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3458A - 승강기 자동설계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승강기 자동설계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3458A
KR20160093458A KR1020150014499A KR20150014499A KR20160093458A KR 20160093458 A KR20160093458 A KR 20160093458A KR 1020150014499 A KR1020150014499 A KR 1020150014499A KR 20150014499 A KR20150014499 A KR 20150014499A KR 20160093458 A KR20160093458 A KR 201600934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lection
elevator
input
hoistway
c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44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영준
김병익
Original Assignee
한국승강기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모두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승강기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모두솔루션 filed Critical 한국승강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144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93458A/ko
Publication of KR201600934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34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F17/5004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10Geometric CAD
    • G06F30/13Architectural design, e.g. computer-aided architectural design [CAAD] related to design of buildings, bridges, landscapes, production plants or roads
    • G06F17/5086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10Geometric CAD
    • G06F30/17Mechanical parametric or variational desig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metr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Elevator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승강기 자동 설계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설계자가 선택적으로 입력한 수치데이타로 승강기의 설계도를 자동으로 제작할 수 있는 승강기 자동설계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승강기 자동설계 시스템 및 방법{ELEVATOR AUTO DESIGN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은 승강기 자동 설계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설계자가 선택적으로 입력한 수치데이타로 승강기의 설계도를 자동으로 제작할 수 있는 승강기 자동설계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층의 빌딩내에서 사람들의 이동수단으로서 승강기가 사용된다. 이와 같은 승강기는 신축건물이나 기존의 건물 구조의 사양에 맞도록 2차원 또는 3차원의 설계 프로그램등을 사용하여 설계 작업을 한 후, 해당 구조물의 전체적인 입체적 형상과 구조물의 수정, 변경 문제 등을 용이하게 파악하도록 3차원 캐드 도면으로 전환하는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승강기 설계 시스템은 2차원의 캐드 프로그램과 3차원 관련 그래픽 설계 프로그램을 구동시켜 숙련된 엔지니어에 의하여 달성된다. 이중 3차원 관련 그래픽 설계 프로그램은 예를 들면, Intergraph사의 PDS(Plant Design System)와 SmartPlant 3D, 아비바(Aveva)사의 PDMS(Plant Design Management System)와 Tribon(선박설계용 3차원 프로그램), 벤틀리(Bentley)사의 AutoPlant와 PlantSpace 등이 있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2차원 및 3차원 설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승강기를 설계하고 있으나, 설계과정에서 서로 다른 건물의 구조에 맞도록 승강기의 설계 사양을 변경해야됨에 따라 고도로 숙련된 엔지니어가 필요하였다.
즉, 종래의 승강기 설계 시스템은 고가의 프로그램을 구매해야되며, 상기 설계 프로그램에 숙달하기까지 장기간이 소요됨에 따라 훈련기간이 길어져서 인력수급이 원할 하지 않아 전체적으로 설계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등록 제100147호(2010.12.10) 특허등록 제1043885호(2011.06.16) 특허등록 제1092986호(2011.12.06)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승강기의 설계기간 및 엔지니어의 숙련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승강기 자동설계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시예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 자동설계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승강로, 제어반, 레일, 카, 골조 및 출입구중 선택된 하나 이상의 형상 및 모델명과, 너비, 깊이, 높이 및 속도중 하나 이상의 수치를 선택 입력하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에서 선택된 승강기 부품과 형상, 모델이 포함된 기본 도면을 저장하는 데이타베이스; 상기 기본도면을 상기 입력부에서 선택된 수치로서 작도하는 설계 프로그램부; 상기 입력부에서 인가되는 승강기의 부품과 형상 및 모델의 선택명령에 일치되는 기본도면을 상기 데이타베이스에서 검색하고, 상기 설계 프로그램부를 제어하여 상기 입력부에서 입력되는 승강기의 부품과 형상 및 모델의 수치데이타로서 상기 기본 도면에 포함된 구성을 작도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설계 프로그램부에 의하여 완성된 도면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설계 프로그램부는 상기 제어부의 선택적 제어에 의하여 2D 또는 3D 도면을 작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로부터 승강로의 모델이나 형상, 수치가 포함된 선택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데이타베이스에 저장된 기본도면을 검색하기 위한 선택명령과, 상기 설계 프로그램부에서 도면을 작도하기 위한 수치데이타로 변환 및 출력하는 승강로 선택모듈; 상기 입력부로부터 카(CAR)의 형상 및 모델과 수치가 포함된 선택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데이타베이스의 기본 도면을 검색하기 위한 선택명령과, 상기 설계 프로그램부에서 도면을 작도하기 위한 수치데이타로 변환 및 출력하는 카 선택모듈; 상기 입력부로부터 제어반의 위치나 모델명이 포함된 선택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데이타베이스에 저장된 기본도면을 검색하기 위한 선택명령으로 변환 및 출력하는 제어반 선택모듈; 상기 입력부로부터 출입구의 형상이나 모델명, 수치가 포함된 선택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데이타베이스에 저장된 기본도면을 검색하기 위한 선택명령과, 상기 설계프로그램부에서 도면을 작도하기 위한 수치데이타로 변환 및 출력하는 출입구 선택모듈; 상기 입력부로부터 골조의 모델명이나 형상, 수치가 포함된 선택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데이타베이스의 기본도면을 검색하기 위한 선택명령과, 상기 설계 프로그램부에서 도면을 작도하기 위한 수치데이타로 변환 및 출력하는 골조 선택모듈; 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선택된 도면 선택명령을 출력하는 도면 선택모듈; 및 상기 승강로 선택모듈 내지 도면 선택모듈에서 각각 출력되는 선택명령에 일치되는 기본도면을 상기 데이타베이스에서 검색하고, 상기 승강로 선택모듈 내지 골조 선택모듈에서 각각 출력된 수치데이타로 상기 기본 도면을 재작도하도록 상기 설계 프로그램부를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승강기 자동설계 시스템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에러 발생을 경보하는 경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 자동설계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승강로, 제어반, 출입구, 카 및 골조중 하나 이상이 포함된 기본 도면을 데이타 베이스에 저장하고, 신규 제작하고자 하는 도면 파일의 정보를 입력하는 파일정보 입력단계; 상기 파일정보 입력 단계 이후에 상기 승강로, 제어반, 출입구, 카 및 골조중 선택된 형상이나 모델명이 포함된 선택명령과, 상기 선택명령에 포함된 구성의 수치를 포함하는 수치데이타를 출력하는 승강기 데이타 출력 단계; 상기 승강기 데이타 출력단계에서 출력된 선택명령에 일치되는 구성을 포함하는 기본도면을 검색하고, 설계 프로그램을 구동시켜 상기 수치데이타에 따른 수치로서 상기 기본도면을 재작도하여 상기 승강기의 설계 도면을 제작하는 도면제작단계; 및 제작된 도면을 저장하는 저장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승강기 데이타 출력단계는 승강기의 시공 및 조립을 위한 각 구성의 형상과 모델명과 수치를 선택적으로 입력할 수 있도록 승강로, 카, 제어반, 출입구 및 골조중 하나 이상의 형상이나 모델명과 각각의 구성의 수치를 선택적으로 입력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항목을 포함하는 메뉴를 통하여 입력되는 선택신호를 수신하는 입력정보 수신단계; 상기 입력정보 수신단계에서 선택된 항목에 입력된 정보에 따라 다른 항목에서 미리 설정된 정보가 출력되도록 연결정보가 설정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연결정보 판단단계; 상기 연결정보 판단단계에서 선택 항목에 연결정보가 설정되었다면, 연결된 정보를 검색하여 연결설정된 다른 항목에 출력하는 연결정보 검색 및 출력단계; 상기 연결정보 검색 및 출력단계 이후에 완료명령이 인가되는 지를 판단하는 완료명령 판단단계; 상기 완료명령 판단단계에서 완료명령이 인가되면, 입력정보의 에러유무를 판단하는 에러판단단계; 상기 에러판단단계에서 에러가 발생 되지 않으면 입력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단계; 상기 에러판단단계에서 에러가 발생되면 시각적 및/또는 청각적 경보를 발령하고 메세지를 출력하는 경보 및 메세지 출력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메뉴는 승강기의 용량과 속도, 승강로의 너비와 깊이, 카의 너비와 깊이 및 최대 탑승인원수, 제어반의 모델과 위치, 정지층수를 선택할 수 있는 기본정보 선택메뉴; 출입구와 호출버튼, 후크 및 피트사다리중 하나 이상의 형상과 제조사별 모델, 너비와 높이의 수치를 선택할 수 있는 출입구 선택메뉴; 골조, 방화도어 및 홀랜턴중 하나 이상의 종류와 높이, 전체층수 및 층별 높이중 하나 이상을 선택할 수 있는 골조 선택메뉴; 및 승강로, 제어반, 카, 골조 및 출입구중 하나 이상이 포함된 시방서, 평면도 및 입체도중 하나 이상의 도면을 선택할 수 있는 도면선택메뉴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결정보 검색 및 출력단계는 최대 탑승인원의 선택신호가 인가되면, 최대 탑승인원으로 입력된 인원수에 따라 연결 설정된 용량과 카의 너비와 깊이를 자동 연산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도면제작단계는 시방서, 승강로 평면도, 출입구 의장도, 피트 평면도, 승강로 골조도중 선택된 도면종류에 따라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승강기의 설계프로그램과 연동되어 간단한 파라미터의 입력만으로 승강기의 설계가 가능함에 따라 설계가 매우 쉽고, 기간이 단축되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 자동설계 시스템의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 자동설계 시스템에서 제어부를 도시한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 자동설계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 자동설계 방법에서 승강기 데이타 출력단계를 도시한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 자동설계 방법에서 파일정보 입력단계의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 자동설계 방법에서 기본정보 선택메뉴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 자동설계 방법에서 출입구 선택메뉴를 도시한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 자동설계 방법에서 골조 선택메뉴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 자동설계 방법에서 도면 선택메뉴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 자동설계 시스템 및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 자동설계 시스템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 자동설계 시스템은 다 수개의 키로부터 출력된 설계자의 입력신호를 출력하는 입력부(100)와, 디스플레이(200)와, 상기 입력부(100)로부터 출력된 입력신호에서 에러를 경보하는 경보부(300)와, 상기 입력부(100)에서 입력된 입력신호에 따라서 승강기의 도면을 생성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400)와, 상기 제어부(400)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승강기의 도면을 제작하는 설계 프로그램부(500)와, 승강기의 기본 도면이 저장되는 데이타베이스(600)를 포함한다.
상기 입력부(100)는 다수의 키로 이루어지고, 선택된 키로부터 출력되는 전기적 신호의 조합에 따라 설정된 각각의 명령어를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입력부(100)는 상기 제어부(400)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200)를 통하여 출력되는 각각의 메뉴를 통하여 승강기의 설계에 필요한 각 구성의 형상이나 모델, 그리고 생성도면의 선택명령을 인가하고, 각 구성의 수치가 포함된 선택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디스플레이(200)는 상기 제어부(400)의 제어에 의하여 승강기 설계를 위한 메뉴창(700, 도 5 내지 도 9 참조)과, 상기 설계 프로그램부(500)에 의하여 생성된 도면을 출력한다.
상기 경보부(300)는 상기 입력부(100)에서 입력된 승강기의 설계 항목중에서 잘못 기재된 항목이 있을 경우에 상기 제어부(400)의 제어에 의하여 시각적 및/또는 청각적 신호로서 경보를 발령한다.
상기 데이타베이스(600)는 승강기 설계시에 사용되는 기본 도면을 저장한다. 여기서 상기 기본도면은 승강기 설계시에 적용되는 구성(예를 들면, 승강로, 골조, 출입구, 카, 제어반, 레일, 레일 균형추, 방화문, 홀랜턴, 호출버튼, 후크, 피트사다리)에 대한 설계 도면으로서 각 구성의 형상이나 제조사별 모델이 적용되고, 설정된 축척에 따라서 기본 수치(너비와 깊이, 용량, 속도, 층별 높이, 층수, 기준층, 방화문)로서 작도된 도면이다.
상기 설계 프로그램부(500)는 상기 제어부(400)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입력부(100)에서 입력된 승강기 각 구성의 너비와 깊이, 높이, 층수, 용량, 속도와 같은 수치데이타에 따라서 도면을 제작한다. 여기서 상기 설계 프로그램부(500)는 상기 제어부(400)의 제어에 의하여 2D 또는 3D로서 도면을 생성한다.
예를 들면, 상기 설계 프로그램부(500)는 상기 제어부(400)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데이타베이스(600)에서 독출된 승강로 평면도에서 상기 승강로의 너비와 카의 너비를 상기 입력부(100)에서 입력된 승강로의 너비와 카의 너비를 설정하는 수치데이타로 재작도한다. 여기서 상기 데이타베이스(600)에 저장된 기본도면은 설정된 기본수치로서 작도되어 저장된다. 따라서 상기 설계 프로그램부(500)는 상기 제어부(400)에서 인가되는 수치데이타로서 상기 기본도면을 재작도한다.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입력부(100)로부터 입력된 승강기 및 그 부품의 형상이나 모델 및 설치 위치, 도면의 종류를 포함하는 선택명령을 수신하여 상기 데이타베이스(600)에서 일치되는 기본 도면을 독출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기본 도면을 상기 입력부(100)로 부터 입력된 수치데이타로서 상기 기본도면을 재작도하도록 상기 설계 프로그램부(500)를 제어한다. 이와 같은 제어부(400)의 상세구성은 하기의 도 2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 자동설계 시스템의 제어부를 도시한 상세 블럭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400)는 파일의 생성 및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타 기록모듈(410)과, 상기 데이타베이스(600)를 검색하는 데이타 검색모듈(420)과, 승강로의 모델이나 형상의 선택명령과 수치데이타를 출력하는 승강로 선택모듈(430)과, 카의 형상이나 모델의 선택명령과 수치데이타를 출력하는 카 선택모듈과, 제어반의 위치나 모델명이 선택된 선택명령을 출력하는 제어반 선택모듈(450)과, 출입구의 형상이나 모델을 선택한 선택명령과 수치데이타를 출력하는 출입구 선택모듈(470)과, 골조의 모델이나 형상의 선택명령과 수치데이타를 출력하는 골조 선택모듈(480)과, 선택된 도면의 종류가 포함된 도면 선택명령을 출력하는 도면 선택모듈(490)과, 상기 승강로 선택모듈 내지 도면 선택모듈(430~450, 470~490)에서 각각 출력되는 선택명령에 일치되는 기본도면을 상기 승강로 선택모듈 내지 골조 선택모듈(430, 440, 450, 470, 480)에서 각각 출력된 수치데이타로 재작도하도록 상기 설계 프로그램부(500)를 제어하는 제어모듈(460)을 포함한다.
상기 데이타 기록모듈(410)은 파일을 생성 및 저장한다. 상기 데이타 기록모듈(410)에 의해 파일을 생성하고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메뉴는 도 5에 그 일예가 소개되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 자동설계 시스템의 시작메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시작메뉴(710)는 파일의 정보와 경로를 지정할 수 있는 메뉴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시작메뉴(710)는 상기 데이타기록모듈(410)에 완료명령을 인가할 수 있도록 완료메뉴(711)를 포함한다.
상기 데이타 기록모듈(410)은 시작메뉴(510)을 통하여 입력된 작성자, 검토자, 승인자 및 도면번호, 공사명이 입력된 이후에 완료메뉴가 선택되어 완료명령이 인가되면, 상기 정보를 포함하는 파일을 설계자가 지정한 경로에 생성한다.
상기 데이타 검색모듈(420)은 상기 승강기 선택모듈 내지 도면 선택모듈(430~450, 470~490)에서 출력되는 선택명령에 일치되는 기본도면을 상기 데이타베이스(600)에서 검색하여 상기 설계 프로그램부(500)에 인가한다. 예를 들면, 상기 데이타 검색모듈(420)은 상기 출입구 선택모듈(470)에서 인가되는 선택명령에 포함된 출입구 폭과 높이, 후크, 피트 사다리의 유형이나 형상을 포함하는 기본 도면을 검색한다.
상기 승강로 선택모듈(430)은 상기 입력부(100)에서 승강로의 형상이나 연결구성에 대한 선택명령과, 너비와 깊이를 포함하는 수치가 선택된 선택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모듈(460)에 수치데이타로서 변환하여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수치데이타는 상기 제어모듈(460)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설계 프로그램부(500)가 구동되어 상기 데이타베이스(600)에서 검색된 기본 도면의 수치(예를 들면, 승강로의 너비와 깊이)로 적용된다.
즉, 상기 승강로 선택모듈(430)은 상기 설계 프로그램부(500)에 의하여 재작도되는 기본도면에서 승강로에 관련된 수치데이타를 출력한다.
상기 카 선택모듈(440)은 상기 입력부(100)로부터 입력된 카의 너비와 깊이, 최대 탑승인원, 레일, 레일 균형추와 같은 선택명령 및 수치가 선택된 선택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모듈(460)에 수치데이타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상기 카 선택모듈(440)의 수치데이타는 최대 탑승인원별로 연결설정되는 카의 너비과 깊이를 포함하여 상기 설계 프로그램부가 도면을 생성할 때 적용되는 카의 너비와 깊이 수치를 출력한다.
상기 출입구 선택모듈(470)은 상기 입력부(100)에서 인가되는 출입구관련 모델이나 형상, 장착부품(예를 들면, 호출버튼)의 선택명령과 출입의 너비와 높이를 포함하는 수치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출입구 선택모듈(470)은 상기 수치신호를 상기 설계 프로그램부(500)에서 적용되는 수치데이타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아울러 상기 출입구 선택모듈(470)의 선택명령은 상기 제어모듈(460)에서 상기 데이타베이스(600)에 저장된 기본 도면에서 유사한 형상이 모델이 포함된 기본 도면을 검색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아울러 상기 출입구 선택모듈(470)은, 도 7에 도시된 출입구 선택메뉴(730)를 통하여 선택된 기준층과 기타 층의 출입구, 호출버튼 및 후크와 피트사다리의 선택신호를 선택명령과 수치데이타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상기 골조 선택모듈(480)은 상기 입력부(100)로부터 입력되는 지하층수, 운행층수, 층별높이, 머신빔과, 히치빔과 높이, 방화도어, 홀랜턴, 총 높이의 선택명령 및 수치데이타를 수신한다. 이중 상기 골조 선택모듈(480)은 너비와 깊이 및 높이를 포함하는 수치신호를 상기 설계 프로그램부(500)에 적용되는 수치데이타로 변환하고, 구성의 형상이나 제조사별 모델을 포함하는 선택명령을 상기 제어모듈(460)에 출력한다. 아울러 상기 골조 선택모듈(480)은 도 8에 도시된 골조 선택메뉴(740)로부터 선택된 선택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도면 선택모듈(490)은 생성가능한 도면의 종류가 포함된 메뉴에서 선택된 도면선택신호를 상기 제어모듈(460)에 출력한다. 상기 도면 선택메뉴(75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방서, 승강로 평면도, 골조 평면도와 같이 설계에 필요한 도면을 선택할 수 있다. 아울러 이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중 일부를 표시한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더욱 바람직하게로 상기 도면 선택모듈(490)은 도 9에 표시된 평면도와 같은 2D용 도면뿐만 아니라 3D용 설계도면의 선택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모듈(460)은 상기 도면 선택모듈(490)에서 선택된 도면과 동일한 도면에서 상기 승강로 선택모듈 내지 골조 선택모듈(430, 440, 450, 470, 480)에서 선택된 형상이나 모델별 선택명령에 해당되는 유사 구성을 포함하는 도면을 검색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모듈은 검색된 기본도면을 상기 설계 프로그램부(500)에 인가하고, 상기 설계 프로그램부(500)를 구동시켜 상기 승강로 선택모듈(430) 내지 골조 선택모듈(480)에서 입력되는 수치데이타로서 상기 기본도면을 작도하여 도면을 제작하도록 제어한다.
즉, 상기 제어모듈(460)은, 예를 들면, 기본도면에서 카의 너비와 깊이가 표현된 승강로 평면도를 상기 설계 프로그램부(500)에 의하여 출력하고, 해당 카의 너비와 깊이의 수치를 상기 카 선택모듈(440)에서 인가되는 카의 너비와 깊이의 수치데이타로서 작도하도록 제어한다.
즉, 본 발명은 승강기 설계에 필요한 기본 도면을 데이타베이스(600)에 저장하여 선택된 형상과 모델 및 도면종류에 따라 일치된 도면을 독출하고, 해당 도면에 표현된 구성의 수치를 설계자가 입력한 수치로서 작도하도록 설계 프로그램을 제어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설계자가 데이타베이스(600)에 저장된 기본 도면에서 설계 대상이 되는 승강기의 제원에 따라 수치데이타와 타입 및 형상, 그리고 위치만을 선택 및 입력하면 자동으로 원하는 도면을 완성할 수 있어 설계 과정이 매우 용이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며,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달성되는 승강기 자동설계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 자동설계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 자동설계 방법은 제작하고자 하는 도면의 고유 파일 번호를 입력하는 파일정보 입력단계(S100)와, 상기 승강기의 수치데이타와 형상 및 모델의 선택명령을 출력하는 승강기 데이타 출력 단계(S200)와, 상기 승강기 데이타 출력단계(S200)에서 입력된 수치데이타 및 선택명령에 따른 도면을 생성하는 도면생성단계(S300)와, 생성된 도면을 저장하는 저장단계(S400)를 포함한다.
상기 파일정보 입력단계(S100)는 상기 입력부(100)로부터 파일 생성 명령에 의하여 신규 파일을 생성하고 파일명을 설정하는 단계이다. 상기 파일정보 입력단계(S100)는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입력부(100)로 부터 신규 파일 생성명령이 인가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메뉴창(700)에서 시작메뉴(710)를 상기 디스플레이(200)를 통하여 출력한다. 이때 입력설정되는 파일정보는 작성자, 검토자, 승인자 및 도면번호의 입력 및 설정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설계자는 상기 입력부(100)를 조작하여 도 5에 도시된 메뉴창(700)의 시작메뉴(710)에 각각의 사항을 입력하고, 도면번호를 설정하여 완료 메뉴(711)를 선택한다. 따라서 상기 입력부(100)는 완료명령을 상기 제어부(400)에 인가하고,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입력부(100)의 완료 명령의 수신과 함께 상기 입력부(100)에서 입력된 도면번호(또는 파일명)로서 상기 데이타베이스(600)에 해당 파일을 생성 및 저장한다.
아울러 상기 파일정보 입력단계(S100)는 상기 데이타베이스(600)에 기본도면을 저장한다. 상기 데이타베이스(600)의 기본도면은 승강로, 제어반, 레일, 출입구, 카, 골조가 포함된 시방서, 평면도 및 입체도를 포함한다.
상기 승강기 데이타 출력단계(S200)는 상기 입력부(100)를 통하여 승강로, 제어반, 카, 골조, 출입구의 형상이나 모델, 위치의 선택명령과 수치(너비, 깊이, 용량, 높이, 속도)의 선택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설계 프로그램부(500)에 일치되는 데이타로 변환시켜 출력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400)는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기본정보 선택메뉴(720)와 출입구 선택메뉴(730)와 골조 선택메뉴(740)를 입력부(100)의 선택명령에 따라서 순차적으로 출력하고, 각각의 메뉴에 따라서 입력된 수치(카 너비와 깊이, 승강로의 너비와 깊이, 속도, 카의 최대 탑승 인원 및 용량, 속도, 골조의 높이, 건물의 전체 층수, 각층별 높이)와 형상(예를 들면, 출입구와 골조의 형상, 방화도어 유무, 호출버튼의 유형이나 모델명)이나 위치(예를 들면, 제어반의 유형 및 위치, 정지 층수)의 선택명령을 수신한다.
상기 기본정보 선택메뉴 내지 골조 선택메뉴(720~740_)는 각각 완료명령을 선택할 수 있는 완료메뉴(721~741)가 선택되면, 다음 메뉴로 이동되도록 설정된다.
이와 같은 승강기 데이타 출력단계(S200)는 도 4의 순서도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 자동설계 방법에서 승강기 데이타 출력단계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승강기 데이타 출력단계(S200)는 승강기의 시공 및 조립을 위한 각 구성의 형상과 모델명과 수치가 포함된 설계자의 선택신호를 수신하는 입력정보 수신단계(S210)와, 상기 입력정보 수신단계(S210)에서 수신된 입력정보와 연결된 정보가 있는 지를 판단하는 연결정보 판단단계(S220)와, 상기 연결정보 판단단계(S220)에서 연결 설정된 항목이라 판단되면, 연결정보를 검색하여 출력하는 연결정보 검색 및 출력단계(S230)와, 상기 연결정보 검색 및 출력단계(S230) 이후에 완료명령이 인가되는 지를 판단하는 완료명령 판단단계(S240)와, 상기 완료명령 판단단계(S240)에서 완료명령이 인가되면, 입력정보의 에러유무를 판단하는 에러판단단계(S250)와, 상기 에러판단단계(S250)에서 에러가 발생되지 않으면 입력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단계(S260)와, 상기 에러판단단계(S250)에서 에러가 발생되면 시각적 및/또는 청각적 경보를 발령하고 메세지를 출력하는 경보 및 메세지 출력단계(S270)를 포함한다.
상기 입력정보 수신단계(S210)는 승강기의 시공을 위한 구성 및 부품의 형상이나 모델명의 선택명령과 각 구성의 수치가 포함된 선택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디스플레이(200)를 통하여 승강기의 용량과 속도, 승강로의 너비와 깊이, 카의 너비와 깊이 및 최대 탑승인원수, 제어반의 타입과 위치, 정지층수를 선택할 수 있는 기본정보 선택메뉴(720)와, 출입구의 형상과 높이와 같은 출입구 데이타를 선택할 수 있는 출입구 선택메뉴(730)와, 골조의 종류와 높이와 같은 골조의 수치를 선택할 수 있는 골조 선택메뉴(740)와, 상기 기본정보 선택메뉴 내지 골조 선택메뉴(720~740)에서 입력된 데이타에 의해 작도되는 도면을 선택하는 도면선택메뉴(750)를 상기 디스플레이(200)에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기본정보 선택메뉴(720)에 포함된 항목은 상기 카 선택모듈(440) 내지 출입구 선택모듈(440~450, 470)에 연동되고, 상기 출입구 선택메뉴(730)는 출입구 선택모듈(470)과, 골조 선택메뉴(740)는 골조선택모듈(480), 도면 선택메뉴(750)는 도면 선택모듈(490)에 각각 연동된다.
먼저 기본정보 선택메뉴(720)는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 자동설계 방법에서 기본선택메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기본정보 선택메뉴(720)는 승강기의 최대 탑승인원을 선택하는 인승과 용량 및 속도, 승강로의 너비와 깊이, 카의 너비와 깊이, 출입구의 폭과 깊이, 레일의 규격과 레일 균형추의 규격과 정지층수, 제어반의 설치 유형(정상에 설치되는 정상부타입 또는 맨 하측에 설치되는 하측타입)과 설치 위치(좌 또는 우)를 선택할 수 있는 항목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카 선택모듈(440 상기 기본정보 선택메뉴(720)에 입력되는 카의 너비와 깊이, 레일 및 레일균형추의 규격과, 최대 탑승인원과 용량 선택신호를 수신하여 기본 도면의 선택에 필요한 선택명령과 도면에 포함된 구성을 작도하기 위한 수치데이타를 생성한다. 상기 카 선택모듈(440)의 선택명령과 수치데이타는 상기 제어모듈(460)에 인가된다.
상기 승강로 선택모듈(430)은 상기 승강로의 너비와 깊이, 정지층수와 같은 선택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데이타베이스(600)의 기본 도면의 선택에 필요한 선택명령과, 도면의 작도시에 필요한 수치데이타를 생성한다. 상기 승강로 선택모듈(430)의 선택명령과 수치데이타는 상기 제어모듈(460)에 인가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어반 선택모듈(450)은 상기 기본정보 선택메뉴(720)를 통하여 입력된 제어반의 모델이나 설치 위치에 대한 선택명령을 수신하여 상기 제어모듈(460)에 인가한다. 상기 제어모듈(460)은 상기 제어반 선택모듈(450)에 의해 출력된 선택명령에 일치되는 제어반의 모델이나 위치가 포함된 기본 도면을 상기 데이타베이스(600)에서 검색한다.
상기 출입구 선택메뉴(730)는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 자동설계 방법에서 출입구 선택메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출입구 선택메뉴(730)는 기준층에서의 출입구 타입(형상이나 색상)과 호출버튼의 타입(예를 들면, 노출형)과 모델을 선택할 수 있고, 기준층을 제외한 나머지 층의 출입구와 호출버튼의 타입과 모델명을 선택할 수 있고, 후크 및 피트 사다리를 선택할 수 있는 항목을 포함한다.
따라서 설계자가 상기 입력부(100)를 통하여 출입구 선택메뉴(730)의 완료메뉴(731)를 선택하면, 상기 출입구 선택메뉴(730)를 통하여 입력된 선택신호가 상기 출입구 선택모듈(470)로 인가된다. 그러므로 상기 출입구 선택모듈(470)은 상기 데이타베이스(600)에 저장된 기본 도면을 검색할 수 있는 선택명령과, 도면에 포함된 출입구 관련 구성을 작도하기 위한 수치데이타를 상기 제어모듈(460)에 출력된다.
상기 골조 선택메뉴(740)는 도 8을 참조하여 그 일예를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 자동설계 방법에서 골조 선택메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골조 선택메뉴(740)는 방화도어 및 홀랜턴, 전체 층수, 층별 높이, 골조의 종류(예를 들면, 머신빔이나 히치빔)의 높이와 형상이나 모델을 선택할 수 있도록 각각의 항목을 구성한다.
설계자는 상기 입력부(100)를 조작하여 상기 골조 선택메뉴(740)의 완료메뉴(741)를 선택하면, 상기 입력부(100)는 상기 디스플레이(200)를 통하여 출력된 골조 선택메뉴(740)를 통하여 입력된 선택신호를 상기 골조 선택모듈(480)로 출력한다.
그러므로 상기 골조 선택모듈(480)은 상기 선택신호에 포함되는 층별 높이, 전체 높이, 빔의 종류와 높이, 홀랜턴 및 방화도어의 형상이나 모델명의 선택명령과 수치를 포함하는 수치데이타를 상기 제어모듈(460)에 인가한다.
상기 제어모듈(460)은 후술되는 도면생성단계(S300)에서 골조 선택모듈(480)로부터 인가되는 수치데이타로서 선택명령에 일치되는 기본 도면에서 골조를 작도하도록 상기 설계 프로그램부(500)를 제어한다.
상기 연결정보 판단단계(S220)는 상기 입력정보 수신단계(S210)에서 입력된 항목과 연결된 정보가 설정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이다. 상기 제어모듈(460)은 상기 입력부(100)로부터 선택신호가 수신되면, 해당 선택신호가 입력되는 메뉴항목과 연결된 정보가 설정되었는지를 판단한다.
예를 들면, 사람이 탑승하는 카의 크기(예를 들면, 너비와 깊이)는 최대 탑승인원과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다. 즉, 카의 크기는 최대 탑승인원에 따라서 커지거나 작아질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최대 탑승 인원별로 미리 카의 크기정보를 연결시킨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각각의 선택신호에 포함된 항목과 연동가능한 항목과 상호 연결되도록 설정하고, 설정된 어느 하나의 항목이 선택되면 해당 항목과 연결되되는 항목의 정보를 자동으로 연산 및 출력한다.
상기 연결정보 검색 및 출력단계(S230)는 상기 제어모듈(460)이 상기 연결정보 판단단계(S220)에서 입력된 선택신호에 포함된 메뉴의 항목에 연결정보가 존재하면, 상기 데이타베이스(600)를 검색하여 연결정보를 독출하여 상기 디스플레이(200)를 통하여 출력하는 단계이다. 상기 제어모듈(460)은, 예를 들면, 상기 카 선택모듈로부터 최대 탑승인원의 선택신호가 인가되면, 탑승인원에 따라 연결된 항목의 존재여부를 판단하고, 연결정보가 설정되었다면 해당 항목(예를 들면, 최대 탑승인원)에 연결되는 정보(예를 들면, 용량, 카의 너비와 깊이)를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완료판단단계(S240)는 상기 제어모듈(460)이 상기 입력부(100)로부터 완료명령이 인가되는 지를 판단한다. 상기 제어모듈(460)은 상기 기본정보 선택메뉴(720) 내지 골조 선택메뉴(740)의 하단에 표시된 완료메뉴(721, 731, 741, 751)가 선택되어 완료명령이 인가되면, 상기 메뉴창(700)에 입력된 선택신호를 저장한다.
상기 에러판단단계(S250)는 상기 완료판단단계(S240) 이후에 상기 제어모듈(460)에 완료명령이 수신되면, 각각의 메뉴(720~740)를 통하여 입력된 선택신호의 에러유무를 판단하는 단계이다. 상기 제어모듈(460)은 각각의 메뉴(720~740)를 통하여 입력된 수치데이타 및 유형이나 모델의 선택신호가 상호 조합될 수 없는 구조의 유형이나 모델이 선택되었거나, 또는 잘못된 수치(예를 들면, 승강로의 너비보다 카의 너비가 더 크거나, 각 층별 높이의 합이 전체 층의 높이보다 클 경우)가 입력되었는 지를 판단한다.
상기 저장단계(S260)는 상기 에러판단단계(S250)에서 에러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파일정보 입력 단계(S100)에서 입력된 파일명(예를들면, 도면번호)로서 저장하는 단계이다.
상기 경보 및 메세지 출력단계(S270)는 상기 제어모듈(460)에서 상기 에러판단단계(S250) 이후에 에러가 발생 된 것으로 판단되면 시각적 및/또는 청각적 경보를 발령하고 상기 디스플레이(200)를 제어하여 에러 메세지를 출력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바람직하게로는 상기 제어모듈(460)은 에러가 발생된 항목과 이유가 포함된 메세지를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면 생성단계(S300)는 상기 승강기 데이타 출력단계(S200)에서 선택된 승강로, 제어반, 카, 골조의 유형(형상)에 일치되는 기본 도면을 검색하고, 상기 승강기 데이타 출력단계(S200)에서 출력된 수치데이타로 기본 도면의 구성을 설정된 축척으로 2D 또는 3D도면으로 제작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상기 도면 선택모듈(490)은 도면 선택메뉴(750)를 통하여 입력된 선택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모듈(460)에 인가한다. 상기 도면 선택메뉴(750)는 도 9에 일예가 도시되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 자동설계 방법에서 도면 선택메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도면 선택메뉴(750)는 승강기의 시공 및 설계를 위한 설계도면중에서 설계자가 생성하고자 하는 도면을 선택할 수 있다. 즉, 상기 도면 선택메뉴(75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방서, 승강로 평면도, 출입구 의장도, 피트 평면도, 승강로 골조도와 같이 생성하고자 하는 도면을 선택할 수 있는 메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도면선택메뉴(750)는 완료 메뉴(751)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도면 선택모듈(490)은 설계자가 상기 입력부(100)를 상기 도면선택메뉴에 포함된 각 항목중 하나 이상을 선택하고 완료메뉴를 클릭하면, 상기 제어모듈(460)에 도면 선택신호를 인가한다.
따라서 상기 제어모듈(460)은 상기 승강로 선택모듈 내지 골조 선택모듈(430, 440, 450, 470, 480)로부터 인가되는 형상이나 위치의 선택 명령과 상기 도면 선택모듈(490)의 선택명령에 일치되는 기본 도면을 상기 데이타베이스(600)에서 검색하여 독출하고, 상기 설계 프로그램부(500)를 구동시켜 검색된 도면을 디스플레이(200)에 출력한다.
아울러 상기 제어모듈(460)은 상기 디스플레이(200)에 출력된 도면의 구성을 상기 승강로 선택모듈(430) 내지 골조 선택모듈(480)로부터 인가되는 수치데이타(예를 들면, 카의 너비와 깊이, 빔의 높이, 층고, 전체 층수 및 높이)로서 작도하도록 상기 설계 프로그램부(500)를 구동시킨다.
예를 들면, 상기 도면선택모듈(490)은 상기 도면 선택메뉴(750)에서 승강로 평면도가 선택되고 완료메뉴(751)가 선택되면, 상기 제어모듈(460)에 도면선택신호를 인가한다. 따라서 상기 제어모듈(460)은 승강로 평면도에 기재되는 카의 너비와 승강로의 너비와 그 형상이 표현된 기본 도면을 상기 데이타베이스(600)에서 검색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모듈(460)은 상기 설계 프로그램부(500)를 구동시켜 검색된 도면에 표현되는 카의 너비와 승강로의 너비 및 그 형상을 설정된 축척 비율에 따라 상기 승강로 선택모듈(430)과 카 선택모듈(440)에서 인가되는 수치데이타로 작도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승강기 설계에서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구성(예를 들면, 승강로, 출입구, 카, 제어반, 레일, 골조)이 포함된 기본 도면을 저장하여 설계자가 간단하게 수치와 유형이나 모델명을 선택하는 과정만으로 목표로 하는 설계 도면을 쉽게 완성할 수 있어 설계기간이 단축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 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0 : 입력부 200 : 디스플레이
300 : 경보부 400 : 제어부
410 : 데이타 기록모듈 420 : 데이타 검색모듈
430 : 승강로 선택모듈 440 : 카 선택모듈
450 : 제어반 선택모듈 460 : 제어모듈
470 : 출입구 선택모듈 480 : 골조 선택모듈
490 : 도면 선택모듈 500 : 설계 프로그램부
600 : 데이타베이스 710 : 시작메뉴
720 : 기본정보 선택메뉴 730 : 출입구 선택메뉴
740 : 골조 선택메뉴 750 : 도면 선택메뉴
711, 721, 731, 741, 751 : 완료메뉴

Claims (9)

  1. 승강로, 제어반, 레일, 카, 골조 및 출입구중 선택된 하나 이상의 형상 및 모델명과, 너비, 깊이, 높이 및 속도중 하나 이상의 수치를 선택 입력하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에서 선택된 승강기 부품과 형상, 모델이 포함된 기본 도면을 저장하는 데이타베이스;
    상기 기본도면을 상기 입력부에서 선택된 수치로서 작도하는 설계 프로그램부;
    상기 입력부에서 인가되는 승강기의 부품과 형상 및 모델의 선택명령에 일치되는 기본도면을 상기 데이타베이스에서 검색하고, 상기 설계 프로그램부를 제어하여 상기 입력부에서 입력되는 승강기의 부품과 형상 및 모델의 수치데이타로서 상기 기본 도면에 포함된 구성을 작도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설계 프로그램부에 의하여 완성된 도면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승강기 자동설계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계 프로그램부는
    상기 제어부의 선택적 제어에 의하여 2D 또는 3D 도면을 작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자동설계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로부터 승강로의 모델이나 형상, 수치가 포함된 선택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데이타베이스에 저장된 기본도면을 검색하기 위한 선택명령과, 상기 설계 프로그램부에서 도면을 작도하기 위한 수치데이타로 변환 및 출력하는 승강로 선택모듈;
    상기 입력부로부터 카(CAR)의 형상 및 모델과 수치가 포함된 선택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데이타베이스의 기본 도면을 검색하기 위한 선택명령과, 상기 설계 프로그램부에서 도면을 작도하기 위한 수치데이타로 변환 및 출력하는 카 선택모듈;
    상기 입력부로부터 제어반의 위치나 모델명이 포함된 선택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데이타베이스에 저장된 기본도면을 검색하기 위한 선택명령으로 변환 및 출력하는 제어반 선택모듈;
    상기 입력부로부터 출입구의 형상이나 모델명, 수치가 포함된 선택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데이타베이스에 저장된 기본도면을 검색하기 위한 선택명령과, 상기 설계프로그램부에서 도면을 작도하기 위한 수치데이타로 변환 및 출력하는 출입구 선택모듈;
    상기 입력부로부터 골조의 모델명이나 형상, 수치가 포함된 선택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데이타베이스의 기본도면을 검색하기 위한 선택명령과, 상기 설계 프로그램부에서 도면을 작도하기 위한 수치데이타로 변환 및 출력하는 골조 선택모듈;
    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선택된 도면 선택명령을 출력하는 도면 선택모듈; 및
    상기 승강로 선택모듈 내지 도면 선택모듈에서 각각 출력되는 선택명령에 일치되는 기본도면을 상기 데이타베이스에서 검색하고, 상기 승강로 선택모듈 내지 골조 선택모듈에서 각각 출력된 수치데이타로 상기 기본 도면을 재작도하도록 상기 설계 프로그램부를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자동설계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기 자동설계 시스템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에러 발생을 경보하는 경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승강기 자동설계 시스템.
  5. 승강로, 제어반, 출입구, 카 및 골조중 하나 이상이 포함된 기본 도면을 데이타 베이스에 저장하고, 신규 제작하고자 하는 도면 파일의 정보를 입력하는 파일정보 입력단계;
    상기 파일정보 입력 단계 이후에 상기 승강로, 제어반, 출입구, 카 및 골조중 선택된 형상이나 모델명이 포함된 선택명령과, 상기 선택명령에 포함된 구성의 수치를 포함하는 수치데이타를 출력하는 승강기 데이타 출력 단계;
    상기 승강기 데이타 출력단계에서 출력된 선택명령에 일치되는 구성을 포함하는 기본도면을 검색하고, 설계 프로그램을 구동시켜 상기 수치데이타에 따른 수치로서 상기 기본도면을 재작도하여 상기 승강기의 설계 도면을 제작하는 도면제작단계; 및
    제작된 도면을 저장하는 저장단계를 포함하는 승강기 자동설계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기 데이타 출력단계는
    승강기의 시공 및 조립을 위한 각 구성의 형상과 모델명과 수치를 선택적으로 입력할 수 있도록 승강로, 카, 제어반, 출입구 및 골조중 하나 이상의 형상이나 모델명과 각각의 구성의 수치를 선택적으로 입력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항목을 포함하는 메뉴를 통하여 입력되는 선택신호를 수신하는 입력정보 수신단계;
    상기 입력정보 수신단계에서 선택된 항목에 입력된 정보에 따라 다른 항목에서 미리 설정된 정보가 출력되도록 연결정보가 설정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연결정보 판단단계;
    상기 연결정보 판단단계에서 선택 항목에 연결정보가 설정되었다면, 연결된 정보를 검색하여 연결설정된 다른 항목에 출력하는 연결정보 검색 및 출력단계;
    상기 연결정보 검색 및 출력단계 이후에 완료명령이 인가되는 지를 판단하는 완료명령 판단단계;
    상기 완료명령 판단단계에서 완료명령이 인가되면, 입력정보의 에러유무를 판단하는 에러판단단계;
    상기 에러판단단계에서 에러가 발생 되지 않으면 입력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단계;
    상기 에러판단단계에서 에러가 발생되면 시각적 및/또는 청각적 경보를 발령하고 메세지를 출력하는 경보 및 메세지 출력단계를 포함하는 승강기 자동설계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는
    승강기의 용량과 속도, 승강로의 너비와 깊이, 카의 너비와 깊이 및 최대 탑승인원수, 제어반의 모델과 위치, 정지층수를 선택할 수 있는 기본정보 선택메뉴;
    출입구와 호출버튼, 후크 및 피트사다리중 하나 이상의 형상과 제조사별 모델, 너비와 높이의 수치를 선택할 수 있는 출입구 선택메뉴;
    골조, 방화도어 및 홀랜턴중 하나 이상의 종류와 높이, 전체층수 및 층별 높이중 하나 이상을 선택할 수 있는 골조 선택메뉴; 및
    승강로, 제어반, 카, 골조 및 출입구중 하나 이상이 포함된 시방서, 평면도 및 입체도중 하나 이상의 도면을 선택할 수 있는 도면선택메뉴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승강기 자동설계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정보 검색 및 출력단계는
    최대 탑승인원의 선택신호가 인가되면, 최대 탑승인원으로 입력된 인원수에 따라 연결 설정된 용량과 카의 너비와 깊이를 자동 연산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자동설계 방법.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도면제작단계는
    시방서, 승강로 평면도, 출입구 의장도, 피트 평면도, 승강로 골조도중 선택된 도면종류에 따라 제작되는 것을 승강기 자동설계 방법.
KR1020150014499A 2015-01-29 2015-01-29 승강기 자동설계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934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4499A KR20160093458A (ko) 2015-01-29 2015-01-29 승강기 자동설계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4499A KR20160093458A (ko) 2015-01-29 2015-01-29 승강기 자동설계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3458A true KR20160093458A (ko) 2016-08-08

Family

ID=567119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4499A KR20160093458A (ko) 2015-01-29 2015-01-29 승강기 자동설계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9345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0191A (ko) 2017-11-24 2019-06-03 홍정원 맞춤형 자동 설계 프로그램 생성 시스템
CN112434384A (zh) * 2020-11-03 2021-03-02 广州广日电梯工业有限公司 系列化电梯参数化三维建模方法、集成驱动系统及介质
KR102458578B1 (ko) * 2021-09-24 2022-10-24 문경필 삼방틀 치수 변환을 이용한 엘리베이터 캐드 변환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3885B1 (ko) 2006-01-20 2011-06-22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실시간으로 엘리베이터의 인테리어를 설계하기 위한 시스템및 방법
KR101092986B1 (ko) 2007-05-21 2011-12-12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신축 빌딩 및 기존 빌딩 내의 엘리베이터 장치들에 대한 설계 프로세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3885B1 (ko) 2006-01-20 2011-06-22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실시간으로 엘리베이터의 인테리어를 설계하기 위한 시스템및 방법
KR101092986B1 (ko) 2007-05-21 2011-12-12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신축 빌딩 및 기존 빌딩 내의 엘리베이터 장치들에 대한 설계 프로세스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0191A (ko) 2017-11-24 2019-06-03 홍정원 맞춤형 자동 설계 프로그램 생성 시스템
CN112434384A (zh) * 2020-11-03 2021-03-02 广州广日电梯工业有限公司 系列化电梯参数化三维建模方法、集成驱动系统及介质
CN112434384B (zh) * 2020-11-03 2024-03-19 广州广日电梯工业有限公司 系列化电梯参数化三维建模方法、集成驱动系统及介质
KR102458578B1 (ko) * 2021-09-24 2022-10-24 문경필 삼방틀 치수 변환을 이용한 엘리베이터 캐드 변환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Zhang et al. BIM-based fall hazard identification and prevention in construction safety planning
JP5489310B1 (ja) Bim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5645321B2 (ja) Bimシステム、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RU2769372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омплектования изготавливаемого устройства для перевозки людей посредством создания цифрового двойника
US20210383033A1 (en) Structural construction system employing architectural modeling
JP2020009214A (ja) Bimシステム及び方法
JP2017021580A (ja) Bimシステム及び方法
KR20160093458A (ko) 승강기 자동설계 시스템 및 방법
JP6203332B1 (ja) Bim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231169B1 (ja) Bimシステム、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619126B2 (ja) Bimシステム
KR20220064061A (ko) 대안 복수 건축물 모델 도출 가능한 bim 기반의 모듈러 건축용 통합 운영 시스템 및 그 방법
JP6199365B2 (ja) Bimシステム、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4170320A (ja) Bimシステム及び方法
JP5518943B2 (ja) Bimシステム及び方法
Wang et al. Integrating building information modelling and firefly algorithm to optimize tower crane layout
Cortés et al. Design and analysis of a tool for planning and simulating dynamic vertical transport
JP6239034B2 (ja) Bim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6555768B1 (ja) Bimシステム及び方法
JP6806416B1 (ja) Bim制御方法
JPH08278995A (ja) ユニット建物用cadシステム
JP2018005276A (ja) Bimシステム、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21534051A (ja) 既存の乗客輸送システムの近代化方法
US20230325547A1 (en) Fire system floor plan layout generation
WO2021171949A1 (ja) 建築モデル作成装置及び建築モデル作成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1006227;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61031

Effective date: 201809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