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3220A - 수동 변속기용 컨트롤 인터락 플레이트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수동 변속기용 컨트롤 인터락 플레이트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3220A
KR20160083220A KR1020140193274A KR20140193274A KR20160083220A KR 20160083220 A KR20160083220 A KR 20160083220A KR 1020140193274 A KR1020140193274 A KR 1020140193274A KR 20140193274 A KR20140193274 A KR 20140193274A KR 20160083220 A KR20160083220 A KR 201600832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lock plate
lever
bushing
manual transmission
si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32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56960B1 (ko
Inventor
한정만
Original Assignee
현대다이모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다이모스(주) filed Critical 현대다이모스(주)
Priority to KR10201401932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6960B1/ko
Publication of KR201600832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32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69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69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02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4Locking or disabling mechanisms
    • F16H63/36Interlock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ar-Shifting Mechanisms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Change-Speed Gea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동 변속기용 컨트롤 인터락 플레이트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수동 변속기용 레버; 상기 레버의 양측에 양단부가 결합되는 인터락 플레이트; 및 상기 인터락 플레이트의 양단부를 통하여 상기 레버의 양측에 결합되는 부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변속기용 컨트롤 인터락 플레이트 어셈블리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수동 변속기용 컨트롤 인터락 플레이트 어셈블리{CONTROL INTERLOCK PLATE ASSEMBLY OF MANUAL TRANSMISSION}
본 발명은 수동 변속기용 컨트롤 인터락 플레이트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성 변형에 따른 제품의 변형이나 파손 등 불량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고 조립 체결이 편리하고 신속하며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수동 변속기용 컨트롤 인터락 플레이트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동 변속기용 컨트롤 인터락 플레이트는 침탄 열처리되어 제공된다.
이러한 인터락 플레이트(2)는 도 2와 같이 ①방향으로 손으로 벌려서 ② 방향으로 레버(1) 본체에 체결하므로, 수동 작업에 따른 작업 시간이 늘어나며 작업자 개개인의 피로도가 누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이러한 인터락 플레이트(2)는 작업자가 손으로 벌리는 정도에 따라 소성 변형을 일으킬 우려가 있으므로, 크랙이 생기거나 절손이 발생하게 되어 불량품 발생으로 이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전술한 소성 변형이 미세하게나마 일어난 제품이 차량에 적용될 경우, 해당 소성 변형이 일어난 부위 주변으로 미세한 크랙이나 절손이 커지게 되어 결국에는 차량 운행이 불가능하게 되는 치명적인 문제에 직면하게 되는 것이다.
등록특허 제10-0916201호 공개특허 제10-2009-0081485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소성 변형에 따른 제품의 변형이나 파손 등 불량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고 조립 체결이 편리하고 신속하며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수동 변속기용 컨트롤 인터락 플레이트 어셈블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수동 변속기용 레버; 상기 레버의 양측에 양단부가 결합되는 인터락 플레이트; 및 상기 인터락 플레이트의 양단부를 통하여 상기 레버의 양측에 결합되는 부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변속기용 컨트롤 인터락 플레이트 어셈블리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인터락 플레이트의 양단부는 소성 변형을 일으키지 않고 상기 레버의 양측에 상기 부싱을 통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인터락 플레이트는, 중간편과, 상기 중간편의 양단부로부터 각각 연장되고, 상기 부싱이 각각 결합되며, 상기 중간편과 직교를 이루는 한 쌍의 연결편을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연결편 각각의 상호 마주보는 대향면의 거리는 상기 레버의 양측중 일측으로부터 타측까지의 거리보다 길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인터락 플레이트는, 상기 한 쌍의 연결편에는 각각 상기 부싱이 체결되도록 관통된 통공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통공의 직경은 상기 부싱의 외경보다 크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레버의 양측에는 상기 부싱이 안착되는 단차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인터락 플레이트를 레버에 결합함에 있어서, 부싱을 통하여 고정되게 함으로써, 작업자가 일일이 인터락 플레이트를 벌려서 조립함에 따른 번거로움이나 작업자의 피로 누적을 고민할 필요가 없음은 물론, 인터락 플레이트의 네크 부분에 소성 변형에 따른 제품의 변형이나 파손 등 불량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고 조립 체결이 편리하고 신속하며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동 변속기용 컨트롤 인터락 플레이트 어셈블리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일부 분해 개념도
도 2는 종래의 수동 변속기용 컨트롤 인터락 플레이트 어셈블리의 체결 상태를 나타낸 분해 개념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하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하며,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동 변속기용 컨트롤 인터락 플레이트 어셈블리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일부 분해 개념도이다.
본 발명은 도시된 바와 같이 수동 변속기용 레버(10)와, 레버(10)의 양측에 양단부가 결합되는 인터락 플레이트(20)와, 인터락 플레이트(20)의 양단부를 통하여 레버(10)의 양측에 결합되는 부싱(30)을 포함하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여기서, 인터락 플레이트(20)의 양단부는 소성 변형을 일으키지 않고 레버(10)의 양측에 부싱(30)을 통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인터락 플레이트(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편(23)과, 중간편(23)의 양단부로부터 각각 연장되고, 부싱(30)이 각각 결합되며, 중간편(23)과 직교를 이루는 한 쌍의 연결편(21, 21)을 포함하는 구조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한 쌍의 연결편(21, 21) 각각의 상호 마주보는 대향면의 거리는 레버(10)의 양측중 일측으로부터 타측까지의 거리보다 길거나 같게 형성됨으로써, 종래기술과 같이 한 쌍의 연결편(21, 21)을 손으로 벌려 체결함에 따른 작업자의 피로도 누적이나, 연결편(21, 21)과 중간편(23)과의 연결 부위 부근의 크랙이나 절손을 걱정할 필요가 없다.
그리고, 인터락 플레이트(20)는, 한 쌍의 연결편(21, 21)에는 각각 부싱(30)이 체결되도록 관통된 통공(22)을 더 구비하며, 이러한 한 쌍의 통공(22)의 직경은 부싱(30)의 외경보다 크거나 같게 되도록 함으로써, 체결의 편의를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레버(10)의 양측에는 부싱(30)이 안착되는 단차부(이하 미도시)가 더 형성되도록 하여 부싱(30)이 정확한 위치에 체결 안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인터락 플레이트(20)를 레버(10)에 결합함에 있어서, 부싱(30)을 통하여 고정되게 함으로써, 작업자가 일일이 인터락 플레이트(20), 즉 연결편(21, 21)을 벌려서 조립함에 따른 번거로움이나 작업자의 피로 누적을 고민할 필요가 없음은 물론, 인터락 플레이트(20)의 연결편(21, 21)과 본체편(23)이 연결되는 네크 부분에 소성 변형에 따른 제품의 변형이나 파손 등 불량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고 조립 체결이 편리하고 신속하며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소성 변형에 따른 제품의 변형이나 파손 등 불량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고 조립 체결이 편리하고 신속하며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수동 변속기용 컨트롤 인터락 플레이트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해 업계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 및 응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10...레버
20...인터락 플레이트
21, 21...연결편
22...통공
23...중간편
30...부싱

Claims (6)

  1. 수동 변속기용 레버;
    상기 레버의 양측에 양단부가 결합되는 인터락 플레이트; 및
    상기 인터락 플레이트의 양단부를 통하여 상기 레버의 양측에 결합되는 부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변속기용 컨트롤 인터락 플레이트 어셈블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터락 플레이트의 양단부는 소성 변형을 일으키지 않고 상기 레버의 양측에 상기 부싱을 통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변속기용 컨트롤 인터락 플레이트 어셈블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터락 플레이트는,
    중간편과,
    상기 중간편의 양단부로부터 각각 연장되고, 상기 부싱이 각각 결합되며, 상기 중간편과 직교를 이루는 한 쌍의 연결편을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연결편 각각의 상호 마주보는 대향면의 거리는 상기 레버의 양측중 일측으로부터 타측까지의 거리보다 길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변속기용 컨트롤 인터락 플레이트 어셈블리.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인터락 플레이트는,
    상기 한 쌍의 연결편에는 각각 상기 부싱이 체결되도록 관통된 통공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변속기용 컨트롤 인터락 플레이트 어셈블리.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통공의 직경은 상기 부싱의 외경보다 크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변속기용 컨트롤 인터락 플레이트 어셈블리.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레버의 양측에는 상기 부싱이 안착되는 단차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변속기용 컨트롤 인터락 플레이트 어셈블리.
KR1020140193274A 2014-12-30 2014-12-30 수동 변속기용 컨트롤 인터락 플레이트 어셈블리 KR1016569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3274A KR101656960B1 (ko) 2014-12-30 2014-12-30 수동 변속기용 컨트롤 인터락 플레이트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3274A KR101656960B1 (ko) 2014-12-30 2014-12-30 수동 변속기용 컨트롤 인터락 플레이트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3220A true KR20160083220A (ko) 2016-07-12
KR101656960B1 KR101656960B1 (ko) 2016-09-13

Family

ID=56504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3274A KR101656960B1 (ko) 2014-12-30 2014-12-30 수동 변속기용 컨트롤 인터락 플레이트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696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39858A (en) * 1981-02-20 1985-09-10 Nissan Motor Company, Ltd. Shift control mechanism of an automotive manual transmission
JPS6237567A (ja) * 1985-08-09 1987-02-18 Honda Motor Co Ltd 車両用変速機のチエンジ装置
JPH0121230Y2 (ko) * 1984-12-06 1989-06-26
KR20090081485A (ko) 2008-01-24 2009-07-2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듀얼 클러치 변속기용 변속 액츄에이터의 인터락 장치
KR100916201B1 (ko) 2007-11-30 2009-09-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수동변속기용 인터락바디 제어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39858A (en) * 1981-02-20 1985-09-10 Nissan Motor Company, Ltd. Shift control mechanism of an automotive manual transmission
JPH0121230Y2 (ko) * 1984-12-06 1989-06-26
JPS6237567A (ja) * 1985-08-09 1987-02-18 Honda Motor Co Ltd 車両用変速機のチエンジ装置
KR100916201B1 (ko) 2007-11-30 2009-09-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수동변속기용 인터락바디 제어장치
KR20090081485A (ko) 2008-01-24 2009-07-2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듀얼 클러치 변속기용 변속 액츄에이터의 인터락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6960B1 (ko) 2016-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184235A1 (en) Hoop as well as manufacturing method and use method of hoop
DE102013216052A1 (de) Kolben-Zylinder-Anordnung, insbesondere ein Nehmerzylinder für eine hydraulische Kupplungsbetätigungseinrichtung
CN102536994A (zh) 具有外螺纹的紧固构件和螺纹紧固组件
US9573294B2 (en) Chain for a work implement, method for producing a stud for a chain and method for producing a driving member for a chain
CN107866591B (zh) 用于电动工具的心轴组件及具有其的电动工具
KR101656960B1 (ko) 수동 변속기용 컨트롤 인터락 플레이트 어셈블리
JP6329772B2 (ja) 下段部材の固定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流体制御装置
EP1870310A3 (en) Clamp yoke and a method of forming a clamp yoke
CN104612597A (zh) 一种芯节杆及具有其的旋挖钻机钻杆
US20210396292A1 (en) Disc spring, disc spring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isc spring
BR112017018273A2 (pt) trem de acionamento para um veículo de trabalho agrícola, e, método para o controle de um trem de acionamento.
US20160256916A1 (en) Swaging tool
US20220074446A1 (en) Aircraft component coupling assembly and coupler for aircraft components
KR101979737B1 (ko) 스플라인 샤프트 및 스플라인 성형방법
KR20190016243A (ko) 볼트
CN105135103A (zh) 管路连接结构及其制造方法、混凝土输送系统和混凝土泵车
JP5990210B2 (ja) ケースユニット、及びその組み立て方法
JP2015537177A (ja) リンクプレートチェーン
DE102009023672A1 (de) Hydraulische Spannvorrichtung für fixierte Schneidewerkzeuge
US10480553B2 (en) Shaft assembly
KR102667817B1 (ko) 요크 세레이션용 가공지그와 이것이 구비된 요크 세레이션용 가공장치
KR20090041968A (ko) 도어 아웃사이드 벨트 몰딩의 엔드피스 어셈블리
KR20230170222A (ko) 요크 세레이션용 가공지그와 이것이 구비된 요크 세레이션용 가공장치
CN205136209U (zh) 液压缸活塞杆用可更换螺纹接头
WO2022091362A1 (ja) ねじ穴加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