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4811A -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디바이스,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디바이스,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4811A
KR20160084811A KR1020157036096A KR20157036096A KR20160084811A KR 20160084811 A KR20160084811 A KR 20160084811A KR 1020157036096 A KR1020157036096 A KR 1020157036096A KR 20157036096 A KR20157036096 A KR 20157036096A KR 20160084811 A KR20160084811 A KR 201600848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triggering event
acoustic feedback
user
ev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360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90216B1 (ko
Inventor
황성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퓨처플레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퓨처플레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퓨처플레이
Publication of KR201600848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48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02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02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2Spatial or constructional arrangements of loudspeak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7Audio in a user interface, e.g. using voice commands for navigating, audio feedba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5/00Pseudo-stereo systems, e.g. in which additional channel signals are derived from monophonic signals by means of phase shifting, time delay or reverberation 
    • H04S5/02Pseudo-stereo systems, e.g. in which additional channel signals are derived from monophonic signals by means of phase shifting, time delay or reverberation  of the pseudo four-channel type, e.g. in which rear channel signals are derived from two-channel stereo sign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84/00Music
    • Y10S84/26Reverb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제1 디바이스 및 제2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를 기준으로 한 상대적인 위치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디바이스 및 상기 제2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에서 음향 피드백을 유발하는 트리거링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트리거링 이벤트의 유형에 관한 정보, 상기 획득된 상대적인 위치에 관한 정보, 상기 트리거링 이벤트와 연관된 표시 상태에 관한 정보, 상기 트리거링 이벤트와 연관된 컨텐츠 또는 기능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제1 디바이스 및 제2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의 음향 성능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참조로 하여, 상기 제1 디바이스 및 상기 제2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에서 제공되는 음향 피드백의 속성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디바이스,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METHOD, DEVICE,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본 발명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디바이스,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들어, 스마트폰, 스마트 패드 등과 같이 다양한 통신 및 센싱 기능과 강력한 연산 기능을 갖춘 이동식 스마트 디바이스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이동식 스마트 디바이스 중에는 사용자가 신체에 착용하여 휴대할 수 있는 비교적 작은 크기의 것(예를 들면, 스마트 글래스, 스마트 워치, 스마트 밴드, 링이나 브로치와 같은 형태의 스마트 디바이스, 신체나 의류에 직접적으로 착용되거나 매립되는 스마트 디바이스 등)도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사용자는 본인의 두 개 이상의 (이종의) 스마트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어떤 작업을 수행하려고 하거나, 본인의 스마트 디바이스와 다른 사용자의 디바이스가 함께 개입될 필요가 있는 어떤 작업이 수행되게끔 하려고 할 수 있으며, 그 작업이 수행되고 있는 상태에 관한 정보를 직관적으로 제공 받기를 원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에 따르면, 이러한 사용자의 (잠재적인) 의도와 니즈(Needs)가 적절하게 서포팅될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모두 해결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디바이스 또는 제2 디바이스의 사용자를 기준으로 한 상대적인 위치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고, 제1 디바이스 또는 제2 디바이스에서 음향 피드백을 유발하는 트리거링 이벤트가 발생하면, 위의 트리거링 이벤트의 유형에 관한 정보, 위의 획득된 상대적인 위치에 관한 정보, 위의 트리거링 이벤트와 연관된 표시 상태에 관한 정보, 위의 트리거링 이벤트와 연관된 컨텐츠 또는 기능에 관한 정보 또는 제1 디바이스 및 제2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의 음향 성능에 관한 정보를 참조로 하여, 제1 디바이스 또는 제2 디바이스에서 제공되는 음향 피드백의 속성을 제어함으로써, 연관된 두 개 이상의 디바이스 각각에 구비된 스피커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보다 실감 나는 음향을 제공하고, 두 개 이상의 디바이스가 연관된 상태에서 수행되는 작업에 관한 정보를 음향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직관적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대표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제1 디바이스 및 제2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를 기준으로 한 상대적인 위치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디바이스 및 상기 제2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에서 음향 피드백을 유발하는 트리거링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트리거링 이벤트의 유형에 관한 정보, 상기 획득된 상대적인 위치에 관한 정보, 상기 트리거링 이벤트와 연관된 표시 상태에 관한 정보, 상기 트리거링 이벤트와 연관된 컨텐츠 또는 기능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제1 디바이스 및 제2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의 음향 성능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참조로 하여, 상기 제1 디바이스 및 상기 제2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에서 제공되는 음향 피드백의 속성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디바이스로서, 상기 디바이스의 사용자를 기준으로 한 상대적인 위치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디바이스 및 상기 디바이스와 연관된 다른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에서 음향 피드백을 유발하는 트리거링 이벤트가 발생하는 것을 감지하는 기술 수단, 및 상기 트리거링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트리거링 이벤트의 유형에 관한 정보, 상기 획득된 상대적인 위치에 관한 정보, 상기 트리거링 이벤트와 연관된 표시 상태에 관한 정보, 상기 트리거링 이벤트와 연관된 컨텐츠 또는 기능에 관한 정보 및 상기 디바이스 및 상기 다른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의 음향 성능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참조로 하여, 상기 디바이스 및 상기 다른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에서 제공되는 음향 피드백의 속성을 제어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포함하는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따르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제1 디바이스 및 제2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를 기준으로 한 상대적인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1 디바이스 및 상기 제2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에서 음향 피드백을 유발하는 트리거링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트리거링 이벤트의 유형에 관한 정보, 상기 획득된 상대적인 위치에 관한 정보, 상기 트리거링 이벤트와 연관된 표시 상태에 관한 정보, 상기 트리거링 이벤트와 연관된 컨텐츠 또는 기능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제1 디바이스 및 제2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의 음향 성능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참조로 하여, 상기 제1 디바이스 및 상기 제2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에서 제공되는 음향 피드백의 속성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1 디바이스 및 상기 제2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제공 받은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소를 포함하는 시스템이 제공된다.
이 외에도,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방법, 디바이스, 시스템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기 위한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더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되어 있는 디바이스와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되어 있지 않은 디바이스 사이에서 수행되는 작업이나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되어 있는 둘 이상의 디바이스 사이에서 수행되는 작업에 관한 정보를 직감시키는 다양한 패턴의 음향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서로 연관된 두 개 이상의 디바이스에 각각 구비된 스피커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보다 실감 나는(또는 공간감이 풍부한) 음향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달성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디바이스의 사용자를 기준으로 하는 상대적인 위치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되지 않은 제1 디바이스와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되는 제2 디바이스에서 음향 피드백이 제공되는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트리거링 이벤트와 연관된 부분의 표시 상태에 기초하여 둘 이상의 디바이스에서 제공되는 음향 피드백의 속성(즉, 패턴)을 제어하는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둘 이상의 디바이스에서 음향 피드백이 제공되는 시간을 제어하는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둘 이상의 디바이스가 연관된 상태에서 수행되는 다양한 작업에 기초하여 음향 피드백이 제공되는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되는 둘 이상의 디바이스에서 음향 피드백이 제공되는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둘 이상의 사용자의 신체에 각각 착용되는 둘 이상의 디바이스에서 음향 피드백이 제공되는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전체 시스템의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은 통신망(100),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200), 및 복수의 디바이스(310, 3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망(100)은 유선 통신이나 무선 통신과 같은 통신 양태를 가리지 않고 구성될 수 있으며,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도시권 통신망(MAN; Metropolitan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등 다양한 통신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명세서에서 말하는 통신망(100)은 공지의 인터넷 또는 월드와이드웹(WWW; World Wide Web)일 수 있다. 그러나, 통신망(100)은, 굳이 이에 국한될 필요 없이, 공지의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 공지의 전화망 또는 공지의 유무선 텔레비전 통신망을 그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 포함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200)은 메모리 수단을 구비하고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탑재하여 연산 능력을 갖춘 디지털 기기일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200)은 서버 시스템일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200)은 통신망(100)을 통하여 디바이스(310, 320) 중 하나가 다른 하나로 소정의 정보나 제어 명령을 제공하거나, 하나가 다른 하나로부터 소정의 정보나 제어 명령을 제공 받도록 매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200)은, 아래에서 자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제1 디바이스(310) 또는 제2 디바이스(320)의 사용자를 기준으로 한 상대적인 위치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고, 제1 디바이스(310) 또는 제2 디바이스(320)에서 음향 피드백을 유발하는 트리거링 이벤트가 발생하면, 위의 트리거링 이벤트의 유형에 관한 정보, 위의 획득된 상대적인 위치에 관한 정보, 위의 트리거링 이벤트와 연관된 표시 상태에 관한 정보, 위의 트리거링 이벤트와 연관된 컨텐츠 또는 기능에 관한 정보 또는 제1 디바이스(310) 및 제2 디바이스(320) 중 적어도 하나의 음향 성능에 관한 정보를 참조로 하여, 제1 디바이스(310) 또는 제2 디바이스(320)에서 제공되는 음향 피드백의 속성을 제어함으로써, 연관된 두 개 이상의 디바이스 각각에 구비된 스피커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보다 실감 나는 음향을 제공하고, 두 개 이상의 디바이스가 연관된 상태에서 수행되는 작업에 관한 정보를 음향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직관적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200)에 의하여 포함되는 제어부(미도시됨)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200) 내에서 프로그램 모듈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은 운영 시스템, 응용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프로그램 모듈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 모듈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200)과 통신 가능한 원격 기억 장치에 저장될 수도 있다. 한편, 프로그램 모듈은 본 발명에 따라 후술할 특정 업무를 수행하거나 특정 추상 데이터 유형을 실행하는 루틴, 서브루틴, 프로그램, 오브젝트, 컴포넌트, 데이터 구조 등을 포괄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200)은 복수의 디바이스(310, 32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제공 받은 사용자를 기준으로 한 상대적인 위치 또는 신체 착용 위치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고, 이것이 복수의 디바이스(310, 320)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여 이용되도록 하는 기능을 더 수행할 수 있다. 나아가,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200)은 복수의 디바이스(310, 320) 중 적어도 하나에서 제공되고 있는 컨텐츠 또는 기능을 구성하는 정보를 저장하고, 이러한 정보가 복수의 디바이스(310, 320)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여 이용되도록 하는 기능을 더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저장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200)에 의하여 포함되는 저장소(미도시됨)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저장소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포함하는 개념으로서, 협의의 데이터베이스뿐만 아니라 파일 시스템에 기반을 둔 데이터 기록 등을 포함하는 광의의 데이터베이스일 수도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200)의 기능에 관하여는 아래에서 더 자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한편,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200)에 관하여 위와 같이 설명되었으나, 이러한 설명은 예시적인 것이고,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200)에 요구되는 기능이나 구성요소의 적어도 일부가 필요에 따라 조작의 대상이 되는 복수의 디바이스(310, 320) 중 적어도 하나에서 실현되거나 포함될 수도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디바이스(310, 32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200) 또는 복수의 디바이스(310, 320) 중 상대되는 것(바람직하게는, 복수의 디바이스(310, 320)는 서로 분리되어 있거나 외부화(externalization) 되어 있을 수 있음)에 접속한 후 통신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하는 디지털 기기로서, 메모리 수단을 구비하고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탑재하여 연산 능력을 갖춘 디지털 기기라면 얼마든지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310, 320)로서 채택될 수 있다. 디바이스(310, 320)는 스마트폰, 스마트 패드, 스마트 글래스, 스마트 워치, 스마트 밴드, 스마트 링, 스마트 네클레스(necklace) 등과 같은 소위 스마트 디바이스이거나 데스크탑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워크스테이션, PDA, 웹 패드, 이동 전화기, 버튼, 마우스, 키보드, 전자 펜 등과 같은 다소 전통적인 디바이스일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310, 320)는 리모컨, 가전기기 등의 IoT(Internet of Things) 디바이스일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310, 320)에는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음향 피드백을 발생시킬 수 있는 기술 수단이 적어도 하나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기술 수단의 예로서, 공지의 구성요소인, 모노 스피커, 스테레오 스피커, 다채널 스피커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310, 320)에는 사용자로부터의 조작을 입력 받을 수 있는 기술 수단이 적어도 하나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기술 수단의 예로서, 공지의 구성요소인, 터치 패널, 포인팅 도구(예를 들면, 마우스, 스타일러스, 전자 펜 등), 사용자 조작이 가능한 그래픽 객체, 키보드, 토글 스위치, 생채 정보(지문 등) 인식 센서, 거리 센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310, 320)에는 그 디바이스(310, 320)의 자세나 움직임에 관한 물리적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기술 수단이 적어도 하나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기술 수단의 예로서, 공지의 구성요소인, 움직임 센서, 가속도 센서, 자이로스코프, 자기 센서, 위치 결정 모듈(GPS 모듈, 비콘 기반의 위치 결정(확인) 모듈 등), 기압계, 거리 센서, 카메라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310, 320)에는 해당 디바이스(310, 320)를 소지하고 있는 사용자의 인체로부터 획득되는 생체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디바이스(310, 320)의 자세나 움직임에 관한 물리적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기술 수단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기술 수단의 예로서, 근전도 신호 측정 장치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310, 320)에는 위와 같은 물리적인 정보를 처리하여 다른 디바이스(310, 320 등)에 대하여 정보나 제어 명령을 제공하거나 다른 디바이스(310, 320 등)로부터 정보나 제어 명령을 제공 받거나 이러한 정보나 제어 명령을 생성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더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은 해당 디바이스(310, 320) 내에서 프로그램 모듈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의 성격은 전술한 바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200)의 제어부와 전반적으로 유사할 수 있다. 여기서, 애플리케이션은 그 적어도 일부가 필요에 따라 그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균등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하드웨어 장치나 펌웨어 장치로 치환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디바이스(310)와 제2 디바이스(320)가 소정의 연관성(예를 들면, 동일한 사용자에게 속하는 것이라는 연관성이나, 동일한 사용자를 위하여 기능하는 것이라는 연관성이나, 서로 실질적으로 가까운 곳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라는 연관성이나, 이들 중 하나가 다른 하나를 인증하거나 허용하는 것이 합당하다는 연관성)을 갖는 것이라는 점이 인식되는 경우에, 제1 디바이스(310)와 제2 디바이스(320) 간에 소정의 연결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인식 또는 연결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200)에 의해 수행되거나 제1 디바이스(310) 및 제2 디바이스(32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실시예들
아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200)이 여러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디바이스(310, 320)가 개입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구체적인 예에 관하여 자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200)은, 제1 디바이스(310) 또는 제2 디바이스(320)의 사용자를 기준으로 한 상대적인 위치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고, 제1 디바이스(310) 또는 제2 디바이스(320)에서 음향 피드백을 유발하는 트리거링 이벤트가 발생하면, 위의 트리거링 이벤트의 유형에 관한 정보, 위의 획득된 상대적인 위치에 관한 정보, 위의 트리거링 이벤트와 연관된 표시 상태에 관한 정보, 위의 트리거링 이벤트와 연관된 컨텐츠 또는 기능에 관한 정보 또는 제1 디바이스(310) 및 제2 디바이스(320) 중 적어도 하나의 음향 성능에 관한 정보를 참조로 하여, 제1 디바이스(310) 또는 제2 디바이스(320)에서 제공되는 음향 피드백의 속성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디바이스(310) 및 제2 디바이스(320) 중 어느 하나만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되거나, 제1 디바이스(310) 및 제2 디바이스(320)가 모두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트리거링 이벤트에는, 제1 디바이스(310)와 제2 디바이스(320)가 개입될 수 있으면서도 제1 디바이스(310), 제2 디바이스(320)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200)에 의하여 감지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이벤트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트리거링 이벤트에는, 제1 디바이스(310) 또는 제2 디바이스(320)에 대하여 사용자가 터치 조작을 행하는 이벤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트리거링 이벤트에는, 제1 디바이스(310)와 제2 디바이스(320)가 상호작용함에 따라 제1 디바이스(310)와 제2 디바이스(320) 사이에서 데이터 전송, 결제, 보안 인증 등의 작업이 수행되는 이벤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트리거링 이벤트에는, 제1 디바이스(310)의 자세 또는 움직임과 제2 디바이스(320)의 자세 또는 움직임 사이의 상대적인 관계가 기설정된 관계(예를 들면, 제1 디바이스(310)의 표시 화면과 제2 디바이스(320)의 표시 화면이 서로 반대 방향을 바라보는 관계 등)에 해당하게 되는 이벤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트리거링 이벤트는, 제1 디바이스(310) 또는 제2 디바이스(320) 상에서 소정의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재생되는 이벤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트리거링 이벤트는, 제1 디바이스(310) 또는 제2 디바이스(320) 중 적어도 하나에서 음향 컨텐츠가 제공되는 상황에 관하여 기설정된 이벤트(예를 들면, 디바이스(310, 320)에서 게임이 실행되는 중에 음악이 재생되는 이벤트, 디바이스(310, 320)에서 기설정된 시각에 음악이 재생되는 이벤트 등)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200)은, 트리거링 이벤트가 발생하는 것에 대응하여, 제1 디바이스(310)에서 제공되는 음향 피드백 중 적어도 일부가 제2 디바이스(310)에서 제공되도록 하거나, 제2 디바이스(320)에서 제공되는 음향 피드백 중 적어도 일부가 제1 디바이스(310)에서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디바이스(310) 또는 제2 디바이스(320)가 사용자를 기준으로 하여 상대적으로 어디에 위치하고 있느냐에 따라 음향 피드백을 제공할 디바이스가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200)은, 트리거링 이벤트가 발생하는 것에 대응하여, 트리거링 이벤트와 연관된 부분의 표시 상태를 참조로 하여 제1 디바이스(310) 및 제2 디바이스(320) 각각에서 제공되는 음향 피드백의 속성(즉, 패턴)을 결정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터치하고 있는 부분에 표시되는 그래픽 객체의 컬러 또는 밝기에 따라 제1 디바이스(310)와 제2 디바이스(320) 중 어느 디바이스에서 음향 피드백을 발생시킬 것인지가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200)은, 트리거링 이벤트가 발생하는 것에 대응하여, 트리거링 이벤트와 연관된 컨텐츠 또는 기능을 참조로 하여 제1 디바이스(310) 및 제2 디바이스(320) 각각에서 제공되는 음향 피드백의 패턴을 결정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디바이스(310)로부터 제2 디바이스(320)에게 소정의 데이터가 전송되는 경우에, 제1 디바이스(310)에서 제공되는 음향의 세기가 작아지는 것과 함께 제2 디바이스(320)에서 제공되는 음향의 세기가 커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제1 디바이스(310)에서 제공되던 음향이 제2 디바이스(320)로 옮겨온 것과 같이 느껴지는 사용자 경험(UX, User Experience)을 제공 받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200)은, 트리거링 이벤트가 발생하는 것에 대응하여, 제1 디바이스(310) 또는 제2 디바이스(320)가 사용자를 기준으로 하여 상대적으로 어디에 위치하고 있는지에 관한 정보를 참조로 하여 제1 디바이스(310) 및 제2 디바이스(320) 각각에서 제공되는 음향 피드백의 패턴을 결정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디바이스(310) 및 제2 디바이스(320)가 사용자의 신체의 제1 지점 및 제2 지점에 각각 착용되어 있는 경우에, 제1 디바이스(310) 및 제2 디바이스(320)에서 각각 제공되는 음향 피드백의 패턴이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제1 지점과 제2 지점 사이에 위치하는 임의의 지점에서 음향 피드백이 발생하는 것과 같이 느껴지거나 제1 지점에서 제2 지점으로 음향 피드백이 이동하는 것과 같이 느껴지는 사용자 경험을 제공 받을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제1 디바이스(310) 및 제2 디바이스(320) 각각에서 제공되는 음향 피드백의 패턴은, 음향 피드백이 제공되는 시간, 순서, 시간 간격, 세기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특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디바이스(310)에서 제공되는 음향 피드백의 패턴과 제2 디바이스(320)에서 제공되는 음향 피드백의 패턴은 상보(相補)적인 관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200)은, 트리거링 이벤트가 발생하는 것에 대응하여, 제1 디바이스(310) 또는 제2 디바이스(320)의 음향 성능에 관한 정보를 참조로 하여 제1 디바이스(310) 및 제2 디바이스(320) 각각에서 제공되는 음향 피드백의 패턴을 결정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디바이스(310) 또는 제2 디바이스(320)가 음향을 출력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는지 여부에 관한 정보, 제1 디바이스(310) 또는 제2 디바이스(320)에 탑재된 음향 출력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는지 여부에 관한 정보, 제1 디바이스(310) 또는 제2 디바이스(320)에 탑재된 음향 출력 기능의 사양(specification)(예를 들면, 출력 가능 세기, 출력 가능 주파수, 출력 가능 채널 수 등)에 관한 정보 등에 기초하여, 제1 디바이스(310) 및 제2 디바이스(320) 각각에서 제공되는 음향 피드백의 패턴이 결정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디바이스의 사용자를 기준으로 하는 상대적인 위치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스마트폰인 제1 디바이스(310)는 사용자의 왼손에 파지되고, 스마트 워치인 제2 디바이스(320)는 사용자의 오른쪽 손목에 착용되는 경우를 가정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200)은, 사용자를 마주 보았을 때 오른쪽에서 음향 피드백이 제공될 필요가 있으면 해당 음향 피드백이 제1 디바이스(310)에서 지배적으로 발생되도록 하고, 사용자를 마주 보았을 때 왼쪽에서 음향 피드백이 제공될 필요가 있으면 해당 음향 피드백이 제2 디바이스(320)에서 지배적으로 발생되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을 참조하면, 스마트폰인 제1 디바이스(310)는 사용자의 왼손에 파지되고, 스마트 워치인 제2 디바이스(320)는 사용자의 오른쪽 손목에 착용되고, 스마트 네클레스인 제3 디바이스(330)는 사용자의 목에 착용되는 경우를 가정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200)은, 사용자를 마주 보았을 때 오른쪽 아래에서 음향 피드백이 제공될 필요가 있으면 해당 음향 피드백이 제1 디바이스(310)에서 지배적으로 발생되도록 하고, 사용자를 마주 보았을 때 왼쪽 아래에서 음향 피드백이 제공될 필요가 있으면 해당 음향 피드백이 제2 디바이스(320)에서 지배적으로 발생되도록 하고, 사용자를 마주 보았을 때 오른쪽 위에서 음향 피드백이 제공될 필요가 있으면 해당 음향 피드백이 제1 디바이스(310) 및 제3 디바이스(330)에서 지배적으로 발생되도록 하고, 사용자를 마주 보았을 때 왼쪽 위에서 음향 피드백이 제공될 필요가 있으면 해당 음향 피드백이 제2 디바이스(320) 및 제3 디바이스(330)에서 지배적으로 발생되도록 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되지 않은 제1 디바이스와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되는 제2 디바이스에서 음향 피드백이 제공되는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200)은, 제2 디바이스(320)를 손목에 착용한 사용자가 제1 디바이스(310)의 터치 패널을 터치하는 트리거링 이벤트가 발생하면, 제1 디바이스(310)에서 음향이 발생하도록 한 후에 제2 디바이스(320)에서 음향이 발생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제1 디바이스(310)에서 제공되던 음향이 자신의 손목에 착용되어 있는 제2 디바이스(320)로 옮겨온 것과 같이 느껴지는 사용자 경험을 제공 받을 수 있게 된다.
다른 예를 들면, 도 3의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왼손에는 스마트폰(310)을 파지하고, 오른쪽 손목에 스마트 워치(320)를 착용하고, 목에는 스마트 네클레스(330)를 착용하고 있는 경우를 가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200)은, 스마트폰(310), 스마트 워치(320) 및 스마트 네클레스(330)에서 위의 나열된 순서대로 혹은 위의 나열된 것과 반대의 순서대로 음향 피드백이 발생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시공간적인(spatiotemporal) 음향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6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트리거링 이벤트와 연관된 부분의 표시 상태에 기초하여 둘 이상의 디바이스에서 제공되는 음향 피드백의 속성(즉, 패턴)을 제어하는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스마트폰인 제1 디바이스(310)의 표시 화면 상에 다양한 컬러 또는 밝기를 가진 다양한 그래픽 요소가 표시되고, 스마트 워치인 제2 디바이스(320)를 착용하고 있는 사용자가 제1 디바이스(310)의 표시 화면 상에 터치 조작을 행하는 경우를 가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상대적으로 밝은 컬러의 그래픽 요소를 터치하면 제1 디바이스(310)에서 음향 피드백이 발생하고, 사용자가 상대적으로 어두운 컬러의 그래픽 요소를 터치하면 제2 디바이스(320)에서 음향 피드백이 발생할 수 있다(도 6 참조).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대적으로 밝은 컬러의 그래픽 요소와 상대적으로 어두운 컬러의 그래픽 요소가 서로 번갈아 가며 표시되는 영역에 걸쳐서 사용자가 드래그 조작을 행하면(도 7의 (a) 참조), 제1 디바이스(310)와 제2 디바이스(320)에서 서로 번갈아 가면서 음향 피드백이 발생할 수 있다(도 7의 (b) 참조).
다음으로, 도 8 내지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200)은, 제1 디바이스(310)인 스마트폰과 제2 디바이스(320)인 스마트 워치에서 다양한 음향 피드백이 제공되도록 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는, 음향 피드백이 제공되는 시간, 주기, 시간 간격, 세기 등이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2를 참조하면, 스마트폰인 제1 디바이스(310)의 표시 화면 상에 다양한 패턴의 그래픽 요소가 표시되고, 스마트 워치인 제2 디바이스(320)를 착용하고 있는 사용자가 제1 디바이스(310)의 표시 화면 상에 터치 조작을 행하는 경우를 가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디바이스(310)의 표시 화면 상에 표시되는 그래픽 요소의 패턴에 대응하는 음향 피드백(즉, 소리)이 제1 디바이스(310) 또는 제2 디바이스(320)에서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거친 질감을 가지는 그래픽 요소를 표시하고 있는 제1 디바이스(310)의 표시 화면을 터치하는 것에 대응하여 제1 디바이스(310)와 제2 디바이스(320)에서 짧은 주기로 서로 번갈아 가면서 음향 피드백이 발생될 수 있으며, 이로써 사용자는 제1 디바이스(310)의 표시 화면 상에 표시되고 있는 그래픽 요소의 거친 질감을 직관적으로 느낄 수 있게 된다.
도 13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둘 이상의 디바이스에서 음향 피드백이 제공되는 시간을 제어하는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 및 도 15를 참조하면, 제2 디바이스(320)를 손목에 착용한 사용자가 제1 디바이스(310)의 터치 패널을 터치한 상태로 드래그한 후에 터치하지 않은 상태로 릴리스하는 트리거링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를 가정할 수 있는데(도 13 참조), 이러한 경우에, 제1 디바이스(310)에서 음향 피드백이 발생하도록 한 후에 제2 디바이스(320)에서 음향 피드백이 발생하도록 할 수 있으며, 특히, 사용자가 제1 디바이스(310)의 터치 패널을 더 이상 터치하고 있지 않은 릴리스 상태에서도 제2 디바이스(320)에서 음향 피드백이 계속 발생하도록 할 수 있다(도 14 참조). 또한, 릴리스 상태에서 발생하는 음향 피드백의 세기는 시간이 갈수록 약해질 수도 있다(도 15 참조).
도 16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둘 이상의 디바이스가 연관된 상태에서 수행되는 다양한 작업에 기초하여 음향 피드백이 제공되는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면, 제2 디바이스(320)를 손목에 착용한 사용자가 제1 디바이스(310)의 터치 패널 상에서 어떤 컨텐츠(1610)에 해당하는 부분을 터치하는 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해당 컨텐츠(1610)가 제1 디바이스(310)에서 제2 디바이스(320)로 전송되는 경우를 가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200)은 제1 디바이스(310)에서 제2 디바이스(320)로 전송되는 컨텐츠(1610)의 전송 상황에 관한 정보를 음향 피드백으로 제공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컨텐츠(1610)의 전송이 진행될수록 제1 디바이스(310)에서 발생하는 음향 피드백의 세기를 약해지도록 하는 반면 제2 디바이스(320)에서 발생하는 음향 피드백의 세기는 강해지도록 할 수 있다(도 17 참조).
다음으로,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면, 제2 디바이스(320)를 손목에 착용한 사용자가 제1 디바이스(310)의 터치 패널을 터치하는 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제2 디바이스(320)에서 제공되는 있는 컨텐츠(1810)가 제2 디바이스(320)에서 제1 디바이스(310)로 전송되는 경우를 가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200)은 제2 디바이스(320)에서 제1 디바이스(310)로 전송되는 컨텐츠(1810)의 전송 상황에 관한 정보를 음향 피드백으로 제공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컨텐츠(1810)의 전송이 진행될수록 제2 디바이스(320)에서 발생하는 음향 피드백의 세기를 약해지도록 하는 반면 제1 디바이스(310)에서 발생하는 음향 피드백의 세기는 강해지도록 할 수 있다(도 19 참조).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되는 둘 이상의 디바이스에서 음향 피드백이 제공되는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손목에 스마트 워치(310)를 착용하고, 팔뚝에는 스마트 밴드(330)를 착용하고 있는 경우를 가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200)은, 스마트 워치(310) 및 스마트 밴드(320)가 착용되어 있는 위치를 인식하고, 스마트 워치(310) 및 스마트 밴드(320)에서 음향 피드백이 순차적으로 또는 상보적으로 제공되도록 음향 신호를 인코딩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시공간적인(spatiotemporal) 음향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마트 밴드(320)에서 발생하는 사운드가 세기가 작아지는 것과 함께 스마트 워치(310)에서 발생하는 사운드의 세기가 커지는 경우에, 사용자는 자신으로부터 멀어지는 느낌의 음향 피드백을 제공 받을 수 있게 된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둘 이상의 사용자의 신체에 각각 착용되는 둘 이상의 디바이스에서 음향 피드백이 제공되는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제1 사용자와 제2 사용자가 각각 손목에 제1 스마트 워치(310) 및 제2 스마트 워치(320)를 착용하고 있는 경우를 가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200)은, 제1 스마트 워치(310) 및 제2 스마트 워치(320)가 착용되어 있는 위치를 인식하고, 제1 스마트 워치(310) 및 제2 스마트 워치(320)에서 음향 피드백이 순차적으로 또는 상보적으로 제공되도록 음향 신호를 인코딩함으로써, 제1 사용자 및 제2 사용자에게 시공간적인(spatiotemporal) 음향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스마트 워치(310)에서 발생하는 사운드가 세기가 작아지는 것과 함께 제2 스마트 워치(320)에서 발생하는 사운드의 세기가 커지는 경우에, 제1 사용자와 제2 사용자는 제1 사용자로부터 제2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느낌의 음향 피드백을 제공 받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상에서는, 제1 디바이스(310)가 사용자의 손에 파지되는 스마트폰이고 제2 디바이스(320)가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되는 스마트 워치인 실시예에 대하여 주로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는 스마트 패드, 스마트 글래스, 스마트 밴드, 스마트 링 등의 다른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음을 밝혀 둔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부호의 설명-
100: 통신망
200: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
310: 제1 디바이스
320: 제2 디바이스
330: 제3 디바이스
1610, 1810: 컨텐츠

Claims (14)

  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제1 디바이스 및 제2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를 기준으로 한 상대적인 위치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디바이스 및 상기 제2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에서 음향 피드백을 유발하는 트리거링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트리거링 이벤트의 유형에 관한 정보, 상기 획득된 상대적인 위치에 관한 정보, 상기 트리거링 이벤트와 연관된 표시 상태에 관한 정보, 상기 트리거링 이벤트와 연관된 컨텐츠 또는 기능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제1 디바이스 및 제2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의 음향 성능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참조로 하여, 상기 제1 디바이스 및 상기 제2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에서 제공되는 음향 피드백의 속성을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링 이벤트에는, 상기 제1 디바이스 및 상기 제2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에서 터치 조작이 발생하는 이벤트, 상기 제1 디바이스와 상기 제2 디바이스가 상호작용함에 따라 상기 제1 디바이스와 상기 제2 디바이스 사이에서 데이터 전송, 결제 및 보안 인증 중 적어도 하나가 수행되는 이벤트, 상기 제1 디바이스의 자세 또는 움직임과 상기 제2 디바이스의 자세 또는 움직임 사이의 상대적인 관계가 기설정된 관계에 해당하게 되는 이벤트 및 상기 제1 디바이스 및 상기 제2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에서 음향 컨텐츠가 제공되는 상황에 관하여 기설정된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피드백의 속성은, 상기 음향 피드백이 제공되는 시간, 순서, 시간 간격 및 세기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특정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바이스에서 제공되는 음향 피드백의 속성과 상기 제2 디바이스에서 제공되는 음향 피드백의 속성은 상보(相補)적인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바이스 및 상기 제2 디바이스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되어 있고,
    상기 제어 단계에서,
    상기 트리거링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획득된 신체 착용 위치에 관한 정보, 상기 트리거링 이벤트와 연관된 표시 상태에 관한 정보, 상기 트리거링 이벤트와 연관된 컨텐츠 또는 기능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제1 디바이스 및 제2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의 음향 성능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참조로 하여, 상기 제1 디바이스에서 제공되는 음향 피드백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 디바이스에서 제공되도록 하거나, 상기 제2 디바이스에서 제공되는 음향 피드백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디바이스에 제공되도록 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바이스 및 상기 제2 디바이스는 상기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되어 있고,
    상기 제어 단계에서,
    상기 트리거링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획득된 신체 착용 위치에 관한 정보, 상기 트리거링 이벤트와 연관된 표시 상태에 관한 정보, 상기 트리거링 이벤트와 연관된 컨텐츠 또는 기능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제1 디바이스 및 제2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의 음향 성능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참조로 하여, 상기 제1 디바이스 및 상기 제2 디바이스 각각에서 제공되는 음향 피드백의 속성을 제어하는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8.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디바이스로서,
    상기 디바이스의 사용자를 기준으로 한 상대적인 위치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디바이스 및 상기 디바이스와 연관된 다른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에서 음향 피드백을 유발하는 트리거링 이벤트가 발생하는 것을 감지하는 기술 수단, 및
    상기 트리거링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트리거링 이벤트의 유형에 관한 정보, 상기 획득된 상대적인 위치에 관한 정보, 상기 트리거링 이벤트와 연관된 표시 상태에 관한 정보, 상기 트리거링 이벤트와 연관된 컨텐츠 또는 기능에 관한 정보 및 상기 디바이스 및 상기 다른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의 음향 성능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참조로 하여, 상기 디바이스 및 상기 다른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에서 제공되는 음향 피드백의 속성을 제어하는 프로그램 모듈
    을 포함하는 디바이스.
  9.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제1 디바이스 및 제2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를 기준으로 한 상대적인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1 디바이스 및 상기 제2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에서 음향 피드백을 유발하는 트리거링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트리거링 이벤트의 유형에 관한 정보, 상기 획득된 상대적인 위치에 관한 정보, 상기 트리거링 이벤트와 연관된 표시 상태에 관한 정보, 상기 트리거링 이벤트와 연관된 컨텐츠 또는 기능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제1 디바이스 및 제2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의 음향 성능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참조로 하여, 상기 제1 디바이스 및 상기 제2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에서 제공되는 음향 피드백의 속성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1 디바이스 및 상기 제2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제공 받은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소
    를 포함하는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링 이벤트에는, 상기 제1 디바이스 및 상기 제2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에서 터치 조작이 발생하는 이벤트, 상기 제1 디바이스와 상기 제2 디바이스가 상호작용함에 따라 상기 제1 디바이스와 상기 제2 디바이스 사이에서 데이터 전송, 결제 및 보안 인증 중 적어도 하나가 수행되는 이벤트, 상기 제1 디바이스의 자세 또는 움직임과 상기 제2 디바이스의 자세 또는 움직임 사이의 상대적인 관계가 기설정된 관계에 해당하게 되는 이벤트 및 상기 제1 디바이스 및 상기 제2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에서 음향 컨텐츠가 제공되는 상황에 관하여 기설정된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는 시스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피드백의 속성은, 상기 음향 피드백이 제공되는 시간, 순서, 시간 간격 및 세기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특정되는 시스템.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바이스에서 제공되는 음향 피드백의 속성과 상기 제2 디바이스에서 제공되는 음향 피드백의 속성은 상보(相補)적인 시스템.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바이스 및 상기 제2 디바이스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되어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트리거링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획득된 신체 착용 위치에 관한 정보, 상기 트리거링 이벤트와 연관된 표시 상태에 관한 정보, 상기 트리거링 이벤트와 연관된 컨텐츠 또는 기능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제1 디바이스 및 제2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의 음향 성능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참조로 하여, 상기 제1 디바이스에서 제공되는 음향 피드백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 디바이스에서 제공되도록 하거나, 상기 제2 디바이스에서 제공되는 음향 피드백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디바이스에 제공되도록 하는 시스템.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바이스 및 상기 제2 디바이스는 상기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되어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트리거링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획득된 신체 착용 위치에 관한 정보, 상기 트리거링 이벤트와 연관된 표시 상태에 관한 정보, 상기 트리거링 이벤트와 연관된 컨텐츠 또는 기능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제1 디바이스 및 제2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의 음향 성능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참조로 하여, 상기 제1 디바이스 및 상기 제2 디바이스 각각에서 제공되는 음향 피드백의 속성을 제어하는 시스템.
KR1020157036096A 2014-12-10 2015-08-10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디바이스,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17902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7872 2014-12-10
KR20140177872 2014-12-10
PCT/KR2015/008329 WO2016093463A1 (ko) 2014-12-10 2015-08-10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디바이스,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9958A Division KR20170121302A (ko) 2014-12-10 2015-08-10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디바이스,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4811A true KR20160084811A (ko) 2016-07-14
KR101790216B1 KR101790216B1 (ko) 2017-10-26

Family

ID=5610761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6096A KR101790216B1 (ko) 2014-12-10 2015-08-10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디바이스,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77029958A KR20170121302A (ko) 2014-12-10 2015-08-10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디바이스,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9958A KR20170121302A (ko) 2014-12-10 2015-08-10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디바이스,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2) KR101790216B1 (ko)
WO (1) WO201609346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31273A3 (ko) * 2018-06-01 2020-02-06 박승민 바이노럴 기술을 이용한 감성사운드 제공방법과 감성사운드 제공을 위한 상용 스피커 프리셋 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16632A (ko) * 2013-03-25 2014-10-06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의 모션을 감지하는 웨어러블 장치 및 방법
WO2014171568A2 (ko) * 2013-04-17 2014-10-23 한국과학기술원 소리를 이용한 터치 검출 방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디바이스
KR102022666B1 (ko) * 2013-05-16 2019-09-18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방법 및 이를 위한 디바이스
KR101709983B1 (ko) * 2013-05-16 2017-02-24 주식회사 퓨처플레이 복수의 디바이스를 매칭시키는 방법, 그리고 상기 매칭이 가능하게끔 하여 주는 디바이스 및 서버 시스템
KR101512239B1 (ko) * 2013-08-09 2015-04-17 한국과학기술원 터치 명령 및 특이 터치를 이용한 디바이스 간 컨텐츠 이동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31273A3 (ko) * 2018-06-01 2020-02-06 박승민 바이노럴 기술을 이용한 감성사운드 제공방법과 감성사운드 제공을 위한 상용 스피커 프리셋 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1302A (ko) 2017-11-01
KR101790216B1 (ko) 2017-10-26
WO2016093463A1 (ko) 2016-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53431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20220083149A1 (en) Computing interface system
CN106997241B (zh) 虚拟现实环境中与真实世界互动的方法与虚拟现实系统
JP6275839B2 (ja) リモコン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システム
US10271084B2 (en) Video recording and replay
US9602954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105259654B (zh) 眼镜式终端及其控制方法
CN106133646B (zh) 基于生理参数确定用户对通知的响应
US9753539B2 (en) Method, device,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KR20150110257A (ko)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가상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웨어러블 디바이스
KR101807655B1 (ko)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디바이스,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JP2017534132A (ja) ユーザー相互作用を共有するための装置
KR20140027034A (ko) 정보 전송 방법 및 시스템, 디바이스와 그 기록 매체
US2019032453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dynamic haptic playback for an augmented or virtual reality environments
CN108474950A (zh) Hmd设备及其控制方法
US20220276698A1 (en) IMU for Touch Detection
JP2018073287A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CN107015743A (zh) 一种悬浮按键控制方法及终端
US20160306421A1 (en) Finger-line based remote control
KR101790216B1 (ko)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디바이스,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50600B1 (ko) 웨어러블 전자기기
KR101680698B1 (ko)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디바이스,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220140498A (ko) 휴먼 인터페이스 시스템
KR20170021910A (ko)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디바이스,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1916700B1 (ko)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디바이스,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