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4075A - 스트레처블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스트레처블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4075A
KR20210124075A KR1020210043722A KR20210043722A KR20210124075A KR 20210124075 A KR20210124075 A KR 20210124075A KR 1020210043722 A KR1020210043722 A KR 1020210043722A KR 20210043722 A KR20210043722 A KR 20210043722A KR 20210124075 A KR20210124075 A KR 202101240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stretchable
stretchable substrate
pixel
stretc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37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89487B1 (ko
Inventor
주상현
Original Assignee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2101240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40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94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94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 H10K59/353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ical arrangement of the RGB subpixels
    • H01L27/3218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H01L27/3276
    • H01L51/0017
    • H01L51/0097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31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71/20Changing the shape of the active layer in the devices, e.g. patterning
    • H10K71/231Changing the shape of the active layer in the devices, e.g. patterning by etching of existing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 H01L2251/5338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11Flexible O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트레처블 기판과 상기 스트레처블 기판의 상면에 격자 형상으로 배열되는 복수 개의 단위 픽셀 및 상기 복수 개의 단위 픽셀로 구성되어 이미지를 표시하는 이미지 픽셀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스트레처블 기판의 연신율을 측정하는 스트레인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스트레처블 기판과 상기 단위 픽셀은 제 1 방향 또는 제 2 방향으로 연신되며, 상기 이미지 픽셀은 상기 스트레처블 기판과 상기 단위 픽셀이 연신될 때 상기 단위 픽셀의 개수가 감소하는 스트레처블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스트레처블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Strechable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스트레처블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평판 표시 장치로 플렉서블 표시 장치와 함께 스트레처블 표시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상기 플렉서블 표시 장치는 중심선을 기준으로 접히거나 롤 형상으로 말리는 표시 장치를 의미한다. 상기 플렉서블 표시 장치는 접히거나 말아질 때도 영상이 표시되는 화소 영역의 면적을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스트레처블 표시 장치는 제 1 방향 또는/및 제 1 방향에 수직인 제 2 방향으로 연신 가능한 표시 장치를 의미한다. 상기 스트레처블 표시 장치는 제 1 방향 또는/및 제 2 방향으로 연신되면서 화소 영역의 면적이 증가될 수 있다. 상기 스트레처블 표시 장치는 화소 영역의 픽셀이 제 1 방향 또는/및 제 2 방향으로 연신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스트레처블 표시 장치는 영상 영역의 이미지가 왜곡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트레처블 표시 장치는 픽셀이 연신되면서 이미지의 해상도가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연신 후에 표시되는 이미지가 연신 전과 동일한 면적을 가지며 왜곡되는 정도를 감소시키는 스트레처블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연신 후에 표시되는 이미지의 해상도가 유지되는 스트레처블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처블 표시 장치는 스트레처블 기판과 상기 스트레처블 기판의 상면에 격자 형상으로 배열되며 상기 스트레처블 기판과 함께 연신되는 복수 개의 단위 픽셀 및 상기 복수 개의 단위 픽셀로 구성되어 이미지를 표시하는 이미지 픽셀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스트레처블 기판의 연신율을 측정하는 스트레인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스트레처블 기판과 상기 단위 픽셀은 제 1 방향 또는 제 2 방향으로 연신되며, 상기 이미지 픽셀은 상기 스트레처블 기판과 상기 단위 픽셀이 연신될 때 상기 단위 픽셀의 개수가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미지 픽셀은 상기 스트레처블 기판의 연신 전에 Mi x Ni 개수의 단위 픽셀로 구성되며, 상기 이미지 픽셀은 상기 스트레처블 기판의 연신 후에 Mj x Nj 개수의 단위 픽셀로 구성되며, 상기 Mj와 Nj는 아래의 식 1)과 2)와 같이 정의될 수 있다.
Mj = Mi - ROUND(Mi x α1) --------- 1)
Nj = Ni - ROUND(Ni x α2) --------- 2)
여기서, Mi는 스트레처블 기판이 연신 전 상태에서 제 1 방향의 단위 픽셀의 개수이며, Ni는 제 2 방향의 단위 픽셀의 개수이다. Mj는 스트레처블 기판이 연신 후 상태에서 제 1 방향의 단위 픽셀의 개수이며, Nj는 제 2 방향의 단위 픽셀의 개수이다. Mi와 Ni는 2이상의 자연수이며, Mj와 Nj는 1 이상의 자연수이며, 각각 Mi Ni보다 작은 수이다. α1은 스트레처블 기판의 제 1 방향에 대한 연신율이며, α2은 제 2 방향의 연신율을 의미할 수 있다. ROUND(Mi x α1)는 1이상의 자연수이며, Mi x α1를 자연수까지 반올림한 숫자이다. ROUND(Ni x α2)는 1이상의 자연수이며, Ni x α2를 자연수까지 반올림한 숫자이다. 상기 연신율은 0 보다 큰 수이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단위 픽셀이 형성되는 단위 픽셀 영역과 상기 이미지 픽셀에 의하여 이미지가 표시되는 이미지 표시 영역을 구비하며, 상기 스트레처블 기판의 연신 전에 상기 단위 픽셀 영역과 상기 이미지 표시 영역이 동일하게 겹치며, 상기 스트레처블 기판의 연신 후에 상기 단위 픽셀 영역은 상기 스트레처블 기판이 연신되는 방향으로 면적이 증가하며, 상기 이미지 표시 영역은 면적이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이미지 표시 영역의 양측에 상기 이미지가 표시되지 않는 이미지 미표시 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미지 미표시 영역에는 상기 단위 픽셀이 위치하며, 상기 단위 픽셀은 발광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미지 픽셀을 구성하는 단위 픽셀들은 모두 동일한 색상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위 픽셀은 R, G, B의 서브 픽셀을 구비하여 하나의 색상을 표시하며, 상기 서브 픽셀은 발광 소자와 상기 발광 소자를 제어하는 TR 소자 및 도전 배선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트레처블 기판은 상기 제 1 방향의 양측에 위치하는 제 1 고정 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트레처블 기판은 상기 제 2 방향의 양측에 위치하는 제 2 고정 바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처블 표시 장치의 제어 방법은 연신되는 스트레처블 기판과 상기 스트레처블 기판의 상면에 격자 형상으로 배열되며 상기 스트레처블 기판과 함께 연신되는 복수 개의 단위 픽셀 및 상기 복수 개의 단위 픽셀로 구성되어 이미지를 표시하는 이미지 픽셀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스트레처블 기판의 연신율을 측정하는 스트레인 센서를 포함하는 스트레처블 표시 장치의 제어 방법이며, 상기 스트레처블 기판의 연신 된 후에 상기 이미지 픽셀의 단위 픽셀의 개수는 상기 스트레처블 기판의 단위 픽셀의 개수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미지 픽셀은 상기 스트레처블 기판의 연신 전에 Mi x Ni 개수의 단위 픽셀로 구성되며, 상기 이미지 픽셀은 상기 스트레처블 기판의 연신 후에 Mj x Nj 개수의 단위 픽셀로 구성되며, 상기 Mj와 Nj는 아래의 식 1)과 2)와 같이 정의될 수 있다.
Mj = Mi - ROUND(Mi x α1) --------- 1)
Nj = Ni - ROUND(Ni x α2) --------- 2)
여기서, Mi는 스트레처블 기판이 연신 전 상태에서 제 1 방향의 단위 픽셀의 개수이며, Ni는 제 2 방향의 단위 픽셀의 개수이다. Mj는 스트레처블 기판이 연신 후 상태에서 제 1 방향의 단위 픽셀의 개수이며, Nj는 제 2 방향의 단위 픽셀의 개수이다. Mi와 Ni는 2이상의 자연수이며, Mj와 Nj는 1 이상의 자연수이며, 각각 Mi Ni보다 작은 수이다. α1은 스트레처블 기판의 제 1 방향에 대한 연신율이며, α2은 제 2 방향의 연신율을 의미할 수 있다. ROUND(Mi x α1)는 1이상의 자연수이며, Mi x α1를 자연수까지 반올림한 숫자이다. ROUND(Ni x α2)는 1이상의 자연수이며, Ni x α2를 자연수까지 반올림한 숫자이다. 상기 연신율은 0 보다 큰 수이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단위 픽셀이 형성되는 단위 픽셀 영역과 상기 이미지 픽셀에 의하여 이미지가 표시되는 이미지 표시 영역을 구비하며, 상기 스트레처블 기판의 연신 전에 상기 단위 픽셀 영역과 상기 이미지 표시 영역이 동일하게 겹치며, 상기 스트레처블 기판의 연신 후에 상기 단위 픽셀 영역은 상기 스트레처블 기판이 연신되는 방향으로 면적이 증가하며, 상기 이미지 표시 영역은 면적이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트레처블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은 연신 후에 표시되는 이미지가 연신 전과 동일한 면적을 가지며 왜곡되는 정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스트레처블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은 연신 후에 표시되는 이미지의 해상도가 유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A"에 대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2의 이미지 픽셀의 3차원 개략도이다.
도 4는 도 1의 디스플레이 패널이 연신된 상태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도 4의 "B"에 대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연신 전 이미지와 연신 후의 이미지에 대한 사진이다.
도 7는 종래의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연신 전 이미지와 연신 후의 이미지에 대한 사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스트레처블 표시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패널의 고정 구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스트레처블 표시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패널의 고정 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스트레처블 표시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패널의 고정 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처블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처블 표시 장치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A"에 대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2의 이미지 픽셀의 3차원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처블 표시 장치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스트레인 센서(200) 및 제어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트레처블 표시 장치는 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영상을 표시하는데 필요한 일반적인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트레처블 표시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제 1 방향 또는/및 제 2 방향으로 인장력이 인가되면 디스플레이 패널이 연신될 수 있다. 상기 스트레처블 표시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이 연신될 때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되는 이미지가 왜곡되는 정도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특히, 상기 스트레처블 표시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이 연신되는 정도에 관계없이 이미지가 왜곡되는 정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스트레처블 표시 장치는 스트레인 센서(200)에서 디스플레이 패널의 연신율을 측정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되는 이미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스트레처블 표시 장치는 제어부(300)에서 디스플레이 패널과 스트레인 센서(200)를 제어하며,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되는 이미지를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 제 1 방향은 도 1에서 x축 방향을 의미하며, 제 2 방향은 y축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스트레처블 기판(110) 및 복수 개의 단위 픽셀(1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스트레처블 기판(110)의 상면에 복수 개의 단위 픽셀(120)이 격자 형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스트레처블 기판(110)과 단위 픽셀(120)이 모두 제 1 방향 또는/및 제 2 방향으로 연신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연신되지 않은 상태와 연신된 상태에서 동일 또는 유사한 크기의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제 1 방향 또는/및 제 2 방향으로 연신된 상태에서도 표시되는 이미지가 왜곡되는 정도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연신되는 정도에 관계없이 이미지가 왜곡되는 정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스트레처블 기판(110)은 외부에서 인장력이 인가되는 경우에 제 1 방향 또는/및 제2 방향으로 연신될 수 있는 기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트레처블 기판(110)은 실리콘(silicone), 폴리우레탄(polyurethane),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polyethylenenaphthalate),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폴리아릴레이트(polyarylate), 우레탄아크릴레이트(urethaneacrylate), 폴리이소프렌(polyisoprene), 폴리에테르이미드(polyetherimide), 폴리에테르술폰(polyethersulfone) 또는 폴리이미드(polyimide)와 같은 연신 가능한 수지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트레처블 기판(110)은 연신 가능한 다양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트레처블 기판(110)은 투명한 재질 또는 불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위 픽셀(120)은 내부에 R, G, B의 서브 픽셀을 구비하여 하나의 픽셀로 형성되며, 다양한 색상을 표시할 수 있다. 즉, 상기 단위 픽셀(12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에서 다양한 색상을 표시할 수 있는 픽셀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단위 픽셀(120)은 복수 개가 스트레처블 기판(110)의 상면에 격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위 픽셀(120)은 소정의 단위 픽셀 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서브 픽셀은 각각 발광 소자, 발광 소자를 제어하는 TR 소자 및 도전 배선(예를 들면, 게이트 배선, 데이터 배선)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광 소자는 OLED 소자 또는 퀀텀 닷 소자와 같은 발광 소자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광 소자는 이미지를 구현할 수 있는 다양한 발광 소자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발광 소자는 스트레처블 소자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발광 소자가 OLED 소자로 형성되는 경우에 OLED소자를 구성하는 층들은 연신 가능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OLED 소자는 스트레처블 유기물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TR 소자는 평판 표시 장치에서 발광 소자를 제어하는데 사용되는 일반적인 소자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TR 소자는 산화물 TFT 기반의 트랜지스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TR 소자는 1개의 스위칭 소자와 1개의 드라이빙 소자 및 1개의 캐패시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전 배선은 전기 도전성을 가지면서 연신 가능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도전 배선은 연신 가능한 구리,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전 배선은 폴리머와 폴리머에 혼합되는 도전성 입자를 포함하는 복합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위 픽셀(120)은 제 1 방향 또는/및 제 2 방향으로 연신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위 픽셀(120)은 R, G, B의 서브 픽셀이 각각 연신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서브 픽셀은 발광 소자가 연신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브 픽셀은 도전 패턴도 연신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TR 소자는 연신 가능하게 형성되거나 연신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TR 소자는 서브 픽셀에서 상대적으로 작은 면적을 가지므로 연신되지 않더라도 서브 픽셀이 전체적으로 연신되는데 영향을 주지 않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단위 픽셀(120)이 연신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할 수 있다.
상기 단위 픽셀(12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인장력이 인가되는 경우에 스트레처블 기판(110)과 함께 연신될 수 있다. 상기 단위 픽셀(120)은 스트레처블 기판(110)과 동일한 연신율로 연신될 수 있다. 상기 단위 픽셀(120)은 연신되는 경우에 연신율에 따라 단위 픽셀 면적이 증가될 수 있다. 즉, 상기 단위 픽셀(120)은 초기 단위 픽셀 면적에서 연신 단위 픽셀 면적으로 면적이 증가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신 단위 픽셀 면적은 단위 픽셀(120)이 연신된 상태에서 단위 픽셀(120)의 면적을 의미하며, 초기 단위 면적에 연신율을 곱한 면적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연신율이 10%인 경우에, 연신 단위 픽셀 면적은 초기 단위 픽셀 면적의 110%의 면적일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이미지를 구성하는 픽셀의 기본 단위로 이미지 픽셀(13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픽셀(130)은 복수 개의 단위 픽셀(120)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픽셀(130)은 하나의 색상을 표시할 수 있다. 즉, 상기 이미지 픽셀(130)을 구성하는 단위 픽셀(120)은 모두 동일한 색상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픽셀(13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에서 표시되는 이미지에서 단일 색상을 표시하는 기본 픽셀로 작용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픽셀(130)은 복수개가 디스플레이 패널(100)에서 격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픽셀(130)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격자 형상으로 배열되어 다양한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각각의 이미지 픽셀(130)이 구현하는 색상이 조합되어 전체적인 이미지를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픽셀(130)은 단위 픽셀(120)의 평면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위 픽셀(120)과 이미지 픽셀(130)은 원형, 사각형상 또는 육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위 픽셀(120)과 이미지 픽셀(130)은 바람직하게는 정사각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픽셀(130)은 스트레처블 기판(110)의 크기, 단위 픽셀(120)의 크기 또는 필요로 하는 이미지의 해상도에 따라 단위 픽셀(120)의 개수가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픽셀(130)은 연신되지 않은 상태에서 Mi x Ni 개수의 단위 픽셀(120)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Mi은 하나의 이미지 픽셀(130)에서 제 1 방향의 단위 픽셀(120)의 개수이며, Ni은 하나의 이미지 픽셀(130)에서 제 2 방향의 단위 픽셀(120)의 개수이며, i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연신 전의 개수임을 의미한다. 또한, Mi 및 Ni은 2 이상의 자연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이미지 픽셀(130)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10 x 10 개수의 단위 픽셀(120)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이미지 픽셀(130)은 100개의 단위 픽셀(12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픽셀(130)은 복수 개의 단위 픽셀(120)로 구성되어 가변 픽셀일 수 있다. 상기 가변 픽셀은 내부에 포함되는 픽셀의 분열과 결합 방식에 의하여 스트레처블 기판(110)에 배열된 단위 픽셀(120)의 모양 변형에 관계 없이 항상 일정한 크기로 유지되는 픽셀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픽셀(130)은 가변 픽셀로서 스트레처블 기판(110)이 연신되면서 픽셀의 모양이 늘어날 때 포함되는 단위 픽셀(120)의 개수를 줄여서 동일한 면적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픽셀(130)은 스트레처블 기판(110)이 제 1 방향 또는/및 제 2 방향으로 연신되는 경우에 스트레처블 기판(110)의 연신율에 따라 포함되는 단위 픽셀(120)의 개수가 감소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픽셀(130)의 단위 픽셀(120)의 개수는 연신되는 경우에 연신되기 전에 비하여 스트레처블 기판(110)의 연신율에 따라 포함되는 단위 픽셀(120)의 개수가 작을 수 있다. 즉, 상기 이미지 픽셀(130)은 스트레처블 기판(110)이 연신된 상태에서 Mj x Nj 개수의 단위 픽셀(120)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Mj은 하나의 이미지 픽셀(130)에서 제 1 방향의 단위 픽셀(120)의 개수이며, N은 하나의 이미지 픽셀(130)에서 제 2 방향의 단위 픽셀(120)의 개수이며, j는 스트레처블 기판(110)의 연신 후의 개수임을 의미한다. 또한, Mj 및 Nj은 1 이상의 자연수일 수 있다. 상기 이미지 픽셀(130)은 제 1 방향으로 10%의 연신율로 연신되는 경우에 9 x 10 개수의 단위 픽셀(120)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이미지 픽셀(130)은 90개의 단위 픽셀(12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픽셀(130)은 스트레처블 기판(110)이 연신된 후에 단위 픽셀(120)의 개수가 감소하지만 동일한 이미지 픽셀(130) 면적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픽셀(130)을 구성하는 단위 픽셀(120)이 제 1 방향으로 연신되면서 각각의 단위 픽셀 면적이 10% 증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미지 픽셀(130)은 스트레처블 기판(110)이 다시 수축되는 경우에 연신되기 전과 동일하게 Mi x Ni 개수의 단위 픽셀(120)로 단위 픽셀(12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픽셀(130)은 스트레처블 기판(110)의 연신율에 따라 아래의 식 1)과 2)에 의하여 결정되는 Mj x Nj 개수의 단위 픽셀(120)로 구성될 수 있다.
Mj = Mi - ROUND(Mi x α1) --------- 1)
Nj = Ni - ROUND(Ni x α2) --------- 2)
여기서, Mj는 스트레처블 기판(110)이 연신된 상태에서 제 1 방향의 단위 픽셀(120)의 개수이며, Nj는 제 2 방향의 단위 픽셀(120)의 개수이다. 상기 Mj와 Nj는 1보다 큰 자연수이며, 각각 Mi Ni보다 작은 수이다. α1은 스트레처블 기판(110)의 제 1 방향에 대한 연신율이며, α2은 제 2 방향의 연신율을 의미할 수 있다. ROUND(Mi x α1)는 1이상의 자연수이며, Mi x α1를 자연수까지 반올림한 숫자이다. ROUND(Ni x α2)는 1이상의 자연수이며, Ni x α2를 자연수까지 반올림한 숫자이다. 상기 연신율은 0 보다 큰 수이며, 상한치가 제한되지 않는다. 다만, 상기 연신율의 상한치는 스트레처블 기판(110)의 특성에 따라 제한될 수 있다. 상기 연신율은 바람직하게는 0.1이상이며, 3이하일 수 있다.
상기 이미지 픽셀(13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에서 표시하고자 하는 이미지의 해상도에 따라 이미지 픽셀 개수와 이미지 픽셀 면적이 결정될 수 있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해상도가 높으면, 이미지 픽셀 면적이 감소하고 이미지 픽셀 개수가 증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해상도가 낮으면, 이미지 픽셀 면적이 증가하고 이미지 픽셀 개수가 감소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픽셀(130)은 항상 이미지 픽셀 면적이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픽셀(13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연신되는 정도에 관계 없이 일정하게 이미지 픽셀 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연신되더라도 동일한 크기로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미지 픽셀(130)은 자연수에 따른 개수의 단위 픽셀(120)로 구성되므로, 단위 픽셀(120)의 연신율에 따라 반올림되는 개수의 단위 픽셀(120)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미지 픽셀(130)은 연신되는 방향의 폭이 연신 전과 대비하여 증감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경우에도, 이미지 픽셀(130)의 폭은 연신되는 단위 픽셀(120)의 폭보다 작게 된다.
상기 이미지 픽셀(13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연신되는 경우에 구성되는 단위 픽셀(120)의 개수가 감소될 수 있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연신되는 경우에 단위 픽셀(120)도 함께 연신되므로 단위 픽셀(120)의 면적이 증가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이미지 픽셀 면적은 동일하게 유지되므로, 이미지 픽셀(130)을 구성하는 단위 픽셀(120)의 개수가 감소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단위 픽셀(120)이 형성되는 단위 픽셀 영역(100a)과 이미지가 표시되는 이미지 표시 영역(100b)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픽셀(130)은 소정의 단위 픽셀 면적을 가지며, 이미지 표시 영역(100b)도 소정의 이미지 표시 면적을 가지게 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연신되지 않은 상태에서 이미지 픽셀(130)과 이미지 표시 영역(100b)은 동일하게 겹치게 되며, 단위 픽셀 면적과 이미지 표시 면적은 동일할 수 있다. 즉, 상기 이미지 픽셀(130)은 각각 이미지 픽셀(130)에 위치하는 모든 단위 픽셀(120)을 분할되어 포함하며, 모든 단위 픽셀(120)은 이미지를 표시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제 1 방향 또는/및 제 2 방향으로 연신되는 경우에, 이미지 픽셀(130)의 단위 픽셀 면적은 증가되지만, 이미지 표시 영역(100b)의 이미지 표시 면적은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외부에서 인장력이 인가되면 인장력이 인가되는 제 1 방향 또는/및 제 2 방향으로 전체적으로 연신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스트레처블 기판(110)과 단위 픽셀(120)이 함께 연신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단위 픽셀(120)의 개수가 동일한 상태에서 각각의 단위 픽셀(120)이 연신 방향으로 면적이 증가하게 되므로 이미지 픽셀(130)의 단위 픽셀 면적이 증가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제 1 방향으로 연신되면, 이미지 픽셀(130)은 제 1 방향으로 연신되면서 단위 픽셀 면적이 증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연신되더라도, 이미지 픽셀(130)의 개수와 면적은 동일하게 유지되므로 이미지 표시 면적은 동일하게 유지된다.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연신되는 경우에도 이미지를 왜곡을 최소화시키면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이미지의 해상도가 저하되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미지 픽셀(130)의 면적은 동일하게 유지되고 단위 픽셀(120)의 면적은 증가되므로 이미지 픽셀(130)에 포함되는 단위 픽셀(120)의 개수는 감소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제 1 방향 또는/및 제 2 방향으로 연신되는 경우에, 중앙에 이미지 표시 영역(100b)이 위치하고, 이미지 표시 영역(100b)의 주위에 이미지 미표시 영역(100c)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표시 영역(100b)과 이미지 미표시 영역(100c)에는 모두 연신된 단위 픽셀(120)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표시 영역(100b)에 위치하는 단위 픽셀(120a)은 발광하면서 색상을 표시하며, 이미지 미표시 영역(100c)에 위치하는 단위 픽셀(120b)은 발광하지 않는다.
상기 스트레인 센서(200)는 물질의 연신율을 측정하는 일반적인 센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트레인 센서(200)는 바람직하게는 박막으로 형성되는 센서일 수 있다. 상기 스트레인 센서(200)는 저항 방식을 이용하는 2단자 센싱 소자 또는 트랜지스터 방식을 이용하는 3단자 센싱 소자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트레인 센서(200)는 스트레처블 기판(110)의 상면 또는 하면에서 제 1 방향 또는/및 제 2 방향으로 연신되는 연신율을 측정할 수 있도록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스트레인 센서(200)는 스트레처블 기판(110)에 제 1 방향 또는 제 2 방향으로 인장력이 인가될 때 스트레처블 기판(110)의 연신율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스트레인 센서(200)는 스트레처블 기판(110)의 상면 또는 하면에서 각 모서리를 따라 위치하여 모서리 영역에서 연신율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트레인 센서(200)는 스트레처블 표시 장치가 상면으로 이미지를 표시하는 경우에, 스트레처블 기판(110)의 하면에서 이미지 표시 영역(100b)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트레인 센서(200)는 각각의 이미지 픽셀(130)의 하부에 위치하여 각각의 이미지 픽셀(130)의 연신율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스트레인 센서(200)는 스트레처블 표시 장치가 상면과 하면으로 이미지를 표시하는 투명 장치인 경우에 스트레처블 기판(110)의 모서리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스트레인 센서(200)는 단위 픽셀(120)을 형성할 때 함께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스트레인 센서(200)는 박막 센서로 형성되며, 단위 픽셀 형성 공정에서 함께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트레인 센서(200)는 각각의 단위 픽셀(120)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트레인 센서(200)는 소정 개수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스트레인 센서(200)는 10개의 단위 픽셀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트레인 센서(200)는 제 1 방향에 대한 연신율을 측정하는 제 1 방향 센서와 제 2 방향에 대한 연신율을 측정하는 제 2 방향 센서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스트레인 센서(200)는 제 1 방향 센서의 연신율을 평균하여 제 1 방향에 대한 연신율로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트레인 센서(200)는 제 2 방향 센서의 연신율을 평균하여 제 2 방향에 대한 연신율로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트레처블 기판(110)이 제 1 방향과 제 2 방향 사이의 방향으로 이 연신되는 경우에, 스트레인 센서(200)는 제 1 방향 센서와 제 2 방향 센서에서 각각 제 1 방향과 제 2 방향의 연신율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00)는 스트레처블 표시 장치를 작동하는데 필요한 다양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0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작동을 제어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00)에서 이미지가 구현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300)는 스트레인 센서(200)에서 측정되는 스트레처블 기판(110)의 연신율을 반영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300)는 실시간으로 스트레인 센서(200)에서 측정되는 스트레처블 기판(110)의 연신율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100)에서 이미지 픽셀(130)을 구성하는 단위 픽셀(120)을 설정하여 동일한 이미지 표시 영역(100b)에서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300)는 이미지 픽셀(130)을 구성하는 단위 픽셀(120) 즉 이미지 표시 영역(100b)에 위치하는 단위 픽셀(120)을 적정하게 구동하며, 이미지 픽셀(130)을 구성하지 않는 단위 픽셀(120) 즉, 이미지 미표시 영역(100c)에 위치하는 단위 픽셀(120)이 구동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제어부(30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표시되는 이미지가 왜곡되지 않고 해상도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처블 표시 장치의 제어 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도 1의 디스플레이 패널이 연신된 상태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도 4의 "B"에 대한 부분 확대도이다.
이하에서는, 상기 스트레처블 표시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연신되기 전에 이미지 픽셀(130)과 이미지 표시 영역(100b)이 동일한 위치에 동일하게 배치되며, 이미지 픽셀(130)은 각각 10 x 10으로 배열되는 단위 픽셀(120)을 구비하는 구성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제 1 방향으로 20% 신장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상기 스트레처블 표시 장치는 스트레처블 기판(110)이 연신되지 않은 상태에서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는 정지된 영상이거나, 동영상일 수 있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이미지 픽셀(130)을 구성하는 단위 픽셀(120)의 개수를 확정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픽셀(130)을 구성하는 단위 픽셀(120)의 개수와 이미지 픽셀(130)의 전체 개수는 스트레처블 표시 장치가 표시하는 이미지의 해상도와 면적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스트레처블 기판(110)이 연신되는 경우에 스트레인 센서(200)가 스트레처블 기판(110)의 연신율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스트레처블 기판(110)의 연신율은 제 1 방향과 제 2 방향에 대하여 각각 측정될 수 있다.
상기 스트레처블 기판(110) 장치는 제 1 방향의 연신율과 이미지 픽셀(130)에서 제 1 방향의 단위 픽셀(120)의 개수를 반영하여 위의 식 1)을 이용하여 연신된 상태의 이미지 픽셀(130)의 단위 픽셀(120)의 개수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트레처블 기판(110) 장치는 제 2 방향의 연신율과 이미지 픽셀(130)에서 제 2 방향의 단위 픽셀(120)의 개수를 반영하여 위의 식 2)를 이용하여 연신된 상태의 이미지 픽셀(130)의 단위 픽셀(120)의 개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스트레처블 기판(110)이 제 1 방향만으로 20%로 연신되면, 제 1 방향으로의 연신율(α1)은 0.2이며, 제 2 방향으로의 연신율(α2)은 0이다. 따라서, 상기 스트레처블 기판(110)이 연신된 후에 이미지 픽셀(130)을 구성하는 단위 픽셀(120)의 개수는 아래와 같게 된다.
Mj = 10 - ROUND(10 x 0.2) = 8
Nj = 10 - ROUND(10 x 0) = 10
따라서, 상기 스트레처블 기판(110)이 제 1 방향으로 20%로 연신되는 경우에, 이미지 픽셀(130)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8 x 10 개수의 단위 픽셀(120)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트레처블 기판(110)은 제 1 방향으로 20%로 연신되므로 제 1 방향으로 길이가 20%로 증가되며, 제 2 방향으로 길이의 변화가 없게 된다. 또한, 상기 단위 픽셀(120)도 각각 길이가 20%로 연신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이미지 픽셀(130)의 제 1 방향의 길이가 20% 증가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이미지 픽셀(130)은 각각의 면적과 전체 개수가 동일하게 유지되므로 이미지 표시 영역(100b)의 제 1 방향의 길이는 증가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중앙에 위치하는 이미지 픽셀(130)부터 단위 픽셀(120)의 개수를 조정하면서 제 1 방향과 제 2 방향으로 위치하는 이미지 픽셀(130)의 단위 픽셀(120)의 개수를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디스프레이 패널은 표시되는 이미지의 위치가 실질적으로 변경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중앙에 이미지가 표시되는 이미지 표시 영역(100b)이 위치하고, 이미지 표시 영역(100b)의 양측에 이미지 미표시 영역(100c)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연신된 후에, 이미지 표시 영역(100b)과 이미지 미표시 영역(100c)에는 모두 단위 픽셀(120a, 120b)이 위치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이미지 표시 영역(100b)에 위치하는 단위 픽셀(120a)은 색을 발광하여 이미지를 표시하며, 이미지 미표시 영역(100c)에 위치하는 단위 픽셀(120b)은 색을 발광하지 않으며, 이미지를 표시하지 않는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연신될 때 이미지 픽셀(130)을 구성하는 단위 픽셀(120)을 다시 설정하게 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연신될 때 이미지 픽셀(130)을 구성하는 단위 픽셀(120)의 개수가 변경되므로 이미지 픽셀(130)을 구성하는 단위 픽셀(120)을 다시 설정할 필요가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전체 이미지 픽셀(130)에서 중앙에 위치하는 이미지 픽셀(130)에 단위 픽셀(120)을 배정하고, 제 1 방향과 제 2 방향에 위치하는 이미지 픽셀(130)에 단위 픽셀(120)을 배정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중앙에서부터 이미지 픽셀(130)을 구성하므로 이미지 표시 영역(100b)의 위치가 변경되지 않을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처블 표시 장치에서 연신 전과 연신후에 표시되는 이미지 변화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는 본 발명의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연신 전 이미지와 연신 후의 이미지에 대한 사진이다. 도 7는 종래의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연신 전 이미지와 연신 후의 이미지에 대한 사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처블 표시 장치는, 도 6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연신되기 전에 정해진 이미지 표시 영역(100b)에서 이미지를 표현하며, 이미지 표시 영역(100b)과 이미지 픽셀(130)이 일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트레처블 표시 장치는, 도 6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제 1 방향으로 연신되는 경우에 연신되기 전과 동일한 이미지 표시 영역(100b)에서 이미지를 표시한다. 상기 스트레처블 표시 장치는 연신 전과 연신 후의 이미지를 동일한 크기와 동일한 해상도로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스트레처블 표시 장치는 이미지 표시 영역(100b)의 양측에 이미지 미표시 영역(100c)이 생성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미표시 영역(100c)의 폭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연신율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미표시 영역(100c)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발광하지 않은 단위 픽셀(120)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스트레처블 표시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연신율에 관계없이 항상 일정한 면적의 이미지 표시 영역(100b)에 왜곡되지 않는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스트레처블 표시 장치는, 도 6의 (c)에서 보는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연신율이 증가하더라도 동일한 이미지 표시 영역(100b)에 이미자가 표시되며, 이미지가 왜곡되지 않는다. 다만, 상기 스트레처블 표시 장치는 이미지 표시 영역(100b)의 양측에 형성되는 이미지 미표시 영역(100c)의 폭이 증가할 수 있다.
한편, 종래의 스트레처블 표시 장치는, 도 7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연신 전에 본 발명의 스트레처블 표시 장치와 동일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스트레처블 표시 장치는, 도 7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제 1 방향으로 연신되면서 이미지 표시 영역(100b)도 함께 연신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스트레처블 표시 장치에 표시되는 이미지는 제 1 방향으로 함께 연신되면서, 제 1 방향으로 왜곡되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1 방향으로 해상도도 저하될 수 있다.
종래의 스트레처블 표시 장치는 연신율이 증가함에 따라 이미지가 왜곡되는 정도가 더욱 증가될 수 있다. 종래의 스트레처블 표시 장치는 도 7의 (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연신율이 증가되면 이미지가 왜곡되는 정도가 증가하며, 해상도가 저하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처블 표시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사용 예에 따른 고정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스트레처블 표시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패널의 고정 구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스트레처블 표시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패널의 고정 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스트레처블 표시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패널의 고정 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상기 스트레처블 표시 장치는 다양한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스트레처블 표시 장치는 다양한 방향으로 연신되는 스트레처블 베이스에 장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스트레처블 표시 장치는 제 1 방향과 제 2 방향으로 연신되는 스트레처블 베이스에 장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트레처블 표시 장치는 제 1 방향 또는 제 2 방향으로만 연신되는 스트레처블 베이스에 장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트레처블 베이스는 연신되는 직물, 고무판, 망사천, 가죽, 메쉬망 또는 제 1 방향 또는 제 2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이동하는 한 쌍의 바(bar)와 같은 수단일 수 있다.
먼저, 상기 스트레처블 표시 장치가 제 1 방향 및 제 2 방향으로 연신되도록 사용되는 경우에, 스트레처블 기판(11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레처블 베이스(10)에 4 개의 모서리가 각각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스트레처블 기판(110)은 볼트, 리벳, 못, 스테이플, 실 박음질, 단추와 같은 고정 수단(140)에 의하여 스트레처블 베이스(10)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스트레처블 베이스(10)가 제 1 방향 또는/및 제 2 방향으로 연신되는 경우에, 스트레처블 기판(110)도 함께 제 1 방향 또는/및 제 2 방향으로 연신될 수 있다.
다음은, 상기 스트레처블 표시 장치가 제 1 방향만으로 연신되도록 사용되는 경우에, 스트레처블 기판(11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방향의 양측에 위치하는 제 1 고정 바(1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고정 바(150)는 금속 재질 또는 신축성이 없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고정 바(150)는 스트레처블 기판(110)의 제 1 방향의 양측에 결합되며, 스트레처블 기판(110)이 제 2 방향으로 연신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제 1 고정 바(150)는 볼트, 리벳과 같은 고정 수단에 의하여 스트레처블 베이스(10)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스트레처블 표시 장치는 스트레처블 기판(110)이 제 1 방향과 제 2 방향으로 연신되더라도 제 1 방향만으로 연신되면서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다음은, 상기 스트레처블 표시 장치가 제 2 방향만으로 연신되도록 사용되는 경우에, 스트레처블 기판(110)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방향의 양측에 위치하는 제 2 고정 바(1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고정 바(160)는 금속 재질 또는 신축성이 없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고정 바(160)는 스트레처블 기판(110)의 제 2 방향의 양측에 결합되며, 스트레처블 기판(110)이 제 1 방향으로 연신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제 2 고정 바(160)는 고정 수단(120)에 의하여 스트레처블 베이스(10)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스트레처블 표시 장치는 스트레처블 기판(110)이 제 1 방향과 제 2 방향으로 연신되더라도 제 2 방향만으로 연신되면서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상세히 살펴보았다. 이러한 실시예들은 이 발명을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스트레처블 베이스
100: 디스플레이 패널 100a: 단위 픽셀 영역
100b: 이미지 표시 영역 100c: 이미지 미표시 영역
110: 스트레처블 기판 120: 단위 픽셀
130: 이미지 픽셀 140: 고정수단
150: 제 1 고정 바 160: 제 2 고정 바
200: 스트레인 센서(200) 300: 제어부

Claims (12)

  1. 연신되는 스트레처블 기판과 상기 스트레처블 기판의 상면에 격자 형상으로 배열되며 상기 스트레처블 기판과 함께 연신되는 복수 개의 단위 픽셀 및 상기 복수 개의 단위 픽셀로 구성되어 이미지를 표시하는 이미지 픽셀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스트레처블 기판의 연신율을 측정하는 스트레인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스트레처블 기판과 상기 단위 픽셀은 제 1 방향 또는 제 2 방향으로 연신되며,
    상기 이미지 픽셀은 상기 스트레처블 기판과 상기 단위 픽셀이 연신될 때 상기 단위 픽셀의 개수가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처블 표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픽셀은 상기 스트레처블 기판의 연신 전에 Mi x Ni 개수의 단위 픽셀로 구성되며,
    상기 이미지 픽셀은 상기 스트레처블 기판의 연신 후에 Mj x Nj 개수의 단위 픽셀로 구성되며,
    상기 Mj와 Nj는 아래의 식 1)과 2)와 같이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처블 표시 장치.
    Mj = Mi - ROUND(Mi x α1) --------- 1)
    Nj = Ni - ROUND(Ni x α2) --------- 2)
    여기서, Mi는 스트레처블 기판이 연신 전 상태에서 제 1 방향의 단위 픽셀의 개수이며, Ni는 제 2 방향의 단위 픽셀의 개수이다. Mj는 스트레처블 기판이 연신 후 상태에서 제 1 방향의 단위 픽셀의 개수이며, Nj는 제 2 방향의 단위 픽셀의 개수이다. Mi와 Ni는 2이상의 자연수이며, Mj와 Nj는 1 이상의 자연수이며, 각각 Mi Ni보다 작은 수이다. α1은 스트레처블 기판의 제 1 방향에 대한 연신율이며, α2은 제 2 방향의 연신율을 의미할 수 있다. ROUND(Mi x α1)는 1이상의 자연수이며, Mi x α1를 자연수까지 반올림한 숫자이다. ROUND(Ni x α2)는 1이상의 자연수이며, Ni x α2를 자연수까지 반올림한 숫자이다. 상기 연신율은 0 보다 큰 수이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단위 픽셀이 형성되는 단위 픽셀 영역과 상기 이미지 픽셀에 의하여 이미지가 표시되는 이미지 표시 영역을 구비하며,
    상기 스트레처블 기판의 연신 전에 상기 단위 픽셀 영역과 상기 이미지 표시 영역이 동일하게 겹치며,
    상기 스트레처블 기판의 연신 후에 상기 단위 픽셀 영역은 상기 스트레처블 기판이 연신되는 방향으로 면적이 증가하며, 상기 이미지 표시 영역은 면적이 동일하게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처블 표시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이미지 표시 영역의 양측에 상기 이미지가 표시되지 않는 이미지 미표시 영역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처블 표시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미표시 영역에는 상기 단위 픽셀이 위치하며, 상기 단위 픽셀은 발광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처블 표시 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픽셀을 구성하는 단위 픽셀들은 모두 동일한 색상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처블 표시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픽셀은 R, G, B의 서브 픽셀을 구비하여 하나의 색상을 표시하며,
    상기 서브 픽셀은 발광 소자와 상기 발광 소자를 제어하는 TR 소자 및 도전 배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처블 표시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레처블 기판은 제 1 방향의 양측에 위치하는 제 1 고정 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처블 표시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레처블 기판은 제 2 방향의 양측에 위치하는 제 2 고정 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처블 표시 장치.
  10. 연신되는 스트레처블 기판과 상기 스트레처블 기판의 상면에 격자 형상으로 배열되며 상기 스트레처블 기판과 함께 연신되는 복수 개의 단위 픽셀 및 상기 복수 개의 단위 픽셀로 구성되어 이미지를 표시하는 이미지 픽셀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스트레처블 기판의 연신율을 측정하는 스트레인 센서를 포함하는 스트레처블 표시 장치의 제어 방법이며,
    상기 스트레처블 기판의 연신 된 후에 상기 이미지 픽셀의 단위 픽셀의 개수는 상기 스트레처블 기판의 단위 픽셀의 개수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처블 표시 장치의 제어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픽셀은 상기 스트레처블 기판의 연신 전에 Mi x Ni 개수의 단위 픽셀로 구성되며,
    상기 이미지 픽셀은 상기 스트레처블 기판의 연신 후에 Mj x Nj 개수의 단위 픽셀로 구성되며,
    상기 Mj와 Nj는 아래의 식 1)과 2)와 같이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처블 표시 장치.
    Mj = Mi - ROUND(Mi x α1) --------- 1)
    Nj = Ni - ROUND(Ni x α2) --------- 2)
    여기서, Mi는 스트레처블 기판이 연신 전 상태에서 제 1 방향의 단위 픽셀의 개수이며, Ni는 제 2 방향의 단위 픽셀의 개수이다. Mj는 스트레처블 기판이 연신 후 상태에서 제 1 방향의 단위 픽셀의 개수이며, Nj는 제 2 방향의 단위 픽셀의 개수이다. Mi와 Ni는 2이상의 자연수이며, Mj와 Nj는 1 이상의 자연수이며, 각각 Mi Ni보다 작은 수이다. α1은 스트레처블 기판의 제 1 방향에 대한 연신율이며, α2은 제 2 방향의 연신율을 의미할 수 있다. ROUND(Mi x α1)는 1이상의 자연수이며, Mi x α1를 자연수까지 반올림한 숫자이다. ROUND(Ni x α2)는 1이상의 자연수이며, Ni x α2를 자연수까지 반올림한 숫자이다. 상기 연신율은 0 보다 큰 수이다.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단위 픽셀이 형성되는 단위 픽셀 영역과 상기 이미지 픽셀에 의하여 이미지가 표시되는 이미지 표시 영역을 구비하며,
    상기 스트레처블 기판의 연신 전에 상기 단위 픽셀 영역과 상기 이미지 표시 영역이 동일하게 겹치며,
    상기 스트레처블 기판의 연신 후에 상기 단위 픽셀 영역은 상기 스트레처블 기판이 연신되는 방향으로 면적이 증가하며, 상기 이미지 표시 영역은 면적이 동일하게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처블 표시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210043722A 2020-04-04 2021-04-04 스트레처블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5894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41257 2020-04-04
KR1020200041257 2020-04-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4075A true KR20210124075A (ko) 2021-10-14
KR102589487B1 KR102589487B1 (ko) 2023-10-16

Family

ID=781162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3722A KR102589487B1 (ko) 2020-04-04 2021-04-04 스트레처블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948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01259A1 (ko) * 2021-12-03 2023-06-08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변형 센서 회로망, 이를 이용한 신축성 디스플레이의 변형 지점 및 변형 정도 결정방법 및 신축성 디스플레이의 전류 보상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1628A (ko) * 2014-01-06 2015-07-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스트레쳐블 표시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60088489A (ko) * 2015-01-15 2016-07-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신축성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016010B1 (ko) * 2013-02-13 2019-08-29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적층 메모리 엘리먼트들을 갖는 반도체 디바이스 및 반도체 디바이스 상에 메모리 엘리먼트들을 적층하는 방법
KR20200029042A (ko) * 2018-06-13 2020-03-17 윤구(구안)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및 표시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6010B1 (ko) * 2013-02-13 2019-08-29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적층 메모리 엘리먼트들을 갖는 반도체 디바이스 및 반도체 디바이스 상에 메모리 엘리먼트들을 적층하는 방법
KR20150081628A (ko) * 2014-01-06 2015-07-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스트레쳐블 표시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60088489A (ko) * 2015-01-15 2016-07-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신축성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200029042A (ko) * 2018-06-13 2020-03-17 윤구(구안)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및 표시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01259A1 (ko) * 2021-12-03 2023-06-08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변형 센서 회로망, 이를 이용한 신축성 디스플레이의 변형 지점 및 변형 정도 결정방법 및 신축성 디스플레이의 전류 보상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9487B1 (ko) 2023-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39744B2 (en) Stretch display screen and display device
US11600230B2 (en) Display substrate and driving method thereof, and display device
KR102350029B1 (ko) 신축성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5185244B (zh) 一种像素结构、显示面板及显示装置
US11309502B2 (en) Display panel having stretchable bridges connecting island-shaped structures and display device thereof
EP3271913B1 (en) Subpixel arrangement for displays and driving circuit thereof
US20160293084A1 (en) Pixel structure, method for driving pixel structure and display apparatus
US20170169748A1 (en) Display apparatus and pixel array thereof
US8456496B2 (en) Color flat panel display sub-pixel arrangements and layouts for sub-pixel rendering with split blue sub-pixels
KR102508461B1 (ko) 표시 장치
US9664959B2 (en) Display device
US9887247B2 (en) Sub-pixel arrangement structure of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US20210335906A1 (en) Pixel structure, oled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CN116417494A (zh) 可拉伸显示装置及控制可拉伸显示装置的方法
US20130021334A1 (en) Liquid crystal display
KR20210124075A (ko) 스트레처블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60074804A (ko) 백색 화소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KR20170021880A (ko) 오토스테레오스코픽 디스플레이 시스템
US11538441B2 (en) Tiled display and image correction method
JP7005422B2 (ja) 表示装置、表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5185268B (zh) 阵列基板、显示装置及子像素渲染方法
CN105096885B (zh) 阵列基板、显示装置及子像素渲染方法
CN111681565B (zh) 显示屏和电子设备
CN111028695B (zh) 一种显示面板、其显示方法及显示装置
US10636344B2 (en)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