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2385A - 영상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영상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2385A
KR20160082385A KR1020140190581A KR20140190581A KR20160082385A KR 20160082385 A KR20160082385 A KR 20160082385A KR 1020140190581 A KR1020140190581 A KR 1020140190581A KR 20140190581 A KR20140190581 A KR 20140190581A KR 20160082385 A KR20160082385 A KR 201600823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disposed
acoustic
display panel
acoustic elem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05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69124B1 (ko
Inventor
원병희
안이준
김일남
박원상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905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9124B1/ko
Priority to US14/702,113 priority patent/US9609764B2/en
Publication of KR201600823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23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91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91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9/00Electrostatic transducers
    • H04R19/02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60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the sound signa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88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integrated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60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the sound signals
    • H04N5/602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the sound signals for digital sound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9/00Electrostatic transducers
    • H04R19/04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9/00Monitoring arrangements; Test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42Disposition of sound repro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60/00Details of hearing devices, i.e. of ear- or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or H04R5/033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their subgroups, or of hearing aids covered by H04R25/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460/07Use of position data from wide-area or local-area positioning systems in hearing devices, e.g. program or information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5Transducers incorporated in visual displaying devices, e.g. televisions, computer displays, lapto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영상 표시 장치는 표시 영역을 통해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영역 주변의 비표시 영역에 배치된 복수의 음향 소자들, 상기 표시 패널 및 상기 음향 소자들을 수용하는 보호 부재, 및 상기 음향 소자들에 대응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비표시 영역의 보호 부재를 평면상에 수직한 양방향으로 오픈하여 형성된 복수의 오픈부들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영상 표시 장치{IMAGE 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영상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영상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에게 영상을 제공하는 스마트 폰, 디지털 카메라, 노트북 컴퓨터, 네비게이션, 및 스마트 텔레비젼 등의 전자기기는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영상 표시 장치를 포함한다. 영상 표시 장치는 영상을 생성하여 표시하는 표시 패널 및 표시 패널 상부에 배치되어 표시 패널을 보호하는 윈도우 층을 포함한다.
표시 패널로서 액정 표시 패널(liquid crystal display panel), 유기 발광 표시 패널(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전기 습윤 표시 패널(electro Wetting display panel), 및 전기 영동 표시 패널(Electrophoretic Display panel) 등 다양한 표시 패널이 개발되고 있다. 표시 패널에서 생성된 영상은 윈도우 층을 투과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영상 표시 장치의 음악이나 통화시 상대방의 음성은 스피커를 통해 출력된다. 이러한 스피커는 어느 일 방향으로 출력된다. 또한, 일반적으로 영상 표시 장치의 상부에 스피커가 배치되고, 하부에 마이크가 배치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영상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는 표시 영역을 통해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영역 주변의 비표시 영역에 배치된 복수의 음향 소자들, 상기 표시 패널 및 상기 음향 소자들을 수용하는 보호 부재, 및 상기 음향 소자들에 대응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비표시 영역의 보호 부재를 평면상에 수직한 양방향으로 오픈하여 형성된 복수의 오픈부들을 포함한다.
상기 음향 소자들은 상기 비표시 영역 중 상기 표시 영역의 서로 마주보는 양측면에 인접한 제1 비표시 영역 및 제2 비표시 영역에서 상기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된다.
상기 보호 부재는, 바닥부 및 상기 바닥부의 경계에서 상부 방향으로 연장된 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 패널 및 상기 음향 소자들을 수용하는 제1 보호 부재 및 상기 제1 보호 부재 상에 배치되어 상기 표시 패널 및 상기 음향 소자들을 커버하는 제2 보호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된 봉지층 및 상기 봉지층 상에 배치된 편광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봉지층 및 상기 편광층은 상기 제1 및 제2 보호 부재들에 수용되고, 상기 음향 소자들은 상기 봉지층과 상기 측면부 사이 및 상기 편광층과 상기 측면부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각 오픈부는, 상기 측면부에 인접한 바닥부의 소정의 영역에 배치된 제1 오픈부 및 상기 측면부에 인접한 제2 보호 부재의 소정의 영역에 배치된 제2 오픈부를 포함한다.
상기 음향 소자들은 상기 평면상에서 상기 오픈부들보다 큰 면적을 갖고, 상기 음향 소자들 각각의 소정의 영역은 상기 오픈부들 중 대응하는 오픈부과 오버랩된다.
상기 각 음향 소자는, 상기 제1 및 제2 비표시 영역들에서 상기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된 제1 전극, 상기 제1 전극과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제2 전극,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에 배치되고 가요성을 갖는 진동체, 및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진동체 사이 및 상기 제2 전극과 상기 진동체 사이에 배치된 스페이서들을 포함한다.
상기 진동체는, 가요성을 갖는 필름 및 상기 필름의 양면에 배치된 도전막을 포함하고, 상기 스페이서들은 절연 물질을 포함하고, 가요성을 갖는다.
상기 제1 및 제2 전극들과 상기 진동체는 상기 평면상에서 상기 오픈부들 중 대응하는 오픈부보다 큰 면적을 갖고, 상기 측면부에 인접한 상기 제1 및 제2 전극들과 상기 진동체의 소정의 영역은 상기 대응하는 오픈부에 오버랩된다.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측면부에 인접하고 상기 오픈부들과 오버랩되는 표시 패널의 소정의 영역에서 상기 표시 패널을 상기 수직한 방향으로 관통하는 복수의 홀들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전극은 상기 오픈부들 중 대응하는 오픈부와 오버랩되는 제1 전극의 소정의 영역에서 상기 제1 전극을 상기 수직한 방향으로 관통하는 복수의 제1 홀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전극은 상기 대응하는 오픈부와 오버랩되는 제2 전극의 소정의 영역에서 상기 제2 전극을 상기 수직한 방향으로 관통하는 복수의 제2 홀들을 포함한다.
상기 오픈부들에서 상기 홀들, 상기 제1 홀들, 및 상기 제2 홀들은 서로 오버랩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음향 소자들의 위치를 판별하는 중력 센서, 연산 증폭기, 출력단을 통해 음향 신호에 대응하는 전압들을 출력하는 음향 신호 전송부, 상기 중력 센서에서 판별된 상기 음향 소자들의 위치에 따라서 발생된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음향 신호 전송부의 상기 출력단 및 상기 연산 증폭기의 입력단을 상기 제1 전극에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제1 선택부, 및 상기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음향 신호 전송부의 상기 출력단 및 접지 단자를 상기 제2 전극에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제2 선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진동체에는 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되고,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에는 서로 다른 극성의 전압이 인가된다.
상기 음향 소자들 중 지표면에 보다 더 가까운 음향 소자들은 마이크로 구동되고, 지표면에 보다 먼 음향 소자들은 스피커로 구동되고, 상기 음향 소자들이 상기 스피커로 구동될 경우, 상기 제1 및 제2 선택부들은 상기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음향 신호 전송부로부터 제공받은 전압들을 상기 제1 및 제2 전극들에 제공하고, 상기 음향 소자들이 상기 마이크로 구동될 경우, 상기 제1 및 제2 선택부들은 상기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전극을 상기 연산 증폭기의 입력단에 연결하고, 상기 제2 전극을 상기 접지 단자에 연결한다.
본 발명의 영상 표시 장치는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I-I'선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음향 소자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의 블록도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의 단면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의 단면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의 단면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의 단면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의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또는 층의 바로 위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소자가 "직접 위(directly on)" 또는 "바로 위"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소자 또는 층을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 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비록 제 1, 제 2 등이 다양한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을 다른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과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 1 소자, 제 1 구성요소 또는 제 1 섹션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 2 소자, 제 2 구성요소 또는 제 2 섹션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개략도인 평면도 및 단면도를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개략적인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고,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영상 표시 장치(100)는 제1 방향(DR1)으로 단변 및 제1 방향(DR1)과 교차하는 제2 방향(DR2)으로 장변을 가질 수 있다.
영상 표시 장치(100)의 평면상의 영역은 표시 영역(DA) 및 표시 영역(DA) 주변의 비표시 영역(NDA)을 포함한다. 표시 영역(DA)은 사용자에게 제공되기 위한 영상을 표시하는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비표시 영역(NDA)은 영상을 표시하지 않는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비표시 영역(NDA)은 제2 방향(DR2)에서 표시 영역(DA)의 상측에 인접한 제1 비표시 영역(NDA1) 및 표시 영역(DA)의 하측에 인접한 제2 비표시 영역(NDA2)을 포함한다.
영상 표시 장치(100)는 복수의 음향 소자들(AD) 및 음향 소자들(AD)에 1:1 대응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오픈부들(OP)을 포함한다. 음향 소자들(AD)은 표시 영역(DA)의 서로 마주보는 양측면에 인접한 비표시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향 소자들(AD)은 제2 방향(DR2)에서 표시 영역(DA)의 양측에 인접한 제1 및 제2 비표시 영역들(NDA1,NDA2)에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음향 소자들(AD)은 제1 및 제2 비표시 영역들(NDA1,NDA2) 뿐만 아니라, 표시 영역(DA)의 좌측 및 우측에 인접한 비표시 영역(NDA)에도 배치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 예로서, 제1 비표시 영역(NDA1) 및 제2 비표시 영역(NDA2)에 각각 두 개의 음향 소자들(AD)이 배치되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비표시 영역(NDA1) 및 제2 비표시 영역(NDA2)에 각각 하나 또는 두 개보다 많은 음향 소자들(AD)이 배치될 수 있다.
음향 소자들(AD)은 통화시 상대방의 음성 또는 음악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스피커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음향 소자들(AD)은 통화시 사용자의 음성을 전달하기 위한 마이크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표시 장치(100)는 중력 센서(미 도시됨)를 포함한다. 중력 센서는 중력이 어느 방향으로 작용하는지 탐지한다. 따라서, 중력 센서에 의해 지표면에 보다 가까운 음향소자들(AD)과 지표면에 보다 먼 음향 소자들(AD)이 구분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휴대 전화의 상부에 배치된 휴대 전화의 스피커를 통해 상대방의 음성을 듣고, 휴대 전화의 하부에 배치된 휴대 전화의 마이크를 통해 사용자의 목소리를 상대방에게 제공한다. 따라서, 지표면에 보다 가까운 음향 소자들(AD)은 마이크로 사용되고, 지표면에 보다 먼 음향 소자들(AD)은 스피커로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제2 비표시 영역(NDA2)에 배치된 음향 소자들(AD)이 제1 비표시 영역(NDA1)에 배치된 음향 소자들(AD)보다 지표면에 더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비표시 영역(NDA1)에 배치된 음향 소자들(AD)은 스피커로 사용되고, 제2 비표시 영역(NDA2)에 배치된 음향 소자들(AD)은 마이크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통화시 스피커로 사용되는 제1 비표시 영역(NDA1)에 배치된 음향 소자들(AD)을 통해 상대방의 음성을 듣고, 마이크로 사용되는 제2 비표시 영역(NDA2)에 배치된 음향 소자들(AD)을 통해 사용자의 음성이 상대방에게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스피커로 사용되는 제1 비표시 영역(NDA1)에 배치된 음향 소자들(AD)을 통해 음악을 들을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영상 표시 장치(100)의 상하가 뒤집힐 경우, 제1 비표시 영역(NDA1)에 배치된 음향 소자들(AD)이 제2 비표시 영역(NDA2)에 배치된 음향 소자들(AD)보다 지표면에 더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2 비표시 영역(NDA2)에 배치된 음향 소자들(AD)은 스피커로 사용되고, 제1 비표시 영역(NDA1)에 배치된 음향 소자들(AD)은 마이크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에 따라서, 제2 방향(DR2)에서 영상 표시 장치(100)의 상하 위치를 바꾸어도 정상적인 통화가 가능하다.
이하, 도 1에 도시된 영상 표시 장치(100)의 평면은 전면으로 정의되고, 영상 표시 장치(100)의 전면의 반대면은 후면으로 정의된다. 오픈부들(OP)은 영상 표시 장치(100)의 전면에 배치된다. 도 1에는 영상 표시 장치(100)의 전면만이 도시되었으나, 실질적으로, 오픈부들(OP)은 영상 표시 장치(100)의 후면에도 배치된다.
음향 소자들(AD)의 음향이나 사용자의 음성은 제1 및 제2 방향들(DR1,DR2)과 교차하는 제3 방향(DR3)에서 오픈부(OP)를 통해 양방향으로 입출력될 수 있다. 제3 방향(DR3)은 실질적으로 제1 및 제2 방향들(DR1,DR2)에 의해 형성되는 평면상에 수직한 방향으로서, 상부 및 하부 방향을 포함하는 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다.
따라서, 영상 표시 장치(100)는 전면과 후면을 통해 통화를 하거나 음악을 들을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이하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I-I'선의 단면도이다.
도 2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어느 하나의 음향 소자(AD) 및 오픈부들(OP) 중 도 2에 도시된 음향 소자(AD)에 대응하는 오픈부(OP)의 단면이 도시되었다. 그러나, 실질적으로 다른 오픈부들(OP) 및 음향 소자들(AD)도 도 2에 도시된 음향 소자(AD) 및 오픈부(OP)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이하, 도 2에 도시된 음향 소자(AD) 및 오픈부(OP)가 설명될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영상 표시 장치(100)는 표시 패널(110), 봉지층(120), 편광층(130), 보호 부재(140,150), 및 음향 소자(AD)를 포함한다. 표시 패널(110), 봉지층(120), 편광층(130), 및 음향 소자(AD)는 보호 부재(140,150)에 수용된다.
표시 영역(DA)의 표시 패널(110)은 영상을 생성하는 화소들(미 도시됨)을 포함한다. 비표시 영역(NDA)의 표시 패널(110)은 화소들 및 음향 소자들(AD)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미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 예로서 표시 패널(110)은 화소들로서 유기 발광 소자들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패널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표시 패널(110)로서 액정 표시 패널(liquid crystal display panel), 전기 습윤 표시 패널(electro Wetting display panel), 및 전기 영동 표시 패널(Electrophoretic Display panel) 등 다양한 표시 패널이 사용될 수 있다.
봉지층(120)은 표시 패널(110) 상에 배치되어 표시 패널(110)의 화소들을 밀봉한다. 봉지층(120) 상에 편광층(130)이 배치된다. 편광층(130)은 표시 패널(110)로부터 발광되는 빛의 직진성을 향상시켜 산란 또는 간섭을 방지하고 색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편광층(130)은 외부의 빛을 선별하여 투과시키는 기능을 할 수 있으며, 외부 광의 반사를 방지함으로써 영상 표시 장치(100)의 화상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1 비표시 영역(NDA1)에서 표시 패널(110) 상에 음향 소자(AD)가 배치된다. 또한, 도 2에 단면으로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2 비표시 영역(NDA2)에서 표시 패널(110) 상에도 음향 소자들(AD)이 배치된다.
음향 소자(AD)는 제1 전극(E1), 제2 전극(E2), 진동체(10), 스페이서들(20)을 포함한다. 도전성을 갖는 제1 전극(E1)과 제2 전극(E2)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제1 전극(E1)은 제1 비표시 영역(NDA1)에서 표시 패널(11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진동체(10)는 제1 전극(E1)과 제2 전극(E2) 사이에 배치된다. 진동체(10)는 가요성을 갖는다. 진동체(10)는 다이어프램(diaphragm)일 수 있다. 진동체(10)는 가요성을 갖는 필름 및 필름의 양면에 배치된 도전막을 포함한다.
필름은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또는 PP(polypropylene, 폴리프로필렌) 등을 포함하고 가요성을 갖는다. 도전막은 필름의 양면에 도전성을 갖는 금속을 증착 또는 도전성 도료를 도포하여 형성된다.
스페이서들(20)은 진동체(10)와 제1 전극(E1) 사이 및 진동체(10)와 제2 전극(E2) 사이에 배치된다. 스페이서들(20)은 절연 물질을 포함한다. 스페이서들(20)은 가요성을 가질 수 있다. 도 2에 단면으로 도시되었으나, 실질적으로 스페이서들(20)은 평면상에서 직사각형의 프레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보호 부재는 표시 패널(110), 봉지층(120), 편광층(130), 및 음향 소자(AD)을 수용하는 제1 보호 부재(140) 및 제1 보호 부재(140)의 상부에 배치되어 표시 패널(110), 봉지층(120), 편광층(130), 및 음향 소자(AD)를 커버하는 제2 보호 부재(150)를 포함한다.
제1 보호 부재(140)는 영상 표시 장치(100)의 후면인 바닥부(141) 및 바닥부(141)의 경계에서 제3 방향(DR3)으로 연장되어 보호 부재(140,150)의 외측 경계를 형성하는 측면부(142)를 포함한다. 즉, 측면부(142)는 실질적으로 제1 및 제2 방향들(DR1,DR2)에서 영상 표시 장치(100)의 경계를 형성한다.
표시 패널(110)이 바닥부(141)에 배치되고, 표시 패널(110) 상에 봉지층(120) 및 편광층(130)이 배치된다. 음향 소자(AD)는 봉지층(120)과 측면부(141) 사이 및 편광층(130)과 측면부(141) 사이에 배치된다. 제1 보호 부재(140)는 케이스 부재로 칭하기도 한다.
제2 보호 부재(150)는 영상 표시 장치(100)의 전면을 형성한다. 제2 보호 부재(150)는 윈도우 부재로 칭하기도 한다. 표시 패널(110)에서 생성된 영상은 표시 영역(DA)의 제2 보호 부재(150)를 투과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오픈부(OP)는 제2 방향(DR2)에서 측면부(142)에 인접한 바닥부(141)의 소정의 영역에 배치된 제1 오픈부(OP1) 및 측면부(142)에 인접한 제2 보호 부재(150)의 소정의 영역에 배치된 제2 오픈부(OP2)를 포함한다.
즉, 제1 오픈부들(OP1)은 영상 표시 장치(100)의 후면의 제1 및 제2 비표시 영역들(NDA1,NDA2)에 배치된다. 제2 오픈부들(OP2)은 영상 표시 장치(100)의 전면의 제1 및 제2 비표시 영역들(NDA1,NDA2)에 배치된다.
제1 및 제2 오픈부들(OP1,OP2)은 측면부(142)에 인접한 바닥부(141)의 소정의 영역 및 측면부(142)에 인접한 제2 보호 부재(150)의 소정의 영역을 제거하여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 오픈부들(OP1,OP2)은 평면상에 수직한 제3 방향(DR3)으로 오픈 된다.
측면부(142)에 인접한 표시 패널(110)의 소정의 영역은 제1 및 제2 오픈부들(OP1,OP2)과 오버랩되도록 배치된다. 표시 패널(110)은 제1 및 제2 오픈부들(OP1,OP2)과 오버랩되는 표시 패널(110)의 영역에서 표시 패널(110)을 제3 방향(DR3)으로 관통하는 복수의 홀들(H)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 방향들(DR1,DR2)로 형성된 평면상에서 음향 소자(AD)는 제1 및 제2 오픈부들(OP1,OP2)보다 큰 면적을 갖는다. 제2 방향(DR2)에서 음향 소자(AD)의 소정의 영역은 제1 및 제2 오픈부들(OP1,OP2)과 오버랩되도록 배치되어 제1 및 제2 오픈부들(OP1,OP2)에 의해 노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방향(DR2)에서 측면부(142)에 인접한 음향 소자(AD)의 소정의 영역이 제1 및 제2 오픈부들(OP1,OP2)과 오버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음향 소자(AD)의 진동체(10) 및 제1 및 제2 전극들(E1,E2)은 제1 및 제2 방향들(DR1,DR2)로 형성된 평면상에서 제1 및 제2 오픈부들(OP1,OP2)보다 큰 면적을 갖는다. 제2 방향(DR2)에서 측면부(142)에 인접한 진동체(10) 및 제1 및 제2 전극들(E1,E2)의 소정의 영역은 제1 및 제2 오픈부들(OP1,OP2)과 오버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전극(E1)은 제1 및 제2 오픈부들(OP1,OP2)과 오버랩되는 제1 전극(E1)의 소정의 영역에서 제1 전극(E1)을 제3 방향(DR3)으로 관통하는 복수의 제1 홀들(H1)을 포함한다. 제1 홀들(H1)은 표시 패널(110)의 홀들(H)과 오버랩되도록 배치된다.
제2 전극(E2)은 제1 및 제2 오픈부들(OP1,OP2)과 오버랩되는 제2 전극(E2)의 소정의 영역에서 제2 전극(E2)을 제3 방향(DR3)으로 관통하는 복수의 제2 홀들(H2)을 포함한다. 제2 홀들(H2)은 제1 홀들(H1)과 오버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음향 소자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의 블록도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3에는 하나의 음향 소자(AD)가 도시되었다. 도시하지 않은 음향 소자들(AD)도 도 3에 도시된 음향 소자(AD)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동작된다.
도 3을 참조하면, 구동부(160)는 음향 신호 전송부(161), 제1 선택부(162), 제2 선택부(163), 및 연산 증폭기(164)를 포함한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구동부(160)는 비표시 영역(NDA)의 표시 패널(110)에 배치될 수 있다.
음향 신호 전송부(161)는 음향 신호(AS)를 제공받고, 음향 신호에 대응하는 전압들을 출력단을 통해 제1 선택부(162) 및 제2 선택부(163)로 출력한다. 음향 신호 전송부(161)에 제공되는 음향 신호(AS)는 음악 및 통화 시의 상대방의 목소리 일 수 있다.
제1 선택부(162)는 음향 소자들(AD)의 위치에 따라서 발생된 제어 신호(CS)에 응답하여 음향 신호 전송부(161)의 출력단 및 비교적 높은 입력 임피던스를 갖는 연산 증폭기(164)의 입력단을 제1 전극(E1)에 선택적으로 연결한다.
제어 신호(CS)는 중력 센서의 감지 신호에 따라서 제어부(미 도시됨)에서 생성된다. 예를 들어, 제어부는 중력 센서의 감지 신호에 따라서 음향 소자(AD)의 위치를 판별하고, 판별된 위치에 따라서 음향 소자(AD)를 스피커 또는 마이크로 구동하기 위한 제어 신호(CS)를 출력할 수 있다.
제2 선택부(163)는 제어 신호(CS)에 응답하여 음향 신호 전송부(161)의 출력단 및 접지 단자를 제2 전극(E2)에 선택적으로 연결한다. 제1 전극(E1)에 제공되는 전압 및 제2 전극(E2)에 제공되는 전압은 서로 반대 극성을 가질 수 있다.
음향 소자(AD)가 스피커로 구동될 경우, 제1 및 제2 선택부들(162,163)은 제어 신호(CS)에 응답하여 음향 신호 전송부(161)로부터 제공받은 전압들을 제1 및 제2 전극들(E1,E2)에 제공한다.
진동체(10)에는 바이어스 전압(Vbias)이 인가된다. 제1 전극(E1)에 인가된 전압과 제2 전극(E2)에 인가된 전압에 의해 제1 전극(E1)과 제2 전극(E2) 사이에 전위차가 발생된다. 이러한 전위차에 의해, 진동체(10)가 제1 전극(E1)과 제2 전극(E2) 중 어느 한쪽으로 가까이 끌어당겨지는, 정전력이 진동체(10)에 작용한다.
예를 들어, 제1 전극(E1)에 플러스 전압이 인가되고, 제2 전극(E2)에 마이너스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진동체(10)에 바이어스 전압(Vbias)인 플러스 전압이 인가되므로, 플러스 전압이 인가되는 제1 전극(E1)과 진동체(10) 사이에 척력이 발생하고, 마이너스 전압이 인가되는 제2 전극(E2)과 진동체(10) 사이에 인력이 발생한다. 따라서, 진동체(10)는 제2 전극(E2) 측으로 이동한다.
반대로 제2 전극(E2)에 플러스 전압이 인가되고, 제1 전극(E1)에 마이너스 전압이 인가될 경우, 진동체(10)는 제1 전극(E1) 측으로 이동한다.
즉, 진동체(10)가 제1 전극(E1) 측 또는 제2 전극(E2) 측으로 이동하여 진동함으로써, 진동에 따른 음향파가 진동체(10)로부터 발생 된다. 음향파는 제1 전극(E1)의 제1 홀(H1) 및 제2 전극(E2)의 제2 홀(H2)을 통해 방출된다.
제1 홀(H1)을 통해 방출된 음향파는 표시 패널(100)의 홀(H) 및 제1 오픈부(OP1)를 통해 외부로 방출된다. 제2 홀(H2)을 통해 방출된 음향파는 제2 오픈부(OP2)를 통해 외부로 방출된다. 즉, 진동체(10)에서 발생된 음향파는 영상 표시 장치(100)의 전면부 및 후면부로 방출될 수 있다.
음향 소자(AD)가 마이크로 구동될 경우, 제1 및 제2 선택부들(162,163)은 제어 신호(CS)에 응답하여 제1 전극(E1)을 연산 증폭기(164)의 입력단에 연결하고, 제2 전극(E2)을 접지 단자에 연결한다.
진동체(10)에는 바이어스 전압(Vbias)이 인가된다. 음파와 같은 사용자의 음성이 영상 표시 장치(100)의 후면부의 제1 오픈부(OP1) 또는 영상 표시 장치(100)의 전면부의 제2 오픈부(OP2)를 통해 음향 소자(AD)에 제공된다. 즉, 영상 표시 장치(100)의 전면부 및 후면부를 통해 음파가 음향 소자(AD)에 전달된다.
제1 오픈부(OP1)를 통해 음향 소자(AD)에 제공된 음파는 표시 패널(110)의 홀(H) 및 제1 전극(E1)의 제1 홀(H1)을 통해 음향 소자(AD)의 진동체(10)에 전달될 수 있다. 제2 오픈부(OP2)를 통해 음향 소자(AD)에 제공된 음파는 제2 전극(E2)의 제2 홀(H2)을 통해 음향 소자(AD)의 진동체(10)에 전달될 수 있다.
음파가 진동체(10)에 전달되면, 진동체(10)는 음파로 인해 진동한다. 진동체(10)의 진동은 진동체(10)와 제1 전극(E1) 사이의 거리의 변동일 일으킨다. 진동체(10)와 제1 전극(E1)은 절연 특성을 갖는 공기 갭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진동체(10)와 제1 전극(E1) 사이의 거리의 변동에 따라서 진동체(10)와 제1 전극(E1) 사이의 정전 용량이 변화된다.
제1 전극(E1)은 비교적 높은 입력 임피던스를 갖는 연산 증폭기(164)에 연결되므로, 진동체(10)와 제1 전극(E1) 사이의 정전 용량의 변동과 상관없이, 제1 전극(E1)에 존재하는 소량의 전하가 연산 증폭기(164)를 향해 이동한다. 즉, 진동체(10)와 제1 전극(E1) 내에 존재하는 전하의 변동은 무시할 수 있다.
제1 전극(E1)에 존재하는 소량의 전하가 연산 증폭기(164)를 향해 이동하므로, 진동체(10)와 제1 전극(E1) 사이의 정전 용량의 변동이 제1 전극(E1)의 전위의 변동으로 실질적으로 전환되어 연산 증폭기(164)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따라서, 음파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가 생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영상 표시 장치(100)의 음향 소자들(AD)이 배치된 위치에 따라서 스피커 및 마이크로 구동될 수 있다. 따라서, 영상 표시 장치(100)의 상하 위치를 바꾸어도 정상적인 통화가 가능하다.
음향 소자들(AD)에서 발생된 음향 신호가 영상 표시 장치(100)의 전면부 및 후면부의 제1 및 제2 오픈부들(OP1,OP2)을 통해 방출된다. 또한, 외부의 음파가 영상 표시 장치(100)의 전면부 및 후면부의 제1 및 제2 오픈부들(OP1,OP2)을 통해 음향 소자들(AD)에 제공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영상 표시 장치(100)의 전면과 후면을 통해 통화를 하거나 음악을 들을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100)는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의 단면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에 도시된 I-I'선에 대응하는 단면도가 도시되었다. 도 4에 도시된 영상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110)의 길이, 음향 소자(AD)의 제1 및 제2 전극들(E1,E2)의 구성이 다른 것을 제외하면, 도 2에 도시된 영상 표시 장치(100)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이하, 도 2에 도시된 영상 표시 장치(100)와 다른 구성이 설명될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표시 패널(110)은 제1 및 제2 오픈부들(OP1,OP2)과 오버랩되지 않도록 제1 및 제2 오픈부들(OP1,OP2)에 인접하게 연장된다.
제2 방향(DR2)에서 진동체(10)의 길이는 제1 및 제2 전극들(E1,E2)의 길이보다 길다. 제2 방향(DR2)에서 측면부(142)에 인접한 진동체(10)의 소정의 영역은 제1 및 제2 오픈부들(OP1,OP2)과 오버랩되도록 배치된다.
제2 방향(DR2)에서 제1 및 제2 전극들(E1,E2)은 제1 및 제2 오픈부들(OP1,OP2)과 오버랩되지 않도록 제1 및 제2 오픈부들(OP1,OP2)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제1 및 제2 전극들(E1,E2)은 제1 및 제2 오픈부들(OP1,OP2)과 오버랩되지 않도록 배치되므로, 도 2에 도시된 영상 표시 장치(100)와 달리 제1 및 제2 홀들(H1,H2)을 포함하지 않는다.
제2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의 다른 구성들은 실질적으로, 도 2에 도시된 영상 표시 장치(100)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서, 음향 소자들(AD)에서 발생된 음향은 제1 및 제2 오픈부들(OP1,OP2)을 통해 방출되고, 외부의 음파는 제1 및 제2 오픈부들(OP1,OP2)을 통해 음향 소자들(AD)에 제공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는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의 단면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에 도시된 I-I'선에 대응하는 단면도가 도시되었다. 도 5에 도시된 영상 표시 장치는 봉지층(120) 및 편광층(130)의 길이가 다르고, 음향 소자(AD)의 위치가 바뀌는 것을 제외하면, 도 2에 도시된 영상 표시 장치(100)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이하, 도 2에 도시된 영상 표시 장치(100)와 다른 구성이 설명될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봉지층(120) 및 편광층(130)은 비표시 영역(NDA)까지 연장되어 표시 패널(11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음향 소자(AD)는 제1 비표시 영역(NDA1)의 표시 패널(110)의 하부에 배치된다. 즉, 음향 소자들(AD)은 제1 및 제2 비표시 영역들(NDA1,NDA2)의 표시 패널(110)의 하부에 배치된다.
음향 소자들(AD)의 제2 전극들(E2)이 제1 및 제2 비표시 영역들(NDA1,NDA2)의 표시 패널(110)의 하부에 배치된다. 음향 소자들(AD)의 제1 전극들(E1)은 제1 및 제2 비표시 영역들(NDA1,NDA2)의 제1 보호 부재(140)의 바닥부(141)에 배치된다.
제3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의 다른 구성들은 실질적으로, 도 2에 도시된 영상 표시 장치(100)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서, 음향 소자들(AD)에서 발생된 음향은 제1 및 제2 오픈부들(OP1,OP2)을 통해 방출되고, 외부의 음파는 제1 및 제2 오픈부들(OP1,OP2)을 통해 음향 소자들(AD)에 제공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는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의 단면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에 도시된 I-I'선에 대응하는 단면도가 도시되었다. 도 6에 도시된 영상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110)의 길이 및 음향 소자(AD)의 제1 및 제2 전극들(E1,E2)의 구성이 다른 것을 제외하면, 도 5에 도시된 영상 표시 장치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이하, 도 5에 도시된 영상 표시 장치와 다른 구성이 설명될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표시 패널(110)은 제1 및 제2 오픈부들(OP1,OP2)에 인접하게 연장된다. 제2 방향(DR2)에서 진동체(10)의 길이는 제1 및 제2 전극들(E1,E2)의 길이보다 길다. 제2 방향(DR2)에서 측면부(142)에 인접한 진동체(10)의 소정의 영역은 제1 및 제2 오픈부들(OP1,OP2)과 오버랩되도록 배치된다. 제2 방향(DR2)에서 제1 및 제2 전극들(E1,E2)은 제1 및 제2 오픈부들(OP1,OP2)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제4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의 다른 구성들은 실질적으로, 도 5에 도시된 영상 표시 장치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서, 음향 소자들(AD)에서 발생된 음향은 제1 및 제2 오픈부들(OP1,OP2)을 통해 방출되고, 외부의 음파는 제1 및 제2 오픈부들(OP1,OP2)을 통해 음향 소자들(AD)에 제공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는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의 단면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에 도시된 I-I'선에 대응하는 단면도가 도시되었다. 도 7에 도시된 영상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110)의 길이 및 음향 소자(AD)의 구성이 다른 것을 제외하면, 도 2에 도시된 영상 표시 장치(100)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이하, 도 2에 도시된 영상 표시 장치(100)와 다른 구성이 설명될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음향 소자(AD)는 케이스(CAS)에 수용된다. 케이스(CAS)는 음향 소자(AD)를 전체적으로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케이스(CAS)는 표시 패널(110)에 배치된 구동부와 연결되기 위한 소정의 크기의 오픈부(미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CAS)는 측면부(141)에 인접한 케이스(CAS)의 소정의 영역에 배치된 복수의 제3 홀들(H3) 및 복수의 제4 홀들(H4)을 포함한다.
제3 홀들(H3)은 제1 홀들(H1)에 인접하고, 제1 홀들(H1)과 오버랩되도록 배치된다. 제4 홀들(H4)은 제2 홀들(H2)에 인접하고, 제2 홀들(H2)과 오버랩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케이스(CAS)의 제3 및 제4 홀들(H3,H4)을 통해 내부의 음향이 외부로 방출되고, 외부의 음파가 음향 소자(AD)로 전달될 수 있다.
표시 패널(110) 및 음향 소자(AD)를 수용한 케이스(CAS)는 제1 보호 부재(140)의 바닥부(141)에 배치된다. 표시 패널(110)은 제1 비표시 영역(NDA1)의 소정의 영역까지 연장될 수 있다. 케이스(CAS)는 제1 비표시 영역(NDA1)에서 표시 패널(110)의 측면 및 제1 보호 부재(140)의 측면부(142) 사이에 배치된다.
제5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의 다른 구성들은 실질적으로, 도 2에 도시된 영상 표시 장치(100)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서, 음향 소자들(AD)에서 발생된 음향은 제1 및 제2 오픈부들(OP1,OP2)을 통해 방출되고, 외부의 음파는 제1 및 제2 오픈부들(OP1,OP2)을 통해 음향 소자들(AD)에 제공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는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상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고,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 및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영상 표시 장치 110: 표시 패널
120: 봉지층 130: 편광층
140: 제1 보호 부재 141: 바닥부
142: 측면부 150: 제2 보호 부재
10: 진동체 20: 스페이서
160: 구동부 161: 음향 신호 전송부
162: 제1 선택부 163: 제2 선택부
164: 연산 증폭기 AD: 음향 소자
E1,E2: 제1 및 제2 전극

Claims (20)

  1. 표시 영역을 통해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영역 주변의 비표시 영역에 배치된 복수의 음향 소자들;
    상기 표시 패널 및 상기 음향 소자들을 수용하는 보호 부재; 및
    상기 음향 소자들에 대응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비표시 영역의 보호 부재를 평면상에 수직한 양방향으로 오픈하여 형성된 복수의 오픈부들을 포함하는 영상 표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소자들은 상기 비표시 영역의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되는 표시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소자들은 상기 비표시 영역 중 상기 표시 영역의 서로 마주보는 양측면에 인접한 제1 비표시 영역 및 제2 비표시 영역에서 상기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되는 영상 표시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부재는,
    바닥부 및 상기 바닥부의 경계에서 상부 방향으로 연장된 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 패널 및 상기 음향 소자들을 수용하는 제1 보호 부재; 및
    상기 제1 보호 부재 상에 배치되어 상기 표시 패널 및 상기 음향 소자들을 커버하는 제2 보호 부재를 포함하는 영상 표시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된 봉지층; 및
    상기 봉지층 상에 배치된 편광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봉지층 및 상기 편광층은 상기 제1 및 제2 보호 부재들에 수용되고, 상기 음향 소자들은 상기 봉지층과 상기 측면부 사이 및 상기 편광층과 상기 측면부 사이에 배치되는 영상 표시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오픈부는,
    상기 측면부에 인접한 바닥부의 소정의 영역에 배치된 제1 오픈부; 및
    상기 측면부에 인접한 제2 보호 부재의 소정의 영역에 배치된 제2 오픈부를 포함하는 영상 표시 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소자들은 상기 평면상에서 상기 오픈부들보다 큰 면적을 갖고, 상기 음향 소자들 각각의 소정의 영역은 상기 오픈부들 중 대응하는 오픈부과 오버랩되는 영상 표시 장치.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음향 소자는,
    상기 제1 및 제2 비표시 영역들에서 상기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된 제1 전극;
    상기 제1 전극과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제2 전극;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에 배치되고 가요성을 갖는 진동체; 및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진동체 사이 및 상기 제2 전극과 상기 진동체 사이에 배치된 스페이서들을 포함하는 영상 표시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체는,
    가요성을 갖는 필름; 및
    상기 필름의 양면에 배치된 도전막을 포함하는 영상 표시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들은 절연 물질을 포함하고, 가요성을 갖는 영상 표시 장치.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전극들과 상기 진동체는 상기 평면상에서 상기 오픈부들 중 대응하는 오픈부보다 큰 면적을 갖고, 상기 측면부에 인접한 상기 제1 및 제2 전극들과 상기 진동체의 소정의 영역은 상기 대응하는 오픈부에 오버랩되는 영상 표시 장치.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측면부에 인접하고 상기 오픈부들과 오버랩되는 표시 패널의 소정의 영역에서 상기 표시 패널을 상기 수직한 방향으로 관통하는 복수의 홀들을 포함하는 영상 표시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은 상기 오픈부들 중 대응하는 오픈부와 오버랩되는 제1 전극의 소정의 영역에서 상기 제1 전극을 상기 수직한 방향으로 관통하는 복수의 제1 홀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전극은 상기 대응하는 오픈부와 오버랩되는 제2 전극의 소정의 영역에서 상기 제2 전극을 상기 수직한 방향으로 관통하는 복수의 제2 홀들을 포함하는 영상 표시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오픈부들에서 상기 홀들, 상기 제1 홀들, 및 상기 제2 홀들은 서로 오버랩되도록 배치되는 영상 표시 장치.
  15.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소자들의 위치를 판별하는 중력 센서;
    연산 증폭기;
    출력단을 통해 음향 신호에 대응하는 전압들을 출력하는 음향 신호 전송부;
    상기 중력 센서에서 판별된 상기 음향 소자들의 위치에 따라서 발생된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음향 신호 전송부의 상기 출력단 및 상기 연산 증폭기의 입력단을 상기 제1 전극에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제1 선택부; 및
    상기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음향 신호 전송부의 상기 출력단 및 접지 단자를 상기 제2 전극에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제2 선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진동체에는 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되고,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에는 서로 다른 극성의 전압이 인가되는 영상 표시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소자들 중 지표면에 보다 더 가까운 음향 소자들은 마이크로 구동되고, 지표면에 보다 먼 음향 소자들은 스피커로 구동되고,
    상기 음향 소자들이 상기 스피커로 구동될 경우, 상기 제1 및 제2 선택부들은 상기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음향 신호 전송부로부터 제공받은 전압들을 상기 제1 및 제2 전극들에 제공하고,
    상기 음향 소자들이 상기 마이크로 구동될 경우, 상기 제1 및 제2 선택부들은 상기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전극을 상기 연산 증폭기의 입력단에 연결하고, 상기 제2 전극을 상기 접지 단자에 연결하는 영상 표시 장치.
  17.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오픈부들에 인접하도록 연장되고, 상기 제1 및 제2 전극들은 상기 오픈부들에 인접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측면부에 인접한 진동체들의 소정의 영역은 상기 오픈부들과 오버랩되도록 배치되는 영상 표시 장치.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소자들은 상기 비표시 영역 중 상기 표시 영역의 서로 마주보는 양측면에 인접한 제1 비표시 영역 및 제2 비표시 영역에서 상기 표시 패널의 하부에 배치되는 영상 표시 장치.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소자를 수용하는 케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음향 소자는 상기 표시 패널의 측면과 상기 보호 부재의 외측 경계 사이에 배치되는 영상 표시 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보호 부재의 상기 외측 경계에 인접한 상기 케이스의 소정의 영역에 배치된 복수의 제3 및 제4 홀들을 포함하는 영상 표시 장치.
KR1020140190581A 2014-12-26 2014-12-26 영상 표시 장치 KR1023691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0581A KR102369124B1 (ko) 2014-12-26 2014-12-26 영상 표시 장치
US14/702,113 US9609764B2 (en) 2014-12-26 2015-05-01 Image display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0581A KR102369124B1 (ko) 2014-12-26 2014-12-26 영상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2385A true KR20160082385A (ko) 2016-07-08
KR102369124B1 KR102369124B1 (ko) 2022-03-03

Family

ID=561660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0581A KR102369124B1 (ko) 2014-12-26 2014-12-26 영상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609764B2 (ko)
KR (1) KR10236912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0954A (ko) * 2017-07-28 2021-10-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8059A (ko) * 2014-12-04 2016-06-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다공성 압전 박막을 포함하는 압전 소자
KR102612609B1 (ko) 2017-12-29 2023-12-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JP7410935B2 (ja) 2018-05-24 2024-01-10 ザ リサーチ ファウンデーション フォー ザ ステイト ユニバーシティー オブ ニューヨーク 容量性センサ
EP3962108A1 (en) * 2020-08-31 2022-03-02 LG Display Co., Ltd. Vibration apparatus and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4748A (ko) * 2003-07-31 2005-02-07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음향재생장치 및 휴대가능한 단말장치
KR20120060745A (ko) * 2010-12-01 2012-06-12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반도체 장치 및 반도체 장치의 제작 방법
US20140278385A1 (en) * 2013-03-13 2014-09-18 Kopin Corporation Noise Cancelling Microphone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0226098T2 (de) * 2001-06-28 2009-06-18 Panasonic Corp., Kadoma Lautsprechersystem, Mobilendgerät und elektronische Vorrichtung
GB0600014D0 (en) 2006-01-03 2006-02-08 Warwick Audio Technologies Ltd Electrostatic loudspeakers
US8705767B2 (en) 2007-11-29 2014-04-22 Hiensch Innovations B.V. Electrostatic speaker system
US8184833B2 (en) 2007-12-14 2012-05-22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Electrostatic speaker arrangement for a mobile device
JP5396588B2 (ja) 2008-06-16 2014-01-22 株式会社 Trigence Semiconductor デジタルスピーカー駆動装置,デジタルスピーカー装置,アクチュエータ,平面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携帯電子機器
US20100079379A1 (en) 2008-09-26 2010-04-01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having an electroluminescent driven haptic keypad
KR101096546B1 (ko) 2009-11-10 2011-12-22 주식회사 비에스이 정전형 스피커
US8879771B2 (en) * 2010-04-08 2014-11-04 Nokia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sound reproduction
US8885853B2 (en) 2010-07-09 2014-11-11 Yamaha Corporation Electrostatic loudspeaker
JP5605036B2 (ja) 2010-07-12 2014-10-15 ヤマハ株式会社 静電型スピーカ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4748A (ko) * 2003-07-31 2005-02-07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음향재생장치 및 휴대가능한 단말장치
KR20120060745A (ko) * 2010-12-01 2012-06-12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반도체 장치 및 반도체 장치의 제작 방법
US20140278385A1 (en) * 2013-03-13 2014-09-18 Kopin Corporation Noise Cancelling Microphone Apparatu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0954A (ko) * 2017-07-28 2021-10-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192511A1 (en) 2016-06-30
US9609764B2 (en) 2017-03-28
KR102369124B1 (ko) 2022-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28276B2 (ja) 表示装置
US10983637B2 (en) Display device
KR101293558B1 (ko) 표시 장치
US11843711B2 (en) Display apparatus
KR102434276B1 (ko) 표시장치
KR101383702B1 (ko) 표시 장치 유닛
KR102369124B1 (ko) 영상 표시 장치
KR20190004197A (ko) 표시장치
KR20150005089A (ko) 표시 장치
CN111276076B (zh) 显示设备
KR101569382B1 (ko) 표시 장치 유닛
CN111355909A (zh) 声音产生模块和显示设备
KR102236083B1 (ko) 올인원 소자
KR20200063496A (ko) 전자 기기
KR20200069602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186361B1 (ko) 표시 장치
KR102183085B1 (ko) 표시 장치
KR20200136865A (ko)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