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8231A - 박형 키보드 커맨드 트리거 구조체 - Google Patents

박형 키보드 커맨드 트리거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8231A
KR20160088231A KR1020150187496A KR20150187496A KR20160088231A KR 20160088231 A KR20160088231 A KR 20160088231A KR 1020150187496 A KR1020150187496 A KR 1020150187496A KR 20150187496 A KR20150187496 A KR 20150187496A KR 20160088231 A KR20160088231 A KR 201600882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cap
outer frame
connection
circuit board
connection por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74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13861B1 (ko
Inventor
친-웬 초우
Original Assignee
지피 테크놀로지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피 테크놀로지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지피 테크놀로지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600882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82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38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38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13/48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using buckling of disc sp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0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Abstract

박형 키보드 커맨드 트리거 구조체는 회로 기판과 프레임을 구비한다. 프레임은 회로 기판 위에 적층되고, 외부 프레임과, 복수의 내부 프레임들과, 복수의 키캡들을 일체로 형성한다. 외부 프레임은 복수의 홀딩 영역들을 포함한다. 각각의 키캡은 하나의 홀딩 영역에 고정된다. 외부 프레임과 키캡은 하나의 내부 프레임에 의해 연결된다. 각각의 내부 프레임은 외부 프레임에 연결되는 둘 이상의 제1 연결부와 키캡에 연결되는 둘 이상의 제2 연결부들을 구비한다. 각각의 제1 연결부와 각각의 제2 연결부는 키캡이 트리거부로 이동할 경우 변형을 생성할 수 있으며 절곡부를 가지는 지지부에 의해 연결된다. 제2 연결부에서의 지지부는 제1 연결부보다 더 높은 높이에 위치한다.

Description

박형 키보드 커맨드 트리거 구조체{THIN KEYBOARD COMMAND TRIGGER STRUCTURE}
본 발명은 키보드 커맨드 트리거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키보드를 더 얇게 하기 위하여 종래의 키캡 링크 운동 기구를 대체하도록 프레임 구조체를 채용하는 커맨드 트리거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대만 특허 번호 제445471호, I220213 및 M346861에 개시된 것과 같은 종래의 키보드들은 대체로 키캡과, 커맨드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키캡에 의해 트리거 되는 회로 기판과, 회로 기판의 일 측에 배치된 베이스보드와, 키캡과 베이스보드를 연결하도록 두 개의 단부들을 가지는 링크 운동 기구를 포함한다. 키캡은 회로 기판을 향하여 이동하도록 눌릴 수 있다. 링크 운동 기구는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기 위하여 회로 기판 상의 회로 스위치를 눌러 켜도록(set on) 하방으로 압축될 수 있다(compressed). 키캡이 회로 기판을 향하여 이동하도록 눌리지 않으면, 링크 운동 기구는 선정된 높이에서 회로 기판으로부터 멀어지도록(move away) 정상 상태로 키캡을 밀어내는 탄성 복원력(return elastic force)을 제공한다. 링크 운동 기구는 키보드를 더 두껍게 하는 규정된 높이의 조립 공간을 요구한다. 얇고 더 가벼운 무게의 제품들을 주된 매력으로 하는 컴퓨터 설계의 요구 사항들의 만연하는 유행에 고려하여, 키보드 모듈의 두께 비율은 노트북 컴퓨터들의 전체 두께에 영향을 주는 주된 요소이다. 따라서, 모든 제조자들은 전체 두께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키보드 구조체를 더 얇게 만들도록 많은 노력을 기울여왔다.
상술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몇몇의 제조자들은, 종래의 링크 운동 기구의 X자-형상의 구조체에 기인하는 두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1 지지 부재와 제2 지지 부재를 구비하는 V자-형상의 구조체를 제공하는 대만 특허 번호 M434979; 소형화하기 위하여 종래의 링크 운동 기구를 대체하도록 회로 기판과 키캡 사이에 위치하는 연장 가능한 승강 구조체를 포함하는 대만 특허 번호 M419973; 또는 키보드의 전체 두께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종래의 링크 운동 기구를 대체하도록 키캡 주위에 제1 지지 부재와 제2 지지 부재를 포함하는 대만 특허 번호 M426075와 같은, 또 다른 키보드 구조를 제안하였다. 상술한 기술들이 키보드의 전체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지만, 그들은 링크 운동 기구를 다른 형태로 구현한 것에 불과하여, 키보드 구조체는 여전히 특정한 두께를 가진다. 또한, 그들이 제공한 구조체들은 제조하고 조립하기 어렵다.
대만 특허 공개 공보 제445471호 (2001.7.11) 대만 특허 공개 공보 제220213호 (2004.8.11) 대만 특허 공개 공보 제434979호 (2001.5.16)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종래의 키보드 구조체에 발생하는 두께 문제를 극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회로 기판과 프레임을 구비하는 박형 키보드 커맨드 트리거 구조체를 제공한다. 회로 기판은 키보드 커맨드를 생성하도록 각각이 트리거될 수 있는 복수의 트리거부들을 구비한다. 프레임은 회로 기판 위에 적층되고, 일체로 형성되는 외부 프레임과, 복수의 내부 프레임들과, 복수의 키캡들을 포함한다. 외부 프레임은 트리거부들에 대응하는 복수의 홀딩 영역들을 포함한다. 각각의 키캡은 하나의 트리거부에 대응하는 하나의 홀딩 영역에 배치된다. 외부 프레임과 키캡은 하나의 내부 프레임에 의해 연결된다. 각각의 내부 프레임은 외부 프레임에 연결되는 둘 이상의 제1 연결부와 키캡에 연결되는 둘 이상의 제2 연결부들을 구비한다. 각각의 제1 연결부와 각각의 제2 연결부는 키캡이 트리거부로 이동할 경우 변형 탄성력을 생성할 수 있는 지지부에 의해 연결된다. 지지부는 절곡부를 가진다. 절곡부로부터 제1 연결부까지의 지지부는 제1 연결 섹션으로 규정된다. 절곡부로부터 제2 연결부까지의 지지부는 제2 연결 섹션으로 규정된다. 홀딩 영역에 고정된 제2 연결부는 제1 연결부보다 더 높은 높이에 위치한다. 절곡부는 제1 연결부보다 더 낮거나 동일한 높이에 위치한다.
일 실시예에서, 홀딩 영역에 고정되는 제2 연결부는 제1 연결부보다 더 높거나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고, 절곡부는 제1 연결부 및 제2 연결부보다 더 낮은 높이에 위치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홀딩 영역에 고정되는 내부 프레임은, 제2 연결부가 절곡부보다 더 높거나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고, 절곡부가 제1 연결부보다 더 높은 높이에 위치하도록 하는 순서로 높이 변화를 가진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키캡들은 홀딩 영역들에서 수평 또는 수직으로 고정되고, 프레임은 두 개의 인접한 홀딩 영역들 사이에 개재되는 지지 리브를 구비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각각의 제1 연결부는 외부 프레임과 제1 연결부의 교차점으로부터 지지부를 향하여 그 폭이 점점 증가하도록 형성되며, 각각의 제2 연결부는 지지부와 제2 연결부의 교차점으로부터 키캡과의 교차점을 향하여 그 폭이 점점 감소하도록 형성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각각의 키캡과 회로 기판 사이에는 회로 기판에 대한 키캡의 운동을 보조하도록 탄성 지지 부재가 포함되는 운동 간격이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각각의 트리거부는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주 트리거 스위치와 복수의 부 트리거 스위치들을 구비하며, 각각의 탄성 지지 부재는 주 트리거 스위치 및 부 트리거 스위치들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접촉부들을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2 연결 섹션은 만곡된 표면이다.
종래의 키보드와 비교하여, 상기 구성에 의하면, 본 발명은 아래와 같은 유리한 특징들을 제공한다.
1. 키보드의 전체 두께는 키보드를 더 얇게 만들 수 있도록 감소될 수 있다. 각각의 키캡을 지지하도록 프레임 상에 형성된 외부 프레임과 내부 프레임을 통하여, 본 발명은 키캡이 프레임의 홀딩 영역에 고정되고 왕복 운동하게 하여, 종래의 키보드에 사용된 키캡 링크 운동 기구가 생략될 수 있다.
2. 종래의 키캡 링크 운동 기구가 본 발명에서 더 이상 요구되지 않으므로, 키보드의 전체 구조는 단순해지고, 복잡한 정렬과 배치의 필요가 없어 조립이 쉬워진다.
3. 지지부의 높이 변화를 통해, 상이한 종류의 촉각 누름 감도가 제공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이점뿐만 아니라 추가적인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진행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용이하게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프레임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프레임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프레임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프레임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박형 키보드 구조체의 분해도이다.
도 6은 도 5의 A-A선 단면도로서 눌린 상태의 키캡을 도시한다.
도 7은 도 5의 B-B선 단면도로서 눌린 상태의 키캡을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의 프레임의 평면도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의 박형 키보드 구조체의 분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키보드 커맨드를 생성하기 위하여 사용자들에 의해 눌릴 수 있는 박형 키보드 커맨드 트리거 구조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커맨드 트리거 구조체는 회로 기판(1)과 프레임(2)을 구비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회로 기판(1)은 키보드 베이스보드(미도시)와 결합될 수 있으며 각각이 키보드 커맨드를 생성하도록 트리거될 수 있는 복수의 트리거부들(11)을 구비한다. 트리거부들(11)은 회로 기판(1) 상에 구성되고 배치되는 트리거 전극들이다. 프레임(2)은 기계적인 제조 과정을 통해 플라스틱으로써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2)은 회로 기판(1) 위에 적층되며, 외부 프레임(21)과, 복수의 내부 프레임들(22)과, 복수의 키캡들(23)로 일체로 형성된다. 외부 프레임(21)은 트리거부들(11)에 대응하는 키캡들(23)을 고정하도록 트리거부들(11)에 대응하는 복수의 홀딩 영역들(211)을 가진다. 각각의 내부 프레임(22)은 하나의 키캡(23)에 대응하며, 외부 프레임(21)에 연결된 둘 이상의 제1 연결부들(221)과 키캡(23)에 연결된 둘 이상의 제2 연결부들(222)을 포함한다. 또한, 각각의 제1 연결부(221)와 각각의 제2 연결부(222)는 키캡이 트리거부(11)로 이동할 경우 변형 탄성력을 생성할 수 있는 지지부(223)에 의해 연결된다. 또한, 지지부(223)는 절곡부(bend spot)(224)를 가진다. 절곡부(224)로부터 제1 연결부(221)까지의 지지부는 제1 연결 섹션(225)으로 규정된다. 절곡부(224)로부터 제2 연결부(222)까지의 지지부는 제2 연결 섹션(226)으로 규정된다. 또한, 절곡부(224)는 키캡(23)의 모서리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딩 영역(211)의 제2 연결부(222)는 제1 연결부(221)보다 더 높은 높이로 형성되며, 절곡부(224)는 제1 연결부(221)와 동일하거나 더 낮은 높이로 형성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2 연결 섹션(226)은 만곡된 표면이다.
본 발명의 커맨드 트리거 구조체를 구현하는 동안, 프레임(2)은 회로 기판(1) 위에 적층되고, 각각의 키캡(23)은 회로 기판(1) 상의 트리거부들(11) 중 하나와 대응한다. 키캡(23)이 눌리지 않은 경우, 내부 프레임(22)이 제1 연결 섹션(225)과 제2 연결 섹션(226)을 통해 홀딩 영역(211)에서 키캡(23)을 지지하여, 키캡(23)은 트리거부(11)와 접촉하지 않으며, 키캡(23)과 회로 기판(1) 사이에 운동 간격(3)이 있다. 키캡(23)이 힘에 의해 눌린 경우,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리거부(11)를 향하여 이동하며, 내부 프레임(22)이 지지점으로서 기능하는 제1 연결부(221)와 힘 인가점으로서 기능하는 제2 연결부(222)를 구비하여, 제1 연결 섹션(225)과 제2 연결 섹션(226)은 변형을 형성하고, 키캡(23)은 키보드 커맨드를 생성하기 위하여 트리거부(11)와 그것의 트리거들을 향하여 이동한다. 키캡(23)에 인가된 힘이 없어진 경우, 각각의 지지부(223)의 제1 연결 섹션(225)은 그 자체의 탄성력으로 인해 눌리기 전의 그것의 원래 상태로 복원되며, 또한 눌리기 전의 상태로 트리거부(11)로부터 키캡(23)이 떨어지도록 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술한 실시예를 제외하고, 내부 프레임(22)은 또한 커맨드 트리거 구조체의 촉각적인 누름 감도를 변경하도록 다른 방식으로 바뀔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내부 프레임(22)의 제2 연결부(222)는 제1 연결부(221)와 동일하거나 더 높은 높이로 홀딩 영역(211)에 배치되며, 절곡부(224)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연결부(221) 및 제2 연결부(222)보다 더 낮은 높이로 배치된다. 또한, 홀딩 영역(211)의 내부 프레임(22)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연결부(222)가 절곡부(224)와 동일하거나 더 높게 배치되고, 절곡부(224)는 차례로 제1 연결부(221)보다 더 높게 배치되는 이러한 순서로 높이 변화를 가진다.
또한, 도 1을 참조하면, 또 다른 실시예에서, 외부 프레임(21)상에 형성된 홀딩 영역들(211 및 212)은 설계 요구사항들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각각의 홀딩 영역들(211 및 212)은 복수의 트리거부들(11)을 고정하거나, 각각의 트리거부(11)와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홀딩 영역들(211 및 212)은 키캡들(23)이 수평 또는 수직 방향으로 고정되도록 한다. 또한, 외부 프레임(21)은 인접한 두 개의 홀딩 영역들(211 및 212)의 사이에 배치되는 지지 리브(rib)(213)를 가진다. 또한, 지지 리브(213)는 내부 프레임(22)의 제1 연결부(212)와 연결되는 것을 제외하고, 키캡(23)이 사용자들의 적절한 힘 인가로써 왜곡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각각의 키캡(23)의 운동 범위를 한정할 수 있다. 또한, 도 8을 참조하면, 또 다른 실시예에서, 내부 프레임(22)의 제1 연결부(221)의 폭은 외부 프레임(21)과 제1 연결부(221)의 교차점으로부터 지지부(223)를 향하여 점점 증가하며, 제2 연결부(222)의 폭은 지지부(223)와 제2 연결부(222)의 교차점으로부터 키캡(23)과의 교차점을 향하여 점점 감소함으로써, 내부 프레임(22)의 전체 구조적 강도를 증가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키캡(23)이 눌리기 전에 키캡(23)과 회로 기판(1) 사이에는 운동 간격(3)이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탄성 지지 부재(4)는 회로 기판(1)에 대해 키캡(23)의 운동을 보조하도록 운동 간격(3)에 대응하는 회로 기판(1) 상에 제공된다. 탄성 지지 부재(4)는 탄성 리드(reed) 또는 탄성 스펀지일 수 있다. 또한, 탄성 지지 부재(4)는 각각의 트리거부(11)에 대응하는 접촉부(41)를 가진다. 접촉부(41)는 탄성 지지 부재(4)가 보통 상태일 경우 트리거부(11)와 접촉하지 않는다. 하지만, 탄성 지지 부재(4)가 키캡(23)에 의해 눌리고 변형될 경우, 접촉부(41)는 키보드 커맨드를 생성하도록 트리거부(11)와 접촉된다. 도 9를 참조하면, 또 다른 실시예에서, 각각의 트리거부(11)는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주 트리거 스위치(111)와 복수의 부 트리거 스위치들(112)을 구비한다. 각각의 트리거부(11)에 대응하는 탄성 지지 부재(4)는 주 트리거 스위치(111)와 부 트리거 스위치들(112)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접촉부들(41 및 42)을 가진다. 또한, 주 트리거 스위치(111)에 대응하는 접촉부(41)는 부 트리거 스위치들(112)에 대응하는 다른 접촉부들(42)보다 길이가 더 길게 구성될 수 있다. 그러한 구성은 사용자들의 부적절한 힘 인가에 의해 발생하는 키캡(23)의 왜곡된 운동으로 인한 트리거부(11)의 트리거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본 발명의 박형 키보드 커맨드 트리거 구조체는 회로 기판과 프레임을 구비한다. 프레임은 회로 기판 위에 적층되고 외부 프레임과, 복수의 내부 프레임들과, 복수의 키캡들과 일체로 형성된다. 외부 프레임은 복수의 홀딩 영역들을 가진다. 각각의 키캡은 하나의 홀딩 영역에 배치된다. 외부 프레임과 키캡은 하나의 내부 프레임에 의해 연결된다. 각각의 내부 프레임은 외부 프레임에 연결된 둘 이상의 제1 연결부들과 키캡에 연결된 둘 이상의 제2 연결부들을 구비하며, 각각의 제1 연결부와 각각의 제2 연결부는 키캡 운동을 지지하도록 변형을 생성할 수 있는 지지부에 의해 연결된다. 지지부는 절곡부를 가진다. 제2 연결부에서의 지지부는 제1 연결부보다 더 높은 높이에 배치되며, 절곡부에서의 지지부는 제1 연결부와 동일하거나 더 낮은 높이로 배치된다. 따라서, 종래의 키보드에 사용된 키캡 링크 운동 부재는 생략될 수 있으며, 키보드의 전체 두께는, 키캡 링크 운동 부재의 높이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키보드를 더 얇게 제작하도록 감소될 수 있다.

Claims (18)

  1. 키보드 커맨드를 생성하도록 각각이 접촉을 수용할 수 있는 복수의 트리거부들을 구비하는 회로 기판; 및
    회로 기판 위에 적층되고, 일체로 형성되는 외부 프레임과, 복수의 내부 프레임들과, 복수의 키캡들을 구비하는 프레임을 포함하며,
    외부 프레임은 트리거부들에 대응하는 복수의 홀딩 영역들을 포함하고,
    각각의 키캡은 하나의 트리거부에 대응하는 하나의 홀딩 영역에 배치되며,
    외부 프레임과 키캡은 하나의 내부 프레임에 의해 연결되고,
    각각의 내부 프레임은 외부 프레임에 연결되는 둘 이상의 제1 연결부들과 키캡에 연결되는 둘 이상의 제2 연결부들을 구비하며,
    각각의 제1 연결부와 각각의 제2 연결부는 키캡이 트리거부로 이동할 경우 변형 탄성력을 생성하는 지지부에 의해 연결되고,
    지지부는 절곡부와, 제1 연결부 및 절곡부 사이에 형성되는 제1 연결 섹션과, 제2 연결부 및 절곡부 사이에 형성되는 제2 연결 섹션을 포함하며,
    홀딩 영역에 배치되는 제2 연결부는 제1 연결부보다 더 높은 높이에 위치하고, 절곡부는 제1 연결부보다 더 낮거나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형 키보드 커맨드 트리거 구조체.
  2. 제1 항에 있어서,
    키캡들은 홀딩 영역들에서 수평 또는 수직으로 고정되고,
    프레임은 두 개의 인접한 홀딩 영역들을 연결하도록 지지 리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형 키보드 커맨드 트리거 구조체.
  3. 제1 항에 있어서,
    각각의 제1 연결부는 외부 프레임과 제1 연결부의 교차점으로부터 지지부를 향하여 그 폭이 점점 증가하도록 형성되며,
    각각의 제2 연결부는 지지부와 제2 연결부의 교차점으로부터 키캡과의 교차점을 향하여 그 폭이 점점 감소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형 키보드 커맨드 트리거 구조체.
  4. 제1 항에 있어서,
    각각의 키캡과 회로 기판 사이에는 회로 기판에 대한 키캡의 운동을 보조하도록 탄성 지지 부재를 포함하는 운동 간격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형 키보드 커맨드 트리거 구조체.
  5. 제4 항에 있어서,
    각각의 트리거부는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주 트리거 스위치와 복수의 부 트리거 스위치들을 구비하며,
    각각의 탄성 지지 부재는 주 트리거 스위치 및 부 트리거 스위치들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접촉부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형 키보드 커맨드 트리거 구조체.
  6. 제1 항에 있어서,
    제2 연결 섹션은 만곡된 표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형 키보드 커맨드 트리거 구조체.
  7. 키보드 커맨드를 생성하도록 각각이 접촉을 수용할 수 있는 복수의 트리거부들을 구비하는 회로 기판; 및
    회로 기판 위에 적층되고, 일체로 형성되는 외부 프레임과, 복수의 내부 프레임들과, 복수의 키캡들을 구비하는 프레임을 포함하며,
    외부 프레임은 트리거부들에 대응하는 복수의 홀딩 영역들을 포함하고,
    각각의 키캡은 하나의 트리거부에 대응하는 하나의 홀딩 영역에 배치되며,
    외부 프레임과 키캡은 하나의 내부 프레임에 의해 연결되고,
    각각의 내부 프레임은 외부 프레임에 연결되는 둘 이상의 제1 연결부들과 키캡에 연결되는 둘 이상의 제2 연결부들을 구비하며,
    각각의 제1 연결부와 각각의 제2 연결부는 키캡이 트리거부로 이동할 경우 변형 탄성력을 생성하는 지지부에 의해 연결되고,
    지지부는 절곡부와, 제1 연결부 및 절곡부 사이에 형성되는 제1 연결 섹션과, 제2 연결부 및 절곡부 사이에 형성되는 제2 연결 섹션을 포함하며,
    홀딩 영역에 배치되는 제2 연결부는 제1 연결부보다 더 높거나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고, 절곡부는 제2 연결부보다 더 낮은 높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형 키보드 커맨드 트리거 구조체.
  8. 제7 항에 있어서,
    키캡들은 홀딩 영역들에서 수평 또는 수직으로 고정되고,
    프레임은 두 개의 인접한 홀딩 영역들을 연결하도록 지지 리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형 키보드 커맨드 트리거 구조체.
  9. 제7 항에 있어서,
    각각의 제1 연결부는 외부 프레임과 제1 연결부의 교차점으로부터 지지부를 향하여 그 폭이 점점 증가하도록 형성되며,
    각각의 제2 연결부는 지지부와 제2 연결부의 교차점으로부터 키캡과의 교차점을 향하여 그 폭이 점점 감소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형 키보드 커맨드 트리거 구조체.
  10. 제7 항에 있어서,
    각각의 키캡과 회로 기판 사이에는 회로 기판에 대한 키캡의 운동을 보조하도록 탄성 지지 부재를 포함하는 운동 간격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형 키보드 커맨드 트리거 구조체.
  11. 제10 항에 있어서,
    각각의 트리거부는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주 트리거 스위치와 복수의 부 트리거 스위치들을 구비하며,
    각각의 탄성 지지 부재는 주 트리거 스위치 및 부 트리거 스위치들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접촉부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형 키보드 커맨드 트리거 구조체.
  12. 제7 항에 있어서,
    제2 연결 섹션은 만곡된 표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형 키보드 커맨드 트리거 구조체.
  13. 키보드 커맨드를 생성하도록 각각이 접촉을 수용할 수 있는 복수의 트리거부들을 구비하는 회로 기판; 및
    회로 기판 위에 적층되고, 일체로 형성되는 외부 프레임과, 복수의 내부 프레임들과, 복수의 키캡들을 구비하는 프레임을 포함하며,
    외부 프레임은 트리거부들에 대응하는 복수의 홀딩 영역들을 포함하고,
    각각의 키캡은 하나의 트리거부에 대응하는 하나의 홀딩 영역에 배치되며,
    외부 프레임과 키캡은 하나의 내부 프레임에 의해 연결되고,
    각각의 내부 프레임은 외부 프레임에 연결되는 둘 이상의 제1 연결부들과 키캡에 연결되는 둘 이상의 제2 연결부들을 구비하며,
    각각의 제1 연결부와 각각의 제2 연결부는 키캡이 트리거부로 이동할 경우 변형 탄성력을 생성하는 지지부에 의해 연결되고,
    지지부는 절곡부와, 제1 연결부 및 절곡부 사이에 형성되는 제1 연결 섹션과, 제2 연결부 및 절곡부 사이에 형성되는 제2 연결 섹션을 포함하며,
    홀딩 영역에 배치되는 내부 프레임은, 제2 연결부가 절곡부보다 더 높거나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고, 절곡부가 제1 연결부보다 더 높은 높이에 위치하도록 하는 순서로 높이 변화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형 키보드 커맨드 트리거 구조체.
  14. 제13 항에 있어서,
    키캡들은 홀딩 영역들에서 수평 또는 수직으로 고정되고,
    프레임은 두 개의 인접한 홀딩 영역들을 연결하도록 지지 리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형 키보드 커맨드 트리거 구조체.
  15. 제13 항에 있어서,
    각각의 제1 연결부는 외부 프레임과 제1 연결부의 교차점으로부터 지지부를 향하여 그 폭이 점점 증가하도록 형성되며,
    각각의 제2 연결부는 지지부와 제2 연결부의 교차점으로부터 키캡과의 교차점을 향하여 그 폭이 점점 감소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형 키보드 커맨드 트리거 구조체.
  16. 제13 항에 있어서,
    각각의 키캡과 회로 기판 사이에는 회로 기판에 대한 키캡의 운동을 보조하도록 탄성 지지 부재를 포함하는 운동 간격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형 키보드 커맨드 트리거 구조체.
  17. 제16 항에 있어서,
    각각의 트리거부는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주 트리거 스위치와 복수의 부 트리거 스위치들을 구비하며,
    각각의 탄성 지지 부재는 주 트리거 스위치 및 부 트리거 스위치들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접촉부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형 키보드 커맨드 트리거 구조체.
  18. 제13 항에 있어서,
    제2 연결 섹션은 만곡된 표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형 키보드 커맨드 트리거 구조체.
KR1020150187496A 2015-01-15 2015-12-28 박형 키보드 커맨드 트리거 구조체 KR1017138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104101295 2015-01-15
TW104101295A TWI536418B (zh) 2015-01-15 2015-01-15 The instruction of the thin keyboard triggers the structu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8231A true KR20160088231A (ko) 2016-07-25
KR101713861B1 KR101713861B1 (ko) 2017-03-09

Family

ID=56616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7496A KR101713861B1 (ko) 2015-01-15 2015-12-28 박형 키보드 커맨드 트리거 구조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13861B1 (ko)
TW (1) TWI536418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54978A1 (ko) * 2021-09-30 2023-04-06 삼성전자 주식회사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키 입력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82003A (ja) * 1989-12-08 1991-08-08 Tokyo Electric Co Ltd 照明器具
TWI220213B (en) 2003-03-04 2004-08-11 Darfon Electronics Corp Keyboard structure
CN203204549U (zh) * 2013-03-27 2013-09-18 新巨企业股份有限公司 薄形键盘的指令产生结构
TWI434979B (zh) 2010-06-09 2014-04-21 Tse Shan Hsu 保護裝置及其安裝方法
TWI445471B (zh) 2011-12-08 2014-07-11 Unimicron Technology Corp 線路板及其製作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82003B2 (ja) 1992-10-12 2001-07-03 大塚化学株式会社 充填材を含む樹脂成形品の再生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82003A (ja) * 1989-12-08 1991-08-08 Tokyo Electric Co Ltd 照明器具
TWI220213B (en) 2003-03-04 2004-08-11 Darfon Electronics Corp Keyboard structure
TWI434979B (zh) 2010-06-09 2014-04-21 Tse Shan Hsu 保護裝置及其安裝方法
TWI445471B (zh) 2011-12-08 2014-07-11 Unimicron Technology Corp 線路板及其製作方法
CN203204549U (zh) * 2013-03-27 2013-09-18 新巨企业股份有限公司 薄形键盘的指令产生结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54978A1 (ko) * 2021-09-30 2023-04-06 삼성전자 주식회사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키 입력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536418B (zh) 2016-06-01
TW201626417A (zh) 2016-07-16
KR101713861B1 (ko) 2017-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29707B2 (en) Push switch
US8212167B2 (en) Depressible key structure
US8710383B2 (en) Thin film switch and press key/keyboard using the same
CN105938772A (zh) 按键
JPH08124453A (ja) キースイッチ
CN108305806B (zh) 按键及其按键开关
TW201839789A (zh) 按鍵結構
US11670465B2 (en) Key structure
KR101713861B1 (ko) 박형 키보드 커맨드 트리거 구조체
US9627158B2 (en) Keyboard key using an asymmetric scissor-type connecting element
US9715976B2 (en) Keyboard device
US9236206B1 (en) Thin keyboard command trigger structure
KR101808220B1 (ko) 박형 키보드 누름 구조체
US9368299B1 (en) Thin keyboard having keycaps including integrated inner frames
JP7369206B2 (ja) プッシュスイッチの押圧機構、及び、プッシュスイッチ
EP4350728A1 (en) Key structure, keyboard and electronic device
TWI687845B (zh) 鍵盤裝置及其按鍵結構
US8686303B2 (en) Thin film switch and press key/keyboard using the same
JP5890923B1 (ja) 薄型キーボードのコマンドトリガ構成
CN109390177B (zh) 具有按压段落感的薄型按键
KR200361064Y1 (ko) 자력을 이용한 키 스위치
US20120160656A1 (en) Keyboard with eccentrical triggering mechanism
TW202338879A (zh) 鍵盤裝置及其按鍵結構
US20150279591A1 (en) Key structure and keyboard structure
KR101711548B1 (ko) 다지점 누름 위치를 구비하는 키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