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3983A - 자립형 식재화분 구조체 - Google Patents

자립형 식재화분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3983A
KR20160083983A KR1020150000136A KR20150000136A KR20160083983A KR 20160083983 A KR20160083983 A KR 20160083983A KR 1020150000136 A KR1020150000136 A KR 1020150000136A KR 20150000136 A KR20150000136 A KR 20150000136A KR 20160083983 A KR20160083983 A KR 201600839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right
planting
frame
net
ty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01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48837B1 (ko
Inventor
손창락
Original Assignee
손창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창락 filed Critical 손창락
Priority to KR10201500001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8837B1/ko
Publication of KR201600839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39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88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88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5Containers and elements for greening wal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4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3Multi-tiered planters
    • A01G2009/1053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Abstract

본 발명은 꽃이나 식물이 식재된 식물화분을 식재할 수 있는 자립형(自立型) 식재화분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실내 또는 실외에서 벽체 또는 기둥의 역할을 수행하면서 다양한 식물을 식재할 수 있는 수단으로 활용하거나 소형으로 책상 위에 설치하여 파티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식재화분 구조체을 제공함으로써, 실내외의 공간환경을 미려하고 쾌적하게 조성할 수 있는 자립형 식재화분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사각기둥 또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금속 재질의 상하로 인접하여 2개씩 형성되어 구성되는 가로망 및 상기 가로망에 수직으로 교차하도록 고정되는 하나의 금속재질로 구성되는 세로망으로 이루어지는 직립식 망체 프레임과, 상기 직립식 망체 프레임의 가로망을 감싸면서 하부로 연장 설치되어 꽃이나 식물이 식재되는 공간인 식재셀을 형성하는 부직포와, 상기 직립식 망체 프레임과 상기 부직포에 의해 형성되는 식재셀과, 상기 부직포를 상기 직립식 망체 프레임의 가로망에 고정하는 고정수단과, 상기 직립식 망체 프레임의 세로망을 연결하여 상기 직립식 망체 프레임을 자립하게 하거나 또는 상기 직립식 망체 프레임을 다수개 연결하여 횡방향으로 연장하게 하는 연결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립형 식재화분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립형 식재화분 구조체 { A planting pot structrue }
본 발명은 자립형(自立型) 식재화분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꽃이나 식물이 식재된 식물화분을 식재할 수 있는 화분으로서 스스로 자립하여 실내 또는 실외에서 벽체 또는 기둥의 역할을 수행하면서 여기에 여러 가지 다양한 꽃이나 식물을 식재할 수 있는 수단으로 활용하거나, 소형으로 책상 위에 설치하여 파티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식재화분 구조체을 제공함으로써, 실내외의 공간환경을 미려하고 쾌적하게 조성할 수 있는 자립형 식재화분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분이나 꽃은 환경개선이나 공기질 개선을 위한 수단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건물 내부나 가정에서도 장식수단 또는 공기정화수단, 취미수단으로 폭넓게 사용하게 되고 있다.
그러나 원기둥 형태의 통상적인 화분은 공간적으로 어느 정도의 여유공간이 있어야 이를 설치하여 감상할 수 있다는 단점으로 인해 특히 건물 내부의 벽면이나 기둥면의 면체를 활용할 수 없어, 단지 벽이나 기둥 주위로 화분을 위치하여 건물 내부의 환경과 미관을 개선하거나 공기질을 개선하게 된다.
이러한 화분의 공간적 한계점을 해결하고자 여러 방안으로서, 건물 내부의 편평한 벽면이나 기둥면을 활용하여 수직적으로 화분이나 꽃을 식재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들이 제안되었으며, 본 발명의 출원인 역시 평면으로 이루어진 벽이나 기둥의 면체를 이용하여 식물을 식재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던 바, 첨부된 도 1을 참조하면,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139614호 '벽면식재장치'의 명칭으로 실내에서 별다른 지상공간을 차지하지 않으며 녹지공간을 확대할 수 있도록 하는 벽면을 활용한 식물 식재장치를 제안하였다.
그러나, 종래에 제시된 여러 방안들은 식물이 식재되는 장치를 합판이나 판형의 합성수지 재질로 제조함에 따라 장치 자체의 중량이 무거워, 제조공장에서 각각의 구성품을 완성품으로 제조완료하여 설치현장에서 조립해야 하므로 무거운 중량의 식재장치를 이동하거나 운반할 때에는 적정 작업인력과 이송장치가 필연적으로 소요되었으며, 또한 상기의 종래 방안들은 모두 벽면이나 기둥면을 이용하여 그 전면으로만 화분이 식재되어 감상할 수 있는 단방향식 식재화분 구조체로서 벽면 또는 기둥면을 활용할 수 없는 공간에서는 설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의 방안들의 문제점인 식재화분 구조체을 구성하는 프레임 자체의 중량을 경량화하고 단순한 구성으로 그 조립 및 해체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고, 공간 및 형상에 구애됨이 없이 벽체 또는 기둥 또는 책상 위의 파티션의 기능을 수행하면서도 그 내부로 꽃이나 식물이 식재되어 사용자들이 전면의 단방향이 아닌 전후좌우 사방에서 식재화분을 감상할 수 있는 식재화분 구조체에 대한 제안이 필요하게 되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139614호
본 발명의 목적은, 먼저 상기의 문제점인 식재화분 구조체 자체의 중량이 무거워 그 운반 및 조립과 해체가 어려웠다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종래의 합판이나 판형의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된 가로 및 세로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무거운 식재화분 구조체을 가로망과 세로망으로 구성되는 가벼운 망체로 프레임을 형성하고 부직포로 꽃이나 식물이 식재되는 공간(이하 '식재셀'이라 함)을 형성하여 그 중량을 대폭적으로 경감하여 이동 및 운반과 조립 및 해체 등의 시공을 용이하게 하고, 다음으로 상기 망체 프레임만을 연결하여 식재화분 구조체의 전후좌우의 4면 모두에 식재셀을 형성하여 그 내부로 식재화분을 수용하면서 별도의 바닥과의 고정수단이 필요없이 상기 망체 프레임만으로 직립방향으로 자립하여 고정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는 사방에서 식재화분을 감상할 수 있게 되고 동시에 그 자체로서 벽체의 기능을 하거나 기둥의 기능을 하거나 소형으로 제작하여 책상 위에 설치하여 파티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자립형 식재화분 구조체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상기의 목적은, 사각기둥 또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금속 또는 경질 합성수지재질의 상하로 인접하여 2개씩 형성되어 구성되는 가로망 및 상기 가로망에 수직으로 교차하도록 고정되는 하나의 세로망으로 이루어지는 직립식 망체 프레임과, 상기 직립식 망체 프레임의 가로망을 감싸면서 하부로 연장 설치되어 꽃이나 식물이 식재되는 공간인 식재셀을 형성하는 부직포와, 상기 직립식 망체 프레임과 상기 부직포에 의해 형성되는 식재셀과, 상기 부직포를 상기 직립식 망체 프레임의 가로망에 고정하는 고정수단과, 상기 직립식 망체 프레임의 세로망을 연결하여 상기 직립식 망체 프레임을 자립하게 하거나 또는 상기 직립식 망체 프레임을 다수개 연결하여 횡방향으로 연장하게 하는 연결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립형 식재화분 구조체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립형 식재화분 구조체은, 종래의 무거운 합판 또는 합성수지 재질의 프레임을 매우 가벼운 직립식 망체 및 부직포로 형성하여 프레임의 중량을 대폭 경감하여 이동과 운반이 용이하게 되고, 조립 및 해체가 간단하여 시공이 용이하여 작업인력과 작업시간이 절감되며, 흡수성이 탁월한 부직포로 식재셀을 형성하여 수분이 부직포를 통해 골고루 확산되어 식물 생장에 좋은 환경을 제공하면서도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고, 직립식 망체 프레임만을 연결하여 식재화분 구조체의 전후좌우의 4면 모두에 식재셀을 형성하여 그 내부로 식재화분을 수용하면서 바닥과의 별도 고정수단이 필요 없어 구성이 단순하면서도 상기 직립식 망체 프레임만으로 직립방향으로 자립할 수 있도록 하여 벽이나 기둥의 면체를 이용하지 않으면서도 실내외의 어느 공간에도 설치 가능하며, 사용자는 전후좌우 사방에서 식재화분 구조체에 식재되어 있는 식재화분을 감상할 수 있게 되고, 동시에 그 자체로서 벽체의 기능을 하거나 기둥의 기능을 하거나 소형으로 제작하여 책상 위에 설치하여 파티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식재된 식물화분을 통해 내부 경관의 향상과 실내 거주자에게 공기정화기능, 환경개선 기능, 심리적 쾌적함을 제공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벽면을 이용한 벽면식재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자립형 식재화분 구조체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자립형 식재화분 구조체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2의 I-I 선을 따라 취한 개략적 측면도 및 부분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자립형 식재화분 구조체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재셀에 수용되는 식재화분의 포장도.
도 7 및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자립형 식재화분 구조체로서 벽체형 및 기둥형 구조체을 예시하는 실물 사진.
이하, 첨부된 도면 2 내지 8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립형 식재화분 구조체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발명에 대한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서 동일한 구조와 기능을 가지는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식별부호를 부여하여 그 자세한 설명은 중복되지 않도록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자립형 식재화분 구조체은 벽체 또는 기둥체 형상의 자립형 식재화분 구조체이며, 제2실시예에 따른 자립형 식재화분 구조체은 책상 위에 설치되는 파티션 기능을 수행하는 자립형 식재화분 구조체인 것으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자립형 식재화분 구조체은, 첨부된 도 2 내지 4 및 도 6 내지 8의 도시와 같이, 사각기둥 또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금속 재질의 상하로 인접하여 2개씩 형성되어 구성되는 가로망(11) 및 상기 가로망(11)에 수직으로 교차하도록 고정되는 하나의 금속재질로 구성되는 세로망(12)으로 이루어지는 직립식 망체 프레임(1)과, 상기 직립식 망체 프레임(1)의 가로망(11)을 감싸면서 하부로 연장 설치되어 꽃이나 식물이 식재되는 공간인 식재셀을 형성하는 부직포(2)와, 상기 직립식 망체 프레임(1)과 상기 부직포(2)에 의해 형성되는 식재셀(3)과, 상기 부직포(2)를 상기 직립식 망체 프레임(1)의 가로망(11)에 고정하는 고정수단(4)과, 상기 직립식 망체 프레임(1)의 세로망(12)을 연결하여 상기 직립식 망체 프레임(1)을 자립하게 하거나 또는 상기 직립식 망체 프레임(1)을 다수개 연결하여 횡방향으로 연장하게 하는 연결수단(5)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립형 식재화분 구조체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자립형 식재화분 구조체은, 사각기둥 또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금속 재질의 직립식 망체 프레임(1)이 구비된다. 사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상기 직립식 망체 프레임(1)은 벽체 또는 사각기둥의 기능을 하거나 사각 화분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장식용 구조체이며,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상기 직립식 망체 프레임(1)은 원형의 기둥의 기능을 하거나 원형 화분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장식용 구조체이다.
상기 직립식 망체 프레임(1)은, 횡방향으로 구획하도록 일정 간격으로 상하로 인접되게 이격하여 2개씩을 한 세트로 하여 구성되는 다수의 가로망(11)과, 종방향으로 구획하도록 상기 가로망(11)에 수직으로 교차하여 고정되는 1개로 구성되는 다수의 세로망(12)으로 구성되어 상기 직립식 망체 프레임(1)을 형성한다.
상기 직립식 망체 프레임(1)의 가로망(11)과 세로망(12)은 스폿용접으로 고정되어 견고하게 연결된다. 경질 합성수지를 사용할 경우에는 일체로 사출성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라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부직포(2)는, 띠 형상으로 길게 종방향으로 절단하여 구비되고, 상기의 직립식 망체 프레임(1)의 가로망(11)을 감싸면서 하부로 연장 설치되어 꽃이나 식물이 식재되는 후술하는 식재셀(3)을 상하 종방향으로 형성하게 된다. 상기 부직포(2)는 그 재질은 한정이 없고 흡수성이 있어 공급된 수분은 골고루 확산되므로, 식재화분 내에 식재되는 꽃이나 식물은 식재셀 내부에서 생장에 유리한 내부환경을 제공받게 되어 식물생장은 지장없이 보장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식재셀(3)은 꽃이나 식물이 식재되는 식재화분이 수용되는 공간으로서, 상기 직립식 망체 프레임(1)과 상기 부직포(2)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식재셀(3)의 형성과정을 살펴보면, 첨부된 도 4의 도시와 같이, 먼저 띠형상의 상기 부직포(2)의 일단부(21)는 상기 직립식 망체 프레임(1)의 최상부에 형성되는 가로망(11)을 감싸면서 최상부 가로망(11)에 후술하는 고정수단(4)에 의해 고정되며, 나머지 타단부(22)는 일정 길이를 가지면서 하부로 내려 최상부 가로망(11) 바로 하부에 형성된 두번째 가로망(11)을 감싸면서 첫번째 식재셀(3)을 형성하고, 동일한 방법으로 일정 길이를 가지면서 하부로 내려 세번째 가로망(11)을 감싸면서 두번째 식재셀(3)을 형성하며, 이와 동일한 방법으로 계속 하부 종방향으로 식재셀(3)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종방향으로 식재셀(3)이 형성된 연후에는, 횡방향으로 인접하여 형성되어 있는 상기 직립식 망체 프레임(1)의 최상부 가로망(11)부터 동일한 방법으로 상기 부직포(2)를 이용하여 동일한 식재셀(3)을 종방향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립형 식재화분 구조체에 구비되는 식재셀(3)을 모두 완성할 수 있게 되며, 완성된 상기 식재셀(3)에는 도 6에 도시된 부직포로 포장된 식재화분이 수용되는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직립식 망체 프레임(1)의 상부 가로망(11)을 감싸면서 그 하부에 형성된 그 다음 가로망(11)으로 상기 부직포(2)를 일정 길이를 가지면서 내리는 이유는, 상기 부직포(2)에 의해 형성되는 식재셀(3) 내부로 식재화분을 수용하여 배치할 때, 수용되는 식재화분이 상기 식재셀(3) 내부에서 전면을 향해 30°~ 80°의 경사각도를 자연적으로 형성하도록 하기 위함이며, 이에 따라 상기 식재셀(3)은 사용자의 눈높이에서 식재화분의 줄기, 잎, 꽃 등이 외부로 노출되게 되어 사용자는 이를 감상할 수 있으면서 실내 경관 역시 미려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고정수단(4)은, 상기 부직포(2)에 의해 감싸지는 상기 직립식 망체 프레임(1)의 각각의 가로망(11) 상으로 상기 부직포(2)를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여 상기 부직포(2)가 일정한 길이를 가지면서 상기 식재셀(3)을 형성하도록 하는 것이다. 즉, 상기 고정수단(4)은 상기 식재셀(3) 내부로 식재화분이 수용될 때 식재화분의 자체 중량에 의해 상기 직립식 망체 프레임(1)의 각각의 가로망(11)을 감싸고 있는 상기 부직포(2)가 상기 가로망(11)으로부터 상부 또는 하부로 느슨하게 이완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단면이 '∩'자, '∪'자, '∧'자, '∨'자, '∑'자 등의 다양한 형상의 단면형상을 가지는 공지의 고정클립이 상기 고정수단(4)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고정클립의 양단부에 외부의 힘을 가해 양단부가 맞닿게 하면 상기 부직포(2)는 상기 직립식 망체 프레임(1)의 가로망(11) 상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상기의 고정수단(4)으로서의 고정클립은 공지의 고정클립이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연결수단(5)은, 상기 직립식 망체 프레임(1)의 세로망(12)을 연결하여 상기 직립식 망체 프레임(1)을 자립하게 하거나 또는 상기 직립식 망체 프레임(1)을 다수개 연결하여 횡방향으로 연장하여 자립하게 한다.
상기 직립식 망체 프레임(1)은 가로망(11)에 세로망(12)을 스폿용접으로 연결 고정하여 평면으로 형성하여 설치하는 장소의 규격에 적합하도록 상기 가로망(11)을 절곡 또는 만곡하게 되는데, 벽체 또는 사각기둥 형상인 경우에는 상기 가로망(11)을 소정의 간격으로 3곳을 90℃ 각도로 절곡하여 상기 직립식 망체 프레임(1)을 사각 형상으로 성형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직립식 망체 프레임(1)의 일단과 타단은 상호 분리되어 있으므로 이를 견고하게 연결하여 자립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연결수단(5)을 통해 상기 직립식 망체 프레임(1)의 일단의 세로망(12)과 타단의 세로망(12)을 상호 연결하게 된다. 상기 직립식 망체 프레임(1) 일단의 세로망(12)과 타단의 세로망(12)이 상기 연결수단(5)에 의해 상호 견고하게 연결됨으로써, 상기 직립식 망체 프레임(1)은 별도의 고정수단 없이도 바닥에 견고하게 자립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자립형 식재화분 구조체은 상기 직립식 망체 프레임(1)을 다수개를 연결 고정하여 대형 구조체로도 설치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도 하나의 직립식 망체 프레임(1)와 인접하여 연결되는 직립식 망체 프레임(1)을 연결하기 위해서, 면접(面接)하게 되는 각각의 직립식 망체 프레임(1)의 세로망(12)들을 상기 연결수단(5)을 통해 상호 견고하게 연결하여 자립형 식재화분 구조체 전체가 별도의 고정수단 없이 바닥에 견고하게 자립하게 된다.
상기 연결수단(5)으로는, 금속 재질의 연결와이어를 사용할 수도 있고 인장강도가 우수한 특수섬유와이어를 사용할 수 있으나, 시공의 경제성을 고려하면 금속제 연결와이어가 상기 연결수단(5)으로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케이블타이로 간편하게 연결시킬 수가 있다. 상기 연결수단(5)으로서의 연결와이어는 널리 사용되는 공지의 수단이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원형 형상의 상기 직립식 망체 프레임(1)은, 가로망(11)과 세로망(12)이 스폿용접으로 연결 고정되어 평면으로 형성되는 상기 직립식 망체 프레임(1)의 가로망(11)을 완만한 각도로 만곡하여 둥근 원형으로 성형한 연후에 분리되어 있는 상기 직립식 망체 프레임(1) 일단의 세로망(12)과 타단의 세로망(12)을 상기 연결수단(5)으로 상호 연결하게 된다. 상기 직립식 망체 프레임(1) 일단의 세로망(12)과 타단의 세로망(12)이 상기 연결수단(5)에 의해 상호 견고하게 연결됨으로써, 원형의 상기 직립식 망체 프레임(1)은 사각 형상의 직립식 망체 프레임(1)과 마찬가지로 별도의 고정수단 없이도 바닥에 견고하게 자립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르는 자립형 식재화분 구조체의 설치과정을 설명한다.
우선, 설치공정 전(前)공정으로, 직립식 망체 프레임(1)을 구성하는 세로망(12)은 가로망(11)에 스폿용접되어 연결 고정되어 있으며, 소정의 설계에 의해 가로망(11)은 소정의 각도로 절곡 또는 만곡되어 있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사각 형상의 구조체인 경우에는 상기 직립식 망체 프레임(1)의 가로망(11)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하여 3곳에 90℃ 각도로 절곡되어 사각 형상을 갖추게 되며, 원형 형상의 구조체인 경우에는 상기 가로망(11)은 전체적으로 완만한 각도로 만곡되어 원형 형상을 갖추게 된다.
상기 직립식 망체 프레임(1)의 일단 및 타단은 상호 연결되어 있지 않고 분리되어 있다.
다음으로, 종방향으로 길게 재단되어 띠 형상의 부직포(2)를 이용하여 상기 직립식 망체 프레임(1)의 가로망(11)을 감싸면서 하부로 식재셀(3)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식재셀(3)의 형성과정은, 상기 부직포(2)로 최상부 가로망(11)을 감싸고 하부 방향으로 일정한 길이를 가지면서 하부의 가로망(11)을 하나씩 차례차례 감싸면서 종방향으로 식재셀(3)을 완료하고, 종방향의 식재셀(3)의 형성이 완료되면 횡방향으로 인접한 가로망(11)을 다시 동일한 방법에 의해 상기 부직포(2)가 감싸면서 하부 방향으로 식재셀(3) 형성을 완료하게 됨으로써, 상기 직립식 망체 프레임(1) 상의 전후좌우 사방의 모든 공간에는 식재셀(3)이 형성되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부직포(2)가 상기 직립식 망체 프레임(1)의 최상부 가로망(11)부터 최하부 가로망(11)까지 감싸면서 하부 방향으로 상기 식재셀(3)을 형성하는 과정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2)가 하나의 가로망(11)을 감싸게 되면 상기 부직포(2)가 감싸진 상기 가로망(11)으로부터 이탈되거나 느슨하게 이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부직포(2) 상으로 고정클립과 같은 고정수단(4)을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상기 가로망(11)에 고정하게 되며,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부직포(2)가 상기 가로망(11)을 감쌀 때마다 상기 고정수단(4)에 의해 상기 부직포(2)는 상기 가로망(11)에 견고하게 고정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직립식 망체 프레임(1) 상으로 상기 부직포(2)로 식재셀(3)이 모두 완성이 되면, 상기 직립식 망체 프레임(1)의 일단의 세로망(12)과 타단의 세로망(12)은 상호 분리되어 있어, 분리된 상기 직립식 망체 프레임(1)의 일단의 세로망(12)과 타단의 세로망(12)은 연결와이어와 같은 연결수단(5)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견고히 고정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자립형 식재화분 구조체은 별도의 고정수단이 없이 바닥에 자립하여 세워져 그 설치가 완료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립형 식재화분 구조체을 횡방향으로 다수개 연결하여 대형 구조체을 설치해야 하는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완성된 하나의 자립형 식재화분 구조체 및 그에 인접하여 연결되는 완성된 하나의 자립형 식재화분 구조체이 상호 면접(面接)하게 되는 각각의 면에 형성된 다수의 세로망(12)들을 상기 연결수단(5)을 이용하여 상호 연결하면 연결된 다수개의 자립형 식재화분 구조체은 별도의 고정수단 없이 바닥에 자립하여 세워지는 대형 구조체로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자립형 식재화분 구조체은 책상 위에 설치되는 파티션 기능을 수행하는 자립형 식재화분 구조체로서, 첨부된 도 5의 도시와 같이, 사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금속 재질의 상하로 인접하여 2개씩 형성되어 구성되는 가로망(11) 및 상기 가로망(11)에 수직으로 교차하도록 고정되는 하나의 금속재질로 구성되는 세로망(12)으로 이루어지는 직립식 망체 프레임(1)과, 상기 직립식 망체 프레임(1)의 가로망(11)을 감싸면서 하부로 연장 설치되어 꽃이나 식물이 식재되는 공간인 식재셀을 형성하는 부직포(2)와, 상기 직립식 망체 프레임(1)과 상기 부직포(2)에 의해 형성되는 식재셀(3)과, 상기 부직포(2)를 상기 직립식 망체 프레임(1)의 가로망(11)에 고정하는 고정수단(4)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립형 식재화분 구조체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자립형 식재화분 구조체은 상술한 제1실시예의 구성요소 중에서 연결수단(5)만이 결여되어 있는 것만이 구성상의 상이한 실시예로서, 그 나머지 구성요소인 직립식 망체 프레임(1), 부직포(2), 식재셀(3), 고정수단(4)은 모두 동일한 구성요소이므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되, 다만, 제2실시예에서의 직립식 망체 프레임(1)을 구성하는 가로망(11a)은 절곡 또는 만곡되지 않고 세로망(12a)이 90° 각도로 절곡되는 것이 제1실시예에서의 상기 가로망(11)이 90° 각도로 절곡되거나 또는 완만한 각도로 만곡되고 세로망(12)은 절곡 또는 만곡되지 않는 것이 상이하여, 이에 대한 설명을 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자립형 식재화분 구조체은 책상 위에 설치되어 파티션 기능을 수행하므로 꽃이나 식물이 식재된 식재화분은 전면과 후면으로 두 면에만 형성되는 식재셀(3)에 수용되게 된다. 즉, 전후좌우 사방에서 식재셀(3)이 형성되는 제1실시예와 상이하게, 제2실시예에서는 전면과 후면에만 식재셀(3)이 형성된다.
따라서, 직립식 망체 프레임(1)의 가로망(11a)은 절곡이나 만곡되지 않고 직선형태를 갖추게 되고 다만 상기 가로망(11a)에 스폿용접되는 세로망(12a)은 소정의 길이로 이격하여 2곳에 90° 각도로 절곡되어 전면의 가로망(11a)과 후면의 가로망(11a)에 용접 고정되면서 별도의 고정수단 없이 안정되게 자립할 수 있게 되어 책상 위에서 파티션의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르는 자립형 식재화분 구조체의 설치과정은, 설치공정 전(前)공정으로, 직립식 망체 프레임(1)을 구성하는 세로망(12a)은 가로망(11a)에 스폿용접되어 연결 고정되어 있으며, 소정의 설계에 의해 상기 세로망(12a)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하여 2곳에 90℃ 각도로 절곡되어 있어 안정되게 책상 위에 자립하게 된다.
다음으로, 띠 형상의 부직포(2)를 이용하여 상기 직립식 망체 프레임(1)의 가로망(11a)을 감싸면서 하부로 식재셀(3)을 형성하게 되며, 또한 상기 식재셀(3)의 형성과정에서 고정수단(4)을 이용하여 상기 부직포(2)를 상기 직립식 망체 프레임(1)의 가로망(11a)에 고정하게 되는데, 상기 식재셀(3)의 형성과정과 상기 고정수단(4)의 고정단계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완전 동일하여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립형 식재화분 구조체은, 벽체 또는 기둥체의 기능 또는 책상 위의 파티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장식용 식재화분 구조체을 제조하고 판매하는 산업분야에서 동일한 식재화분 구조체을 반복적으로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할 것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매우 큰 발명이라고 할 것이다.
1 : 직립식 망체 11, 11a : 가로망 12, 12a : 세로망
2 : 부직포 21 : 일단부 22 : 타단부
3 : 식재셀 4 : 고정수단 5 : 연결수단

Claims (2)

  1. 실내외에서 스스로 자립하면서 식재화분을 수용할 수 있는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자립형 식재화분 구조체은,
    상하로 인접하여 2개씩 형성되어 구성되는 가로망(11) 및 상기 가로망(11)에 수직으로 교차하도록 고정되는 세로망(12)으로 이루어지는 직립식 망체 프레임(1)과,
    상기 직립식 망체 프레임(1)의 가로망(11)을 감싸면서 하부로 연장 설치되어 꽃이나 식물이 식재되는 공간인 식재셀을 형성하는 부직포(2)와,
    상기 직립식 망체 프레임(1)과 상기 부직포(2)에 의해 형성되는 식재셀(3)과,
    상기 부직포(2)를 상기 직립식 망체 프레임(1)의 가로망(11)에 고정하는 고정수단(4)과,
    상기 직립식 망체 프레임(1)의 세로망(12)을 연결하는 연결수단(5)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립형 식재화분 구조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5)은 연결와이어 또는 케이블타이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립형 식재화분 구조체.
KR1020150000136A 2015-01-02 2015-01-02 자립형 식재화분 구조체 KR1018488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0136A KR101848837B1 (ko) 2015-01-02 2015-01-02 자립형 식재화분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0136A KR101848837B1 (ko) 2015-01-02 2015-01-02 자립형 식재화분 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3983A true KR20160083983A (ko) 2016-07-13
KR101848837B1 KR101848837B1 (ko) 2018-04-17

Family

ID=565054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0136A KR101848837B1 (ko) 2015-01-02 2015-01-02 자립형 식재화분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883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594915A (zh) * 2016-11-07 2017-04-26 同济大学 一种结合新风系统的空气净化绿色生物滤床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5814B1 (ko) 2021-03-24 2024-03-12 손창락 식물 공중 식재장치
IT202200006845A1 (it) * 2022-04-06 2023-10-06 Pierpaolo Sossai Gruppo parete verd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9614B1 (ko) 2010-08-09 2012-04-27 손창락 벽면식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86617B2 (ja) 2006-06-29 2013-04-17 株式会社竹中工務店 植栽パネル、壁面緑化構造及び壁面緑化工法
KR100808251B1 (ko) * 2006-11-30 2008-02-29 엄기항 벽체 녹화시스템
KR101434597B1 (ko) 2013-11-04 2014-08-26 나임건설주식회사 벽면 녹화장치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9614B1 (ko) 2010-08-09 2012-04-27 손창락 벽면식재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594915A (zh) * 2016-11-07 2017-04-26 同济大学 一种结合新风系统的空气净化绿色生物滤床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8837B1 (ko) 2018-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01148B2 (ja) 植物が植えられる壁のための構造体
US8341884B2 (en) Modular container system
CN110381731B (zh) 模块式格架和栅栏系统
US9167755B1 (en) Trellis support device
MX2012008531A (es) Unidad colgante vertical en forma de bolsas para cultivo hidroponico de plantas y un panel de unidades colgantes verticales en forma de bolsas para cultivo hidroponico.
KR101848837B1 (ko) 자립형 식재화분 구조체
US20140109474A1 (en) Adjustable Plant Support Assembly
CN104782341A (zh) 一种植物景观的制作方法
KR101751761B1 (ko) 평면체 및 곡면체에 설치가능한 다기능 장식용 식재장치
US20170359969A1 (en) Portable Suspended Trellis and Planter System
CN103202190B (zh) 一种吊挂式立体多层栽培装置
KR101697818B1 (ko) 식물화분 식재장치
KR20130068829A (ko) 입체 녹화용 식물 재배 용기 및 이를 이용한 입체 녹화 시스템
CN202857548U (zh) 水产养殖温室大棚
JP3164668U (ja) 蔓性植物育成装置
KR101345553B1 (ko) 입체 녹화용 식물 재배 용기 및 이를 이용한 입체 녹화 시스템
CN211090910U (zh) 一种简易火龙果栽培架
CN103603592A (zh) 门式花架
JP2008212047A (ja) 蔓性植物による緑化装置
CN201915686U (zh) 仿真篱笆
KR102645814B1 (ko) 식물 공중 식재장치
KR101280432B1 (ko) 다층형 식물 재배 장치
CN212078905U (zh) 一种仿竹节护栏
KR101463578B1 (ko) 건축물 옥상용 조립식 온실
KR101291471B1 (ko) 다면체 입체 녹화 화분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