정보를 상기 저장부에서 검색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장치는, 제어부가 일련번호 입력에 의한 요청이 온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지정한 다른 사용자 단말기로 상기 서비스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접근 권한이 있는지를 판단하여, 적법한 접근인 경우 서비스 정보를 제공하고, 부적법한 접근인 경우 해당 사용자 단말기에 의한 추가적인 접근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장치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관련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서비스 정보에 추천 서비스 정보를 더 포함하는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분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장치는, 추천 서비스 정보가 상기 서비스 정보를 이미 이용한 사용자들의 구매이력을 분석하거나,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이전 구매이력을 분석하여, 추천 서비스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장치는, 제어부가 상기 상품 정보와 대응하는 일련번호 입력에 의한 접속이 있는 경우, 해당 상품에 대한 복수의 이미지 외형 정보, 해당 상품에 대한 가격, 해당 상품에 대한 상품평 및 평점, 해당 상품을 제공할 수 있는 매장 정보, 해당 상품의 배송 가능 유무, 해당 상품에 사용될 수 있는 쿠폰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서비스 정보와 함께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장치는, 제어부가 상기 이벤트 정보와 대응하는 일련번호 입력에 의한 접속이 있는 경우, 기 설정된 기간이 도과한 후 해당 이벤트에 대한 당첨 결과를 생성하고, 당첨 결과와 당첨에 대한 경품 내역을 포함하는 정보를 서비스 정보와 함께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장치는, 제어부가 상기 컨텐츠 정보와 대응하는 일련번호 입력에 의한 접속이 있는 경우, 컨텐츠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컨텐츠 링크 또는 인터넷 웹 페이지를 포함하는 정보를 서비스 정보와 함께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장치는, 저장부가 기 설정된 시간이 지난 후 서비스 정보와 대응되는 일련번호를 초기화하며, 상기 일련번호는 5자리의 일련번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장치는, 제어부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한 구매가 요청되는 경우, 구매 가능한 매장에서 상품을 방문수령하거나 온라인 쇼핑몰에서 상품을 배송수령할 수 있도록 상기 매장 또는 상기 온라인 쇼핑몰에 구매요청 상품에 대한 정보 및 구매자 정보를 송신하며, 사용자 단말기에서 방문수령 또는 배송수령을 선택할 수 있도록, 상기 매장 또는 상기 온라인 쇼핑몰의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장치는, 제어부가 매장에 설치된 비콘이 사용자 단말기를 감지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정보를 송신하면, 상기 비콘이 설치된 매장을 확인하여 상기 매장과 관련된 서비스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장치의 통합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품 정보, 이벤트 정보, 컨텐츠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서비스 정보와 각각 대응하는 일련번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정보와 상기 일련번호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일련번호 입력에 의한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일련번호와 대응하는 서비스 정보를 상기 저장부에서 검색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장치의 통합 서비스 제공 방법은, 서비스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관련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서비스 정보에 추천 서비스 정보를 더 포함하는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서비스 정보에 각각 대응하는 5자리의 일련번호를 생성하여, 소비자가 5자리의 일련번호를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입력하면 이와 대응하는 서비스 정보를 제공하며, 옥외광고판/인터넷 홈페이지/오프라인 매장의 상품에 일련번호를 함께 노출하도록 하여 매장단말기(키오스크), 개인용컴퓨터, 스마트 단말기 등 다양한 입력수단을 통해 서비스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망라하는 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가 서비스 정보에 대한 구매가 요청하는 경우, 서비스 장치는 구매 가능한 매장에서 상품을 방문수령하거나 온라인 쇼핑몰에서 상품을 배송수령할 수 있도록 상기 매장 또는 상기 온라인 쇼핑몰에 구매요청 상품에 대한 정보 및 구매자 정보를 송신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택배/퀵서비스/매장수령 등 자유로운 수령 방법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여 고객편의를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및 오프라인 연결을 위한 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 중 매장 단말기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4,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 중 휴대용 단말기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및 오프라인 연결을 위한 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및 오프라인 연결을 위한 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및 오프라인 연결을 위한 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설명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된 도면에 표현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쉽게 설명하기 위해 도식화된 도면으로 실제로 구현되는 형태와 상이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 표현되는 각 구성부는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예일 뿐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구현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구성부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들을 '포함'한다는 표현은, '개방형'의 표현으로서 해당 구성요소들이 존재하는 것을 단순히 지칭할 뿐이며, 추가적인 구성요소들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및 오프라인 연결을 위한 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또한, 도 2,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 중 매장 단말기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며, 도 4,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 중 휴대용 단말기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온라인 및 오프라인 연결을 위한 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100), 서비스 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일련번호를 입력받고, 서비스 장치에서 수신한 서비스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단말기는 개인용 컴퓨터, 휴대용 단말기, 매장 단말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매장 단말기(130)는, 일련번호를 입력(도2)하고, 일련번호에 대응하는 서비스정보를 디스플레이(도3)할 수 있다. 이 때, 무인정보단말기인 키오스크(KIOSK)를 매장 단말기로 설치하여, 일련번호 및 정보를 입력할 수도 있으며, 서비스 장치로부터 다양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받아 큰 화면을 확인할 수도 있다.
또한, 도 4,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휴대폰(120)은, 역시 일련번호를 입력(도4)하고, 일련번호에 대응하는 서비스정보를 디스플레이(도5)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일련번호를 입력하여 서비스정보를 전송받는 자세한 구성은 도 7을 참조하기로 한다.
서비스 장치(200)는, 서비스 정보와 대응하는 일련번호를 생성하고, 사용자 단말기에서 요청하는 일련번호와 대응하는 서비스 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한다. 서비스 장치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과 그 역할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도 8을 참조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및 오프라인 연결을 위한 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온라인 및 오프라인 연결을 위한 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비콘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비콘(300)은 매장에 설치되고, 서비스 장치에 등록된 사용자 단말기가 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 감지되면, 상기 매장과 감지된 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정보를 서비스 장치에 전송한다.
예를 들어, A고객은 본 발명의 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이미 회원 등록을 하고, 자신의 사용자 단말기를 등록한 상태에서 가방 매장에 들어서게 된다. 매장에 설치된 비콘은 등록된 사용자 단말기 B를 감지하여, 현재 사용자 단말기를 감지한 시각과 위치(ex; 강남역 매장, 18시)를 서비스 장치로 전송한다.
이어, 서비스 장치는 해당 사용자 단말기 B가 A고객의 단말기인지를 확인하며, 현재 강남역 매장에서 판매하고 있는 상품(ex; 가방, 정장, 구두)의 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A고객은 강남역 매장에 들어선 지 몇 분 지나지 않아 해당 매장에서 판매하는 가방의 정보를 단말기를 통해 수신하여, 구매에 도움되는 정보를 쉽게 제공받을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및 오프라인 연결을 위한 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7,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서비스 장치(200)는, 번호 생성부(210), 저장부(220), 통신부(230), 제어부(240), 분석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번호 생성부(210)는 상품 정보, 이벤트 정보, 컨텐츠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서비스 정보와 각각 대응하는 일련번호를 생성하며, 저장부(220)는 서비스 정보와 일련번호를 저장한다.
예를 들어, 서비스 장치가 상품 정보에 대한 일련번호를 생성하는 경우, 상품인 C가방에 대하여 일련번호 10101번을 생성하여 일대일로 매칭시킨다. 이어, 서비스 장치 관리자는 C가방에 대하여 일련번호 10101번임을 확인하고, C가방을 실제로 판매하는 매장 및 C가방을 광고하는 잡지, 신문, 인터넷 뉴스, 옥외광고판 등에 C가방과 함께 10101 일련번호를 함께 게재하도록 한다.
또한, 저장부는 상품 정보, 이벤트 정보, 컨텐츠 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정보와, 그에 대응하는 일련번호를 저장할 수 있다. 일련번호가 너무 길면(ex;8자리) 사용자가 쉽게 기억하지 못하며, 일련번호가 너무 짧으면(ex;3자리) 많은 정보를 한번에 저장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련번호는 5자리의 일련번호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저장부는 다양한 정보를 무한정 저장할 수 없으므로, 기 설정된 시간(ex; 6개월)이 지난 이후 서비스 정보에 대응하는 일련번호를 초기화하도록 한다. 서비스 정보 자체는 별도의 서버를 구축하여 저장할 수 있지만, 일련번호는 초기화하여 다른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통신부(230)는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서비스 정보 및 상기 일련번호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제어부(240)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일련번호 입력에 의한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일련번호와 대응하는 서비스 정보를 상기 저장부에서 검색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한다.
예를 들어, 패션 잡지에서 C가방에 대한 광고를 보고 C가방의 구매 욕구가 생긴 D고객이 일련번호 10101번을 자신의 사용자 단말기인 스마트폰을 통하여 입력하면, 서비스 장치는 통신부를 통해 일련번호 10101번을 입력받게 된다. 이어, 서비스 장치의 제어부는 일련번호 10101번이 C가방과 일대일 대응된 번호임을 확인하고, C가방에 대응하는 서비스 정보를 저장부에서 검색하여, D고객의 스마트폰으로 C가방과 관련된 정보들을 전송한다.
이 때, 제어부는 일련번호 입력에 의한 요청이 온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지정한 다른 사용자 단말기로 상기 서비스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고객이 C가방에 대한 광고를 자신의 스마트폰 뿐만 아니라, 자신의 지인인 E고객에게도 C가방에 대한 정보를 공유 요청하는 경우, 서비스 장치는 C가방에 대한 광고를 D, E 고객에게 동시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사용자 단말기의 접근 권한이 있는지를 판단하여, 적법한 접근인 경우 서비스 정보를 제공하고, 부적법한 접근인 경우 해당 사용자 단말기에 의한 추가적인 접근을 차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경쟁사 또는 해커가 서비스 장치에 저장된 서비스 정보를 캐내기 위하여 부적법하게 접근하는 경우, 제어부는 해당 접속 단말기의 접속을 차단하여, 해킹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상품 정보, 이벤트 정보, 컨텐츠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서비스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각각의 정보에 따라서 제공하는 정보가 달라질 수 있다.
상품 정보와 대응하는 일련번호 입력에 의한 접속이 있는 경우, 제어부는 해당 상품에 대한 복수의 이미지 외형 정보, 해당 상품에 대한 가격, 해당 상품에 대한 상품평 및 평점, 해당 상품을 제공할 수 있는 매장 정보, 해당 상품의 배송 가능 유무, 해당 상품에 사용될 수 있는 쿠폰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서비스 정보와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C가방에 대응하는 일련번호 10101번이 입력되는 경우, C가방의 정면 사진, 측면 사진, 사시도 사진 등 복수의 이미지 외형 정보와, C가방의 판매 가격(ex; 300,000원), C가방에 대한 상품평 및 평점(ex; 평균 평점 9.1, 결혼기념물 선물로 받아서 잘 쓰고 있습니다..), C가방을 제공할 수 있는 매장 정보(ex; 강남역 매장, 선릉역 매장, 압구정 매장), C가방의 배송 가능 유무(ex; 1일 이내에 택배 및 퀵서비스 배달 가능), C가방에 적용되는 쿠폰 정보(ex; 신용카드 결제시 5% 할인 쿠폰)를 포함하는 정보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이벤트 정보와 대응하는 일련번호 입력에 의한 접속이 있는 경우, 기 설정된 기간이 도과한 후 해당 이벤트에 대한 당첨 결과를 생성하고, 당첨 결과와 당첨에 대한 경품 내역을 포함하는 정보를 서비스 정보와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F할인 이벤트에 대응하는 일련번호 20202번이 입력되는 경우, 서비스 장치는 이벤트를 시작한 후 기 설정된 시간이 도과하고(ex; 1개월 후) 20202번을 입력한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들 중에서 F할인 이벤트에 대한 당첨 결과를 생성한다. 이어, 서비스 장치는 F할인 이벤트에 당첨된 G사용자 단말기로 당첨 결과를 F할인 이벤트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을 포함하는 정보와 함께 전송한다.
또한, 컨텐츠 정보와 대응하는 일련번호 입력에 의한 접속이 있는 경우, 컨텐츠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컨텐츠 링크 또는 인터넷 웹 페이지를 포함하는 정보를 서비스 정보와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고객이 매장에서 옷을 구매한 후, 자신이 입은 옷의 전신 사진을 매장 단말기인 키오스크에서 찍을 수 있다. 키오스크에서 해당 사진 정보에 대한 일련 번호인 30303번을 입력하면, 키오스크는 D고객의 사진과 일련번호를 매칭하여 서비스 장치로 전송한다. 이어, 서비스 장치는 컨텐츠 정보인 전신 사진을 저장부에 저장하고, 추후에 D고객이 자신의 스마트폰 또는 PC에서 자신의 사진을 다운로드받는 경우, 30303번을 입력하여 사진을 간편하게 내려받을 수 있다.
분석부(250)는 사용자 단말기의 관련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서비스 정보에 추천 서비스 정보를 더 포함하는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한다. 이 때, 추천 서비스 정보는, 서비스 정보를 이미 이용한 사용자들의 구매이력을 분석하여 추천 서비스를 결정할 수도 있고, 사용자 단말기의 이전 구매이력을 분석하여, 추천 서비스를 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A고객이 C가방에 대한 일련번호인 10101번을 입력하면, 서비스 장치의 분석부는 10101번과 대응하는 C가방과 관련하여, C가방을 구매하였던 종래 사용자들의 구매이력을 분석하여, C가방을 함께 구매하였던 사람들은 H 향수를 함께 구매하는 경향이 높음을 도출하고, A고객에게 C가방에 대한 정보와 함께 H향수에 대한 정보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또한, A고객이 C가방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는 경우, 과거 A고객이 C2가방, C3가방을 구매한 내역이 있었음을 확인하고, C4가방에 대한 정보를 C가방에 대한 정보와 함께 전송할 수도 있다.
한편, 서비스 장치의 제어부는, 사용자 단말기를 통한 구매가 요청되는 경우 구매 가능한 매장에서 상품을 방문수령하거나 온라인 쇼핑몰에서 상품을 배송수령할 수 있도록 상기 매장 또는 상기 온라인 쇼핑몰에 구매요청 상품에 대한 정보 및 구매자 정보를 송신하며, 사용자 단말기에서 방문수령 또는 배송수령을 선택할 수 있도록, 상기 매장 또는 상기 온라인 쇼핑몰의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사용자는 서비스 장치로부터 상품 정보, 이벤트 정보, 컨텐츠 정보 등 다양한 서비스 정보를 제공받은 이후, 해당 서비스를 구매할 수 있다. A고객이 자신의 집에서 PC를 통해 C가방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고, C가방에 대한 구매를 요청하면, 서비스 장치의 제어부는 현재 구매 가능한 매장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장치는 A고객의 사용자 단말기로 "강남역 매장에서 C가방을 바로 방문수령 가능합니다", "현재 C가방을 제공하고 있는 매장이 없으므로, 온라인 쇼핑몰에서 배송 수령 가능합니다." 등의 메시지를 제공한다. 이어, A고객이 방문수령 구매를 선택하는 경우 해당 매장(ex;강남역 매장)에 "A고객이 2일 이내에 강남역 매장에서 C가방을 방문 수령할 예정이므로, 재고를 확보하시기 바랍니다." 등의 메시지를 전송하여, A고객이 해당 제품을 빠르게 구매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장치의 통합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품 정보, 이벤트 정보, 컨텐츠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서비스 정보와 각각 대응하는 일련번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정보와 상기 일련번호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일련번호 입력에 의한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일련번호와 대응하는 서비스 정보를 상기 저장부에서 검색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장치의 통합 서비스 제공 방법은, 서비스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관련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서비스 정보에 추천 서비스 정보를 더 포함하는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며, 이들에 의하여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 대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을 가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수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사용자 단말기
110: PC
120: 휴대용 단말기
130: 매장용 단말기(Kiosk)
200: 서비스 장치
210: 번호 생성부
220: 저장부
230: 통신부
240: 제어부
250: 분석부
300: 비콘

Claims (19)

  1. 서비스 정보와 대응하는 일련번호를 생성하고, 사용자 단말기에서 요청하는 일련번호와 대응하는 서비스 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서비스 장치;
    일련번호를 입력받고, 상기 서비스 장치에서 수신한 상기 서비스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사용자 단말기;
    를 포함하는 온라인 및 오프라인 연결을 위한 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개인용 컴퓨터, 휴대용 단말기, 매장 단말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및 오프라인 연결을 위한 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매장에 설치되고, 서비스 장치에 등록된 사용자 단말기가 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 감지되면, 상기 매장과 감지된 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정보를 서비스 장치에 전송하는 비콘;
    을 더 포함하는 온라인 및 오프라인 연결을 위한 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
  4. 상품 정보, 이벤트 정보, 컨텐츠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서비스 정보와 각각 대응하는 일련번호를 생성하는 번호 생성부;
    상기 서비스 정보와 상기 일련번호를 저장하는 저장부;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서비스 정보 및 상기 일련번호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일련번호 입력에 의한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일련번호와 대응하는 서비스 정보를 상기 저장부에서 검색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일련번호 입력에 의한 요청이 온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지정한 다른 사용자 단말기로 상기 서비스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접근 권한이 있는지를 판단하여, 적법한 접근인 경우 서비스 정보를 제공하고, 부적법한 접근인 경우 해당 사용자 단말기에 의한 추가적인 접근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장치.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관련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서비스 정보에 추천 서비스 정보를 더 포함하는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분석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추천 서비스 정보는,
    상기 서비스 정보를 이미 이용한 사용자들의 구매이력을 분석하여, 추천 서비스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추천 서비스 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이전 구매이력을 분석하여, 추천 서비스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장치.
  10.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품 정보와 대응하는 일련번호 입력에 의한 접속이 있는 경우, 해당 상품에 대한 복수의 이미지 외형 정보, 해당 상품에 대한 가격, 해당 상품에 대한 상품평 및 평점, 해당 상품을 제공할 수 있는 매장 정보, 해당 상품의 배송 가능 유무, 해당 상품에 사용될 수 있는 쿠폰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서비스 정보와 함께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장치.
  11.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벤트 정보와 대응하는 일련번호 입력에 의한 접속이 있는 경우, 기 설정된 기간이 도과한 후 해당 이벤트에 대한 당첨 결과를 생성하고, 당첨 결과와 당첨에 대한 경품 내역을 포함하는 정보를 서비스 정보와 함께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장치.
  12.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 정보와 대응하는 일련번호 입력에 의한 접속이 있는 경우, 컨텐츠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컨텐츠 링크 또는 인터넷 웹 페이지를 포함하는 정보를 서비스 정보와 함께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장치.
  13.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기 설정된 시간이 지난 후 서비스 정보와 대응되는 일련번호를 초기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장치.
  14.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일련번호는, 5자리의 일련번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장치.
  1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한 구매가 요청되는 경우, 구매 가능한 매장에서 상품을 방문수령하거나 온라인 쇼핑몰에서 상품을 배송수령할 수 있도록 상기 매장 또는 상기 온라인 쇼핑몰에 구매요청 상품에 대한 정보 및 구매자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장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 단말기에서 방문수령 또는 배송수령을 선택할 수 있도록, 상기 매장 또는 상기 온라인 쇼핑몰의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장치.
  1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매장에 설치된 비콘이 사용자 단말기를 감지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정보를 송신하면, 상기 비콘이 설치된 매장을 확인하여 상기 매장과 관련된 서비스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장치.
  18. 상품 정보, 이벤트 정보, 컨텐츠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서비스 정보와 각각 대응하는 일련번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정보와 상기 일련번호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일련번호 입력에 의한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일련번호와 대응하는 서비스 정보를 상기 저장부에서 검색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장치의 통합 서비스 제공 방법.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관련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서비스 정보에 추천 서비스 정보를 더 포함하는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장치의 통합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150015246A 2015-01-30 2015-01-30 온라인 및 오프라인 연결을 위한 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941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5246A KR20160094101A (ko) 2015-01-30 2015-01-30 온라인 및 오프라인 연결을 위한 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5246A KR20160094101A (ko) 2015-01-30 2015-01-30 온라인 및 오프라인 연결을 위한 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4101A true KR20160094101A (ko) 2016-08-09

Family

ID=567124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5246A KR20160094101A (ko) 2015-01-30 2015-01-30 온라인 및 오프라인 연결을 위한 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9410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7525B1 (ko) * 2020-04-06 2020-07-24 양윤옥 키오스크를 이용한 상품 구매 시스템 및 방법
WO2020263035A1 (ko) * 2019-06-28 2020-12-30 최중인 온라인 주문 최적화를 기반으로 직접수령 고객에게 상품을 제공하기 위한 물류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63035A1 (ko) * 2019-06-28 2020-12-30 최중인 온라인 주문 최적화를 기반으로 직접수령 고객에게 상품을 제공하기 위한 물류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2137525B1 (ko) * 2020-04-06 2020-07-24 양윤옥 키오스크를 이용한 상품 구매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60008B1 (ko) 온라인 쇼핑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2257596B1 (ko) 스마트 제품 등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국경간 온라인 상거래 시스템
KR20130012167A (ko) 자동판매기와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제품 판매 장치 및 방법
KR20190085763A (ko) 추천 가맹점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추천 가맹점 정보 제공 장치
KR20190111548A (ko) 공간 이미지에 적합한 추천 상품의 매칭 시스템
KR20140008200A (ko) 오프라인 거래정보를 이용한 전자상거래 중개 시스템 및 방법
KR101657585B1 (ko)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해시 태그 기반 상품 거래 추천 시스템 및 방법
US2015003257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acilitating on-line transactions and/or electronic commerce transactions
KR101657588B1 (ko) 웹을 이용한 상품 이미지 기반 상품 거래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838242B1 (ko) 장바구니 할인율을 이용한 전자상거래 시스템
KR20020035008A (ko) 전자통신을 이용한 광고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94101A (ko) 온라인 및 오프라인 연결을 위한 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2002259757A (ja) 販売価格提示サービスシステム
JP2002117328A (ja) 広告情報提供装置及び広告情報提供方法
JP2014071578A (ja) 商品購入支援方法、情報端末及び受注サーバ
KR20040011056A (ko) 3차원 가상현실 쇼핑몰 운영 시스템 및 상품 배치방법
JP2002074166A (ja) オンラインショッピングモールシステム
KR101657583B1 (ko)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상품 이미지의 해시 태그 추출 시스템 및 방법
JP7145823B2 (ja) 提供装置、提供方法および提供プログラム
WO2017164594A1 (ko) 지능형 선택기능이 탑재된 구매 가이드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60058802A (ko) 인스턴트 메신저를 이용한 버디간의 전자상거래 시스템 및 방법
KR101788237B1 (ko) 스타 추종 상품판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57586B1 (ko) 웹을 이용한 상품 거래 정보 기반 개인 성향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657587B1 (ko)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상품 거래 정보 기반 개인 성향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698528B1 (ko) 온라인 거래 장치 및 온라인 거래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