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0689A - 배선용 차단기 - Google Patents

배선용 차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0689A
KR20160090689A KR1020150010792A KR20150010792A KR20160090689A KR 20160090689 A KR20160090689 A KR 20160090689A KR 1020150010792 A KR1020150010792 A KR 1020150010792A KR 20150010792 A KR20150010792 A KR 20150010792A KR 20160090689 A KR20160090689 A KR 201600906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contact
upper link
circuit breaker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07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88950B1 (ko
Inventor
송수양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107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8950B1/ko
Priority to US14/970,295 priority patent/US9741520B2/en
Priority to EP15201943.6A priority patent/EP3048633B1/en
Priority to ES15201943T priority patent/ES2722127T3/es
Priority to CN201610025437.XA priority patent/CN105826136B/zh
Priority to RU2016101802A priority patent/RU2633514C2/ru
Priority to BR102016001514A priority patent/BR102016001514A2/pt
Publication of KR201600906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06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89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89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1054Means for avoiding unauthorised relea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1009Interconnected mechanis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50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 H01H71/52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actuated by lever
    • H01H71/521Details concerning the lever hand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50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 H01H71/501Means for breaking welded contacts; Indicating contact welding or other malfunction of the circuit break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50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 H01H71/52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actuated by lev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50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 H01H71/52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actuated by lever
    • H01H71/522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actuated by lever comprising a cradle-mechanism
    • H01H71/525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actuated by lever comprising a cradle-mechanism comprising a toggle between cradle and contact arm and mechanism spring acting between handle and toggle kne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50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 H01H71/52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actuated by lever
    • H01H71/526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actuated by lever the lever forming a toggle linkage with a second lever, the free end of which is directly and releasably engageable with a contact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3/00Protective overload circuit-breaking switches in which excess current opens the contacts by automatic release of mechanical energy stored by previous operation of a hand reset mechanism
    • H01H73/22Protective overload circuit-breaking switches in which excess current opens the contacts by automatic release of mechanical energy stored by previous operation of a hand reset mechanism having electrothermal release and no other automatic release
    • H01H73/24Protective overload circuit-breaking switches in which excess current opens the contacts by automatic release of mechanical energy stored by previous operation of a hand reset mechanism having electrothermal release and no other automatic release reset by lev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04Means for indicating condition of the switching device
    • H01H2071/046Means for indicating condition of the switching device exclusively by position of operating part, e.g. with additional labels or marks but no other movable indic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50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 H01H71/501Means for breaking welded contacts; Indicating contact welding or other malfunction of the circuit breaker
    • H01H2071/502Means for breaking welded contacts; Indicating contact welding or other malfunction of the circuit breaker with direct contact between manual operator and welded contact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05/00Movable contacts
    • H01H2205/002Movable contacts fixed to operating pa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Breakers (AREA)
  • Distribution Boar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선용 차단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정 접촉자에 접촉 또는 분리되도록 가동 접촉자를 회전지지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에 일측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하부링크와; 상기 하부링크의 타측이 연결된 레버 및 상기 레버의 내측에서 상기 하부링크에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된 상부링크를 포함하는 배선용 차단기에 있어서, 상기 상부링크에는 회전 방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레버의 내측에는 걸림부가 형성되어, 상기 고정 접촉자와 상기 가동 접촉자의 융착시 상기 레버가 오프위치로 회전하면 상기 회전 방지부에 상기 걸림부가 걸림되어 상기 레버의 오프위치로의 회전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차단기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은 레버의 내측에 걸림부를 형성시키고, 상부링크에는 회전 방지부를 형성시켜 고정 접촉자와 가동 접촉자가 용착상태에 있을 때에는 핸들이 오프위치로 회전되더라도 걸림부가 회전 방지부에 맞닿게 되어 핸들이 오프위치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배선용 차단기 {MOLD CASED CIRCUIT BREAKER}
본 발명은 배선용 차단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정 접촉자와 가동 접촉자가 융착된 경우에는 핸들이 오프위치로 이동하지 못하게 함으로써 외부에서 배선용 차단기의 상태를 오류없이 인지할 수 있게 하여 사고발생을 방지하는 배선용 차단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선용 차단기(MCCB:Molded Case Circuit Breaker)는 공장, 빌딩 등의 수배전 설비 중에서 주로 배전반에 설치되어 무부하 상태에서는 부하측에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을 하는 개폐장치의 역할을 하고, 부하 사용중에는 부하 전로에 이상현상이 발생되어 부하전류를 초과하는 대전류가 흐를 경우 전로의 전선 및 부하측 기기를 보호하기 위하여 전원측으로부터 부하측으로 공급되는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는 차단기의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한편, 도 1에는 종래의 배선용 차단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종래의 배선용 차단기가 온 위치에 있을 때의 개략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종래의 배선용 차단기가 융착된 상태에서 레버가 오프위치로 회전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배선용 차단기는 고정 접촉자(60)를 통하여 상위 선로와 연결되고, 가동 접촉자(50)를 통해 배선용 차단기의 내부 선로의 개폐가 이루어진다.
이때 가동 접촉자(50)는 샤프트(40)와 접촉 스프링(80)을 통해 구속되어 샤프트(40)를 축으로 회전운동을 하면서 고정 접촉자(60)에 접촉 또는 분리된다.
또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핸들이 회전함으로써 핸들이 연결된 레버(10)의 위치가 결정되어 지는데, 레버(10)의 위치에 따라 하중과 힘의 방향이 변하게 되면서 레버(10)에 연결되어 있는 메인 스프링(70)을 통해 가해지는 힘의 크기가 달라지게 된다.
이때 메인 스프링(70)의 탄성력에 의해 발생된 힘은 하부링크(30)를 통해 샤프트(40)로 전달되어 샤프트(40)를 회전운동시키고, 샤프트(4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가동 접촉자(50)도 연동하여 회전함으로써 배선용 차단기를 개폐시킨다. 이때 하부링크(30)는 샤프트 핀(41)을 통해 샤프트(4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때의 접촉압력은 접촉 스프링에 의해 결정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선용 차단기가 온 위치에 있게 됐을 때 메인 스프링(70)의 하단지점(70a)과 레버(10)의 회전지점(10a) 사이의 각은 5°정도가 되도록 설계되는데, 가동 접촉자(50)와 고정 접촉자(60) 사이에 융착이 발생하여 상호 붙어 있는 조건에서는 샤프트(40)의 여유 접촉각도 만큼 하부링크(30)의 하단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메인 스프링(70)의 하단지점(70a)이 레버(10)의 회전 지점(10a) 쪽으로 이동해도,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10)의 회전지점(10a)보다 메인 스프링(70)의 회전지점이 앞쪽에 위치하도록 설계된다.
따라서, 레버(10)의 회전 지점(10a)의 앞쪽에서만 메인 스프링(70)에 의한 하중이 발생함으로써 레버(10)가 온 상태에서 오프 상태로 회전된 상태에서 조작력이 제거되면 메인 스프링(70)에 의해 레버(10)가 온 위치로 복귀하게 되고, 배선용 차단기는 온 상태를 표시하게 되는데, 이러한 기능을 주접점 위치기능이라고 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주접점 기능이란 배선용 차단기 중 한류형 차단기의 경우 부하나 선로에 사고전류가 발생하면 기계적 메카니즘(Mechanism)의 해제를 위한 언래치 타임(Unlatch time)이라는 최소의 동작시간을 가진다.
이러한 최소의 동작시간보다 짧고 큰 사고전류에서 접점 간의 전자 반발력에 의해 가동 접촉자(50)와 고정 접촉자(60) 사이의 접촉이 분리되면서 생기는 공간에 저항의 증가로 고열이 발생되고, 발생된 고열에 의해 접점 간에 융착이 발생된다.
이때 융착으로 인하여 접점 간 개로가 되지 못하고, 폐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데, 이때 핸들이 오프 상태로 위치하지 못하고 온 위치로 복귀하는 기능을 위미한다.
배선용 차단기의 경우 제품의 설계시 메인 스프링(70)의 하단지점(70a)을 더 앞으로 가져가 주접점 위치 기능을 보완할 수 있지만 배선용 차단기가 온 위치에 있는 경우 메인 스프링(70)의 하중축과 하부링크(30)의 각도에 제한이 있어 더 앞으로 설계할 수 없는 실정이다.
이러한 종래의 배선용 차단기는 이상적인 조건에서는 본래의 기능을 수행하지만, 실제로 생산되는 제품에서는 각 구성부품 간의 마찰과 제품 간의 누적된 조립공차로 인한 발생하는 유동 등에 의해 본래의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된다.
또한 레버(10)의 회전지점(10a)과 메인 스프링(70)의 하단지점(70a) 사이의 각은 레버(10)의 위치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는데, 양 지점사이의 각이 작아질수록 메인 스프링(70)을 통한 레버(10)의 온 위치로의 복귀력이 약해지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배선용 차단기의 경우 양지점 사이의 각이 작으면 레버(10)가 온 위치로 복귀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또한 조립공차의 누적으로 인한 유동으로 메인 스프링(70)의 회전지점이 레버(10)의 회전지점보다 더 뒤쪽에 위치하게 되어 레버(10)가 온 위치로 복귀하지 못하고 오프위치로 이동하게 되고, 배선용 차단기가 외부에 오프상태를 표시하게 됨으로써, 가동 접촉자(50)와 고정 접촉자(60)는 융착상태로 있어 상호 접촉된 상태에 있지만 외부에서는 상호 분리된 오프상태로 인식되게 되어 배선용 차단기가 오프상태인 것으로 인식된 작업자에게 감전사고 등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것으로, 고정 접촉자와 가동 접촉자가 융착된 경우에는 핸들이 오프위치로 이동하지 못하게 함으로써 외부에서 배선용 차단기의 상태를 오류없이 인지할 수 있게 하여 사고발생을 방지하는 배선용 차단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고정 접촉자에 접촉 또는 분리되도록 가동 접촉자를 회전지지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에 일측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하부링크와; 상기 하부링크의 타측이 연결된 레버 및 상기 레버의 내측에서 상기 하부링크에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된 상부링크를 포함하는 배선용 차단기에 있어서, 상기 상부링크에는 회전 방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레버의 내측에는 걸림부가 형성되어, 상기 고정 접촉자와 상기 가동 접촉자의 융착시 상기 레버가 오프위치로 회전하면 상기 회전 방지부에 상기 걸림부가 걸림되어 상기 레버의 오프위치로의 회전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차단기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또한 상기 회전 방지부는, 상기 상부링크의 측면으로 연장형성된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일측에 소정각도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레버가 오프위치로 회전하면 상기 걸림부에 걸림되는 경사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걸림부는 핀 형상 또는 막대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경사부의 상면에는 걸림부 수용홈이 형성되어, 상기 레버가 오프위치로 회전되면 상기 걸림부가 상기 걸림부 수용홈에 수용되어 상기 레버의 오프위치로의 회전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걸림부에는 끼움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경사부의 상면에는 끼움홈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 접촉자와 상기 가동 접촉자가 융착된 상태에서 상기 레버가 오프위치로 회전하면 상기 끼움돌기가 상기 끼움홈에 삽입고정되어 상기 레버의 오프 위치로의 회전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링크와 상기 지지판의 연결부위에는 하나 이상의 강도 보강판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배선용 차단기는 레버의 내측에 걸림부를 형성시키고, 상부링크에는 회전 방지부를 형성시켜 고정 접촉자와 가동 접촉자가 용착상태에 있을 때에는 핸들이 오프위치로 회전되더라도 걸림부가 회전 방지부에 맞닿게 되어 핸들이 오프위치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핸들이 오프위치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때문에 메인 스프링의 하단지점이 레버의 회전지점보다 항상 앞쪽에 위치하여 레버가 온 위치에서 오프위치로 이동하여도 조작력이 제거되면 온위치로 복귀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고정 접촉자와 가동 접촉자가 융착된 상태에서 핸들이 오프위치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때문에 외부에서 배선용 차단기의 상태가 다르게 인식되는 것을 방지하여 작업자가 사고전류가 인가되는 상태에서 오프상태로 인식하여 작업을 진행함으로써 작업자에게 감전사고 등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배선용 차단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배선용 차단기가 온 위치에 있을 때의 개략 단면도.
도 3은 종래의 배선용 차단기가 융착된 상태에서 레버가 오프위치로 회전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의 개폐 기구부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에 사용되는 상부링크에 형성된 회전 방지부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에 사용되는 레버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가 오프 상태로 회전되는 과정에서 레버에 형성된 걸림부와 상부링크에 형성된 회전 방지부가 상호 밀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
도 8는 본 발명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가 온 위치에 있을 때 레버에 형성된 걸림부와 상부링크에 형성된 회전 방지부가 상호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가 오프 상태로 회전되는 과정에서 레버에 형성된 걸림부와 상부링크에 형성된 회전 방지부가 상호 밀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상부링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레버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상부링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상부링크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의 개폐 기구부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에 사용되는 상부링크에 형성된 회전 방지부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에 사용되는 레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가 오프 상태로 회전되는 과정에서 레버에 형성된 걸림부와 상부링크에 형성된 회전 방지부가 상호 밀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며, 도 8는 본 발명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가 온 위치에 있을 때 레버에 형성된 걸림부와 상부링크에 형성된 회전 방지부가 상호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또한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가 오프 상태로 회전되는 과정에서 레버에 형성된 걸림부와 상부링크에 형성된 회전 방지부가 상호 밀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상부링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레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상부링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상부링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는 핸들(미도시), 레버(100), 메인 스프링(700), 상부링크(200), 하부링크(300), 샤프트(400), 고정 접촉자(600) 및 가동 접촉자(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핸들은 상기 배선용 차단기의 상부에 위치하여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가동 접촉자(500)와 상기 고정 접촉자(600)가 접촉하는 온 위치 또는 상기 가동 접촉자(500)와 상기 고정 접촉자(600)가 분리되는 오프위치로 상기 샤프트(400)를 회전조작한다.
상기 레버(100)는 상기 핸들의 하측에 위치하여 상기 핸들의 양측을 지지하도록 상기 핸들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핸들의 회전 지지점을 제공한다.
상기 메인 스프링(700)은 코일 스프링 등으로 이루어지고, 상단이 상기 레버(100)에 연결되어 탄성 에너지를 이용하여 상기 레버(100)의 회전에 따라 상기 하부링크(300)에 탄성력을 제공하고 이를 통해 상기 하부링크(300)가 연결된 상기 샤프트(400)를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가동 접촉자(500)를 상기 고정 접촉자(600)로부터 분리 또는 접촉시킨다.
이때 상기 메인 스프링(700)의 하단 지점은 수평방향으로 상기 레버(100)의 회전 지점과 일치하지 않도록 구성될 뿐만 아니라 상기 레버(100)의 회전지점보다 전방에 위치하도록 하여 상기 레버(100)가 온 위치에서 오프 위치로 회전하면 상기 가동 접촉자(500)와 상기 고정 접촉자(600)가 융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메인 스프링(700)은 상기 레버(100)가 온 위치 방향으로 복귀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상부링크(200)는 상기 레버(100)의 내측에 위치하며 상단이 상기 레버(100)에 연결되고 하단이 상기 하부링크(300)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하부링크(300)는 상단이 상기 상부링크(200)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하단이 샤프트 핀(410)을 통해 상기 샤프트(400)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메인 스프링(700)을 통해 탄성력을 제공받아 상기 샤프트(400)를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가동 접촉자(500)와 상기 고정 접촉자(600)를 분리 또는 접촉시킨다.
이때 상기 가동 접촉자(500)와 상기 고정 접촉자(600)가 접촉된 경우에 접촉 스프링(800)을 통해 접촉압력이 조절된다.
상기 샤프트(400)는 상기 가동 접촉자(500)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메인 스프링(700)의 탄성력을 상기 하부링크(300)를 통해 제공받아 회전함으로써 이에 연결된 상기 가동 접촉자(500)를 회전시켜 상기 가동 접촉자(500)가 상기 고정 접촉자(600)에 분리되거나 접촉되도록 한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링크(200)에는 상기 가동 접촉자(500)와 상기 고정 접촉자(600)가 융착된 상태에서 상기 레버(100)가 온 위치에서 오프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회전 방지부(210)가 더 형성된다.
상기 회전 방지부(210)는 상기 상부링크(200)의 측면에 절곡되게 연장형성된 지지판(211)과 경사부(213)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판(211)은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링크(200)의 측면에서 절곡되게 연장형성되어 상기 걸림부(110) 측으로 돌출되게 위치한다.
상기 경사부(213)는 상기 지지판(211)의 일측에 형성되어 하측으로 소정각도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레버(100)가 오프위치로 이동하면 상기 걸림부(110)에 걸림되어 상기 레버(100)가 오프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이를 통해 상기 메인 스프링(700)의 하단 지점(700a)이 상기 레버(100)의 회전 지점(100a)보다 항상 앞쪽에 위치하도록 하여 조작력이 제거되면 상기 레버(100)가 온 위치로 복귀되도록 한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버(100)의 내측에는 상기 회전 방지부(210)에 걸림되도록 걸림부(110)가 더 형성된다.
이때 상기 걸림부(110)는 핀 형상이나 막대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모양으로 구성되어 상기 레버(100)의 오프 위치로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레버(100)가 온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회전 방지부(210)가 걸림부(110)와 소정거리 떨어진 상태로 위치하게 되지만, 레버(100)가 온 상태에서 오프 상태로 이동하게 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방지부(210)가 걸림부(110)에 맞닿도록 위치하면서 걸림되어 레버(100)가 오프위치로 이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는 모든 구성이 제1 실시예와 동일하지만 경사부(213)에 걸림부 수용홈(215)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가동 접촉자(500)와 고정 접촉자(600)가 융착된 상태에서 레버(100)가 오프위치로 이동하게 되면 걸림부(110)가 걸림부 수용홈(215)에 안착된 상태로 회전 방지부(210)에 밀착되게 되어 레버(100)의 오프위치로의 이동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걸림부(110)와 회전 방지부(210)의 마찰로 인해 밀착된 면이 마모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는 모든 구성이 제1 실시예와 동일하지만 걸림부(110)에 끼움돌기(111)가 더 형성되고, 회전 방지부(210)에 끼움홈(217)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레버(100)가 오프위치로 이동하게 되면 끼움돌기(111)가 끼움홈(217)에 끼워지면서 걸림부(110)가 회전 방지부(210)에 걸림됨으로써 레버(100)의 오프위치로의 이동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밀착된 상태에서 고정되도록 하여 밀착된 상태에서의 움직임으로 인해 밀착면이 마모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는 모든 구성이 제1 실시예와 동일하지만, 지지판(211)과 상부링크(200)의 연결부위에 다수개의 강도 보강판(220)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경사부(213)에 걸림부(110)가 밀착되게 되면 지지판(211)과 상부링크(200)의 연결부위에 충격이 가해져 연결부위가 쉽게 파손될 수 있지만 다수개의 강도 보강판(220)을 더 형성시켜 지지판(211)과 상부링크(200)의 연결부위가 쉽게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하,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에서 고정접촉자(600)와 가동 접촉자(500)가 융착된 상태에서 레버(100)가 오프위치로 이동되는 것이 방지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핸들이 온 위치로 이동하게 되면 핸들의 양측에 연결된 레버(100)가 연동하여 온 위치로 회전하게 되고, 레버(100)가 회전하면 레버(100)에 연결된 메인 스프링(700)의 탄성력이 하부링크(300)를 통해 샤프트(400)에 전달되어 샤프트(40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샤프트(400)에 연결된 가동 접촉자(500)가 고정 접촉자(600)에 접촉되게 된다.
이후 가동 접촉자(500)와 고정 접촉자(600)의 접촉부위에 융착이 발생된 상태에서 핸들이 오프위치로 이동하게 되면 핸들의 양측에 연결된 레버(100)도 연동하여 오프위치로 이동하게 되는데, 메인 스프링(700)의 탄성력이 하부링크(300)를 통해 샤프트(400)에 제공되어 샤프트(40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가동 접촉자(500)를 고정 접촉자(600)와 분리되도록 상측으로 회전시킨다.
이때 가동 접촉자(500)와 고정 접촉자(600)가 융착된 상태로 있어 샤프트(400)는 회전되지 못하는 상태로 있고, 이에 연결된 하부링크(300) 및 상부링크(200)로 회전되지 못하고 정지된 상태로 있게 된다.
따라서, 레버(100)만이 핸들의 회전에 따라 오프위치로 회전하게 되면 레버(100)에 형성된 걸림부(110)가 회전 방지부(210)에 맞닿아 걸림되게 됨으로써 고정 접촉자(600)와 가동 접촉자(500)가 융착된 상태에서는 레버(100)의 오프위치로의 이동이 방지되며, 이를 통해 메인 스프링(700)의 하단 지점(700a)이 레버(100)의 회전지점(100a)보다 항상 앞쪽에 위치하여 레버(100)가 오프위치로 회전하게 되더라도 핸들에 가해진 조작력을 제거하게 되면 레버(100)는 다시 온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또한 레버(100)가 온 위치로 복귀하게 됨으로써 외부에서 배선용 차단기의 온 또는 오프 상태를 오류없이 인지 할 수 있게 되어 작업자가 온 상태를 오프 상태로 인식하여 작업중에 감전사고 등이 발생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게 된다.
한편, 고정 접촉자(600)와 가동 접촉자(500)가 융착상태가 아닌 경우에는 레버(100)가 오프위치로 회전하게 되면 하부링크(300)도 반시계 방향으로 당겨지면서 회전함과 동시에 이에 연결된 상부링크(200)도 회전하여 상부링크(200)에 형성된 회전 방지부(210)와 걸림부(110)가 맞닿지 않게 되어 레버(100)가 정상적으로 오프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10, 100: 레버 10a, 100a: 레버의 회전지점
110: 걸림부 111: 끼움돌기
20, 200: 상부링크 210: 회전 방지부
211: 지지판 213: 경사부
215: 걸림부 수용홈 217: 끼움홈
220: 강도 보강판 30, 300: 하부링크
40, 400: 샤프트 41, 410: 샤프트 핀
50, 500: 가동 접촉자 60. 600: 고정 접촉자
70, 700: 메인 스프링 70a, 700a: 메인 스프링의 하단지점
80, 800: 접촉 스프링

Claims (6)

  1. 고정 접촉자에 접촉 또는 분리되도록 가동 접촉자를 회전지지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에 일측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하부링크와; 상기 하부링크의 타측이 연결된 레버 및 상기 레버의 내측에서 상기 하부링크에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된 상부링크를 포함하는 배선용 차단기에 있어서,
    상기 상부링크에는 회전 방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레버의 내측에는 걸림부가 형성되어,
    상기 고정 접촉자와 상기 가동 접촉자의 융착시 상기 레버가 오프위치로 회전하면 상기 회전 방지부에 상기 걸림부가 걸림되어 상기 레버의 오프위치로의 회전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차단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방지부는,
    상기 상부링크의 측면으로 연장형성된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일측에 소정각도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레버가 오프위치로 회전하면 상기 걸림부에 걸림되는 경사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차단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핀 형상 또는 막대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차단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의 상면에는 걸림부 수용홈이 형성되어,
    상기 레버가 오프위치로 회전되면 상기 걸림부가 상기 걸림부 수용홈에 수용되어 상기 레버의 오프위치로의 회전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차단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에는 끼움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경사부의 상면에는 끼움홈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 접촉자와 상기 가동 접촉자가 융착된 상태에서 상기 레버가 오프위치로 회전하면 상기 끼움돌기가 상기 끼움홈에 삽입고정되어 상기 레버의 오프 위치로의 회전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차단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링크와 상기 지지판의 연결부위에는 하나 이상의 강도 보강판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차단기.
KR1020150010792A 2015-01-22 2015-01-22 배선용 차단기 KR1016889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0792A KR101688950B1 (ko) 2015-01-22 2015-01-22 배선용 차단기
US14/970,295 US9741520B2 (en) 2015-01-22 2015-12-15 Molded case circuit breaker
EP15201943.6A EP3048633B1 (en) 2015-01-22 2015-12-22 Molded case circuit breaker
ES15201943T ES2722127T3 (es) 2015-01-22 2015-12-22 Disyuntor de caja moldeada
CN201610025437.XA CN105826136B (zh) 2015-01-22 2016-01-14 塑壳断路器
RU2016101802A RU2633514C2 (ru) 2015-01-22 2016-01-21 Прерыватель цепи в литом корпусе
BR102016001514A BR102016001514A2 (pt) 2015-01-22 2016-01-22 disjuntor de caixa moldad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0792A KR101688950B1 (ko) 2015-01-22 2015-01-22 배선용 차단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0689A true KR20160090689A (ko) 2016-08-01
KR101688950B1 KR101688950B1 (ko) 2016-12-22

Family

ID=55022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0792A KR101688950B1 (ko) 2015-01-22 2015-01-22 배선용 차단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741520B2 (ko)
EP (1) EP3048633B1 (ko)
KR (1) KR101688950B1 (ko)
CN (1) CN105826136B (ko)
BR (1) BR102016001514A2 (ko)
ES (1) ES2722127T3 (ko)
RU (1) RU2633514C2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46631A (ja) * 2002-05-29 2003-12-05 Hitachi Industrial Equipment Systems Co Ltd 回路遮断器
KR20120004950U (ko) * 2010-12-29 2012-07-09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가정용 누전 차단기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09746B2 (ja) * 1989-01-06 1995-11-22 富士電機株式会社 回路遮断器の開閉機構
DE10156535C1 (de) * 2001-11-14 2003-06-26 Siemens Ag Leistungsschalter
DE102007063424A1 (de) * 2007-12-19 2009-06-25 Siemens Ag Unterbrecheranordnung mit einem bewegbaren Schaltrohr
KR101015316B1 (ko) * 2008-12-31 2011-02-15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접점 상태를 표시할 수 있는 배선용 차단기의 개폐기구 및 그를 갖는 배선용 차단기
DE102009007478A1 (de) 2009-01-30 2010-08-05 Siemens Aktiengesellschaft Schaltmechanismus für ein Schaltgerät, insbesondere für einen Niederspannungs-Leistungsschalter, mit entlasteter Verklinkung in einer Ausschalt- und Wiedergespannstellung
DE102011086834A1 (de) 2011-11-22 2013-05-23 Siemens Aktiengesellschaft Schaltmechanismus für ein elektrisches Schaltgerät sowie elektrisches Schaltgerät
DE102012203294A1 (de) 2012-03-02 2013-09-05 Siemens Aktiengesellschaft Schaltschloss eines Leistungsschalter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46631A (ja) * 2002-05-29 2003-12-05 Hitachi Industrial Equipment Systems Co Ltd 回路遮断器
KR20120004950U (ko) * 2010-12-29 2012-07-09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가정용 누전 차단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016101802A (ru) 2017-07-26
EP3048633A1 (en) 2016-07-27
ES2722127T3 (es) 2019-08-07
BR102016001514A2 (pt) 2016-08-02
CN105826136A (zh) 2016-08-03
CN105826136B (zh) 2018-03-16
US9741520B2 (en) 2017-08-22
KR101688950B1 (ko) 2016-12-22
RU2633514C2 (ru) 2017-10-13
US20160217958A1 (en) 2016-07-28
EP3048633B1 (en) 2019-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25856B1 (en) Keylock device for circuit breaker
KR101620298B1 (ko) 수동 리셋을 갖는 원격 동작 회로 차단기
US9406458B2 (en) Switching device and related power distribution system
CA2781263C (en) Disconnect switch including fusible switching disconnect modules
JP2007250550A (ja) 配線用遮断器
US9129767B2 (en) Switching system and locking device with a status indicator
WO2016074321A1 (zh) 断路器操作机构
JP6225195B2 (ja) 回路ブレーカおよび回路ブレーカ用アダプタ
EP3389075A1 (en) Movable contact assembly for circuit breaker
KR101688950B1 (ko) 배선용 차단기
KR101669905B1 (ko) 링 메인 유닛의 퓨즈 스트라이커 링크 자동 복귀 구조
KR101498686B1 (ko) 진공인터럽트의 투입과 개방 동작을 위한 수동 투개방 조작기
KR101003607B1 (ko) 배선용 차단기의 개폐기구
US9570262B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a circuit breaker positive-off stop feature
CN101552161B (zh) 全保护开关
KR101666716B1 (ko) 차단기의 순시트립장치
KR200461964Y1 (ko) 가정용 누전 차단기
KR100643049B1 (ko) 배선용 차단기
KR101721106B1 (ko) 회로 차단기
KR102053166B1 (ko) 배선용 차단기
KR200488017Y1 (ko) 안전 누전 차단기
EP3206218A1 (en) Multi-pole molded case circuit breaker
KR102364731B1 (ko) 회로 차단기
JP6395676B2 (ja) 回路遮断器
KR20180080577A (ko) 기중 차단기의 가동자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