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9905B1 - 링 메인 유닛의 퓨즈 스트라이커 링크 자동 복귀 구조 - Google Patents

링 메인 유닛의 퓨즈 스트라이커 링크 자동 복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9905B1
KR101669905B1 KR1020140150536A KR20140150536A KR101669905B1 KR 101669905 B1 KR101669905 B1 KR 101669905B1 KR 1020140150536 A KR1020140150536 A KR 1020140150536A KR 20140150536 A KR20140150536 A KR 20140150536A KR 101669905 B1 KR101669905 B1 KR 1016699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fuse
main
fuse striker
main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05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51100A (ko
Inventor
이승수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505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9905B1/ko
Publication of KR201600511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11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99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99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02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02Details
    • H01H33/021Use of solid insulating compounds resistant to the contacting fluid dielectrics and their decomposition products, e.g. to SF6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02Details
    • H01H33/04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arc between current-carrying parts
    • H01H33/12Auxiliary contacts on to which the arc is transferred from the main contacts
    • H01H33/121Load break switch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02Details
    • H01H33/42Driving mechanisms

Landscapes

  • F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링 메인 유닛의 퓨즈 스트라이커 링크 자동 복귀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메커니즘 조절링크가 연결된 메커니즘과, 상기 메커니즘의 하측에 위치하여 사고전류 발생시 단선되는 다수개의 퓨즈와, 상기 각 퓨즈에 인접하게 위치하여 상기 각 퓨즈의 동작에 따라 회전하는 퓨즈 스트라이커 링크 및 상기 퓨즈 스트라이커 링크와 연결되어 상기 퓨즈 스트라이커 링크의 회전에 연동하는 메인링크를 포함하는 링 메인 유닛의 퓨즈 스트라이커 링크 자동 복귀 구조에 있어서, 상기 퓨즈 부근에는 상기 메인링크로부터 상기 메인링크의 이동방향에 반대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되게 위치하여 상기 메인링크에 연결되는 탄성부재가 구비되어, 전류차단시에는 상기 메인링크가 상기 퓨즈 스트라이커 링크의 회전에 연동하여 이동하면서 상기 메커니즘 조절링크를 밀어 상기 메커니즘을 오프(OFF)시키고, 전류투입시에는 상기 메인링크가 상기 탄성부재로부터 상기 메인링크의 이동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탄성 복원력을 제공받아 이동전의 위치로 복귀됨과 동시에 상기 메인링크에 연결된 상기 퓨즈 스트라이커 링크도 상기 메인링크에 연동하여 회전하여 회전전의 위치로 복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 메인 유닛의 퓨즈 스트라이커 링크 자동 복귀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퓨즈의 상측에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를 구비시키고, 메커니즘을 오프상태가 되도록 조절한 메인링크가 탄성부재의 탄성 복원력을 통해 이동전의 위치로 복귀되도록 함과 동시에 메인링크와 연동하여 퓨즈 스트라이커 링크도 회전되기 전의 위치로 복귀되도록 함으로써 링 메인 유닛의 상태를 전류투입 상태로 조절할때작업자의 조작 없이도 퓨즈 스트라이커 링크가 자동으로 회전되기 전의 위치로 복귀되도록 하여 링 메인 유닛의 상태조절이 손쉽게 이루어지게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링 메인 유닛의 퓨즈 스트라이커 링크 자동 복귀 구조{FUSE STRIKER LINK AUTO RETURN STRUCTURE IN RING MAIN UNIT}
본 발명은 링 메인 유닛의 퓨즈 스트라이커 링크 자동 복귀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퓨즈가 단선되면 메커니즘을 오프상태로 조절하도록 회전하는 퓨즈 스트라이커 링크가 자동으로 회전전의 위치로 복귀되도록 하는 링 메인 유닛의 퓨즈 스트라이커 링크 자동 복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부하개폐기는 배전선로 상의 선로분기, 선로구분 및 부하보호를 목적으로 하는 전기기기이다.
이러한 상기 부하개폐기의 일예로 고압 가스부하개폐기가 있으며, 고압 가스부하개폐기는 SF6 가스의 우수한 절연성능을 바탕으로 부하를 개폐한다.
상기 부하개폐기는 그 조합형태에 따라 부하개폐기에 차단기 및 다수개의 퓨즈가 결합된 형태로 제공되기도 한다.
이때 상기 부하개폐기는 부하전류를 온/오프(ON/OFF)하는 기능을 하고, 상기 차단기는 사고시 유입되는 단락전류를 차단시키며, 상기 각 퓨즈는 단락전류와 같이 일정 이상의 전류가 유입되면 단선이 되어 2차측의 기기를 보호한다.
상기와 같은 고압설비에 사용되는 부하개폐기로 링 메인 유닛(Ring Main Unit)이 있다.
도 1에는 종래의 링 메인 유닛의 개략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종래의 링 메인 유닛에서 메커니즘과 각 퓨즈가 퓨즈 스트라이커 링크를 통해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링 메인 유닛의 내부에는 SF6 가스가 채워져 있으며, 3개의 메커니즘(1, 2, 3)이 구비된다.
상기 각 메커니즘(1, 2, 3)의 후방에는 부하개폐기를 작동시키는 개폐기구부(미도시)가 구비되고, 상기 각 메커니즘(1, 2, 3)의 하부에는 사고 시 단락전류가 유입되면 단선시키는 다수개의 퓨즈(4)가 구비된다.
상기 퓨즈(4)는 인입부(4-a)에 유입된 전류를 인출부(미도시)를 통하여 각 기기에 전류를 공급하다가 인입부(4-a)에서 유입되는 전류가 과전류이면 상기 각 퓨즈(4)가 단선됨과 동시에 상기 각 퓨즈(4) 내에 구비된 동작 표시기(미도시)가 돌출되고, 상기 동작 표시기의 돌출운동에 연동하여 퓨즈 스트라이커 핀(4b-1)이 동작함으로써 링 메인 유닛의 메커니즘(1, 2, 3)이 오프(OFF)상태로 전환되게 한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 퓨즈(4)는 사고전류가 발생되면 동작 표시기의 돌출 운동에 연동하여 퓨즈 스트라이커 핀(4b-1)이 상측으로 이동하면서 퓨즈 스트라이커 링크(5)와 메인링크(6)가 연동하여 메커니즘(1, 2, 3)을 오프(OFF)시킨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의 링 메인 유닛의 경우 사고전류가 유입되어 링 메인 유닛에 구비된 각 퓨즈(4)가 단선되면서 퓨즈 스트라이커 링크(5)를 통해 메커니즘을 오프(OFF)상태로 조절할 때, 메인링크(6)가 우측으로 이동하면서 메커니즘(1, 2, 3)을 오프(0FF)상태로 조절하는데, 전류를 투입하기 위해 메인링크(6)를 이동 전의 위치로 복귀시키고자 하는 경우 메인링크(6)를 복귀시키기 위한 별도의 구성이 없어 작업자가 수동으로 메인링크(6)와 이에 연결된 퓨즈 스트라이커 링크(5)의 위치를 조절해야 하기 때문에 링 메인 유닛의 전류 투입상태로의 조절이 손쉽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작업자가 메인링크(6)와 퓨즈 스트라이커 링크(5)의 위치조절을 수동으로 해야 하기 때문에 메인링크(6)와 퓨즈 스트라이커 링크(5)의 위치조절을 하지 않은 상태에서 메커니즘(1, 2, 3)을 투입상태로 조절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여 링 메인 유닛이 오동작 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퓨즈 스트라이커 핀(4b-1)이 구비된 다수개의 각 퓨즈 슬라이더(4b)를 모두 교체할 경우에는 퓨즈 스트라이커 링크(5)의 하면을 상측으로 지지하는 퓨즈 스트라이커 핀(4b-1)이 존재하지 않아 퓨즈 스트라이커 링크(5)가 자체의 무게로 인해 본래의 위치(직각 형상을 띄는 위치)를 유지하지 못하고 하측으로 소정각도 회전한 상태로 있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퓨즈 스트라이커 링크(5)가 하측으로 회전된 상태에 있게 되면 새로운 퓨즈 슬라이더(4b)를 끼워넣기 위해서는 퓨즈 스트라이커 링크(5)를 상측으로 밀어올려야 하기 때문에 퓨즈의 교체작업이 번거롭고 장시간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퓨즈가 단선되면 메커니즘을 오프상태로 조절하도록 회전하는 퓨즈 스트라이커 링크가 자동으로 회전 전의 위치로 복귀되도록 하는 링 메인 유닛의 퓨즈 스트라이커 링크 자동 복귀 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메커니즘 조절링크가 연결된 메커니즘과, 상기 메커니즘의 하측에 위치하여 사고전류 발생시 단선되는 다수개의 퓨즈와, 상기 각 퓨즈에 인접하게 위치하여 상기 각 퓨즈의 동작에 따라 회전하는 퓨즈 스트라이커 링크 및 상기 퓨즈 스트라이커 링크와 연결되어 상기 퓨즈 스트라이커 링크의 회전에 연동하는 메인링크를 포함하는 링 메인 유닛의 퓨즈 스트라이커 링크 자동 복귀 구조에 있어서, 상기 퓨즈 부근에는 상기 메인링크로부터 상기 메인링크의 이동방향에 반대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되게 위치하여 상기 메인링크에 연결되는 탄성부재가 구비되되, 상기 링 메인 유닛의 내부에는 상기 탄성부재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됨과 동시에 상기 메인링크의 이동방향과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고정봉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봉에는 제1 걸림고리 고정홀이 형성되며,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에는 제1 걸림고리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제2 걸림고리가 형성되며, 상기 메인링크의 일단에는 상기 메인링크의 이동방향과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제2 걸림고리 고정홀이 형성되어, 상기 제1 걸림고리는 상기 제1 걸림고리 고정홀에 끼워지고, 상기 제2 걸림고리는 상기 제2 걸림고리 고정홀에 끼워져, 전류차단시에는 상기 메인링크가 상기 퓨즈 스트라이커 링크의 회전에 연동하여 이동하면서 상기 메커니즘 조절링크를 밀어 상기 메커니즘을 오프(OFF)시키고, 전류투입시에는 상기 메인링크가 상기 탄성부재로부터 상기 메인링크의 이동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탄성 복원력을 제공받아 이동전의 위치로 복귀됨과 동시에 상기 메인링크에 연결된 상기 퓨즈 스트라이커 링크도 상기 메인링크에 연동하여 회전하여 회전전의 위치로 복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 메인 유닛의 퓨즈 스트라이커 링크 자동 복귀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또한 상기 퓨즈 스트라이커 링크의 하측에는 상기 퓨즈 스트라이커 링크를 상측으로 지지하는 지지봉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또한 상기 지지봉은 상기 퓨즈 스트라이커 링크의 하면 중심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봉은 단면이 원형 또는 사각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링 메인 유닛의 퓨즈 스트라이커 링크 자동 복귀 구조는 퓨즈의 상측에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를 구비시키고, 메커니즘을 오프상태가 되도록 조절한 메인링크가 탄성부재의 탄성 복원력을 통해 이동전의 위치로 복귀되도록 함과 동시에 메인링크와 연동하여 퓨즈 스트라이커 링크도 회전되기 전의 위치로 복귀되도록 함으로써 링 메인 유닛의 상태를 전류투입 상태로 조절할때작업자의 조작 없이도 퓨즈 스트라이커 링크가 자동으로 회전되기 전의 위치로 복귀되도록 하여 링 메인 유닛의 상태조절이 손쉽게 이루어지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퓨즈 스트라이커 링크의 하측에 지지봉을 형성시키고, 지지봉을 통해 퓨즈 스트라이커 링크가 상측으로 지지되도록 함으로서, 퓨즈 스트라이커 핀이 구비된 퓨즈 슬라이더를 모두 제거하더라도 퓨즈 스트라이커 링크가 본래의 위치(회전되기 전의 위치)를 유지하지 못하고 하측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퓨즈 스트라이커 링크가 본래의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하측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여 퓨즈 스트라이커 링크로 인해 퓨즈 슬라이더가 끼워지는 공간이 막혀져 새로운 퓨즈 슬라이더를 끼워넣을 때 퓨즈 스트라이커 링크를 일일이 상측으로 회전시킬 필요가 없게 함으로써 퓨즈 교체 작업이 보다 손쉽게 이루어지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탄성부재의 양단에 고리형상의 제1 걸림고리와 제2 걸림고리를 형성시켜 탄성부재가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에서 메인링크에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도록 하여 메인링크가 이동전의 위치로 보다 효율적이고 신속하게 이동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지지봉의 위치가 퓨즈 스트라이커 링크의 하면 중심부에 위치하도록 하여 상측에서 일정한 하중이 퓨즈 스트라이커 링크에 가해지게 되더라도 퓨즈 스트라이커 링크와 지지봉의 맞닿은 면 이외의 부분이 쉽게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지지봉의 단면이 원형이나 사각형상을 띄도록 하여 지지봉의 강도가 강화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링 메인 유닛의 개략 구성도.
도 2는 종래의 링 메인 유닛에서 메커니즘과 각 퓨즈가 퓨즈 스트라이커 링크를 통해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링 메인 유닛의 퓨즈 스트라이커 링크 자동 복귀 구조의 개략 구성도.
도 4는 도 3의 A 부분에 대한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링 메인 유닛의 퓨즈 스트라이커 링크 자동 복귀 구조의 개략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링 메인 유닛의 퓨즈 스트라이커 링크 자동 복귀 구조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링 메인 유닛의 퓨즈 스트라이커 링크 자동 복귀 구조의 개략 구성도이고, 도 4는 도 3의 A 부분에 대한 확대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링 메인 유닛의 퓨즈 스트라이커 링크 자동 복귀 구조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링 메인 유닛은 내부에 링 메인 유닛의 전류 투입을 조절하는 메커니즘(100)이 구비되는데, 일반적으로 메커니즘(100)이란 링 메인 유닛의 내부에 구비된 회로 접점(미도시)이 투입 또는 개방상태가 되도록 동력원을 제공하는 구성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메커니즘(100)의 하측에는 사고전류 발생시 외부기기로 전류가 인가되는 것을 방지하는 다수개의 퓨즈(11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각 퓨즈(110)에는 단선시 상측으로 이동하는 퓨즈 스트라이커 핀(111a)이 구비된 퓨즈 슬라이더(111)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각 퓨즈(110)의 상측에는 상기 퓨즈 스트라이커 핀(111a)의 이동에 따라 시계방향으로 소정각도 회전하는 퓨즈 스트라이커 링크(120)가 구비되며, 상기 퓨즈 스트라이커 링크(120)는 상기 각 퓨즈(110)의 상측마다 형성된다.
이때 상기 퓨즈 스트라이커 링크(120)는 수직방향으로 위치하는 상부몸체(121)와, 상기 상부몸체(121)의 하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상기 상부몸체(121)와 직교하도록 연장형성된 하부몸체(123)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몸체(121)의 상부는 후술할 메인링크(130)에 연결되며, 상기 하부몸체(123)의 하면은 상기 퓨즈 스트라이커 핀(111a)의 상면에 맞닿은 상태로 위치한다.
또한 상기 상부몸체(121)와 상기 하부몸체(123)의 연결부위에는 끼움봉(180)이 관통형성되어 상기 퓨즈 스트라이커 링크(120)가 상기 끼움봉(180)에 끼워진 상태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거나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한편, 상기 퓨즈 스트라이커 링크(120)의 상측에는 상기 퓨즈 스트라이커 링크(120)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링 메인 유닛의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메인링크(130)가 구비된다.
상기 메인링크(130)는 상기 퓨즈 스트라이커 링크(120)를 구성하는 상기 상부몸체(121)의 상부에 힌지부(140)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퓨즈 스트라이커 링크(120)가 회전하면 상기 퓨즈 스트라이커 링크(120)의 회전에 연동하여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메커니즘 조절링크(200)를 밀어 상기 메커니즘(100)이 오프(OFF)상태가 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메커니즘 조절링크(200)를 통한 상기 메커니즘(100)의 상태 조절과정은 공지된 기술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퓨즈(110)의 상측에는 상기 메인링크(130)의 이동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탄성부재(150)가 구비되며, 상기 탄성부재(150)는 스프링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탄성부재(150)는 상기 메인링크(130)의 이동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상기 메인링크(130)에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며, 사고전류가 유입되어 링 메인 유닛이 전류 차단상태가 된 다음 전류 투입상태로 조절될때 상기 메인링크(130)가 상기 탄성부재(150)의 탄성 복원력을 통해 이동전의 위치로 복귀된다.
이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부재(150)의 일단에는 제1 걸림고리(151)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제2 걸림고리(153)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링 메인 유닛의 내부에는 상기 탄성부재(150)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고 상기 메인링크(130)의 이동방향과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고정봉(160)이 형성되는데, 상기 고정봉(160)에는 상기 제1 걸림고리(151)가 끼워져 고정되도록 제1 걸림고리 고정홀(161)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메인링크(130)의 일단에는 상기 메인링크(130)의 이동방향과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제2 걸림고리 고정홀(131)이 형성되며, 상기 제2 걸림고리 고정홀(131)에는 상기 제2 걸림고리(153)가 끼워져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탄성부재(150)는 일단에 형성된 상기 제1 걸림고리(151)가 상기 고정봉(160)에 형성된 상기 제1 걸림고리 고정홀(161)에 끼워지고, 타단에 형성된 상기 제2 걸림고리(153)가 상기 제2 걸림고리 고정홀(131)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메인링크(130)에 연결되어 상기 메인링크(130)의 이동에 따라 그 길이가 늘어나거나 줄어들면서 상기 메인링크(130)에 탄성 복원력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경우 링 메인 유닛의 내부에 탄성부재(150)를 별도로 구비시키고, 탄성부재(150)를 통해 메인링크(130)에 메인링크(130)의 이동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탄성 복원력을 제공함으로써 전류차단상태에서 수평방향으로 이동한 메인링크(130)가 탄성부재(150)의 탄성 복원력을 통해 이동전의 위치로 복귀되도록 하고, 메인링크(130)에 연결된 퓨즈 스트라이커 링크(120)도 메인링크(130)와 함께 본래의 위치(회전되기 전의 위치)로 복귀되도록 하여 작업자가 수동으로 메인링크(130)와 이에 연결된 퓨즈 스트라이커 링크(120)의 위치를 조절하지 않더라도 퓨즈 스트라이커 링크(120)가 본래의 위치로 자동으로 복귀되도록 함으로써 링 메인 유닛의 상태조절이 손쉽게 이루어지게 한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링 메인 유닛의 내부에는 상기 퓨즈 스트라이커 링크(120)의 하측으로 지지봉(170)이 형성되는데, 상기 지지봉(170)은 상기 퓨즈 스트라이커 링크(120)를 구성하는 상기 하부몸체(123)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하부몸체(123)를 상측으로 지지함으로써 상기 퓨즈 스트라이커 링크(120)를 상측으로 지지한다.
종래의 경우 메인링크(130)가 탄성부재(150)를 통해 탄성 복원력을 제공받아 이동 전의 위치로 복귀하게 되면, 퓨즈 스트라이커 링크(120)도 본래의 위치로 복귀하는데, 퓨즈 스트라이커 링크(120)는 복귀된 상태에서 퓨즈 스트라이커 핀(111a)의 지지를 받아 고정되지만 각 퓨즈(110)를 교체하기 위해 퓨즈 슬라이더(111)를 모두 교체하게 되면 퓨즈 스트라이커 핀(111a)이 모두 제거된 상태가 되어 퓨즈 스트라이커 링크(120)가 복귀된 위치에 고정되지 못하게 된다.
하지만, 본 발명의 경우 퓨즈 슬라이더(111)를 교체하기 위해 퓨즈 슬라이더(111)를 퓨즈로부터 분리하게 되어 퓨즈 스트라이커 핀(111a)이 모두 제거된 상태가 되더라도 지지봉(170)을 통해 퓨즈 스트라이커 링크(120)가 상측으로 지지되도록 함으로서 퓨즈 스트라이커 링크(120)가 자체 무게로 인해 본래의 위치보다 하측으로 일정정도 더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퓨즈 스트라이커 링크(120)가 하측으로 더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때문에 새로운 퓨즈 슬라이더(111)를 끼워넣을 때 퓨즈 스트라이커 링크(120)를 상측으로 회전시킬 필요가 없어 퓨즈 슬라이더(111)의 교체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지지봉(170)은 상기 퓨즈 스트라이커 링크(120)의 하측마다 구비될 수 있고, 상기 퓨즈 스트라이커 링크(120)의 일부를 제외하고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지지봉(170)은 상기 하부몸체(123)의 하면 중 중심부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상측에서 일정한 힘이 가해지더라도 상기 하부몸체(123) 중 상기 지지봉(170)과 맞닿은 면 이외의 부분이 손쉽게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외에 상기 지지봉(170)은 단면이 원형이나 사각형상이 되도록 하거나 그 폭을 조절하여 상기 지지봉(170)의 강도가 강화되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링 메인 유닛의 퓨즈 스트라이커 링크 자동 복귀 구조를 통한 퓨즈 스트라이커 링크의 자동 복귀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사고전류가 인가되어 퓨즈(110)가 단선이 되면, 퓨즈(110)에 구비된 동작 표시기(미도시)가 돌출되면서 퓨즈 스트라이커 핀(111a)을 상측으로 밀어올린다.
퓨즈 스트라이커 핀(111a)이 상측으로 밀어올려지면 퓨즈 스트라이커 핀(111a)의 상면에 맞닿도록 위치한 퓨즈 스트라이커 링크(120)가 상측으로 밀어올려지면서 시계방향으로 소정각도 회전하고, 퓨즈 스트라이커 링크(120)에 연결된 메인링크(130)가 퓨즈 스트라이커 링크(120)에 연동하여 수평방향으로 이동한다.
메인링크(130)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면 메인링크(130)에 형성된 볼트(190) 등이 메커니즘 조절링크(200)를 밀어 메커니즘(100)이 오프(OFF)상태가 되도록 한다.
이때 메인링크(130)의 일단은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150)와 연결되어 있어 메인링크(130)는 탄성부재(150)를 통해 이동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탄성 복원력을 제공받는 상태에 있게 된다.
또한 퓨즈 스트라이커 핀(111a)을 통해 퓨즈 스트라이커 링크(120)가 상측으로 지지받는 상태에 있어 메인링크(130)는 이동한 위치에서의 상태가 유지되게 된다.
이후 작업자가 퓨즈(110)를 교체하기 위해 퓨즈 스트라이커 핀(111a)이 구비된 퓨즈 슬라이더(111)를 제거하게 되는데, 퓨즈 슬라이더(111)를 제거하게 되면 퓨즈 스트라이커 링크(120)를 상측으로 지지하는 힘이 없어지게 된다.
이때 메인링크(130)는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150)를 통해 이동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탄성 복원력을 제공받고 있어, 퓨즈 슬라이더(111)가 제거되면 탄성부재(15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이동전의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또한 메인링크(130)에 연결된 퓨즈 스트라이커 링크(120)도 메인링크(130)의 이동에 연동하여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회전되기 전의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한편, 퓨즈 스트라이커 링크(120)의 하측에는 지지봉(170)이 형성되어 있어 퓨즈 스트라이커 링크(120)가 회전되기 전의 위치로 복귀하게 되면 지지봉(170)을 통해 상측으로 지지를 받아 복귀된 위치(회전되기 전의 위치)보다 하측으로 더 회전되지 않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1, 2, 3: 메커니즘 4: 퓨즈
4a: 인입부 4b: 퓨즈 슬라이더
4b-1: 퓨즈 스트라이터 핀 5: 퓨즈 스트라이커 링크
6: 메인링크 100: 메커니즘
110: 퓨즈 111: 퓨즈 슬라이더
111a: 퓨즈 스트라이커 핀 120: 퓨즈 스트라이커 링크
121: 상부몸체 123: 하부몸체
130: 메인링크 131: 제2 걸림고리 고정홀
140: 힌지부 150: 탄성부재
151: 제1 걸림고리 153: 제2 걸림고리
160: 고정봉 161: 제1 걸림고리 고정홀
170: 지지봉 180: 끼움봉
190: 볼트 200: 메커니즘 조절링크

Claims (5)

  1. 메커니즘 조절링크가 연결된 메커니즘과, 상기 메커니즘의 하측에 위치하여 사고전류 발생시 단선되는 다수개의 퓨즈와, 상기 각 퓨즈에 인접하게 위치하여 상기 각 퓨즈의 동작에 따라 회전하는 퓨즈 스트라이커 링크 및 상기 퓨즈 스트라이커 링크와 연결되어 상기 퓨즈 스트라이커 링크의 회전에 연동하는 메인링크를 포함하는 링 메인 유닛의 퓨즈 스트라이커 링크 자동 복귀 구조에 있어서,
    상기 퓨즈 부근에는 상기 메인링크로부터 상기 메인링크의 이동방향에 반대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되게 위치하여 상기 메인링크에 연결되는 탄성부재가 구비되되,
    상기 링 메인 유닛의 내부에는 상기 탄성부재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됨과 동시에 상기 메인링크의 이동방향과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고정봉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봉에는 제1 걸림고리 고정홀이 형성되며,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에는 제1 걸림고리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제2 걸림고리가 형성되며,
    상기 메인링크의 일단에는 상기 메인링크의 이동방향과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제2 걸림고리 고정홀이 형성되어,
    상기 제1 걸림고리는 상기 제1 걸림고리 고정홀에 끼워지고, 상기 제2 걸림고리는 상기 제2 걸림고리 고정홀에 끼워져,
    전류차단시에는 상기 메인링크가 상기 퓨즈 스트라이커 링크의 회전에 연동하여 이동하면서 상기 메커니즘 조절링크를 밀어 상기 메커니즘을 오프(OFF)시키고,
    전류투입시에는 상기 메인링크가 상기 탄성부재로부터 상기 메인링크의 이동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탄성 복원력을 제공받아 이동전의 위치로 복귀됨과 동시에 상기 메인링크에 연결된 상기 퓨즈 스트라이커 링크도 상기 메인링크에 연동하여 회전하여 회전전의 위치로 복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 메인 유닛의 퓨즈 스트라이커 링크 자동 복귀 구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퓨즈 스트라이커 링크의 하측에는 상기 퓨즈 스트라이커 링크를 상측으로 지지하는 지지봉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 메인 유닛의 퓨즈 스트라이커 링크 자동 복귀 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봉은 상기 퓨즈 스트라이커 링크의 하면 중심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 메인 유닛의 퓨즈 스트라이커 링크 자동 복귀 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봉은 단면이 원형 또는 사각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 메인 유닛의 퓨즈 스트라이커 링크 자동 복귀 구조.
KR1020140150536A 2014-10-31 2014-10-31 링 메인 유닛의 퓨즈 스트라이커 링크 자동 복귀 구조 KR1016699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0536A KR101669905B1 (ko) 2014-10-31 2014-10-31 링 메인 유닛의 퓨즈 스트라이커 링크 자동 복귀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0536A KR101669905B1 (ko) 2014-10-31 2014-10-31 링 메인 유닛의 퓨즈 스트라이커 링크 자동 복귀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1100A KR20160051100A (ko) 2016-05-11
KR101669905B1 true KR101669905B1 (ko) 2016-10-27

Family

ID=560259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0536A KR101669905B1 (ko) 2014-10-31 2014-10-31 링 메인 유닛의 퓨즈 스트라이커 링크 자동 복귀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990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0012B1 (ko) 2017-06-08 2018-09-18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퓨즈 작동 감지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0883B1 (ko) * 2016-07-08 2019-10-10 주식회사 엘지화학 다단형 퓨즈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6916Y1 (ko) 2012-03-02 2013-05-14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부하개폐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3404B1 (ko) * 2003-01-16 2005-06-07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진공차단기의 보조 스위치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6916Y1 (ko) 2012-03-02 2013-05-14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부하개폐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0012B1 (ko) 2017-06-08 2018-09-18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퓨즈 작동 감지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1100A (ko) 2016-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40039253A1 (en) Motor control center (mcc) units with retractable power connector and interlocks including a power connector position interlock
US9685282B2 (en) Door interlock device for vacuum circuit breaker
US9825439B2 (en) Withdrawable interlock device of vacuum circuit breaker
CN102655060B (zh) 一种用于真空断路器的联锁装置
KR101669905B1 (ko) 링 메인 유닛의 퓨즈 스트라이커 링크 자동 복귀 구조
US9384912B2 (en) Circuit breaker
US9865407B2 (en) Interlock apparatus of ring main unit
CN105321781A (zh) 用于断路器主动保持联锁的仪表板
DE102012223168A1 (de) Elektromechanisches Schaltgerät
EP3594986B1 (en) Switching mechanism of circuit breaker
KR101667639B1 (ko) 3-포지션 인터록 조절 장치
US10141129B2 (en) Interlock apparatus of ring main unit
KR20170000322U (ko) 링메인유닛의 개폐기 인터록 장치
EP3175471B1 (de) Schaltgeraet
KR101916166B1 (ko) 전원절환장치의 인터록 장치
US10529503B2 (en) Interlocking structure of power conversion system and operation method therefor
KR101688950B1 (ko) 배선용 차단기
KR101658540B1 (ko) 가스절연 부하개폐기용 케이블 커버 인터록 장치
CN112136199B (zh) 断路器
EP3157030B1 (en) Control system for high-voltage electrical devices
KR101869721B1 (ko) 가스절연 개폐장치용 퓨즈 타입 메커니즘 인터록 장치
KR101306467B1 (ko) 라킹 기능이 구비된 개폐기
KR101680718B1 (ko) 스위치 구동 장치
KR101727145B1 (ko) 릴레이 접점 단자 어셈블리
DE202018006505U1 (de) Hochspannungsrelais, das gegen momentane Hochstromstösse beständig is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