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4473A - Flywheel and engine - Google Patents

Flywheel and eng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4473A
KR20160084473A KR1020167017288A KR20167017288A KR20160084473A KR 20160084473 A KR20160084473 A KR 20160084473A KR 1020167017288 A KR1020167017288 A KR 1020167017288A KR 20167017288 A KR20167017288 A KR 20167017288A KR 20160084473 A KR20160084473 A KR 201600844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ine
crankshaft
main body
inertia wheel
body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728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836022B1 (en
Inventor
슈이치 요시카와
나오후미 호소카와
신야 이시하라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844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447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60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602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30Flywheels
    • F16F15/31Flywheels characterised by means for varying the moment of inerti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61/00Adaptations of engines for driving vehicles or for driving propellers; Combinations of engines with gearing
    • F02B61/04Adaptations of engines for driving vehicles or for driving propellers; Combinations of engines with gearing for driving propel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30Flywhe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00Shafts; Axles; Cranks; Eccentrics
    • F16C3/04Crankshafts, eccentric-shafts; Cranks, eccentrics
    • F16C3/06Crankshafts
    • F16C3/08Crankshafts made in one pie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30/00Purpose; Design features
    • F16F2230/32Modular design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엔진은,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크랭크축과, 원판 형상을 갖고, 중심에서 크랭크축의 축선에 접속된 관성 바퀴 (16) 를 구비하고, 관성 바퀴 (16) 는, 크랭크축에 고정되는 본체부 (27) 와, 본체부 (27) 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제 1 분할 부재 (28) 및 제 2 분할 부재 (29) 를 갖고, 제 1 분할 부재 (28) 및 제 2 분할 부재 (29) 는, 본체부 (27) 에 고정되었을 때, 관성 바퀴 (16) 의 측면의 일부와, 관성 바퀴 (16) 의 2 개의 원형상 저면 중 엔진 본체에 대향하는 저면의 일부를 형성한다.The eng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rankshaft that rotates about an axis, an inertial wheel (16) having a disk shape and connected to the axis of the crankshaft at its center, and the inertial wheel (16) is fixed to the crankshaft And a first divided member 28 and a second divided member 29 which are detachably fixed to the body portion 27. The first divided member 28 and the second divided member 29 29 form a part of the side surface of the inertia wheel 16 and a part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inertia wheel 16 opposite to the engine body among the two circular bottom surfaces when fixed to the body portion 27. [

Description

관성 바퀴 및 엔진{FLYWHEEL AND ENGINE}Inertia Wheels and Engines {FLYWHEEL AND ENGINE}

본 발명은 관성 바퀴 및 엔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ertial wheel and an engine.

엔진 (기관) 의 크랭크축은, 주베어링을 개재하여 엔진 본체의 대판 (臺板) 에 의해 지지되고, 관성 바퀴 (플라이휠) 는, 크랭크축의 전단측 또는 후단측에 장착된다. 관성 바퀴는, 연소 행정에 있어서의 여분의 에너지를 흡수하면서, 다른 행정으로, 관성 바퀴의 회전 관성력의 에너지를 사용함으로써, 크랭크축의 회전을 원활하게 한다. 하기의 특허문헌 1 에는, 플라이휠에 관한 발명으로서, 플라이휠 보디에 자유롭게 탈착할 수 있도록 장착된 웨이트 세그먼트를 구비하여, 관성 모멘트를 자유롭게 조정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A crankshaft of an engine is supported by a base plate of an engine body via a main bearing and an inertia wheel is mounted on a front end side or a rear end side of the crankshaft. The inertia wheel absorbs the extra energy in the combustion stroke while using the energy of the rotational inertia force of the inertia wheel in another stroke to smooth the rotation of the crankshaft. The following Patent Document 1 discloses an invention relating to a flywheel that includes a weight segment mounted so as to be freely detachably attached to a flywheel body so that the moment of inertia can be freely adjusted.

일본 공개실용신안공보 소63-118442호Japanese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63-118442

특허문헌 1 의 플라이휠 보디는, 플라이휠 보디의 외곽부 중에 웨이트 세그먼트를 겹쳐 쌓아 설치함으로써, 관성력을 변화시킬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와 같은 플라이휠 보디를 선박에 채용했을 경우, 외곽부 중에 웨이트 세그먼트를 설치하게 되기 때문에, 외곽부를 크게 해야 한다. 이 때문에, 플라이휠 보디의 전체 길이가 커져, 결과적으로 엔진이 설치되는 기관실을 크게 할 필요가 생겼다.The flywheel body of Patent Document 1 is designed so that the inertia force can be changed by stacking and stacking weight segments in the outer frame portion of the flywheel body. When such a flywheel body is employed in a ship, since the weight segment is provided in the outer frame portion, the outer frame portion must be large. As a result, the entire length of the flywheel body becomes large, and consequently it is necessary to enlarge the engine room in which the engine is installed.

또, 특허문헌 1 은, 플라이휠 보디와 기관 본체의 위치 관계나 웨이트 세그먼트를 겹쳐 쌓는 방향에 대해 전혀 고려되어 있지 않다. 플라이휠 보디와 기관 본체의 간격이 큰 경우, 또는 기관 본체측과는 반대 방향으로 웨이트 세그먼트를 겹쳐 쌓는 경우에는, 기관 본체에 형성되는 크랭크축의 휨량이 커지기 때문에, 크랭크축을 지지하는 주베어링에 편접촉하여 손상의 원인으로 되어 있다. 한편, 플라이휠 보디와 기관 본체의 간격이 가까운 경우, 또는 기관 본체측에 웨이트 세그먼트를 겹쳐 쌓는 경우에는, 기관 본체와 플라이휠 보디 사이의 메인터넌스 스페이스를 확보할 수 없게 되기 때문에, 메인터넌스마다 플라이휠 자체를 떼어내는 등의 작업이 필요하였다. 또한 선박 등의 대형 기관용의 플라이휠은 중량도 크기 때문에, 플라이휠을 떼어내기 위한 공사가 필요하였다.In addition, Patent Document 1 does not consider at all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flywheel body and the engine main body and the direction in which the weight segments are stacked.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flywheel body and the engine main body is large or when the weight segments are stacked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engine main body side, the amount of bending of the crankshaft formed in the engine main body is large. Therefore, It is the cause of damage. On the other hand, when the gap between the flywheel body and the engine main body is close to each other, or when the weight segments are stacked on the engine main body side, the maintenance space between the engine main body and the flywheel body can not be ensured. Therefore, And so on. Also, the flywheel for a large-sized engine such as a ship is heavy in weight, and construction is required to remove the flywheel.

본 발명은, 관성 모멘트를 적절히 변화할 수 있는 한편, 엔진 메인터넌스의 간이화가 가능한 관성 바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nertia wheel capable of appropriately changing an inertia moment while simplifying engine maintenance.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 관련된 관성 바퀴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분할 부재를 구비하는 관성 바퀴로서, 상기 분할 부재가 상기 본체부에 고정되었을 때, 상기 분할 부재가 외주면의 일부를 형성한다.The inertia wheel according to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nertial wheel having a body portion and a partition member detachably fixed to the body portion, wherein when the partition member is fixed to the body portion, Thereby forming a part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이 구성에 의하면, 본체부로부터 분할 부재를 떼어냄으로써, 분할 부재가 고정되어 있던 부분에 공간을 형성할 수 있고, 그 공간을 작업 스페이스로 하여, 관성 바퀴의 주변에 배치된 부품을 용이하게 취급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by removing the partition member from the main body portion, a space can be formed in the portion where the partition member is fixed, and the space can be used as a work space to easily handle parts disposed around the inertia wheel .

본 발명의 제 2 양태에 관련된 엔진은, 상기 제 1 양태에 관련된 관성 바퀴와, 상기 본체부가 설치되는 크랭크축을 구비한다.An engine according to a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ertia wheel according to the first aspect and a crankshaft provided with the main body part.

이 구성에 의하면, 본체부로부터 분할 부재를 떼어냄으로써, 분할 부재가 고정되어 있던 부분에 공간을 형성할 수 있고, 그 공간을 작업 스페이스로 하여, 크랭크축의 주변에 배치된 부품을 용이하게 취급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by removing the partition member from the main body, a space can be formed in the portion where the partition member is fixed, and the space can be used as a work space to easily handle parts disposed around the crank shaft have.

상기 제 2 양태에 관련된 엔진의 상기 관성 바퀴는, 상기 본체부가 상기 크랭크축의 전단부에 설치됨과 함께, 상기 분할 부재가 상기 본체부에 고정되었을 때, 상기 엔진에 대향하는 엔진측 표면의 일부를 형성해도 된다.The inertia wheel of the engine according to the second aspec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ain body portion is provided at a front end portion of the crankshaft and a part of the engine side surface facing the engine when the division member is fixed to the main body portion .

이 구성에 의하면, 본체부로부터 분할 부재를 떼어냄으로써, 엔진 본체와 본체부 사이에 공간을 형성할 수 있고, 그 공간을 작업 스페이스로 하여, 관성 바퀴와 엔진 본체의 사이에 배치된 부품을 용이하게 취급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structure, by removing the partition member from the main body portion, a space can be formed between the engine main body and the main body portion, and the space can be used as a work space to facilitate the parts disposed between the inertia wheel and the engine main body Can be handled.

상기 제 2 양태에 관련된 엔진은, 상기 크랭크축에 접속되는 후단부에 접속되는 중간축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관성 바퀴는, 상기 본체부가 상기 크랭크축의 후단부에 설치됨과 함께, 상기 분할 부재가 상기 본체부에 고정되었을 때, 상기 중간축에 대향하는 중간축측 표면의 일부를 형성한다.The engine according to the second aspect further comprises an intermediate shaft connected to a rear end portion connected to the crankshaft, wherein the inertia wheel is provided at the rear end portion of the crankshaft, And forms a part of the intermediate shaft side surface facing the intermediate shaft when fixed to the main body.

이 구성에 의하면, 본체부로부터 분할 부재를 떼어냄으로써, 크랭크축으로부터 중간축을 탈착할 수 있다. 중간축이 크랭크축에 착탈될 때 중간축이 통과하는 영역에 분할 부재를 고정시킴으로써, 분할 부재분의 중량을 관성 바퀴에 추가할 수 있어, 관성 바퀴의 두께나 직경을 증가시키지 않고, 관성 바퀴의 관성 모멘트를 증가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intermediate shaft can be detached from the crankshaft by detaching the split member from the main body. The weight of the split member can be added to the inertia wheel by fixing the split member in the region through which the intermediate shaft passes when the intermediate shaft is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crankshaft so that the weight of the inertia wheel can be increased without increasing the thickness and diameter of the inertia wheel. The moment of inertia can be increased.

상기 제 2 양태에 관련된 엔진에 있어서, 상기 분할 부재는, 상기 회전축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상기 본체부에 착탈되어도 된다.In the engine according to the second aspect, the divisional member may be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main body portion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rotation axis.

이 구성에 의하면, 분할 부재의 착탈시에, 회전축 방향으로 분할 부재를 이동시키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분할 부재의 착탈을 위해서 엔진의 축 방향의 길이를 증가시킬 필요가 없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since the division member does not have to be moved in the direction of the rotation axis at the time of attaching / detaching the division member, there is no need to increase the length of the engine in the axial direction for attachment and detachment of the division member.

상기 제 2 양태에 관련된 엔진에 있어서, 상기 분할 부재는, 축선 방향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상기 본체부에 착탈되어도 된다.In the engine according to the second aspect, the dividing member may be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main body portion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axial direction.

이 구성에 의하면, 분할 부재의 착탈시에, 축선 방향으로 분할 부재를 이동시키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분할 부재의 착탈을 위해서 엔진의 축 방향의 길이를 증가시킬 필요가 없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since the partition member does not need to be moved in the axial direction when attaching and detaching the partition member, it is not necessary to increase the axial length of the engine in order to attach and detach the partition member.

본 발명에 의하면, 크랭크축의 비틀림 진동을 저감시키기 위해, 큰 관성력이 필요한 경우가 있으며, 관성력을 증가시키는 경우에 있어서, 분할할 수 없는 종래의 관성 바퀴와 달리, 관성 바퀴와 엔진 본체간의 부품의 조립이나 메인터넌스를 위한 작업 스페이스를 확보할 수 있고, 또한 관성 바퀴의 무게 중심 위치와 주베어링의 거리를 떼어놓을 필요가 없기 때문에, 크랭크축의 휨량을 증가시키지 않는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reduce the torsional vibration of the crankshaft, a large inertia force is sometimes required. Unlike the conventional inertia wheel which can not be divided when the inertia force is increased, assembly of parts between the inertia wheel and the engine body It is not necessary to separate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inertia wheel from the distance of the main bearing, so that the amount of deflection of the crankshaft is not increased.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엔진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관성 바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 은, 관성 바퀴의 분할 부재가 떼어내어진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관성 바퀴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된 관성 바퀴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관련된 엔진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관련된 관성 바퀴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관련된 관성 바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 engin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ertial wheel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plit members of the inertia wheel are removed. Fig.
4 is a plan view showing an inertia whee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lan view showing an inertial wheel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engin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lan view showing an inertia wheel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ertial wheel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 1 실시형태> &Lt; First Embodiment >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엔진을 설명한다. 엔진 (1) 은, 예를 들어 선박용 디젤 기관이며, 선박의 선체 내부에 배치되고, 도 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랭크축 (2) 과 엔진 본체 (3) 를 구비하고 있다. 크랭크축 (2) 은, 연접봉의 일단과 접속되는 핀부와, 핀부에 지지되어 축선 (10) 상에 배치되는 저널부, 및 핀부 및 저널부를 연결하는 아암부를 구비하고 있다.Hereinafter, the engine related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engine 1 is, for example, a marine diesel engine. The engine 1 is disposed inside the hull of a ship and includes a crankshaft 2 and an engine body 3 as shown in Fig. The crankshaft 2 has a fin portion connected to one end of the connecting rod, a journal portion supported by the fin portion and disposed on the axis 10, and an arm portion connecting the fin portion and the journal portion.

엔진 본체 (3) 는, 대판 (6) 과 주베어링 (7) 을 구비하고 있다. 대판 (6) 은, 선체에 고정되어 있고, 내부에 수납 공간 (8) 을 형성하고 있다. 크랭크축 (2) 은, 핀부 및 아암부가 엔진 본체 (3) 내부의 수납 공간 (8) 에 수납되고, 또한 양단이 수납 공간 (8) 의 외부에 배치되어 있다. 주베어링 (7) 은, 각각 수납 공간 (8) 에 배치되고, 축선 (10) 을 중심으로 크랭크축 (2) 이 회전할 수 있다.The engine body 3 has a base plate 6 and a main bearing 7. The base plate 6 is fixed to the hull, and a storage space 8 is formed therein. The crankshaft 2 has a fin portion and an arm portion accommodated in a storage space 8 inside the engine body 3 and both ends disposed outside the storage space 8. [ The main bearings 7 are each disposed in the storage space 8 and the crankshaft 2 can rotate about the axis 10.

엔진 본체 (3) 는, 추가로 핀부에 대응하는 연접봉 (도시 생략) 과 피스톤 (도시 생략) 을 구비하고 있다. 피스톤은, 각각 직선 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연접봉은, 소단부가 크로스헤드 핀에 결합되고, 대단부가 크랭크축 (2) 의 핀부에 결합되어 있다. 엔진 본체 (3) 는, 실린더 (도시 생략) 내부에서 연료를 연소시킴으로써, 피스톤을 각각 왕복 운동시킨다. 연접봉은, 피스톤의 왕복 운동을 크랭크축 (2) 의 핀부에 전달함으로써, 크랭크축 (2) 을 회전시킨다.The engine body 3 further includes a connecting rod (not shown) and a piston (not shown) corresponding to the fin portion. Each of the pistons is supported so as to be linearly movable. The connecting rod has a small end portion coupled to the crosshead pin and a large end portion coupled to the pin portion of the crankshaft 2. The engine body 3 reciprocates the pistons by burning the fuel in the cylinders (not shown). The connecting rod rotates the crankshaft 2 by transmitting the reciprocating motion of the piston to the pin portion of the crankshaft 2.

엔진 본체 (3) 는, 추가로 스러스트 베어링 (11) 과, 종진동 댐퍼 (12) 와, 후단측 오일 시일 (15) 을 구비하고 있다. 스러스트 베어링 (11) 은, 크랭크축 (2) 의 후단측에 배치되고, 크랭크축 (2) 이 축선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게 스러스트력을 받고 있다. 종진동 댐퍼 (12) 는, 크랭크축 (2) 의 전단측에 배치되고,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크랭크축 (2) 과의 사이에 윤활제로 채워진 유실 (油室) (12a, 12b) 을 형성하고, 크랭크축 (2) 에 있어서의 축선 방향의 진동을 감쇠시킨다.The engine body 3 further includes a thrust bearing 11, a longitudinal vibration damper 12, and a rear end oil seal 15. The thrust bearing 11 is disposed on the rear end side of the crankshaft 2 and receives the thrust force so that the crankshaft 2 does not move in the axial direction. The longitudinal vibration damper 12 is disposed on the front end side of the crankshaft 2 and has oil chambers 12a and 12b filled with a lubricant between the longitudinal vibration damper 12 and the crankshaft 2 as shown in Fig. And attenuates the vibration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crankshaft 2.

후단측 오일 시일 (15) 은, 크랭크축 (2) 의 후단측이 엔진 본체 (3) 의 케이싱을 관통하는 부분에 배치되고, 수납 공간 (8) 과 접속하는 간극을, 수납 공간 (8) 내의 윤활제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한다.The rear end side oil seal 15 is disposed in a portion of the rear end side of the crankshaft 2 that passes through the casing of the engine body 3 and is provided with a gap, Thereby preventing the lubricant from leaking to the outside.

엔진 (1) 은, 엔진 (1) 의 전단측에 관성 바퀴 (16) 를 구비하고 있다. 관성 바퀴 (16) 는, 원판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관성 바퀴 (16) 는, 원형상의 저면이 축선에 대해 수직으로 배치되고, 또한 무게 중심이 축선 상에 배치된다. 관성 바퀴 (16) 는, 크랭크축 (2) 의 전단측의 단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관성 바퀴 (16) 는 원판상이면 되고, 반드시 진원일 필요는 없다.The engine 1 is provided with an inertial wheel 16 on the front end side of the engine 1. [ The inertial wheels 16 are formed in a disc shape. In the inertial wheel 16, the circular bottom face is disposed perpendicular to the axial line, and the center of gravity is disposed on the axial line. The inertia wheel 16 is fixed to the end of the crankshaft 2 on the front end side. In addition, the inertial wheel 16 should be a disc-shaped, and not necessarily a full circle.

케이싱 (18) 은, 엔진 본체 (3) 의 전단측에 배치되고, 관성 바퀴 (16) 가 수납되는 공간을 형성하고 있다.The casing (18) is disposed on the front end side of the engine body (3) and forms a space in which the inertia wheels (16) are housed.

엔진 (1) 을 구비하는 선박은, 프로펠러축 (21) 과 프로펠러 (22) 와 중간축 (23) 을 구비하고 있다. 프로펠러축 (21) 은, 봉상으로 형성되고, 일단이 선체의 외부에 배치되고, 타단이 선체의 내부에 배치되고, 회전 가능하게 선체에 지지되어 있다. 프로펠러 (22) 는, 날개형으로 형성되고, 프로펠러축 (21) 의 선체의 외부에 배치되어 있는 단부에 고정되어 있다. 프로펠러 (22) 는, 프로펠러축 (21) 과 함께 회전됨으로써, 선체를 추진시킨다. 중간축 (23) 은, 봉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중간축 (23) 은, 일단이 크랭크축 (2) 의 후단부에 접합되고, 타단이 프로펠러축 (21) 의 선체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는 단부에 접합되어 있다.The ship having the engine 1 has a propeller shaft 21, a propeller 22 and an intermediate shaft 23. The propeller shaft 21 is formed in a bar shape and has one end disposed on the outside of the hull and the other end disposed on the inside of the hull and rotatably supported on the hull. The propeller 22 is formed in a wing shape and is fixed to an end portion of the propeller shaft 21 disposed outside the hull. The propeller 22 is rotated together with the propeller shaft 21 to propel the hull. The intermediate shaft 23 is formed in a bar shape. One end of the intermediate shaft 23 is joined to the rear end of the crankshaft 2 and the other end thereof is joined to an end of the propeller shaft 21 disposed inside the hull.

도 2 는, 관성 바퀴 (16) 를 나타내고 있다. 관성 바퀴 (16) 는, 엔진 본체측 표면 (24) 과 측면 (25) 을 갖는다. 엔진 본체측 표면 (24) 은, 관성 바퀴 (16) 의 2 개의 저면 중 하나이다. 측면 (25) 은, 원판상을 갖는 관성 바퀴 (16) 의 측면이다. 관성 바퀴 (16) 는, 원판의 축선 (26) 이 축선 (10) 에 겹쳐지도록 배치되고, 또한 엔진 본체측 표면 (24) 이 엔진 본체 (3) 에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Fig. 2 shows the inertial wheel 16. The inertial wheel 16 has an engine body side surface 24 and a side surface 25. The engine body side surface 24 is one of the two bottom surfaces of the inertia wheel 16. The side surface 25 is a side surface of the inertial wheel 16 having a disc shape. The inertial wheels 16 are arranged such that the axis 26 of the disk overlaps the axis 10 and the engine body side surface 24 is arranged to face the engine body 3.

관성 바퀴 (16) 는, 본체부 (27) 와, 제 1 분할 부재 (28) 와, 제 2 분할 부재 (29) 를 구비하고 있다. 또, 본체부 (27) 는,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체결 부분 (31) 이 형성되어 있다. 본체부 (27) 는, 볼트를 사용하여 체결 부분 (31) 이 크랭크축 (2) 의 전단에 고정됨으로써, 크랭크축 (2) 에 고정된다.The inertial wheel 16 is provided with a main body portion 27, a first divisional member 28 and a second divisional member 29. As shown in Fig. 3, the main body portion 27 has a fastening portion 31 formed thereon. The main body portion 27 is fixed to the crankshaft 2 by fastening the fastening portion 31 to the front end of the crankshaft 2 using bolts.

본체부 (27) 는, 엔진 본체측 표면 (32) 과, 측면 (33) 과, 제 1 분할 부재 장착면 (34) 과, 제 2 분할 부재 장착면 (35) 이 형성되어 있다. 제 1 분할 부재 장착면 (34) 및 제 2 분할 부재 장착면 (35) 은 서로 인접하고 있다. 본체부 (27) 는, 또한 제 1 분할 부재 장착면 (34) 및 제 2 분할 부재 장착면 (35) 보다 엔진 본체 (3) 측으로 돌출되는 볼록부 (30) 가 형성되어 있다. 엔진 본체측 표면 (32) 은, 제 1 분할 부재 장착면 (34) 및 제 2 분할 부재 장착면 (35) 에 평행이 되도록 볼록부 (30) 에 형성되어 있다. 즉, 엔진 본체측 표면 (32) 은, 제 1 분할 부재 장착면 (34) 및 제 2 분할 부재 장착면 (35) 보다 엔진 본체 (3) 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 1 분할 부재 장착면 (34) 에는, 복수의 제 1 나사공 (36) 이 형성되어 있다. 제 2 분할 부재 장착면 (35) 에는, 복수의 제 2 나사공 (37) 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1 분할 부재 장착면 (34) 및 제 2 분할 부재 장착면 (35) 은, 반드시 엔진 본체측 표면 (32) 에 평행한 면이 아니어도 되고, 제 1 분할 부재 (28) 및 제 2 분할 부재 (29) 가 본체부 (27) 에 장착 가능한 면이면 된다.The main body portion 27 has the engine main body side surface 32, the side surface 33, the first divisional member mounting surface 34 and the second divisional member mounting surface 35 formed thereon. The first divisional member mounting surface 34 and the second divisional member mounting surface 35 are adjacent to each other. The main body portion 27 is also formed with a convex portion 30 protruding toward the engine body 3 side from the first division member mounting surface 34 and the second division member mounting surface 35. The engine body side surface 32 is formed in the convex portion 30 so as to be parallel to the first divisional member mounting surface 34 and the second divisional member mounting surface 35. That is, the engine body side surface 32 is disposed on the engine body 3 side with respect to the first partition member mounting surface 34 and the second partition member mounting surface 35. A plurality of first screw holes 36 are formed in the first partition member mounting surface 34. [ A plurality of second screw holes 37 are formed in the second partitioning member mounting surface 35. The first divisional member mounting surface 34 and the second divisional member mounting surface 35 may not necessarily be parallel to the engine body side surface 32 and the first divisional member 28 and second It may be a surface on which the divisional member 29 can be mounted on the main body portion 27.

제 1 분할 부재 (28) 는,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형 (扇形) 의 판상으로 형성되고, 엔진 본체측 표면 (41) 과 측면 (42) 이 형성되어 있다. 제 1 분할 부재 (28) 는, 복수의 제 1 나사공 (36) 에 대응하는 복수의 제 1 관통공 (43) 이 형성되어 있다. 제 1 관통공 (43) 은, 제 1 분할 부재 장착면 (34) 에 제 1 분할 부재 (28) 가 장착되었을 때, 제 1 나사공 (36) 의 위치와 일치하고, 제 1 관통공 (43) 과 제 1 나사공 (36) 의 축 방향은, 축선 (26) 에 대해 평행이다.As shown in Fig. 3, the first divisional member 28 is formed in a linear (fan) plate shape and has an engine body side surface 41 and a side surface 42 formed thereon. The first divisional member 28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first through holes 43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first screw holes 36. The first through hole 43 corresponds to the position of the first screw hole 36 when the first division member 28 is mounted on the first partition member mounting surface 34 and the first through hole 43 And the first screw hole 36 are parallel with respect to the axial line 26. As shown in Fig.

제 2 분할 부재 (29) 는,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형의 판상으로 형성되고, 엔진 본체측 표면 (44) 과 측면 (45) 이 형성되어 있다. 제 2 분할 부재 (29) 는, 복수의 제 2 나사공 (37) 에 대응하는 복수의 제 2 관통공 (46) 이 형성되어 있다. 제 2 관통공 (46) 은, 제 2 분할 부재 장착면 (35) 에 제 2 분할 부재 (29) 가 장착되었을 때, 제 2 나사공 (37) 의 위치와 일치하고, 제 2 관통공 (46) 과 제 2 나사공 (37) 의 축 방향은, 축선 (26) 에 대해 평행이다.3, the second divisional member 29 is formed in a linear plate shape, and the engine body side surface 44 and the side surface 45 are formed. A plurality of second through holes (46)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second screw holes (37) are formed in the second divided member (29). The second through hole 46 corresponds to the position of the second screw hole 37 when the second segment member 29 is mounted on the second segment member mounting surface 35 and the second through hole 46 And the second screw hole 37 are parallel with respect to the axial line 26. As shown in Fig.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분할 부재 (28) 및 제 2 분할 부재 (29) 의 형상을 선형으로 했지만, 본체부 (27), 제 1 분할 부재 (28) 및 제 2 분할 부재 (29) 의 각각의 형상에 맞춰 형상을 변형할 수 있다.Although the first divided member 28 and the second divided member 29 are linearly shape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body portion 27, the first divided member 28, and the second divided member 29, It is possible to deform the shape according to the shape of each of them.

관성 바퀴 (16) 는, 복수의 제 1 나사공 (36) 각각에 복수의 제 1 볼트가 삽입되고, 복수의 제 2 나사공 (37) 각각에 복수의 제 2 볼트가 삽입된다. 본체부 (27) 의 제 1 분할 부재 장착면 (34) 에 제 1 분할 부재 (28) 가 장착되었을 때, 복수의 제 1 볼트는, 축선 (26) 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된다. 제 1 볼트가 제 1 관통공 (43) 을 관통하여 복수의 제 1 나사공 (36) 에 체결됨으로써, 제 1 분할 부재 (28) 가 본체부 (27) 에 고정된다. 본체부 (27) 의 제 2 분할 부재 장착면 (35) 에 제 2 분할 부재 (29) 가 장착되었을 때, 복수의 제 2 볼트는, 축선 (26) 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된다. 제 2 볼트가 제 2 관통공 (46) 을 관통하여 제 2 나사공 (37) 에 체결됨으로써, 제 2 분할 부재 (29) 가 본체부 (27) 에 고정된다.A plurality of first bolts are inserted into each of the plurality of first screw holes 36 and a plurality of second bolts are inserted into each of the plurality of second screw holes 37. In the inertia wheel 16, When the first divisional member 28 is mounted on the first divisional member mounting surface 34 of the main body portion 27, the plurality of first bolts are arranged parallel to the axis 26. The first bolt passes through the first through hole 43 and is fastened to the plurality of first screw holes 36 so that the first split member 28 is fixed to the main body portion 27. When the second divisional member 29 is mounted on the second divisional member mounting surface 35 of the main body portion 27, the plurality of second bolts are arranged parallel to the axis 26. The second bolt passes through the second through hole 46 and is fastened to the second screw hole 37 so that the second split member 29 is fixed to the body portion 27. [

제 1 분할 부재 (28) 와 제 2 분할 부재 (29) 가 본체부 (27) 에 장착되었을 때, 본체부 (27) 의 엔진 본체측 표면 (32) 과, 제 1 분할 부재 (28) 의 엔진 본체측 표면 (41) 과, 제 2 분할 부재 (29) 의 엔진 본체측 표면 (44) 은, 관성 바퀴 (16) 의 엔진 본체측 표면 (24) 을 구성한다. 제 1 분할 부재 (28) 와 제 2 분할 부재 (29) 가 본체부 (27) 에 장착되었을 때, 본체부 (27) 의 측면 (33) 과, 제 1 분할 부재 (28) 의 측면 (42) 과, 제 2 분할 부재 (29) 의 측면 (45) 은, 관성 바퀴 (16) 의 측면 (25) 을 구성한다.When the first divisional member 28 and the second divisional member 29 are mounted on the main body portion 27, the engine body side surface 32 of the main body portion 27, The main body side surface 41 and the engine body side surface 44 of the second divisional member 29 constitute the engine body side surface 24 of the inertia wheel 16. The side surface 33 of the main body portion 27 and the side surface 42 of the first divisional member 28 are arranged so as to face each other when the first divisional member 28 and the second divisional member 29 are mounted on the main body portion 27, And the side surface 45 of the second divided member 29 constitute the side surface 25 of the inertia wheel 16. [

또한, 상기 서술한 설명에서는, 엔진 (1) 의 전단측에 관성 바퀴 (16) 를 구비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엔진 (1) 의 후단측에 관성 바퀴 (16) 와 동일한 후단측 관성 바퀴가 형성되어도 된다. 또한, 후단측 관성 바퀴는 원판상이면 되고, 반드시 진원일 필요는 없다. 후단측 관성 바퀴는, 원형상의 저면이 축선에 대해 수직으로 배치되고, 또한 무게 중심이 축선 상에 배치된다. 후단측 관성 바퀴는, 크랭크축 (2) 의 후단측의 단에 고정된다. 또, 후단측 관성 바퀴에 있어서도, 관성 바퀴 (16) 와 동일하게, 분할 부재가 엔진 본체측에 착탈 가능하게 형성된다.In the above description, the inertial wheels 16 are provided on the front end side of the engine 1.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example. In other words, the rear inertia wheel of the rear wheel may be formed on the rear end side of the engine 1 as the inertial wheel 16. Further, the rear-end inertia wheel must be in the form of a disc, and it need not always be a circle. The rear end inertia wheel is arranged so that the circular bottom face is perpendicular to the axial line, and the center of gravity is disposed on the axial line. The rear-stage inertia wheel is fixed to the end of the rear end side of the crankshaft 2. Also in the rear-stage inertia wheel, like the inertia wheel 16, the partition member is detachably formed on the engine body side.

엔진 (1) 은, 연료를 연소시킴으로써 회전 동력을 생성하여, 축선 둘레로 크랭크축 (2) 을 회전시킨다. 프로펠러축 (21) 은, 중간축 (23) 을 개재하여 크랭크축 (2) 으로부터 전달되는 회전 동력을 사용하여, 프로펠러 (22) 를 회전시킴으로써, 선체를 추진시킨다. 이 때, 크랭크축 (2) 은, 엔진 본체 (3) 의 복수의 피스톤이 왕복 운동하는 타이밍이 어긋나 있거나, 프로펠러 (22) 에 인가되는 저항이 변동됨으로써, 회전 속도가 변동되어, 비틀림 진동이 발생한다.The engine 1 generates rotational power by burning fuel, and rotates the crankshaft 2 about the axis. The propeller shaft 21 propels the hull by rotating the propeller 22 using rotational power transmitted from the crankshaft 2 via the intermediate shaft 23. At this time, the timing at which the reciprocating motions of the pistons of the engine main body 3 are shifted or the resistance applied to the propeller 22 is varied in the crankshaft 2, so that the rotational speed is varied, do.

관성 바퀴 (16) 는, 크랭크축 (2) 이 회전함으로써, 크랭크축 (2) 과 함께 축선 (10) 둘레로 회전한다. 이로써, 관성 바퀴 (16) 는, 관성 바퀴 (16) 의 관성 모멘트에 의해, 크랭크축 (2) 의 회전 속도가 변화했을 때, 크랭크축 (2) 의 회전 속도의 변동이 작아지도록 크랭크축 (2) 에 토크를 인가하여, 크랭크축 (2) 에 발생하는 비틀림 진동을 저감시킨다.The inertial wheel 16 rotates about the axis 10 together with the crankshaft 2 as the crankshaft 2 rotates. The inertia wheel 16 is rotated by the inertia moment of the inertia wheel 16 so that the fluctuation of the rotational speed of the crankshaft 2 becomes small when the rotational speed of the crankshaft 2 changes, So that the torsional vibration generated in the crankshaft 2 is reduced.

또한, 후단측 관성 바퀴가 형성되는 경우, 후단측 관성 바퀴도, 관성 바퀴 (16) 와 동일하게, 크랭크축 (2) 이 회전하는 회전 변동을 저감시켜, 크랭크축 (2) 에 발생하는 비틀림 진동을 저감시킨다.When the rear-stage inertia wheel is formed, the rear-stage inertia wheel also reduces the rotational fluctuation in which the crankshaft 2 rotates in the same manner as the inertia wheel 16, so that the torsional vibration generated in the crankshaft 2 .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엔진 (1) 의 엔진 메인터넌스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Next, an engine maintenance method of the engine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엔진 (1) 이 정지하여 회전 동력을 생성하고 있지 않을 때, 크랭크축 (2) 을 소정의 각도로 고정시키고, 관성 바퀴 (16) 의 제 1 분할 부재 (28) 와 제 2 분할 부재 (29) 를 소정의 위치에 배치한다. 크랭크축 (2) 이 소정의 각도로 고정되어 있을 때, 제 1 분할 부재 (28) 와 제 2 분할 부재 (29) 가 본체부 (27) 로부터 떼어내어진다. 여기서, 소정의 각도란, 제 1 분할 부재 (28) 와 제 2 분할 부재 (29) 를 떼어냈을 때 형성되는 공간이, 작업원이 작업하기 쉬운 공간이 되는 각도, 또는 제 1 분할 부재 (28) 와 제 2 분할 부재 (29) 를 떼어내기 쉬운 각도이다.The crankshaft 2 is fixed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the first and second split members 28 and 29 of the inertia wheel 16 are rotated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when the engine 1 stops, Is dispos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The first divided member 28 and the second divided member 29 are detached from the main body portion 27 when the crankshaft 2 is fixed at a predetermined angle. Here, the predetermined angle is an angle at which the space formed when the first divisional member 28 and the second divisional member 29 are separated is an easy-to-work space for the worker, And the second divided member 29 are easy to peel off.

제 1 분할 부재 (28) 와 제 2 분할 부재 (29) 가 본체부 (27) 로부터 떼어내어짐으로써, 본체부 (27) 와 엔진 (1) 사이에 스페이스가 형성된다. 이로써, 분할할 수 없는 종래의 관성 바퀴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와 달리, 작업자는 형성된 스페이스에 몸의 일부를 넣을 수 있어, 종진동 댐퍼 (12) 를 취급하거나, 메인터넌스하거나 할 수 있다.A space is formed between the main body portion 27 and the engine 1 by removing the first and second divided members 28 and 29 from the main body portion 27. As a result, unlike the case where a conventional inertia wheel that can not be divided is provided, the operator can place a part of the body in the formed space, so that the longitudinal vibration damper 12 can be handled or can be maintained.

그 결과, 작업 스페이스를 형성하기 위해, 관성 바퀴 (16) 의 무게 중심을 엔진 본체 (3) 로부터 떨어지도록 관성 바퀴 (16) 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 엔진 (1) 의 사이즈를 증가시키지 않고, 메인터넌스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작업 스페이스를 형성하지 않고, 엔진 본체 (3) 측에 관성 바퀴 (16) 의 두께를 크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엔진 (1) 의 사이즈를 증가시키지 않고, 크랭크축 (2) 의 비틀림 진동을 저감시키기 위한 큰 관성력을 얻을 수 있다.As a result, there is no need to provide the inertia wheel 16 so as to separate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inertia wheel 16 from the engine body 3 in order to form the working space, and without increasing the size of the engine 1,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property. It is also possible to increase the thickness of the inertia wheel 16 on the side of the engine body 3 without forming a working space so that the torsional vibration of the crankshaft 2 It is possible to obtain a large inertial force for reducing the force.

또, 종래의 관성 바퀴와 비교하여, 관성 바퀴 (16) 를 엔진 본체 (3) 에 근접시킬 수 있어, 관성 바퀴 (16) 의 무게 중심과 엔진 본체 (3) 의 주베어링의 거리를 짧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크랭크축 (2) 에 생기는 휨을 저감시킬 수 있고, 크랭크축 (2) 이 주베어링 (7) 에 편접촉하는 것을 저감시켜, 주베어링 (7) 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ertia wheel 16 can be brought closer to the engine body 3 than the conventional inertia wheel,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inertia wheel 16 and the main bearing of the engine body 3 can be shortened have. As a result, the warp occurring in the crankshaft 2 can be reduced, and the contact of the crankshaft 2 with the main bearing 7 can be reduced, so that the main bearing 7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또한, 후단측 관성 바퀴에 대해서도, 관성 바퀴 (16) 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발휘한다.In addition, the same effect as the inertia wheel 16 is exerted also for the rear inertia wheel.

<제 2 실시형태>&Lt; Second Embodiment >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관성 바퀴에 대해 설명한다.Next, the inertia wheel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관성 바퀴 (51) 는, 예를 들어 전단측에 형성되는 관성 바퀴에 적용된다. 관성 바퀴 (51) 는, 도 4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판상으로 형성되고, 본체부 (52) 와, 분할 부재 (53) 와, 복수의 볼트 (54) 를 구비하고 있다. 본체부 (52) 는, 크랭크축 (2) 에 고정되고, 관성 바퀴 (51) 가 형성하는 원판의 직경 방향을 포함하는 장착면 (52a) 이 형성되어 있다. 분할 부재 (53) 는, 반원의 판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분할 부재 (53) 가 본체부 (52) 의 장착면 (52a) 에 장착됨으로써, 관성 바퀴 (51) 가 형성된다. 본체부 (52) 에 장착되었을 때, 분할 부재 (53) 는, 관성 바퀴 (51) 의 측면 (원판의 측면) 의 일부를 형성하고, 또한 관성 바퀴 (51) 의 엔진 본체 (3) 에 대향하는 엔진 본체측 표면 (원판의 저면) 의 일부를 형성한다.The inertia wheel 5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pplied, for example, to an inertia wheel formed on the front end side. 4, the inertial wheels 51 are formed in a disk-like shape and include a main body portion 52, a dividing member 53, and a plurality of bolts 54. As shown in Fig. The body portion 52 is fixed to the crankshaft 2 and has a mounting surface 52a including a radial direction of the disk formed by the inertia wheel 51. [ The partitioning member 53 is formed in a plate shape of a semicircle. The partitioning member 53 is mounted on the mounting surface 52a of the main body portion 52 so that the inertia wheel 51 is formed. The partitioning member 53 forms a part of the side surface of the inertia wheel 51 (side surface of the disk) when the inertia wheel 51 is mounted on the main body portion 52, Thereby forming a part of the engine body side surface (bottom surface of the disk).

복수의 볼트 (54) 는, 각각 본체부 (52) 의 장착면 (52a) 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배치된다. 볼트 (54) 는, 분할 부재 (53) 를 관통하여, 본체부 (52) 에 체결됨으로써, 분할 부재 (53) 가 본체부 (52) 에 고정되고, 양자가 일체화된다.The plurality of bolts 54 are arrang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mounting surface 52a of the body portion 52, respectively. The bolts 54 pass through the partitioning members 53 and are fastened to the main body 52 so that the partitioning members 53 are fixed to the main body 52 and both are integrated.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관성 바퀴 (51) 를 구비한 엔진도,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엔진 (1) 과 동일하게, 분할 부재 (53) 를 떼어냄으로써, 종진동 댐퍼 (12) 를 용이하게 메인터넌스할 수 있다. 관성 바퀴 (51) 를 엔진 본체 (3) 에 근접시킴으로써, 크랭크축 (2) 의 휨을 저감시킬 수 있어, 주베어링 (7) 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The engine provided with the inertial wheel 5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easily removed from maintenance by removing the partitioning member 53 similarly to the engine 1 in the first embodiment, can do. By making the inertia wheel 51 close to the engine body 3, the warpage of the crankshaft 2 can be reduced, and damage to the main bearing 7 can be prevented.

관성 바퀴 (51) 는, 전단측에 한정되지 않고, 후단측에 형성되는 관성 바퀴에도 적용할 수 있다.The inertial wheel 51 is not limited to the front end, but may be applied to an inertial wheel formed on the rear end.

<제 3 실시형태>&Lt; Third Embodiment >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된 관성 바퀴에 대해 설명한다.Next, the inertia wheel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관성 바퀴 (61) 는, 예를 들어 전단측에 형성되는 관성 바퀴에 적용된다. 관성 바퀴 (61) 는, 도 5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판상으로 형성되고, 본체부 (62) 와, 분할 부재 (63) 와, 복수의 볼트 (64) 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관성 바퀴 (61) 는 원판상이면 되고, 반드시 진원일 필요는 없다. 본체부 (62) 는, 크랭크축 (2) 에 고정되고, 관성 바퀴 (61) 의 180 도보다 작은 중심각에 대응하는 현 (弦) 에 장착면 (62a) 이 형성되어 있다. 분할 부재 (63) 를 정면에서 보면, 180 도보다 작은 중심각에 대응하는 원호와 그 중심각에 대응하는 현으로 둘러싸인 형상을 갖는다. 분할 부재 (63) 가 본체부 (62) 의 장착면 (62a) 에 장착됨으로써, 관성 바퀴 (61) 가 형성된다. 본체부 (62) 에 장착되었을 때, 분할 부재 (63) 는, 관성 바퀴 (61) 의 측면 (원판의 측면) 의 일부를 형성하고, 또한 관성 바퀴 (61) 의 엔진 본체 (3) 에 대향하는 엔진 본체측 표면 (원판의 저면) 의 일부를 형성한다.The inertia wheel 6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pplied to, for example, an inertia wheel formed on the front end side. 5, the inertia wheels 61 are formed in a disk-like shape and include a body portion 62, a partition member 63, and a plurality of bolts 64. [ In addition, the inertia wheel 61 must be in the form of a disc, and it need not always be a circle. The main body portion 62 is fixed to the crankshaft 2 and has a mounting surface 62a formed on a string corresponding to a center angle smaller than 180 degrees of the inertia wheel 61. [ When viewed from the front, the dividing member 63 has a circular arc corresponding to a central angle smaller than 180 degrees and a shape surrounded by a string corresponding to the central angle. The partition member 63 is mounted on the mounting surface 62a of the main body portion 62 to form the inertia wheel 61. [ The partition member 63 forms a part of the side surface of the inertia wheel 61 when the inertia wheel 61 is mounted on the main body portion 62 and the portion of the inertia wheel 61 opposite to the engine main body 3 of the inertia wheel 61 Thereby forming a part of the engine body side surface (bottom surface of the disk).

복수의 볼트 (64) 는, 각각 본체부 (62) 의 장착면 (62a) 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배치된다. 볼트 (64) 는, 분할 부재 (63) 를 관통하여, 본체부 (62) 에 체결됨으로써, 분할 부재 (63) 가 본체부 (62) 에 고정되고, 양자가 일체화된다.The plurality of bolts (64) are arrang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mounting surface (62a) of the main body (62). The bolt 64 penetrates the partitioning member 63 and is fastened to the main body portion 62 so that the partitioning member 63 is fixed to the main body portion 62 so that both are integrated.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관성 바퀴 (61) 를 구비한 엔진도,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엔진 (1) 과 동일하게, 분할 부재 (63) 를 떼어냄으로써, 종진동 댐퍼 (12) 를 용이하게 메인터넌스할 수 있다. 관성 바퀴 (61) 를 엔진 본체 (3) 에 근접시킴으로써, 크랭크축 (2) 의 휨을 저감시킬 수 있어, 주베어링 (7) 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The engine provided with the inertial wheel 6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easily removed from maintenance by removing the partition member 63 in the same manner as the engine 1 in the first embodiment, can do. By making the inertia wheel 61 close to the engine body 3, the warpage of the crankshaft 2 can be reduced, and damage to the main bearing 7 can be prevented.

관성 바퀴 (61) 는, 전단측에 한정되지 않고, 후단측에 형성되는 관성 바퀴에도 적용할 수 있다.The inertial wheel 61 is not limited to the front end, but may be applied to an inertial wheel formed on the rear end.

<제 4 실시형태>&Lt; Fourth Embodiment &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관련된 관성 바퀴에 대해 설명한다. 도 6 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관련된 엔진 및 프로펠러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Next, the inertia wheel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6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 engine and a propeller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형태에서는, 중간축 (23) 과 엔진 본체 (3) 의 사이에 후단측 관성 바퀴 (71) 가 설치된다. 후단측 관성 바퀴 (71) 는, 도 7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판상으로 형성되고, 본체부 (72) 와, 제 1 분할 부재 (73) 와, 제 2 분할 부재 (74) 등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후단측 관성 바퀴 (71) 는 원판상이면 되고, 반드시 진원일 필요는 없다. 본체부 (72) 는, 도 8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랭크축 (2) 에 고정되고, 절결 (75) 이 형성되어 있다. 절결 (75) 은, 후단측 관성 바퀴 (71) 가 형성하는 원판의 2 개의 저면 중 중간축 (23) (도 6 참조) 에 대향하는 중간축측 표면에 형성된다. 절결 (75) 은, 후단측 관성 바퀴 (71) 의 180 도보다 작은 중심각에 대응하는 현에 형성되어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rear-stage inertia wheel 71 is provided between the intermediate shaft 23 and the engine main body 3. 7, the rear end side inertia wheel 71 is formed in a disk shape and includes a body portion 72, a first partition member 73, a second partition member 74, and the like . Further, the rear-stage inertia wheel 71 must be in the form of a disc, and it is not necessarily a true circle. 8, the body portion 72 is fixed to the crankshaft 2, and a notch 75 is formed. The notch 75 is formed on the intermediate shaft side surface opposed to the intermediate shaft 23 (see Fig. 6) of the two bottom surfaces of the disk formed by the rear end inertia wheel 71. The notch 75 is formed in the string corresponding to a central angle smaller than 180 degrees of the rear inertia wheel 71. [

제 1 분할 부재 (73) 는, 도 7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절결 (75) 중, 후단측 관성 바퀴 (71) 의 축에 대해 일방에 장착되고, 제 2 분할 부재 (74) 는, 절결 (75) 중, 후단측 관성 바퀴 (71) 의 축에 대해 타방에 장착된다. 제 1 분할 부재 (73) 와 제 2 분할 부재 (74) 는, 본체부 (72) 의 절결 (75) 에 장착되었을 때, 후단측 관성 바퀴 (71) 의 측면을 형성하고, 또한 후단측 관성 바퀴 (71) 의 중간축측 표면을 형성한다.7, the first divisional member 73 is mounted on one side of the notch 75 with respect to the axis of the rear inertia wheel 71, and the second divisional member 74 is mounted on one side of the notch 75 Of the rear inertia wheels 71, as shown in Fig. The first divided member 73 and the second divided member 74 form the side surface of the rear inertia wheel 71 when mounted on the notch 75 of the body portion 72, (71).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엔진의 엔진 메인터넌스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Next, the engine maintenance method of the engin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크랭크축 (2) 으로부터 중간축 (23) 을 떼어낼 때, 먼저, 크랭크축 (2) 을 소정의 각도로 고정시키고, 후단측 관성 바퀴 (71) 의 제 1 분할 부재 (73) 와 제 2 분할 부재 (74) 를 소정의 위치에 배치한다. 크랭크축 (2) 이 소정의 각도에 고정되어 있을 때, 제 1 분할 부재 (73) 와 제 2 분할 부재 (74) 중 어느 일방이 본체부 (72) 로부터 상방으로 떼어내어진다. 이로써, 중간축 (23) 의 단부가 절결 (75) 을 통과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 1 분할 부재 (73) 또는 제 2 분할 부재 (74) 가 본체부 (72) 로부터 떼어내어져 있을 때, 작업자는, 중간축 (23) 을 크랭크축 (2) 으로부터 떼어내고, 중간축 (23) 의 단부가 본체부 (72) 의 절결 (75) 을 통과하도록, 중간축 (23) 을 본체부 (72) 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 이동시킨다. 이로써, 중간축 (23) 을 크랭크축 (2) 으로부터 취출할 수 있다.When the intermediate shaft 23 is removed from the crankshaft 2, the crankshaft 2 is first fixed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the first split member 73 of the rear inertia wheel 71 and the second split The member 74 is dispos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Either one of the first division member 73 and the second division member 74 is separated upward from the main body portion 72 when the crankshaft 2 is fixed at a predetermined angle. This makes it possible for the end of the intermediate shaft 23 to pass through the notch 75. When the first divided member 73 or the second divided member 74 is detached from the body portion 72, the operator removes the intermediate shaft 23 from the crankshaft 2 and moves the intermediate shaft 23 The intermediate shaft 23 is moved radially outward of the main body 72 so that the end of the intermediate shaft 23 passes through the notch 75 of the main body 72. [ Thereby, the intermediate shaft 23 can be taken out from the crankshaft 2.

반대로, 중간축 (23) 을 크랭크축 (2) 에 장착하는 경우, 중간축 (23) 의 단부가 본체부 (72) 의 절결 (75) 을 통과하도록, 중간축 (23) 을 본체부 (72) 의 중심측으로 이동시킨다. 이로써, 중간축 (23) 을 크랭크축 (2) 에 장착 고정시킬 수 있다. 그 후, 제 1 분할 부재 (73) 와 제 2 분할 부재 (74) 가 본체부 (72) 에 장착된다.Conversely, when the intermediate shaft 23 is mounted on the crankshaft 2, the intermediate shaft 23 is engaged with the main body portion 72 so that the end portion of the intermediate shaft 23 passes through the notch 75 of the main body portion 72 As shown in Fig. Thereby, the intermediate shaft 23 can be mounted and fixed to the crankshaft 2. Thereafter, the first divided member 73 and the second divided member 74 are attached to the body portion 72. [

후단측 관성 바퀴 (71) 를 회전시켜, 제 1 분할 부재 (73) 와 제 2 분할 부재 (74) 중 어느 일방을 축에 대해 상측에 위치시킴으로써, 중간축 (23) 을 본체부 (72) 로부터 취출할 수 있다. 즉, 후단측 관성 바퀴 (71) 를 최대 90 °만큼 회전시킴으로써, 중간축 (23) 을 떼어낼 수 있는 위치에 설정할 수 있다.The rear end inertia wheel 71 is rotated so that either one of the first division member 73 and the second division member 74 is positioned on the upper side of the shaft so that the intermediate shaft 23 is rotated from the body portion 72 It can be taken out. That is, the rear-stage inertia wheel 71 can be set at a position at which the intermediate shaft 23 can be removed by rotating the inertia wheel 71 by 90 degrees at the maximum.

종래의 후단측 관성 바퀴에서는, 중간축을 취출하기 위해, 본체부에 중간축을 통과시키는 것이 가능한 절결을 형성하고 있을 뿐이었다. 그 때문에, 관성 모멘트를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관성 바퀴의 두께를 두껍게 하거나 직경을 크게 할 필요가 있었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절결 (75) 에 제 1 분할 부재 (73) 와 제 2 분할 부재 (74) 가 설치되므로, 종래의 후단측 관성 바퀴와 비교하여, 두께나 직경을 증가시키지 않고, 후단측 관성 바퀴 (71) 의 관성 모멘트를 증가시킬 수 있다. 그리고, 큰 관성력을 얻음으로써, 크랭크축 (2) 의 비틀림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다.In the conventional rear-end inertia wheel, only a cut-out portion capable of passing through the intermediate shaft is formed in the body portion in order to take out the intermediate shaft. Therefore, in order to increase the moment of inertia,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thickness of the inertia wheel or increase the diamet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first partitioning member 73 and the second partitioning member 74 are provided in the notch 75,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rear-stage inertia wheel, the thickness and the diameter are not increased, The moment of inertia of the rear inertia wheel 71 can be increased. By obtaining a large inertia force, the torsional vibration of the crankshaft 2 can be reduced.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본체부 (72) 에 대해 2 개의 분할 부재, 즉, 제 1 분할 부재 (73) 및 제 2 분할 부재 (74) 를 착탈 가능하게 한 예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절결 (75) 은, 본체부에 있어서, 후단측 관성 바퀴 (71) 의 축에 대해 직경 방향의 일방에만 형성되고, 본체부에 제 1 분할 부재 (73) 만이 착탈되도록 해도 된다. 즉, 이 변형예의 본체부는, 상기 실시형태의 본체부 (72) 와 제 2 분할 부재 (74) 가 일체화된 형상을 갖는다. 본 변형예에서는, 제 1 분할 부재 (73) 가 축에 대해 상측에 위치하도록 후단측 관성 바퀴 (71) 를 회전시켰을 때에만, 중간축 (23) 을 본체부로부터 상방으로 취출할 수 있다.In the above embodiment, the description has been given of the example in which the two divided members, that is, the first divided member 73 and the second divided member 74 can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body portion 72,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example. For example, the cutout 75 may be formed only in one of the radial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axis of the rear-stage inertia wheel 71 in the main body portion, and only the first split member 73 may be detached from the main body portion. That is, the main body portion of this modification has a shape in which the main body portion 72 and the second division member 74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re integrated. In this modification, the intermediate shaft 23 can be taken out from the main body portion only when the rear inertia wheel 71 is rotated so that the first divisional member 73 is positioned on the upper side with respect to the shaft.

1 : 엔진
2 : 크랭크축
3 : 엔진 본체
6 : 대판
7 : 주베어링
8 : 수납 공간
10 : 축선
11 : 스러스트 베어링
12 : 종진동 댐퍼
15 : 후단측 오일 시일
16 : 관성 바퀴
18 : 케이싱
21 : 프로펠러축
22 : 프로펠러
23 : 중간축
24 : 엔진 본체측 표면
25 : 측면
26 : 축선
27 : 본체부
28 : 제 1 분할 부재
29 : 제 2 분할 부재
31 : 체결 부분
32 : 엔진 본체측 표면
33 : 측면
34 : 제 1 분할 부재 장착면
35 : 제 2 분할 부재 장착면
36 : 제 1 나사공
37 : 제 2 나사공
41 : 엔진 본체측 표면
42 : 측면
43 : 제 1 관통공
44 : 엔진 본체측 표면
45 : 측면
46 : 제 2 관통공
51 : 관성 바퀴
52 : 본체부
53 : 분할 부재
54 : 볼트
61 : 관성 바퀴
62 : 본체부
63 : 분할 부재
64 : 볼트
71 : 후단측 관성 바퀴
72 : 본체부
73 : 제 1 분할 부재
74 : 제 2 분할 부재
75 : 절결
1: engine
2: Crankshaft
3: engine body
6: Plays
7: Main bearing
8: Storage space
10: Axis
11: Thrust bearing
12: longitudinal vibration damper
15: Oil seal on the rear end side
16: inertia wheel
18: casing
21: Propeller shaft
22: Propeller
23: intermediate axis
24: Engine body side surface
25: Side
26: Axis
27:
28: first division member
29: second division member
31: fastening portion
32: Engine body side surface
33: Side
34: first partition member mounting surface
35: second partition member mounting surface
36: 1st I
37: The second gunman
41: Engine body side surface
42: Side
43: first through hole
44: engine body side surface
45: Side
46: second through hole
51: inertia wheel
52:
53:
54: Bolt
61: inertia wheel
62:
63:
64: Bolt
71: rear inertia wheel
72:
73: first partition member
74: second division member
75: The cut

Claims (5)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분할 부재를 구비하는 관성 바퀴로서,
상기 분할 부재가 상기 본체부에 고정되었을 때, 상기 분할 부재가 외주면의 일부를 형성하는 관성 바퀴.
A body portion,
An inertia wheel having a partition member detachably fixed to the main body,
Wherein when the split member is fixed to the body portion, the split member forms a part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제 1 항에 기재된 관성 바퀴와,
상기 본체부가 설치되는 크랭크축을 구비하는 엔진.
An inertia wheel according to claim 1;
And a crankshaft on which the body portion is mounted.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관성 바퀴는, 상기 본체부가 상기 크랭크축의 전단부에 설치됨과 함께, 상기 분할 부재가 상기 본체부에 고정되었을 때, 상기 엔진에 대향하는 엔진측 표면의 일부를 형성하는 엔진.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inertia wheel forms a part of the engine side surface facing the engine when the main body portion is provided at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crankshaft and when the division member is fixed to the main body portion.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크랭크축에 접속되는 후단부에 접속되는 중간축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관성 바퀴는, 상기 본체부가 상기 크랭크축의 후단부에 설치됨과 함께, 상기 분할 부재가 상기 본체부에 고정되었을 때, 상기 중간축에 대향하는 중간축측 표면의 일부를 형성하는 엔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Further comprising an intermediate shaft connected to a rear end portion connected to the crankshaft,
Wherein the inertia wheel forms a part of an intermediate shaft side surface opposed to the intermediate shaft when the main body portion is provided at the rear end portion of the crankshaft and when the split member is fixed to the main body portion.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 부재는, 축선 방향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상기 본체부에 착탈되는 엔진.
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4,
Wherein the dividing member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main body portion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axial direction.
KR1020167017288A 2014-03-18 2015-03-16 Flywheel and marine diesel engine KR101836022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055062 2014-03-18
JP2014055062A JP5931945B2 (en) 2014-03-18 2014-03-18 Flywheel and marine diesel engines
PCT/JP2015/057773 WO2015141646A1 (en) 2014-03-18 2015-03-16 Flywheel and eng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4473A true KR20160084473A (en) 2016-07-13
KR101836022B1 KR101836022B1 (en) 2018-03-07

Family

ID=541446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7288A KR101836022B1 (en) 2014-03-18 2015-03-16 Flywheel and marine diesel engine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931945B2 (en)
KR (1) KR101836022B1 (en)
CN (1) CN105899844B (en)
WO (1) WO2015141646A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18442A (en) 1986-11-06 1988-05-23 三井建設株式会社 Assembling struucture of room partition wall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35806Y2 (en) * 1975-06-03 1981-08-24
JPS57102744U (en) * 1980-12-17 1982-06-24
JPS61181142U (en) * 1985-05-02 1986-11-12
JPH0191045U (en) * 1987-12-07 1989-06-15
JPH0234847U (en) * 1988-08-30 1990-03-06
JPH02154832A (en) * 1988-12-02 1990-06-14 Honda Motor Co Ltd Flywheel for engine
JP2545504Y2 (en) * 1991-12-11 1997-08-25 日野自動車工業株式会社 Fuel injection pump with torsional damper
GB2290122B (en) * 1994-06-10 1998-02-18 Nigel Hurrion Engine
JPH0893853A (en) * 1994-09-29 1996-04-12 Mitsubishi Heavy Ind Ltd Dynamic vibration reducer for rotary shaft system torsional vibration
KR200184252Y1 (en) 1999-12-29 2000-06-01 대우중공업주식회사 Variable balance weight have crank shaft
JP2004053008A (en) * 2002-05-31 2004-02-19 Fukoku Co Ltd Viscous damper
JP2012215146A (en) * 2011-04-01 2012-11-08 Isuzu Motors Ltd Power unit and vehicle equipped with the same, and method for reducing resonance sound
CN202182146U (en) * 2011-08-03 2012-04-04 吴能建 Air-cooled diesel engine flywheel assembly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18442A (en) 1986-11-06 1988-05-23 三井建設株式会社 Assembling struucture of room partition wal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6022B1 (en) 2018-03-07
CN105899844A (en) 2016-08-24
JP5931945B2 (en) 2016-06-08
JP2015175516A (en) 2015-10-05
WO2015141646A1 (en) 2015-09-24
CN105899844B (en) 2017-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6941B1 (en) Stroke-variable engine
US9915317B2 (en) Centrifugal pendulum
US8468995B2 (en) Compact second order balance shaft arrangement with low inertia driven shaft
JP4933761B2 (en) Piston engine and method of drivingly connecting piston engines
JP6842923B2 (en) Reciprocating plunger pump, crank circular slider mechanism, circular slider and circular slider unit
GB2470808A (en) 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with balanced hypocycloidal drive
JPH10220547A (en) Motion converting mechanism of low vibration,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reciprocating compressor
US9835226B2 (en) Torsional damper with independently rotating inertia masses and crankshaft to which the torsional damper with independently rotating inertia masses is applied
KR101836022B1 (en) Flywheel and marine diesel engine
US6058894A (en) General-purpose air-cooled four-cycle engine
KR101500409B1 (en) Balance shaft module of engine
JP5274412B2 (en) Balance device in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101421018B1 (en) A Crank shaft of multi-Cylinder engine
US6205972B1 (en) Engine
US9234457B1 (en) Marine engines and balance shaft arrangements for marine engines
CN113279852B (en) In-line piston engine, aircraft engine and aircraft with balancing mechanism
KR101491173B1 (en) Oil Pump Mounting Structure for 2 Cylinder Engine
JP2000186746A (en) Balancer shaft
WO2017089160A1 (en) Oil sump balance shaft assembly for an engine and method of balancing the engine
US9303720B2 (en) “V” internal combustion engine provided with balancing countershaft
RU2629301C1 (en) Axial piston internal combustion engine with swinging block of cardan suspensions
JP2020159468A (en) Internal combustion engine system and vibration prevention structure of crank shaft
JP2011157944A (en) Vibration reducer of recipro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2021032177A (en) Balancer housing
JP2014109358A (en) Balancer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