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1532A - Position changable device for loading member of loading instrument and electric carrier with thereof - Google Patents

Position changable device for loading member of loading instrument and electric carrier with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1532A
KR20160081532A KR1020140195481A KR20140195481A KR20160081532A KR 20160081532 A KR20160081532 A KR 20160081532A KR 1020140195481 A KR1020140195481 A KR 1020140195481A KR 20140195481 A KR20140195481 A KR 20140195481A KR 20160081532 A KR20160081532 A KR 201600815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loading
main shaft
rotating body
eng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548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712511B1 (en
Inventor
한상남
Original Assignee
(주)한스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스이엔지 filed Critical (주)한스이엔지
Priority to KR10201401954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2511B1/en
Publication of KR201600815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153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25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251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2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parts being adjustable, collapsible, attachable, detachable or convert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10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 B62B9/12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parts that are adjustable, attachable or detach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Handcart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sition changing device for a loading member of a loading instrument and an electric carrier having the same. The electric carrier comprises: a position changing device which has a rotating unit installed to rotate a loading member through a shaft, and a height adjusting unit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position changeable device; a loading instrument in which the position changing device is installed; and a power device which is installed to move the loading instrument, wherein the loading member is a basket for storing goods or a seat for a person.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adjusts the height and angle of the loading member when necessary.

Description

적재기구용 적재부재의 위치가변장치와 이를 구비한 전동 캐리어{Position changable device for loading member of loading instrument and electric carrier with thereof}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sition variable device for a loading member for a loading device,

본 발명은 전동 캐리어에 관한 것으로, 메인 샤프트에 대해 적재부재가 축회전 또는 승/하강되고, 동력장치에 의해 이동할 수 있도록 한 적재기구용 적재부재의 위치가변장치와 이를 구비한 전동 캐리어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wer transmission carri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sition variable device for a load member for a loader, which is capable of being moved by a power unit with respect to a main shaft.

일반적으로, 캐리어는 물품을 싣고 이동하는 기구로서, 넓은 의미로 쇼핑용 카트 또는 유아용 유모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카트에는 구매한 물품을 담을 수 있는 바구니가 구비되고, 유모차에는 아기를 앉힐 수 있는 시트가 구비된다. 여기서, 종래의 유모차에 대한 일 예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30621호(발명의 명칭 : 유모차)에 개시되어 있다. 이를 간략히 살펴보면, 도 1a와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륜과 후륜을 구비한 몸체(10), 몸체(10)의 상부에 장착된 시트(11)와, 몸체(10)를 밀 수 있도록 장착된 핸들(12)을 구비한다. 또한, 몸체(10)와 전륜(13) 또는 후륜(14)의 결합부위 및, 몸체(10)와 핸들(12)의 결합부위에는 측면상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부재(15)와, 스프링(16)과 손잡이부재(18)를 통해 축회전하는 고정부재(17)를 구비한다. 따라서, 손잡이부재(18)를 당기면 스프링(16)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고정부재(17)가 축회전하면, 고정부재(17)와 회전부재(15)의 체결이 해제되고, 이 상태에서 회전부재(15)를 회전시킨 후, 손잡이부재(18)를 놓으면 스프링(16)의 탄성력에 의해 고정부재(17)가 원위치로 축회전하여 고정부재(17)와 회전부재(15)가 다시 체결된다. 여기서, 고정부재(17)와 회전부재(15)가 체결 해제된 상태에서 회전부재(15)를 회전시킴으로써, 몸체(10)에 대해 전륜(13) 또는 후륜(14)이 전/후방으로 회전할 수 있고, 핸들(12)이 전/후방으로 회전할 수 있다. Generally, a carrier is a mechanism for carrying and moving articles, and in a broad sense may include a shopping cart, a baby stroller, or the like. Here, the cart is provided with a basket capable of holding purchased items, and the stroller is provided with a seat for seating the baby. Here,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baby carriage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12-0030621 (the invention is called a baby carriage). As shown in FIGS. 1A and 1B, a body 10 having front and rear wheels, a seat 11 mount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body 10, And a handle (12). A rotating member 15 that rotates in a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on the side surface is provided at a joint portion between the body 10 and the front wheel 13 or the rear wheel 14 and a joint portion between the body 10 and the handle 12. [ And a fixing member 17 that rotates through a spring 16 and a knob member 18 through an axis. Therefore, when the handle member 18 is pulled, the fastening member 17 and the rotary member 15 are disengaged from each other when the fastening member 17 is rotated while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16 is overcome. In this state, The fixing member 17 rotates in the original direction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16 and the fixing member 17 and the rotary member 15 are fastened again when the knob member 18 is released. Here, the front wheel 13 or the rear wheel 14 rotates forward / rearward relative to the body 10 by rotating the rotary member 15 in a state where the fixing member 17 and the rotary member 15 are disengaged And the handle 12 can be rotated forward / backward.

또한, 동일 출원인이 출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30626호(발명의 명칭 : 시트 회전이 가능한 유모차)를 보면, 도 1c에서와 같이 몸체(10)와 시트 장착부는 고정홈(20)을 구비하면서 평면상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축(21), 고정홈(20)과 체결되도록 스프링(16)과 손잡이부재(18)를 통해 설치된 고정부재(17)를 구비한다. 따라서, 손잡이부재(18)를 당기면 스프링(16)의 탄성력을 극복하여 고정부재(17)가 축회전하여 고정홈(20)과의 체결이 해제되고, 회전축(21)을 회전시킨 후 손잡이부재(18)를 놓으면 스프링(16)의 탄성력에 의해 고정부재(17)가 원위치로 축회전하여 고정부재(17)와 회전축(21)이 다시 체결된다. 이와 같은 동작을 통해 몸체(10)에 대해 시트(20)가 평면상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C, the body 10 and the seat mounting portion of the stroller 20 are fixed to the fixing groove 20 (see FIG. 1C), as disclosed in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12-0030626 filed by the same applicant A rotary shaft 21 rotating in a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in plan view and a fixing member 17 provided through a spring 16 and a pull member 18 so as to be engaged with the fixing groove 20. Therefore, when pulling the knob member 18,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16 is overcome so that the fixing member 17 is rotated and the engagement with the fixing groove 20 is released. After the rotation shaft 21 is rotated, 18 is released, the fixing member 17 rotates to its original position due to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16, and the fixing member 17 and the rotary shaft 21 are fastened again. Through such an operation, the seat 20 can be rotated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in a plan view with respect to the body 10.

하지만, 도 1b의 회전부재(15)와 고정부재(17), 도 1c의 회전축(21)과 고정부재(17) 간의 결합력은 스프링(16)의 탄성력에 전적으로 의지하게 되므로, 스프링(16) 하나가 파손 또는 녹이 슬어 탄성력이 저하되면 전륜(13), 후륜(14), 핸들(12) 및 시트(11)의 회전 기능이 무력화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since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rotary member 15 and the fixing member 17 of Fig. 1B, the rotary shaft 21 of Fig. 1C and the fixing member 17 depends entirely on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16, The rear wheel 14, the handle 12 and the seat 11 can be rendered inoperative if the elasticity of the front wheel 13, the rear wheel 14,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30621호(2012.03.29. 공개)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2-0030621 (published on March 29, 2012)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30626호(2012.03.29. 공개)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2-0030626 (published on March 29, 2012) 대한민국 공고실용신안 제2989-0005134호(1989.08.02. 공고)Practical new model of Korea public announcement 2989-0005134 (announcement of August 2, 1989)

상기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적재기구의 메인 샤프트에 대해 적재부재가 축회전하거나 승/하강되도록 하고, 이 적재기구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동력장치가 장착됨으로써, 필요시 적재부재의 높낮이와 각도를 조정하고, 이용자가 동력장치에 탑승하여 적재기구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 적재기구용 적재부재의 위치가변장치와 이를 구비한 전동 캐리어를 제공하고자 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devis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is to provide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mounting a power unit on a main shaft of a loading mechanism,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sition variable device for a stacking member for a stacking device which is capable of adjusting the height and angle of a stacking member and allowing a user to ride the stacking device on a power unit.

상기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적재기구용 적재부재의 위치가변장치는, 물품을 담는 바구니 또는 사람이 탑승하는 시트인 적재부재가 구비된 적재기구에 있어서, 적재부재가 장착되면서 메인 샤프트에 대해 축회전하도록 장착된 제2회전몸체, 메인 샤프트에 가공된 결합홈, 이 결합홈에 체결 또는 체결해제되도록 제2회전몸체에 내장된 결합부재를 구비한 회전수단;과 메인 샤프트가 관통하면서 메인 샤프트에 대해 회전하도록 장착된 제1회전몸체, 메인 샤프트에 높이 방향으로 장착된 제2마찰부재, 회전하는 제1회전몸체의 내면과 접촉하여 밀리거나 복귀하면서 제2마찰부재와 체결되는 제1마찰부재를 구비한 높이조정수단;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sition variable device for a loading member for a stacking apparatus, comprising: a loading mechanism that is provided with a loading member that is a basket for storing articles or a seat on which a person is placed; A rotating body including a second rotating body mounted for axial rotation with respect to the main shaft, a coupling groove formed in the main shaft, an engaging member incorporated in the second rotating body to be engaged or disengaged from the engaging groove, A first friction body mounted to rotate relative to the shaft, a second friction member mounted to the main shaft in a height direction, a first friction member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rotating first rotating body and is engaged with the second friction member while pushed or returned And height adjusting means provided with a member.

여기서, 제2회전몸체는 제1회전몸체와 체결되도록 연장된 연장결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Here, the second rotating body is provided with an extending engagement portion extended to be engaged with the first rotating body.

또한, 결합부재는 상호 축회전하도록 장착된 제1프레임 및 제2프레임과, 제1프레임 및 제2프레임을 원위치로 축회전시키도록 장착된 제1탄성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engaging member is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 first frame and a second frame mounted to rotate with respect to each other, and a first elastic body mounted to rotate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in place.

이와 더불어, 회전수단은 이동하면서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을 벌리도록 설치된 제2작동부재를 더 포함하고,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의 선단측 부위가 제2작동부재에 의해 축회전하면서 벌어지거나, 제1탄성체에 의해 오므라들면서 결합홈에 체결해제 또는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rotating means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actuating member installed to open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while moving, and the front end side portions of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may be rotated by the second actuating member, Or is disengaged or fastened to the coupling groove while being disturbed by the first elastic body.

이때, 제2작동부재는 제2회전몸체에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 사이에 배치되어 왕복 이동하는 몸통을 구비하고, 몸통이 이동하면서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을 밀어서 벌어지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is case, the second actuating member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on the second rotating body, and includes a body that reciprocates, and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are slid while the body moves, do.

또한, 제2작동부재는 몸통을 원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해 몸통의 일부위에 설치된 제2탄성체, 몸통에서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이 접촉하는 부위에 하향으로 좁아지게 가공된 경사부와, 몸통으로부터 돌출되어 제2탄성체가 끼워지는 가이드바 중 적어도 하나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second actuating member includes a second elastic body provided on a part of the body for returning the body to its original position, an inclined part which is machined downward at a portion where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at the body, And at least one of the guide bars into which the second elastic body is fitted.

또, 제2회전몸체는 내부에 일정 간격을 가지면서 입상으로 배치된 다수의 지지대를 더 구비하고, 지지대들 사이에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의 축결합된 부위가 위치하여 전방 또는 후방으로 밀리지 않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cond rotating body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supports arranged in a granular state with a predetermined interval therebetween. The axially coupled portions of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are located between the supports, .

그리고, 결합홈은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의 선단부위를 각각 수용하여 체결되도록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메인 샤프트의 원주면 둘레에 다수 가공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coupling grooves are paired to receive and fasten the tip end portions of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respectively, and a plurality of the coupling grooves are machined around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shaft.

한편, 높이조정수단은 제1회전몸체의 내면과 메인 샤프트의 외면 사이에 제1마찰부재의 두께보다 더 작은 간격을 갖도록 마련된 결합공간부와, 제1회전몸체의 내면과 메인 샤프트의 외면 사이에 제1마찰부재의 두께보다 더 큰 간격을 갖도록 마련된 결합해제공간부를 더 구비하거나, 제1회전몸체의 내면에 경사면을 가지면서 중심을 향해 돌출된 결합돌기를 더 구비하고, 제1마찰부재가 결합공간부 또는 결합해제공간부에 위치하거나, 결합돌기에 위치하여 제2마찰부재와 상호 체결 또는 체결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the height adjusting means is provided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rotating body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shaft, and has a space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he first friction member and a space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rotating body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shaft And a coupling protrusion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rotating body so as to have an interval larger than the thickness of the first friction member, or a coupling protrusion protruding toward the center with an inclined surface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rotating body, And the second friction member is engaged with or disengaged from the second friction member.

또한, 높이조정수단은 메인 샤프트의 원주면에 가공된 다수의 걸림홈, 이 걸림홈에 결합하도록 축회전 또는 이동하게 설치된 걸림부재와, 걸림부재를 축회전 또는 이동시키도록 제1회전몸체에 왕복 이동하도록 장착된 제1작동부재를 더 포함하고, 제1작동부재가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설치된 탄성체와, 걸림부재가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설치된 탄성체 중 적어도 하나가 설치되고, 걸림홈은 제1마찰부재와 제2마찰부재가 체결 또는 체결해제되는 위치에서 제1걸림부재와 체결하도록 가공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height adjusting means includes a plurality of engaging grooves form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shaft, an engaging member provided to rotate or move the shaft so as to engage with the engaging groove, Wherein at least one of an elastic body provided so as to return the first operating member to the original position and an elastic body provided to return the retaining member to the original position is provided and the retaining groove is provided with a first friction member And the second friction member is engaged with the first engaging member at a position where the second friction member is engaged or disengaged.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전동 캐리어에 있어서, 상술된 위치가변장치 를 구비한 적재기구;와 적재기구를 이동시키도록 동력부, 동력부에 의해 운동하도록 설치된 바퀴부, 동력부와 바퀴부가 장착된 메인바디와, 이 메인바디와 적재기구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비한 동력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electric carr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electric carrier includes: a loading mechanism having the above-described position variable device; a power unit for moving the loading mechanism; a wheel unit for moving by the power unit; And a power unit having a body and a connecting portion connecting the main body and the loading mechanism.

여기서, 동력부는 바퀴부를 구동시키도록 설치된 동력원, 이 동력원에 전원을 인가하도록 설치된 배터리와, 배터리의 전원을 인가 또는 단락시키도록 설치된 전원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power unit includes a power source installed to drive the wheel, a battery installed to apply power to the power source, and a power switch provided to apply or short-circuit the power of the battery.

또한, 동력부는 메인바디의 하부에 장착되어 동력원에 의해 구동하는 바퀴부의 전륜 또는 후륜의 구름 운동을 증감시키도록 설치된 가속기, 전륜 또는 후륜의 구름 운동을 정지시키도록 설치된 제동기와, 가속기 또는 제동기의 신호를 수신하거나 동력부의 신호를 수신하여 전륜 또는 후륜의 구름 운동을 제어하도록 설치된 제어기 중 적어도 하나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ower unit includes an accelerator provided to increase or decrease rolling motion of the front wheel or a rear wheel of a wheel mounted on a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and driven by a power source, a brake provided to stop the rolling motion of the front wheel or the rear wheel, And a controller installed to receive the signal of the power unit and control the rolling motion of the front wheel or the rear wheel.

그리고, 연결부는 메인바디와 적재기구의 일부위를 연결하는 연결프레임과, 이 연결프레임을 메인바디 또는 적재기구에 착탈 또는 축회전 가능하게 체결되는 고정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connection portion includes a connection frame connecting the main body and a part of the loading mechanism, and a fixing pin that is detachably or rotat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or the loading mechanism.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유모차용 시트 또는 카트용 바구니 등을 포함한 적재부재가 착탈되면서 높이조정수단과 회전수단에 의해 승/하강 및 축회전되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that the stacking member including the seat for the baby carriage or the basket for the cart is attached and detached, and is raised / lowered and rotated by the height adjusting means and the rotating means.

또한, 높이조정수단에서 제1몸체를 단순히 회전시켜 제1마찰부재와 제2마찰부재를 체결 또는 체결해제할 수 있고, 간단한 작업으로 강한 체결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Further, the first body can be simply rotated by the height adjusting means so that the first friction member and the second friction member can be fastened or unfastened, and strong fastening can be performed with a simple operation.

또, 제1작동부재와 걸림부재 및 걸림홈의 연계 작동으로 인해 제1마찰부재와 제2마찰부재의 체결 또는 체결해제 상태가 견고히 유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that the fastening or disengagement state of the first friction member and the second friction member can be firmly maintained by the combined operation of the first operating member and the engaging member and the engaging groove.

그리고, 회전수단에서 제2작동부재의 이동으로 결합부재를 벌리거나 오므림으로써, 간단한 작동으로 제2회전몸체가 메인샤프트에 대해 체결 또는 체결해제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제2회전몸체를 축회전 및 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second rotating body can be engaged or disengaged with respect to the main shaft by simple operation by opening or breaking the engaging member by the movement of the second operating member in the rotating means, And can be fixed.

또한, 적재기구를 동력장치로 이동시킬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극대화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loading mechanism can be moved to the power unit, the convenience of the user is maximized.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도 1a는 종래의 유모차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1b와 도 1c는 도 1a에 도시된 몸체와, 바퀴 또는 핸들 또는 시트의 결합부위의 작동 구조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적재부재의 위치가변장치가 장착된 적재기구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위치가변장치가 확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회전수단과 높이조정수단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5a와 도 5b는 도 3의 높이조정수단이 메인 샤프트에 고정된 상태가 도시된 외형도 및 내부 평단면도이다.
도 6a와 도 6b는 도 3의 높이조정수단과 메인 샤프트의 체결이 해제된 상태가 도시된 외형도 및 내부 평단면도이다.
도 7a와 도 7b는 도 3의 회전수단이 메인 샤프트에 고정된 상태가 도시된 외형도 및 내부 평단면도이다.
도 7c는 도 7b에 도시된 제2작동부재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8a와 도 8b는 도 3의 회전수단과 메인 샤프트의 체결이 해제된 상태가 도시된 외형도 및 내부 평단면도이다.
도 9a와 도 9b는 도 3의 회전수단이 메인 샤프트를 따라 축회전하는 상태가 도시된 외형도 및 내부 평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동 캐리어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동력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are incorporated in and constitute a part of the specification,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nd, together with the description, serve to further the understanding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invention, It should not be interpreted.
Fig. 1A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ventional baby carriage.
Figs. 1B and 1C are views showing the operating structure of the body shown in Fig. 1A and the coupling portion of the wheel or the handle or the seat.
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loading mechanism equipped with a position variable device of a loading memb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position variable device shown in Fig.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rotation means and the height adjusting means shown in Fig. 3; Fig.
5A and 5B are an external view and an internal flat cross-sectional view in which the height adjusting means of FIG. 3 is fixed to the main shaft.
6A and 6B are an external view and an internal flat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eight adjusting means and the main shaft of Fig. 3 are disengaged from each other.
FIGS. 7A and 7B are an external view and an internal flat sectional view, respectively, in which the rotating means of FIG. 3 is fixed to the main shaft.
Fig. 7C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econd actuating member shown in Fig. 7B. Fig.
8A and 8B are an external view and an internal flat cross-sectional view, respective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otation means and the main shaft of Fig. 3 are disengaged.
9A and 9B are an external view and an internal flat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otating means of FIG. 3 is rotated along the main shaft.
10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ower carri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ower unit shown in Fig.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위치가변장치><Position variable device>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적재부재의 위치가변장치가 장착된 적재기구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위치가변장치가 확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회전수단과 높이조정수단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5a와 도 5b는 도 3의 높이조정수단이 메인 샤프트에 고정된 상태가 도시된 외형도 및 내부 평단면도이다. 도 6a와 도 6b는 도 3의 높이조정수단과 메인 샤프트의 체결이 해제된 상태가 도시된 외형도 및 내부 평단면도이다. 도 7a와 도 7b는 도 3의 회전수단이 메인 샤프트에 고정된 상태가 도시된 외형도 및 내부 평단면도이다. 도 7c는 도 7b에 도시된 제2작동부재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8a와 도 8b는 도 3의 회전수단과 메인 샤프트의 체결이 해제된 상태가 도시된 외형도 및 내부 평단면도이다. 도 9a와 도 9b는 도 3의 회전수단이 메인 샤프트를 따라 축회전하는 상태가 도시된 외형도 및 내부 평단면도이다. 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loading mechanism equipped with a position variable device of a loading memb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position variable device shown in Fig.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rotation means and the height adjusting means shown in Fig. 3; Fig. 5A and 5B are an external view and an internal flat cross-sectional view in which the height adjusting means of FIG. 3 is fixed to the main shaft. 6A and 6B are an external view and an internal flat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eight adjusting means and the main shaft of Fig. 3 are disengaged from each other. FIGS. 7A and 7B are an external view and an internal flat sectional view, respectively, in which the rotating means of FIG. 3 is fixed to the main shaft. Fig. 7C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econd actuating member shown in Fig. 7B. Fig. 8A and 8B are an external view and an internal flat cross-sectional view, respective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otation means and the main shaft of Fig. 3 are disengaged. 9A and 9B are an external view and an internal flat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otating means of FIG. 3 is rotated along the main shaft.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적재기구용 적재부재의 위치가변장치(100)는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기구(200)에서 적재부재가 장착되는 받침부재(121a)를 메인 샤프트(210)에 대해 높이 조정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높이조정수단(110)과, 축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 회전수단(1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적재기구(200)가 일 예로 유모차인 경우 적재부재는 아기가 탑승하는 시트(seat)가 되고, 다른 예로 카트인 경우 적재부재는 물품을 넣는 바구니가 된다. 즉, 본 발명의 적재기구(200)는 유모차 또는 카트에 한정하지 않고, 사람이 착석할 수 있는 기구나 물건을 적재할 수 있는 기구를 통칭할 수 있다. 따라서, 적재부재 역시 유모차의 시트 또는 카트의 바구니에 한정하지 않고, 사람이 탑승하거나 물건이 적재되는 통상의 부재를 통칭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2 and 3, the position variable device 100 for a stacking member for a stack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pport member 121a to which a stacking member is mounted in the stacking mechanism 200, A height adjusting means 110 installed to adjust the height of the main body 210, and a rotating means 120 installed to be rotatable about a shaft. Here, when the loading mechanism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baby carriage, for example, the loading member may be a seat on which a baby is boarded. In another example, a loading member may be a basket for loading articles. That is, the loading mechanism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a baby carriage or a cart, but may be a mechanism capable of seating a person or a device capable of loading objects. Therefore, the loading member is not limited to the seat of the stroller or the basket of the cart, and can be generally referred to as a normal member on which a person is loaded or an object is loaded.

높이조정수단(110)은 위치가변장치(100), 좀 더 구체적으로는 시트가 장착되는 받침부재(121a)를 승/하강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도 5a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회전몸체(111), 제1마찰부재(112), 제2마찰부재(113), 걸림부재(114), 걸림홈(115)과 제1작동부재(11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 높이조정수단(110)은 도 5a 내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작동부재(116)를 이동시켜 제1회전몸체(111)와 메인 샤프트(210) 간의 체결을 해제한 후 제1회전몸체(111)를 포함한 위치가변장치(100)를 메인 샤프트(210)에 대해 승하강시키도록 구성된 것이다. The height adjusting means 110 is a means for raising / lowering the position variable device 100, more specifically, the supporting member 121a on which the seat is mounted. As shown in FIGS. 5A and 5B, And includes a body 111, a first friction member 112, a second friction member 113, an engaging member 114, an engaging groove 115, and a first actuating member 116. 5A to 7, the height adjusting means 110 moves the first actuating member 116 to release the engagement between the first rotating body 111 and the main shaft 210, (100) including the main shaft (111) is moved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main shaft (210).

먼저, 제1회전몸체(111)는 도 5a와 도 5b에서 보듯이, 메인 샤프트(210)가 관통하도록 끼워지고, 회전수단(120)의 제2회전몸체(121)의 연장결합부(매개부재(333))와 체결된다. 이때, 제1회전몸체(111)의 내경은 메인 샤프트(210)의 외경보다 더 크고, 제1회전몸체(111)는 메인 샤프트(210)에 헐거운 끼워 결합 방식으로 장착된다. 이때, 제1회전몸체(111)의 내면에는 대부분이 일정 곡률을 이루고, 일부위가 외경측으로 경사져 파인 형태로 가공된다. 따라서, 결합해제공간부(117)는 결합공간부 내경보다 점점 더 큰 내경을 갖는 형태가 된다. 이러한 제1회전몸체(111)의 내면 형태로 인해 도 5b에서와 같이 메인 샤프트(210)와 결합한 상태에서 일정 곡률을 이루는 대부분의 부위와 메인 샤프트(210) 사이에 결합공간부(118)가 마련되고, 파인 일부위와 메인 샤프트(210) 사이에 결합해제공간부(117)가 마련된다. 도 5b와 도 6b에서와 같이, 결합공간부(118)는 제1마찰부재(112)와 제2마찰부재(113)의 결합을 위해 마련된 공간으로, 제1회전몸체(111)의 내면과 메인 샤프트(210)의 외면 사이의 간격은 제1마찰부재(112)의 두께보다 더 작게 가공된다. 또한, 결합해제공간부(117)는 제1마찰부재(112)와 제2마찰부재(113)의 결합해제를 위해 마련된 공간으로, 제1회전몸체(111)의 내면과 메인 샤프트(210)의 외면 사이의 최대 간격은 제1마찰부재(112)의 두께보다 더 크게 가공된다. 따라서, 제1마찰부재(112)와 제2마찰부재(113)가 대면된 상태에서, 제1회전몸체(111)를 도 5b에서와 같이 평면상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결합공간부(118)의 좁은 간격에 의해 제1마찰부재(112)가 제2마찰부재(113)에 밀착되어 상호 결합되고, 도 6b에서와 같이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결합해제공간부(117)의 넓은 간격에 의해 제1마찰부재(112)와 제2마찰부재(113)가 상호 멀어지게 되어 상호 결합이 해제된다. 한편, 제1회전몸체(111)의 내측면에는 결합공간부(118)와 결합해제공간부(117)를 대체하기 위해 경사면을 가지면서 중심을 향해 돌출된 결합돌기(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제1회전몸체(111)를 평면상 회전시키면 제1마찰부재(112)가 결합돌기에 의해 밀려 제2마찰부재(113)와 밀착하여 결합되고, 제1마찰부재(112)가 결합돌기와 비접촉하면 제2마찰부재(113)와 이격되어 상호 결합해제된다. 5A and 5B, the first rotating body 111 is fitted into the main shaft 210 so as to penetrate therethrough and the extended portion of the second rotating body 121 of the rotating means 120 (333). At this time, the inner diameter of the first rotating body 111 is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main shaft 210, and the first rotating body 111 is loosely fitted to the main shaft 210. At this time, most of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rotating body 111 has a certain curvature, and a par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rotating body 111 is tilted toward the outer diameter side to be processed into a fine shape. Therefore, the engaging provision portion 117 becomes a shape having an inner diameter increasingly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engagement space. 5b, a coupling space 118 is formed between the main shaft 210 and the most part of the main shaft 210, which has a certain curvature in a state of being engaged with the main shaft 210. [ And the provision shaft portion 117 is provided by being coupled between the main shaft portion 210 and the fins. 5B and 6B, the coupling space 118 is a space provided for coupling the first friction member 112 and the second friction member 113. The inner space of the first rotating body 111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rotating member 111 The distance between the outer surfaces of the shaft 210 is made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he first friction member 112. [ The engaging portion 117 is a space provided for releasing the engagement between the first friction member 112 and the second friction member 113.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rotating body 111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main shaft 210 The maximum gap between the outer surfaces is larger than the thickness of the first friction member 112. [ 5B, when the first and second friction members 112 and 113 face each other, when the first rotating body 111 is rotated in a plane direction as shown in FIG. 5B, The first friction member 112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second friction member 113 by an interval and engaged with each other and rot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as shown in Figure 6B, The member 112 and the second friction member 113 are moved away from each other and the mutual engagement is released.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rotating body 111 may have an engaging protrusion (not shown) protruding toward the center with an inclined surface in order to replace the providing portion 117 by engaging with the engaging space portion 118 have. Accordingly, when the first rotating body 111 is rotated in a plane, the first friction member 112 is pushed by the engaging projections to be brought into tight contact with the second friction member 113, and the first friction member 112 is engaged with the engaging projections And is disengaged from the second friction member (113) when they are not in contact with each other.

그리고, 제1마찰부재(112)는 메인 샤프트(210)와 제1회전몸체(111) 사이에 개재되어 평면상 외향으로 이동하려는 탄성력을 갖도록 가공되거나 별도 제작되어 장착된다. 이때, 제1마찰부재(112)의 탄성력에 의해 평면상 제1회전몸체(111)가 회전하여 제1마찰부재(112)가 결합해제공간부(117)에 위치하였을 때, 제2마찰부재(113)와의 결합해제를 위해 상호 멀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제1마찰부재(112)가 가공된 경우는 제1회전몸체(111)의 연장결합부(121b)에서 일부위가 높이 방향으로 절개되어 분기된 형태로 가공될 수 있고, 이때 최소한 제1마찰부재(112)의 부위는 상향으로 벌어지는 경사각을 갖거나 두께가 두꺼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2회전몸체(121)의 연장결합부(121b)가 절개되어 벌어지거나 두꺼워진 형태의 제1마찰부재(112)가 탄성을 가지면서 제2마찰부재(113)와 체결 또는 체결해제될 수 있다. 한편, 제1마찰부재(112)가 별도 제작되어 장착된 경우, 연장결합부(121b)의 일부위를 관통하여 가공된 관통홈(미도시)에 제1마찰부재(112)가 끼워질 수도 있고, 제2회전몸체(121)에 장착될 수도 있다. The first friction member 112 is interposed between the main shaft 210 and the first rotating body 111 and is fabricated or separately manufactured and mounted so as to have an elastic force to move outwardly in a plane. At this time, when the first rotating body 111 is rotated on the plane by the elastic force of the first friction member 112 and the first friction member 112 is engaged with the providing shaft 117, the second friction member 113, respectively. In the case where the first friction member 112 is machined, a part of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rotating body 111 may be cut in the height direction and cut into a branched shape at the extended portion 121b of the first rotating body 111, It is preferable that the portion of the elastic member 112 has an inclination angle that widens upward or becomes thick. That is, the first frictional member 112, which is formed in a shape that the extended portion 121b of the second rotating body 121 is cut open or thickened, is resiliently engaged or disengaged with the second frictional member 113 . On the other hand, when the first friction member 112 is separately manufactured and mounted, the first friction member 112 may be fitted into the through groove (not shown) formed through a part of the extension engagement portion 121b , And may be mounted on the second rotating body 121.

이러한 제1마찰부재(112)와 제2마찰부재(113) 간의 체결은 후술한다. The fastening between the first friction member 112 and the second friction member 113 will be described later.

또한, 제2마찰부재(113)는 메인 샤프트(210)에 높이 방향으로 고정 또는 가공되어 제1마찰부재(112)와의 상호 체결 또는 체결해제되는 부재이다. 여기서, 제2마찰부재(113)와 제1마찰부재(112) 간의 체결은 제2마찰부재(113)와 제1마찰부재(112)에 가공된 다수의 산과 골이 맞물려 체결될 수도 있고, 제2마찰부재(113)와 제1마찰부재(112)의 거친 표면들 간의 밀착에 의해 체결될 수도 있다. 이 제2마찰부재(113)는 별도 제작되어 메인 샤프트(210)에 고정될 수도 있고, 메인 샤프트(210)에 직접 가공될 수도 있다. The second friction member 113 is a member that is fixed or machined in the height direction to the main shaft 210 and is interlocked or disengaged with the first friction member 112. Here, the engagement between the second friction member 113 and the first friction member 112 may be achieved by engaging the second friction member 113 and the first friction member 112, 2 friction member 113 and the coarse surfaces of the first friction member 112. In this case, The second friction member 113 may be separately manufactured and fixed to the main shaft 210 or directly to the main shaft 210.

또, 걸림부재(114)와 걸림홈(115)은 제1마찰부재(112)와 제2마찰부재(113)의 체결 상태 또는 체결해제 상태에서 제1회전몸체(111)의 회전을 고정시킬 수 있는 구조로 가공된다. 여기서, 걸림부재(114)는 대략 바(bar) 형태이면서 일측단부위가 굴절된 형태이다. 이 걸림부재(114)는 제1회전몸체(111)에 탄성을 가지면서 일측단부위가 축회전 또는 일방향 이동하도록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탄성을 위해 스프링 등과 같은 탄성체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걸림홈(115)은 메인 샤프트(210)의 표면에 가공되고, 제1마찰부재(112)와 제2마찰부재(113)가 체결되는 위치와 체결해제되는 위치에 각각 가공될 수 있다. 따라서, 도 5b에서와 같이 제1마찰부재(112)와 제2마찰부재(113)가 체결된 위치에서 걸림부재(114)와 일측 걸림홈(115)이 결합되어 제1마찰부재(112)와 제2마찰부재(113)의 체결을 견고히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도 6b에서와 같이 제1마찰부재(112)와 제2마찰부재(113)가 체결해제된 위치에서 걸림부재(114)와 타측 걸림홈(115)이 결합되어 제1마찰부재(112)와 제2마찰부재(113)의 체결해제를 유지할 수 있다. The engaging member 114 and the engaging groove 115 can fix the rotation of the first rotating body 111 in the engaged state or the unlocked state of the first friction member 112 and the second friction member 113 . Here, the latching member 114 is in the form of a bar and one end is bent. The latching member 114 is preferably mounted such that one end of the latching member 114 is rotated or unidirectionally moved while having elasticity with respect to the first rotating body 111. The latching member 114 may further include an elastic body such as a spring for elasticity. The engaging groove 115 is machined on the surface of the main shaft 210 and can be machined at a position where the first friction member 112 and the second friction member 113 are engaged and disengaged, respectively. 5B, the engaging member 114 and the one-side engaging groove 115 are engaged with the first friction member 112 and the second friction member 113 at a position where the first friction member 112 and the second friction member 113 are engaged, The engagement of the second friction member 113 can be firmly maintained. 6B, when the first friction member 112 and the second friction member 113 are disengaged from each other, the engaging member 114 and the other engaging groove 115 are engaged with each other to form the first friction member 112, And the second friction member 113 can be maintained in the released state.

그리고, 제1작동부재(116)는 제1회전몸체(111)에 탄성을 갖도록 장착되어 걸림부재(114)를 밀어 걸림부재(114)와 걸림홈(115)을 결합 또는 결합해제시킬 수 있도록 장착된다. 이 제1작동부재(116)의 일 예로, 버튼 방식인 경우 버튼을 누르는 외력이 제거되면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스프링 등과 같은 탄성체를 구비하여 장착될 수 있고, 버튼이 걸림부재(114)의 일부위를 누를 수 있도록 장착된다. 따라서, 이 경우 버튼을 누르면 걸림부재(114)의 일부위를 눌러 타측 부위를 축회전시키고, 이로 인해 걸림부재(114)의 타측부위와 걸림홈(115)의 결합이 해제된다. 또한, 외력을 제거하면 버튼이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하면서 걸림부재(114) 역시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하게 되고, 이로 인해 걸림부재(114)의 타부위와 걸림홈(115)이 결합하게 된다. 여기서, 버튼의 원위치 동작은 걸림부재(114)의 탄성력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The first actuating member 116 is mounted on the first rotating body 111 so as to be resilient to push the engaging member 114 to engage or disengage the engaging member 114 and the engaging groove 115 do. As an example of the first actuating member 116, when the button is pressed, an elastic body such as a spring or the like may be mounted so as to return to the original position when an external force for pressing the button is removed. So as to be pressed. Accordingly, in this case, when the button is pushed, a part of the latching member 114 is pressed to rotate the other side portion, thereby releasing the engagement between the latching groove 115 and the other side of the latching member 114. In addition, when the external force is removed, the latching member 114 is also retracted by the elastic force while the button is retracted due to the elastic force, so that the other part of the latching member 114 is engaged with the latching groove 115. Here, the in-position operation of the button can be perform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latching member 114. [

이와 같이 이루어진 높이조정수단(110)의 작동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5b에서와 같이 제1마찰부재(112)와 제2마찰부재(113)가 상호 체결된 상태에서, 제1작동부재(116)를 이동시키면 걸림부재(114)가 축회전하면서 걸림부재(114)와 걸림홈(115)의 결합이 해제된다. 이후, 도 6b에서와 같이 제1회전몸체(111)를 평면상 일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제1마찰부재(112)가 결합해제공간부(117)에 위치하면 외력이 제거되어 제1작동부재(116)가 원위치하게 되며, 걸림부재(114)가 원위치로 축회전하면서 걸림부재(114)와 걸림홈(115)이 결합된다. 이 상태에서 위치가변장치(100)를 메인 샤프트(210)를 따라 위치가변장치(100)를 승/하강시켜 높이를 조정한다. 또한, 위치가변장치(100)의 높이가 조정된 상태에서 제1작동부재(116)를 이동시키면 걸림부재(114)가 축회전하여 걸림부재(114)와 걸림홈(115)의 결합이 해제된다. 이후, 제1회전몸체(111)를 평면상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제1마찰부재(112)가 결합공간부(118)에 위치하면서 제2마찰부재(113)와 체결되면 외력이 제거되어 제1작동부재(116)가 원위치하게 되며, 걸림부재(114)가 원위치로 축회전하면서 걸림부재(114)와 걸림홈(115)이 결합된다. 이와 같은 작동으로 도 7에서와 같이 위치가변장치(100)는 메인 샤프트(210)를 따라 높이가 가변될 수 있고, 가변된 위치에서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걸림부재(114)와 걸림홈(115)이 결합된 상태에서는 제1회전몸체(111)의 평면상 회전이 방지된다. 또한, 제1작동부재(116)에 제공되는 외력은 걸림부재(114)와 걸림홈(115)의 체결이 해제된 상태에서 제거될 수 있다. 따라서, 탄성력에 의해 걸림부재(114)가 메인 샤프트(210)의 표면과 접촉된 상태에서 제1회전몸체(111)가 평면상 회전하게 되고, 이후 탄성력에 의해 걸림부재(114)와 걸림홈(115)이 결합되는 시점이 제1마찰부재(112)가 체결되는 시점 또는 체결이 해제되는 시점이 될 수 있다. The operation of the height adjusting means 110 thus constructed will be described. 5B, when the first operating member 116 is moved in a state where the first friction member 112 and the second friction member 113 are engaged with each other, the engaging member 114 is rotated while the engaging member 114 is rotated, The engagement between the engaging groove 114 and the engaging groove 115 is released. 6B, when the first rotating body 111 is rotated in one direction on the plane and the first friction member 112 is engaged with the providing shaft 117, the external force is removed and the first operating member 116 And the engaging member 114 and the engaging groove 115 are engaged with each other while the engaging member 114 rotates in place. In this state, the position variable device 100 is moved up and down along the main shaft 210 to adjust the height. When the first actuating member 116 is moved in a state where the height of the position variable device 100 is adjusted, the engaging member 114 rotates and the engagement of the engaging member 114 and the engaging groove 115 is released . Thereafter, when the first rotating body 111 is rot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on the plane and the first friction member 112 is engaged with the second friction member 113 while being positioned in the coupling space portion 118, The operating member 116 is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and the engaging member 114 is engaged with the engaging groove 114 while the engaging member 114 rotates in place. With this operation, as shown in FIG. 7, the position variable device 100 can be varied in height along the main shaft 210 and can be firmly fixed at a variable position. Here, when the engaging member 114 and the engaging groove 115 are engaged, rotation of the first rotating body 111 in a plane is prevented. Further, the external force provided to the first actuating member 116 can be removed in a state in which the engagement of the engagement member 114 and the engagement groove 115 is released. Therefore, the first rotating body 111 rotates in a planar state in a state where the engaging member 114 is in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main shaft 210 by the elastic force, and then the engaging member 114 and the engaging groove 115 may be combined at the time when the first friction member 112 is fastened or at the time when the fastening is released.

회전수단(120)은 위치가변장치(100), 좀 더 구체적으로는 시트가 장착되는 받침부재(121a)를 축회전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도 7a와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회전몸체(121)와, 결합부재(122), 결합홈(123)과 제2작동부재(12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 회전수단(120)은 도 7a 내지 도 9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2작동부재(124)를 이동시켜 제2회전몸체(121)와 메인 샤프트(210) 간의 체결을 해제한 후 제2회전몸체(121)를 포함한 위치가변장치(100)를 메인 샤프트(210)에 대해 축회전시키도록 구성된 것이다. The rotating means 120 is a means for rotating the position adjusting device 100, more specifically the supporting member 121a on which the seat is mounted, as shown in FIGS. 7A and 7B, 121, an engaging member 122, an engaging groove 123, and a second actuating member 124. 7A to 9B, the rotation unit 120 moves the second actuating member 124 to release the engagement between the second rotating body 121 and the main shaft 210, The position variable device 100 including the main shaft 210 rotates about its axis.

먼저, 제2회전몸체(121)는 도 7a와 도 7b에서 보듯이 메인 샤프트(210)가 관통하도록 끼워지는 형상이고, 내경은 메인 샤프트(210)의 외경보다 약간 더 크며, 메인 샤프트(210)와는 헐거운 끼움 결합 방식으로 장착된다. 이는 제2회전몸체(121)가 메인 샤프트(210)에 대해 축회전하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제2회전몸체(121)는 제1회전몸체(111)측으로 연장되어 제1회전몸체(111)에 삽입되어 체결되는 연장결합부(121b)를 구비한다. 이 연장결합부(121b)에 높이조정수단(110)의 제1마찰부재(112)가 상술된 바와 같이 가공되거나 별도 제작되어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제2회전몸체(121)의 선단측 부위에는 받침부재(121a)가 장착되고, 이 받침부재(121a)에는 적재부재가 장착 또는 분리된다. 그리고, 이 제2회전몸체(121)의 내부에는 결합부재(122)가 내장되고, 제2작동부재(124)가 일부 외부에 돌출되도록 장착된다. 여기서, 제2회전몸체(121)의 내부에는 결합부재(122)의 위치 고정을 위해 일정 간격을 가지면서 입상으로 배치된 한 쌍의 지지대(125)를 더 구비한다. 이 지지대(125)들 사이에 결합부재(122)의 중앙부위가 배치됨으로써, 이들 지지대(125)에 의해 결합부재(122)가 후방으로 밀리지 않게 된다. 7A and 7B,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second rotating body 121 is slightly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main shaft 210, and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main shaft 210 is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main shaft 210, And is mounted in a loose fitting manner. This is to allow the second rotating body 121 to carry out the charging with respect to the main shaft 210. The second rotating body 121 includes an extension engaging portion 121b that extends toward the first rotating body 111 and is inserted into the first rotating body 111 to be fastened thereto. The first friction member 112 of the height adjusting means 110 may be machined or separately manufactured and mounted on the extension portion 121b. A receiving member 121a is mounted on the tip side portion of the second rotating body 121, and a loading member is mounted or separated on the receiving member 121a. An engaging member 122 is installed inside the second rotating body 121, and a second actuating member 124 is mounted so as to partially protrude from the outside. Here, the second rotating body 121 further includes a pair of supporting members 125 arrang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to fix the position of the coupling member 122. The central portion of the coupling member 122 is disposed between the supports 125 so that the coupling member 122 is not pushed backward by these supports 125.

또한, 결합부재(122)는 제2회전몸체(121)의 축회전이 일정 각도에서 이루어지도록 하는 부재로, 도 7a 내지 도 7c에서와 같이 제1프레임(122a)과 제2프레임(122b)을 구비한다. 좀더 자세하게는, 결합부재(122)는 제1프레임(122a)의 일단측 부위와 제2프레임(122b)의 일단측 부위가 축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어 대략 "V"자 형태를 갖는다. 이때, 제1탄성체가 제1프레임(122a)과 제2프레임(122b)의 벌어진 부위를 오므릴 수 있도록 제1프레임(122a)과 제2프레임(122b)의 결합부위에 장착된 제1탄성체(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 제1탄성체는 일 예로 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제1프레임(122a)과 제2프레임(122b)의 선단측 부위는 벌어지거나 오므라들면서 메인 샤프트(210)에 가공된 결합홈(123)에 체결 또는 체결해제된다. 여기서, 제1프레임(122a)과 제2프레임(122b)의 벌어지거나 오므라지는 동작은 제1프레임(122a)과 제2프레임(122b) 사이에 장착된 제2작동부재(124)에 의해 이루어지고,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또한, 제1프레임(122a)과 제2프레임(122b)의 축결합된 부위가 제2회전몸체(121) 내부에 가공된 지지대(125)들 사이에 위치된다. 그리고, 이 제1프레임(122a)과 제2프레임(122b)의 선단부가 오므라든 상태에서 결합홈(123)과 체결되고, 벌어진 상태에서 결합홈(123)과 체결해제되는 구조이다. 7A to 7C, the first and second frames 122a and 122b may be rotated together with the first and second frames 122a and 122b, Respectively. More specifically, the engaging member 122 has a substantially V-shaped shape in which the one end side portion of the first frame 122a and the one end side portion of the second frame 122b are rotatably coupled. The first elastic body may be a first elastic body mounted on a connecting portion between the first frame 122a and the second frame 122b so that the first elastic body can pull apart the openings between the first frame 122a and the second frame 122b (Not shown). As the first elastic body, for example, a spring may be used. Therefore, the tip side portions of the first frame 122a and the second frame 122b are fastened or unclamped to the engaging groove 123 machined to the main shaft 210 while being widened or broken. Here,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s of the first frame 122a and the second frame 122b are performed by the second actuating member 124 mounted between the first frame 122a and the second frame 122b ,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later. In addition, the axially coupled portions of the first frame 122a and the second frame 122b are positioned between the supports 125 processed inside the second rotating body 121. [ The first frame 122a and the second frame 122b are fastened to the coupling groove 123 in a state in which the leading ends of the first frame 122a and the second frame 122b are tightened and are disengaged from the coupling groove 123 in the opened state.

또, 결합홈(123)은 결합부재(122)의 제1프레임(122a)과 제2프레임(122b)의 일정 간격을 갖는 선단부와 체결될 수 있도록 일정 간격을 갖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적어도 2개소에 가공된다. 여기서, 결합홈(123)이 도 7b에서와 같이 2개소에 90°로 가공되면 도 9b에서와 같이 대략 90°정도로 제2회전몸체(121)가 축회전할 수 있다. 물론, 결합홈(123)들의 가공 각도에 따라 360°미만의 각도 내에서 제2회전몸체(121)가 축회전하도록 할 수 있고, 일 예로 결합홈(123)이 0°, 90°, 180°, 270°로 각각 가공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다양한 각도로 가공될 수 있다. 이때, 도 7bb와 도 9b에서와 같이 이웃한 결합홈(123)의 배치 형태는 하나의 쌍을 이루는 홈들 사이에 다른 쌍을 이루는 홈들 중 일부 홈이 위치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이는 결합부재(122)의 제1프레임(122a)과 제2프레임(122b)이 결합해야하는 홈 이외의 홈에 잘못 결합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물론, 이웃한 결합홈(123)들 중 하나의 쌍을 이루는 홈들 사이에 다른 쌍을 이루는 홈이 위치될 수도 있다. The coupling groove 123 is formed as a pair having a predetermined interval so that the coupling groove 122 can be fastened to the distal end portion of the first frame 122a and the second frame 122b at a predetermined interval, . Here, when the coupling groove 123 is machined at two places at 90 degrees as shown in FIG. 7B, the second rotating body 121 can be rotated about 90 degrees as shown in FIG. 9B. Of course, depending on the machining angle of the engaging grooves 123, the second rotating body 121 may be rotated within an angle of less than 360 °. For example, the engaging grooves 123 may be formed at angles of 0 °, 90 °, 180 ° , 270 °, respectively, and they can be machined at various angles. In this case, as shown in FIGS. 7Bb and 9b, the adjacent coupling grooves 123 may be arranged such that some of the other pairs of grooves are not located between the pair of grooves. This is because the first frame 122a and the second frame 122b of the engaging member 122 may be misjoined to grooves other than the grooves to be engaged with each other. Of course, another pair of grooves may be located between the grooves constituting one pair of the neighboring engaging grooves 123.

그리고, 제2작동부재(124)는 도 7b와 도 7c에서 보듯이 제1프레임(122a)과 제2프레임(122b)을 동시에 밀어서 상호 벌어지도록 하는 부재이다. 이 제2작동부재(124)는 외력이 제공되는 몸통(124a)을 구비한다. 여기서, 몸통(124a)은 제1프레임(122a)과 제2프레임(122b)에 접촉되는 하부가 하향으로 좁아지는 경사부(124b)을 갖는다. 이 경사부(124b)는 제2작동부재(124)가 이동할 때, 제1프레임(122a)과 제2프레임(122b)의 모서리 부위와의 간섭이 최소화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제1프레임(122a)과 제2프레임(122b)의 모서리 부위에도 경사부(124b)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각도의 경사면을 가공할 수도 있다. 이때, 몸통(124a)에는 일면으로부터 길게 돌출되어 몸통(124a)의 이동 방향을 안내하는 가이드바(124c)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이 몸통(124a)을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제2탄성체(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제2탄성체는 가이드바(124c)에 장착되어 가이드바(124c)가 제2탄성체의 위치를 유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2작동부재(124)는 몸통(124a)에 외력을 가하여 일방향으로 누르면 하부의 경사부(124b)와 제1프레임(122a) 및 제2프레임(122b)이 접촉하게 되고, 제1프레임(122a)과 제2프레임(122b)이 제1탄성체의 탄성력을 극복하여 벌어지게 된다. 또한, 외력을 제거하면 몸통(124a)이 제2탄성체에 의해 복귀하고, 제1프레임(122a)과 제2프레임(122b) 역시 제1탄성체에 의해 원위치로 오므라든다. 여기서, 제1탄성체와 제2탄성체가 배제될 수 있고, 이때에는 외력이 제2작동부재(124)를 밀거나 당김으로써 제1프레임(122a)과 제2프레임(122b)의 축회전을 유도할 수 있 실시 예도 가능하다. 여기서, 제2작동부재(124)에는 결합부재(122)측으로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해 측부에 외향 돌출된 멈춤돌기(124c)가 더 구비될 수 있다. The second actuating member 124 is a member which causes the first frame 122a and the second frame 122b to slide at the same time and spread apart as shown in Figs. 7B and 7C. The second actuating member 124 has a body 124a to which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Here, the body 124a has an inclined portion 124b whose lower portion,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frame 122a and the second frame 122b, is narrowed downward. The inclined portion 124b is for minimizing the interference between the first frame 122a and the edge portion of the second frame 122b when the second actuating member 124 moves. For this purpose, the edge portions of the first frame 122a and the second frame 122b may be inclined at the same or similar angle as the inclined portion 124b. At this time, the body 124a may further include a guide bar 124c that protrudes from one surface of the body 124a and guides the moving direction of the body 124a. Further, it may further comprise a second elastic body (not shown) for returning the body 124a to the original position. At this time, the second elastic body is mounted on the guide bar 124c, and the guide bar 124c can maintain the position of the second elastic body. Accordingly, when the second actuating member 124 is pressed in one direction by applying an external force to the body 124a, the lower inclined portion 124b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first frame 122a and the second frame 122b, The first frame 122a and the second frame 122b can overcome the elastic force of the first elastic body. In addition, when the external force is removed, the body 124a is returned by the second elastic body, and the first frame 122a and the second frame 122b are also retracted by the first elastic body. Here, the first elastic body and the second elastic body may be excluded, and at this time, an external force may push or pull the second actuating member 124 to induce axial rotation of the first frame 122a and the second frame 122b Embodiments are also possible. Here, the second actuating member 124 may further be provided with a detent projection 124c protruding outwardly to the side to limit the movement toward the engaging member 122 side.

이와 같이 이루어진 회전수단(120)의 작동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The operation of the rotating means 120 thus constructed will be described.

도 7b, 8b와 도 8c에서 보듯이, 제2회전몸체(121)가 메인 샤프트(210)에 고정된 상태를 보면, 결합부재(122)의 제1프레임(122a)과 제2프레임(122b)이 제1탄성체에 의해 오므라든 상태에서 제1프레임(122a)과 제2프레임(122b)의 선단부위가 메인 샤프트(210)에 가공된 한 쌍의 결합홈(123)에 각각 체결되어 있다. 여기서, 외력을 제공하여 제2작동부재(124)를 누르면 제1프레임(122a)과 제2프레임(122b) 사이로 이동하게 되고, 제1프레임(122a)과 제2프레임(122b)이 벌어지면서 제1프레임(122a)과 제2프레임(122b)의 선단부위와 결합홈(123)의 체결이 해제된다. 이후, 제2회전몸체(121)를 일정 각도로 축회전시키고, 외력을 제거하면 제2작동부재(124)가 제2탄성체에 의해 복귀하면서 제1프레임(122a)과 제2프레임(122b) 역시 제1탄성체에 의해 원위치로 오므라든다. 이때, 제1프레임(122a)과 제2프레임(122b)의 선단부위가 메인 샤프트(210)의 다른 한 쌍의 결합홈(123)에 각각 체결된다. 이와 같은 작동으로 제2회전몸체(121)는 메인 샤프트(210)에 대해 다양한 각도로 축회전할 수 있다.
7B, 8B and 8C, the second rotating body 121 is fixed to the main shaft 210. The first frame 122a and the second frame 122b of the coupling member 122, The front end portions of the first frame 122a and the second frame 122b are fastened to a pair of coupling grooves 123 machined on the main shaft 210 in a state of being closed by the first elastic body. Here,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and the second actuating member 124 is pressed, the first frame 122a and the second frame 122b are moved between the first frame 122a and the second frame 122b, The fastening of the engaging groove 123 on the tip ends of the first frame 122a and the second frame 122b is released. Then, when the second rotating body 121 is rotated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the external force is removed, the first and second frames 122a and 122b are rotated by the second elastic member, The first elastic body causes it to come back in place. At this time, the front end portions of the first frame 122a and the second frame 122b are fastened to the other pair of coupling grooves 123 of the main shaft 210, respectively. With this operation, the second rotating body 121 can rotate at various angles with respect to the main shaft 210.

<전동 캐리어><Electric carrier>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동 캐리어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동력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10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ower carri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ower unit shown in Fig.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동 캐리어는 도 10에서 보듯이, 적재부와 위치가변장치(100)를 구비한 적재기구(200)와, 이 적재기구(200)를 전동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동력장치(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적재기구(20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상술되어 있으므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필요시 간략히 언급하기로 한다. As shown in FIG. 10, the electric carri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oading mechanism 200 having a loading portion and a position variable device 100, a power device 200 for moving the loading mechanism 200 by electric power, (300). Here,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loading mechanism 200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so tha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and a brief description will be made as necessary.

동력장치(300)는 도 10과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바디(310), 동력부(320), 바퀴부(330)와 연결부(3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 동력장치(300)는 적재부, 메인 샤프트(210)와 위치가변장치(100)가 구비된 적재기구(200)를 전동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장치로, 적재기구(200)에 연결시켜 사용하도록 구성된다. The power unit 300 includes a main body 310, a power unit 320, a wheel unit 330, and a connection unit 340, as shown in FIGS. This power unit 300 is a unit for moving the loading mechanism 200 equipped with the loading unit, the main shaft 210 and the position variable device 100 by electrically connecting the loading unit 200 to the loading mechanism 200 do.

먼저, 메인바디(310)는 동력부(320)의 배터리(321)와 바퀴부(330)가 장착되는 부재이다. 이 메인바디(310)는 일 예로, 도 11에서와 같이 상부바디(311)와 하부바디(312)의 체결로 이루어진다. 이 메인바디(310)에 배터리(321)와 제어기(323)가 내장되고, 하부에 바퀴부(330)가 장착되며, 전부(前部)에 연결부(340)가 장착된다. 또한, 메인바디(310)에는 동력장치(300)의 속도를 조정하기 위한 가속기 및 제동기가 설치될 수도 있고,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First, the main body 310 is a member to which the battery 321 and the wheel unit 330 of the power unit 320 are mounted. As shown in FIG. 11, the main body 310 is formed by fastening the upper body 311 and the lower body 312, for example. A battery 321 and a controller 323 are installed in the main body 310 and a wheel part 330 is mounted on a lower part and a connection part 340 is mounted on a front part. Also, an accelerator and a brake for adjusting the speed of the power unit 300 may be installed in the main body 31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또한, 동력부(320)는 바퀴부(330)를 구동시키는 장치로, 배터리(321), 전원스위치(미도시), 동력원(322), 가속기(미도시), 제동기와 제어기(323)를 구비한다. The power unit 320 drives the wheel unit 330 and includes a battery 321, a power switch (not shown), a power source 322, an accelerator (not shown), a brake and a controller 323 do.

여기서, 배터리(321)는 동력원(322)에 전기를 인가하도록 설치되면서 제어기(323)에 의해 제어되도록 메인바디(310)에 내장된다. Here, the battery 321 is installed in the main body 310 so as to be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323 while being installed to apply electricity to the power source 322.

또한, 전원스위치는 배터리(321)의 전기를 동력원(322)에 전달 또는 단절시키도록 설치된다. 이 전원스위치는 버튼 형태, 일반 스위치 형태 또는 열쇠를 꽂아 돌리는 방식의 구조일 수 있다. 전원스위치는 이러한 구조의 형태에 따라 적재기구(200)의 핸들부위나 동력장치(300)의 메인바디(310) 등을 포함한 적재기구(200)의 어느 곳에 무방하게 설치될 수 있다. Further, the power switch is provided to transmit or disconnect the electricity of the battery 321 to the power source 322. [ The power switch may be a button type, a general switch type, or a key-inserted type. The power switch can be freely installed anywhere in the loading mechanism 200 including the handle portion of the loading mechanism 200 or the main body 310 of the power unit 300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structure.

또, 동력원(322)은 메인바디(310)에 내장되면서 바퀴부(330)의 전륜(331) 또는 후륜(332)을 직접 운동시키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외에 메인바디(310)에 내장되면서 체인 등과 같은 별도의 부재를 통해 전륜(331) 또는 후륜(332)을 운동시키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이 동력원(322)은 일 예로 모터일 수 있다.The power source 322 may be installed in the main body 310 to directly move the front wheel 331 or the rear wheel 332 of the wheel unit 330. In addition, Or may be provided to move the front wheel 331 or the rear wheel 332 through a separate member such as a chain or the like. The power source 322 may be, for example, a motor.

그리고, 가속기 또는 제동기는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면서 제어기(323)와 유/무선으로 연결되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가속기는 일 예로 가속패달(pedal) 형태의 구조일 수도 있고, 자전거 또는 오토바이 방식인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레버(lever) 형태의 구조일 수 있다. 따라서, 가속패달을 밟거나 레버를 당겨 동력장치(300)의 이동속도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제동기의 경우 차량용 브레이크 방식이 차용될 수도 있고, 일 예로 도 10과 도 11에서와 같이 전륜(331) 또는 후륜(332)와 밀착할 수 있도록 메인바디(310)에 별도의 제동부재(313)가 설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제동부재(313)에 외력을 가하여 제동부재(313)가 축회전하면서 전륜(331) 또는 후륜(332)에 밀착됨으로써 전륜(331) 또는 후륜(332)의 회전을 직접적으로 정지시키게 된다. 여기서, 도면에서와 같이 일 예로, 제동부재(313)는 어느 하나 또는 다수의 후륜(332) 모두에 각각 장착될 수 있고, 이때 후륜(332)들은 상호 동일 구름 운동을 하도록 연결축(미도시)으로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어느 하나의 제동부재(313)에 외력을 가하여 어느 하나의 후륜(332)의 회전이 감속하면 다른 하나의 후륜(332) 역시 동일하게 감속 회전함으로써, 동력장치(300)가 정지하게 된다. 한편, 가속기 또는 제동기의 작동이 제어기(323)를 거쳐 동력원(322)을 제어할 수 있는 구조로 변경가능하다. 또한, 가속기와 제동기 및, 제어기가 배제되고, 항상 일정한 속도로만 동력장치가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The accelerator or the brake is installed to be connected to the controller 323 by wire or wirelessly while being disposed at a position where the user can operate. Here, the accelerator may be, for example, a structure of an accelerator pedal type, or a structure of a lever type which can be grasped by hand, such as a bicycle or a motorcycle. Thus, the speed of movement of the power unit 300 can be adjusted by depressing the accelerator pedal or by pulling the lever. 10 and 11, a separate braking member 313 (not shown) may be attached to the main body 310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wheel 331 or the rear wheel 332. In this case, ) May be installed.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braking member 313 so that the braking member 313 rotates about its axis and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wheel 331 or the rear wheel 332 to directly stop the rotation of the front wheel 331 or the rear wheel 332. Here, as shown in the drawing, the braking member 313 may be mounted on either one or a plurality of rear wheels 332, respectively, and the rear wheels 332 may be connected to a connecting shaft (not shown) Respectively. Therefore,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one of the braking members 313 and the rotation of one of the rear wheels 332 is reduced, the other rear wheel 332 is also reduced in speed by the same rotation, whereby the power unit 300 is stopped. On the other hand, the operation of the accelerator or the brake can be changed to a structure capable of controlling the power source 322 via the controller 323. [ Also, the accelerator, the brake, and the controller may be omitted, and the power unit may be configured to move only at a constant speed at all times.

그리고, 제어기(323)는 메인바디(310)에 내장되면서 전원스위치, 동력원(322)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제어기(323)는 전원스위치의 신호를 수신하여 동력원(322)의 전원을 인가 또는 단절시키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제어기(323)가 가속기와 제동기의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가속기와 제동기의 작동 신호를 수신하여 동력원(322)의 출력 정도를 제어할 수도 있다. The controller 323 is built in the main body 310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wer switch and the power source 322. Therefore, the controller 323 receives the signal of the power switch and controls the power source 322 to be turned on or off. Here, when the controller 323 receives the signals of the accelerator and the brake, it may receive the operation signals of the accelerator and the brake and control the degree of output of the power source 322. [

한편, 바퀴부(330)는 메인바디(310)의 전부와 후부에 장착된 전륜(331)과 후륜(332)을 구비한다. 일 예로, 바퀴부(330)는 1개의 전륜(331)과 2개의 후륜(332)으로 이루어지고, 이외에도 전륜(331)과 후륜(332)이 2개의 전륜(331)과 1개의 후륜(332), 2개의 전륜(331)과 2개의 후륜(332) 또는 3개 이상의 전륜(331)과 후륜(33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전륜(331)과 후륜(332)은 메인바디(310)의 하부에 장착되고, 전륜(331)과 후륜(332) 중 어느 바퀴는 동력원(322)에 의해 구름 운동하는 구동바퀴가 되고, 다른 바퀴는 종동바퀴가 된다. 물론, 전륜(331)과 후륜(332) 모두 구동바퀴가 될 수도 있다. 그리고, 바퀴부(330)는 전륜(331)과 후륜(332) 이외에도 보조 바퀴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도 11에서와 같이, 1개의 전륜(331)을 구비한 경우, 전륜(331)은 별도의 매개부재(333)를 통해 메인바디(310)에 장착된다. 또한, 후륜(332)이 구동바퀴인 경우, 2개의 후륜(332)들은 동일 구름 운동을 하도록 연결축에 의해 연결됨으로써, 동력원(322)의 구동력이 2개의 후륜(332)에 전달되고, 1개의 후륜(332)에 제공된 제동력이 다른 후륜(332)에도 전달되도록 한다. The wheel unit 330 includes a front wheel 331 and a rear wheel 332 mounted on the front and rear portions of the main body 310. The front wheel 331 and the rear wheel 332 are formed of two front wheels 331 and one rear wheel 332. The front wheel 331 and the rear wheel 332 are formed of a single front wheel 331 and two rear wheels 332, Two front wheels 331 and two rear wheels 332 or three or more front wheels 331 and rear wheels 332. The front wheel 331 and the rear wheel 332 are mount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310. Wheels of the front wheel 331 and the rear wheel 332 are driven by the power source 322, The wheels become the driven wheels. Of course, both the front wheel 331 and the rear wheel 332 may be driven wheels. The wheel unit 330 may further include auxiliary wheels in addition to the front wheel 331 and the rear wheel 332. 11, when the front wheel 331 is provided, the front wheel 331 is mounted to the main body 310 via a separate intermediate member 333. [ When the rear wheel 332 is a driving wheel, the two rear wheels 332 are connected by a connecting shaft so as to perform the same rolling motion, whereby the driving force of the power source 322 is transmitted to the two rear wheels 332, So that the braking force provided to the rear wheel 332 is transmitted to the other rear wheel 332 as well.

또한, 연결부(340)는 동력장치(300)와 적재기구(200)를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연결프레임(341)과 고정핀(342)을 구비한다. The connecting portion 340 is for connecting the power unit 300 and the loading mechanism 200 and includes a connecting frame 341 and a fixing pin 342.

여기서, 연결프레임(341)은 일정한 길이를 가지고, 메인바디(310)의 전부(前部)에 고정 또는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 경우, 연결프레임(341)은 적재기구(200)의 일부위와 고정핀(342)을 통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한편, 연결프레임(341)은 적재기구(200) 또는 메인바디(310)의 어느 일측에 고정될 수도 있고, 양측 모두 고정 또는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수도 있다. 이때, 연결프레임(341)은 적재기구() 또는 동력장치() 중 어느 하나는 다른 하나에 대해 축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고, 이는 주행시 방향 전환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Here, the connection frame 341 has a predetermined length and is fixedly or removably installed on the front portion of the main body 310. In this case, the connection frame 341 can be detachably mounted on a part of the loading mechanism 200 and the fixing pin 342. [ Meanwhile, the connection frame 341 may be fixed to one side of the loading mechanism 200 or the main body 310, or both sides may be fixed or detachable. At this time, the connecting frame 341 can be installed so that one of the loading mechanism () or the power unit () can be pivotally rotated with respect to the other, so that the turning of the connecting frame 341 can be facilitated.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등록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As described abov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to be considere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equivalents of the claims are to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100:위치가변장치
110::높이조정수단
111:제1회전몸체
112:제1마찰부재
113:제2마찰부재
114:걸림부재
115:걸림홈
116:제1작동부재
117:결합해제공간부
118:결합공간부
120:회전수단
121:제2회전몸체
121a:받침부재
121b:연장결합부
122:결합부재
122a:제1프레임
122b:제2프레임
123:결합홈
124:제2작동부재
124a:몸통
124b:경사부
125:지지대
200:적재기구
300:동력장치
310:메인바디
311:상부바디
312:하부바디
313:제동부재
320:동력부
321:배터리
322:동력원
323:제어기
330:바퀴부
331:전륜
332:후륜
333:매개부재.
100: position variable device
110 :: height adjusting means
111: first rotating body
112: first friction member
113: second friction member
114:
115:
116: first operating member
117: Combined to provide executive
118:
120: rotating means
121: Second rotating body
121a: Support member
121b:
122:
122a: first frame
122b: second frame
123: Coupling groove
124: second actuating member
124a: torso
124b:
125: Support
200: loading mechanism
300: Power unit
310: main body
311: upper body
312: lower body
313:
320:
321: Battery
322: Power source
323:
330:
331: front wheel
332: rear wheel
333: absence of mediation.

Claims (14)

물품을 담는 바구니 또는 사람이 탑승하는 시트인 적재부재가 구비된 적재기구에 있어서,
상기 적재부재가 장착되면서 메인 샤프트(210)에 대해 축회전하도록 장착된 제2회전몸체(121), 메인 샤프트(210)에 가공된 결합홈(123), 이 결합홈(123)에 체결 또는 체결해제되도록 제2회전몸체(121)에 내장된 결합부재(122)를 구비한 회전수단(120);과
상기 메인 샤프트(210)가 관통하면서 메인 샤프트(210)에 대해 회전하도록 장착된 제1회전몸체(111), 메인 샤프트(210)에 높이 방향으로 장착된 제2마찰부재(113), 회전하는 제1회전몸체(111)의 내면과 접촉하여 밀리거나 복귀하면서 제2마찰부재(113)와 체결되는 제1마찰부재(112)를 구비한 높이조정수단(110);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기구용 적재부재의 위치가변장치.
CLAIMS 1. A loading mechanism having a loading member, which is a basket for loading articles or a seat for loading a person,
A second rotating body 121 mounted to rotate about the main shaft 210 while the loading member is mounted on the main shaft 210, a coupling groove 123 formed in the main shaft 210, (120) having an engaging member (122) embedded in the second rotating body (121) to be released;
A first rotating body 111 mounted on the main shaft 210 so as to rotate with respect to the main shaft 210 while passing through the main shaft 210, a second friction member 113 mounted on the main shaft 210 in the height direction, And a height adjusting means 110 having a first friction member 112 which comes into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one rotating body 111 and is pushed or returned while being engaged with the second friction member 113 And the position changing device of the loading member for a load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회전몸체(121)는 제1회전몸체(111)와 체결되도록 연장된 연장결합부(121b)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기구용 적재부재의 위치가변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cond rotating body (121) is provided with an extended coupling part (121b) extended to be engaged with the first rotating body (1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122)는 상호 축회전하도록 장착된 제1프레임(122a) 및 제2프레임(122b)과, 제1프레임(122a) 및 제2프레임(122b)을 원위치로 축회전시키도록 장착된 제1탄성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기구용 적재부재의 위치가변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engaging member 122 includes a first frame 122a and a second frame 122b mounted to rotate together and a first frame 122a and a second frame 122b mounted to rotate the first frame 122a and the second frame 122b in- And a first elastic body disposed on the first elastic membe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수단(120)은 이동하면서 제1프레임(122a)과 제2프레임(122b)을 벌리도록 설치된 제2작동부재(124)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프레임(122a)과 제2프레임(122b)의 선단측 부위가 제2작동부재에 의해 축회전하면서 벌어지거나, 제1탄성체에 의해 오므라들면서 결합홈(123)에 체결해제 또는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기구용 적재부재의 위치가변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rotating means 120 further includes a second actuating member 124 installed to open the first frame 122a and the second frame 122b while moving,
The front end side portions of the first frame 122a and the second frame 122b are opened while being rotated by the second actuating member or they are disengaged or fastened to the coupling grooves 123 while being disturbed by the first elastic body And the position changing device of the loading member for a loader.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작동부재(124)는 제2회전몸체(121)에 제1프레임(122a)과 제2프레임(122b) 사이에 배치되어 왕복 이동하는 몸통(124a)을 구비하고,
상기 몸통(124a)이 이동하면서 제1프레임(122a)과 제2프레임(122b)을 밀어서 벌어지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기구용 적재부재의 위치가변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second actuating member 124 has a body 124a which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frame 122a and the second frame 122b and reciprocates in the second rotating body 121,
And the first frame (122a) and the second frame (122b) are pushed and opened while the body (124a) is moving.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작동부재(124)는 몸통(124a)을 원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해 몸통(124a)의 일부위에 설치된 제2탄성체, 몸통(124a)에서 제1프레임(122a)과 제2프레임(122b)이 접촉하는 부위에 하향으로 좁아지게 가공된 경사부(124b)와, 상기 몸통(124a)으로부터 돌출되어 제2탄성체가 끼워지는 가이드바(124c) 중 적어도 하나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기구용 적재부재의 위치가변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second actuating member 124 includes a second elastic body installed on a part of the body 124a to return the body 124a to the original position, a first frame 122a and a second frame 122b And a guide bar (124c) protruded from the body (124a) and into which the second elastic body is fitted, characterized by further comprising at least one of an inclined portion (124b) narrowed downward at a contacting portion and a guide bar The position variable device of the membe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회전몸체(121)는 내부에 일정 간격을 가지면서 입상으로 배치된 다수의 지지대(125)를 더 구비하고,
상기 지지대(125)들 사이에 제1프레임(122a)과 제2프레임(122b)의 축결합된 부위가 위치하여 전방 또는 후방으로 밀리지 않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기구용 적재부재의 위치가변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second rotating body 121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supports 125 arranged in a granular state with a predetermined gap therebetween,
Wherein the axially coupled portions of the first frame (122a) and the second frame (122b) are positioned between the supports (125) so as not to be pushed forward or backward.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123)은 제1프레임(122a)과 제2프레임(122b)의 선단부위를 각각 수용하여 체결되도록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메인 샤프트(210)의 원주면 둘레에 다수 가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기구용 적재부재의 위치가변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coupling grooves 123 are formed in pairs so as to receive and fasten the front end portions of the first frame 122a and the second frame 122b and are formed in a large number around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shaft 210 Of the stacking device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정수단(110)은 제1회전몸체(111)의 내면과 메인 샤프트(210)의 외면 사이에 제1마찰부재(112)의 두께보다 더 작은 간격을 갖도록 마련된 결합공간부(118)와, 제1회전몸체(111)의 내면과 메인 샤프트(210)의 외면 사이에 제1마찰부재(112)의 두께보다 더 큰 간격을 갖도록 마련된 결합해제공간부(117)를 더 구비하거나, 상기 제1회전몸체(111)의 내면에 경사면을 가지면서 중심을 향해 돌출된 결합돌기를 더 구비하고,
제1마찰부재(112)가 결합공간부(118) 또는 결합해제공간부(117)에 위치하거나, 결합돌기에 위치하여 제2마찰부재(113)와 상호 체결 또는 체결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기구용 적재부재의 위치가변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height adjusting means 110 includes an engaging space portion 118 provided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rotating body 111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shaft 210 to have an interval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he first friction member 112, And a coupling provided provision portion 117 provided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rotating body 111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shaft 210 so as to have an interval larger than the thickness of the first friction member 112, And an engaging protrusion protruding toward the center with an inclined surface on an inner surface of the one rotating body 111,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friction member (112) is located in the engagement space portion (118) or the engagement provision portion (117) or is located at the engagement projection and is interlocked or disengaged with the second friction member (113) A device for varying the position of a loading member.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정수단(110)은 메인 샤프트(210)의 원주면에 가공된 다수의 걸림홈(115), 이 걸림홈(115)에 결합하도록 축회전 또는 이동하게 설치된 걸림부재(114)와, 걸림부재(114)를 축회전 또는 이동시키도록 제1회전몸체(111)에 왕복 이동하도록 장착된 제1작동부재(116)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작동부재(116)가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설치된 탄성체와, 걸림부재(114)가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설치된 탄성체 중 적어도 하나가 설치되고,
상기 걸림홈(115)은 제1마찰부재(112)와 제2마찰부재(113)가 체결 또는 체결해제되는 위치에서 제1걸림부재(114)와 체결하도록 가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기구용 적재부재의 위치가변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height adjusting means 110 includes a plurality of engaging grooves 115 machin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shaft 210, an engaging member 114 provided to be rotatable or movable to be engaged with the engaging grooves 115, Further comprising a first actuating member (116) mounted to reciprocate in the first rotating body (111) to axially rotate or move the member (114)
At least one of an elastic body provided so as to return the first operating member 116 to the original position and an elastic body provided to return the latching member 114 to the original position,
Wherein the engaging groove 115 is formed so as to be engaged with the first engaging member 114 at a position where the first friction member 112 and the second friction member 113 are engaged or disengaged. Lt; / RTI &gt;
전동 캐리어에 있어서,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위치가변장치(100)를 구비한 적재기구(200);와
상기 적재기구(200)를 이동시키도록 동력부(320), 동력부(320)에 의해 운동하도록 설치된 바퀴부(330), 동력부(320)와 바퀴부(330)가 장착된 메인바디(310)와, 이 메인바디(310)와 적재기구(200)를 연결하는 연결부(340)를 구비한 동력장치(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기구용 적재부재의 위치가변장치를 구비한 전동 캐리어.
In the electric carrier,
A loading mechanism (200) having a position variable device (100) according to one of the claims 1 to 10;
A wheel unit 330 installed to move by the power unit 320 to move the loading mechanism 200, a main body 310 mounted with the power unit 320 and the wheel unit 330, And a power unit 300 having a main body 310 and a connecting unit 340 connecting the main body 310 and the loading mechanism 200. The loading device for a loader for a loader Electric carrier.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부(320)는 바퀴부(330)를 구동시키도록 설치된 동력원(322), 이 동력원(322)에 전원을 인가하도록 설치된 배터리(321)와, 배터리(321)의 전원을 인가 또는 단락시키도록 설치된 전원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기구용 적재부재의 위치가변장치를 구비한 전동 캐리어.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power unit 320 includes a power source 322 installed to drive the wheel unit 330, a battery 321 installed to apply power to the power source 322, Wherein the power switch comprises a power switch provided to the load carrier.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부(320)는 메인바디(310)의 하부에 장착되어 동력원(322)에 의해 구동하는 바퀴부(330)의 전륜(331) 또는 후륜(332)의 구름 운동을 증감시키도록 설치된 가속기, 전륜(331) 또는 후륜(332)의 구름 운동을 정지시키도록 설치된 제동기와, 가속기 또는 제동기의 신호를 수신하거나 동력부(320)의 신호를 수신하여 전륜(331) 또는 후륜(332)의 구름 운동을 제어하도록 설치된 제어기(323) 중 적어도 하나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기구용 적재부재의 위치가변장치를 구비한 전동 캐리어.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power unit 320 includes an accelerator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310 and configured to increase or decrease the rolling motion of the front wheel 331 or the rear wheel 332 of the wheel unit 330 driven by the power source 322, A crankshaft provided for stopping the rolling motion of the front wheel 331 or the rear wheel 332 and a crankshaft for receiving a signal from the accelerator or the brake or receiving a signal from the power unit 320 to rotate the front wheel 331 or the rear wheel 332 And a controller (323) installed to control the position of the loading member (11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340)는 메인바디(310)와 적재기구(200)의 일부위를 연결하는 연결프레임(341)과, 이 연결프레임(341)을 메인바디(310) 또는 적재기구(200)에 착탈 또는 축회전 가능하게 체결되는 고정핀(342)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적재부재의 위치가변장치를 구비한 전동 캐리어.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connection part 340 includes a connection frame 341 connecting the main body 310 and a part of the loading mechanism 200 and a connecting frame 341 connecting and disconnecting the connection frame 341 to the main body 310 or the loading mechanism 200. [ And a fixing pin (342) which is rotatably mounted on the carrier mounting member.
KR1020140195481A 2014-12-31 2014-12-31 Position changable device for loading member of loading instrument and electric carrier with thereof KR10171251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5481A KR101712511B1 (en) 2014-12-31 2014-12-31 Position changable device for loading member of loading instrument and electric carrier with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5481A KR101712511B1 (en) 2014-12-31 2014-12-31 Position changable device for loading member of loading instrument and electric carrier with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1532A true KR20160081532A (en) 2016-07-08
KR101712511B1 KR101712511B1 (en) 2017-03-07

Family

ID=565037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5481A KR101712511B1 (en) 2014-12-31 2014-12-31 Position changable device for loading member of loading instrument and electric carrier with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2511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5134U (en) 1987-08-28 1989-04-18 박연수 Spectrum lighting device
JP2001247039A (en) * 1999-12-28 2001-09-11 Toray Ind Inc Cart for oxygen cylinder
KR20120030621A (en) 2010-09-20 2012-03-29 김현동 Stroller
KR20120030626A (en) 2010-09-20 2012-03-29 김현동 The stroller where the seat rotation is possibl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5134U (en) 1987-08-28 1989-04-18 박연수 Spectrum lighting device
JP2001247039A (en) * 1999-12-28 2001-09-11 Toray Ind Inc Cart for oxygen cylinder
KR20120030621A (en) 2010-09-20 2012-03-29 김현동 Stroller
KR20120030626A (en) 2010-09-20 2012-03-29 김현동 The stroller where the seat rotation is possib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2511B1 (en) 2017-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572937B (en) Driving assist system with other installation frame
KR101527487B1 (en) Eletric bicy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201076241Y (en) Single hand height adjustment mechanism and seat chair with same
AU2013314175B2 (en) Improved-model golf trolley
US8795097B2 (en) Combination infant rocker and swing
US10849803B2 (en) Attaching and detaching type driving device and wheelchair having the same
KR101658802B1 (en) Foldable loading instrument and electric device with thereof
CN2927863Y (en) Angle regulating device for child high leg chair
CN108407877B (en) Wheel structure and handcart comprising same
GB2398039A (en) Stroller with adjustable backrest
KR20150076082A (en) Carry case
KR101029010B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break of a wheel
CN104118462A (en) Wheel orientation mechanism and child vehicle with same
JP2013187094A (en) Charging port device of electric vehicle
KR101712511B1 (en) Position changable device for loading member of loading instrument and electric carrier with thereof
KR200472855Y1 (en) Stroller
AU2011101394A4 (en) A Stroller Frame with an Angle Adjustable Second Seat
JP2021094027A (en) Walking type work machine
CN101359540B (en) Trigger switch
US20070095580A1 (en) Power wheelchair with clutch control device
KR20160145281A (en) Stroller with optional pivot wheels
JP6445249B2 (en) baby carriage
JP2006246807A (en) Walking type implement
GB2422881A (en) Stroller having brake device
KR101691182B1 (en) Suit case having support type brak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