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1643A - 벽면마감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벽면마감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1643A
KR20160091643A KR1020150011992A KR20150011992A KR20160091643A KR 20160091643 A KR20160091643 A KR 20160091643A KR 1020150011992 A KR1020150011992 A KR 1020150011992A KR 20150011992 A KR20150011992 A KR 20150011992A KR 20160091643 A KR20160091643 A KR 201600916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nt
wall
wall surface
mixture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19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함영백
Original Assignee
함영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함영백 filed Critical 함영백
Priority to KR10201500119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91643A/ko
Publication of KR201600916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16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2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of plastic materials hardening after applying, e.g. plas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Abstract

벽면마감 시공방법이 개시된다. 개시된 벽면마감 시공방법은 a) 기존도배지를 제거하는 단계; b) 벽면에 있는 흡집부분을 황토핸디코트로 메우는 퍼티작업단계; c) 상기 황토핸디코트가 메워진 부분 및 벽면 전체를 사포질하는 단계; d) 황토페인트와 바인다를 섞은 혼합물을 벽면에 칠하는 단계; e) 상기 혼합물이 도장된 벽면에 1차적으로 친환경 페인트를 롤러로 칠하는 단계; f) 상기 e) 단계를 거친 벽면을 사포질하는 단계; g) 상기 f) 단계를 거친 벽면에 2차적으로 친환경 페인트를 롤러로 칠하는 단계; 및, h) 상기 g) 단계를 거친 벽면에 무늬롤러로 무늬를 인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벽면마감 시공방법 {WALL FINISHING CONSTRUCTION METHOD}
본 발명은 친환경적이면서도 한번의 시공에 의해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벽면마감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건물의 내부공간을 이루는 벽면은 주로 벽지로 도배하고 때로는 페인트로 도장하여 마감한다.
벽지로 도배하는 벽면마감은 벽지에 표현된 다양한 디자인의 무늬나 이미지를 통해 건물 내부공간의 다양한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벽지를 통한 벽면마감은 일반인들이 하기에 쉽지 않아서 전문 도배사가 해야 하는 문제가 있으며, 특히 페인트에 비해 시간이 더 걸리고 비용도 더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특히, 벽지를 통한 벽면마감은 건물 내부의 환경이 습할 경우, 쉽게 벽지에 곰팡이가 발생하여 내부공간의 위생을 불량하게 만들며, 아이들이 생활할 경우 아토피등의 피부염을 유발하고 심하면 성인들의 피부병도 유발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페인트로 도장하는 벽면마감은 일반인들도 누구나 페인트를 사다가 벽면에 칠하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최근에는 비용절감을 위해 최근 많이 이용되고 있다.
아울러, 기존에는 페인트로 도장하는 벽면마감이 단순히 벽면에 색상을 입히는 효과만을 나타낸다는 지적을 받았으나 최근에는 무늬롤러가 출시되어 무늬롤러로 벽면에 무늬를 프린트할 수 있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페인트로 도장하는 벽면마감은 페인트를 벽면에 단순히 칠하기만 하면 페인트가 쉽게 벗겨지거나 페인트 가루가 날리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서, 곰팡이가 발생하지 않도록 친환경적이면서도 페인트가 잘 벗겨지지 않아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면서도 다양한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는 벽면마감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입체적이고 고급스러운 무늬를 인쇄하여 고급스럽고 미려한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는 벽면마감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벽면마감 시공방법은 a) 기존도배지를 제거하는 단계; b) 벽면에 있는 흡집부분을 황토핸디코트로 메우는 퍼티작업단계; c) 상기 황토핸디코트가 메워진 부분 및 벽면 전체를 사포질하는 단계; d) 황토페인트와 바인다를 섞은 혼합물을 벽면에 칠하는 단계; e) 상기 혼합물이 도장된 벽면에 1차적으로 친환경 페인트를 롤러로 칠하는 단계; f) 상기 e) 단계를 거친 벽면을 사포질하는 단계; g) 상기 f) 단계를 거친 벽면에 2차적으로 친환경 페인트를 롤러로 칠하는 단계; 및, h) 상기 g) 단계를 거친 벽면에 무늬롤러로 무늬를 인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 단계에서, 상기 바인더는 상기 혼합물의 전체중량의 5% 내지 10%이 되도록 상기 황토페인트와 섞어주도록 구성할 수 있다.
i) 상기 h) 단계를 거친 벽면에 물을 도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벽면마감 시공방법은, a) 기존도배지를 제거하는 단계; b) 벽면에 있는 흡집부분을 황토핸디코트로 메우는 퍼티작업단계; c) 상기 황토핸디코트가 메워진 부분 및 벽면 전체를 사포질하는 단계; d) 황토페인트와 바인다를 섞은 혼합물을 벽면에 칠하는 단계; e) 상기 혼합물이 도장된 벽면에 1차적으로 친환경 페인트를 롤러로 칠하는 단계; f) 상기 e) 단계를 거친 벽면을 사포질하는 단계; g) 상기 f) 단계를 거친 벽면에 2차적으로 친환경 페인트를 롤러로 칠하는 단계; h) 유성페인트에 금가루와 경화제를 혼합한 혼합페인트를 만들고, 상기 혼합페인트를 무늬롤러를 이용해 상기 f) 단계를 거친 벽면에 무늬로 인쇄하는 단계; i) 상기 h 단계를 거친 벽면에 방수투명코팅제를 분무하여 코팅하는 단계; 및, j) 상기 i 단계를 거친 벽면에 열풍을 분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h) 단계에서, 상기 금가루는 상기 혼합페인트 전체중량에 1~3%를 이루며, 상기 경화제는 상기 혼합페인트 전체중량에 2~3%이 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시공방법에 의해 마감된 벽면은 기존의 벽지를 통한 도배방식에 비해, 곰팡이가 발생하지 않아 친환경적이면서도 친환경 페인트가 벽면에 잘 정착되어 벗겨지는 일이 발생하지 않아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보다 부드럽고 매끄러운 도장면을 형성하고 벽면에 무늬가 인쇄되어 있어 고급스럽고 미려한 다양한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입체적이고 고급스러운 무늬를 인쇄하여 고급스럽고 미려한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을 뿐 아니라, 벽면에 도장된 친환경 페인트와 인쇄된 무늬를 외부공기와 차단하여 공기접촉에 의한 변색 등의 변질을 방지하고, 열풍을 분사하여 벽면에 도장된 친환경 페인트, 인쇄된 무늬 및, 도포된 방수투명 코팅제가 서로 견고하게 달라붙게 해 결합성을 높여줌으로써 친환경 페인트와 인쇄된 무늬의 변형이나 손상을 방지하여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벽면마감 시공방법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 내지 도 9는 도 1에 도시된 벽면마감 시공방법의 단계별 시공사진이고, (도 2는 퍼티작업을 나타낸 시공사진, 도 3은 제1사포작업을 나타낸 시공사진, 도 4는 초벌 페인팅작업을 나타낸 시공사진, 도 5는 1차 페인팅작업을 나타낸 시공사진, 도 6은 2차 사포작업을 나타낸 시공사진, 도 7은 2차 페인팅작업을 나타낸 시공사진, 도 8은 무늬인쇄작업을 나타낸 시공사진, 도 9는 물 도포작업을 나타낸 시공사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벽면마감 시공방법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식각 영역은 라운드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 별 이유 없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벽면마감 시공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벽면마감 시공방법은 기존도배지 제거단계(S10), 퍼티작업(S20), 1차사포작업(S30), 초벌 페인팅작업(S40), 1차 페인팅작업(S50), 2차 사포작업(S60), 2차 페인팅작업(S70), 무늬인쇄작업(S80), 물도포작업(S90)을 포함한다.
기존도배지 제거단계(S10) - 벽면마감을 하기 위해 벽면에 도배되었던 기존도배지를 뜯어낸다.
퍼티작업(S20) - 상기 S10 단계를 거친 후, 벽면에 있는 흡집부분(실금, 벌어진틈, 패인곳 등)을 퍼티의 일종인 황토핸디코트로 메워준다(도 2참조). 이러한 퍼티작업을 일명 빠대작업이라고도 한다.
1차사포작업(S30) - 상기 S20 단계를 거친 후, 상기 벽면의 흡집부분에 메워진 황토핸디코트가 마른 다음, 황토핸디코트가 메워진 부분을 포함한 벽면 전체를 사포질 해준다(도 3참조). 이에 따라, 벽면에서 튀어나온 황토핸디코트들을 갈아주면서 벽면전체가 울퉁불퉁하지 않고 고운면을 갖는 평면형태가 된다.
초벌 페인팅작업(S40) - 상기 S30 단계를 거친 후, 황토페인트와 바인다(접착제)를 섞은 혼합물을 만들고, 상기 혼합물을 롤러나 붓 등의 도장기구를 이용하여 벽면에 칠한다(도 4참조). 본 발명에서 초벌 페인팅작업(S40)은 상기 혼합물을 벽면에 초벌로 칠해 줌으로써 벽면에 형성된 미세구멍들을 메워 벽면에 더욱더 매끄러지게 할 뿐 아니라, 추후 1차 페인팅작업(S50)에서 친환경 페인트가 벽면에 칠해진 상기 혼합물에 잘 칠해지고 견고하게 정착되게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혼합물은 전체중량의 5%~10%의 구성비를 갖도록 혼합한다. 황토페인트와 바인다의 중량비를 95:5 에서 90:10 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는 바인다를 전체중량의 5% 미만으로 구성할 경우, 1차 페인팅작업(S50)에서 친환경 페인트가 벽면에 도장된 상기 혼합물에 잘 정착되지 않으며, 10%가 초과되게 구성할 될 경우, 상기 혼합물의 발림성이 양호하지 않다.
1차 페인팅작업(S50) - 상기 S40 단계를 거친 후, 롤러(도장기구)를 이용해 친환경 페인트를 1차적으로 벽면에 덧칠한다(도 5참조).
2차 사포작업(S60) - 상기 S50 단계를 거친 후, 1차적으로 칠한 친환경 페인트가 마르면 사포질을 하여 벽면을 매끄럽게 재차 정리해준다.(도 6참조)
2차 페인팅작업(S70) - 상기 S60 단계를 거친후, 1차적으로 벽면에 칠해진 친환경 페인트 위에 2차적으로 친환경 페인트를 다시 덧칠한다(도 7참조).
무늬인쇄작업(S80) - 상기 S70 단계를 거친 후, 친환경 페인트가 마르고 24시간이 지난 다음, 친환경 수성페인트를 무늬롤러장치를 이용해 벽면에 무늬를 인쇄해준다(도 8참조).
여기서, 무늬롤러장치는 고무로된 롤러 외주면에 양각무늬가 디자인되며, 페인트통에 담겨진 친환경 수성페인트가 롤러의 양각무늬에 묻은 상태에서 회전되면서, 롤러의 양각무늬대로 벽면에 친환경 수성페인트를 무늬 인쇄해줄 수 있다. 무늬롤러는 시판되는 공지된 제품으로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물도포작업(S90) - 상기 S80 단계를 거친 후, 롤러나 분무기를 이용해 벽면에 물을 도포해준다(도 9참조). 이는 벽면에 인쇄된 무늬들이 묻어나오는 것을 방지해주게 된다.
본 발명에서 물도포작업(S90)은 건물 내부의 측벽을 이루는 벽면에 적용하고, 천정을 이루는 천정면일 경우, 천정이 석고보드나 화판일 때에는 물도포작업(S90)을 하지 않고, S10에서 S80까지만 진행하여 작업을 완료한다.
상기와 같은 단계를 거쳐 마감된 벽면은 기존의 벽지를 통한 도배방식에 비해, 곰팡이가 발생하지 않아 친환경적이면서도 친환경 페인트가 벽면에 잘 정착되어 벗겨지는 일이 발생하지 않아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보다 부드럽고 매끄러운 도장면을 형성하고 벽면에 무늬가 인쇄되어 있어 고급스럽고 미려한 다양한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벽면마감 시공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제 2 실시 예의 벽면마감 시공방법은 제 1 실시 예에 비해 벽면에 인쇄되는 무늬에 볼륨감을 부가하여 입체적인 디자인을 연출할 수 있도록 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즉, 제 2 실시 예에 따른 벽면마감 시공방법은 제1실시 예의 S10단계에서 S70단계까지는 동일하며, 그 이후의 시공방법에 의해서만 차이가 있으므로, 차이가 있는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제 2 실시 예에 따른 벽면마감 시공방법은 기존도배지 제거단계(S10), 퍼티작업(S20), 1차사포작업(S30), 초벌 페인팅작업(S40), 1차 페인팅작업(S50), 2차 사포작업(S60), 2차 페인팅작업(S70), 무늬인쇄작업(S81), 코팅단계(S90), 열풍분사단계(S100)를 포함한다.
무늬인쇄작업(S81) - 기존도배지 제거단계(S10), 퍼티작업(S20), 1차사포작업(S30), 초벌 페인팅작업(S40), 1차 페인팅작업(S50), 2차 사포작업(S60), 2차 페인팅작업(S70)를 순차적으로 진행한 다음, 친환경 페인트가 마르고 24시간 경과 후, 무늬롤러를 이용해 벽면에 무늬를 인쇄해준다.
제 1 실시 예에서 무늬인쇄작업(S80)은 무늬롤러장치로 친환경 수성페인트를 벽면에 무늬인쇄하는 것이었으나, 제 2 실시 예에서 무늬인쇄작업(S81)은 유색페인트와 금가루와 경화제를 혼합하여 혼합페인트를 만들고, 이 혼합페인트를 무늬롤러장치로 벽면에 무늬인쇄한다.
이때, 혼합페인트에서 금가루는 혼합페인트 전체중량의 1~3%, 경화제는 혼합페인트 전체중량의 2~3%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혼합페인트를 무늬롤러장치로 벽면에 무늬인쇄하면, 벽면에 인쇄된 무늬에 금가루가 포하되어 있어 빛나므로 고급스러움을 한층 높일 수 있을 뿐 아니라, 경화제에 의해 벽면에 무늬인쇄된 혼합페인트가 중력에 의해 하방으로 퍼지기 전에 볼륨감이 있는 상태에서 경화되기 때문에, 벽면에 인쇄된 무늬는 불륨감을 갖은 상태로 굳어서 마르게 된다.
코팅단계(S90) - 상기 S81단계를 거친 후, 스프레이 형태의 방수투명 코팅제를 뿌림으로써 벽면에 도장된 친환경페인트와 인쇄된 무늬가 코팅되면서 외부공기와 접촉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열풍분사단계(S100) - 상기 90단계를 거친 후, 신속하게 방수투명 코팅제가 도포된 벽면에 헤어드라이어를 이용해 열풍을 분사하여 줌으로써 벽면에 도장된 친환경 페인트, 인쇄된 무늬 및, 도포된 방수투명 코팅제가 서로 견고하게 붙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제 2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은 벽면에 무늬를 인쇄하는 무늬인쇄작업(S81)에서 유색페인트와 금가루와 경화제를 섞은 혼합페인트를 이용하므로, 인쇄되는 무늬가 고급스러우면서도 입체감을 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코팅단계(90)를 거쳐 벽면에 도장된 친환경 페인트와 인쇄된 무늬를 외부공기와 차단하여 공기접촉에 의한 변색 등의 변질을 방지하고, 열풍분사단계(S100)를 거쳐 벽면에 도장된 친환경 페인트, 인쇄된 무늬 및, 도포된 방수투명 코팅제가 서로 견고하게 달라붙게 해 결합성을 높여줌으로써 친환경 페인트와 인쇄된 무늬의 변형이나 손상을 방지하여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 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5)

  1. a) 기존도배지를 제거하는 단계;
    b) 벽면에 있는 흡집부분을 황토핸디코트로 메우는 퍼티작업단계;
    c) 상기 황토핸디코트가 메워진 부분 및 벽면 전체를 사포질하는 단계;
    d) 황토페인트와 바인다를 섞은 혼합물을 벽면에 칠하는 단계;
    e) 상기 혼합물이 도장된 벽면에 1차적으로 친환경 페인트를 롤러로 칠하는 단계;
    f) 상기 e) 단계를 거친 벽면을 사포질하는 단계;
    g) 상기 f) 단계를 거친 벽면에 2차적으로 친환경 페인트를 롤러로 칠하는 단계; 및,
    h) 상기 g) 단계를 거친 벽면에 무늬롤러로 무늬를 인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마감 시공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d) 단계에서, 상기 바인더는 상기 혼합물의 전체중량의 5% 내지 10%이 되도록 상기 황토페인트와 섞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마감 시공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i) 상기 h) 단계를 거친 벽면에 물을 도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마감 시공방법.
  4. a) 기존도배지를 제거하는 단계;
    b) 벽면에 있는 흡집부분을 황토핸디코트로 메우는 퍼티작업단계;
    c) 상기 황토핸디코트가 메워진 부분 및 벽면 전체를 사포질하는 단계;
    d) 황토페인트와 바인다를 섞은 혼합물을 벽면에 칠하는 단계;
    e) 상기 혼합물이 도장된 벽면에 1차적으로 친환경 페인트를 롤러로 칠하는 단계;
    f) 상기 e) 단계를 거친 벽면을 사포질하는 단계;
    g) 상기 f) 단계를 거친 벽면에 2차적으로 친환경 페인트를 롤러로 칠하는 단계;
    h) 유성페인트에 금가루와 경화제를 혼합한 혼합페인트를 만들고, 상기 혼합페인트를 무늬롤러를 이용해 상기 f) 단계를 거친 벽면에 무늬로 인쇄하는 단계;
    i) 상기 h 단계를 거친 벽면에 방수투명코팅제를 분무하여 코팅하는 단계; 및,
    j) 상기 i 단계를 거친 벽면에 열풍을 분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마감 시공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h) 단계에서, 상기 금가루는 상기 혼합페인트 전체중량에 1~3%를 이루며, 상기 경화제는 상기 혼합페인트 전체중량에 2~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마감 시공방법.

KR1020150011992A 2015-01-26 2015-01-26 벽면마감 시공방법 KR2016009164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1992A KR20160091643A (ko) 2015-01-26 2015-01-26 벽면마감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1992A KR20160091643A (ko) 2015-01-26 2015-01-26 벽면마감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1643A true KR20160091643A (ko) 2016-08-03

Family

ID=56708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1992A KR20160091643A (ko) 2015-01-26 2015-01-26 벽면마감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9164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934644A (zh) * 2022-06-10 2022-08-23 徐州腾美建筑装饰工程有限公司 一种用于建筑外墙装饰涂料的5m施工工艺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934644A (zh) * 2022-06-10 2022-08-23 徐州腾美建筑装饰工程有限公司 一种用于建筑外墙装饰涂料的5m施工工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407140B2 (ja) 掻き落とし壁面の模様付け方法
JP5420520B2 (ja) 模様面の形成方法
CN102962184B (zh) 一种仿大理石纹的表面处理方法及仿大理石纹装饰板
KR20160091643A (ko) 벽면마감 시공방법
JP2006334525A (ja) 模様形成方法
JP2010149110A (ja) 模様面の形成方法
JP5626671B1 (ja) 塗装用ローラー及びそれを用いた塗装面の形成方法
JPH1037486A (ja) タイル及びタイル調仕上塗膜の塗り替え方法
JP7144275B2 (ja) 模様面の形成方法
JP4790400B2 (ja) 模様面の形成方法
JP3614673B2 (ja) 出隅部の表面仕上用装飾材の製造方法
JP2007268499A (ja) 模様面の形成方法
JP2698309B2 (ja) 建築用化粧板の塗装方法
KR200406040Y1 (ko) 석재 장식문양 거푸집 및 석재 도안장식 거푸 판.
JP7442720B1 (ja) 塗装方法及び装飾板の製造方法
JP3741540B2 (ja) 繊維補強セメント板の化粧方法
JP7406433B2 (ja) 被膜形成方法
JPH0474064B2 (ko)
JP4711813B2 (ja) 模様面の形成方法
JP2022097564A (ja) 装飾被膜面の形成方法
JP6427883B2 (ja) セメント組成体の仕上げ方法
JPH05177801A (ja) 模様形成方法
US20060027145A1 (en) Tinted texturing mixture and method of application to a surface
CN116517210A (zh) 一种墙面装饰工艺
KR101575496B1 (ko) 상감 장식 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