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7779B1 - 행동 기반 정보 유출 방지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 - Google Patents

행동 기반 정보 유출 방지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7779B1
KR102337779B1 KR1020210060806A KR20210060806A KR102337779B1 KR 102337779 B1 KR102337779 B1 KR 102337779B1 KR 1020210060806 A KR1020210060806 A KR 1020210060806A KR 20210060806 A KR20210060806 A KR 20210060806A KR 102337779 B1 KR102337779 B1 KR 1023377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image
terminal device
image data
image cap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08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광진
이승국
박주영
Original Assignee
배광진
이승국
박주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광진, 이승국, 박주영 filed Critical 배광진
Priority to KR10202100608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77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77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77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70Protecting specific internal or peripheral components, in which the protection of a component leads to protection of the entire computer
    • G06F21/82Protecting input, output or interconnection devices
    • G06F21/84Protecting input, output or interconnection devices output devices, e.g. displays or monit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70Protecting specific internal or peripheral components, in which the protection of a component leads to protection of the entire computer
    • G06F21/81Protecting specific internal or peripheral components, in which the protection of a component leads to protection of the entire computer by operating on the power supply, e.g. enabling or disabling power-on, sleep or resume ope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Studio Devic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행동 기반 정보 유출 방지 시스템은 단말 장치의 특정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의 상측에 형성되며 촬영 범위 내에 해당하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외부 상황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1 영상 촬영 장치 및 상기 제1 영상 촬영 장치로부터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영상 데이터 내에 상기 디스플레이를 촬영하는 제2 영상 촬영 장치가 검출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된 정보의 유출 상황을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의 상태를 제어하는 단말 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행동 기반 정보 유출 방지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METHOD OF PREVENTING THE LEAKAGE OF THE INFORMATION BASED ON BEHAVIOR AND SYSTEM PERFORMING THE SAME}
본 발명은 행동 기반 정보 유출 방지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단말 장치 내 영상 촬영 장치를 사용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출되는 정보에 대한 유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행동 기반 정보 유출 방지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공공, 금융, 기업들은 정보 자산을 보호하기 위해 ISMS-P, 개인정보보호법 등 관련 법규 및 규정에 근거하여 물리적, 관리적, 기술적 보안 기준을 마련하고 보호하고 있다.
예를 들어, 금융 기관(및 기업)은 금감원으로부터 감사를 받고 있으며 공공기관은 국정원으로부터 감사를 받고있다.
일반 기업은 정기 감사에 대한 의무는 없는 편이지만 제공하는 서비스에 따라 개인정보보호법, 정보통신망법 등을 기준으로 정보보호체계를 구축하여 정보 자산을 보호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정보 보안사고는 끊이지 않으며 사이버 범죄는 더욱 지능화 되고 있다.
최근에는 단말 장치(예를 들어, 스마트폰, 노트북, 태블릿 PC 등)가 보편화 되고 COVID-19가 확산되면서 원격 근무 및 스마트워크와 같은 비대면 업무로 업무 환경이 변화하면서 기업 및 기관 정보 자산에 대한 위협도 급증하는 추세다.
그에 대한 대책으로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에서는 이러한 업무 환경을 고려하여 "비대면 업무 환경 도입 및 운영을 위한 보안 가이드"를 통한 정보 보호 대책을 제시하였다.
특히 본 가이드에서는 단말기 보안, 보안 USB, 백신, DLP, 매체제어, DRM 등 인적 위협 및 물리적 위협에 대한 보안 방법과 점검 체크리스트도 함께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 보안 대책이나 가이드는 대부분 디바이스 내에서 실행되어 네트워크 보안, 시스템 보안, 암호화 모듈 등의 기능을 제공하는 소프트웨어를 통해 정보를 보호하므로 디스플레이에서 표출되는 정보를 다른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동영상 및 영상 촬영 등의 행위를 통한 정보의 유출을 막는 것은 불가능하다.
현재까지의 정보보안 체계에서 단말 장치의 보안은 백신, DLP, DRM과 같이 단말 장치에 설치하여 제어(및 암호화 저장)하게 구성되어 있으며 단말 장치 내에서만 제어 및 보호되는 방식이다.
이러한 방식이 완벽한 정보 보호를 제공한다고 할 수 없지만 제공한다고 하더라도 사용자 디스플레이에 노출되는 정보에 대해서는 보안 취약점이 발생한다.
다시 말해, 기업 및 기관 내부의 정해진 사무 공간이 아닌 불특정 다수가 모이는 외부 공간이나 개인 공간에서 1) 사용자가 자리를 비운 사이 사용자의 디바이스로 업무에 접속해 정보를 열람하거나, 2) 타인이 사용자 디스플레이상에 출력되는 정보 자산에 대한 불법 촬영(사진, 영상 등)을 하는 등의 공격에는 무방비 상태이다.
최근 들어 이러한 문제를 점차 인식하고 있으나 현실적인 보안 대책은 전무한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2034390호는 디스플레이 송출정보에 기반한 데이터 사용 로그 추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디지털화된 데이터의 자취의 추적을 위하여 디스플레이로 송출된 송출정보를 감시 및 저장을 통해 사용자의 데이터 사용에 대한 이력을 인식하고, 이에 따라 데이터 기밀의 유출 여부를 파악한다는 내용이 개시되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5-0040138호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영상정보 유출방지 방법에 관한 것으로, 카메라부가 구비된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카메라부를 통해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영상 정보가 해킹 등에 의해 외부로 유출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는 내용이 개시되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9-0100844호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표시되는 정보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과 이를 이용한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컴퓨터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표시되는 보안이 요구되는 제1화면을 캡쳐 카메라를 이용하여 불법적으로 무단으로 캡쳐할 때 상기 제1화면에 대한 캡쳐를 차단하기 위해 상기 제1화면을 제2화면으로 변경할 수 있다는 내용이 개시되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113167호는 디지털 콘텐트 유출 방지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컴퓨터 단말기 또는 휴대용 단말기 등과 같은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디지털 콘텐트를 표시할 때 그 사용자 단말기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시켜 표시함으로써 사용자 단말기에서 화면 캡쳐 등을 통하여 발생될 수 있는 디지털 콘텐트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는 내용이 개시되어 있다.
1)한국등록특허 제10-2034390호 2)한국공개특허 제10-2015-0040138호 3)한국공개특허 제10-2019-0100844호 4)한국공개특허 제10-2012-0113167호
본 발명은 AI 및 빅데이터 기반으로 단말 장치 내 영상 촬영 장치를 사용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출되는 정보에 대한 유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행동 기반 정보 유출 방지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단말 장치의 영상 촬영 장치로 수집된 영상을 통해 단말 장치의 외부 상황을 분석하여 다른 영상 촬영 장치가 존재하면 단말 장치와 연결된 디스플레이의 상태를 제어하여 디스플레이를 통한 정보의 유출 행위를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행동 기반 정보 유출 방지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단말 장치의 영상 촬영 장치를 통해 수집된 영상을 분석하여 다른 영상 촬영 장치가 존재하면 단말 장치와 연결된 디스플레이를 강제 오프하거나 화면 차단 상태로 전환함으로써 디스플레이를 통한 정보의 유출 행위를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행동 기반 정보 유출 방지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프라이버시 보호 필름 및 빅데이터 딥러닝 기반 영상 분석 기법을 통해 영상 촬영 시 실행되는 사용자 단말의 카메라 범위 안에 외부 촬영용 디바이스가 검출될 수 있도록 시야각을 제한하고 실행되는 디바이스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외부 촬영 및 녹화 행위를 분석하여 중요 정보의 외부 유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행동 기반 정보 유출 방지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행동 기반 정보 유출 방지 시스템은 단말 장치의 특정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의 상측에 형성되며 촬영 범위 내에 해당하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외부 상황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1 영상 촬영 장치; 및 상기 제1 영상 촬영 장치로부터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영상 데이터 내에 상기 디스플레이를 촬영하는 제2 영상 촬영 장치가 검출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된 정보의 유출 상황을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의 상태를 제어하는 단말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단말 장치는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강제 오프 신호, 디스플레이 화면 차단 이미지 표시 신호 및 디스플레이 조도 제어 신호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디스플레이 제어 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제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의 상태를 제어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제1 영상 촬영 장치의 촬영 범위 밖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상의 정보의 표시를 차단하는 디스플레이 보안 필름 부재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말 장치는 상기 영상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제2 영상 촬영 장치 이외에 미리 결정된 객체가 검출된 경우 상기 영상 데이터를 정밀 분석 서버에 제공한다.
상기 정밀 분석 서버는 미리 생성된 데이터 학습 모델을 기초로 상기 영상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영상 데이터에서 미리 결정된 행동 패턴이 검출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된 정보의 유출 상황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를 상기 단말 장치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가 단말 장치의 특정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의 상측에 형성되어 있는 제1 영상 촬영 장치가 촬영 범위 내에 해당하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외부 상황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여 단말 장치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제1 영상 촬영 장치로부터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영상 데이터 내에 상기 디스플레이를 촬영하는 제2 영상 촬영 장치가 검출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의 상태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강제 오프 신호, 디스플레이 화면 차단 이미지 표시 신호 및 디스플레이 조도 제어 신호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디스플레이 제어 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제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의 상태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부착된 디스플레이 보안 필름 부재가 상기 제1 영상 촬영 장치의 촬영 범위 밖에서 제2 영상 촬영 장치가 상기 디스플레이를 촬영 시 상기 디스플레이 상의 정보가 표시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영상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제2 영상 촬영 장치 이외에 미리 결정된 객체가 검출된 경우 상기 영상 데이터를 정밀 분석 서버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밀 분석 서버가 미리 생성된 데이터 학습 모델을 기초로 상기 영상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영상 데이터에서 미리 결정된 행동 패턴이 검출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된 정보의 유출 상황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를 상기 단말 장치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AI 및 빅데이터 기반으로 단말 장치 내 영상 촬영 장치를 사용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출되는 정보에 대한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단말 장치의 영상 촬영 장치를 통해 수집된 영상을 통해 단말 장치의 외부 상황을 분석하여 다른 영상 촬영 장치가 존재하면 단말 장치와 연결된 디스플레이의 상태를 제어하여 디스플레이를 통한 정보의 유출 행위를 차단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단말 장치의 영상 촬영 장치를 통해 수집된 영상을 분석하여 다른 영상 촬영 장치가 존재하면 단말 장치와 연결된 디스플레이를 강제 오프하거나 화면 차단 상태로 전환함으로써 디스플레이를 통한 정보의 유출 행위를 차단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프라이버시 보호 필름 및 빅데이터 딥러닝 기반 영상 분석 기법을 통해 영상 촬영 시 실행되는 사용자 단말의 카메라 범위 안에 외부 촬영용 디바이스가 검출될 수 있도록 시야각을 제한하고 실행되는 디바이스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외부 촬영 및 녹화 행위를 분석하여 중요 정보의 외부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행동 기반 정보 유출 방지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행동 기반 정보 유출 방지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행동 기반 정보 유출 방지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행동 기반 정보 유출 방지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행동 기반 정보 유출 방지 방법의 다른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중 "블록 상태"는 단말 장치 내 정보를 확인할 수 없도록 화면을 차단한 상태를 의미한다. 이러한 블록 상태는 디스플레이 최상단에 디스플레이 화면 차단 이미지를 제공하여 단말 장치 내 정보를 확인할 수 없도록 화면을 차단한 상태, 디스플레이를 오프하여 단말 장치 내 정보를 확인할 수 없도록 화면을 차단한 상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행동 기반 정보 유출 방지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행동 기반 정보 유출 방지 시스템은 단말 장치(100), 디스플레이(200), 제1 영상 촬영 장치(300), 제2 영상 촬영 장치(400) 및 정밀 분석 서버(500)를 포함한다.
상기의 디스플레이(200) 및 제1 영상 촬영 장치(300)는 도 1과 같이 구분되어 구현될 수 있지만, 실시예에 따라 하나의 구성요소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실시예에 따라 도 1이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200) 및 제1 영상 촬영장치(300)가 도 1과 같이 구분되어 구현되는 경우, 디스플레이(200)의 일측(즉, 좌측, 우측, 상측, 하측)에 제1 영상 촬영 장치(300)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도 1에 개시된 일 실시예는 제2 영상 촬영 장치(400)가 단말 장치의 제1 영상 촬영 장치(300)의 촬영 범위내에서 단말 장치(100)의 디스플레이(200)를 촬영하는 경우에 디스플레이(200)를 통한 정보 유출을 방지할 수 있는 일 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단말 장치(100)는 사용자 조작에 따라 특정 정보를 디스플레이(200)를 통해 표시되도록 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단말 장치(100)는 테블릿 PC, 스마트폰, 데스크탑, 노트북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단말 장치(100)의 종류에 따라 단말 장치(100), 디스플레이(200) 및 제1 영상 촬영 장치(300)는 하나의 구성 요소로 구현되거나 도 1과 같이 구분되어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도 1이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장치(100)가 데스크탑으로 구현되는 경우 단말 장치(100), 디스플레이(200) 및 제1 영상 촬영 장치(300)는 구분되어 구현되며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단말 장치(100)가 테블릿 PC, 스마트폰, 노트북 등으로 구현되는 경우 단말 장치(100), 디스플레이(200) 및 제1 영상 촬영 장치(300)는 하나의 구성 요소로 구현될 수 있다.
단말 장치(100)는 제1 영상 촬영 장치(300)을 통해 단말 장치(100)의 외부 상황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때, 영상 데이터는 이미지 데이터 및 동영상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단말 장치(100)는 제1 영상 촬영 장치(300)를 통해 단말 장치(100)의 외부 상황을 촬영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거나, 단말 장치(100)의 외부 상황을 녹화하여 동영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그 후, 단말 장치(100)는 단말 장치(100)의 외부 상황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분석하여 영상 데이터 내에 단말 장치(100)의 디스플레이(200)를 촬영하는 제2 영상 촬영 장치(400)가 검출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를 위해, 단말 장치(100)는 이미지 분석 모듈(미도시됨)에 단말 장치(100)의 외부 상황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제공한 후, 이미지 분석 모듈로부터 영상 데이터 내에 단말 장치(100)의 디스플레이(200)를 촬영하는 제2 영상 촬영 장치(400)가 검출되었는지 여부에 대한 검출 결과를 수신한다.
따라서, 단말 장치(100)는 이미지 분석 모듈(미도시됨)로부터 수신된 검출 결과에 따라 단말 장치(100)의 디스플레이(200) 상에 표시된 정보가 제2 영상 촬영 장치(400)에 의해 촬영되어 유출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단말 장치(100) 및 이미지 분석 모듈은 구분되어 서로 다른 구성요소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단말 장치(100) 및 이미지 분석 모듈이 하나의 구성요소로 구현되어 처리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단말 장치(100)는 단말 장치(100)의 외부 상황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분석하여 영상 데이터 내에 단말 장치(100)의 디스플레이(200)를 촬영하는 제2 영상 촬영 장치(400)가 존재하면, 단말 장치(100)의 디스플레이(200) 상에 표시된 정보가 제2 영상 촬영 장치(400)에 의해 촬영되어 유출되고 있는 상황이라고 판단한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단말 장치(100)는 단말 장치(100)의 외부 상황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분석하여 영상 데이터 내에 단말 장치(100)의 디스플레이(200)를 촬영하는 제2 영상 촬영 장치(400)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단말 장치(100)의 디스플레이(200) 상에 표시된 정보가 제2 영상 촬영 장치(400)에 의해 촬영되지 않는 상황이라고 판단한다.
상기의 실시예와 같이, 단말 장치(100)는 영상 데이터 내에 단말 장치(100)의 디스플레이(200)를 촬영하는 제2 영상 촬영 장치(400)가 존재하면, 디스플레이 제어 신호를 디스플레이(200)에 제공하여 디스플레이(200)가 디스플레이 제어 신호에 따라 블록 상태로 전환되도록 제어한다. 이때, 디스플레이 제어 신호는 디스플레이 강제 오프 신호, 디스플레이 화면 차단 이미지 표시 신호, 디스플레이 조도 제어 신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단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강제 오프 신호를 디스플레이(200)에 제공하여 디스플레이(200)가 디스플레이 강제 오프 신호에 따라 강제 오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단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화면 차단 이미지 표시 신호를 디스플레이(200)에 제공하여 디스플레이(200)가 디스플레이 화면 차단 이미지 표시 신호에 따라 미리 결정된 디스플레이 화면 차단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단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조도 제어 신호를 디스플레이(200)에 제공하여 디스플레이(200)가 디스플레이 조도 제어 신호에 따라 조도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단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제어 신호를 디스플레이(200)에 제공하여 디스플레이(200)가 디스플레이 제어 신호에 따라 제어되도록 함으로써 단말 장치(100)의 디스플레이(200) 상에 표시된 정보가 제2 영상 촬영 장치(400)에 의해 촬영되어 유출되지 않도록 한다.
디스플레이(200)는 단말 장치(100)의 특정 정보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200)의 상측면에는 촬영 범위 내에 해당하는 상기 디스플레이(200)의 외부 상황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1 영상 촬영 장치(300)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1 영상 촬영 장치(300)는 촬영 범위 내에 해당하는 디스플레이(200)의 외부 상황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제1 영상 촬영 장치(300)는 디스플레이(200)의 일측(예를 들어, 상측, 하측, 좌측, 우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촬영 범위 내에 해당하는 상기 디스플레이(200)의 외부 상황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제2 영상 촬영 장치(400)는 단말 장치(100)의 디스플레이(200)를 촬영하며, 단말 장치(100)의 디스플레이(200) 상에 표시된 정보가 제2 영상 촬영 장치(400)에 의해 촬영되어 유출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영상 촬영 장치(400)는 제1 영상 촬영 장치(300)의 촬영 범위 내에 위치하는 경우 영상 데이터에 포함될 수 있으며, 제1 영상 촬영 장치(300)의 촬영 범위 내에 위치하지 않은 경우 영상 데이터에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정밀 분석 서버(500)는 미리 생성된 데이터 학습 모델을 기초로 상기 영상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영상 데이터에서 미리 결정된 행동 패턴이 검출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된 정보의 유출 상황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를 상기 단말 장치에 제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행동 기반 정보 유출 방지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행동 기반 정보 유출 방지 시스템은 단말 장치(100), 디스플레이(200), 제1 영상 촬영 장치(300), 제2 영상 촬영 장치(400) 및 정밀 분석 서버(500)를 포함한다. 이때, 디스플레이(200)에는 디스플레이 보안 필름 부재(210)가 부착되어 있다.
도 2에 개시된 일 실시예는 제2 영상 촬영 장치(400)가 단말 장치(100)의 제1 영상 촬영 장치(300)의 촬영 범위 밖에서 단말 장치(100)의 디스플레이(200)를 촬영하는 경우에 디스플레이(200)를 통한 정보 유출을 방지할 수 있는 일 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단말 장치(100)는 제1 영상 촬영 장치(300)을 통해 단말 장치(100)의 외부 상황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때, 영상 데이터는 이미지 데이터 및 동영상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단말 장치(100)는 제1 영상 촬영 장치(300)를 통해 단말 장치(100)의 외부 상황을 촬영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거나, 단말 장치(100)의 외부 상황을 녹화하여 동영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200)에는 디스플레이 보안 필름 부재(210)가 부착되어 있다. 이와 같은 이유는, 제2 영상 촬영 장치(400)가 단말 장치(100)의 제1 영상 촬영 장치(300)의 촬영 범위 밖에서 단말 장치(100)의 디스플레이(200)를 촬영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해서이다.
일반적으로, 제2 영상 촬영 장치(400)가 단말 장치(100)의 제1 영상 촬영 장치(300)의 촬영 범위 밖에서 단말 장치(100)의 디스플레이(200)를 촬영하여 디스플레이(200)에 표시된 정보의 유출을 시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 단말 장치(100)의 제1 영상 촬영 장치(300)에 의해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분석하더라도 제2 영상 촬영 장치(400)가 검출되지 않기 때문에 디스플레이(200)의 상태를 블록 상태로 변경하지 않기 때문에 디스플레이(200)에 표시된 정보는 그대로 유출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디스플레이(200)에 디스플레이 보안 필름 부재(210)를 부착함으로써 제2 영상 촬영 장치(400)가 단말 장치(100)의 제1 영상 촬영 장치(300)의 촬영 범위 밖에서 단말 장치(100)의 디스플레이(200)를 촬영하는 경우 디스플레이(200) 상의 정보를 인식하지 못하도록 한다.
이때, 제2 영상 촬영 장치(400)가 단말 장치(100)의 제1 영상 촬영 장치(300)의 촬영 범위 밖에서 단말 장치(100)의 디스플레이(200)를 촬영하더라도 디스플레이(200) 상의 정보를 인식하지 못하기 때문에, 제1 영상 촬영 장치(300)의 촬영 범위 안으로 제2 영상 촬영 장치(400)가 이동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1 영상 촬영 장치(300)의 촬영 범위 안으로 제2 영상 촬영 장치(400)가 이동되면, 제2 영상 촬영 장치(400)가 단말 장치(100)의 제1 영상 촬영 장치(300)의 촬영 범위 안에 있기 때문에 제1 영상 촬영 장치(300)에 의해 촬영된 영상 데이터에는 제2 영상 촬영 장치(400)가 존재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단말 장치(100)는 단말 장치(100)의 외부 상황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분석하여 영상 데이터 내에 단말 장치(100)의 디스플레이(200)를 촬영하는 제2 영상 촬영 장치(400)가 검출되었는지 판단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제어 신호를 디스플레이(200)에 제공하여 디스플레이(200)가 디스플레이 제어 신호에 따라 블록 상태로 전환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200)는 단말 장치(100)의 특정 정보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200)의 일측(예를 들어, 상측, 하측, 좌측, 우측)에는 촬영 범위 내에 해당하는 상기 디스플레이(200)의 외부 상황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1 영상 촬영 장치(300)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1 영상 촬영 장치(300)는 촬영 범위 내에 해당하는 디스플레이(200)의 외부 상황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제1 영상 촬영 장치(300)는 디스플레이(200)의 일측(예를 들어, 상측, 하측, 좌측, 우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촬영 범위 내에 해당하는 상기 디스플레이(200)의 외부 상황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제2 영상 촬영 장치(400)는 단말 장치(100)의 디스플레이(200)를 촬영하며, 단말 장치(100)의 디스플레이(200) 상에 표시된 정보가 제2 영상 촬영 장치(400)에 의해 촬영되어 유출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영상 촬영 장치(400)는 제1 영상 촬영 장치(300)의 촬영 범위 내에 위치하는 경우 영상 데이터에 포함될 수 있으며, 제1 영상 촬영 장치(300)의 촬영 범위 내에 위치하지 않은 경우 영상 데이터에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정밀 분석 서버(500)는 미리 생성된 데이터 학습 모델을 기초로 상기 영상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영상 데이터에서 미리 결정된 행동 패턴이 검출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된 정보의 유출 상황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를 상기 단말 장치에 제공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행동 기반 정보 유출 방지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단말 장치(100)는 제1 영상 촬영 장치가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단계 S105).
만일, 단말 장치(100)는 제1 영상 촬영 장치가 연결되어 있으면, 디스플레이의 일측(예를 들어, 상측, 하측, 좌측, 우측)에 형성되어 있는 제1 영상 촬영 장치가 촬영 범위 내에 해당하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외부 상황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수집한다(단계 S110).
단말 장치(100)는 제1 영상 촬영 장치로부터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분석하여(단계 S111) 상기 영상 데이터 내에 상기 디스플레이를 촬영하는 제2 영상 촬영 장치가 검출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12).
단말 장치(100)는 영상 데이터 내에 상기 디스플레이를 촬영하는 제2 영상 촬영 장치가 검출되지 않으면(단계 S112), 디스플레이의 블록 상태가 해제되도록 한다(단계 S114). 한편, 단말 장치(100)는 영상 데이터 내에 상기 디스플레이를 촬영하는 제2 영상 촬영 장치가 검출되면(단계 S112), 상기 제2 영상 촬영 장치 이외에 미리 결정된 객체가 검출된 경우 상기 영상 데이터의 정밀 분석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여 정밀 분석 서버(500)에 제공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단말 장치(100)는 영상 데이터 내에 디스플레이를 촬영하는 제2 영상 촬영 장치가 검출되었지만 제2 영상 촬영 장치의 특징점 검출률이 특정 비율 이하일 경우 상기 영상 데이터의 정밀 분석이 필요하다고 판단한 경우 영상 데이터를 정밀 분석 서버(500)에 제공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단말 장치(100)는 영상 데이터의 종류가 동영상 데이터인 경우 행위 검출을 위하여 연속적인 영상 프레임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고 판단한 경우 정밀 분석 서버(500)에 제공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단말 장치(100)는 영상 데이터의 픽셀 분석을 통해 페이크 이미지인지 확인이 필요하다고 판단한 경우 영상 데이터를 정밀 분석 서버(500)에 제공한다.
즉, 정밀 분석 이벤트(상황)은 디스플레이를 촬영하는 제2 영상 촬영 장치가 검출되었지만 제2 영상 촬영 장치의 특징점 검출률이 특정 비율 이하일 경우이거나, 영상 데이터의 종류가 동영상 데이터인 경우 행위 검출을 위하여 연속적인 영상 프레임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고 판단한 경우이거나, 영상 데이터의 픽셀데이터 분석을 통해 페이크 이미지인지 확인이 필요하다고 판단한 경우 등에는 상기 영상 데이터의 정밀 분석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여 정밀 분석 서버(500)에 제공한다.
이에 반하여, 단말 장치(100)는 영상 데이터 내에 상기 디스플레이를 촬영하는 제2 영상 촬영 장치가 검출되고(단계 S112), 제2 영상 촬영 장치 이외에 미리 결정된 객체가 검출되지 않은 경우 디스플레이 제어 신호를 디스플레이(200)에 제공하여 디스플레이(200)가 디스플레이 제어 신호에 따라 블록 상태로 전환되도록 제어한다(단계 S114).
이때, 디스플레이 제어 신호는 디스플레이 강제 오프 신호, 디스플레이 화면 차단 이미지 표시 신호, 디스플레이 조도 제어 신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정밀 분석 서버(500)는 단말 장치(100)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면, 미리 생성된 데이터 학습 모델을 기초로 영상 데이터를 분석한다. 이를 위해, 정밀 분석 서버(500)는 AI 엔진(600)에 학습 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제공하고(단계 S511), AI 엔진(600)로부터 학습 데이터를 수신한다(단계 S513).
정밀 분석 서버(500)는 학습 데이터를 기초로 영상 데이터를 분석하여 미리 결정된 행동 패턴이 검출된 경우(단계 S514),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된 정보의 유출 상황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를 상기 단말 장치(100)에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정밀 분석 서버(500)는 단말 장치(100)로부터 동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동영상 데이터를 구성하는 복수의 영상 프레임 각각을 분석하여 복수의 영상 프레임 각각에서 검출된 미리 결정된 객체의 행위를 분석한 후 행위 분석 결과에 따라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된 정보의 유출 상황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정밀 분석 서버(500)는 단말 장치(100)로부터 특징점 검출률이 특정 비율 이하인 제2 영상 촬영 장치가 검출된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영상 데이터의 픽셀데이터와 화소를 변경하여(예를 들어, 밝게 하여) 특징점을 다시 검출한 후 특징점에 따라 제2 영상 촬영 장치가 검출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된 정보의 유출 상황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제어 신호를 디스플레이(200)에 제공하여 디스플레이(200)가 디스플레이 제어 신호에 따라 블록 상태로 전환되도록 제어한다(단계 S114). 그런 다음, 정밀 분석 서버(500)는 로그 및 영상 데이터를 대응시켜 저장한다(단계 S515).
상기와 같은 과정을 위해, AI 엔진(600)은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면(단계 S610) 영상 데이터를 분류하여 딥러닝하여 데이터를 학습시킨다(단계 S611, 단계 S612, 단계 S613).
먼저, AI 엔진(600)은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면 영상 데이터의 딥러닝 학습을 진행하고 학습 결과로 학습 모델을 생성한다. 이때, 이때 딥러닝 학습에 사용되는 알고리즘은 영상판독에서 높은 판독률을 보이는 알고리즘이 사용된다.
도 4,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행동 기반 정보 유출 방지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 도 5 및 도 6에 개시된 일 실시예는 제2 영상 촬영 장치(400)가 단말 장치의 제1 영상 촬영 장치(300)의 촬영 범위내에서 단말 장치(100)의 디스플레이(200)를 촬영하는 경우에 디스플레이(200)를 통한 정보 유출을 방지할 수 있는 일 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도 4,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제2 영상 촬영 장치(400)가 단말 장치(100)의 제1 영상 촬영 장치(300)의 촬영 범위 내에서 단말 장치(100)의 디스플레이(200)를 촬영하여 디스플레이(200)에 표시된 정보의 유출을 시도할 수 있다.
이러한 행위를 통한 정보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서, 도 4 및 도 5와 같이 단말 장치(100)는 특정 정보를 디스플레이(200)를 통해 표시한 상태에서, 제1 영상 촬영 장치(300)는 촬영 범위 내에 해당하는 상기 디스플레이(200)의 외부 상황에 대한 영상 데이터(600)를 생성하여 단말 장치(100)에 제공한다.
그 후, 단말 장치(100)는 단말 장치(100)의 외부 상황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분석하여 영상 데이터 내에 단말 장치(100)의 디스플레이(200)를 촬영하는 제2 영상 촬영 장치(400)가 검출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일 실시예에서, 단말 장치(100)는 단말 장치(100)의 외부 상황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분석하여 영상 데이터 내에 단말 장치(100)의 디스플레이(200)를 촬영하는 제2 영상 촬영 장치(400)가 존재하면, 단말 장치(100)의 디스플레이(200) 상에 표시된 정보가 제2 영상 촬영 장치(400)에 의해 촬영되어 유출되고 있는 상황이라고 판단한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단말 장치(100)는 단말 장치(100)의 외부 상황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분석하여 영상 데이터 내에 단말 장치(100)의 디스플레이(200)를 촬영하는 제2 영상 촬영 장치(400)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단말 장치(100)의 디스플레이(200) 상에 표시된 정보가 제2 영상 촬영 장치(400)에 의해 촬영되지 않는 상황이라고 판단한다.
상기의 실시예와 같이, 단말 장치(100)는 영상 데이터 내에 단말 장치(100)의 디스플레이(200)를 촬영하는 제2 영상 촬영 장치(400)가 존재하면, 디스플레이 제어 신호를 디스플레이(200)에 제공하여 도 6과 같이 디스플레이(200)가 디스플레이 제어 신호에 따라 블록 상태로 전환되도록 제어한다. 이때, 디스플레이 제어 신호는 디스플레이 강제 오프 신호, 디스플레이 화면 차단 이미지 표시 신호, 디스플레이 조도 제어 신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단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강제 오프 신호를 디스플레이(200)에 제공하여 도 6과 같이 디스플레이(200)가 디스플레이 강제 오프 신호에 따라 강제 오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행동 기반 정보 유출 방지 방법의 다른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7 및 도 8에 개시된 일 실시예는 제2 영상 촬영 장치(400)가 단말 장치의 제1 영상 촬영 장치(300)의 촬영 범위밖에서 단말 장치(100)의 디스플레이(200)를 촬영하는 경우에 디스플레이(200)를 통한 정보 유출을 방지할 수 있는 일 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제2 영상 촬영 장치(400)가 단말 장치(100)의 제1 영상 촬영 장치(300)의 촬영 범위 밖에서 단말 장치(100)의 디스플레이(200)를 촬영하여 디스플레이(200)에 표시된 정보의 유출을 시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 단말 장치(100)의 제1 영상 촬영 장치(300)에 의해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분석하더라도 제2 영상 촬영 장치(400)가 검출되지 않기 때문에 디스플레이(200)의 상태를 블록 상태로 변경하지 않기 때문에 디스플레이(200)에 표시된 정보는 그대로 유출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디스플레이(200)에 디스플레이 보안 필름 부재(210)를 부착함으로써 도 8(a) 및 도 8(c)와 같이 제2 영상 촬영 장치(400)가 단말 장치(100)의 제1 영상 촬영 장치(300)의 촬영 범위 밖에서 단말 장치(100)의 디스플레이(200)를 촬영하는 경우 제 3자의 훔쳐보기 및 측면에서 외부 디바이스(카메라 등)를 활용한 촬영을 제한을 위해 사용자 디스플레이는 디스플레이 보안 필름 부재(210)을 부착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보안 필름 부재(210)을 부착하여 탐지 범위 안으로 행위의 객체를 접근하도록 유도하여 식별 대상이 촬영 장치에 인식되도록 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보안 필름 부재(210)을 통해 제1 영상 촬영 장치(300)의 촬영 범위 안으로 제2 영상 촬영 장치(400)가 이동되도록 유도하고, 도 8(a) 및 도 8(c)의 시야각 외에서 사용자 디스플레이 측면을 촬영하더라도 화면을 인식하지 못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도 8(a) 및 도 8(c)와 같이 제2 영상 촬영 장치(400)가 단말 장치(100)의 제1 영상 촬영 장치(300)의 촬영 범위 밖에서 단말 장치(100)의 디스플레이(200)를 촬영하더라도 디스플레이(200) 상의 정보를 인식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 보안 필름 부재(210)을 통해 사용자 디스플레이 측면을 촬영하더라도 화면을 인식하지 못하는 기능을 제공하거나 제1 영상 촬영 장치(300)의 촬영 범위 안으로 제2 영상 촬영 장치(400)가 이동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1 영상 촬영 장치(300)의 촬영 범위 안으로 제2 영상 촬영 장치(400)가 이동되면, 도 8(b)와 같이 제2 영상 촬영 장치(400)가 단말 장치(100)의 제1 영상 촬영 장치(300)의 촬영 범위 안에 있기 때문에 제1 영상 촬영 장치(300)에 의해 촬영된 영상 데이터에는 제2 영상 촬영 장치(400)가 존재하게 될 것이다.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단말 장치
200: 디스플레이
210: 디스플레이 보안 필름 부재
300; 제1 영상 촬영 장치
400: 제2 영상 촬영 장치
500: 정밀 분석 서버

Claims (7)

  1. 단말 장치의 특정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의 상측에 형성되며 촬영 범위 내에 해당하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외부 상황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1 영상 촬영 장치; 및
    상기 제1 영상 촬영 장치로부터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영상 데이터 내에 상기 디스플레이를 촬영하는 제2 영상 촬영 장치가 검출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된 정보의 유출 상황을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의 상태를 제어하는 단말 장치를 포함하여,
    상기 단말 장치는
    상기 영상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제2 영상 촬영 장치 이외에 미리 결정된 객체가 검출된 경우 상기 영상 데이터를 정밀 분석 서버에 제공하며,
    상기 정밀 분석 서버는
    미리 생성된 데이터 학습 모델을 기초로 상기 영상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영상 데이터에서 미리 결정된 행동 패턴이 검출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된 정보의 유출 상황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를 상기 단말 장치에 제공하며,
    디스플레이를 촬영하는 제2 영상 촬영 장치가 검출되었지만 제2 영상 촬영 장치의 특징점 검출률이 특정 비율 이하일 경우이거나, 영상 데이터의 종류가 동영상 데이터인 경우 행위 검출을 위하여 연속적인 영상 프레임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고 판단한 경우이거나, 영상 데이터의 픽셀데이터 분석을 통해 페이크 이미지인지 확인이 필요하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상기 영상 데이터의 정밀 분석이 필요한 정밀 분석 이벤트(상황)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정밀 분석 서버(500)에 제공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동 기반 정보 유출 방지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는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강제 오프 신호, 디스플레이 화면 차단 이미지 표시 신호 및 디스플레이 조도 제어 신호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디스플레이 제어 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제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의 상태를 제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제1 영상 촬영 장치의 촬영 범위 밖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상의 정보의 표시를 차단하는 디스플레이 보안 필름 부재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동 기반 정보 유출 방지 시스템.
  3. 삭제
  4. 디스플레이가 단말 장치의 특정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의 상측에 형성되어 있는 제1 영상 촬영 장치가 촬영 범위 내에 해당하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외부 상황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여 단말 장치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제1 영상 촬영 장치로부터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영상 데이터 내에 상기 디스플레이를 촬영하는 제2 영상 촬영 장치가 검출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의 상태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영상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제2 영상 촬영 장치 이외에 미리 결정된 객체가 검출된 경우 상기 영상 데이터를 정밀 분석 서버(500)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정밀 분석 서버(500)는 단말 장치(100)로부터 특징점 검출률이 특정 비율 이하인 제2 영상 촬영 장치가 검출된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영상 데이터의 픽셀데이터와 화소를 변경하여 딥러닝과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검출 데이터베이스 기반으로 정밀 분석하여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된 정보의 유출 상황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동 기반 정보 유출 방지 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강제 오프 신호, 디스플레이 화면 차단 이미지 표시 신호 및 디스플레이 조도 제어 신호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디스플레이 제어 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제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의 상태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동 기반 정보 유출 방지 방법.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부착된 디스플레이 보안 필름 부재가 상기 제1 영상 촬영 장치의 촬영 범위 밖에서 제2 영상 촬영 장치가 상기 디스플레이를 촬영 시 상기 디스플레이 상의 정보가 표시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동 기반 정보 유출 방지 방법.
  7. 삭제
KR1020210060806A 2021-05-11 2021-05-11 행동 기반 정보 유출 방지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 KR1023377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0806A KR102337779B1 (ko) 2021-05-11 2021-05-11 행동 기반 정보 유출 방지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0806A KR102337779B1 (ko) 2021-05-11 2021-05-11 행동 기반 정보 유출 방지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7779B1 true KR102337779B1 (ko) 2021-12-09

Family

ID=788660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0806A KR102337779B1 (ko) 2021-05-11 2021-05-11 행동 기반 정보 유출 방지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7779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35571A (ja) * 2009-07-30 2011-02-17 Masafumi Hagiwara 不審行動検知方法および不審行動検知装置
KR20120113167A (ko) 2011-04-04 2012-10-12 주식회사 마크애니 디지털 콘텐트 유출 방지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40138A (ko) 2013-10-04 2015-04-1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영상정보 유출방지 방법
KR20160083500A (ko) * 2014-12-31 2016-07-12 주식회사 삼정솔루션 모니터 보안시스템
KR20190100844A (ko) 2018-11-29 2019-08-29 주식회사 테르텐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표시되는 정보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과 이를 이용한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34390B1 (ko) 2018-08-23 2019-10-18 최운영 디스플레이 송출정보에 기반한 데이터 사용 로그 추적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35571A (ja) * 2009-07-30 2011-02-17 Masafumi Hagiwara 不審行動検知方法および不審行動検知装置
KR20120113167A (ko) 2011-04-04 2012-10-12 주식회사 마크애니 디지털 콘텐트 유출 방지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40138A (ko) 2013-10-04 2015-04-1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영상정보 유출방지 방법
KR20160083500A (ko) * 2014-12-31 2016-07-12 주식회사 삼정솔루션 모니터 보안시스템
KR102034390B1 (ko) 2018-08-23 2019-10-18 최운영 디스플레이 송출정보에 기반한 데이터 사용 로그 추적 시스템
KR20190100844A (ko) 2018-11-29 2019-08-29 주식회사 테르텐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표시되는 정보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과 이를 이용한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22200493B2 (en) Preserving privacy in surveillance
Raval et al. Markit: Privacy markers for protecting visual secrets
Templeman et al. PlaceRaider: Virtual theft in physical spaces with smartphones
KR101626546B1 (ko) 개인정보 보호를 지원하는 영상정보 처리기기 및 방법
WO2018225642A1 (ja) 顔認証システム、顔認証方法、生体認証システム、生体認証方法及び記録媒体
KR101319562B1 (ko) 디지털 콘텐트 유출 방지 시스템 및 방법
Senior et al. Privacy protection and face recognition
US10394188B2 (en) Protection of private content and objects
US20220171889A1 (en) Controlling display devices based on viewing angles
US919785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odulating images for videotelephony
US20160063274A1 (en) Data Processing Device with Light Indicator Unit
Wang et al. {CamShield}: Securing Smart Cameras through Physical Replication and Isolation
KR102337779B1 (ko) 행동 기반 정보 유출 방지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
CN111832458A (zh) 防窃照方法及系统
CN111400768A (zh) 基于人脸和行为识别的加密分享平台及加密分享方法
JP2008217675A (ja) 情報閲覧システム、端末、その制御方法、その制御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CN111177770A (zh) 一种敏感信息的保护方法、移动设备及存储装置
CN113536402A (zh) 基于前置摄像目标识别的防窥显示方法
KR20220081980A (ko) 정보 처리 시스템, 정보 처리 방법, 프로그램, 유저 인터페이스
KR20180003897A (ko) 전자 문서의 유출 방지 방법, 디바이스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KR20190100844A (ko)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표시되는 정보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과 이를 이용한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60044834A (ko) 단말기 보안 장치 및 그 방법
Chattopadhyay et al. Information Assurance and Security Issues in Telemedicine—Future Directions
US11763042B2 (en) Computer program for preventing information spill displayed on display device and security service using the same
KR102530463B1 (ko) 보행자 얼굴 검출 정보를 매개로 한 영상 보안 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