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3505A - 매체집적장치 - Google Patents

매체집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3505A
KR20160083505A KR1020140195315A KR20140195315A KR20160083505A KR 20160083505 A KR20160083505 A KR 20160083505A KR 1020140195315 A KR1020140195315 A KR 1020140195315A KR 20140195315 A KR20140195315 A KR 20140195315A KR 20160083505 A KR20160083505 A KR 201600835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um
conveying roller
roller
air
conve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53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성
김준영
박창호
이용철
Original Assignee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953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83505A/ko
Publication of KR201600835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35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9/0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 B65H29/24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by air blast or suction apparatus
    • B65H29/245Air blast devices
    • B65H29/246Air blast devices acting on stacking devices
    • B65H29/247Air blast devices acting on stacking devices blowing on upperside of the sheet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2Containers for valuable p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2Piling, depiling, handling piles
    • B65H2301/421Forming a pile
    • B65H2301/4212Forming a pile of articles substantially horizon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4/00Parts for transporting or gui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4/10Rollers
    • B65H2404/11Details of cross-section or profile
    • B65H2404/111Details of cross-section or profile shape
    • B65H2404/1114Paddle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 B65H2701/1912Banknotes, bills and cheques or the lik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livering By Means Of Belts And Roll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매체집적공간에 집적되는 매체의 상면에 공기를 분사함으로써 매체가 안정적으로 집적될 수 있도록 하는 매체집적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매체집적장치는, 매체를 매체집적공간으로 이송시키기 위해 상기 매체의 이송경로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도록 구비된 제1이송롤러와 제2이송롤러; 상기 제1이송롤러를 회전시키기 위한 제1이송롤러 구동부; 상기 제1,제2이송롤러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매체를 상기 매체집적공간에 집적하기 위해 복수의 탄성시트가 구비된 시트롤러; 상기 제1이송롤러와 제2이송롤러 사이를 통과한 후 상기 매체집적공간에 진입한 매체의 상면을 향해 공기를 분사하여 상기 매체를 상기 매체집적공간에 집적하기 위한 공기분사수단; 상기 공기분사수단에서 공기를 분사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매체집적장치{PAPER MEDIUM STACKING APPARATUS}
본 발명은 매체집적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매체집적공간에 집적되는 매체의 스택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매체집적장치에 관한 것이다.
금융자동화기기 내부에는 지폐, 수표, 기타 소정 두께를 갖는 집적대상물(이하 '매체'로 통칭함)의 자동 입출금을 처리하는 매체입출금장치가 구비된다.
상기 매체입출금장치는, 입출금을 위하여 고객이 매체를 투입하거나 수취하는 공간인 입출금부, 상기 입출금부를 통해 입출금되는 매체가 이송되는 반송로, 상기 반송로 상에 구비되어 매체의 이상 유무를 감별하는 감별부, 상기 감별부를 거친 후 입금된 매체가 일시적으로 수납되는 일시저장부, 고객으로부터 입금된 매체가 수납되고 그 수납된 매체가 출금됨으로써 환류기능을 수행하는 다수 개의 리사이클박스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입출금부와 일시저장부 및 리사이클박스에는 픽업롤러와 피드롤러와 가이드롤러 및 시트롤러를 이용하여 매체집적공간에 집적되어 있는 매체를 낱장 분리하여 반송로로 이송하거나, 반송로로부터 이송되어 온 매체를 상기 입출금부와 일시저장부 및 리사이클박스 내부의 매체집적공간에 집적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피드롤러를 통해 매체집적공간에 진입하는 매체의 속도는 일정하므로, 시트롤러에 의해 매체의 후단을 타격하는 경우 매체가 집적되어야 할 하방으로 스택되는 것이 아니라 시트롤러에 의해 전방으로 타격되어 매체의 선단이 매체집적공간의 진입부 반대편에 충돌하게 되므로 매체의 스택이 불안정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341302호에서는, 시트롤러의 회전방향 선단부에 위치하는 제1탄성시트부의 단부를 회전방향을 향하여 2단으로 절곡 형성함으로써 제1탄성시트부의 단부에 지폐의 후단부 면이 측방향으로 타격되어 지폐의 상방향 날림을 방지하면서 지폐집적공간에 지폐가 나란히 정렬됨으로써 지폐의 집적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탄성시트의 재질에 따라 일정한 형상으로 절곡시키는 것이 어려운 경우가 있고, 탄성시트를 절곡시키더라도 반복된 사용으로 인해 절곡된 형상을 장기간 유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매체집적공간에 집적되는 매체의 상면에 공기를 분사함으로써 매체가 안정적으로 집적될 수 있도록 하는 매체집적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매체집적장치는, 매체를 매체집적공간으로 이송시키기 위해 상기 매체의 이송경로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도록 구비된 제1이송롤러와 제2이송롤러; 상기 제1이송롤러를 회전시키기 위한 제1이송롤러 구동부; 상기 제1,제2이송롤러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매체를 상기 매체집적공간에 집적하기 위해 복수의 탄성시트가 구비된 시트롤러; 상기 제1이송롤러와 제2이송롤러 사이를 통과한 후 상기 매체집적공간에 진입한 매체의 상면을 향해 공기를 분사하여 상기 매체를 상기 매체집적공간에 집적하기 위한 공기분사수단; 상기 공기분사수단에서 공기를 분사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진다.
상기 매체집적공간의 입구측에는 상기 매체집적공간으로 진입하는 매체를 감지하는 매체감지센서가 구비된 것일 수 있다.
상기 공기분사수단은, 압축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기압축기와, 상기 공기압축기로부터 공급된 공기를 상기 매체의 상면에 분사하기 위한 노즐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이송롤러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제1이송롤러의 회전속도를 감속시킴으로써 상기 제1이송롤러와 제2이송롤러 사이를 통과하는 매체의 반송 속도를 감속시키고, 상기 매체의 반송 속도가 감속된 상태에서 상기 공기분사수단에 의해 공기가 분사되도록 제어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이송롤러와 제2이송롤러 사이를 통과하는 매체의 반송 속도를 감속시키기 위해 상기 제2이송롤러의 회전속도를 감속시키기 위한 제2이송롤러 감속수단이 구비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제2이송롤러 감속수단은, 상기 제2이송롤러의 측면부에 밀착되는 회전방지부재와, 상기 회전방지부재가 상기 제2이송롤러의 측면부에 밀착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솔레노이드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이송롤러의 매체접촉면의 마찰계수는 상기 제2이송롤러의 매체접촉면의 마찰계수보다 더 큰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매체집적장치에 의하면, 매체집적공간에 진입한 매체의 상면에 공기를 분사하여 매체가 하방향으로 집적되도록 유도함으로써 매체가 집적공간에 안정적으로 집적될 수 있다.
또한 매체집적공간에 진입하는 매체의 속도를 감속시킨 상태에서 매체의 상면에 공기를 분사함으로써 매체의 하방향 집적을 더욱 안정적으로 유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매체집적장치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매체집적장치에서 제어가 이루어지는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매체집적장치에서 매체가 매체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도 3의 상태에서 매체가 매체집적공간 내부에 진입되어 공기분사수단에 의해 공기가 분사되고 시트롤러가 회전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매체집적장치의 제어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매체집적장치에서 제1이송롤러와 제2이송롤러 사이를 매체가 통과하고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매체집적장치에서 제2이송롤러 감속수단을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제2이송롤러 감속수단의 동작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매체집적장치를 보여주는 측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매체집적장치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매체집적장치에서 제어가 이루어지는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의한 매체집적장치(1)는, 매체가 집적되는 공간인 매체집적공간(35), 반송로(11)를 따라 반송되어 온 매체(M)를 매체집적공간(35)에 집적하기 위한 제1이송롤러(51)와 제2이송롤러(52), 매체집적공간(35)에 집적되는 매체(M)의 후단부를 타격하여 매체의 집적을 안내하는 시트롤러(60), 상기 반송로(11)를 통해 반송되어 오는 매체를 감지하기 위한 매체감지센서(40), 입출금부를 통해 입출금되는 매체(M)가 반송되는 반송로(11) 상에 구비되어 매체(M)의 이상 유무 및 권종을 감별하는 감별부(70), 상기 제1이송롤러(51)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1이송롤러 구동부(90), 상기 매체집적공간(35)에 진입한 매체(M)의 상면을 향해 공기를 분사하여 상기 매체(M)를 상기 매체집적공간(35)에 집적하기 위한 공기분사수단(91), 매체감지센서(40)와 감별부(70)로부터 받은 신호로부터 상기 공기분사수단(91)에서 공기를 분사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80)로 이루어진다.
상기 반송로(11)에는 매체(M)의 이동을 안내하는 반송가이드(10)가 연결되어 있고, 반송가이드(10)의 전방측으로 매체(M)의 폭에 대응되는 간격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스토퍼(2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매체집적공간(35)의 하부에는 상하로 승·하강되며 매체(M)가 안착되는 푸쉬플레이트(30)가 구비되어 있고, 매체집적공간(35)의 상부에는 매체(M)의 집적시 매체(M)의 날림을 방지하며 매체(M)의 집적을 안내하는 스택 가이드(55; 도 9)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1이송롤러(51)와 제2이송롤러(52)는, 반송로(11)를 따라 반송되어 온 매체(M)를 매체집적공간(35)으로 집적하기 위해 회전되는 것으로, 매체(M)의 이송경로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도록 설치되고, 제1회전축(51a)과 제2회전축(52a)에 각각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제1이송롤러(51)는 제1회전축(51a)에 결합되어 제1이송롤러 구동부(90)에 의해 직접 회전되도록 제1회전축(51a)과 일체로 결합되어 있고, 상기 제2이송롤러(52)는 제2회전축(52a)에 아이들(idle) 상태로 결합되어 매체(M)가 제1이송롤러(51)와 제2이송롤러(52) 사이를 통과할 때 매체(M)와의 마찰력에 의해 회전하게 된다.
상기 제1이송롤러 구동부(90)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모터는 제1회전축(51a)에 연결된다.
상기 제1이송롤러 구동부(90)가 제1회전축(51a)에 연결되어 상기 제1이송롤러 구동부(90)에 의해 제1회전축(51a) 및 제1이송롤러(51)에 회전력이 전달되는 경우에는 제2이송롤러(52) 및 시트롤러(60)는 매체(M)와의 마찰력에 의해 함께 회전하게 된다.
상기 시트롤러(60)는 제2회전축(52a)에 제2이송롤러(52)와 함께 결합되고, 롤러몸체(61)의 외주면 전체 둘레에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된 복수의 탄성시트(62)가 부착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탄성시트(62)는 반송로(11)를 따라 반송되어 온 매체(M)를 매체집적공간(35)에 집적하는 과정에서 매체(M)의 후단부를 타격함으로써 매체(M)가 매체집적공간(35)에 안정적으로 집적되도록 한다.
상기 시트롤러(60)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상기 제1이송롤러(51)의 회전력이 시트롤러(60)에 전달되도록 하기 위해 시트롤러(60)의 롤러몸체(61)에 회전전달부(63; 도 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전전달부(63)는 시트롤러(60)의 롤러몸체(61)에 일체로 형성되어, 그 외주면이 제1이송롤러(51)의 외주면과 서로 맞닿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이송롤러 구동부(90)를 구동시키면 제1이송롤러(51)와 함께 시트롤러(60)도 함께 회전된다.
상기 매체감지센서(40)는 반송로(11)를 통해 반송되는 매체(M)를 감지하기 위하여 매체집적공간(35)의 입구측에 구비된 것으로서, 매체(M)가 감지되면 그 감지 신호를 제어부(80)에 전송한다. 상기 매체감지센서(40)는 일례로 발광부와 수광부로 이루어진 광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매체감지센서(40)는 반송되어 오는 매체(M)의 전단 또는 후단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공기분사수단(91)은, 압축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기압축기(91a)와, 상기 공기압축기(91a)로부터 공급된 압축 공기를 상기 매체(M)의 상면에 분사하기 위한 노즐(91b)로 이루어진다.
상기 노즐(91b)은 매체(M)의 상면에 균일한 압력으로 공기가 분사될 수 있도록 소정의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노즐(91b)의 크기는 매체(M)의 길이 및 폭에 대응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노즐(91b)에서 공기가 분사되는 부분은 슬릿(slit)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기분사수단(91)에 의해 매체(M)의 상면에 공기가 분사되면 매체(M)는 하방향으로 집적되도록 유도된다. 또한 상기 매체(M)의 상면에 공기가 분사됨으로써 매체(M)의 이송 속도를 감속시키는 효과가 있어, 매체(M)의 속도가 감속된 상태에서 시트롤러(60)의 탄성시트(62)에 의해 매체(M)의 후단을 타격하면 매체(M)가 하방향으로 안정적으로 집적될 수 있다.
상기 감별부(70)는 반송로를 따라 반송되는 매체(M)의 이상 유무 및 권종을 감별한다. 매체입출금장치에서는 다양한 권종의 매체(M)가 처리될 수 있다. 매체(M)의 권종이 서로 다른 경우에는 매체(M)의 폭 방향 크기 뿐만 아니라 이송 경로 방향으로 길이가 서로 다르다. 따라서 제어부(80)에서는 감별부(70)로부터 받은 매체(M) 정보를 근거로 해서 공기분사수단(90)에서 공기를 분사하는 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80)는 감별부(70)에서 감별된 매체(M)의 권종에 대한 정보와 매체감지센서(40)에서 감지된 감지 신호에 근거하여 공기분사수단(90)에 의해 공기가 분사되도록 제어신호를 보낸다.
미설명부호 92와 93은 제2이송롤러 감속수단과 제1이송롤러 이격수단으로서, 후술하는 다른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매체집적장치에서 매체가 매체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도 3의 상태에서 매체가 매체집적공간 내부에 진입되어 공기분사수단에 의해 공기가 분사되고 시트롤러가 회전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매체집적장치의 제어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로서, 이하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제1실시예에 의한 매체집적장치의 제어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반송로(11)를 통해 반송되어 온 매체(M)는 감별부(70)에서 매체(M)의 권종 정보가 감별되고, 상기 감별된 매체(M)의 권종 정보는 제어부(80)에 전송된다(S101).
상기 감별부(70)를 통과한 매체(M)는 반송로(11)를 따라 매체집적공간(35)을 향해 반송되는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체감지센서(40)에서 매체(M)를 감지하게 되면 그 감지신호를 제어부(80)에 전송한다(S102).
상기 매체(M)가 제1이송롤러(51)와 제2이송롤러(52) 사이를 통과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체집적공간(35)에 진입하면, 상기 제어부(80)는 감별부(70)와 매체감지센서(40)에서 전송받은 정보에 근거하여 공기압축기(91a)에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노즐(91b)을 통해 공기가 매체(M)의 상면에 분사된다(S103).
이와 같이 매체(M)의 상면에 공기가 분사되면 매체(M)는 하방향으로 집적되도록 유도되고, 매체(M)가 스토퍼(20) 방향으로 이송되려는 힘이 약화되어 매체(M)는 감속된 상태로 매체집적공간(35)의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매체(M)의 후단이 제1이송롤러(51)와의 접촉 지점을 벗어나게 되면 상기 제1이송롤러(51)의 회전이 시트롤러(60)에 전달되어 시트롤러(60)의 탄성시트(62)가 회전하면서 매체(M)의 후단을 타격하여 매체(M)는 푸쉬플레이트(30)의 상부에 정렬된 상태로 집적된다(S104).
이 경우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매체감지센서(40)에서 매체를 감지한 후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매체(M)가 상기 매체집적공간(35)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공기분사수단(91)에서 공기가 분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2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매체집적장치에서 제1이송롤러와 제2이송롤러 사이를 매체가 통과하고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제1이송롤러 구동부(90)에 의해 제1이송롤러(51)의 회전속도가 감속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제2실시예는 매체(M)가 제1이송롤러(51)와 제2이송롤러(52) 사이를 통과하는 도중에 제1이송롤러(51)의 회전속도를 감속시킴으로써 매체집적공간(35)으로 진입하는 매체(M)의 속도를 감소시키도록 구성된 것이다.
제어부(80)는 매체감지센서(40)와 감별부(70)로부터 받은 신호로부터 제1이송롤러(51)의 회전속도 감속 시점 및 감속 정도를 연산하고, 제1이송롤러(51)가 설정된 속도로 감속되도록 제1이송롤러 구동부(90)에 제어신호를 전송한다.
상기 제1이송롤러(51)의 회전속도 감속 시점은 매체(M)의 권종과 제1이송롤러(51)의 회전속도로부터 연산할 수 있는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체(M)가 제1이송롤러(51)와 제2이송롤러(52) 사이를 통과하는 도중에 감속시키는 것으로 구성할 수 있다.
제1이송롤러(51)의 감속이 이루어져 설정된 속도까지 감속이 이루어지는 동안 매체(M)의 반송 속도도 점점 감속되어, 설정된 속도까지 감속이 이루어진 때에는 매체(M)의 후단이 이송롤러(51,52)와의 접촉 지점을 벗어나 매체(M)의 반송 속도가 현저히 감소한 상태가 된다.
여기서 감속 시점 및 감속의 정도는 매체(M)의 반송 속도와 제1이송롤러(51)의 회전 속도를 고려하여 매체(M)의 후단이 제1이송롤러(51)와의 접촉 지점을 벗어난 후 매체(M)의 속도가 거의 0(zero)가 될 수 있도록 하면 된다.
이 경우 제1이송롤러(51)의 회전속도는 일정 속도까지 감속시키는 것으로 구성할 수도 있고, 제1이송롤러(51)의 회전이 완전히 정지되는 0(zero)까지 감속시키는 것으로 구성할 수도 있는데, 이하에서는 제1이송롤러(51)의 회전이 완전히 정지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제1이송롤러(51)의 회전이 정지되면, 매체(M)의 후단이 제1이송롤러(51)와의 접촉 지점을 벗어나 매체집적공간(35)의 상부에 진입한 상태에서 매체(M)의 속도가 거의 0(zero)에 가까운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공기분사수단(91)에 의해 공기를 매체(M)의 상면에 분사하고, 스택롤러(60)를 회전시켜, 매체(M)를 매체집적공간(35)에 집적시킨다.
종래에는 매체(M)가 제1이송롤러(51)와의 접촉지점을 벗어날 때까지 제1이송롤러(51)의 회전이 유지되고 있어, 매체(M)는 스토퍼(20) 방향으로 일정 속도를 유지한 상태에서 탄성시트(62)에 의해 타격이 이루어지므로, 매체(M)가 하방향으로 집적되는 것이 아니라 스토퍼(20) 방향으로 타격이 이루어져 매체(M)의 집적이 불안정한 상태로 이루어진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의 경우 매체(M)를 매체집적공간(35)의 상부에 거의 정지시킨 상태에서 공기분사수단(91)에 의한 공기의 분사와 더불어 탄성시트(62)에 의해 타격이 이루어지므로 매체(M)가 하방향으로 집적되어 매체(M)의 집적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3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매체집적장치에서 제2이송롤러 감속수단을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제2이송롤러 감속수단의 동작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제2이송롤러 감속수단(92)에 의해 제2이송롤러(52)의 회전속도가 감속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제2실시예는 제1이송롤러(51)의 회전속도를 감속시키는 구성이나, 제3실시예는 제2이송롤러(52)의 회전속도를 감속시키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2이송롤러 감속수단(92)은, 상기 제2이송롤러(52)의 측면부(52-2)에 밀착되어 제2이송롤러(52)의 회전속도를 감속시키기 위한 회전방지부재(92a)와, 상기 회전방지부재(92a)를 상기 제2이송롤러(52)의 측면부(52-2)에 밀착시키거나 이격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솔레노이드(92b)로 이루어진다. 상기 회전방지부재(92a)와 솔레노이드(92b) 사이는 연결부재(미도시)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회전방지부재(92a)는 제2이송롤러(52)의 양 측면부(52-2)에 밀착되도록 한 쌍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제2이송롤러(52)가 복수로 이루어져 있는 경우 그 개수에 대응되도록 복수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하나의 솔레노이드(92b)로 복수의 제2이송롤러(52)의 회전속도를 감속시키기 위하여 복수의 회전방지부재(92a)가 하나의 솔레노이드(92b)에 연결되는 것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상기 회전방지부재(92a)는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에 의해 제2이송롤러(52)의 측면부(52-2)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솔레노이드(92b)가 작동되면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회전방지부재(92a)가 제2이송롤러(52)의 측면부(52-2)에 밀착되고, 솔레노이드(92b)의 작동이 해제되면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회전방지부재(92a)가 제2이송롤러(52)의 측면부(52-2)로부터 이격된다.
상기 이송롤러 감속수단(92)은 매체(M)가 제1이송롤러(51)와 제2이송롤러(52) 사이를 통과할 때 제2이송롤러(52)의 회전을 감속시키거나 완전히 정지시킨 상태에서 제1이송롤러(51)의 회전만으로 매체(M)를 이송시킴으로써 매체(M)의 반송 속도를 감속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 경우 제2이송롤러(52)의 회전이 정지된 상태에서 제1이송롤러(51)의 회전만으로 매체(M)의 후단이 매체집적공간(35)에 진입할 때까지 감속된 속도로 매체(M)를 이송시키기 위해서는 매체(M)의 상면과 접촉하는 제1이송롤러(51)의 매체접촉면(51-1)의 마찰력이 제2이송롤러(52)의 매체접촉면(52-1)의 마찰력보다 더 큰 것이 바람직하다.
매체감지센서(40)에서 매체(M)를 감지하게 되면 그 감지신호를 제어부(80)에 전송한다(S102). 이 경우 회전방지부재(92a)는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이송롤러(52)의 양 측면부(52-2)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있다.
상기 제어부(80)는 감별부(70)와 매체감지센서(40)에서 전송받은 정보로부터 제2이송롤러(52)의 회전속도를 감속시키는 시점을 연산하여 제2이송롤러 감속수단(92)을 구성하는 솔레노이드(92b)에 제어신호를 전송한다.
상기 제1회전축(51a)과 제1이송롤러(51)의 회전이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어신호에 의해 솔레노이드(92b)가 상기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된다.
이 경우 매체(M)는 그 후단이 제1이송롤러(51)와 제2이송롤러(52) 사이에 개재된 상태이고, 상기 솔레노이드(92b)가 온(On)되면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솔레노이드(92b)에 의해 회전방지부재(92a)가 제2이송롤러(52)의 양 측면부(52-2)에 밀착되어 제2이송롤러(52)의 회전속도를 감속시키거나 완전히 정지시킨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제1이송롤러(51)의 회전이 계속 이루어지면, 상기 제1이송롤러(51)의 매체접촉면(51-1)과 매체(M)의 상면과의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에 의해 매체(M)는 그 후단이 제1이송롤러(51)와 제2이송롤러(52)와의 접촉지점을 벗어나 매체집적공간(35)의 상부에 위치할 때까지 감속된 상태로 이송된다.
여기서 제2이송롤러(52)의 회전속도 감속 시점은 매체(M)의 권종과 매체(M)의 반송속도 및 매체(M)에 작용하는 마찰력으로부터 연산할 수 있는데, 매체(M)의 반송속도를 고려하여 매체(M)의 후단이 제1이송롤러(51)와의 접촉 지점을 벗어난 후 매체(M)의 속도가 0(zero)이거나 0(zero)에 가까운 속도가 될 수 있는 시점이 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제2이송롤러(52)의 회전속도 감속이 이루어지면, 매체(M)의 후단이 제1이송롤러(51)와의 접촉 지점을 벗어나 매체집적공간(35)의 상부에 진입한 상태에서 매체(M)의 속도가 거의 0(zero)에 가까운 상태가 된다.
상기 매체(M)의 후단이 제1이송롤러(51)와의 접촉 지점을 벗어나게 되면, 공기분사부(91)에 의해 매체(M)의 상면에 공기가 분사되고, 상기 제1이송롤러(51)의 회전이 회전전달부(63)를 통해 시트롤러(60)에 전달되어 시트롤러(60)의 탄성시트(62)가 회전하면서 매체(M)의 후단을 타격하여 매체(M)는 푸쉬플레이트(30)의 상부에 정렬된 상태로 집적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솔레노이드(92b)가 오프(Off)되어 탄성부재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회전방지부재(92a)는 제2이송롤러(52)의 양 측면부(52-2)로부터 이격되어 제2이송롤러(52)는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된다.
<제4실시예>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매체집적장치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앞서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제1이송롤러(51)와 제2이송롤러(52)가 서로 대향하도록 설치되어 매체(M)를 매체집적공간(35)에 집적만 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이나, 본 실시예는 매체(M)를 매체집적공간(35)에 집적하는 것뿐만 아니라 매체집적공간(35)에 집적된 매체(M)를 반송로(11)로 분리 및 조출할 수 있는 매체집적장치에 대한 것이다. 도 9에서는 공기분사수단(91)은 도시가 생략되어 있다.
매체(M)를 반송로(11)로 낱장 분리하여 조출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매체집적공간(35)으로부터 매체(M)를 낱장씩 분리하기 위한 픽업롤러(51)가 구비되고, 제1이송롤러(51)는 양방향 회전이 가능한 피드롤러로 구성되고, 제2이송롤러(52)는 상기 피드롤러(51)와 오버랩(overlap)된 상태로 매체(M)를 이송하며 매체(M)의 2매 분리를 방지하기 위한 가이드롤러(52)로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롤러(52)는, 매체(M)를 매체집적공간(35)에 집적하는 경우에는 매체(M)와의 마찰력에 의해 피드롤러(51)와 함께 회전함으로써 매체(M)를 반송로(11)에서 매체집적공간(35) 방향으로 이송시키고, 매체집적공간(35)의 매체(M)를 반송로(11)측으로 조출하는 경우에는 가이드롤러(52)와 제2회전축(52a) 사이에 개재된 원웨이베어링(미도시)에 의해 회전이 방지됨으로써 매체(M)의 2매 분리를 방지하게 된다.
상기 이송롤러 구동부(90)는 매체(M)를 매체집적공간(35)에 집적하는 경우와 매체집적공간(35)의 매체(M)를 반송로(11)측으로 조출하는 경우에 각각 제1회전축(51a)을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구동력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한 실시예들에서는 시트롤러(60)의 롤러몸체(61)의 외주면 전체 둘레에 복수의 탄성시트(62)가 부착된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롤러몸체(61)의 외주면 일부 구간에 복수의 탄성시트(62)가 부착된 경우에도 본 발명의 적용이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벗어남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자명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 : 매체집적장치 10 : 반송가이드
11 : 반송로 20 : 스토퍼
30 : 푸쉬플레이트 40 : 매체감지센서
51 : 제1이송롤러(피드롤러) 52 : 제2이송롤러(가이드롤러)
51a : 제1회전축 52a : 제2회전축
53 : 픽업롤러 60 : 시트롤러
61 : 롤러몸체 62 : 탄성시트
63 : 회전전달부 70 : 감별부
80 : 제어부 90 : 제1이송롤러 구동부
91 : 공기분사수단 91a : 공기압축기
91b : 노즐 92 : 제2이송롤러 감속수단
92a : 회전방지부재 92b : 솔레노이드

Claims (7)

  1. 매체를 매체집적공간으로 이송시키기 위해 상기 매체의 이송경로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도록 구비된 제1이송롤러와 제2이송롤러;
    상기 제1이송롤러를 회전시키기 위한 제1이송롤러 구동부;
    상기 제1,제2이송롤러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매체를 상기 매체집적공간에 집적하기 위해 복수의 탄성시트가 구비된 시트롤러;
    상기 제1이송롤러와 제2이송롤러 사이를 통과한 후 상기 매체집적공간에 진입한 매체의 상면을 향해 공기를 분사하여 상기 매체를 상기 매체집적공간에 집적하기 위한 공기분사수단;
    상기 공기분사수단에서 공기를 분사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로 이루어진 매체집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체집적공간의 입구측에는 상기 매체집적공간으로 진입하는 매체를 감지하는 매체감지센서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집적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분사수단은, 압축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기압축기와, 상기 공기압축기로부터 공급된 공기를 상기 매체의 상면에 분사하기 위한 노즐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집적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이송롤러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제1이송롤러의 회전속도를 감속시킴으로써 상기 제1이송롤러와 제2이송롤러 사이를 통과하는 매체의 반송 속도를 감속시키고, 상기 매체의 반송 속도가 감속된 상태에서 상기 공기분사수단에 의해 공기가 분사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집적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송롤러와 제2이송롤러 사이를 통과하는 매체의 반송 속도를 감속시키기 위해 상기 제2이송롤러의 회전속도를 감속시키기 위한 제2이송롤러 감속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집적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이송롤러 감속수단은, 상기 제2이송롤러의 측면부에 밀착되는 회전방지부재와, 상기 회전방지부재가 상기 제2이송롤러의 측면부에 밀착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솔레노이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집적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송롤러의 매체접촉면의 마찰계수는 상기 제2이송롤러의 매체접촉면의 마찰계수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집적장치
KR1020140195315A 2014-12-31 2014-12-31 매체집적장치 KR2016008350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5315A KR20160083505A (ko) 2014-12-31 2014-12-31 매체집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5315A KR20160083505A (ko) 2014-12-31 2014-12-31 매체집적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3505A true KR20160083505A (ko) 2016-07-12

Family

ID=565050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5315A KR20160083505A (ko) 2014-12-31 2014-12-31 매체집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8350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2983B1 (ko) 지엽류 분리 취출 장치
KR101343769B1 (ko) 지엽류 취출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지엽류 처리 장치
KR101868226B1 (ko) 지폐집적장치
RU2524243C2 (ru) Устройство подачи плоских предметов и почтовая сортировочная машина
JP3184858U (ja) 扁平な物品を分離するための分離器装置、およびそれを含む郵便選別機
KR102425145B1 (ko) 매체 입금기의 번들모듈
EP2919207B1 (en) Paper sheet type medium stacking device
KR20110056945A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이송방법 및 그 장치
EP2919206B1 (en) Sheet-type medium stacking device
JPS5934908Y2 (ja) コレ−タ
WO2013073490A1 (ja) 紙幣取扱装置
KR101053728B1 (ko)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분리장치
WO2010089766A1 (en) Skew correction using split-roller
KR20160107391A (ko) 매체집적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7913999B2 (en) Resilient belt sheet compiler with mixed sheet length mode
KR20160083505A (ko) 매체집적장치
KR101745089B1 (ko) 지폐집적장치
KR101046045B1 (ko)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집적장치
JP2018088071A (ja) 媒体処理装置及び媒体取引装置
KR102008574B1 (ko) 지폐집적장치
KR20160107393A (ko) 매체집적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220012724A (ko) 매체 입금기의 번들모듈
KR102312687B1 (ko) 지폐집적장치
KR102485096B1 (ko) 매체 분리집적장치
US7611143B2 (en) Sheet separating apparatus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