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0804A - 클라우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시스템 정보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클라우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시스템 정보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0804A
KR20160090804A KR1020167012469A KR20167012469A KR20160090804A KR 20160090804 A KR20160090804 A KR 20160090804A KR 1020167012469 A KR1020167012469 A KR 1020167012469A KR 20167012469 A KR20167012469 A KR 20167012469A KR 20160090804 A KR20160090804 A KR 201600908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ru
bbu
cell
information
system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24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혜영
정재훈
이은종
조희정
한진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600908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08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04W8/24Transfer of terminal data
    • H04W8/245Transfer of terminal data from a network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04W36/0061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of neighbour cel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2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location or mobility data, e.g. speed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20Selecting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1Allocation or use of connection ident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4Terminal devices adapted for relaying to or from another terminal or u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5Access point devices with remote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하나 이상의 BBU (Baseband Unit)들, 상기 BBU들 중 특정 BBU에 하나 이상 연결되어 단말에게 하나 이상의 셀을 통해 직접 서비스를 제공하는 RRU (Remote Radio Unit)를 포함하는 클라우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시스템 정보를 수신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방법에서는 단말이 BBU, RRU 및 셀의 변경 여부를 파악할 수 있는 식별자를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하고, 수신된 식별자를 통해 BBU, RRU 및 셀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변경 여부를 파악하여, 네트워크로부터 BBU 변경, RRU 변경, 셀 변경 중 어느 하나에 필요한 시스템 정보만을 선택적으로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클라우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시스템 정보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METHOD FOR TRANSCEIVING SYSTEM INFORMATION IN CLOU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이하의 설명은 클라우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부담을 줄이며 시스템 정보를 수신하는 방법, 이를 위해 네트워크에서 시스템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네트워크 장치에 대한 것이다.
차세대 이동통신에서 멀티미디어 등의 데이터 서비스를 보다 안정적으로 보장 하기 위해 매크로 샐(macro cell) 기반의 동종 망에서 저전력/근거리 통신을 위한 마이크로 셀(micro cell), 예를 들어, 피코셀(pico cell) 또는 펨토셀(femto cell)이 혼재한 계층적 셀 구조 (hierarchical cell structure) 혹은 이기종 셀 구조(heterogeneous cell structure) 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도 1은 이기종 셀 구조를 가지는 네트워크 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매크로 셀은 매크로 기지국(MeNB)에 의해 서비스를 받는 단말들(Macro UE: MUE)을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도 1은 매크로 셀의 경계 영역에 마이크로 셀의 일종으로서 피코셀들이 형성되어 피코 기지국(Pico eNB: PeNB)들에 의해 서비스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피코 기지국들에 의해 서비스되는 단말을 MUE와 구분되게 Pico UE(PUE)로 나타낼 수 있다. PeNB는 마이크로 셀 또는 스몰셀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지국의 일례로서, 다양한 형태의 소형 기지국이 이에 해당할 수 있다.
매크로 eNB의 추가적 설치는 시스템 성능 향상 대비 그 비용 및 복잡도 측면에서 비효율적 이기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은 마이크로 eNB의 설치에 의한 이기종망에 대한 활용이 증대될 것으로 예측된다.
현재 통신 망에서 고려중인 이기 종 망의 구조에 따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마이크로 셀 안에는 다 수개의 마이크로셀이 공존하게 되며, 셀 코디네이션(cell coordination) 방식에 따라 자원을 할당 받아 해당 UE들을 서비스 하게 된다.
다만, 상술한 바와 같은 이기종망 네트워크 환경에서는 UE의 소스 셀로부터 타겟셀로의 이동 횟수가 필연적으로 증가할 것을 예측된다. 특히 이러한 경향은 네트워크 클라우드가 가능한 클라우드 네트워크 환경에서는 UE의 연결 이동이 더욱 빈번하게 발생함에 따라, UE가 매번 새로운 셀 또는 네트워크 연결에 대한 시스템 정보를 수신해야 하는 부담이 증가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는 하나 이상의 BBU (Baseband Unit)들, 상기 BBU들 중 특정 BBU에 하나 이상 연결되어 단말에게 하나 이상의 셀을 통해 직접 서비스를 제공하는 RRU (Remote Radio Unit)를 포함하는 클라우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시스템 정보를 수신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방법에서는 단말이 BBU, RRU 및 셀의 변경 여부를 파악할 수 있는 식별자를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식별자를 통해 상기 BBU, 상기 RRU 및 상기 셀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변경 여부를 파악하여, 상기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BBU 변경, 상기 RRU 변경, 상기 셀 변경 중 어느 하나에 필요한 시스템 정보만을 선택적으로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말은 소스 셀로부터 타겟 셀로 이동하는 단말일 수 있으며, 상기 네트워크는 상기 타겟 셀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네트워크일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단말은 셀 선택 또는 재선택을 수행하는 단말일 수 있으며, 상기 네트워크는 상기 단말이 선택 또는 재선택한 셀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네트워크일 수 있다.
상기 시스템 정보는 BBU 특정 정보, RRU 특정 정보, 그리고 셀 특정 정보로 구분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시스템 정보는 시스템 정보 전송 블록의 타입별로 BBU 특정 정보, RRU 특정 정보, 그리고 셀 특정 정보로 구분되어 있을 수도, 시스템 정보 전송 블록의 타입에 무관하게 BBU 특정 정보, RRU 특정 정보, 그리고 셀 특정 정보로 구분되어 있을 수도 있다.
상기 식별자는 가상 BBU풀 ID, BBU ID 및 RRU ID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방법은 상기 네트워크로부터 시스템 정보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시스템 정보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 상기 BBU 변경, 상기 RRU 변경, 상기 셀 변경 중 어느 하나에 대한 필요한 시스템 정보를 선택적으로 수신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시스템 정보 스케줄링 정보는 특정 시스템 정보 블록이 적용될 BBU 그룹, RRU 그룹 및 캐리어 그룹을 나타내는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시스템 정보 스케줄링 정보는 특정 시스템 정보 블록이 BBU 공통 정보인지, RRU 공통 정보인지, 캐리어 공통 정보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단위 필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서는 하나 이상의 BBU (Baseband Unit)들, 상기 BBU들 중 특정 BBU에 하나 이상 연결되어 단말에게 하나 이상의 셀을 통해 직접 서비스를 제공하는 RRU (Remote Radio Unit)를 포함하는 클라우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에 시스템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방법은 네트워크로부터 단말에 BBU, RRU 및 셀의 변경 여부를 파악할 수 있는 식별자를 전송하고, 상기 네트워크로부터 BBU 변경, RRU 변경, 및 셀 변경 중 어느 하나에 필요한 시스템 정보를 구분하여 상기 단말이 상기 BBU, 상기 RRU 및 상기 셀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변경 여부에 따라 선택적으로 시스템 정보를 수신하도록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서는 하나 이상의 BBU (Baseband Unit)들, 상기 BBU들 중 특정 BBU에 하나 이상 연결되어 단말에게 하나 이상의 셀을 통해 직접 서비스를 제공하는 RRU (Remote Radio Unit)를 포함하는 클라우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하는 단말 장치를 제공한다. 본 단말 장치는 BBU, RRU 및 셀의 변경 여부를 파악할 수 있는 식별자를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수신기; 및 상기 수신기와 연결되어 상기 수신된 식별자를 통해 상기 BBU, 상기 RRU 및 상기 셀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변경 여부를 파악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신기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BBU 변경, 상기 RRU 변경, 상기 셀 변경 중 어느 하나에 대한 필요한 시스템 정보만을 선택적으로 수신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서는 하나 이상의 BBU (Baseband Unit)들, 상기 BBU들 중 특정 BBU에 하나 이상 연결되어 단말에게 하나 이상의 셀을 통해 직접 서비스를 제공하는 RRU (Remote Radio Unit)를 포함하는 클라우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하는 네트워크 장치로서, 단말에 BBU, RRU 및 셀의 변경 여부를 파악할 수 있는 식별자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송신기; 및 상기 송신기와 연결되어 BBU 변경, RRU 변경, 및 셀 변경 중 어느 하나에 필요한 시스템 정보를 구분하여 상기 단말이 상기 BBU, 상기 RRU 및 상기 셀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변경 여부에 따라 선택적으로 시스템 정보를 수신하도록 시스템 정보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장치를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에 의해 클라우드 무선랜 환경과 같이 이기종망 환경에서 단말이 매번 시스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부담을 저감시킬 수 있다.
도 1은 이기종 셀 구조를 가지는 네트워크 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클라우드 무선 통신 시스템의 RRH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될 클라우드 무선접속 네트워크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가 적용될 수 있는 클라우드 RAN 구조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C-RAN 환경에서 BBU, RRU 및 캐리어 사이의 맵핑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제안하는 C-RAN SAS 환경에서의 네트워크 식별자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LTE-A 시스템에서 단말이 시스템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시스템 정보를 구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형태에 따라 시스템 정보를 구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방식들을 적용한 하나의 적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무선 장치의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구체적 세부사항을 포함한다. 그러나, 당업자는 본 발명이 이러한 구체적 세부사항 없이도 실시될 수 있음을 안다. 몇몇 경우, 본 발명의 개념이 모호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공지의 구조 및 장치는 생략되거나, 각 구조 및 장치의 핵심기능을 중심으로 한 블록도 형식으로 도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하의 설명은 클라우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부담을 줄이며 시스템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기술에 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상술한 종래 이기종망이 클라우드 무선 통신 시스템으로 변경되는 개념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클라우드 무선 통신 시스템의 RRH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네트워크 클라우드를 가능하게 하는 3가지 핵심 기술은 RRH(Remote Radio Head)/CoMP 기술, 소프트웨어 모뎀 기술 그리고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로 볼 수 있다. 무선 접속망 분야에서 네트워크 클라우드를 가능하게 한 가장 핵심은 RRH의 도입인데, RRH는 무선 전송 측면에서도 매우 중요한 요소이지만, 무선 접속망 구조에도 획기적인 변화를 유발하는 동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RRH는 원래 광중계기의 일종으로 개발되었으나, 최근 중앙 집중 기지국 구현의 핵심 요소로 사용되고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RRH의 도입으로 인해 RFU (Radio Frequency Unit) 혹은 RRU(Remote Radio Unit)와 BBU (Baseband Unit) 가 물리적으로 분화되어 더 이상 물리적인 기지국이 분산되어 존재할 필요가 없게 되었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지국의 역할은 무선 신호 송수신을 위한 RFU 혹은 RRU와 기지국내 처리를 위한 BBU로 구분되어, 양자는 광섬유(WDM-PON)에 의해 연결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최근 도입되고 있는 클라우드 접속망의 경우 하나의 장비에서 수백 개의 RRH와 연동하여 망을 운영할 수 있게 되었다. 결과적으로 전통적인 셀의 개념과는 다른 셀이 형성되게 되었다.
4G 통신 시스템까지 모든 무선 접속의 동작이 셀을 중심으로 정의되었지만, 이와 같은 구조적 변화를 통해 셀에 대한 개념을 새롭게 정립할 필요에 놓이게 되었다. 현재 3GPP에서는 Release 11의 CoMP(Coordinated Multi-Point) Work Item을 통해 RRH와 매크로 기지국이 있는 상황에서 다양한 구현 시나리오에 대해 논의 중이며, 최근에는 SAS (Shared Antenna System)과 같이 한 RRH를 여러 셀이 공유하는 개념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또한, 상황에 따라서 RRH 클러스터를 조정하여 셀 영역을 동적으로 변경하는 등의 개념도 연구되고 있다.
이러한 흐름 상에서 최근 C-RAN (Cloud Radio Access Network) 프로젝트에 대한 관심이 매우 높아지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될 클라우드 무선접속 네트워크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RRH(301a, 301b, 301c)는 광접속 장비를 통해 가상 기지국(302a)에 접속될 수 있다. RRH들은 LTE, HSPA, WiMAX/WiFi 등 다양한 무선 접속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가상 기지국(302a, 302b)은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 또한 LTE, HSPA, WiMAX/WiFi 등 다양한 무선 접속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가상 기지국들(302a, 302b)은 접속 제어 서버(303) 및 핵심망 클라우드 서버(304)에 연결되어 서비스가 제어될 수 있다.
한편, RRH는 가상 기지국과 이대일 관계일 필요는 없으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또는 여러 개의 RRH가 묶여서(301a, 301b, 301c) 하나의 가상 기지국(302a)을 통해 제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존에는 셀 영역이 고정되어 있었지만, C-RAN에서는 동적으로 RRH 클러스터를 변경하여 셀을 동적으로 할당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C-RAN SAS 환경의 구조적 특성상 단말이 어느 특정 RRU에 의해 이용되는 소스 셀(또는 캐리어(Carrier))로부터 타겟 셀(또는 캐리어)로 이동하는 경우, 특정 BBU의 소스 RRU로부터 타겟 RRU로 이동하는 경우, 그리고 특정 네트워크 내 소스 BBU로부터 타겟 BBU로 이동하는 경우 등 다양한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단말은 매번 새로운 타겟 셀에서 시스템 정보를 획득해야 하는 부담이 증가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UE는 캐리어(혹은 RRU)를 스위칭하거나 혹은 캐리어(혹은 RRU)를 추가하는 경우에, 각각의 셀에서 전송되는 SIB(System Information Block)를 수신 받게 된다. 이와 같은 상황은 C-RAN SAS 환경 혹은 소형 셀 배치 환경에서 빈번하게 발생 할 수 있으며, UE가 많은 SIB 정보를 수신하는 동안 지연이 발생 할 수 있다. 특히, 지연이 긴 경우에는 UE가 RLF (Radio Link Failure) 등에 빠질 수 있는 등 시스템 성능 저하로 이어 질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는 C-RAN SAS 환경에서 구조적 특성을 이용하여 시스템 정보를 BBU/RRU/캐리어 특정 시스템 정보(SI)로 분류하여 전송하는 것을 제안한다. 즉, 단말이 소스 셀로부터 타겟 셀로 이동하는 경우는 상술한 바와 같이 BBU 및 RRU의 변동 없이 캐리어(셀)만 변경되는 경우, RRU가 변경되는 경우, BBU가 변경되는 경우 등 다양하게 존재할 수 있으므로, 시스템 정보를 이와 같은 네트워크 구조를 고려하여 설계하고, 단말은 필요한 시스템 정보만을 수신하도록 함으로써 단말의 시스템 정보 획득을 위한 부담을 줄일 수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C-RAN SAS 환경에서 UE가 미리 획득한 SIB 정보와 다른 SIB 정보만 획득하게 함으로써 UE의 부담을 줄이고 시스템 성능을 개선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를 적용하기 위해서 UE는 캐리어(혹은 RRU)를 스위칭(이동)하거나 혹은 캐리어(혹은 RRU)를 추가하는 경우에 BBU/RRU/캐리어 단위 중에서 어떠한 것이 변경되었는지 먼저 파악 한 후에, 파악한 정보에 따라서 특정 캐리어를 통해서 전송하고 있는 SI(여기서 SI는 BBU/RRU/캐리어 특정 SI 모두 포함) 중에서 전체 혹은 일부의 SI만을 수신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E가 BBU와 RRU는 모두 동일한 다른 캐리어로 스위칭한 경우에는 캐리어 특정 SI만 수신 받을 수 있다.
상술한 실시형태에서 제안하는 방법은 C-RAN SAS 환경에서 언급하였으나, 이는 편의에 의한 것이며, 소형 셀 환경이나 혹은 도 1과 관련하여 상술한 기존의 이기종망 환경에서도 동일한 개념을 적용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형태를 적용할 수 있는 구체적 예로서 다양한 네트워크 배치 구조를 살펴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가 적용될 수 있는 클라우드 RAN 구조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도 4는 5G 무선망이 지향하는 하나의 대안인 Cloud RAN의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5G 클라우드 RAN에서는 가상 BBU 풀들(401a, 401b)이 존재하여, 각 BBU풀(401a, 401b)이 다수의 BBU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각 BBU풀들(401a, 401b)은 접속 GW(402a, 402b)를 통해서 Mult-RAT을 지원하는 SAS RRU들(403a, 403b)과 연계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가상 BBU 풀 내의 BBU들은 다수의 RAT을 지원하는 BBU들로 정의되며, 특정 시간에 하나의 RRU는 하나 이상의 BBU들과 연계될 수도 있고, RRU는 자신과 연계된 BBU의 제어를 받는다. 가상 BBU 풀 내의 BBU들과 RRU들 간의 연결은 이상적인 백홀(Ideal Backhaul)을 가정하며, 한 가상 BBU 풀은 다른 가상 BBU 풀과 X2 유사 인터페이스(404)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RRU의 시변적인 소속은 BBU의 상황 (예, 부하 상황, 자원 사용상황, 기타)에 따라 하나의 BBU에서 다른 BBU로 변경될 수 있다.
한편, C-RAN SAS 환경에서 BBU/RRU/캐리어 사이의 맵핑관계는 다양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 설명한다. 아래에서 언급하는 예들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간략한 예들만을 이용하며, 이에 따라 실제 상황은 각 예들이 혼합된 형태일 수 있다. 편의에 의해서 캐리어들을 F1과 F2로 예시하였으며, 두 개의 RRU 상황에서만 나타내었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C-RAN 환경에서 BBU, RRU 및 캐리어 사이의 맵핑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5는 하나의 BBU가 특정 UE를 위해서 데이터를 전송/수신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이 경우에 특정 UE는 하나의 BBU에서 전송하는 데이터를 여러 개의 캐리어(F1, F2)를 통해서 수신 받을 수 있으며, 특정 UE가 연결되어 있는 RRU의 수는 임의의 양의 정수 개이며 RRU의 수에 제약되지 않는다.
도 5를 살펴보면 1)의 경우는 BBU #0가 RRU #0와 RRU #1을 통해서 각각 F1이라는 캐리어로 신호를 전송/수신하고 있는 경우이며, 2)의 경우에는 BBU #0가 RRU #0를 통해서는 F1을, RRU #1을 통해서는 F2 캐리어를 이용하여 신호를 전송/수신하는 경우이다. 또한, 3)의 경우에는 BBU #0가 RRU #0을 통해서는 F1, RRU #1을 통해서는 F1/F2 캐리어를 통해 신호를 전송/수신 하는 경우를 나타내었다.
도 6은 다수의 BBU가 특정 UE를 위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경우를 도시한다. 이 경우에 특정 UE는 다수의 BBU에서 전송하는 데이터를 여러 개의 캐리어를 통해서 수신 받을 수 있으며, 특정 UE가 연결되어 있는 RRU의 수는 임의의 양의 정수 개이며 RRU의 수에 제약되지 않는다.
도 6을 살펴보면 도 6에서의 1) 경우는 BBU #0가 RRU #0의 F1 캐리어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BBU #1가 RRU #1의 F1 캐리어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있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2)의 경우에는 BBU #0가 RRU #0의 F1 캐리어를, BBU #1이 RRU #1의 F2 캐리어를 이용하여 신호를 송수신하는 경우이다. 또한 3)의 경우에는 BBU #0가 RRU #0의 F1, BBU #1이 RRU #1의 F1/F2 캐리어를 이용하여 신호를 송수신하는 경우를 나타내었다.
한편, 도 7은 특정 캐리어를 다수의 BBU가 사용하여 신호를 송수신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즉, 특정 캐리어의 자원들을 다수의 BBU들이 코디네이션하여 각각의 BBU들이 코디네이션된 자원을 사용하여 신호를 송수신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는 도 6의 경우와 유사하게 다수의 BBU가 특정 UE를 위해서 신호를 송수신을 하는 경우로, 특정 UE는 다수의 BBU에서 전송하는 신호를 여러 개의 캐리어를 통해서 수신 받을 수 있으며, 특정 UE가 연결되어 있는 RRU의 수는 임의의 양의 정수 개이며 RRU의 수에 제약되지 않는다.
도 7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7에서의 1) 경우는 BBU #0가 RRU #0의 F1 캐리어뿐만 아니라 RRU #1의 F1 캐리어를 이용하여 신호를 전송/수신하고, BBU #1가 RRU #1의 F1 캐리어를 이용하여 data를 전송/수신하고 있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2)의 경우에는 BBU #0가 RRU #0의 F1 캐리어와 RRU #1의 F2 캐리어를, BBU #1이 RRU #1의 F2 캐리어를 이용하여 신호를 송수신하는 경우이다. 또한 3)의 경우에는 BBU #0가 RRU #0의 F1과 RRU #1의 F1 혹은/그리고 F2 캐리어를, BBU #1이 RRU #1의 F1/F2 캐리어를 이용하여 신호를 송수신하는 경우를 나타내었다.
즉, 도 7은 특정 BBU가 2이상의 RRU의 캐리어를 이용하는 경우의 예이다.
도 5 내지 도 7과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네트워크 배치 환경에서 시스템 정보를 BBU/RRU/캐리어 특정 정보로 구분하여 전송하고, UE는 자신의 변경 상황에 맞는 시스템 정보만 선택적으로 수신하기 위해서는 BBU/RRU/캐리어 변경 여부를 정확하게 파악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서는 이러한 네트워크 배치 구조 변경을 파악하기 위한 식별자 구조를 제안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제안하는 C-RAN SAS 환경에서의 네트워크 식별자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의 LTE Rel-8/9/10/11에서 eNB를 식별하기 위한 ID로 eNB ID 및 Global eNB ID를 사용하고, eNB를 구성하는 셀에 대한 식별자로는 eNB ID와 Global eNB ID에 셀 ID가 붙여서 된 ECI(E-UTRAN Cell Identifier) 혹은 ECGI(E-UTRAN Cell Global Identifier)를 사용하였다.
이와 같은 ID는 특정 UE가 측정을 수행하고 보고를 할 때, eNB로 측정 결과와 이와 같은 ID를 함께 전송함으로써, 두 개의 eNB 사이의 X2 등을 설정할 때 혹은 HO(Handover)를 수행하고자 할 때, eNB 계층에서 각각의 eNB를 정확하게 식별 할 수 있도록 해준다.
C-RAN SAS 환경에서는 eNB가 아닌 BBU와 RRU이 eNB의 역할을 하기 때문에 LTE Rel-8/9/10/11에서 사용하는 eNB ID는 사용 하지 못 할 수도 있다. 이에 도 8에서 보는 것과 같이 LTE에서 사용되었던 eNB ID가 가상 BBU 풀 ID, BBU ID, RRU ID 등이 각각 X bits, Y bits, Z bits (여기서 X, Y, Z는 임의의 양의 정수)로 구성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필드 중에서 특정 필드는 필요에 따라 생략 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MCC, MNC, BBU ID로 구성된 ID가 글로벌하게 유일한 경우에 가상 BBU 풀 ID는 생략 될 수도 있다. 즉, PLMN과 BBU ID로 특정 BBU를 식별 할 수 있는 경우에 가상 BBU 풀 ID는 생략 될 수 있다. 또는 BBU ID가 가상 BBU 풀 단위로 재상용되는 경우에는 PLMN과 BBU ID로 특정 BBU를 식별 할 수 없기 때문에 이와 같은 경우에는 가상 BBU 풀을 구별 해줄 수 있는 가상 BBU 풀 ID가 추가 될 수도 있다. 또한 RRU ID가 포함되면서 LTE Rel-8/9/10/11에서 사용되어 있던 셀 ID를 위해 사용되었던 8 bits 가 보다 적은 bits로 설정 될 수도 있다.
BBU ID와 RRU ID는 시스템 배치를 수행할 때 사업자가 설정 할 수 있으며, RRU ID의 경우에는 가상 BBU 풀, A-GW, MME 단위 내에서 재사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재사용 단위는 특정 RRU가 연결되는 단위와 연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서 살펴보면 특정 RRU가 BBU 풀을 넘어서 스위칭을 하지 못하는 경우에 즉, RRU가 다른 가상 BBU 풀에 있는 A-GW로 바로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RRU ID는 가상 BBU 단위로 재사용할 수 있다.
혹은 위의 식별자에서 A-GW ID를 나타내는 필드가 추가 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 A-GW 단위로 RRU ID를 재사용할 수 있으며 RRU ID를 설정할 때 인접한 다른 A-GW에 연결되어 있는 RRU ID와 되도록 거리가 멀게 설정 해 줄 수 있다. 즉, RRU를 재사용할 때 같은 ID를 사용하는 RRU들 사이의 거리는 가급적 멀리 설정 해 줄 수 있다. 이와 같은 RRU ID(혹은 RRU ID+Cell ID)는 기존에 사용되던 PCID 대신 사용 할 수도 있으며 이에 이와 같은 RRU ID가 참조 신호(reference signal)나 혹은 다른 물리 신호들을 구성할 때 사용 될 수 있다.
혹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RRU ID와는 다르게 물리계층에서 사용되는 ID를 이용하는 것을 제안한다. 즉, 상위 계층에서 RRU를 구별해주는 RRU ID가 존재하는 것과 별개로 물리계층에서만 사용되는 ID가 추가로 정의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ID는 기존의 PCID(Physical cell ID)를 재사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ID를 이용하여 참조 신호나 혹은 다른 물리 신호들을 구성할 때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식별자를 이용하여 BBU/RRU/캐리어의 변동 여부를 파악할 수 있을 때 UE가 선택적으로 시스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도록 시스템 정보를 구성하는 방법에 대해 살펴본다.
도 9는 LTE-A 시스템에서 단말이 시스템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LTE-A 시스템에서 UE는 셀 선택/재선택, 핸드오버 이후 등 다양한 이유에서 시스템 정보 획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LTE-A 시스템에서 UE가 획득하는 시스템 정보는 중요도/용도 등에 따라 마스터 정보 블록(MIB), 다양한 타입의 시스템 정보 블록(SIB)들, 그리고 그 밖의 시스템 정보(SI)를 수신하게 된다. 각 시스템 정보들을 전송하는 메시지의 전송 주기 및 방식은 서로 상이하게 규정된다. 구체적으로 LTE-A에서 시스템 블록은 16가지 타입을 가지며, 각 SIB들은 서로 상이한 시스템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시스템 정보를 구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된 실시형태에서는 기존 SIB 타입들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각 SIB Type에서 BBU 특정 정보, RRU 특정 정보, 캐리어 특정 정보를 구분하여 전송하는 방식을 도시하였다. 예를 들어 SIB 타입 1에서 각각의 정보들의 특성에 따라서 즉, BBU 단위, RRU 단위, 캐리어 단위로 설정 가능한 정보들이 각각 새로운 시스템 정보 블록 타입으로 설정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에서 보는 것과 같이 SIB 1이 각각 BBU 단위(혹은 그룹), RRU 단위(혹은 그룹), 캐리어 단위(혹은 그룹)의 공통 정보로 나뉘어 각각 새로운 SIB 1,2,3을 구성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는 C-RAN SAS에서 SIB는 BBU 단위로 공통된 정보, RRU 단위로 공통된 정보, 캐리어 단위의 공통된 정보로 나누어서 구성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SIB는 BBU에서 생성 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제안하는 방법은 공통된 SIB 정보가 많이 있는 경우에 보다 효과적일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경우가 RRU들의 그룹이 하나의 셀로 동작 하는 경우일 수 있다. 또한 같은 주파수를 사용하고 하나의 BBU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 역시 공통된 SIB 정보가 많이 있는 경우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와 같은 경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BBU 단위의 공통된 정보, RRU 단위의 공통된 정보, 캐리어 단위의 공통 정보들에 대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아래 실시 예는 도 10과 같이 LTE에서의 시스템 정보 구조를 기반으로 작성하였으나, 후술할 실시형태에서는 이에 제한될 필요는 없다.
시스템 정보 블록 타입 1
SIB 타입 1에서 BBU 단위/RRU 단위의 공통된 정보로서 캐리어 단위로 설정 가능한 정보는 다음 표 1과 같다.
Figure pct00001
한편, SIB 타입 1에서 RRU 단위로 설정 가능한 정보의 예는 다음 표 2와 같다.
Figure pct00002
한편, SIB 타입1에서 캐리어 단위로 설정 가능한 정보로서 캐리어 선택 관련 정보는 다음 표 3과 같다.
Figure pct00003
여기에서 cellIdentity는 앞에서 언급한 C-RAN SAS 환경에서 새롭게 규정된 eNB 및 셀의 식별자를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SIB 타입 1 중 캐리어 단위로 설정 가능한 정보로서 SI 관련 정보는 다음 표 4와 같을 수 있다.
Figure pct00004
시스템 정보 블록 타입 2
SIB 타입 2에서 BBU 단위/RRU 단위의 공통된 정보로서 캐리어 단위로 설정 가능한 정보는 다음 표 5와 같다.
Figure pct00005
한편, SIB 타입 2에서 캐리어 단위로 설정 가능한 정보는 다음 표 6과 같다.
Figure pct00006
시스템 정보 블록 타입 3-5
SIB 타입 3는 주파수간, 주파수내, 이종망간 셀 재선택을 위한 정보를 포함하며, SIB 타입 4는 주파수 내 이웃 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SIB 타입 5는 주파수간 셀 재선택을 위한 정보, 예를 들어 셀 재선택과 관련된 주파수간 이웃 셀 그리고 다른 E-UTRA 주파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이러한 SIB 3 내지 5에서 RRU 단위의 공통정보로서 캐리어 단위로 설정 가능한 정보는 주파수 내/주파수간 셀 재선택을 위한 이웃 셀 리스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시스템 정보 블록 타입 6-8
SIB 타입6는 이종무선망간(inter-RAT) 셀 재선택을 위한 정보로서, UTRA 주파수 및 셀 재선택과 관련된 UTRA 이웃 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SIB 타입 7은 이종무선망간 셀 재선택을 위한 정보로서, 셀 재선택과 관련된 GERAN 주파수 정보를 포함한다. SIB 타입 8은 이종무선망간 셀 재선택을 위한 정보로서, 셀 재선택과 관련된 CDMA2000 주파수 및 CDMA2000 이웃 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이러한 SIB 타입 6내지 8에서 RRU 단위의 공통정보로서 캐리어 단위 설정이 가능한 정보로서는 CDMA2000 이웃 셀 리스트 등 이종무선망간 셀 재선택을 위한 파라미터가 포함될 수 있다.
기타 이하의 표 7은 그 밖의 SIB 타입들에서 공통정보로서 구성할 수 있는 정보의 예들에 대한 것이다.
Figure pct00007
상술한 표에서 각 정보의 명칭은 기본적으로 종래 LTE 표준의 정의와 동일할 수 있으며, 다만 본 발명에서와 같이 클라우드 네트워크 형성을 위해 필요한 변경이 반영한 것일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형태에 따라 시스템 정보를 구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즉, 도 10과 관련하여 상술한 실시형태에서와 같이 각 SIB 타입별로 공통정보들을 추출하여 SIB를 구성하는 대신, 본 실시형태에서는 기존의 SIB 타입과 상관 없이 각각의 정보들이 조합되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BBU 단위, RRU 단위, 캐리어 단위로 구성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에서 살펴보면 기존의 LTE에서의 SIB 각각의 정보가 BBU 단위(혹은 그룹), RRU 단위(혹은 그룹), 캐리어 단위(혹은 그룹)로 구분 되면 이와 같은 정보들이 서로 그룹을 이루어서 하나의 SIB를 구성 할 수 있다. 즉, 도 11에서 보는 것과 같이 SIB 1과 SIB 2에서의 캐리어 관련 정보들을 묶어서 하나의 SIB 1으로 구성 할 수 있다. 또한, 일부 SIB는 기존 형태를 유지하고, 일부 SIB는 기존 형태가 유지될 필요 없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공통정보 단위로 재구성 될 수도 있다.
기존과 같은 시스템 정보 블록 타입을 유지하고 그 안에서 BBU 단위, RRU 단위, 캐리어 단위의 정보들을 구별하여 전송하는 경우에 UE는 이와 같은 시스템 정보를 모두 읽어야 하기 때문에 이득을 얻을 수 없다. 그러나 이와 같이 각각의 단위로 구분된 시스템 정보 블록을 전송되는 경우에, UE는 자신의 변동 상태를 파악하여 모든 시스템 정보 블록을 수신 하지 않아도 되도록 설정함으로써 UE의 부담을 줄일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시스템 정보 블록이라는 용어는 일례이며, 새로운 단위가 새롭게 정의 될 수도 있다.
이러한 설명에서 네트워크의 구조가 BBU, RRU, 캐리어의 구조로 구성되는 예에 따른 것으로서, 상술한 바와 같은 이종망 환경에서 매크로 셀과 소형 셀이 배치되어 있는 환경의 경우 매크로 셀 공통 정보, 소형 셀 공통 정보 등으로 시스템 정보가 재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서 공통된 정보를 가지고 있는 단위(BBU, RRU, 캐리어)를 나타내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BBU에 연결되어 있는 RRU들이 모두 공통된 정보를 가지고 있는 경우에 이와 같은 정보를 BBU 단위로 공통된 정보로 설정하는 경우에는 RRU들을 구별해 줄 필요는 없다. 혹은 특정 RRU를 통해서 전송되고 있는 캐리어들 모두의 공통된 정보인 경우에 RRU 단위로 공통된 정보를 설정 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경우에 특정 RRU에서 전송되고 있는 캐리어들을 구분해 줄 필요는 없다.
이와 같이 공통정보 단위로 시스템 정보를 재구성할 때 오버헤드를 최소화하면서 어느 단위의 공통정보인지를 나타내는 방법에는 다음과 같은 예가 있을 수 있다.
실시예 1
BBU에 연결된 RRU들 중에서 임의의 RRU 그룹 혹은 (서로 다른 혹은 같은) RRU(들)의 캐리어 그룹이 서로 공통된 정보가 있는 경우에 SIBs의 스케줄링 정보를 알려주는 정보(LTE에서는 schedulingInfoList)에서 이와 같은 SIB가 어떠한 RRU 그룹, (서로 다른 혹은 같은) RRU(들)의 캐리어 그룹의 공통된 정보임을 알려주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에 앞에서 정의된 C-RAN SAS 환경에서 eNB 및 셀의 식별자를 이용하여 어떠한 RRU 혹은 RRU의 캐리어들의 공통된 정보인지를 알려 줄 수 있다. 혹은 BBU들의 공통된 정보인 경우에도 앞에서 정의된 C-RAN SAS 환경에서 eNB 및 셀의 식별자를 이용하여 어떠한 BBU들의 공통된 정보인지를 알려 줄 수 있다. 물론 특정 캐리어를 위한 특정한 정보인 경우에는 SIB-GroupIdentity가 생략 될 수도 있다. 즉, SIB-GroupIdentity가 생략된 경우 앞에서 언급한 C-RAN SAS 환경에서 eNB 및 셀의 식별자를 통해서 이와 같은 캐리어를 위한 시스템 정보임을 알 수도 있다. 혹은 특정 캐리어 특정임을 나타내는 지시자가 추가로 적용 될 수도 있다.
아래 표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정보 스케줄링 메시지의 구성을 보여준다.
Figure pct00008
여기서, SIB-GroupIdentity를 통해 특정 SIB가 어떠한 BBU, RRU들 혹은 캐리어들의 공통된 정보임을 알려 줄 수 있다.
실시예2
혹은 앞에서 제안된 방법처럼 CellIdentity를 전송해 주는 경우에는 길이가 길기 때문에 많은 양의 데이터가 필요 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실시예2에서는 BBU 단위(혹은 그룹)인지 혹은 RRU 단위(혹은 그룹)인지 혹은 캐리어 단위(혹은 그룹)인지를 알려주는 필드와 각각의 단위에 따른 ID들을 전송해 주는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이와 같은 공통 수준을 나타내는 필드는 특정 캐리어 특정한 정보임을 나타내기 위해서 사용 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방법은 특정 경우에 한정하여 적용 할 수도 있으며, 앞에서 제안한 방법과 함께 적용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앞에서 언급한 것과 같이 SIB를 전송하는 C-RAN SAS 환경에서 eNB 및 셀의 식별자가 전송되기 때문에 단위에 따른 ID만을 전송해 주어도 이를 파악 할 수 있는 경우이다.
셀 ID가 RRU 단위로 재사용되는 경우에는 다른 RRU들과 연계된 캐리어들이 공통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캐리어에 대한 구분을 할 수 없다. 따라서 이와 같은 경우에는 RRU ID도 같이 포함하여 알려 줄 수도 있다.
아래 표 9는 본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정보 스케줄링 메시지의 구성을 보여준다.
Figure pct00009
상기 표 9에서 'SIB-GroupIndicator' 를 통해 해당 시스템 정보가, BBU 특정 정보인지, RRU 특정 정보인지 또는 캐리어 특정 정보인지를 나타낼 수 있으며, 'SIB-GroupIdentify' 필드를 통해 해당 레벨에서 적용될 네트워크를 나타낼 수 있다.
도 12는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방식들을 적용한 하나의 적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의 예는 RRU#0와 RRU#1이 F1 캐리어를 이용하고, RRU#2가 F1 캐리어 및 F2 캐리어를 이용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우선, 상술한 실시예1의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의 일례를 설명한다.
RRU #0와 RRU #1의 F1 캐리어에서 서로 공통된 정보를 특정 SIB로 전송하는 경우에는 스케줄링정보에 SIB의 타입외에 C-RAN SAS 환경에서 eNB 및 셀의 식별자를 전송해 줄 수 있다. 만일 SIB #2라고 하는 경우에 SIB-GroupCellIdentity로 앞에서 도 8과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새롭게 정의한 ECGI를 전송해 줄 수 있다. 각각의 RRU에서 F1을 셀 #0로 설정했다고 가정하면 SIB-GroupCellIdentity에는 {PLMN ID+BBU #0+RRU #0+ cell #0, PLMN ID+BBU #0+RRU #1+ cell #0}와 같은 정보가 전송 될 수 있다. 만일 같은 PLMN에서만 각각의 BBU/RRU/캐리어 단위로 구별하여 SIB를 전송하도록 하는 경우에는 앞에서 정의한 ECI를 전송해 줄 수도 있다. 각각의 RRU에서 F1를 셀 #0로 설정했다고 가정하면 SIB-GroupCellIdentity에는 {BBU #0+RRU #0+cell #0, BBU #0+RRU #1+ cell #0}와 같은 정보가 전송 될 수 있다.
한편, 다른 예로서는 위의 도 12 에서 RRU #2의 F1 캐리어와 F2 캐리어가 서로 공통인 특정 SIB를 전송하는 경우, RRU #2의 F1 캐리어를 셀 #0로, RRU #2의 F2 캐리어를 셀 #1으로 설정하고 했다고 가정하면, SIB-GroupCellIdentity에는 {PLMN ID+BBU #0+RRU #2+ cell #0, PLMN ID+BBU #0+RRU #2+ cell #1}와 같은 정보가 전송 될 수 있다. 만일 같은 PLMN에서만 각각의 BBU/RRU/캐리어 단위로 구별하여 SIB를 전송하도록 하는 경우에는 앞에서 정의한 ECI를 전송해 줄 수 있으며 SIB-GroupCellIdentity에는 {BBU #0+RRU #2+ cell #0, BBU #0+RRU #2+ cell #1}와 같은 정보가 전송 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BBU #0와 연결된 RRU #0의 셀 #0로 정의된 f1 캐리어를 위한 SIB 정보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SIB에 C-RAN SAS 환경에서 eNB 및 셀의 식별자만을 전송해 줘도 된다. 즉, SIB-GroupCellIdentity가 생략되는 SIB의 경우에는 특정 캐리어 특정한 정보임을 나타낼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 2를 적용하는 경우를 살펴본다. 즉, 공통 정보가 적용되는 단위(혹은 그룹)를 나타내는 필드(상술한 표에서는 SIB-GroupIndicator로 정의함)를 전송해 주는 경우를 살펴본다.
예를 들어 해당 필드에 2 비트를 사용하여 단위를 나타내는 경우에 '00' 인 경우에는 BBU 단위(혹은 그룹), '01' 인 경우에는 RRU 단위(혹은 그룹), '10' 인 경우에는 캐리어 단위(혹은 그룹)로 '11' 인 경우에는 캐리어 특정한 정보임을 나타내는 것으로 미리 정의 할 수 있다.
이를 도 12의 예에 적용하면, RRU #0와 RRU #1에서 사용되는 캐리어에 상관없이 서로 공통인 특정 SIB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SchedulingInfo에 SIB의 타입 외에 공통단위를 나타내는 필드와 단위에 따른 ID들을 전송해 줄 수 있다. RRU 단위로 공통된 정보를 전송하는 경우, 단위를 나타내는 필드에는 '01' 이 전송되며, RRU 단위이기 때문에 각각의 RRU들의 ID가 전송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위에 따른 ID로는 {RRU #0, RRU #1}이 전송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정보는 RRU #0의 f1 캐리어와 RRU #1의 f1 캐리어를 통해서 전송될 수 있다. RRU #0의 f1 캐리어에서 이와 같은 SIB 정보가 전송되는 경우에 RRU #0의 f1 캐리어에 전송되는 다른 SIB 정보 중 C-RAN SAS 환경에서 eNB 및 셀의 식별자를 이용하여 RRU #0와 공통된 SIB 정보를 사용하는 RRU #1의 정보(PLMN, BBU ID)에 대한 정보를 획득 할 수 있다. RRU #1에서 전송되는 SIB 역시 RRU #0의 경우와 유사하게 적용 가능하다.
다른 예로 위의 도 12 에서 RRU #2의 f1 캐리어와 f2 캐리어가 서로 공통인 특정 SIB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SchedulingInfo에 SIB의 타입 외에 단위를 나타내는 필드와 단위에 따른 ID들을 전송해 줄 수 있다. RRU #2 에서의 f1 캐리어는 셀 #0, f2 캐리어는 cell #1로 설정했다고 가정하면 캐리어 단위(혹은 그룹)로 공통된 정보이기 때문에 단위를 나타내는 필드는 '10' 이 전송되며 캐리어 단위이기 때문에 각각의 캐리어를 나타내는 셀 ID인 {cell #0, cell #1}이 전송 될 수 있다.
만일 RRU #0의 f1 캐리어에서 이와 같은 SIB 정보가 전송되는 경우에 RRU #2의 f1 캐리어에 전송되는 다른 SIB 정보 중 C-RAN SAS 환경에서 eNB 및 셀의 식별자를 이용하여 RRU #2의 f1 캐리어와 공통된 SIB 정보를 사용하는 RRU #2의 f2 캐리어의 정보(PLMN, BBU ID, RRU ID)에 대한 정보를 획득 할 수 있다. RRU #2의 f2 캐리어에서 전송되는 SIB 역시 RRU #2의 f1 캐리어의 경우와 유사하게 적용 가능하다.
또 다른 예로서, BBU #0와 연결된 RRU #0의 셀 #0로 정의된 f1 캐리어를 위한 SIB 정보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SIB에 SIB-GroupIndicator을 이용하여 캐리어 특정한 정보임을 나타내기 위해서 '11' 을 전송 할 수 있으며 SIB-GroupCellIdentity가 생략되는 SIB의 경우에는 C-RAN SAS 환경에서 eNB 및 셀의 식별자가 나타내는 특정 캐리어 특정한 정보임을 나타낼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설명에 기초하여 UE가 SIB를 수신하는 프로세스에 대해 설명한다.
특정 UE가 셀에 연결하기 위해서는 특정 셀에 대한 동기를 획득 한 후에 특정 셀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기존의 LTE Rel-8/9/10/11에서 UE는 동기를 획득 한 후에 BCH(Broadcast Channel)를 획득하여 셀에 대한 기본 정보를 획득한다. 먼저 MIB (Master information block)를 수신함으로써 시스템 대역폭, PHICH 구조, 시스템 프레임 번호, 안테나 수, 40ms 동기를 획득하고, 이 후 시스템 정보 블록을 수신 받는다. 이와 같은 시스템 정보 블록을 수신 받음으로써 앞에서 언급한 시스템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게 되고, 이를 이용하여 이 후에 UE는 셀과 연결할 수 있다.
기존의 LTE Rel-8/9/10/11에서 UE는 셀이 변경될 때마다 SIB 정보를 새롭게 수신 받는 과정을 수행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과정은 소형 셀로 C-RAN SAS 상황에서의 RRH가 배치되어 있는 상황에서는 셀의 반경이 작아지기 때문에 빈번하게 SIB 수신 과정을 수행해야 하는 부담이 생긴다. 이에 따라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에서는 이와 같은 부담을 줄이고 UE가 보다 빠르게 셀에 연결하기 위해서 UE는 서빙셀에서 타겟 셀로 이동하는 경우, 혹은 셀 재선택을 하는 경우에 변경된 SIB 정보만을 획득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UE가 서빙 셀에서 타겟 셀로 이동하는 경우 혹은 셀 재선택을 수행하는 경우, 특정 셀(캐리어)의 SIB1을 수신하여, 특정 셀에 대한 정보 중 C-RAN SAS 환경에서 eNB 및 셀의 식별자를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식별자를 이용하여 UE는 변경된 셀이 서빙 셀 혹은 이전에 UE가 Idle 상태로 위치하고 있는 셀과의 관계를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앞에서 언급한 방법으로 C-RAN SAS 환경에서 eNB 및 셀의 식별자를 구성하는 경우에 UE는 자신이 다른 BBU의 셀로 이동하였는지, 혹은 다른 RRU의 셀로 이동하였는지 혹은 다른 캐리어로 이동하였는지 여부에 대해서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UE가 SIB를 통해서 수신 받은 C-RAN SAS 환경에서 eNB 및 셀의 식별자가 PLMN ID+BBU #0+RRU #0+ cell #0인 셀에서 PLMN ID+BBU #0+RRU #1+ cell #0으로 넘어가거나 혹은 재선택하는 경우에는 특정 UE는 자신이 RRU #0로부터 RRU #1의 셀로 이동하였음을 알 수 있으며, 계속 BBU #0를 통해서 연결을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UE는 BBU 단위의 SI 콘텐츠가 변경되지 않은 상태임을 가정하여 BBU 단위의 공통된 정보를 수신 받지 않아도 됨을 알 수 있으며 이동하기 전의 셀의 BBU 단위의 공통된 정보를 재사용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 셀 ID는 RRU 단위로 재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앞에서 언급한 SIB-GroupIdentity(혹은 SIB-GroupIndicator도 포함될 수 있음)을 확인하여 두 개의 셀을 위한 캐리어 단위의 공통된 정보가 포함된 SIB가 있는지 파악할 수 있다. 만일 SIB-GroupIdentity에 {PLMN ID+BBU #0+RRU #0+ cell #0, PLMN ID+BBU #0+RRU #1+ cell #0}가 있는 경우에는 두 개의 캐리어의 공통된 정보가 포함된 SIB가 있음을 알 수 있고, 이와 같은 경우에는 두 개의 캐리어의 공통된 SIB를 다시 수신 받을 필요가 없음을 알고, 이에 대한 SIB 정보를 수신하지 않고 기존의 PLMN ID+BBU #0+RRU #0+ cell #0의 셀에서 수신 받은 두 개의 캐리어의 공통된 SIB를 재사용할 수 있다.
혹은 SIB-GroupIdentity에 {PLMN ID+BBU #0+RRU #0+ cell #0, PLMN ID+BBU #0+RRU #1+ cell #0}가 있는 없는 경우에는 두 개의 캐리어의 공통된 정보가 포함된 SIB가 없음을 알 수 있다.
또한 특정 UE가 SIB를 통해서 수신 받은 C-RAN SAS 환경에서 eNB 및 셀의 식별자가 PLMN ID+BBU #0+RRU #0+ cell #0인 셀에서 PLMN ID+BBU #0+RRU #0+ cell #1으로 넘어가거나, 재선택하는 경우에는 특정 UE는 자신이 RRU #0의 셀#0로부터 RRU #0의 셀#1으로 이동하였음을 알 수 있으며, 계속 RRU #0를 통해서 연결을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UE는 BBU 단위와 RRU 단위의 공통된 정보를 수신 받지 않아도 되며 이동하기 전 셀의 BBU 단위와 RRU 단위의 공통된 정보를 재사용하여도 됨을 알 수 있다.
특정 UE는 캐리어 특정한 정보를 수신 받은 후에 캐리어 단위의 공통 정보, RRU 단위의 공통 정보, BBU 단위의 공통 정보를 볼 수 있게 수신 순서를 정의 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정보는 SIB를 설정 할 때 반영 할 수 있다. 혹은 정보의 내용에 따라서 BBU 단위, RRU 단위, 캐리어 단위의 공통 정보, 캐리어 특정한 정보에 상관없이 UE가 셀에 연결하기 위해서 필요한 정보의 순서대로 SIB를 설정하여 이와 같은 순서대로 UE의 수신 받을 수 있게 할 수도 있다. 이 때, 앞에서 언급한 다른 SIB들에 대한 스케줄링 및 공통 정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 내용은 다른 SIB를 읽기 전에 모든 UE들이 읽을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LTE Rel-10/11에서 UE는 SIB 1에서 전송되는 SystemInfoValue Tag를 읽고 저장된 SIB 정보가 유효한지 여부를 확인 할 수 있다. 혹은 페이징 메시지에서 전송되는 systemInfoModification을 수신하여 SIB 정보가 유효한지 여부를 확인 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경우에는 특정 SIB가 변경되는 경우에도 UE는 특정 SIB 뿐만 아니라 다른 SIB에 대한 모든 정보를 다시 수신해야 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형태들에서와 같이 BBU, RRU, 캐리어 특정한 SIB를 구분하는 경우에 SystemInfoValue Tag나 systemInfoModification 역시 BBU, RRU, 캐리어 특정한 SIB로 구분하여 전송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UE는 SIB 중에서 변경되지 않은 SIB에 대한 정보는 유효하다고 가정하고 변경된 SIB를 수신하여 SIB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ystemInfoValue Tag가 {SystemInfoValue Tag_RRU, SystemInfoValue Tag_RRU, SystemInfoValue Tag_carrier}로 구분하여 전송 할 수 있다. 혹은 systemInfoModification 역시 {systemInfoModification_BBU, systemInfoModification_RRU, systemInfoModification_carrier}로 전송해 줄 수 있다.
이와 같이 BBU와 RRU, 캐리어 단위의 SIB의 변경 여부를 알려주는 정보를 수신 받은 UE는 SystemInfoValue Tag가 변경되었음을 나타내는 SIB 정보를 수신 받을 수 있고, systemInfoModification가 변경되었음을 나타내는 SIB 정보를 수신 받을 수 있다.
일 예로서, {SystemInfoValue Tag_RRU, SystemInfoValue Tag_RRU, SystemInfoValue Tag_carrier} 중에서 SystemInfoValue Tag_RRU의 값이 변경이 된 경우 UE는 RRU 특정한 SIB 정보가 변경되었음을 가정하고 이와 같은 정보와 앞에서 언급한 SIB의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 받아 RRU 특정한 SIB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systemInfoModification_BBU, systemInfoModification_RRU, systemInfoModification_carrier} 중에서 systemInfoModification_carrier의 값이 변경이 된 경우, UE는 carrier특정한 SIB 정보가 변경되었음을 가정하고 이와 같은 정보와 앞에서 언급한 SIB의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 받아 carrier특정한 SIB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술한 BBU와 RRU의 맵핑 관계 및 캐리어에 따른 경우들 중 특정 캐리어를 통해 다수 개의 BBU들이 신호를 송수신하는 경우에 여러 가지 방법으로 SIB를 전송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특정 캐리어에서 다수 개의 BBU가 서로 다른 SIB를 전송하지 않는 것으로 가정하며 하나의 BBU에서 다수 개의 BBU를 위한 SIB 전송을 할 수 있다. 이 때, SIB에 포함되어 있는 cellIdentitiy에 각각의 C-RAN SAS 환경에서 eNB 및 셀의 식별자가 전송 될 수 있으며 혹은 앞에서 제안한 방법이 적용 될 수도 있다. 이 때, 특정 캐리어에서 사용하는 PCID는 동일하게 설정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캐리어를 이용하여 다수 개의 BBU들이 데이터를 송수신 하는 경우에 특정 캐리어의 FDD 혹은 TDD 구성은 동일한 구성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정보들은 다수 개의 BBU가 공통으로 사용 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특정 캐리어에서 다수 개의 BBU가 서로 다른 SIB를 사용할 수 있으며, 다수 개의 BBU에서 각각의 BBU를 위한 SIB 전송하거나 혹은 하나의 BBU가 다수 개의 BBU와 coordination 과정을 수행하고, 다수 개의 BBU에 대한 SIB 정보를 전송해 줄 수 있다. 이 때, SIB를 통해서 각각의 C-RAN SAS 환경에서 eNB 및 셀의 식별자가 전송 될 수 있으며(앞에서 제안한 방법을 사용 할 수 있음) 특정 캐리어에서 사용하는 PCID는 동일하게 설정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캐리어를 이용하여 다수 개의 BBU들이 신호를 송수신하는 경우에 각각의 BBU들을 위한 PRACH 구성 (자원, 프리엠블 포함)이 서로 다르게 설정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것을 알려주기 위해서 앞에서 제안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위에서 언급한 두 가지 방법들이 SIB 정보에 따라서 혼합되어 적용 될 수도 있다.
임의의 UE가 다수 개의 BBU들이 송수신하는 특정 캐리어 (셀 혹은 RRU)로 HO를 수행하거나 혹은 초기 접속(initial access)을 수행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임의의 UE를 자신을 지원 해주는 BBU를 알아야 할 필요가 있고, 이를 위한 여러 가지 방법이 있을 수 있다.
UE가 HO를 수행하는 경우
UE는 앞에서 언급한 방법에 의해서 전송되는 SIB 정보들을 수신 받는 경우 다수 개의 BBU들이 특정 캐리어 (셀 혹은 RRU)를 통해서 신호를 송수신함을 알 수 있다. UE가 특정 캐리어(셀 혹은 RRU)에 대해서 측정 보고를 수행하며 HO를 위한 측정 보고를 RRU를 통해서 다 수 개의 BBU들 혹은 다수 개의 BBU들 중에서 특정 BBU로 전송 할 때, UE가 HO event가 trigger된 경우에 다수 개의 BBU들 중에서 자신이 HO를 수행하고자 하는 BBU를 결정하여 결정한 BBU에 대한 정보를 보고 해 줄 수도 있다. 또는, UE는 HO event가 trigger 되었음을 나타내는 측정 보고를 전송할 때 다수 개의 BBU들과 이와 같은 다 수개의 BBU들과 RRU의 연계를 알려주는 각각의 C-RAN SAS 환경에서 eNB 및 셀의 식별자들을 전송해주고, 네트워크 (소스 BBU, MME 등)에서 다 수 개의 BBU들 중에서 UE를 HO 해 줄 BBU를 결정 해 줄 수 있다.
UE가 초기 접속을 수행하는 경우
UE가 초기 접속을 수행하는 경우 미리 정의된 방법에 의해서 (예를 들어 UE는 신호의 세기가 가장 큰 셀 (캐리어 or RRU 등)의 SIB를 수신 받을 수 있다. 이 때, SIB를 앞에서 언급한 방법에 의해서 구성하는 경우 UE는 다수 개의 BBU들이 특정 캐리어 (셀 혹은 RRU)를 통해서 신호를 송수신함을 알 수 있다.
UE는 초기 접속을 위해서 임의접속(random access) 프리엠블을 전송하고, 이와 같은 정보를 수신 받은 BBU들은 BBU들간에 coordination 과정을 수행하거나 혹은 초기 접속을 위해서 미리 정의하는 등과 같은 방법을 이용하여 UE를 지원하는 BBU를 결정 할 수 있다.
네트워크에서 결정된 BBU를 UE에게 알려주기 위해서 임의접속 절차에서 사용되는 임의접속응답(random access response) 혹은 RRC 연결 완료 메시지(RRC Connection complete message)에 결정된 BBU를 알려줄 수 있는 C-RAN SAS 환경에서 eNB 및 셀의 식별자를 포함하여 전송 할 수 있다. 이를 수신 받은 UE는 자신을 위해서 어떠한 BBU가 자신을 지원하는지를 알 수 있다.
또한, UE가 다수 개의 BBU들 중에서 특정 BBU를 선택하고 이와 같은 BBU를 위한 SIB 정보를 수신하여 결정된 BBU로 임의접속 절차를 수행 할 수도 있다. UE가 특정 캐리어로 초기 접속을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에, UE는 다 수 개의 BBU 중에서 특정 BBU에 접속하는 것을 결정 할 수 있으며, 이 경우 UE는 특정 BBU에 해당되는 SIB를 수신 받아서 결정한 BBU로 초기 접속을 위해 임의접속 프리엠블을 전송할 수 도 있다.
이 경우에는 다수 개의 BBU를 위한 RACH 구성 (자원, 프리엠블 등)이 서로 달라서 수신 받은 BBU가 UE가 어떠한 BBU로부터 지원 받기로 결정하였는지를 알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실시형태를 구현하기 위한 장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무선 장치의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13의 무선 장치(1300)은 UE, 그리고 무선 장치(1350)은 네트워크 단의 임의의 장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무선 장치(1350)은 BBU, RRU를 포함할 수 있으며, 그 밖에 매크로 기지국, 소형 셀 기지국 등이 될 수도 있다.
UE(1300)는 프로세서(1310), 메모리(1320), 송수신부(1330)를 포함할 수 있고, 네트워크 장치(1350)는 프로세서(1360), 메모리(1370) 및 송수신부(1380)를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부(1330 및 1380)은 무선 신호를 송신/수신하고, 3GPP/IEEE 802 등의 물리적 계층에서 실행될 수 있다. 프로세서(1310 및 1360)은 물리적 계층 및/또는 MAC 계층에서 실행되고, 송수신부(1330 및 1380)와 연결되어 있다. 프로세서(1310 및 1360)는 상기 언급된 시스템 정보 송수신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310 및 1360) 및/또는 송수신부(1330 및 1380)는 특정 집적 회로(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다른 칩셋, 논리 회로 및/또는 데이터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320 및 1370)은 ROM(read-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메모리 카드, 저장 매체 및/또는 다른 저장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가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기술한 방법은 상기 기술된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예를 들어, 프로세스, 기능)로서 실행될 수 있다. 상기 모듈은 메모리(1320, 1370)에 저장될 수 있고, 프로세서(1310, 136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1320, 1370)는 상기 프로세스(1310, 1360)의 내부 또는 외부에 배치될 수 있고, 잘 알려진 수단으로 상기 프로세스(1310, 1360)와 연결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구현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상술한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3GPP 기반 5G 이동통신 시스템에 적용되는 것을 가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본 발명은 이기종망이 혼재되어 있는 무선 네트워크 환경에서 시스템 정보 획득이 필요한 임의의 시스템에 이용될 수 있다.

Claims (13)

  1. 하나 이상의 BBU (Baseband Unit)들, 상기 BBU들 중 특정 BBU에 하나 이상 연결되어 단말에게 하나 이상의 셀을 통해 직접 서비스를 제공하는 RRU (Remote Radio Unit)를 포함하는 클라우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시스템 정보를 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단말이 BBU, RRU 및 셀의 변경 여부를 파악할 수 있는 식별자를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식별자를 통해 상기 BBU, 상기 RRU 및 상기 셀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변경 여부를 파악하여,
    상기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BBU 변경, 상기 RRU 변경, 상기 셀 변경 중 어느 하나에 필요한 시스템 정보만을 선택적으로 수신하는, 단말의 시스템 정보 수신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소스 셀로부터 타겟 셀로 이동하는 단말이며,
    상기 네트워크는 상기 타겟 셀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네트워크인, 단말의 시스템 정보 수신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셀 선택 또는 재선택을 수행하는 단말이며,
    상기 네트워크는 상기 단말이 선택 또는 재선택한 셀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네트워크인, 단말의 시스템 정보 수신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정보는 BBU 특정 정보, RRU 특정 정보, 그리고 셀 특정 정보로 구분되어 있는, 단말의 시스템 정보 수신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정보는 시스템 정보 전송 블록의 타입별로 BBU 특정 정보, RRU 특정 정보, 그리고 셀 특정 정보로 구분되어 있는, 단말의 시스템 정보 수신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정보는 시스템 정보 전송 블록의 타입에 무관하게 BBU 특정 정보, RRU 특정 정보, 그리고 셀 특정 정보로 구분되어 있는, 단말의 시스템 정보 수신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자는 가상 BBU풀 ID, BBU ID 및 RRU ID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단말의 시스템 정보 수신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로부터 시스템 정보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시스템 정보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 상기 BBU 변경, 상기 RRU 변경, 상기 셀 변경 중 어느 하나에 대한 필요한 시스템 정보를 선택적으로 수신하는, 단말의 시스템 정보 수신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정보 스케줄링 정보는 특정 시스템 정보 블록이 적용될 BBU 그룹, RRU 그룹 및 캐리어 그룹을 나타내는 식별자를 포함하는, 단말의 시스템 정보 수신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정보 스케줄링 정보는 특정 시스템 정보 블록이 BBU 공통 정보인지, RRU 공통 정보인지, 캐리어 공통 정보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단위 필드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단말의 시스템 정보 수신 방법.
  11. 하나 이상의 BBU (Baseband Unit)들, 상기 BBU들 중 특정 BBU에 하나 이상 연결되어 단말에게 하나 이상의 셀을 통해 직접 서비스를 제공하는 RRU (Remote Radio Unit)를 포함하는 클라우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에 시스템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네트워크로부터 단말에 BBU, RRU 및 셀의 변경 여부를 파악할 수 있는 식별자를 전송하고,
    상기 네트워크로부터 BBU 변경, RRU 변경, 및 셀 변경 중 어느 하나에 필요한 시스템 정보를 구분하여 상기 단말이 상기 BBU, 상기 RRU 및 상기 셀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변경 여부에 따라 선택적으로 시스템 정보를 수신하도록 전송하는, 시스템 정보 전송 방법.
  12. 하나 이상의 BBU (Baseband Unit)들, 상기 BBU들 중 특정 BBU에 하나 이상 연결되어 단말에게 하나 이상의 셀을 통해 직접 서비스를 제공하는 RRU (Remote Radio Unit)를 포함하는 클라우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하는 단말에 있어서,
    BBU, RRU 및 셀의 변경 여부를 파악할 수 있는 식별자를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수신기; 및
    상기 수신기와 연결되어 상기 수신된 식별자를 통해 상기 BBU, 상기 RRU 및 상기 셀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변경 여부를 파악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신기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BBU 변경, 상기 RRU 변경, 상기 셀 변경 중 어느 하나에 대한 필요한 시스템 정보만을 선택적으로 수신하도록 제어하는, 단말.
  13. 하나 이상의 BBU (Baseband Unit)들, 상기 BBU들 중 특정 BBU에 하나 이상 연결되어 단말에게 하나 이상의 셀을 통해 직접 서비스를 제공하는 RRU (Remote Radio Unit)를 포함하는 클라우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하는 네트워크 장치로서,
    단말에 BBU, RRU 및 셀의 변경 여부를 파악할 수 있는 식별자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송신기; 및
    상기 송신기와 연결되어 BBU 변경, RRU 변경, 및 셀 변경 중 어느 하나에 필요한 시스템 정보를 구분하여 상기 단말이 상기 BBU, 상기 RRU 및 상기 셀 중
KR1020167012469A 2013-12-04 2014-05-30 클라우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시스템 정보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6009080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361911479P 2013-12-04 2013-12-04
US61/911,479 2013-12-04
PCT/KR2014/004844 WO2015083911A1 (ko) 2013-12-04 2014-05-30 클라우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시스템 정보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0804A true KR20160090804A (ko) 2016-08-01

Family

ID=53273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2469A KR20160090804A (ko) 2013-12-04 2014-05-30 클라우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시스템 정보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028132B2 (ko)
EP (1) EP3079407A4 (ko)
JP (1) JP6437555B2 (ko)
KR (1) KR20160090804A (ko)
CN (1) CN106233784B (ko)
WO (1) WO201508391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210417B1 (en) * 2014-10-23 2019-12-18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Method and apparatus to acquire system information
JP6891178B2 (ja) * 2015-12-23 2021-06-18 ドイッチェ テレコム アーゲー 通信ネットワークを動作させるデバイス及び方法
US11071131B2 (en) * 2016-01-26 2021-07-20 Ntt Docomo, Inc. Base station and transmission method
EP3435734B1 (en) 2016-03-25 2021-04-21 NTT DoCoMo, Inc. Base station and cell setting method
CN107707371B (zh) * 2016-08-09 2021-08-3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网络容灾方法、装置及系统
CN106535255B (zh) * 2016-10-27 2019-10-29 北京邮电大学 一种基于c-ran的资源调度与控制方法及装置
US10772060B2 (en) 2017-04-20 2020-09-08 Huawei Technologies Co., Ltd. Remote radio head equipped with user equipment terminal capability
WO2018200648A1 (en) * 2017-04-25 2018-11-01 Intel IP Corporation Management of gnb in network functions virtualization framework
CN107360557B (zh) 2017-06-15 2020-03-24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系统消息通知、发送方法及装置
EP3613239B1 (en) * 2017-08-11 2022-09-07 ZTE Corporation Technique for indicating multiple core networks in a message transmission
CN109803269B (zh) 2017-11-17 2021-07-09 华为技术有限公司 组网方法和装置、网络接入方法、以及用户设备
TWI650037B (zh) * 2017-12-05 2019-02-01 財團法人工業技術研究院 一種集中式無線存取網路控制方法
WO2019119257A1 (zh) * 2017-12-19 2019-06-27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随机接入方法及装置
EP3831116A1 (en) * 2018-08-05 2021-06-0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ignaling of identity for radio access networks
CN112789882A (zh) * 2018-10-01 2021-05-11 康普技术有限责任公司 集中式无线电接入网络中的控制器冗余
CN111542065B (zh) * 2020-05-11 2021-02-05 四川创智联恒科技有限公司 一种5g网络多rru共小区资源复用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426897C (zh) * 2005-01-12 2008-10-15 华为技术有限公司 分体式基站系统及其组网方法和基带单元
CN101601208B (zh) * 2007-01-31 2014-04-16 Lg电子株式会社 用于发送和接收系统信息的方法
EP2163015B1 (en) * 2007-06-18 2016-11-3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Transmission of system information
US20100248717A1 (en) * 2007-06-19 2010-09-30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network search procedure
US8843115B2 (en) * 2008-06-23 2014-09-2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system information modific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595114B1 (ko) 2009-10-09 2016-02-19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시스템 정보 블럭을 이용한 셀 재선택 방법 및 시스템
KR20110048468A (ko) * 2009-11-02 2011-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csg 셀을 검출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102377477B (zh) * 2010-08-27 2015-01-21 华为技术有限公司 基带信号传输方法和装置
US9100886B2 (en) * 2010-11-23 2015-08-04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Pico cell error recovery in HetNet
JP5614274B2 (ja) * 2010-12-21 2014-10-29 富士通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
CN102546080B (zh) * 2010-12-21 2014-06-2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下行基带信号生成方法及相关设备、系统
US20120208541A1 (en) 2011-02-14 2012-08-16 Qualcomm Incorporated Mobility procedures in wireless networks with distributed remote radio heads
US9635624B2 (en) * 2011-02-22 2017-04-25 Qualcomm Incorporated Discovery reference signal design for coordinated multipoint operations in heterogeneous networks
US9173192B2 (en) * 2011-03-17 2015-10-27 Qualcomm Incorporated Target cell selection for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continuity
EP2512202B1 (en) * 2011-04-12 2013-11-20 Alcatel Lucent Load balancing in a radio access network
KR20140031968A (ko) * 2011-09-28 2014-03-13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보조 송신 유닛의 활성화
US9078176B2 (en) 2011-09-29 2015-07-07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System and method for multi-hierarchical cell configuration
EP2777330A1 (en) * 2011-11-08 2014-09-17 Koninklijke KPN N.V. Distribution of system information in a wireless access telecommunications system
EP2781116B1 (en) * 2011-11-14 2019-10-23 Alcatel Lucent Baseband signal processing cluster
EP2592863B1 (en) * 2011-11-14 2014-01-08 Alcatel Lucent Distributed load balancing in a radio access network
WO2013106740A2 (en) * 2012-01-11 2013-07-18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Adaptive control channel
US9137717B2 (en) * 2012-01-13 2015-09-15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mobility events in a dual-frequency dual-cell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KR101980093B1 (ko) 2012-01-27 2019-05-20 삼성전자주식회사 차세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1941505B1 (ko) 2012-02-15 2019-01-23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수의 기지국들이 협력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와 그 시스템
US9351201B2 (en) * 2012-03-08 2016-05-24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data loss during a serving cell change in a multi-flow HSDPA communication network
US9007974B2 (en) * 2012-03-19 2015-04-14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aligning downlink discontinuous reception patterns in multiflow HSDPA
US9143984B2 (en) * 2012-04-13 2015-09-22 Intel Corporation Mapping of enhanced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JP2013223070A (ja) * 2012-04-16 2013-10-28 Hitachi Ltd 基地局装置、分散アンテナシステム及びトラフィック制御方法
US8811289B2 (en) * 2012-06-28 2014-08-19 Tektronix, Inc. S1-MME and LTE-Uu interface correlation in long term evolution networks
KR101669710B1 (ko) * 2012-07-05 2016-10-26 주식회사 케이티 이동통신망에서의 상향링크 전송 제어 방법과 그 장치
US8934452B2 (en) * 2012-07-17 2015-01-13 Alcatel Lucent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timing alignment in overlaid heterogeneous wireless networks
US9781649B2 (en) * 2012-08-02 2017-10-03 Qualcomm Incorporated MBMS support in heterogeneous network and in-venue
US9337973B2 (en) * 2012-09-11 2016-05-10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Method of cooperative MIMO wireless communication and base station using the same
US9258629B2 (en) * 2012-12-11 2016-02-09 Huawei Technologie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an agile cloud radio access network
EP2946496A4 (en) * 2013-01-17 2016-09-28 Intel Ip Corp DYNAMIC CONFIGURATION OF UPLINK (UL) AND DOWN (DL) FRAME RESOURCES FOR TIME-DIVISION DUPLEX TRANSMISSION (TDD)
WO2014139588A1 (en) * 2013-03-15 2014-09-18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Coordinated multipoint joint transmission with relaxed backhaul requirements
WO2014185953A1 (en) * 2013-05-16 2014-11-20 Intel IP Corporation Multiple radio link control (rlc) groups
US9380614B2 (en) * 2013-05-23 2016-06-28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performing communication by user equipment in cloud radio access network environment and apparatus therefor
US9814037B2 (en) * 2013-06-28 2017-11-07 Intel Corporation Method for efficient channel estimation and beamforming in FDD system by exploiting uplink-downlink correspondence
EP2849524B1 (en) * 2013-09-12 2017-03-01 Alcatel Lucent Scheduling virtualization for mobile RAN cloud and separation of cell and user plane schedulers
US9693236B2 (en) * 2014-09-26 2017-06-27 Intel Corporation Licensed shared access spectrum alloc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233784B (zh) 2019-09-06
CN106233784A (zh) 2016-12-14
WO2015083911A1 (ko) 2015-06-11
EP3079407A4 (en) 2017-06-14
US10028132B2 (en) 2018-07-17
JP6437555B2 (ja) 2018-12-12
EP3079407A1 (en) 2016-10-12
US20170180982A1 (en) 2017-06-22
JP2016539581A (ja) 2016-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37555B2 (ja) クラウド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システム情報送受信方法及びそのための装置
EP3300432B1 (en) Terminal, base station, cell access method and data transmission method
WO2019169359A1 (en) System and method for hierarchical paging, cell selection and cell reselection
WO2015170874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d2d(device-to-device) 동작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단말
KR20180018448A (ko) 서비스 기반 셀 선택 및 재선택 제어 방법
US9832711B2 (en) Method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cell information by using synchronization signal and device supporting same
US1008016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tting handover parameter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JPWO2016021541A1 (ja) 通信システム
KR20150035759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csi-rs 측정 및 보고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CN111683397B (zh) 用于设备到设备通信中切换的改进的报告
KR20140040810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시스템 정보 보고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KR20150117257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트래픽 조종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US20160192283A1 (en) Method for searching wireless lan and method for transferring wireless lan search information
US20160183179A1 (en) Methods and Devices for Cell Selection
US9699670B2 (en) Method for configuring interface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multiple wireless access technologies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same
KR20120072313A (ko) Rrc 연결 재설정 방법 및 그를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
EP3086594B1 (en) Method for performing measurement in clou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for same
US20230224765A1 (en) Method and device for group handover in communication system
EP2627121B1 (en) A method for efficient mobility handling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N106559847B (zh) 主基站及其向csg小区切换的方法
EP3314975B1 (en) Multiple connectivity
US1011114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rworking optimization in connection with cellular handover
WO2022205284A1 (en) User equipment slice-specific cell selection and reselection
WO2024065246A1 (en) Configuring for communications with integrated access and backhaul nodes
US20240187898A1 (en) Configuration of a device to avoid frequency conflic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