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7820A - 네비게이션을 이용한 관광 정보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네비게이션을 이용한 관광 정보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7820A
KR20140027820A KR1020120093899A KR20120093899A KR20140027820A KR 20140027820 A KR20140027820 A KR 20140027820A KR 1020120093899 A KR1020120093899 A KR 1020120093899A KR 20120093899 A KR20120093899 A KR 20120093899A KR 20140027820 A KR20140027820 A KR 201400278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destination
user terminal
recommended
driving rou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38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은경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938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27820A/ko
Publication of KR201400278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78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07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C21/343Calculating itineraries, i.e. routes leading from a starting point to a series of categorical destinations using a global route restraint, round trips, touristic trip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97Output of additional, non-guidance related information, e.g. low fuel leve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4Travel agenc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광 정보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목적지까지의 주행 경로 설정 후 사용자가 목적지에 도착하게 되면, 사용자의 체류 시간을 고려하여 추천 관광 정보를 제공하거나 추천 관광지를 경유할 수 있는 주행 경로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네비게이션을 이용한 관광 정보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관광 정보 제공 시스템은 네비게이션 기능 활성화에 따라 현재 위치 정보, 목적지 정보, 체류 시간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서비스 장치로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현재 위치 정보 및 목적지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목적지까지의 주행 경로를 산출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목적지에 도착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목적지에서의 추천 관광 정보를 추출하되, 상기 추천 관광 정보의 관광 소요 시간의 합이 상기 체류 시간 이내가 되도록 추천 관광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서비스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네비게이션을 이용한 관광 정보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Method for providing traveling information using navigation, apparatus and system for the same}
본 발명은 관광 정보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목적지까지의 주행 경로 설정 후 사용자가 목적지에 도착하게 되면, 사용자의 체류 시간을 고려하여 추천 관광 정보를 제공하거나 추천 관광지를 경유할 수 있는 주행 경로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네비게이션을 이용한 관광 정보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동 수단이 발달하면서 목적하는 특정 지역으로의 이동 시간이 매우 단축되고 있다. 그리고 최근에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동 수단에 장착하고 사용자가 현재 위치 및 목적지를 입력하면 현재위치로부터 목적지까지의 최적 주행 경로를 산출하여 사용자에게 이미지 및 음성으로 제공하는 네비게이션(Navigation) 서비스가 대중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네비게이션 서비스는 사용자가 네비게이션 서비스를 지원하는 단말기를 통해, 경로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센터에 접속하고, 현재 위치 정보 및 목적지를 상기 정보 센터로 전송하면, 정보 센터에서 사용자의 현재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목적지까지의 지도 정보, 교통 정보, 기상 정보 등 다양한 요인들을 고려하여 최적의 주행 경로를 산출한 후 사용자의 단말기로 제공하게 된다.
정보 센터로부터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 단말기는 수신한 각 데이터 코드에 해당하는 음성, 이미지, 지도 등을 추출하여 음성으로 송출하거나 화면에 표시함으로써 경로 안내를 수행하게 되는 데, 최근에는 이러한 네비게이션 서비스를 지원하는 단말기를 통해 경로 안내를 제공받는 것과 동시에 다른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요구들이 증가하고 있다.
일례로, 최근에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서비스와 네비게이션 서비스를 결합하여 하나의 화면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등 네비게이션 서비스와 다양한 서비스를 접목하고자 하는 시도들이 증가하고 있으나, 아직까지 네비게이션 서비스와 관광 안내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방법은 존재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제기되어 왔다.
한국공개특허 10-2005-0015128, 2005년 02월 21일 공개 (명칭: 네비게이션의 지역 정보 자동 안내 시스템 및 그 안내 방법)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특히 네비게이션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관광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네비게이션을 이용한 관광 정보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목적지까지의 주행 경로를 사용자에게 제공한 이후에, 상기 사용자가 목적지에 도착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사용자의 목적지에서의 체류 시간을 고려하여 추천 관광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네비게이션을 이용한 관광 정보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에게 주행 경로 제공 시 인근에 추천 관광지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추천 관광지를 경유하는 주행 경로를 제공할 수 있는 네비게이션을 이용한 관광 정보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관광 정보 제공 시스템은 네비게이션 기능 활성화에 따라 현재 위치 정보, 목적지 정보, 체류 시간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서비스 장치로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 및 사용자 단말로부터 현재 위치 정보 및 목적지 정보가 수신되면, 목적지까지의 주행 경로를 산출하여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이 목적지에 도착한 것으로 확인되면, 목적지에서의 추천 관광 정보를 추출하되, 추천 관광 정보의 관광 소요 시간의 합이 체류 시간 이내가 되도록 추천 관광 정보를 추출하여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서비스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서비스 장치는 사용자 단말과 정보를 송수신하는 서비스 통신부; 및 사용자 단말로부터 현재 위치 정보, 목적지 정보, 체류 시간 정보 중 어느 하나가 수신되면, 목적지까지의 주행 경로를 산출하여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이 목적지에 도착한 것으로 확인되면, 목적지에서의 추천 관광 정보를 추출하되, 추천 관광 정보의 관광 소요 시간의 합이 체류 시간 이내가 되도록 추천 관광 정보를 추출하여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서비스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서비스 제어부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주기적으로 전달되는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현재 위치 정보가 목적지 정보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이면, 사용자 단말이 목적지에 도착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장치는 사용자 단말로 제공되는 주행 경로를 누적하여 저장하는 서비스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서비스 제어부는 목적지 정보에 대응하여 기 저장된 추천 관광 정보가 다수 존재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의 누적된 주행 경로를 기초로 사용자의 관심 사항을 파악한 후, 관심 사항을 중심으로 추천 관광 정보를 추출할 수도 있다.
또한, 서비스 제어부는 사용자 단말로 추천 관광 정보를 전송한 이후에, 사용자 단말로부터 추천 관광 정보에 대한 선택 입력이 수신되면, 목적지에서 추천 관광지까지의 주행 경로를 산출하여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서비스 장치는 사용자 단말과 정보를 송수신하는 서비스 통신부; 및 사용자 단말로부터 현재 위치 정보, 목적지 정보, 체류 시간 정보 중 어느 하나가 수신되면, 목적지까지의 주행 경로를 산출하되, 주행 경로 인근에 추천 관광지가 존재하는 경우, 총 주행 시간이 체류 시간 이내가 되도록 추천 관광지를 경유하는 주행 경로를 산출하여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서비스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네비게이션을 이용한 관광 정보 제공 방법은 서비스 장치가 사용자 단말로부터 현재 위치 정보, 목적지 정보, 목적지에서의 체류 시간 정보 중 어느 하나를 수신하는 단계; 서비스 장치가 목적지까지의 주행 경로를 산출하여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사용자 단말이 목적지에 도착한 것으로 확인되면, 서비스 장치가 추천 관광 정보의 관광 소요 시간의 합이 체류 시간 이내가 되도록 목적지 정보에 대응하여 기 저장된 추천 관광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뤄질 수 있다.
이때, 추천 관광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는 목적지 정보에 대응하여 기 저장된 추천 관광 정보가 다수 존재하는 경우, 서비스 장치가 사용자 단말에 대응하여 기 저장된 누적 주행 경로를 기초로 사용자의 관심 사항을 파악하는 단계; 및 서비스 장치가 파악된 관심 사항을 중심으로 추천 관광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뤄질 수 있다.
또한, 추천 관광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이후에, 서비스 장치가 추출된 추천 관광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서비스 장치가 사용자 단말로부터 추천 관광 정보에 대응하는 선택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서비스 장치가 목적지에서 추천 관광지까지의 주행 경로를 산출하여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뤄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네비게이션을 이용한 관광 정보 제공 방법은 서비스 장치가 사용자 단말로부터 현재 위치 정보, 목적지 정보, 목적지에서의 체류 시간 정보 중 어느 하나를 수신하는 단계; 서비스 장치가 목적지까지의 1차 주행 경로를 산출하는 단계; 서비스 장치가 1차 주행 경로 인근에 추천 관광지가 존재하는 지 판단하는 단계; 1차 주행 경로 인근에 추천 관광지가 존재하는 경우, 서비스 장치가 총 주행 시간이 체류 시간 이내가 되도록 추천 관광지를 경유하는 2차 주행 경로를 산출하는 단계; 및 서비스 장치가 산출된 2차 주행 경로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뤄질 수도 있다.
추가로 본 발명은 상술한 네비게이션을 이용한 관광 정보 제공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네비게이션을 이용한 관광 정보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에 의하면, 네비게이션 서비스와 관광 안내 서비스를 접목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네비게이션을 이용하는 사용자에게 새로운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여 사용자 편의를 높일 수 있다.
특히, 사용자가 목적지에 도착하면 목적지에서의 사용자의 체류 시간 및 사용자의 관심 사항을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적합한 추천 관광 정보를 제공할 수 있어, 관광을 목적으로 주행 중인 사용자의 편의를 높일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네비게이션을 이용한 관광 정보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에 의하면, 목적지까지의 주행 경로를 산출 시 인근의 추천 관광지가 존재하는 경우, 추천 관광지를 경유하는 주행 경로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효율적인 관광 일정 수립에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네비게이션을 이용한 관광 정보 제공 시스템의 주요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장치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네비게이션을 이용한 관광 정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데이터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네비게이션을 이용한 관광 정보 제공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네비게이션을 이용한 관광 정보 제공 방법에 대한 화면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네비게이션을 이용한 관광 정보 제공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핵심을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또한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뿐, 상기 구성요소들을 한정하기 위해 사용되지 않는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네비게이션을 이용한 관광 정보 제공 시스템의 주요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관광 정보 제공 시스템(100)은 네비게이션 기능을 지원하는 사용자 단말(10) 및 서비스 장치(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10) 및 서비스 장치(20) 사이의 정보의 송수신을 위한 통신망(3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관광 정보 제공 시스템(100)은 기본적으로 사용자에게 주행 경로를 제공하는 것과 동시에 추천 관광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때 추천 관광 정보는 목적지에서의 체류 시간을 고려하여 제공하거나 주행 경로 설정 시 추천 관광지를 경유하는 주행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관광 정보 제공 시스템(100)의 주요 구성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사용자 단말(100)은 통신부를 이용하여 통신망(30)에 연결되고, 통신망(30)과 연결된 서비스 장치(20)에 접속하여, 서비스 장치(20)가 제공하는 관광 정보 제공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이때의 사용자 단말(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관광 정보 제공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기 저장된 네비게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사용자로부터 목적지 정보가 입력되면, 현재 위치 정보 및 목적지 정보를 서비스 장치(20)로 전송한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10)은 바람직하게는 사용자 단말(10)의 식별 정보를 더 서비스 장치(20)로 전송하고, 서비스 장치(20)는 상기 사용자가 인가된 사용자인지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도 있으나,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서비스 장치(20)에 접속하고자 하는 사용자 단말(10)은 모두 인가된 사용자 인 것을 가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이후, 사용자 단말(10)은 서비스 장치(20)로부터 주행 경로 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 단말(10a)에 기 저장된 지도 정보와 매핑하여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주행 경로 안내를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0)은 주행 경로를 출력하여 안내를 수행할 수 있는 네비게이션 상에서 서비스 장치(20)로부터 수신한 추천 관광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지원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10)은 입력된 목적지 정보를 서비스 장치(20)로 전송 시 상기 목적지에서의 체류 시간 정보의 입력을 사용자에게 요청하고, 사용자로부터 체류 시간 정보가 입력되면, 체류 시간 정보도 함께 서비스 장치(20)로 전송하게 된다.
이후, 서비스 장치(20)로부터 목적지에서의 체류 시간을 고려한 추천 관광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는 데, 예컨대, A 지역에 사용자가 4시간 체류할 예정일 경우, 서비스 장치(20)는 4시간 동안 관광하기에 적합한 추천 관광 정보를 사용자 단말(10)로 전송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 단말(10)은 주행 경로에 대응하여 주행 가능한 체류 시간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데, 예컨대, 서울에서 출발하여 부산까지 주행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주행 가능한 체류 시간 정보로, "월요일 오전 9시 출발, 일요일 오후 9시 도착"으로 입력하는 경우, 서비스 장치(20)는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총 체류 시간 정보를 산출하고, 인근 추천 관광지를 경유하는 상기 체류 시간 내의 주행 경로를 설정하여 사용자 단말(10)로 제공할 수도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사용자 단말(10)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사용자 단말(10)은 스마트 폰(smart phone), 타블렛 PC(Tablet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Player 등의 이동 단말기는 물론, 스마트 TV(Smart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가 사용될 수 있으며, 지도 데이터를 통해 사용자에게 주행 경로를 표시하고, 네비게이션 시스템 상에 관광 정보를 출력할 수 있는 장치라면, 그 어떠한 장치도 본 발명의 사용자 단말(10)로 적용 가능하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지원하는 서비스 장치(20)는 사용자 단말(10)과 통신 채널을 형성한 후, 사용자 단말(10)로부터 현재 위치 정보, 목적지 정보를 수신하게 되면, 사용자 단말(10)의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목적지까지의 주행 경로를 탐색하여 설정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10)로 전송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서비스 장치(20)는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체류 시간 정보를 더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체류 시간 정보는 목적지에서의 체류 시간 정보가 될 수 있으며, 총 주행 가능한 시간 정보가 될 수도 있다.
먼저, 사용자 단말(10)로부터 목적지에서의 체류 시간 정보를 수신한 경우, 서비스 장치(20)는 상기 사용자 단말(10)이 목적지에 도착하였는지를 주기적으로 수신하는 위치 정보를 기초로 확인하게 된다.
이후, 상기 사용자 단말(10)이 목적지에 도착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목적지에서의 추천 관광 정보를 추출하게 되는 데, 이때 추출된 추천 관광 정보의 총 관광 소요 시간의 합이 체류 시간 이내가 되도록 추천 관광 정보를 추출하게 된다.
예컨대,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수신된 목적지에서의 체류 시간이 4시간일 경우, 서비스 장치(20)는 관광 소요 시간이 3시간인 제1 추천 관광 정보와 관광 소요 시간이 1시간인 제2 추천 관광 정보를 사용자 단말(10)로 전송할 수 있다.
반면, 체류 시간 정보가 총 주행 가능한 시간 정보가 될 경우, 사용자 단말(10)로부터 현재 위치 정보 및 목적지 정보와 더불어 총 주행 가능한 시간 정보인 체류 시간 정보를 수신하게 되면, 서비스 장치(20)는 목적지까지의 주행 경로 산출 시 인근의 추천 관광지 정보를 포함하여 주행 경로를 산출하고, 이때의 총 주행 시간이 상기 수신한 체류 시간 이내가 되도록 주행 경로를 산출하게 된다.
예컨대, 사용자 단말(10)의 현재 위치가 서울이고, 목적지 정보가 부산이면, 서울에서 부산까지의 주행 경로를 산출 시 인근의 추천 관광지 정보를 포함하여 주행 경로를 산출하고, 이때의 총 주행 시간이 수신한 체류 시간, 예컨대 7박 8일일 경우, 상기 체류 시간을 고려하여 주행 경로를 산출하게 된다.
또한, 서비스 장치(20)는 사용자 단말(10)에 대응하여 기 전송된 주행 경로를 누적하여 저장하고 있을 경우, 추천 관광 정보가 다수 존재할 경우, 기존의 누적 주행 경로를 확인하여 사용자의 관심 사항을 파악하고, 이를 고려하여 추천 관광 정보를 추출할 수도 있다.
예컨대, 누적된 기존의 주행 경로를 확인한 결과, 사용자가 평소에 산을 목적지로 한 주행 경로가 다수 존재할 경우, 상기 사용자는 산을 좋아하는 사용자라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추천 관광 정보가 "해안 도로 드라이브"와 "속리산 등산"이 있을 경우, "속리산 등산"을 추천 관광 정보를 선택하게 되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인 서비스 장치(20)의 주요 구성 및 동작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하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사용자 단말(10) 및 서비스 장치(20)는 통신망(30)을 통해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송수신하게 되며, 이때의 통신망(30)은 다양한 형태의 통신망이 이용될 수 있다.
예컨대, WLAN(Wireless LAN), 와이파이(Wi-Fi), 와이브로(Wibro), 와이맥스(Wimax),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의 무선 통신 방식 또는 이더넷(Ethernet), xDSL(ADSL, VDSL), HFC(Hybrid Fiber Coaxial Cable), FTTC(Fiber to The Curb), FTTH(Fiber To The Home) 등의 유선 통신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통신 방식 이외에도 기타 널리 공지되었거나 향후 개발될 모든 형태의 통신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0)의 주요 구성 및 동작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0)은 통신부(11), 입력부(12), 오디오 처리부(13), 표시부(14), 저장부(15) 및 제어부(1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각 구성 요소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통신부(11)는 통신망(30)을 통해 서비스 장치(20)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것으로, 예컨대, 서비스 장치(20)로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목적지 정보 및 위치 정보 수집부(미도시)를 통해 주기적으로 수집되는 현재 위치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서비스 장치(20)로부터 사용자의 현재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목적지까지의 주행 경로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1)는 서비스 장치(20)로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체류 시간 정보를 더 전송할 수 있으며, 목적지에 도착 시 서비스 장치(20)로부터 관광 정보를 수신하거나 추천 관광지를 경유하는 주행 경로를 수신할 수도 있다. 이러한 통신부(11)는 정보의 송수신을 위한 다양한 형태의 통신 모듈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입력부(12)는 숫자 및 문자 정보 등의 다양한 정보를 입력 받고, 각종 기능을 설정 및 단말(10)의 기능 제어와 관련하여 입력되는 신호를 제어부(16)로 전달한다. 특히, 본 발명의 입력부(12)는 목적지 정보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지원하며, 이 외에도 체류 시간 정보를 입력하고, 서비스 장치(20)로부터 다수의 추천 관광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특정 관광 정보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입력부(12)는 사용자의 터치 또는 조작에 따른 입력 신호를 발생하는 키패드와 터치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입력부(12)는 후술할 표시부(14)와 함께 하나의 터치패널(또는 터치스크린)의 형태로 구성되어 입력과 표시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12)는 키보드나 키패드와 같은 키 입력 수단, 터치센서나 터치 패드와 같은 터치 입력 수단, 자이로 센서, 지자기 센서, 가속도 센서와 근접 센서, 그리고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제스처 입력 수단 또는 음성 입력 수단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외에도 현재 개발 중이거나 향후 개발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입력 수단이 포함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13)는 전기적인 신호인 음원을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외부로 출력하는 것으로,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오디오 처리부(13)는 네비게이션 기능 수행에 따른 오디오 신호 출력을 지원할 수 있다.
예컨대, 오디오 처리부(13)는 안내음을 포함하는 주행 경로를 수신하는 경우, 해당 안내음 출력되도록 설정된 위치 통과 시 안내음을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처리부(13)는 안내음이 포함되지 않은 주행 경로 출력 시에는 턴-오프될 수 있다. 안내음 포함된 주행 경로 출력 시 오디오 처리부(130)는 주행 경로에 대한 지도 정보 출력 시와 동일하게 오디오 신호 출력을 지원할 수 있다.
표시부(14)는 단말(10)의 기능 수행 중에 발생하는 일련의 동작 상태 및 동작 결과 등에 대한 정보를 표시한다. 특히, 본 발명의 표시부(14)는 네비게이션 기능 수행에 따른 화면을 출력하며, 위치 정보 수집부(미도시)로부터 주기적으로 수집되는 위치 정보를 네비게이션을 통해 출력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주행 경로 등 네비게이션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로부터 체류 시간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메뉴를 표시하고, 서비스 장치(20)로부터 수신되는 관광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광 정보를 사용자가 선택할 경우, 상기 관광 정보에 따라 관광지까지의 주행 경로를 수신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때의, 표시부(15)는 2D 또는 3D의 형태로 상기의 정보들을 출력할 수도 있다.
이러한 표시부(14)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TFT-LCD(Thin Film Transistor LCD),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발광다이오드(LED), AMOLED(Active Matrix Organic 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및 3차원 디스플레이(3 Dimension)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저장부(1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능 동작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을 비롯하여, 그 응용 프로그램 실행 중에 발생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특히, 본 발명의 저장부(15)는 네비게이션 프로그램(15a) 및 지도 정보(15b)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저장부(15)는 크게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 영역은 단말(10)를 부팅시키는 운영체제(OS)와 같은 단말(10) 구동을 위한 관련된 정보들을 저장하며, 데이터 영역은 단말(10)의 사용에 따라 발생되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영역으로, 서비스 장치(20)로부터 수신된 주행 경로를 영구 또는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저장부(15)는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디스크(hard disk),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multimedia card micro) 타입의 메모리(예컨대,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롬(ROM) 등의 저장매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16)는 단말 (10)의 각 구성 요소에 전원 공급 및 기능 수행을 위한 신호의 흐름을 제어하는 것으로, 운영 체제(OS, Operation System) 및 각 구성을 구동시키는 프로세스 장치, 예컨대, 중앙처리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16)는 저장부(15)에 저장된 네비게이션 프로그램(15a)과 지도 정보(15b)를 기반으로 네비게이션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가 입력부(12) 및 입력 기능의 표시부(14)를 이용하여 네비게이션 기능을 지원하기 위해 배치된 아이콘이나 키 버튼을 활성화하면 사용자 단말(10)은 해당 입력 신호에 따라 네비게이션 프로그램(15a)을 활성화하도록 지원한다. 이때 단말(10)의 제어부(16)는 저장부(15)에 저장된 지도 정보(15b)를 표시부(14)에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어부(16)는 통신부(11)를 활성화하여 서비스 장치(20)로의 접속을 수행한다. 이때 제어부(16)는 서비스 장치(20) 요청에 따라 단말(10) 사용자의 식별 정보 또는 인증 정보 등을 제공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후, 입력부(12)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목적지 정보가 입력되면, 입력된 목적지 정보 및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위치 정보 수집부(미도시)를 통해 확인된 현재 위치 정보를 서비스 장치(20)로 전송하는 것을 제어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6)는 서비스 장치(20)로부터 현재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목적지까지의 주행 경로가 수신되면, 이를 저장부(15)에 저장된 지도 정보(15b) 상에 매핑하여 표시부(14)를 통해 출력하는 것을 제어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어부(16)는 사용자로부터 체류 시간 정보가 더 입력되면, 입력된 체류 시간 정보를 통신부(11)를 통해 서비스 장치(20)로 전송하고, 서비스 장치(20)로부터 목적지에서의 추천 관광 정보를 수신하면 수신된 추천 관광 정보를 표시부(14)에 표시하거나, 추천 관광지를 경유하는 주행 경로를 수신하여 표시부(14)에 표시하는 것을 제어하게 된다.
추천 관광 정보를 수신한 제어부(16)는 상기 추천 관광 정보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이 입력되면, 이를 서비스 장치(20)로 전송하고, 서비스 장치(20)로부터 선택된 추천 관광 정보에 대한 주행 경로를 수신하여 이를 표시부(14)에 표시하도록 선택할 수도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10)에서의 보다 더 구체적인 동작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하며, 이 외에도 본 발명의 제어부(16)는 저장부(15)에 저장된 지도 정보(15b)의 버전 정보를 서비스 장치(2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서비스 장치(20)는 수신된 버전 정보를 확인하고, 사용자 단말(10)에 전송할 갱신 정보가 있는 지 확인할 수도 있다. 이때, 갱신할 지도 정보가 있을 경우, 사용자 단말(10)로 갱신될 부분만을 전송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0)의 주요 구성 및 동작 방법에 설명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장치(20)의 주요 구성 및 동작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장치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장치(20)는 서비스 통신부(21), 서비스 제어부(22) 및 서비스 저장부(2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특히 서비스 제어부(22)는 지도 정보 산출 모듈(22a) 및 정보 제공 모듈(22b)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하, 각 구성 요소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서비스 통신부(21)는 통신망(30)을 통해 다수의 사용자 단말(10)과 관련된 정보를 송수신하는 하는 것으로, 예컨대, 사용자 단말(10)로부터 목적지 정보 및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하면, 현재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후술할 서비스 제어부(22)가 산출한 주행 경로를 상기 사용자 단말(10)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서비스 통신부(21)는 사용자 단말(10)로부터 목적지에서의 체류 시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10)이 목적지에 도착한 것으로 확인되면, 목적지에 대응하여 기 저장된 추천 관광 정보를 추출하여 사용자 단말(10)로 전송하게 된다.
서비스 제어부(22)는 본 발명의 서비스 장치(20)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것으로, 특히, 사용자 단말(10)로부터 현재 위치 정보 및 목적지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목적지까지의 주행 경로를 탐색하여 설정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10)로 제공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체류 시간 정보를 더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10)이 목적지에 도착한 것으로 확인되면, 체류 시간 이내에 관광이 이뤄지도록 목적지에서의 추천 관광 정보를 추출하여 사용자 단말(10)로 전송하거나, 체류 시간 이내에 추천 관광지를 경유하는 주행 경로를 산출하여 사용자 단말(1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체류 시간 정보는 목적지에서 사용자가 체류할 수 있는 시간 정보가 될 수 있으며, 주행 경로에 대응하여 총 주행 가능한 시간 정보가 될 수 있다.
먼저, 체류 시간 정보가 목적지에서의 체류할 수 있는 시간 정보인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서비스 제어부(22)는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수신된 현재 위치 정보가 "순천"이고, 목적지 정보가 "여수"이며, "여수"에서의 체류 시간 정보가 9시간이라고 가정한다.
서비스 장치(20)는 사용자 단말(10)로 순천에서 여수까지의 주행 경로를 산출하여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10)이 목적지인 여수에 도착하는 지 모니터링하게 된다. 이때의 모니터링은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주기적으로 수신되는 현재 위치 정보를 기초로 확인이 가능하다.
이후, 사용자 단말(10)이 목적지인 여수에 도착한 것으로 확인되면, 목적지에서의 체류 시간 정보, 즉 9시간 동안 관광할 수 있는 추천 관광 정보를 사용자 단말(10)로 제공하게 된다. 예컨대, "박람회 관광 5시간", "등산 4시간"과 같이 체류 시간 이내에 관광할 수 있는 추천 관광 정보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사용자 단말(10)로 추천 관광 정보를 제공한 이후에,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추천 관광 정보에 대한 선택 입력이 수신되면, 예컨대 "박람회 관광 5시간"에 대한 선택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여수 현재 위치에서, 박람회 입구까지의 주행 경로를 사용자 단말(10)로 더 제공하거나, 박람회 관광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들을 사용자 단말(10)로 제공할 수도 있다.
반면, 체류 시간 정보가 주행 경로에 대응하여 총 주행 가능한 시간 정보인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서비스 제어부(22)는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수신된 현재 위치 정보가 "서울"이고, 목적지 정보가 "부산"이며, 총 주행 가능한 시간이 7박 8일이라고 가정한다.
서비스 장치(20)는 사용자 단말(10)로 서울에서 부산까지의 주행 경로를 산출하되, 총 주행 시간이 체류 시간 이내, 다시 말해 7박 8일 동안 주행 가능하도록 주변 추천 관광지를 확인하고, 추천 관광지를 경유하는 주행 경로를 산출하게 되는 것이다.
이후, 사용자 단말(10)로 추천 관광지를 경유하는 주행 경로를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10)이 추천 관광지에 도착한 것으로 확인되면, 추천 관광지에 대한 관광 안내 정보를 더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서비스 제어부(22)는 사용자 단말(10)로 제공할 추천 관광 정보가 다수 존재하는 경우, 또는 주행 경로 인근의 추천 관광지가 다수 존재하는 경우, 사용자의 관심 사항을 파악하고 관심 사항을 기초로 추천 관광 정보를 추출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후술할 서비스 저장부(23)에 사용자 단말(10)로 기 전송된 주행 경로를 누적하여 저장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서비스 제어부(22)는 누적 주행 경로를 확인하고, 평상시에 사용자가 어떤 장소에 자주 가는 지를 확인할 수 있다. 예컨대, 목적지 정보가 도봉산, 관악산 등 산을 목적지로 한 경우가 다수 존재하는 경우, 사용자는 산에 관심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후, 추천 관광 정보가 산에 있는 절을 가는 코스, 해안 도로를 드라이브하는 코스 등과 같이 다수 존재할 경우, 절을 가는 코스를 우선하여 산출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네비게이션 서비스와 관광 안내 서비스를 접목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네비게이션 사용자에게 새로운 부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또한 사용자가 목적지에 도착하면 목적지에서의 추천 관광 정보를 제공하거나, 추천 관광지를 경유하는 주행 경로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주행 중에 손쉽게 관광 정보를 획득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서비스 제어부(22)는 지도 정보 산출 모듈(22a) 및 정보 제공 모듈(22b)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술한 바와 같이 지도 정보 산출 모듈(22a)은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수신되는 현재 위치 정보 및 목적지 정보를 기초로 수신된 정보들 간의 적어도 하나의 이동 가능한 주행 경로 정보를 산출한다.
정보 제공 모듈(22b)은 상술한 바와 같은 관광 정보 제공과 관련된 일련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장치(20)에 접속하는 사용자 단말(10)들의 정보를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정보 제공 모듈(22b)은 각각의 사용자 단말(10)이 최초 등록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입력하는 사용자 단말(10)의 고유 식별 정보, 사용자 단말(10)의 기기 관련 정보, 주소 정보 등의 다양한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제공 모듈(22b)은 사용자 단말(10)의 접속 요청이 발생하면 사전 저장된 상술한 정보들 중 일부 정보, 예를 들면 고유 식별 정보를 확인하여 사용자 단말(10)의 인증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서비스 저장부(23)는 서비스 장치(20) 운용을 위한 운용 프로그램, 지도 정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0)의 사용자에 대한 정보, 각각의 단말(10)로 기 전송된 주행 경로 등을 저장하고 관리한다. 또한, 위치 정보에 대응하여 추천 관광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게 된다.
또한, 각각의 사용자 단말(10)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여 사용자 정보, 주행 경로 정보 등을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는데, 이때 주행 경로를 임시적으로 저장하고 있는 경우, 상기 단말(10)이 목적지에 도착하면 상기 서비스 저장부(23)에 저장된 주행 경로를 삭제할 수도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장치(20)에 대해 설명하였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서비스 장치(20)는 서버 기반 컴퓨팅 방식 또는 클라우드 방식으로 동작하는 하나 이상의 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 특히, 네비게이션을 이용한 관광 정보 제공 시스템(100)을 통해 송수신되는 정보는 인터넷 상의 클라우드 컴퓨팅 장치에 영구적으로 저장될 수 있는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 기능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클라우드 컴퓨팅은 데스크톱, 태블릿 컴퓨터, 노트북, 넷북 및 스마트폰 등의 디지털 단말기에 인터넷 기술을 활용하여 가상화된 IT(Information Technology) 자원, 예를 들어, 하드웨어(서버, 스토리지, 네트워크 등), 소프트웨어(데이터베이스, 보안, 웹 서버 등), 서비스, 데이터 등을 온 디맨드(On demand) 방식으로 서비스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10)과 서비스 장치(20) 사이에 송수신되는 모든 정보는 인터넷 상의 클라우드 컴퓨팅 장치에 저장되고, 언제 어디서든 전송될 수 있다.
이상으로,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사용자 단말(10) 및 서비스 장치(20)의 주요 구성 요소에 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구성 요소가 모두 필수 구성요소인 것은 아니며,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많은 구성 요소에 의해 각 장치가 구현될 수도 있고, 그 보다 적은 구성 요소에 의해서 각 장치가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에서의 네비게이션을 이용한 관광 정보 제공 방법에 대해 보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네비게이션을 이용한 관광 정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데이터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사용자 단말(10)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목적지 정보와 더불어 현재 위치 정보 및 상기 체류 시간 정보를 서비스 장치(20)로 전송하게 된다(S101).
여기서, 체류 시간 정보는 사용자가 목적지에서 체류할 수 있는 시간 정보가 될 수 있으며, 주행 경로에 대응하여 총 주행 가능한 시간 정보가 될 수 있다.
이후, 서비스 장치(20)는 목적지까지의 주행 경로를 산출하고 사용자 단말(10)로 전송하게 되며, 이때, 사용자 단말(10)이 목적지에 도착한 것으로 확인되면, 목적지에서의 추천 관광 정보를 추출하여 사용자 단말(10)로 전송하거나, 추천 관광지를 경유하는 주행 경로를 사용자 단말(10)로 전송하게 된다(S105).
이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10)은 표시부를 통해 상기 정보들을 출력할 수 있으며(S107), 특히 사용자로부터 상기 수신한 추천 관광 정보를 선택 입력이 확인되면, 이를 서비스 장치(20)로 전송하고, 서비스 장치(20)는 현재의 위치를 기준으로 추천 관광지까지의 주행 경로를 더 제공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네비게이션을 이용한 관광 정보 제공 방법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네비게이션을 이용한 관광 정보 제공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네비게이션을 이용한 관광 정보 제공 방법은 상기 체류 시간 정보가 목적지에서 사용자가 체류 가능한 시간 정보일 때의 관광 정보 제공 방법인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0)은 서비스 장치(20)로 목적지 정보, 현재 위치 정보와 더불어 목적지에서의 체류 시간 정보를 전송하게 된다(S201).
여기서, 체류 시간 정보는 목적지 정보와 함께 서비스 장치(20)로 전송될 수 있으나, 사용자가 목적지에 도착하게 되면, 체류 시간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10)을 통해 표시하여 체류 시간 정보를 입력받을 수도 있다.
이를 수신한 서비스 장치(20)는 사용자 단말(10)의 현재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목적지까지의 주행 경로를 산출하고(S203), 사용자 단말(10)로 제공하게 된다.
이후, 서비스 장치(20)는 목적지에서의 체류 시간 정보를 고려하여 추천 관광 정보를 검색(S205)하여 사용자 단말(10)로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목적지에서의 체류 시간이 4시간일 경우, 4시간 동안 관광할 수 있는 "000까지 해안 도로 드라이브 1시간"인 제1 추천 관광 정보와 "000 탐방 3시간"인 제2 추천 관광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50)를 사용자 단말(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목적지에서의 추천 관광 정보가 다수 존재할 경우, 서비스 장치(20)는 사용자의 관심 사항을 파악하고, 관심 사항에 우선하여 추천 관광 정보를 추출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서비스 장치(20)는 사용자 단말(10)로 전송되는 주행 경로를 누적하여 저장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누적된 주행 경로를 확인하여, 사용자가 가장 많이 방문한 목적지를 확인하게 된다.
예컨대, 평상 시에 박물관, 미술관 등을 자주 방문한 사용자일 경우, 상기 사용자는 예술에 관심이 많은 사용자라 판단할 수 있으며, 평상 시에 강, 계곡 등을 자주 방문한 사용자일 경우, 상기 사용자는 강, 계곡에 관심이 많은 사용자라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누적 주행 경로를 기초로, 사용자의 관심 사항을 파악한 후, 파악된 관심 사항을 기초로, 다수의 추천 관광 정보 중 선택적으로 추천 관광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후,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주기적으로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10)이 목적지에 도착한 것으로 확인되면(S207), 목적지 정보에 대응하여 추천 관광 정보를 사용자 단말(10)로 제공하여 안내하게 된다(S209).
이때, 사용자가 추천 관광 정보의 세부 내용을 확인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추천 관광 정보에 대한 선택 입력이 수신되면, 서비스 장치(20)는 선택된 추천 관광 정보에 대응하여 세부 내용과 관련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10)로 더 전송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목적지에서 희망하는 관광지에 대한 정보를 찾기 위한 수고를 하지 않더라도, 용이하게 관광 정보를 획득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가 증대되는 우수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네비게이션을 이용한 관광 정보 제공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네비게이션을 이용한 관광 정보 제공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네비게이션을 이용한 관광 정보 제공 방법은 상기 체류 시간 정보가 주행 경로에 대응하여 총 주행 가능한 시간 정보일 때의 관광 정보 제공 방법인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및 도 7을 참조하면, 서비스 장치(20)가 사용자 단말(10)로부터 현재 위치 정보, 목적지 정보 및 체류 시간 정보를 수신하고(S301), 목적지까지의 주행 경로를 탐색하여 1차 주행 경로를 산출하게 된다(S303).
이후, 1차 주행 경로 인근에 추천 관광지가 존재하는 지 판단하여(S305), 추천 관광지가 존재할 경우, 추천 관광지를 경유하는 주행 경로를 설정하고(S307) 총 주행 시간을 산출하게 된다(S309).
이후, 산출된 총 주행 시간과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입력된 체류 시간 정보를 비교하여, 총 주행 시간이 체류 시간과 같거나 또는 그 이내가 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탐색하여 2차 주행 경로를 산출하게 된다(S311).
이후, 최종적으로 산출된 2차 주행 경로를 사용자 단말(10)로 전달하게 된다(S313).
예를 들어, 예컨대,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수신된 현재 위치 정보가 서울이고, 목적지 정보가 부산이며, 체류 시간 정보가 7박 8일 경우, 서비스 장치(20)는 총 주행 시간이 체류 시간 정보와 같거나 그 이내가 되도록 추천 관광지를 경유하는 주행 경로를 산출하여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이후, 해당 추천 관광지에 사용자 단말(10)이 도착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추천 관광지에서의 관광 정보, 숙박 정보 등의 부가적인 정보를 사용자 단말(10)로 더 전송할 수도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네비게이션을 이용한 배송 서비스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0) 및 서비스 장치(20)에 탑재되는 프로세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처리할 수 있다. 일 구현 예에서, 이 프로세서는 싱글 쓰레드(Single-threaded) 프로세서일 수 있으며, 다른 구현 예에서 본 프로세서는 멀티 쓰레드(Multithreaded) 프로세서일 수 있다. 나아가 본 프로세서는 메모리 혹은 저장 장치 상에 저장된 명령을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 탑재되고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프로그램,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 스크립트 혹은 코드로도 알려져 있음), 예컨대, 네비게이션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들은 컴파일 되거나 해석된 언어나 선험적 혹은 절차적 언어를 포함하는 프로그래밍 언어의 어떠한 형태로도 작성될 수 있으며, 독립형 프로그램이나 모듈, 컴포넌트, 서브루틴 혹은 컴퓨터 환경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다른 유닛을 포함하여 어떠한 형태로도 전개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파일 시스템의 파일에 반드시 대응하는 것은 아니다. 프로그램은 요청된 프로그램에 제공되는 단일 파일 내에, 혹은 다중의 상호 작용하는 파일(예컨대, 하나 이상의 모듈, 하위 프로그램 혹은 코드의 일부를 저장하는 파일) 내에, 혹은 다른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보유하는 파일의 일부(예컨대, 마크업 언어 문서 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스크립트) 내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나의 사이트에 위치하거나 복수의 사이트에 걸쳐서 분산되어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상호 접속된 다중 컴퓨터나 하나의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도록 전개될 수 있다.
또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와 데이터를 저장하기에 적합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예컨대 EPROM, EEPROM 및 플래시메모리 장치와 같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 예컨대 내부 하드디스크나 외장형 디스크와 같은 자기 디스크, 자기광학 디스크 및 CD-ROM과 DVD-ROM 디스크를 포함하여 모든 형태의 비휘발성 메모리, 매체 및 메모리 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와 메모리는 특수 목적의 논리 회로에 의해 보충되거나, 그것에 통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명세서는 다수의 특정한 구현물의 세부사항들을 포함하지만, 이들은 어떠한 발명이나 청구 가능한 것의 범위에 대해서도 제한적인 것으로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오히려 특정한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특유할 수 있는 특징들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개별적인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한 특징들은 단일 실시형태에서 조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반대로, 단일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기술한 다양한 특징들 역시 개별적으로 혹은 어떠한 적절한 하위 조합으로도 복수의 실시형태에서 구현 가능하다. 나아가, 특징들이 특정한 조합으로 동작하고 초기에 그와 같이 청구된 바와 같이 묘사될 수 있지만, 청구된 조합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은 일부 경우에 그 조합으로부터 배제될 수 있으며, 그 청구된 조합은 하위 조합이나 하위 조합의 변형물로 변경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특정한 순서로 도면에서 동작들을 묘사하고 있지만, 이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도시된 그 특정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대로 그러한 동작들을 수행하여야 한다거나 모든 도시된 동작들이 수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한 경우,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의 다양한 시스템 컴포넌트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를 모든 실시형태에서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설명한 프로그램 컴포넌트와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단일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중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징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으로,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한 주제, 즉 네비게이션을 이용한 관광 정보 제공 방법의 특정 일 실시 형태를 중심으로 설명하였다. 기타의 실시형태들은 이하의 청구항의 범위 내에 속한다. 예컨대, 청구항에서 인용된 동작들은 상이한 순서로 수행되면서도 여전히 바람직한 결과를 성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첨부도면에 도시한 프로세스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반드시 그 특정한 도시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를 요구하지 않는다. 특정한 구현예에서,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본 기술한 설명은 본 발명의 최상의 모드를 제시하고 있으며,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그리고 당업자가 본 발명을 제작 및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예를 제공하고 있다. 이렇게 작성된 명세서는 그 제시된 구체적인 용어에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상술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본 예들에 대한 개조, 변경 및 변형을 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 한다.
본 발명은 관광 정보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목적지까지의 주행 경로 설정 후 사용자가 목적지에 도착하게 되면, 사용자의 체류 시간을 고려하여 추천 관광 정보를 제공하거나 추천 관광지를 경유할 수 있는 주행 경로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네비게이션을 이용한 관광 정보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네비게이션 서비스와 관광 안내 서비스를 접목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네비게이션 사용자에게 새로운 부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네비게이션 산업은 물론 관광 서비스 산업의 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은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다.
10: 사용자 단말 11; 통신부 12: 입력부
13: 오디오 처리부 14: 표시부 15: 저장부
15a: 네비게이션 프로그램 15b: 지도 정보 16: 제어부
20: 서비스 장치 21: 서비스 통신부
22: 서비스 제어부 22a: 지도정보 산출모듈
22b: 정보 제공 모듈 23: 서비스 저장부 30: 통신망
100: 관광 정보 제공 시스템

Claims (11)

  1. 네비게이션 기능 활성화에 따라 현재 위치 정보, 목적지 정보, 체류 시간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서비스 장치로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현재 위치 정보 및 목적지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목적지까지의 주행 경로를 산출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목적지에 도착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목적지에서의 추천 관광 정보를 추출하되, 상기 추천 관광 정보의 관광 소요 시간의 합이 상기 체류 시간 이내가 되도록 추천 관광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서비스 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을 이용한 관광 정보 제공 시스템.
  2. 사용자 단말과 정보를 송수신하는 서비스 통신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현재 위치 정보, 목적지 정보, 체류 시간 정보 중 어느 하나가 수신되면, 상기 목적지까지의 주행 경로를 산출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목적지에 도착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목적지에서의 추천 관광 정보를 추출하되, 상기 추천 관광 정보의 관광 소요 시간의 합이 상기 체류 시간 이내가 되도록 추천 관광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서비스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주기적으로 전달되는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현재 위치 정보가 상기 목적지 정보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이면, 상기 사용자 단말이 목적지에 도착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장치.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되는 주행 경로를 누적하여 저장하는 서비스 저장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서비스 제어부는
    상기 목적지 정보에 대응하여 기 저장된 추천 관광 정보가 다수 존재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의 누적된 주행 경로를 기초로 사용자의 관심 사항을 파악한 후, 상기 관심 사항을 중심으로 추천 관광 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장치.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 추천 관광 정보를 전송한 이후에,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추천 관광 정보에 대한 선택 입력이 수신되면, 목적지에서 추천 관광지까지의 주행 경로를 산출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장치.
  6. 사용자 단말과 정보를 송수신하는 서비스 통신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현재 위치 정보, 목적지 정보, 체류 시간 정보 중 어느 하나가 수신되면, 상기 목적지까지의 주행 경로를 산출하되, 상기 주행 경로 인근에 추천 관광지가 존재하는 경우, 총 주행 시간이 상기 체류 시간 이내가 되도록 상기 추천 관광지를 경유하는 주행 경로를 산출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서비스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장치.
  7. 서비스 장치가 사용자 단말로부터 현재 위치 정보, 목적지 정보, 상기 목적지에서의 체류 시간 정보 중 어느 하나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장치가 상기 목적지까지의 주행 경로를 산출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이 목적지에 도착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서비스 장치가 추천 관광 정보의 관광 소요 시간의 합이 상기 체류 시간 이내가 되도록 상기 목적지 정보에 대응하여 기 저장된 추천 관광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을 이용한 관광 정보 제공 방법.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추천 관광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목적지 정보에 대응하여 기 저장된 추천 관광 정보가 다수 존재하는 경우, 상기 서비스 장치가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응하여 기 저장된 누적 주행 경로를 기초로 사용자의 관심 사항을 파악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장치가 상기 파악된 관심 사항을 중심으로 추천 관광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을 이용한 관광 정보 제공 방법.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추천 관광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서비스 장치가 추출된 상기 추천 관광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장치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추천 관광 정보에 대응하는 선택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장치가 목적지에서 추천 관광지까지의 주행 경로를 산출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을 이용한 관광 정보 제공 방법.
  10. 서비스 장치가 사용자 단말로부터 현재 위치 정보, 목적지 정보, 상기 목적지에서의 체류 시간 정보 중 어느 하나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장치가 상기 목적지까지의 1차 주행 경로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장치가 상기 1차 주행 경로 인근에 추천 관광지가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1차 주행 경로 인근에 추천 관광지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서비스 장치가 총 주행 시간이 상기 체류 시간 이내가 되도록 상기 추천 관광지를 경유하는 2차 주행 경로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장치가 상기 산출된 2차 주행 경로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을 이용한 관광 정보 제공 방법.
  11. 제7 항 내지 제10 항 중 적어도 한 항에 기재된 네비게이션을 이용한 관광 정보 제공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20093899A 2012-08-27 2012-08-27 네비게이션을 이용한 관광 정보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KR201400278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3899A KR20140027820A (ko) 2012-08-27 2012-08-27 네비게이션을 이용한 관광 정보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3899A KR20140027820A (ko) 2012-08-27 2012-08-27 네비게이션을 이용한 관광 정보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7820A true KR20140027820A (ko) 2014-03-07

Family

ID=506415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3899A KR20140027820A (ko) 2012-08-27 2012-08-27 네비게이션을 이용한 관광 정보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27820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4990B1 (ko) * 2014-06-16 2015-03-23 현석호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여행 컨텐츠 제공 시스템
KR20150112138A (ko) * 2014-03-26 2015-10-07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사용자의 위치 이동 정보에 기반한 위치 추천 장치 및 방법
JP2017053640A (ja) * 2015-09-07 2017-03-16 パイオニア株式会社 表示装置、表示方法、検索装置、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20210051815A (ko) 2019-10-31 2021-05-10 주식회사 제일기획 슬로우 로드 안내 시스템
CN113065064A (zh) * 2021-03-24 2021-07-02 支付宝(杭州)信息技术有限公司 信息推荐处理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09368A (ja) * 2003-04-09 2004-11-04 Pioneer Electronic Corp ナビゲーション装置、ナビゲーション方法、経路データ生成プログラム、および、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におけるサーバ装置
JP2009042083A (ja) * 2007-08-09 2009-02-26 Xanavi Informatics Corp ナビゲーション装置、その案内表示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09368A (ja) * 2003-04-09 2004-11-04 Pioneer Electronic Corp ナビゲーション装置、ナビゲーション方法、経路データ生成プログラム、および、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におけるサーバ装置
JP2009042083A (ja) * 2007-08-09 2009-02-26 Xanavi Informatics Corp ナビゲーション装置、その案内表示方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2138A (ko) * 2014-03-26 2015-10-07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사용자의 위치 이동 정보에 기반한 위치 추천 장치 및 방법
KR101504990B1 (ko) * 2014-06-16 2015-03-23 현석호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여행 컨텐츠 제공 시스템
WO2015194790A3 (ko) * 2014-06-16 2016-05-12 현석호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여행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2017053640A (ja) * 2015-09-07 2017-03-16 パイオニア株式会社 表示装置、表示方法、検索装置、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20210051815A (ko) 2019-10-31 2021-05-10 주식회사 제일기획 슬로우 로드 안내 시스템
CN113065064A (zh) * 2021-03-24 2021-07-02 支付宝(杭州)信息技术有限公司 信息推荐处理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3065064B (zh) * 2021-03-24 2023-09-29 支付宝(杭州)信息技术有限公司 信息推荐处理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92310B2 (en) Methods of obtaining point of interest data
US977805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battery management in route navigation
US9046381B2 (en) System and method for partially updating map data based on user's movement path, service apparatus and terminal apparatus thereof, and recording medium therefor
US9228846B2 (en) Generating routes
EP298293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contextual menu in a map display
US967790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route guidance using reference points
KR20140027820A (ko) 네비게이션을 이용한 관광 정보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JP2015094748A (ja)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電子機器のナビゲーション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30017179A (ko) 이동 단말기,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20140132977A (ko) 위치 정보를 고려한 사진 데이터 표시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KR102086989B1 (ko) 복수의 poi 검색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035331B1 (ko) 복수의 poi 검색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40025948A (ko) 네비게이션을 이용한 배송 서비스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EP3040682A1 (en) Learning and predictive navigation system
JP2018028518A (ja)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140127948A (ko) 승하차 관리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KR102148775B1 (ko) 그룹 주행 시의 멤버 위치 표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200458B1 (ko) 그룹 주행 시의 멤버 위치 표시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KR102103354B1 (ko) 지도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70079032A (ko) 경로 안내 방법 및 장치
KR101521130B1 (ko) 이동 경로 산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동 경로 산출 방법
KR20150101094A (ko) 테더링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지원하는 단말 및 시스템
KR20150033323A (ko) 회귀경로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및 장치
US20190316916A1 (en) Computer assisted system, method and application for providing multi-gps based navigational assistance services
KR20160048491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