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6852A - 신경퇴행성 질환 및 통증의 예방 및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화합물 - Google Patents

신경퇴행성 질환 및 통증의 예방 및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화합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6852A
KR20160086852A KR1020167013624A KR20167013624A KR20160086852A KR 20160086852 A KR20160086852 A KR 20160086852A KR 1020167013624 A KR1020167013624 A KR 1020167013624A KR 20167013624 A KR20167013624 A KR 20167013624A KR 20160086852 A KR20160086852 A KR 201600868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n
methyl
adenosine
group
comp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36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13314B1 (ko
Inventor
짐민 팡
연리안 린
정신 린
천정 린
이주앙 천
나이귀 후앙
헝리 왕
벤자민 팡시엔 투
치청 첸
Original Assignee
아카데미아 시니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카데미아 시니카 filed Critical 아카데미아 시니카
Publication of KR201600868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68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33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33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HSUGARS; DERIVATIVES THEREOF; NUCLEOSIDES; NUCLEOTIDES; NUCLEIC ACIDS
    • C07H19/00Compounds containing a hetero ring sharing one ring hetero atom with a saccharide radical; Nucleosides; Mononucleotides; Anhydro-derivatives thereof
    • C07H19/02Compounds containing a hetero ring sharing one ring hetero atom with a saccharide radical; Nucleosides; Mononucleotides; Anhydro-derivatives thereof sharing nitrogen
    • C07H19/04Heterocyclic radicals containing only nitrogen atoms as ring hetero atom
    • C07H19/16Purine radic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uscular or neuromuscular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505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 A61K31/519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s
    • A61K31/52Purines, e.g. aden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42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 A61K31/7052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nucleosides, nucleotides
    • A61K31/706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nucleosides, nucleotide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with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 A61K31/7064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nucleosides, nucleotide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with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containing condensed or non-condensed pyrimidines
    • A61K31/7076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nucleosides, nucleotide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with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containing condensed or non-condensed pyrimidines containing purines, e.g. adenosine, adenyl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04Centrally acting analgesics, e.g. opio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14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abnormal movements, e.g. chorea, dyskines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14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abnormal movements, e.g. chorea, dyskinesia
    • A61P25/16Anti-Parkinson dru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8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e.g. nootropic agents, cognition enhancers, drugs for treating Alzheimer's disease or other forms of dement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7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purine ring systems
    • C07D473/2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purine ring systems with an oxygen, sulphur, or nitrogen atom directly attached in position 2 or 6, but not in both
    • C07D473/32Nitrogen atom
    • C07D473/34Nitrogen atom attached in position 6, e.g. adenine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98/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hetero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498/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hetero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51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hetero ring having nitrogen, oxy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7D463/00, C07D477/00 or C07D499/00 - C07D507/00
    • C07D515/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hetero ring having nitrogen, oxy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7D463/00, C07D477/00 or C07D499/00 - C07D507/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HSUGARS; DERIVATIVES THEREOF; NUCLEOSIDES; NUCLEOTIDES; NUCLEIC ACIDS
    • C07H19/00Compounds containing a hetero ring sharing one ring hetero atom with a saccharide radical; Nucleosides; Mononucleotides; Anhydro-derivatives thereof
    • C07H19/02Compounds containing a hetero ring sharing one ring hetero atom with a saccharide radical; Nucleosides; Mononucleotides; Anhydro-derivatives thereof sharing nitrogen
    • C07H19/04Heterocyclic radicals containing only nitrogen atoms as ring hetero atom
    • C07H19/16Purine radicals
    • C07H19/167Purine radicals with ribosyl as the saccharide radic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20/00Technologies relating to chemical industry
    • Y02P20/50Improvements relating to the production of bulk chemicals
    • Y02P20/582Recycling of unreacted starting or intermediate materi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eur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Psych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sychiatr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Rheumat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Saccharide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신경퇴행성 질환 및 통증의 예방 및 치료에서 사용하기 위한 화합물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양태에서, 상기 화합물은 N 6-[(3-할로티엔-2-일)메틸]아데노신, N 6-[(4-할로티엔-2-일)메틸]아데노신, 및 N 6-[(5-할로티엔-2-일)메틸]아데노신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상기 화합물은 N 6-[(2-브로모티엔-3-일)메틸]아데노신, N 6-[(4-브로모티엔-3-일)메틸]아데노신, N 6-[(5-브로모티엔-3-일)메틸]아데노신, N 6-[(2-클로로티엔-3-일)메틸]아데노신, N 6-[(4-클로로티엔-3-일)메틸]아데노신, 및 N 6-[(5-클로로티엔-3-일)메틸]아데노신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또한 이를 제조하는 방법 및 사용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Description

신경퇴행성 질환 및 통증의 예방 및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화합물{COMPOUNDS FOR USE IN PREVENTION AND TREATMENT OF NEURODEGENERATIVE DISEASES AND PAIN}
본 발명은 신경퇴행성 질환 또는 통증을 예방 및/또는 치료하는 데 사용하기 위한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미국 특허 공개공보 US20120295863에서는 신경퇴행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아데노신 A2A 수용체 및 아데노신 수송체를 타게팅하는 이중 작용 화합물을 개시한다. CGS21680(약어 CGS)이라는 이름의 선택성 A2A 아데노신 수용체(A2AR) 작용제는 유전자 변이 마우스 모델에서 헌팅턴 병(HD) 증상을 완화시키고, 유비퀴틴-프로테아좀 시스템의 활성을 향상시킴으로써 HD 질환의 요소 회로 결핍을 구제할 수 있음을 보였다(Chiang et al., 2009 Hum Mol Genet. 18:2929-2942; Chou et al., 2005 J Neurochem. 93:310-320). 그러나, CGS는 강한 면역억제 효과 및 기타 부작용을 일으키는 것으로 공지되어 있으며, 따라서 임상 용도에는 적합하지 않다.
US20120295863에서 T1-11 및 또한 A2AR 작용제로 표기된 N 6-(4-히드록시벤질)아데노신은 신경 퇴행성 질환의 치료에서 치료 잠재성을 갖는 것이 시사되었다. 그러나, T1-11은 이의 낮은 생체이용율(F < 5%)로 인해 여전히 경구 이용 가능한 약물로서 개발되기 어렵다. 경구 생체이용율은 흡수 및 대사 후 체순환에 도달하는 물질의 백분율을 나타내기 때문에 약물 개발에서 중요한 특성이다.
한 양태에서, 본 발명은 화학식 (I) 또는 (IA)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에 관한 것이다:
Figure pct00001
상기 식에서, X는 할로겐이다.
할로겐(F, Cl, Br 또는 I)는 화학식 (I) 중 3, 4 또는 5번 위치 또는 화학식 (IA) 중 2, 4 또는 5번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양태에서, 화합물은 N 6-[(3-할로티엔-2-일)메틸]아데노신, N 6-[(4-할로티엔-2-일)메틸]아데노신, 및 N 6-[(5-할로티엔-2-일)메틸]아데노신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화합물은 N 6-[(2-할로티엔-3-일)메틸]아데노신, N 6-[(4-할로티엔-3-일)메틸]아데노신, 및 N 6-[(5-할로티엔-3-일)메틸]아데노신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추가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화합물은 N 6-[(5-브로모티엔-2-일)메틸]아데노신, N 6-[(4-브로모티엔-2-일)메틸]아데노신, N 6-[(3-브로모티엔-2-일)메틸]아데노신, N 6-[(5-클로로티엔-2-일)메틸]아데노신, N 6-[(4-클로로티엔-2-일)메틸]아데노신, 및 N 6-[(3-클로로티엔-2-일)메틸]아데노신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화합물은 N 6-[(2-브로모티엔-3-일)메틸]아데노신, N 6-[(4-브로모티엔-3-일)메틸]아데노신, N 6-[(5-브로모티엔-3-일)메틸]아데노신, N 6-[(2-클로로티엔-3-일)메틸]아데노신, N 6-[(4-클로로티엔-3-일)메틸]아데노신, 및 N 6-[(5-클로로티엔-3-일)메틸]아데노신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은 화학식 (I) 또는 (IA)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방법은 하기 단계 (I) 또는 (II)를 포함한다:
(I):
(a) 염기 존재 하에 6-클로로퓨린 리보퓨라노시드를 불소, 염소, 브롬 또는 요오드로 치환되고 하기 화학식 (3) 또는 (3A)를 갖는 (티에닐)메탄아민과 반응시켜, 화학식 (I) 또는 (IA)의 화합물을 얻는 단계:
Figure pct00002
; 또는
(II):
(a1) 염기 존재 하에 (2',3'-O-이소프로필리덴)아데닌을 히드록실기 보호제와 반응시켜, 히드록실 보호기를 갖는 (2',3'-O-이소프로필리덴)아데닌의 유도체를 얻는 단계;
(b) 히드록실 보호기를 갖는 (2',3'-O-이소프로필리덴)아데닌의 유도체를 아민기 보호제와 반응시켜, 히드록실 보호기 및 아민 보호기를 갖는 (2',3'-O-이소프로필리덴)아데닌의 유도체를 얻는 단계;
(c) 히드록실 보호기 및 아민 보호기를 갖는 (2',3'-O-이소프로필리덴)아데닌의 유도체를 하기 화학식 (7) 또는 (7A)의 치환된 (티에닐)메틸기 함유 화합물을 반응시킴으로써 커플링 반응을 수행하여, 보호기 및 치환된 (티에닐)메틸기를 함유하는 생성물을 얻는 단계:
Figure pct00003
상기 식에서, X는 F, Cl, Br, 또는 I이고, Y는 X, OH, 메탄술포네이트(OSO2CH3, OMs), p-톨루엔술포네이트(OSO2C6H4-p-CH3, OTs), 또는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네이트(OSO2CF3, OTf)이고; 및
(d) 산성 조건에서 단계 (c)의 생성물로부터 보호기를 제거하여, 화학식 (I) 또는 (IA)의 화합물을 얻는 단계.
본 발명의 한 실시양태에서, 단계 (a)의 염기는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일 수 있다. 히드록실기 보호제는 tert-부틸디메틸실릴 클로라이드일 수 있다. 아민기 보호제는 디-tert-부틸 디카보네이트일 수 있다. 단계 (a1)의 염기는 이미다졸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단계 (I)(a)에서, 염기는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이고, 치환된 (티에닐)메탄아민은: (i) N 6-[(5-브로모티엔-2-일)메틸]아데노신을 얻기 위해서는 (5-브로모티엔-2-일)메탄아민이거나; 또는 (ii) N 6-[(5-클로로티엔-2-일)메틸]아데노신을 얻기 위해서는 (5-클로로티엔-2-일)메탄아민이다.
추가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커플링 반응은 트리페닐포스핀 및 디이소프로필 아조디카르복실레이트의 존재 하에 수행된다. 치환된 (티에닐)메틸기 함유 화합물은 (5-브로모티엔-2-일)메탄올일 수 있다.
추가로 또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a) 치료적 유효량의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은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및
(b)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부형제 또는 비히클
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한편 또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신경퇴행성 질환 및/또는 통증의 치료가 필요한 대상에서 신경퇴행성 질환 및/또는 통증을 치료하는 데 사용하기 위한 약제의 제조에서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은 화합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대안적으로, 본 발명은 신경퇴행성 질환 및/또는 통증의 치료가 필요한 대상에서 신경퇴행성 질환 및/또는 통증을 치료하는 데 사용하기 위한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은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신경퇴행성 질환은 단백질 미스폴딩 질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양태에서, 신경퇴행성 질환은 알츠하이머 병, 파킨슨 병, 근위축성 측삭경화증, 프리온 병, 헌팅턴 병, 및 척수 소뇌 실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척수 소뇌 실조는 척수 소뇌 실조 2형, 척수 소뇌 실조 3형, 및 척수 소뇌 실조 7형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통증은 산 유발성 통증일 수 있다. 산 유발성 통증은 산 유발성 근육통일 수 있다. 산 유발성 근육통은 산 유발성 만성 근육통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양태에서, 통증은 염증성 통증, 암 통증, 흉통, 배부통, 경부통, 어깨 통증, 편두통, 두통, 근막 통증, 관절 통증, 근육통 증후군, 신경병증성 통증, 말초성 통증, 교감신경 통증, 수술 후 통증, 외상 후 통증, 및 다발 경화증 통증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통증은 기능부전성 통증일 수 있다. 기능부전성 통증은 섬유근통, 근막 통증, 방광 통증 증후군, 및 과민성 대장 증후군에 의해 유발된 통증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상기 및 기타 양태들은, 이 안의 변형 및 변경이 본 개시내용의 신규한 사상의 취지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남 없이 실시될 수 있지만, 하기 도면과 연관된 하기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양태를 예시하며, 기재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한다. 가능한 한, 도면 전체에서 동일한 참조 번호는 실시양태의 동일하거나 유사한 요소를 지칭하도록 사용되었다.
도 1은 T1-11 또는 JMF3464가 정맥내(1 mg/kg) 또는 경구(10 mg/kg) 투여된 ICR 마우스에서 T1-11(A) 및 JMF3464(B)의 혈중 농도를 나타낸다. T1-11 및 JMF3464의 경구 생체이용율은 각각 2.8% 및 17.4%로 추산되었다.
도 2는 혈청 고갈(serum deprivation) 유도된 세포 사멸에 대한 A2AR 작용제(CGS21680, T1-11, JMF3464, 및 JMF3818)의 효과를 나타낸다. 혈청 고갈된 PC12 세포를 24 시간 동안 기재한 시약(들)을 사용하거나 사용하지 않고 치료하였다. 세포 생존능은 혈청 함유 대조군의 평균과 비교한 MTT 기법으로부터의 결과의 백분율로서 표현하였다. 데이터 포인트는 평균 ± SEM (n=3~6)을 나타낸다.
도 3의 A-B는 운동 결핍 및 수명에 대한 JMF3464의 효과를 나타낸다. JMF3464(0.11 mg/마우스/일), JMF1907(0.11 mg/마우스/일) 또는 비히클(CON)을 6 주 동안 ALZET 삼투성 미니펌프(minipump)를 사용하여 기재된 7 주령의 마우스에 피하 투여하였다. 이 마우스들의 로타로드(Rotarod) 수행(A) 및 수명(B)을 평가하였다.* p < 0.05. *** p < 0.005.
도 4의 A-B는 SCA2 유전자 변이 마우스에서 돌연변이 SCA2 유전자 과다발현 유도된 단백질 응집을 예방하는 것 및 행동 수행에서 T1-11의 효과를 나타낸다. (A) pSCA2-22Q-EGFP 또는 pSCA2-104Q-EGFP-형질전환된 세포를 24 시간 동안 10 μM T1-11 또는 10 μM JMF1907(T1-11-유도된 A2A-R 작용제)를 사용하여 치료하였다. 세포를 수확하고 필터 지연 기법(filter retardation assay) 또는 화상 수집(image acquisition)으로 처리하였다. (B) 야생형(WT) 또는 유전자 변이 마우스(SCA2)가 T1-11가 있거나 없는 물을 마시게 하였다. 로타로드 수행을 사용하여 마우스의 행동 수행을 측정하였다.
도 5의 A-C는 T1-11이 SCA3 유전자 변이 마우스의 운동 기능장해(motor dysfunction) 및 뇌교(pontine) 신경세포 사멸을 개선함을 나타낸다. (A) SCA3 유전자 변이 마우스가 4주령에서 시작하여 비히클(0.2% DMSO) 또는 T1-11(0.1 mg/ml)을 함유하는 물을 마시게 하였다. 로타로드 시험은 야생형(WT) 마우스에 비해 비히클 치료된 4월령 아탁신(ataxin)-3-Q79 유전자 변이 마우스가 현저하게 짧은 낙하 지연시간(latency to fall) 및 운동 실조(motor incoordination)를 나타낸다는 것을 보였다. T1-11 치료된 4월령 SCA3 유전자 변이 마우스(1 mg/일)의 로타로드 수행은 동일한 나이에서 비히클 치료된 아탁신-3-Q79 마우스의 로타로드 수행보다 현저하게 우수했다. 각 포인트는 7-8 마우스의 평균 ± S.E.를 나타낸다. (B-C) 신경세포 마커 NeuN의 면역조직화학적 염색은 T1-11의 매일의 경구 투여(1 mg/일)가 4월령째의 SCA3 유전자 변이 마우스의 교뇌핵(pontine nuclei)에서의 신경세포 사멸을 현저하게 개선함을 나타내었다(SCA3 + T1-11). 스케일 바는 50 mm이다. 각 바는 7-8 마우스의 평균 ± S.E.을 나타낸다. * SAC3 유전자 변이 마우스에 비해 P < 0.01.
도 6의 A-C는 JMF1907이 SCA3 유전자 변이 마우스의 운동 실조 증상 및 뇌교 신경세포 사멸을 완화한다는 것을 보인다. (A) 로타로드 시험은 비히클 치료된 4월령 SCA3 유전자 변이 마우스에 비해 JMF1907 치료된 4월령 SCA3 마우스(1 mg/일)의 로타로드 수행이 현저하게 개선되었음을 나타낸다. 각 포인트는 6 마우스의 평균 + S.E.를 나타낸다. (B-C) NeuN의 면역세포화학적 염색은 JMF1907의 경구 투여(1 mg/일)가 4월령째 SCA3 마우스의 교뇌핵에서의 신경세포 사멸을 현저하게 예방함을 나타내었다(SCA3 + JMF1907). 스케일 바는 50 mm이다. 각 바는 6 마우스의 평균 ± S.E.을 나타낸다. * SCA3 마우스에 비한 P < 0.01.
도 7a-도 7c는 JMF3464가 SCA3 유전자 변이 마우스의 운동 실조 및 뇌교 신경세포 사멸을 개선함을 나타낸다. (도 7a) SCA3 유전자 변이 마우스는 손상된 로타로드 수행을 나타낸다. JMF3464의 매일의 투여(0.3 mg/일)는 4월령 SCA3 마우스의 로타로드 수행을 크게 개선시켰다. (도 7b-도 7c) 신경세포 마커 NeuN의 면역세포화학적 염색은 JMF3464의 매일의 경구 치료(0.3 mg/일)가 4월령째 SCA3 유전자 변이 마우스의 교뇌핵에서의 신경세포 사멸을 현저하게 개선한다는 것을 보인다. 각 바는 6 마우스의 평균 ± S.E.을 나타낸다. # SCA3 유전자 변이 마우스에 비한 P < 0.01.
도 8의 A-B는 JMF1907를 이용한 치료가 TDP-43 유전자 변이 마우스의 운동 기능을 개선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JMF1907의 4가지 상이한 용량(3.7, 1.25, 0.5, 0.1 mg/kg)을 시험하였다. CTL: DMSO로 치료된 유전자 변이 마우스. WT: DMSO로 치료된 야생형 마우스. 통계는 2원 변량분석(two-way ANOVA)으로 수행하였다. 로타로드에 대해서, 1.5mg/kg 및 0.5mg/kg의 모든 포인트에서, 0.1mg/kg의 12-21 주에서, 및 3.7mg/kg의 10-12주에서 통계적 유의성이 달성되었다. 악력에 대해서, 모든 시험된 용량의 모든 포인트에서 통계적 유의성이 달성되었다. N= 18 (CTL), 15 (WT), 15 (0.1), 15 (0.5), 15 (1.25), 5 (3.7).
도 9는 JMF3464를 이용한 치료가 NSC34 세포에서 TDP-43의 잘못된 국재화(mislocalization)를 감소시킴을 나타낸다. 세포를 1 시간 동안 JMF3464(30 mM)로 예비 처리하고, 이후 추가 24 시간 동안 JMF3464의 존재 하에 AICAR(1 mM, Al)로 처리하였다. TDP-43(적색) 국재화는 면역 염색으로 분석하였다. 핵의 위치는 Hochest(청색)으로 마킹하였다.
도 10의 A-C는 섬유근통의 마우스 모델에 대한 JMF3464의 진통 효과를 나타낸다. (A-1 및 A-2) T1-11의 경구 투여는 섬유근통의 마우스 모델에 대해 아무런 진통 효과도 보이지 않았으며, 여기서 마우스는 근육내 산 주사 및 제니스테인 치료 후 만성 근육통을 일으켰다. 흰색 화살표는 마우스가 산 주사를 제공받은 시각을 나타낸다. 검은색 화살표는 마우스가 T1-11(p.o.)를 제공받은 시각을 나타낸다. (B) JMF3464는 섬유근통의 마우스 모델에 대한 진통 효과를 나타냈으며, 여기서 마우스는 2일간의 간헐적인 저온 스트레스를 이용한 치료 후 넓은 부위의 통증(widespread pain)을 일으켰다. JMF3464의 진통 효과는 용량 의존적이었다. 효과적인 용량은 100 mg/kg(i.p.)부터 시작했다. (C) JMF3464의 경구 투여(1 mg/kg)는 간헐적인 저온 스트레스 모델에 대한 진통 효과를 나타냈다.
정의
달리 정의되지 않은 한, 본원에서 사용된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들은 본 발명이 적합한 당업자에게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바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충돌이 생기는 경우, 정의를 포함하여 본 문헌이 제어할 것이다.
용어 "치료하다" 또는 "치료"는, 신경퇴행성 질환 및/또는 통증을 갖거나 그러한 질환 및/또는 통증에 대한 증상 또는 소인을 갖는 치료제가 필요한 대상에게, 상기 질환 및/또는 통증, 그에 대한 증상, 또는 그에 대한 소인을 치유, 완화, 경감, 구제, 개선, 또는 예방하기 위한 목적으로, 유효량의 상기 치료제를 투여하는 것을 지칭한다. 이러한 대상은 임의의 적합한 진단법으로부터의 결과에 기초하여 보건 의료 전문가에 의해 식별될 수 있다.
"유효량"은 치료된 대상에게 치료 효과를 부여하는 데 필요한 활성 화합물의 양을 지칭한다. 유효한 용량은, 당업자에게 인식되는 바와 같이, 투여 경로, 부형제 용법, 및 다른 치료적 행위와의 병용 가능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미국 보건복지부 식품의약국이 발행한 문헌[Guidance for Industry and Reviewers Estimating the Safe Starting Dose in Clinical Trials for Therapeutics in Adult Healthy Volunteers]에서는 "치료적 유효량"이 하기 식으로의 계산에 의해 얻어질 수 있음이 개시되어 있다:
HED = 동물 용량(mg/kg) × (동물 중량(kg)/인간 중량(kg))0.33.
JMF 1907은 화합물 N 6-[2-(인돌-3-일)에틸]아데노신을 지칭하며 미국 특허 공개공보 20120295863 A1에서 화합물 6으로서 개시되어 있다.
화학적 합성
한 접근법에서, 염기 존재 하에 6-클로로퓨린 리보퓨라노시드(2)는 임의로 치환된 (티에닐)메탄아민(3)과 처리되어 화학식 (I)의 소정 화합물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은 염기로서 사용되고, 6-클로로퓨린 리보퓨라노시드와 (5-브로모티엔-2-일)메탄아민과의 치환 반응은 1-프로판올의 용매에서의 가열로서 수행되어 N 6-[(5-브로모티엔-2-일)메틸]아데노신(JMF3464, 구조 1)을 얻는다.
반응식 1
Figure pct00004
반응식 2
Figure pct00005
다른 접근법에서, (2',3'-O-이소프로필리덴)아데닌(4)을 염기 이미다졸 존재 하에 tert-부틸디메틸실릴 클로라이드(TBDMSCl)와 처리하여 실릴 에테르 유도체(5)를 제공한다. 6-아미노기는 tert-부톡시카르보닐(Boc) 치환기를 보유하는 카르바메이트 6로서 보호된다. 임의로 치환된 (티에닐)메틸기가 도입되고, 산 조건에서 모든 보호기의 제거 후 화학식 (I)의 소정의 화합물이 얻어진다.
예를 들어, 화합물 6의 (5-브로모티엔-2-일)메탄올(화합물 7, 여기서 X = 5-Br, Y = OH)과의 커플링 반응은 트리페닐포스핀 및 디이소프로필 아조디카르복실레이트(DIAD)의 사용에 의해 촉진되어 화합물 8을 제공한다. 화합물 8에서의 실릴, 아세토나이드 및 Boc 기의 전체적 탈보호는 산 조건에서 달성되어 화합물 1을 제공한다.
동일한 화학적 접근법을 이용하여, 화합물 (IA)을 얻는다.
반응식 3
Figure pct00006
경구 생체이용율
시험 화합물의 경구 생체이용율을 측정하기 위해, 시험 화합물의 경구(10 mg/kg) 또는 정맥내(1 mg/kg) 투여 후 수컷 ICR 마우스(6 주령; 20-25g)로부터 혈액 샘플을 수집하였다. 기재된 기간에 수집된 혈액 샘플들을 0.1% 포름산 함유 메탄올로 추출한 후, 각 추출된 샘플 10 μL을 정량을 위해 UPLC-MSMS에 주입하였다. 결과(도 1의 A-B)는 ICR 마우스에서 T1-11 및 JMF34964의 경구 생체이용율이 각각 2.8% 및 17.4%임을 보였으며, JMF3464의 경구 흡수가 T1-11의 경구 흡수보다 6배 초과로 높음을 나타내었다.
A 2A R 및 ENT1 에의 JMF3464 결합 및 신경 세포 아폽토시스 보호
본 발명자들은 먼저 라디오리간드(radioligand) 결합 측정법을 이용하여 JMF3464의 약학적 특성을 특성화하였다. 하기 표 1에서는 T1-11, JMF1907, 및 JMF3464의 약학적 특성을 나타낸다. 나타낸 화합물의 A2A 아데노신 수용체(A2AR) 및 아데노신 수송체(ENT1)에 대한 결합은 표준 결합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특성화하였다.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JMF3464는 A2AR 및 아데노신 수송체 - 평형성 뉴클레오시드 수송체(equilibrative nucleoside transporter) 1에 결합하였다. A2AR에 대한 JMF3464의 친화도는 T1-11 및 JMF1907(T1-11의 유사체)의 친화도와 유사했으며, 반면 ENT1에 대한 JMF3464의 친화도는 T1-11 및 JMF1907의 친화도보다 훨씬 우수했다. 본 발명자들의 연구는 또한 N 6-[(5-클로로티엔-2-일)메틸]아데노신(JMF3818)이 혈청 회수(serum withdrawal)에 의해 일어난 PC12 세포의 아폽토시스를 억제한다는 것도 나타내었다. 10 μM의 JMF3818은 각각 A2A 수용체 및 아데노신 수송체(ENT1)를 54% 및 96% 억제하였다.
Figure pct00007
헌팅턴 병( HD )의 유전자 변이 마우스 모델에서 헌팅턴 병( HD )의 주요 증상에 대한 유익한 효과를 가하는 JMF3464
A2AR 및 ENT1이 선조체(striatum)에 위치하고 선조체 기능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본 발명자들은 JMF3464를 이용한 만성적 치료가 HD의 진행을 조절할 것이라는 가설을 세웠다. 본 발명자들은 A2AR 작용제가 유익한 효과를 갖는 HD의 유전자 변이 마우스 모델(R6/2)에서 JMF3464의 효과를 시험하였다. 7주령부터 마우스에의 JMF3464의 부가(0.11 mg/kg/일)는 로타로드 수행에 의해 평가된 바와 같이 운동 협응에서의 진행성 열화에 대항 작용하였다(도 3의 A). R6/2 마우스의 단축된 수명 또한 JMF3464를 사용한 지속적인(장기) 치료에 의해 개선되었다.
척수 소뇌 실조 2형( SCA2 )에 대한 JMF3464 의 유익한 효과
프로테아좀 활성을 활성화시키는 것이 R6/2 유전자 변이 마우스의 행동 수행 또는 돌연변이 Htt 응집 예방에서의 A2AR 수용체 신호 기전의 메커니즘일 수 있으므로(Huang et al., 2011 PLoS One. 6:e20934; Lee et al., 2012 PLoS One. 7:e38865), A2AR 작용제가 또한 다른 polyQ 질환, 예컨대 SCA2을 완화시키는 데 유익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이 가능하다. 실제로, 본원의 데이터는 T1-11이 SCA2 유전자 변이 마우스 (ATAXN2 Q127 )에서 돌연변이 ATXN2 응집(도 4의 A) 및 행동 수행(도 4의 B)을 예방하는 데 효과적임을 나타내어, 상기 가설을 뒷받침하였다. JMF3464의 생체이용율이 T1-11보다 현저히 우수하다는 점을 고려하여, 본 발명자들은 JMF3464이 또한 SCA2에 대한 유익한 효과를 나타낼 것이라 추론하였다.
척수 소뇌 실조 3형( SCA3 )에 대한 T1 -11 및 이의 유사체의 유익한 효과
야생형 마우스에 비하여, 폴리글루타민 팽창(expanded) 아탁신-3-Q79를 발현하는 비히클 치료된 SCA3 유전자 변이 마우스는 시작 나이가 약 3-4 개월으로 손상된 로타로드 수행을 비롯한 다양한 운동 실조 증상(도 5의 A 및 도 6의 A)을 나타내였다. 도 5의 A 및 도 6의 A에 나타난 바와 같이, T1-11(1 mg/일) 또는 JMF1907(1 mg/일)의 매일의 경구 투여로 치료된 4월령 SCA3 유전자 변이 마우스는 현저하게 개선된 로타로드 수행을 나타내었다. SCA3 환자와 유사하게, SCA3 유전자 변이 마우스의 교뇌핵에서 두드러진 신경세포 사멸이 발견되었다(도 5의 B 및 도 6의 B). 로타로드 분석법의 결과에 부합하여, T1-11(도 5의 B 및 C) 또는 JMF1907(도 6의 B 및 C)의 매일의 경구 치료는 SCA3 유전자 변이 마우스에서 뇌교 신경세포 사멸을 현저하게 완화시켰다(도 5의 B 및 C 및 도 6의 B 및 C). 결과는 T1-11 또는 JMF1907의 지속적인 경구 치료가 SCA3 유전자 변이 마우스의 신경학적 및 신경병리학적 표현형을 개선한다는 증거를 제공하였다.
JMF3464는 훨씬 더 높은 생체이용율을 가진다. 따라서, JMF3464가 또한 SCA3 유전자 변이 마우스에서 돌연변이 아탁신-3-Q79 유발된 운동 실조 및 신경퇴행에 대한 유익한 효과를 가질 것으로 기대되었다. 기대한 바대로, JMF3464(0.3 mg/일)의 매일의 적용은 SCA3 유전자 변이 마우스의 운동 실조(도 7a) 및 뇌교 신경세포 사멸(도 7b 및 도 7c)을 완화하였다.
근위축성 측삭경화증( ALS )에 대한 JMF1907 JMF3464 의 유익한 효과
도 8의 A-B에 나타난 바와 같이, 4가지 상이한 용량(3.7 mg/kg/일, 1.25 mg/kg/일, 0.5 mg/kg/일 및 0.1 mg/kg/일)으로 JMF1907이 제공된 유전자 변이 마우스는 로타로드 및 악력 시험에서 대조군 마우스보다 현저히 우수하게 수행하였다. 1.25mg/kg의 용량이 가장 큰 유익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데이터는 운동 기능에 대한 분명한 개선을 나타낸다. T1-11의 유사체인 JMF3464 및 JMF1907는 훨씬 더 높은 생체이용율을 가진다. 따라서, JMF3464는 ALS 마우스에서 유익한 효과를 가질 것으로 기대되었다. JMF3464를 이용한 NSC34 세포의 치료는 AMPK 활성화에 의해 일어난 TDP-43의 잘못된 국재화를 정상화하였으며(도 9), 이는 JMF3464가 ALS 발병의 초기 단게를 예방할 수 있다는 개념을 뒷받침하였다. 이러한 발견들은 JMF3464가 ALS에 대한 유익한 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을 뒷받침한다.
통증에 대한 JMF3464 의 유익한 효과
T1-11(i.p.)가 섬유근통(산 유발성 만성 넓은 부위 통증 및 간헐적인 저온 스트레스 모델)의 2 마우스 모델에 대해 아주 우수한 진통 효과를 나타냈으나, 이의 생체이용율은 매우 낮다. T1-11의 경구 투여(2 mg/kg 이하)는 산 유발성 만성 넓은 부위 통증 모델에 대해 아무런 진통 효과도 보이지 않았으며, 상기 마우스는 근육내 산 주사 및 제니스테인 치료 후 섬유근통 유사 통증을 일으켰다(도 10의 A). T1-11의 유사체인 JMF3464는 섬유근통의 마우스 모델에 대한 진통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상기 마우스는 2일간의 간헐적인 저온 스트레스를 이용하여 치료받은 후 만성적인 넓은 부위의 통증을 일으켰다(도 10의 B). 이의 우수한 생체이용율과 일치하여, JMF3464의 경구 투여(1 mg/kg)는 간헐적인 저온 스트레스 모델에 대한 진통 효과를 나타내었다(도 10의 C).
실시예 1
모든 시약 및 용매는 시약 등급이었으며 달리 명시되지 않은 한 추가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테트라히드로퓨란 및 디에틸 에테르를 Na/벤조페논으로부터 증류하고 CH2Cl2를 CaH2로부터 증류하였다. 모든 공기 또는 수분 민감성 실험을 아르곤 하에 수행하였다. 모든 유리를 2시간 이상 오븐에서 건조시키고 데시케이터에서 실온으로 냉각한 후 사용하였다. 마이크로파 반응은 집속(focused) 단일 모드 마이크로파 유닛(CEM Discover)을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기계는 조작자 선택 가능(operator-selectable) 동력 아웃풋을 갖는 연속 집속 마이크로파 동력 전달 시스템으로 이루어졌다.
융점은 Yanaco 마이크로 장치(micro apparatus)에서 기록하였다. 선광도는 일본 JASCO Co. DIP-1000의 디지털 선광계에서 측정하였다. [a]D 값은 10-1deg cm2 g-1 단위로 제공된다. 자외선(IR) 스펙트럼은 Nicolet Magna 550-II에서 기록하였다. NMR 스펙트럼은 Varian Unity Plus-400(400 MHz)에서 얻었으며 화학 시프트(δ)는 CHCl3/CDCl3에 대해 δH 7.24/ δC 77.0(t의 중심선), (CH3)2CO/(CD3)2CO에 대해 δH 2.05/ δC 29.92, CH3OH/CD3OD에 대해 δH 3.31/ δC 49.0, 및 (CH3)2SO/(CD3)2SO에 대해 δH 2.49 (m) /δC 39.5 (m)에 대한 백만분율(ppm) 단위로 기록하였다. 분할 패턴(splitting pattern)은 s(단일선), d(이중선), t(삼중선), q(사중선), m(다중선) 및 br(브로드)로 기록하였다. 결합 상수(J)는 Hz로 제공한다. ESI-MS 실험을 Bruker Daltonics BioTOF III 고해상도 질량 분광계에서 수행하였다. 분석용 박막 크로마토그래피(TLC)를 E. Merck 실리카 겔 60 F254 플레이트(0.25 mm)에서 수행하였다. 화합물을 UV, 아니스알데히드 또는 닌히드린 스프레이로 시각화하였다.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70-230 메쉬 실리카 겔로 패킹된 컬럼에서 수행하였다.
화합물의 순도를 280 nm 파장에서의 검출을 이용하는 HPLC(Agilent HP-1100)에 의해 ≥ 95% 으로 평가하였다.
2',3'- O - 이소프로필리덴 -5'- O -( tert - 부틸디메틸실릴 )아데노신(5)
얼음조에서 냉각한, 무수 CH2Cl2(12 mL) 중 2',3'-(O-이소프로필리덴)아데노신(4, 614 mg, 2.00 mmol) 및 이미다졸(408 mg, 6 mmol)의 용액에, N2 분위기 하에 0℃에서 tert-부틸디메틸실릴 클로라이드(TBDMSCl, 452 mg, 3 mmol)를 첨가하였다. 얼음조를 제거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1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메탄올(4 m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추가 15분 동안 교반한 후, 회전 증발에 의해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고형 잔여물을 CH2Cl2에 용해시키고, 1 M HCl, 탈이온수 및 염수(brine)로 연속하여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수집하고, MgSO4 상에서 건조한 후 여과하였다. 여과액을 감압 하에 농축시켜 백색 고형물로서 화합물 5(819 mg, 1.57 mmol, 78% 수율)를 얻었다.
6- N - tert - 부톡시카르보닐 -2',3'- O - 이소프로필리덴 -5'- O -( tert - 부틸디메틸실릴 )아데노신 (6)
무수 THF(10 mL) 중 화합물 5(819 mg, 1.57 mmol) 및 4-(디메틸아미노)피리딘 (DMAP, 촉매량)의 용액을 N2 하에 2 분 동안 교반하였다. 용액을 얼음조에서 냉각하고, 디-tert-부틸 디카보네이트((Boc)2O, 1.08 mL, 4.71 mmol)를 드롭 방식으로 첨가하였다. 얼음조를 제거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1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후, 혼합물을 회전 증발에 의해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미정제 생성물을 CH2Cl2에 용해시키고, 1 M HCl, 탈이온수 및 염수로 연속하여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수집하고, MgSO4 상에서 건조한 후 여과하였다. 여과액을 감압 하에 농축시켜 엷은 황색 발포물로서 비스-Boc 화합물(859 mg, 1.38 mmol, 87% 수율)을 얻었다.
메탄올(8 mL) 중 비스-Boc 화합물(400 mg, 0.64 mmol)의 용액에, 메틸아민(메탄올 중 40% 용액 0.25 mL, 2.54 mmol)을 첨가하였다. TLC 분석이 출발 물질의 완전 소모를 나타내기까지 혼합물을 20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회전 증발에 의해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미정제 생성물을 EtOAc/헥산(0:1 내지 2:1 구배)의 용리를 이용하는 실리카 겔 컬럼 상의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엷은 황색 오일로서 화합물 6(300 mg, 0.57 mmol, 88% 수율)을 얻었다.
6- N -(5- 브로모티엔 -2-일) 메틸 -6- N - tert - 부톡시카르보닐 -2',3'- O - 이소프로필리덴 -5'- O - ( tert - 부틸디메틸실릴 )아데노신 (8, X = 5-Br)
무수 THF(9 mL) 중 화합물 6(300 mg, 0.57 mmol), (5-브로모티엔-2-일)메탄올(164 mg, 0.85 mmol) 및 트리페닐포스핀(226 mg, 0.85 mmol)의 용액을 N2 분위기 하에 2 분 동안 45℃에서 교반하였다. 디이소프로필 아조디카르복실레이트(DIAD, 0.168 mL, 0.85 mmol)를 드롭 방식으로 첨가하였다. TLC 분석이 화합물 6의 소진을 나타내기까지 혼합물을 추가 45 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회전 증발에 의해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미정제 생성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EtOAc/헥산 = 1:9)로 정제하여 엷은 황색 오일로서 화합물 8(X = 5-Br)을 얻었다.
N 6 -[(5- 브로모티엔 -2-일) 메틸 ]아데노신( JMF3464 )
방법 A: 탈이온수(5 mL) 및 THF(1 mL) 중 화합물 8(X = 5-Br, 138 mg, 0.19 mmol)의 현탁액을 교반하고 얼음조에서 냉각하였다.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5 mL)을 0℃에서 드롭 방식으로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10 분 동안 교반하고, 얼음조를 제거한 후, 혼합물을 추가 30 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회전 증발에 의해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미정제 생성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MeOH/EtOAc = 1:49)로 정제하여 백색 분말로서 JMF3464(화합물 1)을 얻었다.
방법 B: 1-프로판올(20 mL) 중 (5-브로모티엔-2-일)메탄아민(768 mg, 4 mmol), 6-클로로퓨린 리보퓨라노시드(143 mg, 0.5 mmol), 및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2 mL, 12 mmol)의 혼합물을 7 시간 동안 70℃에서 가열하였다. 원하는 생성물 및 미반응한 (5-브로모티엔-2-일)메탄아민을 함유하는 혼합물을 2 시간 동안 실온에서 THF(6 mL) 중 디-tert-부틸 디카보네이트(0.92 mL, 4 mmol) 및 NaHCO3(672 mg, 8 mmol)으로 처리하였다. 혼합물을 회전 증발에 의해 농축하고,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 겔, MeOH/EtOAc = 1:9)에 의해 정제하였다. 원하는 화합물 JMF3464(59 mg, 27% 수율)을 MeOH로부터 재결정에 의해 얻었다. 생성물의 순도는 50% 수성 MeOH 구배의 용리를 이용한 HC-C18 컬럼(Agilent, 4.6 × 250 mm, 5 μM) 상의 HPLC에 의해 나타난 바와 같이 96%였다.
방법 C: 밀봉관(15 mL)에 EtOH(8 mL) 중 (5-브로모티엔-2-일)메탄아민(384 mg, 2 mmol), 6-클로로퓨린 리보퓨라노시드 (287 mg, 1 mmol), 및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3 mL, 17 mmol)을 첨가하였다. 밀봉관을 집속 모노모드 마이크로파 반응기(CEM Discover)의 공동 내에 위치시키고 80℃에서 20 분 동안 100 W에서 조사하였다. 용매를 회전 증발에 의해 제거하였다. 잔여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 겔, MeOH/EtOAc = 1:9)에 의해 정제하고, MeOH로부터 재결정하여 원하는 생성물인 JMF3464(159 mg, 36% 수율)을 얻었다.
C15H16BrN5O4S; 황색 분말; mp 141.4-141.7℃; [α]25 D = -43.0 (DMSO, c = 1.0); TLC (2-프로판올/헥산 (2:3)) R f = 0.38; 1H NMR (DMSO-d 6 , 400 MHz) δ 8.55 (1 H, br s), 8.40 (1 H, s), 8.29 (1 H, br s), 7.03 (1 H, d, J = 3.6 Hz), 6.78 (1 H, d, J = 4.0 Hz), 5.90 (1 H, d, J = 6.0 Hz), 5.45 (1 H, d, J = 6.0 Hz), 5.34-5.32 (1 H, m), 5.19 (1 H, d, J = 4.4 Hz), 4.76 (2 H, s), 4.63-4.59 (1 H, m), 4.15-4.14 (1 H, m), 3.96-3.95 (1 H, m), 3.69-3.65 (1 H, m), 3.57-3.52 (1 H, m), 13C NMR (DMSO-d 6 , 100 MHz) δ 153.9, 152.2, 148.5, 145.0, 140.2, 129.6, 126.3, 120.0, 109.7, 87.9, 85.8, 73.5, 70.6, 61.6, 42.9, ESI-MS calcd for C15H17BrN5O4S: 442.0185, found: m/z 442.0189 [M + H]+.
N 6 -(티엔-3-일- 메틸 )아데노신 ( JMF3461 )
1-프로판올(25 mL) 중 3-(아미노메틸)티오펜(0.25 mL, 2.5 mmol), 6-클로로퓨린 리보퓨라노시드(143 mg, 0.5 mmol), 및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2 mL, 12 mmol)의 혼합물을 6 시간 동안 80℃에서 가열하였다. 혼합물은 회전 증발에 의해 농축시키고, MeOH로부터 재결정하여 원하는 생성물 JMF3461(136 mg, 75% 수율)을 수득하였다. 생성물의 순도는 50% 수성 MeOH 구배의 용리를 이용한 HC-C18 컬럼(Agilent, 4.6 × 250 mm, 5 μM) 상의 HPLC에 의해 나타난 바와 같이 99%였다. C15H17N5O4S; 황색 분말; mp 134.3-135.1℃; [α]24 D = -58.6 (DMSO, c = 1.0); TLC (2-프로판올/헥산, (2:3)) R f = 0.33; 1H NMR (DMSO-d 6 , 400 MHz) δ 8.36 (2 H, br s), 8.22 (1 H, s), 7.43 (1 H, dd, J = 3, 5 Hz), 7.28 (1 H, d, J = 1.6 Hz), 7.09 (1 H, d, J = 4.8 Hz), 5.88 (1 H, d, J = 6.4 Hz), 5.43 (1 H, d, J = 6.0 Hz), 5.38 (1 H, q, J = 4.6 Hz), 5.17 (1 H, d, J = 4.4 Hz), 4.69 (2 H, s), 4.63-4.16 (1 H, m), 4.14-4.13 (1 H, m), 3.97-3.95 (1 H, m), 3.69-3.64 (1 H, m), 3.57-3.52 (1 H, m), 13C NMR (DMSO-d 6 , 100 MHz) δ 154.4, 152.3, 148.5, 140.8, 139.9, 127.9, 125.1, 120.0, 119.8, 87.9, 85.9, 73.5, 70.7, 61.7, 42.9; ESI-MS calcd for C15H18N5O4S: 364.1080, found: m/z 364.1079 [M + H]+.
N 6 -(티엔-2-일- 메틸 )아데노신( JMF3462 )
1-프로판올(25 mL) 중 2-(아미노메틸)티오펜(0.25 mL, 2.5 mmol), 6-클로로퓨린 리보퓨라노시드(143 mg, 0.5 mmol), 및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2 mL, 12 mmol)의 혼합물을 7 시간 동안 80℃에서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회전 증발에 의해 농축시키고, MeOH로부터 재결정하여 원하는 생성물 JMF3462(154 mg, 85% 수율)을 수득하였다. 생성물의 순도는 50% 수성 MeOH 구배의 용리를 이용한 HC-C18 컬럼(Agilent, 4.6 × 250 mm, 5 μM) 상의 HPLC에 의해 나타난 바와 같이 99%였다. C15H17N5O4S; 백색 분말; mp 149.2-149.7℃; [α]25 D = -68.2 (DMSO, c = 1.0); TLC (2-프로판올/헥산, (2:3)) R f = 0.35; 1H NMR (DMSO-d 6 , 400 MHz) δ 8.51 (1 H, br s), 8.39 (1 H, s), 8.27 (1 H, br s), 7.32 (1 H, d, J = 5.2 Hz), 7.28 (1 H, d, J = 3.2 Hz), 6.93 (1 H, dd, J = 1.8, 2.6 Hz), 5.89 (1 H, d, J = 6.0 Hz), 5.46-5.45 (1 H, m), 5.36 (1 H, q, J = 4.6 Hz), 5.20-5.18 (1 H, m), 4.64 (2 H, s), 4.16-4.13 (1 H, m), 3.97-3.95 (1 H, m), 3.70-3.65 (1 H, m), 3.58-3.52 (1 H, m), 3.57-3.52 (1 H, m), 13C NMR (DMSO-d 6 , 100 MHz) δ 154.1, 152.2, 148.5, 142.9, 140.0, 126.5, 125.3, 124.7, 120.0, 87.9, 85.9, 73.5, 70.6, 61.6, 42.9; ESI-MS calcd for C15H18N5O4S: 364.1080, found: m/z 364.1081 [M + H]+.
N 6 -[(4- 브로모티엔 -2-일) 메틸 ]아데노신
1-프로판올(30 mL) 중 (4-브로모티엔-2-일)메탄아민(1152 mg, 6 mmol), 6-클로로퓨린 리보퓨라노시드(214 mg, 0.75 mmol), 및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3 mL, 18 mmol)의 혼합물을 7 시간 동안 70℃에서 가열하였다. 원하는 생성물 및 미반응한 (3-브로모티엔-2-일)메탄아민을 함유하는 혼합물을 2 시간 동안 실온에서 THF(8 mL) 중 디-tert-부틸 디카보네이트(1.4 mL, 6 mmol) 및 NaHCO3(1 g, 1.2 mmol)로 처리하였다. 혼합물을 회전 증발에 의해 농축시키고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 겔, MeOH/EtOAc = 1:9)로 정제하여 N 6-[(4-브로모티엔-2-일)메틸]아데노신을 얻었다.
N 6 -[(3- 브로모티엔 -2-일) 메틸 ]아데노신
밀봉관(15 mL)에 EtOH(10 mL) 중 (3-브로모티엔-2-일)메탄아민(576 mg, 3 mmol), 6-클로로퓨린 리보퓨라노시드(430 mg, 1.5 mmol), 및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4.5 mL, 15.5 mmol)을 첨가하였다. 밀봉관을 집속 모노모드 마이크로파 반응기(CEM Discover)의 공동에 위치시키고 80℃에서 20 분 동안 100 W에서 조사하였다. 용매를 회전 증발에 의해 제거하였다. 잔여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 겔, MeOH/EtOAc = 1:9)에 의해 정제하여 N 6-[(3-브로모티엔-2-일)메틸]아데노신을 얻었다.
N 6 -[(2- 브로모티엔 -3-일) 메틸 ]아데노신
밀봉관(15 mL)에 EtOH(8 mL) 중 (2-브로모티엔-3-일)메탄아민(384 mg, 2 mmol), 6-클로로퓨린 리보퓨라노시드(287 mg, 1 mmol), 및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3 mL, 17 mmol)을 첨가하였다. 밀봉관을 집속 모노모드 마이크로파 반응기(CEM Discover)의 공동에 위치시키고 80℃에서 20 분 동안 100 W에서 조사하였다. 용매를 회전 증발에 의해 제거하였다. 잔여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 겔, MeOH/EtOAc = 1:9)에 의해 정제하여 N 6-[(2-브로모티엔-3-일)메틸]아데노신을 얻었다.
N 6 -[(4- 브로모티엔 -3-일) 메틸 ]아데노신
1-프로판올(20 mL) 중 (4-브로모티엔-3-일)메탄아민(768 mg, 4 mmol), 6-클로로퓨린 리보퓨라노시드(143 mg, 0.5 mmol), 및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2 mL, 12 mmol)의 혼합물을 7 시간 동안 70℃에서 가열하였다. 원하는 생성물 및 미반응한 (4-브로모티엔-3-일)메탄아민을 함유하는 혼합물을 2 시간 동안 실온에서 THF(6 mL) 중 디-tert-부틸 디카보네이트(0.92 mL, 4 mmol) 및 NaHCO3(672 mg, 8 mmol)으로 처리하였다. 혼합물을 회전 증발에 의해 농축시키고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 겔, MeOH/EtOAc = 1:9)에 의해 정제하여 N 6-[(4-브로모티엔-3-일)메틸]아데노신을 얻었다.
6- N -(5- 브로모티엔 -3-일) 메틸 -6- N - tert - 부톡시카르보닐 -2',3'- O - 이소프로필리덴 -5'- O -( tert - 부틸디메틸실릴 )아데노신
무수 THF(10 mL) 중 화합물 6(360 mg, 0.68 mmol), (5-브로모티엔-3-일)메탄올(197 mg, 1.02 mmol) 및 트리페닐포스핀(271 mg, 1.02 mmol)의 용액을 N2 분위기 하에 2 분 동안 45℃에서 교반하였다. 디이소프로필 아조디카르복실레이트(DIAD, 0.20 mL, 1.02 mmol)를 드롭 방식으로 첨가하였다. TLC 분석이 화합물 6의 소진을 나타내기까지 혼합물을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회전 증발에 의해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미정제 생성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EtOAc/헥산 = 1:9)로 정제하여 6-N-(5-브로모티엔-3-일)메틸-6-N-tert-부톡시카르보닐-2',3'-O-이소프로필리덴-5'-O- (tert-부틸디메틸실릴)아데노신을 얻었다.
N 6 -[(5- 브로모티엔 -3-일) 메틸 ]아데노신
탈이온수(5 mL) 및 THF(1 mL) 중 6-N-(5-브로모티엔-3-일)메틸-6-N-tert-부톡시카르보닐-2',3'-O-이소프로필리덴-5'-O-(tert-부틸디메틸실릴)아데노신(138 mg, 0.19 mmol)의 현탁액을 교반하고 얼음조에서 냉각하였다.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5 mL)을 0℃에서 드롭 방식으로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10 분 동안 교반하고, 얼음조를 제거한 후, 혼합물을 추가 30 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회전 증발에 의해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미정제 생성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MeOH/EtOAc = 1:49)에 의해 정제하여 N 6-[(5-브로모티엔-3-일)메틸]아데노신을 얻었다.
(5- 클로로티엔 -2-일) 메탄아민
THF(13 mL) 중 2-(아미노메틸)티오펜(1 mL, 10 mmol), 디-tert-부틸 디카보네이트(2.5 mL, 11 mmol), 및 NaHCO3(840 mg, 10 mmol)의 혼합물을 3 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여 엷은 황색 고형물을 함유하는 현탁액을 제공하였다. 혼합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키고, 잔여물을 CH2Cl2 및 H2O로 추출하였다. 유기상을 MgSO4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한 후, EtOAc/헥산(1:20)의 용리를 이용한 실리카 겔 컬럼 상의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tert-부틸 (티엔-2-일)메틸 카르바메이트(C10H15NO2S, 1.62 g, 76% 수율)을 얻었다.
벤젠(0.3 mL) tert-부틸 (티엔-2-일)메틸 카르바메이트(106 mg, 0.5 mmol), N-클로로숙신이미드(73 mg, 0.55 mmol)의 혼합물을 80℃에서 교반하였다. 2 시간 후, 아세트산(0.3 mL, 5 mmol)을 첨가하고 추가 21 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혼합물을 CH2Cl2 및 H2O로 추출하였다. 유기상을 MgSO4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한 후, EtOAc/헥산(1:20)의 용리를 이용한 실리카 겔 컬럼 상의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tert-부틸 (5-클로로티엔-2-일)메틸 카르바메이트(C10H14ClNO2S, 82.6 mg, 67% 수율)을 얻었다.
CH2Cl2(1 mL) 중 상기 제조된 화합물(65 mg, 0.26 mmol) 및 TFA(1 mL, 13 mmol)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3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액을 감압 하에 농축시켜 (5-클로로티엔-2-일)메탄아민(~100% 수율)을 얻었다. C5H6NSCl; 엷은 황색 고형물; 1H NMR (400 MHz, CD3OD) δ 7.07 (1 H, d, J = 4.0 Hz), 6.95 (1 H, d, J = 3.6 Hz), 4.26 (2 H, s); 13C NMR (100 MHz, CD3OD) δ 134.9, 132.8, 130.7, 128.0, 38.8; ESI-HRMS calcd for C5H7ClNS: 147.9988, found: m/z 147.9995 [M + H]+.
N 6 -[(5- 클로로티엔 -2-일) 메틸 ]아데노신 ( JMF3818 )
EtOH(1 mL) 중 (5-클로로티엔-2-일)메탄아민 (35.4 mg, 0.24 mmol), 6-클로로퓨린 리보퓨라노시드 (0.12 mmol) 및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0.36 mL, 2 mmol)의 혼합물을 30분 동안 마이크로파 조사에 의해 80℃의 밀봉관에서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엷은 황색 오일을 얻었으며, 이를 H2O 및 MeOH로 연속하여 세척하여 표제 화합물 JMF3818을 얻었다. C15H16ClN5O4S; 백색 고형물; 1H NMR (400 MHz, CD3OD) δ 8.29 (1 H, s), 8.27 (1 H, s), 6.88 (1 H, d, J = 3.6 Hz), 6.79 (1 H, d, J = 3.6 Hz), 5.96 (1 H, d, J = 6.8 Hz), 4.74-4.77 (1 H, m), 4.32-4.34 (1 H, m), 4.17 (1 H, d, J = 2.8 Hz), 3.89 (1 H, dd, J = 12.4, 2.0 Hz), 3.75 (1 H, dd, J = 12.4, 2.8 Hz); 13C NMR (100 MHz, CD3OD) δ 156.0, 153.6, 142.8, 142.0, 129.9, 127.0, 126.6, 121.7, 91.5, 88.4, 75.6, 72.9, 63.7, 40.4; ESI-HRMS calcd for C15H17ClN5O4S: 398.0690, found: m/z 398.0692 [M + H]+.
약동학 연구. 화합물을 생리식염수 중 수용액으로 투여하였다. 수컷 ICR 마우스를 BioLASCO Taiwan Co., Ltd사로부터 구입하였다. 시험 화합물(T1-11 및 JMF3464)의 경구 생체이용율을 측정하기 위해, 시험 화합물의 경구(10 mg/kg) 또는 정맥내(1 mg/kg) 투여 후 수컷 ICR 마우스(6 주령; 20-25g)로부터 혈액 샘플을 수집하였다. T1-11에 대하여, 혈액 샘플을 정맥내 투여 후 2, 10, 30, 60, 120, 360 분째에 수집하고, 경구 투여 후 15, 30, 45, 60, 120, 360 분째에 수집하였다. JMF3464에 대하여, 혈액 샘플을 정맥내 투여 후 2, 10, 30, 60, 120, 240, 360, 480 분째에 수집하고, 경구 투여 후 15, 30, 60, 90, 120, 240, 360, 480째에 수집하였다. 혈액 샘플을 0.1% 포름산을 갖는 메탄올로 추출한 후, 10 μL의 추출된 샘플을 정량을 위해 UPLC-MSMS에 주입하였다.
비구획 모델에 데이터를 적합화하는 약동학 프로그램 WinNonlin을 사용하여 약동학 파라미터를 얻었다. 최종 샘플링 시각까지의 혈장 농도 대 시간 곡선 하 면적(AUC)(AUC0 -120), 시간 무한대까지의 AUC(AUC0 -∞), 종결 단계 반감기(terminal-phase half-life)(T1 /2), 혈장 중 화합물 최대 농도(Cmax), Cmax 시각(Tmax), 및 곡선의 종결부와 연관된 1차속도 상수(k)를 비롯한 약동학 파라미터를 시간 대 로그 농도의 선형 회귀를 통해 추산하였다. 총 혈장 청소율(CL)을 용량/AUCi .v.으로 계산하였다. 경구 투여에 의한 시험 화합물의 경구 생체이용율(F)을 경구 용량의 AUC0 -∞를 i.v. 용량의 AUC0 -∞으로 나누어 계산하였다.
실시예 2
라디오리간드 결합 측정법. 표준 결합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MDS Pharma Services Taiwan(대만 타이페이)에 의해 라디오리간드 결합 측정을 수행하였다. A2AR 결합 측정법에 대하여, 인간 A2AR을 과다발현하는 HEK293 세포로부터 수집한 막 단백질을 25℃에서 90 분 동안 3H-CGS21680(50 nM)을 함유하는 반응 버퍼[50 mM Tris-HCl(pH 7.4), 10 mM MgCl2, 1 mM EDTA, 및 2 U/mL 아데노신 데아미나아제]에서 배양하였다. 비특이적 결합을 50 μM 아데노신-5'-N-에틸카르복사미드의 존재 하에 평가하였다. A3R에 대한 T1-11의 결합 친화도를 측정하기 위해, 인간 A3R을 과다 발현하는 중국 햄스터 난소(CHO)-K1 세포로부터 수집한 막 단백질을, 25 mM HEPES(pH 7.4), 5 mM MgC2, 1 mM CaCl., 및 0.1% 소 혈청 알부민을 함유하는 반응 버퍼 중 25 ℃에서 60 분 동안 3H-AB-MECA (0.5 nM)로 배양하였다. 비특이적 결합은 1 μM IB-MECA(Tocris Bioscience, 미국 미주리주 엘리스빌)의 존재 하에 평가하였다. 아데노신 수송체에 대한 결합 측정법은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이 수행하였다. 덩컨 하틀리(Duncan Hartley) 유래 기니 피그의 대뇌 피질로부터 수집된 막 분획을 50 mM Tris-HCl(pH 7.4) 함유 배양 버퍼 중 25℃에서 30 분 동안 3H-라벨링된 6-[(4-니트로벤질)티오]-9-β-D-리보퓨라노실퓨린(NBTI, 0.5 nM)으로 배양하였다. 비특이적 결합을 평형성 뉴클레오시드 수송체의 효과적인 억제제인 5 μM NBTI 존재 하에 평가하였다. NBTI가 ENT1의 고친화도 억제제이며, 0.5 nM에서 인간 (h)ENT1 만을 억제한다는 점에 유의한다. 반응을 GF/B 유리 섬유 상의 여과 및 반응 버퍼로의 세척에 의해 종결시켰다.
세포 배양 및 일시적 형질전환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ATCC; 미국 버지니아주 마나서스)로부터 구입한 래트 PC12 세포를 10% 말 혈청 및 5% FBS 보충된 DMEM에서 유지하고 37℃ CO2 배양기(5%)에서 배양하였다. LIPOFECTAMINETM 2000(Invitrogen)를 비히클로서 사용하여 제조사의 프로토콜에 따라 세포 내에 플라스미드를 도입하였다. 플라스미드는 미국 유타대학교 신경과 펄스트 박사(Dr. Pulst)가 친절히 제공해주었다. 통상적으로, 5 μL의 LIPOFECTAMINE™ 2000과 조합된 5 ㎍의 DNA를 6웰 플레이트의 각 웰에 가하였다. 플레이팅 수(plating number)는 (1~1.5) x 106 세포/웰이었다. 6 시간 동안의 형질전환 후, 세포를 추가 24 시간 동안 시약으로 처리하였다. 영상을 Zeiss Axiovert 200M 역 형광 현미경(독일 괴팅겐)으로 취하였다.
MTT 기법. 생존을 3-(4,5-디메틸티아졸-2-일)-2,5-디페닐 테트라졸륨 브로마이드 (MTT) 대사 기법으로 평가하였다. 간략하게는, 처리 후에, MTT를 배지(0.5mg/ml)에 첨가하고 2~3 시간 동안 37℃에서 배양하였다. 플레이팅 수는 96웰 플레이트에서 1x104 세포/웰이었다. 배지를 폐기한 후, DMSO를 웰에 가하여 포마르잔 결정(formazan crystal)을 용해시키고, 각 웰에서 570 nm 및 630 nm에서의 흡광도를 마이크로 효소 면역 측정법(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판독기 상에서 측정하였다.
실시예 3
동물 및 약물 투여. 수컷 R6/2 마우스(Mangiarini et al., 1996 Cell. 87:493-506) 및 한배새끼 대조군을 처음에 Jackson Laboratories(미국 메인주 바 하버)로부터 얻어, 암컷 대조군 마우스(B6CBAFI/J)과 교배시켰다. 새끼들을, CAG 반복의 수가 약 150으로 유지되도록 전이유전자 (5'-CCGCTCAGGTTCTGCTTTTA-3'; 서열번호: 1, 및 5'-GGCTGAGGAAGCTGAGGAG-3'; 서열번호: 2)에 위치한 프라이머를 사용하여 꼬리 조직으로부터 추출된 유전체 DNA의 중합효소 연쇄 반응(PCR) 유전형질 분석 기법(genotyping technique)으로 식별하였다. 동물들을 12/12 시간 명암 주기 하에 의생명과학 동물 사육 시설 기관(Institute of Biomedical Sciences Animal Care Facility)에서 사육하였다. 마우스의 체중을 하루 1회 기록하였다. 동물 실험은 아카데미아 시니카 동물 사육 기관 및 이용 위원회(대만 타이페이)에 의해 승인된 프로토콜 하에 수행하였다.
로타로드 수행. 운동 협응을 2 분의 기간 동안 일정한 속도(12 rpm)에서 로타로드 기구(UGO BASILE, 이탈리아 코메리오)를 사용하여 평가하였다(Carter et al., 1999 J Neurosci. 19:3248-3257). 모든 마우스는 로타로드 기구에 익숙해지도록 4주령째 2일 동안 훈련하였다. 이후 동물들을 4~12주령째 주당 3회 시험하였다. 각 시험에 대해, 동물들은 회전 시작 전에 기구에 위치되었다. 낙하 지연시간을 자동적으로 기록하였다. 각 마우스는 각 시도에 대해 최대 2분의 3회의 시도가 주어졌다.
실시예 4
동물. C57BL/6 마우스를 국립 실험 동물 센터(대만)에서 구입하였다. 유전자 변이 마우스(ATAXN2 Q127 )는 닥터 펄스트에 의해 제공되었다. 마우스를 12/12 시간 명암 주기 및 조절된 온도(22±2℃) 하에 방음실에서 유지하였다. 먹이와 물은 자유식으로 공급하였다. NIH 실험동물의 관리와 사용에 관한 지침(Guide for the Care and Use of Laboratory Animals)의 원리 및 지침에 따라, 사용된 동물의 수 및 이들의 통증 및 불편을 최소화하는 모든 노력을 다하였다. 이 실험들은 또한 중국 국립 의약 연구소(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hinese Medicine)의 동물 사육 기관 및 이용 위원회의 검수 및 승인을 받았다(승인 번호: 100-15).
필터 지연 기법. 본 방법은 몇 가지 변경된 문헌[Wanker et al. (1999 Methods Enzymol. 309:375-386)]에 기술된 바에 따랐다. 간략하게 말하자면, 수확된 세포를 용균 버퍼(50 mM Tris-HCl (pH 8.8), 100 mM NaCl, 5.0 mM MgCl2, 1 mM EDTA, 및 1x 프로테아제 억제제 칵테일 함유 0.5%(w/v) IPGEAL (Roche Diagnostics, 미국 인디애나주 인디아나폴리스))에 재현탁하고 10 초(1 펄스/s) 동안 초음파 처리하였다. 각 그룹당 동일한 단백질 농도(15~20 ㎍/웰)를 Bio-Dot SF 장치(Bio-Rad, 미국 캘리포니아주 헐큘러스)를 사용하여 2% 나트륨 도데실술페이트 (SDS)-예비평형화된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막(0.2 μM; Whatman, 영국 켄트주 메이드스톤)을 통해 여과하였다. 흡인 중에, 각 웰을 200 μL 0.1% SDS로 2회 세척하였다. 블롯(blot)을 1 시간 동안 3% 탈지 분유 함유 TBS(100 mM Tris-HC1 및 150 mM NaC1; pH 7.4)로 블로킹한 후 0.02% NaN3를 갖는 3% 소 혈청 알부민 (BSA) 중 항-폴리글루타민(1:5000; MAB1574) 항체와 함께 배양하여(4℃ 밤새) 정상 및 돌연변이 ATAXN2를 탐지하였다. 후속 방법은 상기 기술된 바와 같았다.
로타로드 수행. 5 주령째의 야생형 및 유전자 변이 마우스를 이 연구에서 사용하였다. 운동 협응을 5 분의 기간 동안 가속된 속도(10~28 rpm)에서 로타로드 기구(UGO BASILE, 이탈리아 코메리오)를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모든 마우스는 로타로드 기구에 익숙해지도록 5주령째 2일 동안 훈련하였다. 한편, 상기 주간 유전자 변이 마우스의 일부는 그의 매일 마시는 물에 용해된 T1-11를 섭취하는 것을 시작하였다. 이후 동물들을 6주령으로부터 주당 2회 공식 시험하였다. 각 시험에 대해, 동물들은 회전 시작 전에 장치에 위치되었다. 낙하 지연시간을 자동적으로 기록하였다. 각 마우스는 각 시도에 대해 최대 2분의 3회의 시도가 주어졌다. 마우스는 시도들 사이에 20~30 분의 휴식이 허용되었다.
실시예 5
행동 시험. 마우스의 균형 및 협응 기능을 로타로드 시험을 수행함으로써 측정하였다. 마우스를 로타로드 기구(가속 모델, Ugo Basile Biological Research Apparatus)의 움직이는 드럼 상에 위치시켰으며, 이를 마우스가 드럼으로부터 플레이트로 낙하하여 타이머를 정지시키기까지 가속하였다. 낙하 지연시간을 4 일에 걸쳐 4회의 매일의 시도로 측정하였다.
면역조직화학적 염색. 야생형 또는 SCA3 유전자 변이 마우스를 마취시키고 PBS 중 4% 파라포름알데히드로 경심 관류(perfused transcardially)하였다. 뇌를 Tissue-Tek 포매 배지로 평형화하고 액체 질소로 냉동시켰다. 동결절편(cryostat sectioning)을 0.1 % Triton X-100에 투과화시킴으로써 관상면(Coronal section)(20 μM)을 제조하고, 희석된 항-NeuN 단일클론 항혈청(Chemicon)으로 48 시간 동안 4℃에서 배양하였다. 이어서, 절편을 세척하고 바이오티닐화 말 항-마우스 IgG로 배양하고 이어서 아비딘-바이오틴-호스래디시(horseradish) 퍼록시다아제 복합체로 배양하였다. 이후 절편을 세척하고 디아미노벤지딘 용액에서 성장시켰다. StereoInvestigator 소프트웨어(MBF Bioscience)의 도움으로 Retiga-2000R CCD 카메라(QImaging) 및 3축 컴퓨터 제어 MAC 600 구동 스테이지(Ludl Electronics)가 구비된 Leica DM2500 현미경으로 NeuN 양성 신경세포를 시각화하고 계수하였다. 각 분석은 마우스당 15 뇌 절편의 프로세싱을 포함하였다.
실시예 6
동물 및 약물 투여. 유전자 변이 마우스 B6SJL-Tg(Prnp-TARDBP)4Jlel/J를 Jackson Laboratory(미국 메인주 바 하버)로부터 구입하고, 대만 타이난의 국립 실험 동물 센터에서 사육하였다. 유전자 변이 마우스를 포워드 프라이머 5'-GGT GGT GGG ATG AAC TTT GG-3' (서열번호: 3) 및 리버스 프라이머 5'-GTG GAT AAC CCC TCC CCC AGC CTA GAC-3' (서열번호: 4)를 사용하는 PCR로 스크리닝하였다. 야생형 마우스는 비 유전자 변이 한배새끼들이었다. 6주령의 마우스는, 복부의 외측 복측(ventral lateral) 측면에 피하 매립되도록, 나타난 바와 같이 DMSO 또는 JMF1907를 포함하는 ALZET 마이크로-삼투성 펌프 모델 1004(DURECT Corporation, 미국 캘리포니아주 쿠퍼티노)를 보유하도록 수술을 받았다. 펌프는 매 28 일마다 교체되었다.
악력. 악력은 악력계(TSE Systems, Inc., 미국 미주리주)로 측정하였다. 간략하게는, 마우스를 꼬리를 잡고 손으로 들어올리고 힘 센서에 장착된 높이 조절 가능한 손잡이를 붙잡을 수 있게 하였다. 당기는 힘이 마우스의 꼬리에 의해 마우스에 가해졌다. 마우스가 그 손잡이를 놓을 때 연결된 제어 유닛의 디지털 디스플레이 패널에 최대 힘이 표시되었다. 각 마우스는 3회 반복적으로 시험되었다.
로타로드 수행. 야생형 및 유전자 변이 마우스의 운동 협응을 120 초 동안 일정한 속도(40 rpm)에서 장치(UGO BASILE, 이탈리아 코메리오)를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모든 마우스는 2주 동안 주당 2일씩 훈련하였다. 이후 마우스를 9주령으로부터 주당 2회 공식 시험하였다. 각 시험에 대해, 동물들은 회전 시작 전에 장치에 위치되었다. 낙하 지연시간을 자동적으로 기록하였다. 각 마우스는 시간당 3회의 시도가 주어졌다. 마우스는 시도들 사이에 20 분의 휴식이 허용되었다.
세포 배양 및 형질전환. 운동 신경세포주(NSC34)는 네일 캐시맨(Neil Cashman) 박사(캐나다 브리티쉬 콜롬비아 대학 뇌 연구 센터)로부터의 감사한 선물이었으며, 5% CO2 하에 37℃에서 10% 소 태아 혈청(FCS), 2 mM L-글루타민, 및 1%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Invitrogen GibcoBRL, 미국 캘리포니아주 칼스바드)을 함유하는 고 글루코스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에서 배양하였다.
실시예 7
마우스. 8-12 주령의 암컷 C57BL6N 마우스를 BioLASCO(대만 이란)으로부터 구입하였다.
산 유발성 만성 넓은 부위 통증 모델. 섬유근통 모델은 슬루카 그룹(Sluka's group)에 의해 확립된 산 유발성 만성 통증 모델으로부터 변경하였다(Sluka et al., 2003 Pain. 106:229-239). 마우스를 2% 기화 이소플루란으로 간단히 마취하고 좌측 비복근 근육에 20 mL 제니스테인(1 mM)의 i.m. 주사를 놓았다. 3 분 후, 동일 부위에 20 mL 산 염수(pH 4.0) 주사를 놓았다. 이후 마우스는 2주 이상 동안 장기적인 기계적 통각과민을 일으켰다. T1-11(0.9-mm /7-cm 위관(gavage)을 이용한 p.o.)의 진통 효과를 마우스가 기계적 통각과민을 일으킨 4일 후 시험하였다. 기계적 통각과민은 0.2-mN 폰 프라이 필라멘트 자극(von Frey filament stimulation)에 대한 마우스의 뒷발의 철회 반응(withdrawal response)을 시험함으로써 분석하였다.
간헐적인 저온 스트레스 모델. 섬유근통 모델은 우에다 그룹(Ueda's group)에 의해 개발되었으며, 여기서 마우스는 2 일 동안 간헐적인 저온 스트레스로 처리된다(Nishiyori and Ueda, 2008 Mol Pain. 4:52). 간헐적인 저온 스트레스로 처리된 마우스는 장기적인 (>2 주) 기계적 및 열적 통각과민을 일으킨다. JMF3464(i.p. 또는 p.o.)의 진통 효과를 간헐적인 저온 스트레스 5일 후 상기 마우스에서 시험하였다. 기계적 통각과민은 0.2-mN 폰 프라이 필라멘트 자극에 대한 마우스 뒷발의 철회 반응을 시험함으로써 분석하였다.
상기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양태들의 설명은 예시 및 설명의 목적으로만 제시되었으며 한정적이거나 본 발명을 개시된 정확한 형태로 제한하고자 하는 의도가 아니다. 상기 교시의 관점에서 다수의 변경 및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실시양태 및 실시예는 본 발명의 원리 및 이의 실질적인 적용을 설명하도록 선택 및 기술되어 당업자가 고려된 특정 용도가 적합한 것과 같은 본 발명 및 다양한 실시양태 및 다양한 변경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대안적인 실시양태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적합한 것으로 명백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인용 및 논의된 모든 참고문헌들은 본원에 그 전체가 및 각 참고문헌이 개별적으로 참고 인용된 것과 동일한 정도로 참고로 인용되어 있다.
SEQUENCE LISTING <110> Academia Sinica <120> COMPOUNDS FOR USE IN PREVENTION AND TREATMENT OF NEURODEGENERATIVE DISEASES AND PAIN <130> 10011-029PCT <150> 61894699 <151> 2013-10-23 <160> 4 <170> PatentIn version 3.5 <210> 1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for CAG repeats <400> 1 ccgctcaggt tctgctttta 20 <210> 2 <211> 1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for CAG repeats <400> 2 ggctgaggaa gctgaggag 19 <210> 3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for transgene Prnp-TARDBP <400> 3 ggtggtggga tgaactttgg 20 <210> 4 <211> 27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for transgene Prnp-TARDBP <400> 4 gtggataacc cctcccccag cctagac 27

Claims (20)

  1. 화학식 (I) 또는 (IA)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Figure pct00008
    ,
    상기 식에서, X는 할로겐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N 6-[(3-할로티엔-2-일)메틸]아데노신, N 6-[(4-할로티엔-2-일)메틸]아데노신, 및 N 6-[(5-할로티엔-2-일)메틸]아데노신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화합물.
  3. 제2항에 있어서, N 6-[(5-브로모티엔-2-일)메틸]아데노신, N 6-[(4-브로모티엔-2-일)메틸]아데노신, N 6-[(3-브로모티엔-2-일)메틸]아데노신, N 6-[(5-클로로티엔-2-일)메틸]아데노신, N 6-[(4-클로로티엔-2-일)메틸]아데노신, 및 N 6-[(3-클로로티엔-2-일)메틸]아데노신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화합물.
  4. 제1항에 있어서, N 6-[(2-할로티엔-3-일)메틸]아데노신, N 6-[(4-할로티엔-3-일)메틸]아데노신, 및 N 6-[(5-할로티엔-3-일)메틸]아데노신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화합물.
  5. 제4항에 있어서, N 6-[(2-브로모티엔-3-일)메틸]아데노신, N 6-[(4-브로모티엔-3-일)메틸]아데노신, N 6-[(5-브로모티엔-3-일)메틸]아데노신, N 6-[(2-클로로티엔-3-일)메틸]아데노신, N 6-[(4-클로로티엔-3-일)메틸]아데노신, 및 N 6-[(5-클로로티엔-3-일)메틸]아데노신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화합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화학식 (I) 또는 (IA)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하기 단계 (I) 또는 (II)를 포함하는 제조 방법:
    (I):
    (a) 염기 존재 하에 6-클로로퓨린 리보퓨라노시드를 하기 화학식 (3) 또는 (3A)를 갖는 치환된 (티에닐)메탄아민과 반응시켜, 화학식 (I) 또는 (IA)의 화합물을 얻는 단계:
    Figure pct00009

    (상기 식에서, X는 불소, 염소, 브롬 또는 요오드임); 또는
    (II):
    (a1) 염기 존재 하에 (2',3'-O-이소프로필리덴)아데닌을 히드록실기 보호제와 반응시켜, 히드록실 보호기를 갖는 (2',3'-O-이소프로필리덴)아데닌의 유도체를 얻는 단계;
    (b) 히드록실 보호기를 갖는 (2',3'-O-이소프로필리덴)아데닌의 유도체를 아민기 보호제와 반응시켜, 히드록실 보호기 및 아민 보호기를 갖는 (2',3'-O-이소프로필리덴)아데닌의 유도체를 얻는 단계;
    (c) 히드록실 보호기 및 아민 보호기를 갖는 (2',3'-O-이소프로필리덴)아데닌의 유도체를 하기 화학식 (7) 또는 (7A)의 치환된 (티에닐)메틸기 함유 화합물과 반응시킴으로써 커플링 반응을 수행하여, 보호기 및 치환된 (티에닐)메틸기를 함유하는 생성물을 얻는 단계:
    Figure pct00010

    (상기 식에서, X는 F, Cl, Br, 또는 I이고, Y는 X, OH, 메탄술포네이트(OSO2CH3, OMs), p-톨루엔술포네이트(OSO2C6H4-p-CH3, OTs), 또는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네이트(OSO2CF3, OTf)임); 및
    (d) 산성 조건에서 단계 (II)(c)의 생성물로부터 보호기를 제거하여, 화학식 (I) 또는 (IA)의 화합물을 얻는 단계.
  7. 제6항에 있어서, 단계 (I)(a)에서, 염기는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이고, 치환된 (티에닐)메탄아민은
    (i) N 6-[(5-브로모티엔-2-일)메틸]아데노신을 얻기 위해서는 (5-브로모티엔-2-일)메탄아민이거나; 또는
    (ii) N 6-[(5-클로로티엔-2-일)메틸]아데노신을 얻기 위해서는 (5-클로로티엔-2-일)메탄아민
    인 제조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단계 (II)(c)에서, 커플링 반응은 트리페닐포스핀 및 디이소프로필 아조디카르복실레이트의 존재 하에 수행되는 것인 제조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단계 (II)(c)에서, 치환된 (티에닐)메틸기 함유 화합물은 (5-브로모티엔-2-일)메탄올인 제조 방법.
  10. (a) 치료적 유효량의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및
    (b)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부형제 또는 비히클
    을 포함하는 조성물.
  11. 신경퇴행성 질환 및/또는 통증의 치료가 필요한 대상에서 신경퇴행성 질환 및/또는 통증을 치료하기 위한 약제의 제조에서의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화합물의 용도.
  12. 제11항에 있어서, 신경퇴행성 질환은 알츠하이머 병, 파킨슨 병, 근위축성 측삭경화증, 프리온 병, 헌팅턴 병, 및 척수 소뇌 실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용도.
  13. 제12항에 있어서, 척수 소뇌 실조는 척수 소뇌 실조 2형, 척수 소뇌 실조 3형, 및 척수 소뇌 실조 7형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용도.
  14. 제11항에 있어서, 통증은 산 유발성 통증인 용도.
  15. 제14항에 있어서, 산 유발성 통증은 산 유발성 근육통인 용도.
  16. 제15항에 있어서, 산 유발성 근육통은 산 유발성 만성 근육통인 용도.
  17. 제11항에 있어서, 통증은 기능부전성 통증인 용도.
  18. 제17항에 있어서, 기능부전성 통증은 섬유근통, 근막 통증, 방광 통증 증후군, 및 과민성 대장 증후군에 의해 유발된 통증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용도.
  19. 제11항에 있어서, 통증은 염증성 통증, 암 통증, 흉통, 배부통, 경부통, 어깨 통증, 편두통, 두통, 근막 통증, 관절 통증, 근육통 증후군, 신경병증성 통증, 말초성 통증, 교감신경 통증, 수술 후 통증, 외상 후 통증, 및 다발 경화증 통증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용도.
  20. 제11항에 있어서, 신경퇴행성 질환은 단백질 미스폴딩 질환인 용도.
KR1020167013624A 2013-10-23 2014-10-22 신경퇴행성 질환 및 통증의 예방 및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화합물 KR1023133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361894699P 2013-10-23 2013-10-23
US61/894,699 2013-10-23
PCT/US2014/061734 WO2015061426A1 (en) 2013-10-23 2014-10-22 Compounds for use in prevention and treatment of neurodegenerative diseases and pai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6852A true KR20160086852A (ko) 2016-07-20
KR102313314B1 KR102313314B1 (ko) 2021-10-19

Family

ID=52993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3624A KR102313314B1 (ko) 2013-10-23 2014-10-22 신경퇴행성 질환 및 통증의 예방 및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화합물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10301348B2 (ko)
EP (1) EP3060566B1 (ko)
JP (1) JP6534997B2 (ko)
KR (1) KR102313314B1 (ko)
CN (1) CN106414456B (ko)
AU (1) AU2014340114B2 (ko)
BR (1) BR112016008901B1 (ko)
CA (1) CA2927699C (ko)
IL (1) IL245103B (ko)
MX (1) MX367707B (ko)
RU (1) RU2695358C2 (ko)
SG (1) SG11201603063WA (ko)
WO (1) WO2015061426A1 (ko)
ZA (1) ZA20160311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96012A1 (en) 2015-05-29 2016-12-08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Leland Stanford Junior University Nucleoside agents for the reduction of the deleterious activity of extended nucleotide repeat containing genes
WO2018140734A1 (en) 2017-01-27 2018-08-02 Academia Sinica Compound with analgesic effect for use in prevention and treatment of pain
TW202400186A (zh) * 2022-02-10 2024-01-01 中央研究院 治療脊髓損傷之方法及用於其中之組成物
WO2024010910A1 (en) * 2022-07-07 2024-01-11 Academia Sinica Method of treating schizophrenia and composition for use therei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88003148A2 (en) * 1986-10-31 1988-05-05 Warner-Lambert Company Heteroaromatic derivatives of adenoside
US20120295863A1 (en) * 2009-11-13 2012-11-22 Yun-Lian Lin Dual-Action Compounds Targeting Adenosine A2A Receptor and Adenosine Transporter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Neurodegenerative Diseases
WO2013120076A1 (en) * 2012-02-09 2013-08-15 Brand Bumps, LLC Decorative detectable warning panel having improved grip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34381A (en) * 1988-01-07 1991-07-23 Ciba-Geigy Corporation 2-(substituted amino) adenosines as antihypertensives
US5561134A (en) * 1990-09-25 1996-10-01 Rhone-Poulenc Rorer Pharmaceuticals Inc. Compounds having antihypertensive, cardioprotective, anti-ischemic and antilipolytic properties
WO1992005177A1 (en) * 1990-09-25 1992-04-02 Rhone-Poulenc Rorer International (Holdings) Inc. Compounds having antihypertensive and anti-ischemic properties
UY27939A1 (es) * 2002-08-21 2004-03-31 Glaxo Group Ltd Compuestos
US10174033B2 (en) * 2009-12-10 2019-01-08 Institute Of Materia Medica, Chinese Academy Of Medical Sciences N6-substituted adenosine derivatives and N6-substituted adenine derivatives and uses thereof
US20150038445A1 (en) * 2012-02-11 2015-02-05 Academia Sinica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reating pai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88003148A2 (en) * 1986-10-31 1988-05-05 Warner-Lambert Company Heteroaromatic derivatives of adenoside
US20120295863A1 (en) * 2009-11-13 2012-11-22 Yun-Lian Lin Dual-Action Compounds Targeting Adenosine A2A Receptor and Adenosine Transporter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Neurodegenerative Diseases
WO2013120076A1 (en) * 2012-02-09 2013-08-15 Brand Bumps, LLC Decorative detectable warning panel having improved gri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4340114B2 (en) 2018-10-18
IL245103A0 (en) 2016-06-30
AU2014340114A1 (en) 2016-05-26
EP3060566A4 (en) 2017-06-14
US20160264613A1 (en) 2016-09-15
JP6534997B2 (ja) 2019-06-26
JP2016535019A (ja) 2016-11-10
MX367707B (es) 2019-09-03
KR102313314B1 (ko) 2021-10-19
SG11201603063WA (en) 2016-05-30
BR112016008901A2 (pt) 2020-05-12
EP3060566B1 (en) 2018-09-05
CA2927699C (en) 2022-07-05
CA2927699A1 (en) 2015-04-30
US10301348B2 (en) 2019-05-28
NZ719740A (en) 2021-02-26
RU2016118282A3 (ko) 2018-06-18
BR112016008901B1 (pt) 2022-08-23
EP3060566A1 (en) 2016-08-31
CN106414456A (zh) 2017-02-15
RU2016118282A (ru) 2017-11-28
CN106414456B (zh) 2018-12-14
ZA201603118B (en) 2019-04-24
RU2695358C2 (ru) 2019-07-23
WO2015061426A1 (en) 2015-04-30
IL245103B (en) 2019-02-28
MX2016005174A (es) 2016-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23683B2 (ja) オピオイド受容体リガンド並びにそれらの使用方法及び製造方法
US10968221B2 (en) Substituted [1,2,4]triazolo[1,5-a]pyrazines as LSD1 inhibitors
EP3781564B1 (en) Pyridazine derivatives for the treatment of cancer
US10138249B2 (en) Triazolopyridines and triazolopyrazines as LSD1 inhibitors
ES2672797T3 (es) Ciclopropilaminas como inhibidores de LSD1
US20200181077A1 (en) Cyclopropylamines as lsd1 inhibitors
JP2020023529A (ja) Lsd1阻害剤としてのシクロプロピルアミン類
ES2409833T3 (es) Sal de dihidrógeno-fosfato de un antagonista del receptor D2 de prostaglandina.
KR20180094938A (ko) 오피오이드 수용체 리간드와 시토크롬 p450 억제제의 결합
KR20160086852A (ko) 신경퇴행성 질환 및 통증의 예방 및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화합물
Van der Walt et al. 1, 3, 7-Triethyl-substituted xanthines—possess nanomolar affinity for the adenosine A1 receptor
ES2580702B1 (es) Derivados de 2-aminopiridina como antagonistas del receptor A2b de adenosina y ligandos del receptor MT3 de melatonina
TWI668007B (zh) 用於預防及治療神經退化疾病及疼痛之化合物
TWI650328B (zh) 用於預防及治療神經退化疾病及疼痛之化合物
KR20210125982A (ko) 신경변성 질환의 치료를 위한 2-플루오린화된 담즙산
WO2024064923A2 (en) Covalent, chemogenetic activators for k2p potassium channels and uses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