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2660A - 경로 생성 지원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경로 생성 지원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2660A
KR20160092660A KR1020150013317A KR20150013317A KR20160092660A KR 20160092660 A KR20160092660 A KR 20160092660A KR 1020150013317 A KR1020150013317 A KR 1020150013317A KR 20150013317 A KR20150013317 A KR 20150013317A KR 20160092660 A KR20160092660 A KR 201600926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route
path
unit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33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74087B1 (ko
Inventor
박진영
김민정
이동석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133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4087B1/ko
Priority to US14/967,042 priority patent/US9958281B2/en
Publication of KR201600926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26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40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40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07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C21/3423Multimodal routing, i.e. combining two or more modes of transportation, where the modes can be any of, e.g. driving, walking, cycling, public transpor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0Instruments for performing navigational calcul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46Details of route searching algorithms, e.g. Dijkstra, A*, arc-flags, using precalculated rout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53Special cost functions, i.e. other than distance or default speed limit of road segments
    • G01C21/3484Personalized, e.g. from learned user behaviour or user-defined profi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26Details of the output of route guidance instruc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79Retrieval, searching and output of POI information, e.g. hotels, restaurants, shops, filling stations, parking facilit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91Retrieval, searching and output of information related to real-time traffic, weather, or environmental condi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97Output of additional, non-guidance related information, e.g. low fuel level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05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cluding pedestrian guidance indicato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23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the position of vehicles, e.g. scheduled vehicles; Managing passenger vehicles circulating according to a fixed timetable, e.g. buses, trains, tr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4Guidance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5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parameters
    • H04W4/027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parameters using movement velocity, acceleration information
    • G06Q50/40

Abstract

본 발명은 경로 생성 지원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목적지까지의 교통수단과 승하차 위치를 선택하는 것으로 탐색 방식을 개인화한 경로를 생성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경로 생성 지원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추천하는 경로 중 사용자가 원하는 경로가 없는 경우 사용자 자신이 알고 있는 최적의 경로를 사용자가 직접 생성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이를 통해 생성된 개인화된 경로를 추천 경로와 함께 제공하여 최적의 경로로 안내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동시에 대중교통을 이용한 다양한 경로 제공이 가능하여 경로 제공의 확장성을 보장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경로 생성 지원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Service providing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creation of route}
본 발명은 경로 생성 지원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목적지까지의 교통수단과 승하차 위치를 선택하는 것으로 사용자만의 개인화된 경로를 생성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경로 생성 지원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내비게이션과 관련되어 제공되는 풍부한 지도정보 및 교통정보와 최적 경로를 산출하기 위한 높은 효율을 가진 다양한 알고리즘의 지원으로 사용자는 내비게이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사용자 장치를 이용하여 목적지까지 자가용을 이용한 최적 경로 안내뿐만 아니라 대중교통 및 도보를 이용한 최적 경로를 안내받을 수 있다.
특히, 대중교통을 이용한 경로 제공에 있어서 기존의 내비게이션 서비스는 목적지까지의 경로 계산시 환승, 시간, 비용 등과 같은 다양한 조건을 고려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최적의 경로를 반환할 수 있다.
그러나, 기존 내비게이션 서비스는 한정적인 지도정보에 의존하여 경로를 산출하므로, 사용자가 경험하거나 판단한 최선의 경로가 내비게이션 서비스를 통해 산출되지 않는 경우도 있으며, 이러한 사용자에 의해 파악된 개인화된 경로를 별도로 저장할 수 있는 서비스가 제공되지 않아 해당 개인화된 경로를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가 직접 경로를 기억할 수밖에 없는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직접 개인화된 경로를 생성하도록 지원하고, 이를 저장하여 서비스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기능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856902호 [발명의 명칭: 대중교통 경로탐색 방법]
본 발명은 목적지까지의 교통수단과 승하차 위치를 선택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경로를 직접 설정하여 개인화된 경로를 생성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이를 저장하여 동일 목적지 방문시 서비스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 경로 생성의 확장성을 제공하며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목적지까지 사용자가 이용한 교통수단 및 승하차 위치를 자동 추적하여 자동으로 경로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하여 용이하게 사용자만의 개인화된 경로를 생성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더하여, 본 발명은 사용자에 의해 생성된 개인화된 경로를 타사용자에게 추천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해당 개인화된 경로를 이용한 타사용자의 사용빈도가 일정 수준 이상인 경우 기본 추천 경로로 제공하여 경로 제공에 대한 확장성을 보장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로 생성 지원 서비스 제공 장치는 출발지와 목적지 사이의 경로 생성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제공부와, 미리 저장된 지도정보 및 대중교통 정보를 참조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출발지를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 있는 각 인접 정류장에 정차하는 하나 이상의 대중교통 수단별 노선번호 정보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하는 대중교통 정보 제공부 및 노선번호 정보 중 선택된 선택 노선번호 정보에 포함된 노선정보와 인접 정류장 및 목적지에 기반하여 승차 정류장 정보 및 하차 정류장 정보를 생성한 후 선택 노선번호 정보와 매칭하여 생성되는 단위 경로정보를 하차 정류장에서 목적지까지 도보를 기준으로 측정된 거리 또는 시간이 미리 설정된 기준치 미만을 만족할 때까지 하나 이상 순차 생성하고, 각 단위 경로정보를 제외한 나머지 단위 경로를 도보 경로정보로 생성한 후 각 단위 경로정보와 도보 경로정보를 이용하여 출발지와 목적지 사이의 경로에 대한 개인화 경로정보를 생성하는 경로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경로 생성부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한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개인화 경로정보에 포함된 단위 경로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삭제하거나 선택 노선번호 정보와 승차 정류장 정보 및 하차 정류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기 위해 생성된 편집정보를 수신하며, 편집정보를 기초로 개인화 경로정보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경로 생성 지원 서비스 제공 장치는 개인화 경로정보의 생성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제공된 사용자 장치의 개인정보에 개인화 경로정보를 매칭 저장하고, 출발지와 목적지를 선택한 사용자 장치 및 복수의 타사용자 장치로 개인화 경로정보를 제공하는 경로 추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경로 추천부는 사용자 장치 및 복수의 타사용자 장치로부터 개인화 경로정보의 사용여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빈도를 측정하고, 사용빈도가 미리 설정된 수치 이상인 경우 개인화 경로정보를 출발지와 목적지를 선택한 사용자 장치에 대하여 다른 경로에 우선하여 추천 경로정보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경로 생성 지원 서비스 제공 장치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판단하여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위치정보 제공부와, 출발지와 목적지 사이의 개인화 경로정보 생성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제공부와, 지도정보를 참조하여 각 정류장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대중교통 수단별 노선번호 정보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하는 대중교통 정보 제공부 및 위치정보의 변화를 기초로 미리 설정된 속도 이하인 경우 도보로 판단하여 도보 경로정보를 생성하고,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 위치변화가 없거나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속도 변화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상인 경우가 발생한 시점에서 대중교통 정보 제공부를 통해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범위 내의 각 인접 정류장에 대응되는 노선번호 정보 중 선택된 선택 노선번호 정보에 포함된 노선 정보와 위치정보를 통해 승차 정류장 및 하차 정류장을 판단하여 선택 노선번호 정보와 매칭한 단위 경로정보를 생성하며, 서로 다른 도보 경로정보 및 단위 경로정보를 생성순서에 따라 연결하여 개인화 경로정보를 자동 생성하는 경로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경로 생성부는 상기 시점에서 측정된 현재 위치와 가장 인접한 인접 정류장 중 노선정보에 포함된 정류장에 대한 승차 정류장 정보를 생성하며, 노선정보에 따른 경로와 위치정보에 따른 이동경로에 차이가 발생하는 시점에 노선정보에 포함된 정류장 중 위치정보 제공부를 통해 제공된 위치와 가장 인접한 정류장을 하차 정류장 정보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경로 생성부는 정류장에 설치된 AP를 통해 승차 정류장 정보 및 하차 정류장 정보 중 어느 하나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대중교통 정보 제공부는 대중교통 수단별 운행정보를 제공하며, 경로 생성부는 위치정보와 대중교통 수단별 운행정보를 기초로 승차 정류장 정보 및 하차 정류장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경로 생성부는 상기 시점에서 대중교통 정보 제공부를 통해 제공되는 각 노선번호 정보의 노선 정보 중 위치정보 제공부를 통해 제공되는 위치정보를 기초로 산출된 이동경로 정보와 일치되는 노선 정보에 대응되는 노선번호 정보를 자동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로 생성 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은 경로 생성 지원 서비스 제공 장치가 사용자 장치로 출발지와 목적지 사이의 경로 생성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와, 경로 생성 지원 서비스 제공 장치가 지도정보를 참조하여 출발지를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 있는 각 인접 정류장을 거치는 하나 이상의 대중교통 수단별 노선번호 정보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하는 단계와, 노선번호 정보 중 선택된 선택 노선번호 정보에 포함된 노선정보와 인접 정류장 및 목적지에 기반하여 승차 정류장 정보 및 하차 정류장 정보를 생성한 후 선택 노선번호 정보와 매칭하여 생성되는 단위 경로정보를 하차 정류장에서 목적지까지 도보를 기준으로 측정된 거리 또는 시간이 미리 설정된 기준치 미만을 만족할 때까지 하나 이상 순차 생성하는 단계 및 경로 생성 지원 서비스 제공 장치가 각 단위 경로정보를 제외한 나머지 단위 경로를 도보 경로정보로 생성한 후 각 단위 경로정보와 도보 경로정보를 이용하여 출발지와 목적지 사이의 경로에 대한 개인화 경로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경로 요청에 따라 추천하는 경로 중 사용자가 원하는 경로가 없는 경우 사용자 자신이 알고 있는 최적의 경로를 사용자가 직접 생성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이를 통해 생성된 개인화된 경로를 추천 경로와 함께 제공하여 최적의 경로로 안내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동시에 대중교통을 이용한 다양한 경로 제공이 가능하여 경로 제공의 확장성을 보장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위치를 자동으로 추적하면서 사용자의 이동경로에 최적화된 개인화 경로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개인화 경로 생성에 대한 편의성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더하여, 본 발명은 사용자만의 개인화된 경로를 생성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동시에 서로 다른 사용자에 의해 생성된 개인화 경로를 다수의 사용자 사이에서 공유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사용빈도가 높은 경로를 추천 경로로 등록하여 이용함으로써, 사용자에 대하여 최적화된 경로를 제공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다양한 경로를 확보하여 최선의 경로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로 생성 지원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 환경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로 생성 지원 서비스 제공 장치의 상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로 생성 지원 서비스 제공 장치의 동작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로 생성 지원 서비스 제공 장치의 노선번호 제공 프로세스에 대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로 생성 지원 서비스 제공 장치의 개인화 경로정보 생성 및 제공에 대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로 생성 지원 서비스 제공 장치의 개인화 경로정보에 대한 자동 생성 프로세스를 도시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로 생성 지원 서비스 제공 장치의 개인화 경로정보 공유에 대한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로 생성 지원 서비스 제공을 위한 사용자 장치의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로 생성 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한 순서도.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발명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를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 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 요소는 제 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 요소도 제 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로 생성 지원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사용자 장치(100, 101)와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는 경로 생성 지원 서비스 제공 장치(200) 및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 장치(3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장치(100)는 통신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폰(Smart Phone), 휴대 단말기(Portable Terminal),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개인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단말기, 텔레매틱스(Telematics) 단말기, 내비게이션(Navigation) 단말기,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노트북 컴퓨터,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 포함), 와이브로(Wibro) 단말기,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단말기, 스마트 TV,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AVN(Audio Video Navigation) 단말기, A/V(Audio/Video) 시스템, 플렉시블 단말기(Flexible Terminal) 등과 같은 다양한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경로 생성 지원 서비스 제공 장치(200) 및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 장치(300)는 서버로 구성될 수 있으며, 네트워크 전체를 감시 및 제어하거나, 메인프레임이나 공중망을 통한 다른 네트워크와의 연결, 소프트웨어 자원이나 하드웨어 자원을 공유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일례로, 경로 생성 지원 서비스 제공 장치(200) 및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 장치(300)는 웹 서버, 데이터베이스 서버, 프록시 서버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 서비스 제공 장치(200, 300)에는 네트워크 부하 분산 메커니즘, 내지 서비스 장치가 인터넷 또는 다른 네트워크 상에서 동작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소프트웨어 중 하나 이상이 설치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컴퓨터화된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는 http 네트워크일 수 있으며, 전용 회선(private line), 인트라넷 또는 임의의 다른 네트워크일 수 있다. 나아가, 각 서비스 제공 장치(200, 300)와 사용자 장치(100)의 연결은 데이터가 임의의 해커 또는 다른 제3자에 의한 공격을 받지 않도록 보안 네트워크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각 서비스 제공 장치(200, 300)는 복수의 데이터베이스 서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데이터베이스 서버가 분산 데이터베이스 서버 아키텍쳐를 비롯한 임의의 유형의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각 서비스 제공 장치(200, 300)와 별도로 연결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더하여, 경로 생성 지원 서비스 제공 장치(200),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 장치(300), 사용자 장치(100) 및 대중교통 정보 제공 서버(400)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호 통신할 수 있으며, 이러한 무선 통신망의 일례로 무선랜(Wireless LAN: WLAN),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Wibro),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2000(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EV-DO(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IEEE 802.16,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광대역 무선 이동 통신 서비스(Wireless Mobile Broadband Service: WMBS),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인접 자장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 초음파 통신(Ultra Sound Communication: USC), 가시광 통신(Visible Light Communication: VLC), 와이 파이(Wi-Fi), 와이 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유선 통신망으로는 전력선 통신(Power Line Communication: PLC), USB 통신, 이더넷(Ethernet), 시리얼 통신(serial communication), 광/동축 케이블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따라,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 장치(300)는 사용자 장치(100)로부터 출발지와 목적지 정보를 수신하며, 자가용, 대중교통 및 도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한 출발지 정보에 따른 출발지와 목적지 정보에 따른 목적지에 대한 경로 정보를 생성한 후 사용자 장치(100)로 전송하여 경로를 안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 장치(300)는 경로정보 제공시 사용자 장치(100)에 대응되는 사용자가 직접 경로를 생성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경로 생성 지원 서비스 제공 장치(200)에 대한 링크정보를 경로정보에 포함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경로정보를 수신한 사용자 장치(100)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경로가 존재하지 않아 해당 링크정보를 선택한 경우 사용자 장치(100)는 경로 생성 지원 서비스 제공 장치(200)로 접속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장치(100)는 링크정보를 통하지 않고 직접 경로 생성 지원 서비스 제공 장치(200)로 접속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경로 생성 지원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접속한 사용자 장치(100)에 대하여 사용자만의 개인화된 경로를 생성할 수 있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해당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가 설정한 경로에 대응되어 개인화 경로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로 구성될 수 있으며, 경로 생성 지원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해당 GUI에 대한 데이터를 사용자 장치(100)에 전송하여 GUI가 로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경로 생성 지원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버스, 지하철 등과 같은 대중교통 수단의 노선 번호에 따른 운행 노선에 대한 노선정보와 정류장별 출발시간, 도착시간 등에 대한 운행정보 등을 포함하는 노선번호 정보를 제공하는 대중교통 정보 제공 서버(400)와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여 노선번호 정보를 포함하는 대중교통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이를 기초로 개인화된 경로정보 생성시 사용자 장치(100)로 노선번호 정보를 제공하여 대중교통을 이용한 경로 설정이 이루어지도록 지원할 수 있다.
상술한 바에 따라, 본 발명은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 장치(300)에서 제공하는 추천 경로보다 사용자가 더 빠르고 최적화된 경로를 알고 있는 경우 이에 대한 개인화 경로를 생성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추후 개인화 경로에 대응되는 출발지와 목적지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장치(100)로부터 수신한 경우 해당 개인화 경로가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 장치(300)를 통해 다른 추천 경로와 함께 제공되도록 하여 용이하게 사용자에 최적화된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구성에서 경로 생성 지원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 장치(300)와 하나의 장치(일례로, 서버)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로 생성 지원 서비스 제공 장치(200)의 상세 구성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정보 제공부(210), 대중교통 정보 제공부(220), 경로 생성부(230), 경로 추천부(240) 및 인터페이스 제공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우선 인터페이스 제공부(250)는 사용자 장치(100) 또는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 장치(300)로부터 사용자가 직접 경로를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데이터를 사용자 장치(100)로 제공할 수 있으며, 해당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출발지에 대응되는 출발지 정보 및 목적지에 대응되는 목적지 정보를 사용자 장치(1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대중교통 정보 제공부(220)는 상술한 대중교통 정보 제공 서버(400)로부터 수신되는 지하철, 버스 등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대중교통 수단별 노선번호에 대한 노선번호 정보를 포함하는 대중교통 정보를 대중교통 DB(202)에 저장하며, 대중교통 DB(202)에 저장된 대중교통 정보로부터 노선번호 정보를 추출하여 사용자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장치(1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경로 생성 지원 서비스 제공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노선번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대중교통 정보 제공부(220)는 지도 DB(201)에 저장된 지도정보를 참조하여 출발지를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 있는 하나 이상의 인접 정류장을 식별하고, 각 인접 정류장에 정차하는 하나 이상의 대중교통 수단별 노선번호에 대한 노선번호 정보를 사용자 장치(100)로 전송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경로 생성부(230)는 사용자 장치(100)로부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되는 하나 이상의 노선번호 정보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선택 노선번호 정보를 수신하며, 선택 노선번호 정보에 포함된 노선정보에 따라 각 인접 정류장 중 노선정보에 포함되는 인접 정류장을 승차 정류장으로 결정하여 승차 정류장 정보를 생성하고, 노선정보에 포함된 정류장 중 목적지에 가장 인접한 정류장을 하차 정류장으로 결정하여 하차 정류장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경로 생성부(230)는 승차 정류장 정보, 하차 정류장 정보 및 선택 노선번호 정보를 사용자 장치(100)에 제공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한 사용자 입력정보를 사용자 장치(100)로부터 수신하여 생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승차 정류장 정보 및 하차 정류장 정보 각각은 지도정보 상에서의 승차 정류장 또는 하차 정류장에 대한 위치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노선정보는 특정 노선번호를 가진 대중교통 수단의 이동경로 및 정류장 등을 포함하는 운행노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경로 생성부(230)는 승차 정류장 정보와 하차 정류장 정보를 선택 노선번호 정보와 매칭하여, 승차 정류장 정보, 하차 정류장 정보 및 선택 노선번호 정보를 포함하는 단위 경로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경로 생성부(230)는 단위 경로정보 생성시 단위 경로정보에 포함된 하차 정류장 정보에 따른 하차 정류장에서 목적지까지의 도보 이동에 따른 거리 또는 시간을 지도정보를 참조하여 측정할 수 있으며, 측정된 거리 또는 시간이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상인 경우 대중교통 정보 제공부(220)와 연동하여 하차 정류장을 출발지로 설정하고, 출발지(하차 정류장)를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 있는 각 인접 정류장에 대응되는 노선번호 정보를 사용자 장치(100)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경로 생성부(230)는 단위 경로정보의 생성 과정과 동일한 방식으로 하차 정류장을 출발지로 하는 추가 단위 경로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경로 생성부(230)는 추가 단위 경로정보에 포함된 하차 정류장 정보에 따른 하차 정류장에서 목적지까지의 도보 이동에 따른 거리 또는 시간이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상인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다른 추가 단위 경로정보를 생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에 따라, 경로 생성부(230)는 하나 이상의 추가 단위 경로정보를 생성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단위 경로정보에 이어 연결할 수 있다.
한편, 경로 생성부(230)는 가장 마지막에 생성된 단위 경로정보 및 추가 단위 경로정보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하차 정류장에서 목적지까지의 도보 이동에 따른 거리 및 시간이 미리 설정된 기준치 미만인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위 경로정보 및 추가 단위 경로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연결되지 않은 나머지 경로에 대하여 도보를 기준으로 연산한 도보 경로정보로 생성하여 출발지 정보 및 목적지 정보에 따른 출발지와 목적지 사이의 경로에 대한 개인화 경로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후, 경로 생성부(230)는 회원 DB(203)로부터 사용자 장치(100)에 대응되는 개인 정보를 추출한 후 개인화 경로정보와 매칭하여 경로 DB(204)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경로 추천부(240)는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 장치(300)에 접속하여 출발지와 목적지를 설정한 사용자 장치(100)에 대하여 설정된 출발지 및 목적지에 대응되는 개인화 경로정보를 경로 DB(204)로부터 추출하여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 장치(300)를 통해 추천 경로와 함께 사용자 장치(100)에 제공되도록 하거나 사용자 장치(100)로 직접 통신망을 통해 개인화 경로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 장치(100)를 통해 개인화 경로정보를 수신한 사용자는 추천 경로 이외에 자신이 직접 생성한 개인화 경로정보를 이용하여 경로를 안내받을 수 있으며, 최적화된 경로를 안내받을 수 있다.
도 3은 상술한 구성에 따른 경로 생성 지원 서비스 제공 장치(200)의 경로 생성 지원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예시도로서,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 장치(300)는 사용자 장치(100)로부터 출발지 정보와 목적지 정보를 수신하여 출발지 정보에 따른 출발지와 목적지 정보에 따른 목적지를 연결하는 추천 경로에 대한 추천 경로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추천 경로정보와 더불어 사용자가 직접 원하는 출발지와 목적지를 연결하는 경로를 생성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경로 생성 지원 서비스 제공 장치(200)로 접속하기 위한 링크정보를 사용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장치(100)는 추천 경로정보 중에 원하는 경로가 없는 경우 링크정보를 통해 경로 생성 지원 서비스 제공 장치(200)로 접속하거나 통신망을 통해 직접 경로 생성 지원 서비스 제공 장치(200)로 접속할 수 있다.
한편, 경로 생성 지원 서비스 제공 장치(200)에 접속한 사용자 장치(100)에 대하여 인터페이스 제공부(250)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장치(100)로 경로 생성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 장치(100)는 해당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가 직접 최적화된 경로를 생성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 제공부(250)는 사용자 장치(100)로부터 출발지 정보와 목적지 정보를 수신하여 대중교통 정보 제공부(220) 및 경로 생성부(230)로 제공하거나,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 장치(300)로부터 출발지 정보와 목적지 정보를 수신하여 대중교통 정보 제공부(220) 및 경로 생성부(230)에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대중교통 정보 제공부(2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도 DB(201)에 저장된 지도정보를 로드하며, 지도정보에서 출발지 정보에 따른 출발지를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 위치한 하나 이상의 인접 정류장을 검색하며, 검색된 각 인접 정류장을 거치는 하나 이상의 대중교통 수단별 노선번호에 대한 노선번호 정보를 대중교통 DB(202)로부터 추출하여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장치(100)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경로 생성부(230)는 사용자 장치(100)로 제공된 노선번호 정보 중에서 선택된 노선번호에 대한 선택 노선번호 정보를 사용자 장치(100)로부터 수신하며, 선택 노선번호 정보에 포함된 노선정보에서 대중교통 정보 제공부(220)를 통해 검색된 각 인접 정류장 중 어느 하나와 일치되는 정류장을 승차 정류장으로 결정하여 승차 정류장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일례로, 도 3(c)에서 대중교통 정보 제공부(220)는 각 인접 정류장을 거치는 버스 또는 지하철에 대한 노선번호 정보를 제공하며, 경로 생성부(230)는 노선번호 정보 중에서 사용자 장치(100)에 의해 선택된 노선번호인 6411의 노선번호를 가진 버스에 대한 선택 노선번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경로 생성부(230)는 선택 노선번호 정보 수신시 선택 노선번호 정보에 포함된 '6411'의 노선 경로에 대한 노선정보를 기초로 대중교통 정보 제공부(220)를 통해 검색된 인접 정류장 중 노선정보에 포함된 정류장과 일치하는 정류장을 승차 정류장으로 결정하여 승차 정류장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로 생성부(230)는 6411번 버스에 대한 선택 노선번호 정보와 인접 정류장 중 6411번 버스의 노선정보에 포함된 정류장 중 어느 하나와 일치하는 승차 정류장인 '잠실역 사거리'에 대한 승차 정류장 정보를 상호 매칭할 수 있다.
한편, 경로 생성부(230)는 지도정보 및 노선정보를 참조하여 6411번 버스의 정류장 중 목적지 정보와 가장 인접한 정류장을 하차 정류장으로 결정할 수 있으며, 하차 정류장에 대한 하차 정류장 정보를 생성하여 6411번 버스에 대한 선택 노선번호 정보와 상호 매칭하여, 선택 노선번호 정보, 승차 정류장 정보 및 하차 정류장 정보가 상호 매칭된 단위 경로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경로 생성부(230)는 사용자 장치(100)로부터 하차 정류장에 대한 하차 정류장 정보를 직접 수신하여 선택 노선번호 정보와 매칭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경로 생성부(230)는 하차 정류장으로부터 목적지까지 도보 이동에 따른 거리 또는 시간을 연산하여 미리 설정된 기준치 미만인 경우 단위 경로정보를 제외한 나머지 단위 경로에 대응되어 도보를 기준으로 산출하여 하나 이상의 도보 경로정보를 생성하며, 각 도보 경로정보와 단위 경로정보로 구성되며 출발지 정보와 목적지 정보에 따른 출발지와 목적지 사이의 경로에 대한 개인화 경로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경로 생성부(230)는 하차 정류장으로부터 목적지까지 도보 이동에 따른 거리 또는 시간이 미리 설정된 기준치 미만인 경우 추가 단위 경로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일례로, 도 3(e)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로 생성부(230)는 대중교통 정보 제공부(220)와 연동하여 하차 정류장 정보에 따른 하차 정류장을 단위 경로정보의 생성시에 이용한 출발지로 설정하고, 하차 정류장 또는 하차 정류장을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 있는 인접 정류장을 검색하고, 검색된 각 인접 정류장에 대응되는 노선번호 정보를 사용자 장치(100)로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경로 생성부(230)는 단위 경로정보의 생성 과정과 마찬가지로 선택 노선번호 정보를 수신하고, 인접 정류장 중 선택 노선번호 정보에 포함된 노선정보에 포함된 정류장과 일치하는 승차 정류장과 목적지에 가장 인접한 하차 정류장을 결정하여 단위 경로정보와 상이한 선택 노선번호 정보, 승차 정류장 정보 및 하차 정류장 정보를 포함하는 추가 단위 경로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일례로, 도시된 바와 같이 경로 생성부(230)는 단위 경로정보의 하차 정류장인 '잠실역 사거리'를 출발지로 설정하고, 대중교통 정보 제공부(220)와 연동하여 '잠실역 사거리'를 기준으로 지도정보에서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 있는 인접 정류장을 검색하여, 각 인접 정류장에 대응되는 지하철 및 버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노선번호 정보를 대중교통 DB(202)로부터 추출하여 사용자 장치(100)로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3(f)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로 생성부(230)는 사용자 장치(100)로부터 지하철 노선인 '신분당선'에 대한 선택 노선번호 정보를 수신한 경우 '신분당선'의 노선정보와 인접 정류장을 비교하여 승차 정류장을 '강남역'으로 결정하고, 목적지에 가장 인접한 정류장인 '판교역'을 하차 정류장으로 결정할 수 있으며, 도 3(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차 정류장 정보인 '강남역'과 하차 정류장 정보인 '판교역' 및 지하철 노선번호인 '신분당선'을 상호 매칭한 추가 단위 경로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도 3(g)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로 생성부(230)는 추가 단위 경로정보를 단위 경로정보에 이어 연결할 수 있으며, 추가 단위 경로정보에 따른 하차 정류장에서 목적지까지의 도보 이동에 따른 거리 또는 시간이 미리 설정된 기준치 미만인 경우 단위 경로 정보 및 추가 단위 경로정보를 제외한 나머지 단위 경로를 도보 기준으로 연산하여 도보 경로정보를 생성하고 단위 경로정보 및 추가 단위 경로정보 중 적어도 하나와 하나 이상의 도보 경로정보로 구성된 개인화 경로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경로 생성부(230)는 추가 단위 경로정보에 따른 하차 정류장에서 목적지까지의 도보 이동에 따른 거리 또는 시간이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상인 경우 다른 추가 단위 경로정보를 생성하여 이미 생성된 추가 단위 경로정보에 이어 연결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경로 생성부(230)는 출발지 정보 및 목적지 정보에 따른 출발지와 목적지 사이를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단위 경로정보를 하차 정류장에서 목적지까지의 도보 이동에 따른 거리 및 시간이 미리 설정된 기준치 미만을 만족할때까지 생성할 수 있으며, 각 단위 경로정보를 생성 순서에 따라 순차 연결하고 각 단위 경로정보에 포함된 각 정류장과 출발지 및 목적지를 연결하는 경로를 도보 기준으로 연산한 도보 이동경로에 대한 도보 경로정보를 생성하여, 하나 이상의 도보 경로정보 및 단위 경로정보로 구성된 개인화 경로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후, 경로 생성부(230)는 개인화 경로정보를 경로 DB(204)에 사용자 장치(100)에 대응되는 개인정보와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
한편, 경로 추천부(240)는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 장치(300)로부터 사용자 장치(100)의 경로 요청에 따른 출발지 정보와 목적지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개인화 경로정보가 저장된 경로 DB(204)에서 출발지 정보와 목적지 정보에 대응되는 개인화 경로정보를 추출하여 사용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 장치(300)를 통해 제공되는 추천 경로정보와 더불어 개인화 경로정보가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로 생성 지원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경로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 장치(300)에서 추천하는 경로 중 사용자가 원하는 경로가 없는 경우 사용자 자신이 알고 있는 최적의 경로를 사용자가 직접 생성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이를 통해 생성된 개인화된 경로를 추천 경로와 함께 제공하여 최적의 경로로 안내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동시에 대중교통을 이용한 다양한 경로 제공이 가능하며 경로 제공의 확장성을 보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로 생성 지원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사용자의 이동 경로를 추적하여 사용자만의 개인화된 경로를 생성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데 이에 대한 실시예를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로 생성 지원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위치정보 제공부(210)를 더 포함하며, 위치정보 제공부(210)는 사용자 장치(100)의 현재 위치를 판단하여 위치정보를 생성한다.
인터페이스 제공부(25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출발지 정보 및 목적지 정보를 수신하며 개인화 경로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사용자 장치(100)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인터페이스 제공부(250)는 개인화 경로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출발지 정보와 목적지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이를 경로 생성부(230)에 제공하며, 경로 생성부(230)는 개인화 경로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사용자의 이동 경로를 추적할 수 있다.
경로 생성부(230)는 출발지 정보 수신시 위치정보 제공부(210)와 연동하여 위치변화에 따른 이동속도를 측정하며, 측정된 이동속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속도 이하인 경우 도보로 판단하여 도보 경로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후, 경로 생성부(230)는 위치정보 제공부(210)와 연동하여 측정되는 위치 변화를 기초로 사용자가 출발지에서 이동하여 버스 정류장이나 지하철 정류장에 도착하여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 위치변화가 없거나 사용자가 버스 또는 지하철에 탑승하여 속도가 갑자기 증가함에 따라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속도 변화가 미리 설정된 기준 속도를 초과하는 경우가 발생한 승차 시점을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경로 생성부(2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승차 시점의 위치를 기준으로 지도정보를 참조하여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각 인접 정류장을 식별하고, 대중교통 정보 제공부(220)와 연동하여 각 인접 정류장에 대응되는 노선번호 정보를 대중교통 DB(202)로부터 추출하여 사용자 장치(100)로 전송하며, 사용자 장치(100)에 로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다음, 경로 생성부(230)는 노선번호 정보 중 사용자 선택에 따라 선택된 선택 노선번호 정보에 포함된 노선정보를 기초로 노선정보에 포함된 정류장과 일치하는 인접 정류장을 승차 정류장으로 하여 승차 정류장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경로 생성부(230)는 버스 또는 지하철에 탑승하여 이동 중인 사용자에 대하여 위치정보 제공부(210)로부터 제공되는 위치정보를 기초로 노선정보에 따른 경로와 현재 위치정보에 따른 이동경로에 차이가 발생하는 시점을 하차로 판단하여, 해당 시점에서 노선정보에 포함된 정류장 중 위치정보 제공부(210)를 통해 측정된 현재 위치와 가장 인접한 정류장을 하차 정류장 정보로 생성할 수 있다.
이때, 경로 생성부(230)는 정류장에 설치된 AP(Access Point)를 통해 승차 정류장 정보 및 하차 정류장 정보를 수신한 사용자 장치(100)로부터 승차 정류장 정보 및 하차 정류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할 수도 있다.
또한, 대중교통 정보 제공부(220)는 대중교통 수단별 운행정보를 제공하며, 경로 생성부(230)는 위치정보와 대중교통 수단별 운행정보를 기초로 승차 정류장 및 하차 정류장을 판단하여 승차 정류장 정보 및 하차 정류장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더하여, 경로 생성부(230)는 상술한 구성에서 승차로 판단된 승차 시점에 위치정보 제공부(210)를 통해 제공되는 위치정보를 누적 저장하여 이동경로를 산출할 수 있으며, 대중교통 정보 제공부(220)를 통해 제공되는 각 노선번호 정보의 노선 정보 중 위치정보 제공부(210)를 통해 제공되는 위치정보를 누적하여 산출된 이동경로 정보와 일치되는 노선 정보에 대응되는 노선번호 정보를 자동 선택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경로 생성부(230)는 사용자 장치(100)에 노선번호 정보를 제공할 필요없이, 자동으로 사용자의 이동경로와 일치되는 노선번호를 선택하여 선택 노선번호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경로 생성부(230)는 하차 정류장 정보 생성시 승차 정류장 정보와 함께 선택 노선번호 정보에 매칭하여 승차 정류장 정보, 하차 정류장 정보 및 선택 노선번호 정보를 포함하는 단위 경로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후, 경로 생성부(230)는 위치정보 제공부(210)를 통해 제공되는 위치정보를 기초로 목적지에 도착하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자의 이동이 지속되는 경우 상술한 구성에 따라 다른 도보 경로정보 또는 다른 단위 경로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경로 생성부(230)는 위치정보 제공부(210)를 통해 제공되는 위치정보를 기초로 목적지에 도착한 경우 하나 이상의 도보 경로정보 및 단위 경로정보를 생성 순서에 따라 연결하여 출발지 정보 및 목적지 정보에 따른 출발지와 목적지 사이의 경로에 대한 개인화 경로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를 경로 DB(204)에 사용자 장치(100)에 대응되는 개인정보에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로 생성 지원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사용자의 위치를 자동으로 추적하면서 사용자의 이동경로에 최적화된 개인화 경로정보를 자동 생성할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바에 따라 생성된 개인화 경로정보를 사용자 장치(100) 이외의 타사용자 장치(101)에 제공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타사용자의 개인화 경로정보의 사용빈도를 판단하여 사용빈도가 높은 개인화 경로정보를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 장치(300)를 통해 정식 추천 경로로 제공되도록 할 수 있는데 이를 도 7의 구성을 토대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로 추천부(240)는 사용자 장치(100)에 대응되어 생성된 개인화 경로정보를 경로 DB(204)에 저장하고, 개인화 경로정보에 포함된 출발지 정보 및 목적지 정보와 동일한 출발지 및 목적지를 설정하여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 장치(300)를 통해 경로를 요청하는 하나 이상의 타사용자 장치(101)에 대하여 경로 DB(204)로부터 개인화 경로정보를 추출하여 각 타사용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경로 추천부(240)는 각 타사용자 장치(101)가 설정한 출발지 정보 및 목적지 정보를 포함하는 개인화 경로정보를 추출하여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 장치(300)로 제공할 수 있으며,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 장치(3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추천 경로와 함께 개인화 경로정보를 각 타사용자 장치(101)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경로 추천부(240)는 경로 정보를 요청하는 타사용자 장치(101)에 대하여 동일 출발지와 목적지를 가지며 서로 다른 사용자에 대응되어 생성된 복수의 서로 다른 개인화 경로정보를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 장치(300)를 통해 타사용자 장치(101)로 전송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를 통해, 사용자에 대응되어 생성된 개인화 경로정보가 복수의 타사용자에게 공유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경로 추천부(240)는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 장치(300)와 연동하거나 각 타사용자 장치(101)로부터 직접 각 개인화 경로정보의 사용여부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경로 DB(204)에 저장된 각 개인화 경로정보의 사용빈도를 측정 및 누적 저장한 후 사용빈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상인 개인화 경로정보를 추출하여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 장치(300)에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 장치(300)는 사용빈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상인 개인화 경로정보를 추천 경로로서 저장하여 서로 다른 사용자 장치의 경로 요청시마다 추천 경로로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 장치(300)는 추천 경로로 설정된 개인화 경로정보를 다른 추천 경로에 우선하는 추천 경로로 제공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경로 생성부(230)는 개인화 경로정보 생성 완료시 생성된 개인화 경로정보를 사용자 장치에 제공하여 개인화 경로정보의 구체적인 내용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경로 생성부(230)는 사용자 장치(100)로부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한 사용자 입력정보를 수신하여, 개인화 경로정보에 포함된 단위 경로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삭제하거나 선택 노선번호 정보와 승차 정류장 정보 및 하차 정류장 정보를 변경하기 위한 편집정보를 수신하여 편집정보를 기초로 개인화 경로정보를 변경하여 경로 DB(204)에 저장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로 생성 지원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사용자만의 개인화된 경로를 생성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동시에 서로 다른 사용자에 의해 생성된 개인화 경로를 다수의 사용자 사이에서 공유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사용빈도가 높은 경로를 추천 경로로 등록하여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 대하여 최적화된 경로를 제공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다양한 경로를 확보하여 최선의 경로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구성에 따른 경로 생성 지원 서비스 제공 장치(200)의 일부 구성은 사용자 장치(100)에 구성될 수도 있으며,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사용자 장치(100)를 이용하여 직접 자신만의 개인화된 경로를 생성하여 이용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 실시예를 도 8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면,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장치(100)는 경로 생성 지원 서비스 제공 장치(200)의 일부 구성을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부(110)가 구성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부(1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정보 제공부(111), 대중교통 정보 제공부(112), 경로 생성부(113), 경로 추천부(114), 인터페이스 제공부(115) 및 경로 제공부(116)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어플리케이션부(110)는 사용자의 입력정보를 수신하는 입력부(120), 출력 데이터를 출력수단을 통해 출력하는 출력부(130),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140), 현재 위치를 측위하는 GPS부(150), 외부 장치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부(160)를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어부는 MCU(Micro Controller Unit)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입력부(120)는 사용자에 의한 버튼 조작 또는 임의의 기능 선택에 따른 신호를 수신하거나,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터치/스크롤하는 등의 조작에 의해 생성된 명령 또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거나,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정보에 대응하는 신호를 수신하며,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터치 스크린(Touch Screen), 조그 휠, 조그 스위치, 조그 셔틀(Jog Shuttle), 마우스(mouse),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 터치 펜(Touch Pen) 등의 다양한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더하여, 출력부(13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LED(Light Emitting Diode)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60)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내부의 임의의 구성 요소 또는 외부의 임의의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와 통신 연결한다. 이때, 외부의 임의의 단말기는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서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60)는 무선랜(Wireless LAN: WLAN),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Wibro),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2000(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EV-DO(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IEEE 802.16,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광대역 무선 이동 통신 서비스(Wireless Mobile Broadband Service: WMBS),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인접 자장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 초음파 통신(Ultra Sound Communication: USC), 가시광 통신(Visible Light Communication: VLC), 와이 파이(Wi-Fi), 와이 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등과 같은 무선통신 방식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60)는 전력선 통신(Power Line Communication: PLC), USB 통신, 이더넷(Ethernet), 시리얼 통신(serial communication), 광/동축 케이블 등과 같은 유선통신 방식을 지원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따라, 어플리케이션부(110)를 구성하는 각 구성부를 설명하면 우선 어플리케이션부(110)의 활성화시 인터페이스 제공부(115)는 경로 설정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부(130)를 통해 제공하며, 출발지 정보와 목적지 정보를 수신하여 경로 제공부(116)에 제공할 수 있다.
경로 제공부(116)는 출발지 정보에 따른 출발지와 목적지 정보에 따른 목적지 정보를 수신하여 메모리부(140)에 저장된 지도정보를 기초로 경로를 최적의 경로를 연산하여 출발지와 목적지 사이의 경로에 대한 경로정보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인터페이스 제공부(115)는 경로 제공부(116)를 통해 제공되는 경로정보 중 사용자가 원하는 경로가 없는 경우를 대비하여 사용자가 직접 경로를 생성할 수 있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경로 생성을 위한 선택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인터페이스 제공부(115)는 출력부(130)를 통해 출력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입력부(120)를 통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경로 생성을 위한 선택 입력이 수신된 경우 경로 생성부(113)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 제공부(115)는 출발지 정보 및 목적지 정보를 경로 생성부(113)에 제공할 수 있다.
경로 생성부(113)는 출발지 정보 및 목적지 정보 수신시 대중교통 정보 제공부(112)를 제어하며, 대중교통 정보 제공부(112)는 대중교통 정보 제공 서버에 접속하여 대중교통 정보를 수신한 후 메모리부(140)에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경로 생성부(113)는 메모리부(140)에 미리 저장된 지도정보를 참조하여 출발지 정보에 따른 출발지를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인접 정류장을 식별하며, 대중교통 정보 제공부(112)와 연동하여 각 인접 정류장에 대응되는 대중교통 정보를 수신하여 메모리부(140)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경로 생성부(113)는 메모리부(140)에 저장된 대중교통 정보로부터 각 인접 정류장에 대응되는 노선번호 정보를 추출하여 출력부(130)에 출력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하며 해당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입력부(120)를 통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선택된 노선번호 정보를 선택 노선번호 정보로 생성할 수 있다.
다음, 경로 생성부(113)는 선택 노선번호 정보에 포함된 노선정보에 따라 각 인접 정류장 중 노선정보에 포함되는 인접 정류장을 승차 정류장으로 결정하여 승차 정류장 정보를 생성하고, 노선정보에 포함된 정류장 중 목적지에 가장 인접한 정류장을 하차 정류장으로 결정하여 하차 정류장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경로 생성부(113)는 승차 정류장 정보, 하차 정류장 정보 및 선택 노선번호 정보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한 사용자 입력을 통해 입력받아 생성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경로 생성부(113)는 승차 정류장 정보와 하차 정류장 정보를 선택 노선번호 정보와 매칭하여, 승차 정류장 정보, 하차 정류장 정보 및 선택 노선번호 정보를 포함하는 단위 경로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경로 생성부(113)는 단위 경로정보 생성시 단위 경로정보에 포함된 하차 정류장 정보에 따른 하차 정류장에서 목적지까지의 도보 이동에 따른 거리 또는 시간을 지도정보를 참조하여 측정할 수 있으며, 측정된 거리 또는 시간이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상인 경우 대중교통 정보 제공부(112)와 연동하여 하차 정류장을 출발지로 설정하고, 출발지(하차 정류장)를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 있는 각 인접 정류장에 대응되는 노선번호 정보를 출력부(130)에 출력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경로 생성부(113)는 단위 경로정보의 생성 과정과 동일한 방식으로 하차 정류장을 출발지로 하는 추가 단위 경로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경로 생성부(113)는 추가 단위 경로정보에 포함된 하차 정류장 정보에 따른 하차 정류장에서 목적지까지의 도보 이동에 따른 거리 또는 시간이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상인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추가 단위 경로정보에 포함된 하차 정류장 정보에 따른 하차 정류장을 출발지로 설정한 다른 추가 단위 경로정보를 생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에 따라, 경로 생성부(113)는 하나 이상의 추가 단위 경로정보를 생성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단위 경로정보에 이어 연결할 수 있다.
한편, 경로 생성부(113)는 가장 마지막에 생성된 단위 경로정보 및 추가 단위 경로정보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하차 정류장에서 목적지까지의 도보 이동에 따른 거리 및 시간이 미리 설정된 기준치 미만인 경우 단위 경로정보 및 추가 단위 경로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연결되지 않은 나머지 경로에 대하여 도보를 기준으로 연산한 도보 경로정보로 생성하여 출발지 정보 및 목적지 정보에 따른 출발지와 목적지 사이의 경로에 대한 개인화 경로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를 메모리부(140)에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경로 추천부(114)는 경로 제공부(116)를 통해 출발지 및 목적지 설정에 따른 경로정보 제공시 경로 제공부(116)에 의해 활성화되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출발지 정보 및 목적지 정보에 대응되는 개인화 경로정보를 메모리부(140)로부터 추출하여 경로 제공부(116)를 통해 추천 경로와 함께 출력부(13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추천 경로 이외에 자신이 직접 생성한 개인화 경로정보를 이용하여 경로를 안내받을 수 있으며, 최적화된 경로를 안내받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부(110)가 구성된 사용자 장치(100)는 사용자의 이동 경로를 추적하여 사용자만의 개인화된 경로를 생성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이를 위해 어플리케이션부(110)는 위치정보 제공부(1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위치정보 제공부(111)는 GPS부(150)를 통해 사용자 장치(100)의 현재 위치를 측위하여 위치정보를 생성한다.
인터페이스 제공부(115)는 상술한 바와 같이 출발지 정보 및 목적지 정보를 수신하며 개인화 경로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부(130)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인터페이스 제공부(115)는 개인화 경로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선택입력을 수신한 경우 경로 생성부(113)를 활성화하며, 출발지 정보와 목적지 정보를 경로 생성부(113)에 제공할 수 있다.
이후, 경로 생성부(113)는 개인화 경로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사용자의 이동 경로를 추적하면서 개인화 경로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우선, 경로 생성부(113)는 출발지 정보 수신시 위치정보 제공부(111)와 연동하여 위치변화에 따른 이동속도를 측정하며, 측정된 이동속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속도 이하인 경우 도보로 판단하여 도보 경로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후, 경로 생성부(113)는 위치정보 제공부(111)와 연동하여 측정되는 위치 변화를 기초로 사용자가 출발지에서 이동하여 버스 정류장이나 지하철 정류장에 도착하여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 위치변화가 없거나 사용자가 버스 또는 지하철에 탑승하여 속도가 갑자기 증가함에 따라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속도 변화가 미리 설정된 기준 속도를 초과하는 경우가 발생한 승차 시점을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경로 생성부(113)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승차 시점의 위치를 기준으로 지도정보를 참조하여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각 인접 정류장을 식별하고, 대중교통 정보 제공부(112)와 연동하여 각 인접 정류장에 대응되는 노선번호 정보를 메모리부(140)로부터 추출하여 출력부(130)를 통해 출력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다음, 경로 생성부(113)는 노선번호 정보 중 사용자 선택에 따라 선택된 선택 노선번호 정보에 포함된 노선정보를 기초로 노선정보에 포함된 정류장과 일치하는 인접 정류장을 승차 정류장으로 하여 승차 정류장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경로 생성부(113)는 버스 또는 지하철에 탑승하여 이동 중인 사용자에 대하여 위치정보 제공부(111)로부터 제공되는 위치정보를 기초로 노선정보에 따른 경로와 현재 위치정보에 따른 이동경로에 차이가 발생하는 시점을 하차로 판단하여, 해당 시점에서 노선정보에 포함된 정류장 중 위치정보 제공부(111)를 통해 측정된 현재 위치와 가장 인접한 정류장을 하차 정류장 정보로 생성할 수 있다.
이때, 경로 생성부(113)는 통신부(160)를 통해 정류장에 설치된 AP(Access Point)로부터 승차 정류장 정보 및 하차 정류장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또한, 대중교통 정보 제공부(112)는 대중교통 수단별 운행정보를 제공하며, 경로 생성부(113)는 위치정보와 대중교통 수단별 운행정보를 기초로 승차 정류장 및 하차 정류장을 판단하여 승차 정류장 정보 및 하차 정류장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더하여, 경로 생성부(113)는 상술한 구성에서 승차로 판단된 승차 시점에 위치정보 제공부(111)를 통해 제공되는 위치정보를 누적 저장하여 이동경로를 산출할 수 있으며, 대중교통 정보 제공부(112)를 통해 제공되는 각 노선번호 정보의 노선 정보 중 위치정보 제공부(111)를 통해 제공되는 위치정보를 누적하여 산출된 이동경로 정보와 일치되는 노선 정보에 대응되는 노선번호 정보를 자동 선택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경로 생성부(113)는 사용자 장치(100)에 노선번호 정보를 제공할 필요없이, 자동으로 사용자의 이동경로와 일치되는 노선번호를 선택하여 선택 노선번호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경로 생성부(113)는 하차 정류장 정보 생성시 승차 정류장 정보와 함께 선택 노선번호 정보에 매칭하여 승차 정류장 정보, 하차 정류장 정보 및 선택 노선번호 정보를 포함하는 단위 경로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후, 경로 생성부(113)는 위치정보 제공부(111)를 통해 제공되는 위치정보를 기초로 목적지에 도착하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자의 이동이 지속되는 경우 상술한 구성에 따라 다른 도보 경로정보 또는 다른 단위 경로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경로 생성부(113)는 위치정보 제공부(111)를 통해 제공되는 위치정보를 기초로 목적지에 도착한 경우 하나 이상의 도보 경로정보 및 단위 경로정보를 생성 순서에 따라 연결하여 출발지 정보 및 목적지 정보에 따른 출발지와 목적지 사이의 경로에 대한 개인화 경로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를 메모리부(140)에 저장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경로 추천부(114)는 경로 제공부(116)의 활성화시 경로 제공부(116)에 의해 활성화되며, 경로 제공부(116)로부터 출발지 정보와 목적지 정보를 수신하여 출발지 정보 및 목적지 정보에 대응되는 개인화 경로정보를 추출하여 경로 제공부(116)를 통해 다른 추천 경로와 함께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로 생성 지원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사용자의 위치를 자동으로 추적하면서 사용자의 이동경로에 최적화된 개인화 경로정보를 자동 생성할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구성에서 경로 추천부(114)는 메모리부(140)에 저장된 각 개인화 경로정보의 사용여부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메모리부(140)에 저장된 각 개인화 경로정보의 사용빈도를 측정 및 누적 저장한 후 사용빈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상인 개인화 경로정보를 추출하여 추천 경로정보로 메모리부(140)에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경로 제공부(116)는 추천 경로정보로 메모리부(140)에 저장된 개인화 경로정보를 출발지 정보 및 목적지 정보 수신시 다른 추천 경로와 함께 추천 경로로서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경로 제공부(116)는 추천 경로로 저장된 개인화 경로정보를 다른 추천 경로정보에 우선하여 제공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경로 생성부(113)는 개인화 경로정보 생성 완료시 생성된 개인화 경로정보를 출력부(130)에 출력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하여 개인화 경로정보의 구체적인 내용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경로 생성부(113)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한 사용자 입력정보를 수신하여, 개인화 경로정보에 포함된 단위 경로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삭제하거나 선택 노선번호 정보와 승차 정류장 정보 및 하차 정류장 정보를 변경하기 위한 편집정보를 수신하여 편집정보를 기초로 개인화 경로정보를 변경하여 메모리부(140)에 저장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다양한 장치 및 구성부는 하드웨어 회로(예를 들어, CMOS 기반 로직 회로), 펌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전기적 구조의 형태로 트랜지스터, 로직게이트 및 전자회로를 활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로 생성 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한 순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장치(100)와 통신하는 경로 생성 지원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사용자 장치(100)로부터 출발지 정보 및 목적지 정보를 수신하여 출발지와 목적지 사이의 경로 생성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사용자 장치(100)로 제공할 수 있다(S1).
이후, 경로 생성 지원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지도정보를 참조하여 출발지를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 있는 각 인접 정류장을 거치는 하나 이상의 대중교통 수단별 노선번호에 대한 노선번호 정보를 사용자 장치(100)에 전송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S2).
다음, 경로 생성 지원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노선번호 정보 중 선택된 선택 노선번호 정보에 포함된 노선정보에 따라 인접 정류장 중 승차 정류장에 대한 승차 정류장 정보 및 목적지에 가장 인접한 하차 정류장에 대한 하차 정류장 정보를 생성한 후(S3) 선택 노선번호 정보와 매칭하여 단위 경로정보로 생성할 수 있다(S4).
이때, 경로 생성 지원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하차 정류장에서 목적지까지의 도보 이동에 따른 거리 또는 시간을 측정하여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상인 경우(S5) 기준치 미만을 만족할 때까지 서로 다른 하차 정류장을 출발지로 하는 하나 이상의 추가 단위 경로정보를 순차 생성한 후(S6) 단위 경로정보에 이어 순차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S7).
이에 따라, 경로 생성 지원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단위 경로정보 및 추가 단위 경로정보를 통해 연결되지 않은 나머지 경로를 도보를 기준으로 연산한 하나 이상의 도보 경로정보로 생성하여(S8) 출발지 정보 및 목적지 정보에 따른 출발지와 목적지 사이의 경로에 대한 개인화 경로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S9), 개인화 경로정보를 다른 추천 경로와 함께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로 생성 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며,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당해 분야의 컴퓨터 프로그래머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정보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고, 컴퓨터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치, 서비스 제공 장치 등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경로 생성 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
정보저장매체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및 캐리어 웨이브 매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로 생성 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을 구현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은 사용자 장치, 서비스 제공 장치의 내장 메모리에 저장 및 설치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로 생성 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을 구현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 및 설치한 스마트 카드 등의 외장 메모리가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 장치, 서비스 제공 장치에 장착될 수도 있다.
전술된 내용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경로요청에 따라 추천하는 경로 중 사용자가 원하는 경로가 없는 경우 사용자 자신이 알고 있는 최적의 경로를 사용자가 직접 생성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이를 통해 생성된 개인화된 경로를 추천 경로와 함께 제공하여 최적의 경로로 안내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동시에 대중교통을 이용한 다양한 경로 제공이 가능하여 경로 제공의 확장성을 보장하기 위한 것으로서, 내비게이션 시스템,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 LBS 기반 시스템 등과 같은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100: 사용자 장치 200: 경로 생성 지원 서비스 제공 장치.
210: 위치정보 제공부 220: 대중교통 정보 제공부
230: 경로 생성부 240: 경로 추천부

Claims (10)

  1. 출발지와 목적지 사이의 경로 생성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제공부;
    미리 저장된 지도정보 및 대중교통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출발지를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 있는 각 인접 정류장에 정차하는 하나 이상의 대중교통 수단별 노선번호 정보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하는 대중교통 정보 제공부; 및
    상기 노선번호 정보 중 선택된 선택 노선번호 정보에 포함된 노선정보와 상기 인접 정류장 및 목적지에 기반하여 승차 정류장 정보 및 하차 정류장 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선택 노선번호 정보와 매칭하여 생성되는 단위 경로정보를 하차 정류장에서 상기 목적지까지 도보를 기준으로 측정된 거리 또는 시간이 미리 설정된 기준치 미만을 만족할 때까지 하나 이상 순차 생성하고, 상기 각 단위 경로정보를 제외한 나머지 단위 경로를 도보 경로정보로 생성한 후 상기 각 단위 경로정보와 도보 경로정보를 이용하여 출발지와 목적지 사이의 경로에 대한 개인화 경로정보를 생성하는 경로 생성부를 포함하는 경로 생성 지원 서비스 제공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경로 생성부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한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상기 개인화 경로정보에 포함된 단위 경로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삭제하거나 상기 선택 노선번호 정보와 승차 정류장 정보 및 하차 정류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기 위해 생성된 편집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편집정보를 기초로 상기 개인화 경로정보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생성 지원 서비스 제공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개인화 경로정보의 생성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제공된 사용자 장치의 개인정보에 상기 개인화 경로정보를 매칭 저장하고, 상기 출발지와 목적지를 선택한 사용자 장치 및 복수의 타사용자 장치로 상기 개인화 경로정보를 제공하는 경로 추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생성 지원 서비스 제공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경로 추천부는 상기 사용자 장치 및 복수의 타사용자 장치로부터 상기 개인화 경로정보의 사용여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빈도를 측정하고, 사용빈도가 미리 설정된 수치 이상인 경우 상기 개인화 경로정보를 상기 출발지와 목적지를 선택한 사용자 장치에 대하여 다른 경로에 우선하여 추천 경로정보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생성 지원 서비스 제공 장치.
  5.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판단하여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위치정보 제공부;
    출발지와 목적지 사이의 개인화 경로정보 생성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제공부;
    지도정보를 참조하여 각 정류장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대중교통 수단별 노선번호 정보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하는 대중교통 정보 제공부; 및
    상기 위치정보의 변화를 기초로 미리 설정된 속도 이하인 경우 도보로 판단하여 도보 경로정보를 생성하고,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 위치변화가 없거나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속도 변화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상인 경우가 발생한 시점에서 상기 대중교통 정보 제공부를 통해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범위 내의 각 인접 정류장에 대응되는 노선번호 정보 중 선택된 선택 노선번호 정보에 포함된 노선 정보와 상기 위치정보를 통해 승차 정류장 및 하차 정류장을 판단하여 상기 선택 노선번호 정보와 매칭한 단위 경로정보를 생성하며, 서로 다른 상기 도보 경로정보 및 단위 경로정보를 생성순서에 따라 연결하여 상기 개인화 경로정보를 자동 생성하는 경로 생성부를 포함하는 경로 생성 지원 서비스 제공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경로 생성부는 상기 시점에서 측정된 현재 위치와 가장 인접한 인접 정류장 중 상기 노선정보에 포함된 정류장에 대한 승차 정류장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노선정보에 따른 경로와 상기 위치정보에 따른 이동경로에 차이가 발생하는 시점에 상기 노선정보에 포함된 정류장 중 상기 위치정보 제공부를 통해 제공된 위치와 가장 인접한 정류장을 하차 정류장 정보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생성 지원 서비스 제공 장치.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경로 생성부는 정류장에 설치된 AP를 통해 상기 승차 정류장 정보 및 하차 정류장 정보 중 어느 하나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생성 지원 서비스 제공 장치.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대중교통 정보 제공부는 대중교통 수단별 운행정보를 제공하며,
    상기 경로 생성부는 상기 위치정보와 대중교통 수단별 운행정보를 기초로 상기 승차 정류장 정보 및 하차 정류장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생성 지원 서비스 제공 장치.
  9.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경로 생성부는 상기 시점에서 상기 대중교통 정보 제공부를 통해 제공되는 각 노선번호 정보의 노선 정보 중 상기 위치정보 제공부를 통해 제공되는 위치정보를 기초로 산출된 이동경로 정보와 일치되는 노선 정보에 대응되는 노선번호 정보를 자동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생성 지원 서비스 제공 장치.
  10. 경로 생성 지원 서비스 제공 장치가 사용자 장치로 출발지와 목적지 사이의 경로 생성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경로 생성 지원 서비스 제공 장치가 지도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출발지를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 있는 각 인접 정류장을 거치는 하나 이상의 대중교통 수단별 노선번호 정보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하는 단계;
    상기 노선번호 정보 중 선택된 선택 노선번호 정보에 포함된 노선정보와 인접 정류장 및 목적지에 기반하여 승차 정류장 정보 및 하차 정류장 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선택 노선번호 정보와 매칭하여 생성되는 단위 경로정보를 하차 정류장에서 상기 목적지까지 도보를 기준으로 측정된 거리 또는 시간이 미리 설정된 기준치 미만을 만족할 때까지 하나 이상 순차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경로 생성 지원 서비스 제공 장치가 상기 각 단위 경로정보를 제외한 나머지 단위 경로를 도보 경로정보로 생성한 후 상기 각 단위 경로정보와 도보 경로정보를 이용하여 출발지와 목적지 사이의 경로에 대한 개인화 경로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경로 생성 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150013317A 2015-01-28 2015-01-28 경로 생성 지원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21740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3317A KR102174087B1 (ko) 2015-01-28 2015-01-28 경로 생성 지원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US14/967,042 US9958281B2 (en) 2015-01-28 2015-12-11 Service providing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creation of rout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3317A KR102174087B1 (ko) 2015-01-28 2015-01-28 경로 생성 지원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2660A true KR20160092660A (ko) 2016-08-05
KR102174087B1 KR102174087B1 (ko) 2020-11-04

Family

ID=56434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3317A KR102174087B1 (ko) 2015-01-28 2015-01-28 경로 생성 지원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958281B2 (ko)
KR (1) KR10217408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9361A (ko) * 2017-09-12 2019-04-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컴퓨팅 디바이스
KR20200136235A (ko) * 2019-05-27 2020-12-07 주식회사 위드라이브 사용자 이동 경로에 기반한 이동 수단 식별 방법 및 시스템
KR102192724B1 (ko) * 2020-03-16 2020-12-17 포티투닷 주식회사 경로 안내 방법
KR20230035158A (ko) * 2021-09-03 2023-03-13 현대오토에버 주식회사 캠퍼스 모빌리티 통합 관리 플랫폼
US11927451B2 (en) * 2018-10-04 2024-03-12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Route search device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4087B1 (ko) * 2015-01-28 2020-11-04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경로 생성 지원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US9702724B2 (en) 2015-06-06 2017-07-11 Apple Inc. Mapping application with transit mode
US10514271B2 (en) 2015-06-06 2019-12-24 Apple Inc. Mapping application with transit mode
US10094675B2 (en) * 2015-06-07 2018-10-09 Apple Inc. Map application with transit navigation mode
US10302442B2 (en) 2015-06-07 2019-05-28 Apple Inc. Transit incident reporting
CN105405088A (zh) * 2015-10-20 2016-03-16 京东方光科技有限公司 一种公交信息的交互方法、装置及系统
US10650621B1 (en) 2016-09-13 2020-05-12 Iocurrents, Inc. Interfacing with a vehicular controller area network
JP6852391B2 (ja) * 2016-12-27 2021-03-31 株式会社リコー 乗車案内システム、乗車案内方法、情報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US10692023B2 (en) * 2017-05-12 2020-06-2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ersonal travel assistance system and method for traveling through a transport hub
JP2019164562A (ja) * 2018-03-19 2019-09-26 株式会社リコー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情報提供方法及び表示装置
CN110166939B (zh) * 2018-05-10 2022-03-04 腾讯大地通途(北京)科技有限公司 公共交通站点判断方法及装置
CN113096426B (zh) * 2021-03-29 2021-11-05 紫清智行科技(北京)有限公司 一种共享型自动驾驶车辆的派车调度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2633A (ko) * 2000-05-02 2001-11-16 이창희 버스노선 db를 이용한 실시간 노선 안내 및 약도 전송및 찾기.
US6421606B1 (en) * 1999-08-17 2002-07-16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Route guiding apparatus and medium
KR20060098732A (ko) * 2005-03-07 2006-09-19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경험적 경로를 이용한 네비게이션 시스템 및 그 선택 방법
KR100856902B1 (ko) 2006-12-26 2008-09-05 에스케이에너지 주식회사 대중교통 경로탐색 방법
US7957871B1 (en) * 2005-09-29 2011-06-07 Hopstop.com, Inc. Methods and apparatuses for navigation in urban environment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151668A4 (en) * 2007-05-23 2013-04-24 Navitime Japan Co Ltd NAVIGATION SYSTEM, ROUTE EXTRACTION SERVER AND MOBILE TERMINAL DEVICE AND ROUTE GUIDING METHOD
US9911088B2 (en) * 2014-05-01 2018-03-0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Optimizing task recommendations in context-aware mobile crowdsourcing
US10274330B2 (en) * 2014-12-30 2019-04-30 Here Global B.V.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navigation route
KR102174087B1 (ko) * 2015-01-28 2020-11-04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경로 생성 지원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21606B1 (en) * 1999-08-17 2002-07-16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Route guiding apparatus and medium
KR20010102633A (ko) * 2000-05-02 2001-11-16 이창희 버스노선 db를 이용한 실시간 노선 안내 및 약도 전송및 찾기.
KR20060098732A (ko) * 2005-03-07 2006-09-19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경험적 경로를 이용한 네비게이션 시스템 및 그 선택 방법
US7957871B1 (en) * 2005-09-29 2011-06-07 Hopstop.com, Inc. Methods and apparatuses for navigation in urban environments
KR100856902B1 (ko) 2006-12-26 2008-09-05 에스케이에너지 주식회사 대중교통 경로탐색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9361A (ko) * 2017-09-12 2019-04-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컴퓨팅 디바이스
US10990097B2 (en) 2017-09-12 2021-04-27 Lg Electronics Inc. Computing device
US11927451B2 (en) * 2018-10-04 2024-03-12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Route search device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KR20200136235A (ko) * 2019-05-27 2020-12-07 주식회사 위드라이브 사용자 이동 경로에 기반한 이동 수단 식별 방법 및 시스템
KR102192724B1 (ko) * 2020-03-16 2020-12-17 포티투닷 주식회사 경로 안내 방법
KR20230035158A (ko) * 2021-09-03 2023-03-13 현대오토에버 주식회사 캠퍼스 모빌리티 통합 관리 플랫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216126A1 (en) 2016-07-28
US9958281B2 (en) 2018-05-01
KR102174087B1 (ko) 2020-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92660A (ko) 경로 생성 지원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US2015007013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boarding of a means of transport
US9886702B2 (en) Method of creating and joining social group, user device for executing the method, server, and storage medium
CN103081525B (zh) 使用预测的位置来访问网络连接信息的方法和装置
CN109556621B (zh) 一种路线规划的方法及相关设备
KR102222250B1 (ko) 참조 지점을 이용한 경로 안내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JP2020056739A (ja) 経路探索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09489674B (zh) 基于位置确定路段的方法、装置及存储介质
KR100709750B1 (ko) 위치 정보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220006992A (ko) 알고리즘 기반의 여행 스케줄링 최적화 방법 및 장치
JP2006349595A (ja) 経路案内システム
KR20160079761A (ko) 위치정보기반의 여행정보 공유/추천 서비스 시스템
KR20160002446U (ko) 위치정보기반의 여행정보 공유/추천 서비스 장치
KR20140027820A (ko) 네비게이션을 이용한 관광 정보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KR101208441B1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대중교통 환승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190000066A (ko) 사용자 위치 기반 여행지 이동 경로 정보 제공 서버 및 그 방법
JP2019074780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2013088204A (ja)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ナビゲーション方法、及びナビゲーションプログラム
JP2008190899A (ja) 待合せ場所決定システム、待合せ場所決定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50116928A (ko) 다자간 최적의 만남 장소를 설정하기 위한 방법, 장치, 및 기록 매체
JP5564525B2 (ja) 経路案内装置、経路案内方法および経路案内用プログラム
KR20160015421A (ko) 위치정보기반의 여행정보 공유/추천 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여행정보 공유/추천 서비스 방법
JP6712208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60018940A (ko) 주변 정류장 안내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1587976B1 (ko) 위치인식 기반의 동영상 길안내 서비스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