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3500A - 모니터 보안시스템 - Google Patents

모니터 보안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3500A
KR20160083500A KR1020140195277A KR20140195277A KR20160083500A KR 20160083500 A KR20160083500 A KR 20160083500A KR 1020140195277 A KR1020140195277 A KR 1020140195277A KR 20140195277 A KR20140195277 A KR 20140195277A KR 20160083500 A KR20160083500 A KR 201600835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urity
unit
monitor
image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52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43936B1 (ko
Inventor
최춘화
김영삼
박종필
신성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정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정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정솔루션
Priority to KR10201401952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3936B1/ko
Publication of KR201600835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35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39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39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70Protecting specific internal or peripheral components, in which the protection of a component leads to protection of the entire computer
    • G06F21/82Protecting input, output or interconnection devices
    • G06F21/84Protecting input, output or interconnection devices output devices, e.g. displays or moni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상 작업 중에 화면의 캡처방식으로 유출되는 정보를 미연에 차단할 수 있는 모니터 보안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모니터부의 전방의 영상을 감지하는 영상감지부(100) 및 상기 영상감지부로부터 영상신호를 입력받아 디스플레이에 대한 촬영이 이루어졌는지에 대한 보안조건을 판단하는 보안조건판단부(210)와, 보안조건이 충족된 경우 모니터부에 대하여 보안모드로서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보안작동부(220)를 구비하는 로컬제어부(200)를 포함하는 모니터 보안시스템을 제공한다. 따라서, 모니터 자체의 영상으로부터 유출되는 정보에 대한 보안이 확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모니터 보안시스템{MONITOR SECURITY SYSTEM}
본 발명은 PC의 보안에 관련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화상 작업 중에 화면의 캡처방식으로 유출되는 정보를 미연에 차단할 수 있는 모니터 보안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사회가 심화됨에 따라 근래에 기업이나 기관들의 보안에 대한 요청은 높아지고 있다.
최근에는, 보안이 요구되는 정보를 담은 파일이 가진 내부 관계자에 의해 외부로 유출되어 사회적 문제로까지 부각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표적으로 신용카드사 직원에 의한 고객정보 유출, 광고대행사에 의한 연예인 사생활 정보의 유출, 은행직원에 의한 고객 계좌정보 유출 등을 들 수 있다.
불법 유출된 파일은 인터넷을 통해 급속도로 전파되는 특성을 가지기 때문에 단속과 처벌규정만으로는 일단 유출된 정보의 회수는 사실상 불가능한 문제가 있다.
기업의 무형적 자산인 노하우, 고객정보, 인력정보, 시설정보 등이 다른 기업으로 불법적으로 넘어가는 사례가 많고 이는 기업 자체로서는 막대한 손실을 발생시킴은 물론 해외로 이전된 불법적인 정보는 국부의 유출로 이어져 심각한 국가적 문제가 된다.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기업 내부의 인력들은 네트워크망을 통하여 자료를 송수신하는 데 익숙해져 있고, 이는 정보의 접근성과 유출 가능성이 높아짐을 의미한다. 메신저나 이메일 프로그램들이 불법적인 파일 유출의 도구로 활용될 수 있기 때문에 기업에서는 자체적으로 보안 솔루션을 구비하여 업무상 메신저 등의 접근을 제한하거나 보안코드를 요청하고 승인하는 방식으로 불법적인 정보의 유출에 대한 대비를 세우고 있다.
최근에는 플래쉬메모리나 하드디스크로의 정보 복제와 유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메모리의 인식 및 접근차단 방식이나 물리적인 보안검사 프로세스를 자체적으로 구비하는 경우도 점점 증가되고 있다.
한국 공개특허 특2000-0061447호는 위와 같은 정보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컴퓨터 보안장치와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도 1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컴퓨터 보안장치의 구성을 나타낸다.
이러한 보안장치는 제어행위를 하는 주체가 되는 제어 컴퓨터(20)와 제어대상이 되는 복수개의 컴퓨터들(21,22,23,...)이 연결된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본 발명에 의한 컴퓨터 보안 장치는 각 컴퓨터에 설치된 화면 보호부를 이용하여 각 컴퓨터들을 중앙 집중적으로 보안 및 관리하는 구성을 가지고 있다.
구체적으로, 컴퓨터 보안 장치가 크게 중앙 제어부와 화면 보호부로 구성되며, 중앙 제어부는 제어컴퓨터(200)에, 화면 보호부는 복수개의 컴퓨터들(21,22,23,...) 각각에 포함되어 있다. 또한, 제어 컴퓨터(20) 자체에도 화면 보호부가 포함되어 네트워크에 연결된 모든 컴퓨터들이 보안 및 관리될 수 있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최근에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카메라 기능을 가지는 스마트폰을 보유하고 있는 실정이고, 스마트폰 카메라의 경우는 디지털카메라 못지 않은 촬영 능력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스마트폰의 보급은 기업정보의 유출에 활용될 우려가 매우 크다.
즉, 기업 자체적으로 보안솔루션을 구비하고 있더라도 이는 화면이나 사용자에 대한 접근을 보안코드로서 제한적으로 허용하고 있는데 그치므로, 일단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스마트폰이나 디지털카메라로 외부에서 촬영하는 행위에 대한 고려는 전무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화면에 표시되는 정보의 외부의 촬영장치에 의한 불법적인 유출을 방지할 수 있는 모니터 보안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의 전방의 영상을 감지하는 영상감지부(100) 및 상기 영상감지부로부터 영상신호를 입력받아 디스플레이에 대한 촬영이 이루어졌는지에 대한 보안조건을 판단하는 보안조건판단부(210)와, 보안조건이 충족된 경우 디스플레이에 대하여 보안모드로서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보안작동부(220)를 구비하는 로컬제어부(200)를 포함하는 모니터 보안시스템을 제공한다. 따라서, 모니터 자체의 영상으로부터 유출되는 정보에 대한 보안이 확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보안조건판단부는, 영상감지부와 연결되는 영상라인(110)이 단락되는 경우 보안조건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보안조건판단부는, 영상라인에 대한 단락 여부를 판단한 이후에 촬영이 이루어지는지 여부에 대한 판단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용자를 디스플레이 전방측으로 유도하도록 디스플레이의 화각을 제한하는 필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컬제어부는, 보안모드 작동의 개시시점 이전 및 이후의 영상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24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로컬제어부와 연결되고 보안모드의 작동에 대해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부(310)와, 각각의 로컬제어부에 대한 보안해제를 제한하는 보안관리부(330)를 구비하는 중앙제어부(30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네트워크의 효율적인 보안관리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모니터 보안시스템에 따라, 종래의 단순한 이용자의 인증과 사용 허가 등의 보안 관점에서 벗어나 최근 휴대가 용이하고 고성능화된 디지털 카메라나 스마트폰 등을 이용한 촬영방식의 정보의 유출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중요한 정보의 보호를 위한 기능이 비약적으로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각각의 디스플레이에 대한 개별적인 보안모드의 작동여부에 대한 판단을 최적화하고 중앙제어부를 통하여 집중 관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효율적인 자원관리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의 컴퓨터 보안장치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모니터 보안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모니터 보안시스템에 대한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3의 보안조건판단부에 대한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5는 도 3의 중앙제어부에 대한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모니터 보안시스템의 운영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모니터 보안시스템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모니터 보안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화상정보를 출력하는 모니터부에 대한 촬영이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도록 소정의 보안조건을 판단하여 보안모드로 진입할 수 있는 모니터 보안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 모니터부는 소정의 네트워크망에 접속된 PC에 포함되는 모니터를 주요한 예로 설명하나, 노트북의 모니터, 태블릿 PC, 스마트폰 또는 다양한 제어장치와 연결되는 화상 표시수단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은 후술될 바와 같이 소정의 네트워크망에 접속되지 않더라도 독립적으로 로컬제어부를 구비하고 이를 통하여 보안조건을 판단하고 보안모드를 작동할 수 있는 마이콤을 구비하는 장치들에 대하여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모니터 보안시스템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모니터부 측에 구비되는 영상감지부(100)와, 상기 영상감지부(100)에 의한 영상정보를 수신하여 촬영여부와 같은 보안조건을 판단하고 모니터링부(310)를 통하여 보안모드의 작동을 개시하는 로컬제어부(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영상감지부(100)는, 모니터부를 바라보는 방향을 대향하여 배치되어 모니터부의 전방측의 이미지를 검출하여 로컬제어부(200)로 전송하도록 기능하게 된다.
이러한 영상감지부(100)는 ccd 카메라와 같은 공지의 다양한 가시광선 또는 적외선을 입력받아 이를 전자적인 영상신호로서 변환하는 장치들이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으며, 모니터부와 일체형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별도의 장치로서 배치되는 경우가 모두 고려될 수 있다.
상기 영상감지부(100)의 촬영범위는 대략 모니터부에 대한 시각적 인식이나 촬영이 가능한 모니터부 전방측의 소정의 화각 범위를 커버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모니터부의 종류나 배치되는 환경에 따라 선택적이다.
영상감지부(100)는 영상라인(110)에 의하여 로컬제어부(200)와 연결되며 이러한 영상감지부(100)와 로컬제어부(200)의 연결은 유무선 방식이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다만, 후술될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판단하는 보안조건은 모니터부의 전방측에서 촬영이 이루어지는지 여부 뿐만 아니라 영상라인(110)의 단속에 의하여도 결정될 수 있으므로 보안능력의 향상을 위하여 상기 영상라인(110)은 유선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로컬제어부(200)는 도면의 예에서는 PC와 같은 본체에서의 정보처리장치를 대상으로 하나, 이러한 PC에 저장되거나 중앙제어부(300)에서 송출되는 제어신호를 통하여 동작하는 소정의 알고리즘 자체를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로컬제어부(200)는 영상감지부(100)에서 송신한 모니터부 전방측의 영상신호를 입력받아 소정의 보안조건을 판단하여 모니터부에 대한 보안모드의 작동을 개시하거나 해제하도록 기능할 수 있다.
따라서, 로컬제어부(200)는 모니터부와 디스플레이라인(20)에 의하여 연결되며, 이러한 디스플레이라인(20)은 기본적으로 PC의 HDMI, DVI 또는 RGB라인과 같은 영상출력라인 그 자체를 의미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로컬제어부(200)가 PC 본체와는 별도의 구성을 가지는 경우는 이러한 디스플레이라인(20)은 영상출력라인과는 별도로 이루어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이 로컬제어부(200)는 디스플레이라인(20)을 통하여 보안모드의 작동을 개시할 수 있으며, 여기서 보안모드란 모니터부의 스크린세이버(screen saver)의 작동 또는 절전모드의 작동 또는 영상출력의 차단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보안에 대한 판단 및 작동을 위한 로컬제어부(200)는 그 자체로서 독자적인 알고리즘에 의하여 모니터부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으나, 보다 효율적인 보안관리를 위하여 이는 중앙제어부(300)와 연결되어 함께 제어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로컬제어부(200)와 중앙제어부(300)의 연결은 2G, 3G 및 4G와 같은 전화통신망이나 공유기나 공유서버를 이용한 유무선의 네트워크망 또는 RF(radio frequency)와 같은 다양한 방식을 통하여 등 다양한 네트워크 장비 또는 단말을 이용한 데이터의 송수신 방식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중앙제어부(300)는 복수의 로컬제어부(200) 들과 연결되어 보안작동 등에 대한 상황을 모니터링하고, 더욱 중요하게는 보안모드 해제를 위한 소정의 해제명령을 송출하도록 기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개념에서는 화상 자체의 촬영을 통한 보안정보의 누설 등의 위험성을 방지하기 위한 것인바, 인트라넷과 같은 소정의 네트워크망을 통하여 연결되는 단말기에서 독자적으로 보안모드의 작동이 해제되는 경우 보안정보 누설의 방지라는 목적의 달성에 문제가 발생될 수 있으므로, 후술될 바와 같이 중앙제어부(300)가 해제명령의 송신을 독점하거나 소정의 보안조건이 충족되는 경우에는 로컬제어부(200)를 제어하여 해제가 불가능하도록 작동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모니터부는 보안보조부(11)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보안보조부(11)는 소정의 카메라나 스마트폰과 같은 외부의 촬영이 가능한 장치들의 작동을 저지하거나 원만한 촬영에 장애를 불러일으킬 수 있는 다양한 장치들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보안보조부(11)는 소정의 화각을 벗어난 범위에서의 정보표시의 인식이 어렵도록 하는 편광 방식이 적용되는 필름이거나, 촬영을 방해하는 IR(Infrared Ray)신호를 방출하는 IR방출장치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개념에서는 후술될 바와 같이 로컬제어부(200)에서 촬영여부를 판단하도록 기능하기 때문에 모니터부에 대하여 비스듬한 방향에서 촬영하는 경우는 정확한 촬영여부에 대한 판단이 어려울 수 있다. 상기 편광필름과 같은 경우 이용자에 대한 모니터부의 정면으로의 위치를 유도할 수 있기 때문에 인식에 대한 정확성의 향상에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종래기술은 소정의 정보에의 접근성에 대한 보안의 개념에 대해서만 고려하였기 때문에 모니터 자체에서 시각적인 정보로서 유출되는 경우에 대한 대비책이 없는 문제가 있었음은 상기한 바와 같다.
본 발명에서는 보다 1차적이고 물리적인 정보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모니터부 자체에서 촬영되는 방식으로 정보가 이미지화되어 유출되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하여 촬영여부에 대한 판단을 수행하고 모니터부로의 정보의 표시를 차단하는 모니터 보안시스템을 제공하며, 구조적인 단순성에 비하여 정보에 대한 보안성을 비약적으로 향상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 보안시스템에 대한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로컬제어부(200)는 보안조건을 판단하는 보안조건판단부(210)와, 이렇게 판단된 보안조건에 의하여 모니터부에 대한 보안모드의 작동을 개시하도록 하는 보안작동부(220)를 포함한다.
이러한 보안조건판단부(210)는 모니터부의 전방측에서의 영상을 통하여 촬영여부를 판단하거나, 영상라인(110)의 단절을 판단하거나, 소정의 제어명령이 입력되고 있음에도 전방의 이미지의 변동이 없는 등의 보안조건들을 판단하여 보안조건이 충족되었는지 여부에 대한 신호를 보안작동부(220)로 전송한다.
이러한 보안조건과 관련하여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상기 보안작동부(220)는, 디스플레이라인(20)을 통하여 모니터부에 대해 스크린세이버의 작동을 개시하거나, 절전모드로 변환하거나, 전력의 입력을 차단하는 방식으로 보안모드의 작동을 하도록 할 수 있다.
이렇게 보안조건이 충족되어 보안모드가 작동되면, 소정의 보안해제조건의 충족 시에 보안모드를 해제할 수 있는 해제조건판단부(230)가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해제조건판단부(230)는 로컬제어부(200)가 아닌 중앙제어부(300)에만 구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해제조건판단부(230)는 기 인증된 이용자의 보안코드를 판별하는 등의 방식으로 보안해제조건의 충족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보안작동부(220)는 보안모드의 작동을 해제할 수 있다.
한편, 보안조건의 충족시에 모니터부에 대한 정보의 출력을 차단하는 경우 소정의 보안의 목적은 충족될 수 있으나, 사후적으로 이를 대비하고 유출을 시도하거나 이미 유출한 이용자를 찾아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로컬제어부(200)는 추가적으로 저장부(24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240)는 영상감지부(100)로부터의 영상신호를 지속적 또는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입력받아 저장하며, 이러한 저장부(240)는 시간순으로 저장과 삭제를 반복하는 소정의 버퍼로서 기능하는 임시저장부와 보안조건의 충족시 소정의 시간범위에 대한 보안영상을 저장하는 장기저장부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장기저장부는, 예를 들어, 보안조건판단부(210)에서 보안조건이 충족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보안모드 개시시점으로부터 전후의 시간의 소정 범위 동안의 영상신호에 대한 저장을 수행함으로써 사후적으로 모니터부의 전방에서 일어난 사건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장기저장부로의 영상정보의 저장은 두 가지 방식이 병합되어 구성될 수 있으며, 보안모드 개시시점으로부터 설정된 시간범위의 과거시간에 대한 영상정보가 임시저장부로부터 호출되어 장기저장부에 저장되고, 개시시점 이후부터는 장기저장부에서 실시간으로 보안영상에 대한 저장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보안모드 개시시점 이전 및 이후의 보안영상의 저장을 위한 시간범위는 선택적이며, 개시시점 이후의 시간범위는 해제조건이 충족될 때까지로 결정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모니터 보안시스템이 중앙제어부(300)에 연결되어 통합관리되는 경우 상기 로컬제어부(200)는 각각 통신 및 관리부(250)를 구비하여 소정의 유무선의 통신라인(참조번호)을 통하여 중앙제어부(300)의 관리 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중앙제어부(300)의 작동과 관련하여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도 3은 상기된 보안작동부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보안조건판단부(210)는, 영상감지부(100)로부터 수신된 영상신호에서 카메라에 대한 이미지 또는 촬영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조건에 의하여 보안조건을 충족하였는지를 판단하는 촬영판단부를 구비한다.
여기서, 카메라에 대한 이미지는 소정의 디지털 카메라의 외형이나, 렌즈의 형태에 대한 미리 설정된 이미지일 수 있으며, 보안조건판단부(210)는 수신된 모니터부의 전면의 영상에 이러한 설정 이미지가 포함되었는지를 판단하게 된다.
또한, 카메라나 스마트폰 등에서의 촬영을 위한 이용자의 동작을 미리 설정하여 이를 보안조건으로 판단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스마트폰 등에서 촬영시 방출되는 경보음을 인식하는 소정의 인식하여 보안조건의 충족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이 경우는 영상감지부(100)에 추가적으로 음향수신장치(미도시)를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보안조건은 촬영여부에 대한 판단을 수행함으로써 충족되는 것을 기본으로 하나, 특정 이용자가 영상감지부(100)와 로컬제어부(200)의 연결상태를 단절시키는 경우는 이에 대한 판단이 불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보안조건판단부(210)는 추가적으로 영상감지부(100)와 로컬제어부(200)의 연결상태의 단절 여부를 감지하여 연결이 단절된 경우 이를 보안조건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단락감지부가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영상감지부(100)와 로컬제어부(200)의 연결상태의 단절은 영상라인(110)으로 교환되는 신호의 전력의 값을 측정함으로써 감지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경우에 따라 특정 이용자가 영상감지부(100)의 렌즈를 가린 상태에서 촬영을 수행하는 경우도 고려될 수 있으므로 상기 보안조건판단부(210)는, 영상라인(110)의 단절은 이루어지지 않았으나 로컬제어부(200)에 수신되는 영상신호에 의한 이미지의 변동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도 보안조건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이미지판단부로 정의하도록 한다.
상기 이미지의 고정상태에 의한 보안조건의 판단은, 이용자에 의한 작업이 이루어지지 않는 환경에서는 무의미할 수 있기 때문에, 이용자에 의한 지문인식이나 보안코드의 입력이 이루어지고 소정의 명령에 의한 동작이 수행되는 환경에서 영상신호에 의한 이미지의 변동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만 판단될 수 있을 것이다.
도 5는 로컬제어부들을 관리하는 중앙제어부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로컬제어부(200)는, 기본적으로 각각의 로컬제어부(200)와 연결되는 통신모듈(340)과, 각각의 로컬제어부(200)의 작동을 감지하고 이에 대한 정보들을 취합하여 관리하는 모니터링부(310)와, 소정의 관리자에게 경보신호를 송출하는 경보부(3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통신모듈(340)은 개별적인 로컬제어부(200)들과 네트워크망을 통하여 연동할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하며, 추가적으로 원격에 있는 관리자의 이용자단말과 GSM, 3G 또는 4G와 같이 통신회선을 통하여 연결될 수 있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모니터링부(310)는, 로컬제어부(200)에 대한 상태, 더욱 정확하게는 각 모니터부에 대해서 보안조건이 충족되는 사건이 발생되었는지 여부와, 보안모드의 작동이 이루어지고 있는지에 대한 상태를 수신하여 이를 데이터화하여 통합 관리할 수 있도록 기능한다.
또한, 상기 모니터링부(310)는, 로컬제어부(200)에서 저장부(240)에 저장된 영상정보를 수신하여 각 로컬제어부(200) 별로 구분하여 저장하는 백업저장소로서도 기능할 수 있다.
이렇게 모니터링부(310)에서 판단한 결과 특정의 로컬제어부(200)에서 보안모드의 작동이 개시된 경우 경보부(320)에서 경보를 제공하여 관리자를 통하여 사건의 발생을 인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경보부(320)는 시스템상의 시각적 내지는 청각적 경보는 물론, 이용자단말을 보유한 원격의 관리자에 MMS나 SMS 또는 음성통화와 같은 경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한편, 이러한 중앙제어부(300)는 개별적인 로컬제어부(200)의 보안작동을 확인하여 이에 대한 해제조건을 판단하고 통합적으로 해제할 수 있도록 하는 보안관리부(3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각각의 로컬제어부(200)에서 해제조건판단부(230)를 구비하고 이를 통하여 개별적인 보안모드의 해제가 가능한 경우 보안에 대한 목적의 달성에 문제점이 발생할 여지가 있고, 중앙제어부(300)만이 보안모드의 작동을 해제하거나 소정의 보안해제조건에 미충족시에는 중앙제어부(300)에서만 해제가 가능하도록 구성될 필요성이 존재한다.
여기서 개별 로컬제어부(200)에서의 보안해제조건 미충족이란, 예를 들어, 2회 이상의 보안해제를 위한 보안코드의 입력에 오류가 발생한 경우를 들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보안관리부(330)는 침입이나 보안의 문제가 발생된 것으로 보아 해당 로컬제어부(200)의 해제작동을 제한하도록 기능할 수 있고 이러한 경우 해제조건판단부(230)와 보안작동부(220)의 능동적인 작동은 제한된다.
도 6은 상기된 본 발명의 모니터 보안시스템에 의한 모니터 보안시스템의 운영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영상감지부(100)가 ON되어 촬영이 이루어지도록 한(S110) 이후에 모니터부가 ON되는 상태 하에서 보안에 대한 판단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전력소요의 절감과 저장부(240)의 부하를 줄이기 위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ON의 상태를 영상감지부 ON(S110)에 선행하여 수행하는 경우도 고려해볼 수 있다. 다만, 상기와 같이 보안조건의 일실시예로서 영상라인(110)에 대한 단절에 대한 판단을 수행하는 경우, 단절이 먼저 이루어지고 보안정보 유출을 위한 촬영이 이루어지는 경우는 영상정보의 저장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영상감지부 ON(S110)이 선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부터 보안조건에 대한 판단과 보안모드의 작동 및 해제가 아래와 같이 작동될 수 있다.
보안조건의 제1조건으로서 보안조건판단부(210)에서 영상라인(110)의 단락을 감지(S210)하고 단락이 있는 상태로 판단되는 경우 보안작동부(220)가 모니터부에 대해 보안모드로의 작동을 개시(S230)하도록 한다.
이때, 영상라인(110)의 단락이란 도선의 절단, 영상감지부의 파손, 또는 USB 와 같은 접점의 연결해제와 같이 영상신호가 입력될 수 없는 상태를 의미한다.
또한, 보안모드란, 모니터부에서 스크린세이버의 작동, 절전모드의 작동 또는 전력입력의 차단 등을 의미할 수 있음은 상기한 바와 같다.
또한, 이러한 보안모드에는 보안보조부(11)에 의한 촬영에 대한 장애의 작동이 포함될 수 있다.
이렇게 제1조건이 충족되지 않은 경우는 촬영을 감지(S220)하여 제2조건인 보안조건에 대한 판단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러한 촬영여부에 대한 판단에 관하여 상기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여기서, 제2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마찬가지로 보안모드(S230)로 진입하며, 보안조건들을 충족하지 않는 경우는 상기된 촬영상태를 지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보안조건은 추가적으로 이미지의 변동에 대한 제3조건의 판단이나 다른 보안 판별방식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영상감지부(100)를 통하여 감지된 모니터부의 전방의 상태에 대하여 보안모드 개시시점 전후로의 영상정보가 저장부(24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보안모드의 작동은 중앙제어부(300)에 의하여 모니터링되고 경보되어 관리자에게 호출될 수 있으며, 개별 로컬제어부(200)에서 해제조건판단부(230)는 소정의 보안코드를 입력받는 등의 방식으로 해제조건의 충족여부를 판단(S310)하여 충족된 경우 보안을 해제(S320)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해제조건의 충족여부 판단(S310)은 중앙제어부(300)에서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해제조건판단부(230)에 의하여 해제조건이 충족되지 않는 상태로 판단된 경우는 보안을 록킹(S330)할 수 있으며, 이때에는 개별 로컬제어부(200)에서 해제조건판단부(230)와 보안작동부(220)의 작동은 제한될 수 있고 중앙제어부(300)의 보안관리부(330)를 통하여서만 집중적으로 해제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보안의 성능을 향상할 수 있다.
상기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 보안시스템은, 종래의 단순한 이용자의 인증과 사용 허가 등의 보안 관점에서 벗어나 최근 휴대가 용이하고 고성능화된 디지털 카메라나 스마트폰 등을 이용한 촬영방식의 정보의 유출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중요한 정보의 보호를 위한 기능이 비약적으로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각각의 모니터부에 대한 개별적인 보안모드의 작동여부에 대한 판단을 최적화하고 중앙제어부를 통하여 집중 관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효율적인 자원관리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 및 첨부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되었다. 그러나, 이상의 실시예들 및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에 의해서만 제한될 것이다.
10...모니터부 11...보안보조부
20...디스플레이라인 30...통신회선
100...영상감지부 110...영상라인
200...로컬제어부 210...보안조건판단부
220...보안작동부 230...해제조건판단부
240...저장부 250...통신 및 관리부
300...중앙제어부 310...모니터링부
320...경보부 330...보안관리부
340...통신모듈

Claims (6)

  1. 모니터부의 전방의 영상을 감지하는 영상감지부(100); 및
    상기 영상감지부로부터 영상신호를 입력받아 모니터부에 대한 촬영이 이루어졌는지에 대한 보안조건을 판단하는 보안조건판단부(210)와, 보안조건이 충족된 경우 모니터부에 대하여 보안모드로서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보안작동부(220)를 구비하는 로컬제어부(200);를 포함하는 모니터 보안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조건판단부는,
    영상감지부와 연결되는 영상라인(110)이 단락되는 경우 보안조건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 보안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조건판단부는,
    영상라인에 대한 단락 여부를 판단한 이후에 촬영이 이루어지는지 여부에 대한 판단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 보안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이용자를 모니터부 전방측으로 유도하도록 모니터부의 화각을 제한하는 필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 보안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컬제어부는,
    보안모드 작동의 개시시점 이전 및 이후의 영상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240)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 보안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로컬제어부와 연결되고 보안모드의 작동에 대해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부(310)와, 각각의 로컬제어부에 대한 보안해제를 제한하는 보안관리부(330)를 구비하는 중앙제어부(3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 보안시스템.
KR1020140195277A 2014-12-31 2014-12-31 모니터 보안시스템 KR1016439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5277A KR101643936B1 (ko) 2014-12-31 2014-12-31 모니터 보안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5277A KR101643936B1 (ko) 2014-12-31 2014-12-31 모니터 보안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3500A true KR20160083500A (ko) 2016-07-12
KR101643936B1 KR101643936B1 (ko) 2016-08-01

Family

ID=565050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5277A KR101643936B1 (ko) 2014-12-31 2014-12-31 모니터 보안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393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7779B1 (ko) * 2021-05-11 2021-12-09 배광진 행동 기반 정보 유출 방지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4390B1 (ko) 2018-08-23 2019-10-18 최운영 디스플레이 송출정보에 기반한 데이터 사용 로그 추적 시스템
KR20190100844A (ko) 2018-11-29 2019-08-29 주식회사 테르텐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표시되는 정보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과 이를 이용한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336165B1 (ko) 2020-05-04 2021-12-07 주식회사 테르텐 표시 장치에서 표시되는 정보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과 이를 이용한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
US11763042B2 (en) 2021-06-29 2023-09-19 Teruten, Inc Computer program for preventing information spill displayed on display device and security service using the sam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1402A (ko) * 2001-01-16 2002-07-24 삼성전자 주식회사 모니터관리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070104305A (ko) * 2007-08-31 2007-10-25 주식회사 넥스뷰 보안 카메라 일체형 터치스크린 모니터 제품과 제작 방법
KR20120060646A (ko) * 2010-12-02 2012-06-12 아이야미디어 주식회사 동작감지 녹화기능을 가지는 카메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1402A (ko) * 2001-01-16 2002-07-24 삼성전자 주식회사 모니터관리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070104305A (ko) * 2007-08-31 2007-10-25 주식회사 넥스뷰 보안 카메라 일체형 터치스크린 모니터 제품과 제작 방법
KR20120060646A (ko) * 2010-12-02 2012-06-12 아이야미디어 주식회사 동작감지 녹화기능을 가지는 카메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7779B1 (ko) * 2021-05-11 2021-12-09 배광진 행동 기반 정보 유출 방지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3936B1 (ko) 2016-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3936B1 (ko) 모니터 보안시스템
CA2713320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behavior in a monitoring system
CN110383356B (zh) 监视系统
KR101058592B1 (ko) 영상정보 오남용 감사 시스템
US20090251318A1 (en) Anti-theft system of mobile device
KR200433431Y1 (ko) 독립형 감시 시스템
KR20130132022A (ko) 통신 기능의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금고의 원격제어 및 보안 시스템
US11984001B2 (en) Device tamper detection
US20170286927A1 (en) Method and device for online payment
US10380377B2 (en) Prevention of shoulder surfing
KR101754014B1 (ko) 얼굴 인식 기반의 정보 유출 방지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9521552B2 (en) Method and apparatus to use smart phones to securely and conveniently monitor intel pcs remotely
KR101680746B1 (ko) 씨씨티브이 시스템
JP5248276B2 (ja) 自動取引システム及び自動取引装置
KR101622610B1 (ko) Uwb 센서를 이용한 홈 무선 네트워크 카메라 스마트 인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인증 방법
KR101523027B1 (ko) 이동 통신 단말기를 활용한 침입 감지 시스템
JP2023068624A (ja) オペレータ不正検知システム
KR20160008897A (ko) 금고 촬영장치 및 금고 내부 촬영 시스템
KR20180003897A (ko) 전자 문서의 유출 방지 방법, 디바이스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JP2014099732A (ja) 通信システム、通信装置、通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11748470B2 (en) Tamper-evident devices equipped with secure re-image file(s)
US11552972B2 (en) Trusted travel devices equipped with on-the-fly monitoring
WO2024021883A1 (zh) 防信息泄露方法及其装置、存储介质
KR100958432B1 (ko) 보안 관리 시스템, 보안 관리 방법 및 방법 프로그램을기록한 저장매체
JP2007241852A (ja) 電子装置、セキュリティ管理プログラム、セキュリティ管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