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4572A - 인출형 차단기용 리프트의 무빙장치 - Google Patents

인출형 차단기용 리프트의 무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4572A
KR20160084572A KR1020150000896A KR20150000896A KR20160084572A KR 20160084572 A KR20160084572 A KR 20160084572A KR 1020150000896 A KR1020150000896 A KR 1020150000896A KR 20150000896 A KR20150000896 A KR 20150000896A KR 20160084572 A KR20160084572 A KR 201600845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screw bar
circuit breaker
pressing
bas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08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93092B1 (ko
Inventor
김근의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008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3092B1/ko
Publication of KR201600845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45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30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30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1/00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 H02B11/12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with isolation by horizontal withdrawal
    • H02B11/127Withdrawal mechanis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ip Switchboards (AREA)

Abstract

인출형 차단기용 리프트의 무빙장치에 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측면에 따르면, 인출형 차단기용 리프트에 결합되어 인출형 차단기가 안착되는 바닥면을 제공하며, 배전반 내의 레일과 연결 가능한 베이스플레이트와,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부에서 인출형 차단기의 양측 바퀴 각각에 마주하여 배치되는 가이드레일을 구비하며, 양측 바퀴 간의 폭에 대응하여 상기 가이드레일의 위치를 조절하는 가이드유닛과,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에서 인출형 차단기의 전면에 마주하여 배치되어, 인출형 차단기를 배전반 내의 레일을 향해 밀어주는 가압유닛을 포함하는 인출형 차단기용 리프트의 무빙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인출형 차단기용 리프트의 무빙장치{MOVING DEVICE OF LIFT FOR WITHDRAWABLE CIRCUIT BREAKER}
본 발명은 인출형 차단기용 리프트의 무빙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리프트 내에 놓인 인출형 차단기를 배전반 내부로 운 반하는 작업 시 편의를 도모하고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인출형 차단기용 리프트의 무빙장치에 관한 것이다.
배전반은 발전소, 변전소 등의 운전이나 제어 및 전동기의 운전 등을 위해 스위치, 계기, 릴레이 등을 일정하게 넣어 관리하는 장치를 말한다.
그리고 인출형 차단기는 배전반 내에 수납되어, 정상부하시 정격전류를 통과시키고 선로상에 사고가 발생하면 전류의 흐름을 차단함과 동시에 아크를 기중에서 소호시켜 신속하게 회로를 분리시키는 역할을 하는 장치를 말한다.
그런데, 인출형 차단기의 경우 대게 작업자가 직접 들어 운반하기가 힘들 정도로 무거운 경우가 많아서, 대부분의 인출형 차단기는 리프트에 실어 배전반이 위치하는 장소까지 운반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방식에 따라 인출형 차단기가 리프트 상에서 배전반 내부로 운반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의 (a)를 참조하면, 인출형 차단기용 리프트(1)의 경우 하단에 주행바퀴(3)가 구비되어 있어 고중량의 인출형 차단기(30)를 배전반 쪽으로 손쉽게 운반할 수 있다. 상기 리프트(1)에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무빙장치(10)가 구비된다. 그리고 인출형 차단기(30)는 상기 무빙장치(10) 위에 안착된 상태로 리프트(1)의 이동에 따라 배전반 쪽으로 운반된다. 그리고 인출형 차단기(30)가 놓인 무빙장치(10)의 높낮이가 조절됨에 따라 배전반 내부 레일의 높이에 맞추어 인출형 차단기(30)의 높이가 조절된다.
도 1의 (b)를 참조하면, 무빙장치(10)의 높이 조절에 따라 인출형 차단기(30)의 바퀴(31) 높이가 배전반(50) 내의 레일(51) 높이와 나란하게 정렬된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이후, 인출형 차단기(30)는 바퀴(31) 구동에 의해 배전반(50) 내의 레일(51) 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도 1의 (b)에서 인출형 차단기(30)의 좌측면을 통상적으로 '전면'이라 지칭하며, 인출형 차단기(30)의 우측면을 '후면'이라 지칭한다.
도 2는 종래의 무빙장치를 간략히 도시한 도면이다. 특히, 도 2의 (a)는 무빙장치의 평면 형상을 나타낸 것이며, 도 2의 (b)는 무빙장치의 측면 형상(즉, 도 2의 (a)에서 B방향으로 바라본 형상)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무빙장치(10)는 사각 평면 형상의 베이스플레이트(11)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의 상부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외벽(13)과, 전방으로 돌출된 지지부재(15)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베이스플레이트(11)의 상부 중앙에는 인출형 차단기(30)가 안착되며, 그리고 외벽(13)은 베이스플레이트(11)에 놓인 인출형 차단기(30)가 배전반 쪽으로 이동하는 전방 개방부를 제외한 가장자리를 둘러 ㄷ자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지지부재(15)는 무빙장치(10)가 배전반 쪽으로 연결될 때 연결부위를 지지하여 구조적으로 지탱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한편, 베이스플레이트(11) 상부에 놓인 인출형 차단기(30)는 양측으로 각각 2개씩(즉, 전체 합이 4개)의 바퀴(31)가 구비되며, 상기 바퀴(31)의 구동에 의해 배전반 내의 레일을 향해 이동할 수 있게 이루어져 있다.
그런데, 무빙장치(10)의 높낮이 조절에 따라 인출형 차단기(30)의 바퀴(31)가 배전반 내의 레일 위치에 맞추어 높이 조절된 후에는, 여러 명의 작업자에 의해 배전반으로 운반되었다.
하지만, 인출형 차단기(30)의 경우 그 크기가 다양한데, 바퀴(31)의 폭(W)에 대응하여 이동 경로를 안내해주는 별도의 가이드 장치가 없어 배전반 내의 레일을 향해 이동시키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예컨대, 여러 명의 작업자가 동원되어 인출형 차단기(30)를 여러 방향에서 힘을 주어 인출형 차단기(30)의 이동 방향을 적절히 조정함으로써, 배전반 내부의 레일을 향해 밀어 넣는 작업 형태가 이용되었다. 그리고 무빙장치(10)로부터 배전반을 내의 레일 위로 인출형 차단기가 진입할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더 큰 힘이 요구되었으므로, 작업자의 피로도 증가 및 안전 사고 유발의 위험이 따랐다.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24002호가 있으며, 상기 선행문헌에는 차단기 운반용 리프트에 관한 내용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리프트 내에 놓인 인출형 차단기를 배전반 내부로 운반하는 작업 시 편의를 도모하고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인출형 차단기용 리프트의 무빙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출형 차단기용 리프트에 결합되어 상기 인출형 차단기가 안착되는 바닥면을 제공하며, 배전반 내의 레일과 연결 가능하게 형성되는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부에서 상기 인출형 차단기의 양측 바퀴 각각에 마주하여 배치되는 가이드레일을 구비하며, 상기 양측 바퀴 간의 폭에 대응하여 상기 가이드레일의 위치를 변화시켜 상기 양측 바퀴의 이동 경로가 배전반 내의 레일을 향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유닛;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에서 상기 인출형 차단기의 전면에 마주하여 배치되어, 상기 인출형 차단기가 배전반 내의 레일을 향하여 진입되도록 상기 인출형 차단기를 밀어주는 가압유닛을 포함하는 인출형 차단기용 리프트의 무빙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유닛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양측 단부로부터 돌출된 외벽을 관통하여 상기 가이드레일에 고정되는 스크류 바; 상기 외벽을 통해 상기 스크류 바와 치합되어, 회전 조작되는 상기 스크류 바를 진퇴 이동시키는 너트블록; 및 상기 스크류 바와 상기 가이드레일을 고정하는 고정블록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스크류 바를 사이에 두고 양쪽으로 나란하게 이격 배치되어 상기 가이드레일의 이동을 안내하는 선형가이드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선형가이드는, 상기 스크류 바와 동일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외벽을 관통하여 상기 가이드레일까지 연결되는 가이드 샤프트; 및 상기 외벽을 통해 상기 가이드 샤프트의 외주면을 감싸 결합되며, 상기 가이드 샤프트의 직선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블록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가압유닛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후측 단부로부터 돌출된 외벽을 관통하여 상기 인출형 차단기의 전면을 향해 돌출되는 가압 스크류 바; 및 상기 외벽을 통해 상기 가압 스크류 바와 치합되어, 회전 조작되는 상기 가압 스크류 바를 상기 인출형 차단기의 전면 쪽으로 이동시키는 가압 너트블록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가압 너트블록에 결합되어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가압 스크류 바와 상기 가압 너트블록 간의 치합 상태를 고정 및 해제하는 클러치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클러치는, 상기 가압 스크류 바의 일부를 감싸며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는 회동플레이트; 상기 회동플레이트의 일단부와 상기 가압 너트블록 사이를 연결시켜주며 상기 회동플레이트의 회전 중심이 되는 핀 볼트; 및 상기 회동플레이트의 타단부에 구비된 손잡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회동플레이트와 상기 가압 너트블록을 동시에 관통하여 삽입되며, 상기 회동플레이트의 회전을 구속하여 상기 가압 스크류 바와 상기 가압 너트블록 사이의 치합 상태를 고정하는 잠금 핀을 포함한다.
본 발명인 인출형 차단기용 리프트의 무빙장치에 의하면, 리프트 내에 놓인 인출형 차단기를 배전반 내부로 운반하는 작업 시, 작업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작업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핸들을 간단히 회전시키는 조작만으로 고중량의 인출형 차단기를 손쉽게 배전반 내부의 레일상으로 이동시킬 수 있어 작업자의 수고를 줄이고, 안전 사고 유발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방식에 따라 인출형 차단기가 리프트 상에서 배전반 내부로 운반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종래의 인출형 차단기용 리프트의 무빙장치를 간략히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출형 차단기용 리프트의 무빙장치를 간략히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도 3의 B 방향에서 바라본 인출형 차단기용 리프트의 무빙장치를 간략히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3의 A 방향에서 바라본 인출형 차단기용 리프트의 무빙장치를 간략히 도시한 도면.
도 6은 인출형 차단기의 바퀴 폭(W2)이 넓혀진 경우 무빙장치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도 3의 Ⅰ-Ⅰ단면(section)을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도 3의 Ⅱ-Ⅱ단면(section)을 보여주는 도면.
도 9는 도 4의 Ⅲ-Ⅲ단면(section)을 보여주는 도면.
도 10은 도 9의 C 방향에서 바라본 클러치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인출형 차단기용 리프트의 무빙장치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출형 차단기용 리프트의 무빙장치를 간략히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4 도 3의 B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며, 도 5는 도 3의 A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인출형 차단기용 리프트의 무빙장치(100)는 베이스 플레이트(101), 가이드유닛(110, 120), 선형가이드(130, 140, 150, 160) 및 가압유닛(180)을 포함한다.
베이스플레이트(101)는 인출형 차단기용 리프트에 결합되어, 인출형 차단기(30)가 안착되는 바닥면을 제공한다. 그리고 배전반 내의 레일(미도시)과 연결 가능하게 형성된다.
도시된 베이스플레이트(101)는 직사각형 평면 형상을 가지나,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리프트의 형상 및 구조에 따라 변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1)의 가장자리를 둘러 소정의 높이로 돌출된 외벽(103)이 구비된다. 구체적인 예로, 상기 외벽(103)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1)에 안착된 인출형 차단기(30)가 배전반 쪽으로 이동하는 전방 영역을 제외하고 좌우 양측과 후측에 ㄷ자 형상을 가지며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1)가 배전반 쪽으로 연결되는 전단부에는 지지부재(105)가 형성되는데, 상기 지지부재(105)는 베이스플레이트(101)가 배전반을 향해 연결될 때 배전반 내로 돌출되어 연결상태를 지지한다.
한편, 베이스플레이트(101)의 상부에 안착된 인출형 차단기(30)는 양측으로 각각 2개씩(즉, 전체 합이 4개)의 바퀴(31)를 갖는데, 바퀴(31)의 구동에 의해 배전반 내의 레일을 향해 이동 가능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베이스플레이트(101)는 인출형 차단기용 리프트에 구비되어 인출형 차단기(30)의 바퀴(31)가 배전반 내의 레일 높이에 맞춰지도록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가이드유닛(110, 120)은 베이스플레이트(101)의 상부에서 인출형 차단기(30)의 양측 바퀴(31) 각각에 마주하여 배치되는 가이드레일(113, 123)을 구비한다.
특히, 인출형 차단기(30)는 그 크기가 다양한데, 이에 따라 양측 바퀴(31) 간의 폭(W1)에도 변화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상기 가이드유닛(110, 120)은 상기 양측 바퀴(31) 간의 폭(W1) 크기에 대응하여 양측 바퀴(31) 쪽으로 가이드레일(113, 123)을 근접 이동시켜 양측 바퀴(31)의 이동 경로를 가이드해준다.
한편, 도 6은 인출형 차단기(30)의 양측 바퀴(31) 간의 폭(W2)이 도 3의 양측 바퀴(31) 간의 폭(W1)에 비해 확장된 경우를 나타내는데, 이 경우에도 상기 가이드유닛(110, 120)을 이용하여 양측 바퀴(31) 쪽으로 가이드레일(113, 123)을 근접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가이드유닛(110, 120)은 스크류 바(111, 121), 너트블록(112, 122), 가이드레일(113, 123) 및 고정블록(115, 125)를 포함한다.
상기 스크류 바(111, 121)는 상기 양측 바퀴(31) 각각의 이동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전진 및 후퇴 가능하게 설치된다. 예를 들어, 상기 스크류 바(111, 121)는 베이스플레이트(101)의 양측 단부로부터 돌출된 외벽(103)을 관통하여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스크류 바(111, 121)의 일단부는 상기 고정블록(115, 125)을 통해 가이드레일(113, 123)과 결합되며, 스크류 바(111, 121)의 타단부는 외벽(103)의 바깥으로 돌출되어 핸들(119, 129)과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핸들(119, 129)에 의해 회전 조작되는 상기 스크류 바(111, 121)를 바퀴(31) 쪽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스크류 바(111, 121)와 치합되는 너트블록(112, 122)이 외벽(103)을 통해 마련된다.
예컨대, 상기 너트블록(112, 122)은 상기 외벽(103)의 바깥 면을 통해 고정되어 회전 조작되는 상기 스크류 바(111, 121)를 전진 및 후퇴시킬 수 있다.
이로써, 작업자가 핸들(119, 129)을 설정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인출형 차단기(30)의 양측 바퀴(31) 각각에 대향 배치되는 좌, 우측의 가이드레일(113, 123)은 양측 바퀴(31)에 근접되는 방향으로 이동 배치될 수 있다.
그 결과, 인출형 차단기(30)의 양측 바퀴 간의 폭(W1)이 달라질 경우에도 상기 가이드레일(113, 123)의 위치는 능동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이드레일(113, 123)의 이동을 안내하는 선형가이드(130, 140, 150, 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일측의 스크류 바(111)를 사이에 두고 한 쌍의 선형가이드(130, 140)가 구비된다. 그리고 반대편 타측의 스크류 바(121)를 사이에 두고 다른 한 쌍의 선형가이드(150, 16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들 선형가이드(130, 140, 150, 160)는 가이드 샤프트(131, 141, 151, 161)와, 이들을 감싸 결합되며 가이드 샤프트(131, 141, 151, 161)의 직선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블록(135, 145, 155, 165)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일측의 스크류 바(111)의 양쪽으로 나란하게 2개의 가이드 샤프트(131, 141)가 배치되는데, 이들은 외벽(103)을 관통하여 가이드레일(113)까지 연결된다. 타측의 스크류 바(121)의 양쪽으로도 2개의 가이드 샤프트(151, 161)가 배치되며, 일측과 동일한 구조로 반대편의 가이드레일(123)에 연결된다.
그리고 가이드 블록(135, 145, 155, 165)은 가이드 샤프트(131, 141, 151, 161)가 외벽(103)을 관통하는 부위에 고정되어, 스크류 바(111)와 나란한 방향으로 해당 가이드 샤프트(131, 141, 151, 161)가 이동하는 것을 안내한다.
이로써, 상기 가이드레일(113, 123)은 상기 선형가이드(130, 140, 150, 160)에 의해 보다 안정적으로 이동하여 위치 변경이 가능해진다.
가압유닛(180)는 베이스플레이트(101)의 상부에서 인출형 차단기(30)의 전면에 마주하여 배치되어 회전 조작에 따라 인출형 차단기(30)를 배전반 내의 레일을 향해 밀어 운반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인출형 차단기(30)의 전면이라 함은, 도시된 인출형 차단기(30, 도 1의 (b) 참조)의 좌측면을 지칭하며, 이와 반대로 인출형 차단기(30, 도 1의 (b) 참조)의 우측면을 후면이라 지칭한다.
이를 위해, 상기 가압유닛(180)은 가압 스크류 바(181), 가압 너트블록(182), 클러치(183), 잠금 핀(184) 및 가압 핸들(189)를 포함한다.
상기 가압 스크류 바(181)는 베이스플레이트(101)의 후측 단부로부터 돌출된 외벽(103)을 관통하여 선단부가 인출형 차단기(30)의 전면을 향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가압 스크류 바(181)의 후단부에는 가압 핸들(189)이 구비되어 가압 스크류 바(181)의 회전 조작시의 편의성을 향상시켜준다.
그리고 상기 가압 너트블록(182)은 상기 가압 스크류 바(181)가 관통하는 외벽(103)을 통해 고정되되, 가압 스크류 바(181)를 감싸 치합되어 회전 조작되는 가압 스크류 바(181)를 인출형 차단기(30)의 전면 쪽으로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배전반 내의 레일까지 인출형 차단기를 적은 힘으로도 운반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가압 너트블록(182)에는 클러치(183)가 구비된다. 상기 클러치(183)는 손잡이의 회전 방향에 따라 가압 스크류 바(181)와 가압 너트블록(182) 간의 치합 상태를 고정시켜주거나 또는 치합 상태를 해제한다.
예컨대, 클러치(183)가 가압 스크류 바(181)와 가압 너트블록(182) 간의 치합 상태를 해제하도록 조작되면, 가압 스크류(181)를 회전시키지 않으면서 그대로 밀어 인출형 차단기(30)의 전면까지 근접 배치시킬 수 있다.
이와 반대로, 클러치(183)가 가압 스크류 바(181)와 가압 너트블록(182) 간의 치합 상태를 유지하도록 조작되면, 가압 스크류(181)는 반드시 회전을 통해서만 인출형 차단기(30)의 전면을 밀어 전진하게 된다.
도 7은 도 3의 Ⅰ-Ⅰ단면(section)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가이드유닛(110)의 단면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가이드유닛(110)은 스크류 바(111), 너트블록(112), 가이드레일(113), 고정블록(115)을 포함한다.
스크류 바(111)는 베이스플레이트의 외벽(103)을 관통하고, 그 일단부(111a)에는 핸들(119)이 구비되며, 타단부(111b)는 고정블록(115)을 통해 가이드레일(113)과 접촉 고정된다. 그리고 스크류 바(111)가 외벽(103)을 관통하는 부위에는 너트블록(112)이 볼트(B)로 고정된다.
일 예로, 상기 핸들(119)의 경우, 상기 스크류 바(111)의 일단부(111a)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결된 핸들 바(119a)와 상기 핸들 바(119a)의 양단에 고정된 노브(119b)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스크류 바(111)의 타단부(111b)는 가이드레일(113)과 볼트(B)로 고정되는 고정블록(115)에 구속되어 상기 가이드레일(113)과 연결된다. 이때, 스크류 바(111)의 타단부(111b)는 라운드(R) 형상을 갖는 것이 좋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될 필요는 없다.
도 8은 도 3의 Ⅱ-Ⅱ단면(section)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선형가이드(140)의 단면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선형가이드(140)는 가이드 샤프트(141)와 이들을 감싸 결합되며 가이드 샤프트(141)의 직선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블록(145)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 샤프트(141)는 스크류 바(도 6의 111)와 나란하게 외벽(103)을 관통하여 가이드레일(113)에 연결된다. 상기 가이드 블록(145)은 상기 외벽(103)에 볼트(B)로 고정되며, 외벽(103)의 외측으로 소정 길이 돌출되어 중공을 통해 상기 가이드 샤프트(141)를 감싸주는 형상을 갖는다.
이와 같은 구조에 따라 상기 가이드 블록(145)은 가이드레일(113)의 이동 시 상기 가이드레일(113)과 연결된 가이드 샤프트(141)의 직선 이동을 안내한다.
도 9는 도 4의 Ⅲ-Ⅲ단면(section)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가압유닛(180)의 단면 구조를 간략히 도시한 도면이며, 도 10은 도 9의 C 방향에서 바라본 클러치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및 도 10을 참조하면, 가압유닛(180)은 가압 스크류 바(181), 가압 너트블록(182), 클러치(183), 잠금 핀(184) 및 가압 핸들(189)를 포함한다.
상기 가압 스크류 바(181)의 선단부는 인출형 차단기(30)의 전면을 향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가압 스크류 바(181)의 후단부에는 가압 핸들(189)이 구비된다. 일 예로, 상기 가압 핸들(189)은 가압 스크류 바(181)의 일단부에 교차하여 연결되는 핸들 바(189a)와, 이의 양단에 고정된 노브(189b)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압 너트블록(182)은 상기 가압 스크류 바(181)가 관통하는 외벽(103)을 통해 상기 가압 스크류 바(181)를 감싸며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가압 너트블록(182)에는 클러치(183)가 구비된다.
상기 클러치(183)는 손잡이(183a)의 간단한 회전 조작만으로 가압 스크류 바(181)와 가압 너트블록(182) 간의 치합 상태를 유지시키거나 해제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클러치(183)는 가압 스크류 바(181)의 일부를 감싸며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는 회동플레이트(183d)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회동플레이트(183d)의 일단부와 상기 가압 너트블록(182) 사이에는 핀 볼트(183c)가 체결 고정된다.
상기 핀 볼트(183c)는 상기 회동플레이트(183d)의 회전 중심이 된다.
예컨대, 도 10의 (a)에서와 같이 상기 회동플레이트(183d)가 상기 핀 볼트(183c)를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클러치(183)는 잠금 상태를 유지한다.
반대로 도 10의 (b)에서와 같이 상기 회동플레이트(183d)가 상기 핀 볼트(183c)를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클러치(183)의 잠금은 해제된다. 그리고 상기 회동플레이트(183d)의 타단부에는 막대 형태의 손잡이(183a)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회동플레이트(183d)와 상기 가압 너트블록(182)를 동시에 관통하여 삽입되며, 상기 회동플레이트(183d)의 회전을 구속하는 잠금 핀(184)을 포함한다.
상기 잠금 핀(184)은 회동플레이트(183d)가 도 10의 (a)와 같이 클러치(183)를 잠그는 상태로 회동시킨 다음 가압 스크류 바(181)와 너트블록(182) 간의 치합 상태를 잠그는 장치이다. 예컨대, 상기 잠금 핀(184)은 회동플레이트(183d) 내의 삽입공(183b)을 통해 가압 너트블록(182)까지 삽입 고정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출형 차단기용 리프트의 무빙장치를 이용하여 고중량의 인출형 차단기를 배전반 내의 레일상으로 이동시키는 작동 관계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플레이트(101)에 안착된 인출용 차단기(30)의 양측 바퀴(31) 간의 폭(W1)에 맞추어 양쪽에 마련된 가이드유닛(110, 120)의 핸들(119, 129)를 돌린다. 이에 따라 양쪽의 스크류 바(111, 121)에 연결된 가이드레일(113, 123)이 인출형 차단기(30)의 양측 바퀴(31) 폭에 맞게 위치 조정된다.
한편, 클러치(183)를 풀게 되면, 가압 스크류(181)는 가압 너트블록(182)과의 치합 상태가 해제되어 작업자의 손으로 회전시키지 않고서도 인출형 차단기(30)의 전면 방향으로 밀어 넣을 수 있다.
이어서, 인출형 차단기(30)를 배전반 내의 레일위로 이동시킬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큰 힘이 요구되므로 클러치(183)를 잠그고 가압 스크류(181)와 가압 너트블록(182) 간의 치합 상태를 고정시킨다. 이후, 가압 핸들(189)의 회전에 따라 전진 이동하는 가압 스크류(181)의 힘을 이용하여 배전반 내의 레일위로 인출형 차단기(30)를 손쉽게 옮길 수 있다.
따라서, 기존과 달리 단일의 작업자만으로도 고중량의 인출형 차단기를 배전반으로 옮기는 작업이 가능해 질 수 있으며, 각종 안전 사고의 유발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에 따르면, 리프트 내에 놓인 인출형 차단기를 배전반 내부로 운반하는 작업 시, 작업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작업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나아가, 핸들을 간단히 회전시키는 조작만으로 고중량의 인출형 차단기를 손쉽게 배전반 내부 레일 위로 이동시킬 수 있어 작업자의 수고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 나아가, 고중량의 인출형 차단기를 운반할 때 발생될 수 있는 각종 안전 사고 유발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인 인출형 차단기용 리프트의 무빙장치에 관하여 살펴보았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리고 전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및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리프트 3: 주행바퀴
10: 종래의 무빙장치 11: 베이스플레이트
13: 외벽 15: 지지부재
30: 인출형 차단기 31: 바퀴
50: 배전반 51: 배전반 내의 레일
100: 인출형 차단기용 리프트의 무빙장치
101: 베이스플레이트 103: 외벽
110, 120: 가이드유닛 111, 121: 스크류 바
112, 122: 너트블록 113, 123: 가이드레일
115, 125: 고정블록 119, 129: 핸들
130, 140, 150, 160: 선형가이드 131, 141, 151, 161: 가이드 샤프트
135, 145, 155, 165: 가이드 블록 180: 가압유닛
181: 가압 스크류 바 182: 가압 너트블록
183: 클러치 183a: 손잡이
183b: 삽입공 183c: 핀 볼트
183d: 회동플레이트 184: 잠금 핀
189: 가압 핸들

Claims (8)

  1. 인출형 차단기용 리프트에 결합되어 상기 인출형 차단기가 안착되는 바닥면을 제공하며, 배전반 내의 레일과 연결 가능한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부에서 상기 인출형 차단기의 양측 바퀴 각각에 마주하여 배치되는 가이드레일을 구비하며, 상기 양측 바퀴 간의 폭에 대응하여 상기 가이드레일의 위치를 조절하는 가이드유닛;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에서 상기 인출형 차단기의 전면에 마주하여 배치되어, 상기 인출형 차단기를 배전반 내의 레일을 향해 밀어주는 가압유닛을 포함하는 인출형 차단기용 리프트의 무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유닛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양측 단부로부터 돌출된 외벽을 관통하여 상기 가이드레일에 고정되는 스크류 바;
    상기 외벽을 통해 상기 스크류 바와 치합되어, 회전 조작되는 상기 스크류 바를 진퇴 이동시키는 너트블록; 및
    상기 스크류 바와 상기 가이드레일을 고정하는 고정블록을 포함하는 인출형 차단기용 리프트의 무빙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 바를 사이에 두고 양쪽으로 나란하게 이격 배치되어 상기 가이드레일의 이동을 안내하는 선형가이드를 포함하는 인출형 차단기용 리프트의 무빙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가이드는,
    상기 스크류 바와 동일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외벽을 관통하여 상기 가이드레일까지 연결되는 가이드 샤프트; 및
    상기 외벽을 통해 상기 가이드 샤프트의 외주면을 감싸 결합되며, 상기 가이드 샤프트의 직선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블록을 포함하는 인출형 차단기용 리프트의 무빙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유닛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후측 단부로부터 돌출된 외벽을 관통하여 상기 인출형 차단기의 전면을 향해 돌출되는 가압 스크류 바; 및
    상기 외벽을 통해 상기 가압 스크류 바와 치합되어, 회전 조작되는 상기 가압 스크류 바를 상기 인출형 차단기의 전면 쪽으로 이동시키는 가압 너트블록을 포함하는 인출형 차단기용 리프트의 무빙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너트블록에 결합되어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가압 스크류 바와 상기 가압 너트블록 간의 치합 상태를 고정 및 해제하는 클러치를 포함하는 인출형 차단기용 리프트의 무빙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는,
    상기 가압 스크류 바의 일부를 감싸며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는 회동플레이트;
    상기 회동플레이트의 일단부와 상기 가압 너트블록 사이를 연결시켜주며 상기 회동플레이트의 회전 중심이 되는 핀 볼트; 및
    상기 회동플레이트의 타단부에 구비된 손잡이를 포함하는 인출형 차단기용 리프트의 무빙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플레이트와 상기 가압 너트블록을 동시에 관통하여 삽입되며, 상기 회동플레이트의 회전을 구속하여 상기 가압 스크류 바와 상기 가압 너트블록 사이의 치합 상태를 고정하는 잠금 핀을 포함하는 인출형 차단기용 리프트의 무빙장치.
KR1020150000896A 2015-01-05 2015-01-05 인출형 차단기용 리프트의 무빙장치 KR1016930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0896A KR101693092B1 (ko) 2015-01-05 2015-01-05 인출형 차단기용 리프트의 무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0896A KR101693092B1 (ko) 2015-01-05 2015-01-05 인출형 차단기용 리프트의 무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4572A true KR20160084572A (ko) 2016-07-14
KR101693092B1 KR101693092B1 (ko) 2017-01-06

Family

ID=564990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0896A KR101693092B1 (ko) 2015-01-05 2015-01-05 인출형 차단기용 리프트의 무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309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34736A (zh) * 2017-06-03 2017-09-05 河南科德天博电气有限公司 一种低压出线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78122A (ja) * 2000-08-24 2002-03-15 Nissin Electric Co Ltd 機器移動機の取付装置
CN101291043A (zh) * 2008-06-12 2008-10-22 江苏镇安电力设备有限公司 电气柜手车专用转运车
KR101016200B1 (ko) * 2010-11-11 2011-02-24 김성규 고압차단기 인출용 레일 리프트
JP2012222897A (ja) * 2011-04-06 2012-11-12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引出形遮断器挿入/引出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78122A (ja) * 2000-08-24 2002-03-15 Nissin Electric Co Ltd 機器移動機の取付装置
CN101291043A (zh) * 2008-06-12 2008-10-22 江苏镇安电力设备有限公司 电气柜手车专用转运车
KR101016200B1 (ko) * 2010-11-11 2011-02-24 김성규 고압차단기 인출용 레일 리프트
JP2012222897A (ja) * 2011-04-06 2012-11-12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引出形遮断器挿入/引出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34736A (zh) * 2017-06-03 2017-09-05 河南科德天博电气有限公司 一种低压出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3092B1 (ko) 2017-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883543B1 (en) Apparatus for locking the movable parts of a variable gauge
KR100505052B1 (ko) 진공차단기의 주회로 인입출 장치
EP2267852B1 (en) Device for preventing withdrawing and inserting of a circuit breaker
CN105575719B (zh) 用于真空断路器的门互锁装置
KR101759599B1 (ko) 회로차단기의 이송장치
DE10120737C1 (de) Niederspannungs-Schaltanlage mit einer Verriegelungsvorrichtung für einen Geräteeinschub
EP1484229A2 (en) Wheel simultaneous brake mechanism and caster rotation preventing mechanism having simple mechanism
DE102018101943A1 (de) Elektroschubkarre
DE10006427C2 (de) Bewegungsanlage für Leistungsschaltvorrichtung
KR101693092B1 (ko) 인출형 차단기용 리프트의 무빙장치
CA2887771A1 (en) Electrical system, and support assembly and method of racking electrical switching apparatus therefor
KR101702587B1 (ko) 차단기 인입출용 이송대차
EP2233274A1 (en) Clamping frame for a thermoforming machine and thermoforming machine comprising the same
GB1585880A (en) Arrangement at an operator control station
US5181602A (en) Lockout device for high voltage circuit breaker
KR20150011130A (ko) 전동기 제어반
KR101279893B1 (ko) 진공차단기의 인입출 장치
KR20230149016A (ko) 인입출 장치 및 이를 운반하는 카트 장치
KR20230149017A (ko) 인입출 장치
EP2024131B1 (de) Laserbearbeitungsmaschine mit einem relativ zum rahmen der maschine bewegbaren lasergenerator
DE102021114914B4 (de) Robotersystem mit einem verfahrbaren Roboter
KR100748834B1 (ko) 롤러교환이 용이한 서랍식 스탠드
JP2005035320A (ja) 運搬装置及び運搬方法
KR20190002094U (ko) 분전반의 회로 차단기 결합구조
JP7445440B2 (ja) 作業台用ブラケット及び作業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