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8803A - 영상 재생 제어 프로그램, 영상 재생 제어 방법, 영상 배신 서버, 송신 프로그램 및 송신 방법 - Google Patents

영상 재생 제어 프로그램, 영상 재생 제어 방법, 영상 배신 서버, 송신 프로그램 및 송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8803A
KR20160088803A KR1020160002787A KR20160002787A KR20160088803A KR 20160088803 A KR20160088803 A KR 20160088803A KR 1020160002787 A KR1020160002787 A KR 1020160002787A KR 20160002787 A KR20160002787 A KR 20160002787A KR 20160088803 A KR20160088803 A KR 201600888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file
video data
divided
time length
f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27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42419B1 (ko
Inventor
아츠코 다다
류타 다나카
아키라 나카가와
아츠시 오구치
준이치 고이즈미
Original Assignee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888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88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24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24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8Scheduling content for creating a personalised stream, e.g. by combining a locally stored advertisement with an incoming stream; Updating operations, e.g. for OS modules ; time-related management ope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62Content or additional data distribution scheduling, e.g. sending additional data at off-peak times, updating software modules, calculating the carousel transmission frequency, delaying a video stream transmission, generating play-lists
    • H04N21/26208Content or additional data distribution scheduling, e.g. sending additional data at off-peak times, updating software modules, calculating the carousel transmission frequency, delaying a video stream transmission, generating play-lists the scheduling operation being performed under constraints
    • H04N21/26233Content or additional data distribution scheduling, e.g. sending additional data at off-peak times, updating software modules, calculating the carousel transmission frequency, delaying a video stream transmission, generating play-lists the scheduling operation being performed under constraints involving content or additional data duration or size, e.g. length of a movie, size of an executable fi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62Content or additional data distribution scheduling, e.g. sending additional data at off-peak times, updating software modules, calculating the carousel transmission frequency, delaying a video stream transmission, generating play-lists
    • H04N21/26258Content or additional data distribution scheduling, e.g. sending additional data at off-peak times, updating software modules, calculating the carousel transmission frequency, delaying a video stream transmission, generating play-lists for generating a list of items to be played back in a given order, e.g. playlist, or scheduling item distribution according to such li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04Monitoring of content usage, e.g.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copied or the amount which has been watch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4Content or additional data filtering, e.g. blocking advertisements
    • H04N21/4545Input to filtering algorithms, e.g. filtering a region of the image
    • H04N21/45457Input to filtering algorithms, e.g. filtering a region of the image applied to a time seg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 H04N21/845Structuring of content, e.g. decomposing content into time segments
    • H04N21/8456Structuring of content, e.g. decomposing content into time segments by decomposing the content in the time domain, e.g. in time seg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Abstract

[과제] 영상 배신에 있어서의 재생 시작까지의 기다리는 시간을 단축하는 것과, 배신 서버의 부하의 증대를 억제하는 것의 양립을 도모한다.
[해결수단] 영상 재생 제어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하여금, 영상 데이터 파일이 분할된 복수의 분할 영상 데이터 파일의 적어도 2개 이상을 상기 컴퓨터의 기억부로부터 판독하여 재생 시작 위치의 지정에 대응하는 상기 영상 데이터 파일 중 시작 위치에서부터 영상의 재생 처리를 실행하는 단말 장치에 대하여, 판독 시작에서부터 미리정해진 횟수 이내는, 상기 기억부에 기억된 제1 시간 길이에 대응하는 분할 영상 데이터 파일을 상기 단말 장치에 송신하고, 상기 미리정해진 횟수의 판독을 한 후에는, 상기 기억부에 기억된, 상기 제1 시간 길이보다 긴 제2 시간 길이에 대응하는 분할 영상 데이터 파일을 상기 단말 장치에 송신하는 처리를 실행시킨다.

Description

영상 재생 제어 프로그램, 영상 재생 제어 방법, 영상 배신 서버, 송신 프로그램 및 송신 방법{VIDEO PLAYBACK CONTROL PROGRAM, VIDEO PLAYBACK CONTROL METHOD, VIDEO DELIVERY SERVER, TRANSMISSION PROGRAM AND TRANSMISSION APPARATUS}
본 발명은, 영상 재생 제어 프로그램, 영상 재생 제어 방법, 영상 배신 서버, 송신 프로그램 및 송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 등의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영상을 배신(配信)하는 방법의 하나로서, 스트리밍 배신이 있다. 스트리밍 배신에서는, 1개의 영상 데이터 파일을 복수의 세그먼트 파일(분할 파일)로 분할하여, 영상 데이터를 재생하는 단말 장치(클라이언트)에 대하여 순차 배신한다. 클라이언트 측에서는, 수신한 분할 파일을 시계열로 순차 재생한다.
스트리밍 배신은, Real-Time Streaming Protocol(RTSP) 등의 전용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행하는 배신 방식과, Hypertext Transfer Protocol(HTTP)를 이용하여 행하는 배신 방식으로 크게 나뉜다.
HTTP를 이용한 스트리밍 배신은, 웹 서버만으로 영상 등을 배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HTTP를 이용한 스트리밍 배신에서는 캐쉬를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배신 서버(Web 서버)의 부하를 경감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최근 HTTP를 이용한 스트리밍 배신 서비스가 주목을 받아, 증가하고 있다.
HTTP를 이용한 스트리밍 배신의 규격에는, 예컨대, HTTP Live Stream(HLS; 예컨대 특허문헌 1 참조)나 MPEG-DynamicAdaptive Streaming over HTTP(MPEG-DASH) 등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개 2013-089977호 공보
상술한 스트리밍 배신에 있어서, 클라이언트는, 영상 데이터의 선두 또는 지정한 장면(scene)의 선두가 되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세그먼트 파일의 수신이 완료되고 나서 재생을 시작한다. 그 때문에, 클라이언트에게는, 사용자가 배신을 희망하는 영상 데이터나 장면을 선택한 후, 재생을 시작할 때까지 수초의 기다리는 시간이 존재한다.
영상 데이터를 복수의 세그먼트 파일로 분할할 때는, 예컨대, 영상 데이터의 선두에서부터 미리정해진 시간 길이마다 구획하여 분할하고 있다. HLS나 MPEG-DASH 등에서는, 예컨대, 시간 길이(재생 시간)가 10초 전후인 세그먼트 파일로 구획된다.
예컨대, 하나의 세그먼트 파일의 재생 시간이 10초이고, 세그먼트 파일의 전송 시간이 재생 레이트의 2배라고 하면, 세그먼트 파일의 수신에 5초가 걸린다. 그 때문에, 클라이언트에게 있어서의 기다리는 시간은 5초가 된다. 이 기다리는 시간을 단축하기 위해서는 각 세그먼트 파일의 시간 길이(재생 시간)를 짧게 하면 되지만, 반면, 세그먼트 파일의 수가 증대되어 클라이언트와 배신 서버 사이에서의 통신 횟수가 증가하기 때문에, 배신 서버의 부하가 커진다.
하나의 측면에서, 본 발명은, 영상 배신에 있어서의 재생 시작까지의 기다리는 시간을 단축하는 것과, 배신 서버의 부하의 증가를 억제하는 것의 양립을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인 영상 재생 제어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하여금, 영상 데이터 파일이 분할된 복수의 분할 영상 데이터 파일의 적어도 2개 이상을 상기 컴퓨터의 기억부로부터 판독하여 재생 시작 위치의 지정에 대응하는 상기 영상 데이터 파일 중 시작 위치에서부터 영상의 재생 처리를 실행하는 단말 장치에 대하여, 판독 시작에서부터 미리정해진 횟수 이내는, 상기 기억부에 기억된 제1 시간 길이에 대응하는 분할 영상 데이터 파일을 상기 단말 장치에 송신하고, 상기 미리정해진 횟수의 판독을 한 후에는, 상기 기억부에 기억된, 상기 제1 시간 길이보다 긴 제2 시간 길이에 대응하는 분할 영상 데이터 파일을 상기 단말 장치에 송신하는, 처리를 실행시킨다.
하나의 측면에 따르면, 영상 배신에 있어서의 재생 시작까지의 기다리는 시간을 단축하는 것과, 배신 서버의 부하의 증대를 억제하는 것의 양립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영상 배신 시스템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2a는 영상 데이터 파일의 제1 구성예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2b는 영상의 장면 정보 리스트의 일례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2c는 영상의 재생 정보 리스트의 일례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3a는 클라이언트에게 표시되는 영상 선택 화면의 일례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3b는 클라이언트에게 표시되는 장면 선택 화면의 일례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3c는 분할 파일의 배신 순서를 도시하는 시퀀스도이다.
도 4는 영상 데이터 파일의 제2 구성예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5a는 도 4에 도시한 영상 데이터 파일을 장면 1부터 배신하는 경우의 배신 방법을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5b는 도 4에 도시한 영상 데이터 파일의 장면 0만을 배신하는 경우의 배신 방법을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6은 영상 데이터 파일의 제3 구성예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7a는 도 6에 도시한 영상 데이터 파일을 장면 1부터 배신하는 경우의 배신 방법을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7b는 도 6에 도시한 영상 데이터 파일을 장면 2부터 배신하는 경우의 배신 방법을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7c는 도 6에 도시한 영상 데이터 파일을 장면 2부터 배신하는 경우의 다른 배신 방법을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7d는 도 6에 도시한 영상 데이터 파일을 임의의 위치에서부터 배신하는 경우의 배신 방법을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7e는 도 6에 도시한 영상 데이터 파일의 배신 방법의 응용예를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8은 분할 파일의 배신 순서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시퀀스도이다.
도 9는 배신 서버 및 클라이언트의 하드웨어 구성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영상 배신 시스템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11a는 영상 데이터 파일 작성 방법의 제1 예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1b는 도 11a의 분할 파일을 작성하는 처리의 내용을 도시하는 흐름도(그 첫번째)이다.
도 11c는 도 11a의 분할 파일을 작성하는 처리의 내용을 도시하는 흐름도(그 두번째)이다.
도 12a는 M=3인 경우의 분할 파일 작성 처리를 설명하는 모식도(그 첫번째)이다.
도 12b는 M=3인 경우의 분할 파일 작성 처리를 설명하는 모식도(그 두번째)이다.
도 13a는 영상 데이터 파일 작성 방법의 제2 예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3b는 도 13a의 배신용 영상 데이터 파일을 작성하는 처리의 내용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4는 배신용 영상 데이터 파일의 작성 처리의 구체예를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15는 영상 데이터 파일 작성 방법의 제2 예의 응용예를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16a은 영상 데이터 파일 작성 방법의 제3 예를 도시하는 흐름도(그 첫번째)이다.
도 16b는 영상 데이터 파일 작성 방법의 제3 예를 도시하는 흐름도(그 두번째)이다.
도 16c는 영상 데이터 파일 작성 방법의 제3 예를 도시하는 흐름도(그 세번째)이다.
도 17a는 도 16a~도 16c에 도시한 처리의 구체예를 설명하는 모식도(그 첫번째)이다.
도 17b는 도 16a~도 16c에 도시한 처리의 구체예를 설명하는 모식도(그 두번째)이다.
도 18은 영상 데이터 파일 작성 방법의 제4 예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19는 제4 예에 있어서의 재분할 파일의 시간 길이의 설정 방법을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20은 제4 예에 있어서의 분할 파일의 다른 재분할 방법을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21은 제4 예에 있어서의 분할 파일의 또 다른 재분할 방법을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22는 미리 준비된 분할 패턴을 이용한 재분할의 예를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23은 영상 데이터 파일 생성 장치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제1 실시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영상 배신 시스템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1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본 실시형태의 영상 배신 시스템(1)은 배신 서버(2)와 복수의 클라이언트(3)를 구비한다. 배신 서버(2)와 클라이언트(3)는 인터넷 등의 통신 네트워크(4)를 통해 통신 가능하게 접속된다.
배신 서버(2)는 기억부(20)와 제어부(21)를 구비한다. 기억부(20)에는, 배신용 영상 데이터 파일로서, 영상 데이터 파일이 분할된 복수의 분할 영상 데이터 파일, 이 영상 데이터 파일의 재생 정보 리스트, 장면 정보 리스트 등을 기억시켜 놓는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분할 영상 데이터 파일을 「분할 파일」 또는 「세그먼트 파일」이라고도 한다.
클라이언트(3)는, 통신 네트워크(4)를 통한 통신 및 영상의 재생, 표시가 가능한 단말 장치(영상 재생 장치)이다.
본 실시형태의 영상 배신 시스템(1)에 있어서의 배신 서버(2) 및 클라이언트(3)의 구성은, 기존의 스트리밍 배신에 따른 배신 서버 및 클라이언트의 구성 중 어느 것이면 된다.
한편, 본 실시형태의 영상 배신 시스템(1)에 있어서의 영상 데이터 파일은, 클라이언트(3)에게 있어서의 재생 시작까지의 기다리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분할되어 있다. 이하, 본 실시형태에서의 영상 데이터 파일의 구성예 및 배신 방법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2a는 영상 데이터 파일의 제1 구성예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2b는 영상의 장면 정보 리스트의 일례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2c는 영상의 재생 정보 리스트의 일례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배신 서버(2)가 유지하는 영상 데이터 파일(500)은, 예컨대, 도 2a의 위쪽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장면 0부터 장면 N-1까지의 N개의 장면으로 분할되어 있다.
또한, 영상 데이터 파일(500)의 각 장면은, 도 2a의 아래쪽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복수의 분할 파일 SF(n,m)로 분할되어 있다. 한편, 분할 파일 SF(n,m)에서, n은 장면 번호를 나타내고, m은 장면 내에서의 분할 파일의 식별 번호를 나타내고 있다.
영상 데이터 파일의 제1 구성예에서는, 장면의 선두 S0S, S1S에서부터 2개의 분할 파일 SF(n,0), SF(n,1)의 시간 길이(재생 시간)를 제1 시간 길이(S)로 하고 있다. 또한, 각 장면에 있어서의 시각 2S 이후의 부분은, 제1 시간 길이(S)의 2배인 제2 시간 길이(L)의 분할 파일로 분할하고 있다. 그리고, 장면의 최후의 분할 파일의 시간 길이(L')는 제2 시간 길이(L) 이하로 되어 있다.
이 영상 데이터 파일(500)에는, 예컨대, 장면 정보 리스트 및 재생 정보 리스트가 대응되어 있다. 장면 정보 리스트는, 도 2b에 도시하는 것과 같은 장면 번호와, 영상 내에서의 시작 시각을 포함하는 장면 정보의 일람이다. 재생 정보 리스트는, 도 2c에 도시하는 것과 같은 분할 파일의 파일명과 재생 시간을 포함하는 재생 정보의 일람이다.
도 3a는 클라이언트에게 표시되는 영상 선택 화면의 일례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3b는 클라이언트에게 표시되는 장면 선택 화면의 일례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3c는 분할 파일의 배신 순서를 도시하는 시퀀스도이다.
여기서는, 배신 서버(2)가 배신하는 영상의 일종으로서 야구 시합 영상을 예로 든다. 사용자의 미리정해진 조작에 따라서 클라이언트(3)가 배신 서버(2)에 액세스하면, 예컨대, 도 3a에 도시하는 것과 같은 영상 선택 화면(900)이 클라이언트(3)의 표시부(디스플레이)에 표시된다. 영상 선택 화면(900)에는 현재 배신 중인 영상의 섬네일(901~906)이 표시된다.
영상 선택 화면(900)이 표시된 상태에서 클라이언트(3)의 사용자가 마우스나 터치 패널 등의 입력 장치를 조작하여 영상을 선택하면, 예컨대, 도 3b에 도시하는 것과 같은 장면 선택 화면(910)이 클라이언트(3)의 표시부에 표시된다. 장면 선택 화면(910)에는, 선택한 영상(시합)에 관한 정보(911), 장면 선택부(912), 영상을 표시하는 플레이어 화면(913) 등이 표시된다. 장면 선택부(912)에는, 재생 시작 위치에 지정할 수 있는 재생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로서, 예컨대, 각 장면(이닝)의 선두 프레임의 섬네일(912a~912c, 912m, 912n) 등이 표시된다. 이 섬네일은, 장면 정보 리스트와 대응되어 있으며, 섬네일을 선택, 지정함으로써, 재생하는 장면(재생 시작 위치)이 지정된다. 한편, 영상 데이터(분할 파일)의 장면의 선두는, 이닝을 시작할 때에 한하지 않고, 투수가 투구 동작을 시작했을 때와 같이 공통되는 미리정해진 특징을 포함하는 재생 위치라도 좋다. 또한, 이닝을 시작할 때나 투수의 투구 동작의 시작 때와 같은, 영상 데이터의 장면의 선두는, 예컨대, 영상 데이터를 화상 해석한 결과 취득되는, 영상 데이터에 포함되는 화상의 특징에 기초하여 특정하여도 좋다.
장면 선택 화면(910)이 표시된 상태에서 클라이언트(3)의 사용자가 입력 장치를 조작하여 장면을 선택하면, 클라이언트(3)는, 선택한 장면의 분할 파일의 수신 및 재생을 시작한다.
사용자가 장면을 선택하면, 도 3c에 도시한 것과 같이, 클라이언트(3)의 통신 제어부(30)는, 배신 서버(2)에 선택된 장면의 최초의 분할 파일 SF(0,0)을 요구하는 요구 신호 R(0,0)를 송신한다. 요구 신호 R(0,0)를 수신한 배신 서버(2)는, 요구된 분할 파일 SF(0,0)을 클라이언트(3)에게 배신(전송)한다. 클라이언트(3)의 통신 제어부(30)는, 세그먼트 파일 SF(0,0)의 수신이 완료되면, 재생부(31)에 세그먼트 파일 SF(0,0)의 재생을 시작하게 한다.
또한, 클라이언트(3)의 통신 제어부(30)는, 분할 파일 SF(0,0)의 수신이 완료되면, 다음 분할 파일 SF(0,1)을 요구하는 요구 신호 R(0,1)를 송신한다. 그리고, 클라이언트(3)는, 분할 파일 SF(0,1)의 수신이 완료되고, 분할 파일 SF(0,0)의 재생이 종료되는 동시에 분할 파일 SF(0,1)의 재생을 시작하게 한다.
이후, 클라이언트(3)는, 분할 파일 SF의 수신이 완료될 때마다 다음 분할 파일 SF을 요구하는 요구 신호 R를 송신하여 분할 파일 SF의 수신을 계속하는 동시에, 수신한 분할 파일 SF의 재생을 계속한다.
이 때, 분할 파일의 전송 속도가 재생 레이트의 2배라면, 최초의 분할 파일 SF(0,0)의 전송이 완료될 때까지의 시간은 S/2초가 된다. 그 때문에, 사용자가 장면을 선택하고 나서 장면의 재생이 시작될 때까지의 기다리는 시간은 S/2+α초가 된다. 한편, α는 1초 미만의 매우 짧은 시간이기 때문에, 실질적인 기다리는 시간은 S/2초가 된다. 따라서, 제1 시간 길이(S)가 5초라면, 기다리는 시간은 2.5초가 된다.
또한, 최초의 분할 파일 SF(0,0)의 전송이 완료되고 나서 다음 분할 파일 SF(0,1)의 전송이 완료될 때까지의 시간도 2.5초이다. 한편, 최초의 세그먼트 SF(0,0)의 재생 시간은 5초이다. 즉, 분할 파일 SF(0,1)의 전송이 완료되고 나서 재생이 시작될 때까지의 시간은 약 2.5초이다. 따라서, 분할 파일 SF(0,1)의 전송이 완료되고 나서 분할 파일 SF(0,1)의 재생이 종료될 때까지의 시간은 약 7.5초가 된다.
분할 파일 SF(0,0), SF(0,1)의 전송이 완료된 후, 클라이언트(3)에게는, 제2 시간 길이(L)의 분할 파일 SF(0,2)이 전송된다. 제2 시간 길이(L)는, 상기한 것과 같이 제1 시간 길이(S)의 2배의 길이이다. 따라서, 제1 시간 길이(S)가 5초라면, 제2 시간 길이(L)는 10초가 된다. 그 때문에, 전송 속도가 재생 레이트의 2배라면, 분할 파일 SF(0,2)의 전송에 드는 시간은 5초가 된다. 따라서, 분할 파일 SF(0,2)의 전송이 완료된 시점에서는, 클라이언트(3)는 분할 파일 SF(0,1)을 재생 중이며, 분할 파일 SF(0,1)의 재생 종료와 동시에 분할 파일 SF(0,2)의 재생을 시작할 수 있다. 따라서, 분할 파일의 시간 길이가 길어지는 타이밍에 대기가 생기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도 2a에 도시한 영상 데이터를 배신하는 경우, 분할 파일의 전송(판독) 시작부터 2회는, 제2 시간 길이(L)보다 짧은 제1 시간 길이(S)의 분할 파일을 클라이언트(3)에 전송하여 재생시킨다. 그 때문에, 클라이언트(3)에게 있어서의 영상 데이터의 재생 시작까지의 기다리는 시간을 짧게 할 수 있다.
또한, 3회째 이후의 분할 파일은 제2 시간 길이(L)이기 때문에, 배신 서버(2)와 클라이언트(3)의 통신 횟수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다. 그 때문에, 클라이언트(3)와의 통신 횟수의 증대에 의한 배신 서버(2)의 부하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다.
도 4는 영상 데이터 파일의 제2 구성예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영상 데이터 파일(500)을 복수의 분할 파일로 분할할 때는, 예컨대, 도 4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영상 데이터의 선두에서부터 제2 시간 길이(L)로 등간격으로 분할하고, 장면의 선두의 프레임을 포함하는 구간을 제1 시간 길이(S)로 더욱 분할하여도 좋다.
한편, 이와 같이 장면의 전환 위치에 상관없이, 영상 데이터 파일(500)의 선두에서부터 제2 시간 길이(L)로 등간격으로 분할한 경우, 도 4의 아래쪽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장면 1의 선두의 프레임 S1S과 분할 파일의 단락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장면 1의 선두의 프레임 S1S을 포함하는 분할 파일은, 장면 0의 최후의 분할 파일 SF(0,7)이며, 다음 장면 1의 최초의 분할 파일 SF(1,0)이기도 하다. 이러한 영상 데이터 파일(500)을 배신할 때의 배신 방법에 관해서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5a는 도 4에 도시한 영상 데이터 파일을 장면 1부터 배신하는 경우의 배신 방법을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5b는 도 4에 도시한 영상 데이터 파일의 장면 0만을 배신하는 경우의 배신 방법을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영상 데이터 파일을 배신할 때는, 분할 파일 단위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그 때문에, 도 4에 도시한 영상 데이터 파일을 장면 1부터 배신하는 경우, 예컨대, 도 5a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장면 1의 선두의 프레임 S1S을 포함하는 분할 파일 SF(0,7)/SF(1,0)을 맨 처음에 전송한다. 그 때문에, 클라이언트(3)에게 전송된 영상 데이터 파일(501)은, 분할 파일 SF(0,7)/SF(1,0)의 선두에서부터 시작된다. 따라서, 영상 데이터 파일(501)의 재생 시작 직후에, 앞의 장면의 마지막이 표시되어 버린다.
또한, 도 4에 도시한 영상 데이터 파일의 장면 0만을 배신하는 경우, 도 5b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장면 1의 선두의 프레임 S1S을 포함하는 분할 파일 SF(0,7)/SF(1,0)을 마지막으로 전송한다. 이 경우도 클라이언트(3)에게 전송된 영상 데이터 파일(501)을 재생하면, 분할 파일 SF(0,7)/SF(1,0)의 마지막에 포함되는 다음 장면의 첫머리가 표시되어 버린다.
이러한 장면의 선두의 프레임에서 구획된 2개의 장면을 포함하는 분할 파일이 있는 경우, 예컨대, 장면 정보 리스트 및 재생 정보 리스트에 기초하여 장면의 선두의 위치를 특정하여, 영상 데이터 파일과 대응시키더라도 좋다. 이렇게 하면, 예컨대, 도 5a에 도시한 영상 데이터 파일(501)을 재생하는 경우, 분할 파일 SF(0,7)/SF(1,0)의 선두에서부터가 아니라, 장면 1의 시작 위치에서부터 재생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 5b에 도시한 영상 데이터 파일(501)을 재생하는 경우, 분할 파일 SF(0,7)/SF(1,0)의 마지막이 아니라, 장면 0의 마지막(장면 1의 직전)에서 재생을 종료할 수 있다.
도 6은 영상 데이터 파일의 제3 구성예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영상 데이터 파일은, 도 6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제1 영상 데이터 파일(502)과 제2 영상 데이터 파일(503)의 2개의 데이터 파일이라도 좋다. 제1 영상 데이터 파일(502)은, 영상 데이터 전체를 영상 데이터의 선두에서부터 제1 시간 길이(S)의 분할 파일 SSF(n,m)로 분할하여 작성한 데이터 파일이다. 제2 영상 데이터 파일(503)은, 영상 데이터 전체를 영상 데이터의 선두에서부터 제2 시간 길이(L)의 분할 파일 LSF(n,q)로 분할하여 작성한 데이터 파일이다. 한편, 제1 및 제2 영상 데이터 파일(502, 503)은 동일한 비트 레이트이며, 분할 파일의 시간 길이만이 다르다.
이와 같이 분할 파일의 시간 길이가 다른 2개의 데이터 파일을 준비하는 경우, 제1 시간 길이(S)는 제2 시간 길이(L)의 약수로 한다. 예컨대, 제2 시간 길이(L)를 9초로 하고, 제1 시간 길이(S)를 3초로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제2 영상 데이터 파일(503)에 있어서의 분할 파일 LSF의 시작 시각은, 제1 영상 데이터 파일(502)에 있어서의 분할 파일 SSF의 시작 시각 중 어느 것과 일치한다. 이러한 영상 데이터 파일을 배신할 때의 배신 방법에 관해서 도 6 및 도 7a~도 7e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7a는 도 6에 도시한 영상 데이터 파일을 장면 1부터 배신하는 경우의 배신 방법을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7b는 도 6에 도시한 영상 데이터 파일을 장면 2부터 배신하는 경우의 배신 방법을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7c는 도 6에 도시한 영상 데이터 파일을 장면 2부터 배신하는 경우의 다른 배신 방법을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7d는 도 6에 도시한 영상 데이터 파일을 임의의 위치에서 배신하는 경우의 배신 방법을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7e는 도 6에 도시한 영상 데이터 파일의 배신 방법의 응용예를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6에 도시한 제2 영상 데이터 파일(503)에 있어서의 1개의 분할 파일 LSF(n,q)은, 제1 영상 데이터 파일(502)에 있어서의 3개의 분할 파일 SSF(n,m)에 상당한다. 그 때문에, 클라이언트(3)에게 배신할 때는, 제1 영상 데이터 파일의 3개의 분할 파일 SSF(n,m) 및 제2 영상 데이터 파일의 1개의 분할 파일 LSF(n,q)을 선택적으로 배신할 수 있다. 따라서, 영상 데이터 파일을 선두(장면 0)부터 배신하는 경우, 우선, 제1 영상 데이터 파일(502)의 3개의 분할 파일 SSF(0,0)~SSF(0,2)을 클라이언트(3)에게 순차 전송한다. 이 때, 맨 처음에 전송하는 분할 파일 SSF(0,0)은 제1 시간 길이(S)(예컨대 3초)이다. 그 때문에, 재생 시작시의 기다리는 시간을 짧게 할 수 있다. 또한, 3개째의 분할 파일 SSF(0,2)의 종료 시각은, 제2 영상 데이터 파일(503)에 있어서의 최초의 분할 파일 LSF(0,0)의 종료 시각과 일치하고 있다. 그 때문에, 3개째의 분할 파일 SSF(0,2)의 전송이 종료된 후에는, 제2 영상 데이터 파일(503)에 있어서의 2개째의 분할 파일 LSF(0,1)부터 순차 클라이언트(3)에게 전송한다. 제2 영상 데이터 파일에 있어서의 분할 파일 LSF은, 제1 영상 데이터 파일에 있어서의 분할 파일 SSF의 3배의 시간 길이이다. 그 때문에, 클라이언트(3)와 배신 서버(2)의 통신 횟수의 증대에 의한 배신 서버(2)의 부하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한 제1 영상 데이터 파일에 있어서의 장면 1의 선두의 프레임 S1S의 위치는, 분할 파일 SSF의 단락 위치와 일치하고 있지 않다. 그 때문에, 장면 1부터 배신할 때에는, 도 7a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제1 영상 데이터 파일(502)에 있어서의 장면 1의 선두의 프레임 S1S을 포함하는 분할 파일 SSF(0,10)/SSF(1,0)부터 전송을 시작한다. 이 때, 제2 영상 데이터 파일(503)에 있어서의 장면 1의 선두의 프레임 S1S을 포함하는 분할 파일 LSF(0,3)/LSF(1,0)과 종료 시각이 일치하는 것은, 다음의 분할 파일 SSF(1,1)이다. 그 때문에, 분할 파일 SSF(0,10)/SSF(1,0)의 전송이 완료되면, 이어서, 분할 파일 SSF(1,1)을 전송한다. 그리고, 분할 파일 SSF(1,1)의 전송이 완료되면, 도 7a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제2 영상 데이터 파일(503)의 분할 파일 LSF(1,1)부터 순차 전송한다. 이에 따라, 클라이언트(3)에서 수신하는 영상 데이터 파일(601)은, 최초의 2개의 분할 파일의 전송 시간이 짧아져, 재생 시작시의 기다리는 시간을 짧게 할 수 있다. 또한, 수신한 영상 데이터 파일(601)은, 3개째 이후는 재생 시간이 긴 분할 파일이다. 그 때문에, 클라이언트(3)와 배신 서버(2)와의 통신 횟수의 증대에 의한 배신 서버(2)의 부하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한 제1 영상 데이터 파일(502)에 있어서의 장면 2의 선두의 프레임 S2S의 위치는, 분할 파일 SSF의 단락 위치와 일치하고 있지 않다. 그 때문에, 장면 1부터 배신할 때에는, 도 7b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제1 영상 데이터 파일에 있어서의 장면 2의 선두의 프레임 S2S을 포함하는 분할 파일 SSF(1,10)/SSF(2,0)부터 전송을 시작한다. 이 때, 제2 영상 데이터 파일(503)에 있어서의 장면 2의 선두의 프레임 S2S을 포함하는 분할 파일 LSF(1,3)/LSF(2,0)과 종료 시각이 일치하는 것은, 다음의 분할 파일 SSF(1,10)/SSF(2,0)이다. 그 때문에, 분할 파일 SSF(1,10)/SSF(2,0)의 전송이 완료되면, 도 7b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제2 영상 데이터 파일의 분할 파일 LSF(2,1)부터 순차 전송한다. 이에 따라, 재생 시작시의 기다리는 시간을 짧게 할 수 있는데다, 클라이언트(3)와 배신 서버(2)의 통신 횟수의 증대에 의한 배신 서버(2)의 부하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다.
한편, 도 7b에 도시한 것과 같이, 클라이언트(3)가 수신한 영상 데이터 파일(602)에 있어서의 제1 시간 길이(S)의 분할 파일 SSF이 1개인 경우, 그 파일의 재생 중에 다음 제2 시간 길이(L)의 분할 파일 LSF의 수신이 완료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그와 같은 사태를 막기 위해서, 예컨대, 도 7c에 도시하는 영상 데이터 파일(603)과 같이, 재생 시작시에는 제1 시간 길이(S)의 분할 파일 SSF을 2개 이상 전송하도록 하여도 좋다. 도 7c에 도시한 예에서는, 분할 파일 SSF(1,10)/SSF(2,0)의 전송이 완료된 후, 제2 영상 데이터 파일의 분할 파일 LSF(2,1) 대신에, 대응하는 3개의 분할 파일 SSF(2,1)~SSF(2,3)을 전송하고 있다. 이에 따라, 클라이언트(3)의 버퍼의 마진(분할 파일의 전송이 완료되고 나서 재생이 완료될 때까지의 시간)을 서서히 늘려갈 수 있어, 현재 재생 중인 분할 파일의 재생이 종료되기 전에 다음 분할 파일의 수신을 완료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장면의 선두의 프레임의 위치에 따라서 전송하는 제1 시간 길이(S)의 분할 파일의 수(M)를 바꾸는 경우, 분할 파일의 수(M)는, 예컨대, 하기의 식(1)을 만족하는 범위 내에서 설정한다.
(L/S)/2<M<(L/S)×2 ··· (1)
식(1)에서의 S, L은 각각 제1 시간 길이, 제2 시간 길이이다.
또한, 제1 영상 데이터 파일(502)과 제2 영상 데이터 파일(503)을 준비한 경우, 장면의 선두에 한하지 않고, 임의의 위치부터 재생하는 경우라도, 재생 시작시의 분할 파일을 제1 시간 길이(S)로 할 수 있다. 예컨대, 장면 0의 재생 중에, 사용자가 플레이어 화면(도 3b 참조)의 프로그레스 바를 조작하여, 재생 부위를 스킵시켰다고 하자. 이 때, 도 7d에 도시하는 영상 데이터 파일(604)과 같이, 새롭게 지정된 재생 시작 위치(RT)가 장면의 선두의 프레임 S2S 등과 일치하고 있지 않더라도, 제1 영상 데이터 파일의 분할 파일 SSF(1,3)부터 배신(전송)을 시작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재생 시작시의 기다리는 시간을 짧게 할 수 있는데다, 클라이언트(3)와 배신 서버(2)의 통신 횟수의 증대에 의한 배신 서버(2)의 부하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1 영상 데이터 파일과 제2 영상 데이터 파일을 준비한 경우, 영상의 재생 중에, 제1 시간 길이(S)의 분할 파일의 배신과, 제2 시간 길이(L)의 분할 파일의 배신을 적절하게 전환할 수도 있다. 도 7e에 도시하는 영상 데이터 파일(605)과 같이, 영상 데이터의 선두(장면 0)에서부터 배신을 시작하고, 제1 시간 길이(S)의 분할 파일 SSF(0,0)~SSF(0,2)의 전송이 완료된 후, 제2 시간 길이(L)의 분할 파일 LSF을 전송하고 있었던 경우를 예로 든다. 이 때, 시각 4L에서부터 5L까지의 사이, 즉 제2 시간 길이(L)의 분할 파일 LSF(1,1)의 전송 중에 어떠한 이유로 전송 속도가 저하했다고 하자. 이 경우, 전송 속도가 개선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한 배신 방법과 같이, 이어서 제2 시간 길이(L)의 분할 파일 LSF(1,2)을 전송하면, 지연에 의해 전송 대기 상태가 되어 의도치 않은 영상의 정지가 생길 우려가 있다. 그런데, 도 7e에 도시한 것과 같이, 분할 파일 LSF(1,2)과 대응하는 제1 시간 길이(S)의 분할 파일 SSF(1,5)~SSF(1,7)이 있으면, 이 분할 파일 SSF(1,5)~SSF(1,7)을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송 속도의 저하에 의한 전송 대기의 발생을 최대한 억제하여, 영상을 안정적으로 재생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것과 같이, 복수의 분할 파일로 분할한 영상 데이터 파일을 배신할 때, 배신 시작시에는 시간 길이(재생 시간)가 짧은 분할 파일을 전송함으로써, 재생 시작까지의 기다리는 시간을 짧게 할 수 있다. 또한, 시간 길이가 짧은 분할 파일을 미리정해진 횟수만큼 전송한 후, 시간 길이가 긴 분할 파일의 전송으로 전환함으로써, 클라이언트와 배신 서버 사이의 통신 횟수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재생 시작까지의 기다리는 시간을 단축하는 것과, 클라이언트와의 통신 횟수의 증대에 의한 배신 서버의 부하의 증대를 억제하는 것을 양립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1개의 영상 데이터 파일에 있어서의 장면의 선두와 같이 재생 시작 위치로서 지정할 수 있는 재생 위치 근방의 영상 부분을 시간 길이가 짧은 분할 파일로 분할함으로써, 재생 시작시에 시간 길이가 짧은 파일을 몇 개 전송할지를 제어하기가 용이하게 된다.
또한, 시간 길이가 짧은 분할 파일로 분할한 제1 영상 데이터 파일과, 시간 길이가 긴 분할 파일로 분할한 제2 영상 데이터 파일을 준비하면, 재생 시작 위치에 상관없이 재생 시작시에 시간 길이가 짧은 분할 파일을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제1 시간 길이(S)와 제2 시간 길이(L)의 조합이나, 재생 시작시에 전송하는 제1 시간 길이(S)의 분할 파일의 수는, 분할 파일의 전송 속도 및 재생 레이트 등에 따라서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도 8은 분할 파일의 배신 순서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시퀀스도이다.
예컨대, 재생 시간이 5초인 분할 파일의 전송 속도가 재생 레이트의 1.25배(5/4배)인 경우, 도 4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그 분할 파일의 전송이 완료될 때까지 4초 걸린다. 그 때문에, 1개의 분할 파일의 재생 중에 다음 분할 파일을 전송함으로써 확보할 수 있는 마진은 1초이다. 따라서, 제1 시간 길이(S)가 5초, 제2 시간 길이(L)가 10초인 경우, 제1 시간 길이(S)의 분할 파일을 5개 재생하면, 파일의 수신에 걸린 시간과 재생 종료까지의 시간과의 차의 절대치가 제2 시간 길이(L)의 분할 파일의 전송 시간을 웃돈다. 따라서 이 경우, 배신 시작시에 제1 시간 길이(S)의 분할 파일을 5개 전송하고, 6개째부터 제2 시간 길이(L)의 분할 파일을 전송함으로써, 재생 시작시의 기다리는 시간을 짧게 할 수 있고, 또한 전송 대기에 의한 의도치 않은 영상의 정지를 막을 수 있다.
상기한 영상 데이터 파일의 배신을 하는 배신 서버(2) 및 영상 데이터 파일의 재생을 하는 클라이언트(3)는 각각 컴퓨터와 미리정해진 프로그램에 의해 실현된다. 마지막으로, 배신 서버(2) 및 클라이언트(3)로서 이용하는 컴퓨터의 하드웨어 구성에 관해서 간단히 설명한다.
도 9는 배신 서버 및 클라이언트의 하드웨어 구성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9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배신 서버(2)로서 이용하는 컴퓨터(200)는, Central Processing Unit(CPU)(201), 주기억 장치(202), 보조 기억 장치(203), 입력 장치(204), 표시 장치(205), 통신 인터페이스(206) 및 기억 매체 구동 장치(207)를 구비한다. 이 컴퓨터(200)에 있어서의 상기한 하드웨어는 버스(210)로 서로 접속하고 있으며, 임의의 2점 사이에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CPU(201)는, 각종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컴퓨터(200) 전체의 동작을 제어하는 연산 처리 장치이다.
주기억 장치(202)는, Read Only Memory(ROM)나 Random Access Memory(RAM) 등의 반도체 메모리이다. ROM에는, 예컨대 컴퓨터(200)의 기동시에 CPU(201)가 판독하는 미리정해진 기본 제어 프로그램 등이 미리 기록되어 있다. 또한, RAM은, CPU(201)가 각종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에, 필요에 따라서 작업용 기억 영역으로서 사용한다.
보조 기억 장치(203)는 Hard Disk Drive(HDD) 등의 대용량의 기억 장치이다. 보조 기억 장치(203)에는, 배신용 영상 데이터 파일, CPU(201)에 의해서 실행되는 각종 프로그램 등의 각종 데이터를 기억한다. CPU(201)는, 보조 기억 장치(203)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실행하는 동시에, 필요에 따라서 보조 기억 장치(203)에 기억된 각종 데이터를 판독한다. 또한, CPU(201)는, 클라이언트(3)로부터의 요구에 따라서, 보조 기억 장치(203)에 기억된 배신용 영상 데이터 파일을 클라이언트(3)에게 전송한다.
입력 장치(204)는, 예컨대 키보드 장치나 마우스 장치이며, 컴퓨터(200)의 오퍼레이터(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면, 그 조작 내용에 대응되어 있는 입력 정보를 CPU(201)에 송신한다.
표시 장치(205)는, 예컨대 액정 디스플레이이며, CPU(201)로부터 송신되는 표시 데이터에 따라서 각종 텍스트, 화상을 표시한다.
통신 인터페이스(206)는, 컴퓨터(200)와 인터넷 등의 통신 네트워크를 통신 가능하게 접속하여, 클라이언트(3) 등과의 통신을 한다.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206)는, 예컨대 상술한 영상 데이터 파일을 작성하는 다른 컴퓨터 등과의 통신도 한다.
기억 매체 구동 장치(207)는, 도시하지 않는 휴대형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프로그램이나 데이터의 판독, 보조 기억 장치(203)에서 유지하는 데이터 등의 휴대형 기록 매체에의 기록을 한다. 휴대형 기록 매체로서는, 예컨대, Universal SerialBus(USB) 규격의 커넥터가 구비되어 있는 플래시 메모리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휴대형 기록 매체로서는,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CD-ROM), Digital Versatile Disc Read Only Memory(DVD-ROM) 등도 이용할 수 있다.
이 컴퓨터(200)는, CPU(201), 주기억 장치(202), 보조 기억 장치(203) 등이 영상 배신용의 프로그램에 따라서 협동하여, 상기와 같은 영상 데이터 파일의 배신을 한다.
한편, 클라이언트(3)로서 이용하는 컴퓨터(300)는, CPU(301), 주기억 장치(302), 보조 기억 장치(303), 영상 처리 장치(304), 입력 장치(305), 표시 장치(306), 통신 인터페이스(307) 및 기억 매체 구동 장치(308)를 구비한다. 이 컴퓨터(300)에 있어서의 상기한 하드웨어는 버스(310)로 서로 접속하고 있으며, 임의의 2점 사이에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CPU(301)는, 각종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컴퓨터(300) 전체의 동작을 제어하는 연산 처리 장치이다.
주기억 장치(302)는 ROM이나 RAM 등의 반도체 메모리이다. ROM에는, 예컨대 컴퓨터(300)의 기동시에 CPU(301)가 판독하는 미리정해진 기본 제어 프로그램 등이 미리 기록되어 있다. 또한, RAM은, CPU(301)가 각종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에, 필요에 따라서 작업용 기억 영역으로서 사용한다.
보조 기억 장치(303)는, Hard Disk Drive(HDD)나 Solid State Drive(SSD) 등의 대용량의 기억 장치이다. 보조 기억 장치(303)에는, CPU(301)에 의해서 실행되는 각종 프로그램이나 각종 데이터를 기억한다. CPU(301)는, 보조 기억 장치(303)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실행하는 동시에, 필요에 따라서 보조 기억 장치(303)에 기억된 각종 데이터를 판독한다.
영상 처리 장치(304)는, Moving Picture Experts Group(MPEG) 형식 등의 영상 데이터의 재생 등을 하는 장치이다.
입력 장치(305)는 예컨대 키보드 장치나 마우스 장치이며, 컴퓨터(300)의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면, 그 조작 내용에 대응되어 있는 입력 정보를 CPU(301)에 송신한다.
표시 장치(306)는 예컨대 액정 디스플레이이며, CPU(301)나 영상 처리 장치(304)로부터 송신되는 표시 데이터에 따라서 각종 텍스트, 영상을 표시한다.
통신 인터페이스(307)는, 컴퓨터(300)와 인터넷 등의 통신 네트워크를 통신 가능하게 접속하여, 배신 서버(2) 등과 통신을 한다.
기억 매체 구동 장치(308)는, 도시하지 않는 휴대형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프로그램이나 데이터의 판독, 보조 기억 장치(303)에서 유지하는 데이터 등의 휴대형 기록 매체에의 기록을 한다. 휴대형 기록 매체로서는, 예컨대, USB 규격의 커넥터가 구비되어 있는 플래시 메모리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휴대형 기록 매체로서는 CD-ROM, DVD-ROM 등도 이용할 수 있다.
이 컴퓨터(300)는, CPU(301), 주기억 장치(302), 보조 기억 장치(303), 영상 처리 장치(304) 등이 영상 배신용의 프로그램에 따라서 협동하여, 상기와 같은 영상 데이터 파일의 취득 및 재생 처리를 한다.
[제2 실시형태]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영상 배신 시스템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10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본 실시형태의 영상 배신 시스템(10)은, 배신 서버(2)와, 클라이언트(3)와, 영상 데이터 파일 생성 장치(5)를 구비한다. 배신 서버(2)와 클라이언트(3)는, 인터넷 등의 통신 네트워크(4)를 통해 통신 가능하게 접속된다. 배신 서버(2) 및 클라이언트(3)의 구성은, 제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대로, 기존의 스트리밍 배신에 따른 배신 서버 및 클라이언트의 구성 중 어느 것이면 된다.
영상 데이터 파일 생성 장치(5)는, 카메라(6)로 촬영한 영상(동화상)과, 그 영상에 있어서의 장면 정보를 이용하여, 제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영상 데이터 파일을 생성한다. 이 영상 데이터 파일 생성 장치(5)는, 제어부(50), 영상 데이터를 기억시키는 제1 기억부(51), 장면 정보를 기억시키는 제2 기억부(52) 및 영상 데이터 파일 생성부(53)를 갖는다.
제어부(51)는, 카메라(6)로 촬영한 영상이나 장면 정보의 취득, 생성한 영상 데이터 파일을 배신 서버(2)에 등록하는 처리 등을 한다.
영상 데이터 파일 생성부(53)는, 이하에 설명하는 것과 같은 방법으로 배신용의 영상 데이터 파일을 생성한다.
도 11a는 영상 데이터 파일 작성 방법의 제1 예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1b는 도 11a의 분할 파일을 작성하는 처리의 내용을 도시하는 흐름도(그 첫번째)이다. 도 11c는 도 11a의 분할 파일을 작성하는 처리의 내용을 도시하는 흐름도(그 두번째)이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영상 데이터 파일 작성 방법의 제1 예는, 도 2a에 도시한 영상 데이터 파일과 같이, 장면마다 장면의 선두에서부터 미리정해진 시간 길이의 분할 파일로 구획된 영상 데이터 파일을 작성하는 방법이다. 이 작성 방법에서는, 도 11a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우선, 장면을 식별하는 변수 n을 초기화한다(단계 S1).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2a 등에 도시한 것과 같이, 영상 데이터 파일에 있어서의 최초의 장면을 장면 0으로 한다. 그 때문에, 단계 S1에서는 변수 n을 0으로 한다.
이어서, 분할 대상의 영상 데이터의 장면 정보로부터 장면수 N을 취득한다(단계 S2).
이어서, 변수 n과 장면수 N을 비교한다(단계 S3). 본 실시형태에서는, 최초의 장면이 장면 0이기 때문에, 영상 데이터는 장면 0부터 장면 N-1까지의 N개의 장면으로 분할된다. 따라서, n<N인 경우(단계 S3; 예), 장면 n의 영상 부분의 분할 파일을 작성하는 처리를 한다(단계 S4).
단계 S4의 처리가 종료되면, 이어서, 재생 리스트의 작성 또는 갱신을 한다(단계 S5). 그 후, 변수 n을 1만큼 인크리멘트하고(단계 S6), 단계 S3으로 되돌아가, 이후, 모든 장면에 대한 단계 S4의 처리가 종료될 때까지 단계 S4~S6의 처리를 반복한다.
그리고, 모든 장면에 대한 단계 S4의 처리가 종료되고, n=N이 되면(단계 S3; 아니오), 작성한 영상 데이터 파일, 재생 정보 리스트 및 장면 정보 리스트를 대응시킨다(단계 S7). 이에 따라, 1개의 영상 데이터에 대한 영상 데이터 파일의 작성 처리가 종료된다.
이어서, 도 11b 및 도 11c을 참조하면서 단계 S4의 처리를 설명한다.
장면 n의 영상 부분의 분할 파일을 작성하는 단계 S4에서는, 도 11b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우선, 장면 n의 영상 데이터를 읽어들인다(단계 S401).
이어서, 장면 n의 시작 시각 SSTn 및 종료 시각 SETn을 취득하고(단계 S402), 장면 n의 분할 파일화되어 있지 않은 부분의 재생 시간(size)을 산출한다(단계 S403). 단계 S404 이후의 처리를 하고 있지 않은 단계에서는, 아직 분할 파일화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재생 시간(size)은, 종료 시각 SETn과 시작 시각 SSTn과의 차가 된다.
이어서, 제1 시간 길이(S), 제2 시간 길이(L) 및 제1 시간 길이로 하는 분할 파일의 수(M)를 설정한다(단계 S404).
이어서, 장면 n 내의 파일을 식별하는 변수 m을 초기화하는(m=0) 동시에, 영상 데이터 내의 시각을 나타내는 변수 t를 장면 n의 시작 시각 SSTn으로 설정한다(단계 S405).
이어서, 변수 m과 제1 시간 길이(S)의 분할 파일의 수(M)를 비교한다(단계 S406). m<M인 경우(단계 S406; 예), 제1 시간 길이(S)의 분할 파일을 생성하는 처리를 한다. 한편, 제1 시간 길이(S)의 분할 파일을 생성하기 위해서는, 분할 파일화되어 있지 않은 부분의 재생 시간(size)이 제1 시간 길이(S)보다 길게 되어서는 안 된다. 그 때문에, m<M인 경우, 이어서, 제1 시간 길이(S)와 분할 파일화되어 있지 않은 부분의 재생 시간(size)을 비교한다(단계 S407). S>size인 경우(단계 S407; 아니오), 제1 시간 길이(S)의 분할 파일을 작성할 수 없다. 그 때문에, 도 11c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변수 t를 시작 시각, SETn을 종료 시각으로 하는 분할 파일 SF(n,m)을 작성하고(단계 S413), 분할 파일을 작성하는 처리를 종료한다(리턴).
한편, S≤size인 경우(단계 S407; 예), 이어서, 영상 데이터로부터, 변수 t를 시작 시각으로 한 제1 시간 길이(S)의 분할 파일 SF(n,m)을 생성한다(단계 S408). 그 후, 변수 t, 분할 파일화하지 않은 부분의 재생 시간(size) 및 변수 m을 갱신하고(단계 S409), 단계 S406으로 되돌아간다. 단계 S409는, 제1 시간 길이(S)의 분할 파일을 작성한 경우에 행해진다. 그 때문에, 단계 S409에서는, 분할 파일의 시작 시각이 되는 변수 t를 t+S로 하고, 분할화하지 않는 부분의 재생 시간(size)을 size-S로 한다. 또한, 파일을 식별하는 변수 m을 1만큼 인크리멘트한다.
단계 S406~S409를 반복하여, M개의 제1 시간 길이(S)의 분할 파일 SF(n,m)을 작성하면(단계 S406; 아니오), 이어서, 도 11c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제2 시간 길이(L)와 분할 파일화되어 있지 않은 부분의 재생 시간(size)을 비교한다(단계 S410). L>size인 경우(단계 S410; 아니오), 제2 시간 길이(L)의 분할 파일을 작성할 수 없다. 그 때문에, 변수 t를 시작 시각, SETn을 종료 시각으로 하는 분할 파일 SF(n,m)을 작성하고(단계 S413), 분할 파일을 작성하는 처리를 종료한다(리턴).
한편, L≤size인 경우(단계 S410; 예), 이어서, 영상 데이터로부터, 변수 t를 시작 시각으로 한 제2 시간 길이(L)의 분할 파일 SF(n,m)을 작성한다(단계 S411). 그 후, 변수 t, 분할 파일화하지 않은 부분의 재생 시간(size) 및 변수 m을 갱신하고(단계 S412), 단계 S410으로 되돌아간다. 단계 S411은, 제2 시간 길이(L)의 분할 파일을 작성한 경우에 행해진다. 그 때문에, 단계 S412에서는, 분할 파일의 시작 시각이 되는 변수 t를 t+L로 하고, 분할화하지 않는 부분의 재생 시간(size)을 size-L로 한다. 또한, 파일을 식별하는 변수 m을 1만큼 인크리멘트한다.
힌편, 단계 S401~S405는, 도 11b에 도시한 순서에 한하지 않고, 그 처리에 모순이 생기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하게 바꿀 수 있다.
도 11b 및 도 11c에 도시한 처리에 의한 파일 분할의 방법의 한 구체예에 관해서 도 12a 및 도 12c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2a는 M=3인 경우의 분할 파일 작성 처리를 설명하는 모식도(그 첫번째)이다. 도 12b는 M=3인 경우의 분할 파일 작성 처리를 설명하는 모식도(그 두번째)이다.
장면 n의 영상 부분을 분할 파일화하는 경우에는, 우선, 도 12a의 (a)에 도시하는 영상 데이터 파일(504)과 같이, 장면 n의 시작 시각 SSTn 및 종료 시각 SETn을 취득하여, 분할 파일화하지 않은 부분의 재생 시간(size)을 산출한다(단계 S401~S403).
여기서, 재생 시간 size(=SETn-SSTn)이 제2 시간 길이(L)보다도 충분히 길다고(size~4L) 하면, 도 12a의 (b)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장면 n의 선두에 제1 시간 길이(S)의 분할 파일 SF(n,0)을 작성한다(단계 S408).
그 후, 단계 S406~S409의 처리를 반복한다. M=3, 즉 제1 시간 길이(S)의 파일의 수가 3인 경우, 단계 S406~S409의 처리는 3회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도 12a의 (c)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장면 n의 선두 부분에, 제1 시간 길이(S)의 분할 파일이 3개 작성된다. 이 때, 3회째의 단계 S409의 처리에 의해, 이어서 작성하는 분할 파일의 시작 시각은 t3(=t+3S)이 되고, 분할 파일화하지 않은 영상 부분의 재생 시간은 size3(=size-3S)이 된다.
3개의 제1 시간 길이(S)의 분할 파일을 작성한 후에는(단계 S406; 아니오), 도 12b의 (d)에 도시하는 영상 데이터 파일(504)과 같이, 이번에는 제2 시간 길이(L)의 분할 파일 SF(n,3)을 작성한다(단계 S411).
그리고, 단계 S410~S412를 반복하여, 도 12b의 (e)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분할 파일화하지 않은 영상 부분의 재생 시간(size)이 제2 시간 길이(L)보다 작아지면, 장면 n의 최후의 분할 파일 SF(n,5)을 작성한다(단계 S413).
도 13a는 영상 데이터 파일 작성 방법의 제2 예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3b는 도 13a의 배신용 영상 데이터 파일을 작성하는 처리의 내용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영상 데이터 파일 작성 방법의 제2 예는, 도 4에 도시한 것과 같은 영상 데이터의 선두에서부터 제2 시간 길이(L)로 등간격으로 분할되고, 또한, 장면의 선두의 프레임을 포함하는 구간이 제1 시간 길이(S)로 분할된 영상 데이터 파일을 작성하는 방법이다. 이 작성 방법에서는, 도 13a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우선, 제1 시간 길이(S) 및 제2 시간 길이(L)을 설정한다(단계 S11). 단계 S11에서는, 예컨대, 제1 시간 길이(S)를 3초, 제2 시간 길이(L)를 9초라고 하는 것과 같이, 제2 시간 길이(L)가 제1 시간 길이(S)의 정수배가 되도록 설정한다.
이어서, 분할 대상의 영상 데이터 및 장면 정보를 취득한다(단계 S12).
이어서, 영상 데이터를 제1 파일 길이(S)로 분할한 제1 영상 데이터 파일을 작성하는(단계 S13) 동시에, 제2 파일 길이(L)로 분할한 제2 영상 데이터 파일을 작성한다(단계 S14). 한편, 단계 S13에서는, 제1 영상 데이터 파일에 있어서의 각 분할 파일에, 0에서부터 시작되는 정수의 일렬 번호를 부여해 둔다. 마찬가지로, 단계 S14에서는, 제2 영상 데이터 파일에 있어서의 각 분할 파일에, 0에서부터 시작되는 정수의 일렬 번호를 부여해 둔다.
이어서, 제1 및 제2 영상 데이터 파일로부터 배신용 영상 데이터 파일을 작성한다(단계 S15).
그리고 마지막으로, 작성한 배신용 영상 데이터 파일, 재생 정보 리스트 및 장면 정보 리스트를 대응시킨다(단계 S17).
이어서, 도 13b를 참조하면서 단계 S15의 처리를 설명한다.
배신용 영상 데이터 파일을 작성하는 단계 S15에서는, 도 13b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우선, 변수 q를 초기화한다(단계 S1501).
이어서, 제2 영상 데이터 파일의 q번째의 분할 파일 LSFq에 장면의 선두가 있는지를 조사한다(단계 S1502). 장면의 선두가 없는 경우(단계 S1502; 아니오), 분할 파일 LSFq을 배신용 영상 데이터 파일의 분할 파일로 결정한다(단계 S1503).
한편, 장면의 선두가 있는 경우(단계 S1502; 예), 분할 파일 LSFq과 대응하는 제1 영상 데이터 파일의 복수 개의 분할 파일 SSF을, 배신용 영상 데이터 파일의 분할 파일로 결정한다(단계 S1504).
단계 S1503 또는 S1504에 의해 배신용 영상 데이터 파일의 분할 파일을 결정하면, 분할 파일 LSFq이 제2 영상 데이터 파일에 있어서의 최후의 파일인지 확인한다(단계 S1505). 최후의 파일인 경우(단계 S1505; 예), 배신용 영상 데이터 파일의 작성 처리를 종료한다(리턴).
한편, 분할 파일 LSFq이 최후의 파일이 아닌 경우(단계 S1505; 아니오), 변수 q를 1만큼 인크리멘트하고(단계 S1506), 단계 S1502로 되돌아간다.
도 13a 및 도 13b에 도시한 처리의 한 구체예에 관해서 도 14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4는 배신용 영상 데이터 파일 작성 처리의 구체예를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영상 데이터 파일 작성 방법의 제2 예에서는, 도 14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제1 시간 길이(S)의 분할 파일 SSF로 분할한 제1 영상 데이터 파일(502)과, 제2 시간 길이(L)의 분할 파일 LSF로 분할한 제2 영상 데이터 파일(503)을 작성한다. 이 때, 제2 시간 길이(L)는 제1 시간 길이(S)의 정수배로 하고 있기 때문에, 제2 영상 데이터 파일(503)의 각 분할 파일은, 시작 시각(종료 시각)이 제1 영상 데이터 파일(502)의 분할 파일 중 어느 한 시작 시각(종료 시각)과 일치한다. 그 때문에, 제2 영상 데이터 파일(503)의 1개의 분할 파일 LSF을, 그 분할 파일 LSF의 재생 기간과 대응하는 제1 영상 데이터 파일(502)의 분할 파일 SSF로 대체하여도, 시작 시각(종료 시각)에 영상이 흐트러지는 일은 없다. 따라서, 제2 영상 데이터 파일의 분할 파일 LSF 중 장면의 선두가 포함되는 분할 파일 LSF0, LSF3, LSF6을, 대응하는 제1 영상 데이터 파일의 분할 파일 SSF로 대체한다. 이에 따라, 도 14에 도시한 영상 데이터 파일(505)과 같이, 장면의 선두 등의 재생 시작 위치로서 지정할 수 있는 재생 위치 근방의 영상 부분을 시간 길이가 짧은 분할 파일로 할 수 있어, 재생 시작시의 기다리는 시간을 짧게 할 수 있다.
한편, 도 13a 및 도 13b에 도시한 처리에서는, 제2 영상 데이터 파일에 있어서의 장면의 선두가 포함되는 분할 파일만을 시간 길이가 짧은 분할 파일로 대체하고 있다. 그러나, 영상 데이터 파일 작성 방법의 제2 예에서는, 이것에 한하지 않고, 장면의 선두가 포함되는 분할 파일 및 다음 분할 파일을 시간 길이가 짧은 분할 파일로 대체하도록 하여도 좋다.
도 15는 영상 데이터 파일 작성 방법의 제2 예의 응용예를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14에 도시한 영상 데이터 파일(505)에서는, 영상 데이터의 선두의 프레임 S0S이나 장면 1의 선두의 프레임 S1S을 포함하는 분할 파일 SSF0, SSF10의 다음에도, 제1 시간 길이(S)의 분할 파일이 배신(전송)된다. 이에 대하여, 장면 2의 선두의 프레임 S2S을 포함하는 분할 파일 SSF20의 다음에, 제2 시간 길이(L)의 분할 파일 LSF7이 전송된다. 그 때문에, 전송 속도에 따라서는, 분할 파일 SSF20의 재생이 완료되기 전에 다음 분할 파일 LSF7의 전송이 완료되지 않고, 전송 대기 상태가 될 우려가 있다.
그 때문에, 장면의 선두의 프레임을 포함하는 분할 파일 다음에, 시간 길이가 긴 분할 파일이 계속되는 경우, 도 15에 도시하는 영상 데이터 파일(506)과 같이, 시간 길이가 긴 분할 파일을 시간 길이가 짧은 분할 파일 SSF21~SSF23로 분할하여도 좋다.
도 16a는 영상 데이터 파일 작성 방법의 제3 예를 도시하는 흐름도(그 첫번째)이다. 도 16b는 영상 데이터 파일 작성 방법의 제3 예를 도시하는 흐름도(그 두번째)이다. 도 16c는 영상 데이터 파일 작성 방법의 제3 예를 도시하는 흐름도(그 세번째)이다.
영상 데이터 파일 작성 방법의 제3 예는, 제1 예와 마찬가지로, 도 2a에 도시한 영상 데이터 파일과 같이, 장면마다 장면의 선두에서부터 미리정해진 시간 길이의 분할 파일로 구획된 영상 데이터 파일을 작성하는 방법이다. 단, 제3 예는, 장면마다 분할하는 제1 예와는 달리, 영상 데이터의 선두에서부터 순차 분할 파일로 분할해 나간다.
영상 데이터 파일 작성 방법의 제3 예에서는, 우선, 도 16a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제1 시간 길이(S), 제2 시간 길이(L) 및 제1 시간 길이의 분할 파일의 수(M)를 설정한다(단계 S20).
이어서, 분할 대상의 영상 데이터 및 장면 정보를 취득한다(단계 S21).
이어서, 시각을 나타내는 변수 t를 초기화한다(단계 S22).
이어서, 영상 데이터가 시각 t+L까지인지를 조사한다(단계 S23). 시각 t+L까지인 경우(단계 S23; 예), 이어서, 시각 t에서 t+L까지의 영상에 장면의 선두가 있는지를 조사한다(단계 S24). 장면의 선두가 있는 경우(단계 S24; 예), 도 16b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시각 t에서부터 장면 선두 직전까지의 분할 파일을 작성한 후, 장면 선두에서부터 제1 시간 길이(S)의 분할 파일을 M개 작성한다(단계 S25). 한편, 단계 S25에서는, 장면 선두에서부터 영상 데이터의 종료 시각까지의 시간이 S×M초 미만인 경우, 제1 시간 길이(S)의 분할 파일을 가능한 수만큼 작성하고, 마지막으로 제1 시간 길이(S) 미만의 분할 파일을 작성하여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시각 t에서부터 t+L까지의 영상에 장면의 선두가 없는 경우(단계 S24; 아니오), 시각 t에서부터 t+L까지의 분할 파일, 즉 제2 시간 길이(L)의 분할 파일을 작성한다(단계 S26).
단계 S25 또는 S26에 의해 분할 파일을 작성하면, 작성한 분할 파일의 종료 시각에 기초하여 변수 t를 갱신하고(단계 S27), 단계 S23으로 되돌아간다. 단계 S25에 의해 분할 파일을 작성한 경우, M개째의 제1 시간 길이(S)의 분할 파일의 종료 시각을 변수 t의 새로운 값으로 한다. 또한, 단계 S26에 의해 분할 파일을 작성한 경우, 시각 t+L을 변수 t의 새로운 값으로 한다.
단계 S23~S27을 반복하여, 분할 파일화하지 않은 영상 부분이 시각 t+L까지 없는 상태가 되면(단계 S23; 아니오), 이어서, 시각 t 이후의 영상에 장면의 선두가 있는지를 조사한다(단계 S28). 장면의 선두가 없는 경우(단계 S28; 아니오), 도 16c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영상의 나머지 부분(시각 t 이후의 부분)으로 1개의 파일을 작성하고(단계 S33),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장면의 선두가 있는 경우(단계 S28; 예), 도 16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시각 t에서부터 장면 선두의 직전까지의 분할 파일을 작성하고(단계 S29), 변수 t를 장면 선두의 시각으로 갱신한다(단계 S30).
이어서, 시각 t에서부터 영상의 마지막까지의 시간이 제1 시간 길이(S)보다 긴지 확인한다(단계 S31). 제1 시간 길이 이하인 경우(단계 S31; 아니오), 영상의 나머지 부분(시각 t 이후의 부분)으로 1개의 파일을 작성하고(단계 S33),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제1 시간 길이보다 긴 경우(단계 S31; 예), 제1 시간 길이(S)의 파일을 가능한 수만큼 작성한다(단계 S32). 그 후, 영상의 나머지 부분으로 1개의 분할 파일을 작성하고(단계 S33), 처리를 종료한다.
도 17a는 도 16a~도 16c에 도시한 처리의 구체예를 설명하는 모식도(그 첫번째)이다. 도 17b는 도 16a~도 16c에 도시한 처리의 구체예를 설명하는 모식도(그 두번째)이다.
도 16a~도 16c에 도시한 처리에서는, 제2 시간 길이(L)를 기준으로 하여 영상 데이터를 분할 파일로 분할해 나간다. 단, 도 17a의 (a)에 도시하는 영상 데이터 파일(507)과 같이, 영상 데이터의 선두 부분은 장면 0의 선두의 프레임 S0S이 된다. 따라서, 도 16a~도 16c에 도시한 처리를 시작하면, 도 17a의 (a)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장면 선두(S0S)에서부터 2개의 제1 시간 길이(S)의 분할 파일 SF0, SF1을 작성한다(단계 S25).
그 후, 변수 t를 분할 파일 SF1의 종료 시각으로 갱신하여 단계 S23에서부터의 처리를 반복하면, 도 17a의 (b)에 도시하는 영상 데이터 파일(507)과 같이, 제2 시간 길이(L)의 분할 파일 SF2, SF3이 작성된다. 그리고, 다음 분할 파일을 작성할 때, 시각 t에서부터 t+L까지의 영상에 장면 1의 선두의 프레임 S1S이 포함된다. 따라서, 분할 파일 SF3 다음에는, 도 17b의 (c)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장면 1의 선두의 직전까지의 프레임 SF4을 작성하고, 이어서 장면 선두(S1S)에서부터 2개의 제1 시간 길이(S)의 분할 파일 SF5, SF6을 작성한다.
이후, 이 처리를 반복하면, 도 17b의 (d)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장면 2의 선두의 프레임 S2S의 위치에서, 2개의 제1 시간 길이(S)의 분할 파일 SF10, SF11이 작성된다.
도 18은 영상 데이터 파일 작성 방법의 제4 예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영상 데이터 파일 작성 방법으로서 예로 든 제1~제3 예에서는, 장면의 선두와 같은 재생 시작 위치로 지정할 수 있는 재생 위치 근방에 고정 길이(제1 시간 길이(S))의 분할 파일을 작성하고 있다. 그러나, 장면 선두의 근방을 시간 길이가 짧은 분할 파일로 구획하는 경우, 고정 길이에 한하지 않고, 임의 길이의 파일로 구획하여도 좋다.
여기서 드는 제4 예에서는, 예컨대, 도 18의 (a)에 도시하는 영상 데이터 파일(508)과 같이, 우선 영상 데이터 전체를 제2 시간 길이(L)의 분할 파일 LSF로 분할한다. 그리고, 분할 파일 LSF 중 장면의 선두의 프레임 S1S, S2S, S3S을 포함하는 분할 파일 LSF6, LSF9, LSF13을, 각각 시간 길이가 짧은 분할 파일로 재분할한다. 이 때, 시간 길이가 짧은 분할 파일은, 시간 길이를 임의로 하여, 장면의 선두가 분할 파일의 선두에 가까운 위치가 되도록 분할한다. 또한, 이 때, 재분할하는 분할 파일의 수도 임의로 한다. 예컨대, 도 18의 (b)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장면 1의 선두의 프레임 S1S을 포함하는 제2 시간 길이(L)의 분할 파일 LSF6은, 시간 길이가 짧은 4개의 분할 파일 SSF4~SSF7로 분할되어 있다. 이에 대하여, 장면 2의 선두의 프레임 S2S을 포함하는 제2 시간 길이(L)의 분할 파일 LSF9은, 시간 길이가 짧은 3개의 분할 파일 SSF8~SSF10로 분할되어 있다. 또한, 장면 3의 선두의 프레임 S3S을 포함하는 제2 시간 길이(L)의 분할 파일 LSF13은, 시간 길이가 짧은 2개의 분할 파일 SSF14, SSF15로 분할되어 있다.
영상 데이터를 복수의 분할 파일로 분할할 때는, 예컨대, MPEG 등의 규격에 따라서 인코드한 데이터를 분할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제2 시간 길이(L)의 분할 파일 LSFq의 재분할에 있어서는, 인코드 파라메터의 Group of Picture(GOP) 사이즈에 분할 파일의 시간 길이를 맞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GOP 사이즈가 1초인 경우, LSFq를 재분할할 때의 파일의 시간 길이는 1초 단위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GOP 도중에 분할 파일화하는 경우, 한 번 디코드하여 분할 파일화하고, 재차 인코드하게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인코드가 끝난 영상 데이터를 분할, 재분할할 때는, 시간 길이의 최단치를 GOP 사이즈로 지정하여, 제2 시간 길이(L)를 GOP 사이즈의 정수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 4 등에 도시한 것과 같이, 10초 정도의 값으로 설정되는 제2 시간 길이(L)가 제1 시간 길이(S)의 3배인 경우, 제2 시간 길이(L)를 9초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제1 시간 길이(S)를 3초, 즉 GOP 사이즈의 정수배로 할 수 있어, 재분할의 시간을 경감할 수 있다.
또한, GOP 사이즈가 1초라면, 제2 시간 길이(L)의 분할 파일 LSF을, 1초 단위로 임의의 조합으로 분할할 수 있기 때문에, 재분할 위치를 장면의 선두에 가깝게 하기가 용이하게 된다.
도 19는 제4 예에 있어서의 재분할 파일의 시간 길이의 설정 방법을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GOP 사이즈 x초로 인코드한 제2 시간 길이(L)의 분할 파일 LSF의 재분할은, 예컨대 이하의 순서로 실시한다.
우선, 도 19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장면 선두 y보다 시간적으로 앞의 부분에는, GOP 사이즈 x의 정수배이면서 또한 가능한 한 긴 시간의 1개의 분할 파일(재분할 세그먼트 1)을 작성한다.
이어서, 재분할 세그먼트 1을 제외한 부분을, 임의의 짧은 시간 길이 S로 후방에서 분할하여, 끝맺음 좋게 분할할 수 있었던 경우는 그 분할 파일(재분할 세그먼트 3)을 채용한다. 또한, 끝맺음 좋게 분할할 수 없었던 경우는, 나머지 시간 길이로 1개의 분할 파일(재분할 세그먼트 2)을 작성한다. 이 때, 재분할 세그먼트 1~3의 시간 길이는, 하기의 식(2)~식(5)으로 표시된다.
재분할 세그먼트 1의 사이즈=Y·x ··· (2)
m=(L-Y·x)/S ··· (3)
재분할 세그먼트 2의 사이즈=L-(Y·x+S·m) ··· (4)
재분할세 그먼트 3의 사이즈=S ··· (5)
한편, 식(2)의 Y는 y/x로 주어지는 정수이다. 또한, 식(3)의 m은 제1 시간 길이(S)의 분할 파일의 수이다.
이와 같이, 장면 선두 y보다 앞의 부분에 GOP 사이즈의 정수배인 시간이 긴 분할 파일을 작성함으로써, 장면 선두 y를, 그 직전의 분할 파일의 단락에 가깝게 할 수 있다.
한편, 도 19에는 제1 시간 길이(S)를 3초로 설정한 경우의 재분할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그러나, 제1 시간 길이(S)는 3초에 한하지 않고, 예컨대 2초라도 좋다.
도 20은 제4 예에 있어서의 분할 파일의 다른 재분할 방법을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20의 (a)에 도시된 영상 데이터 파일(509)에 있어서의 분할 파일 LSFq은, 제2 시간 길이(L)=10초로 분할한 파일이다. 이 분할 파일 LSFq의 선두에서부터 4초의 위치에 장면 n의 선두의 프레임 SnS이 있는 경우, 상기한 순서로 재분할하면, 도 20의 (b)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4개의 파일로 재분할된다. 즉, 장면 선두의 프레임 SnS보다 앞의 부분은 재생 시간 4초의 1개의 분할 파일로 된다. 한편, 장면 선두의 프레임 SnS보다 뒤의 부분은, 재생 시간 2초의 3개의 분할 파일로 된다.
또한, 분할 파일 LSFq의 선두에서부터 5.3초의 위치에 장면 n의 선두의 프레임 SnS이 있는 경우, 상기한 순서로 재분할하면, 도 20의 (c)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4개의 파일로 재분할된다. 즉, 장면 선두의 프레임 SnS보다 앞의 부분은 GOP의 정수배 중 최대치인 재생 시간 5초의 1개의 분할 파일이 생성된다. 한편, 장면 선두의 프레임 SnS보다 뒤의 부분에는, 재생 시간 2초의 2개의 분할 파일이 생성된다. 그리고, 장면 선두의 프레임 SnS의 근방에 위치하는 나머지 1초의 부분이 마지막으로 분할 파일로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장면의 선두의 위치에 따라서 시간 길이가 짧은 분할 파일로 분할할 때의 시간 길이를 적절하게 변경함으로써, 예컨대, 장면의 특징 등에 따라서 전송 대기가 생기지 않도록 세그먼트의 시간 길이를 결정할 수 있다.
도 21은 제4 예에 있어서의 분할 파일의 또 다른 재분할 방법을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22는 미리 준비된 분할 패턴을 이용한 재분할의 예를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제2 시간 길이(L)로 분할된 분할 파일은, 예컨대, 장면 선두의 프레임의 위치에 따른 분할 패턴에 기초하여 재분할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 경우, 도 21에 도시하는 것과 같은 분할 패턴 리스트를 미리 준비해 둔다. 분할 패턴 리스트는, 파일 선두에서부터 장면 선두까지의 시간 ΔT과, 재분할할 때의 분할 파일의 수 및 시간 길이의 비와의 대응 관계를 보여주고 있다.
예컨대, 도 22의 (a)에 도시하는 영상 데이터 파일(510)과 같이, 제2 시간 길이(L)=10초로 분할한 분할 파일 LSFq이 있고, 이것을 재분할하는 경우를 생각하자.
이 때, 도 22의 (b)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분할 파일 LSFq에 장면 n의 선두의 프레임 SnS이 포함되어 있고, 파일 선두에서부터 장면 선두까지의 시간 ΔT이 1초였다고 하자. 이 경우, 도 21에 도시된 분할 패턴 리스트를 참조하면, 분할 패턴은 1:3:3:3이 된다. 따라서, 분할 LSFq은, 4개의 재분할 파일을 시간 길이가 1:3:3:3이 되도록 생성하여 분할한다.
또한, 도 22의 (c)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분할 파일 LSFq에 장면 n의 선두의 프레임 SnS이 포함되어 있고, 파일 선두에서부터 장면 선두까지의 시간 ΔT이 3초였다고 하자. 이 경우, 도 21에 도시된 분할 패턴 리스트를 참조하면, 분할 패턴은 3:3:4이 된다. 따라서, 분할 LSFq은, 3개의 재분할 파일을 시간 길이가 3:3:4이 되도록 생성하여 분할한다.
이와 같이 분할 패턴 리스트를 이용하여 분할 파일을 재분할함으로써, 단시간에 효율적으로 파일을 재분할할 수 있어, 영상 데이터 파일 생성 장치의 부하를 경감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것과 같이, 영상 데이터를 배신용으로 복수의 분할 파일로 분할할 때, 장면의 선두와 같이 재생 시작 위치로서 지정할 수 있는 재생 위치 근방의 영상 부분을 시간 길이가 짧은 분할 파일로 분할함으로써, 재생 시작시의 기다리는 시간을 경감할 수 있다. 또한, 시간 길이가 짧은 분할 파일을 미리정해진 횟수만큼 전송한 후, 시간 길이가 긴 분할 파일의 전송으로 전환할 수 있어, 클라이언트와 배신 서버 사이의 통신 횟수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재생 시작까지의 기다리는 시간을 단축하는 것과, 클라이언트와의 통신 횟수의 증대에 의한 배신 서버의 부하의 증대를 억제하는 것을 양립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시간 길이가 짧은 분할 파일로 분할한 제1 영상 데이터 파일과, 시간 길이가 긴 분할 파일로 분할한 제2 영상 데이터 파일을 준비하면, 재생 시작 위치에 상관없이 재생 시작시에 시간 길이가 짧은 분할 파일을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제1 시간 길이(S)와 제2 시간 길이(L)의 조합이나, 재생 시작시에 전송하는 제1 시간 길이(S)의 분할 파일의 수는, 분할 파일의 전송 속도 및 재생 레이트 등에 따라서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 예로 든 영상 데이터 파일 생성 장치는, 예컨대 컴퓨터와, 컴퓨터에 상기한 분할 처리를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에 의해 실현된다. 이 때, 영상 데이터 파일 생성 장치로서 이용할 수 있는 컴퓨터는, 예컨대 도 9에 도시한 컴퓨터(300)(클라이언트(3))와 동등한 하드웨어 구성이면 된다.
도 23은 영상 데이터 파일 생성 장치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영상 데이터 파일 생성 장치(5)로서 도 10에 도시한 구성은, 카메라(6) 등의 외부 장치로부터 취득한 영상 데이터 및 장면 정보를 이용하여 배신용의 영상 데이터 파일을 작성하는 것이다.
그러나, 영상 데이터 파일 생성 장치(5)는, 이것에 한하지 않고, 도 23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생성 장치 내에서 장면 정보를 생성하는 장치라도 좋다. 도 23에 도시한 영상 데이터 파일 생성 장치(5)는, 제어부(50), 장면 검출부(54), 장면 정보 생성부(55) 및 영상 데이터 파일 생성부(53)를 갖는다. 장면 검출부(54)는, 영상 데이터 내에서 복수의 프레임(화상)에 공통되는 특징이나, 인접 프레임에 있어서의 정보의 변화 패턴 등을 이용하여 장면의 선두를 검출한다. 야구의 영상 데이터인 경우, 예컨대, 투수가 투구 동작을 시작할 때의 영상의 특징을 이용하여, 투구 장면 혹은 투구 장면의 선두를 검출한다.
이닝을 시작할 때나 투수가 투구 동작을 시작할 때와 같은, 영상 데이터의 장면의 선두는, 예컨대, 장면 검출부가, 영상 데이터를 화상 해석한 결과 취득되는, 영상 데이터에 포함되는 프레임의 특징에 기초하여 검출하여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투수의 투구 동작의 시작을 검출하는 경우, 투구시의 영상에 포함되는 프레임에 공통되는 화상 특징을 미리 특정해 두고서, 투구시의 화상 특징과, 영상 데이터에 포함되는 각 프레임, 또는 장면 검출 대상으로 하는 일부 프레임의 화상 특징을 비교하는 처리를 장면 검출부가 실행한다. 그리고, 비교 결과, 투구시의 영상에 포함되는 프레임에 공통되는 화상 특징과 일치하거나 또는 소정 이상의 상관이 있는 화상 특징을 갖는 프레임을 투구시의 영상에 포함되는 프레임으로서 장면 검출부(54)가 검출한다.
장면 검출부(54)는, 예컨대, 투구시의 영상에 포함되는 프레임으로서 검출된 프레임이 연속되는 영상 부분을 투구 장면으로 하고, 연속되는 프레임의 선두 프레임, 혹은 연속되는 프레임의 선두 프레임으로부터 미리정해진 프레임수 전후의 프레임 중 어느 것을 장면의 선두로서 검출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장면 정보 생성부(55)는, 장면 검출부(54)에서 검출한 장면에 기초하여, 각 장면의 시작 시각(종료 시각) 등의 정보를 부가한다.
이상 기재한 각 실시예를 포함하는 실시형태에 관해서 이하의 부기를 추가로 개시한다.
(부기 1)
컴퓨터로 하여금,
영상 데이터 파일이 분할된 복수의 분할 영상 데이터 파일의 적어도 2개 이상을 상기 컴퓨터의 기억부로부터 판독하여 재생 시작 위치의 지정에 대응하는 상기 영상 데이터 파일 중 시작 위치에서부터 영상의 재생 처리를 실행하는 단말 장치에 대하여, 판독 시작에서부터 미리정해진 횟수 이내는, 상기 기억부에 기억된 제1 시간 길이에 대응하는 분할 영상 데이터 파일을 상기 단말 장치에 송신하고,
상기 미리정해진 횟수의 판독을 한 후에는, 상기 기억부에 기억된, 상기 제1 시간 길이보다 긴 제2 시간 길이에 대응하는 분할 영상 데이터 파일을 상기 단말 장치에 송신하는 처리를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재생 제어 프로그램.
(부기 2)
상기 복수의 분할 영상 데이터 파일은, 미리정해진 조건에 기초하여 설정된, 상기 영상 데이터 파일에 있어서의 재생 시작 위치로서 지정할 수 있는 재생 위치 근방의 영상 부분은 상기 제1 시간 길이에 대응한 데이터 파일로 분할되고, 상기 근방의 영상 부분과는 다른 영상 부분은 상기 제2 시간 길이에 대응한 데이터 파일로 분할된 분할 영상 데이터 파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에 기재한 영상 재생 제어 프로그램.
(부기 3)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재생 시작 위치로서 지정할 수 있는 재생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를, 선택 가능하게 상기 단말 장치에 출력시키고,
상기 재생 시작 위치로서 지정할 수 있는 재생 위치 중에서, 상기 단말 장치에 있어서 선택된 재생 위치를, 상기 지정에 대응하는 시작 위치로 하여, 분할 영상 데이터 파일의 상기 단말 장치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2에 기재한 영상 재생 제어 프로그램.
(부기 4)
상기 영상 데이터 파일은 스포츠의 시합을 촬영한 영상 데이터 파일이며
상기 미리정해진 조건은, 상기 영상 데이터 파일에 포함되는 화상을 해석 처리하여 특정된, 공통되는 미리정해진 특징을 포함하는 화상의 재생 위치를 재생 시작 위치로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2 또는 3에 기재한 영상 재생 제어 프로그램.
(부기 5)
상기 미리정해진 횟수는, 상기 분할 영상 데이터 파일의 비트 레이트와 상기 분할 영상 데이터 파일을 상기 단말 장치에 송신할 때의 데이터 파일 전송 속도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영상 재생 제어 프로그램.
(부기 6)
상기 복수의 분할 영상 데이터 파일은, 상기 영상 데이터 파일을 상기 제1 시간 길이에 대응한 데이터 파일로 분할한 제1 분할 영상 데이터 파일과, 상기 영상 데이터 파일을 상기 제2 시간 길이에 대응한 데이터 파일로 분할한 제2 분할 영상 데이터 파일을 포함하고,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제1 분할 영상 데이터 파일과 상기 제2 분할 영상 데이터 파일을 선택적으로 시계열로 상기 단말 장치에 송신하는 처리를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에 기재한 영상 재생 제어 프로그램.
(부기 7)
상기 영상 데이터 파일에 대응하는 시간 길이는, 상기 영상 데이터 파일을 이용하여 영상이 재생될 때의 재생 시간과 상관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에 기재한 영상 재생 제어 프로그램.
(부기 8)
컴퓨터가,
영상 데이터 파일이 분할된 복수의 분할 영상 데이터 파일의 적어도 2개 이상을 상기 컴퓨터의 기억부로부터 판독하여 재생 시작 위치의 지정에 대응하는 상기 영상 데이터 파일 중 시작 위치에서부터 영상의 재생 처리를 실행하는 단말 장치에 대하여, 판독 시작에서부터 미리정해진 횟수 이내는, 상기 기억부에 기억된 제1 시간 길이에 대응하는 분할 영상 데이터 파일을 상기 단말 장치에 송신하고,
상기 미리정해진 횟수의 판독을 한 후에는, 상기 기억부에 기억된, 상기 제1 시간 길이보다 긴 제2 시간 길이에 대응하는 분할 영상 데이터 파일을 상기 단말 장치에 송신하는
처리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재생 제어 방법.
(부기 9)
영상 데이터 파일이 분할된 복수의 분할 영상 데이터 파일을 기억하는 기억부와,
복수의 분할 영상 데이터 파일의 적어도 2개 이상을 상기 컴퓨터의 기억부로부터 판독하여 재생 시작 위치의 지정에 대응하는 상기 영상 데이터 파일 중 시작 위치에서부터 영상의 재생 처리를 실행하는 단말 장치에 대하여, 판독 시작에서부터 미리정해진 횟수 이내는, 상기 기억부에 기억된 제1 시간 길이에 대응하는 분할 영상 데이터 파일을 상기 단말 장치에 송신하고, 상기 미리정해진 횟수의 판독을 한 후에는, 상기 기억부에 기억된, 상기 제1 시간 길이보다 긴 제2 시간 길이에 대응하는 분할 영상 데이터 파일을 상기 단말 장치에 송신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배신 서버.
(부기 10)
컴퓨터로 하여금,
수신한 영상 데이터 파일에 기초하여 영상의 재생을 하는 영상 재생 장치에 대하여 순차 영상 데이터 파일을 송신할 때에, 맨 처음에 송신하는 영상 데이터 파일을 포함하여 순차 송신되는 미리정해진 수의 데이터 파일의 각각에 대응하는 시간 길이는, 상기 미리정해진 수의 영상 데이터 파일의 송신 다음에 송신하는 데이터 파일에 대응하는 시간 길이보다 짧게 하는 것을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프로그램.
(부기 11)
상기 미리정해진 수는 1이고, 상기 맨 처음에 송신하는 영상 데이터 파일에 대응하는 시간 길이가, 2번째에 송신하는 영상 데이터 파일에 대응하는 시간 길이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0에 기재한 송신 프로그램.
(부기 12)
컴퓨터가,
수신한 영상 데이터 파일에 기초하여 영상의 재생을 하는 영상 재생 장치에 대하여 순차 영상 데이터 파일을 송신할 때에, 맨 처음에 송신하는 영상 데이터 파일을 포함하여 순차 송신되는 미리정해진 수의 데이터 파일의 각각에 대응하는 시간 길이는, 상기 미리정해진 수의 영상 데이터 파일의 송신 다음에 송신하는 데이터 파일에 대응하는 시간 길이보다 짧게 하는 것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방법.
(부기 13)
상기 미리정해진 수는 1이고, 상기 맨 처음에 송신하는 영상 데이터 파일에 대응하는 시간 길이가, 2번째로 송신하는 영상 데이터 파일에 대응하는 시간 길이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2에 기재한 송신 방법.
(부기 14)
수신한 영상 데이터 파일에 기초하여 영상의 재생을 하는 영상 재생 장치에 대하여 순차 영상 데이터 파일을 송신할 때에, 맨 처음에 송신하는 영상 데이터 파일을 포함하여 순차 송신되는 미리정해진 수의 영상 데이터 파일의 각각에 대응하는 시간 길이는, 상기 미리정해진 수의 영상 데이터 파일의 송신 다음에 송신하는 영상 데이터 파일에 대응하는 시간 길이보다 짧게 하는 처리를 실행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배신 서버.
(부기 15)
상기 미리정해진 수는 1이고, 상기 맨 처음에 송신하는 영상 데이터 파일에 대응하는 시간 길이가, 2번째로 송신하는 영상 데이터 파일에 대응하는 시간 길이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4한 기재의 영상 배신 서버.
(부기 16)
컴퓨터가,
촬상 데이터에 포함되는 복수의 장면 중, 선택된 장면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 파일군을 영상 재생 장치에 송신할 때에, 상기 복수의 장면 중, 어느 한 장면이 선택된 경우라도, 선택된 장면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 파일군의 송신 순서에 있어서의 선두 측에 대응하는 영상 파일에 대응하는 시간 길이를 상대적으로 짧게 하는 것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방법.
(부기 17)
상기 영상 데이터 파일에 대응하는 시간 길이는, 상기 영상 데이터 파일을 이용하여 영상이 재생될 때의 재생 시간과 상관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6에 기재한 송신 방법.
(부기 18)
컴퓨터로 하여금,
촬상 데이터에 포함되는 복수의 장면 중, 선택된 장면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 파일군을 영상 재생 장치에 송신할 때에, 상기 복수의 장면 중, 어느 한 장면이 선택된 경우라도, 선택된 장면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 파일군의 송신 순서에 있어서의 선두 측에 대응하는 영상 파일에 대응하는 시간 길이를 상대적으로 짧게 하는 것을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프로그램.
(부기 19)
상기 영상 데이터 파일에 대응하는 시간 길이는, 상기 영상 데이터 파일을 이용하여 영상이 재생될 때의 재생 시간과 상관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8에 기재한 송신 프로그램.
(부기 20)
촬상 데이터에 포함되는 복수의 장면 중, 선택된 장면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 파일군을 영상 재생 장치에 송신할 때에, 상기 복수의 장면 중, 어느 한 장면이 선택된 경우라도, 선택된 장면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 파일군의 송신 순서에 있어서의 선두 측에 대응하는 영상 파일에 대응하는 시간 길이를 상대적으로 짧게 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배신 서버.
(부기 21)
상기 영상 데이터 파일에 대응하는 시간 길이는, 상기 영상 데이터 파일을 이용하여 영상이 재생될 때의 재생 시간과 상관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20에 기재한 영상 배신 서버.
1: 영상 배신 시스템, 2: 배신 서버, 20: 기억부, 21: 제어부, 3: 클라이언트(단말 장치, 영상 재생 장치), 30: 통신 제어부, 31: 재생부.

Claims (21)

  1. 컴퓨터로 하여금,
    영상 데이터 파일이 분할된 복수의 분할 영상 데이터 파일의 적어도 2개 이상을 상기 컴퓨터의 기억부로부터 판독하여 재생 시작 위치의 지정에 대응하는 상기 영상 데이터 파일 중 시작 위치에서부터 영상의 재생 처리를 실행하는 단말 장치에 대하여, 판독 시작에서부터 미리정해진 횟수 이내는, 상기 기억부에 기억된 제1 시간 길이에 대응하는 분할 영상 데이터 파일을 상기 단말 장치에 송신하고,
    상기 미리정해진 횟수의 판독을 한 후에는, 상기 기억부에 기억된, 상기 제1 시간 길이보다 긴 제2 시간 길이에 대응하는 분할 영상 데이터 파일을 상기 단말 장치에 송신하는,
    처리를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에 저장된 영상 재생 제어 프로그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분할 영상 데이터 파일은, 미리정해진 조건에 기초하여 설정된, 상기 영상 데이터 파일에 있어서의 재생 시작 위치로서 지정할 수 있는 재생 위치 근방의 영상 부분은 상기 제1 시간 길이에 대응한 데이터 파일로 분할되고, 상기 근방의 영상 부분과는 다른 영상 부분은 상기 제2 시간 길이에 대응한 데이터 파일로 분할된 분할 영상 데이터 파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에 저장된 영상 재생 제어 프로그램.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재생 시작 위치로서 지정할 수 있는 재생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를, 선택 가능하게 상기 단말 장치에 출력시키고,
    상기 재생 시작 위치로서 지정할 수 있는 재생 위치 중에서, 상기 단말 장치에 있어서 선택된 재생 위치를, 상기 지정에 대응하는 시작 위치로 하여, 분할 영상 데이터 파일의 상기 단말 장치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에 저장된 영상 재생 제어 프로그램.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데이터 파일은 스포츠의 시합을 촬영한 영상 데이터 파일이며,
    상기 미리정해진 조건은, 상기 영상 데이터 파일에 포함되는 화상을 해석 처리하여 특정된, 공통되는 미리정해진 특징을 포함하는 화상의 재생 위치를 재생 시작 위치로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에 저장된 영상 재생 제어 프로그램.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정해진 횟수는, 상기 분할 영상 데이터 파일의 비트 레이트와 상기 분할 영상 데이터 파일을 상기 단말 장치에 송신할 때의 데이터 파일 전송 속도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에 저장된 영상 재생 제어 프로그램.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분할 영상 데이터 파일은, 상기 영상 데이터 파일을 상기 제1 시간 길이에 대응한 데이터 파일로 분할한 제1 분할 영상 데이터 파일과, 상기 영상 데이터 파일을 상기 제2 시간 길이에 대응한 데이터 파일로 분할한 제2 분할 영상 데이터 파일을 포함하고,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제1 분할 영상 데이터 파일과 상기 제2 분할 영상 데이터 파일을 선택적으로 시계열로 상기 단말 장치에 송신하는 처리를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에 저장된 영상 재생 제어 프로그램.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데이터 파일에 대응하는 시간 길이는, 상기 영상 데이터 파일을 이용하여 영상이 재생될 때의 재생 시간과 상관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에 저장된 영상 재생 제어 프로그램.
  8. 컴퓨터가,
    영상 데이터 파일이 분할된 복수의 분할 영상 데이터 파일의 적어도 2개 이상을 상기 컴퓨터의 기억부로부터 판독하여 재생 시작 위치의 지정에 대응하는 상기 영상 데이터 파일 중 시작 위치에서부터 영상의 재생 처리를 실행하는 단말 장치에 대하여, 판독 시작에서부터 미리정해진 횟수 이내는, 상기 기억부에 기억된 제1 시간 길이에 대응하는 분할 영상 데이터 파일을 상기 단말 장치에 송신하고,
    상기 미리정해진 횟수의 판독을 한 후에는, 상기 기억부에 기억된, 상기 제1 시간 길이보다 긴 제2 시간 길이에 대응하는 분할 영상 데이터 파일을 상기 단말 장치에 송신하는
    처리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재생 제어 방법.
  9. 영상 데이터 파일이 분할된 복수의 분할 영상 데이터 파일을 기억하는 기억부와,
    복수의 분할 영상 데이터 파일의 적어도 2개 이상을 컴퓨터의 기억부로부터 판독하여 재생 시작 위치의 지정에 대응하는 상기 영상 데이터 파일 중 시작 위치에서부터 영상의 재생 처리를 하는 단말 장치에 대하여, 판독 시작에서부터 미리정해진 횟수 이내는, 상기 기억부에 기억된 제1 시간 길이에 대응하는 분할 영상 데이터 파일을 상기 단말 장치에 송신하고, 상기 미리정해진 횟수의 판독을 한 후에는, 상기 기억부에 기억된, 상기 제1 시간 길이보다 긴 제2 시간 길이에 대응하는 분할 영상 데이터 파일을 상기 단말 장치에 송신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배신 서버.
  10. 컴퓨터로 하여금,
    수신한 영상 데이터 파일에 기초하여 영상의 재생을 하는 영상 재생 장치에 대하여 순차 영상 데이터 파일을 송신할 때에, 맨 처음에 송신하는 영상 데이터 파일을 포함하여 순차 송신되는 미리정해진 수의 데이터 파일의 각각에 대응하는 시간 길이는, 상기 미리정해진 수의 영상 데이터 파일의 송신 다음에 송신하는 데이터 파일에 대응하는 시간 길이보다 짧게 하는 것을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에 저장된 송신 프로그램.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정해진 수는 1이고, 상기 맨 처음에 송신하는 영상 데이터 파일에 대응하는 시간 길이가, 2번째로 송신하는 영상 데이터 파일에 대응하는 시간 길이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에 저장된 송신 프로그램.
  12. 컴퓨터가,
    수신한 영상 데이터 파일에 기초하여 영상의 재생을 하는 영상 재생 장치에 대하여 순차 영상 데이터 파일을 송신할 때에, 맨 처음에 송신하는 영상 데이터 파일을 포함하여 순차 송신되는 미리정해진 수의 데이터 파일의 각각에 대응하는 시간 길이를, 상기 미리정해진 수의 영상 데이터 파일의 송신 다음에 송신하는 데이터 파일에 대응하는 시간 길이보다 짧게 하는 것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정해진 수는 1이고, 상기 맨 처음에 송신하는 영상 데이터 파일에 대응하는 시간 길이가, 2번째로 송신하는 영상 데이터 파일에 대응하는 시간 길이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방법.
  14. 수신한 영상 데이터 파일에 기초하여 영상의 재생을 하는 영상 재생 장치에 대하여 순차 영상 데이터 파일을 송신할 때에, 맨 처음에 송신하는 영상 데이터 파일을 포함하여 순차 송신되는 미리정해진 수의 영상 데이터 파일의 각각에 대응하는 시간 길이를, 상기 미리정해진 수의 영상 데이터 파일의 송신 다음에 송신하는 영상 데이터 파일에 대응하는 시간 길이보다 짧게 하는 처리를 실행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배신 서버.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정해진 수는 1이고, 상기 맨 처음에 송신하는 영상 데이터 파일에 대응하는 시간 길이가, 2번째로 송신하는 영상 데이터 파일에 대응하는 시간 길이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배신 서버.
  16. 컴퓨터가,
    촬상 데이터에 포함되는 복수의 장면 중, 선택된 장면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 파일군을 영상 재생 장치에 송신할 때에, 상기 복수의 장면 중, 어느 한 장면이 선택된 경우라도, 선택된 장면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 파일군의 송신 순서에 있어서의 선두 측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 파일에 대응하는 시간 길이를 상대적으로 짧게 하는 것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데이터 파일에 대응하는 시간 길이는, 상기 영상 데이터 파일을 이용하여 영상이 재생될 때의 재생 시간과 상관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방법.
  18. 컴퓨터로 하여금,
    촬상 데이터에 포함되는 복수의 장면 중, 선택된 장면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 파일군을 영상 재생 장치에 송신할 때에, 상기 복수의 장면 중, 어느 한 장면이 선택된 경우라도, 선택된 장면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 파일군의 송신 순서에 있어서의 선두 측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 파일에 대응하는 시간 길이를 상대적으로 짧게 하는 것을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에 저장된 송신 프로그램.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데이터 파일에 대응하는 시간 길이는, 상기 영상 데이터 파일을 이용하여 영상이 재생될 때의 재생 시간과 상관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에 저장된 송신 프로그램.
  20. 촬상 데이터에 포함되는 복수의 장면 중, 선택된 장면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 파일군을 영상 재생 장치에 송신할 때에, 상기 복수의 장면 중, 어느 한 장면이 선택된 경우라도, 선택된 장면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 파일군의 송신 순서에 있어서의 선두 측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 파일에 대응하는 시간 길이를 상대적으로 짧게 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배신 서버.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데이터 파일에 대응하는 시간 길이는, 상기 영상 데이터 파일을 이용하여 영상이 재생될 때의 재생 시간과 상관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배신 서버.
KR1020160002787A 2015-01-16 2016-01-08 영상 재생 제어 프로그램, 영상 재생 제어 방법, 영상 배신 서버, 송신 프로그램 및 송신 방법 KR1017424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007282A JP2016134701A (ja) 2015-01-16 2015-01-16 映像再生制御プログラム、映像再生制御方法、映像配信サーバ、送信プログラム、及び送信方法
JPJP-P-2015-007282 2015-01-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8803A true KR20160088803A (ko) 2016-07-26
KR101742419B1 KR101742419B1 (ko) 2017-05-31

Family

ID=56408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2787A KR101742419B1 (ko) 2015-01-16 2016-01-08 영상 재생 제어 프로그램, 영상 재생 제어 방법, 영상 배신 서버, 송신 프로그램 및 송신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794608B2 (ko)
JP (1) JP2016134701A (ko)
KR (1) KR101742419B1 (ko)
TW (1) TWI602429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29428A (zh) * 2017-10-30 2019-05-07 北京国双科技有限公司 电视频道视频收视统计方法及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87953B2 (ja) * 2017-02-13 2019-03-20 Kddi株式会社 通信端末装置、及び管理装置
US10652166B2 (en) * 2017-06-27 2020-05-12 Cisco Technology, Inc. Non-real time adaptive bitrate recording scheduler
CN111314793B (zh) * 2020-03-16 2022-03-18 上海掌门科技有限公司 视频处理方法、设备以及计算机可读介质
JP2021180461A (ja) * 2020-05-15 2021-11-18 Run.Edge株式会社 動画再生装置および動画再生方法
CN116233472B (zh) * 2023-05-08 2023-07-18 湖南马栏山视频先进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音频视频同步的方法和云端处理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89977A (ja) 2011-10-13 2013-05-13 Hitachi Ltd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32217A (en) * 1995-12-01 1998-03-2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Video-on-demand system capable of performing a high-speed playback at a correct speed
JP2003288290A (ja) 2002-03-28 2003-10-10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ファイル配信方法
US8434118B2 (en) * 2004-05-27 2013-04-30 Time Warner Cable Enterprises Llc Playlist menu navigation
JP4525437B2 (ja) * 2005-04-19 2010-08-1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動画処理装置
US8341255B2 (en) 2009-10-06 2012-12-25 Unwired Planet, Inc. Managing network traffic by editing a manifest file
EP2904757B1 (en) 2012-10-04 2015-12-30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Throttling a media stream for transmission via a radio access network
US20140198838A1 (en) * 2013-01-15 2014-07-17 Nathan R. Andrysco Techniques for managing video streaming
JP2014187510A (ja) 2013-03-22 2014-10-02 Fujitsu Ltd ストリーミング配信システム、ストリーミング配信方法、ストリーミング配信プログラムおよびストリーミング配信サーバ
JP6244009B2 (ja) * 2013-04-03 2017-12-06 インターデイジタル パテント ホールディング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累積された送信電力制御コマンドおよび対応するアップリンクサブフレームセットに基づいてアップリンク送信電力を制御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89977A (ja) 2011-10-13 2013-05-13 Hitachi Ltd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29428A (zh) * 2017-10-30 2019-05-07 北京国双科技有限公司 电视频道视频收视统计方法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602429B (zh) 2017-10-11
JP2016134701A (ja) 2016-07-25
US20160212452A1 (en) 2016-07-21
KR101742419B1 (ko) 2017-05-31
TW201637455A (zh) 2016-10-16
US9794608B2 (en) 2017-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2419B1 (ko) 영상 재생 제어 프로그램, 영상 재생 제어 방법, 영상 배신 서버, 송신 프로그램 및 송신 방법
US9021537B2 (en) Pre-buffering audio streams
JP2006174309A (ja) 動画再生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US10631060B2 (en) Video image reproduction device, video image distribution server, method of reproducing video image and method of distributing video image
KR20190019953A (ko) 트릭 플레이 모드에서 가변 속도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11917271B2 (en) Techniques for advancing playback of interactive media titles in response to user selections
CN112601127B (zh) 视频显示方法及装置、电子设备、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1905638B1 (ko) 동영상 재생 장치 및 방법
KR101742420B1 (ko) 영상 데이터 파일 생성 프로그램, 영상 데이터 파일 생성 방법 및 영상 데이터 파일 생성 장치
CN111095939A (zh) 识别媒体项目的先前流传输部分以避免重复重放
US10096259B2 (en) Video playback device and method
CN105451098A (zh) 一种提供多媒体文件的方法与装置
US11960444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file data for a media file
JP6248943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並びに情報処理システム
JP5737988B2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21002811A (ja) 配信サーバ、配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301279B1 (ko) 멀티미디어 파일 재생장치와 멀티미디어 파일 처리 방법
JP2015041930A (ja) 画像再生装置、プログラム
KR20150146353A (ko) 미디어 플레이어의 재생 시점 변경 방법
JP2017059953A (ja) 画像配信システム及びサーバ
CN102316370A (zh) 显示播放信息的方法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