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8489A - 신축성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신축성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8489A
KR20160088489A KR1020150007458A KR20150007458A KR20160088489A KR 20160088489 A KR20160088489 A KR 20160088489A KR 1020150007458 A KR1020150007458 A KR 1020150007458A KR 20150007458 A KR20150007458 A KR 20150007458A KR 20160088489 A KR20160088489 A KR 201600884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stretchable
inner region
fastening structure
display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74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56697B1 (ko
Inventor
김영찬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074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6697B1/ko
Priority to US14/803,267 priority patent/US9894734B2/en
Publication of KR201600884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84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66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66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12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 H05B33/22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or physical composition or the arrangement of auxiliary dielectric or reflective lay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1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12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 H05B33/14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or physical composition or the arrangement of the electroluminescent material, or by the simultaneous addition of the electroluminescent material in or onto the light source
    • H05B33/145Arrangements of the electroluminescent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 표시 장치는, 신축성 재질로 제작된 표시 패널과, 표시 패널의 가장자리와 체결되는 체결 구조체와, 체결 구조체에 고정되며 표시 패널의 가장자리와 일체로 연결되는 체결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신축성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STRETCHABLE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신축성을 갖는 신축성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 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TV, 노트북 PC, 태블릿 PC, 휴대폰 등과 같은 다양한 표시 장치가 일반화되어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신축성 표시 장치와 같은 차세대 표시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신축성 표시 장치는 탄성 복원력을 가지며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는 표시 장치를 의미한다.
신축성 표시 장치는 형태가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축성 표시 장치는 태블릿 PC, 휴대폰 등과 같은 휴대 장치뿐만 아니라 웨어러블(wearable)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신축성 표시 장치는 신축성을 가지며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됨에 따라 신축 변형 시, 체결 구조체에 대한 스트레스를 최소화시킬 수 있어야 한다.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기술적 배경을 바탕으로 창출된 것으로, 체결 구조체에 대한 표시 패널의 체결력을 높일 수 있고, 표시 패널의 신축 변형에 따른 스트레스를 최소화할 수 있는 신축성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 표시 장치는, 신축성 재질로 제작된 표시 패널과, 상기 표시 패널의 가장자리와 체결되는 체결 구조체와, 상기 체결 구조체에 고정되며 상기 표시 패널의 가장자리와 일체로 연결되는 체결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은 신축성 재질의 신축성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 고정부는 상기 신축성 기판과 일체로 연결되며, 상기 신축성 기판과 동일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신축성 기판 및 상기 체결 고정부는 PDMS(Poly dimethyl siloxane)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체결 구조체는 상기 표시 패널의 가장자리가 통과하는 입구와, 상기 입구와 연결되는 내측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체결 구조체의 입구는 상기 내측 영역의 단면적 보다 작은 단면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체결 고정부는 상기 신축성 기판과 동일 재질로서 상기 내측 영역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체결 고정부는 상기 신축성 기판의 경도 보다 큰 경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체결 고정부는 상기 신축성 기판의 신축 방향에 따른 양측 가장자리에 일체로 연결되며, 상기 내측 영역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체결 구조체는 상기 체결 고정부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돌기를 상기 내측 영역에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체결 구조체는 상기 체결 고정부를 고정하기 위해 상기 내측 영역에서 입구 측으로 갈수록 내부 단면적이 점차 작아지는 고정 면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은, 금형에 액상의 신축성 소재를 주입하고, 상기 액상의 신축성 소재를 경화시켜 신축성 기판을 사출 성형하며, 상기 신축성 기판 위에 화소부 및 구동부를 형성하여 신축성 표시 패널을 제조하고, 입구와 내측 영역을 가진 체결 구조체를 제공하며, 상기 체결 구조체의 내측 영역으로 액상의 신축성 소재를 주입하고, 상기 신축성 기판의 가장자리 부분을 상기 입구를 통해 상기 내측 영역으로 삽입하며, 상기 액상의 신축성 소재를 경화시키며 상기 체결 구조체의 내측 영역에 체결 고정부를 성형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 고정부를 성형하는 과정에서는 상기 신축성 기판의 가장자리와 상기 체결 고정부를 일체로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신축성 기판 및 상기 체결 고정부를 성형하는 과정에서는 상기 신축성 소재로서 PDMS(Poly dimethyl siloxane)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체결 고정부를 성형하는 과정에서는 상기 입구의 단면적이 상기 내측 영역의 내부 단면적 보다 큰 체결 구조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신축성 기판을 성형하는 과정에서는 일정 온도로서 상기 금형을 가열하여 상기 신축성 소재를 경화시킬 수 있다.
상기 신축성 기판을 성형하는 과정에서는 상온에서 상기 신축성 소재를 경화시킬 수 있다.
상기 체결 고정부를 성형하는 과정에서는 상기 신축성 기판을 성형하는 과정에서 상기 금형을 가열한 온도보다 더 높은 온도로서 상기 체결 구조체를 가열할 수 있다.
상기 체결 고정부를 성형하는 과정에서는 상기 신축성 기판의 경도보다 더 큰 경도의 체결 고정부를 성형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신축성 표시 장치에 의하면, 신축성 표시 패널의 신축 시 체결 구조체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고, 체결 부위에 작용하는 스트레스를 최소화 할 수 있다.
이 도면들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참조하기 위함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한 도면에 한정해서 해석하여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 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 표시 장치에 적용되는 신축성 표시 패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 표시 장치를 도시한 일부 단면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 표시 장치에 적용되는 체결 구조체를 도시한 단면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 표시 장치에 적용되는 체결 구조체의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 구성도이다.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 표시 장치에 적용되는 체결 구조체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 구성도이다.
도 10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제조 공정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여러 실시예들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일 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일 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도면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부 층 및 영역의 두께를 과장되게 나타내었다.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상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상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상에”라 함은 대상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이며, 반드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 측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 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 표시 장치(100)는 신축성 표시 패널(110) 및 체결 구조체(120)를 포함한다.
신축성 표시 패널(110)은 영상을 표시한다. 신축성 표시 패널(110)은 외부의압력에 의해 스트레처블(stretchable)하게 신축될 수 있는 신축성 재질로 제작된다. 신축성 표시 패널(110)은 한 쪽 가장자리를 고정한 상태에서 다른 한 쪽 가장자리를 당기거나 양 쪽 가장자리를 당기면 일 방향으로 인장될 수 있고, 탄성 복원력에 의해 원래의 형상으로 수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축성 표시 패널(110)은 도 2에서와 같이 신축성을 지닌 신축성 기판(111)에 복수의 화소부(113)를 포함하는 표시소자 및 복수의 구동부(115)를 포함하는 구동소자를 형성하여 제작될 수 있다. 신축성 기판(111)은 표시소자 및 구동소자 등을 형성하기 위해 상면에 다양한 패턴 및 아일랜드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신축성 기판(111)은 PDMS(Poly dimethyl siloxane) 소재 등의 신축성 재질을 포함하는 절연성 기판이다. 신축성 기판(111)은 스트레처블(stretchable)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플렉서블(flexible)하거나, 폴더블(foldable)하거나, 벤더블(bendable)하거나, 롤러블(rollable)할 수도 있다.
신축성 기판(111)이 스트레처블(stretchable)하거나, 플렉서블(flexible)하거나, 폴더블(foldable)하거나, 벤더블(bendable)하거나, 롤러블(rollable)함으로써, 신축성 표시 장치(100) 전체가 플렉서블(flexible)하거나, 스트레처블(stretchable)하거나, 폴더블(foldable)하거나, 벤더블(bendable)하거나, 롤러블(rollable)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신축성 표시 패널(110)로는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EL(electro luminescence), LCD(Liquid crystal display) 등이 채용될 수 있다. 그 외에 신축성 표시 패널(110)은 다양한 구성 및 구동 방식이 채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 표시 장치를 도시한 일부 단면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체결 구조체(120)는 신축성 표시 패널(110)의 가장자리와 체결된다. 체결 구조체(120)는 신축성 표시 패널(110)의 신축 방향에 따른 양측 가장자리와 체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체결 구조체(120)는 신축성 표시 장치(100)를 지지하는 케이스에 마련될 수 있고, 그 케이스와 별개로 마련될 수도 있다. 신축성 표시 패널(110)의 일측 가장자리는 케이스에 마련된 체결 구조체(120)와 체결되고, 신축성 표시 패널(110)의 다른 일측 가장자리는 별개의 체결 구조체(120)와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신축성 표시 패널(110)의 일측 가장자리 및 다른 일측 가장자리는 그 별개의 체결 구조체(120)와 각각 체결될 수도 있다. 체결 구조체(120)는 신축성 표시 패널(110)에서 신축성 기판(111)의 양측 가장자리에 구획된 체결 부위(117)와 체결될 수 있다.
체결 구조체(120)는 경질 재료로 이루어져 있다. 체결 구조체(120)는 열전달이 가능한 소재일 수 있고, 열전도도가 낮은 소재일 수도 있다. 체결 구조체(120)는 신축성 기판(111)의 양측 가장자리에 대응하는 길이 방향을 따라 입구(121)를 형성하고 있다. 체결 구조체(120)는 그 입구(121)와 연결되는 내측 영역(123)을 형성하고 있다.
체결 구조체(120)의 입구(121)는 신축성 표시 패널(110)의 가장자리 즉, 신축성 기판(111)의 양측 가장자리인 체결 부위(117)가 통과한다. 내측 영역(123)은 입구(121)를 통과한 신축성 기판(111)의 체결 부위(117)가 위치하는 영역으로, 체결 구조체(120)의 바디에 둘러싸여 있다.
더 나아가, 체결 구조체(120)의 입구(121)는 내측 영역(123)의 단면적 보다 작은 단면적을 가질 수 있다. 입구(121)는 신축성 기판(111)의 체결 부위(117)가 통과할 수 있는 정도의 단면적을 지니며, 내측 영역(123)은 입구 단면적 보다 상대적으로 큰 단면적을 지닌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 표시 장치(100)는 신축성 표시 패널(110)의 가장자리와 체결 구조체(120)를 체결 및 고정하기 위한 체결 고정부(130)를 더 포함하고 있다. 체결 고정부(130)는 신축성 기판(111)의 체결 부위(117)와 체결 구조체(120)를 체결 및 고정할 수 있다.
체결 고정부(130)는 신축성 표시 패널(110)의 가장자리인 신축성 기판(111)의 체결 부위(117)와 일체로 연결되는 부분이다. 체결 고정부(130)는 신축성 기판(111)의 신축 방향에 따른 양측 가장자리에 일체로 연결된다. 체결 고정부(130)는 체결 구조체(120)의 내측 영역(123)에 마련되며, 그 체결 구조체(120)에 고정될 수 있다.
체결 고정부(130)는 신축성 기판(111)과 동일 재질인 신축성 소재, 예컨대 PDMS(Poly dimethyl siloxane) 소재 등의 신축성 재질로서 체결 구조체(120)의 내측 영역(123)에 마련될 수 있다. 체결 고정부(130)는 신축성 소재가 체결 구조체(120)의 내측 영역(123)에서 몰딩되며 형성될 수 있다. 체결 고정부(130)는 체결 구조체(120)와의 결합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신축성 기판(111)의 경도 보다 큰 경도를 가질 수 있다.
다른 한편, 체결 구조체(120)는 내측 영역(123)에 마련된 체결 고정부(130)를 고정하기 위해 도 4에서와 같은 고정 돌기(125)를 내측 영역(123)에 형성하고 있다.
예를 들면, 고정 돌기(125)는 체결 구조체(120)의 내측 영역(123)에서 입구(121) 측에 마련될 수 있다. 고정 돌기(125)는 입구(121) 측에서 내측 영역(123)으로 가며 단차진 계단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고정 돌기(125)는 복수 개의 단차 면을 통해 내측 영역(123)의 내측 면과 체결 고정부(130)와의 접촉 면적을 증대시키는 기능을 하게 된다. 즉, 고정 돌기(125)는 내측 영역(123)에서 체결 고정부(130)와 맞물리며 그 체결 고정부(130)과 내측 영역(123)의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잡아주는 기능을 하게 된다.
다른 변형예로서, 고정 돌기(125)는 도 5에서와 같이 입구(121) 측에서 내측 영역(123)으로 가며 뾰족하게 돌출된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고정 돌기(125)는 복수 개로 형성되며, 입구(121) 측에서 내측 영역(123)으로 갈수록 크기가 점차 커지는 삼각 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그 외에, 체결 구조체(120)는 내측 영역(123)에서 체결 고정부(130)를 고정하기 위해, 도 6에서와 같이 그 내측 영역(123)의 중간부 측에서 입구(121) 측으로 갈수록 내부 단면적이 점차 작아지는 고정 면(127)을 형성할 수도 있다. 고정 면(127)은 입구(121) 단부에서 내측 영역(123)의 대략 중간부 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차 커지는 평탄한 경사 면으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 면(127)은 도 7에서와 같이 입구(121) 단부에서 내측 영역(123)의 대략 중간부 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차 커지는 라운드 면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더 나아가, 고정 면(127)은 도 8에서와 같이 입구(121)와 연결되는 내측 영역(123)의 전체 내측 면이 원형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이에 체결 구조체(120)는 단면으로서 대략 C형상을 취하며, 내측 영역(123)의 내측 면에 원형의 고정 면(127)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고정 면(127)은 도 9에서와 같이 입구(121) 단부에서 내측 영역(123)의 전체 영역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차 커지는 평탄한 경사 면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체결 구조체(120)는 단면으로서 대략 ㄷ 형상을 취하며, 입구(121) 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차 작아지는 고정 면(127)을 형성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 표시 장치(100)의 제조 방법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제조 공정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우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일정 용적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고 있는 금형(210)을 제공하고, 그 금형(210)의 내부 공간으로 액상의 신축성 소재(220)를 주입한다. 액상의 신축성 소재(220)는 PDMS(Poly dimethyl siloxane)일 수 있다. 그리고 금형(210)에는 다양한 패턴 및 홈과 돌기 형상 등을 형성하고 있다.
이어서, 도 11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금형(210) 내부로 주입된 액상의 신축성 소재(220)를 경화시킨다. 이 과정에서는 금형(210)으로 일정 온도의 열을 가하여 그 금형(210) 내부의 신축성 소재(220)를 경화시킬 수 있다. 대안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신축성 소재(220)를 상온에서 경화시킬 수도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금형(210)으로 열을 가하여 신축성 소재(220)를 경화시키는 것으로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금형(210) 내부에서 경화된 신축성 소재(220)를 그 금형(210)으로부터 분리한다. 그러면 도 12에서와 같이 신축성을 지닌 신축성 기판(111)을 사출 성형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신축성 기판(111)을 제작하는 공정은 예를 들면, 도광판(Light Guide Plate)을 제작하는 사출 공정과 동일할 수 있다. 이렇게 제작된 신축성 기판(111)은 표시소자 및 구동소자 등을 형성하기 위해 상면에 다양한 패턴 및 아일랜드 형상을 형성하고 있다.
그 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도 13에서와 같이 신축성 기판(111) 위에 복수의 화소부(113)를 포함하는 표시소자 및 복수의 구동부(115)를 포함하는 구동소자를 형성하여 신축성 표시 패널(110)을 제작한다. 신축성 표시 패널(110)은 신축성 기판(111)의 양측 가장자리에 일정 영역의 체결 부위(117)를 형성하고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도 14에서와 같이 입구(121)와 내측 영역(123)을 가진 체결 구조체(120)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작된 신축성 표시 패널(110)을 제공한다.
체결 구조체(120)는 입구(121)의 단면적이 내측 영역(123)의 내부 단면적 보다 큰 것으로 제공될 수 있다. 체결 구조체(120)는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고정 돌기(125)를 내측 영역(123)에 형성하는 것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 5 내지 도 9에서와 같은 형태의 체결 구조체(120)를 제공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도 15에서와 같이 체결 구조체(120)의 입구(121)를 통해 내측 영역(123)으로 액상의 신축성 소재(310)를 주입한다. 액상의 신축성 소재(310)는 신축성 기판(111)과 동일 재질인 PDMS(Poly dimethyl siloxane)일 수 있다.
그 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신축성 표시 패널(110)의 가장자리 부분인 신축성 기판(111)의 체결 부위(117)를 체결 구조체(120)의 입구(121)를 통해 내측 영역(123)으로 삽입한다. 신축성 기판(111)의 체결 부위(117)는 입구(121)를 통해 내측 영역(123)으로 삽입되며 액상의 신축성 소재(310)에 잠기게 된다.
이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도 16에서와 같이 체결 구조체(120)의 내측 영역(123)으로 주입된 액상의 신축성 소재(310: 도 15 참조)를 경화시킨다. 이 과정에서는 체결 구조체(120)로 일정 온도의 열을 가하여 그 체결 구조체(120) 내부의 신축성 소재(310: 도 15 참조)를 경화시킬 수 있다.
체결 구조체(120)에 열을 가하여 액상의 신축성 소재(310: 도 15 참조)를 경화시키는 온도는 신축성 기판(111)을 성형하는 앞선 과정에서 금형을 가열하는 온도보다 더 높은 온도이다.
이렇게 체결 구조체(120)의 내측 영역(123)에서 액상의 신축성 소재(310: 도 15 참조)가 경화됨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체결 구조체(120)의 내측 영역(123)에 신축성 재질의 체결 고정부(130)를 성형할 수 있다.
체결 고정부(130)는 체결 구조체(120)의 내측 영역(123)에서 신축성 기판(111)의 체결 부위(117)와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이는 체결 구조체(120)의 내측 영역(123)으로 주입된 액상의 신축성 소재(310: 도 15 참조)에 신축성 기판(111)의 체결 부위(117)가 잠긴 상태에서 그 신축성 소재(310)가 경화되었기 때문이다.
또한, 체결 고정부(130)는 신축성 기판(111)을 성형하는 과정에서 신축성 소재를 경화시키는 온도보다 더 높은 온도로서 신축성 소재(310: 도 15 참조)를 경화시킴에 따라, 신축성 기판(111)의 경도 보다 더 큰 경도로 성형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일련의 과정을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도 1 및 도 3에서와 같은 신축성 표시 장치(100)를 제조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 표시 장치(100)는 입구(121)보다 내측 영역(123)의 단면적이 큰 체결 구조체(120)를 포함하고, 체결 구조체(120)의 내측 영역(123)에 신축성 표시 패널(110)의 신축성 기판(111)을 일체로 연결하는 체결 고정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달리 체결 핀이나 접착제를 이용하여 체결 구조체(120)에 신축성 표시 패널(110)을 체결하는 경우, 신축성 표시 패널(110)의 신축 시 발생하는 스트레스로 인해 신축성 표시 패널(110)이 파손되거나 체결 구조체(120)로부터 쉽게 떨어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입구(121)보다 내측 영역(123)의 단면적이 큰 체결 구조체(120)의 내측 영역(123)에 신축성 표시 패널(110)의 신축성 기판(111)과 일체로 연결되는 체결 고정부(130)를 마련하므로, 신축성 표시 패널(110)의 신축 시 체결 구조체(120)로부터 신축성 표시 패널(110)이 쉽게 분리되지 않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신축성 기판(111)과 체결 고정부(130)를 동일 재질로서 일체로 연결하므로, 신축성 표시 패널(110)의 신축 시 체결 부위에 대한 스트레스를 최소화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체결 고정부(130)의 경도가 신축성 기판(111)의 경도보다 더 크므로, 체결 구조체(120)에 대한 신축성 표시 패널(110)의 체결력을 높일 수 있다.
지금까지 참조한 도면과 기재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신축성 표시 장치 110… 신축성 표시 패널
111… 신축성 기판 113… 화소부
115… 구동부 117… 체결 부위
120… 체결 구조체 121… 입구
123… 내측 영역 125… 고정 돌기
127… 고정 면 130… 체결 고정부
210… 금형 220, 310… 신축성 소재

Claims (19)

  1. 신축성 재질로 제작된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의 가장자리와 체결되는 체결 구조체; 및
    상기 체결 구조체에 고정되며, 상기 표시 패널의 가장자리와 일체로 연결되는 체결 고정부;
    를 포함하는 신축성 표시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신축성 재질의 신축성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체결 고정부는 상기 신축성 기판과 일체로 연결되는 신축성 표시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고정부는 상기 신축성 기판과 동일 재질로 마련되는 신축성 표시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성 기판 및 상기 체결 고정부는 PDMS(Poly dimethyl siloxane)로 마련되는 신축성 표시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구조체는,
    상기 표시 패널의 가장자리가 통과하는 입구와, 상기 입구와 연결되는 내측 영역을 형성하는 신축성 표시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구조체의 입구는 상기 내측 영역의 단면적 보다 작은 단면적을 가지는 신축성 표시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신축성 재질의 신축성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체결 고정부는 상기 신축성 기판과 동일 재질로서 상기 내측 영역에 마련되는 신축성 표시 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고정부는 상기 신축성 기판의 경도 보다 큰 경도를 가지는 신축성 표시 장치.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고정부는 상기 신축성 기판의 신축 방향에 따른 양측 가장자리에 일체로 연결되며, 상기 내측 영역에 마련되는 신축성 표시 장치.
  10.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구조체는,
    상기 체결 고정부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돌기를 상기 내측 영역에 형성하는 신축성 표시 장치.
  11.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구조체는,
    상기 체결 고정부를 고정하기 위해 상기 내측 영역에서 입구 측으로 갈수록 내부 단면적이 점차 작아지는 고정 면을 형성하는 신축성 표시 장치.
  12. 금형에 액상의 신축성 소재를 주입하고, 상기 액상의 신축성 소재를 경화시켜 신축성 기판을 사출 성형하며;
    상기 신축성 기판 위에 화소부 및 구동부를 형성하여 신축성 표시 패널을 제조하고;
    입구와 내측 영역을 가진 체결 구조체를 제공하며, 상기 체결 구조체의 내측 영역으로 액상의 신축성 소재를 주입하고, 상기 신축성 기판의 가장자리 부분을 상기 입구를 통해 상기 내측 영역으로 삽입하며;
    상기 액상의 신축성 소재를 경화시키며 상기 체결 구조체의 내측 영역에 체결 고정부를 성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신축성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고정부를 성형하는 과정에서는 상기 신축성 기판의 가장자리와 상기 체결 고정부를 일체로 연결하는 신축성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4.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성 기판 및 상기 체결 고정부를 성형하는 과정에서는 상기 신축성 소재로서 PDMS(Poly dimethyl siloxane)를 제공하는 신축성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5.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고정부를 성형하는 과정에서는 상기 입구의 단면적이 상기 내측 영역의 내부 단면적 보다 큰 체결 구조체를 제공하는 신축성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6.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성 기판을 성형하는 과정에서는 일정 온도로서 상기 금형을 가열하여 상기 신축성 소재를 경화시키는 신축성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7.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성 기판을 성형하는 과정에서는 상온에서 상기 신축성 소재를 경화시키는 신축성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8.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고정부를 성형하는 과정에서는 상기 신축성 기판을 성형하는 과정에서 상기 금형을 가열한 온도보다 더 높은 온도로서 상기 체결 구조체를 가열하는 신축성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고정부를 성형하는 과정에서는 상기 신축성 기판의 경도보다 더 큰 경도의 체결 고정부를 성형하는 신축성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0150007458A 2015-01-15 2015-01-15 신축성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3566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7458A KR102356697B1 (ko) 2015-01-15 2015-01-15 신축성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US14/803,267 US9894734B2 (en) 2015-01-15 2015-07-20 Stretchabl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7458A KR102356697B1 (ko) 2015-01-15 2015-01-15 신축성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8489A true KR20160088489A (ko) 2016-07-26
KR102356697B1 KR102356697B1 (ko) 2022-01-27

Family

ID=56408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7458A KR102356697B1 (ko) 2015-01-15 2015-01-15 신축성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894734B2 (ko)
KR (1) KR10235669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1713A (ko) 2017-10-13 2019-04-23 한국기계연구원 신축가능한 디바이스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신축가능한 디바이스
KR20190079904A (ko) 2017-12-28 2019-07-08 한국기계연구원 전사공정을 이용한 신축가능한 디바이스 제조방법
KR20200056296A (ko) * 2018-11-14 2020-05-22 한국과학기술원 직물 기판 및 그 제조방법
CN112908170A (zh) * 2021-01-28 2021-06-04 合肥维信诺科技有限公司 显示面板组件及显示装置
KR20210124075A (ko) * 2020-04-04 2021-10-14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스트레처블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00761S1 (en) * 2018-08-27 2020-11-03 Lg Electronics Inc. Portable monitor
CN109036145B (zh) * 2018-08-31 2020-12-29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可拉伸显示面板和柔性显示装置
CN109345959A (zh) * 2018-10-12 2019-02-1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柔性衬底、柔性显示面板、柔性显示装置和制作方法
KR102519417B1 (ko) * 2018-11-28 2023-04-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스트레처블 표시 장치
CN109801881B (zh) * 2019-02-02 2020-06-3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和显示装置
USD1028979S1 (en) * 2021-09-01 2024-05-28 Lg Display Co., Ltd. Display scre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57935A (ko) * 2012-11-05 2014-05-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조립 방법
KR20150003308A (ko) * 2006-09-06 2015-01-08 더 보오드 오브 트러스티스 오브 더 유니버시티 오브 일리노이즈 2차원 인장 가능하고 구부릴 수 있는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17381B2 (en) 2004-06-04 2012-07-10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University Of Illinois Controlled buckling structures in semiconductor interconnects and nanomembranes for stretchable electronics
KR101164432B1 (ko) 2010-01-18 2012-07-12 (주)씰링테크 스트레치 시트 고정프레임
KR101374736B1 (ko) 2012-10-08 2014-03-17 주식회사 홀로앤빠비 박막형 렌티큘러렌즈와 인터레이스 이미지 간 이격 공간이 형성된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KR20150103786A (ko) * 2014-03-03 2015-09-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시스템 및 그것의 동작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3308A (ko) * 2006-09-06 2015-01-08 더 보오드 오브 트러스티스 오브 더 유니버시티 오브 일리노이즈 2차원 인장 가능하고 구부릴 수 있는 장치
KR20140057935A (ko) * 2012-11-05 2014-05-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조립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1713A (ko) 2017-10-13 2019-04-23 한국기계연구원 신축가능한 디바이스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신축가능한 디바이스
KR20190079904A (ko) 2017-12-28 2019-07-08 한국기계연구원 전사공정을 이용한 신축가능한 디바이스 제조방법
KR20200056296A (ko) * 2018-11-14 2020-05-22 한국과학기술원 직물 기판 및 그 제조방법
KR20210124075A (ko) * 2020-04-04 2021-10-14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스트레처블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N112908170A (zh) * 2021-01-28 2021-06-04 合肥维信诺科技有限公司 显示面板组件及显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212822A1 (en) 2016-07-21
KR102356697B1 (ko) 2022-01-27
US9894734B2 (en) 2018-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88489A (ko) 신축성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US8269112B2 (en) Flexible circuit structure
US11048297B2 (en) Cover window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US20160324018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transparent protection window
TWI736774B (zh) 彎曲極限薄膜
US9572267B2 (en) Window member in a curved display device, method of manufacturing a window member of a curved display device, and curve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US20230034440A1 (en) Support backplane, flexible display screen, and electronic device
US9606290B2 (en) Backlight module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having engaging convex and concave positioning elements
TW201307086A (zh) 顯示裝置及製造其之方法
US9927847B2 (en) Computing device bonding assemblies
RU2011112400A (ru) Органическая электролюминесцентная панель, органический электролюминесцентный дисплей, органическое электролюминесцентное освет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ы их производства
WO2008126860A1 (ja) 画像表示装置、樹脂組成物、樹脂硬化物層、および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
KR20150110848A (ko) 표시 장치
US9274561B2 (en) Display device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display devices
US20210335976A1 (en) Array substrate, manufacturing method of array substrate and display panel
US20160276737A1 (en) Antenna structu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electronic device
WO2008139857A1 (ja) 異方導電性接着剤フィルム及び異方導電性接着剤フィルムの製造方法
US20200035944A1 (en) Substrate,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CN104279528B (zh) 照明装置及具有该照明装置的平板显示器
JP2011035856A (ja) 防水携帯端末装置
US20160313762A1 (en) Flexible display pane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WO2016106945A1 (zh) 液晶显示装置及其导光板定位块的制作方法
JP2017139413A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102026469B1 (ko) 신축가능한 디바이스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신축가능한 디바이스
CN109523914B (zh) 一种柔性屏的保护装置、显示面板及电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