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3445A - 가요성 인쇄회로를 구비한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가요성 인쇄회로를 구비한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3445A
KR20160093445A KR1020150014458A KR20150014458A KR20160093445A KR 20160093445 A KR20160093445 A KR 20160093445A KR 1020150014458 A KR1020150014458 A KR 1020150014458A KR 20150014458 A KR20150014458 A KR 20150014458A KR 20160093445 A KR20160093445 A KR 201600934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pc
connector
printed circuit
flexible printed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44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47998B1 (ko
Inventor
이현애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144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7998B1/ko
Publication of KR201600934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34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79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79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5Flexible substrates, e.g. plastics, organic film

Abstract

본 발명은 표시패널에 연결되는 가요성 인쇄회로(FPC)와, 상기 표시패널의 외곽에 배치되며 상기 표시패널에 신호를 인가하는 시스템부와, 상기 시스템부에 구비되어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의 콘택 패드부가 연결되며 내부 양측에 걸림 돌기가 있는 커넥터 및, 상기 표시패널에 연결된 가요성 인쇄회로(FPC)의 콘택패드부 상부에 결합되며 양측 가장자리부에 상기 커넥터의 걸림돌기에 체결되는 고정 후크가 구비된 보강재를 포함하는 가요성 인쇄회로를 구비한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가요성 인쇄회로를 구비한 표시장치{DISPLAY DEVICE HAVING FLEXIBLE PRINTED CIRCUIT}
본 발명은 표시장치용 가요성 인쇄회로(flexible printed circuit, 이하 FPC)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시스템의 커넥터부에 연결되는 연성 인쇄회로의 커넥터 연결 구조를 개선한 가요성 인쇄회로를 구비한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평판 디스플레이(Flat Panel Display)의 주력 제품인 액정표시장치 (TFT-LCD)는 양산기술 확보와 연구개발의 성과로 대형화와 고해상도화가 급속도로 진전되어 노트북 컴퓨터(computer)용 뿐만 아니라 대형 모니터(monitor) 응용 제품으로도 개발되어 기존의 CRT(Cathode Ray Tube) 제품을 대체하고 있어 디스플레이 산업에서의 그 비중이 점차 증대되고 있다.
최근의 정보화 사회에서 디스플레이는 시각 정보 전달매체로서 그 중요성이 더 한층 강조되고 있다. 특히 모든 전자 제품의 경, 박, 단, 소 추세에 따라 저소비 전력화, 박형화, 고화질, 휴대성의 중요성이 더 한층 높아지고 있다.
액정표시장치는 평판디스플레이의 이러한 조건들을 만족시킬 수 있는 성능뿐만 아니라 양산성까지 갖춘 디스플레이 장치이기 때문에 이를 이용한 각종 신제품 창출이 급속도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전자산업에서 반도체 이상의 파급 효과를 가져오고 있다.
표시패널의 구동회로는 액정 셀(cell)을 구동할 수 있는 신호를 입력해 주는 다수의 드라이버 IC(driver IC)를 포함하며, 이를 제어하는 전기 신호를 생성하고 컴퓨터 등으로 입력된 화상정보를 제어하는 타이밍 컨트롤러(timing controller)와 액정 셀에 각 그레이 스케일(gray-scale) 별로 서로 다른 액정 전압을 발생시키는 회로부품 등이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 상에 장착된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TFT-Array) 기판의 주변부에 인출된 게이트(gate)와 데이터(data) 신호배선을 통하여 다 출력 드라이버 IC의 구동신호를 효과적으로 인가하기 위해 각 신호배선은 수백 개의 패드(pad)로 그룹(group)화되어 있다.
패드에 드라이버 IC를 연결하는 방법은 드라이버 IC칩이 패드에 직접 연결하는 COG(chip-on-glass) 실장방식과 TAB(tape-automated bonding) 기술을 이용한 TCP(tape carrier package) 실장 방식이 있다.
과거에는 접속성이 좋고 개량하기 쉬운 TAB 방식을 많이 사용하였으나, 미세 실장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소형화가 쉽고 제조 단가가 낮은 COG 방식으로 옮겨가는 추세이다.
종래기술에 따른 표시장치용 가요성 인쇄회로의 연결 구조에 대해 도 1 내지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표시장치용 가요성 인쇄회로와 시스템부의 커넥터 간 연결 구조에 대해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부를 확대한 사시도로서, 종래기술에 따른 표시장치용 가요성 인쇄회로가 시스템부의 커넥터에 연결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표시장치용 가요성 인쇄회로가 시스템부의 커넥터에 연결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종래기술에 따른 표시장치용 가요성 인쇄회로의 배면을 나타낸 평면도로서, 입력단자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종래기술에 따른 표시장치용 가요성 인쇄회로가 표시패널과 시스템부의 커넥터에 연결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COG 방식의 표시패널 (10)에는 가요성 인쇄회로(Flexible Printed Circuit; 이하 FPC)(20)의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표시패널(10)에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부(40)에 직접 연결된다.
그리고, 도 2 및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FPC(20)의 타단에 구비된 입력부에는 보강재(30)가 접착되어 있다. 이때, 상기 보강재(30)는 상기 FPC(20)가 탄력성이 갖고 있어 커넥터(50)에 연결시에 원활한 연결이 되지 않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용한다. 즉, 상기 보강재(30)가 상기 FPC(20)의 입력부 상에 접착되어 있어, 시스템부(40)의 커넥터(50)에 연결이 용이하게 된다.
상기 FPC(20)이 연결되는 시스템부(40)의 커넥터(5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양측에 돌기(52)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들 돌기(52) 사이에는 출력단자들(54)이 구비되어 있으며, 커넥터(50)의 외면에는 상기 출력단자들(54)과 대응하여 연결되는 입력단자들(56)이 구비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FPC(20)의 일단에는 데이터 드라이버 IC(미도시)와 게이트 드라이버 IC(미도시)의 입력단자에 연결되는 출력배선들(미도시)이 형성되어 있으며, 타단에는 상기 시스템부(40)의 출력단자에 연결되는 입력배선들 (24)이 구비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FPC(20)의 입력단자들(24)은 상기 표시패널 (10)에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부(40)에 구비된 커넥터(50)의 출력단자들(54)과 직접 연결되며, 커넥터(50)의 입력단자들(56)은 시스템(40)에 연결된다.
상기 FPC(20)의 출력단자들(미도시)은 표시패널(10)과 연결되며, 상기 FPC(20)는 상기 표시패널(10)의 외측에 형성될 수 있는 시스템부(40)과 연결되기 위해 접히게 된다.
이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표시장치용 가요성 인쇄회로(FPC) 어셈블리 모델에서 FPC의 사용자의 시스템부의 커넥터 패드부의 열 보정치 적용으로 SMT 리플로우(reflow) 공정후 FPC의 콘택 패드부(pad)가 축소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는 FPC 필름 재질이 연 재질로 이루어져 있어 축소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 즉, 열 보정치를 적용하더라도 SMT 업체에서도 리플로우(Reflow) 열 온도에 대해 관리가 되지 않으며, 기계 편차가 발생하게 된다. 이로 인해, 수입 검사 진행시에 사용자의 콘택 패드부의 불량이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열 보정치 적용보다 더 열이 가해지게 되면, 패드부가 축소되며, 시스템의 커넥터와의 유동이 생기게 된다.
더욱이, 가요성 인쇄회로 어셈블리의 수입 검사 진행이 완료되어 양품 FPC로 모듈 제작 진행시에 시간 경과 또는 환경적인 요소로 패드부가 축소될 가능성이 있다.
이로 인해, 도 5에서와 같이, FPC와 시스템부의 커넥터 간 체결시에 FPC의 콘택 패드부의 축소로 인해 오정렬(Miss Align)이 발생하여 체결시 유동이 발생하게 됨으로써 비정상적인 체결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FPC와 시스템을 커넥터로 연결시에 사용자가 직접 진행하기 때문에, 패드가 축소되었을 때 오정렬(Miss Align)로 인해 쇼트(short)가 발생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FPC 어셈블리 모델에서 모듈 조립 진행시에 FPC 패드부의 리플로우(reflow) 공정 진행으로 FPC 패드부의 축소됨에 따라 발생하는 오정렬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가요성 인쇄회로를 구비한 표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표시패널과, 상기 표시패널에 연결되는 가요성 인쇄회로(FPC)와, 상기 표시패널의 외곽에 배치되며 상기 표시패널에 신호를 인가하는 시스템부와, 상기 시스템부에 구비되어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의 콘택 패드부가 연결되며 내부 양측에 걸림 돌기가 있는 커넥터와, 상기 표시패널에 연결되는 가요성 인쇄회로(FPC)의 콘택패드부 상에 결합되며 양측 가장자리부에 상기 커넥터의 걸림돌기에 체결되는 고정 후크가 구비된 보강재를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 후크는 상기 보강재의 양측 끝단의 가장자리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 후크는 상기 보강재의 양측 각각에 일정 간격을 두고 서로 대응되게 2개씩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요성 인쇄회로를 구비한 표시장치는 FPC 어셈블리 모델에서 모듈 조립 진행시에 FPC 패드부의 리플로우(reflow) 공정 진행으로 FPC 패드부가 축소됨에 따라 발생하는 오정렬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특히, SMT 진행 중에 리플로우(reflow) 공정으로 인해 열이 가해지게 되면, 패드부의 축소로 인해 커넥터 부분에서의 유동이 발생하는 것을 패드부 상단에 구비된 보강재 (stiffer)의 고정 후크로 인해 추가로 정렬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가요성 인쇄회로를 구비한 표시장치는 기존의 커넥터를 변경하지 않더라도, FPC의 보강재 구조만 변경, 즉 고정 후크를 보강재의 양측 가장자리부에 구비함으로써 불량을 개선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가요성 인쇄회로를 구비한 표시장치는 수동으로 작업하기 때문에 고정 후크를 이용하여 커넥터의 걸림돌기에 먼저 체결하게 되면 FPC의 유동없이 작업자가 손쉽게 모듈 조립이 가능하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표시장치용 가요성 인쇄회로와 시스템부의 커넥터 간 연결 구조에 대해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부를 확대한 사시도로서, 종래기술에 따른 표시장치용 가요성 인쇄회로가 시스템부의 커넥터에 연결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표시장치용 가요성 인쇄회로가 시스템부의 커넥터에 연결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종래기술에 따른 표시장치용 가요성 인쇄회로의 배면을 나타낸 평면도로서, 입력단자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종래기술에 따른 표시장치용 가요성 인쇄회로가 표시패널과 시스템부의 커넥터에 연결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가요성 인쇄회로와 시스템부의 커넥터 간 연결 구조에 대해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B"부를 확대한 사시도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가요성 인쇄회로가 시스템의 커넥터에 연결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가요성 인쇄회로가 시스템부의 커넥터에 연결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표시장치용 가요성 인쇄회로의 배면을 나타낸 평면도로서, 입력단자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가요성 인쇄회로가 표시패널과 시스템부의 커넥터에 연결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1a 내지 11d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가요성 인쇄회로가 표시패널과 시스템부의 커넥터의 연결 공정을 개략적으로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가요성 인쇄회로가 시스템부의 커넥터에 연결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가요성 인쇄회로가 시스템부의 커넥터에 연결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가요성 인쇄회로의 배면을 나타낸 평면도로서, 입력단자 및 보강재의 고정 후크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가요성 인쇄회로가 표시패널과 시스템부의 커넥터에 연결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같은 맥락에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상"에 또는 "아래"에 형성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또는 또 다른 구성 요소를 개재하여 간접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가요성 인쇄회로와 시스템의 커넥터 간 연결 구조에 대해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B"부를 확대한 사시도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가요성 인쇄회로가 시스템의 커넥터에 연결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가요성 인쇄회로가 시스템부의 커넥터에 연결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가요성 인쇄회로의 배면을 나타낸 평면도로서, 입력단자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가요성 인쇄회로가 표시패널과 시스템부의 커넥터에 연결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 및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표시패널(110)과, 상기 표시패널(110)에 형성된 다수의 전극들(미도시)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동 회로부(미도시)와, 상기 전극들과 구동회로부를 연결하는 연결배선들이 배치된 가요성 인쇄회로(FPC; Flexible Printed Circuit)(120)를 포함한다.
도 8 및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FPC, 120)의 일단은 상기 표시패널(110)에 연결되는데, 상기 FPC(120)의 일단에는 데이터 드라이버 IC(미도시)와 게이트 드라이버 IC(미도시)의 입력단자에 연결되는 출력배선들(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FPC, 120)의 타단은 상기 표시패널(110)에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부(140)에 직접 연결되기 위해 콘택 패드부(124)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콘택 패드부(124)에는 상기 전극들과 연결되는 입력단자들(124a)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FPC(120)의 타단에 구비된 콘택 패드부(124)의 상부에는 보강재(130)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보강재(130)의 양측 끝단의 가장자리부에는 고정 후크(132)가 구비되어 있다.
이때, 상기 보강재(130)는 상기 FPC(120)가 탄력성이 갖고 있어 커넥터(150)에 연결시에 원활한 연결이 되지 않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용한다. 즉, 상기 보강재(130)가 상기 FPC(120)의 콘택 패드부(124) 상에 결합되어 있어, 시스템부 (140)의 커넥터(150)에 연결이 용이하게 된다.
더욱이, 상기 FPC(120)가 연결되는 시스템부(140)의 커넥터부(15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양측에 걸림 돌기(152)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들 걸림 돌기(152) 사이에는 출력단자들(154)이 구비되어 있으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넥터(150)의 외면에는 상기 출력단자들(154)과 대응하여 연결되는 입력단자들(156)이 구비되어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FPC(120)의 입력단자들(124a)은 상기 표시패널(110)에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부(140)에 구비된 커넥터(150)의 출력단자들 (154)과 직접 연결되며, 커넥터(150)의 입력단자들(156)은 시스템부(140)에 연결된다.
상기 FPC(120)의 출력단자들(미도시)은 표시패널(110)과 연결된다. 이때, 상기 FPC(120)는 상기 표시패널(110)의 외측에 형성될 수 있는 시스템부(140)과 연결되기 위해 접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보강재(130)의 고정후크(132)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넥터(150)의 걸림돌기(152)에 걸려 고정된 상태에서, FPC(120)의 콘택 패드부(124)의 입력단자들(124a)이 상기 커넥터(150) 내의 출력 단자들(154)에 연결됨으로써 FPC(120)가 커넥터(150) 내에서 오정렬 없이 손쉽게 체결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가요성 인쇄회로의 연결 구조의 체결 공정에 대해 도 11a 내지 11d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1a 내지 11d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가요성 인쇄회로가 표시패널과 시스템부의 커넥터의 연결 공정을 개략적으로 도시된 사시도이다.
먼저, 표시패널(110)과, 상기 표시패널(110)에 형성된 다수의 전극들(미도시)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동 회로부(미도시)와, 상기 전극들과 구동회로부를 연결하는 연결배선들이 배치된 가요성 인쇄회로(FPC; Flexible Printed Circuit)(130) 및 시스템부(140) 그리고 커넥터(150)를 준비한다.
이때, 상기 커넥터(150)는 상기 FPC(120)가 연결되는 시스템부(140)에 구비되어 있는데, 커넥터부(150)는,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양측에 걸림 돌기(152)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들 걸림 돌기(152) 사이에 출력단자들(154)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커넥터(150)의 외면에는 상기 출력단자들(154)과 대응하여 연결되는 입력단자들(미도시)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커넥터(150)의 상면에는 덮개부(158)가 구비되어 있어, 상기 출력단자들(154)에 FPC(130)의 콘택 패드부 (124)가 체결시에 닫혀지게 된다.
그런 다음, 도 11b 및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표시패널(110)에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부(미도시, 도 6의 140 참조)에 연결되기 위해,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 (FPC, 120)의 일단이 상기 시스템부(140)와 연결된 커넥터(150)로 이동한다. 이때, 상기 FPC(120)의 일단은 상기 표시패널(미도시, 도 6의 110 참조) 측에 직접 연결되며, 그 타단에는 상기 표시패널(110)에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부(140)에 직접 연결되기 위해 콘택 패드부(미도시, 도 9의 124 참조)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콘택 패드부(124)에는 상기 전극들과 연결되는 입력단자들(도 9의 124a 참조)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FPC(120)의 타단에 구비된 콘택 패드부(124)의 상부에는 보강재(130)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보강재(130)의 양측 끝단의 가장자리부에는 고정후크(132)가 구비되어 있다. 이때, 상기 보강재(130)는 상기 FPC(120)가 탄력성이 갖고 있어 커넥터(150)에 연결시에 원활한 연결이 되지 않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용한다. 즉, 상기 보강재(130)가 상기 FPC(120)의 콘택 패드부(124) 상에 결합되어 있어, 시스템부(140)의 커넥터(150)에 연결이 용이하게 된다.
이후에, 도 1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강재(130)의 고정후크(132)는, 상기 커넥터(150)의 걸림돌기(152)에 걸려 고정된 상태에서, FPC(120)의 콘택 패드부(124)의 입력단자들(124a)이 상기 커넥터(150) 내의 출력 단자들(미도시, 도 11b의 154 참조)에 연결됨으로써 FPC(120)가 커넥터(150) 내에서 오정렬 없이 손쉽게 체결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요성 인쇄회로를 구비한 표시장치는 FPC 어셈블리 모델에서 모듈 조립 진행시에 FPC 패드부의 리플로우(reflow) 공정 진행으로 FPC 패드부가 축소됨에 따라 발생하는 오정렬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특히, SMT 진행 중에 리플로우(reflow) 공정으로 인해 열이 가해지게 되면, 패드부의 축소로 인해 커넥터 부분에서의 유동이 발생하는 것을 패드부의 상단에 구비된 보강재(stiffer)의 고정 후크로 인해 추가로 정렬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요성 인쇄회로를 구비한 표시장치는 기존의 커넥터를 변경하지 않더라도, FPC의 보강재 구조만 변경, 즉 보강재의 양측 가장자리부에 고정 후크를 구비함으로써 불량을 개선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요성 인쇄회로를 구비한 표시장치는 수동으로 작업하기 때문에 고정 후크를 이용하여 커넥터의 걸림돌기에 먼저 체결하게 되면 FPC의 유동없이 작업자가 손쉽게 모듈 조립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가요성 인쇄회로를 구비한 표시장치에 대해 도 12 내지 1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가요성 인쇄회로가 시스템부의 커넥터에 연결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가요성 인쇄회로가 시스템부의 커넥터에 연결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가요성 인쇄회로의 배면을 나타낸 평면도로서, 입력단자 및 보강재의 고정 후크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가요성 인쇄회로가 표시패널과 시스템부의 커넥터에 연결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2 및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표시패널(200)과, 상기 표시패널(200)에 형성된 다수의 전극들(미도시)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동 회로부(미도시)와, 상기 전극들과 구동회로부를 연결하는 연결배선들이 배치된 가요성 인쇄회로(FPC; Flexible Printed Circuit)(220)를 포함한다.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FPC, 220)의 일단은 상기 표시패널(200)에 연결되어 있는데, 상기 FPC(220)의 일단에는 데이터 드라이버 IC(미도시)와 게이트 드라이버 IC(미도시)의 입력단자에 연결되는 출력배선들(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FPC, 220)의 타단은 상기 표시패널(200)에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부(240)에 직접 연결되기 위한 콘택 패드부(224)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콘택 패드부(224)에는 상기 전극들과 연결되는 입력단자들(224a)이 구비되어 있다.
도 13 및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FPC(220)의 타단에 구비된 콘택 패드부(224)의 상부에는 보강재(230)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보강재(230)의 양측 가장자리부 각 각에는 고정 후크(132)가 적어도 2개씩 이격되게 구비되어 있다.
이때, 상기 보강재(230)는 상기 FPC(220)가 탄력성이 갖고 있어 커넥터(150)에 연결시에 원활한 연결이 되지 않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용한다. 즉, 상기 보강재(230)가 상기 FPC(220)의 콘택 패드부(224) 상에 결합되어 있어, 시스템부 (140)의 커넥터(150)에 연결이 용이하게 된다.
더욱이, 상기 FPC(220)가 연결되는 시스템부(140)의 커넥터부(150)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양측에 걸림 돌기(152)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들 걸림 돌기(152) 사이에는 출력단자들(154)이 구비되어 있으며,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넥터(150)의 외면에는 상기 출력단자들(154)과 대응하여 연결되는 입력단자들(156)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FPC(220)의 입력단자들(224a)은 상기 표시패널(200)에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부(140)에 구비된 커넥터(150)의 출력단자들(154)과 직접 연결되며, 커넥터 (150)의 입력단자들(156)은 시스템부(140)에 연결된다.
상기 FPC(220)의 출력단자들(미도시)은 표시패널(200)과 연결된다. 이때, 상기 FPC(220)는 상기 표시패널(200)의 외측에 형성될 수 있는 시스템부(140)과 연결되기 위해 접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보강재(230)의 양측에 각각 구비된 고정후크들(232)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넥터(150)의 걸림돌기(152)에 걸려 고정된 상태에서, FPC(220)의 콘택 패드부(224)의 입력단자들(224a)이 상기 커넥터(150) 내의 출력 단자들(154)에 연결됨으로써 FPC(220)가 커넥터(150) 내에서 오정렬 없이 손쉽게 체결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가요성 인쇄회로를 구비한 표시장치는 FPC 어셈블리 모델에서 모듈 조립 진행시에 FPC 패드부의 리플로우 (reflow) 공정 진행으로 FPC 패드부의 축소됨에 따라 발생하는 오정렬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특히, SMT 진행 중에 리플로우(reflow) 공정으로 인해 열이 가해지게 되면, 패드(Pad) 축소로 인해 커넥터에서의 유동이 발생하는 것을 패드부 상부에 구비된 보강재(stiffer)의 고정 후크로 인해 추가로 정렬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가요성 인쇄회로를 구비한 표시장치는 기존의 커넥터를 변경하지 않더라도, FPC의 보강재 구조만 변경, 즉 보강재의 양측 가장자리부에 고정 후크를 구비함으로써 불량을 개선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가요성 인쇄회로를 구비한 표시장치는 수동으로 작업하기 때문에 고정 후크를 이용하여 커넥터의 걸림돌기에 먼저 체결하게 되면 FPC의 유동없이 작업자가 손쉽게 모듈 조립이 가능하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액정패널 120: 가요성 인쇄회로(FPC)
124: 콘택 패드부 130: 보강재(stiffener)
132: 고정 후크 140: 시스템부
150: 커넥터 152: 걸림 돌기

Claims (3)

  1. 표시패널;
    상기 표시패널에 연결되는 가요성 인쇄회로(FPC);
    상기 표시패널의 외곽에 배치되며 상기 표시패널에 신호를 인가하는 시스템부;
    상기 시스템부에 구비되어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의 콘택 패드부가 연결되며 내부 양측에 걸림 돌기가 있는 커넥터; 및
    상기 표시패널에 연결된 가요성 인쇄회로(FPC)의 콘택패드부 상부에 결합되며 양측 가장자리부에 상기 커넥터의 걸림돌기에 체결되는 고정 후크가 구비된 보강재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후크는 상기 보강재의 양측 끝단의 가장자리부에 구비된 표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후크는 상기 보강재의 양측 가장자리부의 각각에 일정 간격을 두고 서로 대응되게 2개씩 구비된 표시장치.
KR1020150014458A 2015-01-29 2015-01-29 가요성 인쇄회로를 구비한 표시장치 KR1022479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4458A KR102247998B1 (ko) 2015-01-29 2015-01-29 가요성 인쇄회로를 구비한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4458A KR102247998B1 (ko) 2015-01-29 2015-01-29 가요성 인쇄회로를 구비한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3445A true KR20160093445A (ko) 2016-08-08
KR102247998B1 KR102247998B1 (ko) 2021-05-03

Family

ID=56711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4458A KR102247998B1 (ko) 2015-01-29 2015-01-29 가요성 인쇄회로를 구비한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799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44631A (ko) * 2006-11-17 2008-05-21 삼성전자주식회사 평판 표시 장치
WO2009037796A1 (ja) * 2007-09-21 2009-03-26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フレキシブル配線基板の固定構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44631A (ko) * 2006-11-17 2008-05-21 삼성전자주식회사 평판 표시 장치
WO2009037796A1 (ja) * 2007-09-21 2009-03-26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フレキシブル配線基板の固定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7998B1 (ko) 2021-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92575B1 (ko)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7834972B2 (en) Display circuits
US20120262886A1 (en) Display Device
JP4059750B2 (ja) 電子モジュー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WO2009004894A1 (ja) 表示モジュール、液晶表示装置、及び表示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KR100640208B1 (ko) 액정표시패널의 검사용 범프 구조
KR100324283B1 (ko)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 및 그 제조방법
JP4106193B2 (ja)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293982B1 (ko) 액정패널
KR100447233B1 (ko) 액정표시소자
US20070182911A1 (en) Signal transmission film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1269289B1 (ko) 액정표시장치
KR100909417B1 (ko) 액정표시패널의 검사용 패드 구조
US7760315B2 (en) Electrooptical device, mounting assembly, method for producing electrooptical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KR20160093445A (ko) 가요성 인쇄회로를 구비한 표시장치
KR20070120385A (ko) 어레이 기판,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및 어레이 기판의제조방법
KR20150078440A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검사 방법
US7068337B2 (en) Apparatus for inspecting liquid crystal panel
KR20060001573A (ko) Fpc상에 형성되는 테스트포인트를 구비하는 액정표시장치
US20010046022A1 (en) Tape carrier package with separated bonding parts, liquid crystal display employing the same and method of compensating misalignment thereof
KR20040074425A (ko) 액정패널을 센터링하기 위한 지그
KR20000019765A (ko) 타일드 액정표시장치 및 타일드 액정표시장치의 조립 방법
JP2001125129A (ja) 液晶表示装置
KR20050043134A (ko)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060000811A (ko) 액정표시장치의 가요성 인쇄회로(fpc)의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