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7310A - 맞춤형 카매트 - Google Patents

맞춤형 카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7310A
KR20160087310A KR1020150006479A KR20150006479A KR20160087310A KR 20160087310 A KR20160087310 A KR 20160087310A KR 1020150006479 A KR1020150006479 A KR 1020150006479A KR 20150006479 A KR20150006479 A KR 20150006479A KR 20160087310 A KR20160087310 A KR 201600873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t
car mat
shape
customized
c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64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55087B1 (ko
Inventor
윤종식
Original Assignee
윤종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식 filed Critical 윤종식
Priority to KR10201500064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5087B1/ko
Publication of KR201600873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73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50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50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floor mats or carpets
    • B60N3/048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floor mats or carpet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floor mats or carpets
    • B60N3/04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floor mats or carpets of carp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맞춤형 카매트에 관한 것으로, 매트 상부에 발을 내려놓는 발디딤부가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 방지턱에 의해 홈 형상으로 구성되어 흙이나 이물질이 차량 바닥에 떨어지지 않게 포집할 수 있고, 차량 바닥의 모양과 크기에 따라 매트에 형성된 절취용 홈을 따라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고, 고무, 수지, 플라스틱, EVA(Ethylene Vinyl Acetate) 발포 수지 등을 이용하여 한 장의 매트로 성형 제조함으로써 제조비용이 저렴하고 청소 및 세척이 간편하다.
본 발명에 의한 맞춤형 카매트는, 카매트의 중앙부에 형성되며 탑승자의 발을 내려놓을 수 있도록 소정의 모양과 형태로 형성된 발디딤부와, 상기 발디딤부의 테두리를 따라 수직 또는 경사로 돌출 형성되어 흙이나 이물질의 이탈을 방지하는 방지턱과, 상기 방지턱에서 바깥쪽으로 경사를 이루며 연장 형성되고, 카매트의 모양과 크기를 결정하는 매트 연장부와, 상기 매트 연장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차량의 바닥 모양 및 크기에 따라 절취하도록 형성된 복수의 절취용 홈과, 상기 카매트의 하변에 일체로 형성된 매트 고정용 구멍을 포함하고 있다.

Description

맞춤형 카매트{A CUSTOMIZED CAR MAT}
본 발명은 맞춤형 카매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무, 수지, 플라스틱, EVA(Ethylene Vinyl Acetate) 발포 수지 등을 이용하여 한 장의 매트로 성형되고, 흙이나 이물질을 포집할 수 있는 발디딤부가 홈 형상으로 일체로 형성되며, 차량 바닥의 모양 및 크기에 따라 매트에 형성된 절취용 홈을 따라 절취하여 사용할 수 있는 맞춤형 카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카매트는, 자동차의 실내 바닥에 설치되어 운전자와 탑승자가 발을 내딛는 위치의 바닥 오염방지와 실내 청결을 유지함과 아울러 미끄럼을 방지하면서 미관을 미려하게 하는 부가적인 기능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자동차용 카매트는, 고무와 폴리염화비닐(PVC) 소재가 널리 사용되어 왔다. 이 중에, 고무 소재의 매트는 고무 특유의 강한 냄새가 실내 또는 차량 내부에 오래도록 남아 있어서 거부감을 줄 뿐만 아니라 제조원가가 매우 비싼 문제점이 있었고, 폴리염화비닐(PVC) 소재의 매트는 인체에 유해한 염소 성분을 함유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소각시 다이옥신 배출 등의 환경 오염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재생 PVC에는 규정치 이상의 중금속이 함유되어 있어서 사용자에 대해 중금속 노출의 위험을 내포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최근에는 고무판과 상기 고무판에 나일론사가 접착제로 부착된 바닥매트를 사용하고 있으나, 바닥매트의 둘레부분의 박리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별도로 재봉처리하므로 제조공정이 길어 생산성이 저하되면서 제조원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무게가 무거우면서도 먼지가 흡착되므로 취급 및 청소가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카매트는 흙과 먼지 등의 이물질을 수용하기 위하여 2개의 매트 즉, 통공이 형성된 다공판과 돌출요소가 형성된 받침판을 구비하고 있어 무게가 무거울 뿐만 아니라 다공판과 받침판을 각각 별도의 금형을 통하여 제작하여야 하므로, 금형비용 및 제조원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카매트는 신발의 바닥에서 바닥매트의 상면으로 유입되는 흙이 바닥매트의 둘레단부에서 바로 차량의 바닥으로 떨어지게 됨으로써, 차량의 바닥에 흙이 잔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카매트는 차량의 종류마다 차량 좌석 바닥의 모양과 크기가 각각 다르기 때문에 차량에 맞는 카매트를 차량에 따라 각각 제작해야 하기 때문에 금형 제작 등으로 인해 제조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09-0012101호(2009.11.26.)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107657호(2013.10.02.)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고무, 수지, 플라스틱, EVA(Ethylene Vinyl Acetate) 발포 수지 등을 이용하여 한 장의 매트로 성형 제조되고 매트 중앙부에 발을 내딛는 발디딤부가 홈 형상으로 형성된 맞춤형 카매트를 제시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차량의 종류에 상관없이 차량 바닥의 모양과 크기에 따라 매트를 절취하여 사용할 수 있는 맞춤형 카매트를 제시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차량 바닥의 모양과 크기에 따라 매트에 형성된 절취용 홈을 선택하여 절취용 홈을 따라 절취하여 사용하는 맞춤형 카매트를 제시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발을 내딛는 발디딤부의 테두리를 따라 방지턱이 돌출 형성되어 흙이나 이물질이 밖으로 이탈되지 못하도록 형성된 맞춤형 카매트를 제시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차량의 바닥에서 카매트가 움직이지 못하도록 고정하는 매트 고정용 구멍이 형성된 맞춤형 카매트를 제시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맞춤형 카매트는, 카매트의 중앙부에 형성되며, 탑승자의 발을 내려놓을 수 있도록 소정의 모양과 형태로 형성된 발디딤부와, 상기 발디딤부의 테두리를 따라 수직 또는 경사로 돌출 형성되어 흙이나 이물질의 이탈을 방지하는 방지턱과, 상기 방지턱에서 바깥쪽으로 경사를 이루며 연장 형성되고, 상기 카매트의 모양과 크기를 결정하는 매트 연장부와, 상기 매트 연장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차량의 바닥 모양 및 크기에 따라 선택하여 절취하도록 형성된 복수의 절취용 홈과, 상기 카매트의 하변에 일체로 형성된 매트 고정용 구멍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맞춤형 카매트는, 차량의 바닥 또는 좌석 하부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을 상기 매트 고정용 구멍에 삽입하여 카매트를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발디딤부는 상면에 소정의 모양과 크기를 갖는 복수의 돌기가 볼록하게 돌출 형성될 수 있고, 소정의 바닥면에 코팅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취용 홈은 카매트의 테두리 모양으로 절취되도록 카매트의 테두리 모양을 따라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맞춤형 카매트는, 고무, 수지, 플라스틱, EVA(Ethylene Vinyl Acetate) 발포 수지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성형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무, 수지, 플라스틱, EVA(Ethylene Vinyl Acetate) 발포 수지 등을 이용하여 한번의 공정으로 성형 제조함으로써, 무게가 가벼워 취급이 용이함과 아울러 먼지가 흡착되지 않고 세척 및 청소가 용이하여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카매트의 제조원가를 절감하여 경제성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재생이 가능하므로 경제적이면서 환경 오염을 방지하는 친환경적인 이점이 있다.
또한, 카매트 상부에 발을 내딛는 발디딤부가 홈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신발의 바닥에서 떨어지는 흙이나 이물질이 카매트의 바깥쪽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차량이 바닥이 오염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차량 바닥의 모양과 크기에 따라 매트에 형성된 절취용 홈을 따라 절단하여 사용하도록 절취용 홈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차량에 맞게 카매트를 간단하고 편리하게 절취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쿠션에 의한 착지감이 향상될 수 있고, 신발에서 떨어진 흙이나 이물질이 실내 바닥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포집할 수 있어 자동차 실내를 쾌적하고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일정량 이상의 흙이나 이물질이 포집된 후에는 차량에서 탈거하여 외부에서 털어내어 제거할 수 있으며, 아울러 자동차의 실내에 흙이나 이물질이 남지 않아 매우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맞춤형 카매트의 도면으로서,
도 1은 맞춤형 카매트(앞좌석)의 전면 평면도이고,
도 2는 맞춤형 카매트(앞좌석)의 전면 사시도이고,
도 3은 맞춤형 카매트(앞좌석)의 후면 평면도이고,
도 4는 맞춤형 카매트(앞좌석)의 후면 사시도이고,
도 5는 맞춤형 카매트(뒷좌석)의 전면 사시도이고,
도 6은 맞춤형 카매트(뒷좌석)의 후면 사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서 실시하고자 하는 구체적인 기술내용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맞춤형 카매트(앞좌석)의 실시 예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맞춤형 카매트의 도면으로서, 도 1은 맞춤형 카매트(앞좌석)의 전면 평면도이고, 도 2는 맞춤형 카매트(앞좌석)의 전면 사시도이고, 도 3은 맞춤형 카매트(앞좌석)의 후면 평면도이고, 도 4는 맞춤형 카매트(앞좌석)의 후면 사시도이다.
상기 맞춤형 카매트(앞좌석)(100)는 도 1 내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탑승자의 발을 내려놓을 수 있도록 소정의 모양과 형태로 형성된 발디딤부(103)와, 상기 발디딤부(103)의 테두리를 따라 수직 또는 경사로 돌출 형성된 방지턱(102)과, 상기 방지턱(102)에서 바깥쪽으로 경사를 이루며 연장 형성되고 카매트의 전체 모양과 크기를 결정하는 매트 연장부(101)와, 상기 매트 연장부(101)에 일체로 형성되며 차량의 바닥 모양 및 크기에 따라 절취하도록 형성된 복수의 절취용 홈(111114)과, 상기 카매트(100)의 하변에 일체로 형성된 매트 고정용 구멍(109)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발디딤부(103)는 탑승자의 발을 내려놓는 부분으로, 하면이 차량의 바닥에 안착되게 된다. 상기 발디딤부(103)는 테두리를 따라 위로 돌출된 상기 방지턱(102)에 의해 마치 아래로 들어간 하나의 홈 형상으로 하고 있다. 상기 발디딤부(103)의 상면에는 발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소정의 모양과 형상을 갖는 돌기(104,105,107)가 규칙 또는 불규칙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돌기(104,105,107)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영역을 구분하여 서로 다른 또는 동일한 모양과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발디딤부(103)의 상면에는 이종 재질의 코팅면(106)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코팅면(106)은 돌기가 형성된 부분을 제외한 상기 발디딤부(103)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발디딤부(103)의 상면에는 이종 재질의 코팅면(106) 대신에 금속판(미도시)을 접착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금속판은 돌기가 바깥으로 노출되도록 돌기가 형성된 위치에 구멍이 형성되거나 또는 돌기와 대향되는 돌기 형상이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발디딤부(103)의 상면에는 제품의 상표 또는 제조사 명을 일체로 성형하여 형성하거나 접착할 수 있는 상표 형성부(11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발디딤부(103)는 도면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여기에 국한된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발디딤부(103)는 원형, 타원형,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팔각형 등 여러 가지 모양과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발디딤부(103)의 외곽에는 테두리를 따라 방지턱(102)이 수직 또는 경사로 위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방지턱(102)은 상기 발디딤부(103)의 경계 역할을 하며, 상기 발디딤부(103)에 떨어진 흙이나 이물질 등이 상기 카매트(100)의 바깥으로 빠져나가지 못하게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방지턱(102)에서 상기 카매트(100)의 바깥 테두리까지 매트 연장부(101)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매트 연장부(101)는 상기 방지턱(102)에서 바깥쪽으로 경사를 이루며 연장 형성되고 상기 카매트(100)의 전체 모양과 크기를 결정하게 된다.
상기 매트 연장부(101)는 도 1을 기준으로 설명하면, 중앙에 상기 발디딤부(103)가 배치되고, 상기 발디딤부(103)의 상측에 상기 매트 연장부(101)가 수직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발디딤부(103)의 양측 및 하측에 상기 매트 연장부(101)가 카매트의 바깥쪽 테두리까지 연장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발디딤부(103)의 양측 및 하측에 형성된 상기 매트 연장부(101)는 상기 발디딤부(103)의 상측에 형성된 상기 매트 연장부(101) 보다 길이가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매트 연장부(101)에는 복수의 절취용 홈(111114)이 수직 또는 수평 또는 곡선 등으로 복수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복수의 절취용 홈(111114)은 상기 매트 연장부(101)에 일체로 형성되며, 차량의 바닥 모양 및 크기에 따라 선택하여 절취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맞춤형 카매트(100)는 차량의 바닥에 맞지 않을 경우 차량의 바닥면에 맞는 절취용 홈(111114)을 선택하여 절취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카매트(100)의 하변에 있는 상기 매트 연장부(101)에 매트 고정용 구멍(109)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매트 고정용 구멍(109)은 상기 매트 연장부(101)에 돌출 형성된 고정편(108)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편(108)은 상기 카매트(100)의 하변 양쪽에 2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맞춤형 카매트(100)는 차량의 앞좌석 바닥에 설치한 다음 상기 매트 고정용 구멍(109)에 고정수단(미도시)을 삽입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수단은 차량의 바닥 또는 좌석 하부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을 상기 매트 고정용 구멍(109)에 삽입하여 카매트를 고정하는 고리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매트 고정용 구멍(109)을 통해 차량 바닥에 체결하는 나사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매트 고정용 구멍(109)에 끼워 좌석 하부의 프레임에 묶어서 고정하는 끈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맞춤형 카매트(100)는 차량의 좌석 바닥에 설치된 고정구(미도시)에 착탈식으로 결합되어 상기 카매트(100)가 움직이지 못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이 외에, 상기 맞춤형 카매트(100)는 상기 방지턱(102)의 상부에 야광물질을 인쇄 또는 도포하여, 야간시 상기 발디딤부(103)의 위치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안내함과 아울러, 카매트를 심플하면서도 세련된 느낌을 주도록 구성할 수 있다.
첨부된 도면의 도 3 및 도 4는 차량의 앞좌석에 설치되는 맞춤형 카매트(100)의 후면을 나타낸 평면도 및 사시도이다.
상기 맞춤형 카매트(100)의 후면은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카매트(100)의 전면과 대향되도록 반대로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맞춤형 카매트(100)의 후면은 상기 발디딤부(123)가 도 3 및 도 4를 기준으로 볼록하게 튀어나온 모양과 형태를 이루고 있으며, 상기 방지턱(122)이 상기 발디딤부(123)의 테두리에서 수직 또는 경사로 아래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연장부(121)는 상기 방지턱(122)에서 매트 바깥쪽으로 경사를 이루며 연장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매트 연장부(121)에는 상기 복수의 절취용 홈(111114)과 대향되는 위치에 복수의 절취용 돌기(131134)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매트 연장부(121)는 상기 복수의 절취용 돌기(131134) 대신에 상기 복수의 절취용 홈(111114)과 동일 또는 유사한 모양과 형태의 홈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발디딤부(123)의 하면에는 상기 발디딤부(103; 도 2)의 전면에 형성된 돌기(104,105,107)와 대향되는 위치에 상기 돌기(104,105,107)와 상반된 형태를 갖는 홈(124,125,127)이 형성되어 있고, 전면의 코팅면(106)과 대향되는 위치에 코팅부(126)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전면의 상표 형성부(110)와 대향되는 위치에 상기 상표 형성부(110)와 상반된 형태를 갖는 상표 형성부(13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맞춤형 카매트(100)는 차량의 실내 바닥에 설치되어 탑승자의 발을 내려놓을 수 있도록 소정의 모양과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맞춤형 카매트(100)는 고무, 수지, 플라스틱 등의 소재를 이용하여 성형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카매트(100)는 수지 또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된 경우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카매트(100)는 고무, 수지, 플라스틱 등의 소재를 이용하여 한 번의 공정으로 성형 제조함으로써, 제조원가를 크게 줄일 수 있고 무게가 가벼워 취급이 용이함과 아울러 먼지가 흡착되지 않고 세척 및 청소가 용이하여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매트(100)는 쿠션을 갖는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카매트(100)는 EVA(Ethylene Vinyl Acetate) 발포 수지, PE(Poly Ethylene), 향균제 고무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형성되거나 하나 이상을 혼합하여 발포 성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맞춤형 카매트(100)는 차량 바닥의 모양과 크기에 따라 매트에 형성된 절취용 홈(111114)을 따라 절단하여 사용하도록 절취용 홈(111114)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차량에 맞게 카매트를 간단하고 편리하게 절취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맞춤형 카매트(100)는 탑승자가 카매트(100)에 발을 내려놓았을 때, 고무 또는 연질의 수지 재질 또는 EVA(Ethylene Vinyl Acetate) 발포 수지로 형성된 카매트에 의해 부드럽고 탄력이 있는 쿠션을 제공함과 아울러 미끄럼을 방지하면서도 미관이 미려한 효과가 있다.
또한, 쿠션에 의한 착지감이 향상될 수 있고, 신발에서 떨어진 흙이나 이물질이 실내 바닥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포집할 수 있어 차량의 실내를 쾌적하고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일정량 이상의 흙이나 이물질이 포집된 후에는 차량에서 탈거하여 외부에서 털어내어 제거할 수 있으며, 아울러 차량의 실내에 흙이나 이물질이 남지 않아 매우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발디딤부(103)의 테두리를 따라 돌출 형성된 방지턱(102)에 야광물질이 인쇄 또는 도포되어 있어 디자인이 심플하면서도 아름답고 세련된 효과를 준다.
맞춤형 카매트(뒷좌석)의 실시 예
도 5는 맞춤형 카매트(뒷좌석)의 전면 사시도이고, 도 6은 맞춤형 카매트(뒷좌석)의 후면 사시도이다.
상기 맞춤형 카매트(뒷좌석)(200)는 도 5 내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탑승자의 발을 내려놓을 수 있도록 소정의 모양과 형태로 형성된 발디딤부(203)와, 상기 발디딤부(203)의 테두리를 따라 수직 또는 경사로 돌출 형성된 방지턱(202)과, 상기 방지턱(202)에서 바깥쪽으로 경사를 이루며 연장 형성되고 카매트의 전체 모양과 크기를 결정하는 매트 연장부(201)와, 상기 매트 연장부(201)에 일체로 형성되며 차량의 바닥 모양 및 크기에 따라 절취하도록 형성된 복수의 절취용 홈(211212)과, 상기 카매트(200)의 하변에 일체로 형성된 매트 고정용 구멍(209)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발디딤부(203)는 탑승자의 발을 내려놓는 부분으로, 하면이 차량의 바닥에 안착되게 된다. 상기 발디딤부(203)는 테두리를 따라 위로 돌출된 상기 방지턱(202)에 의해 마치 아래로 들어간 하나의 홈 형상으로 하고 있다. 상기 발디딤부(203)의 상면에는 발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소정의 모양과 형상을 갖는 돌기(204,205)가 규칙 또는 불규칙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돌기(204,205)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영역을 구분하여 서로 다른 또는 동일한 모양과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발디딤부(203)의 상면에는 이종 재질의 코팅면(206)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코팅면(206)은 돌기가 형성된 부분을 제외한 상기 발디딤부(203)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발디딤부(203)의 상면에는 이종 재질의 코팅면(206) 대신에 금속판(미도시)을 접착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금속판은 돌기가 바깥으로 노출되도록 돌기가 형성된 위치에 구멍이 형성되거나 또는 돌기와 대향되는 돌기 형상이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발디딤부(203)의 상면에는 제품의 상표 또는 제조사 명을 일체로 성형하여 형성하거나 접착할 수 있는 상표 형성부(21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발디딤부(203)는 도면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여기에 국한된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발디딤부(203)는 원형, 타원형,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팔각형 등 여러 가지 모양과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발디딤부(203)의 외곽에는 테두리를 따라 방지턱(202)이 수직 또는 경사로 위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방지턱(202)은 상기 발디딤부(203)의 경계 역할을 하며, 상기 발디딤부(203)에 떨어진 흙이나 이물질 등이 상기 카매트(200)의 바깥으로 빠져나가지 못하게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방지턱(202)에서 상기 카매트(200)의 바깥 테두리까지 매트 연장부(201)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매트 연장부(201)는 상기 방지턱(202)에서 바깥쪽으로 경사를 이루며 연장 형성되고 상기 카매트(200)의 전체 모양과 크기를 결정하게 된다.
상기 카매트(200)는 도 5를 기준으로 설명하면, 중앙에 상기 발디딤부(203)가 배치되고, 상기 발디딤부(203)의 외곽에 상기 방지턱(202)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방지턱(202)에서 상기 카매트(200)의 바깥쪽 테두리까지 상기 매트 연장부(201)가 소정의 길이로 연장 형성되어 있다.
상기 매트 연장부(201)에는 복수의 절취용 홈(211212)이 수직 또는 수평 또는 곡선 등으로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절취용 홈(211212)은 상기 매트 연장부(201)에 일체로 형성되며, 차량의 바닥 모양 및 크기에 따라 선택하여 절취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맞춤형 카매트(200)는 차량의 바닥에 맞지 않을 경우 차량의 바닥면에 맞는 절취용 홈(211212)을 선택하여 절취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카매트(200)의 하변에 있는 상기 매트 연장부(201)에 매트 고정용 구멍(209)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매트 고정용 구멍(209)은 상기 매트 연장부(201)에 돌출 형성된 고정편(208)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편(208)은 상기 카매트(200)의 하변 양쪽에 2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맞춤형 카매트(200)는 차량의 뒷좌석(또는 앞좌석) 바닥에 설치한 다음 상기 매트 고정용 구멍(209)에 고정수단(미도시)을 삽입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수단은 차량의 바닥 또는 좌석 하부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을 상기 매트 고정용 구멍(209)에 삽입하여 카매트를 고정하는 고리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매트 고정용 구멍(209)을 통해 차량 바닥에 체결하는 나사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매트 고정용 구멍(209)에 끼워 앞좌석 하부의 프레임에 묶어서 고정하는 끈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맞춤형 카매트(200)는 차량의 좌석 바닥에 설치된 고정구(미도시)에 착탈식으로 결합되어 상기 카매트(200)가 움직이지 못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이 외에, 상기 맞춤형 카매트(200)는 상기 방지턱(202)의 상부에 야광물질을 인쇄 또는 도포하여, 야간시 상기 발디딤부(203)의 위치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안내함과 아울러, 카매트를 심플하면서도 세련된 느낌을 주도록 구성할 수 있다.
첨부된 도면의 도 6은 차량의 뒷좌석에 설치되는 맞춤형 카매트(200)의 후면을 나타낸 평면도 및 사시도이다.
상기 맞춤형 카매트(200)의 후면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 5에 나타낸 카매트(200)의 전면과 대향되도록 반대로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맞춤형 카매트(200)의 후면은 상기 발디딤부(223)가 도 3 및 도 4를 기준으로 볼록하게 튀어나온 모양과 형태를 이루고 있으며, 상기 방지턱(222)이 상기 발디딤부(223)의 테두리에서 수직 또는 경사로 아래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연장부(221)는 상기 방지턱(222)에서 매트 바깥쪽으로 경사를 이루며 연장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매트 연장부(221)에는 상기 복수의 절취용 홈(211212)과 대향되는 위치에 복수의 절취용 돌기(231232)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매트 연장부(221)는 상기 복수의 절취용 돌기(231232) 대신에 상기 복수의 절취용 홈(211212)과 동일 또는 유사한 모양과 형태의 홈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발디딤부(223)의 하면에는 상기 발디딤부(203; 도 5)의 전면에 형성된 돌기(204,205)와 대향되는 위치에 상기 돌기(204,205)와 상반된 형태를 갖는 홈(224,225)이 형성되어 있고, 전면의 코팅면(206)과 대향되는 위치에 코팅부(226)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전면의 상표 형성부(210)와 대향되는 위치에 상기 상표 형성부(210)와 상반된 형태를 갖는 상표 형성부(23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맞춤형 카매트(200)는 차량의 실내 바닥에 설치되어 탑승자의 발을 내려놓을 수 있도록 소정의 모양과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맞춤형 카매트(200)는 고무, 수지, 플라스틱 등의 소재를 이용하여 성형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카매트(200)는 수지 또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된 경우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카매트(200)는 고무, 수지, 플라스틱 등의 소재를 이용하여 한 번의 공정으로 성형 제조함으로써, 제조원가를 크게 줄일 수 있고 무게가 가벼워 취급이 용이함과 아울러 먼지가 흡착되지 않고 세척 및 청소가 용이하여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매트(200)는 쿠션을 갖는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카매트(200)는 EVA(Ethylene Vinyl Acetate) 발포 수지, PE(Poly Ethylene), 향균제 고무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형성되거나 하나 이상을 혼합하여 발포 성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맞춤형 카매트(200)는 차량 바닥의 모양과 크기에 따라 매트에 형성된 절취용 홈(211212)을 따라 절단하여 사용하도록 절취용 홈(211212)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차량에 맞게 카매트를 간단하고 편리하게 절취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맞춤형 카매트(200)는 탑승자가 카매트(200)에 발을 내려놓았을 때, 고무 또는 연질의 수지 재질 또는 EVA(Ethylene Vinyl Acetate) 발포 수지로 형성된 카매트에 의해 부드럽고 탄력이 있는 쿠션을 제공함과 아울러 미끄럼을 방지하면서도 미관이 미려한 효과가 있다.
또한, 쿠션에 의한 착지감이 향상될 수 있고, 신발에서 떨어진 흙이나 이물질이 실내 바닥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포집할 수 있어 차량의 실내를 쾌적하고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일정량 이상의 흙이나 이물질이 포집된 후에는 차량에서 탈거하여 외부에서 털어내어 제거할 수 있으며, 아울러 차량의 실내에 흙이나 이물질이 남지 않아 매우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발디딤부(203)의 테두리를 따라 돌출 형성된 방지턱(202)에 야광물질이 인쇄 또는 도포되어 있어 디자인이 심플하면서도 아름답고 세련된 효과를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맞춤형 카매트는 매트 상부에 발을 내려놓는 발디딤부가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 방지턱에 의해 홈 형상으로 구성되어 흙이나 이물질이 차량 바닥에 떨어지지 않게 포집할 수 있고, 차량 바닥의 모양과 크기에 따라 매트에 형성된 절취용 홈을 따라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고, 고무, 수지, 플라스틱, EVA(Ethylene Vinyl Acetate) 발포 수지 등을 이용하여 한 장의 매트로 성형함으로써,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시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 등이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등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 맞춤형 카매트(앞좌석)
101 : 매트 연장부(전면) 102 : 방지턱
103 : 발디딤부(전면) 104 : 돌기
105 : 돌기 106 : 코팅면(전면)
107 : 돌기 108 : 고정편
109 : 매트 고정용 구멍 110 : 상표 형성부
111∼114 : 절취용 홈 121 : 매트 연장부(후면)
122 : 방지턱 123 : 발디딤부(후면)
124 : 홈 125 : 홈
126 : 코팅부(후면) 127 : 홈
130 : 상표 형성부 131∼134 : 절취용 돌기
200 : 맞춤형 카매트(뒷좌석) 201 : 매트 연장부(전면)
202 : 방지턱 203 : 발디딤부(전면)
204 : 돌기 205 : 돌기
206 : 코팅면(전면) 208 : 고정편
209 : 매트 고정용 구멍 210 : 상표 형성부
211∼212 : 절취용 홈 221 : 매트 연장부(후면)
222 : 방지턱 223 : 발디딤부(후면)
224 : 홈 225 : 홈
226 : 코팅부(후면) 231∼232 : 절취용 돌기

Claims (4)

  1. 카매트의 중앙부에 형성되며, 탑승자의 발을 내려놓을 수 있도록 소정의 모양과 형태로 형성된 발디딤부;
    상기 발디딤부의 테두리를 따라 수직 또는 경사로 돌출 형성되어 흙이나 이물질의 이탈을 방지하는 방지턱;
    상기 방지턱에서 바깥쪽으로 경사를 이루며 연장 형성되고, 상기 카매트의 모양과 크기를 결정하는 매트 연장부;
    상기 매트 연장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차량의 바닥 모양 및 크기에 따라 선택하여 절취하도록 형성된 복수의 절취용 홈; 및
    상기 카매트의 하변에 일체로 형성된 매트 고정용 구멍;을 포함하는,
    맞춤형 카매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맞춤형 카매트는,
    차량의 바닥 또는 좌석 하부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을 상기 매트 고정용 구멍에 삽입하여 카매트를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더 포함하는,
    맞춤형 카매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디딤부는 상면에 소정의 모양과 크기를 갖는 복수의 돌기가 볼록하게 돌출 형성되고 소정의 바닥면에 코팅면이 형성되며,
    상기 절취용 홈은 카매트의 테두리 모양으로 절취되도록 카매트의 테두리 모양을 따라 복수로 형성된,
    맞춤형 카매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맞춤형 카매트는,
    고무, 수지, 플라스틱, EVA(Ethylene Vinyl Acetate) 발포 수지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성형 제조된,
    맞춤형 카매트.
KR1020150006479A 2015-01-13 2015-01-13 맞춤형 카매트 KR1017550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6479A KR101755087B1 (ko) 2015-01-13 2015-01-13 맞춤형 카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6479A KR101755087B1 (ko) 2015-01-13 2015-01-13 맞춤형 카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7310A true KR20160087310A (ko) 2016-07-21
KR101755087B1 KR101755087B1 (ko) 2017-07-06

Family

ID=566805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6479A KR101755087B1 (ko) 2015-01-13 2015-01-13 맞춤형 카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508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4754B1 (ko) 2021-08-20 2022-01-24 주식회사 제이케이앤더블유 차량용품 추천판매 시스템
KR20240047929A (ko) 2022-10-05 2024-04-12 주식회사 제이케이앤더블유 차량번호 조회기반 맞춤형 차량용품 추천판매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2101A (ko) 2007-07-25 2009-02-02 각고호우징 게이오기주크 광탄성 측정방법 및 그 장치
KR20130107657A (ko) 2012-03-22 2013-10-02 김환수 자동차용 실내 매트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63435A (ja) * 1999-08-26 2001-03-13 Kyowa Sangyo Kk 自動車用補助マットの固定具
KR101272777B1 (ko) * 2013-04-05 2013-06-10 글로벌더원코리아(주) 자동차용 플로워 매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2101A (ko) 2007-07-25 2009-02-02 각고호우징 게이오기주크 광탄성 측정방법 및 그 장치
KR20130107657A (ko) 2012-03-22 2013-10-02 김환수 자동차용 실내 매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5087B1 (ko) 2017-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5087B1 (ko) 맞춤형 카매트
US20130000027A1 (en) Removable, Reusable, and Flexible Urine Deflector
US20070089225A1 (en) Toilet training system
CA2455135A1 (en) Advanced floor mat
EP0981475B1 (en) Bicycle seat and seat cover
TWM564548U (zh) Bicycle seat cushion combined with biogel structure
KR20130107657A (ko) 자동차용 실내 매트
US20070092687A1 (en) Vehicle mat
US5594958A (en) Hands-off toilet seat lifting apparatus
US20060179559A1 (en) Child's training step and footrest
CN108471915A (zh) 防滑如厕训练装置
EP0410939A1 (en) Foot-rest for motor-cars
JP3662006B2 (ja) 椅子における弾性支持シートの張着構造
US5987657A (en) Toilet attachment and aid
JP2007267823A (ja) 浴槽台
EP0247677A2 (en) Mat with moulded protective border
KR101557236B1 (ko) 인조잔디형 카매트 및 그의 제작 방법
US20210361102A1 (en) Floor mat with damp-proof effect
KR200325024Y1 (ko) 자동차용 매트
KR20120134899A (ko) 자동차용 매트
US5833318A (en) Wheelchair support accessory
KR20130104461A (ko) 자동차용 매트의 결합구조
KR200466611Y1 (ko) 안전 방지수단이 구비된 자동차용 매트
KR20180092114A (ko) 절취부를 갖는 자동차용 매트
CN201325356Y (zh) 一种防潮止滑脚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