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0646A - 동작감지 녹화기능을 가지는 카메라 - Google Patents

동작감지 녹화기능을 가지는 카메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0646A
KR20120060646A KR1020100122250A KR20100122250A KR20120060646A KR 20120060646 A KR20120060646 A KR 20120060646A KR 1020100122250 A KR1020100122250 A KR 1020100122250A KR 20100122250 A KR20100122250 A KR 20100122250A KR 20120060646 A KR20120060646 A KR 201200606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amera
photographing
image information
shoo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22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04780B1 (ko
Inventor
박동권
Original Assignee
아이야미디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야미디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이야미디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222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4780B1/ko
Publication of KR201200606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06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47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47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70Determining position or orientation of objects or 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Control of means for changing angle of the field of view, e.g. optical zoom objectives or electronic zoo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udio Devices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상상황 발생시 근접촬영을 통하여 이상상황을 선명하게 저장하여 상황판단과 추적을 통하여 상황 해결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동작감지 녹화기능을 가지는 카메라에 관한 것으로서,
촬영소자에서 촬영한 영상정보는 제어부를 통하여 관리처로 전송되어 관리처의 저장매체에 저장 또는 모니터를 통하여 재생하도록 하고, 상기 제어부는, 촬영소자가 촬영한 영상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부와, 수신된 영상정보를 녹화하는 녹화부, 녹화된 영상정보를 관리처로 제공하기 위한 송신부, 상기 촬영소자를 통하여 설치지역의 영상을 지속적으로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 동작부를 포함하는 카메라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촬영지역의 움직임이나 이벤트와 같은 이상상황이 발생시 이를 감지, 추적하여 줌인 상태로 전환하여 이벤트 상황을 선명한 화질로 촬영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동작감지 녹화기능을 가지는 카메라{SECURITY CAMERA}
본 발명은 동작감지 녹화기능을 가지는 카메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움직임을 감지하여 대상 체를 식별할 수 있도록 줌인하여 촬영하여 녹화할 수 있도록 개선한 카메라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근자에 들어서는 가정이나 사무실은 물론, 도로, 골목, 주차장, 자동차에까지 감시를 목적으로 하는 카메라가 설치되어 보안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은 물론, 시시비비를 가리기 위한 중요 자료 등으로 활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카메라는 다양한 종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보편적으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으며, 이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카메라(1)는 다양한 형상과 모양을 가지는 카메라바디에 촬영소자(2)를 구비하여 촬영(감시)대상 지역에 설치하고, 상기 카메라(1)에 설치된 촬영소자(2)로부터 인가되는 영상신호는 제어부(3)로 인가된다.
상기 제어부(3)에서는 인가된 영상신호를 관리처의 기록매체(4)에 저장을 수행하거나 또는, 관리처의 모니터 또는 데이터베이스로 영상정보를 제공하도록 하는 송신부(5)를 구비하는 구성이다.
상기 촬영소자(2)의 촬영범위를 결정하기 위한 조작은 카메라(1)의 본체 후미에 설치되는 줌 레버를 손이나 도구를 이용하여 인위적으로 조작함으로써 촬영범위 또는 촬영거리를 설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이 적용되는 카메라는, 카메라를 처음 설치할 때 줌 레버를 설정한 상태에서 줌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기 때문에 설정된 촬영범위 내에서만 촬영을 수행하는 기능만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이유에 의하여 초기에 설정된 초점거리에만 맞추어져 있고, 하나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가급적이면 넓은 영역의 촬영을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광각에 가까운 형태의 촬영이 이루어진다.
때문에, 촬영되는 영상이 선명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실제 이벤트(이상상황)가 발생하였을 경우 문제의 영상을 촬영할 수는 있으나, 화질이 선명하지 못할 뿐 아니라, 근접한 상태의 촬영이 어려워 실제 촬영된 영상을 판독하기 힘들어 활용성이 저하되는 원인이 된다.
이와 같이 광각으로 촬영된 영상을 활용하기 위하여 특정 이벤트에 대한 분석의 경우 기록된 영역 정보에서 해당 부분만 확대하게 되면 모자이크 현상이나 화질 저하로 인해 인식률이 매우 낮게 되므로 실질적인 활용이 어렵게 된다.
이러한 이유에 의하여 촬영지역에 이상상황이 발생하고 이를 촬영한 상태라 하더라도 촬영대상체의 인물은 물론, 차량, 또는 문자 등을 용이하게 식별하지 못하여 카메라 본래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어렵게 된다.
또한 근접촬영을 통하여 화질을 높이고자 카메라의 줌 레버를 근접촬영 모드로 설정하여 설치할 경우에는, 설치장소에 하나 이상의 많은 카메라를 설치하여야 하기 때문에 많은 비용이 소요되고 유지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등 여러 문제가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촬영소자에서 촬영한 영상정보는 제어부를 통하여 관리처로 전송되어 관리처의 저장매체에 저장 또는 모니터를 통하여 재생하도록 하고, 상기 제어부는, 촬영소자가 촬영한 영상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부와, 수신된 영상정보를 녹화하는 녹화부, 녹화된 영상정보를 관리처로 제공하기 위한 송신부, 상기 촬영소자를 통하여 설치지역의 영상을 지속적으로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 동작부를 포함하는 카메라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촬영지역의 움직임이나 이벤트와 같은 이상상황이 발생시 이를 감지, 추적하여 줌인 상태로 전환하여 이벤트 상황을 선명한 화질로 촬영 저장할 수 있도록 하여, 이상상황 발생시 근접촬영을 통하여 이상상황을 선명하게 저장하여 상황판단과 추적을 통하여 상황 해결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목적 달성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카메라에 이상상황 발생시 이를 감지하여 줌인 상태에서 선명한 영상을 촬영하여 제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카메라 본래의 기능에 충실하여 추적과 분석의 용이성을 제공하여 활용성을 높이고 감시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등 다양한 효과를 가지는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동작감지 녹화기능을 가지는 카메라를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동작감지 녹화기능을 가지는 카메라를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동작감지 녹화기능을 가지는 카메라의 제어부 구성도.
도 4는 종래 기술이 적용된 녹화기능을 가지는 카메라를 도시한 구성도.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동작감지 녹화기능을 가지는 카메라를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동작감지 녹화기능을 가지는 카메라를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동작감지 녹화기능을 가지는 카메라의 제어부 구성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되는 동작감지 녹화기능을 가지는 카메라(100)는, 촬영소자(101)에서 촬영한 영상정보는 제어부(102)를 통하여 관리처(103)로 전송되어 관리처(103)의 저장매체(104)에 저장 또는 모니터(105)를 통하여 재생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어부(102)를 개선하여 촬영지역에 움직임이나 이벤트와 같은 이상상황이 발생하였을 때 이를 감지하여 추적하여 줌인 상태로 전환하여 이벤트 상황을 선명한 화질로 촬영 저장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102)는, 촬영소자(101)가 촬영한 영상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부(106)와 수신된 영상정보를 녹화하는 녹화부(107), 녹화된 영상정보를 관리처(103)로 제공하기 위한 송신부(108)가 구비된다.
상기 수신부(106) 또는 녹화부(107)에는 촬영소자(101)가 촬영한 아날로그 타입의 영상정보를 디지털화하기 위한 A/D변환기를 가지도록 하는 것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상기 촬영소자(101)는 동작부(109)를 통하여 일상적인 상황에서는 설치지역의 영상을 지속적으로 촬영할 수 있도록 하고, 촬영지역 내에 사람이나 자동차 또는 기타 물체 등의 움직임이 감지될 경우에는 정밀촬영을 수행하도록 한다.
상기 동작부(109)의 일반촬영과 정밀촬영의 선택은 카메라(100)의 본체 또는 촬영지역에 설치되는 동작센서(110)의 감지와 상기 동작센서(110)의 감지정보를 인가받는 판단부(111)를 통하여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판단부(111)에서는 동작감지에 의하여 정밀촬영을 필요로 할 경우에는 동작감지된 위치를 추적하여 카메라(100)를 해당 방향으로 움직이기 위한 위치추적부(112)와, 추적된 위치에서 촬영소자(101)가 줌인을 통하여 근접촬영과 선명한 화질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줌인부(113)를 포함하도록 한다.
상기 위치추적부(112)는 카메라(100)를 설치하는 설치대에 모터와 같은 구동수단에 의하여 상,하 및 좌,우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기술구성이고, 줌인부(113)의 경우에는 촬영소자(101)의 렌즈를 소프트웨어적으로 움직여 근접 및 광각 촬영 여부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함은 당연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되는 동작감지 녹화기능을 가지는 카메라(100)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촬영지역에 카메라(100)를 설치한 후 전원을 인가하여 두면, 동작센서(110)에 의하여 이상상황이 감지되지 않을 경우에는 일반적인 카메라와 같이 촬영소자(101)를 통하여 촬영지역의 영상이 촬영된 후, 제어부(102)를 구성하는 수신부(106)로 인가되어 녹화부(107)에 녹화된 후 송신부(108)를 통하여 관리처(103)로 제공된다.
상기 관리처(103)로 제공된 영상은 다양한 종류의 저장매체(104)를 통하여 저장된과 동시에 모니트(105) 등을 통하여 촬영된 영상이 실시간으로 재생되어 관찰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촬영 과정에서 동작센서(110)를 통하여 촬영지역 내의 이상상황이 감지되면, 동작센서(110)의 정보를 인가받는 판단부(111)에서 이상상황임을 판단하여 위치추적부(112)와 줌인부(113)로 인가하여 이상상황이 발생한 위치로 카메라(100)를 움직이도록 하면서 이상상황 발생위치를 줌인시켜 근접 및 선명한 촬영을 수행할 수 있도록 동작부(109)로 인가한다.
그러면, 상기 동작부(109)는 카메라(100)를 이상상황 발생위치로 카메라를 움직이고 줌인을 통하여 해당 위치의 사람, 물체 등을 근접하여 선명한 상태로 촬영하여 수신부(106)와 녹화부(107) 및 송신부(108)를 거쳐 관리처(103)로 인가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면, 관리처에서는 이상상황을 판단하여 실시간으로 추적 관리가 가능한 것은 물론, 관리처에 관리자가 없는 상태에서 이상상황이 발생한 경우에는 추후 근접 및 선명한 상태로 촬영되어 저장된 영상을 통하여 용이하게 상황판단과 추적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이상상황 발생시 근접촬영을 통하여 이상상황을 선명하게 저장하여 상황판단과 추적을 통하여 상황 해결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100; 카메라
101; 촬영소자
102; 제어부
103; 관리처
106; 수신부
109; 동작부
110; 동작센서
111; 판단부
112; 위치추적부
113; 줌인부

Claims (2)

  1. 촬영소자(101)에서 촬영한 영상정보는 제어부(102)를 통하여 관리처(103)로 전송되어 관리처(103)의 저장매체(104)에 저장 또는 모니터(105)를 통하여 재생하도록 하고;
    상기 제어부(102)는, 촬영소자(101)가 촬영한 영상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부(106)와, 수신된 영상정보를 녹화하는 녹화부(107), 녹화된 영상정보를 관리처(103)로 제공하기 위한 송신부(108);
    상기 촬영소자(101)를 통하여 설치지역의 영상을 지속적으로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 동작부(109)를 포함하는 카메라(100)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02)는 촬영지역의 움직임이나 이벤트와 같은 이상상황이 발생시 이를 감지, 추적하여 줌인 상태로 전환하여 이벤트 상황을 선명한 화질로 촬영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감지 녹화기능을 가지는 카메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02)의 동작부(109)는 카메라(100)의 본체 또는 촬영지역에 설치되어 촬영지역의 이상상황을 감지하는 동작센서(110)와;
    상기 동작센서(110)의 감지정보를 인가받는 판단부(111)와;
    상기 판단부(111)에 의하여 이상상황 판단시 카메라(100)를 동작이 감지된 방향으로 움직여 촬영소자(101)와 동작감지위치를 일치시키는 위치추적부(112)와;
    추적된 위치에서 촬영소자(101)가 줌인을 통하여 근접촬영과 선명한 화질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줌인부(113)에 의하여 근접 및 선명한 정밀촬영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감지 녹화기능을 가지는 카메라.
KR1020100122250A 2010-12-02 2010-12-02 동작감지 녹화기능을 가지는 카메라 KR1012047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2250A KR101204780B1 (ko) 2010-12-02 2010-12-02 동작감지 녹화기능을 가지는 카메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2250A KR101204780B1 (ko) 2010-12-02 2010-12-02 동작감지 녹화기능을 가지는 카메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0646A true KR20120060646A (ko) 2012-06-12
KR101204780B1 KR101204780B1 (ko) 2012-11-26

Family

ID=46611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2250A KR101204780B1 (ko) 2010-12-02 2010-12-02 동작감지 녹화기능을 가지는 카메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478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4878B1 (ko) * 2014-06-30 2014-09-02 주식회사 하나씨엔에스 감시카메라 시스템
KR20160083500A (ko) * 2014-12-31 2016-07-12 주식회사 삼정솔루션 모니터 보안시스템
KR20160084189A (ko) * 2015-01-05 2016-07-13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영상녹화 설정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5979B1 (ko) 2006-01-24 2007-02-26 (주) 하나계전 센서와 카메라를 이용한 보안 감시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4878B1 (ko) * 2014-06-30 2014-09-02 주식회사 하나씨엔에스 감시카메라 시스템
KR20160083500A (ko) * 2014-12-31 2016-07-12 주식회사 삼정솔루션 모니터 보안시스템
KR20160084189A (ko) * 2015-01-05 2016-07-13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영상녹화 설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4780B1 (ko) 2012-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76284B2 (en) Monitoring system, monitoring apparatus and monitoring method
KR100883632B1 (ko) 고해상도 카메라를 이용한 지능형 영상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
JP4140591B2 (ja) 撮像システム及び撮像方法
JP2005175853A (ja) 撮像装置及び撮像システム
JP2003284053A (ja) 監視カメラシステムおよび監視カメラ制御装置
KR101275297B1 (ko) 이동객체 추적 카메라 장치
KR101204780B1 (ko) 동작감지 녹화기능을 가지는 카메라
JP2011109630A (ja) カメラ装置用雲台
JP4325541B2 (ja) 画像処理装置、再生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再生画像処理装置
KR20110026753A (ko) 영상 감시 시스템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0396567Y1 (ko) 광역감시와 지역감시 자동전환 촬영 기능을 갖는감시카메라
KR101666812B1 (ko) 가상라인을 이용하여 방향별 발생 이벤트를 감지할 수 있는 cctv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JP4054859B2 (ja) 動体監視装置
JP4468419B2 (ja) 撮影装置及び撮像装置の制御方法
JP4472659B2 (ja) 監視装置
JP4540490B2 (ja) 駐車場監視装置
KR200199344Y1 (ko) 지능형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시스템
JP2005236724A (ja) 撮像装置および動き検出方法
KR19990049951A (ko) 자동차의 다기능 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11800605A (zh) 基于枪球联动的车形、车牌传输的方法及系统、设备
KR20060100966A (ko) 광역감시와 지역감시 자동전환 촬영 기능을 갖는감시카메라
KR101255143B1 (ko) 영역 감시기능을 구비한 차량 탑재형 카메라 시스템 및 그 감시방법
JP2003259339A (ja) 画像監視方法及び装置
CN101771822A (zh) 监视用的图像检索装置及其监视方法
KR101519405B1 (ko)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와 오디오 센서를 이용한 카메라 촬영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