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6694A - 공기조화기장치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6694A
KR20160086694A KR1020150004412A KR20150004412A KR20160086694A KR 20160086694 A KR20160086694 A KR 20160086694A KR 1020150004412 A KR1020150004412 A KR 1020150004412A KR 20150004412 A KR20150004412 A KR 20150004412A KR 20160086694 A KR20160086694 A KR 201600866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age
suction
discharge
air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44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55815B1 (ko
Inventor
박상일
하도용
유윤호
곽태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044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5815B1/ko
Priority to US14/993,974 priority patent/US10234167B2/en
Publication of KR201600866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66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58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58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F24F12/001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 F24F12/006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using an air-to-air heat exchan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F24F12/001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 F24F12/002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using an intermediate heat-transfer fluid
    • F24F12/003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using an intermediate heat-transfer fluid using a heat pum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05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composed of diaphragms or seg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08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separate ducts for supplied and exhausted air with provisions for reversal of the input and output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24F2011/000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for admittance of outside ai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52Heat recovery pumps, i.e. heat pump based systems or units able to transfer the thermal energy from one area of the premises or part of the facilities to a different one, improving the overall efficienc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56Heat recovery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ntral Air Conditioning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장치는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유로모듈; 상기 흡입유로모듈을 통해 흡입된 공기를 토출시키는 토출유로모듈; 상기 흡입유로모듈 및 토출유로모듈 사이에 배치되고, 유동되는 공기에 대해 공기조화를 실시하는 공기조화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장치는 유동되는 공기가 열교환기의 전체 면적과 접촉되면서 열교환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열교환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장치{Air conditioner apparatus}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장치는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배출하고, 실외의 신선하고 깨끗한 공기를 흡입하여 실내로 공급하는 장치를 말한다.
환기기능이 없는 공기조화장치는 실내 공기를 순환시키면서 실내공기를 냉각 또는 가열한다.
여기서 외부공기의 유입이 없는 공기조화장치는 필터 등을 통해 실내공기를 여과하지만, 실내공기만으로 공기조화를 실시하는 경우, 실내 공기의 질이 서서히 저하된다.
그래서 최근에는 실외공기를 흡입하고, 실내공기를 배출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장치가 설치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0-0128812
본 발명은 유동되는 공기가 열교환기 전체 면적과 접촉되면서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공기조화기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공기조화기장치는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유로모듈; 상기 흡입유로모듈을 통해 흡입된 공기를 토출시키는 토출유로모듈; 상기 흡입유로모듈 및 토출유로모듈 사이에 배치되고, 유동되는 공기에 대해 공기조화를 실시하는 공기조화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흡입유로모듈은 흡입모듈하우징; 상기 흡입모듈하우징에 형성된 제 1 흡입유로 및 제 2 흡입유로; 상기 제 1 흡입유로 및 제 2 흡입유로를 연결하여 공기를 안내하는 흡입연결유로; 상기 제 1 흡입유로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흡입유로 또는 흡입연결유로 중 어느 하나를 폐쇄하여 공기를 안내하는 제 1 흡입댐퍼; 상기 제 2 흡입유로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흡입유로 또는 흡입연결유로 중 어느 하나를 폐쇄하여 공기를 안내하는 제 2 흡입댐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흡입유로, 제 2 흡입유로 및 흡입연결유로는 상하 층으로 분리되어 공기를 유동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흡입연결유로는 상기 제 1 흡입유로 및 제 2 흡입유로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흡입연결유로는 1층에 배치된 제 1 흡입연결유로, 2층에 배치된 제 2 흡입연결유로로 구성되고, 상기 제 1 흡입연결유로 및 제 2 흡입연결유로는 서로 교차되어 적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토출유로모듈은 토출모듈하우징; 상기 토출모듈하우징에 형성된 제 1 토출유로 및 제 2 토출유로; 상기 제 1 토출유로 및 제 2 토출유로를 연결하여 공기를 안내하는 토출연결유로; 상기 제 1 토출유로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토출유로 또는 토출연결유로 중 어느 하나를 폐쇄하여 공기를 안내하는 제 1 토출댐퍼; 상기 제 2 토출유로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토출유로 또는 토출연결유로 중 어느 하나를 폐쇄하여 공기를 안내하는 제 2 토출댐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토출유로, 제 2 토출유로 및 토출연결유로는 상하 층으로 분리되어 공기를 유동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토출연결유로는 상기 제 1 토출유로 및 제 2 토출유로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토출연결유로는 1층에 배치된 제 1 토출연결유로, 2층에 배치된 제 2 토출연결유로로 구성되고, 상기 제 1 토출연결유로 및 제 2 토출연결유로는 서로 교차되어 적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기조화유닛은 열교환기를 포함하고, 상기 열교환기는 상기 흡입유로모듈 및 토출유로모듈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공기조화기장치는 흡입모듈하우징; 상기 흡입모듈하우징에 형성된 제 1 흡입유로 및 제 2 흡입유로; 상기 제 1 흡입유로 및 제 2 흡입유로를 연결하여 공기를 안내하는 흡입연결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2 흡입유로 및 흡입연결유로가 1층 및 2층으로 구분되어 공기를 유동시키도록 형성된 흡입유로모듈; 토출모듈하우징; 상기 토출모듈하우징에 형성된 제 1 토출유로 및 제 2 토출유로; 상기 제 1 토출유로 및 제 2 토출유로를 연결하여 공기를 안내하는 토출연결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2 토출유로 및 토출연결유로가 1층 및 2층으로 구분되어 공기를 유동시키도록 형성된 토출유로모듈; 및 상기 흡입모듈하우징 및 토출모듈하우징 사이에 배치되고, 유동되는 공기와 열교환되는 열교환기;를 포함하고, 상기 열교환기는 상기 1층 및 2층에 걸쳐 배치된다.
상기 열교환기는 상기 제 1 흡입유로 및 제 1 토출유로 사이에 배치되고, 히트펌프사이클의 증발기 또는 응축기로 작동되는 제 1 열교환기; 및 상기 제 2 흡입유로 및 제 2 토출유로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히트펌프사이클의 응축기 또는 증발기로 작동되는 제 2 열교환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흡입유로 및 제 1 토출유로를 연결시키는 제 1 열교환기하우징이 설치되고, 상기 제 1 열교환기는 상기 제 1 열교환기하우징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흡입유로 및 제 2 토출유로를 연결시키는 제 2 열교환기하우징이 설치되고, 상기 제 2 열교환기는 상기 제 2 열교환기하우징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흡입모듈하우징에는 상기 제 1 흡입유로 또는 흡입연결유로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폐쇄하여 공기의 유동을 안내하는 제 1 흡입댐퍼; 및 상기 제 2 흡입유로 또는 흡입연결유로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폐쇄하여 공기의 유동을 안내하는 제 2 흡입댐퍼;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흡입댐퍼 및 제 2 흡입댐퍼는 1층 및 2층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토출모듈하우징에는 상기 제 1 토출유로 또는 토출연결유로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폐쇄하여 공기의 유동을 안내하는 제 1 토출댐퍼; 및 상기 제 2 토출유로 또는 토출연결유로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폐쇄하여 공기의 유동을 안내하는 제 2 토출댐퍼;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토출댐퍼 및 제 2 토출댐퍼는 1층 및 2층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공기조화기장치는 흡입모듈하우징; 상기 흡입모듈하우징에 형성된 제 1 흡입유로 및 제 2 흡입유로; 상기 제 1 흡입유로 및 제 2 흡입유로를 연결하여 공기를 안내하는 흡입연결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2 흡입유로 및 흡입연결유로가 1층 및 2층으로 구분되어 공기를 유동시키도록 형성된 흡입유로모듈; 토출모듈하우징; 상기 토출모듈하우징에 형성된 제 1 토출유로 및 제 2 토출유로; 상기 제 1 토출유로 및 제 2 토출유로를 연결하여 공기를 안내하는 토출연결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2 토출유로 및 토출연결유로가 1층 및 2층으로 구분되어 공기를 유동시키도록 형성된 토출유로모듈; 상기 제 1 흡입유로 및 제 1 토출유로 사이에 배치되고, 히트펌프사이클의 증발기 또는 응축기로 작동되는 제 1 열교환기; 상기 제 2 흡입유로 및 제 2 토출유로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히트펌프사이클의 응축기 또는 증발기로 작동되는 제 2 열교환기; 상기 흡입모듈하우징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흡입유로 또는 흡입연결유로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폐쇄하여 공기의 유동을 안내하는 제 1 흡입댐퍼; 상기 흡입모듈하우징에 설치되고, 상기 제 2 흡입유로 또는 흡입연결유로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폐쇄하여 공기의 유동을 안내하는 제 2 흡입댐퍼; 상기 토출모듈하우징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토출유로 또는 토출연결유로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폐쇄하여 공기의 유동을 안내하는 제 1 토출댐퍼; 및 상기 토출모듈하우징에 설치되고, 상기 제 2 토출유로 또는 토출연결유로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폐쇄하여 공기의 유동을 안내하는 제 2 토출댐퍼;를 포함한다.
상기 1 흡입유로는, 1층에 형성된 제 1-1 흡입유로(54-1); 및 2층에 형성된 제 1-2 흡입유로(54-2);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흡입유로는, 1층에 형성된 제 2-1 흡입유로(56-1); 및 2층에 형성된 제 2-2 흡입유로(56-2);를 포함하고, 상기 흡입연결유로는, 상기 제 1-1 흡입유로(54-1) 및 제 2-1 흡입유로(56-1)을 연결시키는 제 1 흡입연결유로(57-1); 및 상기 제 1-2 흡입유로(54-2) 및 제 2-2 흡입유로(56-2)을 연결시키는 제 2 흡입연결유로(57-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1 토출유로는, 1층에 형성된 제 1-1 토출유로(54-1); 및 2층에 형성된 제 1-2 토출유로(54-2);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토출유로는, 1층에 형성된 제 2-1 토출유로(56-1); 및 2층에 형성된 제 2-2 토출유로(56-2);를 포함하고, 상기 토출연결유로는, 상기 제 1-1 토출유로(54-1) 및 제 2-1 토출유로(56-1)을 연결시키는 제 1 토출연결유로(57-1); 및 상기 제 1-2 토출유로(54-2) 및 제 2-2 토출유로(56-2)을 연결시키는 제 2 토출연결유로(57-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열교환기 또는 제 2 열교환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1층 및 2층에 걸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공기조화기장치는 흡입모듈하우징; 상기 흡입모듈하우징에 형성된 제 1 흡입유로 및 제 2 흡입유로; 상기 제 1 흡입유로 및 제 2 흡입유로를 연결하여 공기를 안내하는 흡입연결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2 흡입유로 및 흡입연결유로가 1층 및 2층으로 구분되어 공기를 유동시키도록 형성된 흡입유로모듈; 토출모듈하우징; 상기 토출모듈하우징에 형성된 제 1 토출유로 및 제 2 토출유로; 상기 제 1 토출유로 및 제 2 토출유로를 연결하여 공기를 안내하는 토출연결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2 토출유로 및 토출연결유로가 1층 및 2층으로 구분되어 공기를 유동시키도록 형성된 토출유로모듈; 상기 제 1 흡입유로 및 제 1 토출유로 사이에 배치되고, 히트펌프사이클의 증발기 또는 응축기로 작동되는 제 1 열교환기; 상기 제 2 흡입유로 및 제 2 토출유로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히트펌프사이클의 응축기 또는 증발기로 작동되는 제 2 열교환기; 상기 흡입모듈하우징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흡입유로 또는 흡입연결유로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폐쇄하여 공기의 유동을 안내하는 제 1 흡입댐퍼; 상기 흡입모듈하우징에 설치되고, 상기 제 2 흡입유로 또는 흡입연결유로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폐쇄하여 공기의 유동을 안내하는 제 2 흡입댐퍼; 상기 토출모듈하우징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토출유로 또는 토출연결유로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폐쇄하여 공기의 유동을 안내하는 제 1 토출댐퍼; 및 상기 토출모듈하우징에 설치되고, 상기 제 2 토출유로 또는 토출연결유로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폐쇄하여 공기의 유동을 안내하는 제 2 토출댐퍼;를 포함하고,
상기 1 흡입유로는, 1층에 형성된 제 1-1 흡입유로(54-1); 및 2층에 형성된 제 1-2 흡입유로(54-2);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흡입유로는, 1층에 형성된 제 2-1 흡입유로(56-1); 및 2층에 형성된 제 2-2 흡입유로(56-2);를 포함하고,
상기 흡입연결유로는, 상기 제 1-1 흡입유로(54-1) 및 제 2-1 흡입유로(56-1)을 연결시키는 제 1 흡입연결유로(57-1); 및 상기 제 1-2 흡입유로(54-2) 및 제 2-2 흡입유로(56-2)을 연결시키는 제 2 흡입연결유로(57-2);를 포함하고,
상기 1 토출유로는, 1층에 형성된 제 1-1 토출유로(54-1); 및 2층에 형성된 제 1-2 토출유로(54-2);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토출유로는, 1층에 형성된 제 2-1 토출유로(56-1); 및 2층에 형성된 제 2-2 토출유로(56-2);를 포함하고,
상기 토출연결유로는, 상기 제 1-1 토출유로(54-1) 및 제 2-1 토출유로(56-1)을 연결시키는 제 1 토출연결유로(57-1); 및 상기 제 1-2 토출유로(54-2) 및 제 2-2 토출유로(56-2)을 연결시키는 제 2 토출연결유로(57-2);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열교환기 또는 제 2 열교환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1층 및 2층에 걸쳐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장치는 유동되는 공기가 열교환기의 전체 면적과 접촉되면서 열교환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열교환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장치는 흡입유로모듈 또는 토출유로모듈이 1모드 또는 2모드로 작동되면서 유동되는 공기가 응축기 및 증발기로 작동되는 열교환기로 안내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장치가 도시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장치의 흡입댐퍼 및 토출댐퍼의 실외측 작동구조가 도시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장치의 흡입댐퍼 및 토출댐퍼의 실내측 작동구조가 도시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장치의 "실외흡입-실외토출"에 대한 공기유동이 도시된 예시1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장치의 "실내흡입-실내토출"에 대한 공기유동이 도시된 예시1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장치의 "실외흡입-실내토출"에 대한 공기유동이 도시된 예시2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장치의 "실내흡입-실내토출"에 대한 공기유동이 도시된 예시2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장치의 "실외흡입-실내토출"에 대한 공기유동이 도시된 예시1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장치의 "실외흡입-실내토출"에 대한 공기유동이 도시된 예시2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장치의 "실내흡입-실외토출"에 대한 공기유동이 도시된 예시1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장치의 "실내흡입-실외토출"에 대한 공기유동이 도시된 예시2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용어가 동일하더라도 표시하는 부분이 상이하면 도면 부호가 일치하지 않음을 미리 말해두는 바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실험자 및 측정자와 같은 사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장치의 흡입댐퍼 및 토출댐퍼의 실외측 작동구조가 도시된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장치의 흡입댐퍼 및 토출댐퍼의 실내측 작동구조가 도시된 예시도이다.
도면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장치는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유로모듈(50)과, 상기 흡입유로모듈(50)을 통해 흡입된 공기를 토출시키는 토출유로모듈(60)과, 상기 토출유로모듈(60)에 설치되고, 상기 흡입된 공기를 실외 측으로 토출시키는 실외토출팬(20)과, 상기 토출유로모듈(60)에 설치되고 흡입된 공기를 실내측으로 토출시키는 실내토출팬(30)과, 상기 흡입유로모듈(50) 및 토출유로모듈(60) 사이에 배치되고, 유동되는 공기에 대해 공기조화를 실시하는 공기조화유닛(40)을 포함한다.
상기 흡입유로모듈(50)은 흡입모듈하우징(52)과, 상기 흡입모듈하우징(52)에 형성된 제 1 흡입유로(54)와, 상기 흡입모듈하우징(52)에 형성된 제 2 흡입유로(56)와, 상기 제 1 흡입유로(54) 및 제 2 흡입유로(56)를 연결시키는 흡입연결유로(57)와, 상기 제 1 흡입유로(54)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흡입유로(54) 또는 흡입연결유로(57)로 공기를 안내하는 제 1 흡입댐퍼(58)와, 상기 제 2 흡입유로(56)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흡입유로(54) 또는 흡입연결유로(57)로 공기를 안내하는 제 2 흡입댐퍼(59)를 포함한다.
제 1, 2 흡입유로(54)(56)는 본 실시예에서 평행하게 배치된다.
상기 1 흡입유로(54)는 하측에 제 1-1 흡입유로(54-1)이 형성되고, 상측에 제 1-2 흡입유로(54-2)가 형성되며, 상기 제 1-1 흡입유로(54-1) 및 제 1-2 흡입유로(54-2)는 유로분리판(51)에 의해 구획된다.
상기 제 2 흡입유로(56) 역시 하측에 제 2-1 흡입유로(56-1)이 형성되고, 상측에 제 2-2 흡입유로(56-2)가 형성되며, 상기 제 2-1 흡입유로(56-1) 및 제 2-2 흡입유로(56-2)는 유로분리판(51)에 의해 구획된다.
상기 흡입연결유로(57)는 상기 제 1-1 흡입유로(54-1) 및 제 2-1 흡입유로(56-1)을 연결시키는 제 1 흡입연결유로(57-1)과, 상기 제 1-2 흡입유로(54-2) 및 제 2-2 흡입유로(56-2)를 연결시키는 제 2 흡입연결유로(57-2)로 구성된다.
상기 제 1 흡입연결유로(57-1) 및 제 2 흡입연결유로(57-2)는 공기의 이동방향을 고려하여 경사진 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 1 흡입댐퍼(58)는 상기 제 1-1 흡입유로(54-1)에 설치된 제 1-1 흡입댐퍼(58-1)과, 상기 제 1-2 흡입유로(54-2)에 설치된 제 1-2 흡입댐퍼(58-2)로 구성된다.
상기 제 1-1 흡입댐퍼(58-1)는 상기 흡입모듈하우징(52)에 설치되고, 상기 제 1-1 흡입유로(54-1) 또는 제 1 흡입연결유로(57-1) 중 어느 하나를 개방시키고 다른 하나를 폐쇄하여 흡입된 공기의 유동방향을 제어한다.
상기 제 1-2 흡입댐퍼(58-2)도 상기 흡입모듈하우징(52)에 설치되고, 상기 제 1-2 흡입유로(54-2) 또는 제 2 흡입연결유로(57-2) 중 어느 하나를 개방시키고 다른 하나를 폐쇄하여 흡입된 공기의 유동방향을 제어한다.
상기 제 1 흡입댐퍼(58)는 흡입모듈하우징(52)에 수직하게 설치되고, 수평방향으로 회전되게 설치된다. 상기 제 1 흡입댐퍼(58)의 회전을 통해 상기 제 1 흡입유로(54) 또는 흡입연결유로(57)가 폐쇄되고, 개방된 측으로 공기가 유동된다.
상기 제 2 흡입댐퍼(59)는 상기 제 1 흡입댐퍼(58)와 동일한 구조로 형성된다. 그래서 상기 제 2 흡입댐퍼(59)는, 제 2-1 흡입댐퍼(59-1) 및 제 2-2 흡입댐퍼(59-2)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흡입유로(54)는 실외와 연결되고, 실외 공기가 흡입되며, 상기 제 2 흡입유로(56)는 실내와 연결되고, 실내 공기가 흡입된다.
또한, 상기 토출유로모듈(60)은 상기 흡입유로모듈(50)과 동일한 구조로 형성된다.
그래서 상기 토출유로모듈(60)은 토출모듈하우징(62), 제 1-1 토출유로(64-1) 및 제 1-2 토출유로(64-2)로 구성된 제 1 토출유로(64)와, 제 2-1 토출유로(66-1) 및 제 2-2 토출유로(66-2)로 구성된 제 2 토출유로(66)와, 제 1 토출연결유로(57-1) 및 제 2 토출연결유로(57-2)로 구성된 토출연결유로(67)와, 제 1-1 토출댐퍼(68-1) 및 제 1-2 토출댐퍼(68-2)로 구성된 제 1 토출댐퍼(68)와, 제 2-1 토출댐퍼(69-1) 및 제 2-2 토출댐퍼(69-2)로 구성된 제 2 토출댐퍼(69)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토출유로(64) 및 제 2 토출유로(66)에도 상하로 공간을 구획시키는 유로분리판(61)이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토출유로(64)는 실외와 연결되고, 실외로 공기를 안내하고, 상기 제 2 토출유로(66)는 실내와 연결되고, 실내로 공기를 안내한다.
상기 공기조화유닛(40)은 압축기(미도시), 팽창밸브(미도시), 사방밸브(미도시), 제 1 열교환기(42) 및 제 2 열교환기(44)로 구성되고, 히트펌프 사이클로 작동된다. 도시되진 않았으나 상기 압축기, 팽창밸브 및 사방밸브 등의 부품은 상기 제 1 열교환기(42) 및 제 2 열교환기(44)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상기 제 1, 2 열교환기(42)(44)는 증발기 또는 응축기로 작동될 수 있고, 표면에 수분을 흡착시킬 수 있는 데시칸트 코팅이 실시된다.
상기 데시칸트 코팅은 공기 중의 수분을 흡수하고, 열을 가할 경우 흡수된 수분을 공기 중으로 방출 시킬 수 있는 재질이며, 당업자가 일반적으로 사용하는소재이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2 열교환기(42)(44)는 사이클에 따라 교대로 응축기 또는 증발기로 사용된다. 여기서 증발기로 사용될 때에는 수분을 흡수하고, 응축기로 사용될 때에는 흡수한 수분을 공기 중으로 방출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열교환기(42) 및 제 2 열교환기(44)는 제 1, 2 열교환기하우징(45)(46) 내부에 배치된다.
상기 제 1 열교환기하우징(45)은 제 1 흡입유로(54) 및 제 1 토출유로(64)를 연결시키도록 형성되고, 제 2 열교환기하우징(46)은 제 2 흡입유로(56) 및 제 2 토출유로(66)를 연결시키도록 형성된다.
그래서 공기는 상기 제 1, 2 열교환기하우징(45)(46)을 통과하면서 내부에 배치된 제 1 열교환기(42) 또는 제 2 열교환기(44)와 열교환된다.
이하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장치의 작동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장치의 "실외흡입-실외토출"에 대한 공기유동이 도시된 예시1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장치의 "실내흡입-실내토출"에 대한 공기유동이 도시된 예시1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장치의 "실외흡입-실내토출"에 대한 공기유동이 도시된 예시2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장치의 "실내흡입-실내토출"에 대한 공기유동이 도시된 예시2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장치의 "실외흡입-실내토출"에 대한 공기유동이 도시된 예시1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장치의 "실외흡입-실내토출"에 대한 공기유동이 도시된 예시2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장치의 "실내흡입-실외토출"에 대한 공기유동이 도시된 예시1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장치의 "실내흡입-실외토출"에 대한 공기유동이 도시된 예시2도이다.
먼저, 실외에서 흡입된 공기가 실외로 토출되고, 실내에서 흡입된 공기가 실내로 토출되는 순환모드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순환모드의 경우, 제 1 흡입유로(54)의 공기가 제 1 토출유로(64)로 이동되고, 제 2 흡입유로(56)의 공기가 제 2 토출유로(66)로 유동된다.
이렇게 흡입된 공기를 직선이동시키는 경우는, 외부공기의 유입 없이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실내로 토출시키는 경우로서, 실내 공기를 가습하는 가습모드 또는 제습모드를 예로 들 수 있다.
그래서 상기 흡입유로모듈(50)에 설치된 제 1 흡입댐퍼(58) 및 제 2 흡입댐퍼(59)는 상기 흡입연결유로(57)를 폐쇄하여, 흡입된 공기가 열교환기를 거쳐 직선으로 유동되게 한다.
이때, 상기 제 1 열교환기(42) 또는 제 2 열교환기(44)와 열교환되는 공기는 상기 열교환기 전체와 고르게 열교환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 유동되는 공기는 상기 제 1 열교환기(42) 또는 제 2 열교환기(44)와 열교환될 때, 국지적인 부분과만 열교환되는 것이 아니라 1층 및 2층에 걸쳐 배치된 전체 면적과 고르게 열교환이 이루어진다.
상술한 "실외흡입-실외토출", "실내흡입-실내토출"에 대한 공기의 유동을 도면부호만으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실외흡입 - 실외토출"에 대한 공기 유동
54 -> 42 -> 64
(2) "실내흡입 - 실내토출"에 대한 공기 유동
56 -> 44 -> 66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흡입댐퍼(58)(59) 및 토출댐퍼(68)(69)를 이용하여 유동되는 공기를 흡입연결유로(57) 또는 토출연결유로(67)로 안내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공기와 열교환되는 열교환기(42)(44)를 교대시킬 수 있다.
그래서 흡입연결유로(57) 및 토출연결유로(67)를 이용하는 "실외흡입-실외토출" 또는 "실내흡입-실내토출"에 대한 공기의 유동을 도면부호만으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3) "흡입연결유로(57) 및 토출연결유로(67)를 이용하는 실외흡입-실외토출"에 대한 공기유동
54 -> 57-2 -> 44 -> 66-1 -> 67-1 -> 64-1
(4) "흡입연결유로(57) 및 토출연결유로(67)를 이용하는 실내흡입-실내토출"에 대한 공기유동
56 -> 57-1 -> 42 -> 64-2 -> 67-2 -> 66-2
상기 연결유로(57)(67)를 이용하여 공기가 유동되는 경우에도, 유동되는 공기는 상기 제 1 열교환기(42) 또는 제 2 열교환기(44)의 전체 면적과 열교환된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장치는 "실외흡입-실외토출" 또는 "실내흡입-실내토출"을 실시할 때, 제 1, 2 열교환기(42)(44)를 응축기/증발기 또는 증발기/응축기로 교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내 공기를 제습하는 경우, (2)에서 제 2 열교환기(44)를 증발기로 사용한다. 상기 (2)를 소정시간 동안 유지하는 경우, 상기 제 2 열교환기(44)에 수분이 흡착되어 제습성능이 저하된다.
이때, 공기조화기장치는 상기 공기조화유닛(40)의 작동모드를 변경하여, 상기 제 2 열교환기(44)를 응축기로 작동시키고, 상기 제 1 열교환기(42)를 증발시키로 작동시킨다.
이 경우, 상기 공기유로를 (4)로 변경하여, "실내흡입-실내토출"되는 공기가 증발기로 작동되는 제 1 열교환기(42)와 열교환되게 하고, 이를 통해 실내공기에 대한 제습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원리로, 상기 실내공기에 대해 가습을 실시하는 경우, 실내로 유동되는 공기와 응축기로 작동되는 열교환기(42)(44)를 열교환시켜, 유동되는 공기 중에 수분을 공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댐퍼(58)(59)(68)(69)를 통해 직선유로를 폐쇄하고, 연결유로(57)(67)를 개방시키는 것을 "1모드"로 정의한다.
그리고 상기 댐퍼(58)(59)(68)(69)를 통해 직선유로를 개방하고, 연결유로(57)(67)를 폐쇄시키는 것을 "2모드"로 정의하고, 상기 흡입유로모듈(50) 및 토출유로모듈(60)은 1모드 또는 2모드로 작동될 수 있다.
그래서 상기 (1) 및 (2)는 흡입유로모듈(50) 및 토출유로모듈(60)이 모두 2모드로 작동된 상태이고, 상기 (3) 및 (4)는 상기 흡입유로모듈(50) 및 토출유로모듈(60)이 모두 1모드로 작동된 상태로 설명할 수 있다.
다음으로, "실외흡입-실내토출" 또는 "실내흡입-실외토출"을 실시하는 환기모드에 대해 설명한다.
환기모드는 실외공기를 실내에 공급하고, 실내공기 중 일부를 실외로 토출시킴으로서, 공기조화된 신선한 공기를 실내에 공급한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서는 "실외흡입-실내토출" 시, 제 1 흡입유로(54)를 통해 실외공기가 흡입된 후, 제 2 토출유로(66)를 통해 공기가 토출된다.
또한, "실내흡입-실외토출"시, 상기 제 2 흡입유로(56)를 통해 실내 공기가 흡입된 후, 제 1 토출유로(64)를 통해 공기가 토출된다.
여기서 상기 "실외흡입-실내토출" 또는 "실내흡입-실외토출" 시 모두, 연결유로를 통해 공기의 유동시키고, 각 경우마다 2가지 경로를 선택할 수 있다.
상술한 "실외흡입-실외토출", "실내흡입-실내토출"에 대한 공기의 유동을 도면부호만으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5) "실외흡입-실내토출"에 대한 공기유동
54 -> 42 -> 64-2 -> 67-2 -> 66-2
(6) "실외흡입-실내토출"에 대한 공기유동
54 -> 57-2 -> 44 -> 66
(7) "실내흡입-실외토출"에 대한 공기유동
56 -> 44 -> 66-1 -> 67-1 -> 64-1
(8) "실내흡입-실외토출"에 대한 공기유동
56 -> 57-1 -> 42 -> 64
상기 (5) 및 (7)은 흡입된 공기가 열교환기와 먼저 열교환된 다음, 연결유로를 통해 토출되는 유로이고, 상기 (6) 및 (8)는 흡입된 공기가 연결유로를 먼저 거친 다음 열교환기와 열교환된 후 토출되는 유로이다.
그래서 상기 (5)은 실외 공기가 제 1 흡입유로(54) 및 제 1 열교환기(42)를 직선으로 유동한 후, 연결유로를 거쳐 실내로 토출된다.
상기 (7)은 실외 공기가 제 1 흡입유로(54)를 통해 흡입된 후 연결유로를 거쳐 제 2 열교환기(44)와 열교환되고, 열교환된 공기는 직선으로 유동되면서 실내로 토출된다.
상기 (6)는 실내 공기가 제 2 흡입유로(56) 및 제 2 열교환기(44)를 직선으로 유동한 후, 연결유로를 거쳐 실외로 토출된다.
상기 (8)는 실내 공기가 제 2 흡입유로(56)을 통해 흡입된 후 연결유로를 거쳐 제 1 열교환기(42)와 열교환되고, 열교환된 공기는 직선으로 유동되면서 실외로 토출된다.
한편, 상기 흡입유로모듈(50) 및 토출유로모듈(60)의 관점에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5) 및 (7)은 상기 흡입유로모듈(50)을 2모드로 작동시키고, 토출모듈(60)을 1모드로 작동시킨 상태이다.
상기 (6) 및 (8)는 상기 흡입유로모듈(50)을 1모드로 작동시키고, 토출모듈(60)을 2모드로 작동시킨 상태이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장치는 각 댐퍼들을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대신, 상기 흡입유로모듈(50) 및 토출유로모듈(60)의 댐퍼들을 1모드 또는 2모드로 그룹화하여 제어한다.
흡입유로모듈 토출유로모듈 공기유로
1모드 1모드 "실외흡입-실외토출", "실내흡입-실내토출"
1모드 2모드 "실외흡입-실내토출", "실내흡입-실외토출"
2모드 1모드 "실외흡입-실내토출", "실내흡입-실외토출"
2모드 2모드 "실외흡입-실외토출", "실내흡입-실내토출"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장치는 환기모드로 작동될 때, 제 1 열교환기(42) 또는 제 2 열교환기(44) 중 하나를 선택하여 열교환시키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외에서 실내로 공급되는 공기에 대해 제습모드를 선택하는 경우, (5)의 제 1 열교환기(42)를 증발기로 작동시키고, (6)의 제 2 열교환기(44)를 증발기로 작동시킨다.
그리고 상기 (5)의 제 1 열교환기(42)를 증발기로 작동시킨 후, 상기 제 1 열교환기(42)의 제습성능이 저하되는 경우, 공기조화유닛(40)의 사이클을 전환시켜 제 2 열교환기(44)가 증발기로 작동되게 하고, 공기 유로를 (6)로 전환시켜 실외에서 실내로 공급되는 공기에 대해 지속적으로 제습을 실시할 수 있다.
가습의 경우에는 (5)의 제 1 열교환기(42) 및 (6)의 제 2 열교환기(44)를 응축기로 작동시킨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장치는 댐퍼(58)(59)(68)(69)의 개폐 동작을 통해 유로를 전환시킴으로서, 환기모드로 작동될 때에도 제습 또는 가습을 지속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흡입유로모듈(50) 및 토출유로모듈(60)이 모두 1층 및 2층으로 구성되었으나 본 실시예와 달리 어느 하나만 복수개의 층으로 구성되고 다른 하나는 단수개의 층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흡입유로모듈(50) 및 토출유로모듈(60)에 좌우 방향으로 복수개의 흡입유로(54)(56)가 형성되었으나 본 실시예와 달리 하나만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이 경우, 상기 흡입유로모듈(50)이 실외흡입측 흡입유로모듈과 실내흡입측 흡입유로모듈로 각각 구성되고, 토출유로모듈(60) 역시 실외토출측 토출유로모듈과 실내토출측 토출유로모듈로 각각 구성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20 : 실외토출팬 30 : 실내토출팬
40 : 공기조화유닛 42 : 제 1 열교환기
44 : 제 2 열교환기 45 : 제 1 열교환기하우징
46 : 제 2 열교환기하우징 50 : 흡입유로모듈
52 : 흡입모듈하우징 54 : 제 1 흡입유로
54-1 : 제 1-1 흡입유로 54-2 : 제 1-2 흡입유로
56 : 제 2 흡입유로 56-1 : 제 2-1 흡입유로
56-2 : 제 2-2 흡입유로 57 : 흡입연결유로
57-1 : 제 1 흡입연결유로 57-2 : 제 2 흡입연결유로
58 : 제 1 흡입댐퍼 58-1 : 제 1-1 흡입댐퍼
58-2 : 제 1-2 흡입댐퍼 59 : 제 2 흡입댐퍼
59-1 : 제 2-1 흡입댐퍼 59-2 : 제 2-2 흡입댐퍼
60 : 토출유로모듈 61 : 유로분리판
62 : 토출모듈하우징 64 : 제 1 토출유로
64-1 : 제 1-1 토출유로 64-2 : 제 1-2 토출유로
66 : 제 2 토출유로 66-1 : 제 2-1 토출유로
66-2 : 제 2-2 토출유로 67 : 토출연결유로
67-1 : 제 1 토출연결유로 67-2 : 제 2 토출연결유로
68 : 제 1 토출댐퍼 68-1 : 제 1-1 토출댐퍼
68-2 : 제 1-2 토출댐퍼 69 : 제 2 토출댐퍼
69-1 : 제 2-1 토출댐퍼 69-2 : 제 2-2 토출댐퍼

Claims (23)

  1.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유로모듈;
    상기 흡입유로모듈을 통해 흡입된 공기를 토출시키는 토출유로모듈;
    상기 흡입유로모듈 및 토출유로모듈 사이에 배치되고, 유동되는 공기에 대해 공기조화를 실시하는 공기조화유닛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흡입유로모듈은
    흡입모듈하우징;
    상기 흡입모듈하우징에 형성된 제 1 흡입유로 및 제 2 흡입유로;
    상기 제 1 흡입유로 및 제 2 흡입유로를 연결하여 공기를 안내하는 흡입연결유로;
    상기 제 1 흡입유로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흡입유로 또는 흡입연결유로 중 어느 하나를 폐쇄하여 공기를 안내하는 제 1 흡입댐퍼;
    상기 제 2 흡입유로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흡입유로 또는 흡입연결유로 중 어느 하나를 폐쇄하여 공기를 안내하는 제 2 흡입댐퍼;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 1 흡입유로, 제 2 흡입유로 및 흡입연결유로는 상하 층으로 분리되어 공기를 유동시키도록 형성된 공기조화기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흡입연결유로는 상기 제 1 흡입유로 및 제 2 흡입유로 사이에 배치된 공기조화기장치.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흡입연결유로는 1층에 배치된 제 1 흡입연결유로, 2층에 배치된 제 2 흡입연결유로로 구성되고, 상기 제 1 흡입연결유로 및 제 2 흡입연결유로는 서로 교차되어 적층되게 형성된 공기조화기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토출유로모듈은
    토출모듈하우징;
    상기 토출모듈하우징에 형성된 제 1 토출유로 및 제 2 토출유로;
    상기 제 1 토출유로 및 제 2 토출유로를 연결하여 공기를 안내하는 토출연결유로;
    상기 제 1 토출유로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토출유로 또는 토출연결유로 중 어느 하나를 폐쇄하여 공기를 안내하는 제 1 토출댐퍼;
    상기 제 2 토출유로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토출유로 또는 토출연결유로 중 어느 하나를 폐쇄하여 공기를 안내하는 제 2 토출댐퍼;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 1 토출유로, 제 2 토출유로 및 토출연결유로는 상하 층으로 분리되어 공기를 유동시키도록 형성된 공기조화기장치.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토출연결유로는 상기 제 1 토출유로 및 제 2 토출유로 사이에 배치된 공기조화기장치.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토출연결유로는 1층에 배치된 제 1 토출연결유로, 2층에 배치된 제 2 토출연결유로로 구성되고, 상기 제 1 토출연결유로 및 제 2 토출연결유로는 서로 교차되어 적층되게 형성된 공기조화기장치.
  1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조화유닛은 열교환기를 포함하고, 상기 열교환기는 상기 흡입유로모듈 및 토출유로모듈 사이에 배치된 공기조화기장치.
  11. 흡입모듈하우징; 상기 흡입모듈하우징에 형성된 제 1 흡입유로 및 제 2 흡입유로; 상기 제 1 흡입유로 및 제 2 흡입유로를 연결하여 공기를 안내하는 흡입연결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2 흡입유로 및 흡입연결유로가 1층 및 2층으로 구분되어 공기를 유동시키도록 형성된 흡입유로모듈;
    토출모듈하우징; 상기 토출모듈하우징에 형성된 제 1 토출유로 및 제 2 토출유로; 상기 제 1 토출유로 및 제 2 토출유로를 연결하여 공기를 안내하는 토출연결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2 토출유로 및 토출연결유로가 1층 및 2층으로 구분되어 공기를 유동시키도록 형성된 토출유로모듈; 및
    상기 흡입모듈하우징 및 토출모듈하우징 사이에 배치되고, 유동되는 공기와 열교환되는 열교환기;를 포함하고,
    상기 열교환기는 상기 1층 및 2층에 걸쳐 배치되는 공기조화기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는
    상기 제 1 흡입유로 및 제 1 토출유로 사이에 배치되고, 히트펌프사이클의 증발기 또는 응축기로 작동되는 제 1 열교환기; 및
    상기 제 2 흡입유로 및 제 2 토출유로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히트펌프사이클의 응축기 또는 증발기로 작동되는 제 2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 1 흡입유로 및 제 1 토출유로를 연결시키는 제 1 열교환기하우징이 설치되고, 상기 제 1 열교환기는 상기 제 1 열교환기하우징 내부에 배치된 공기조화기장치.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 2 흡입유로 및 제 2 토출유로를 연결시키는 제 2 열교환기하우징이 설치되고, 상기 제 2 열교환기는 상기 제 2 열교환기하우징 내부에 배치된 공기조화기장치.
  15.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흡입모듈하우징에는
    상기 제 1 흡입유로 또는 흡입연결유로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폐쇄하여 공기의 유동을 안내하는 제 1 흡입댐퍼; 및
    상기 제 2 흡입유로 또는 흡입연결유로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폐쇄하여 공기의 유동을 안내하는 제 2 흡입댐퍼;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장치.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제 1 흡입댐퍼 및 제 2 흡입댐퍼는 1층 및 2층에 각각 설치된 공기조화기장치.
  17.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토출모듈하우징에는
    상기 제 1 토출유로 또는 토출연결유로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폐쇄하여 공기의 유동을 안내하는 제 1 토출댐퍼; 및
    상기 제 2 토출유로 또는 토출연결유로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폐쇄하여 공기의 유동을 안내하는 제 2 토출댐퍼;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장치.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제 1 토출댐퍼 및 제 2 토출댐퍼는 1층 및 2층에 각각 설치된 공기조화기장치.
  19. 흡입모듈하우징; 상기 흡입모듈하우징에 형성된 제 1 흡입유로 및 제 2 흡입유로; 상기 제 1 흡입유로 및 제 2 흡입유로를 연결하여 공기를 안내하는 흡입연결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2 흡입유로 및 흡입연결유로가 1층 및 2층으로 구분되어 공기를 유동시키도록 형성된 흡입유로모듈;
    토출모듈하우징; 상기 토출모듈하우징에 형성된 제 1 토출유로 및 제 2 토출유로; 상기 제 1 토출유로 및 제 2 토출유로를 연결하여 공기를 안내하는 토출연결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2 토출유로 및 토출연결유로가 1층 및 2층으로 구분되어 공기를 유동시키도록 형성된 토출유로모듈;
    상기 제 1 흡입유로 및 제 1 토출유로 사이에 배치되고, 히트펌프사이클의 증발기 또는 응축기로 작동되는 제 1 열교환기;
    상기 제 2 흡입유로 및 제 2 토출유로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히트펌프사이클의 응축기 또는 증발기로 작동되는 제 2 열교환기;
    상기 흡입모듈하우징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흡입유로 또는 흡입연결유로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폐쇄하여 공기의 유동을 안내하는 제 1 흡입댐퍼;
    상기 흡입모듈하우징에 설치되고, 상기 제 2 흡입유로 또는 흡입연결유로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폐쇄하여 공기의 유동을 안내하는 제 2 흡입댐퍼;
    상기 토출모듈하우징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토출유로 또는 토출연결유로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폐쇄하여 공기의 유동을 안내하는 제 1 토출댐퍼; 및
    상기 토출모듈하우징에 설치되고, 상기 제 2 토출유로 또는 토출연결유로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폐쇄하여 공기의 유동을 안내하는 제 2 토출댐퍼;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장치.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1 흡입유로는, 1층에 형성된 제 1-1 흡입유로(54-1); 및 2층에 형성된 제 1-2 흡입유로(54-2);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흡입유로는, 1층에 형성된 제 2-1 흡입유로(56-1); 및 2층에 형성된 제 2-2 흡입유로(56-2);를 포함하고,
    상기 흡입연결유로는, 상기 제 1-1 흡입유로(54-1) 및 제 2-1 흡입유로(56-1)을 연결시키는 제 1 흡입연결유로(57-1); 및 상기 제 1-2 흡입유로(54-2) 및 제 2-2 흡입유로(56-2)을 연결시키는 제 2 흡입연결유로(57-2);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장치.
  21.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1 토출유로는, 1층에 형성된 제 1-1 토출유로(54-1); 및 2층에 형성된 제 1-2 토출유로(54-2);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토출유로는, 1층에 형성된 제 2-1 토출유로(56-1); 및 2층에 형성된 제 2-2 토출유로(56-2);를 포함하고,
    상기 토출연결유로는, 상기 제 1-1 토출유로(54-1) 및 제 2-1 토출유로(56-1)을 연결시키는 제 1 토출연결유로(57-1); 및 상기 제 1-2 토출유로(54-2) 및 제 2-2 토출유로(56-2)을 연결시키는 제 2 토출연결유로(57-2);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장치.
  22.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제 1 열교환기 또는 제 2 열교환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1층 및 2층에 걸쳐 배치되는 공기조화기장치.
  23. 흡입모듈하우징; 상기 흡입모듈하우징에 형성된 제 1 흡입유로 및 제 2 흡입유로; 상기 제 1 흡입유로 및 제 2 흡입유로를 연결하여 공기를 안내하는 흡입연결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2 흡입유로 및 흡입연결유로가 1층 및 2층으로 구분되어 공기를 유동시키도록 형성된 흡입유로모듈;
    토출모듈하우징; 상기 토출모듈하우징에 형성된 제 1 토출유로 및 제 2 토출유로; 상기 제 1 토출유로 및 제 2 토출유로를 연결하여 공기를 안내하는 토출연결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2 토출유로 및 토출연결유로가 1층 및 2층으로 구분되어 공기를 유동시키도록 형성된 토출유로모듈;
    상기 제 1 흡입유로 및 제 1 토출유로 사이에 배치되고, 히트펌프사이클의 증발기 또는 응축기로 작동되는 제 1 열교환기;
    상기 제 2 흡입유로 및 제 2 토출유로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히트펌프사이클의 응축기 또는 증발기로 작동되는 제 2 열교환기;
    상기 흡입모듈하우징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흡입유로 또는 흡입연결유로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폐쇄하여 공기의 유동을 안내하는 제 1 흡입댐퍼;
    상기 흡입모듈하우징에 설치되고, 상기 제 2 흡입유로 또는 흡입연결유로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폐쇄하여 공기의 유동을 안내하는 제 2 흡입댐퍼;
    상기 토출모듈하우징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토출유로 또는 토출연결유로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폐쇄하여 공기의 유동을 안내하는 제 1 토출댐퍼; 및
    상기 토출모듈하우징에 설치되고, 상기 제 2 토출유로 또는 토출연결유로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폐쇄하여 공기의 유동을 안내하는 제 2 토출댐퍼;를 포함하고,
    상기 1 흡입유로는, 1층에 형성된 제 1-1 흡입유로(54-1); 및 2층에 형성된 제 1-2 흡입유로(54-2);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흡입유로는, 1층에 형성된 제 2-1 흡입유로(56-1); 및 2층에 형성된 제 2-2 흡입유로(56-2);를 포함하고,
    상기 흡입연결유로는, 상기 제 1-1 흡입유로(54-1) 및 제 2-1 흡입유로(56-1)을 연결시키는 제 1 흡입연결유로(57-1); 및 상기 제 1-2 흡입유로(54-2) 및 제 2-2 흡입유로(56-2)을 연결시키는 제 2 흡입연결유로(57-2);를 포함하고,
    상기 1 토출유로는, 1층에 형성된 제 1-1 토출유로(54-1); 및 2층에 형성된 제 1-2 토출유로(54-2);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토출유로는, 1층에 형성된 제 2-1 토출유로(56-1); 및 2층에 형성된 제 2-2 토출유로(56-2);를 포함하고,
    상기 토출연결유로는, 상기 제 1-1 토출유로(54-1) 및 제 2-1 토출유로(56-1)을 연결시키는 제 1 토출연결유로(57-1); 및 상기 제 1-2 토출유로(54-2) 및 제 2-2 토출유로(56-2)을 연결시키는 제 2 토출연결유로(57-2);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열교환기 또는 제 2 열교환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1층 및 2층에 걸쳐 배치되는 공기조화기장치.
KR1020150004412A 2015-01-12 2015-01-12 공기조화기장치 KR1016558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4412A KR101655815B1 (ko) 2015-01-12 2015-01-12 공기조화기장치
US14/993,974 US10234167B2 (en) 2015-01-12 2016-01-12 Air conditioner apparatus with partitioned suction and discharge channel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4412A KR101655815B1 (ko) 2015-01-12 2015-01-12 공기조화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6694A true KR20160086694A (ko) 2016-07-20
KR101655815B1 KR101655815B1 (ko) 2016-09-08

Family

ID=563672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4412A KR101655815B1 (ko) 2015-01-12 2015-01-12 공기조화기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234167B2 (ko)
KR (1) KR10165581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7505A (ko) * 2017-08-11 2019-02-20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장치
KR20230067500A (ko) * 2021-11-09 2023-05-16 ㈜한국에너지기술단 액체식 제습장치 및 제습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00314B2 (en) * 2018-04-13 2022-04-12 Heat-Pipe Technology, Inc. Heat exchanger
CN108534290B (zh) * 2018-04-20 2023-09-08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新风机组控制方法和新风机组
US10962303B2 (en) 2019-03-01 2021-03-30 Mitek Holdings, Inc. Heat exchange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0196A (ko) * 1999-09-30 2000-01-15 윤명혁 공기흐름전환식 냉난방겸용 공기조화기
JP2005164148A (ja) * 2003-12-03 2005-06-23 Daikin Ind Ltd 調湿装置
KR20100128812A (ko) 2009-05-29 2010-1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환기장치 및 환기장치의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68626A (en) * 1945-07-16 1949-04-26 Gen Motors Corp Refrigerating apparatus
HU180379B (en) * 1980-09-16 1983-02-28 Fuetoeber Epueletgep Termekek Ventilating and heating equipment particularly for spaces of large clearance
KR900004861B1 (ko) * 1985-05-20 1990-07-08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기가이샤 흐름방향제어장치
US4655278A (en) * 1985-09-27 1987-04-07 Cambridge Manufacturing Climate Control Products Inc. Heat recirculation apparatus and method
US4841733A (en) * 1988-01-07 1989-06-27 Dussault David R Dri-Pc humidity and temperature controller
US4995307A (en) * 1989-09-11 1991-02-26 Bobby Floyd Variable air volume ventilation system and method
CN1325847C (zh) * 2003-01-23 2007-07-11 大金工业株式会社 热交换器单元
US20110287706A1 (en) * 2010-03-15 2011-11-24 John Bean Technologies Corporation Diffuser for aircraft heating and air conditioning syste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0196A (ko) * 1999-09-30 2000-01-15 윤명혁 공기흐름전환식 냉난방겸용 공기조화기
JP2005164148A (ja) * 2003-12-03 2005-06-23 Daikin Ind Ltd 調湿装置
KR20100128812A (ko) 2009-05-29 2010-1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환기장치 및 환기장치의 제어방법
EP2264375A2 (en) * 2009-05-29 2010-12-22 LG Electronics Inc. Ventilaiton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7505A (ko) * 2017-08-11 2019-02-20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장치
KR20230067500A (ko) * 2021-11-09 2023-05-16 ㈜한국에너지기술단 액체식 제습장치 및 제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5815B1 (ko) 2016-09-08
US10234167B2 (en) 2019-03-19
US20160201937A1 (en) 2016-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5815B1 (ko) 공기조화기장치
KR101174556B1 (ko) 조습장치
AU2004280429B2 (en) Air conditioning apparatus
KR101668247B1 (ko) 공기조화장치
KR101980549B1 (ko) 공기조화 장치
KR20160086693A (ko) 공기조화기장치
KR101758644B1 (ko) 공청형 전열교환기
AU2008320210A1 (en) Humidity control apparatus
KR102283641B1 (ko) 상대습도를 감소시키는 제습을 수행할 수 있는 다목적 전열교환기 및 이의 제어방법
AU2015364799B2 (en) Outdoor unit of air conditioner
CN102777984A (zh) 一种毛细管网空调房间用换风、除湿机
KR20070004072A (ko) 조습 장치
KR101973648B1 (ko) 환기장치의 제어방법
WO2012153512A1 (ja) 換気システム
JP2010065936A (ja) 調湿システム
KR101459218B1 (ko) 대향류형 열교환기를 장착한 열회수 환기시스템
KR102461052B1 (ko) 프리히팅 기능을 포함하는 다목적 전열교환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70006823A (ko) 바이패스 기능을 구비한 환기장치
CN202119014U (zh) 一种毛细管网空调房间用换风、除湿机
KR200404334Y1 (ko) 외기흡입장치가 구비된 코너 스탠드형 에어컨
KR102113837B1 (ko) 공기조화장치
KR101053659B1 (ko) 4웨이밸브에 의한 히트펌프식 이동형 냉각제습기의 동작방법
JP3835223B2 (ja) 冷却吸着素子
TWM572967U (zh) Air conditioning unit
KR101898592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