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9618A - 선복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위궤양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선복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위궤양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9618A
KR20160089618A KR1020150009028A KR20150009028A KR20160089618A KR 20160089618 A KR20160089618 A KR 20160089618A KR 1020150009028 A KR1020150009028 A KR 1020150009028A KR 20150009028 A KR20150009028 A KR 20150009028A KR 20160089618 A KR20160089618 A KR 201600896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omposition
gastric ulcer
present
gast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90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56149B1 (ko
Inventor
권오란
옥향목
Original Assignee
(주)뉴메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뉴메드 filed Critical (주)뉴메드
Priority to KR10201500090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6149B1/ko
Publication of KR201600896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96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61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61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23L1/3002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04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ulcers, gastritis or reflux esophagitis, e.g. antacids, inhibitors of acid secretion, mucosal protecta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digestive trac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icro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복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위궤양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천연물로서 부작용이 적으며, 위내벽에 대해 탁월한 보호 효과를 가진다. 따라서 효과적으로 위궤양을 예방, 치료 또는 개선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선복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위궤양 치료용 조성물{A composition for treating gastric ulcer comprising the extract of Innula britannica}
본 발명은 선복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위궤양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위궤양은 위장 점막이 음주, 흡연, 스트레스, 약제, 헬리코박터균의 감염, 악성종양 등에 의해 손상되어 가장 표면에 있는 점막층보다 깊이 패이면서 점막근층 이상으로 손상이 진행된 상태를 의미한다.
위궤양은 대표적인 소화기계 질환이다.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정책연구원이 2009년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한 결과, 위궤양 진료환자가 138만명으로 조사되었다. 특히 남성 40대 이하 연령층, 여성 20대 연령층은 직장인이 비직장인보다 위궤양 진료를 많이 받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직장인의 생활습관 및 스트레스로 인한 것일 수 있다.
현재 위궤양 치료제로는 H2 수용체 억제제 계열의 약물, 및 양성자 펌프 억제제(proton pump inhibitor, PPI) 계열의 약물들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약물들은 위궤양 및 역류성 식도염을 유발하는 위산 분비를 억제하는, 공격인자 저해제이다. 그러나 공격인자 저해제들은 여러 가지 심각한 부작용을 일으키는 것으로 밝혀져 있다. 예를 들어 PPI는 위산 분비세포 증식, 분비선 낭종, 고가스트린혈증, 위저선 용종 등의 부작용을 일으킨다고 보고되어 있다(Jalving M, Koomrnstra JJ, et al., Alimentary Pharmacology and Therapeutics,, 2006; Raghunath AS, O'Morain C et al., Alimentary Pharmacology and Therapeutics,, 2006; Stolte M, Gastroenterology, 1993). 또한 PPI 장기 복용 시 위축성 위염과 위암의 발병에도 영향을 줄 수 있으며 5년간 PPI를 복용한 환자 중 3분의 1이상이 위축성 위염 소견을 보인다고 알려졌다(Kuipers EJ, Lundell L et al.,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1996)(송창석, 박동일, 대한내과학회지, 2011). PPI를 투여하면 pH, 장내 미생물 변화, 항염 작용 변화가 발생하여 구강으로 침투하는 세균들, 예를 들어 살모넬라(Salmonella), 캄필로박터 제주니(Campylobacter jejuni), E. 콜라이(Escherichia coli), 클로스트리디움 디피실(Clostridium difficile), 비브리오 콜레라(Vibrio cholerae), 리스테리아(Listeria)에 대한 감염 저항력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특히 Campylobacter에 대한 위험도를 11.7배 증가시킨다는 보고가 있다(C. Bavishi, H. L. DuPont, Alimentary Pharmacology and Therapeutics, 2011) 이에 따라 유럽 가이드라인에서는 PPI 장기사용이 필요할 때는 먼저 위궤양의 원인이 되는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 여부를 확인하고 필요시 제균요법을 시행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Chey WD, Wong BC, American Journal of Gastroenterology, 2007).
PPI의 사용 범위 역시 제한되어 있다. PPI는 십이지장궤양과 위궤양을 90% 이상 치료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으나, 알코올성 위염·위궤양과 NSAID의 위장관 부작용에는 효과가 없다. 또한 효과가 일시적이므로 투약을 중단하면 다시 위산이 분비되어 위궤양이 재발한다.
따라서 공격인자 저해제가 아닌, 점액 분비 촉진, 궤양병소 보호, 조직재생 촉진 등 방어인자를 증강시켜 주는 치료제를 개발할 필요성이 있다. 공격인자 저해제의 효과는 일시적이나, 방어인자 증강제는 위점막을 보호함으로써 위궤양을 치료하고 재발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선복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위궤양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선복화(Innula britannic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위궤양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선복화(Innula britannic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위궤양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선복화(旋覆花)는 국화과의 금불초(Innula britannica)의 꽃을 말린 것이다. 상기 금불초에는 금불초(Inula britannica var . japonica(Thunb.) Franch. & Sav), 가는금불초(Inula britannica var. linariifolia(Turcz.) Regel), 구아선복화(Inula britannica L.), 및 기타 Innula 계통의 식물들이 포함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추출 방법은 열수 추출, 침지 추출, 환류 추출 및 초음파 추출 등의 추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환류 추출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추출 횟수는 1 내지 5회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추출된 물질은 감압농축될 수 있는데, 감압농축은 진공감압농축기 또는 진공회전증발기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이러한 농축에 의해 액상 또는 분말 형태로 선복화 추출물을 추출한다. 선복화 추출물은 물, 탄소수 1~4의 알코올, 탄소수 1~4의 알코올 수용액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추출용매로 추출하여 얻어질 수 있으며, 이렇게 얻어진 추출물, 그 추출물의 반건조물 또는 건조 분말이 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추출용매는 에탄올 수용액을 사용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 40 ~ 90% 에탄올 수용액, 가장 바람직하게는 70% 에탄올 수용액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에탄올 수용액을 이용한 추출은 실온에서 1시간 내지 24시간, 바람직하게는 2시간 내지 7시간, 보다 바람직하게는 3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차광 및/또는 가온(예를 들어, 온침) 조건 하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상기 추출 용매의 양은 선복화 건조 중량의 2 내지 15 배로 한다. 본 발명의 선복화 추출물은 선복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총중량에 대하여 0.1 중량% 내지 95 중량%의 함량을 가진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은 위궤양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위궤양(gastric ulcer)은 위장 점막이 손상되어 가장 표면에 있는 점막층보다 깊이 패이면서 점막근층 이상으로 손상이 진행된 상태를 말한다. 위궤양의 원인에는 음주, 흡연, 스트레스, 약제, 헬리코박터균의 감염, 악성종양 등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은 현재 위궤양 치료제로서 널리 사용되는 양성자 펌프 억제제(PPI)로 치료되지 않는 알코올성 위궤양, 즉 음주 등 알코올에 의해 유발된 위궤양에도 효과가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이 적용될 수 있는 위궤양은 특정 원인으로 유발된 위궤양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있어서, 유효성분의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경우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선복화 추출물은 체중 1 kg 당 30 내지 100 mg/kg의 투여량으로 투여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체중 1 kg 당 80 내지 100 mg/kg의 투여량으로 투여할 수 있다. 상기 투여는 하루에 한번 또는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상기 선복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고,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제화될 수 있다.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 등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포함한다. 경구용 고형 제제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을 포함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경구용 액상 제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을 포함하며, 물, 리퀴드 파라핀 등의 희석제,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비경구용 제제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를 포함하며, 비수성 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류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정맥내, 동맥내, 복강내, 근육내, 동맥내, 복강내, 흉골내, 경피, 비측내, 흡입, 국소, 직장, 경구, 안구내 또는 피내 경로를 통해 통상적인 방식으로 투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경구로 투여할 수 있다. 그러나 투여 경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의 제형은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며, 담체와 함께 건조한 후 캡슐화하거나 기타 정제, 과립, 분말, 음료, 죽 등의 형태로 제형화할 수 있으며, 상기 기재한 것 외에도 모든 식품 형태로 제조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건강기능식품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건강기능식품"이라 함은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 제6727호에 따른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제조 및 가공한 식품을 의미하며, "기능성"이라 함은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 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을 목적으로 섭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통상의 식품 첨가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식품 첨가물"로서의 적합 여부는 다른 규정이 없는 한, 식품의약품안정청에 승인된 식품 첨가물 공전의 총칙 및 일반시험법 등에 따라 해당 품목에 관한 규격 및 기준에 의하여 판정한다.
상기 "식품 첨가물 공전"에 기재된 품목으로는 예를 들어, 케톤류, 글리신, 구연산칼륨, 니코틴산, 계피산 등의 화학적 합성물, 감색소, 감초추출물, 결정셀룰로오스, 고량색소, 구아검 등의 천연첨가물, L-글루타민산나트륨 제제, 면류첨가알칼리제, 보존료제제, 타르색소제제 등의 혼합제제류들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식품 및 음료 등에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으며, 예컨대,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기능성 보조 식품, 식품 첨가제 등에 사용될 수 있고, 분말, 과립, 정제, 캡슐, 환 또는 음료인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기재한 것 외에도 모든 식품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의 제형은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며, 담체와 함께 건조한 후 캡슐화하거나 기타 정제, 과립, 분말, 음료, 죽 등의 형태로 제형화할 수 있으며, 상기 기재한 것 외에도 모든 식품 형태로 제조 가능하다.
본 발명은 치료학적으로 유효한 양의 선복화 추출물을 치료가 필요한 대상체에게 투여하여 위궤양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치료가 필요한 대상체"는 인간을 위시한 포유동물을 의미하고, "투여"는 임의의 적절한 방법으로 환자에게 소정의 물질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치료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연구자, 수의사, 의사 또는 기타 임상의에 의해 생각되는 동물 또는 인간에서 생물학적 또는 의학적 반응을 유도하는 활성 성분 또는 약학적 조성물의 양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는 치료되는 질환 또는 장애의 증상 완화를 유도하는 양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유효 성분에 대한 치료상 유효 투여량 및 투여횟수는 원하는 효과에 따라 변화될 것임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본 발명은 위궤양 치료를 위한 약제학적 제제를 제조하는 데 상기 선복화 추출물을 사용하는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용도는 위내벽을 보호하여 위궤양 치료를 위한 약제학적 제제를 제조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천연물로서 부작용이 적으며, 위내벽에 대해 탁월한 보호 효과를 가진다. 따라서 효과적으로 위궤양을 예방, 치료 또는 개선시킬 수 있다.
도 1은 대조군, 양성대조군, 선복화 30 mg/kg 투여군, 및 선복화 100 mg/kg 투여군의 위내벽 출혈 정도를 보여주는 위 대만부 해부 사진이다.
도 2는 양성대조군, 선복화 30 mg/kg 투여군, 및 선복화 100 mg/kg 투여군의 위내벽 출혈 정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하기 실시예를 통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다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하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와 등가의 기술적 사상의 변형까지를 포함한다.
제조예 . 선복화 추출물의 제조
선복화는 약수당에서 구입하여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본초학교실의 검증을 받은 후 사용하였다. 상기 선복화 50.4 g에 70% 에탄올 500 mL를 첨가한 후 80 ℃에서 3시간 동안 환류 추출한 후 여과지에 여과하였다. 상기 추출액을 감압 농축한 후 동결건조하여 5.8 g의 선복화 추출물(수율 11.5%)을 얻었다.
실시예 1. 선복화 추출물의 위궤양 치료 효과 확인
1-1. 실험동물의 준비
체중 180-210 g 내외의 6주령의 스프라그-다울리계(sprague-dawly, 샘타코, 대한민국) 수컷 랫트를 구입하여 사료와 물을 충분히 공급하면서 실험환경에 적응하도록 하였다. 1주일 정도의 적응기간을 준 후, 하기의 실험을 수행하였다.
1-2. 선복화 추출물 또는 시메티딘의 투여
실험동물을 실험 전 24시간 동안 절식시키고, 2시간 전부터는 물 급여도 중지하였다. 실험동물을 4개 군으로 나누어 대조군에는 증류수를, 양성대조군에는 H2 수용체 억제제로서 위산분비를 억제하는 약물인 시메티딘(cimetidine) 100 mg/kg을 체중 100 g 당 1.0 ml의 부피로 경구로(p.o.) 투여하였다. 한 군에는 제조예에서 얻은 선복화 추출물을 체중 100 g 당 1.0 ml의 부피로 2차 증류수에 용해하여 30 mg/kg을 투여하였고, 다른 한 군에는 상기 선복화 추출물을 100 mg/kg을 투여하였다. 30분 후 각 군의 실험동물에 '60% 에탄올 + 150mM HCl'을 1.5 mL 경구투여하여 위염 및 위궤양을 유발하였다.
1-3. 위내벽 보호 효과의 확인
1-2의 '60% 에탄올 + 150mM HCl' 투여 1시간 후 각 군의 실험동물을 희생시키고 위를 적출하여 15분간 파라포름알데히드(paraformaldehyde)에 고정시킨 후 위의 대만부를 절개하여 내벽이 보이도록 사진을 촬영하였다 (도 1). 도 1에서 대조군의 위내벽 출혈 정도에 비하여 선복화 30 mg/kg 투여군에서 위내벽 출혈 정도가 감소되었고, 선복화 100 mg/kg 투여군에서는 시메티딘 투여군보다 더욱 출혈이 감소하여 출혈 소견이 거의 나타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이미지 분석프로그램인 ImageJ (NIH, USA)를 이용하여 위 내벽의 출혈부위의 면적을 측정하였고, 스튜던트 t-검정(Student's t-test)과 ANOVA 검정(ANOVA test)을 사용하여 결과의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내었고, 도 2의 그래프로 표현하였다. 표 1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양성 대조군에서 위내벽 출혈면적은 56.6 ± 17.0 ㎟ (n=7)로 나타나 대조군 103.3 ± 25.5 ㎟ (n=7)에 비하여 45.2 % (p < 0.01) 출혈면적이 작았다. 선복화 30 mg/kg 투여군에서 위내벽 출혈면적은 89.8±28.0 ㎟ (n=7)로 나타나 대조군보다 13.0 % (p < 0.01) 출혈면적이 작았다. 선복화 100 mg/kg 투여군에서 위내벽 출혈면적은 3.3±1.5 ㎟ (n=7)로 나타나 대조군보다 96.8 % (p < 0.01) 출혈면적이 작았다. 상기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선복화 추출물이 위내벽에 대한 보호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표 1]
Figure pat00001

Claims (6)

  1. 선복화(Innula britannic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위궤양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 선복화(Innula britannic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위궤양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선복화 추출물은 선복화를 물, C1∼C4 알콜, 및 C1∼C4 알콜 수용액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추출용매로 추출하여 얻어진 추출액, 상기 추출액의 반건조물 또는 건조 분말인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선복화 추출물은 선복화를 70~90 ℃의 온도에서 추출하여 얻어진 추출액, 상기 추출액의 반건조물 또는 건조 분말인 조성물.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위궤양은 알코올성 위궤양인 조성물.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체중 1 kg 당 30 내지 100 mg/kg의 투여량으로 투여되기 위한 조성물.
KR1020150009028A 2015-01-20 2015-01-20 선복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위궤양 치료용 조성물 KR1017561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9028A KR101756149B1 (ko) 2015-01-20 2015-01-20 선복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위궤양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9028A KR101756149B1 (ko) 2015-01-20 2015-01-20 선복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위궤양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9618A true KR20160089618A (ko) 2016-07-28
KR101756149B1 KR101756149B1 (ko) 2017-07-11

Family

ID=566815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9028A KR101756149B1 (ko) 2015-01-20 2015-01-20 선복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위궤양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614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9416B1 (ko) 2019-02-11 2020-12-11 코스맥스바이오 주식회사 금불초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및 체지방 감소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47082A (zh) * 2011-06-28 2013-01-02 张红旗 一种治疗消化性溃疡(阳虚寒凝)的中药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6149B1 (ko) 2017-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00416C2 (ru) Композиции для предотвращения или облегчения желудочно-кишечных заболеваний
CN102058593A (zh) 艾普拉唑钠的组合药物及其制备工艺
KR100878436B1 (ko) 금은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소화성 궤양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조성물
KR101756149B1 (ko) 선복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위궤양 치료용 조성물
KR101346066B1 (ko) 백합나무 수피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
CA2510786C (en) Antiulcer herbal composition(s)
KR20170090396A (ko) 호장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위염 및 위궤양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2020504144A (ja) 胃炎または消化性潰瘍予防または治療用組成物
WO2013141573A1 (ko) 수영 에탄올추출물을 포함하는 위장질환 개선용 조성물
KR101895969B1 (ko) 옥수수 속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KR101789392B1 (ko) 대황 및 감초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역류성 식도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0892180B1 (ko) 귤껍질 분말 또는 이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위장 질환 예방및 치료용 조성물
KR101689826B1 (ko) 감태 부탄올 분획물을 함유하는 역류성 식도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645887B1 (ko) 산약 및 적석지를 함유하는 소화성 궤양 치료용 조성물
KR101531922B1 (ko) 수영 에탄올추출물을 포함하는 위장질환 개선용 조성물
Madan et al. A Review on Euphorbiaceae plants for peptic ulcer
KR102666751B1 (ko) 벌사상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위염 및 위궤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02091070A (zh) 贝雷拉唑钠的组合药物及其制备工艺
KR102019974B1 (ko) 감초 및 노랑민들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코올성 위장관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663403B1 (ko) 인동등 추출물을 포함하는 제2형 당뇨병 치료용 조성물
KR20070065652A (ko) 위염 예방 및 치료에 유용한 목별자 추출물
JP2017171587A (ja) 逆流性食道炎治療薬
KR20210091080A (ko) 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20200127730A (ko) 어성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급성 위염 및 위점막 보호용 조성물
KR20230100822A (ko) 목서 추출물을 포함하는 골다공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