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8726A - 무선자원관리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액세스 포인트 - Google Patents

무선자원관리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액세스 포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8726A
KR20160088726A KR1020150008176A KR20150008176A KR20160088726A KR 20160088726 A KR20160088726 A KR 20160088726A KR 1020150008176 A KR1020150008176 A KR 1020150008176A KR 20150008176 A KR20150008176 A KR 20150008176A KR 20160088726 A KR20160088726 A KR 201600887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ess point
time
operation channel
radio resource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81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43961B1 (ko
Inventor
정양석
송영금
신종화
최미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500081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3961B1/ko
Priority to US15/543,953 priority patent/US10375691B2/en
Priority to EP16737552.6A priority patent/EP3247157B1/en
Priority to ES16737552T priority patent/ES2762960T3/es
Priority to PCT/KR2016/000357 priority patent/WO2016114588A1/ko
Priority to CN201680006062.0A priority patent/CN107113623B/zh
Publication of KR201600887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87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39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39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02Resource partitioning among network components, e.g. reuse partitioning
    • H04W16/10Dynamic resource partitioning
    • H04W72/048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2Arrangements for optimis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8Testing, supervising or monitoring using real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2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loa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 H04W72/541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using the level of interfere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 H04W72/542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using measured or perceived qu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33Random access procedures, e.g. with 4-step ac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22Parsing or analysis of head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6Reselecting a communication resource in the serving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8Reselecting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6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 H04W36/22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for handling the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무선자원관리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액세스 포인트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무선자원관리방법은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가, 이용 중인 동작 채널의 사용현황을 모니터링하여, 상기 동작 채널에 대한 무선자원 이용상태를 판별하는 모니터링단계; 및 상기 판별된 무선자원 이용상태에 따라, 상기 액세스 포인트가 상기 동작 채널의 주파수를 변경하거나,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연결된 단말을 인접 액세스 포인트로 핸드오버(hand-over)하는 제어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자원관리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액세스 포인트 {Method for managing radio resource and access point using the same}
본 출원은 무선자원관리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액세스 포인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무선랜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무선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무선자원관리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액세스 포인트에 관한 것이다.
무선랜(WLAN)은 기본적으로 분산 시스템(DS: Distributed System)의 접속점 역할을 하는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와, 액세스 포인트가 아닌 복수의 무선 단말로 이루어진 통신기본서비스셋(BSS: Basic Service Set)을 지원한다.
일반적으로, 액세스 포인트는 비면허 주파수 대역에서 특정 무선채널을 동작채널로 설정하여 서비스를 제공한다. 따라서, 각각의 액세스 포인트는 동작채널을 임의로 설정할 수 있으며, 인접하는 액세스 포인트들이 동일한 주파수를 가지는 동작 채널을 중첩하여 운영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를 중첩된 BSS 즉, OBSS(Overlapping Basic Service Set)라 하며, OBSS 환경에서는 액세스 포인트와 단말들이 동일한 무선 채널 자원을 사용하기 위하여 서로 경쟁하게 된다. 이 경우, 어느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가 과도하게 많은 무선 자원을 점유하게 되면, 다른 액세스 포인트에서는 무선 자원 부족 현상 등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효율적인 무선 자원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한편, 인접하는 액세스 포인트들이 서로 다른 동작 채널을 가지는 경우에도, 어느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에 많은 단말들이 집중되고, 인접 액세스 포인트에는 적은 수의 단말만이 연결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때, 단말이 집중된 액세스 포인트에서는 무선자원이 부족하여 처리속도가 늦어지거나 무선랜 서비스의 품질이 떨어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반면, 동일한 무선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인접 액세스 포인트에서는 무선자원이 전혀 사용되지 않는 등 비효율적인 운용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출원은, 무선랜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무선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무선자원관리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액세스 포인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무선자원관리방법은,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가, 이용 중인 동작 채널의 사용현황을 모니터링하여, 상기 동작 채널에 대한 무선자원 이용상태를 판별하는 모니터링단계; 및 상기 판별된 무선자원 이용상태에 따라, 상기 액세스 포인트가 상기 동작 채널의 주파수를 변경하거나,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연결된 단말을 인접 액세스 포인트로 핸드오버(hand-over)하는 제어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모니터링 단계는, 상기 모니터링 결과에 따라, 상기 동작 채널에 대한 무선자원 사용분포표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모니터링 단계는, 상기 동작 채널이 점유되어 사용되는 점유시간과, 상기 동작 채널이 점유되지 않고 대기하는 유휴시간을 구별하여, 상기 무선 자원 사용 분포표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점유시간은, 비무선랜신호 또는 간섭신호가 상기 동작 채널을 점유하는 간섭시간, 인접 액세스 포인트가 상기 동작 채널을 점유하는 중첩부하시간 및 상기 액세스 포인트가 상기 동작 채널을 점유하는 자기부하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모니터링 단계는, 디코딩(decoding)이 불가능한 신호가 상기 동작 채널을 통하여 입력되는 시간을 상기 간섭시간으로 구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모니터링 단계는, 상기 디코딩이 불가능한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동작 채널에 대한 에너지 검출을 수행하고, 상기 동작 채널 내에 기 설정된 한계에너지 이상의 에너지 검출이 지속되는 시간을 상기 간섭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모니터링 단계는, 상기 동작 채널을 통하여 입력되는 신호에 대한 디코딩이 가능하면, 상기 신호에 의하여 동작 채널이 점유되는 시간을 합산하여, 상기 중첩부하시간 또는 자기부하시간을 계산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모니터링 단계는, 상기 신호에 포함되는 MAC(Medium Access control) 프레임의 헤더(header) 영역에 포함되는 지속시간 필드(duration field)에 저장된 지속시간값을 이용하여, 상기 신호에 의하여 동작 채널이 점유되는 시간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모니터링 단계는, 상기 디코딩된 MAC 헤더에 포함된 송신 주소 또는 수신 주소와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연결된 단말의 주소가 불일치하는 신호에 포함된 지속시간값을 합산하여 상기 중첩부하시간을 계산하는 과정; 및 상기 디코딩된 MAC 헤더에 포함된 송신 주소 또는 수신 주소와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연결된 단말의 주소가 일치하는 신호에 포함된 지속시간값을 합산하여 상기 자기부하시간을 계산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모니터링 단계는, 전체 모니터링 시간 중에서, 상기 간섭시간이 차지하는 간섭비율, 상기 중첩부하시간이 차지하는 중첩부하비율 및 상기 자기부하시간이 차지하는 부하비율을 계산하여, 상기 무선 자원 사용 분포표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 단계는, 상기 간섭비율이 기 설정된 과다간섭비율을 초과하면 과다간섭상태로 판별하고, 상기 액세스 포인트의 동작 채널을 변경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 단계는, 상기 중첩부하비율이 기 설정된 한계 중첩 비율을 초과하면 중첩 과부하 상태로 판별하고, 상기 액세스 포인트의 동작 채널을 변경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 단계는, 상기 부하비율이 기 설정된 한계 부하 비율을 초과하면 자기과부하 상태로 판별하고,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연결된 단말들을 인접 액세스 포인트로 핸드오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액세스 포인트는, 동작 채널의 사용현황을 모니터링하여, 상기 동작 채널에 대한 무선자원 이용상태를 판별하는 모니터링부; 및 상기 판별된 무선자원 이용상태에 따라, 상기 동작 채널을 변경하거나, 연결된 단말을 인접 액세스 포인트로 핸드오버(hand-over)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덧붙여 상기한 과제의 해결수단은, 본 발명의 특징을 모두 열거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다양한 특징과 그에 따른 장점과 효과는 아래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무선자원관리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액세스 포인트에 의하면, 무선랜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무선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무선자원관리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액세스 포인트에 의하면, 무선랜 시스템에서 운용하는 채널의 무선 자원 사용 현황을 정량적인 지표로서 모니터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무선자원관리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액세스 포인트에 의하면, 비무선랜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나 중첩된 다른 액세스 포인트의 신호 등에 의하여, 액세스 포인트의 동작 채널 등 무선자원이 과점유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무선자원관리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액세스 포인트에 의하면, 무선랜 시스템 내에서 어느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에 단말들이 집중되는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으며, 단말들이 집중되는 경우에는 인접 액세스 포인트 등으로 부하를 분산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1 및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액세스 포인트를 포함하는 무선랜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액세스 포인트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액세스 포인트와 단말 사이의 데이터 프레임 전송을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무선자원 사용분포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무선자원관리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1 및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액세스 포인트를 포함하는 무선랜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무선랜 시스템은, 도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에 단말(STA: Station)들이 무선으로 연결되는 인프라스트럭쳐(infrastructure) 모드의 통신기본서비스세트(BSS: Basic Service set)를 구성할 수 있으며, 무선으로 로컬 네트워크(local network)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액세스 포인트(AP)는 비면허 주파수 대역에서 특정 무선채널을 동작채널(#100)로 설정하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도1(b)와 같이, 복수의 액세스포인트(AP1, AP2, AP3, AP4)를 이용하여 넓은 영역에서 무선 로컬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할 때에는, 각각의 액세스포인트들이 서로 다른 동작 채널(#100, #112, #150)을 사용하도록 설정할 필요가 있다. 즉, 인접하는 액세스포인트 사이의 동작 채널의 주파수를 서로 다르게 설정함으로써, 무선 채널 용량을 최대화할 수 있다.
다만, 동작채널을 임의로 설정할 수 있으므로, 도2(a)와 같이 인접하는 액세스 포인트(AP1, AP2)들이 동일한 주파수를 가지는 동작 채널(#100)을 중첩하여 운영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중첩된 BSS 즉, OBSS(Overlapping Basic Service Set)라 하며, OBSS 환경에서는 액세스 포인트(AP1, AP2)와 단말(STA1, STA2, STA3)들이 동일한 무선 채널 자원을 사용하기 위하여 서로 경쟁하게 된다. 이 경우, 어느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AP1, AP2)가 과도하게 많은 무선 자원을 점유하게 되면, 다른 액세스 포인트에서는 무선 자원 부족 현상 등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효율적인 무선 자원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도2(b)와 같이, 인접하는 액세스 포인트(AP1, AP2)들이 서로 다른 동작 채널(#100, #112)을 가지는 경우에도, 어느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AP1)에 많은 단말(STA1, STA2, STA3, STA4, STA 5)들이 집중되고, 인접 액세스 포인트(AP2)에는 상대적으로 적은 수의 단말(STA6)만이 연결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때, 단말이 집중된 액세스 포인트(AP1)에서는 무선자원이 부족하여 처리속도가 늦어지거나 무선랜 서비스의 품질이 떨어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반면, 동일한 무선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인접 액세스 포인트(AP2)에서는 무선자원이 전혀 사용되지 않는 등의 비효율적인 운용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한편, 무선랜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방법과 관련하여,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말(STA1)은 데이터 프레임을 액세스 포인트(AP)로 전송할 수 있으며, 액세스 포인트(AP)는 해당 데이터 프레임을 정상적으로 수신했음을 알리는 ACK 프레임을 단말(STA1)로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STA1)은 데이터를 전송하기 전에 DIFS(DCF InterFrame Space) 동안 동작 채널의 점유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즉, 무선랜 시스템에서 채널 접속 방식으로 DCF(Distributed Coordinate Function)를 사용하는 경우, 데이터 프레임이나 관리 프레임 등을 전송하기 전에 DIFS 동안 채널 상태를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이후, 단말(STA1)이 동작 채널을 통하여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하면, 액세스 포인트(AP)는 SIFS(Short InterFrame Space) 동안 채널 상태를 확인한 후, 상기 수신한 데이터 프레임에 대한 ACK(Acknowledge) 프레임, CTS(Clear To Send) 프레임 등의 제어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QoS(Quality of Service)를 지원하기 위하여, DIFS 대신에 데이터 트래픽의 종류에 따라 가변길이를 가지는 AIFS(Arbitration InterFrame Space)를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단말(STA1) 또는 액세스 포인트(AP)는, DIFS 또는 SIFS 동안에 동작 채널 내에 기 설정된 한계에너지 이상의 에너지가 감지되면, 상기 동작채널이 점유 상태(busy state)에 있는 것으로 판별하고, 상기 점유 상태의 해제를 기다릴 수 있다. 이후, 동작채널에 대한 점유상태가 해제되면, DIFS 동안 동작채널의 점유상태를 확인한 후, 다른 단말(other STA) 등의 동시 전송에 의한 충돌을 방지하기 위하여 경쟁 윈도우(CW: Contention Window) 동안 백오프한 후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는 단말(STA1)이 액세스 포인트(AP)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액세스 포인트(AP)가 단말(STA1)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에도 동일한 방식이 활용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데이터 프레임 사이의 전송 충돌을 방지하고, 다른 단말(other STA)들의 데이터 전송 중에 불필요하게 깨어 있는 상태로 기다리는 등의 경우를 방지하기 위하여, 각각의 단말(STA) 및 액세스 포인트(AP)는 NAV(Network Allocation Vector) 타이머를 이용할 수 있다. 즉, 데이터 프레임의 전송시에 함께 전송되는 MAC(Medium Access Control) 프레임의 헤더 영역에는, 해당 데이터 프레임의 송신 주소, 수신 주소 등의 정보와 함께, 전송이 완료되기 위하여 보호 받아야 하는 시간을 나타내는 지속시간 필드(duration field)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다른 단말이나 액세스 포인트 등은 동작 채널에서 수신되어 정상적으로 디코딩되는 MAC 프레임의 헤더로부터 지속시간 필드들 참조하여, 동작 채널에 대한 접속 시도시점을 결정하는 각각의 NAV 타이머의 만료시점을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속시간 필드에 저장되는 지속시간은, 전송하는 데이터 프레임의 길이, SIFS, ACK 프레임의 길이에 따라 설정될 수 있으며, NAV 타이머의 만료시점을 상기 ACK 프레임의 완료시점으로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이나 액세스 포인트 등은 데이터 프레임 등의 전송을 위하여 동작 채널의 점유여부를 항상 확인할 필요가 없으며, 설정된 NAV 타이머가 만료되는 시점마다 깨어나서 채널 접속 시도를 수행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무선랜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을 참조하여, 무선랜 시스템 내에서의 비효율적인 무선자원 활용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액세스 포인트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액세스 포인트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액세스 포인트(AP)는 모니터링부(10) 및 제어부(20)를 포함할 수 있다.
모니터링부(10)는, 기 설정된 모니터링 시간 동안 액세스 포인트(AP)에서 사용하는 동작 채널의 사용현황을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모니터링 결과에 따라 상기 동작 채널에 대한 무선자원 이용상태를 판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모니터링부(10)에서는 모니터링 결과에 따라 동작 채널에 대한 무선자원 사용분포표를 생성할 수 있다. 즉, 도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무선자원 사용분포표에는 점유시간과 유휴시간이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점유시간은 기 설정된 한계 에너지 이상의 에너지를 가지는 신호에 의하여 동작 채널이 점유되어 사용되는 시간이고, 유휴시간은 동작 채널이 상기 기 설정된 한계 에너지 이상의 에너지를 가지는 신호 등에 의하여 점유되지 않고 대기하는 시간에 해당한다. 여기서, 점유시간은 간섭시간, 중첩부하시간 및 자기부하시간으로 구별할 수 있다. 간섭시간은 비무선랜신호 또는 간섭신호 등에 의하여 상기 동작 채널이 점유된 시간을 의미하고, 중첩부하시간은 인접 액세스 포인트가 상기 동작 채널을 점유한 시간을 의미한다. 즉, 중첩부하시간은, 도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접하는 액세스 포인트와 동일한 동작 채널을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인접 액세스 포인트에 의하여 동작 채널이 점유된 시간을 의미한다. 한편, 자기부하시간은 액세스 포인트가 동작 채널을 점유하는 시간을 의미한다.
여기서, 모니터링부(10)는, 먼저 동작 채널을 통하여 입력되는 신호에 대하여 디코딩(decoding)을 수행할 수 있으며, 만약 상기 신호에 대한 디코딩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상기 신호가 입력되는 시간을 간섭시간으로 판별할 수 있다. 즉, 비무선랜신호이거나 간섭신호 등은 액세스 포인트(AP)에서 디코딩이 불가능하므로, 디코딩이 불가능한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동작 채널이 비무선랜신호 또는 간섭신호에 의하여 점유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때, 모니터링부(10)는, 상기 동작 채널에 대한 에너지 검출을 수행할 수 있으며, 기 설정된 한계에너지 이상의 에너지 검출이 지속되는 시간을 측정하여 상기 간섭시간을 계산할 수 있다. 즉, 모니터링부(10)가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전체 모니터링 시간 중에서, 상기 기 설정된 한계에너지 이상의 에너지 검출이 지속되는 시간을 합산하는 방식으로 상기 간섭시간을 계산할 수 있다. 다만, 동작 채널에 인가되는 비무선랜신호 또는 간섭신호 등은 항상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비무선랜신호나 간섭신호에 의하여 동작 채널이 점유되어 다른 무선랜신호 등이 전송될 수 없는 상태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별하기 위하여는, 상기 비무선랜신호 또는 간섭신호가 기 설정된 한계에너지 이상의 크기를 가지는 경우로 제한할 수 있다.
한편, 동작 채널을 통하여 입력되는 신호가 디코딩이 가능하면, 모니터링부(10)는 상기 동작 채널이 액세스 포인트 또는 인접 액세스 포인트에 의하여 점유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신호에 포함되는 MAC 프레임의 헤더 영역에 포함되는 송신 주소 또는 수신 주소를 이용하면, 상기 동작 채널이 인접 액세스 포인트에 의하여 점유된 것인지 아니면, 상기 액세스 포인트가 점유한 것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즉, 디코딩된 MAC 헤더에 포함된 송신 주소 또는 수신 주소가,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연결된 단말의 주소와 일치하면 상기 동작 채널은 액세스 포인트가 점유한 것으로 볼 수 있으며, 불일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동작 채널이 인접 액세스 포인트에 의하여 점유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후, 상기 신호에 포함되는 MAC(Medium Access control) 프레임의 헤더(header) 영역에 포함되는 지속시간 필드(duration field)에 저장된 지속시간값을 이용하여, 상기 신호에 의하여 동작 채널이 점유되는 시간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모니터링부(20)에서는, 상기 신호의 송신 주소 또는 수신주소와 상기 지속시간 필드를 이용하여, 액세스 포인트가 동작 채널을 점유하는 자기부하시간과 인접 액세스 포인트가 동작 채널을 점유하는 중첩 부하시간을 각각 계산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상기 디코딩된 MAC 헤더에 포함된 송신 주소 또는 수신 주소가,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연결된 단말의 주소와 불일치하는 신호에 포함된 지속시간값을 합산하여, 상기 중첩부하시간을 계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코딩된 MAC 헤더에 포함된 송신 주소 또는 수신 주소가,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연결된 단말의 주소가 일치하는 신호에 포함된 지속시간값을 합산하여, 상기 자기부하시간을 계산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모니터링부(10)는 전체 모니터링 시간 중에서, 상기 간섭시간이 차지하는 간섭비율, 상기 중첩부하시간이 차지하는 중첩부하비율 및 상기 자기부하시간이 차지하는 부하비율을 각각 계산하여, 상기 무선 자원 사용 분포표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상기 무선 자원 사용 분포표는 상기 비율에 따른 비례를 적용하여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모니터링부(10)는 주기적으로 전체 모니터링 시간 중에 해당하는 각각의 간섭시간, 중첩부하시간 및 자기부하시간을 계산할 수 있다.
제어부(20)는 상기 판별된 무선자원 이용상태에 따라, 상기 동작 채널을 변경하거나, 연결된 단말을 인접 액세스 포인트로 핸드오버(hand-over)할 수 있다. 즉, 제어부(20)에서는 모니터링 결과에 따라 무선자원을 분배하여 효율적인 무선 자원 관리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0)는, 모니터링부(10)에서 측정한 간섭비율이 기 설정된 과다간섭비율을 초과하면 상기 동작 채널을 과다간섭상태로 판별할 수 있으며, 상기 과다간섭상태를 해소하기 위하여, 상기 액세스 포인트의 동작 채널을 변경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액세스 포인트(AP)가 사용중인 동작 채널은 비무선랜신호나 간섭신호에 의한 영향을 과도하게 받고 있으므로, 다른 주파수의 동작 채널을 사용하도록 하여, 상기 과다간섭상태를 해소하도록 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0)는, 모니터링부(10)에서 측정한 중첩부하비율이 기 설정된 한계 중첩 비율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으며, 상기 기 설정된 한계 중첩 비율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중첩 과부하 상태로 판별할 수 있다. 즉, 상기 중첩부하비율이 한계 중첩 비율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인접 액세스 포인트가 과도하게 동작 채널을 점유하여, 액세스 포인트의 무선자원활용이 부족한 상태에 해당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20)에서는 상기 중첩 과부하 상태로 판별되면, 상기 액세스 포인트(AP)의 동작 채널을 변경하도록 하여, OBSS 환경에서 벗어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20)가 동작 채널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다른 동작 채널에 대한 무선 자원 분포표를 모니터링부(10)로부터 미리 수신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20)는 상기 수신한 다른 채널의 무선 자원 분포표를 기초로하여, 변경할 동작 채널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들어, 과다간섭상태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간섭 비율이 낮은 채널을 선택하여 상기 동작 채널로 변경할 수 있으며, 중첩 과부하 상태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중첩부하비율이 낮은 채널을 선택하여 상기 동작 채널로 변경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제어부(20)는 모니터링부(10)에서 측정한 부하비율이 기 설정된 한계 부하 비율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상기 기 설정된 한계 부하 비율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자기과부하 상태로 판별할 수 있다. 즉, 액세스 포인트(AP)에 단말들의 접속이 집중되어, 상기 액세스 포인트(AP)가 정상적인 성능을 발휘하기 어렵거나, 제공하는 무선랜 서비스의 품질이 저하될 위험이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AP)의 자기과부하 상태를 해소하기 위하여, 제어부(20)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AP)에 접속 중인 단말들을 인접 액세스 포인트 등으로 핸드오버할 수 있다. 즉, 액세스 포인트(AP)의 부하를 주변의 다른 인접 액세스 포인트에게 분산시킬 수 있다.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무선자원관리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무선자원관리방법은 모니터링단계(S100) 및 제어단계(S2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무선자원관리방법을 설명한다.
모니터링단계(S100)에서는 액세스 포인트가 이용 중인 동작 채널의 사용현황을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모니터링 결과에 따라 상기 동작 채널에 대한 무선자원 이용상태를 판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모니터링단계(S100)에서는 모니터링 결과에 따라 동작 채널에 대한 무선자원 사용분포표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자원 사용분포표에는 점유시간과 유휴시간이 표시될 수 있으며, 점유시간은 동작 채널이 점유되어 사용되는 시간이고, 유휴시간은 동작 채널이 점유되지 않고 대기하는 시간일 수 있다. 점유시간에는 간섭시간, 중첩부하시간 및 자기부하시간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간섭시간은 비무선랜신호 또는 간섭신호 등에 의하여 상기 동작 채널이 점유된 시간을 의미하고, 중첩부하시간은 인접 액세스 포인트가 상기 동작 채널을 점유한 시간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자기부하시간은 액세스 포인트가 동작 채널을 점유하는 시간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모니터링단계(S100)에서는, 먼저 동작 채널을 통하여 입력되는 신호에 대하여 디코딩(decoding)을 수행할 수 있으며, 만약 상기 신호에 대한 디코딩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상기 신호가 입력되는 시간을 간섭시간으로 판별할 수 있다. 즉, 비무선랜신호이거나 간섭신호 등은 액세스 포인트에서 디코딩이 불가능하므로, 디코딩이 불가능한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동작 채널이 비무선랜신호 또는 간섭신호에 의하여 점유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모니터링단계(S100)에서는,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전체 모니터링 시간 중에서, 기 설정된 한계에너지 이상의 에너지 검출이 지속되는 시간을 합산하는 방식으로 상기 간섭시간을 계산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동작 채널에 인가되는 비무선랜신호 또는 간섭신호 등은 항상 존재하므로, 비무선랜신호 또는 간섭신호가 기 설정된 한계에너지 이상의 크기를 가지는 경우에 한하여, 상기 비무선랜신호 또는 간섭신호가 상기 동작 채널을 점유한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반면에, 동작 채널을 통하여 입력되는 신호가 디코딩이 가능하면, 모니터링단계(S100)에서는 상기 동작 채널이 액세스 포인트 또는 인접 액세스 포인트에 의하여 점유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신호에 포함되는 MAC 프레임의 헤더 영역에 포함되는 송신 주소 또는 수신 주소를 이용하면, 상기 동작 채널이 인접 액세스 포인트에 의하여 점유된 것인지 아니면, 상기 액세스 포인트가 점유한 것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즉, 디코딩된 MAC 헤더에 포함된 송신 주소 또는 수신 주소가,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연결된 단말의 주소와 일치하면 상기 동작 채널은 액세스 포인트가 점유한 것으로 볼 수 있으며, 불일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동작 채널이 인접 액세스 포인트에 의하여 점유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후, 상기 신호에 포함되는 MAC(Medium Access control) 프레임의 헤더(header) 영역에 포함되는 지속시간 필드(duration field)에 저장된 지속시간값을 이용하여, 상기 신호에 의하여 동작 채널이 점유되는 시간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모니터링단계(S100)에서는, 디코딩된 MAC 헤더에 포함된 송신 주소 또는 수신 주소가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연결된 단말의 주소와 불일치하는 신호에 포함된 지속시간값을 합산하여 상기 중첩부하시간을 계산할 수 있으며, 상기 디코딩된 MAC 헤더에 포함된 송신 주소 또는 수신 주소가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연결된 단말의 주소가 일치하는 신호에 포함된 지속시간값을 합산하여 상기 자기부하시간을 계산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모니터링단계(S100)에서는, 전체 모니터링 시간 중에서 상기 간섭시간이 차지하는 간섭비율, 상기 중첩부하시간이 차지하는 중첩부하비율 및 상기 자기부하시간이 차지하는 부하비율을 각각 계산하여, 상기 무선 자원 사용 분포표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상기 무선 자원 사용 분포표는 상기 비율에 따른 비례를 적용하여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모니터링단계(S100)는 기 설정된 주기마다 반복하여, 전체 모니터링 시간 중에 해당하는 각각의 간섭시간, 중첩부하시간 및 자기부하시간을 계산하는 것일 수 있다.
제어단계(S200)에서는, 상기 판별된 무선자원 이용상태에 따라 상기 액세스 포인트가 상기 동작 채널의 주파수를 변경하거나,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연결된 단말을 인접 액세스 포인트로 핸드 오버(hand-over)할 수 있다. 즉, 제어단계(S200)에서는 모니터링 결과에 따라 무선자원을 분배하여 효율적인 무선 자원 관리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단계(S200)에서는, 측정한 간섭비율이 기 설정된 과다간섭비율을 초과하면 상기 동작 채널을 과다간섭상태로 판별할 수 있으며, 상기 과다간섭상태를 해소하기 위하여, 상기 액세스 포인트의 동작 채널을 변경하도록 할 수 있다. 즉, 현재 액세스 포인트가 사용중인 동작 채널에는 비무선랜신호나 간섭신호에 의한 영향이 과도하게 발생하고 있으므로, 다른 주파수의 동작 채널을 사용하도록 하여, 상기 과다간섭상태를 해소하도록 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단계(S200)에서는, 측정한 중첩부하비율이 기 설정된 한계 중첩 비율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으며, 상기 기 설정된 한계 중첩 비율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중첩 과부하 상태로 판별할 수 있다. 즉, 상기 중첩부하비율이 한계 중첩 비율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인접 액세스 포인트가 과도하게 동작 채널을 점유하여, 액세스 포인트의 무선자원활용이 부족한 상태로 판별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단계(S200)를 통하여 상기 액세스 포인트(AP)의 동작 채널을 변경하도록 함으로써, 액세스 포인트가 중첩된 BSS 환경에서 벗어나도록 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단계(S200)에서는, 측정한 부하비율이 기 설정된 한계 부하 비율을 초과하는지 여부도 확인할 수 있으며, 상기 기 설정된 한계 부하 비율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자기과부하 상태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즉, 액세스 포인트에 단말들의 접속이 집중되어, 상기 액세스 포인트가 정상적인 성능을 발휘하지 못하거나, 제공하는 무선랜 서비스의 품질이 저하될 위험이 있는 상태로 판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의 자기과부하 상태를 해소하기 위하여, 제어단계(S200)에서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 중인 단말들을 인접 액세스 포인트 등으로 핸드오버함으로써, 상기 액세스 포인트의 부하를 주변의 다른 인접 액세스 포인트에게 분산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에 따른 구성요소를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
AP: 액세스 포인트 STA: 단말
10: 모니터링부 20: 제어부
S100: 모니터링단계 S200: 제어단계

Claims (14)

  1.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가, 이용 중인 동작 채널의 사용현황을 모니터링하여, 상기 동작 채널에 대한 무선자원 이용상태를 판별하는 모니터링단계; 및
    상기 판별된 무선자원 이용상태에 따라, 상기 액세스 포인트가 상기 동작 채널의 주파수를 변경하거나,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연결된 단말을 인접 액세스 포인트로 핸드오버(hand-over)하는 제어단계를 포함하는 무선자원관리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단계는
    상기 모니터링 결과에 따라, 상기 동작 채널에 대한 무선자원 사용분포표를 생성하는 무선자원관리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단계는
    상기 동작 채널이 점유되어 사용되는 점유시간과, 상기 동작 채널이 점유되지 않고 대기하는 유휴시간을 구별하여, 상기 무선 자원 사용 분포표를 생성하는 무선자원관리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점유시간은
    비무선랜신호 또는 간섭신호가 상기 동작 채널을 점유하는 간섭시간, 인접 액세스 포인트가 상기 동작 채널을 점유하는 중첩부하시간 및 상기 액세스 포인트가 상기 동작 채널을 점유하는 자기부하시간을 포함하는 무선자원관리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단계는
    디코딩(decoding)이 불가능한 신호가 상기 동작 채널을 통하여 입력되는 시간을 상기 간섭시간으로 구별하는 무선자원관리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단계는
    상기 디코딩이 불가능한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동작 채널에 대한 에너지 검출을 수행하고, 상기 동작 채널 내에 기 설정된 한계에너지 이상의 에너지 검출이 지속되는 시간을 상기 간섭시간으로 측정하는 무선자원관리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단계는
    상기 동작 채널을 통하여 입력되는 신호에 대한 디코딩이 가능하면, 상기 신호에 의하여 동작 채널이 점유되는 시간을 합산하여, 상기 중첩부하시간 또는 자기부하시간을 계산하는 무선자원관리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단계는
    상기 신호에 포함되는 MAC(Medium Access control) 프레임의 헤더(header) 영역에 포함되는 지속시간 필드(duration field)에 저장된 지속시간값을 이용하여, 상기 신호에 의하여 동작 채널이 점유되는 시간을 확인하는 무선자원관리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단계는
    상기 디코딩된 MAC 헤더에 포함된 송신 주소 또는 수신 주소와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연결된 단말의 주소가 불일치하는 신호에 포함된 지속시간값을 합산하여 상기 중첩부하시간을 계산하는 과정; 및
    상기 디코딩된 MAC 헤더에 포함된 송신 주소 또는 수신 주소와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연결된 단말의 주소가 일치하는 신호에 포함된 지속시간값을 합산하여 상기 자기부하시간을 계산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무선자원관리방법.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단계는
    전체 모니터링 시간 중에서, 상기 간섭시간이 차지하는 간섭비율, 상기 중첩부하시간이 차지하는 중첩부하비율 및 상기 자기부하시간이 차지하는 부하비율을 계산하여, 상기 무선 자원 사용 분포표를 생성하는 무선자원관리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단계는
    상기 간섭비율이 기 설정된 과다간섭비율을 초과하면 과다간섭상태로 판별하고, 상기 액세스 포인트의 동작 채널을 변경하는 무선자원관리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단계는
    상기 중첩부하비율이 기 설정된 한계 중첩 비율을 초과하면 중첩 과부하 상태로 판별하고, 상기 액세스 포인트의 동작 채널을 변경하는 무선자원관리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단계는
    상기 부하비율이 기 설정된 한계 부하 비율을 초과하면 자기과부하 상태로 판별하고,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연결된 단말들을 인접 액세스 포인트로 핸드오버하는 무선자원관리방법.
  14. 동작 채널의 사용현황을 모니터링하여, 상기 동작 채널에 대한 무선자원 이용상태를 판별하는 모니터링부; 및
    상기 판별된 무선자원 이용상태에 따라, 상기 동작 채널을 변경하거나, 연결된 단말을 인접 액세스 포인트로 핸드오버(hand-over)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액세스 포인트.
KR1020150008176A 2015-01-16 2015-01-16 무선자원관리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액세스 포인트 KR1023439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8176A KR102343961B1 (ko) 2015-01-16 2015-01-16 무선자원관리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액세스 포인트
US15/543,953 US10375691B2 (en) 2015-01-16 2016-01-13 Method for managing wireless resources, and access point using same
EP16737552.6A EP3247157B1 (en) 2015-01-16 2016-01-13 Method for managing wireless resources, and access point using same
ES16737552T ES2762960T3 (es) 2015-01-16 2016-01-13 Procedimiento para administrar recursos inalámbricos y punto de acceso que lo utiliza
PCT/KR2016/000357 WO2016114588A1 (ko) 2015-01-16 2016-01-13 무선자원관리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액세스 포인트
CN201680006062.0A CN107113623B (zh) 2015-01-16 2016-01-13 无线资源管理方法和使用该方法的接入点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8176A KR102343961B1 (ko) 2015-01-16 2015-01-16 무선자원관리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액세스 포인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8726A true KR20160088726A (ko) 2016-07-26
KR102343961B1 KR102343961B1 (ko) 2021-12-24

Family

ID=564060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8176A KR102343961B1 (ko) 2015-01-16 2015-01-16 무선자원관리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액세스 포인트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375691B2 (ko)
EP (1) EP3247157B1 (ko)
KR (1) KR102343961B1 (ko)
CN (1) CN107113623B (ko)
ES (1) ES2762960T3 (ko)
WO (1) WO201611458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5390B1 (ko) * 2016-11-21 2018-06-08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비면허 대역에서 무선 자원을 공유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56220B2 (en) * 2015-12-21 2020-12-01 Apple Inc. Energy-efficient signal processing
US10477412B2 (en) 2017-10-27 2019-11-12 Hewlett Packard Enterprise Development Lp Determine channel plans
CN108495347B (zh) * 2018-03-05 2021-01-12 江苏创通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无缝漫游的方法
CN110858963B (zh) * 2018-08-23 2022-03-2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无线局域网管理任务分配方法、设备及系统
US11509408B1 (en) * 2021-07-30 2022-11-22 Inntot Technologies Private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large data transmission in digital radio broadcasting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3430A (ko) * 2004-01-08 2005-07-13 인터디지탈 테크날러지 코포레이션 무선 근거리 통신망을 위한 회피 메커니즘
US20110039564A1 (en) * 2009-08-11 2011-02-17 Ubiquisys Limited Load balancing i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US20110307609A1 (en) * 2010-06-10 2011-12-15 Rangarajan Hari Load based probe response scheduling
WO2014042437A2 (ko) * 2012-09-11 2014-03-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랜에서 초기 채널 액세스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64394A1 (en) * 2003-06-30 2004-12-30 Boris Ginzburg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channel wireless LAN architecture
JP4751394B2 (ja) * 2004-08-31 2011-08-17 エイ・ティ・アンド・ティ・コーポレーション 無線lanにおいてチャネルを割り当て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EP1694088A1 (en) * 2005-02-22 2006-08-23 Alcatel A method for admission control for mobile networks, an admission controller and a communication system therewith
CN101483894B (zh) * 2009-01-06 2010-08-11 北京交通大学 一种无线局域网的快速切换方法
EP2555549A4 (en) 2010-04-01 2016-07-27 Lg Electronics Inc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FOR COEXISTENCE OF DIFFERENT TYPES OF ACCESS POINTS
KR20130086121A (ko) 2010-05-11 2013-07-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상호공존 방식에서 대표 기기 선출 방법
US8509802B2 (en) 2010-05-26 2013-08-1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supporting load balanc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KR20130042544A (ko) 2010-07-09 2013-04-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상호공존 방식에서 대표 기기 선출 방법
KR101424412B1 (ko) 2010-09-03 2014-08-13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존 프로토콜 메시지를 구성하는 방법
WO2012057569A2 (ko) 2010-10-31 2012-05-03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존시스템에서의 자원 획득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US8560792B2 (en) * 2010-12-16 2013-10-1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nchronous extent migration protocol for paired storage
US9179363B2 (en) * 2011-08-12 2015-11-0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a coupling characteristic in a radio communications network
WO2013047952A1 (ko) 2011-09-26 2013-04-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액세스 포인트에 최소 보장 자원량을 할당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JP5611489B2 (ja) * 2012-05-10 2014-10-22 三菱電機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無線通信装置
CA2880984C (en) 2012-08-08 2020-10-06 Giwon Park Scanning method and apparatus in wireless lan
JP6317364B2 (ja) 2012-12-03 2018-04-25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無線lanシステムにおいて多重帯域スキャニング方法及び装置
EP3100505A1 (en) * 2014-01-31 2016-12-0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anagement of resources amongst parties sharing the same radio access network
KR102054117B1 (ko) * 2014-08-18 2019-12-09 주식회사 윌러스표준기술연구소 데이터 동시 통신을 위한 무선 통신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무선 통신 단말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3430A (ko) * 2004-01-08 2005-07-13 인터디지탈 테크날러지 코포레이션 무선 근거리 통신망을 위한 회피 메커니즘
US20050153667A1 (en) * 2004-01-08 2005-07-14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Escape mechanism for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US20110039564A1 (en) * 2009-08-11 2011-02-17 Ubiquisys Limited Load balancing i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US20110307609A1 (en) * 2010-06-10 2011-12-15 Rangarajan Hari Load based probe response scheduling
WO2014042437A2 (ko) * 2012-09-11 2014-03-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랜에서 초기 채널 액세스 방법 및 장치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s1-022156 *
J. Son et al., "Further Considerations on Enhanced CCA for 11ax", IEEE 802.11-14/847r1, IEEE(2014.07.) 1부.*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5390B1 (ko) * 2016-11-21 2018-06-08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비면허 대역에서 무선 자원을 공유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113623A (zh) 2017-08-29
ES2762960T3 (es) 2020-05-26
CN107113623B (zh) 2021-06-04
WO2016114588A1 (ko) 2016-07-21
US20180027552A1 (en) 2018-01-25
US10375691B2 (en) 2019-08-06
EP3247157B1 (en) 2019-11-27
EP3247157A4 (en) 2018-08-08
EP3247157A1 (en) 2017-11-22
KR102343961B1 (ko) 2021-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97712B2 (en) Techniques of improving EDCA mechanism in spatial reuse
US11122578B2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CN107079491B (zh) Lbt机制的方法以及无线装置
CA2989459C (en) Controlling transmission of a wireless device associated with multiple access points
KR102343961B1 (ko) 무선자원관리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액세스 포인트
KR20180091772A (ko) 2차 채널 상의 기본 대역폭 디바이스
CN107027133B (zh) 一种处理信息的方法、第一接入点及第一站点
WO2016061463A2 (en) Access point selection based on association performance
TW201637480A (zh) 適應性短訊框間空間脈衝
US20210029716A1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WO2017019232A1 (en) Out-of-band hidden node detection
CN108293266B (zh) 网络节点及其方法
TWI383619B (zh) 發送延緩管理信息之方法及裝置
US20080181192A1 (en)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US9894535B2 (en) Preamble-based channel reservation and self-organized fairness mechanisms for long term evolution (LTE) over shared spectrum
US11765706B2 (en) Cooperative inter-network channel selection
US10045379B2 (en) Multi-radio wireless local area network apparatus and method
US9860775B2 (en) Network based determination of whether to add a device to a system using CSMA
KR20060081017A (ko) Wlan 시스템의 간섭 감지 장치 및 그 방법
US20230164663A1 (en) Multi-link device and method of switching operation mode of multi-link device
JP2023545848A (ja) サイドリンクリソース選択方法及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