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4019A - 자동차 조향장치의 유성기어 감속기 - Google Patents

자동차 조향장치의 유성기어 감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4019A
KR20160094019A KR1020150015044A KR20150015044A KR20160094019A KR 20160094019 A KR20160094019 A KR 20160094019A KR 1020150015044 A KR1020150015044 A KR 1020150015044A KR 20150015044 A KR20150015044 A KR 20150015044A KR 20160094019 A KR20160094019 A KR 201600940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er
coupled
planetary gear
gear
planet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50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46698B1 (ko
Inventor
김정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1500150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6698B1/ko
Publication of KR201600940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40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66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66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00Steering gears
    • B62D3/02Steering gears mechanical
    • B62D3/04Steering gears mechanical of worm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00Steering gears
    • B62D3/02Steering gears mechan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2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mechanical, e.g. using a power-take-off mechanism for taking power from a rotating shaft of the vehicle and applying it to the steering gea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28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28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36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gears having orbital motion with two central gears coupled by intermeshing orbital gears
    • F16H2001/28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조향장치의 유성기어 감속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모터축에 결합되는 제1선기어; 제1선기어에 외접 결합되는 수개의 제1유성기어; 기어하우징의 내주면에 결합되어 고정되며 제1유성기어가 내접 결합되는 제1링기어; 제1유성기어의 회전축이 관통되어 결합되되, 제1유성기어의 회전축 상단에 결합되는 상단 캐리어와 제1유성기어의 회전축 하단에 결합되는 하단 캐리어가 수개의 연결부재로 상하 연결 형성되는 제1캐리어; 제1캐리어에 내접 결합되는 제2선기어; 제2선기어에 외접 결합되는 수개의 제2유성기어; 중심부에 피니언축이 관통 결합되고, 제2유성기어의 회전축이 관통되어 결합되는 제2캐리어; 기어하우징의 내주면에 결합되어 고정되며 제2유성기어가 내접 결합되는 제2링기어를 포함하는 자동차 조향장치의 유성기어 감속기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차 조향장치의 유성기어 감속기{Reducer having planet gear for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본 발명은 자동차 조향장치의 유성기어 감속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성 기어와 선기어 및 링기어 사이에서 회전으로 인한 진동과 비틀림 응력을 견딜 수 있는 강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되고, 유성기어와 선기어의 회전시 유성기어의 회전축을 경방향으로 지지함으로써 회전으로 인한 진동과 소음을 줄이고 유성기어와 선기어의 유격도 보상할 수 있게 되어 진동과 래틀 노이즈를 감소시키며, 걸림감과 회전 저항을 줄여 운전자의 조향감을 증대시키는 자동차 조향장치의 유성기어 감속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자동차의 조향장치에 사용되는 유성기어 감속기의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유성기어 감속기는, 조향축(미도시)과 연결되는 입력축(110), 입력축(110)의 하단에 형성되는 제1선기어(120), 제1선기어(120)와 외접하는 제1유성기어(170), 제1유성기어(170)와 연결축(175)으로 연결되는 제2유성기어(180), 제2유성기어(180)와 외접하는 제2선기어(130), 제2선기어(130)와 연결되는 출력축(140), 연결축(175)의 일단이 결합되는 웜휠(150), 웜휠(150)과 치합되는 웜(160) 그리고 연결축(175)의 타단이 결합되는 캐리어(1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이러한 유성기어를 이용한 감속기는, 일 예로 자동차의 능동 전륜 조향장치를 구성하게 되는 바, 능동 전륜 조향장치에서 입력각과 출력각의 비가 조절되는 과정을 간략히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운전자가 조향휠을 조작함에 따라 조향휠과 연결된 조향축이 회전하면, 조향축과 연결된 입력축(110)이 회전하게 되며, 이로 인해 입력축(110)에 하단에 형성된 제1선기어(120)가 회전하게 된다.
또한, 이 경우 제1선기어(120)와 외접하고 있는 제1유성기어(170)가 회전하게 되고, 제1유성기어(170)와 연결축(175)으로 연결되어 있는 제2유성기어(180)가 회전하게 된다.
최종적으로 제2유성기어(180)와 외접하는 제2선기어(130)가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제2선기어(130)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출력축(140)이 회전하게 됨으로써 운전자의 조향휠 조작에 따라 발생한 조향력이 출력축(140)을 통해 랙-피니언 기구부(미도시)에 전달되게 된다.
한편, 여러 센서들로부터 발생된 전기적 신호가 ECU(미도시)에 전달되면, ECU는 모터를 구동하게 되며, 모터축에 연결된 웜(160)이 회전하면서 웜(160)과 맞물린 웜휠(150)이 회전하게 되고, 최종적으로 웜휠(150)과 일체로 구성되어 있는 캐리어(190)가 회전하게 됨으로써 입력각에 대한 출력각의 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유성기어 감속기는, 유성 기어와 선기어 및 링기어 사이에서 회전으로 인한 진동과 비틀림 응력을 견디는 강성이 낮아 감속기 자체 또는 내부 구성 부품의 변형이나 파손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변형이나 파손으로 인해 기어들 사이의 유격이 증대하여 발생되는 진동과 래틀 노이즈는 조향시 불쾌감을 일으키는 한편 걸림감과 회전 저항이 발생되어 운전자에게 불쾌감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 유성 기어와 선기어 및 링기어 사이에서 기어치 마모로 인해 발생되는 유격을 보상할 수 있는 자동차 조향장치의 유성기어 감속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어들의 마모에 의한 유격의 증대로 발생되거나 노면으로부터 바퀴와 조향축을 통해 전달되는 충격으로 발생되는 래틀 노이즈를 감소시키며, 걸림감과 회전 저항을 줄여 운전자의 조향감을 증대시키는 자동차 조향장치의 유성기어 감속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모터축에 결합되는 제1선기어; 제1선기어에 외접 결합되는 수개의 제1유성기어; 기어하우징의 내주면에 결합되어 고정되며 제1유성기어가 내접 결합되는 제1링기어; 제1유성기어의 회전축이 관통되어 결합되되, 제1유성기어의 회전축 상단에 결합되는 상단 캐리어와 제1유성기어의 회전축 하단에 결합되는 하단 캐리어가 수개의 연결부재로 상하 연결 형성되는 제1캐리어; 제1캐리어에 내접 결합되는 제2선기어; 제2선기어에 외접 결합되는 수개의 제2유성기어; 중심부에 피니언축이 관통 결합되고, 제2유성기어의 회전축이 관통되어 결합되는 제2캐리어; 기어하우징의 내주면에 결합되어 고정되며 제2유성기어가 내접 결합되는 제2링기어를 포함하는 자동차 조향장치의 유성기어 감속기가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자동차 조향장치의 유성기어 감속기에 있어서 유성 기어와 선기어 및 링기어 사이에서 회전으로 인한 진동과 비틀림 응력을 견딜 수 있는 강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유성기어와 선기어의 회전시 유성기어의 회전축을 경방향으로 지지함으로써 회전으로 인한 진동과 소음을 줄이고 유성기어와 선기어의 유격도 보상할 수 있게 되어 진동과 래틀 노이즈를 감소시키며, 걸림감과 회전 저항을 줄여 운전자의 조향감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 자동차의 조향장치에 사용되는 유성기어 감속기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조향장치의 유성기어 감속기를 포함하는 자동차 조향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조향장치의 유성기어 감속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일부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조향장치의 유성기어 감속기 중 일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조향장치의 유성기어 감속기 중 일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조향장치의 유성기어 감속기를 포함하는 자동차 조향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조향장치의 유성기어 감속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도 3의 일부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조향장치의 유성기어 감속기 중 일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조향장치의 유성기어 감속기 중 일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먼저 본 발명에 있어서 선기어(307a, 307b), 유성기어(309a, 309b), 링기어(311a, 311b) 등 모든 기어는 헬리컬 기어로 형성됨을 밝혀둔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향축(203)의 일측은 조향휠(201)과 연결되고, 타측은 유니버셜조인트(205)를 매개로 피니언축(250)과 연결된다.
또한, 조향축(203)은 토션바(미도시)를 매개로 피니언축(250)과 연결될 수도 있는데, 피니언축(250)에는 피니언기어(251)가 형성되어 있으며, 피니언기어(251)는 랙바(220)에 형성된 랙기어(221)와 치합된다.
랙바(220)의 양측에는 이너볼조인트를 매개로 타이로드(223)가 결합되며, 타이로드(223)는 바퀴(227)와 연결된 너클암(225)과 결합된다.
모터하우징(301)의 상부에는 토크센서(270)가 결합될 수 있는데, 토크센서(270)로부터 발생된 전기 신호는 전자제어장치(ECU, 211)로 보내지며, 전자제어장치(211)는 토크센서(270)로부터 전송된 전기 신호와 기타 여러 센서들로부터 전송된 전기 신호들을 기초로 모터(210)를 제어할 수 있다.
모터(210)는 모터하우징(301)과 모터축(303)을 포함하는데, 모터축(303)은 중공 형상으로 형성되어 모터축(303)의 내측으로 피니언축(250)이 삽입되며, 모터축(303)의 단부에는 제1선기어(307a)의 단부가 치물림 결합되어 모터축(303)이 감속기의 입력축이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성기어 감속기(230)는 모터축(303)에 결합되는 제1선기어(307a); 제1선기어(307a)에 외접 결합되는 수개의 제1유성기어(309a); 기어하우징(305)의 내주면에 결합되어 고정되며 제1유성기어(309a)가 내접 결합되는 제1링기어(311a); 제1유성기어(309a)의 회전축(317a)이 관통되어 결합되되, 제1유성기어(309a)의 회전축(317a) 상단에 결합되는 상단 캐리어(313a)와 제1유성기어(309a)의 회전축(317a) 하단에 결합되는 하단 캐리어(313b)가 수개의 연결부재(315)로 상하 연결 형성되는 제1캐리어(313); 제1캐리어(313)에 내접 결합되는 제2선기어(307b); 제2선기어(307b)에 외접 결합되는 수개의 제2유성기어(309b); 중심부에 피니언축(250)이 관통 결합되고, 제2유성기어(309b)의 회전축(317b)이 관통되어 결합되는 제2캐리어(319); 기어하우징(305)의 내주면에 결합되어 고정되며 제2유성기어(309b)가 내접 결합되는 제2링기어(311b)를 포함한다.
제1선기어(307a)는 외주측이 모터(210)의 중공 형상 모터축(303)에 결합되고 내주측은 피니언축(25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모터축(303)과 연동되어 회전하게 되어 있고, 제1유성기어(309a)는 제1선기어(307a)에 외접하며 기어하우징(305)의 내주면에 결합되어 고정된 제1링기어(311a)에 내접하게 된다.
제1유성기어(309a)는 중앙에 회전축(317a)이 관통되어 상단 캐리어(313a)와 하단 캐리어(313b)로 이루어지는 제1캐리어(313)에 회전 지지되면서 제1링기어(311a)에 내접하여 자전과 공전하게 되어 있고, 제1링기어(311a)는 기어하우징(305)의 내주면에 결합되어 고정되며 내주면에 형성된 기어치에 제1유성기어(309a)가 내접 결합된다.
상단 캐리어(313a)는 내주면의 상측 단부에 축방향으로 연장된 연장부(미부호)가 구비되어 있어서 연장부의 외주측에 베어링(323)이 결합되고, 베어링(323)의 외주측에는 베어링 지지부재(321)가 결합되어 기어하우징(305)에 지지된다.
베어링 지지부재(321)는 내주면이 베어링(323)의 회전을 지지하면서 외주면이 기어하우징(305)의 내주면에 압입 결합되어 있어서 제1캐리어(313)의 회전 운동시 진동과 소음을 줄일 수 있게 되어 있다.
제1유성기어(309a)와 회전축(317a)으로 결합되는 상단 캐리어(313a)와 하단 캐리어(313b)에는 각각 제1유성기어(309a)의 회전축(317a)이 관통되는 결합홀(316)이 형성되어 있고 중심부에는 출력축인 피니언축(250)이 결합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상단 캐리어(313a)와 하단 캐리어(313b)가 수개의 연결부재(315)로 상하 연결 형성되어 제1캐리어(313)의 강성을 보완하여 제1유성기어(309a)의 회전으로 인한 진동과 소음을 줄일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리고, 상단 캐리어(313a)와 하단 캐리어(313b)에는 연결부재(315)가 결합되는 결합홀(314)이 형성되어 있으며 연결부재(315)는 상하 양측단에 직경이 축소되며 축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미부호)가 형성되어 있고, 이 돌출부가 상단 캐리어(313a)와 하단 캐리어(313b)의 결합홀(314)에 압입 또는 용접되어 결합된다.
따라서, 상단 캐리어(313a)와 하단 캐리어(313b)의 두께가 얇게 형성되어도 제1유성기어(309a)와 제1캐리어(313)의 회전으로 인한 진동과 비틀림 응력을 견딜 수 있는 강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연결부재(315)는 제1유성기어(309a)와 원주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위치에 구비되며, 원주방향으로 인접된 제1유성기어(309a)와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되는 위치에 구비된다.
즉, 제1유성기어(309a)와 연결부재(315)가 원주방향으로 서로 교번으로 배치되면서 동일한 원주방향 간격으로 배치되게 결합됨으로써, 제1유성기어(309a)의 회전축(317a)이 결합되는 결합홀(316)의 사이에서 상하로 상단 캐리어(313a)와 하단 캐리어(313b)를 지지하는 구조로 결합되어 제1캐리어(313)의 회전으로 인한 진동과 비틀림 응력을 견딜 수 있는 강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캐리어(313)에는 하단 캐리어(313b)의 외주면에서 내주면을 관통하여 제1유성기어(309a)의 회전축(317a)을 경방향으로 지지하는 제1지지부재(330a)가 구비된다.
즉, 하단 캐리어(313b)의 외주면에서 내주면을 관통하는 관통홀(미부호)이 구비되고 관통홀의 내주면에는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관통홀에 결합되는 제1지지부재(330a)의 외주면에도 나사부를 형성하여 제1지지부재(330a)가 관통홀에 나사 결합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제1지지부재(330a)의 나사 체결량에 따라서 제1지지부재(330a)의 전단부가 제1유성기어(309a)의 회전축(317a)을 경방향으로 지지함으로써, 제1캐리어(313)의 회전으로 인한 진동과 소음을 줄이면서 동시에 제1유성기어(309a)와 제1선기어(307a)의 유격도 보상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여기서, 제1지지부재(330a)의 전단부는 제1유성기어(309a)의 회전에 저항을 주지않고 지지할 수 있도록 몸체에서 직경이 축소되어 형성되며 윤활유가 도포되어 조립된다.
제1유성기어(309a)는 제1선기어(307a)의 외주측에 복수개가 결합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도면들에서는 일례로 제1유성기어(309a)가 3개 구비된 예를 도시하였다.
한편, 제2선기어(307b)의 내주측은 피니언축(25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제1캐리어(313)와 연동되어 회전하게 되어 있고, 제2유성기어(309b)는 제2선기어(307b)에 외접하며 기어하우징(305)의 내주면에 결합되어 고정된 제2링기어(311b)에 내접하게 된다.
그리고, 제2유성기어(309b)의 회전축(317b)이 관통되어 결합되는 제2캐리어(319)는 중심부에 출력축인 피니언축(250)이 관통 결합되어 제2캐리어(319)의 회전이 피니언축(250)과 연동되게 되어 있다.
또한, 제2캐리어(319)에는 제2캐리어(319)의 외주면에서 내주면을 관통하여 제2유성기어(309b)의 회전축(317b)을 경방향으로 지지하는 제2지지부재(330b)가 구비된다.
즉, 제2캐리어(319)의 외주면에서 내주면을 관통하는 관통홀(미부호)이 구비되고 관통홀의 내주면에는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관통홀에 결합되는 제2지지부재(330b)의 외주면에도 나사부를 형성하여 제2지지부재(330b)가 관통홀에 나사 결합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제2지지부재(330b)의 나사 체결량에 따라서 제2지지부재(330b)의 전단부가 제2유성기어(309b)의 회전축(317b)을 경방향으로 지지함으로써, 제2캐리어(319)의 회전으로 인한 진동과 소음을 줄이고 제2유성기어(309b)와 제2선기어(307b)의 유격도 보상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여기서, 제2지지부재(330b)의 전단부는 제2유성기어(309b)의 회전에 저항을 주지않고 지지할 수 있도록 몸체에서 직경이 축소되어 형성되며 윤활유가 도포되어 조립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성기어 감속기의 작동 순서를 살펴보면 입력축인 모터축(303)의 회전시 제1선기어(307a)가 연동되어 회전하면 제1선기어(307a)에 외접한 제1유성기어(309a)가 자전과 공전하면서 회전축(317a)으로 결합된 제1캐리어(313)가 제2선기어(307b)를 구동하게 된다.
그리고, 제2선기어(307b)에 외접한 제2유성기어(309b)가 자전과 공전하면서 회전축(317b)으로 결합된 제2캐리어(319)가 피니언축(250)을 출력축으로 구동시키게 된다.
피니언축(250)의 하단부는 제2캐리어(319)의 하단에서 기어하우징(305)에 지지되는 베어링(325)에 의해 회전 지지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자동차 조향장치의 유성기어 감속기에 있어서 유성 기어와 선기어 및 링기어 사이에서 회전으로 인한 진동과 비틀림 응력을 견딜 수 있는 강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유성기어와 선기어의 회전시 유성기어의 회전축을 경방향으로 지지함으로써 회전으로 인한 진동과 소음을 줄이고 유성기어와 선기어의 유격도 보상할 수 있게 되어 진동과 래틀 노이즈를 감소시키며, 걸림감과 회전 저항을 줄여 운전자의 조향감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성하는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10: 모터 230: 유성기어 감속기
301: 모터하우징 303: 모터축
305: 기어하우징 307a: 제1선기어
307b: 제2선기어 309a: 제1유성기어
309b: 제2유성기어 311a: 제1링기어
311b: 제2링기어 313a: 상단 캐리어
313b: 하단 캐리어 315: 연결부재
319: 제2캐리어 321: 베어링 지지부재
323, 325: 베어링

Claims (10)

  1. 모터축에 결합되는 제1선기어;
    상기 제1선기어에 외접 결합되는 수개의 제1유성기어;
    기어하우징의 내주면에 결합되어 고정되며 상기 제1유성기어가 내접 결합되는 제1링기어;
    상기 제1유성기어의 회전축이 관통되어 결합되되, 상기 제1유성기어의 회전축 상단에 결합되는 상단 캐리어와 상기 제1유성기어의 회전축 하단에 결합되는 하단 캐리어가 수개의 연결부재로 상하 연결 형성되는 제1캐리어;
    상기 제1캐리어에 내접 결합되는 제2선기어;
    상기 제2선기어에 외접 결합되는 수개의 제2유성기어;
    중심부에 피니언축이 관통 결합되고, 상기 제2유성기어의 회전축이 관통되어 결합되는 제2캐리어;
    기어하우징의 내주면에 결합되어 고정되며 상기 제2유성기어가 내접 결합되는 제2링기어;
    를 포함하는 자동차 조향장치의 유성기어 감속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캐리어는 내주면의 상측 단부에 축방향으로 연장된 연장부가 구비되고, 상기 기어하우징에 지지되는 베어링 지지부재의 내주면과 상기 연장부 사이에 상기 제1캐리어의 회전을 지지하는 베어링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조향장치의 유성기어 감속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지지부재는 외주면이 상기 기어하우징의 내주면에 압입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조향장치의 유성기어 감속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캐리어와 하단 캐리어에는 상기 연결부재가 결합되는 결합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조향장치의 유성기어 감속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하 양측단에 돌출부가 형성되어 상기 결합홀에 압입 또는 용접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조향장치의 유성기어 감속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제1유성기어와 원주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조향장치의 유성기어 감속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원주방향으로 인접된 상기 제1유성기어와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조향장치의 유성기어 감속기.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캐리어에는 상기 하단 캐리어의 외주면에서 내주면을 관통하여 상기 제1유성기어의 회전축을 경방향으로 지지하는 제1지지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조향장치의 유성기어 감속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캐리어에는 상기 제2캐리어의 외주면에서 내주면을 관통하여 상기 제2유성기어의 회전축을 경방향으로 지지하는 제2지지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조향장치의 유성기어 감속기.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 캐리어와 제2캐리어 각각에는 외주면에서 내주면을 관통하는 관통홀에 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지지부재와 제2지지부재 각각에 나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관통홀에 각각 나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조향장치의 유성기어 감속기.
KR1020150015044A 2015-01-30 2015-01-30 자동차 조향장치의 유성기어 감속기 KR1022466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5044A KR102246698B1 (ko) 2015-01-30 2015-01-30 자동차 조향장치의 유성기어 감속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5044A KR102246698B1 (ko) 2015-01-30 2015-01-30 자동차 조향장치의 유성기어 감속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4019A true KR20160094019A (ko) 2016-08-09
KR102246698B1 KR102246698B1 (ko) 2021-04-30

Family

ID=56712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5044A KR102246698B1 (ko) 2015-01-30 2015-01-30 자동차 조향장치의 유성기어 감속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669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22020B2 (en) 2018-08-08 2020-11-0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steering
KR102291099B1 (ko) * 2020-03-20 2021-08-20 남양넥스모 주식회사 차량의 파워 스티어링 장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05651A (ko) * 2006-04-27 2007-10-31 주식회사 만도 유성 기어 장치를 감속기로서 구비하는 전동식 조향장치
KR20100094731A (ko) * 2009-02-19 2010-08-27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중공모터와 유성기어유닛을 이용한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
KR101361395B1 (ko) * 2012-08-08 2014-02-11 주식회사 만도 차량의 스티어링 시스템에 사용되는 작동장치
KR101393132B1 (ko) * 2012-10-26 2014-05-08 주식회사 만도 유성 기어 장치
KR20140061016A (ko) * 2012-11-13 2014-05-21 주식회사 만도 유성 기어 장치
KR101399792B1 (ko) * 2013-02-25 2014-05-27 주식회사 만도 유성 기어 장치
KR20140140851A (ko) * 2013-05-30 2014-12-10 주식회사 만도 유성기어가 구비된 감속기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조향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05651A (ko) * 2006-04-27 2007-10-31 주식회사 만도 유성 기어 장치를 감속기로서 구비하는 전동식 조향장치
KR20100094731A (ko) * 2009-02-19 2010-08-27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중공모터와 유성기어유닛을 이용한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
KR101361395B1 (ko) * 2012-08-08 2014-02-11 주식회사 만도 차량의 스티어링 시스템에 사용되는 작동장치
KR101393132B1 (ko) * 2012-10-26 2014-05-08 주식회사 만도 유성 기어 장치
KR20140061016A (ko) * 2012-11-13 2014-05-21 주식회사 만도 유성 기어 장치
KR101399792B1 (ko) * 2013-02-25 2014-05-27 주식회사 만도 유성 기어 장치
KR20140140851A (ko) * 2013-05-30 2014-12-10 주식회사 만도 유성기어가 구비된 감속기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조향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22020B2 (en) 2018-08-08 2020-11-0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steering
KR102291099B1 (ko) * 2020-03-20 2021-08-20 남양넥스모 주식회사 차량의 파워 스티어링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6698B1 (ko) 2021-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3265B1 (ko) 유성기어가 구비된 감속기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조향장치
US20040221668A1 (en)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CN109963770B (zh) 转向传动机构和转向系统
KR101204306B1 (ko) 전동 파워스티어링 장치
KR101405766B1 (ko)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감속기 및 이를 구비한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
WO2016203960A1 (ja) ステアリング装置
KR102246685B1 (ko) 자동차 조향장치의 유성기어 감속기
JP2001322554A (ja) 電動式舵取装置
KR20160094019A (ko) 자동차 조향장치의 유성기어 감속기
JP2008120291A (ja) 車両用操舵装置
US20060060414A1 (en) Electric power steering system
JP3782748B2 (ja) 車両のステアリング装置
EP1900969B1 (en) Reduction Gear Mechanism and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JP2017094760A (ja) 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ステアリング装置
KR101622510B1 (ko) 자동차 조향장치의 유성기어 감속기
JP3624308B2 (ja) 電動式舵取装置
EP1840414B1 (en) Gear device and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JP2013174517A (ja) 操舵角検出装置
KR20110060573A (ko) 감속기 및 이를 구비한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
JP2007216721A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KR20140061016A (ko) 유성 기어 장치
CN113811480B (zh) 车辆转向设备
KR20050055958A (ko) 칼럼형 동력조향장치용 감속기의 유격흡수구조
JP7197070B1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2004320842A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