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4888A - 표시 패널의 발광 상태 측정 방법 및 표시 패널의 발광 상태 보정 방법 - Google Patents

표시 패널의 발광 상태 측정 방법 및 표시 패널의 발광 상태 보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4888A
KR20160084888A KR1020150001090A KR20150001090A KR20160084888A KR 20160084888 A KR20160084888 A KR 20160084888A KR 1020150001090 A KR1020150001090 A KR 1020150001090A KR 20150001090 A KR20150001090 A KR 20150001090A KR 20160084888 A KR20160084888 A KR 201600848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tographing result
monochromatic
photographing
recognition pattern
resu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10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38741B1 (ko
Inventor
안병관
양성모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010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8741B1/ko
Priority to US14/730,949 priority patent/US9462265B2/en
Publication of KR201600848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48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87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87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7/00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 H04N17/04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for receiv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1/00Testing of optical apparatus; Testing structures by optical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7/00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 H04N17/02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for colour television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1/00Features of devices classified in G01N21/00
    • G01N2201/06Illumination; Optic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14Detecting light within display terminals, e.g. using a single or a plurality of photosensors
    • G09G2360/145Detecting light within display terminals, e.g. using a single or a plurality of photosensors the light originating from the display scre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Image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표시 패널의 발광 상태 측정 방법은, 카메라의 촬영 범위가 표시 패널의 하나의 분할 영역을 포함하도록 카메라의 위치를 설정하는 단계, 카메라가 하나의 분할 영역을 촬영하여 인식 패턴 촬영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 카메라가 하나의 분할 영역을 촬영하여 단색 촬영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 인식 패턴 촬영 결과에 기초하여 단색 촬영 결과를 수정하여 하나의 분할 영역에 상응하는 수정된 단색 촬영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 복수의 분할 영역들에 상응하는 복수의 수정된 단색 촬영 결과들을 모두 생성할 때까지 상기 단계들을 반복하는 단계 및 복수의 수정된 단색 촬영 결과들을 조합하여 표시 패널의 전체 단색 촬영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표시 패널의 발광 상태 측정 방법 및 표시 패널의 발광 상태 보정 방법{METHOD OF MEASURING LIGHT EMITTING STATUS OF DISPLAY PANEL AND METHOD OF COMPENSATING LIGHT EMITTING STATUS OF DISPLAY PANEL}
본 발명은 표시 패널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표시 패널의 발광 상태 측정 방법 및 표시 패널의 발광 상태 보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표시 장치는 스스로 빛을 내는 유기 발광 소자를 이용하여 화상을 표시하기 때문에, 액정 표시 장치와는 달리 별도의 광원(예를 들어, 백라이트 유닛)을 필요로 하지 않아 상대적으로 두께와 무게가 작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는 소비 전력, 휘도 및 응답 속도 등에서 액정 표시 장치에 비해 유리하기 때문에, 전자 기기의 소형화 및 저전력화 추세에 따라 전자 기기의 표시 장치로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의 표시 패널에서 높은 휘도로 지속적으로 같은 패턴을 발광하는 로고 부분(e.g. SBS와 같은 방송사 로고)에 상응하는 픽셀 회로의 경우, 지속적으로 강한 전류가 구동 트랜지스터에 인가되어 구동 트랜지스터의 이동도(Mobility)가 감소(열화)된다. 픽셀 회로가 열화된 이후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가 상기 로고 부분이 제거된 다른 이미지를 표시할 때에도 상기 로고 부분이 시청자의 눈에 인식되는 이미지 교착(Image sticking) 현상이 발생한다.
이미지 교착을 측정하기 위해 표시 패널을 외부에서 카메라로 촬영해야 하는데,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의 표시 패널이 큰 경우 한 번에 촬영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표시 패널보다 좁은 촬영 범위를 가지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표시 패널 전체의 발광 상태를 측정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표시 패널보다 좁은 촬영 범위를 가지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표시 패널 전체의 발광 상태를 보정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패널의 발광 상태 측정 방법은, 상기 표시 패널이 카메라의 촬영 범위보다 좁은 복수의 분할 영역들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 패널이 상기 촬영 범위보다 넓은 경우, 상기 촬영 범위가 상기 복수의 분할 영역들 중 하나의 분할 영역을 포함하도록 상기 카메라의 위치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하나의 분할 영역에 인식 패턴 이미지를 표시하고, 상기 카메라가 상기 하나의 분할 영역을 촬영하여 인식 패턴 촬영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하나의 분할 영역에 단색 이미지를 표시하고, 상기 카메라가 상기 하나의 분할 영역을 촬영하여 단색 촬영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인식 패턴 촬영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단색 촬영 결과를 수정하여 상기 하나의 분할 영역에 상응하는 수정된 단색 촬영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분할 영역들에 상응하는 복수의 수정된 단색 촬영 결과들을 모두 생성할 때까지 상기 카메라의 위치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인식 패턴 촬영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단색 촬영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수정된 단색 촬영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를 반복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수정된 단색 촬영 결과들을 조합하여 상기 표시 패널의 전체 단색 촬영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인식 패턴 촬영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단색 촬영 결과를 수정하여 상기 하나의 분할 영역에 상응하는 상기 수정된 단색 촬영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인식 패턴 촬영 결과 및 상기 단색 촬영 결과의 각도 오차를 수정하여 회전된 인식 패턴 촬영 결과 및 회전된 단색 촬영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회전된 단색 촬영 결과 중에서 상기 회전된 인식 패턴 촬영 결과에 포함되는 유효 인식 패턴 촬영 결과에 상응하는 유효 단색 촬영 결과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유효 인식 패턴 촬영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유효 단색 촬영 결과를 확대 또는 축소하여 상기 수정된 단색 촬영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인식 패턴 촬영 결과 및 상기 단색 촬영 결과의 상기 각도 오차를 수정하여 상기 회전된 인식 패턴 촬영 결과 및 상기 회전된 단색 촬영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인식 패턴 촬영 결과에 포함되는 제1 및 제2 촬영 패턴들의 중심을 이은 직선과 상기 인식 패턴 촬영 결과의 테두리가 형성하는 각도와 기준 각도를 비교하여 회전 각도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인식 패턴 촬영 결과를 상기 회전 각도만큼 회전하여 상기 회전된 인식 패턴 촬영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단색 촬영 결과를 상기 회전 각도만큼 회전하여 상기 회전된 단색 촬영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기준 각도는 상기 인식 패턴 이미지에 포함되는 제1 및 제2 패턴들의 중심을 이은 직선과 상기 인식 패턴 이미지의 테두리가 형성하는 각도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회전된 단색 촬영 결과 중에서 상기 회전된 인식 패턴 촬영 결과에 포함되는 상기 유효 인식 패턴 촬영 결과에 상응하는 유효 단색 촬영 결과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회전된 인식 패턴 촬영 결과에 포함된 제1 및 제2 회전된 촬영 패턴들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회전된 인식 패턴 촬영 결과 중에서 상기 하나의 분할 영역에 상응하는 유효 인식 패턴 촬영 결과를 찾는 단계 및 상기 회전된 단색 촬영 결과에서 상기 유효 인식 패턴 촬영 결과에 상응하는 상기 유효 단색 촬영 결과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유효 인식 패턴 촬영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유효 단색 촬영 결과를 확대 또는 축소하여 상기 수정된 단색 촬영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유효 인식 패턴 촬영 결과에 포함되는 제1 및 제2 유효 촬영 패턴들의 크기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의 분할 영역과 상기 카메라 간의 거리에 상응하는 상대 거리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상대 거리가 기준 거리보다 큰 경우 상기 유효 단색 촬영 결과를 확대하여 상기 수정된 단색 촬영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상대 거리가 상기 기준 거리와 같은 경우 상기 유효 단색 촬영 결과를 상기 수정된 단색 촬영 결과로서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상대 거리가 상기 기준 거리보다 작은 경우 상기 유효 단색 촬영 결과를 축소하여 상기 수정된 단색 촬영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유효 인식 패턴 촬영 결과에 포함된 상기 제1 및 제2 유효 촬영 패턴들의 크기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의 분할 영역과 상기 카메라 간의 거리에 상응하는 상기 상대 거리를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및 제2 유효 촬영 패턴들의 크기와 유닛 마스크에 기초하여 확장 연산(Dilation operation)을 통해 반복적으로 확장되는 기준 패턴의 크기를 비교하여 상기 상대 거리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기준 거리는 상기 인식 패턴 이미지에 포함되는 제1 및 제2 패턴들의 크기와 상기 제1 및 제2 유효 촬영 패턴들의 크기가 동일해 지는 상기 하나의 분할 영역과 상기 카메라 간의 거리에 상응하는 상대 거리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분할 영역들은 각각 직사각형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인식 패턴 이미지는 상기 하나의 분할 영역의 중심에 위치하는 제1 패턴 및 상기 제1 패턴의 중심과 상기 하나의 분할 영역의 꼭지점들 중 하나의 꼭지점을 잇는 직선 상에 중심이 위치하는 제2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식 패턴 촬영 결과는 상기 제1 패턴에 상응하는 제1 촬영 패턴 및 상기 제2 패턴에 촬영하는 제2 촬영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패턴의 크기와 상기 제2 패턴의 크기가 상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패턴과 상기 제2 패턴은 각각 원형, 삼각형, 사각형 또는 마름모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패널의 발광 상태 보정 방법은, 상기 표시 패널이 카메라의 촬영 범위보다 좁은 복수의 분할 영역들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 패널이 상기 촬영 범위보다 넓은 경우, 상기 촬영 범위가 상기 복수의 분할 영역들 중 하나의 분할 영역을 포함하도록 상기 카메라의 위치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하나의 분할 영역에 인식 패턴 이미지를 표시하고, 상기 카메라가 상기 하나의 분할 영역을 촬영하여 인식 패턴 촬영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하나의 분할 영역에 단색 이미지를 표시하고, 상기 카메라가 상기 하나의 분할 영역을 촬영하여 단색 촬영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인식 패턴 촬영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단색 촬영 결과를 수정하여 상기 하나의 분할 영역에 상응하는 수정된 단색 촬영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분할 영역들에 상응하는 복수의 수정된 단색 촬영 결과들을 모두 생성할 때까지 상기 카메라의 위치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인식 패턴 촬영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단색 촬영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수정된 단색 촬영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를 반복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수정된 단색 촬영 결과들을 조합하여 상기 표시 패널의 전체 단색 촬영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전체 단색 촬영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 패널의 발광 상태를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인식 패턴 촬영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단색 촬영 결과를 수정하여 상기 하나의 분할 영역에 상응하는 상기 수정된 단색 촬영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인식 패턴 촬영 결과 및 상기 단색 촬영 결과의 각도 오차를 수정하여 회전된 인식 패턴 촬영 결과 및 회전된 단색 촬영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회전된 단색 촬영 결과 중에서 상기 회전된 인식 패턴 촬영 결과에 포함되는 유효 인식 패턴 촬영 결과에 상응하는 유효 단색 촬영 결과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유효 인식 패턴 촬영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유효 단색 촬영 결과를 확대 또는 축소하여 상기 수정된 단색 촬영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체 단색 촬영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발광 상태를 보정하는 단계는, 상기 전체 단색 촬영 결과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휘도로 표시되는 영역에 상응하는 상기 표시 패널의 픽셀들에 제공되는 전류량을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체 단색 촬영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발광 상태를 보정하는 단계는, 상기 전체 단색 촬영 결과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휘도로 표시되는 영역에 상응하는 상기 표시 패널의 픽셀들에 제공되는 전류량을 증가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패널의 발광 상태 측정 방법 및 표시 패널의 발광 상태 보정 방법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의 표시 패널을 외부에서 카메라로 한 번에 촬영하기 어려운 경우에, 표시 패널을 카메라로 분할 촬영하고, 분할 촬영한 결과를 수정 및 조합하여 표시 패널의 전체 촬영 결과로 생성함으로써, 표시 패널의 발광 상태를 측정할 수 있고, 상기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 패널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휘도 또는 낮은 휘도로 표시되는 영역에 상응하는 픽셀들에 제공되는 전류량을 변경하여 표시 패널의 발광 상태를 보정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는 상술한 효과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의 발광 상태 측정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순서도에 포함되는 상기 인식 패턴 촬영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단색 촬영 결과를 수정하여 상기 하나의 분할 영역에 상응하는 상기 수정된 단색 촬영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의 발광 상태 측정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순서도에 포함되는 상기 하나의 분할 영역에 상기 인식 패턴 이미지를 표시하고, 상기 카메라가 상기 하나의 분할 영역을 촬영하여 상기 인식 패턴 촬영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순서도에 포함되는 상기 하나의 분할 영역에 상기 단색 이미지를 표시하고, 상기 카메라가 상기 하나의 분할 영역을 촬영하여 상기 단색 촬영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2의 순서도에 포함되는 상기 인식 패턴 촬영 결과 및 상기 단색 촬영 결과의 상기 각도 오차를 수정하여 상기 회전된 인식 패턴 촬영 결과 및 상기 회전된 단색 촬영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7 및 8은 도 4의 제1 인식 패턴 촬영 결과에서 회전 각도를 계산하고, 상기 제1 인식 패턴 촬영 결과를 상기 회전 각도만큼 회전하여 제1 회전된 인식 패턴 촬영 결과를 생성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9 및 10은 도 5의 제1 단색 촬영 결과를 상기 회전 각도만큼 회전하여 제1 회전된 단색 촬영 결과를 생성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11은 도 2의 순서도에 포함되는 상기 회전된 단색 촬영 결과 중에서 상기 회전된 인식 패턴 촬영 결과에 포함되는 상기 유효 인식 패턴 촬영 결과에 상응하는 상기 유효 단색 촬영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2는 도 8의 제1 회전된 인식 패턴 촬영 결과에서 제1 유효 인식 패턴 촬영 결과를 추출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도 10의 제1 회전된 단색 촬영 결과에서 제1 유효 인식 패턴 촬영 결과에 상응하는 제1 유효 단색 촬영 결과를 추출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도 2의 순서도에 포함되는 상기 유효 인식 패턴 촬영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유효 단색 촬영 결과를 확대 또는 축소하여 상기 수정된 단색 촬영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5 내지 19는 도 14의 순서도에 포함되는 단계들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20은 도 1의 순서도에 포함되는 상기 복수의 수정된 단색 촬영 결과들을 조합하여 상기 표시 패널의 전체 단색 촬영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 및 22는 도 3의 발광 상태 측정 시스템에 포함되는 표시 패널에 표시되는 인식 패턴 이미지의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의 발광 상태 보정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4는 도 23의 순서도에 포함되는 상기 인식 패턴 촬영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단색 촬영 결과를 수정하여 상기 하나의 분할 영역에 상응하는 상기 수정된 단색 촬영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5는 도 23의 순서도에 포함되는 상기 전체 단색 촬영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발광 상태를 보정하는 단계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 상의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중복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의 발광 상태 측정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표시 패널의 발광 상태 측정 방법은, 상기 표시 패널이 카메라의 촬영 범위보다 좁은 복수의 분할 영역들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 패널이 상기 촬영 범위보다 넓은 경우, 상기 촬영 범위가 상기 복수의 분할 영역들 중 하나의 분할 영역을 포함하도록 상기 카메라의 위치를 설정하는 단계 (단계 S110), 상기 하나의 분할 영역에 인식 패턴 이미지를 표시하고, 상기 카메라가 상기 하나의 분할 영역을 촬영하여 인식 패턴 촬영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단계 S120), 상기 하나의 분할 영역에 단색 이미지를 표시하고, 상기 카메라가 상기 하나의 분할 영역을 촬영하여 단색 촬영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단계 S130), 상기 인식 패턴 촬영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단색 촬영 결과를 수정하여 상기 하나의 분할 영역에 상응하는 수정된 단색 촬영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단계 S140), 상기 복수의 분할 영역들에 상응하는 복수의 수정된 단색 촬영 결과들을 모두 생성할 때까지 상기 카메라의 위치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인식 패턴 촬영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단색 촬영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수정된 단색 촬영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를 반복하는 단계(단계 S150) 및 상기 복수의 수정된 단색 촬영 결과들을 조합하여 상기 표시 패널의 전체 단색 촬영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단계 S160)를 포함한다.
도 2는 도 1의 순서도에 포함되는 상기 인식 패턴 촬영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단색 촬영 결과를 수정하여 상기 하나의 분할 영역에 상응하는 상기 수정된 단색 촬영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도 1의 순서도에 포함되는 상기 인식 패턴 촬영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단색 촬영 결과를 수정하여 상기 하나의 분할 영역에 상응하는 상기 수정된 단색 촬영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S140)는, 상기 인식 패턴 촬영 결과 및 상기 단색 촬영 결과의 각도 오차를 수정하여 회전된 인식 패턴 촬영 결과 및 회전된 단색 촬영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단계 S141), 상기 회전된 단색 촬영 결과 중에서 상기 회전된 인식 패턴 촬영 결과에 포함되는 유효 인식 패턴 촬영 결과에 상응하는 유효 단색 촬영 결과를 추출하는 단계(단계 S142) 및 상기 유효 인식 패턴 촬영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유효 단색 촬영 결과를 확대 또는 축소하여 상기 수정된 단색 촬영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단계 S14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식 패턴 촬영 결과 및 상기 단색 촬영 결과의 각도 오차를 수정하여 회전된 인식 패턴 촬영 결과 및 회전된 단색 촬영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S141)는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상기 회전된 단색 촬영 결과 중에서 상기 회전된 인식 패턴 촬영 결과에 포함되는 유효 인식 패턴 촬영 결과에 상응하는 유효 단색 촬영 결과를 추출하는 단계(S142)는 도 11 내지 13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상기 유효 인식 패턴 촬영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유효 단색 촬영 결과를 확대 또는 축소하여 상기 수정된 단색 촬영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S143)는 도 14 내지 19를 통해 후술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의 발광 상태 측정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표시 패널의 발광 상태 측정 시스템(200)은 표시 패널(210), 컴퓨터(230) 및 카메라(220)를 포함한다. 표시 패널(210)은 제1 분할 영역(DR1), 제2 분할 영역(DR2), 제3 분할 영역(DR3) 및 제4 분할 영역(DR4)으로 나뉠 수 있다. 표시 패널(210)은 4개의 분할 영역들(DR1, DR2, DR3 및 DR4)보다 많은 수 또는 적은 수의 분할 영역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분할 영역들(DR1, DR2, DR3 및 DR4)은 각각 직사각형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컴퓨터(230)는 표시 패널(210)에 인식 패턴 이미지 또는 단색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 컴퓨터(230)는 카메라(220)가 촬영 범위(211)를 촬영한 결과를 저장 및 영상 처리할 수 있다.
도 1의 순서도에 포함되는 상기 촬영 범위가 상기 복수의 분할 영역들 중 하나의 분할 영역을 포함하도록 상기 카메라의 위치를 설정하는 단계(S110)는 카메라(220)의 촬영 범위(211)가 하나의 분할 영역을 포함하도록 카메라(220)의 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순서도에 포함되는 상기 하나의 분할 영역에 상기 인식 패턴 이미지를 표시하고, 상기 카메라가 상기 하나의 분할 영역을 촬영하여 상기 인식 패턴 촬영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표시 패널(210)은 제1 인식 패턴 이미지를 제1 분할 영역(DR1)에 표시하고, 제2 인식 패턴 이미지를 제2 분할 영역(DR2)에 표시하고, 제3 인식 패턴 이미지를 제3 분할 영역(DR3)에 표시하고, 제4 인식 패턴 이미지를 제4 분할 영역(DR4)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1 인식 패턴 이미지는 제1 분할 영역(DR1)의 중심에 위치하는 제1 패턴(A1) 및 제1 패턴(A1)의 중심과 제1 분할 영역(DR1)의 하나의 꼭지점을 잇는 직선 상에 중심이 위치하는 제2 패턴(B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인식 패턴 이미지는 제2 분할 영역(DR2)의 중심에 위치하는 제3 패턴(A2) 및 제3 패턴(A2)의 중심과 제2 분할 영역(DR2)의 하나의 꼭지점을 잇는 직선 상에 중심이 위치하는 제4 패턴(B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인식 패턴 이미지는 제3 분할 영역(DR3)의 중심에 위치하는 제5 패턴(A3) 및 제5 패턴(A3)의 중심과 제3 분할 영역(DR3)의 하나의 꼭지점을 잇는 직선 상에 중심이 위치하는 제6 패턴(B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4 인식 패턴 이미지는 제4 분할 영역(DR4)의 중심에 위치하는 제7 패턴(A4) 및 제7 패턴(A4)의 중심과 제4 분할 영역(DR4)의 하나의 꼭지점을 잇는 직선 상에 중심이 위치하는 제8 패턴(B4)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패턴들(A1, B1, A2, B2, A3, B3, A4 및 B4)은 각각 원형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제3, 제5 및 제7 패턴들(A1, A2, A3 및 A4)의 크기와 제2, 제4, 제6 및 제8 패턴들(B1, B2, B3 및 B4)의 크기가 각각 상이할 수 있다.
기준 각도(θ1)는 제1 인식 패턴 이미지에 포함되는 제1 및 제2 패턴들(A1, B1)의 중심을 이은 직선과 제1 인식 패턴 이미지의 테두리가 형성하는 각도일 수 있다.
카메라(220)가 제1 인식 패턴 이미지를 표시하는 제1 분할 영역(DR1)을 촬영하여 제1 인식 패턴 촬영 결과(211A)를 생성하여 컴퓨터(230)에 전달하고, 제2 인식 패턴 이미지를 표시하는 제2 분할 영역(DR2)을 촬영하여 제2 인식 패턴 촬영 결과(212A)를 생성하여 컴퓨터(230)에 전달하고, 제3 인식 패턴 이미지를 표시하는 제3 분할 영역(DR3)을 촬영하여 제3 인식 패턴 촬영 결과(213A)를 생성하여 컴퓨터(230)에 전달하고, 제4 인식 패턴 이미지를 표시하는 제4 분할 영역(DR4)을 촬영하여 제4 인식 패턴 촬영 결과(214A)를 생성하여 컴퓨터(230)에 전달할 수 있다. 이후에는 제1 인식 패턴 촬영 결과(211A)에 대하여 기술한다. 제2 내지 제4 인식 패턴 촬영 결과(212A, 213A 및 214A)는 이후 제1 인식 패턴 촬영 결과(211A)에 대한 설명에 기초하여 이해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순서도에 포함되는 상기 하나의 분할 영역에 상기 단색 이미지를 표시하고, 상기 카메라가 상기 하나의 분할 영역을 촬영하여 상기 단색 촬영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표시 패널(210)은 단색 이미지를 제1 분할 영역(DR1), 제2 분할 영역(DR2), 제3 분할 영역(DR3) 및 제4 분할 영역(DR4)에 표시할 수 있다.
카메라(220)가 단색 이미지를 표시하는 제1 분할 영역(DR1)을 촬영하여 제1 단색 촬영 결과(211B)를 생성하여 컴퓨터(230)에 전달하고, 단색 이미지를 표시하는 제2 분할 영역(DR2)을 촬영하여 제2 단색 촬영 결과(212B)를 생성하여 컴퓨터(230)에 전달하고, 단색 이미지를 표시하는 제3 분할 영역(DR3)을 촬영하여 제3 단색 촬영 결과(213B)를 생성하여 컴퓨터(230)에 전달하고, 단색 이미지를 표시하는 제4 분할 영역(DR4)을 촬영하여 제4 단색 촬영 결과(214B)를 생성하여 컴퓨터(230)에 전달할 수 있다.
도 6은 도 2의 순서도에 포함되는 상기 인식 패턴 촬영 결과 및 상기 단색 촬영 결과의 상기 각도 오차를 수정하여 상기 회전된 인식 패턴 촬영 결과 및 상기 회전된 단색 촬영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도 2의 순서도에 포함되는 상기 인식 패턴 촬영 결과 및 상기 단색 촬영 결과의 상기 각도 오차를 수정하여 상기 회전된 인식 패턴 촬영 결과 및 상기 회전된 단색 촬영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S141)는, 상기 인식 패턴 촬영 결과에 포함되는 제1 및 제2 촬영 패턴들의 중심을 이은 직선과 상기 인식 패턴 촬영 결과의 테두리가 형성하는 각도와 기준 각도를 비교하여 회전 각도를 계산하는 단계(단계 S171), 상기 인식 패턴 촬영 결과를 상기 회전 각도만큼 회전하여 상기 회전된 인식 패턴 촬영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단계 S172) 및 상기 단색 촬영 결과를 상기 회전 각도만큼 회전하여 상기 회전된 단색 촬영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단계 S17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 및 8은 도 4의 제1 인식 패턴 촬영 결과에서 회전 각도를 계산하고, 상기 제1 인식 패턴 촬영 결과를 상기 회전 각도만큼 회전하여 제1 회전된 인식 패턴 촬영 결과를 생성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7 및 8을 참조하면, 제1 인식 패턴 촬영 결과(211A)는 제1 패턴(A1)에 상응하는 제1 촬영 패턴(A1C) 및 제2 패턴(B1)에 촬영하는 제2 촬영 패턴(B1C)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회전된 인식 패턴 촬영 결과(211AR)는 제1 촬영 패턴(A1C)에 상응하는 제1 회전된 촬영 패턴(A1R) 및 제2 촬영 패턴(B1C)에 상응하는 제2 회전된 촬영 패턴(B1R)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의 순서도에 포함되는 상기 인식 패턴 촬영 결과에 포함되는 제1 및 제2 촬영 패턴들의 중심을 이은 직선과 상기 인식 패턴 촬영 결과의 테두리가 형성하는 각도와 기준 각도를 비교하여 회전 각도를 계산하는 단계(S171)는 제1 및 제2 촬영 패턴들(A1C, B1C)의 중심을 이은 직선(213C)과 제1 인식 패턴 촬영 결과(211A)의 테두리(212A)가 형상하는 각도(θ2)를 기준 각도(θ1)와 비교하여 회전 각도(θ3)를 계산할 수 있다. 도 6의 순서도에 포함되는 상기 인식 패턴 촬영 결과를 상기 회전 각도만큼 회전하여 상기 회전된 인식 패턴 촬영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S172)는 도 7의 제1 인식 패턴 촬영 결과(211A)를 회전 각도(θ3)만큼 회전하여 도 8의 제1 회전된 인식 패턴 촬영 결과(211AR)를 생성한다.
도 9 및 10은 도 5의 제1 단색 촬영 결과를 상기 회전 각도만큼 회전하여 제1 회전된 단색 촬영 결과를 생성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9 및 10을 참조하면, 도 6의 순서도에 포함되는 상기 단색 촬영 결과를 상기 회전 각도만큼 회전하여 상기 회전된 단색 촬영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S173)는 도 9의 제1 단색 촬영 결과(211B)를 회전 각도(θ3)만큼 회전하여 도 10의 제1 회전된 단색 촬영 결과(211BR)를 생성한다.
도 11은 도 2의 순서도에 포함되는 상기 회전된 단색 촬영 결과 중에서 상기 회전된 인식 패턴 촬영 결과에 포함되는 상기 유효 인식 패턴 촬영 결과에 상응하는 상기 유효 단색 촬영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도 3의 순서도에 포함되는 상기 회전된 단색 촬영 결과 중에서 상기 회전된 인식 패턴 촬영 결과에 포함되는 상기 유효 인식 패턴 촬영 결과에 상응하는 유효 단색 촬영 결과를 추출하는 단계(S142)는, 상기 회전된 인식 패턴 촬영 결과에 포함된 제1 및 제2 회전된 촬영 패턴들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회전된 인식 패턴 촬영 결과 중에서 상기 하나의 분할 영역에 상응하는 유효 인식 패턴 촬영 결과를 찾는 단계(단계 S181) 및 상기 회전된 단색 촬영 결과에서 상기 유효 인식 패턴 촬영 결과에 상응하는 상기 유효 단색 촬영 결과를 추출하는 단계(단계 S18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2는 도 8의 제1 회전된 인식 패턴 촬영 결과에서 제1 유효 인식 패턴 촬영 결과를 추출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회전된 인식 패턴 촬영 결과에 포함된 제1 및 제2 회전된 촬영 패턴들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회전된 인식 패턴 촬영 결과 중에서 상기 하나의 분할 영역에 상응하는 유효 인식 패턴 촬영 결과를 찾는 단계(단계 S181)는 (1) 제1 회전된 촬영 패턴(B1R)의 중심(213A)과 제2 회전된 촬영 패턴(A1R)의 중심(214A) 간의 제1 거리(D1)를 계산하고, (2) 미리 정의된 제1 비율을 제1 거리(D1)에 곱하여 제2 거리(D2)를 계산하고, (3) 제1 회전된 촬영 패턴(A1R)의 중심(214A)에서 제2 회전된 촬영 패턴(B1R)의 중심(213A)의 방향으로 제2 회전된 촬영 패턴(B1R)의 중심(213A)으로부터 제2 거리(D2)만큼 떨어진 곳에 위치하는 제1 꼭지점(215A)의 좌표를 계산하고, (4) 미리 정의된 제2 비율을 제1 거리(D1)에 곱하여 제3 거리(D3)를 계산하고, (5) 제2 회전된 촬영 패턴(B1R)의 중심(213A)에서 제1 회전된 촬영 패턴(A1R)의 중심(214A)의 방향으로 제1 회전된 촬영 패턴(A1R)의 중심(214A)으로부터 제3 거리(D3)만큼 떨어진 곳에 위치하는 제2 꼭지점(212A)의 좌표를 계산하고, (6) 제1 회전된 인식 패턴 촬영 결과(211AR) 중에서 제1 꼭지점(215A)과 제2 꼭지점(212A)을 기초로 형성되는 영역에 상응하는 부분을 제1 유표 인식 패턴 촬영 결과(211AE)로서 추출한다.
도 13은 도 10의 제1 회전된 단색 촬영 결과에서 제1 유효 인식 패턴 촬영 결과에 상응하는 제1 유효 단색 촬영 결과를 추출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회전된 단색 촬영 결과에서 상기 유효 인식 패턴 촬영 결과에 상응하는 상기 유효 단색 촬영 결과를 추출하는 단계(단계 S182)는 제1 회전된 단색 촬영 결과(211BR)에서 도 7의 제1 유표 인식 패턴 촬영 결과(211AE)에 상응하는 제1 유효 단색 촬영 결과(211BE)를 추출한다.
도 14는 도 2의 순서도에 포함되는 상기 유효 인식 패턴 촬영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유효 단색 촬영 결과를 확대 또는 축소하여 상기 수정된 단색 촬영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도 2의 순서도에 포함되는 상기 유효 인식 패턴 촬영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유효 단색 촬영 결과를 확대 또는 축소하여 상기 수정된 단색 촬영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S143)는, 상기 유효 인식 패턴 촬영 결과에 포함되는 제1 및 제2 유효 촬영 패턴들의 크기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의 분할 영역과 상기 카메라 간의 거리에 상응하는 상대 거리를 계산하는 단계(단계 S191), 상기 상대 거리가 기준 거리보다 큰 경우 상기 유효 단색 촬영 결과를 확대하여 상기 수정된 단색 촬영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단계 S192), 상기 상대 거리가 상기 기준 거리와 같은 경우 상기 유효 단색 촬영 결과를 상기 수정된 단색 촬영 결과로서 출력하는 단계(단계 S193) 및 상기 상대 거리가 상기 기준 거리보다 작은 경우 상기 유효 단색 촬영 결과를 축소하여 상기 수정된 단색 촬영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단계 S19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5 내지 19는 도 14의 순서도에 포함되는 단계들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상기 유효 인식 패턴 촬영 결과에 포함된 상기 제1 및 제2 유효 촬영 패턴들의 크기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의 분할 영역과 상기 카메라 간의 거리에 상응하는 상기 상대 거리를 계산하는 단계(S191)는, 상기 제1 및 제2 유효 촬영 패턴들의 크기와 유닛 마스크에 기초하여 확장 연산(Dilation operation)을 통해 반복적으로 확장되는 기준 패턴의 크기를 비교하여 상기 상대 거리를 계산하는 단계(단계 S19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유효 촬영 패턴들의 크기와 상기 유닛 마스크에 기초하여 상기 확장 연산을 통해 반복적으로 확장되는 상기 기준 패턴의 크기를 비교하여 상기 상대 거리를 계산하는 단계(S195)는 도 16 내지 19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16을 참조하면, 카메라(311)가 패턴(P; 331)을 촬영하여 생성하는 제1 촬영 패턴(321)의 크기가 1 픽셀이 될 때 카메라(311)와 패턴(P)간의 거리를 최대 거리(MD)로 지칭한다. 촬영 패턴들(321, 322, 323 및 324)의 크기는 카메라(311)와 패턴(P) 간의 거리에 반비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16의 경우, 패턴(P)과 카메라(311) 간의 거리가 MD/2일 때, 패턴(P)의 크기와 촬영 패턴(323)의 크기가 동일해진다.
도 17은 촬영 패턴(411)에 유닛 마스크(412)를 확장 연산(Dilation operation)하여 확장된 촬영 패턴(413)을 생성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촬영 패턴(411)에 포함되는 하나의 픽셀에 유닛 마스크(412)의 중심을 위치시키고, 유닛 마스크(412)에 해당하는 부분을 촬영 패턴(411)에 포함시켜 촬영 패턴(411)을 확장한다. 촬영 패턴(411)에 포함되는 모든 픽셀에 상기 확장을 수행하면 확장된 촬영 패턴(413)을 생성할 수 있다.
유닛 마스크(412)는 도시된 사각형 외 원형, 삼각형 또는 마름모 등 여러 형태의 도형일 수 있다.
도 18은 반복적인 확장 연산으로 도 16의 카메라와 패턴 간의 거리에 상응하는 상대 거리를 계산하는 알고리즘을 나타내는 슈도 코드(Pseudo code)이다. 상기 알고리즘은 카메라(311)가 패턴(P)을 촬영하여 생성한 촬영 패턴(A)의 크기에 기초하여, 카메라(311)와 패턴(P)과의 거리에 상응하는 상대 거리(RD; Relative distance)를 계산할 수 있다.
기준 패턴(B)은 1 픽셀로 초기화되고, 상대 거리(RD)는 MAX 값으로 초기화된다. 초기화된 기준 패턴(B)은 도 16의 제1 촬영 패턴(321)에 상응하고, MAX는 도 16의 최대 거리(MD)에 상응한다.
촬영 패턴(A)이 기준 패턴(B)보다 큰 경우, 기준 패턴(B)과 유닛 마스크(m)를 확장 연산한 결과(B DIL m)를 기준 패턴(B)에 다시 저장하고, 상대 거리(RD)를 1만큼 감소시킨다. 상기 계산을 기준 패턴(B)이 촬영 패턴(A)보다 커지기 전까지 반복하여 카메라(311)와 패턴(P)과의 거리에 상응하는 상대 거리(RD)를 계산한다.
기준 거리(ID)는 패턴(P)의 크기와 촬영 패턴(A)의 크기가 동일해 질 때의 패턴(P)과 카메라(311) 간의 거리인 MD/2에 상응하는 상대 거리(RD)일 수 있다.
도 19를 참조하면, 도 14의 순서도에 포함되는 상기 상대 거리가 상기 기준 거리보다 큰 경우 상기 유효 단색 촬영 결과를 확대하여 상기 수정된 단색 촬영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S192)는 도 18의 상대 거리(RD)가 기준 거리(ID)보다 큰 경우 제1 유효 단색 촬영 결과(211BE)를 확대한 결과(211BL)를 제1 수정된 단색 촬영 결과(211B_EDITED)로서 생성할 수 있다. 도 14의 순서도에 포함되는 상기 상대 거리가 상기 기준 거리와 같은 경우 상기 유효 단색 촬영 결과를 상기 수정된 단색 촬영 결과로서 출력하는 단계(S193)는 도 18의 상대 거리(RD)와 기준 거리(ID)가 동일한 경우 제1 유효 단색 촬영 결과(211BE)를 제1 수정된 단색 촬영 결과(211B_EDITED)로서 출력할 수 있다. 도 14의 순서도에 포함되는 상기 상대 거리가 상기 기준 거리보다 작은 경우 상기 유효 단색 촬영 결과를 축소하여 상기 수정된 단색 촬영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S194)는 도 18의 상대 거리(RD)가 기준 거리(ID)보다 작은 경우 제1 유효 단색 촬영 결과(211BE)를 축소한 결과(211BS)를 제1 수정된 단색 촬영 결과(211B_EDITED)로서 생성할 수 있다.
도 20은 도 1의 순서도에 포함되는 상기 복수의 수정된 단색 촬영 결과들을 조합하여 상기 표시 패널의 전체 단색 촬영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도 1에 포함되는 상기 복수의 수정된 단색 촬영 결과들을 조합하여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전체 단색 촬영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S160)는 제1 내지 제4 단색 촬영 결과들(211B, 212B, 213B 및 214B)을 수정하여 생성한 제1 내지 제4 수정된 단색 촬영 결과들(211B_EDITED, 212B_EDITED, 213B_EDITED 및 214B_EDITED)을 조합하여 표시 패널(210)의 전체 단색 촬영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제2 수정된 단색 촬영 결과(212B_EDITED)에 로고(SBS) 형태의 이미지 교착(Image sticking) 현상이 발생했음을 알 수 있다.
제2 내지 제4 수정된 단색 촬영 결과들(212B_EDITED, 213B_EDITED 및 214B_EDITED)을 생성하는 과정은 도 6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이해할 수 있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1 및 22는 도 3의 발광 상태 측정 시스템에 포함되는 표시 패널에 표시되는 인식 패턴 이미지의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21은 표시 패널(210)의 4개의 분할 영역들이 각각 삼각형의 제1 및 제2 패턴을 포함하는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22는 표시 패널(210)의 16개의 분할 영역들이 각각 삼각형, 원형, 마름모 또는 사각형의 제1 및 제2 패턴들을 포함하는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의 발광 상태 보정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3을 참조하면, 표시 패널의 발광 상태 보정 방법은, 상기 표시 패널이 카메라의 촬영 범위보다 좁은 복수의 분할 영역들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 패널이 상기 촬영 범위보다 넓은 경우, 상기 촬영 범위가 상기 복수의 분할 영역들 중 하나의 분할 영역을 포함하도록 상기 카메라의 위치를 설정하는 단계(단계 S210), 상기 하나의 분할 영역에 인식 패턴 이미지를 표시하고, 상기 카메라가 상기 하나의 분할 영역을 촬영하여 인식 패턴 촬영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단계 S220), 상기 하나의 분할 영역에 단색 이미지를 표시하고, 상기 카메라가 상기 하나의 분할 영역을 촬영하여 단색 촬영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단계 S230), 상기 인식 패턴 촬영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단색 촬영 결과를 수정하여 상기 하나의 분할 영역에 상응하는 수정된 단색 촬영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단계 S240), 상기 복수의 분할 영역들에 상응하는 복수의 수정된 단색 촬영 결과들을 모두 생성할 때까지 상기 카메라의 위치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인식 패턴 촬영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단색 촬영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수정된 단색 촬영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를 반복하는 단계(단계 S250), 상기 복수의 수정된 단색 촬영 결과들을 조합하여 상기 표시 패널의 전체 단색 촬영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단계 S260) 및 상기 전체 단색 촬영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 패널의 발광 상태를 보정하는 단계(단계 S270)를 포함한다.
상기 단계들(S210 내지 S260)은 도 1 내지 도 22를 참조하여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전체 단색 촬영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 패널의 발광 상태를 보정하는 단계(S270)에 대하여 도 25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24는 도 23의 순서도에 포함되는 상기 인식 패턴 촬영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단색 촬영 결과를 수정하여 상기 하나의 분할 영역에 상응하는 상기 수정된 단색 촬영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4를 참조하면, 상기 인식 패턴 촬영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단색 촬영 결과를 수정하여 상기 하나의 분할 영역에 상응하는 상기 수정된 단색 촬영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S240)는, 상기 인식 패턴 촬영 결과 및 상기 단색 촬영 결과의 각도 오차를 수정하여 회전된 인식 패턴 촬영 결과 및 회전된 단색 촬영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단계 S241), 상기 회전된 단색 촬영 결과 중에서 상기 회전된 인식 패턴 촬영 결과에 포함되는 유효 인식 패턴 촬영 결과에 상응하는 유효 단색 촬영 결과를 추출하는 단계(단계 S242) 및 상기 유효 인식 패턴 촬영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유효 단색 촬영 결과를 확대 또는 축소하여 상기 수정된 단색 촬영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단계 S24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계들(S241 내지 S243)은 도 2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이해할 수 있다.
도 25는 도 23의 순서도에 포함되는 상기 전체 단색 촬영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발광 상태를 보정하는 단계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5를 참조하면, 상기 전체 단색 촬영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발광 상태를 보정하는 단계(S270)는, 상기 전체 단색 촬영 결과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휘도로 표시되는 영역에 상응하는 상기 표시 패널의 픽셀들에 제공되는 전류량을 감소시키는 단계(단계 S271) 및 상기 전체 단색 촬영 결과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휘도로 표시되는 영역에 상응하는 상기 표시 패널의 픽셀들에 제공되는 전류량을 증가시키는 단계(단계 S27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체 단색 촬영 결과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휘도로 표시되는 영역에 상응하는 상기 표시 패널의 픽셀들에 제공되는 전류량을 감소시키는 단계(S271)는 도 20의 제2 수정된 단색 촬영 결과(212B_EDITED)에 포함된 로고(SBS)가 높은 휘도로 표시되는 경우, 로고(SBS)에 상응하는 표시 패널(210)의 픽셀들에 제공되는 전류량을 감소시켜, 표시 패널(210)의 발광 상태를 보정할 수 있다.
상기 전체 단색 촬영 결과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휘도로 표시되는 영역에 상응하는 상기 표시 패널의 픽셀들에 제공되는 전류량을 증가시키는 단계(S272)는 도 20의 제2 수정된 단색 촬영 결과(212B_EDITED)에 포함된 로고(SBS)가 낮은 휘도로 표시되는 경우, 로고(SBS)에 상응하는 표시 패널(210)의 픽셀들에 제공되는 전류량을 감소시켜, 표시 패널(210)의 발광 상태를 보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 기기에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모니터, 텔레비전, 컴퓨터, 노트북, 디지털 카메라, 휴대폰,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피디에이(PDA), 피엠피(PMP), MP3 플레이어, 네비게이션 시스템, 캠코더 등에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6)

  1. 카메라의 촬영 범위보다 좁은 복수의 분할 영역들을 포함하고, 상기 촬영 범위보다 넓은 표시 패널의 발광 상태 측정 방법으로서,
    상기 촬영 범위가 상기 복수의 분할 영역들 중 하나의 분할 영역을 포함하도록 상기 카메라의 위치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하나의 분할 영역에 인식 패턴 이미지를 표시하고, 상기 카메라가 상기 하나의 분할 영역을 촬영하여 인식 패턴 촬영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하나의 분할 영역에 단색 이미지를 표시하고, 상기 카메라가 상기 하나의 분할 영역을 촬영하여 단색 촬영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인식 패턴 촬영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단색 촬영 결과를 수정하여 상기 하나의 분할 영역에 상응하는 수정된 단색 촬영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분할 영역들에 상응하는 복수의 수정된 단색 촬영 결과들을 모두 생성할 때까지 상기 카메라의 위치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인식 패턴 촬영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단색 촬영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수정된 단색 촬영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를 반복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수정된 단색 촬영 결과들을 조합하여 상기 표시 패널의 전체 단색 촬영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의 발광 상태 측정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 패턴 촬영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단색 촬영 결과를 수정하여 상기 하나의 분할 영역에 상응하는 상기 수정된 단색 촬영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인식 패턴 촬영 결과 및 상기 단색 촬영 결과의 각도 오차를 수정하여 회전된 인식 패턴 촬영 결과 및 회전된 단색 촬영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회전된 단색 촬영 결과 중에서 상기 회전된 인식 패턴 촬영 결과에 포함되는 유효 인식 패턴 촬영 결과에 상응하는 유효 단색 촬영 결과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유효 인식 패턴 촬영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유효 단색 촬영 결과를 확대 또는 축소하여 상기 수정된 단색 촬영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의 발광 상태 측정 방법.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 패턴 촬영 결과 및 상기 단색 촬영 결과의 상기 각도 오차를 수정하여 상기 회전된 인식 패턴 촬영 결과 및 상기 회전된 단색 촬영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인식 패턴 촬영 결과에 포함되는 제1 및 제2 촬영 패턴들의 중심을 이은 직선과 상기 인식 패턴 촬영 결과의 테두리가 형성하는 각도와 기준 각도를 비교하여 회전 각도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인식 패턴 촬영 결과를 상기 회전 각도만큼 회전하여 상기 회전된 인식 패턴 촬영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단색 촬영 결과를 상기 회전 각도만큼 회전하여 상기 회전된 단색 촬영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의 발광 상태 측정 방법.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각도는 상기 인식 패턴 이미지에 포함되는 제1 및 제2 패턴들의 중심을 이은 직선과 상기 인식 패턴 이미지의 테두리가 형성하는 각도인 표시 패널의 발광 상태 측정 방법.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된 단색 촬영 결과 중에서 상기 회전된 인식 패턴 촬영 결과에 포함되는 상기 유효 인식 패턴 촬영 결과에 상응하는 유효 단색 촬영 결과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회전된 인식 패턴 촬영 결과에 포함된 제1 및 제2 회전된 촬영 패턴들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회전된 인식 패턴 촬영 결과 중에서 상기 하나의 분할 영역에 상응하는 유효 인식 패턴 촬영 결과를 찾는 단계; 및
    상기 회전된 단색 촬영 결과에서 상기 유효 인식 패턴 촬영 결과에 상응하는 상기 유효 단색 촬영 결과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의 발광 상태 측정 방법.
  6.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 인식 패턴 촬영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유효 단색 촬영 결과를 확대 또는 축소하여 상기 수정된 단색 촬영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유효 인식 패턴 촬영 결과에 포함되는 제1 및 제2 유효 촬영 패턴들의 크기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의 분할 영역과 상기 카메라 간의 거리에 상응하는 상대 거리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상대 거리가 기준 거리보다 큰 경우 상기 유효 단색 촬영 결과를 확대하여 상기 수정된 단색 촬영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상대 거리가 상기 기준 거리와 같은 경우 상기 유효 단색 촬영 결과를 상기 수정된 단색 촬영 결과로서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상대 거리가 상기 기준 거리보다 작은 경우 상기 유효 단색 촬영 결과를 축소하여 상기 수정된 단색 촬영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의 발광 상태 측정 방법.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 인식 패턴 촬영 결과에 포함된 상기 제1 및 제2 유효 촬영 패턴들의 크기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의 분할 영역과 상기 카메라 간의 거리에 상응하는 상기 상대 거리를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및 제2 유효 촬영 패턴들의 크기와 유닛 마스크에 기초하여 확장 연산(Dilation operation)을 통해 반복적으로 확장되는 기준 패턴의 크기를 비교하여 상기 상대 거리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의 발광 상태 측정 방법.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거리는 상기 인식 패턴 이미지에 포함되는 제1 및 제2 패턴들의 크기와 상기 제1 및 제2 유효 촬영 패턴들의 크기가 동일해 지는 상기 하나의 분할 영역과 상기 카메라 간의 거리에 상응하는 상대 거리인 표시 패널의 발광 상태 측정 방법.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 영역들은 각각 직사각형의 형태를 가지는 표시 패널의 발광 상태 측정 방법.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 패턴 이미지는,
    상기 하나의 분할 영역의 중심에 위치하는 제1 패턴; 및
    상기 제1 패턴의 중심과 상기 하나의 분할 영역의 꼭지점들 중 하나의 꼭지점을 잇는 직선 상에 중심이 위치하는 제2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인식 패턴 촬영 결과는,
    상기 제1 패턴에 상응하는 제1 촬영 패턴; 및
    상기 제2 패턴에 촬영하는 제2 촬영 패턴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의 발광 상태 측정 방법.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패턴의 크기와 상기 제2 패턴의 크기가 상이한 표시 패널의 발광 상태 측정 방법.
  12.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패턴과 상기 제2 패턴은 각각 원형, 삼각형, 사각형 또는 마름모인 표시 패널의 발광 상태 측정 방법.
  13. 카메라의 촬영 범위보다 좁은 복수의 분할 영역들을 포함하고, 상기 촬영 범위보다 넓은 표시 패널의 발광 상태 보정 방법으로서,
    상기 촬영 범위가 상기 복수의 분할 영역들 중 하나의 분할 영역을 포함하도록 상기 카메라의 위치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하나의 분할 영역에 인식 패턴 이미지를 표시하고, 상기 카메라가 상기 하나의 분할 영역을 촬영하여 인식 패턴 촬영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하나의 분할 영역에 단색 이미지를 표시하고, 상기 카메라가 상기 하나의 분할 영역을 촬영하여 단색 촬영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인식 패턴 촬영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단색 촬영 결과를 수정하여 상기 하나의 분할 영역에 상응하는 수정된 단색 촬영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분할 영역들에 상응하는 복수의 수정된 단색 촬영 결과들을 모두 생성할 때까지 상기 카메라의 위치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인식 패턴 촬영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단색 촬영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수정된 단색 촬영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를 반복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수정된 단색 촬영 결과들을 조합하여 상기 표시 패널의 전체 단색 촬영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전체 단색 촬영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 패널의 발광 상태를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의 발광 상태 보정 방법.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 패턴 촬영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단색 촬영 결과를 수정하여 상기 하나의 분할 영역에 상응하는 상기 수정된 단색 촬영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인식 패턴 촬영 결과 및 상기 단색 촬영 결과의 각도 오차를 수정하여 회전된 인식 패턴 촬영 결과 및 회전된 단색 촬영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회전된 단색 촬영 결과 중에서 상기 회전된 인식 패턴 촬영 결과에 포함되는 유효 인식 패턴 촬영 결과에 상응하는 유효 단색 촬영 결과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유효 인식 패턴 촬영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유효 단색 촬영 결과를 확대 또는 축소하여 상기 수정된 단색 촬영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의 발광 상태 보정 방법.
  15.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체 단색 촬영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발광 상태를 보정하는 단계는,
    상기 전체 단색 촬영 결과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휘도로 표시되는 영역에 상응하는 상기 표시 패널의 픽셀들에 제공되는 전류량을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의 발광 상태 보정 방법.
  16.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체 단색 촬영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발광 상태를 보정하는 단계는,
    상기 전체 단색 촬영 결과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휘도로 표시되는 영역에 상응하는 상기 표시 패널의 픽셀들에 제공되는 전류량을 증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의 발광 상태 보정 방법.
KR1020150001090A 2015-01-06 2015-01-06 표시 패널의 발광 상태 측정 방법 및 표시 패널의 발광 상태 보정 방법 KR1022387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1090A KR102238741B1 (ko) 2015-01-06 2015-01-06 표시 패널의 발광 상태 측정 방법 및 표시 패널의 발광 상태 보정 방법
US14/730,949 US9462265B2 (en) 2015-01-06 2015-06-04 Method of measuring light emission of display panel and method of compensating light emission of display pane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1090A KR102238741B1 (ko) 2015-01-06 2015-01-06 표시 패널의 발광 상태 측정 방법 및 표시 패널의 발광 상태 보정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4888A true KR20160084888A (ko) 2016-07-15
KR102238741B1 KR102238741B1 (ko) 2021-04-12

Family

ID=56287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1090A KR102238741B1 (ko) 2015-01-06 2015-01-06 표시 패널의 발광 상태 측정 방법 및 표시 패널의 발광 상태 보정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462265B2 (ko)
KR (1) KR10223874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97613B (zh) * 2016-08-08 2019-08-02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显示屏残影检测系统及方法
US10911748B1 (en) 2018-07-10 2021-02-02 Apple Inc. Display calibration system
CN110017969B (zh) * 2019-05-05 2020-04-10 清华大学 透明oled的参数确定方法和装置
US11575884B1 (en) 2019-07-26 2023-02-07 Apple Inc. Display calibration syste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24133B2 (ko) * 1974-02-20 1981-06-04
KR20000031904A (ko) * 1998-11-11 2000-06-05 윤종용 본딩 와이어 검사 방법 및 장치
KR20100131765A (ko) * 2009-06-08 2010-12-16 심재용 디스플레이 패턴을 이용하는 미세 포인팅 방법 및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75542A (ja) * 1994-09-05 1996-03-22 Otsuka Denshi Kk 表示画素の光量測定方法並びに表示画面の検査方法及び装置
KR100312964B1 (ko) 1999-06-18 2001-11-03 오희범 다중카메라 영상 합성시스템 및 영상 합성 방법
KR20030042514A (ko) * 2001-11-23 2003-06-02 삼성전기주식회사 Crt 화상장치의 디지털 동적 컨버전스 제어 시스템
US6982744B2 (en) * 2002-04-15 2006-01-03 Radiant Imaging, Inc. Multi-point calibration method for imaging light and color measurement device
KR100996549B1 (ko) 2003-10-30 2010-11-2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소자의 패턴검사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패턴검사및 패턴복원방법
KR101156683B1 (ko) 2005-04-22 2012-06-1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의 분할촬영 방법
KR101156684B1 (ko) 2005-08-03 2012-06-1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의 분할촬영 방법
JP5314239B2 (ja) * 2006-10-05 2013-10-16 株式会社キーエンス 光学式変位計、光学式変位測定方法、光学式変位測定プログラム及びコンピュータで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並びに記録した機器
JP5202546B2 (ja) * 2007-02-25 2013-06-05 ヒューマンアイズ テクノロジーズ リミテッド マルチ画像表示を較正および/または視覚化しかつゴーストアーチファクトを低減するための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100985003B1 (ko) 2008-03-10 2010-10-04 (주)세미솔루션 멀티 ccd 센서의 영상처리 장치 및 그 영상처리 방법
JP5624133B2 (ja) 2010-06-04 2014-11-1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発光表示パネルの輝度測定方法
US8836796B2 (en) * 2010-11-23 2014-09-16 Dolby Laboratories Licensing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 characterization or calibration using a camera device
JP6049309B2 (ja) * 2012-06-01 2016-12-21 キヤノン株式会社 測定装置、眼科撮影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005760B1 (ko) 2012-11-27 2019-08-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타이밍 컨트롤러 및 그 구동 방법과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JP6091866B2 (ja) * 2012-11-30 2017-03-08 株式会社キーエンス 計測顕微鏡装置、画像生成方法及び計測顕微鏡装置操作プログラム並びにコンピュータで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KR20140095333A (ko) 2013-01-24 2014-08-01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영상에서 객체 추적 방법 및 장치
US9532023B2 (en) * 2013-03-29 2016-12-27 Konica Minolta Laboratory U.S.A., Inc. Color reproduction of display camera syste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24133B2 (ko) * 1974-02-20 1981-06-04
KR20000031904A (ko) * 1998-11-11 2000-06-05 윤종용 본딩 와이어 검사 방법 및 장치
KR20100131765A (ko) * 2009-06-08 2010-12-16 심재용 디스플레이 패턴을 이용하는 미세 포인팅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8741B1 (ko) 2021-04-12
US9462265B2 (en) 2016-10-04
US20160198153A1 (en) 2016-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58881B2 (en) Parallax minimization stitching method and apparatus using control points in overlapping region
US8000561B2 (en) Apparatus, method, and medium for generating panoramic image using a series of images captured in various directions
US10726580B2 (en) Method and device for calibration
TWI719493B (zh) 投影系統、投影裝置以及其顯示影像的校正方法
US9838614B1 (en) Multi-camera image data generation
US9892488B1 (en) Multi-camera frame stitching
KR102236222B1 (ko) 중첩영역의 제어점들을 이용한 시차 최소화 스티칭 장치 및 방법
CN113256742B (zh) 界面展示方法、装置、电子设备和计算机可读介质
US20130120451A1 (en) Image processing device, image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KR20160084888A (ko) 표시 패널의 발광 상태 측정 방법 및 표시 패널의 발광 상태 보정 방법
CN110992887B (zh) Mura补偿数据获取方法、装置和显示装置
US20210385383A1 (en) Method for processing image by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same
US10104286B1 (en) Motion de-blurring for panoramic frames
US11380016B2 (en) Fisheye camera calibration system,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WO2019171984A1 (ja) 信号処理装置、信号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16204068A1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ならびにプロジェクションシステム
US11514608B2 (en) Fisheye camera calibration system,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CN107197222B (zh) 生成投影设备的校正信息的方法及装置
CN113989392A (zh) 拼接摄像机的彩色棋盘格标定方法、装置及摄像机
JP2006221599A (ja) マッピング関数生成方法及びその装置並びに複合映像生成方法及びその装置
CN117522963A (zh) 棋盘格的角点定位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US20080170799A1 (en) Method for calibrating a response curve of a camera
JP4747293B2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並びにこれらに用いるプログラム
JPWO2009107365A1 (ja) 複眼測距装置の検査方法及び検査装置並びにそれに用いるチャート
TW201335860A (zh) 靜態標誌偵測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