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6166B1 - 전원절환장치의 인터록 장치 - Google Patents

전원절환장치의 인터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6166B1
KR101916166B1 KR1020170093671A KR20170093671A KR101916166B1 KR 101916166 B1 KR101916166 B1 KR 101916166B1 KR 1020170093671 A KR1020170093671 A KR 1020170093671A KR 20170093671 A KR20170093671 A KR 20170093671A KR 101916166 B1 KR101916166 B1 KR 1019161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power switching
interlock bar
interlock
switch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36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성환
Original Assignee
오성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성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성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936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61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61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61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20Interlocking, locking, or latching mechanisms
    • H01H9/24Interlocking, locking, or latching mechanisms for interlocking two or more parts of the mechanism for operating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02Details
    • H01H33/46Interlocking mechanis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12Automatic release mechanisms with or without manual release
    • H01H71/123Automatic release mechanisms with or without manual release using a solid-state trip uni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1/00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 H02B11/12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with isolation by horizontal withdrawal
    • H02B11/127Withdrawal mechanism
    • H02B11/133Withdrawal mechanism with interlock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1/00Actuators
    • H01H2221/052Actuators interlock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tand-By Power Supply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전원절환장치의 인터록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범용 자동전원절환장치에 적용하여 범용 자동전원절환장치의 무정전 절환 작업이 간편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자동전원절환장치의 인터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전원을 ON시키는 전원부와, 전원부의 ON전원을 OFF시키는 해제부가 각각 설치된 상용전원절환장치 및 예비전원절환장치가 서로 자동절환될 수 있도록 일측과 타측에 마련되고, 전원부의 ON/OFF동작시 일측과 타측으로 왕복 이동되며, 전원부에 연결되되 각 전원절환장치의 외측을 향해 돌출된 전원동작레버;회동운동을 통해 각 전원절환장치의 해제부 동작을 연동시키며, 각 전원절환장치의 외측에 축 결합된 트립레버;일단부는 상용전원절환장치의 전원동작레버에 걸려 결합되고, 타단부는 예비 전원절환장치의 트립레버측으로 연장된 제1인터록바;일단부는 예비전원절환장치의 전원동작레버에 걸려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용 전원절환장치의 트립레버측으로 연장된 제2인터록바;상기 제1인터록바의 타단부와 예비전원절환장치의 트립레버 사이 및 제2인터록바의 타단부와 상용전원절환장치의 트립레버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제1인터록바 또는 제2인터록바의 일방향 이동시에만 상기 제1인터록바 또는 제2인터록바의 타단부에 연동되어 밀리면서 상기 각각의 트립레버를 회동시켜 각 트립레버가 설치된 전원절환장치의 전원을 OFF시키도록 한 연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동부는, 장공(長空)이 형성된 브라켓;상기 브라켓의 장공을 통해 제1인터록바의 타단부 및 제2인터록바의 타단부에 각각 연결되며, 제1인터록바 및 제2인터록바의 왕복 이동에 의해 상기 장공을 따라 이동되는 간섭핀;상기 브라켓상에 축 결합되며, 간섭핀의 이동에 의해 간섭되는 경사면 및 수평면이 형성되어 간섭핀의 이동방향에 따라 정,역 방향으로 회동되는 회동부재;상기 회동부재와 트립레버 사이에서 상기 브라켓상에 축 결합되며, 상기 회동부재의 일방향 회전에 의해서만 간섭되어 회동되면서 트립레버를 밀어 회전시키는 트리거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절환장치의 인터록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전원절환장치의 인터록 장치{An interlock device for a switch over device}
본 발명은 전원절환장치의 인터록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범용 자동전원절환장치에 간편하게 적용될 수 있도록 하여 무정전 절환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 전원절환장치의 인터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형 건물이나 공장 및 병원 등에서는 한국 전력과 같은 전력 공급원으로부터 상용 전력을 공급받아 사용하고, 정전과 같이 상용 전력 공급에 이상이 발생하였을 때에는 건물 내에 구비된 발전 설비 등을 이용하여 비상 전력을 생성하여 사용한다.
이러한 대형 건물이나 공장 및 병원 등에서는, 평상시에는 상용 전원(Normal Power Supply)과 부하 측을 연결하여 부하 측에 전력을 공급하고, 상용 전원에 이상이 발생할 때 비상 전원(Emergency Power Supply)을 부하 측에 연결하여 비상 전원의 전력을 부하 측으로 제공하는 자동절환스위치가 포함된 전원절환장치가 구비된 고압 폐쇄 배전반이 설치되어 있다.
도 1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병렬 구조의 전원절환장치가 내장된 배전반(6)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병렬로 연결되는 전원절환장치의 회로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의 고압 폐쇄 배전반은 배전반(6)의 내측에 두 개가 전원절환장치(10,20)가 설치되고, 각각의 전원절환장치(10, 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용전원(31) 공급을 위한 상용전원단자(10-1,20-1), 비상전원(32) 공급을 위한 비상전원단자(10-2, 20-2) 및 부하(39) 측으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부하단자(10-3, 20-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부하단자(10-3, 20-3)는 서로 병렬로 접속되도록 배선되며, 각각의 전원절환장치(10, 20)에구비되는 가동단자(10-4, 20-4)가 각각의 단자부에 대한 스위칭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전원절환장치(10, 20) 각각의 정면에는 수동전원절환을 위한 레버고정부(10a, 20a)가 각각 형성되어 사용자의 필요시 수동으로 전원절체를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전원절환장치를 갖는 배전반으로 인해, 상용전원 및 예비전원으로의 전환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어, 전원절환 작업에 대한 편의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상기한 종래 기술에 따른 전원절환장치를 갖는 고압 폐쇄 배전반은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었다.
가동단자(10-4, 20-4)가 상용전원(31)의 고정단자(10-1, 20-1)에서 비상전원(32)의 고정단자(10-2, 20-2)로 연결되거나, 가동단자(10-4, 20-4)가 비상전원(32)의 고정단자(10-2, 20-2)에서 상용전원(31)의 고정단자(10-1, 20-1)로 연결되는 과정에서, 그 개방 및 연결을 위한 물리적인 시차가 발생하게 되어 비록 짧은 시간이지만 순간적으로 정전 상태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용전원(31)과 비상전원(32)이 부하(39)와 단절된 후 연결되는 과정에서, 부하(39)측에 통전되는 전압의 위상각 제한 범위, 전압차의 범위, 주파수의 오차 범위를 벗어날 경우, 예상치 못한 쇼트가 발생하여 전기기기의 파손 등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물론, 최근에는 무정전 전원절환을 위한 스위칭 시스템이 다양하게 개발되어 있는 실정이다.
본 출원인을 통해서도, 무정전 전원 절환 절체 스위치 등을 포함하는 배전반 관련 기술들이 다양하게 공지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한 종래의 무정전 전원절환장치는 무정전 전원 절환을 위한 장치를 신규 제작해야 함으로써 제작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가 있었다.
즉, 범용 전원절환장치를 무정전 전원절환장치로 가변시키기 위해서는 장치 전체를 신규제작해야 했던 것이다.
대한민국 등록번호 제10-0984029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범용 전원절환장치에 간단하게 적용될 수 있도록 하여, 간소한 구성 전환을 통해 범용 전원절환장치의 무정전 전원절환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전원절환장치의 인터록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전원을 ON시키는 전원부와, 전원부의 ON전원을 OFF시키는 해제부가 각각 설치된 상용전원절환장치 및 예비전원절환장치가 서로 자동절환될 수 있도록 일측과 타측에 마련되고, 전원부의 ON/OFF동작시 일측과 타측으로 왕복 이동되며, 전원부에 연결되되 각 전원절환장치의 외측을 향해 돌출된 전원동작레버;회동운동을 통해 각 전원절환장치의 해제부 동작을 연동시키며, 각 전원절환장치의 외측에 축 결합된 트립레버;일단부는 상용전원절환장치의 전원동작레버에 걸려 결합되고, 타단부는 예비 전원절환장치의 트립레버측으로 연장된 제1인터록바;일단부는 예비전원절환장치의 전원동작레버에 걸려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용 전원절환장치의 트립레버측으로 연장된 제2인터록바;상기 제1인터록바의 타단부와 예비전원절환장치의 트립레버 사이 및 제2인터록바의 타단부와 상용전원절환장치의 트립레버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제1인터록바 또는 제2인터록바의 일방향 이동시에만 상기 제1인터록바 또는 제2인터록바의 타단부에 연동되어 밀리면서 상기 각각의 트립레버를 회동시켜 각 트립레버가 설치된 전원절환장치의 전원을 OFF시키도록 한 연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동부는, 장공(長空)이 형성된 브라켓;연동부가 상기 제1인터록바의 타단부와 예비전원절환장치의 트립레버 사이에 설치된 경우 상기 브라켓의 장공을 통해 제1인터록바의 타단부에 연결되며, 제1인터록바의 왕복 이동에 의해 상기 장공을 따라 이동되고, 연동부가 제2인터록바의 타단부와 상용전원절환장치의 트립레버 사이에 설치된 경우 상기 브라켓의 장공을 통해 제2인터록바의 타단부에 연결되며, 제2인터록바의 왕복 이동에 의해 상기 장공을 따라 이동되는 간섭핀;상기 브라켓상에 축 결합되며, 간섭핀의 이동에 의해 간섭되는 경사면 및 수평면이 형성되어 간섭핀의 이동방향에 따라 정,역 방향으로 회동되는 회동부재;상기 회동부재와 트립레버 사이에서 상기 브라켓상에 축 결합되며, 상기 회동부재의 일방향 회전에 의해서만 간섭되어 회동되면서 트립레버를 밀어 회전시키는 트리거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절환장치의 인터록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원절환장치의 인터록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상용전원과 예비전원이 서로 중첩절환되는 시간이 최소화됨으로써, 절환되는 과정에서 정전이 발생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즉, 상용전원과 비상전원이 절환되는 과정에서, 상호 간에 순차적으로 절환되는 것이 아니라 양전원이 찰나에 중첩된 후에 절환이 이루어짐으로써 정전이 발생하지 않으며, 정전 후 예비전원에서 상용전원으로 연결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장시간의 병렬운전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발전기 및 변압기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둘째, 인터록 장치의 구성을 간소화하여 범용 전원절환장치에 용이하게 적용시킬 수 있으므로, 효율성이 높은 효과가 있다.
즉, 무정전 절환이 이루어지지 않는 범용 전원절환장치에 본 발명의 인터록 장치를 용이하게 설치하여 무정전 절환을 가능하게 할 수 있으므로, 무정전 절환을 위한 전원절환장치 신규 제작의 필요성을 줄여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나아가 경제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고전압 배전반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전원절환장치의 회로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범용 전원절환장치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터록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범용 전원절환장치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터록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원절환장치의 인터록 장치를 구성하는 연동부를 나탄낸 측면도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원절환장치의 인터록 장치 작용을 측면에서 나타낸 작용도
도 7a 내지 도 7c는 도 6a의 "A"부 동작을 나타낸 작용도
도 8a 내지 도 8c는 도 6a의 "B"부 동작을 나타낸 작용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 3 내지 도 8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원절환장치의 인터록 장치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전원절환장치의 인터록 장치는 범용 전원절환장치에 용이하게 설치되도록 하여 무정전 절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기술적 특징이 있다.
이에 따라, 범용 전원절환장치도 무정전 절환으로 변경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범용 전원절환장치가 상부와 하부에 각각 마련된다.
상부에 마련된 전원절환장치는 상용전원절환장치(10)로 제공되고, 하부에 마련된 자동절환장치는 예비전원절환장치(20)로 마련된다.
이때, 각각의 절환장치(10)에는 전원을 ON시키는 전원부(미도시)와, 전원부를 통해 ON된 전원을 OFF시키는 해제부(미도시)가 마련되며, 이들은 공지된 기술이므로 상세한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도 3 및 도 4를 통해 알 수 있듯이, 자동절환장치의 측면에는 인터록 장치가 설치된다.
인터록 장치는 전원동작레버(100)와, 트립레버(200)와, 제1인터록바(300)와, 제2인터록바(400)와, 연동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전원동작레버(100)는 공지된 범용 전원절환장치의 전원부에 연결되며, 전원부가 ON되면 상승되고, 전원부가 OFF되면 하강되도록 연동 설치된다.
상기 전원동작레버(100)는 각각의 전원절환장치(10,20)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된다.
다음으로, 트립레버(200)는 공지된 범용 전원절환장치(10,20)의 해제부에 연결되며, 전원이 ON된 전원절환장치(10,20)의 전원을 OFF시키는 역할을 한다.
트립레버(200)는 각 전원절환장치(10,20)의 측면에 설치되되, 전원절환장치(10,20)의 전,후방으로 회동되도록 축 결합된다.
이때, 트립레버(200)는 전원동작레버(100)의 하방에 위치되도록 설치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트립레버(200)가 회동되면 해제부와 연동되어 전원부를 전부를 OFF시키는 것이다.
다음으로, 제1인터록바(300)는 상용전원절환장치(10)의 ON/OFF동작에 연동되면서 승강작용을 하며, 일단부는 상용전원절환장치(10)의 전원동작레버(100)에 걸려 결합되고, 타단부는 예비전원절환장치(20)의 트립레버(200)측에 위치된다.
즉, 제1인터록바(3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절환장치(10,20)의 측면에 상,하 방향으로 긴 바(BAR)형태로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제1인터록바(300)의 상단부에는 상용전원절환장치(10)의 전원동작레버(100)가 걸려 결합되는 제1결합홈(310)이 형성된다.
제1결합홈(310)은 전원동작레버(100)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일측이 개구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제1인터록바(300)의 하단부는 후술하는 연동부(500)의 간섭핀이 연결되도록 마련된다.
다음으로, 제2인터록바(400)는 예비전원절환장치(20)의 ON/OFF 동작에 연동되면서 승강작용을 하며, 일단부는 예비전원절환장치(20)의 전원동작레버(100)에 걸려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용전원절환장치(10)의 트립레버(200)측에 위치된다.
제2인터록바(400) 역시, 제1인터록바(300)처럼 전원절환장치의 측면에 상,하 방향으로 긴 바 형태로 설치된다.
이때, 제2인터록바(400)의 일단부에는 예비전원절환장치(20)의 전원동작레버(100)가 걸려 결합되는 제2결합홈(410)이 형성된다.
제2결합홈(410)은 전원동작레버(100)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일측이 개구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제2인터록바(400)의 타단부는 후술하는 연동부(500)의 간섭핀이 연결되도록 마련된다.
다음으로, 연동부(500)는 인터록바(300,400) 상승 작용시 트립레버(200)를 회동시켜 해제부로 하여금 전원부를 OFF시키도록 하는 역할을 하며, 각 인터록바(300,400)의 타단부와 트립레버(200) 사이에 설치된다.
상용전원과 예비전원이 상호 절환되는 과정에서, 각 전원절환장치의 ON을 위해서는 전원동작레버(100)의 상승이 이루어지는데, 이때, 연동부(500)는 인터록바(300,400)의 타단부에 간섭되면서 상용전원절환장치(10) 또는 예비전원절환장치(20)? 해제부를 동작시키도록 한 구성인 것이다.
즉, 연동부(500)에 의한 트립레버(200) 작용은 각 인터록바(300,400)가 상승작용을 할 때에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연동부(5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510)과, 간섭핀(520)과, 회동부재(530)와, 트리거 부재(540)를 포함한다.
브라켓(510)은 회동부재(530)와 트리거 부재(540)가 설치되는 구성이며, 트립레버(200)와 인터록바(300,400) 사이에 설치된다.
브라켓(510)은 한 쌍으로 제공되며, 브라켓(510) 사이에는 회동부재(530) 및 트리거 부재(540)의 회동을 위한 공간이 형성된다.
이때, 브라켓(510)에는 상,하 방향으로 장공(長空)(511)이 형성된다.
장공(511)은 간섭핀(520)의 승강 작용을 위한 구성으로서, 간섭핀(520)의 이동 경로이기도 하다.
그리고, 간섭핀(520)은 각 인터록바(300,400) 승강 작용시 연동되면서 장공(511)의 일단부와 타단부를 이동하며, 회동부재(530)를 간섭하여 회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간섭핀(520)의 일단부(520)는 장공(511)을 통해 브라켓(510) 내측에 위치되고, 간섭핀(520)의 타단부는 장공(511) 외측을 통해 인터록바(300,400)의 타단부에 연결된다.
즉, 간섭핀(520)은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동부(500)가 상기 제1인터록바(300)의 타단부와 예비전원절환장치(20)의 트립레버(200) 사이에 설치된 경우 상기 브라켓(510)의 장공(511)을 통해 제1인터록바(300)의 타단부에 연결되며, 제1인터록바(300)의 왕복 이동에 의해 상기 장공(511)을 따라 이동되고, 연동부(500)가 제2인터록바(400)의 타단부와 상용전원절환장치(10)의 트립레버(200) 사이에 설치된 경우 상기 브라켓(510)의 장공(511)을 통해 제2인터록바(400)의 타단부에 연결되며, 제2인터록바(400)의 왕복 이동에 의해 상기 장공(511)을 따라 이동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인터록(300,400)바 승강시, 상기 간섭핀(520)은 장공(511)의 일단부와 타단부 사이를 왕복 이동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회동부재(530)는 간섭핀(520)의 왕복 이동에 의해 간섭되어 회동 작용을 하며, 브라켓(510) 사이에 축 결합된다.
즉, 회동부재(530)는 장공(511)을 따라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이동되는 간섭핀(520)에 의해 간섭되면서 정,역 회전되는 것이다.
예컨대 간섭핀(520)이 장공(511) 상에서 일방향(상승)으로 이동할 때에는 회동부재(530)는 도면상 정방향(좌측방향)으로 회동되고, 간섭핀(520)이 장공(511) 상에서 타방향(하강)으로 이동할 때에는 회동부재(530)는 도면상 역방향(우측 방향)으로 회동되는 것이다.
이때, 회동부재(530)의 일측은 장공(511)에 대응되고, 회동부재(530)의 타측은 브라켓(510)에 탄성지지된다.
이때, 회동부재(530)의 일측에는 경사면(531)과 수평면(532)이 형성된다.
즉, 간섭핀(520)은 장공(511)상에서 이동할 때, 경사면(531)과 수평면(532)을 밀어내면서 회동부재(530)를 회동시키는 것이다.
회동부재(530)의 타측은 스프링(S)에 의해 브라켓(510)에 탄성지지 됨으로써, 스프링(S)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회동부재(530)는 항상 원위치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회동부재(530)의 일측과 타측 사이에는 돌출편(533)이 형성된다.
돌출편(533)은 트리거부재(540)를 간섭하여 회동시키는 역할을 하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부재(530)로부터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트리거부재(540)는 회동부재(530)의 일방향 회동에만 연동되면서 트립레버(200)를 밀어 회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트리거부재(540)의 일단부는 브라켓(510) 상에 축 결합되며, 트리거부재(540)의 타단부는 트립레버(200)에 대응된다.
이때, 트리거부재(540)의 위치가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트리거부재(540)와 브라켓(510) 사이에는 스프링(S)이 설치된다.
한편, 트리거부재(540)에는 고정돌기(541)가 형성된다.
고정돌기(541)는 회동부재(530)와의 연동을 위한 구성이며, 트리거부재(540)로부터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부재(530)의 돌출편 일측에만 대응되어 있는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회동부재(530)의 정방향 회전시에는 상기 고정돌기(541)를 간섭하여 트리거부재(540)를 연동시키게 되고, 회동부재(530)의 역방향 회전시에는 상기 고정돌기(541)를 간섭하지 않으므로 트리거부재(540)의 작용 변화는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하,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인터록 장치의 작용에 대하여 도 6a 내지 도 8c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6a는 상부에 위치한 상용전원절환장치(10)의 전원이 ON된 상태로서, 전원동작레버(100A)가 상승되어 있는 상태임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인터록바(300)는 전원동작레버(100A)에 의해 상승된 상태이다.
한편, 예비전원절환장치(20)의 전원은 OFF된 상태로서, 전원동작레버(100B)가 하강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에 따라, 제2인터록바(400)는 전원동작레버(100B)에 의해 하강된 상태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예비전원절환장치(20)를 통한 전원절환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상용전원절환장치(10)를 통한 전원 공급은 OFF되고 예비전원절환장치(20)를 통한 전원 공급의 ON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비전원절환장치(20)의 전원동작레버(100B)는 상승되어 제2인터록바(400)를 상승시키고, 상용전원절환장치(10)의 전원동작레버(100A)는 하강되어 제1인터록바(300)를 하강시킨다.
이에 따라, 상용전원과 예비전원간에 절환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제2인터록바(400)의 상승과 동시에 제1인터록바(300)가 하강되면서 무정전으로 자동 절환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1인터록바(300) 및 제2인터록바(400)에 의한 연동부(500)의 연동 작용을 통해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연동부(500)의 작용에 대하여 첨부된 도 7a 내지 도 7c를 참조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도 7a는 도 6a의 "A"부 즉, 제2인터록바(400)의 타단부와 트립레버(200) 사이에 설치된 연동부(500)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용전원절환장치(10)가 ON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후, 예비전원절환장치(20)를 통해 전원이 절환되는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예비전원절환장치(20)의 전원동작레버(100B)가 상승을 하게 된다.
이는 도 6b를 통해 이해될 수 있다.
이때, 제2인터록바(400) 역시 상승을 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제2인터록바(400)의 타단부에 연결된 간섭핀(520)도 상승을 하게 된다.
이때, 간섭핀(520)은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부재(530)의 경사면(531)을 밀어내면서 상승을 하면서 회동부재(530)를 정방향으로 회동시키게 된다.
이때, 회동부재(530)의 돌출편(533)은 트리거부재(540)의 고정돌기(541)에 걸려 간섭하면서 상기 트리거부재(540)를 연동시키게 된다.
즉, 트리거부재(540)는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트립레버(200)를 회동시키는 것이다.
이때, 트립레버(200)의 회전에 의해, 상용전원절환장치(10)의 해제부는 동작하여 전원부를 OFF시키게 된다.
이때, 간섭핀(520)은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면(531)을 넘어 수평면(532)측으로 이동되고, 회동부재(530) 및 트리거부재(540)는 스프링(S)의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된다.
이와 같은 동작에 의해, 예비전원절환장치(20)로의 전원 절환시, 연동부(500)의 동작에 의해 상용전원절환장치(10)의 전원은 자동으로 OFF되는 것이다.
물론, 예비전원에서 상용전원으로의 절환시에도, 전술한 연동부(500)의 작용은 동일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전원이 ON되는 예비전원절환장치(10)측의 제2인터록바(400)는 상승되면서 회동부재(530)로 하여금 트리거 부재(540)를 회동시켜 상용전원절환장치(10)를 OFF시키는데, 이 과정에서 상용전원절환장치(10)의 전원동작레버(100A)는 하강하면서 제1인터록바(300)를 하강시키게 된다.
이때, 하강하는 제1인터록바(300)는 연동부(500)를 어떻게 동작시키는지 첨부된 도 8a 내지 도 8c를 참조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도 8a는 도 6a의 "B"부 즉, 제1인터록바(300)의 타단부와 트립레버(200) 사이에 설치된 연동부(500)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용전원절환장치(10)가 ON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때, 간섭핀(520)은 회동부재(530)의 수평면(532)에 위치된 상태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예비전원절환장치(20)로의 전원이 절환되면서, 상용전원절환장치(10)의 전원은 OFF됨에 따라, 상용전원절환장치(10)의 전원동작레버(100A)는 하강되어 상기 제1인터록바(300)를 하강시키게 된다.
이때, 제1인터록바(300)의 타단부에 연결된 간섭핀(520) 역시 하강을 하게 된다.
이때, 간섭핀(520)은 수평면(532)을 간섭하여 회동부재(530)를 정방향으로 회동시키면서 장공(511)의 하단부로 이동을 하게 된다.
이때, 회동부재(530)는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무런 간섭 없이 회전을 하게 되며 회동부재(530)의 일측에 설치된 스프링(S)은 늘어나게 된다.
이후,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섭핀(520)은 장공(511)의 하단부에 위치되고, 스프링(S)의 복원력에 의해 회동부재(530)는 원위치 된다.
이를 통해 알 수 있듯이, 전원이 ON되는 측의 연동부(500)는 회동부재(530)가 회동하더라도 트리거 부재(540)와는 무관하게 작용됨을 알 수 있다.
즉, 트립레버(200)를 연동시키는 트리거부재(540)는 간섭핀(520)의 상승작용에 의해서만 회동되며, 간섭핀(520)의 하강에 의해서는 작용되지 않는 것이다.
이와 같은 작용에 의해, 상용전원절환장치(10) 전원을 ON시키기 위한 제1인터록바(300)의 상승작용은 간섭핀(520)으로 하여금 트리거부재(540)를 회동시킬 수 있어 상기 트리거부재(540)로 하여금 예비전원절환장치(20)의 트립레버(200)를 회동시킬 수 있으므로, 예비전원절환장치(20)의 전원공급을 OFF시킬 수 있으며, 상용전원절환장치(10)가 OFF되는 과정에서의 제1인터록바(300) 하강작용은 간섭핀(520)과 트리거부재(540)를 연동시키지 않으므로, 예비전원절환장치(20)의 전원공급은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전원절환장치의 인터록장치는 인터록바(300,400)와 연동부(500)의 연동작용을 통해 범용 자동전원절환장치의 상용전원과 예비전원이 자동으로 절환될 수 있도록 한 기술적 특징이 있다.
즉, 일측의 전원이 ON되는 순간 타측의 전원은 자동으로 OFF되도록 하여 무정전 절환이 심플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에 따라, 기존의 범용 자동전원절환장치에 쉽고 간편하게 적용될 수 있어, 신규제작에 대한 부담을 줄여 경제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은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 : 상용전원절환장치 20 : 예비전원절환장치
100 : 전원동작레버 200 : 트립레버
300 : 제1인터록바 310 : 제1결합홈
400 : 제2인터록바 410 : 제2결합홈
500 : 연동부 510 : 브라켓
511 : 장공 520 : 간섭핀
530 : 회동부재 531 : 경사면
532 : 수평면 533 : 돌출편
540 : 트리거부재 541 : 고정돌기

Claims (5)

  1. 전원을 ON시키는 전원부와, 전원부의 ON전원을 OFF시키는 해제부가 각각 설치된 상용전원절환장치 및 예비전원절환장치가 서로 자동절환될 수 있도록 일측과 타측에 마련되고,
    전원부의 ON/OFF동작시 일측과 타측으로 왕복 이동되며, 전원부에 연결되되 각 전원절환장치의 외측을 향해 돌출된 전원동작레버;
    회동운동을 통해 각 전원절환장치의 해제부 동작을 연동시키며, 각 전원절환장치의 외측에 축 결합된 트립레버;
    일단부는 상용전원절환장치의 전원동작레버에 걸려 결합되고, 타단부는 예비 전원절환장치의 트립레버측으로 연장된 제1인터록바;
    일단부는 예비전원절환장치의 전원동작레버에 걸려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용 전원절환장치의 트립레버측으로 연장된 제2인터록바;
    상기 제1인터록바의 타단부와 예비전원절환장치의 트립레버 사이 및 제2인터록바의 타단부와 상용전원절환장치의 트립레버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제1인터록바 또는 제2인터록바의 일방향 이동시에만 상기 제1인터록바 또는 제2인터록바의 타단부에 연동되어 밀리면서 상기 각각의 트립레버를 회동시켜 각 트립레버가 설치된 전원절환장치의 전원을 OFF시키도록 한 연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동부는,
    장공(長空)이 형성된 브라켓;
    연동부가 상기 제1인터록바의 타단부와 예비전원절환장치의 트립레버 사이에 설치된 경우 상기 브라켓의 장공을 통해 제1인터록바의 타단부에 연결되며, 제1인터록바의 왕복 이동에 의해 상기 장공을 따라 이동되고, 연동부가 제2인터록바의 타단부와 상용전원절환장치의 트립레버 사이에 설치된 경우 상기 브라켓의 장공을 통해 제2인터록바의 타단부에 연결되며, 제2인터록바의 왕복 이동에 의해 상기 장공을 따라 이동되는 간섭핀;
    상기 브라켓상에 축 결합되며, 간섭핀의 이동에 의해 간섭되는 경사면 및 수평면이 형성되어 간섭핀의 이동방향에 따라 정,역 방향으로 회동되는 회동부재;
    상기 회동부재와 트립레버 사이에서 상기 브라켓상에 축 결합되며, 상기 회동부재의 일방향 회전에 의해서만 간섭되어 회동되면서 트립레버를 밀어 회전시키는 트리거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절환장치의 인터록 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 부재에는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회동부재에는 상기 고정돌기의 일측에 대향된 돌출편이 형성되어,
    상기 회동부재의 일방향 회동에 의해서만 상기 돌출편이 고정돌기를 간섭하여 트리거 부재가 트립레버측으로 회동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절환장치의 인터록 장치.
  4.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재와 브라켓 사이 및 트리거 부재와 브라켓 사이에는 회동부재 및 트리거 부재를 원위치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절환장치의 인터록 장치.
  5.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상용전원절환장치와 예비전원절환장치는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고,
    제1인터록바 및 제2인터록바는 전원동작레버의 승강에 의해 승강되면서 트립레버를 전방으로 밀어 연동시키면서 상용전원절환장치와 예비전원절환장치의 무정전 절환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절환장치의 인터록 장치.
KR1020170093671A 2017-07-24 2017-07-24 전원절환장치의 인터록 장치 KR1019161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3671A KR101916166B1 (ko) 2017-07-24 2017-07-24 전원절환장치의 인터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3671A KR101916166B1 (ko) 2017-07-24 2017-07-24 전원절환장치의 인터록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6166B1 true KR101916166B1 (ko) 2018-11-08

Family

ID=643299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3671A KR101916166B1 (ko) 2017-07-24 2017-07-24 전원절환장치의 인터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616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50073A (zh) * 2019-03-26 2019-06-28 江苏天翔电气有限公司 一种柜体上的上下侧门的联锁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3681B1 (ko) 2010-06-15 2011-10-14 오성기전주식회사 바이패스 전원절체장치의 인터록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3681B1 (ko) 2010-06-15 2011-10-14 오성기전주식회사 바이패스 전원절체장치의 인터록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50073A (zh) * 2019-03-26 2019-06-28 江苏天翔电气有限公司 一种柜体上的上下侧门的联锁装置
CN109950073B (zh) * 2019-03-26 2024-03-19 江苏天翔电气有限公司 一种柜体上的上下侧门的联锁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89496B2 (ja) 三つの状態に敏速に切替可能な双方向型電力スイッチング装置
KR100840384B1 (ko) 자동절환스위치
CN204332711U (zh) 自动/手动开关转换电器
US9906012B2 (en) Electrical circuit protection device for leakage current protection
KR101916166B1 (ko) 전원절환장치의 인터록 장치
US10811209B2 (en) Switching mechanism of circuit breaker
KR20090084111A (ko) 자동전환 스위치
KR100804506B1 (ko) 바이패스회로를 구비한 일체형 고압 폐쇄 수,배전반
KR100844202B1 (ko) 병렬 구조의 전원 절환 장치
KR20070032213A (ko) 비상전원 절체개폐기
KR20160136057A (ko) 전원절환개폐기의 작동레버 구조
CN104538215A (zh) 自动/手动开关转换电器
CN104616916A (zh) 可实现三种状态的开关电器的操作机构
CN204332749U (zh) 开关电器触头机构的双片式动触头组
KR101669905B1 (ko) 링 메인 유닛의 퓨즈 스트라이커 링크 자동 복귀 구조
CN104576092A (zh) 可实现三种状态的开关电器的触头机构
CN101562082B (zh) 断路器互锁系统及方法
KR101879581B1 (ko) 무정전 절환 절체 스위치
KR20190042443A (ko) 보호 모듈용 전기 전력 공급 차단기 및 이러한 차단기를 포함하는 보호 모듈
CN210403545U (zh) 一种pc级双电源切换装置的常用电源转换机构
KR101158639B1 (ko) 차단기의 개폐기구
CN104576099A (zh) 一种开关电器的手动操作机构
CN204332710U (zh) 可实现三种状态的开关电器的操作机构
CN110033963B (zh) 一种切换结构及转换开关电器
US20240153720A1 (en) Transfer apparatus for dual-power transfer swit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