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7083A - 혈관신생 억제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혈관신생 억제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7083A
KR20160087083A KR1020150004552A KR20150004552A KR20160087083A KR 20160087083 A KR20160087083 A KR 20160087083A KR 1020150004552 A KR1020150004552 A KR 1020150004552A KR 20150004552 A KR20150004552 A KR 20150004552A KR 20160087083 A KR20160087083 A KR 201600870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hibiting
angiogenesis
acid
lymphangiogenesis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45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인식
박종화
유기현
황보전
Original Assignee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045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87083A/ko
Publication of KR201600870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70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192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romatic groups, e.g. sulindac, 2-aryl-propionic acids, ethacryn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Steroid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코로솔산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관신생 억제용 조성물, 림프관신생 억제용 조성물 및 혈관신생 또는 림프관신생 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코로솔산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혈관신생 또는 림프관신생 억제 활성이 우수하여, 혈관신생 또는 림프관신생 활성 이상에 의해 유발된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혈관신생 억제용 조성물{Composition for inhibiting angiogenesis}
본 발명은 코로솔산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관신생 억제, 림프관신생 억제용 조성물 및 혈관신생 또는 림프관신생 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암은 사망원인 1위인 질환이며, 고령화가 진행될수록 이로 인해 고통 받는 환자의 수는 더욱 늘어날 전망이다. 악성 종양의 종양 성장, 전신 전이는 혈관신생 촉진기전을 이용하는 것으로 최근 밝혀진 바 있다. 이에, 혈관신생을 억제함으로써 악성 종양의 치료 효과를 얻으려는 시도는 새로운 치료방법의 개발에 매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혈관신생(Angiogenesis)은 기존 혈관으로부터 새로운 혈관이 생성되는 기작을 의미하며, 정상적인 생리조건에서는 거의 일어나지 않는 엄격히 조절되는 현상이나 수정란 발생과정에서 배아가 발달될 때와 성인의 경우 상처가 치유될 때 그리고 여성의 생식주기에서 생식기 계통의 변화 등에서 일어난다. 성인의 경우 모세혈관의 내피세포는 상대적으로 잘 분열하지 않으며 분열속도는 보통 수개월 내지 수년이다. 혈관신생의 과정을 살펴보면 혈관내피세포는 혈관신생 자극 인자들의 신호에 따라 단백질 분해효소를 방출하면서, 자극하는 곳을 향하여 새로운 혈관이 뻗어나갈 수 있도록 기존의 혈관벽을 분해한다. 그리고 분해된 곳으로부터 혈관내피세포가 이동하면서 증식을 하여 새로운 모세혈관을 형성한다.
정상적인 상태에서 생체는 혈관신생을 유도하는 인자들과 억제하는 인자들이 앤지오제닉 스위치(angiogenic switch)로 작용하며 평형을 이루고 있다. 그러나 혈관신생 기전이 자율적으로 조절되지 못할 때 질환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악성종양(tumor)의 성장과 전신 전이 과정은 세포에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하기 위하여 병리적 혈관신생 기전과 혈관신생 유도 기전에 의존하며 특히 종양생성(tumorigenesis) 기간에 세포는 촉진인자의 up-regulation과 억제인자의 down-regulation으로 병리적 혈관신생을 유도한다. 암을 비롯한 병리적 혈관신생과 연관된 질환들에 대한 뚜렷한 치료제는 지금까지 없는 실정으로, 비정상적인 혈관신생 활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한다면 이 질환들의 진행을 막아 근본적인 치료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한편, 림프관은 전신에 퍼져있으며, 여기에 암세포가 침투하게 되면, 림프관을 따라서 다른 기관으로의 암의 전이가 일어나게 된다. 악성종양 환자에서 림프절 전이 여부는 환자의 치료 방침의 결정에 많은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예후를 결정하는 중요한 인자이다. 종래의 항암제는 암세포를 표적으로 하고 있지만 림프관신생 저해제는 신생되는 림프관을 표적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림프관신생 저해제는 기존의 항암제보다 정상 조직에게 주는 독성이 훨씬 낮고, 부작용이 적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와 같이 혈관신생과 림프관신생은 종양 세포의 생존, 증식, 종양 세포의 전이에 중요한 신호체계이며, 따라서 이들 신호체계의 선택적 억제는 새로운 항암치료 방법에 대한 해답이 될 수 있다.
종래 코로솔산(corosolic acid)은 산딸나무에서 분리되는 화합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코로솔산의 혈관내피세포와 림프관내피세포의 증식 억제와 튜브형성 억제를 통한, 혈관신생 또는 림프관신생 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 효과에 대해서는 보고된 바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코로솔산 또는 이의 염을 포함하는 혈관신생 억제용 조성물 및 림프관신생 억제용 조성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코로솔산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혈관신생 또는 림프관신생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코로솔산(corosolic acid)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관신생 억제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코로솔산(corosolic acid)은 "(1S,2R,4aS,6aR,6aS,6bR,8aR,10R,11R,12aR,14bS)-10,11-디히드록시-1,2,6a,6b,9,9,12a-헵타메틸-2,3,4,5,6,6a,7,8,8a,10,11,12,13,14b-테트라데카히드로-1H-피센-4a-카르복실산"을 화학명칭으로 하는 하기 구조식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의미한다:
Figure pat00001

상기 코로솔산은 산딸나무(Cornus Kousa)로부터 분리하거나, 또는 상업적으로 구매하여 사용할 수 있다(예를 들어 Sigma-Aldrich). 코로솔산을 산딸나무로부터 분리, 수득하는 과정은 예시적으로 다음과 같은 과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먼저, 건조된 산딸나무 열매 파쇄물(10 ㎏)에 80% 메탄올 용액(10 리터 x 3회)을 첨가하여 산딸나무 추출물을 얻고, 상기 추출물에 에틸아세테이트 용액을 첨가하여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을 확보한다.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을 실리카겔 컬럼에 첨가한 후 n-hexane-EtOAc(4:1→2:1, 1.5 리터) → CHCl3-MeOH(15:1→13:1→10:1, 1.5 리터) 용액으로 용출하여 17개의 분획을 확보한다. 이 중 12번 분획을 SiO2 컬럼에 첨가하고 CHCl3-MeOH(14:1) 용액으로 용출하여 13개의 분획을 확보한다. 각 분획에 존재하는 코로솔산을 CHCl3-MeOH(7:1) 용액을 이용한 박막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여 확보한다.
본 발명에서 "혈관신생"은 혈관이 새로 형성되는 과정, 즉, 새로운 혈관이 세포, 조직 또는 기관내로 발생되는 것을 지칭하는 것이며, "신생혈관"은 혈관신생 과정을 통해 새로 형성된 혈관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혈관신생"과 "신생혈관"은 상호 호환적으로 기재할 수 있다.
코로솔산의 상기 혈관신생의 억제는 혈관내피세포의 증식 억제 및/또는 혈관내피세포의 튜브형성 억제에 의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양태에서, 인간 혈관내피세포(human umbilical vein enthothelial cells, 이하 "HUVECs"으로 지칭함)를 대상으로 코로솔산의 세포 증식 억제 활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에 따른 코로솔산은 25μM의 농도에서 HUVECs의 세포 생존성을 50% 이하까지 효과적으로 저해하여, 뛰어난 혈관내피세포의 증식 억제활성을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실시예 1).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양태에서, matrigel이 코팅된 플레이트에 HUVECs 세포와 함께 코로솔산을 첨가한 후, 형성된 튜브의 길이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에 따른 코로솔산은 10μM의 농도에서 대조군과 비교하여 튜브 길이를 50% 정도까지 저해하여, 뛰어난 혈관내피세포의 튜브형성 억제활성을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실시예 2).
또한, 본 발명은 코로솔산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림프관신생 억제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림프관신생"은 림프관이 새로 형성되는 과정, 즉, 새로운 림프관이 세포, 조직 또는 기관내로 발생되는 것을 지칭하는 것이며, "신생림프관"은 림프관신생 과정을 통해 새로 형성된 림프관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림프관신생"과 "신생림프관"은 상호 호환적으로 기재할 수 있다.
코로솔산의 상기 림프관신생의 억제는 림프관내피세포의 증식 억제 및/또는 림프관내피세포의 튜브형성 억제에 의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양태에서, 인간 림프관내피세포(human dermal lymphatic microvascular endothelial cells, 이하 "HDLMECs"로 지칭함)를 대상으로 코로솔산의 세포 증식 억제 활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에 따른 코로솔산은 25μM의 농도에서 HDLMECs의 세포 생존성을 50% 이하까지 효과적으로 저해하여, 뛰어난 림프관내피세포 증식 억제 활성을 가짐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양태에서, matrigel이 코팅된 플레이트에 HDLMECs 세포와 함께 코로솔산을 첨가한 후, 형성된 튜브의 길이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에 따른 코로솔산은 10μM의 농도에서 대조군과 비교하여 튜브 길이를 50% 정도까지 저해하여, 뛰어난 림프관내피세포의 튜브형성 억제 활성을 가짐을 확인하였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코로솔산은 종양, 특히 암의 발생과 전이에 필수적인 신생혈관 및 신생림프관의 형성을 저해하는 활성을 가지므로 암의 치료제 및 전이 억제제 뿐만아니라, 과도한 혈관 또는 림프관신생으로 야기되는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코로솔산(corosolic acid)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혈관신생 또는 림프관신생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코로솔산은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코로솔산에 존재할 수 있는 산성 또는 염기성 기의 염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환자에게 비교적 비독성이고 무해한 유효작용을 갖는 농도로서 이 염에 기인한 부작용이 코로솔산의 이로운 효능을 저하시키지 않는 임의의 모든 유기 또는 무기 부가염을 의미한다.
산부가염에 사용되는 유리산으로는 유기산과 무기산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무기산으로는 염산, 인산, 황산, 질산, 주석산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유기산으로는 메탄설폰산, p-톨루엔설폰산, 아세트산, 트라이플루오로아세트산, 말레인산(maleic acid), 석신산, 옥살산, 벤조산, 타르타르산, 푸마르산(fumaric acid), 만데르산, 프로피온산 (propionic acid), 구연산(citric acid), 젖산(lactic acid), 글리콜산(glycollic acid), 글루콘산(gluconic acid), 갈락투론산, 글루탐산, 글루타르산(glutaric acid), 글루쿠론산(glucuronic acid), 아스파르트산, 아스코르브산, 카본산, 바닐릭산, 요오드화수소산(hydroiodic acid)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염기를 사용하여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금속염을 만들 수 있다. 알칼리 금속염 또는 알칼리 토금속염은, 예를 들어 화합물을 과량의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 또는 알칼리 토금속 수산화물 용액 중에 용해시키고, 비용해 화합물 염을 여과한 후 여액을 증발, 건조시켜 얻는다. 이때, 금속염으로는 특히 나트륨, 칼륨 또는 칼슘염을 제조하는 것이 제약상 적합하나 이들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에 대응하는 은염은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 염을 적당한 은염(예, 질산은)과 반응시켜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예방"은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로 혈관신생 또는 림프관신생 관련 질환의 발생, 확산 또는 재발을 억제시키거나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하고, "치료"는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로 상기 질환의 증세가 호전되거나 이롭게 변경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혈관신생 또는 림프관신생 관련 질환"은 신생혈관 또는 신생림프관의 현성이 비정상적으로 진행되어 야기되는 질환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의해 예방 또는 치료될 수 있는 혈관신생 또는 림프관신생 관련 질환은 암(cancer), 혈관종, 혈관섬유종, 류마티스 관절염(rheumatoid arthritis), 당뇨병성 망막증(diabetic retinopathy), 조숙아의 망막증, 황반부변성증, 맥락막 신생혈관생성증, 신생혈관성 녹내장, 각막혈관신생에 의한 안구질환, 각막 이식 시의 거부반응, 각막 부종, 각막 혼탁 또는 건선이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항암제로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에 의해 예방 또는 치료될 수 있는 암 질환은 자궁경부암, 폐암, 췌장암, 비소세포성폐암, 간암, 결장암, 골암, 피부암, 두부암, 경부암, 피부 흑색종, 안구내 흑색종, 자궁암, 난소암, 직장암, 간암, 뇌종양, 방광암, 혈액암, 위암, 항문부근암, 결장암, 유방암, 나팔관암종, 자궁내막암종, 질암, 음문암종, 호지킨병(Hodgkin's disease), 식도암, 소장암, 내분비선암, 갑상선암, 부갑상선암, 부신암, 연조직 육종, 요도암, 음경암, 전립선암, 방광암, 신장암, 수뇨관암, 신장세포 암종, 신장골반 암종, 중추신경계(CNS, central nervous system) 종양, 1차 CNS 림프종, 척수 종양, 뇌간 신경교종, 뇌하수체 선종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각각의 사용 목적에 맞게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제,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 제형, 멸균 주사용액의 주사제 등 다양한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경구 투여하거나 정맥내, 복강내, 피하, 직장, 국소 투여 등을 포함한 다양한 경로를 통해 투여될 수 있다.
이러한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적합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의 예로는 락토오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쓰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스, 메틸 셀룰로스, 비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충전제, 항응집제, 윤활제, 습윤제, 향료, 유화제, 방부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경구 투여를 위한 고형 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 제제는 상기 조성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스, 락토오스, 젤라틴 등을 혼합하여 제형화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와 같은 윤활제가 사용될 수 있다.
경구용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예시될 수 있으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액체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제,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 좌제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비수성용제, 현탁제에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주사제에는 용해제, 등장화제, 현탁화제, 유화제, 안정화제, 방부제 등과 같은 종래의 첨가제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한다. 본 발명에서,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유효 용량 수준은 환자의 질환의 종류, 중증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 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으며,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상기한 요소들을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 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는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화합물의 유효량은 환자의 나이, 성별, 체중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는 체중 ㎏ 당 1 내지 10 mg,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 mg을 매일 또는 격일 투여하거나 1일 1 내지 3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그러나, 투여 경로, 질병의 중증도, 성별, 체중, 연령 등에 따라서 증감될 수 있으므로 상기 투여량이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쥐, 생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내 경막 또는 뇌혈관내(intracerebroventricular)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치료학적으로 유효한 양의 코로솔산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대상에게서 혈관신생 또는 림프관신생 관련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투여"는 임의의 적절한 방법으로 환자에게 소정의 물질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하며,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 경로는 목적 조직에 도달할 수 있는 한 일반적인 모든 경로를 통하여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유효성분을 표적 세포로 전달할 수 있는 임의의 장치를 이용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대상"은 인간, 원숭이, 소, 말, 양, 돼지, 닭, 칠면조, 메추라기, 고양이, 개, 마우스, 쥐, 토끼 또는 기니아 피그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는 동물을 의미하고, 일 실시예에서는 포유류를,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인간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유효성분과 결합하여 사용된 "치료학적으로 유효한 양"이란 용어는 대상 질환을 치료 또는 예방하는데 유효한 코로솔산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양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서 코로솔산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외에 공지된 항암제, 혈관신생 저해제, 또는 림프관신생 저해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이들 질환의 치료를 위해 공지된 다른 치료와 병용될 수 있다. 다른 치료에는 화학요법, 방사선 치료, 호르몬 치료, 골수 이식, 줄기-세포 대체 치료, 다른 생물학적 치료, 면역치료 등이 포함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코로솔산은 혈관내피세포 및 림프관내피세포의 증식과 튜브형성을 효과적으로 저해하기 때문에, 혈관신생 또는 림프관신생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HUVECs, HDLMECs의 증식에 미치는 코로솔산(corosolic acid)의 영향을 평가하기 위한 MTT assay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도 1의 A: HUVECs의 세포생존율(cell viability), 도 1의 B: HDLMECs의 세포생존율(cell viability).
도 2는 HUVECs의 튜브형성에 미치는 코로솔산(corosolic acid)의 영향을 평가하기 위한 공초점 레이저 현미경 사진(A), 위상차 도립 현미경 사진(B), 그리고 코로솔산의 튜브 길이 측정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C)이다.
도 3은 HDLMECs의 튜브형성에 미치는 코로솔산(corosolic acid)의 영향을 평가하기 위한 공초점 레이저 현미경 사진(A), 위상차 도립 현미경 사진(B), 그리고 코로솔산의 튜브 길이를 측정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C)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산딸나무(Cornus Kousa)로부터 코로솔산의 분리
건조된 산딸나무 열매 파쇄물(10 ㎏)에 80% 메탄올 용액(10 리터 x 3회)을 첨가하여 산딸나무 추출물을 얻었다. 상기 산딸나무 추출물에 에틸아세테이트 용액을 첨가하여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을 확보하였다.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을 실리카겔 컬럼에 첨가한 후 n-hexane-EtOAc(4:1→2:1, 1.5 리터) → CHCl3-MeOH(15:1→13:1→10:1, 1.5 리터) 용액으로 용출하여 17개의 분획을 확보하였다. 이 중 12번 분획을 SiO2 컬럼에 첨가하고 CHCl3-MeOH(14:1) 용액으로 용출하여 13개의 분획을 확보하였다. 각 분획에 존재하는 코로솔산은 CHCl3-MeOH(7:1) 용액을 이용한 박막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여 확보하였다.
실시예 1: 코로솔산의, 혈관내피세포(HUVECs), 림프관내피세포(HDLMECs) 증식 억제 활성 확인
HUVECs 및 HDLMECs에 코로솔산을 농도별(0, 2.5, 5, 10 및 25μM)로 처리하고 24시간 후의 세포 생존성을 MTT assay로 측정하였다. 데이타는 평균값±표준편차로 나타내었고, 시험군과 대조군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Student's t-test로 검정하였다(*p<0.05, **p<0.01, ***p<0.001).
그 결과,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HUVECs의 증식과 HDLMECs의 증식은 9-65% 감소하였다(도 1의 A: HUVECs에 대한 결과, 도 1의 B: HDLMECs에 대한 결과). 이로써 코로솔산이 HUVECs 및 HDLMECs의 증식을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2: 코로솔산의, 혈관내피세포(HUVECs)의 튜브형성 억제 활성 확인
HUVECs는 matrigel이 코팅된 48-웰 슬라이드 챔버에 분주하였고, 6시간 동안 5 및 10μM의 코로솔산을 처리하였다. 그 후, HUVECs을 혈관내피표적인자 항체 CD-31로 염색하고, AlexaFluor488로 라벨된 이차항체로 탐침하였다. PI로 핵 염색 후에, 세포는 공초점 레이저 현미경의 488 nm 아르곤 레이저로 검사하였다. 세포는 ×40배 대물렌즈(바, 10㎛)로 촬영하였고(도 2의 A), HUVECs은 위상차 도립 현미경을 이용하여 ×10배 대물렌즈로 촬영하였다(도 2의 B). HUVEC의 총 튜브길이는 이미지 J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정량화하였고, 바 다이아그램으로 표시하였다(도 2의 C). 데이타는 평균값±표준편차로 나타내었다(**p<0.01).
그 결과, 도 2의 C에 나타난 바와 같이, 코로솔산은 HUVECs의 튜브형성을 12-48% 감소시킨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 코로솔산의, 림프관내피세포(HDLMECs)의 튜브형성 억제 활성 확인
HDLMECs는 matrigel이 코팅된 48-웰 슬라이드 챔버에 분주하였고, 6시간 동안 5 및 10 μM의 코로솔산을 처리하였다. 그 후, HDLMECs을 항체 LYVE-1로 염색하고, AlexaFluor488로 라벨된 이차항체로 탐침하였다. PI로 핵 염색 후에, 세포는 공초점 레이저 현미경의 488 nm 아르곤 레이저로 검사하였다. 세포는 ×40배 대물렌즈(바, 10㎛)로 촬영하였고(도 3의 A), HDLMECs은 위상차 도립 현미경을 이용하여 ×10배 대물렌즈로 촬영하였다(도 3의 B). HDLMECs의 총 튜브길이는 이미지 J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정량화하였고, 바 다이아그램으로 표시하였다(도 3의 C). 데이타는 평균값±표준편차로 나타내었다(***p<0.001).
그 결과, 도 3의 C에 나타난 바와 같이, 코로솔산은 HDLMECs의 튜브형성을 16-47% 감소시킨 것을 확인하였다.

Claims (7)

  1. 코로솔산(corosolic acid)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관신생 억제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혈관신생 억제는 혈관내피세포의 증식 억제, 혈관내피세포의 튜브형성 억제, 또는 혈관내피세포의 증식 억제 및 혈관내피세포의 튜브형성 억제에 의한 것인 조성물.
  3. 코로솔산(corosolic acid)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림프관신생 억제용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림프관신생 억제는 림프관내피세포의 증식 억제, 림프관내피세포의 튜브형성 억제, 또는 림프관내피세포의 증식 억제 및 림프관내피세포의 튜브형성 억제에 의한 것인 조성물.
  5. 코로솔산(corosolic acid)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관신생 또는 림프관신생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혈관신생 또는 림프관신생 관련 질환은 암(cancer), 혈관종, 혈관섬유종, 류마티스 관절염(rheumatoid arthritis), 당뇨병성 망막증(diabetic retinopathy), 조숙아의 망막증, 황반부변성증, 맥락막 신생혈관생성증, 신생혈관성 녹내장, 각막혈관신생에 의한 안구질환, 각막 이식 시의 거부반응, 각막 부종, 각막 혼탁 및 건선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약학적 조성물.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항암제인 약학적 조성물.




KR1020150004552A 2015-01-13 2015-01-13 혈관신생 억제용 조성물 KR201600870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4552A KR20160087083A (ko) 2015-01-13 2015-01-13 혈관신생 억제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4552A KR20160087083A (ko) 2015-01-13 2015-01-13 혈관신생 억제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7083A true KR20160087083A (ko) 2016-07-21

Family

ID=56680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4552A KR20160087083A (ko) 2015-01-13 2015-01-13 혈관신생 억제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8708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61764B2 (ja) 軸索再生および神経機能を促進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組成物
CN1642542B (zh) 血管新生抑制剂
AU2019360944B2 (en) Fibroblast activation protein (FAP) targeted imaging and therapy in fibrosis
Elsherbiny et al. ABT-702, an adenosine kinase inhibitor, attenuates inflammation in diabetic retinopathy
JP2006070032A (ja) 抗血管形成薬剤組成物
CA2846272A1 (en) Pi3k inhibitor for use in the treatment of bone cancer or for preventing metastatic dissemination primary cancer cells into the bone
JP2018511645A (ja) 癌を治療するための方法
KR20120018761A (ko) 섬유증을 치료하기 위한 방법 및 pi-3 키나제 억제제의 조성물
TW201709905A (zh) 治療癌症之方法
D'Andrea et al. VEGF mimic peptides: Potential applications in central nervous system therapeutics
CA3234847A1 (en) New oral pharmaceutical composition and dose regimen for the therapy of progressive fibrosing interstitial lung diseases
EP3012248B1 (en) Substance having tyrosine kinase inhibitory activity and preparation method and use thereof
CA3236757A1 (en) New therapeutic combinations for the treatment of progressive fibrosing interstitial lung diseases
KR20160087083A (ko) 혈관신생 억제용 조성물
US11396510B2 (en) GABAA receptor ligand
US20200323864A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he treatment of glioblastoma
EP3873461A1 (en) Methods of treatment, prevention and diagnosis
Tefera Hedgehog Signaling Inhibators and Their Importance for Cancer Treatment
JP2023046235A (ja) 医薬組成物及びstat3のリン酸化阻害剤
WO2024019661A1 (en) Labdane based compounds and uses thereof
Jiao et al. RhTrx-1 ameliorates miroglial neuroinflammation after cerebral ischemic stroke
KR20230067418A (ko) Lcn2 단백질 또는 그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발기부전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1084729B1 (ko) 이소옥사졸 유도체를 포함하는 TGF-β 활성 저해용 조성물
WO2024076967A9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or preventing nonalcoholic steatohepatitis (nash), anorexia, depression, endometriosis, and other diseases or disorders
US20190192458A1 (en) Therapeutic/prophylactic agent for graft-versus-host disease, fibrocyte invasion inhibitor, and inhibitor against tear reduction and reduction in goblet cel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