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7196A - 터치 윈도우 - Google Patents

터치 윈도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7196A
KR20160087196A KR1020150006043A KR20150006043A KR20160087196A KR 20160087196 A KR20160087196 A KR 20160087196A KR 1020150006043 A KR1020150006043 A KR 1020150006043A KR 20150006043 A KR20150006043 A KR 20150006043A KR 20160087196 A KR20160087196 A KR 201600871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osed
substrate
sensing electrode
electrode
wi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60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88825B1 (ko
Inventor
박성규
이규린
권도엽
윤석표
허재학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060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8825B1/ko
Priority to US14/994,805 priority patent/US10048816B2/en
Priority to CN201620032052.1U priority patent/CN205540641U/zh
Publication of KR201600871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71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88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88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3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single layer of sensing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grid-like structure of electrodes in at least two directions, e.g. using row and column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7Shielding in digitiser, i.e. guard or shielding arrangements, mostly for capacitive touchscreens, e.g. driven shields, driven groun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2Electrode mesh in capacitive digitiser: electrode for touch sensing is formed of a mesh of very fine, normally metallic, interconnected lines that are almost invisible to see. This provides a quite large but transparent electrode surface, without need for ITO or similar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는, 유효 영역 및 비유효 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상기 유효 영역 상에 배치되는 제 1 감지 전극; 상기 비유효 영역 상에 배치되는 배선 전극; 상기 기판 상의 중간층; 상기 중간층 상에 배치되는 제 2 감지 전극; 및 상기 배선 전극 상에 배치되는 전도층을 포함하고, 상기 전도층은 상기 제 1 감지 전극 및 상기 제 2 감지 전극 중 적어도 하나의 감지 전극과 대응되는 물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터치 윈도우{TOUCH WINDOW}
실시에는 터치 윈도우에 관한 것이다.
최근 다양한 전자 제품에서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된 화상에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stylus) 등의 입력 장치를 접촉하는 방식으로 입력을 하는 터치 윈도우가 적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터치 윈도우는 기판 상에 감지 전극 및 이러한 감지 전극에 연결되는 배선 전극을 배치하고, 감지 전극이 배치되는 영역을 터치하였을 때 정전 용량 등이 변화하는 것을 감지하여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감지 전극으로부터 감지되는 터치 신호는 상기 배선 전극을 통해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되는 칩으로 전달되고, 이에 따라 터치 신호에 따른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전도성 물질 등으로 형성되는 배선 전극으로부터 발생되는 노이즈로 인해 감지 전극을 터치시 배선 전극의 노이즈로 인해 터치 오류 및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터치 윈도우가 요구된다.
실시예는 향상된 터치 효율 및 신뢰성을 가지는 터치 윈도우를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는, 유효 영역 및 비유효 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상기 유효 영역 상에 배치되는 제 1 감지 전극; 상기 비유효 영역 상에 배치되는 배선 전극; 상기 기판 상의 중간층; 상기 중간층 상에 배치되는 제 2 감지 전극; 및 상기 배선 전극 상에 배치되는 전도층을 포함하고, 상기 전도층은 상기 제 1 감지 전극 및 상기 제 2 감지 전극 중 적어도 하나의 감지 전극과 대응되는 물질을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는 배선 전극 상에 배치되고, 감지 전극 등과 대응되는 물질을 포함하는 전도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배선 전극 상에 쉴드층(shield layer)의 역할을 하는 전도층을 배치하여 배선 전극으로부터 발생하는 노이즈의 이동을 차단함으로써, 터치 윈도우의 터치 효율을 향상시키고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전도층(500)을 감지 전극 등과 동시에 동일한 공정에 의해 동시에 형성할 수 있다.
즉, 하나의 공정으로 동시에 상기 감지 전극 등 및 상기 전도층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배선 전극으로부터 발생하는 노이즈를 차단하는 전도층 즉, 쉴드층을 별도로 형성하지 않고, 감지 전극 형성시 동시에 형성할 수 있으므로, 공정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쉴드층을 형성할 때 쉴드층을 지지하는 별도의 지지 부재가 요구되지 않으므로, 이에 따른 두께 증가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A-A' 영역을 따라 절단한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의 중간층 상에 형성되는 노출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5 및 도 6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의 전도층의 배치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7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의 평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B-B' 영역을 절단한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의 다른 평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의 C-C' 영역을 절단한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제 3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제 3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의 일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제 4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의 일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제 5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의 일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제 6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의 일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와 표시 패널이 결합된 터치 디바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 내지 도 21은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가 적용되는 터치 디바이스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각 층(막), 영역, 패턴 또는 구조물들이 기판, 각 층(막), 영역, 패드 또는 패턴들의 “상/위(on)”에 또는 “하/아래(under)”에 형성된다는 기재는, 직접(directly) 또는 다른 층을 개재하여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각 층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대한 기준은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면에서 각 층(막), 영역, 패턴 또는 구조물들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하여 변형될 수 있으므로,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는, 기판(100), 중간층(200), 감지 전극(300), 배선 전극(4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판(100)은 리지드(rigid)하거나 또는 플렉서블(flexible)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판(100)은 유리 또는 플라스틱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기판(100)은 소다라임유리(soda lime glass) 또는 알루미노실리케이트유리 등의 화학 강화/반강화유리를 포함하거나, 폴리이미드(Polyimide, PI),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프로필렌 글리콜(propylene glycol, PPG) 폴리 카보네이트(PC) 등의 강화 혹은 연성 플라스틱을 포함하거나 사파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판(100)은 광등방성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기판(100)은 COC(Cyclic Olefin Copolymer), COP(Cyclic Olefin Polymer), 광등방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또는 광등방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파이어는 유전율 등 전기 특성이 매우 뛰어나 터치 반응 속도를 획기적으로 올릴수 있을 뿐 아니라 호버링(Hovering) 등 공간 터치를 쉽게 구현 할 수 있고 표면 강도가 높아 커버 기판으로도 적용 가능한 물질이다. 여기서, 호버링이란 디스플레이에서 약간 떨어진 거리에서도 좌표를 인식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기판(100)은 부분적으로 곡면을 가지면서 휘어질 수 있다. 즉, 상기 기판(100)은 부분적으로는 평면을 가지고, 부분적으로는 곡면을 가지면서 휘어질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기판(100)의 끝단이 곡면을 가지면서 휘어지거나 Random한 곡률을 포함한 표면을 가지며 휘어지거나 구부러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기판(100)은 유연한 특성을 가지는 플렉서블(flexible) 기판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기판(100)은 커브드(curved) 또는 벤디드(bended) 기판일 수 있다. 즉, 상기 기판(100)을 포함하는 터치 윈도우도 플렉서블, 커브드 또는 벤디드 특성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는 휴대가 용이하며, 다양한 디자인으로 변경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기판 상에는 감지 전극 및 배선 전극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기판(100)은 지지기판일 수 있다.
상기 기판(100)은 커버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감지 전극 및 상기 배선 전극은 커버 기판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또는, 상기 기판 상에는 별도의 커버 기판이 더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감지 전극 및 상기 배선 전극은 기판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기판과 상기 커버 기판은 접착층을 통해 합지될 수 있다.
상기 기판에는 유효 영역(AA)및 비유효 영역(UA)이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유효 영역(AA)에서는 디스플레이가 표시될 수 있고, 상기 유효 영역(AA) 주위에 배치되는 상기 비유효 영역(UA)에서는 디스플레이가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유효 영역(AA) 및 상기 비유효 영역(UA)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서는 입력 장치(예를 들어, 손가락 등)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터치 윈도우에 손가락 등의 입력 장치가 접촉되면, 입력 장치가 접촉된 부분에서 정전 용량의 차이가 발생하고, 이러한 차이가 발생한 부분을 접촉 위치로 검출할 수 있다.
상기 감지 전극(300)은 제 1 감지 전극(310) 및 제 2 감지 전극(3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감지 전극(310) 및 상기 제 2 감지 전극(320)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하며,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감지 전극(310)은 상기 기판(1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감지 전극(310)은 상기 기판(100)의 유효 영역(AA) 및 비유효 영역(UA)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감지 전극(310)은 상기 기판(100)의 상기 유효 영역(AA)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감지 전극은 상기 중간층(4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2 감지 전극(320)은 상기 유효 영역(AA) 및 상기 비유효 영역(UA)과 대응되는 상기 중간층(4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2 감지 전극(320)은 상기 유효 영역(AA)과 대응되는 상기 중간층(4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감지 전극(310)과 상기 제 2 감지 전극(320)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 감지 전극(310)은 제 1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 2 감지 전극(320)은 상기 제 1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1 감지 전극(310) 및 상기 제 2 감지 전극(320) 중 적어도 하나의 감지 전극은 광의 투과를 방해하지 않으면서 전기가 흐를 수 있도록 투명 전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감지전극은 인듐 주석 산화물(indium tin oxide), 인듐 아연 산화물(indium zinc oxide), 구리 산화물(copper oxide), 주석 산화물(tin oxide), 아연 산화물(zinc oxide), 티타늄 산화물(titanium oxide) 등의 금속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 1 감지 전극(310) 및 상기 제 2 감지 전극(320) 중 적어도 하나의 감지 전극은 나노와이어, 감광성 나노와이어 필름, 탄소나노튜브(CNT), 그래핀(graphene), 전도성 폴리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나노 와이어 또는 탄소나노튜브(CNT)와 같은 나노 합성체를 사용하는 경우 흑색으로 구성할 수 도 있으며, 나노 파우더의 함량제어를 통해 전기전도도를 확보 하면서 색과 반사율 제어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는, 상기 제 1 감지 전극(310) 및 상기 제 2 감지 전극(320) 중 적어도 하나의 감지 전극은 다양한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감지전극(200)은 크롬(Cr), 니켈(Ni), 구리(Cu), 알루미늄(Al), 은(Ag), 몰리브덴(Mo). 금(Au), 티타튬(Ti) 및 이들의 합금 중 적어도 하나의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감지 전극(310) 및 상기 제 2 감지 전극(320) 중 적어도 하나의 감지 전극은 메쉬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감지 전극이 메쉬 형상을 가짐으로써, 유효 영역(AA) 상에서 상기 감지 전극의 패턴이 보이지 않게 할 수 있다. 즉, 상기 감지 전극이 금속으로 형성되어도, 패턴이 보이지 않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 전극이 대형 크기의 터치 윈도우에 적용되어도 터치 윈도우의 저항을 낮출 수 있다.
상기 배선 전극(400)은 상기 기판(1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배선 전극(400)은 상기 기판(100)의 유효 영역(AA) 및 비유효 영역(UA)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선 전극(400)은 상기 기판(100)의 상기 비유효 영역(UA)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배선 전극(400)은 제 1 배선 전극(410) 및 제 2 배선 전극(420)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배선 전극(400)은 상기 제 1 감지 전극(310)과 연결되는 제 1 배선 전극(410) 및 상기 제 2 감지 전극(320)과 연결되는 제 2 배선 전극(4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배선 전극(410) 및 상기 제 2 배선 전극(420)은 상기 기판(100)의 비유효 영역(UA)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배선 전극(410) 및 상기 제 2 배선 전극(420)의 일단은 각각 상기 제 1 감지 전극(310) 및 상기 제 2 감지 전극(320)과 연결되고, 타단은 회로기판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회로 기판으로는 다양한 형태의 회로 기판이 적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플렉서블 회로 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제 1 배선 전극(410) 및 상기 제 2 배선 전극(420)은 전기 전도성이 우수한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배선 전극(400)은 앞서 설명한 상기 감지 전극(300)과 동일 유사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배선 전극(410) 및 상기 제 2 배선 전극(420)은 상기 기판(100)의 일면과 접촉하며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배선 전극(410) 및 상기 제 2 배선 전극(420)은 상기 기판(100)의 일면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접촉하며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 배선 전극(310) 및 상기 제 2 배선 전극(320) 중 적어도 하나의 배선 전극은 상기 기판(100) 상에 배치되는 상기 중간층(200)과 단차를 가지며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감지 전극들 및 상기 배선 전극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전극들은 상기 기판(100) 상에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판(100) 상에 배치되는 제 1 감지 전극(310)은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는 상기 제 1 배선 전극(410)과 상기 기판 상에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 전극들 및 상기 배선 전극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전극들은 상기 중간층(200) 상에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중간층(200) 상에 배치되는 상기 제 2 감지 전극(320)은 상기 기판(100) 상에 배치되는 상기 제 2 배선 전극(420)과 상기 중간층(200) 상에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중간층(200)은 상기 기판(1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중간층(200)은 상기 기판(100)의 유효 영역 및 비유효 영역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중간층(200)은 상기 제 1 감지 전극(310) 및 배선 전극(4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중간층(200)은 상기 기판(100) 상에서 상기 제 1 감지 전극(310) , 상기 제 1 배선 전극(410) 및 상기 제 2 배선 전극(320)을 덮으면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중간층(200)은 상기 기판(100)과 서로 다른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중간층(200)은 유전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중간층(200)은 절연체 계열로서 LiF, KCl, CaF2, MgF2 등의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의 할로겐 화합물류 또는 융합 실리카(fused silica), SiO2, SiNX 등; 반도체 계열로서 InP, InSb 등; 반도체나 유전체에 사용되는 투명 산화물로서 ITO, IZO 등의 주로 투명 전극에 사용되는 In화합물 또는 ZnOx, ZnS, ZnSe, TiOx, WOx, MoOx, ReOx의 반도체나 유전체에 사용되는 투명산화물 등; 유기 반도체 계열로서 Alq3, NPB, TAPC, 2TNATA, CBP, Bphen 등; 저유전상수 물질로서 실세스퀴옥산(silsesquioxane) 또는 그 유도체(수소-실세스퀴옥산(H-SiO3/2)n, 메틸-실세스퀴옥산(CH3-SiO3/2)n), 다공성 실리카 또는 불소 또는 탄소 원자가 도핑된 다공성 실리카, 다공성 아연산화물(porous ZnOx), 불소 치환된 고분자화합물(CYTOP)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간층(200)은 약 75% 내지 약 99%의 가시 광선 투과율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중간층(200)의 두께는 상기 기판(100)의 두께보다 작을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중간층(200)의 두께는 상기 기판(100)의 두께의 약 0.01배 내지 약 0.1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판(100)의 두께는 약 0.1㎜이고, 상기 중간층(200)의 두께는 약 0.001㎜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중간층(200)의 단면적은 상기 기판(100)의 단면적과 상이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중간층(200)의 단면적은 상기 기판(100)의 단면적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중간층(200)은 상기 기판(100)의 상면에 직접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감지 전극(310), 상기 제 1 배선 전극(410) 및 상기 제 2 배선 전극(420)이 배치되는 상기 기판(100)의 상면에 직접 유전물질을 도포하여 상기 중간층(200)을 형성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중간층(200) 상에 상기 제2 감지 전극(320)을 배치할 수 있다.
상기 중간층(200)은 상기 제 2 감지 전극(320)을 지지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2 감지 전극(320)은 상기 중간층(200)의 양 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중간층(200)에는 노출 영역(OA)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중간층(200)에는 상기 노출 영역(OA)이 형성되고, 상기 노출 영역(OA)을 통해 상기 기판(100)의 일면이 노출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노출 영역(OA)은 상기 기판(100)의 비유효 영역을 노출할 수 있다.
상기 중간층(200)과 상기 기판(100) 사이에는 OCA 또는 OCR 등의 별도의 접착층이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접착층이 차지하는 크기만큼 터치 윈도우의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노출 영역(OA)은 상기 중간층의 일단을 개구하며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노출 영역(OA)은 상기 중간층 내에서 상기 중간층(200)을 관통하는 홀 영역과 대응될 수 있다.
상기 노출 영역(OA)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노출 영역(OA)은 복수 개의 영역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복수 개의 노출 영역이 일체화된 하나의 노출 영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노출 영역(OA)을 통해 상기 기판(100)의 비유효 영역 상에 배치되는 배선 전극(400)이 노출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노출 영역(OA)을 통해 상기 기판(100)이 비유효 영역 상에 배치되는 상기 제 2 배선 전극(420)이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중간층(200) 상에 배치되는 상기 제 2 감지 전극(320)은 상기 기판(100) 상에 배치되는 제 2 배선 전극(420)과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2 감지 전극(320)은 상기 중간층(200) 상에 형성되는 상기 노출 영역(OA)을 통해 상기 제 2 배선 전극(420)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중간층(200) 상에는 전도층(500)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판(100)의 비유효 영역과 대응되는 상기 중간층(200) 상에는 상기 전도층(50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전도층(500)은 상기 제 2 감지 전극(320)과 이격하며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도층(500)은 상기 기판의 비유효 영역과 대응되는 상기 중간층(200)의 전면 상에 배치되거나 부분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도층(500)은 도 5에 도시되어 있듯이, 상기 기판(100)의 비유효 영역과 대응되는 상기 중간층(200)의 전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전도층(500)은 도 6에 도시되어 있듯이, 상기 기판(100)의 비유효 영역과 대응되는 상기 중간층(200)의 일면 상에 부분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도층(500)은 상기 기판(100)의 비유효 영역과 대응되는 상기 중간층(200)의 일면 상에서 상기 제 1 배선 전극(410) 및 상기 제 2 배선 전극(420)이 배치되는 부분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전도층(500)은 전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도층(500)은 상기 감지 전극(300) 및 상기 배선 전극(400) 중 적어도 하나의 전극과 동일 또는 유사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도층(500)은 상기 제 1 감지 전극(310) 및 상기 제 2 감지 전극(320) 중 적어도 하나의 감지 전극과 대응되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도층(500)은 상기 비유효 영역 상에 배치되어 상기 배선 전극으로부터 발생하는 노이즈의 이동을 차단할 수 있다. 즉, 전도성 물질로 형성되는 상기 배선 전극에 의해 감지 전극 터치시 배선 전극에서 발생하는 노이즈로 인해 터치 효율이 저하되고 터치 오류가 발생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배선 전극 상에 쉴드층(shield layer)의 역할을 하는 전도층을 배치하여 이러하 노이즈의 이동을 차단함으로써, 터치 윈도우의 터치 효율을 향상시키고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전도층(500)은 상기 감지 전극과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도층(500)은 상기 중간층(200) 상의 상기 제 2 감지 전극(320)과 동일한 공정에 의해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중간층(500) 상에 앞서 설명한 전도성 물질을 배치하고, 상기 유효 영역 상에서는 상기 전도성 물질을 패터닝하여 상기 제 2 감지 전극을 형성하고, 상기 비유효 영역 상에서는 상기 전도성 물질을 패터닝하여 상기 전도층을 형성할 수 있다.
즉, 하나의 공정으로 동시에 상기 감지 전극(300) 및 상기 전도층(500)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배선 전극으로부터 발생하는 노이즈를 차단하는 전도층 즉, 쉴드층을 별도로 형성하지 않고, 감지 전극 형성시 동시에 형성할 수 있으므로, 공정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쉴드층을 형성할 때 쉴드층을 지지하는 별도의 지지 부재가 요구되지 않으므로, 이에 따른 두께 증가를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도 7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제 2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를 설명한다. 제 2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에 대한 설명에서는 앞서 설명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와 동일 또는 유사한 설명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제 2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는 커버 기판(101), 기판(100), 감지 전극(300), 배선 전극(400) 및 전도층(5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 기판(100)은 상기 기판(1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커버 기판(101)은 상기 기판(100)과 합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커버 기판(101)은 광학용 투명 접착제(OCA) 또는 광학용 투명 접착수지(OCR) 등을 통해 서로 접착될 수 있다.
상기 기판(100) 상에는 상기 감지 전극(300) 및 상기 배선 전극(400)이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기판(100)의 일면은 상기 커버 기판(101)과 접착되고, 상기 일면과 반대되는 상기 기판(100)의 타면 상에는 상기 감지 전극(300) 및 상기 배선 전극(40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감지 전극(300)은 제 1 감지 전극(310) 및 제 2 감지 전극(3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감지 전극(310) 및 상기 제 2 감지 전극(320)은 상기 기판(1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 감지 전극(310) 및 상기 제 2 감지 전극(320)은 상기 기판(100)이 동일한 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감지 전극(310) 및 상기 제 2 감지 전극(320)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하며 상기 기판(100)의 동일한 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 감지 전극(310)은 상기 기판(100)의 유효 영역(AA) 상에서 일 방향으로 연장하면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감지 전극(310)은 상기 기판(100)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접촉하며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감지 전극(320)은 상기 기판(100)의 유효 영역(AA) 상에서 상기 일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연장하면서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2 감지 전극(320)은 상기 일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기판(100)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접촉하며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감지 전극(310)과 상기 제 2 감지 전극(320)은 상기 기판(100)의 동일 면에 접촉하며 배치되고, 기판(100)의 동일 면 상에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며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감지 전극(310)과 상기 제 2 감지 전극(320)은 상기 기판(100) 상에서 연결 전극(330) 및 절연층(350)에 의해 서로 절연되며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제 1 감지 전극(310) 및 상기 제 2 감지 전극(320)은 상기 기판(100)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감지 전극(310) 및 상기 제 2 감지 전극(320) 상에는 연결 전극(330) 및 제 1 절연층(351)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감지 전극(310) 및 상기 제 2 감지 전극(320)은 복수 개의 단위 감지 전극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감지 전극(310)은 복수 개의 제 1 단위 감지 전극(310a)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감지 전극(320)은 복수 개의 제 2 단위 감지 전극(320a)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단위 감지 전극(310a)들은 서로 연결되며 일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단위 감지 전극(320a)들은 서로 이격하며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절연층(351)은 상기 제 1 감지 전극(310) 및 상기 제 2 감지 전극(32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절연층(351)은 상기 제 1 감지 전극(310) 및 상기 제 2 감지 전극(330)을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감싸면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절연층(351) 상에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절연층(351) 상에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상기 제 2 단위 감지 전극(320a)을 노출하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 절연층(351)은 상기 상기 제 1 단위 감지 전극(310a) 및 상기 제 2 단위 감지 전극(320a) 상에서 상기 제 2 단위 감지 전극(320a)을 부분적으로 노출하며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연결 전극(330)은 상기 제 1 절연층(35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연결 전극(350)은 상기 제 1 절연층(351) 상에서 상기 제 2 단위 감지 전극(320a)과 연결되며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 절연층(351)이 상기 제 1 감지 전극(310) 및 상기 제 2 감지 전극(330)을 완전히 감싸면서 배치되는 경우, 상기 제 1 절연층(351) 상에 형성된 홀을 통해 상기 연결 전극(350)과 상기 제 2 단위 감지 전극(320a)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절연층(351)이 상기 제 1 감지 전극(310) 및 상기 제 2 감지 전극(330)을 부분적으로 감싸면서 배치되는 경우, 노출된 상기 제 2 단위 감지 전극(320a)과 상기 연결 전극(330)이 접촉하여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 전극(330)은 상기 제 1 감지 전극(310) 및 상기 제 2 감지 전극(320) 중 적어도 하나의 전극과 동일 또는 유사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 2 감지 전극(320)은 상기 연결 전극(330)을 통해 상기 제 1 감지 전극(310)과 절연되며 상기 일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기판(100)의 비유효 영역(UA) 상에는 배선 전극(400)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판(100)의 비유효 영역(400)상에는 상기 제 1 감지 전극(310)과 연결되며 배치되는 제 1 배선 전극(410)과 상기 제 2 감지 전극(320)과 연결되며 배치되는 제 2 배선 전극(420)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유효 영역 상에는 전도층(500)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도층(500)은 상기 비유효 영역 상에서 상기 배선 전극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전도층(500)은 상기 비유효 영역 상에 배치되는 제 2 절연층(35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절연층(351)과 상기 제 2 절연층(352)은 동일 또는 유사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절연층(351)과 상기 제 2 절연층(352)은 동일한 공정을 통해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기판(100)의 전면 상에 절연 물질을 배치하고, 상기 유효 영역 상에서는 상기 절연 물질을 패터닝하여 상기 제 1 절연층을 형성하고, 상기 비유효 영역 상에서는 상기 절연 물질을 패터닝하여 상기 제 2 절연층을 형성할 수 있다.
즉, 하나의 공정으로 동시에 상기 제 1 절연층(351) 및 상기 제 2 절연층(352)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 전극(330)과 상기 전도층(500)은 동일 또는 유사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 전극(330)과 상기 전도층(500)은 동일한 공정을 통해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기판(100)의 전면 상에 전도성 물질을 배치하고, 상기 유효 영역 상에서는 상기 전도성 물질을 패터닝하여 상기 연결 전극을 형성하고, 상기 비유효 영역 상에서는 상기 전도성 물질을 패터닝하여 상기 전도층을 형성할 수 있다.
즉, 하나의 공정으로 동시에 상기 연결 전극(330) 및 상기 전도층(500)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연결 전극(330)이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절연층(351)이 상기 연결 전극(330)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절연층(351) 상에 상기 제 1 감지 전극(310) 및 상기 제 2 감지 전극(320)이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 절연층(351)은 상기 연결 전극을 부분적으로 노출하며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 1 감지 전극은 상기 제 1 절연층(351)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단위 감지 전극(320)들은 상기 제 1 절연층(351) 상에 배치되며, 상기 연결 전극(330)과 접촉하며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 2 감지 전극(320)은 상기 연결 전극(330)을 통해 상기 제 1 감지 전극(310)과 절연되며 상기 일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전도층(500)은 상기 비유효 영역 상에서 전면 또는 부분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전도층(500)은 상기 제 2 절연층(352) 상에서 상기 비유효 영역과 대응되는 영역의 전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전도층(500)은 상기 제 2 절연층(352) 상에서 상기 배선 전극이 배치되는 영역과 대응되는 영역 상에만 배치될 수 있다.
이하,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여, 제 3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를 설명한다. 제 3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에 대한 설명에서는 앞서 설명한 제 1, 2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와 동일 또는 유사한 설명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제 1, 2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한다.
제 3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는 커버 기판(101), 감지 전극(300), 배선 전극(400) 및 전도층(5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 기판(101)은 유효 영역(AA) 및 비유효 영역(U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 기판(101)은 앞서 설명한 상기 기판(100)과 동일 또는 유사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지 전극(300) 및 상기 배선 전극(400)은 상기 커버 기판(10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감지 전극(300)은 상기 유효 영역 상에 배치되고, 상기 배선 전극은 상기 비유효 영역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감지 전극(300)은 제 1 감지 전극(310) 및 제 2 감지 전극(3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감지 전극(310) 및 상기 제 2 감지 전극(320)의 배치관계는 앞서 설명한 제 2 실시예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이하의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커버 기판(101)의 비유효 영역 상에는 인쇄층(60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인쇄층(600)은 상기 비유효 영역 상에 배치되는 배선 전극과 상기 배선 전극을 외부 회로에 연결하는 인쇄 회로 기판 등을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할 수 있도록 소정의 색을 가지는 물질을 도포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인쇄층(600)은 원하는 외관에 적합한 색을 가질 수 있는데, 일례로 흑색 또는 흰색 안료 등을 포함하여 흑색 또는 흰색을 나타낼 수 있다. 또는 다양한 칼라 필름 등을 사용하여 빨강색, 파란색 등의 다양한 칼라색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쇄층에는 다양한 방법으로 원하는 로고 등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인쇄층은 증착, 인쇄, 습식 코팅 등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인쇄층은 적어도 1층 이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외곽 더미층은 하나의 층으로 배치되거나 또는 폭이 서로 다른 적어도 두 층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배선 전극(400)은 상기 비유효 영역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배선 전극(400)은 상기 비유효 영역 상에서 상기 인쇄층(6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배선 전극(400)은 상기 제 1 감지 전극(310)과 연결되는 제 1 배선 전극(410) 및 상기 제 2 감지 전극(320)과 연결되는 제 2 배선 전극(4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도층(500)은 상기 비유효 영역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도층(500)은 상기 비유효 영역 상에서 상기 배선 전극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전도층(500)은 상기 비유효 영역 상에 배치되는 제 2 절연층(35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전도층(500)의 배치관계는 상기 배선 전극(400)이 상기 인쇄층(600) 상에 배치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앞서 설명한 제 2 실시예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이하의 설명은 생략한다.
제 2 실시예 및 제 3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는 앞서 설명한 제 1 실시예와 유사하게 상기 전도층(500)에 의해 배선 전극으로부터 발생하는 노이즈의 이동을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터치 윈도우의 터치 효율을 향상시키고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전도층 즉, 쉴드층을 별도로 형성하지 않고, 연결 전극 형성시 동시에 형성할 수 있으므로, 공정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쉴드층을 형성할 때 쉴드층을 지지하는 별도의 지지 부재가 요구되지 않으므로, 이에 따른 두께 증가를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도 14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제 4 내지 제 6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를 설명한다. 제 4 내지 제 6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에 대한 설명에서는 앞서 설명한 제 1, 2, 3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와 동일 또는 유사한 설명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제 1, 2, 3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한다.
도 14를 참조하면, 제 4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는 커버 기판(101), 제 1 기판(110), 제 2 기판(120), 감지 전극(300), 배선 전극(400) 및 전도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 기판(101)은 상기 제 1 기판(11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커버 기판(101)과 상기 제 1 기판(110)은 서로 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기판(110)은 상기 제 2 기판(12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기판(110)과 상기 제 2 기판(120)은 서로 합지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기판(110)의 일면은 상기 커버 기판(101)과 접착되고, 상기 제 1 기판(110)의 일면과 반대되는 타면은 상기 제 2 기판(120)과 접착될 수 있다.
상기 감지 전극(300)은 제 1 감지 전극(310) 및 제 2 감지 전극(3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감지 전극(310) 및 상기 제 2 감지 전극(320)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하며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감지 전극(310)은 상기 제 1 기판(11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감지 전극(310)은 상기 제 1 기판(110) 상에서 일 방향으로 연장하며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감지 전극(320)은 상기 제 2 기판(12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2 감지 전극(320)은 상기 제 2 기판(120) 상에서 상기 일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연장하며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감지 전극(310) 및 상기 제 2 감지 전극(320)에는 각각 배선 전극(400)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커버 기판(101)의 비유효 영역 상에는 인쇄층(600)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쇄층(600)의 전면 또는 부분면 상에는 전도층(50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전도층(500)은 상기 제 1 감지 전극(310) 및 상기 제 2 감지 전극(320) 중 적어도 하나의 감지 전극과 동일 또는 유사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도층(500)이 상기 인쇄층 상에 배치되는 것에 대해 도시하였으나, 실시예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상기 전도층(500)은 상기 배선 전극(400) 상에도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배선 전극(400) 상에 별도의 절연층(350)이 배치되고, 상기 절연층(350) 상에 상기 전도층(500)이 배치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제 5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는 커버 기판(101), 기판(100), 감지 전극(300), 배선 전극(400) 및 전도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 기판(101)과 상기 기판(100)은 서로 합지될 수 있다.
상기 감지 전극(300)은 제 1 감지 전극(310) 및 제 2 감지 전극(3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감지 전극(310) 및 상기 제 2 감지 전극(320)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하며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감지 전극(310)은 상기 커버 기판(10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감지 전극(310)은 상기 커버 기판(101) 상에서 일 방향으로 연장하며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감지 전극(320)은 상기 기판(1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2 감지 전극(320)은 상기 기판(100) 상에서 상기 일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연장하며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감지 전극(310) 및 상기 제 2 감지 전극(320)에는 각각 배선 전극(400)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커버 기판(101)의 비유효 영역 상에는 인쇄층(600)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 17을 참조하면, 상기 인쇄층(600)의 전면 또는 부분면 상에는 전도층(500)이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인쇄층(600) 상에는 상기 배선 전극(400)이 배치되고, 상기 배선 전극(400) 상에는 절연층(350)이 배치되고, 상기 절연층(350) 상에 상기 전도층(35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전도층(500)은 상기 제 1 감지 전극(310) 및 상기 제 2 감지 전극(320) 중 적어도 하나의 감지 전극과 동일 또는 유사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제 6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는 커버 기판(101), 기판(100), 감지 전극(300), 배선 전극(400) 및 전도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 기판(101)은 상기 기판(1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커버 기판(101)과 상기 기판(100)은 서로 합지될 수 있다.
상기 감지 전극(300)은 제 1 감지 전극(310) 및 제 2 감지 전극(3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감지 전극(310) 및 상기 제 2 감지 전극(320)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하며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감지 전극(310)은 상기 기판(100)의 일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감지 전극(310)은 상기 기판(100)의 일면 상에서 일 방향으로 연장하며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감지 전극(320)은 상기 기판(100)의 일면과 반대되는 타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2 감지 전극(320)은 상기 기판(100)의 타면 상에서 상기 일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연장하며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감지 전극(310) 및 상기 제 2 감지 전극(320)에는 각각 배선 전극(400)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커버 기판(101)의 비유효 영역 상에는 인쇄층(600)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쇄층(600)의 전면 또는 부분면 상에는 전도층(50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전도층(500)은 상기 제 1 감지 전극(310) 및 상기 제 2 감지 전극(320) 중 적어도 하나의 감지 전극과 동일 또는 유사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도층(500)이 상기 인쇄층 상에 배치되는 것에 대해 도시하였으나, 실시예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상기 전도층(500)은 상기 배선 전극(400) 상에도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배선 전극(400) 상에 별도의 절연층(350)이 배치되고, 상기 절연층(350) 상에 상기 전도층(500)이 배치될 수 있다.
이하, 도 17을 참조하여, 앞서 설명한 터치 윈도우와 표시 패널이 결합된 터치 디바이스를 설명한다.
도 17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터치 디바이스는 표시 패널(800) 상에 배치되는 터치 윈도우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 도 17을 참조하면, 상기 터치 디바이스는 상기 기판(100)과 상기 표시 패널(800)이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판(100)과 상기 표시 패널(800)은 접착층(700)을 통해 서로 접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판(100)과 상기 표시 패널(800)은 광학용 투명 접착제(OCA)를 포함하는 접착층(700)을 통해 서로 합지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800)은 제 1 기판(810) 및 제 2 기판(8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800)이 액정표시패널인 경우, 상기 표시 패널(800)은 박막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TFT)와 화소전극을 포함하는 제 1 기판(810)과 컬러필터층들을 포함하는 제 2 기판(820)이 액정층을 사이에 두고 합착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 패널(800)은 박막트랜지스터, 칼라필터 및 블랙매트릭스가 제 1 기판(810)에 형성되고, 제 2 기판(820)이 액정층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 1 기판(810)과 합착되는 COT(color filter on transistor)구조의 액정표시패널일 수도 있다. 즉, 상기 제 1 기판(810) 상에 박막 트랜지스터를 형성하고,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상에 보호막을 형성하고, 상기 보호막 상에 컬러필터층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기판(810)에는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와 접촉하는 화소전극을 형성한다. 이때, 개구율을 향상하고 마스크 공정을 단순화하기 위해 블랙매트릭스를 생략하고, 공통 전극이 블랙매트릭스의 역할을 겸하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표시 패널(800)이 액정표시패널인 경우,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표시 패널(800) 배면에서 광을 제공하는 백라이트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800)이 유기전계발광표시패널인 경우, 상기 표시 패널(800)은 별도의 광원이 필요하지 않은 자발광 소자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 패널(800)은 제 1 기판(810) 상에 박막트랜지스터가 형성되고, 상기 박막트랜지스터와 접촉하는 유기발광소자가 형성된다. 상기 유기발광소자는 양극, 음극 및 상기 양극과 음극 사이에 형성된 유기발광층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기발광소자 상에 인캡슐레이션을 위한 봉지 기판 역할을 하는 제 2 기판(8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18 내지 도 21을 참조하여,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에 따른 터치 윈도우가 적용되는 터치 디바이스 장치의 일례를 설명한다.
도 18을 참고하면, 터치 디바이스 장치의 일례로서, 이동식 단말기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이동식 단말기는 유효 영역(AA) 및 비유효 영역(U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효 영역(AA)은 손가락 등의 터치에 의해 터치 신호를 감지하고, 상기 비유효 영역에는 명령 아이콘 패턴부 및 로고 등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9를 참조하면, 터치 윈도우는 휘어지는 플렉서블(flexible) 터치 윈도우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포함하는 터치 디바이스 장치는 플렉서블 터치 디바이스 장치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손으로 휘거나 구부릴 수 있다.
도 20을 참조하면, 이러한 터치 윈도우는 이동식 단말기 등의 터치 디바이스 장치뿐만 아니라 자동차 네비게이션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도 21을 참조하면, 이러한 터치 패널은 차량 내에도 적용될 수 있다. 즉, 상기 터치 패널은 차량 내에서 터치 패널이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부분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PND(Personal Navigation Display)뿐만 아니라, 계기판(dashboard) 등에 적용되어 CID(Center Information Display)도 구현할 수 있다. 그러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러한 터치 디바이스 장치는 다양한 전자 제품에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술한 실시예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하여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7)

  1. 유효 영역 및 비유효 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상기 유효 영역 상에 배치되는 제 1 감지 전극;
    상기 비유효 영역 상에 배치되는 배선 전극;
    상기 기판 상의 중간층;
    상기 중간층 상에 배치되는 제 2 감지 전극; 및
    상기 배선 전극 상에 배치되는 전도층을 포함하고,
    상기 전도층은 상기 제 1 감지 전극 및 상기 제 2 감지 전극 중 적어도 하나의 감지 전극과 대응되는 물질을 포함하는 터치 윈도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층은 상기 유효 영역 및 상기 비유효 영역 상에 배치되고,
    상기 비유효 영역 상에는 상기 기판을 노출하는 노출 영역이 형성되는 터치 윈도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노출 영역을 통해 상기 제 2 배선 전극이 노출되는 터치 윈도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 전극은, 상기 제 1 감지 전극과 연결되는 제 1 배선 전극 및 상기 제 2 감지 전극과 연결되는 제 2 배선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감지 전극과 상기 제 2 배선 전극은 상기 노출 영역에서 연결되는 터치 윈도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감지 전극, 상기 제 2 감지 전극 및 상기 배선 전극 중 적어도 하나의 전극은 메쉬 형상을 포함하는 터치 윈도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층은 상기 중간층 상에서 상기 배선 전극이 배치되는 영역과 대응되는 영역 상에 배치되는 터치 윈도우.
  7. 유효 영역 및 비유효 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상기 유효 영역 상에 배치되고, 상기 기판의 동일한 면 상에서 서로 이격하며 배치되는 제 1 감지 전극 및 제 2 감지 전극;
    상기 제 1 감지 전극 및 상기 제 2 감지 전극 상에 배치되는 절연층;
    상기 절연층 상에서 상기 제 1 감지 전극 또는 상기 제 2 감지 전극과 연결되며 배치되는 연결 전극;
    상기 비유효 영역 상에 배치되는 배선 전극; 및
    상기 배선 전극 상에 배치되는 전도층을 포함하고,
    상기 전도층은 상기 연결 전극과 서로 대응되는 물질을 포함하는 터치 윈도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은 상기 유효 영역 및 비유효 영역 상에 배치되는 터치 윈도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층은 상기 절연층 상에서 상기 비유효 영역의 전면 상에 배치되는 터치 윈도우.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층은 상기 절연층 상에서 상기 배선 전극이 배치되는 영역과 대응되는 영역 상에 배치되는 터치 윈도우.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전극 및 상기 배선 전극 중 적어도 하나의 전극은 메쉬 형상을 포함하는 터치 윈도우.
  12.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커버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비유효 영역 상에 배치되는 인쇄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배선 전극 및 상기 전도층은 상기 인쇄층 상에 배치되는 터치 윈도우.
  13. 유효 영역 및 비유효 영역을 포함하는 커버 기판;
    상기 커버 기판 상에 배치되는 기판;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는 감지 전극 배선 전극; 및
    상기 비유효 영역 상에 배치되는 전도층을 포함하고,
    상기 전도층은 상기 감지 전극과 서로 대응되는 물질을 포함하는 터치 윈도우.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기판 상에는 상기 비유효 영역 상에 배치되는 인쇄층을 포함하고,
    상기 전도층은 상기 인쇄층 상에 배치되는 터치 윈도우.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상기 커버 기판 상에 배치되는 제 1 기판 및 상기 제 1 기판 상에 배치되는 제 2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감지 전극은, 상기 제 1 기판 상에 배치되는 제 1 감지 전극 및 상기 제 2 기판 상에 배치되는 제 2 감지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배선 전극은 상기 제 1 기판 상에 배치되는 제 1 배선 전극 및 상기 제 2 기판 상에 배치되는 제 2 배선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전도층은 상기 제 1 배선 전극 및 상기 제 2 배선 전극 중 적어도 하나의 배선 전극 상에 배치되는 터치 윈도우.
  16.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전극은, 상기 커버 기판 상에 배치되는 제 1 감지 전극 및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는 제 2 감지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배선 전극은 상기 커버 기판 상에 배치되는 제 1 배선 전극 및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는 제 2 배선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전도층은 상기 제 1 배선 전극 및 상기 제 2 배선 전극 중 적어도 하나의 배선 전극 상에 배치되는 터치 윈도우.
  17.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전극은, 상기 기판의 일면 상에 배치되는 제 1 감지 전극 및 상기 일면과 반대되는 타면 상에 배치되는 제 2 감지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배선 전극은 상기 일면 상에 배치되는 제 1 배선 전극 및 상기 타면 상에 배치되는 제 2 배선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전도층은 상기 제 1 배선 전극 및 상기 제 2 배선 전극 중 적어도 하나의 배선 전극 상에 배치되는 터치 윈도우.
KR1020150006043A 2015-01-13 2015-01-13 터치 윈도우 KR1022888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6043A KR102288825B1 (ko) 2015-01-13 2015-01-13 터치 윈도우
US14/994,805 US10048816B2 (en) 2015-01-13 2016-01-13 Touch window
CN201620032052.1U CN205540641U (zh) 2015-01-13 2016-01-13 触摸窗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6043A KR102288825B1 (ko) 2015-01-13 2015-01-13 터치 윈도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7196A true KR20160087196A (ko) 2016-07-21
KR102288825B1 KR102288825B1 (ko) 2021-08-11

Family

ID=56367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6043A KR102288825B1 (ko) 2015-01-13 2015-01-13 터치 윈도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048816B2 (ko)
KR (1) KR102288825B1 (ko)
CN (1) CN205540641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4772A (ko) * 2016-09-27 2018-04-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20200061056A (ko) * 2018-11-23 2020-06-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디스플레이 패널 및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2519B1 (ko) * 2015-02-06 2021-06-0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운송 수단용 센서, 그 센싱 방법 및 운송 수단 시스템
US10133428B2 (en) * 2015-05-29 2018-11-20 Samsung Display Co., Ltd. Flexible display device including a flexible substrate having a bending part and a conductive pattern at least partially disposed on the bending part
US10825839B2 (en) 2016-12-02 2020-11-03 Innolux Corporation Touch display device
TWI710939B (zh) * 2019-09-19 2020-11-21 緯創資通股份有限公司 觸控面板及其製作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84778A (ko) * 2012-01-18 2013-07-2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터치 윈도우 및 그 제조 방법
KR20130116854A (ko) * 2013-10-08 2013-10-2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터치윈도우
JP2014075080A (ja) * 2012-10-05 2014-04-24 Kyocera Corp 入力装置、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KR20140109254A (ko) * 2013-03-04 2014-09-15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정전 용량식 입력 장치
JP2015001847A (ja) * 2013-06-17 2015-01-05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静電容量式タッチパッド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4423B1 (ko) 2012-10-08 2014-07-02 희성전자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
KR102008780B1 (ko) * 2012-12-21 2019-08-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20140095863A (ko) 2013-01-25 2014-08-04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터치패널용 전자파쉴드 반사방지필름
JP6129769B2 (ja) * 2013-05-24 2017-05-17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用透明導電膜、透明導電膜の製造方法、タッチパネル及び表示装置
KR102222194B1 (ko) * 2013-10-17 2021-03-0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터치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175563B1 (ko) * 2013-11-13 2020-11-0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터치 패널
KR102187911B1 (ko) * 2013-11-13 2020-12-0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터치 패널
KR102191575B1 (ko) * 2014-01-13 2020-12-1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터치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187680B1 (ko) * 2014-02-13 2020-12-0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터치 윈도우
KR102275876B1 (ko) * 2014-04-01 2021-07-1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터치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 디바이스
CN105094390B (zh) * 2014-04-23 2018-07-13 北京富纳特创新科技有限公司 导电网栅及触控面板
US10582612B2 (en) * 2014-06-30 2020-03-03 Lg Display Co., Ltd. Flexible display device with reduced bend stress wires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EP2966553B1 (en) * 2014-07-01 2020-02-19 LG Innotek Co., Ltd. Touch window
US9891769B2 (en) * 2014-11-25 2018-02-13 Lg Innotek Co., Ltd. Touch window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84778A (ko) * 2012-01-18 2013-07-2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터치 윈도우 및 그 제조 방법
JP2014075080A (ja) * 2012-10-05 2014-04-24 Kyocera Corp 入力装置、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KR20140109254A (ko) * 2013-03-04 2014-09-15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정전 용량식 입력 장치
JP2015001847A (ja) * 2013-06-17 2015-01-05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静電容量式タッチパッド
KR20130116854A (ko) * 2013-10-08 2013-10-2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터치윈도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4772A (ko) * 2016-09-27 2018-04-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US11984367B2 (en) 2016-09-27 2024-05-14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including an adhesive layer
KR20200061056A (ko) * 2018-11-23 2020-06-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디스플레이 패널 및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8825B1 (ko) 2021-08-11
US20160202804A1 (en) 2016-07-14
CN205540641U (zh) 2016-08-31
US10048816B2 (en) 2018-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53524B2 (en) Touch window and touch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0019124B2 (en) Touch window
US9823792B2 (en) Touch panel
US10133422B2 (en) Curved touched window for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KR102275876B1 (ko) 터치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 디바이스
KR102288825B1 (ko) 터치 윈도우
US20150227239A1 (en) Touch window
US10013084B2 (en) Bendable touch window and touch device with the same
EP2980686B1 (en) Touch panel
US9841858B2 (en) Touch window
KR102251884B1 (ko) 터치 윈도우
KR102313976B1 (ko) 터치 윈도우
KR20160093999A (ko) 터치 윈도우 및 터치 디바이스 장치
KR102275883B1 (ko) 터치 윈도우
KR102238818B1 (ko) 터치 윈도우
KR102313951B1 (ko) 터치 윈도우
KR102238807B1 (ko) 터치 윈도우
KR20160016138A (ko) 터치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 디바이스
KR102275887B1 (ko) 터치 윈도우
KR102237819B1 (ko) 터치 윈도우
KR20160037469A (ko) 터치 윈도우 및 터치 디바이스
KR20170071373A (ko) 터치 윈도우
KR20160144713A (ko) 터치 윈도우
KR20170086304A (ko) 터치 윈도우
KR20170001328A (ko) 터치 윈도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