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1676A - 폴리락트산계 봉합사 앵커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폴리락트산계 봉합사 앵커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1676A
KR20160091676A KR1020150012072A KR20150012072A KR20160091676A KR 20160091676 A KR20160091676 A KR 20160091676A KR 1020150012072 A KR1020150012072 A KR 1020150012072A KR 20150012072 A KR20150012072 A KR 20150012072A KR 20160091676 A KR20160091676 A KR 201600916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lactic acid
anchor
suture
acid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20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31359B1 (ko
Inventor
유연춘
최종화
최영묵
안상국
김윤근
이은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메타바이오메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메타바이오메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메타바이오메드
Priority to PCT/KR2015/000810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6122009A1/ko
Priority to KR1020150012072A priority patent/KR102331359B1/ko
Publication of KR201600916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16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13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13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01Suture anchors, buttons or pledgets, i.e. means for attaching sutures to bone, cartilage or soft tissue; Instruments for applying or removing suture anch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7/00Materials for surgical sutures or for ligaturing blood vessels ; Materials for prostheses or catheters
    • A61L17/06At least partially resorbable materials
    • A61L17/10At least partially resorbable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7/00Materials for surgical sutures or for ligaturing blood vessels ; Materials for prostheses or catheters
    • A61L17/06At least partially resorbable materials
    • A61L17/10At least partially resorbable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17/1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glycolic acid or lact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7/00Materials for surgical sutures or for ligaturing blood vessels ; Materials for prostheses or catheters
    • A61L17/14Post-treatment to improve physical properties
    • A61L17/145Co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526Methods of manufacturing
    • A61B2017/0401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01Suture anchors, buttons or pledgets, i.e. means for attaching sutures to bone, cartilage or soft tissue; Instruments for applying or removing suture anchors
    • A61B2017/0409Instruments for applying suture anch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01Suture anchors, buttons or pledgets, i.e. means for attaching sutures to bone, cartilage or soft tissue; Instruments for applying or removing suture anchors
    • A61B2017/0464Suture anchors, buttons or pledgets, i.e. means for attaching sutures to bone, cartilage or soft tissue; Instruments for applying or removing suture anchors for soft tissu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Rheumatology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락트산계 봉합사 앵커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단부에 첨예한 팁부, 외주면에 환형의 돌기부 및 봉합사가 끼워지는 홀을 포함하는 폴리락트산계 봉합 앵커로, 상기 앵커의 표면은 폴리락트산의 제1영역과 폴리글리콜산, 폴리락트산과 폴리글리콜산의 공중합체, β-TCP 및 수산화인회석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의 제2영역이 교대로 형성된 미세패턴을 포함함으로써, 앵커는 표면에 형성된 미세한 요철에 의해 연부조직(관절막, 연골, 근육 인대, 건 등)과의 접촉면적이 증가하므로 봉합사의 고정을 견고하게 할 수 있고, 수술 안정성 및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폴리락트산계 봉합사 앵커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폴리락트산계 봉합사 앵커 및 이의 제조방법 {POLYLACTICACID SUTURE ANCHOR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연부조직에 대한 부착 및 고정력이 우수하고, 인체 부작용에 대한 우려가 현저히 감소된 폴리락트산계 봉합사 앵커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봉합사 앵커(suture anchor)는 봉합사를 뼈 조직에 고정하여 다른 신체 조직, 예를 들어 인대나 근육을 뼈 조직에 봉합할 수 있도록 한다.
이중 특히, 인대는 강한 섬유성 결합 조직으로 탄력성을 가지며 주로 관절에 위치하고 뼈와 뼈를 연결하고, 관절의 움직임에 단단히 저항함으로써 관절의 운동을 안정하게 하거나 제한하는 역할을 하므로 손상되기 쉽다.
인대의 손상 형태로는 염좌, 비틀림, 찢김, 끊김 등이 있으며, 상기 끊김은 주로 인대와 뼈가 결합된 부위에서 발생한다. 따라서 끊긴 인대를 다시 봉합하는 수술은 대부분 인대를 뼈에 고정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인대를 뼈에 고정할 때에는 우선 봉합사가 결합된 스크류를 뼈에 고정하고, 상기 봉합사를 끊긴 인대에 결속한 후 상기 인대에 결속된 봉합사를 봉합사 앵커를 이용하여 뼈에 고정하는 수술이 수행된다.
따라서, 상기 봉합사 앵커는 봉합사를 뼈에 고정시키는 기능과 봉합사의 장력 조절을 허용하는 기능을 동시에 수행한다. 이러한 앵커와 앵커를 뼈 조직에 부착하기 위한 다른 장치에 대한 문헌은 미국특허 제5,522,844호, 제5,540,718호, 제5,683,418호, 제5,807,403호, 제6,007,566호 및 제6,183,479호 등에 다양하게 제시되어 있다.
상기 제시된 봉합사 앵커는 기계적 압력(봉합사를 팽팽하게 당길 때의 압력)에 기인한 파손에 취약한 단점이 있다. 특히 봉합사 앵커를 인체에 삽입한 후 이물질로 인식되어 앵커가 관절 내로 빠져버려 관절통증을 유발하므로 점진적으로 생체 흡수를 유도할 수 있는 앵커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고, 이런 요구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생체 흡수를 유도할 수 있는 소재를 이용한 앵커는 고정력이 현저히 낮은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연부조직에 대한 앵커의 부착 및 고정력이 우수하면서 동시에 점진적으로 생체에 흡수될 수 있도록 생분해성 및 생체 적합성을 갖는 폴리락트산계 봉합사 앵커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앵커 표면 처리를 제어하여 적용되는 부위에 따라 앵커의 부착 및 고정력 등을 조절할 수 있는 폴리락트산계 봉합사 앵커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단부에 첨예한 팁부, 외주면에 환형의 돌기부 및 봉합사가 끼워지는 홀을 포함하는 폴리락트산계 봉합 앵커로, 상기 앵커의 표면은 폴리락트산의 제1영역과 폴리글리콜산, 폴리락트산과 폴리글리콜산의 공중합체, β-TCP 및 수산화인회석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의 제2영역이 교대로 형성된 미세패턴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락트산계 봉합 앵커를 제공한다.
상기 미세패턴은 앵커의 표면과 평행하게 배향된 라멜라(smectic lamellar) 구조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폴리락트산 블록공중합체 및 용매를 포함하는 블록공중합체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블록공중합체 용액을 폴리락트산계 봉합 앵커상에 도포하는 단계; 상기 블록공중합체 용액이 도포된 폴리락트산계 봉합 앵커를 어닐링하여,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블록과 폴리락트산 블록이 교대로 형성된 미세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미세패턴 중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블록을 산화하여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블록이 제거된 폴리락트산계 봉합 앵커에, 폴리글리콜산, 폴리락트산과 폴리글리콜산의 공중합체, β-TCP 및 수산화인회석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을 코팅하여 폴리락트산의 제1영역과 폴리글리콜산, 폴리락트산과 폴리글리콜산의 공중합체, β-TCP 및 수산화인회석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의 제2영역이 교대로 형성된 미세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락트산계 봉합 앵커의 제조방법를 제공한다.
상기 도포는 드랍 캐스팅(drop-casting), 스핀-캐스팅법, 잉크젯법 및 인쇄법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블록은 산소 존재하에서 광조사 또는 산소 플라즈마에 노출하여 산화 제거할 수 있다.
상기 미세패턴은 앵커의 표면과 평행하게 배향된 라멜라(smectic lamellar) 구조일 수 있다.
상기 봉합사 앵커는 단부에 첨예한 팁부, 외주면에 환형의 돌기부 및 봉합사가 끼워지는 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락트산계 봉합사 앵커는 표면에 형성된 미세한 요철에 의해 연부조직(관절막, 연골, 근육 인대, 건 등)과의 접촉면적이 증가하므로 봉합사의 고정을 견고하게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폴리락트산계 봉합사 앵커는 블록 공중합체의 자기조립 방법에 의해 패턴을 형성하므로, 패턴의 형상 및 크기 제어가 용이하므로 앵커가 적용되는 용도에 따라 자유롭게 변형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폴리락트산계 봉합사 앵커는 연부조직에 대한부착 및 고정력이 우수하므로 수술 안정성 및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폴리락트산계 봉합사 앵커는 생분해성 고분자로 형성되어 종래 앵커가 이물질로 인식되어 발생되는 인체 부작용을 개선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일례의 폴리락트산계 봉합 앵커의 개략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연부조직에 대한 부착 및 고정력이 우수하고, 인체 부작용에 대한 우려가 현저히 감소된 폴리락트산계 봉합사 앵커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락트산계 봉합 앵커는 단부에 첨예한 팁부, 외주면에 환형의 돌기부 및 봉합사가 끼워지는 홀을 포함하는 폴리락트산계 봉합 앵커로, 상기 앵커의 표면은 폴리락트산의 제1영역과 폴리글리콜산, 폴리락트산과 폴리글리콜산의 공중합체, β-TCP 및 수산화인회석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의 제2영역이 교대로 형성된 미세패턴이 형성된다.
도 1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폴리락트산계 봉합 앵커는 당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알려진 형태, 구체적으로 단부에 첨예한 팁부(10), 외주면에 환형의 돌기부(20) 및 봉합사가 끼워지는 홀(30)을 포함한다. 이외에 봉합 앵커의 적용 분야 및 수술의 편의성 등을 고려하여 다양한 부가요소가 추가될 수 있으며, 그 크기 또한 특별히 제한하지 않는다.
상기 봉합 앵커는 주입 주형 또는 압축 주형 등과 같이 기존에 알려진 다양한 주형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고, 기계 가공 등과 같이 중합체 물질로부터 제품을 제조하는 공지된 성형 방식으로도 제조될 수 있다.
다만, 상기 봉합사 앵커의 소재는 그 주성분이 폴리락트산인 것을 사용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봉합 앵커의 소재는 폴리락트산을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폴리락트산의 주성분에 생분해성 고분자를 일정량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생분해성 고분자는 생분해성과 동시에 인체 적합성을 갖는 것으로, 예를 들면 폴리글리콜산, 폴리카프로락톤, 폴리다이옥사논, 폴리에틸렌, 키토산, 콜라겐 및 폴리(3HV-co-3HB)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혼합되는 생분해성 고분자는 폴리락트산 100중량부에 대하여 30중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외에, 폴리락트산에 혼합될 수 있는 생분해성 고분자는 생분해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β-TCP(beta-tricalcium phosphate) 또는 수산화 인회석(Hydroxy apatite) 등의 무기물이 추가로 함유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폴리락트산계 봉합 앵커는 그 표면은 미세패턴이 형성되며, 상기 미세패턴은 블록공중합체의 자기조립 공정을 이용하여 생분해성 고분자인 폴리락트산의 제1영역과 폴리글리콜산, 폴리락트산과 폴리글리콜산의 공중합체, β-TCP 및 수산화인회석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의 제2영역이 교대로 형성되는 구조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상기 미세패턴은 앵커의 표면과 평행하게, 폴리락트산의 제1영역과 폴리글리콜산의 제2영역이 교대로 배향된 라멜라(smectic lamellar) 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폴리락트산의 제1영역과 폴리글리콜산, 폴리락트산과 폴리글리콜산의 공중합체, β-TCP 및 수산화인회석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의 제2영역의 크기 및 패턴 형상은 블록공중합체의 자기조립 공정에서, 성분 함량, 어닐링 조건 등의 제어에 의해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락트산계 봉합 앵커는 분해 속도가 다른 고분자에 의해 미세패턴이 형성되어 인체 삽입 후 고분자의 분해 속도 차이에 의해 미세 요철로 작용한다. 상기 미세 요철에 의해 연부조직(관절막, 연골, 근육 인대, 건 등)과의 접촉면적이 증가하므로 봉합사의 고정을 증가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폴리락트산의 제1영역과, 폴리글리콜산, 폴리락트산과 폴리글리콜산의 공중합체, β-TCP 및 수산화인회석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의 제2영역은 각각 생분해 시간, 및 기계적 강도 등에 차이가 있으므로, 패턴의 형상 및 크기 조절하는 용이한 방법으로 앵커가 적용되는 용도에 따라 자유롭게 변형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폴리락트산계 봉합 앵커의 제조방법은 하기와 같은 단계로 수행된다.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폴리락트산 블록공중합체 및 용매를 포함하는 블록공중합체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블록공중합체 용액을 폴리락트산계 봉합 앵커상에 도포하는 단계; 상기 블록공중합체 용액이 도포된 폴리락트산계 봉합 앵커를 어닐링하여,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블록과 폴리락트산 블록이 교대로 형성된 미세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미세패턴 중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블록을 산화하여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블록이 제거된 폴리락트산계 봉합 앵커에, 폴리글리콜산, 폴리락트산과 폴리글리콜산의 공중합체, β-TCP 및 수산화인회석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을 코팅하여 폴리락트산의 제1영역과 폴리글리콜산, 폴리락트산과 폴리글리콜산의 공중합체, β-TCP 및 수산화인회석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의 제2영역이 교대로 형성된 미세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폴리락트산계 봉합 앵커의 제조방법을 각 단계별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폴리락트산 블록공중합체 및 용매를 포함하는 블록공중합체 용액을 제조한다.
상기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폴리락트산 블록공중합체는 당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각 고분자 블록들의 일단들이 공유결합에 의해 연결된 중합체를 형성할 수 있는 방법으로 제조된 것이면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용매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폴리락트산 블록공중합체를 용해시킬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하기 않으며, 비극성 용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비극성 용매는 구체적으로 탄화수소 용매는 예를 들면, 방향족 용매(예: 톨루엔, 벤젠 및 크실렌), 사이클로헥산, 헵탄, 옥탄, 노난, 데칸 및 도데칸 등과 같은 포화 탄화수소가 있다. 이들 용매는 단돋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블록공중합체 용액을 폴리락트산계 봉합 앵커상에 도포한다.
상기 폴리락트산계 봉합 앵커는 봉합사를 뼈 조직에 고정하여 다른 신체조직(인대나 근육 등의 연부조직)을 뼈 조직에 봉합할 수 있도록 하는 하는 역할을 하므로, 상기 역할을 만족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그 형상은 한정하지 않는다.
다만, 상기 봉합사 앵커의 소재는 그 주성분이 폴리락트산인 것을 사용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봉합 앵커의 소재는 폴리락트산을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폴리락트산의 주성분에 생분해성 고분자를 일정량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생분해성 고분자는 생분해성과 동시에 인체 적합성을 갖는 것으로, 예를 들면 폴리글리콜산, 폴리카프로락톤, 폴리다이옥사논, 폴리에틸렌, 키토산, 콜라겐 및 폴리(3HV-co-3HB)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혼합되는 생분해성 고분자는 폴리락트산 100중량부에 대하여 30중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외에, 폴리락트산에 혼합될 수 있는 생분해성 고분자는 생분해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β-TCP(beta-tricalcium phosphate) 또는 수산화 인회석(Hydroxy apatite) 등의 무기물이 추가로 함유될 수 있다.
상기 도포는 드랍 캐스팅(drop-casting), 스핀-캐스팅법, 잉크젯법 및 인쇄법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블록공중합체 용액이 도포된 폴리락트산계 봉합 앵커를 어닐링하여,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블록과 폴리락트산 블록이 교대로 형성된 미세패턴을 형성한다.
상기 블록공중합체는 어닐링 공정에 의해 자기조립되어 각각의 블록이 교대로 형성된 패턴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어닐링은 당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으나, 용매 어닐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어닐링 공정에 의해 용매는 완전히 제거될 수 있다.
이때, 어닐링 온도는 블록공중합체가 상분리 가능한 온도로 수행하며, 구체적으로 100 내지 190℃의 범위내에서 약 1 내지 24시간동안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미세패턴 중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블록을 산화하여 제거한다.
상기 제거는 당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산화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산소존재하에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블록에 광(UV)을 조사하는 방법,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블록을 산소 플라즈마에 노출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산소 플라즈마에 노출시켜 광분해시킨 후 상기 광분해된 부분을 세정액으로 스트립하는 공정을 추가로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블록이 제거된 폴리락트산계 봉합 앵커에, 폴리글리콜산, 폴리락트산과 폴리글리콜산의 공중합체, β-TCP 및 수산화인회석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을 코팅하여 폴리락트산의 제1영역과 폴리글리콜산, 폴리락트산과 폴리글리콜산의 공중합체, β-TCP 및 수산화인회석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의 제2영역이 교대로 형성된 미세패턴을 형성한다.
상기 폴리글리콜산, 폴리락트산과 폴리글리콜산의 공중합체, β-TCP 및 수산화인회석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블록이 제거된 위치에 폴리글리콜산, 폴리락트산과 폴리글리콜산의 공중합체, β-TCP 및 수산화인회석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코팅 블록을 형성한다. 상기 형성된 블록에 의해 폴리락트산의 제1영역과 폴리글리콜산, 폴리락트산과 폴리글리콜산의 공중합체, β-TCP 및 수산화인회석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의 제2영역이 교대로 형성된 미세패턴을 형성된다.
상기 폴리글리콜산, 폴리락트산과 폴리글리콜산의 공중합체, β-TCP 및 수산화인회석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은 용융시켜 코팅하거나, 상기 각 성분을 용해시킬 수 있는 용매를 사용하여 코팅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코팅은 드랍 캐스팅(drop-casting), 스핀-캐스팅법, 잉크젯법 및 인쇄법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코팅 공정 수행 후, 제1영역과 제2영역을 명확히 구분하기 위하여 추가로 세척 공정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세척 공정은 폴리락트산의 제1영역과 폴리글리콜산, 폴리락트산과 폴리글리콜산의 공중합체, β-TCP 및 수산화인회석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의 제2영역이 교대로 형성된 미세패턴을 손상시키지 않는 용매를 사용하여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 팁부
20: 돌기부
30: 홀

Claims (7)

  1. 단부에 첨예한 팁부, 외주면에 환형의 돌기부 및 봉합사가 끼워지는 홀을 포함하는 폴리락트산계 봉합 앵커로,
    상기 앵커의 표면은 폴리락트산의 제1영역과, 폴리글리콜산, 폴리락트산과 폴리글리콜산의 공중합체, β-TCP 및 수산화인회석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의 제2영역이 교대로 형성된 미세패턴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락트산계 봉합 앵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미세패턴은 앵커의 표면과 평행하게 배향된 라멜라(smectic lamellar) 구조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락트산계 봉합 앵커.
  3.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폴리락트산 블록공중합체 및 용매를 포함하는 블록공중합체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블록공중합체 용액을 폴리락트산계 봉합 앵커상에 도포하는 단계;
    상기 블록공중합체 용액이 도포된 폴리락트산계 봉합 앵커를 어닐링하여,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블록과 폴리락트산 블록이 교대로 형성된 미세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미세패턴 중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블록을 산화하여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블록이 제거된 폴리락트산계 봉합 앵커에, 폴리글리콜산, 폴리락트산과 폴리글리콜산의 공중합체, β-TCP 및 수산화인회석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을 코팅하여 폴리락트산의 제1영역과 폴리글리콜산, 폴리락트산과 폴리글리콜산의 공중합체, β-TCP 및 수산화인회석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의 제2영역이 교대로 형성된 미세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락트산계 봉합 앵커의 제조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도포는 드랍 캐스팅(drop-casting), 스핀-캐스팅법, 잉크젯법 및 인쇄법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방법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락트산계 봉합 앵커의 제조방법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블록은 산소 존재하에서 광조사 또는 산소 플라즈마에 노출하여 산화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락트산계 봉합 앵커의 제조방법.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미세패턴은 앵커의 표면과 평행하게 배향된 라멜라(smectic lamellar)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락트산계 봉합 앵커의 제조방법.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봉합사 앵커는 단부에 첨예한 팁부, 외주면에 환형의 돌기부 및 봉합사가 끼워지는 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락트산계 봉합 앵커의 제조방법.

KR1020150012072A 2015-01-26 2015-01-26 폴리락트산계 봉합사 앵커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313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5/000810 WO2016122009A1 (ko) 2015-01-26 2015-01-26 폴리락트산계 봉합사 앵커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150012072A KR102331359B1 (ko) 2015-01-26 2015-01-26 폴리락트산계 봉합사 앵커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2072A KR102331359B1 (ko) 2015-01-26 2015-01-26 폴리락트산계 봉합사 앵커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1676A true KR20160091676A (ko) 2016-08-03
KR102331359B1 KR102331359B1 (ko) 2021-11-26

Family

ID=56543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2072A KR102331359B1 (ko) 2015-01-26 2015-01-26 폴리락트산계 봉합사 앵커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31359B1 (ko)
WO (1) WO201612200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71488B (zh) * 2021-04-23 2022-04-22 宁波市第一医院 一种可吸收缝合线及其制备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797825A1 (en) * 2005-12-14 2007-06-20 Arthrex, Inc. Suture anchor with insert-molded suture eyelet
KR20130105457A (ko) * 2012-03-14 2013-09-25 도오꾜오까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하지제, 블록 코폴리머를 함유하는 층의 패턴 형성 방법
US20140010990A1 (en) * 2012-07-06 2014-01-09 Wisconsin Alumni Research Foundation Directed assembly of poly (styrene-b-glycolic acid) block copolymer films
US20140081323A1 (en) * 2012-09-20 2014-03-20 Depuy Mitek, Llc Anti-backup suture anchor
KR20140052242A (ko) * 2012-10-23 2014-05-07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비대칭 라인 나노 패턴 및 그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09629A (en) * 1995-06-07 1997-03-11 Med Institute, Inc. Coated implantable medical device
BRPI0810370A2 (pt) * 2007-04-17 2014-10-29 Micell Technologies Inc Stent revestido, e, método para preparar um stent
JP2012521800A (ja) * 2009-03-24 2012-09-20 スタビリッツ オルトペディクス, エルエルシー 生体再吸収性材料層を有する整形外科固定デバイス
KR101578936B1 (ko) * 2009-09-11 2015-12-21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미세패턴된 나노섬유 스캐폴드
EP2508212A1 (en) * 2011-04-05 2012-10-10 Universitätsklinikum Freiburg Biocompatible and biodegradable gradient layer system for regenerative medicine and for tissue support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797825A1 (en) * 2005-12-14 2007-06-20 Arthrex, Inc. Suture anchor with insert-molded suture eyelet
KR20130105457A (ko) * 2012-03-14 2013-09-25 도오꾜오까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하지제, 블록 코폴리머를 함유하는 층의 패턴 형성 방법
US20140010990A1 (en) * 2012-07-06 2014-01-09 Wisconsin Alumni Research Foundation Directed assembly of poly (styrene-b-glycolic acid) block copolymer films
US20140081323A1 (en) * 2012-09-20 2014-03-20 Depuy Mitek, Llc Anti-backup suture anchor
KR20140052242A (ko) * 2012-10-23 2014-05-07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비대칭 라인 나노 패턴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1359B1 (ko) 2021-11-26
WO2016122009A1 (ko) 2016-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320719A1 (en) Method and device for fixating a suture anchor with a suture in hard tissue
EP0727230B1 (en) Utilization of biocompatible adhesive/sealant materials for securing surgical devices
KR101922264B1 (ko) 봉합 앵커를 경조직 내에 고정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
RU2601988C2 (ru) Шовный фиксатор и способ фиксации шовного материала в твердой ткани
RU2741462C2 (ru) Шовный фиксатор, способ и набор для закрепления шовного материала относительно твердой ткани
US10952779B2 (en) Disposable device for treatment of infections of human limbs
EP3021791B1 (en) Tissue interface augmentation device for ligament/tendon reconstruction
RU2600664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фиксации фиксатора шовного материала с шовным материалом в твердой ткани
CN108348660B (zh) 涂布透明质酸盐的高性能缝合线的制造方法及其高性能缝合线
WO2002034140A3 (en) Absorbable fastener and applying apparatus
JP2011528959A (ja) 骨折固定システム
JPH08196538A (ja) エラストマー部材を有する外科用の組織付着器具および該組織へ外科用のメッシュを張り付ける方法
KR20190079691A (ko) 봉합사를 갖춘 봉합 앵커 또는 머리붙이 앵커를 경조직 내에 고정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
JP2011019900A (ja) 複合固定デバイス
DE69720601D1 (de) Vorrichtung zur Knochenfixierung mit hoher Festigkeit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JP2020535881A5 (ko)
US9039784B2 (en) Micro-structure particles for load bearing bone growth
KR20160091676A (ko) 폴리락트산계 봉합사 앵커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30044363A (ko) 이중 기능 앵커 시스템
CN103354735B (zh) 用于治疗人四肢感染的可弃式装置和用于实现其的方法
WO2023278650A2 (en) Acl repair method using femoral attachment
CN117999039A (zh) 关节镜acl修复系统和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