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6750A - 모바일 단말기의 조작상태를 활성화하는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모바일 단말기의 조작상태를 활성화하는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6750A
KR20160086750A KR1020157016840A KR20157016840A KR20160086750A KR 20160086750 A KR20160086750 A KR 20160086750A KR 1020157016840 A KR1020157016840 A KR 1020157016840A KR 20157016840 A KR20157016840 A KR 20157016840A KR 20160086750 A KR20160086750 A KR 201600867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ration
mobile terminal
operation interface
module
activ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168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17620B1 (ko
Inventor
쿤 양
준 타오
충승 지앙
Original Assignee
시아오미 아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아오미 아이엔씨. filed Critical 시아오미 아이엔씨.
Publication of KR201600867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67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76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76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79Improving the user comfort or ergonomics
    • H04M1/0281Improving the user comfort or ergonomics for providing single handed use or left/right hand convers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6Details of scanning methods, e.g. sampling time, grouping of sub areas or time sharing with display driv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8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for error correction or compensation, e.g. based on parallax, calibration or alignment
    • H04M1/72519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8Several contacts: gestures triggering a specific function, e.g. scrolling, zooming, right-click, when the user establishes several contacts with the surface simultaneously; e.g. using several fingers or a combination of fingers and pe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조작상태에 진입하는 체험을 향상시킬수 있는 모바일 단말기의 조작상태를 활성화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것이다. 상기 방법은, 장근접촉이벤트가 상기 모바일 단말기 스크린상에서 지속되는 제1 지속시간을 측정하는 단계와, 손가락이 상기 스크린위에서 터치하는 제2 지속시간을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지속시간 및 상기 제2 지속시간에 의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설정된 조작상태를 활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기술방안에 따르면 사용자가 한 손 조작을 통하여 설정된 조작상태에 진입할 수 있어,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기를 조작하는 단계을 간소화하여 사용자가 빠르게 설정된 조작상태에 진입할 수 있어 상용자가 모바일 단말기를 조작하는 체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모바일 단말기의 조작상태를 활성화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device for activating operation state of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전자기술분야에 관한 것이고 더욱 상세하게는 모바일 단말기의 조작상태를 활성화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출원번호가 201410784576.1이고 출원일이 2014년 12월 16일 자인 중국특허출원을 기초로 우선권을 주장하고, 당해 중국특허출원의 전체 내용은 본출원에 원용된다.
사용자가 전자장치를 손에 잡았을 때, 특히 스크린이 비교적 큰 전자장치를 손에 잡았을 때, 관련기술에서는 한 손 모드(single-hand mode)일 경우 사용자가 한 손으로 전자장치를 잡았을 시의 장근(heel-of-hand) 접촉영역을 무시하고 기타 터치영역에 대한 터치조작만 인식한다.
그러나 사용자가 한 손 모드를 채택할 경우, 사용자는 메뉴를 클릭하는 방식으로 한 손 모드에 진입한다. 사용자가 한 손으로 장치를 잡고 아직 한 손 모드에 들어가지 않았을 때, 장근이 스크린에 접촉하여 한 손으로 클릭하기 어렵게 된다. 그리고 한 손 모드의 선택은 스크린의 고정된 위치를 클릭해야 하기 때문에 관련기술은 손가락 터치위치 조작에 적합하지 않고, 심지어 어떤 경우에는 사용자가 두 손을 같이 조작해서야만 한 손모드를 활성화할 수 있어 사용자가 조작모드에 진입하는 체험에 큰 영향을 준다.
관련기술에 존재하는 문제를 극복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사용자가 조작상태에 진입하는 체험을 향상시킬수 있는 모바일 단말기의 조작상태를 활성화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는,
장근접촉이벤트가 상기 모바일 단말기 스크린상에서 지속되는 제1 지속시간을 모니터링하는 단계와,
손가락이 상기 스크린을 터치하는 제2 지속시간을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지속시간 및 상기 제2 지속시간에 의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설정된 조작상태의 활성화를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조작상태를 활성화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손가락이 상기 스크린을 터치하는 것이 모니터링되었을 때, 상기 손가락이 상기 스크린을 접촉하는 시작시간을 기록하는 단계와,
상기 시작시간으로부터 시작하여 상기 손가락이 상기 스크린에서의 터치영역이 소정 편차범위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단계와,
상기 터치범위가 상기 소정 편차범위를 초과하지 않은 것으로 모니터링되었을 때, 상기 손가락이 상기 터치영역에서 터치하는 상기 제2 지속시간을 측정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설정된 조작상태는 설정된 조작모드 및 설정된 조작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속시간 및 상기 제2 지속시간에 의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설정된 조작상태의 활성화를 확정하는 단계는,
만약 상기 제1 지속시간이 제1 소정 한계치를 초과하고, 또한 상기 제2 지속시간이 제2 소정 한계치를 초과하였음을 확정하면, 상기 설정된 조작모드를 활성화하는 단계와,
만약 상기 제1 지속시간이 상기 제1 소정 한계치를 초과하고, 또한 상기 제2 지속시간이 상기 제2 소정 한계치보다 큰 제3 소정 한계치를 초과하면, 상기 설정된 조작 인터페이스를 활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설정된 조작 인터페이스는 적어도 한 손으로 조작하는 조작 인터페이스 및 네비게이션 키의 조작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상기 설정된 조작 인터페이스를 활성화하는 단계는,
만약 상기 제2 지속시간이 상기 제3 소정 한계치를 초과하면 상기 한 손으로 조작하는 조작 인터페이스를 활성화하는 단계와,
만약 상기 제2 지속시간이 상기 제3 소정 한계치 보다 큰 제4소정 한계치를 초과하면, 상기 네비게이션 키의 조작 인터페이스를 활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설정된 조작 인터페이스는 리턴 또는 취소를 조작하는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한 손으로 조작하는 조작 인터페이스를 활성화하고 또는 상기 네비게이션의 조작 인터페이스를 활성화한 후, 상기 방법은,
상기 리턴 또는 취소를 조작하는 인터페이스를 활성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모바일 단말기의 설정옵션을 통하여 상기 설정된 조작 인터페이스를 확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장근접촉이벤트가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서의 제1 지속시간을 측정하도록 배치된 제1 측정모듈과,
손가락이 상기 스크린을 터치하는 제2 지속시간을 측정하도록 배치된 제2 측정모듈과,
상기 제1 측정모듈이 측정한 상기 제1 지속시간 및 상기 제2 측정모듈이 측정한 상기 제2 지속시간에 의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설정된 조작상태의 활성화를 확정하도록 배치된 제1 확정모듈을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조작상태를 활성화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장치는,
상기 손가락이 상기 스크린을 터치하는 것이 모니터링되었을 때, 상기 손가락이 상기 스크린을 터치하는 시작시간을 기록하도록 배치된 기록모듈;
상기 기록모듈이 기록하여 획득한 상기 시작시간으로부터 시작하여 상기 손가락이 상기 스크린에서의 터치영역이 소정 편차범위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하도록 배치된 모니터링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모니터링모듈이 상기 터치범위가 상기 소정 편차범위를 초과하지 않은 것으로 모니터링되었을 때, 상기 제2 측정모듈은 상기 손가락이 상기 터치영역에서 터치하는 상기 제2 지속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설정된 조작상태는 설정된 조작모드 및 설정된 조작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확정모듈은,
만약 상기 제1 측정모듈이 측정한 상기 제1지속시간이 제1 소정 한계치를 초과하고, 또한 상기 제2 측정모듈이 측정한 상기 제2 지속시간이 제2 소정 한계치를 초과하면, 상기 설정된 조작모드를 활성화하돌록 배치된 제1 활성화 서브모듈과,
만약 상기 제1 측정모듈이 측정한 상기 제1지속시간이 제1 소정 한계치를 초과하고, 또한 상기 제2 측정모듈이 측정한 상기 제2 지속시간이 제3 소정 한계치를 초과하면, 상기 설정된 조작모드를 활성화하도록 배치된 제2 활성화 서브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설정된 조작 인터페이스는 적어도 한 손으로 조작하는 조작 인터페이스 및 네비게이션 키의 조작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활성화 서브모듈은,
만약 상기 제2 측정모듈이 측정한 상기 제2 지속시간이 상기 제3 소정 한계치를 초과하면 상기 한 손으로 조작하는 조작 인터페이스를 활성화하도록 배치된 제3 활성화 서브모듈과,
만약 상기 제2 측정모듈이 측정한 상기 제2 지속시간이 상기 제3 소정 한계치보다 큰 제4소정 한계치를 초과하면 상기 네비게이션 키의 조작 인터페이스를 활성화하도록 배치된 제4활성화 서브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설정된 조작 인터페이스는 리턴 또는 취소를 조작하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활성화 서브모듈은,
상기 제3 활성화 서브모듈이 상기 한 손으로 조작하는 조작 인터페이스를 활성화하거나 또는 상기 제4활성화 서브모듈이 상기 네비게이션 키의 조작 인터페이스를 활성화한 후, 상기 리턴 또는 취소를 조작하는 인터페이스를 활성화하도록 배치된 제5 활성화 서브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장치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설정옵션을 통하여 상기 제1 확정모듈이 활성화하려는 상기 설정된 조작 인터페이스를 확정하도록 배치된 제2 확정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는,
프로세서와,
프로세서가 수행가능한 명령을 기억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는,
장근접촉이벤트가 상기 모바일 단말기 스크린상에서 지속되는 제1 지속시간을 측정하고,
손가락이 상기 스크린을 터치하는 제2 지속시간을 측정하고,
상기 제1 지속시간 및 상기 제2 지속시간에 의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서 설정된 조작상태를 활성화함을 확정하도록 배치되는 모바일 단말기의 조작상태를 활성화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 실시예에서 제공한 기술방안에 따르면 하기와 같은 유익한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즉, 장근접촉이벤트의 제1 지속시간 및 손가락터치 이벤트의 제2 지속시간을 측정하고, 또한 제1 지속시간 및 제2 지속시간에 의하여 모바일 단말기에 설정된 조작상태를 활성화함을 확정할 수 있어 사용자가 한 손 조작을 통하여 설정된 조작상태로 진입할 수 있다. 이리하여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기를 조작하는 단계를 간소화함으로써 사용자가 설정된 조작상태에 빨리 진입할수 있고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기를 조작하는 체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앞서 언급된 일반적인 설명과 후술되는 세부 사항은 단지 예시적이고 설명을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하여야 한다.
여기서 도면은 명세서에 병합되어 본 명세서의 일부분을 구성하고, 본 발명 부합된 실시예를 도시하고 명세서와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해석한다.
도1a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의 조작상태를 활성화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1b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장근 접촉위치 및 손가락 터치위치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의 조작상태를 활성화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3a는 제2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의 조작상태를 활성화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3b는 제2 실시예에 따른 한 손으로 조작하는 조작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3c는 제2 실시예에 따른 네비게이션 키의 조작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의 조작상태를 활성화하는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다른 한가지 모바일 단말기의 조작상태를 활성화하는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활성화 서브모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의 조작상태를 활성화하는 장치에 적용되는 블록도이다.
여기서 일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 그 사례는 도면에 도시한다. 하기의 서술이 도면에 관련될 때 별도의 표시가 없으면 서로 다른 도면에서 같은 숫자는 같거나 또는 비슷한 요소를 표시한다. 하기의 예시적 실시예에서 서술한 실시방식은 본 발명과 일치한 모든 실시방식을 대표하는 것이 아니라 반대로 단지 특허청구 범위에 기재한 본 발명의 일부 방면과 서로 일치한 장치 또는 방법에 관한 예제일 뿐이다.
도1a는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의 조작상태를 활성화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해당 모바일 단말기의 조작상태를 활성화하는 방법은 모바일 단말기(예를 들어, 스마트 휴대폰, 태블릿PC)에 적용될 수 있다. 도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모바일 단말기의 조작상태를 활성화하는 방법은 하기와 같은 S101 내지 S103단계를 포함한다.
S101단계: 장근접촉이벤트(heel-of-hand contact event)가 모바일 단말기 스크린상에서 지속되는 제1 지속시간을 측정한다.
예를 들어, 도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기(10)를 손에 들었을 때, 모바일 단말기(10)의 터치 집적회로(IC)는 장근접촉영역(12)을 사용자의 장근이 모바일 단말기(10)와 접촉한 장근접촉위치로 인식한다. 장근접촉이벤트을 인식한 후, 터치IC는 모바일 단말기(10)의 호스트에 상응한 메시지을 송신한다. 호스트가 해당 메시지을 수신한 후, 장근접촉이벤트가 지속되는 제1 지속시간을 측정한다. 도1b는 사용자가 왼손으로 모바일 단말기(10)을 잡은 것을 예를 들어 설명을 한 개략도이다. 본 분야의 통상지식을 가진 자라면 사용자가 오른손으로 모바일 단말기(10)를 잡았을 때 모바일 단말기(10)의 오른쪽의 상응한 영역 역시 장근접촉영역 및 손가락 터치영역임을 이해해야 한다.
S102단계: 손가락이 스크린을 터치하는 제2 지속시간을 측정한다.
상기S101단계와 유사하게,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모바일 단말기(10)의 스크린을 클릭할 때, 터치IC는 손가락 접촉영역(11)을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기(10) 스크린에서의 터치영역으로 인식한다. 손가락터치 이벤트(finger touch event)를 인식한 후, 터치IC는 모바일 단말기(10)의 호스트에 관련 메시지를 송신한다. 호스트는 해당 메시지를 수신한 후, 손가락터치 이벤트가 지속되는 제2 지속시간을 측정하기 시작한다. 물론 본 발명 실시예가 측량할 수 있는 손가락은 하나일 수도 있고 복수개일 수도 있다. 이에 대응하여 손가락터치 이벤트는 손가락 하나의 터치이벤트 일수도 있고 손가락 복수개의 터치이벤트 일수도 있다. 이에 대응하여 제2 지속시간은 손가락 하나의 터치가 지속되는 시간일 수도 있고, 손가락 복수개 터치가 지속되는 시간일 수도 있다. 본 발명 실시예는 손가락 개수에 대하여 한정하지 않는다. 그리고 본 발명 실시예는 손가락이 움직이는 상태인지 여부에 대하여 한정하지 않는다. 다만 지속적으로 모바일 단말기 스크린을 터치하면 된다. 이런 상황 하에서 제2 지속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
S103단계: 제1 지속시간 및 제2 지속시간에 의하여 모바일 단말기에 설정된 조작상태를 활성화함을 확정한다.
제1 지속시간 및 제2 지속시간의 시간길이 설정을 통하여 서로 다른 조작상태를 활성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지속시간이 2초를 초과하고, 제2조작시간이 1.5초를 초과한 상황에서, 사용자가 손에 잡은 모바일 단말기의 한 손 모드를 활성화하고, 제1 지속시간이 2초를 초과하고, 제2조작시간이 2초를 초과한 상황에서 설정된 조작 인터페이스를 활성화한다. 예를 들어 제2조작시간이 2초를 초과하면 예설된 한 손으로 조작하는 조작 인터페이스를 활성화하고, 제2 지속시간이 3초를 초과하면 네비게이션 키의 조작 인터페이스를 활성화하는 등등이고, 사용자는 실제적인 조작 습관에 의하여 상응한 시간 한계치를 확정할 수 있다. 설정된 조작상태는 예를 들어 조작모드(예를 들어 한 손 조작모드), 조작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한 손 조작 모드의 옵션 인터페이스, 네비게이션 키 인터페이스, 취소 또는 리턴의 인터페이스, 연락처(contact book)의 인터페이스, 등등)이다. 해당 설정된 조작 인터페이스는 사용자의 실제적인 사용습관에 의하여 설정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해당 설정된 조작 인터페이스를 한 손 모드의 옵션 인터페이스로 설정하고, 옵션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향후의 조작이 모두 한 손 조작임을 확정함으로써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기를 조작하는데 유리하고 또는 사용자가 해당 설정된 조작 인터페이스를 연락처의 인터페이스로 설정하여 사용자는 연락처의 인터페이스에서 직접 목표 연락 대상을 선택함으로써 사용자가 더욱 빠르게 목표 연락 대상과 통화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장근접촉이벤트의 제1 지속시간 및 손가락터치 이벤트의 제2 지속시간을 측정하고, 제1 지속시간 및 제2 지속시간에 의하여 모바일 단말기에 설정된 조작상태를 활성화함을 확정하여 사용자가 한 손 조작을 통하여 설정된 조작상태로 진입할수 있어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기를 조작하는 단계를 간소화할 수 있고 사용자가 설정된 조작상태에 비교적 빨리 진입할수 있어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기를 조작하는 체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모바일 단말기의 조작상태를 활성화하는 방법은,
손가락이 스크린을 터치하는 것이 모니터링되었을 때 손가락이 스크린을 터치하는 시작시간을 기록하는 단계와,
시작시간부터 시작하여 손가락이 스크린에서의 터치영역이 소정 편차범위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단계와,
터치범위가 소정 편차범위를 초과하지 않음을 모니터링할 때 상기 S102단계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만약 설정된 조작상태가 설정된 조작모드 및 설정된 조작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면, S103단계는,
만약 제1 지속시간이 제1 소정 한계치를 초과하고, 또한 제2 지속시간이 제2 소정 한계치를 초과하면 설정된 조작모드를 활성화하는 단계와,
만약 제1 지속시간이 제1 소정 한계치를 초과하고, 또한 제2 지속시간이 제2 소정 한계치보다 큰 제3 소정 한계치를 초과하면, 설정된 조작 인터페이스를 활성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설정한 조작 인터페이스는 적어도 한 손으로 조작하는 조작 인터페이스 및 네비게이션 키의 조작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상기 설정된 조작 인터페이스를 활성화하는 단계는,
만약 제2 지속시간이 제3 소정 한계치를 초과하면, 한 손으로 조작하는 조작 인터페이스를 활성화하는 단계와,
만약 제2 지속시간이 제3 소정 한계치보다 큰 제4소정 한계치를 초과하면, 네비게이션 키의 조작 인터페이스를 활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설정된 조작 인터페이스는 리턴 또는 취소를 조작하는 조작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한 손으로 조작하는 조작 인터페이스를 활성화하거나 또는 네비게이션 키의 조작 인터페이스를 활성화한 후, 모바일 단말기의 조작상태를 활성화하는 방법은,
리턴 또는 취소를 조작하는 조작 인터페이스를 활성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모바일 단말기의 조작상태를 활성화하는 방법은,
모바일 단말기의 설정옵션을 통하여 설정된 조작상태를 확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모바일 단말기의 조작 인터페이스를 어떻게 활성화하는 것에 관하여 후속 실시예를 참고하면 된다.
여기까지 본 발명 실시예가 제공한 상기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가 한 손 조작을 통하여 설정된 조작상태에 진입할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기를 조작하는 단계를 간소화할 수 있어 설정된 조작상태에 빠르게 들어갈 수 있으며 모바일 단말기를 조작하는 체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아래에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 실시예가 제공한 기술방안을 설명한다.
도 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의 조작상태를 활성화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 실시예에서 제공한 상기 방법을 이용하여 모바일 단말기에서 한 손 조작모드을 활성화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을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기와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S201단계: 장근접촉이벤트가 모바일 단말기 스크린에서의 제1지속시간을 측정한다.
S201단계에 관해서는 S101단계의 서술을 참고하면 되기에 여기서 장황하게 서술하지 않는다.
S202단계: 손가락이 스크린을 터치하는 것이 모니터링되었을 때 손가락이 스크린을 터치하는 시작시간을 기록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2014년 12월 4일 13시 15분 20초에 손가락으로 스크린을 터치했다고 모니터링하면 해당 시점을 기록한다.
S203단계: 시작시간부터 시작하여 손가락이 스크린에서의 터치영역이 소정 편차범위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한다.
S204단계: 터치범위가 소정 편차범위를 초과하지 않았음을 모니터링하면, 손가락이 터치영역에서 터치하는 제2지속시간을 측정한다.
S203단계 및S204단계에서, 사용자가 실제적으로 모바일 단말기를 조작하는 과정에서 사용자가 불가피하게 손을 떨기 때문에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스크린을 터치하는 위치는 항상 스크린의 일 위치에 고정될 수 없다. 본 발명 실시예는 손가락이 스크린에서의 터치영역이 소정 편차범위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하여 제2 지속시간을 더욱 정밀하게 측정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더욱 정밀하게 활성화되도록 할 수 있다.
S205단계: 만약 제1 지속시간이 제1 소정 한계치를 초과하고, 또한 제2 지속시간이 제2 소정 한계치를 초과하면, 한 손으로 조작하는 조작모드를 활성화한다.
본 실시예에서 예설한 조작상태가 한 손 조작모드인 것을 예를 들어 설명을 진행한다. "한 손으로 조작하는 조작모드"를 활성화하는 것을 통하여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기를 조작할 때 한 손 조작모드에 직접 진입할 수 있어 일련(series)의 클릭방식을 채택해야만 한 손 조작모드로 들어갈 수 있는 현상을 피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기를 조작하는 조작순서를 간소화하고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기를 더욱 편하고도 빠르게 조작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기를 조작하는 체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3a는 제2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의 조작상태를 활성화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 실시예는 본 발명 실시예가 제공하는 상기 방법을 이용하여 모바일 단말기에 설정된 조작 인터페이스(설정된 조작 인터페이스는 한 손으로 조작하는 조작 인터페이스 및 네비게이션 키의 조작 인터페이스를 예로 든다)를 활성화하는 것을 예를 들어 사례성 설명을 진행했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기와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S301단계: 모바일 단말기의 설정옵션을 통하여 설정될 조작상태를 확정한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설정옵션을 통하여 설정된 조작 인터페이스에 대해 설정을 진행함으로써 활성화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기를 사용하는 습관을 더욱 체현할 수 있고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기를 조작하는 체험을 보다 더욱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설정옵션을 통하여 설정된 조작상태를 한 손으로 조작하는 조작 인터페이스 및 네비게이션 키의 조작 인터페이스로 설정한다.
S302단계: 장근접촉이벤트가 상기 모바일 단말기 스크린상에서 지속되는 제1 지속시간을 측정한다.
S303단계: 손가락이 스크린을 터치했음을 모니터링할 때 손가락이 스크린을 터치하는 시작시간을 기록한다.
S304단계: 시작시간부터 시작하여 손가락이 스크린에서의 터치영역이 소정 편차범위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한다.
S305단계: 터치범위가 소정 편차범위를 초과하지 않은 것으로 모니터링되었을 때 손가락이 터치영역에서 터치하는 제2 지속시간을 측정한다.
S302단계 내지S305단계에 관하여 S201단계 내지 S204단계의 서술을 각각 참고하면 되기에 여기서 다시 서술하지 않는다.
S306단계: 만약 제1 지속시간이 제1 소정 한계치를 초과하고, 또한 제2 지속시간이 제3 소정 한계치를 초과하면, 한 손으로 조작하는 조작 인터페이스를 활성화한다.
예를 들어, 제1 소정 한계치가 2초이고, 제2 소정 한계치가 1.5초이며, 제1 지속시간과 제1 소정 한계치를 비교하고, 제2 지속시간과 제2 소정 한계치를 비교함으로써 활성화된 조작상태를 확정한다. 그리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활성화하기 위하여, 본 발명 실시예는 제3 소정 한계치, 제4소정 한계치(예를 들어 제3 소정 한계치는 2.5초, 제4소정 한계치는 3.5초 등등), 또는 더욱 많은 소정 한계치를 설정함으로써 모바일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활성화를 확정할 수 있다. 본 발명 실시예의 제1 소정 한계치, 제2 소정 한계치 등 소정 한계치는 사용자의 실제 사용습관에 의거하여 설정하고 본 발명 실시예는 구체적인 한계치의 시간길이에 대하여 한정하지 않는다.
도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단말기의 한 손 조작모드 인터페이스(31)를 작동하고, 해당 한 손 조작모드 인터페이스(31)에는 "확인" 및 "취소"옵션이 설정되어 있고, 사용자는 한 손 조작모드 인터페이스(31) 중 "확인"을 클릭하여 모바일 단말기(10)로 하여금 한 손 조작모드에 들어가도록 한다. 이후의 사용자의 조작은 모두 해당 한 손 조작모드에 기초하여 진행함으로써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기를 더욱 편하게 조작하도록 할 수 있다.
S307단계: 만약 제1 지속시간이 제1 소정 한계치를 초과하고, 또한 제2 지속시간이 제4소정 한계치를 초과하면, 네비게이션 키의 조작 인터페이스를 활성화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지속시간이 2초이고, 제1 소정 한계치가 2초이고, 제2 지속시간이 3초이고, 제3 소정 한계치가 2.5초 일때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단말기의 가상 네비게이션 키 인터페이스(32)을 작동한다. 가상 네비게이션 키 인터페이스(32)의 기능설정은 모바일 단말기(10)의 실제적인 네비게이션 키를 참조하면 된다. 해당 한 손 조작모드 인터페이스(32)에는 "상", "하", "좌", "우", "확인"옵션이 설정되어 있고 해당 5개 옵션의 조작 기능은 실제적인 네비게이션 키의 기능과 일치하다. 해당 네비게이션 키의 인터페이스를 활성화여 사용자는 모바일 단말기(10)에 대하여 직접 상응한 조작할 수 있어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기를 더욱 편하게 조작할 수 있다.
S308단계: 리턴하는 조작 인터페이스를 활성화한다.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정된 조작 인터페이스가 "네비게이션 키의 조작 인터페이스"인 경우, 모바일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리턴하는 조작 인터페이스"(33)를 활성화할 수 있어 사용자가 해당 설정된 조작 인터페이스에서 원래의 조작 인터페이스로 리턴할 수 있어 사용자가 정상적으로 모바일 단말기를 사용하도록 확보할 수 있다. 교체방안으로서 해당 리턴하는 조작 인터페이스가 취소하는 조작 인터페이스일 수도 있다. 사용자가 현재의 조작 인터페이스로부터 앞서의 조작 인터페이스로 리턴하도록 확보할 수 있기만 하면 된다.
본 실시예에서 예설된 조작 인터페이스가 한 손으로 조작하는 조작 인터페이스 및 네비게이션 키의 조작인터페이스인 상황을 예로 들어 설명을 진행하였다. "한 손 조작모드"를 활성화시킴으로써 사용자는 모바일 단말기를 조작하는 자기 자신의 수요에 따라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가 "확인"을 클릭한 후, 사용자의 향후 모든 조작이 한 손 조작모드일 수 있어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기를 더욱 편하고 빠르게 조작할 수 있어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기를 조작하는 체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 "가상 네비게이션 키"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활성화시킴으로써 사용자가 "가상 네비게이션 키"를 통하여 모바일 단말기에 대하여 실제적인 네비게이션 키의 기능을 수행하여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기를 더욱 편하게 더욱 빠르게 조작할 수 있어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기를 조작하는 체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의 조작상태를 활성화하는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해당 모바일 단말기의 조작상태를 활성화하는 장치는 모바일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단말기의 조작상태를 활성화하는 장치는,
장근접촉이벤트가 모바일 단말기 스크린상에서 지속되는 제1 지속시간을 측정하도록 배치된 제1 측정모듈(41)과,
손가락이 스크린을 터치하는 제2 지속시간을 측정하도록 배치된 제2 측정모듈(42)과,
제1 측정모듈과(41)이 측정한 제1 지속시간 및 제2 측정모듈(42)이 측정한 제2 지속시간을 통하여, 모바일 단말기에 설정된 조작상태의 활성화를 확정하도록 배치된 제1 확정모듈(43)을 포함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치는,
손가락이 스크린을 터치했음을 모니터링하였을 때 손가락이 스크린을 터치하는 시작시간을 기록하도록 배치된 기록모듈(44)과,
기록모듈(44)이 기록하여 획득한 시작시간으로부터 시작하여 손가락이 스크린에서 터치하는 영역이 소정 편차범위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하도록 배치된 모니터링모듈(45)을 더 포함하고,
모니터링모듈(45)이 터치범위가 소정 편차범위를 초과하지 않았음을 모니터링하는 경우, 제2 모니터링모듈(42)은 손가락이 터치영역에서 터치하는 제2 지속시간을 측정한다.
일 실시예에서, 설정된 조작상태는 설정된 조작모드 및 설정된 조작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제1 확정모듈(43)은,
만약 제1 측정모듈(41)이 측정한 제1 지속시간이 제1 소정 한계치를 초과하고, 또한 제2 모니터링모듈(42)이 측정한 제2 지속시간이 제2 소정 한계치를 초과하면, 설정된 조작모드를 활성화하도록 배치된 제1 활성화 서브모듈(431)과,
만약 제1 측정모듈 (41)이 측정한 제1 지속시간이 제1 소정 한계치를 초과하고, 또한 제2 측정모듈(42)이 측정한 제2 지속시간이 제3 소정 한계치를 초과하면 설정된 조작인터페이스를 활성화하도록 배치된 제2 활성화 서브모듈(432)을 포함하고,
일 실시예에서, 설정된 조작 인터페이스는 적어도 한 손으로 조작하는 조작 인터페이스 및 네비게이션 키의 조작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도 6에서와 같이 제2 활성화 서브모듈(432)은,
만약 제2 측정모듈(42)이 측정하여 획득한 제2 지속시간이 제3 소정 한계치를 초과하면, 한 손으로 조작하는 조작 인터페이스를 활성화하도록 배치된 제3 활성화 서브모듈(4321)과,
만약 제2 측정모듈(42)이 측정하여 획득한 제2 지속시간이 제3 소정 한계치보다 큰 제4소정 한계치를 초과하면, 네비게이션 키의 조작 인터페이스를 활성화하도록 배치된 제4활성화 서브모듈(4322)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설정된 조작 인터페이스는 적어도 리턴 또는 취소를 조작하는 조작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활성화 서브모듈(432)은,
제3 활성화 서브모듈(4321)이 한 손으로 조작하는 조작인터페이스를 활성화하거나 또는 제4활성화 서브모듈(4322)이 네비게이션 키의 조작 인터페이스를 활성화한 후, 리턴 또는 취소를 조작하는 조작 인터페이스를 활성화하도록 배치된 제5활성화 서브모듈(432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장치는,
모바일 단말기의 설치옵션을 통하여 제1 확정모듈(43)이 활성화하려는 설정된 조작상태를 확정하도록 배치된 제2 확정모듈(4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의 장치에 관하여, 각각의 모듈이 조작을 수행하는 구체적인 방식은 관련된 해당 방법의 실시예에서 상세하게 서술하였기 때문에 여기서 자세한 설명을 하지 않는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의 조작상태를 활성화하는 장치에 적용되는 블록도이다. 해당 장치(700)는 모바일 전화, PC, 디지털 방송 단말기, 메시지 송수신 장치, 게임 콘솔, 태블릿, 의료 기기, 헬스 기기, 개인 디지털 보조 등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장치(700)는 처리모듈(702), 메모리(704), 전원모듈(706), 멀티미디어모듈(708), 오디오모듈(710), 입/출력(I/O) 인터페이스(712), 센서모듈(714) 및 통신모듈(716) 중 1개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처리모듈(702)은 통상적으로 장치(700)의 전반적인 조작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전화호출, 데이터 통신, 사진기 조작 및 기록 조작과 관련된 조작를 제어한다. 처리모듈(702)은 상기 방법의 전체 또는 일부 단계를 완성하도록 1개 이상 프로세서(720)를 포함하여 명령을 수행한다. 또한 처리모듈(702)은 기타 모듈과의 상호작용을 편하게 하도록 1개 이상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모듈 (702)은 멀티미디어모듈(708)과 처리모듈(702) 사이의 상호작용을 편하게 하도록 멀티미디어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704)는 각종 유형의 데이터를 저장하여 장치(700)에서의 조작을 서포트하도록 배치된다. 이런 데이터는 예를 들어 장치(700)에서 조작되는 임의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또는 방법의 명령, 연결인 데이터, 전화번호부 데이터, 메시지, 그림, 동영상 등을 포함한다. 메모리(704)는 임의의 유형의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기억장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실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SRAM, EEPROM, EPROM, PROM, ROM, 자기 메모리, 프래시 메모리, 디스크 또는 CD일 수 있다.
전원모듈(706)은 장치(700)의 각종 모듈에 전력을 제공한다. 전원모듈(706)은 전원관리 시스템, 1개 이상 전원 및 기타 장치(700)를 위한 전력의 생성, 관리 및 분배와 관련되는 모듈를 포함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모듈(708)은 상기 장치(700) 및 사용자 사이에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스크린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스크린은 액정표시장치(LCD) 및 터치 패널(TP)를 포함할 수 있다. 만약 스크린이 터치 패널을 포함하면 스크린은 터치 스크린으로 실현되어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신호를 수신한다. 터치 패널은 1개 이상 터치센서를 포함하여 터치, 슬라이드 및 패널 위의 손동작을 감지한다. 상기 터치센서는 터치 또는 슬라이드 동작의 경계(boundary)를 감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터치 또는 슬라이드 조작과 관련된 지속적인 시간 및 압력을 검출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멀티미디어모듈(708)는 1개 전면카메라 및/또는 후면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장치(700)가 조작모드에 설정되는 경우, 예를 들어 촬영모드 또는 동영상 모드일 경우, 전면카메라 및/또는 후면카메라는 외부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각각의 전면카메라 및 후면카메라는 하나의 고정된 광학렌즈 시스템일 수 있고 또는 초점거리 및 광학줌능력을 구비할 수 있다.
오디오모듈(710)은 오디오 신호를 출력 및/또는 입력하도록 배치된다. 예를 들어 오디오모듈(710)은 1개 마이크(MIC)를 포함한다. 장치 (700)가 조작모드에 처해있을 경우, 예를 들어 호출모드, 기록모드 및 음성식별모드일 경우 마이크는 외부오디오신호를 수신하도록 배치된다. 수신된 오디오 신호는 메모리(704)에 저장되거나 통신모듈(716)을 거쳐서 발송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오디오모듈(710)은 1개 스피커를 포함하고 오디오 신호를 출력한다.
I/O인터페이스 (712)는 처리모듈(702) 및 주변인터페이스모듈 사이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상기 주변인터페이스모듈은 키보드, 클릭휠, 버튼 등일 수 있다. 이런 버튼은 홈페이지 버튼, 볼륨 버튼, 작동 버튼 및 잠금 버튼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센서모듈(714)은 1개 이상 센서를 포함하여 장치(700)의 각 방면의 상태 평가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모듈(714)은 장치 (700)의 온/오프 상태, 모듈의 상대적인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모듈은 장치(700)의 모니터 및 작은 키보드이다. 센서모듈(714)은 장치(700) 또는 장치(700)의 1개 모듈의 위치변화, 사용자와 장치(700)가 접촉한지 여부, 장치 (700) 방위 또는 가속/감속 및 장치(700)의 온도변화를 검출할 수 있다. 센서모듈(714)은 접근 센서를 포함할 수 있고 아무런 물리적인 접촉이 없는 상황에서 근처 물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출하도록 배치된다. 센서모듈(714)은 예를 들어 CMOS 또는 CCD 이미지 센서 등 광센서를 포함하고 이미지 형성 응용(imaging applications)에 사용된다. 이런 실시예에서 해당 센서모듈(714)은 가속도 센서, 자이로스코프 센서, 자석 센서, 압력 센서 또는 온도 센서를 포함할 수도 있다.
통신모듈(716)은 장치(700) 및 기타 장치 사이에서 유선 또는 무선 방식으로 통신하는데 편하도록 배치된다. 장치(700)는 통신표준에 기초한 예를 들어 WiFi,2G 또는 4G 또는 이들의 조합 등 무선 인터넷에 액세스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통신모듈(716)은 방송채널을 거쳐 외부방송 관리시스템으로부터의 방송신호 또는 방송에 관련되는 정보를 수신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통신모듈(716)은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모듈을 포함하고 단거리 통신을 촉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NFC모듈은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기술,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기술, UWB(ultra-bandwidth)기술, BT(Bluetooth)기술 및 기타 기술에 기초하여 실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장치(700)는 1개 이상의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컨트롤러, 마이크로 컨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또는 기타 전자 소자로 실현되며 상기 방법을 수행한다.
일 실시예는 명령을 포함한 비임시성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미디엄 예를 들어 명령을 포함한 메모리(704)를 제공한다. 상기 명령은 장치(700)의 프로세서(720)에 의해 수행되어 상기 방법을 완성한다. 예를 들어, 상기 비임시성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미디엄은 ROM, RAM, CD-ROM, 테이프, 디스켓 및 광 데이터 기억장치 등 일 수 있다.
본 분야 기술인은 본원 명세서를 고려하고 여기서 공개한 발명을 실천한 후, 본 발명의 기타 실시방안을 쉽게 생각해낼 수 있다. 본원은 본 발명에 대한 임의의 변형, 용도 또는 적응성 변화를 포함하려는데 그 취지가 있다. 이런 변형, 용도 또는 적응성 변화는 본 발명의 일반적인 원리를 준수하고 본 발명이 공개하지 않은 본 기술분야의 공지지식 또는 관용기술수단을 포함한다. 명세서 및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일 뿐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 및 정신은 첨부된 청구항에서 제출한다.
물론 본 발명은 상기에서 이미 서술하고 도면에 도시한 구조에 제한되지 않고, 또한 본 발명 범위를 이탈하지 않는 전제하에서 각종 수정과 변경을 진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Claims (13)

  1. 모바일 단말기에 응용되는 모바일 단말기의 조작상태를 활성화하는 방법에 있어서,
    장근접촉이벤트가 상기 모바일 단말기 스크린상에서 지속되는 제1 지속시간을 측정하는 단계와,
    손가락이 상기 스크린을 터치하는 제2 지속시간을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지속시간 및 상기 제2 지속시간에 의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설정된 조작상태의 활성화를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조작상태를 활성화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이 상기 스크린을 터치하는 것이 모니터링되었을 때, 상기 손가락이 상기 스크린을 터치하는 시작시간을 기록하는 단계와,
    상기 시작시간으로부터 시작하여 상기 손가락이 상기 스크린에서의 터치영역이 소정 편차범위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단계와,
    상기 터치범위가 상기 소정 편차범위를 초과하지 않은 것으로 모니터링되었을 때, 상기 손가락이 상기 터치영역에서 터치하는 상기 제2 지속시간을 측정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조작상태를 활성화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조작상태는 설정된 조작모드 및 설정된 조작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속시간 및 상기 제2 지속시간에 의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설정된 조작상태의 활성화를 확정하는 단계는,
    만약 상기 제1 지속시간이 제1 소정 한계치를 초과하고, 또한 상기 제2 지속시간이 제2 소정 한계치를 초과함을 확정하면, 상기 설정된 조작모드를 활성화하는 단계와,
    만약 상기 제1 지속시간이 상기 제1 소정 한계치를 초과하고, 또한 상기 제2 지속시간이 상기 제2 소정 한계치보다 큰 제3 소정 한계치를 초과함을 확정하면, 상기 설정된 조작 인터페이스를 활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조작상태를 활성화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조작 인터페이스는 적어도 한 손으로 조작하는 조작 인터페이스 및 네비게이션 키의 조작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설정된 조작 인터페이스를 활성화하는 단계는,
    만약 상기 제1 지속시간이 제1 소정 한계치를 초과하고, 또한 상기 제2 지속시간이 상기 제3 소정 한계치를 초과함을 확정하면, 상기 한 손으로 조작하는 조작 인터페이스를 활성화하는 단계와,
    만약 상기 제1 지속시간이 제1 소정 한계치를 초과하고, 또한 상기 제2 지속시간이 상기 제3소정 한계보다 큰 제4소정 한계치를 초과함을 확정하면, 상기 네비게이션 키의 조작 인터페이스를 활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조작상태를 활성화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조작 인터페이스는 리턴 또는 취소를 조작하는 조작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한 손으로 조작하는 조작 인터페이스를 활성화하고 또는 상기 네비게이션 키의 조작 인터페이스를 활성화한 후, 상기 방법은,
    상기 리턴 또는 취소를 조작하는 조작 인터페이스를 활성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조작상태를 활성화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설정옵션을 통하여, 상기 설정된 조작상태를 확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조작상태를 활성화하는 방법.
  7. 모바일 단말기에 응용되는 모바일 단말기의 조작상태를 활성화하는 장치에 있어서,
    장근접촉이벤트가 상기 모바일 단말 스크린상에서 지속되는 제1 지속시간을 측정하도록 배치된 제1 측정모듈과,
    손가락이 상기 스크린을 터치하는 제2 지속시간을 측정하도록 배치된 제2 측정모듈과,
    상기 제1 측정모듈이 측정한 상기 제1 지속시간 및 상기 제2 측정모듈이 측정한 상기 제2 지속시간에 의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설정된 조작상태의 활성화를 확정하도록 배치된 제1 확정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조작상태를 활성화하는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이 상기 스크린을 터치하는 것이 모니터링되었을 때, 상기 손가락이 상기 스크린을 터치하는 시작시간을 기록하는 기록모듈과,
    상기 기록모듈이 기록하여 획득한 상기 시작시간부터 시작하여 상기 손가락이 상기 스크린에서의 터치영역이 소정 편차범위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모니터링모듈이 상기 터치범위가 상기 소정 편차범위를 초과하지 않은 것으로 모니터링되었을 때, 상기 제2모니터링모듈이 상기 손가락이 터치영역에서 터치하는 상기 제2 지속시간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조작상태를 활성화하는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조작상태는 설정된 조작모드 및 설정된 조작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확정모듈은,
    만약 상기 제1 측정모듈이 측정한 상기 제1 지속시간이 제1 소정 한계치를 초과하고, 또한 상기 제2 측정모듈이 측정한 상기 제2 지속시간이 제2 소정 한계치를 초과하면, 상기 설정된 조작모드를 활성화하는 제1 활성화 서브모듈과,
    만약 상기 제1 측정모듈이 측정한 상기 제1 지속시간이 상기 제1 소정 한계치를 초과하고, 또한 상기 제2 측정모듈이 측정한 상기 제2 지속시간이 제3소정 한계치를 초과하면, 상기 설정된 조작 인터페이스를 활성화하는 제2 활성화 서브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조작상태를 활성화하는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조작 인터페이스는 적어도 한 손으로 조작하는 조작 인터페이스 및 네비게이션 키의 조작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활성화 서브모듈은,
    만약 상기 제2 측정모듈이 측정한 상기 제2 지속시간이 상기 제3 소정 한계치를 초과하면, 상기 한 손으로 조작하는 조작 인터페이스를 활성화하도록 배치된 제3 활성화 서브모듈과,
    만약 상기 제2 측정모듈이 측정한 상기 제2 지속시간이 상기 제3 소정 한계치보다 큰 제4소정 한계치를 초과하면, 상기 네비게이션 키의 조작 인터페이스를 활성화하도록 배치된 제4 활성화 서브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조작상태를 활성화하는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조작 인터페이스는 리턴 또는 취소를 조작하는 조작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활성화 서브모듈은,
    상기 제3 활성화 서브모듈이 상기 한 손로 조작하는 조작 인터페이스를 활성화하고, 또는 상기 제4활성화 서브모듈이 상기 네비게이션 키의 조작 인터페이스를 활성화한 후, 상기 리턴 또는 취소를 조작하는 조작 인터페이스를 활성화하는 제5 활성화 서브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조작상태를 활성화하는 장치.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설정옵션을 통하여, 상기 제1 확정모듈이 활성화하려는 상기 설정된 조작상태를 확정하도록 배치된 제2 확정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조작상태를 활성화하는 장치.
  13. 프로세스와,
    상기 프로세스가 수행가능한 명령을 기억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는,
    장근접촉이벤트가 상기 모바일 단말기상에서 지속되는 제1 지속시간을 측정하고,
    손가락이 상기 스크린을 터치하는 제2 지속시간을 측정하고,
    상기 제1 지속시간 및 상기 제2 지속시간에 의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설정된 조작상태를 활성화함을 확정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조작상태를 활성화하는 장치.
KR1020157016840A 2014-12-16 2015-04-29 모바일 단말기의 조작상태를 활성화하는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KR1018176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410784576.1 2014-12-16
CN201410784576.1A CN104461366A (zh) 2014-12-16 2014-12-16 激活移动终端的操作状态的方法及装置
PCT/CN2015/077827 WO2016095395A1 (zh) 2014-12-16 2015-04-29 激活移动终端的操作状态的方法及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6750A true KR20160086750A (ko) 2016-07-20
KR101817620B1 KR101817620B1 (ko) 2018-02-21

Family

ID=529074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6840A KR101817620B1 (ko) 2014-12-16 2015-04-29 모바일 단말기의 조작상태를 활성화하는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EP (1) EP3035172A1 (ko)
JP (1) JP6556757B2 (ko)
KR (1) KR101817620B1 (ko)
CN (1) CN104461366A (ko)
BR (1) BR112015018629A2 (ko)
MX (1) MX352671B (ko)
RU (1) RU2628484C2 (ko)
WO (1) WO201609539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61366A (zh) * 2014-12-16 2015-03-25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激活移动终端的操作状态的方法及装置
CN105404448A (zh) * 2015-12-30 2016-03-16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单手操作方法及装置
CN111510552A (zh) * 2019-01-31 2020-08-07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终端操作方法及装置
CN112947833B (zh) * 2019-11-26 2024-03-08 北京新能源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用户状态的确定方法、装置、移动终端及车辆
CN114721574A (zh) * 2022-04-08 2022-07-08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单手操作模式的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以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77804A1 (en) * 2006-01-30 2007-08-02 Apple Computer, Inc. Multi-touch gesture dictionary
US20090174679A1 (en) * 2008-01-04 2009-07-09 Wayne Carl Westerman Selective Rejection of Touch Contacts in an Edge Region of a Touch Surface
KR101499546B1 (ko) * 2008-01-17 2015-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장치의 디스플레이 영역 제어 방법, 장치, 및기록매체
KR20090085470A (ko) * 2008-02-04 2009-08-07 삼성전자주식회사 아이템 또는 바탕화면에서 복수의 터치방식을 감지하는터치 ui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멀티미디어 기기
US8358277B2 (en) * 2008-03-18 2013-01-22 Microsoft Corporation Virtual keyboard based activation and dismissal
US9690599B2 (en) * 2009-07-09 2017-06-27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an active input area
JP5127792B2 (ja) * 2009-08-18 2013-01-23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20110069476A (ko) * 2009-12-17 2011-06-23 주식회사 아이리버 사용자 그립 상태를 반영하여 조작가능한 핸드헬드 전자기기 및 조작방법
JP5246178B2 (ja) * 2010-02-16 2013-07-24 富士通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電子機器
CN102262465B (zh) * 2010-05-26 2016-10-05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具有触摸输入单元的电子装置及其触摸输入方法
CN102455848A (zh) * 2010-10-26 2012-05-16 宏碁股份有限公司 荧幕触控式键盘的输入控制方法及电子装置
JP5729756B2 (ja) * 2011-02-18 2015-06-03 Necカシオ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携帯電子機器、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3047945A (ja) * 2011-07-27 2013-03-07 Kyocera Corp 電子機器、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KR101962445B1 (ko) * 2011-08-30 2019-03-26 삼성전자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을 갖는 휴대 단말기 및 그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CN103049118B (zh) * 2011-10-14 2016-01-20 北京搜狗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在触摸设备上判定握持状态的方法和装置
JP5770121B2 (ja) * 2012-02-08 2015-08-26 株式会社東芝 手書き入力装置、手書き入力プログラム、手書き入力方法
WO2013128911A1 (ja) * 2012-03-02 2013-09-06 Necカシオ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誤操作防止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3196582A (ja) * 2012-03-22 2013-09-30 Sharp Corp タッチパネル入力装置、タッチパネルの入力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3235523A (ja) * 2012-05-11 2013-11-21 Sharp Corp 情報処理端末、その制御方法、および、その制御プログラム
JP6188288B2 (ja) * 2012-07-20 2017-08-30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20140040401A (ko) * 2012-09-26 2014-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한 손 제어 모드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장치
CN103309604A (zh) * 2012-11-16 2013-09-1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终端及终端屏幕显示信息控制方法
JP6150141B2 (ja) * 2012-11-20 2017-06-21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電子機器、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137453B2 (ja) * 2013-02-08 2017-05-31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ョン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制御装置及び制御プログラム
US9658716B2 (en) * 2013-02-12 2017-05-23 Shenzhen Seefaa Scitech Co., Ltd. Method and device of deactivating portion of touch screen to prevent accidental activation
CN103106040A (zh) * 2013-02-25 2013-05-15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移动终端操作方法和使用该方法的装置
JP6079337B2 (ja) * 2013-03-18 2017-02-15 富士通株式会社 入力装置および入力制御方法並びに入力制御プログラム
CN103995666B (zh) * 2014-04-30 2018-10-02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设置工作模式的方法和装置
CN104020878A (zh) * 2014-05-22 2014-09-03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触摸输入控制方法及装置
CN104461366A (zh) * 2014-12-16 2015-03-25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激活移动终端的操作状态的方法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7509089A (ja) 2017-03-30
WO2016095395A1 (zh) 2016-06-23
RU2628484C2 (ru) 2017-08-17
EP3035172A1 (en) 2016-06-22
MX352671B (es) 2017-12-04
JP6556757B2 (ja) 2019-08-07
KR101817620B1 (ko) 2018-02-21
RU2015131010A (ru) 2017-01-26
CN104461366A (zh) 2015-03-25
BR112015018629A2 (pt) 2017-07-18
MX2015009569A (es) 2016-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40644C2 (ru) Способ, устройство и электр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правления интеллектуальным домашним устройством
EP3301551B1 (en) Electronic device for identifying touch
EP3086539B1 (en) Method and device for deleting smart scene
RU2619466C1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наружения состояния сетевого канала и электр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EP3099040B1 (en) Button operation processing method in single-hand mode,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RU2640733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правления приложением
US9800666B2 (en) Method and client terminal for remote assistance
KR101903261B1 (ko)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단말기의 오터치 방지 방법 및 장치
US10425403B2 (en) Method and device for accessing smart camera
EP3099063A1 (en) Video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KR101817620B1 (ko) 모바일 단말기의 조작상태를 활성화하는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EP3136216A1 (en) Method for controlling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EP3024211B1 (en) Method and device for announcing voice call
JP2020512604A (ja) 指紋ロック解除方法、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EP2924552B1 (en) Method and mobile terminal for executing user instructions
KR101748386B1 (ko) 스마트 기기 제어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컴퓨터가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EP3232301B1 (en) Mobile terminal and virtual key processing method
US1119429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larm clock
CN104065883B (zh) 拍摄方法及装置
KR20170142839A (ko) 단말기의 작업모드 확정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US2017017753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witching state
CN104936039A (zh) 图像处理方法及装置
CN104243829A (zh) 自拍的方法及装置
KR20210005508A (ko) 터치신호의 처리방법, 장치 및 매체
US20160195992A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processing signals generated from touching virtual key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