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2193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2193A
KR20160082193A KR1020140195846A KR20140195846A KR20160082193A KR 20160082193 A KR20160082193 A KR 20160082193A KR 1020140195846 A KR1020140195846 A KR 1020140195846A KR 20140195846 A KR20140195846 A KR 20140195846A KR 20160082193 A KR20160082193 A KR 201600821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door
advancing
handle
backw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58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49151B1 (ko
Inventor
박준수
구지영
이지윤
윤지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958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9151B1/ko
Priority to US15/540,665 priority patent/US10174990B2/en
Priority to PCT/KR2015/014539 priority patent/WO2016108652A1/en
Priority to EP15875746.8A priority patent/EP3240982B1/en
Priority to CN201580077294.0A priority patent/CN107407517B/zh
Publication of KR201600821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21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91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91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5/00Fittings for furniture
    • A47B95/02Hand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1Sliding do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3Air curtain clos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1/00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 E05F11/54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4Function thereof
    • E05Y2201/422Function thereof for opening
    • E05Y2201/426Function thereof for opening for the initial opening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71Toothed gear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 E05Y2900/31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for refrige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장실이 형성된 본체와; 저장실을 여닫는 도어와; 핸들을 포함하고 도어에 승강되게 배치되며 상하 방향으로 긴 제1기어가 형성된 승강부재와; 도어에 배치되고 상기 제1기어와 치합된 제2기어와; 도어에 배치되고 상기 제2기어에 치합된 제3기어와; 도어에 진퇴되게 배치되고 전후 방향으로 긴 제4기어가 제3기어에 치합되며 본체에 접촉, 분리되는 진퇴부재를 포함하여, 소아와 같이 신장이 작은 사용자가 도어를 손쉽게 오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도어에 핸들이 구비된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냉장실이나 냉동실 등의 저장실을 압축기와 응축기와 팽창기구와 증발기를 갖는 냉동 사이클 회로나 열전 모듈 등으로 냉각시키고 저장실로 음식물 등의 저장물을 투입하여 보관하는 기기이다.
냉장고에는 저장실을 여닫는 도어가 설치될 수 있고, 도어는 수직 힌지축을 중심으로 좌우 방향으로 열리거나 수평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하 방향으로 열리게 설치될 수 있다. 도어에는 사용자가 파지하는 핸들이 돌출 또는 함몰되게 형성될 수 있다.
도어는 저장실의 전방 방향으로 열리게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고, 사용자는 핸들을 잡고 전방 방향으로 잡아당기는 것에 의해 도어를 전방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한편, 소아와 같이 신장이 작은 사용자는 손을 위로 뻣어 핸들의 하부를 잡고 도어를 잡아당길 수 있는데, 이 경우 도어에 작용하는 수평 방향의 외력은 작을 수 있고, 소아와 같이 신장이 작은 사용자는 도어를 오픈하기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핸들을 잡고 아래로 당기는 것에 의해 도어를 쉽게 오픈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저장실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저장실을 여닫는 도어와; 핸들을 포함하고 상기 도어에 승강되게 배치되며 상하 방향으로 긴 제1기어가 형성된 승강부재와; 상기 도어에 배치되고 상기 제1기어와 치합된 제2기어와; 상기 도어에 배치되고 상기 제2기어에 치합된 제3기어와; 상기 도어에 진퇴되게 배치되고 전후 방향으로 긴 제4기어가 상기 제3기어에 치합되며 상기 승강부재의 하강시 상기 본체에 외력을 가하는 진퇴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제4기어는 상기 제3기어의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도어는 상기 승강부재를 상하 방향으로 승강 안내하고 상기 승강부재를 전후 방향으로 구속하는 승강부재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는 상기 진퇴부재가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는 상기 진퇴부재의 전후 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진퇴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진퇴부재는 후단이 상기 본체에 접촉,분리되는 접촉단일 수 있다.
상기 제3기어는 상기 제2기어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승강부재는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승강부재가 상승 위치일 때 상기 제3기어에 치합되는 제5기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5기어는 상기 제1기어와 직교하고 일부가 상기 제3기어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3기어는 상기 제4기어와 제5기어 사이에 위치할 후 있다.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도어를 열리는 방향으로 탄지하는 탄성기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저장실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저장실을 여닫는 도어와; 핸들의 하강시, 연동기구가 진퇴부재를 후퇴시키고, 상기 진퇴부재에서 도어에 가해진 외력의 반작용으로 상기 도어를 밀어내는 도어 푸시기구를 포함한다.
상기 연동기구는 상기 핸들이 구비된 승강부재와; 상기 승강부재의 승강시 상기 진퇴부재를 진퇴시키는 외력전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력전달부는 상기 승강부재에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제1기어와; 상기 도어에 배치되고 상기 제1기어와 치합된 제2기어와; 상기 도어에 배치되고 상기 제2기어에 치합된 제3기어와; 상기 진퇴부재에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제4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저장실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저장실을 여닫는 도어와; 상기 도어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 핸들과; 상기 도어에 진퇴 가능하게 배치된 진퇴부재와; 상기 핸들과 진퇴부재를 연결하는 연동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핸들의 하강시, 상기 연동기구가 진퇴부재를 후퇴시키고, 상기 진퇴부재에서 도어에 가해진 외력의 반작용으로 상기 도어를 밀어낸다.
본 발명은 핸들의 하강시 진퇴부재에서 본체로 가해진 힘의 반작용으로 도어가 전방 방향으로 밀리면서 쉽게 오픈될 수 있고, 소아와 같이 신장이 작은 사용자도 핸들을 잡고 내리는 것에 의해 도어를 쉽게 오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핸들의 상대적 높이가 낮아 질 수 있어, 소아와 같이 신장이 작은 사용자가 수평방향 또는 수평에 가까운 방향으로 핸들을 잡아당길 수 있고, 도어를 보다 쉽게 오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 핸들을 하강시키면서 잡아당기는 동작과 핸들을 전방 방향으로 잡아당기는 동작을 선택할 수 있고, 도어 오픈의 편의성이 증대된 이점이 있다.
또한, 제2기어와 제3기어가 감속기어로 기능하면서 보다 큰 반작용을 유도할 수 있어, 적은 힘으로도 도어를 오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일실시예의 핸들이 하측 방향으로 잡아당겨질 때의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일실시예의 핸들이 전방 방향으로 잡아당겨질 때의 측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도어의 횡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도어가 닫혀진 상태가 도시된 확대 종단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핸들이 하강될 때의 확대 종단면도,
도 6은 도 2에 도시된 핸들이 전방 방향으로 잡아당겨질 때의 확대 종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다른 실시예의 도어가 닫혀진 상태가 도시된 확대 종단면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핸들이 하강될 때의 확대 종단면도,
도 9는 도 7에 도시된 핸들이 전방 방향으로 잡아당겨질 때의 확대 종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일실시예의 도이다.
냉장고는 저장실(2)이 형성된 본체(4)와; 저장실(2)을 여닫는 도어(10)를 포함한다. 그리고, 냉장고는 핸들(18)의 하강시, 연동기구가 진퇴부재(50)를 후퇴시키고, 진퇴부재(50)에서 도어(10)에 가해진 외력의 반작용으로 도어(10)를 밀어내는 도어 푸시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핸들(18)은 도어(10)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진퇴부재(50)는 도어(10)에 진퇴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연동기구는 핸들(18)에 작용된 외력을 진퇴부재(50)로 전달하는 것으로서, 핸들(18)과 진퇴부재(50)를 연결할 수 있다. 연동기구는 핸들(18)이 구비된 승강부재(20)와; 승강부재(20)의 승강시 진퇴부재(50)를 진퇴시키는 외력전달부(19)(29)(39)(49)를 포함할 수 있다.
외력전달부(19)(29)(39)(49)는 승강부재(20)에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제1기어(19)와; 도어(10)에 배치되고 제1기어(19)와 치합된 제2기어(29)와; 도어(10)에 배치되고 제2기어(29)에 치합된 제3기어(39)와; 진퇴부재(50)에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제4기어(49)를 포함할 수 있다.
냉장고는 핸들(18)을 포함하고 도어(10)에 승강되게 배치되며 상하 방향으로 긴 제1기어(19)가 형성된 승강부재(20)와; 도어(10)에 배치되고 제1기어(19)와 치합된 제2기어(29)와; 도어(10)에 배치되고 제2기어(29)에 치합된 제3기어(39)와; 도어(10)에 진퇴되게 배치되고 전후 방향으로 긴 제4기어(49)가 제3기어(35)와 치합되며 승강부재(20)의 하강시 본체(4)에 외력을 가하는 진퇴부재(5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4)는 적어도 하나의 저장실(2)이 형성될 수 있고, 저장실(2)을 형성하는 이너 케이스(5)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4)는 외관을 형성하는 아우터 케이스(6)를 포함할 수 있고, 이너 케이스(5)와 아우터 케이스(6) 사이에는 단열재(7)가 채워질 수 있다. 본체(4)는 압축기와 응축기와 팽창기구와 증발기를 포함하는 냉동사이클 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증발기는 저장실(2)을 냉각시킬 수 있다. 본체(4)는 저장실(2)의 공기를 증발기와 저장실(2)로 순환시키는 냉각팬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체(4)는 공기를 응축기로 송풍하는 응축팬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체(4)는 도어(10)가 닫혔을 때 도어(10)를 마주볼 수 있는 전면(6A)을 포함할 수 있고, 본체(4)의 전면(6A)은 도어(10)가 닫혔을 때 도어(10)의 배면을 마주보고 도어(10)와 밀착되는 도어 밀착면일 수 있다.
냉장고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4)에 설치되어 도어(10)를 열리는 방향으로 탄지하는 탄성기구(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탄성기구(8)는 본체(4)에 도어(10)를 배면을 마주보게 설치될 수 있다. 본체(4)에는 탄성기구(8)를 지지하는 탄성기구 홀더(9)가 설치될 수 있다. 탄성기구(8)는 탄성기구 홀더(9)에 연결된 스프링부재(8A)와, 스프링부재(8A)에 연결되어 도어(10)와 접촉,분리될 수 있는 접촉판(8B)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프링부재(8A)는 코일 스프링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스프링부재(8A)는 탄성부재 홀더(9)에 장착되고 접촉판(8B)에 연결된 상태에서, 접촉판(8B)에 의해 눌리면서 압축될 수 있고, 도어(10)가 열릴 때, 탄성 복원력에 의해 인장되면서 접촉판(8B)을 도어(10)의 방향으로 밀어낼 수 있으며, 도어(10)는 접촉판(8B)이 미는 힘에 의해 쉽게 전방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도어(10)는 아웃 도어(11)와, 적어도 일부가 저장실(2)을 마주보는 도어 라이너(12)와, 아웃 도어(11)와 도어 라이너(12) 사이의 단열재(13)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10)가 닫혔을 때 아웃 도어(11)는 도어(10)의 전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고, 도어 라이너(12)는 도어(10)의 배면을 형성함과 아울러 일부가 저장실(2)을 마주볼 수 있다. 도어(10)는 도어 라이너(12)에 배치되고 본체(4)의 전면(6A)에 밀착되는 가스켓(1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어(10)는 진퇴부재(50)가 관통되는 관통공(12A)이 형성될 수 있다. 관통공(12A)은 진퇴부재(50)의 일부가 본체(4)를 향해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관통공(12A)은 도어(10) 중 본체(4)를 마주보는 도어(10)의 배면에 형성될 수 있다. 관통공(12A)은 도어 라이너(12)에 관통 형성될 수 있다. 관통공(12A)은 도어(10) 중에서 저장실(2)을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되지 않고, 본체(4)의 전면(6A)을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관통공(12A)은 진퇴부재(50)의 단면 보다 크기가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가스켓(14)에는 진퇴부재(50)가 본체(4)의 전면(6A)에 접촉되기 위해 통과하는 진퇴부재 관통공(14A)이 형성될 수 있다.
도어(10)는 진퇴부재(50)의 전후 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진퇴 가이드(15)를 포함할 수 있다. 진퇴 가이드(15)는 진퇴부재(50)의 전후 방향 직선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진퇴 가이드(15)는 도어 라이너(12)와 후술하는 기어 박스(18) 중 적어도 하나에 아웃 도어(11)를 향하여 길게 배치될 수 있다.
진퇴 가이드(15)는 진퇴부재(50)의 과전진을 제한하는 스토퍼(15A)가 형성될 수 있다. 진퇴부재(50)는 핸들(18)이 상승 위치일때, 그 선단이 스토퍼(15A)에 걸릴 수 있고, 진퇴부재(50)의 과전진은 제한될 수 있다.
진퇴 가이드(15)는 진퇴부재(50)의 상,하,좌,우면 중 적어도 일면을 안내하게 형성될 수 있다. 진퇴 가이드(15)는 진퇴부재(50)가 관통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중공 통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진퇴 가이드(15)는 그 선단에 스토퍼(15A)가 형성될 수 있다.
진퇴 가이드(15)는 진퇴부재(50)의 측단을 안내하게 형성될 수 있다. 진퇴 가이드(15)는 기어 박스(18)에 함몰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고, 기어 박스(18)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진퇴 가이드(15)는 진퇴부재(50)의 측단을 안내하는 한 쌍의 리브를 포함할 수 있고, 진퇴부재(50)의 측단은 한 쌍의 리브를 따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될 수 있다. 진퇴 가이드(15)는 한 쌍의 리브를 포함할 경우, 한 쌍의 리브 선단을 연결하여 막는 선단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진퇴 가이드(15)는 선단 연결부가 스토퍼(15A)가 될 수 있다.
도어(10)는 승강부재(20)를 상하 방향으로 승강 안내하는 승강부재 가이드(16)를 포함할 수 있다. 승강부재 가이드(16)는 승강부재(20)를 전후 방향으로 구속하게 형성될 수 있다. 승강부재 가이드(16)는 도어(10)에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고, 승강부재(20)는 일부가 승강부재 가이드(16)에 삽입되어 승강부재 가이드(16)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될 수 있다. 승강부재 가이드(16)는 아웃 도어(11)에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승강부재 가이드(16)는 단면 형상이 'ㄷ' 형상일 수 있다.
승강부재 가이드(16)는 승강부재(20)의 좌측부를 안내하는 좌측 가이드(16A)와, 승강부재(20)의 우측부를 안내하는 우측 가이드(16B)를 포함할 수 있다. 좌측 가이드(16A)는 우측 가이드(16B)를 마주보는 면에 슬라이딩 레일이 형성될 수 있고, 우측 가이드(16B)는 좌측 가이드(16A)를 마주보는 면에 슬라이딩 레일이 형성될 수 있다.
도어(10)는 제1기어(19)와 제2기어(29)와 제3기어(39)가 수용되는 기어 박스(1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4기어(49)는 그 전부 혹은 일부가 기어 박스(17)에 수용될 수 있다. 기어 박스(17)는 아웃 도어(11)와 도어 라이너(12) 사이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다. 도어(10)는 기어박스(17)와 아웃 도어(11) 사이에 단열재(13)가 채워질 수 있다. 단열재(13)는 기어 박스(17) 외부를 둘러쌀 수 있다. 기어 박스(17)는 아웃 도어(11)와 도어 라이너(12) 중 적어도 하나와 결합될 수 있다. 기어 박스(17)는 승강부재(20) 보다 크기가 클 수 있다. 기어 박스(17)의 높이(H1)는 승강부재(20)의 높이(H2) 보다 높을 수 있다.
기어 박스(17)에는 제2기어(29)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기어 지지부(17A)와, 제3기어(39)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3기어 지지부(17B)가 형성될 수 있다 .기어 박스(17)는 전면이 개방될 수 있다. 기어 박스(17)는 배면이 개방될 수 있다. 기어 박스(17)는 통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그 내부에 제1기어(19)와 제2기어(29)와 제3기어(39) 및 제4기어(49)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는 기어 수용공간(S)이 형성될 수 있다.
승강부재(20)는 배면에 제1기어(19)가 형성되고 승강부재 가이드(16)에 슬라이딩 안내되는 승강판(22)을 포함할 수 있다. 핸들(18)은 승강판(22)의 전면에 형성될 수 있다
핸들(18)은 승강판(22)에 전방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핸들(18)은 상부 및 하부 각각이 승강판(22)에 연결될 수 있고, 승강판(22)의 전방으로 돌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기어(19)는 승강판(22)의 배면에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랙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기어(19)는 승강판(22)의 배면에 형성된 수직 랙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기어(19)는 승강판(22)의 배면에 도어 라이너(12)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가 핸들(18)을 잡고 하측 방향으로 잡아당기면, 제1기어(19)는 승강판(22)과 함께 하측 방향으로 하강될 수 있다.
도어(10)는 전면에 핸들(18)이 승강될 수 있는 개구부(11A)가 형성될 수 있다. 핸들(18)은 개구부(11A)를 관통하게 배치될 수 있고, 개구부(11A)에서 승강될 수 있다. 개구부(11A)의 높이(H3)는 핸들(18)의 높이(H4) 보다 높을 수 있다. 개구부(11A)의 높이(H3)는 승강판(22)의 높이(H2) 보다 낮을 수 있다. 여기서, 승강판(22)의 높이(H2)는 승강부재(20)의 높이(H2)일 수 있고, 동일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개구부(11A)는 승강판(22)에 의해 덮혀질 수 있다. 승강판(22)은 그상승 위치나 하강 위치에 상관없이 일부가 개구부(11A)의 후방에 위치될 수 있고, 개구부(11A)를 통해 도어(10) 내부가 보이지 않게 가릴 수 있다.
승강판(22)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부가 좌측 가이드(16A)로 삽입되어 좌측 가이드(16A)에 의해 승강 안내될 수 있고, 우측부가 우측 가이드(16B)에 삽입되어 우측 가이드(16B)에 의해 승강 안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기어(29)와 제3기어(39) 및 제4기어(49)는 승강부재(20)의 승강을 운동을 진퇴부재(50)의 진퇴 운동으로 전환하는 복수개의 동력전달부재일 수 있다.
제2기어(29)는 승강부재(20)의 후방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다. 제2기어(29)는 승강부재(20)의 하강시 제1기어(19)에 의해 회전될 수 있고, 승강부재(20)의 상승시 제1기어(19)에 의해 반대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제2기어(29)는 제1기어(19)에 치합된 제1피니언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2기어(29)는 회전 중심축(P1)을 중심으로 정,역 회전될 수 있다. 제2기어(29)의 회전 중심축(P1)은 도어(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2기어(29)의 회전 중심축(P1)은 기어 박스(17)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지지될 수 있다. 여기서, 제2기어(29)의 정회전은 제2기어(29)의 시계 방향 회전일 수 있고, 제2기어(29)의 역회전은 제2기어(29)의 반시계 방향 회전일 수 있다.
제3기어(39)는 승강부재(20)의 후방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다. 제3기어(39)는 승강부재(20)의 후방에 승강부재(20)와 이격되게 설치될 수 있다. 제3기어(39)는 제2기어(29)의 회전시 제2기어(29)에 의해 회전될 수 있고, 제4기어(49)를 진퇴시킬 수 있다. 제3기어(39)는 제4기어(49)의 진퇴시 제4기어(49)에 의해 회전될 수 있고, 제2기어(29)를 회전시킬 수 있다.
제3기어(39)와 제2기어(29)는 평기어일 수 있다. 제3기어(39)는 제2기어(29)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제2기어(29)가 작고 제3기어(39)가 클 경우, 제2기어(29)와 제3기어(39)는 감속기어로 기능할 수 있고, 이 경우, 제3기어(39)의 회전 속도는 상대적으로 제2기어(29) 보다 느리지만, 그 만큼 큰 힘이 전달될 수 있다.
제3기어(39)는 회전 중심축(P2)을 중심으로 정,역 회전될 수 있다. 제3기어(39)의 회전 중심축(P2)은 도어(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3기어(39)의 회전 중심축(P2)은 기어 박스(17)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지지될 수 있다. 여기서, 제3기어(39)의 정회전은 제3기어(39)의 시계 방향 회전일 수 있고, 제2기어(39)의 역회전은 제3기어(39)의 반시계 방향 회전일 수 있다. 제3기어(39)는 제2기어(29)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제2기어(29)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될 때, 제3기어(39)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고, 제2기어(29)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때, 제3기어(39)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한편, 냉장고는 제3기어(39)가 설치되지 않고, 제4기어(49)가 제2기어(29)에 직접 치합될 경우, 승강부재(20)의 하강시, 진퇴부재(50)가 전진될 수 있다.
반면에, 제3기어(39)가 제2기어(29)와 제4기어(49) 사이에 설치되어 회전 방향을 반대로 전환하는 경우, 제3기어(39)는 승강부재(20)의 하강시, 진퇴부재(50)를 후퇴시킬 수 있다.
제3기어(39)는 제2기어(29)와 제4기어(49) 사이에서 제2기어(29)의 회전 방향을 반대로 전환하면서 제2기어(29)의 회전력을 제4기어(49)로 전달하는 아이들 기어로 기능할 수 있다.
제4기어(49)는 제3기어(39)의 상측에 위치될 수 있고, 제3기어(39) 상측에서 전진되거나 후퇴될 수 있다.제4기어(49)는 진퇴부재(50)의 진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랙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4기어(49)는 진퇴부재(50)의 하면에 전후 방향으로 수평하게 형성된 수평 랙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제3기어(39)는 제4기어(49)에 치합된 제2피니언 기어로 구성될 수 있다.
진퇴부재(50)는 본체(4)에 접촉, 분리되게 배치될 수 있다. 진퇴부재(50)는 승강부재(20)의 하강시 본체(4)를 향해 이동되어 본체(4)에 외력을 가할 수 있다. 진퇴부재(50)는 핸들(18)이 하강될 때, 본체(4)의 전면(6A)을 향해 후퇴될 수 있고, 본체(4)의 전면(6A)에 접촉되어 본체(4)의 전면(6A)을 향해 힘을 가할 수 있다. 진퇴부재(20)는 승강부재(20)의 상승시 본체(4)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전진될 수 있고, 본체(4)와 분리될 수 있다.
진퇴부재(50)는 도어(10)에 수평하게 배치될 수 있는 수평 바아로 구성될 수 있다. 진퇴부재(50)는 본체(4)에 접촉되는 접촉단(51)이 후단에 형성될 수 있다. 진퇴부재(50)는 선단이 승강부재(22)를 향하는 자유단(52)일 수 있고, 후단이 본체(4)와 접촉,분리되는 접촉단(51)일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아와 같이 신장이 작은 사용자(I, 이하, 소아라 칭함)가 핸들(18)을 잡고 하측 방향(D)으로 잡아당기면, 승강판(22)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18)에 이끌려 하강될 수 있고, 이때 제1기어(19)는 승강판(22)과 함께 하강될 수 있다. 제1기어(19)의 하강시, 제2기어(29)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고, 제3기어(39)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으며, 제4기어(49)는 후방 방향(R)으로 후퇴될 수 있다. 제4기어(49)의 후퇴시, 진퇴부재(50)는 후방 방향(R)으로 직선 이동되어 본체(4)의 전면(6A)에 후방 방향으로 힘을 가할 수 있다. 이 경우, 진퇴부재(50) 및 도어(10)에는 본체(4)의 반작용에 따른 힘이 작용되고, 도어(10)는 전방 방향(F)으로 밀리면서 서서히 열리기 시작하고, 개스킷(14)은 도어(4)의 전면(6A)과 분리되기 시작한다.
상기와 같이 도어(10)가 오픈 개시될 때, 탄성기구(8)는 복원력에 의해 도어(10)를 밀어내어 도어(10)의 오픈을 도울 수 있다
도어(10)는 진퇴부재(50)가 본체(4)에 힘을 가하지 않은 경우 보다, 작은 힘으로 열릴 수 있고, 소아(I)는 도어(10)를 손쉽게 열수 있다.
한편, 핸들(18)은 소아(I)가 핸들(18)을 하측 방향(D)으로 내리기 이전 보다 상대적인 높이가 더 낮을 수 있고, 소아(I)는 핸들(18)의 상대적 높이가 더 낮아졌기 때문에, 핸들(18)을 잡고 수평한 전방 방향(F) 또는 수평 방향과 수직 방향 사이의 하측 경사 방향(FD)으로 잡아당길 수 있다. 즉, 소아(I)는 핸들(18)의 상대적 높이가 높은 상태에서 핸들(18)을 잡아당기는 것보다 도어(10)를 손쉽게 열 수 있다.
한편, 성인과 같이 신장이 큰 사용자(A,이하, 성인이라 칭함)는 소아와 같이 핸들(18)을 잡고 하측 방향(D)으로 내리면서 도어(10)를 여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성인(A)은 핸들(18)을 하측 방향(D)으로 내리는 것 없이 도 2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18)을 전방의 수평 방향(F)이나 전방 상측의 경사 방향(FU)으로 잡아당기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핸들(18)을 통해 승강판(22)에 작용된 힘은 도어(10) 특히 아웃 도어(11)에 작용될 수 있고, 도어(10)는 성인(A)이 잡아당기는 힘에 의해 열리기 시작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도어(10)가 오픈 개시될 때, 탄성기구(8)는 복원력에 의해 도어(10)를 밀어내어 도어(10)의 오픈을 도울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소아(I)와 성인(A) 모두 도어(20)를 손쉽게 열 수 있고, 성인(A)은 핸들(18)을 하측 방향(D)으로 내리면서 잡아당기는 동작과 핸들(18)을 전방 방향(F)으로 잡아당기는 동작을 선택적으로 실시하여 도어(20)를 열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일실시예의 도이다.
본 실시예의 승강부재(20')는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제5기어(59)를 더 포함한다.
승강부재(20')는 핸들(18)이 상승되어 진퇴부재(50)가 본체(4)의 전면(6A)으로 힘을 가하지 않는 상승 위치와, 핸들(18)이 하강되어 진퇴부재(50)가 본체(4)의 전면(6A)으로 힘을 가하는 하강 위치로 승강될 수 있다.
제5기어(59)는 승강부재(20')가 상승 위치일 때 제3기어(39)에 치합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승강부재(20') 및 제5기어(59) 이외의 본체(4), 제1기어(19), 제2기어(29), 제3기어(39) 및 제4기어(49) 등이 본 발명 일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동일 부호를 사용하고, 동일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3기어(39)는 제4기어(49)와 제5기어(59)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5기어(59)는 제1기어(19)와 직교하고 일부가 제3기어(39)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5기어(59)는 승강판(22)의 배면에서 도어 라이너(12)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60)에 형성될 수 있다. 제5기어(59)는 돌출부(60)의 상면에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랙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5기어(59)는 일부가 제3기어(39)와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5기어(59)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부재(20')의 상승 위치일 때, 제3기어(39)에 치합되어 유지될 수 있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부재(20')가 상승 위치에서 하강 위치로 하강될 때 제3기어(39)와 분리될 수 있다. 제5기어(59)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10)가 전방 방향(F)으로 잡아 당겨질 때, 제3기어(39)와 치합되어 유지될 수 있다.
한편, 제5기어(59)는 도 7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기어(39)에 치합된 상태일 때, 제3기어(39)에 구속되어 상측 방향(U)으로 상승되지 못하고, 승강부재(20')의 과다 상승은 제한될 수 있다. 즉, 제5기어(59)는 승강부재(20)의 과다 상승을 제한할 수 있는 상한 스토퍼로 기능할 수 있다.
제5기어(59)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기어(39)와 이격된 상태일 때, 기어 박스(17)에 구속되어 하측 방향(D)으로 하강되지 못하고, 승강부재(20')의 과다 하강은 제한될 수 있다. 즉, 제5기어(59)는 승강부재(20)의 과다 하강을 제한할 수 있는 하한 스토퍼로 기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적 범주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2: 저장실 4: 본체
5: 본체의 전면 10: 도어
12A: 관통공 15: 진퇴 가이드
16: 승강부재 가이드 18: 핸들
19: 제1기어 20: 승강부재
22: 승강판 29: 제2기어
39: 제3기어 49: 제4기어
50: 진퇴부재

Claims (15)

  1. 저장실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저장실을 여닫는 도어와;
    핸들을 포함하고 상기 도어에 승강되게 배치되며 상하 방향으로 긴 제1기어가 형성된 승강부재와;
    상기 도어에 배치되고 상기 제1기어와 치합된 제2기어와;
    상기 도어에 배치되고 상기 제2기어에 치합된 제3기어와;
    상기 도어에 진퇴되게 배치되고 전후 방향으로 긴 제4기어가 상기 제3기어에 치합되며 상기 승강부재의 하강시 상기 본체에 외력을 가하는 진퇴부재를 포함하는 냉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4기어는 상기 제3기어의 상측에 위치되는 냉장고.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승강부재를 상하 방향으로 승강 안내하고 상기 승강부재를 전후 방향으로 구속하는 승강부재 가이드를 포함하는 냉장고.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진퇴부재가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된 냉장고.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진퇴부재의 전후 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진퇴 가이드를 포함하는 냉장고.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퇴부재는 후단이 상기 본체에 접촉,분리되는 접촉단인 냉장고.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기어는 상기 제2기어 보다 크게 형성된 냉장고.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재는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승강부재가 상승 위치일 때 상기 제3기어에 치합되는 제5기어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5기어는 상기 제1기어와 직교하고 일부가 상기 제3기어의 하측에 위치하는 냉장고.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3기어는 상기 제4기어와 제5기어 사이에 위치하는 냉장고.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도어를 열리는 방향으로 탄지하는 탄성기구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12. 저장실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저장실을 여닫는 도어와;
    핸들의 하강시, 연동기구가 진퇴부재를 후퇴시키고, 상기 진퇴부재에서 도어에 가해진 외력의 반작용으로 상기 도어를 밀어내는 도어 푸시기구를 포함하는 냉장고.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기구는
    상기 핸들이 구비된 승강부재와;
    상기 승강부재의 승강시 상기 진퇴부재를 진퇴시키는 외력전달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외력전달부는
    상기 승강부재에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제1기어와;
    상기 도어에 배치되고 상기 제1기어와 치합된 제2기어와;
    상기 도어에 배치되고 상기 제2기어에 치합된 제3기어와;
    상기 진퇴부재에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제4기어를 포함하는 냉장고.
  15. 저장실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저장실을 여닫는 도어와;
    상기 도어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 핸들과;
    상기 도어에 진퇴 가능하게 배치된 진퇴부재와;
    상기 핸들과 진퇴부재를 연결하는 연동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핸들의 하강시, 상기 연동기구가 진퇴부재를 후퇴시키고, 상기 진퇴부재에서 도어에 가해진 외력의 반작용으로 상기 도어를 밀어내는 냉장고.
KR1020140195846A 2014-12-31 2014-12-31 냉장고 KR1016491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5846A KR101649151B1 (ko) 2014-12-31 2014-12-31 냉장고
US15/540,665 US10174990B2 (en) 2014-12-31 2015-12-31 Refrigerator
PCT/KR2015/014539 WO2016108652A1 (en) 2014-12-31 2015-12-31 Refrigerator
EP15875746.8A EP3240982B1 (en) 2014-12-31 2015-12-31 Refrigerator
CN201580077294.0A CN107407517B (zh) 2014-12-31 2015-12-31 冰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5846A KR101649151B1 (ko) 2014-12-31 2014-12-31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2193A true KR20160082193A (ko) 2016-07-08
KR101649151B1 KR101649151B1 (ko) 2016-08-18

Family

ID=56284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5846A KR101649151B1 (ko) 2014-12-31 2014-12-31 냉장고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174990B2 (ko)
EP (1) EP3240982B1 (ko)
KR (1) KR101649151B1 (ko)
CN (1) CN107407517B (ko)
WO (1) WO201610865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56460A (zh) * 2018-06-06 2018-11-06 青岛海尔特种电冰柜有限公司 助力门把手组件及制冷设备
US10932568B2 (en) 2019-07-26 2021-03-02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Motorized basket lifting mechanism
US11920382B2 (en) 2020-09-15 2024-03-05 Midea Group Co., Ltd. Rotating support handle assembly for bottom-hinged doo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89102B1 (ko) * 1995-08-21 1999-06-01 김광호 냉장고 도어용 손잡이
KR20100081009A (ko) * 2009-01-05 2010-07-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도어개방장치를 포함하는 냉장고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86810A (en) * 1970-02-09 1971-06-22 Littelfuse Inc Waterproof plunger actuated switch assembly
KR100247727B1 (ko) * 1997-09-08 2000-04-01 전주범 냉장고의 도어개방장치
KR100425733B1 (ko) * 2001-12-05 2004-04-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도어개방장치
TR200603269T1 (tr) * 2003-12-10 2006-09-21 Ar�El�K Anon�M ��Rket� Bir soğutucu
KR20060055986A (ko) * 2004-11-19 2006-05-24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냉장고의 개폐장치
DE202005014377U1 (de) * 2005-09-12 2005-11-10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Tür für ein Kältegerät
KR101350018B1 (ko) * 2006-12-04 2014-0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도어 개방구조
KR101437984B1 (ko) * 2008-03-07 2014-09-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수평조절장치
KR20110022849A (ko) * 2009-08-28 2011-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101624556B1 (ko) * 2009-09-24 2016-05-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도어 개방장치
KR101639435B1 (ko) * 2009-10-13 2016-07-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CN102116554A (zh) * 2010-01-04 2011-07-06 Lg电子株式会社 电冰箱
KR101650307B1 (ko) * 2010-05-07 2016-09-05 삼성전자주식회사 도어핸들 및 이를 가지는 냉장고
DE102012015412A1 (de) * 2012-07-05 2014-01-09 Liebherr-Hausgeräte Lienz Gmbh Kühl- und/oder Gefriergerät
KR20150019205A (ko) * 2013-08-13 2015-02-25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도어 핸들
TR201806880T4 (tr) * 2013-12-23 2018-06-21 Lg Electronics Inc Buzdolabı.
US9605891B2 (en) * 2014-03-11 2017-03-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89102B1 (ko) * 1995-08-21 1999-06-01 김광호 냉장고 도어용 손잡이
KR20100081009A (ko) * 2009-01-05 2010-07-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도어개방장치를 포함하는 냉장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240982B1 (en) 2020-12-02
EP3240982A1 (en) 2017-11-08
CN107407517A (zh) 2017-11-28
CN107407517B (zh) 2020-06-30
US20170350638A1 (en) 2017-12-07
KR101649151B1 (ko) 2016-08-18
WO2016108652A1 (en) 2016-07-07
US10174990B2 (en) 2019-01-08
EP3240982A4 (en) 2018-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95327B1 (ko) 냉장고
KR101580447B1 (ko) 냉장고의 자동 도어 닫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101592573B1 (ko) 냉장고
TWI437967B (zh) 特別用於活動傢俱件之自行關閉裝置
KR101649151B1 (ko) 냉장고
KR101873115B1 (ko) 냉장고
CN106403479B (zh) 冰箱门和冰箱
KR20180049931A (ko) 냉장고
KR101720490B1 (ko) 냉장고
KR101657118B1 (ko) 수납선반 어셈블리와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WO2018010415A1 (zh) 抽屉滑动机构及具有其的冰箱
WO2019153933A1 (zh) 冰箱门体
KR20100041033A (ko) 냉장고
KR20130053921A (ko) 도어 개방 유닛을 구비하는 냉장고
KR101869556B1 (ko) 냉장고
KR101129342B1 (ko) 냉장고용 선반
KR20110010406A (ko) 냉장고
KR20080084782A (ko) 냉장고의 서랍 개폐 장치
KR20170112654A (ko) 냉장고 및 냉장고의 서랍장치
KR102491969B1 (ko) 냉장고
JP2006102294A (ja) 飛び出し・引き込み装置
KR102158881B1 (ko) 냉장고
KR20110019242A (ko) 냉장고의 댐핑 장치
KR101659083B1 (ko) 냉장고
JP2008039295A (ja) 冷凍冷蔵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