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4937A - 액정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액정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4937A
KR20160084937A KR1020150001318A KR20150001318A KR20160084937A KR 20160084937 A KR20160084937 A KR 20160084937A KR 1020150001318 A KR1020150001318 A KR 1020150001318A KR 20150001318 A KR20150001318 A KR 20150001318A KR 20160084937 A KR20160084937 A KR 201600849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iquid crystal
crystal panel
backlight unit
emitting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13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57106B1 (ko
Inventor
이윤건
박민욱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013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7106B1/ko
Priority to US14/942,477 priority patent/US9857632B2/en
Publication of KR201600849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4937A/ko
Priority to US15/826,426 priority patent/US10670918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71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71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11Direct backlight including means for improving the brightness uniformity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GREPRESENTATION OF MUSIC; RECORDING MUSIC IN NOTATION FORM; ACCESSORIES FOR MUSIC OR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UPPORTS
    • G10G5/00Supports for musical instru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specially adapted for displays having non-planar surfaces, e.g. curved display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406Control of illumination source
    • G09G3/342Control of illumination source using several illumination sources separately controlled corresponding to different display panel areas, e.g. along one dimension such as lin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1/00General design of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 G10D1/04Plucked or strummed string instruments, e.g. harps or lyres
    • G10D1/05Plucked or strummed string instruments, e.g. harps or lyres with fret boards or fingerboards
    • G10D1/08Guita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406Control of illumination sour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ultimedia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액정표시장치는 서로 마주하는 제1 기판과 제2 기판, 및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기판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액정층을 포함하는 액정 패널; 상기 액정 패널의 제1 영역에 대응하는 부분에 광을 조사하며, 제1 발광 블록을 포함하는 다수의 발광 블록을 포함하는 로컬 백라이트 유닛; 상기 액정 패널의 제2 영역에 대응하는 부분에 동일한 휘도의 광을 조사하기 위한 글로벌 백라이트 유닛; 및 상기 로컬 백라이트 유닛 및 상기 글로벌 백라이트 유닛에 구동 신호를 공급하는 백 라이트 구동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
본 발명은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블랙 무라(black mura)를 제거할 수 있는 곡면형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의 발달로 인해,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평판 표시 장치가 활발히 개발되고 있다. 평판 표시 장치의 예로서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플라즈마 표시장치(plasma display panel) 및 전계 방출 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device)이 있다.
이 중에서, 액정표시장치는 경박 단소, 저 소비 전력 및 풀 컬러 동영상 구현과 같은 장점이 있어, 모바일 폰, 네비게이션, 모니터, 텔레비전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액정 표시 장치(LCD)는 전극이 형성되어 있는 두 장의 기판과 그 사이에 삽입되어 있는 액정층을 포함하며, 양 전극에 인가되는 전압에 의해 형성되는 전계의 크기를 제어함으로써 액정층을 통과하는 빛의 투과율을 조절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장치이다.
최근에는 액정 표시 장치가 대형화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시청자의 몰입도 및 긴장감을 높여주기 위해 곡면형(curved)으로 개발되고 있다. 곡면형 액정 표시 장치는 평면형 액정 표시 패널에 외력을 가하여 일정한 곡률을 갖도록 제작되고 있다.
이때, 곡률에 따른 전단 응력(shearing stress)에 의해 유리 기판의 위상 지연(retardation)이 변하게 되고, 이에 따라 블랙 무라(black mura)가 발생하게 된다. 블랙 무라는 곡면형 액정 표시 장치가 블랙 화면을 표시할 때 빛샘에 의해 밝은 부분이 보이게 되는 얼룩을 의미한다. 이러한 블랙 무라는 곡면형 액정 표시 장치의 표시 품질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곡면형 액정 표시 장치에서 발생하는 블랙 무라를 제거할 수 있는 곡면형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서로 마주하는 제1 기판과 제2 기판, 및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기판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액정층을 포함하는 액정 패널; 상기 액정 패널의 제1 영역에 대응하는 부분에 광을 조사하며, 제1 발광 블록을 포함하는 다수의 발광 블록-각 발광블록은 각각 제어가능한 휘도의 광을 방출함-을 포함하는 로컬 백라이트 유닛; 상기 액정 패널의 제2 영역에 대응하는 부분에 동일한 휘도의 광을 조사하기 위한 글로벌 백라이트 유닛; 및 상기 로컬 백라이트 유닛 및 상기 글로벌 백라이트 유닛에 구동 신호를 공급하는 백 라이트 구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로컬 백 라이트 유닛은 블랙 무라가 나타나는 액정 패널의 영역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글로벌 백라이트 유닛은 블랙 무라가 없는 액정패널의 영역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발광 블록은 액정 패널의 블랙 무라 영역에 광을 조사하며, 동일한 영상신호가 인가되는 경우, 상기 제1 발광블록에 의해 조사되는 광의 휘도는 상기 글로벌 백라이트 유닛에 의해 조사되는 광의 휘도보다 낮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서로 마주하는 제1 기판과 제2 기판, 및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기판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액정층을 포함하는 곡면형의 액정 패널; 상기 액정 패널의 제1 영역에 대응하는 부분에 광을 조사하며, 제1 발광 블록 및 제2 발광 블록을 포함하는 다수의 발광 블록-각 발광블록은 각각 제어 가능한 휘도의 광을 방출함-을 포함하는 로컬 백라이트 유닛; 상기 액정 패널의 제2 영역에 대응하는 부분에, 동일한 휘도의 광을 조사하기 위한 글로벌 백라이트 유닛; 및 상기 로컬 백라이트 유닛 및 상기 글로벌 백라이트 유닛에 구동 신호를 공급하는 백 라이트 구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로컬 백 라이트 유닛은 상기 액정 패널이 곡면형으로 마련됨에 따라 상기 액정 패널의 전단 응력이 발생하는 영역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글로벌 백라이트 유닛은 상기 액정 패널의 전단 응력이 발생하지 않는 영역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로컬 백 라이트 유닛은 상기 액정 패널의 위측 또는 아래측 영역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글로벌 백라이트 유닛은 상기 액정 패널의 가운데 영역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발광 블록은 액정 패널의 정상 영역에 광을 조사하며, 동일한 영상신호가 인가되는 경우, 상기 제1 발광블록에 의해 조사되는 광의 휘도는 상기 제2 발광블록에 의해 조사되는 광의 휘도보다 낮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서로 마주하는 제1 기판과 제2 기판, 및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기판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액정층을 포함하는 액정 패널; 상기 액정 패널의 제1 영역-상기 제1 영역은 제1 서브영역 및 제2 서브영역을 포함하는 복수의 서브영역를 포함함-에 광을 조사하며, 상기 액정 패널의 제2 영역에 대응하는 부분에 동일한 휘도의 광을 조사하기 위한 백라이트 유닛; 및 상기 백 라이트 유닛에 구동 신호를 공급하는 백 라이트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백라이트 유닛은 상기 제1 서브영역 및 상기 제2 서브영역에 서로 다른 휘도의 광을 인가한다.
여기서, 상기 백 라이트 유닛은 상기 액정 패널의 제1 영역에 대응하는 부분에 광을 조사하며, 제1 발광블록을 포함한 다수의 발광블록으로 구성되는 제1 발광 블록 그룹과, 상기 액정 패널의 제2 영역에 대응하는 부분에 광을 조사하는 다수의 발광블록으로 구성되는 제2 발광 블록 그룹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발광 블록 그룹의 각 발광블록과 상기 제2 발광 블록 그룹의 각 발광블록은 각각 제어가능한 휘도의 광을 방출할 수 있다.
곡면형 액정 표시 장치에서 발생하는 블랙 무라를 제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곡면형 액정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곡면형 액정 표시 장치에서 만곡된 액정패널을 간략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곡면형 액정 표시 장치에서 만곡된 액정패널에 가해지는 전단 응력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백 라이트 유닛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백 라이트 구동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여러 실시예들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일 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일 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곡면형 액정 표시 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곡면형 액정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곡면형 액정 표시 장치는 신호 제어부(100), 게이트 구동부(200), 데이터 구동부(300), 계조전압 생성부(400), 액정패널(500), 백라이트 구동부(600) 및 백라이트 유닛(700)을 포함한다.
액정패널(500)는 상부 기판과 하부 기판 그리고 이들 기판들 사이에 개재된 액정물질을 포함한다. 또한, 액정패널(500)은 복수의 게이트선(S1~Sn), 복수의 데이터선(D1~Dm) 및 복수의 화소(PX)를 포함한다. 복수의 화소(PX)는 복수의 게이트선(S1~Sn) 및 복수의 데이터선(D1~Dm)에 연결되어 대략 행렬의 형태로 배열된다. 복수의 게이트선(S1~Sn)은 대략 행 방향으로 연장되어 서로가 거의 평행하다. 복수의 데이터선(D1~Dm)은 대략 열 방향으로 연장되어 서로가 거의 평행하다. 여기서는 복수의 화소(PX)에 복수의 게이트선(S1~Sn) 및 복수의 데이터선(D1~Dm)만이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화소(PX)의 구조나 구동 방법 등에 따라 복수의 화소(PX)에는 전원선, 분압 기준 전압선 등의 다양한 신호선들이 추가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액정패널(500)의 후면에는 액정패널(500)에 광을 조사하는 백라이트 유닛(700)이 마련된다.
신호 제어부(100)는 영상 신호(R, G, B) 및 입력 제어 신호를 수신한다. 영상 신호(R, G, B)는 복수의 화소의 휘도(luminance) 정보를 담고 있다. 입력 제어 신호는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E), 수평 동기 신호(Hsync), 수직 동기 신호(Vsync) 및 메인 클록 신호(MCLK)를 포함한다.
신호 제어부(100)는 영상 신호(R, G, B),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E), 수평 동기 신호(Hsync), 수직 동기 신호(Vsync) 및 메인 클록 신호(MCLK)에 따라 게이트 제어신호(CONT1), 데이터 제어신호(CONT2) 및 영상 데이터 신호(DAT)를 생성한다. 신호 제어부(100)는 수직 동기 신호(Vsync)에 따라 프레임 단위로 영상 신호(R, G, B)를 구분하고, 수평 동기 신호(Hsync)에 따라 게이트 라인 단위로 영상 신호(R, G, B)를 구분하여 영상 데이터 신호(DAT)를 생성한다.
신호 제어부(100)는 영상 데이터 신호(DAT) 및 데이터 제어신호(CONT2)를 데이터 구동부(300)에 제공한다. 데이터 제어신호(CONT2)는 데이터 구동부(3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신호로써, 영상 데이터 신호(DAT)의 전송 시작을 알리는 수평 동기 시작 신호(STH), 데이터선(D1~Dm)에 데이터 신호의 출력을 지시하는 로드 신호(LOAD) 및 데이터 클록 신호(HCLK)를 포함한다. 데이터 제어신호(CONT2)는 공통 전압(Vcom)에 대한 영상 데이터 신호(DAT)의 전압 극성을 반전시키는 반전 신호(RVS)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신호 제어부(100)는 게이트 제어신호(CONT1)를 게이트 구동부(200)에 제공한다. 게이트 제어신호(CONT1)는 게이트 구동부(200)에서의 주사 시작 신호(STV) 및 게이트 온 전압의 출력을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의 클록 신호를 포함한다. 게이트 제어신호(CONT1)는 게이트 온 전압의 지속 시간을 한정하는 출력 인에이블 신호(OE)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구동부(300)는 액정패널(1500)의 데이터선(D1~Dm)에 연결되며, 계조 전압 생성부(400)로부터의 계조 전압을 선택한다. 데이터 구동부(300)는 선택한 계조 전압을 데이터 신호로서 데이터선(D1~Dm)에 인가한다. 계조 전압 생성부(400)는 모든 계조에 대한 전압을 제공하지 않고 정해진 수의 기준 계조 전압만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데이터 구동부(300)는 기준 계조 전압을 분압하여 전체 계조에 대한 계조 전압을 생성하고, 이 중에서 데이터 신호를 선택할 수 있다.
게이트 구동부(200)는 액정패널(500)의 게이트선(S1~Sn)에 연결되어 있는 스위칭 소자를 턴 온(turn on)시키는 게이트 온 전압과 턴 오프(turn off)시키는 게이트 오프 전압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게이트 신호를 게이트선(S1~Sn)에 인가한다.
백라이트 구동부(600)는 입력되는 영상신호에 대응하는 구동전압(또는 구동전류)를 백라이트 유닛(700)에 공급하고, 백라이트 유닛(700)은 구동전압(또는 구동전류)에 따른 광을 생성하여 액정 패널(500)로 공급한다.
일반적으로, 액정표시장치에 표시되는 영상은 고 콘트라스트비 즉, 어두운 곳은 더 어둡게 표시되고 밝은 곳은 더 밝게 표시될 것이 요구되고 있다. 이와 같은 고 콘트라스트 비가 구현되어야 보다 선명한 영상이 재현될 수 있다.
하지만, 일반적인 백라이트 유닛은 입력되는 영상 신호와 관계없이 이미 설정된 백라이트 제어 신호에 의해 구동되게 되므로, 고 콘트라스트 비의 구현이 불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일반적인 백라이트 구동 방식을 이하에서는 노멀(normal) 휘도 제어 방식이라 명명한다.
한편, 최근 들어 한 프레임의 영상을 분석하여 분석 결과에 따라 휘도를 제어하는 글로벌(global) 휘도 제어 방식(이하 '글로벌 디밍 제어방식'이라고도 함)이 제안되었다. 하지만, 글로벌 휘도 제어 방식은 한 프레임의 영상에 대해 휘도 제어하는 방식으로서, 국부적인 영상에 대한 휘도 제어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국부적인 영역에 대한 고 콘트라스트비(contrast ratio)를 얻을 수 없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한 프레임의 영상을 분할하여, 각 분할된 영상에 대응하여 휘도를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로컬(local) 휘도 제어 방식('로컬 디밍제어방식'이라고도 함)이 제안되었다. 하지만, 로컬 휘도 제어 방식은 다수의 LED 블록(발광 블록)을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비용이 많이 든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백 라이트 구동부(60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액정 패널의 일부 영역에서는 로컬 휘도 제어방식으로 백 라이트 유닛(700)을 구동하고, 액정패널의 다른 영역에서는 글로벌 휘도 제어방식(또는 노멀 휘도 제어방식)으로 백 라이트 유닛(700)을 구동한다.
도 2를 참조하면, 곡면형 액정 표시 장치의 액정패널(500)는 (a)와 같이 오목형 및 (b)와 같이 볼록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오목형은 관찰자를 기준으로 액정 패널(500)의 중앙 부분이 양측 가장자리보다 뒤로 후퇴한 형태이고, 볼록형은 관찰자를 기준으로 액정 패널(500)의 중앙 부분이 양측 가장자리보다 앞으로 튀어나온 형태이다.
오목형 또는 볼록형의 액정 패널(500)는 곡률이 일정한 정곡률로 형성되거나, 액정 패널(500)의 중앙 부분과 양측 가장자리 부분의 곡률이 서로 다른 다중 곡률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액정 패널(500)이 정곡률로 형성된 경우가 다중 곡률로 형성된 경우에 비해 블랙 무라가 심하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
이하, 액정 패널(500)는 오목형으로 형성된 것으로 가정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곡면형 액정 표시 장치에서 만곡된 액정 패널에 가해지는 전단 응력(share stress)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액정 패널(500)이 외력에 의하여 정곡률 또는 다중 곡률을 가지게 되면, 외력이 작용하기 전의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전단력(shear force)에 대항하는 물질의 전단 응력이 생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액정 패널(500)의 화면에서 상하측 가장자리 부분에 전단 응력이 발생하는 영역(A)이 분포하고, 가운데 부분에 상대적으로 전단 응력이 발생하지 않는 영역(B)이 분포한다. 전단 응력이 발생하는 영역(A)의 분포는 액정 패널(500)의 곡률 반경 및 기판의 두께 등에 의해 결정된다. 전단 응력이 발생하는 영역(A)은 실제 블랙 무라가 발생하는 블랙 무라 영역과 거의 일치한다. 전단 응력이 발생하지 않는 영역(B)은 블랙 무라 영역 이외의 정상 영역에 대응된다. 블랙 무라 영역의 분포는 액정 패널(500)의 곡률 반경, 기판의 두께 등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만일, 액정 패널(500)의 곡률 반경 및 기판의 두께 등이 미리 정해진 규격으로 이루어진다면, 블랙 무라 영역의 분포는 정규화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후술하는 바와 같이 곡률반경 및 기판의 두께에 의해 분포되는 블랙 무라 영역에 대해 로컬 휘도(로컬 디밍) 제어방식을 사용하여 빛의 휘도를 국부적으로 제어함으로써, 블랙 무라에 의한 화질저하를 방지한다. 구체적으로, 블랙 무라 영역은 시인적으로 밝게 인지되는 부분이므로, 동일한 영상신호가 인가되는 경우 블랙 무라 영역에 인가되는 광은 정상영역보다 더 낮은 휘도의 광이 인가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백 라이트 유닛(700)을 상세하게 나타내는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백 라이트 유닛(700)은 상부 로컬 백라이트 유닛(720), 하부 로컬 백라이트 유닛(760)과 글로벌 백 라이트 유닛(740)을 포함한다.
상부 로컬 백 라이트 유닛(720)과 하부 로컬 백 라이트 유닛(760)은 각각 블랙 무라가 발생되는 곡면 액정 패널의 상측 및 하측 가장자리 영역에 광을 조사하며, 글로벌 백 라이트 유닛(740)은 블랙 무라가 발생되지 않은 액정 패널의 가운데 영역에 광을 조사한다.
상부 및 하부 로컬 백 라이트 유닛(720, 760)은 다수의 발광 블록(BU1, BU2, …Bun, BL1, BL2, ..BLn)을 포함하며, 각 발광 블록은 다수의 발광 다이오드(722)를 포함한다. 도 4에서는 상부 로컬 백 라이트 유닛(720) 및 하부 로컬 백 라이트 유닛(760)이 각각 하나의 행의 발광 블록들만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둘 이상의 행의 발광 블록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각 발광 블록의 다이오드들(722)에는 동일한 구동 신호가 공급되어 동일한 휘도의 광을 발광하며, 각 발광 블록 간에서는 서로 상이한 구동 신호가 공급되어 서로 상이한 휘도의 광들을 발광한다. 따라서, 각 블록마다 최적화된 휘도의 광들이 발광될 수 있다.
도 4에서, 각 광학 블록에 포함된 발광다이오드들(722)은 도시하지 않은 패키지에 실장될 수 있다. 즉, 각 광학 블록마다 패키지가 구비되어, 각 광학 블록의 패키지에 다수의 발광다이오드들(722)이 실장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로컬 백 라이트 유닛(720, 760)의 다수의 발광 블록 중 적어도 하나의 제1 발광 블록은 블랙 무라가 발생되는 패녈 영역(A)의 아래에 배치되어 블랙 무라가 발생하는 영역에 광을 조사하며, 제2 발광 블록은 블랙 무라가 없는 정상적인 패널 영역(B)에 배치되어 정상 패널 영역에 광을 조사한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동일한 영상신호가 인가되는 경우, 제1 발광블록에 의해 조사되는 광(즉, 블랙 무라 영역에 조사되는 광)은 제2 발광블록에 의해 조사되는 광(즉, 정상 영역에 조사되는 광)보다 더 낮은 휘도의 광이 인가된다.
글로벌 백 라이트 유닛(740)은 액정 패널의 가운데 영역 아래에 마련되어 광을 액정 패널로 제공하는 도광판(도시하지 않음)과, 도광판의 일측에 형성되는 광원(예를 들어, 다수의 발광 다이오드)을 포함한다. 글로벌 백 라이트 유닛은 액정 패널의 가운데 영역에 동일한 휘도의 광을 조사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백 라이트 구동부(600)를 상세하게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백 라이트 구동부(600)는 로컬 백라이트 유닛(720, 760)에 공급되는 구동전압(또는 구동전류)을 생성하는 로컬 디밍 구동부(620)와 글로벌 백라이트 유닛(740)에 공급되는 구동전압(또는 구동전류)를 생성하는 글로벌 디밍 구동부를 포함한다.
로컬 디밍 구동부(620)는 미리 설정된 로컬 디밍 알고리즘을 실행하여 입력 영상을 발광 블록 단위로 분석하여, 발광 블록들(BU1, BU2, …Bun, BL1, BL2, ..BLn) 각각의 블록별 대표값들(또는 블록별 대표 계조값들)을 결정한다. 이때, 로컬 디밍 알고리즘은 공지된 어느 것도 가능하다. 블록별 대표값들은 발광 블록 단위로 분할된 입력 영상에 대한 히스토그램 분석 결과 얻어진 히스토그램의 최빈값, 최대값, 평균값 중 어느 하나로 결정될 수 있다.
로컬 디밍 구동부(620)는 결정된 블록별 대표값들에 대응하는 구동전압(또는 구동전류)를 룩업 테이블(대표값에 대응하는 구동전압 또는 전류값이 저장되어 있음)로부터 검색하여, 대응하는 구동전압(또는 구동전류)을 각 발광 블록에 공급한다.
글로벌 디밍 구동부(640)는 프레임별로 영상을 분석하여 분석 결과에 따라, 프레임 영상에 대응하는 구동전압(또는 구동전류)를 생성하여 생성된 구동전압을 글로벌 백라이트 유닛(740)에 공급할 수도 있으며, 입력되는 영상 신호와 관계없이 이미 설정된 구동전압(또는 구동전류)을 글로벌 백라이트 유닛(740)에 공급할 수도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액정패널의 상하측 영역의 하부에는 로컬 백 라이트 유닛을 마련하고 패널의 중앙영역의 하부에는 글로벌 백 라이트 유닛을 마련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패널의 하부에 모두 로컬 백 라이트 유닛을 마련하여 구현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패널의 하부를 모두 로컬 백 라이트 유닛으로 구현하는 경우에는, 액정 패널의 상하측 영역(블랙무라가 있는 영역)의 하부에는 서로 다른 휘도의 광을 조사하며, 액정 패널의 중앙영역(블랙 무라가 없는 영역)의 하부에는 동일한 휘도의 광을 조사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술할 바와 같이 블랙 무라가 발생되는 액정패널의 상하측 영역의 하부에는 로컬 백 라이트 유닛을 마련하여, 액정 패널의 정상 영역보다 더 낮은 휘도의 광을 조사함으로써, 블랙 무라에 의한 화질저하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블랙 무라가 발생하지 않은 액정 패널의 가운데 영역에서는 글로벌 디밍 제어방식 또는 노멀 휘도 제어방식으로 구동되는 글로벌 백 라이트 유닛을 마련하기 때문에, 전 영역을 로컬 디밍으로 구현하는 것보다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지금까지 참조한 도면과 기재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신호제어부, 200 : 게이트 구동부, 300 : 데이터 구동부
400 : 계조전압 발생부, 500: 액정패널, 600: 백라이트 구동부
700: 백라이트 유닛, 720, 760: 로컬 백라이트 유닛 740: 글로벌 백라이트 유닛

Claims (22)

  1. 서로 마주하는 제1 기판과 제2 기판, 및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기판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액정층을 포함하는 액정 패널;
    상기 액정 패널의 제1 영역에 대응하는 부분에 광을 조사하며, 제1 발광 블록을 포함하는 다수의 발광 블록-각 발광블록은 각각 제어가능한 휘도의 광을 방출함-을 포함하는 로컬 백라이트 유닛;
    상기 액정 패널의 제2 영역에 대응하는 부분에 동일한 휘도의 광을 조사하기 위한 글로벌 백라이트 유닛; 및
    상기 로컬 백라이트 유닛 및 상기 글로벌 백라이트 유닛에 구동 신호를 공급하는 백 라이트 구동부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로컬 백 라이트 유닛은 블랙 무라가 나타나는 액정 패널의 영역의 하부에 배치되는 액정 표시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글로벌 백라이트 유닛은 블랙 무라가 없는 액정패널의 영역의 하부에 배치되는 액정 표시 장치.
  4. 제1 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발광 블록은 액정 패널의 블랙 무라 영역에 광을 조사하며,
    동일한 영상신호가 인가되는 경우, 상기 제1 발광블록에 의해 조사되는 광의 휘도는 상기 글로벌 백라이트 유닛에 의해 조사되는 광의 휘도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백 라이트 구동부는
    상기 로컬 백라이트 유닛에 공급되는 구동신호를 생성하는 로컬 디밍 구동부, 및
    상기 글로벌 백라이트 유닛에 공급되는 구동신호를 생성하는 글로벌 디밍 구동부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로컬 디밍 구동부는 각 발광 블록에 대응하는 액정 패널의 영역에 인가되는 영상신호에 기초하여, 대응하는 구동신호를 생성하여 각 발광블록에 공급하는 액정표시장치.
  7. 서로 마주하는 제1 기판과 제2 기판, 및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기판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액정층을 포함하는 곡면형의 액정 패널;
    상기 액정 패널의 제1 영역에 대응하는 부분에 광을 조사하며, 제1 발광 블록 및 제2 발광 블록을 포함하는 다수의 발광 블록-각 발광블록은 각각 제어 가능한 휘도의 광을 방출함-을 포함하는 로컬 백라이트 유닛;
    상기 액정 패널의 제2 영역에 대응하는 부분에, 동일한 휘도의 광을 조사하기 위한 글로벌 백라이트 유닛; 및
    상기 로컬 백라이트 유닛 및 상기 글로벌 백라이트 유닛에 구동 신호를 공급하는 백 라이트 구동부를 포함하는 곡면형 액정 표시 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로컬 백 라이트 유닛은 상기 액정 패널이 곡면형으로 마련됨에 따라 상기 곡면형의 액정 패널에서 발생하는 블랙 무라가 나타나는 블랙 무라 영역의 하부에 배치되는 액정 표시 장치.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로컬 백 라이트 유닛은 상기 액정 패널이 곡면형으로 마련됨에 따라 상기 액정 패널의 전단 응력이 발생하는 영역의 하부에 배치되는 액정 표시 장치.
  10.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로컬 백라이트 유닛은 상기 액정 패널의 위측 또는 아래측 영역의 하부에 배치되는 액정표시장치.
  11.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글로벌 백라이트 유닛은 상기 액정 패널의 전단 응력이 발생하지 않는 영역의 하부에 배치되는 곡면형 액정 표시 장치.
  12.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글로벌 백라이트 유닛은 상기 액정 패널의 가운데 영역의 하부에 배치되는 액정표시장치
  13. 제7 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발광 블록은 액정 패널의 블랙 무라 영역에 광을 조사하며,
    동일한 영상신호가 인가되는 경우, 상기 제1 발광블록에 의해 조사되는 광의 휘도는 상기 글로벌 백라이트 유닛에 의해 조사되는 광의 휘도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14. 제7 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발광 블록은 액정 패널의 정상 영역에 광을 조사하며,
    동일한 영상신호가 인가되는 경우, 상기 제1 발광블록에 의해 조사되는 광의 휘도는 상기 제2 발광블록에 의해 조사되는 광의 휘도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15. 제7 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백 라이트 구동부는
    상기 로컬 백라이트 유닛에 공급되는 구동신호를 생성하는 로컬 디밍 구동부, 및
    상기 글로벌 백라이트 유닛에 공급되는 구동신호를 를 생성하는 글로벌 디밍 구동부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로컬 디밍 구동부는 각 발광 블록에 대응하는 액정 패널의 영역에 인가되는 영상신호에 기초하여, 대응하는 구동신호를 생성하여 각 발광블록에 공급하는 액정표시장치.
  17. 서로 마주하는 제1 기판과 제2 기판, 및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기판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액정층을 포함하는 액정 패널;
    상기 액정 패널의 제1 영역-상기 제1 영역은 제1 서브영역 및 제2 서브영역을 포함하는 복수의 서브영역를 포함함-에 광을 조사하며, 상기 액정 패널의 제2 영역에 대응하는 부분에 동일한 휘도의 광을 조사하기 위한 백라이트 유닛; 및
    상기 백 라이트 유닛에 구동 신호를 공급하는 백 라이트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백라이트 유닛은 상기 제1 서브영역 및 상기 제2 서브영역에 서로 다른 휘도의 광을 인가하는 액정 표시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백 라이트 유닛은
    상기 액정 패널의 제1 영역에 대응하는 부분에 광을 조사하며, 상기 제1 서브영역에 광을 조사하는 제1 발광 블록과 상기 제2 서브영역에 광을 조사하는 제2 발광블록을 포함하는 다수의 발광 블록-각 발광블록은 각각 제어가능한 휘도의 광을 방출함-을 포함하는 로컬 백라이트 유닛과,
    상기 액정 패널의 제2 영역에 대응하는 부분에 동일한 휘도의 광을 조사하기 위한 글로벌 백라이트 유닛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백 라이트 유닛은
    상기 액정 패널의 제1 영역에 대응하는 부분에 광을 조사하며, 제1 발광블록을 포함한 다수의 발광블록으로 구성되는 제1 발광 블록 그룹과,
    상기 액정 패널의 제2 영역에 대응하는 부분에 광을 조사하는 다수의 발광블록으로 구성되는 제2 발광 블록 그룹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발광 블록 그룹의 각 발광블록과 상기 제2 발광 블록 그룹의 각 발광블록은 각각 제어가능한 휘도의 광을 방출하는 액정표시장치.
  21.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발광 블록 그룹은 블랙 무라가 없는 액정패널의 영역의 하부에 배치되는 액정 표시 장치.
  22. 제19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발광 블록은 액정 패널의 블랙 무라 영역에 광을 조사하며,
    동일한 영상신호가 인가되는 경우, 상기 제1 발광블록에 의해 조사되는 광의 휘도는 상기 제2 발광 블록 그룹에 의해 조사되는 광의 휘도보다 낮은 액정표시장치.
KR1020150001318A 2015-01-06 2015-01-06 액정 표시 장치 KR1022571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1318A KR102257106B1 (ko) 2015-01-06 2015-01-06 액정 표시 장치
US14/942,477 US9857632B2 (en) 2015-01-06 2015-11-16 Liquid crystal display
US15/826,426 US10670918B2 (en) 2015-01-06 2017-11-29 Liquid crystal display with improved backligh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1318A KR102257106B1 (ko) 2015-01-06 2015-01-06 액정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4937A true KR20160084937A (ko) 2016-07-15
KR102257106B1 KR102257106B1 (ko) 2021-05-27

Family

ID=56286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1318A KR102257106B1 (ko) 2015-01-06 2015-01-06 액정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2) US9857632B2 (ko)
KR (1) KR10225710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0280B1 (ko) * 2014-06-25 2020-07-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곡면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곡면 디스플레이 장치
CN105427761A (zh) * 2016-01-08 2016-03-2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曲率可调的显示装置
CN107886904B (zh) * 2016-09-29 2020-08-18 上海顺久电子科技有限公司 背光分区控制方法及装置
US10488920B2 (en) * 2017-06-02 2019-11-26 Htc Corporation Immersive headset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0847098B2 (en) * 2018-09-28 2020-11-24 Dell Products, Lp Method and apparatus for regional liquid crystal display back light unit dimming using electrochromic material
US10643529B1 (en) * 2018-12-18 2020-05-05 Himax Technologies Limited Method for compensation brightness non-uniformity of a display panel, and associated display device
CN109979392B (zh) * 2019-04-30 2021-03-0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时序控制方法、时序控制模组和显示装置
US11562702B2 (en) * 2020-03-31 2023-01-24 Sharp Kabushiki Kaisha Dimming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07025A (ko) * 2010-03-24 2011-09-3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KR20140036461A (ko) * 2012-09-14 2014-03-26 삼성전자주식회사 곡면형 디스플레이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71681A (ja) * 2005-12-22 2007-07-05 Infovision Optoelectronics Holdings Ltd 湾曲液晶表示装置に用いるバックライト及び湾曲液晶表示装置
KR101337076B1 (ko) 2008-10-07 2013-12-0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1532036B1 (ko) * 2009-02-10 2015-06-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발광 램프,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표시 장치
KR101585680B1 (ko) 2009-05-04 2016-01-1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와 그의 화질보상방법
KR101025800B1 (ko) 2009-07-06 2011-04-04 주식회사 티엘아이 글로벌 디밍 및 로컬 디밍을 겸용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EP2284827A1 (en) * 2009-07-15 2011-02-16 Trident Microsystems (Far East) Ltd. Backlight unit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KR101552992B1 (ko) 2009-12-07 2015-09-1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1351414B1 (ko) 2009-12-14 2014-01-2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의 로컬 디밍 구동 방법 및 장치
US9093031B2 (en) * 2010-05-28 2015-07-28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Off axis halo mitigation using spatiotemporal dither patterns, each indexed and arranged according to index patterns with diagonal lines of constant index
KR102152925B1 (ko) * 2013-10-30 2020-09-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커브드 액정표시패널
KR102135792B1 (ko) * 2013-12-30 2020-07-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곡면 액정 표시 장치
CN104006357A (zh) * 2014-06-10 2014-08-27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背光模组、液晶显示装置及有机发光二极管显示装置
CN104375339B (zh) * 2014-11-13 2017-07-18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曲面液晶显示面板及曲面液晶显示装置
KR20160057591A (ko) * 2014-11-13 2016-05-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곡면형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20160059548A (ko) * 2014-11-18 2016-05-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곡면형 액정 표시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07025A (ko) * 2010-03-24 2011-09-3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KR20140036461A (ko) * 2012-09-14 2014-03-26 삼성전자주식회사 곡면형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143495A1 (en) 2018-05-24
KR102257106B1 (ko) 2021-05-27
US9857632B2 (en) 2018-01-02
US20160195772A1 (en) 2016-07-07
US10670918B2 (en) 2020-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7106B1 (ko) 액정 표시 장치
KR101136185B1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JP5070331B2 (ja) 照明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表示装置
JP4980336B2 (ja)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KR102073065B1 (ko) 액정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KR20070001549A (ko) 다수의 분할 영역별로 휘도 레벨을 조절할 수 있는 액정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JP2009063751A (ja) 液晶表示装置
JP2010044389A (ja) 光源ローカルディミング制御方法及びこれを行う光源装置
US9520096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9570022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2119091B1 (ko)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KR20140071707A (ko) 액정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US8842065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apable of being divisionally driven using a backlight unit
KR101126499B1 (ko) 액정표시장치 및 구동방법
JP7222835B2 (ja) 表示装置
KR20030010288A (ko) 액정표시소자의 백라이트 구동장치 및 방법
KR100658674B1 (ko) 백라이트 구동회로
KR101861854B1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0627385B1 (ko) 액정 표시 장치
WO2020255485A1 (ja) 表示装置及び方法
KR20100035027A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WO2020116070A1 (ja) 表示装置および表示装置の制御方法
WO2020162066A1 (ja) 表示装置および表示方法
KR102488471B1 (ko) 액정표시장치
KR100658622B1 (ko) 액정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