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0328A - 전자장치의 식별정보를 통한 번역/통역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실시간 번역/통역 전송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장치의 식별정보를 통한 번역/통역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실시간 번역/통역 전송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0328A
KR20160080328A KR1020140191824A KR20140191824A KR20160080328A KR 20160080328 A KR20160080328 A KR 20160080328A KR 1020140191824 A KR1020140191824 A KR 1020140191824A KR 20140191824 A KR20140191824 A KR 20140191824A KR 20160080328 A KR20160080328 A KR 201600803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information
translation
interpretation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18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형석
Original Assignee
권형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형석 filed Critical 권형석
Priority to KR10201401918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80328A/ko
Publication of KR201600803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03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40Processing or translation of natural language
    • G06F40/58Use of machine translation, e.g. for multi-lingual retrieval, for server-side translation for client devices or for real-time trans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chine Translation (AREA)

Abstract

전자장치의 식별정보를 통한 번역/통역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실시간 번역/통역 전송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용자가 언어장벽에 가로막혀 있거나 타 국가의 언어에 익숙하지 않아 의사소통을 할 수 없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전자장치의 고유 식별정보를 통한 자동 번역/통역 기술로서
이용자/대응자(상대편)의 전자장치를 통해 사용하는 자국어로 이용자/대응자(상대편)의 전자장치의 식별정보 기반으로 추출된 서비스 고유 식별정보를 가지고 서로 다른 문자/언어를 사용하는 사람 간의 대화를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인식 및 합성 기반 기술을 통하여 번역/통역하여 국가적·언어적·지리적 장벽에 의한 의사소통 문제를 해결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전자장치의 식별정보를 통한 번역/통역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실시간 번역/통역 전송 방법{Real-time translation / interpretation transmission method using translation / interpretation system, and this through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전자장치의 식별정보를 통한 번역/통역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실시간 번역/통역 전송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용자가 언어장벽에 가로막혀 있거나 타 국가의 언어에 익숙하지 않아 의사소통을 할 수 없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전자장치의 식별정보를 통한 자동 번역/통역 기술로서
이용자/대응자(상대편)의 전자장치에서 사용하는 자국어를 통해 이용자/대응자(상대편)의 전자장치의 고유 식별정보 기반으로 추출된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를 가지고 이용자의 주변 또는 다른 국가의 적어도 하나의 대응자(상대편)가 사용하는 각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별로 이용자가 번역/통역서비스 요청에 대응하는 이용자/대응자(상대편)의 전자장치에서 사용하는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를 통하여 번역/통역 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정보를 실시간 생성하고, 번역/통역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전자장치의 식별정보를 통한 번역/통역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실시간 번역/통역 전송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스마트폰의 사용이 보편화됨에 따라 인터넷을 통해 제공되던 서비스들이 전자장치(스마트폰 단말기 등)를 통해 번역 또는 통역 이용 등을 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이에 외국에 지사를 둔 기업이나 기관, 지자체 등 고객이나 해외와 활발한 커뮤니케이션을 하여 많은 분야에서 번역/통역 등의 서비스를 필요로 하고 있어 관련 기업에서는 음성으로 통역/번역이 가능해서 즉각적으로 의사소통 문제를 해결해주는 다국어 통역 서비스 및 고객 및 기업에 맞는 솔루션을 개발해주고 있다
또한 다국적 친구와 채팅을 하려 하면 예시로 한국어일 경우 일본어로, 일본어일 경우 한국어로 자동 인식할 수 있도록 해당 국가의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를 선택하고 설정 또는 실행하여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번역 또는 통역 서비스는 해당 서비스의 이용자가 반드시 통화할 상대방을 선택한 다음 상대방이 쓰는 언어와 자신이 말할 언어를 선택하고 실행하여 국가적·언어적 정보에 접속하는 과정을 실행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와 같은 서비스 이용 시 실질적으로 번역 또는 통역을 요구하는 이용자 입장에서는 해당 국가별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를 선택하고 설정 또는 실행하여야 하는 등 여전히 번거로워 별도의 조작없이 이용자가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자국어로 서로 다른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 간의 대화를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인식 및 합성 기반 기술을 통하여 글로벌 시대에 맞게 국가적·언어적·지리적 장벽이 없는 이용자의 요구에 부합되는 서비스를 제공될 수 있는 플렛폼으로 자동으로 번역/통역하여 언어 장벽에 의한 의사소통 문제를 해결해 주는 기술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전자장치의 식별정보를 통한 번역/통역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실시간 번역/통역 전송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예컨대, 이용자의 서비스 제공을 위한 전자장치를 통하여 서비스 요청정보를 Zigbee, Radar, WPAN(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Wi-Fi, 3G/4G/LTE, Bluetooth, Ethernet, BcN, 위성통신, Microwave, 시리얼 통신, PLC, Beacon 등을 통하여 수신된 현재 위치에서 대응자(상대편)가 이용하는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전자장치의 식별정보를 통한 번역/통역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실시간 번역/통역 전송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기존 대응자(상대편) 전자장치의 디바이스 정보와, 번역/통역 서비스 제공에 따른 전자장치의 식별정보에 해당되는 사용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정보를 매칭 시킬 수 있는 전자장치의 식별정보를 통한 번역/통역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실시간 번역/통역 전송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이용자가 사용하는 각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별로 상기 이용자가 필요로 하는 번역 또는 통역서비스를 이용할 정보를 상기 전자장치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이를 통해 상기 대응자(상대편)가 사용하는 전자장치의 고유 식별정보로부터 사용하는 국가별/지역별/언어별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를 추출한 후, 서비스 번역/통역 정보를 대응자(상대편)의 전자장치에 제공하여 고객(이용자/대응자)이 확인하여 번역/통역 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를 실시간으로 편리하게 이용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장치의 식별정보기반 서비스 제공시스템은, 이용자/대응자(상대편)가 사용하는 각 국가적·지리적·언어별로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시스템에 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전자장치를 관리할 수 있는 전자장치의 고유 식별정보와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정보를 관리할 수 있는 관리 서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서비스 이용자의 전자장치에서 사용하는 자국어로 서로 다른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 간의 대화를 자동으로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인식 및 합성 기반 기술을 통하여 번역/통역하여 언어장벽에 의한 의사소통 문제를 해결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시스템 및 그의 운영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서비스이용 및 번역 또는 통역기능 등을 구현하는 데 있어 이용자/대응자(상대편)의 전자장치를 이용하여 별도의 조작 또는 설정, 별도로 APP를 실행할 필요 없이 편리하게 자국어로 서로 다른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 간의 대화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하는 전자장치의 식별정보를 통한 번역/통역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용자의 수고를 덜 수 있고 효율적이고 편리하게 자국어로 여러 가지 서비스 이용을 할 수 있는 전자장치의 식별정보를 통한 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용자의 전자장치를 통해 언어 장벽에 의한 의사소통 문제를 해결해 주는 기술을 바탕으로 글로벌 시대에 국가적·언어적·지리적 장벽이 없는 플렛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전자장치의 식별정보를 통한 번역/통역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실시간 번역/통역 전송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간편하게 대응자(상대편)의 전자장치의 고유 식별정보를 통하여 서로 다른 단어/문장 그리고 음성언어를 사용하는 사람 간의 통화를 자동으로 번역 또는 통역이용이 실시간으로 실행되는 전자장치의 식별정보를 통한 전자장치의 식별정보를 통한 번역/통역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실시간 번역/통역 전송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서 서비스 제공에 따른 정보가 입력 저장된 서버 또는 전자장치 메모리와, 상기 서버 또는 전자장치 메모리로부터 저장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다국적 단어/문장 그리고 음성언어 알림을 알리기 위한 위치정보 전달 체계의 변화에 따라 지도와 위치기반서비스(LBS), 지리정보시스템(GIS), 위성항법장치(GPS) 값을 이용한 체계적인 위치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하는 전자장치를 이용한 전자장치의 식별정보를 통한 번역/통역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실시간 번역/통역 전송 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전자장치의 고유 식별정보는 전자장치를 구분할 수 있는 정보와 국가·지리·언어적 식별정보에 매칭되어 전자장치에서 사용하는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는 서버를 구비한 전자장치의 식별정보를 통한 번역/통역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실시간 번역/통역 전송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이용자 전자장치를 이용하여 제공하는 정보를 수신된 대응자(상대편)가 위치기반서비스(LBS), 지리정보시스템(GIS), 위성항법장치(GPS) 위치정보를 통합관리 서버로부터 통신망을 통하여 자동으로 수행하고, 호 접속이 이루어지면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를 전송할 수 있는 위치 서비스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는 전자장치의 식별정보를 통한 번역/통역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실시간 번역/통역 전송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서비스의 통합관리 서버를 매개로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이용자의 전자장치와 서비스에 응답하기 위한 대응자(상대편)의 전자장치간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며, 이 과정에서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이용자 및 서비스에 대응하기 위한 대응자(상대편) 모두가 자신이 소유한 전자장치에서 이용하는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 정보를 이용하는 것만으로 실시간으로 통역/번역이 이루어지는 전자장치의 식별정보를 통한 번역/통역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실시간 번역/통역 전송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간편하게 이용자 전자장치로 서비스 공급자가 제공하는 서비스 번역/통역정보를 대응자(상대편) 전자장치로 수신하여 아이콘 및 URL정보를 원터치 동작하는 것에 의해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 정보서비스 이용을 실시간으로 번역/통역되는 전자장치의 식별정보를 통한 번역/통역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실시간 번역/통역 전송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자장치를 통하여 이용자에게 공급자가 제공하는 서비스 번역/통역정보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실시간으로 제공하여 이용자가 서비스 이용을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 서비스 이용자들을 확대시킬 수 있는 전자장치의 식별정보를 통한 번역/통역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실시간 번역/통역 전송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단어/문장 그리고 음성언어의 고유 식별 정보를 입력하여 메모리에 저장 및 회원데이터베이스에 저장 하였을 시 아이콘 및 URL정보를 터치하는 것에 의해 서비스를 선택적으로 실행할 수 있으며, 전자장치를 통하여 다른 분야에 응용하여 이용자 증가로 수익을 극대화할 수 있는 전자장치의 식별정보를 통한 번역/통역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실시간 번역/통역 전송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 따른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량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용자 전자장치를 이용하여 1차적으로 Zigbee, Radar, WPAN(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Wi-Fi, 3G/4G/LTE, Bluetooth, Ethernet, BcN, 위성통신, Microwave, 시리얼 통신, PLC, Beacon 등의 신호를 통하여 대응자가 이용하는 전자장치의 고유 식별정보와 위치정보 검색을 하고 가장 근거리 또는 이용자가 지정한 대응자(상대편)와 매칭되어 서비스 통역/번역을 실시간으로 소통할 수 있는 전자장치의 식별정보를 통한 번역/통역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실시간 번역/통역 전송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고유 식별정보를 통한 번역/통역 시스템은, 고유 식별정보가 저장되는 전자장치와, 상기 단어/문장 그리고 음성언어서비스 요청정보의 생성을 위한 정보 입력을 하고 상기 전자장치의 현재 위치와 고유 식별정보가 포함된 단어/문장 그리고 음성언어서비스 요청 정보를 전자장치의 통신망을 통한 외부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통신망을 통한 단어/문장 그리고 음성언어서비스 정보의 송신·수신 기능을 갖는 서비스 이용자/대응자(상대편) 전자장치와,
상기 단어/문장 그리고 음성언어서비스 요청 정보를 입력하면, 현재 위치 정보와 미리 저장된 식별 정보 또는 전자장치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서버로 전송하는 전자 장치;및 상기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전자장치의 고유 식별정보와 상기 위치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위치정보의 위치를 중심으로 설정된 반경 내에 위치 또는 지정하는 다른 전자장치중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장치를 검색하여 선택한 후, 상기 서버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상기 다른 전자장치의 고유 식별정보로부터 해당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추출된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에 해당하는 정보를 상기 다른 전자장치로 전송하는 상기 서버;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장치의 식별정보를 통한 번역/통역 시스템은 상기 전자장치 및 상기 다른 전자장치를 포함한 다수의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들이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전자장치는, 상기 서버와 데이터 송신·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식별 정보가 미리 저장되는 저장부; 상기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별 정보를 포함한 다양한 국가적·언어적 정보들을 상기 전자 장치의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서비스 요청 신호를 나타내는 입력정보를 포함한 신호들 또는 정보들을, 상기 이용자가 상기 전자 장치에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입력부; 및 상기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서비스 요청 신호가 입력된 경우, 상기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서비스 요청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서버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버는, 상기 전자장치 및 상기 다른 전자장치를 포함한 다수의 전자장치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전자장치와 데이터 송·수신하는 통신부; 상기식별정보가 미리 저장된 식별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저장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자장치로부터 상기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서비스 요청정보가 수신되면, 국가/언어별 정보를 상기 다른 전자장치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치정보는, GPS에 의한 위치정보 획득 방법 또는 기존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위치정보 획득 방법을 포함한 위치정보 획득 방법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상기 식별정보는, 해당 전자장치의 이용자/대응자(상대편)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정보와 전자장치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별 정보는, 전문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 종류별, 각 국가적/지리적의 언어별로 각각 작성되어 상기 서버에 미리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정보는, 상기 서버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다른 전자장치의 해당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정보에 해당하는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로 번역/통역되어 생성될 수 있다.
상기 설정된 반경은, 상기 이용자가 직접 입력하여 상기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서비스 요청정보에 포함시켜 상기 서버로 전송되어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설정된 반경은, 상기 서버 또는 이용자가 사전에 미리 설정하지 않을 시 가장 근접한 대응자(상대편) 전자장치와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서버는, 상기 전자장치 또는 상기 다른 전자장치를 포함한 다수의 전자장치들의 위치를 주기적으로 확인하여 전자장치들 각각의 위치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전자장치가 이용자로부터 타 국가의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에 익숙하지 않아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 장벽으로 인한 문제가 발생했음을 나타내는 서비스요청 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 상기 번역/통역서비스요청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전자장치가 현재 위치정보와 미리 저장된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번역/통역서비스 요청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번역/통역서비스 요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수신된 번역/통역서비스 요청 정보로부터 상기 위치정보와 상기 식별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추출된 위치정보의 위치를 중심으로 설정된 반경 내에 위치 또는 지정한 대응자(상대편) 중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장치를 검색하여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상기 다른 전자장치의 식별정보로부터 해당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서버가 상기 해당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정보에 해당하는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별 정보를 상기 다른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요청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전에, 상기 서비스 요청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치정보는, GPS에 의한 위치정보 획득 방법 또는 기존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위치정보 획득 방법을 포함한 위치정보 획득 방법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상기 식별정보는, 해당 전자장치 이용자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정보와 장치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별 정보는, 전문적 용어 종류별, 각 국가의 특수 용어별로 각각 작성되어 상기 서버에 미리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별 정보는, 상기 서버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다른 전자장치가 이용하는 해당 국가적/지리적/언어적 정보에 해당하는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로 번역/통역되어 생성될 수 있다.
상기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별 정보는, 국가정보, 언어정보 및 지리적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설정된 반경은, 상기 설정된 반경을 나타내는 이용자 입력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서비스 요청정보 생성 시 함께 포함시켜 상기 서버로 전송되며, 상기 서버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장치 고유 식별정보에는 서비스 공급자가 제공하는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로 번역/통역서비스를 원활이 이용할 수 있도록 보조 전자장치를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공급자가 제공하는 보조 전자장치는 번역/통역서비스를 원활이 이용할 수 있도록 이용자/대응자(상대편) 전자장치에 보조 전자장치를 탈·부착할 수 있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 통합관리 서버로부터 서비스 전용의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여 설치 후 상기 서비스 공급자가 제공하는 보조 전자장치는 상기 전자장치의 고유 식별정보 및 상기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로 번역/통역 서비스제공 할 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여 상기 서비스 통합관리 서버에 등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 통합관리 서버에 등록되는 상기 서비스 이용자 전자장치의 고유 식별정보에는 해당 서비스 이용자 전자장치의 발신번호가 포함되고, 상기 서비스 통합관리서버는 상기 서비스 이용자 전자장치의 통신망을 통한 호 연결 요청에 따라 해당 서비스 대응자(상대편) 전자장치의 수신번호를 추출하여 추출된 수신번호와 맵핑 등록된 정보와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로 번역/통역될 정보를 검출한 다음 검출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서비스에 대응하는 대응자(상대편)가 이용하는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로 번역/통역정보를 생성하여 전송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 통합관리 서버에 등록되는 상기 서비스 이용자/대응자(상대편) 전자장치의 입력된 정보 및 고유 식별정보와 동일한 정보가 더 포함되고, 상기 서비스 이용자 전자장치는 상기 번역/통역서비스 요청정보 및 고유 식별정보의 판독 시 수신된 정보 및 고유 식별정보를 포함한 번역/통역서비스 요청 정보를 생성하여 생성된 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상기 서비스 통합관리 서버에 전송하며, 상기 서비스 통합관리 서버는 서비스 요청 정보를 전송한 서비스 이용자 전자장치의 서비스 이용 정보 및 고유 식별정보를 기반으로 서비스 대응자(상대편) 정보를 생성하여 생성된 서비스요청 정보를 해당 서비스 대응자(상대편) 전자장치의 사전 이용 또는 설정된 단어/문장 그리고 음성언어서비스 정보에 의해 상기 서비스 공급자 보조 전자장치 통신망을 통해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이용자 전자장치에는 서비스를 이용할 정보를 전송할 연락할 전화번호와 결제할 방법의 정보가 더 저장되고, 상기 서비스 이용자 전자장치는 상기 서비스 요청정보의 생성 시 상기 이용자 전자장치의 위치 정보도 포함시켜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 이용자 전자장치는 상기 서비스요청 이용정보의 생성 시 현재 위치정보로써 위치기반서비스(LBS), 지리정보시스템(GIS), 위성항법장치(GPS) 위치정보 또는 무선네트워크 정보를 포함시켜 생성하며, 상기 서비스 통합관리 서버는 상기 서비스요청 신호에 포함된 지도와 위치기반서비스(LBS), 지리정보시스템(GIS), 위성항법장치(GPS) 위치정보 또는 무선네트워크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서비스 이용자 전자장치의 현재 위치 값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 통합관리 서버는 상기 서비스 공급자 보조 전자장치와 패킷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 통신을 하는 웹서버와, 상기 서비스 이용자 전자장치의 회선통신망을 통한 호 접속 시 해당 서비스 이용자 전자장치의 발신번호와 위치정보 및 고유 식별정보를 추출하는 서비스 이용자 정보 추출부와,
상기 서비스 이용자/대응자(상대편) 전자장치별 서비스 이용정보, 그리고 기타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서버와, 상기 웹서버와 서비스 이용자/대응자(상대편) 정보 추출부 및 결제서버의 동작 제어 그리고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대한 정보 저장 및 정보 검색과 추출 그리고 상기 서비스제공·요청신호의 생성 기능을 갖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 통합관리 서버는 상기 서비스 이용자/대응자(상대편) 전자장치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단문메시지의 생성 및 전송 기능 그리고 상기 전자장치에서 결제서버를 통한 결제 및 서비스요청 관련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단문메시지의 생성 및 전송 기능을 갖는 SMS 처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식별정보를 통한 번역/통역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실시간 번역/통역 전송 방법은, 서비스 이용자 전자장치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와, 상기 전자장치가 고유 식별정보 판독에 따라 현재 위치정보가 포함된 서비스요청 정보를 서비스 통합관리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서비스 통합관리 서버가 상기 서비스요청에 대응하는 정보를 전송한 상기 서비스 대응자(상대편) 전자장치의 유효 회원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와,
상기 서비스 통합관리 서버가 유효 회원으로 판별된 상기 서비스 대응자(상대편) 전자장치가 사용하는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 정보를 데이터베이스 서버로부터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서비스 통합관리 서버가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로부터 검출된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서비스 정보를 기반으로 번역/통역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서비스 통합관리 서버가 생성된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 정보를 상기 서비스 이용자 전자장치의 위치정보를 기준으로 가장 근접 위치 내 대응자(상대편) 또는 지정한 전자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 이용자 전자장치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대응자(상대편) 전자장치의 고유 식별정보를 판독하는 단계와, 상기 서비스 이용자 전자장치가 상기 서비스요청 정보로부터 판독되는 대응자(상대편) 고유 식별정보로써 URL정보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동시에 상기 요청 정보인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서비스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정보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서비스 이용자 전자장치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서비스에 해당되는 대응자(상대편)의 고유 식별정보별로 해당 정보 값이 입력되어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는 정보가 생성되는 단계와, 상기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서비스 이용자 전자장치가 생성한 서비스 요청할 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서비스 통합관리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서비스 통합관리 서버가 서비스 이용자 전자장치별로 전송되는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서비스 요청 정보를 대응자(상대편) 전자장치에 해당되는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를 대응자(상대편) 전자장치와 연계되는 상기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서비스 고유 식별정보와 맵핑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통합관리 서버가 서비스요청 정보와 고유 식별정보의 저장을 통해 등록할 수 있는 상기 통신망을 통해 서비스 대응자(상대편) 전자장치로 상기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단계가 선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 통합관리 서버가 생성된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서비스 요청신호를 상기 서비스 이용자 전자장치의 위치정보를 기준으로 가장 근접 내에 있는 대응자(상대편) 또는 지정한 대응자(상대편) 전자장치에 전송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서비스 대응자(상대편) 전자장치에 수신되는 서비스요청 정보의 서비스이용에 대해 승인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서비스 대응자(상대편) 전자장치가 승인 거부 시 해당 서비스 이용자 전자장치에 상기 서비스 통합관리 서버로부터 또 다른 대응자(상대편) 전자장치에 따른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서비스 요청정보가 전송되거나, 상기 서비스 대응자(상대편) 전자장치가 승인 시 상기 서비스 통합관리 서버를 통해 해당 서비스 이용 후 이용자 전자장치에 결제 요청 정보가 전송되는 단계와, 상기 서비스 이용자 전자장치가 상기 서비스 통합관리 서버로부터 전송된 결제 요청 정보를 승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식별정보를 통한 번역/통역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실시간 번역/통역 전송 방법은, 서비스 이용자 전자장치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와, 상기 서비스 대응자(상대편) 전자장치의 고유 식별정보 판독에 따라 현재 위치정보가 포함된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서비스 요청정보를 회원이 등록한 서비스 관리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서비스 통합관리 서버가 상기 서비스요청 신호를 전송한 상기 서비스 이용자 전자장치의 유효 회원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와, 상기 서비스 통합관리 서버가 유효 회원으로 판별된 상기 서비스 이용자 전자장치의 서비스요청 정보를 데이터베이스 서버로부터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서비스 통합관리 서버가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로부터 검출된 서비스요청 정보를 기반으로 서비스요청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서비스 통합관리 서버가 생성된 서비스요청 신호를 상기 서비스 이용자 전자장치의 위치정보를 기준으로 가장 근접한 위치 또는 지정한 대응자(상대편)에게 상기 서비스 관리 서버가 상기 서비스 이용자 전자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서비스요청 신호를 서비스 대응자(상대편) 전자장치에 중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장치의 식별정보를 통한 번역/통역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실시간 번역/통역 전송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이용자가 언어장벽에 가로막혀 있거나 타 국가의 언어에 익숙하지 않아 의사소통을 할 수 없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전자장치의 식별정보를 통한 자동 번역/통역 기술로서
자국어를 사용하여 이용자/대응자(상대편)의 전자장치를 통해 이용자/대응자(상대편)의 전자장치의 식별정보 기반으로 추출된 서비스 고유 식별정보를 가지고 이용자/대응자(상대편)의 주변 또는 다른 국가의 적어도 하나의 이용자/대응자(상대편)가 사용하는 각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별로 이용자/대응자(상대편)가 번역/통역 요청에 대응하는 정보를 이용자/대응자(상대편)의 전자장치 등을 통하여 번역/통역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실시간 생성하고, 번역/통역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서비스의 통합관리 서버를 매개로 이용자의 전자장치와 대응자(상대편)의 전자장치 간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며, 자신이 소유한 전자장치로 외국어의 숙련도에 상관없이 실시간으로 번역/통역 서비스이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로 서비스를 이용하는 관리 시스템을 보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를 보인 개략적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이용자의 서비스요청 신청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에 따른 변환 서비스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용자 위치정보에 따른 가장 근접한 다른 전자장치한테 번역/통역 요청 서비스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시스템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해상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이 예시적 실시 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재를 나타낸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컨대,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400, 500)의 식별정보를 통한 번역/통역 시스템의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 수단(예컨대, 터치스크린 등)(440)이 구비된 어떠한 전자장치(400, 500) 내에서도 구현될 수 있으며, 정보 전송 방법을 제어할 수 있는 소정의 애플리케이션(441)이 설치 가능한 어떠한 전자장치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전자장치(400, 500)는 터치스크린(440)을 구비하며, Zigbee, Radar, WPAN(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Wi-Fi, 3G/4G/LTE, Bluetooth, Ethernet, BcN, 위성통신, Microwave, 시리얼 통신, PLC 통신으로부터 위치 신호 수신이 가능한 임의의 전자 장치(400, 500)일 수 있으며, 휴대 단말, 이동 단말, 통신 단말, 휴대용 통신 단말, 휴대용 이동 단말 등으로 칭할 수 있다. 임의의 전자장치(400, 500)는 스마트폰, 휴대폰, 게임기, 디스플레이 장치, 웨어러블 헤드 유닛, 노트북 컴퓨터, 랩톱 컴퓨터, 태블릿(Tablet) 컴퓨터, PMP(Personal Media Play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내비게이션 장치 등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전자장치(400, 500)는 플렉서블 장치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다.
이러한 전자장치(400, 500)의 대표적인 구성은 휴대 전자장치(예컨대, 휴대폰, 스마트폰 등)에 대한 것이며, 이러한 전자장치(400, 500)의 대표적인 구성에서 일부 구성 소자는 필요에 따라 생략되거나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는 방전광 디스플레이(ELD), 진공 형광 디스플레이(VFD),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LED), 음극선관(CRT), 액정 디스플레이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FT LCD),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패널 (PDP), 표면 얼터네이트 라이팅(ALiS), 디지털 광원 처리(DLP), 실리콘 액정 (LCoS),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표면 전도형 전자 방출 소자 디스플레이(SED),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FED), 레이저 TV(양자 점 레이저, 액정 레이저), 광유전성 액체 디스플레이(FLD), 간섭계 변조기 디스플레이(iMoD), 두꺼운 필름 유전체 전기 (TDEL), 양자 점 디스플레이(QD-LED), 텔레스코픽 픽셀 디스플레이(TPD), 유기 발광 트랜지스터(OLET), 레이저 형광 디스플레이(LPD), 빔 프로젝트에서 출력되는 영상을 표시하는 스크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장부(470)는 기록 매체로서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도록 프로그램 및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펀치 카드(punch card), 페이퍼 테이프(paper tape), 피롬(PROM: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이피롬(EPROM: Erasable PROM), 플래시-이피롬(FLASH-EPROM),롬(ROM: Read Only Memory), 램(RAM: Random Access Memory), CD(Compact Disk), CD-ROM(Compact Disc Read-Only Memory), DVD(Digital Video Disk)-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floppy disk), 플렉서블 디스크(flexible disk), 광 데이터 저장 장치,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솔리드스테이트 드라이브(SSD), 솔리드스테이트 하이브리드 드라이브(SSHD) 및 임베디드 멀티미디어 카드(eMMC: embedded Multi Media Card)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케리어 웨이브(예를 들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식별정보를 통한 번역/통역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실시간 번역/통역 전송 방법의 이해를 돕기 위해 다음과 같이 용어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400, 500)는 서버(300)와 네트워크망(200)을 통해 데이터를 송(400, 500)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버(300)는 전자장치(400, 500)와 통신망(200)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외부 전자장치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400, 500)를 이용한 문자/문장 또는 음성언어정보 전송 방법은 번역/통역서비스 요청이 발생했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의미하며 전자장치(400, 500)에서 생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국어 데이터베이스에는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와 서로 매핑된 국가별 언어 정보를 미리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를 이용할 번역/통역서비스 요청 정보는 번역/통역서비스를 요청할 상황이 발생 시 전자장치(400, 500)가 현재 위치한 지역을 나타내는 서비스 가능한 위치 정보를 포함하여 전자 장치에서 생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정보는 전자장치(400, 500)의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예컨대, 전자 장치에 구비된 GPS 수신부를 통해 Zigbee, Radar, WPAN(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Wi-Fi, 3G/4G/LTE, Bluetooth, Ethernet, BcN, 위성통신, Microwave, 시리얼 통신, PLC, Beacon 통신 등 적어도 하나의 통신망으로부터 수신한 GPS 신호를 기반으로 전자장치(400, 500)에서 생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정보는 전자장치(400, 500)에 구비된 이동통신 모듈(411)과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 간의 통신 신호를 기반으로 전자장치(400, 500)에서 생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정보는 전자장치(400, 500)에 구비된 무선 랜 모듈(412)과 무선 액세스 포인터(Wireless Access Point) 간의 통신 신호(410)를 기반으로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 간의 통신 신호를 기반으로 전자장치에서 생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정보는 전자장치(400, 500)에 구비된 근거리통신 모듈(414)과 다른 전자장치(400, 500)의 통신 모듈 간의 통신 신호를 기반으로 휴대용 전자장치(400, 500)에서 생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별 정보는 복수 개의 통신망 중 각각 전자장치(400, 500, 700) 간의 식별이 가능하도록 해 주는 정보이다. 예컨대, 전자장치(400, 500, 700)의 식별 정보는 모바일 식별 번호(Mobile Identification Number, 이하 MIN 또는 Mobile Subscription Identification Number, 이하 MSIN), 국제 모바일 장치 식별 정보(International Mobile Station Equipment Identity 이하 IMEI), 이동 통신 번호 정보, 소유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식별 정보는 전자 장치(400,,500)에서 사용되는 언어를 나타내는 해당 언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식별 정보는 전자 장치(400, 500)의 사용자 정보와 전자 장치(400, 500)의 장치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별 통신방법은 복수 개의 통신 방법으로 각각 전자장치(400, 500, 700) 간의 식별이 가능하도록 해 주는 통신이다. 예컨대, Zigbee, Radar, WPAN(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Wi-Fi, 3G/4G/LTE, Bluetooth, Ethernet, BcN, 위성통신, Microwave, 시리얼 통신, PLC 통신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생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전자장치(400, 500)의 식별정보를 통한 번역/통역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실시간 번역/통역 전송 방법은 전자장치(400, 500)의 소유자에게 번역/통역 서비스제공을 할 수 있는 정보를 의미한다. 예컨대, 이용자는 서버(300)에 구비된 번역/통역 서비스요청·결제 서비스 요청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이용할 서비스 관련 내용·결제 서비스 요청 정보를 전자 장치(400, 500)를 통해 등록할 수 있다.
또한 회원 데이터베이스에는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와 서로 맵핑된 회원별 국가적/지리적/언어별 정보를 미리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자 장치(400, 500) 또는 서버(300)의 각각의 구성요소들은 기능 및 논리적으로 분리될 수 있음을 나타나기 위해 별도로 도면에 표시한 것이며, 물리적으로 반드시 별도의 구성요소이거나 별도의 코드로 구현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각 기능부라 함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 및 상기 하드웨어를 구동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의 기능적, 구조적 결합을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각 기능부는 소정의 코드와 상기 소정의 코드가 수행되기 위한 하드웨어 리소스의 논리적인 단위를 의미할 수 있으며, 반드시 물리적으로 연결된 코드를 의미하거나, 한 종류의 하드웨어를 의미하는 것은 아님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평균적 전문가에게는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식별정보를 통한 번역/통역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실시간 번역/통역 전송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로 서비스를 이용하는 관리 시스템을 보인 구성도이다.
서비스 이용자가 번역/통역 상황이 발생했음을 나타내는 통역/번역 서비스 요청 정보를 입력(211)하면, 현재 위치 정보와 이용자(400)/대응자(상대편)(500)전자장치의 고유 식별 정보에 해당되는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를 포함하는 번역/통역서비스를 통신망을 통해 외부서버(300)로 전송하는 전자 장치(400, 500); 및
적어도 하나의 번역/통역서비스 요청을 수신하여 상기 위치 정보와 시간적 또는 공간적으로 가변하는 탐색범위 근접내에 위치하는 대응자(상대편) 전자장치 (500) 또는 지정한 대응자(상대편)전자장치(500)중 하나 이상의 전자장치를 검색하여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장치(500)를 선택한 후, 상기 서버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상기 전자장치의 고유 식별 정보로부터 해당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 정보를 추출하여 생성(출력)된 해당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 정보를 상기 선택된 다른 전자장치로 전송하는 상기 서버(300); 를 포함한다.
여기서 전자장치(400, 500, 700)의 식별정보를 통한 번역/통역 시스템은 다른 전자 장치를 포함한 다수의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들이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장치(400, 500, 700)는 서버와 데이터 송·수신하는 통신부(410), 식별 정보가 미리 저장되는 저장부(470),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별 번역/통역 정보를 포함한 다양한 정보들을 상기 전자장치의 이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표시부(440), 서비스 번역/통역 요청 신호를 나타내는 입력 신호를 포함한 신호들 또는 정보들을, 상기 이용자가 전자장치에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입력부(430) 및 키패드(480) 음성을 인식하기 위한 음성인식부(421) 서버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45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용자 전자장치(400)는 서비스 요청 정보의 생성(211) 시 서비스 결제방법 정보도 포함시켜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장치(400, 500) 고유 식별정보에는 서비스 공급자가 제공하는 국가적/지리적/언어적으로 각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로 번역/통역서비스를 원활이 이용할 수 있도록 보조 전자장치(700)를 제공한다.
여기서 보조 전자장치(700)는, 번역/통역서비스를 원활이 이용할 수 있도록 이용자/대응자(상대편) 전자장치(400, 500)에 내장 또는 외장 형태로 보조 전자장치(700)를 탈·부착할 수 있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도록 보조 전자장치를 (700)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용자로부터 입력 요청된 단어/문장이 나타나는 디스플레이부(440) 문자/음성을 출력하기 위한 출력부(420)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 및 데이터 통신을 제어 수행할 수 있는 제어부(450)를 포함하는 전자장치(400, 500)
전자장치(400, 500)에 다운로드 또는 탑재되어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부(441), 어플리케이션부는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 형태로 저장된 저장부(470), 이용자로부터 입력된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에 대응자(상대편)가 이용하는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부(300)에서 검색 및 추출(153)하여 상기 대응자(상대편)의 전자장치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로 출력(생성)하도록 하는 출력(생성)(154)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출력(생성)(154)부는 상기 제어부(155)와 연동하도록 구성되어, 제어부(155)에서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 및 데이터 통신 시, 이용자가 입력하는 음성이나 문자를 대응자(상대편)가 이용하는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로 변환하여 대응자(상대편)에게 변환된 정보를 전송하도록 하고, 상기 대응자(상대편)가 이용하는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로 이용자에게 응답하고 이용자가 이용하는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로 변환하여 재 송신하는 어플리케이션(441) 및
전자장치에서 실행되는 상기 어플리케이션부(441)와 연동하는 통합 관리 서버(300)를 포함한다.
또한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별로 관리할 수 있는 전자장치(400, 500)는 번역/통역서비스를 이용할 정보에 대응하는 국가적/지리적/언어별로 다수의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별 번역/통역정보 서비스들을 제공하기 위한 관련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별로 구성되어 애플리케이션(441)에서 제공된다.
그리고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별로 관리할 수 있는 전자장치(400, 500)는 번역/통역서비스를 이용할 정보에 대응하는 국가적/지리적/언어별로 다수의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별 번역/통역 정보 서비스들을 제공하기 위한 관련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별로 구성되어 외부 서버(300)에서 제공한다.
여기서 웹서버(140)를 통하여 데이터 통신(200) 접속된 전자장치(400, 500)로부터 전송된 번역/통역서비스요청 정보가 접수되면 회원 데이터베이스(111)에 저장된 회원정보인지 검색하고 저장된 회원정보이면 상기 웹서버(140)를 통하여 접속된 전자장치(400, 500)에 등록회원에게 맞는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전자장치(400, 500)로부터 회선 통신망을 통한 전화 호 접속이 있으면 호 접속된 발신자 번호를 상기 발신자 번호 추출부(120)를 통해 추출하고, 추출된 발신자 번호와 수신될 번호정보를 매칭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110)에 등록한 후, 서비스를 제공할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정보를 상기 대응자(상대편) 전자장치로 전송하는 웹서버(140)를 구비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이용자의 서비스요청 신청 흐름도 이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이용자가 이용하는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에 의하여, 상기 이용자 전자장치에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 등 정보가 입력하는 단계(211) 서비스요청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 전송하고(212) 입력된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를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대응자(상대편) 전자장치(500)의 고유 식별정보에 해당되는 정보를 추출(213)하여 상기 대응자(상대편)의 전자장치(500)에서 이용하는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 중 어느 하나가 생성(214)되어 선택되고
번역된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를 대응자(상대편) 전자장치(500)로 전송(215) 한다.
여기서 서버(300)는 다른 전자장치(500)를 포함한 다수의 전자장치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전자장치(500)와 데이터 송·수신하는 통신부(200) 이용자로부터 전송된 음성을 인식하기 위한 인식부(151) 이용자로부터 입력 전송된 단어/문장을 인식할 수 있는 SMS처리부(130) 전자장치(400, 500)가 사용하는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별 식별정보가 미리 저장된 식별정보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저장부(152)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전자장치(400)로부터 상기 서비스요청 정보가 수신되면, 다른 전자장치(500) 고유 식별정보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별 번역/통역 요청 정보에 대응하는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별로 실시간 추출하는 추출부(153) 상기 전자장치(400, 500)의 고유 식별정보에 의해 추출된 국가적/지리적/언어별로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로 출력(생성)하도록 하는 출력(생성)부(154)를 포함한다.
또한 출력(생성)(154)된 정보를 다른 전자 장치(5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55) 를 포함한다.
한편 통합관리서버(300)는 전자장치(400, 500)와 패킷 통신망(200)을 통해 데이터 통신을 하는 웹서버(140) 서비스 사용자 전자장치(400)의 회선통신망(200)을 통한 호 접속 시 해당 서비스 사용자 전자장치(400)의 발신번호와 서비스요청 정보 및 고유 식별정보를 추출하는 서비스 사용자 정보 추출부(153) 그리고 서비스 통합관리서버(300)로부터 서비스요청 정보를 수신한 서비스 사용자 전자장치(400)의 승인에 따른 결제 정보를 결제기관(600)의 서버에 결제 요청하거나 직접 결제 처리하는 결제서버(600)를 둔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이용자/대응자(상대편) 전자장치(400, 500)별 고유 식별정보 및 서비스제공 정보 서비스 이용자의 전자장치(400)의 서비스요청 정보와 고유 식별정보(114) 결제서버의 결제정보(미도시) 서비스 공급자 보조 전자장치(700)별 서비스 제공 정보, 서비스 대응자(상대편) 전자장치(500)별 서비스 이용 정보, 그리고 기타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둔다.
또한 웹서버(140)와 서비스 이용자 정보 추출부(153) 및 결제서버(600)의 동작 제어 또는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대한 정보저장 및 정보검색과 추출(153) 그리고 서비스요청 정보에 대응하는 정보생성(154) 기능을 갖는 제어부(155)를 포함한다.
그리고 서비스 이용자 전자장치(400)는 상기 번역/통역서비스 요청 정보의 생성 시 상기 서비스 결제방법 정보도 포함시켜 생성한다.
여기서 통합관리서버(300)는 상기 전자장치(400)에 번역/통역서비스 요청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단문메시지의 생성 및 전송 기능 그리고 상기 서비스 이용자 전자장치에 상기 결제서버를 통한 결제 및 서비스제공 상품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단문메시지의 생성 및 전송 기능을 갖는 SMS 처리부(130)를 더 포함한다.
또한 통합관리 서버(300)는 회원 번역/통역서비스 요청정보를 자동분류하여 검색 할 수 있는 회원데이터베이스(111) 번역/통역서비스 정보를 기초로 특정 주변 또는 지정된 대응자(상대편) 정보를 일정한 검색조건으로 검색되는 전자장치(400, 500) 위치 식별정보 데이터베이스(113) 국가적/지리적/언어적 서비스 정보를 기초로 체계화된 검색조건으로 검색할 수 있는 국가별 언어/문자 데이터베이스(112) 회원 번역/통역서비스 요청정보를 자동 분류하여 검색 할 수 있는 전자장치(400, 500, 700) 고유 식별정보 데이터베이스(114)를 둔다.
그리고 전자장치(400, 500)의 위치 정보에 해당되는 번역/통역서비스 정보를 상기 전자장치(400, 500) 위치 식별정보(113)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 후 추출된 번역/통역서비스 정보에 해당되는 전자장치(400, 500) 고유 식별정보에 매칭되는 상기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별 식별정보를 상기 국가별 언어/문자 데이터베이스(112), 회원데이터베이스(111), 전자장치 고유 식별정보(114)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고 추출된 번역/통역서비스 정보로 상기 번역/통역서비스 요청 정보를 패킷 통신망(200)을 통하여 데이터 통신 접속을 위한 웹서버(1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웹서버(140)를 통해 번역/통역서비스 정보가 생성되어 상기 전자장치(400, 500) 식별정보 및 번역/통역서비스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번역/통역서비스 이용료 정산을 요청할 수 있다.
한편 번역/통역서비스 정보서버(300)는 상기 웹서버(140)를 통해 번역/통역서비스 정보를 기초로 특정 주변의 전자장치(500) 정보를 일정한 검색조건으로 대응자(상대편)전자장치(500)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로 상기 전자장치(500)에 기반하는 정보를 각각 생성하여 상기 번역/통역 서비스 정보가 상기 전자장치(500)의 디스플레이부(440) 화면에 표시되게 한다.
여기서 서비스를 이용하는 이용자의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를 이용자에 의하여 상기 전자장치(400)에 입력되는 입력부(430) 입력된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대응자(상대편)가 사용하는 전자장치(500)의 고유 식별정보를 활용하여 상기 대응자(상대편)가 사용하는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로 추출하는 추출부(153) 추출된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를 출력하는 출력(생성)부(154) 출력된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를 상기 대응자(상대편)의 전자장치(500)로 송신하는 통신모듈(410)을 포함한다.
또한 이용자 전자장치(400)로부터 상기 수신된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를 수신 받고, 수신 받은 상기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를 저장하며, 저장된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정보 등 데이터를 스스로 학습해서 기능을 향상시키고 업데이트할 수 있는 서버(미도시)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서비스 통합관리 서버(300)로부터 서비스 전용의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여 설치 후 상기 서비스 공급자가 제공하는 보조 전자장치(700)는 상기 전자장치(400, 500)의 고유 식별정보 및 상기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로 번역/통역 서비스제공을 할 정보를 통신망(200)을 통해 전송하여 상기 서비스 통합 관리 서버(300)에 등록 할 수 있다.
또한 통합관리 서버(300)에 등록되는 상기 서비스 이용자 전자장치(400)의 고유 식별정보에는 해당 서비스 이용자 전자장치(400)의 발신번호가 포함되고 서비스 통합관리서버(300)는 상기 서비스 이용자 전자장치(400)의 통신망을 통한 호 연결 요청에 따라 해당 서비스 대응자(상대편) 전자장치(500)의 수신번호를 추출하여 추출된 수신번호와 맵핑 등록된 정보와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로 번역/통역 정보를 추출(153)한 다음 추출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서비스에 대응하는 대응자(상대편)가 이용하는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로 번역/통역정보를 출력(생성)(154)하여 전송 할 수 있다.
여기서 위치 정보는 GPS에 의한 위치정보 획득 방법 또는 기존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위치정보 획득 방법을 포함한 위치 정보 획득 방법에 의해 생성된다.
여기서 식별정보는 해당 전자장치(400. 500, 700)의 이용자 정보와 전자장치 식별정보 또는 전자장치에서 이용하는 국가적/지리적/언어적으로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고유 식별정보에는 URL 정보가 포함되며 제어부(45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전자장치(400. 500, 700) 현재 위치에서 통신을 통하여 수신된 상기 디스플레이부(440)에 소정의 형태로 상기 URL 정보와 이용하는 서비스 정보를 표시하고 디스플레이부(440)에 소정의 형태로 화면에 표시하여 배치된 서비스를 이용자가 선택하여 이용하고 전자장치(400, 500)는 URL 정보의 표시 영역에 대한 터치 시 서비스제공·요청 신호를 상기 서비스 통합관리서버(300)에 전송한다.
그리고 이용자(400)/대응자(상대편)(500)가 이용하는 전자장치의 국가별, 지역별, 언어별, 전문용어별로 데이터베이스(112)에 등록 또는 통합관리서버(300)로부터 다운로드 받은 공용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정보와 각 국가의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별로 각각 작성되어 상기 서버에 미리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장치(400, 500)의 통신망을 통하여 이용자(400)/대응자(상대편)(500)가 이용하는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를 전자장치(400, 500)의 고유 식별정보를 상기 전자장치(400, 500)의 표시 화면에 메뉴로서 표시하거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를 메뉴로부터 희망하는 고유 식별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를 선택할 수도 있다.
여기서 언어별 번역/통역 요청 정보는 서버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전자장치가 이용하는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다른 전자장치(500)가 이용하는 해당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에 해당하는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별로 번역되어 출력(생성)(420)된다.
여기서 설정된 반경은 번역/통역 상황 발생 시 이용자가 직접 입력하여 상기 서비스 번역/통역 요청정보에 포함시켜 서버로 전송되어 서비스요청과 함께 저장되고 또는 가장 근접한 다른 전자장치(500)에 번역/통역을 요청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는 전자장치(400) 또는 상기 다른 전자장치(500)를 포함한 다수의 전자장치(500)들의 위치를 주기적으로 확인하여 전자장치(400, 500)들 각각의 위치 정보를 저장해 둘 수 있다.
한편 서비스 통합관리서버(300)로부터 번역/통역서비스 전용의 어플리케이션(441)을 다운로드하여 설치한 후 이용자 전자장치(400)는 전자장치의 고유 식별정보 및 이용할 번역/통역서비스 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여 상기 서비스 통합 관리서버(300)에 등록한다.
또한 서비스 통합관리서버(300)에 등록되는 상기 번역/통역서비스 이용자 전자장치(400)의 고유 식별정보에는 해당 번역/통역서비스 이용자 전자장치(400)의 발신번호가 포함되고 서비스 통합관리서버(300)는 번역/통역서비스 대응자(상대편) 전자장치(500)의 통신망(200)을 통한 호 연결 요청에 따라 해당 서비스 대응자(상대편) 전자장치(500)의 발신번호를 추출(120)하여 추출된 발신번호와 맵핑된 번역/통역서비스요청 정보를 추출한 다음 추출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서비스 요청 정보를 생성한다.
그리고 이용자/대응자(상대편)의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에 의한 특정한 단어 혹은 문장, 음성의 발성 입력에 의해 이루어지고, 상기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로 추출(223)되어 출력(생성)(214)/송신(215)이 실시간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서비스 통합관리서버(300)는 이용자의 전자장치(400)에서 사용하는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가 테이터(221)로 변환되어 대응자(상대편)의 전자장치(500)에서 사용하는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에 대응하는 테이터(222)로 변환되어 상기 변환된 데이터가 요청한 서비스에 해당되는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로 추출(223)되어 출력(생성)(214)/송신(215)이 실시간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이용자 및 대응자(상대편)가 이용하는 전자장치에서 단어/문장이 음성언어로 음성언어가 단어/문장으로 추출(223)/출력(생성)(214)/송신(215)이 실시간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용자가 입력된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를 상기 대응자(상대편) 전자장치(500)의 고유 식별정보에 매칭하여 대응자(상대편)가 사용하는 전자장치(500)에서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로 출력(생성)(214)하도록 하고, 상기 대응자(상대편)가 사용하는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로 된 통역이나 번역된 정보를 전송(215)한다.
여기서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 형태로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부(112)에 서비스 요청된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에 대응하는 데이터가 없는 경우 데이터베이스부에서 유사도가 가장 높은 순서대로 데이터를 추출한다.
그리고 전자장치(400, 500)에 기 저장된 사용자 정보는 상기 외부서버(300)로부터 다운로드 받을 수 있게 한다.
여기서 디스플레이(440)된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로 상기 전자장치(400, 500)에 필요한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를 입력하고 (211)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로 번역된 이용자/대응자(상대편) 전자장치(400, 500)에 디스플레이(440) 되고 입력된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고 입력된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를 상기 각 전자장치(400, 500)로 실시간 송·수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한다.
그리고 이용자 전자장치(400)의 고유 식별정보를 근거로 전자장치에 설정된 언어 값으로 가입자 정보에서 추출한 전자장치(400)의 식별정보를 포함하고 이용자가 서비스 서버(300)에 접속하여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도록 접속을 형성하고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화면 출력부(420)와 표시부(440)
그리고 출력된(420)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를 선택하고 선택된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로 작성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 통신부(미도시)와, 상기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 통신부(미도시)에서 송출된 정보를 전달받아 구현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에 따른 변환 서비스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변환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서버와 모바일 인터넷 액세스망으로 접속된 전자장치(400, 500)의 화면에 상기 서버(300)에 저장된 전자장치(400, 500)가 사용하는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를 표시하고 전자장치(400, 500)로부터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변환 서비스의 접속 지시를 받아 전자장치(400, 500)와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변환 요청을 통신망을 통하여 서버에 접속하고 이용자의 전자장치에서 사용하는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가 테이터로 변환되고(221) 대응자(상대편)의 전자장치(500)에서 사용하는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에 대응하는 테이터로 변환(222)된다.
그리고 변환된 데이터가 대응자(상대편)의 전자장치(500)에 해당되는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를 추출(223)하고 추출된 데이터가 대응자(상대편)의 전자장치(500)에 해당되는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로 생성(출력)(214)한다.
또한 전자장치가 사용하는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로 생성(출력)(214)된 상태에서 통신망(200)을 통하여 대응자(상대편) 전자장치(500)로 송신하며 대응자(상대편) 전자장치(500)에 수신된 내용을 대응자(상대편)가 이용하는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로 응답하여 재 송신하며 이용자/대응자(상대편)전자장치(400, 500)에서 이용하는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로 추출(153)되어 출력(생성)(154)/송신이 실시간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전자장치(400)가 이용자로부터 번역/통역 요청이 발생했음을 나타내는 서비스 요청 신호가 입력되고 전자장치(400)가 현재 위치 정보와 미리 저장된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번역/통역 요청 정보를 서버(300)로 전송한다.
그리고 서버(300)가 상기 번역/통역 요청 정보를 수신하게 되면 서버(300)가 수신된 서비스 요청 정보로부터 추출된 전자장치(400) 정보의 위치를 중심으로 설정된 반경 내에 가장 근접하거나 또는 이용자가 지정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장치(500)를 검색하여 고유 식별정보를 추출(213)하고
여기서 서버(400)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상기 다른 전자장치(500)의 고유 식별정보로부터 해당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별 정보를 추출(213)하며 서버(300)가 상기 해당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별 정보에 해당하는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별 번/통역된 정보를 상기 다른 전자장치로 전송(215)한다.
여기서 번역/통역서비스 요청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전에 번역/통역서비스 요청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위치 정보는 GPS에 의한 위치정보 획득 방법 또는 기존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위치정보 획득 방법을 포함한다.
그리고 고유 식별정보는 해당 전자장치(400, 500)의 국가 코드번호 이용자 정보와 전자장치 전화번호 정보에 매칭되는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별 정보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별 정보는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 전문용어, 특수용어 종류별/국가별/지리적으로 각각 작성되어 상기 서버(112)에 미리 저장된다.
그리고 서비스 요청 정보는 서버(300)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다른 전자장치(500)가 이용하는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별 정보에 해당하는 상기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별로 번역되어 생성(214)된다.
여기서 설정된 반경은 번역/통역서비스 요청 시 상기 설정된 반경을 나타내는 서비스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서비스 요청 정보 생성 시 함께 포함시켜 상기 서버(113)로 전송한다.
그리고 설정된 정보는 서버에 미리 저장된 상기 설정된 정보를 변경하여 이용자 서비스 요청 신호를 상기 서버가 수신하여 변경된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별 정보로 변환하여 서비스 제공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을 첨부 도면과 전술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후술되는 특허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다.
110 : 데이터베이스 111 : 회원 DB
112 : 국가별언어/문자 DB 113 : 전자장치 위치 식별정보 DB
114 : 전자장치고유 식별정보 DB 120 : 발신자번호 추출부
130 : SMS처리부 140 : 웹 서버
150 : 관리서버 151 : 인식부
152 : 저장부 153 : 추출부
154 : 출력(생성)부 155 : 제어부
200 : 통신망 300 : 통합관리서버
400 : 이용자 전자 장치 410 : 통신부
411 : 이동통신 모듈 412 : 무선랜 모듈
413 : 유선랜 모듈 414 : 근거리통신 모듈
420 : 출력부 421 : 음성인식부
430 : 입력부 440 : 표시부(디스플레이)
441 : 어플리케이션 450 : 제어부
460 : GPS수신부 470 : 저장부
480 : 키패드 490 : 메모리
500 : 대응자(상대편) 전자장치 600 : 결제기관
700 : 서비스제공을 위한 보조 전자장치

Claims (48)

  1. 서비스 이용자가 번역/통역 상황이 발생했음을 나타내는 통역/번역서비스 요청 정보를 입력하면, 현재 위치 정보와 이용자/대응자(상대편) 전자장치의 고유 식별 정보에 해당되는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를 포함하는 번역/통역서비스를 통신망을 통해 외부서버로 전송하는 전자 장치; 및
    상기 번역/통역서비스 요청을 수신하여 상기 위치 정보와 시간적 또는 공간적으로 가변하는 탐색범위 근접내에 위치하는 대응자(상대편) 전자장치 또는 지정한 대응자(상대편) 전자장치중 하나 이상의 전자장치를 검색하여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장치를 선택한 후, 상기 서버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상기 전자장치의 고유 식별 정보로부터 해당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 정보를 추출하여 생성(출력)된 해당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 정보를 상기 선택된 다른 전자장치로 전송하는 상기 서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의 식별정보를 통한 번역/통역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전자장치의 식별정보를 통한 번역/통역 시스템은,
    상기 전자 장치 및 상기 다른 전자 장치를 포함한 다수의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들이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의 고유 식별정보를 통한 번역/통역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실시간 번역/통역 전송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장치는,
    상기 서버와 데이터 송·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식별 정보가 미리 저장되는 저장부;
    상기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별 번역/통역 정보를 포함한 다양한 정보들을 상기 전자장치의 이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서비스 번역/통역 요청 신호를 나타내는 입력 신호를 포함한 신호들 또는 정보들을, 상기 이용자가 상기 전자장치에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입력부; 및 키패드
    상기 음성을 인식하기 위한 음성인식부;
    상기 서버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의 식별정보를 통한 번역/통역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실시간 번역/통역 전송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장치는,
    상기 서비스 이용자 전자장치는 상기 서비스 요청 정보의 생성 시 상기 서비스 결제방법 정보도 포함시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의 식별정보를 통한 번역/통역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실시간 번역/통역 전송 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장치는,
    상기 전자장치 고유 식별정보에는 서비스 공급자가 제공하는 국가적/지리적/언어적으로 각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로 번역/통역서비스를 원활이 이용할 수 있도록 보조 전자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의 식별정보를 통한 번역/통역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실시간 번역/통역 전송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전자장치는,
    상기 번역/통역서비스를 원활이 이용할 수 있도록 이용자/대응자(상대편) 전자장치에 내장 또는 외장 형태로 보조 전자장치를 탈·부착할 수 있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도록 보조 전자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의 식별정보를 통한 번역/통역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실시간 번역/통역 전송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전자장치를 이용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이용자로부터 입력 요청된 단어/문장이 나타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문자/음성을 출력하기 위한 음성출력부;
    상기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 및 데이터 통신을 제어 수행할 수 있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상기 전자장치에 다운로드 또는 탑재되어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부:
    상기 어플리케이션부는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 형태로 저장된 저장부:
    상기 이용자로부터 입력된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에 대응자(상대편)가 이용하는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서 검색 및 추출하여 상기 대응자(상대편)의 전자장치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로 출력(생성)하도록 하는 출력(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생성)부는 상기 제어부와 연동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제어부에서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 및 데이터 통신 시, 이용자가 입력하는 음성이나 문자를 대응자(상대편)가 이용하는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로 변환하여 대응자(상대편)에게 변환된 정보를 전송하도록 하고, 상기 대응자(상대편)가 이용하는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로 이용자에게 응답하고 이용자가 이용하는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로 변환하여 재 송신하는 어플리케이션부; 및
    상기 전자장치에서 실행되는 상기 어플리케이션부와 연동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의 식별정보를 통한 번/통역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실시간 번/통역 전송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별로 관리할 수 있는 전자장치는,
    번역/통역서비스를 이용할 정보에 대응하는 국가적/지리적/언어별로 다수의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별 번역/통역정보 서비스들을 제공하기 위한 관련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별로 구성되어 애플리케이션에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의 식별정보를 통한 번역/통역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실시간 번역/통역 전송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별로 관리할 수 있는 전자장치는,
    번역/통역서비스를 이용할 정보에 대응하는 국가적/지리적/언어별로 다수의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별 번역/통역 정보 서비스들을 제공하기 위한 관련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별로 구성되어 외부 서버에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의 식별정보를 통한 번역/통역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실시간 번역/통역 전송 방법.
  10. 제 8, 9 항에 있어서,
    상기 웹서버를 통하여 데이터 통신 접속된 전자장치로부터 전송된 번역/통역서비스요청 정보가 접수되면
    상기 회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회원정보인지 검색하고 저장된 회원정보이면 상기 웹서버를 통하여 접속된 상기 전자장치에 등록회원에게 맞는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전자장치로부터 회선 통신망을 통한 전화 호 접속이 있으면 호 접속된 발신자 번호를 상기 발신자 번호 추출부를 통해 추출하고, 추출된 발신자 번호와 수신될 번호정보를 매칭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한 후, 서비스를 제공할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정보를 상기 대응자(상대편) 전자장치로 전송하는 서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의 식별정보를 통한 번역/통역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실시간 번역/통역 전송 방법.
  11. 상기 이용자가 이용하는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에 의하여, 상기 이용자 전자장치에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 등 정보가 입력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요청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입력된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대응자(상대편) 전자장치의 고유 식별정보에 매칭하여 상기 대응자(상대편)의 전자장치에서 이용하는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 중 어느 하나가 생성되어 선택되는 단계;
    상기 번역된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를 대응자(상대편) 전자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의 식별정보를 통한 번/통역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실시간 번/통역 전송 방법.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전자 장치 및 상기 다른 전자 장치를 포함한 다수의 전자장치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전자장치와 데이터 송·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이용자로부터 전송된 음성을 인식하기 위한 인식부:
    상기 이용자로부터 입력 전송된 단어/문장을 인식할 수 있는 SMS처리부:
    상기 전자장치가 사용하는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별 식별정보가 미리 저장된 식별정보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저장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자장치로부터 상기 서비스요청 정보가 수신되면, 다른 전자장치 고유 식별정보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별 번역/통역 요청 정보에 대응하는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별로 실시간 추출하는 추출부;
    상기 전자장치의 고유 식별정보에 의해 추출된 국가적/지리적/언어별로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로 출력(생성)하도록 하는 출력(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생성)된 정보를 다른 전자 장치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의 식별정보를 통한 번역/통역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실시간 번역/통역 전송 방법.
  13. 제 1 항에 있어서, 서비스 통합관리서버는
    상기 서비스 공급자 전자장치와 패킷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 통신을 하는 웹서버;
    상기 서비스 사용자 전자장치의 회선통신망을 통한 호 접속 시 해당 서비스 사용자 전자장치의 발신번호와 서비스요청 정보 및 고유 식별정보를 추출하는 서비스 사용자 정보 추출부;
    상기 서비스 통합관리서버로부터 서비스요청 정보를 수신한 상기 서비스 사용자 전자장치의 승인에 따른 결제 정보를 결제기관의 서버에 결제 요청하거나 직접 결제 처리하는 결제서버;
    상기 서비스 이용자/대응자(상대편) 전자장치별 고유 식별정보 및 서비스재공 정보, 상기 서비스 이용자 전자장치의 서비스요청 정보와 고유 식별정보, 상기 결제서버의 결제정보, 상기 서비스 공급자 보조 전자장치별 서비스 제공 정보, 상기 서비스 대응자(상대편) 전자장치별 서비스 이용 정보, 그리고 기타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웹서버와 서비스 이용자 정보 추출부 및 결제서버의 동작 제어 또는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대한 정보저장 및 정보검색과 추출 그리고 상기 서비스요청 정보에 대응하는 정보생성 기능을 갖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의 식별정보를 통한 번역/통역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실시간 번역/통역 전송 방법.
  1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이용자 전자장치는 상기 번역/통역서비스 요청 정보의 생성 시 상기 서비스 결제방법 정보도 포함시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의 식별정보를 통한 번역/통역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실시간 번역/통역 전송 방법.
  15. 제 12, 13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통합관리서버는 상기 전자장치에 번역/통역서비스 요청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단문메시지의 생성 및 전송 기능 그리고 상기 서비스 이용자 전자장치에 상기 결제서버를 통한 결제 및 서비스제공 상품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단문메시지의 생성 및 전송 기능을 갖는 SMS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의 식별정보를 통한 번역/통역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실시간 번역/통역 전송 방법.
  16. 제 12, 13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관리 서버는,
    상기 회원 번역/통역서비스 요청정보를 자동 분류하여 검색 할 수 있는 회원데이터베이스;
    상기 번역/통역서비스 정보를 기초로 특정 주변 또는 지정된 대응자(상대편) 정보를 일정한 검색조건으로 검색되는 전자장치 위치 식별정보 데이터베이스;
    상기 국가적/지리적/언어적 서비스 정보를 기초로 체계화된 검색조건으로 검색할 수 있는 국가별 언어/문자 데이터베이스;
    상기 회원 번역/통역서비스 요청정보를 자동 분류하여 검색 할 수 있는 전자장치 고유 식별정보 데이터베이스;
    상기 전자장치의 위치 정보에 해당되는 번역/통역서비스 정보를 상기 전자장치 위치 식별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 후 추출된 번역/통역서비스 정보에 해당되는 전자장치 고유 식별정보에 매칭되는 상기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별 식별정보를 상기 국가별 언어/문자 데이터베이스, 회원데이터베이스, 전자장치 고유 식별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고 추출된 번역/통역서비스 정보로 상기 번역/통역서비스 요청 정보를 패킷 통신망을 통하여 데이터 통신 접속을 위한 웹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웹서버를 통해 번역/통역서비스 정보가 생성되어 상기 전자장치 식별정보 및 번역/통역서비스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번역/통역서비스 이용료 정산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의 식별정보를 통한 번역/통역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실시간 번역/통역 전송 방법.
  17. 제 12, 13 항에 있어서,
    상기 번역/통역서비스 정보서버는 상기 웹서버를 통해 번역/통역서비스 정보를 기초로 특정 주변의 전자장치 정보를 일정한 검색조건으로 전자장치 이용자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로 상기 전자장치에 기반하는 정보를 각각 생성하여 상기 번역/통역 서비스 정보가 상기 전자장치의 디스플레이부 화면에 표시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의 식별정보를 통한 번역/통역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실시간 번역/통역 전송 방법.
  18. 상기 서비스를 이용하는 이용자의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를 이용자에 의하여 상기 전자장치에 입력되는 입력부;
    상기 입력된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대응자(상대편)가 사용하는 전자장치의 고유 식별정보를 활용하여 상기 대응자(상대편)가 사용하는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로 추출하는 추출부:
    상기 추출된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를 출력하는 출력부;
    상기 출력된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를 상기 대응자의 전자장치로 송신하는 통신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의 식별정보를 통한 번역/통역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실시간 번역/통역 전송 방법.
  19. 상기 이용자 전자장치로부터 상기 수신된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를 수신 받고, 상기 수신 받은 상기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를 저장하며, 상기 저장된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정보 등 데이터를 스스로 학습해서 기능을 향상시키고 업데이트 할 수 있는 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의 식별정보를 통한 번역/통역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실시간 번역/통역 전송 방법.
  20. 상기 서비스 통합관리 서버로부터 서비스 전용의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여 설치 후 상기 서비스 공급자가 제공하는 보조 전자장치는 상기 전자장치의 고유 식별정보 및 상기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로 번역/통역 서비스제공을 할 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여 상기 서비스 통합관리 서버에 등록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의 식별정보를 통한 번역/통역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실시간 번역/통역 전송 방법.
  21. 서비스 통합관리 서버에 등록되는 상기 서비스 이용자 전자장치의 고유 식별정보에는 해당 서비스 이용자 전자장치의 발신번호가 포함되고, 상기 서비스 통합관리서버는 상기 서비스 이용자 전자장치의 통신망을 통한 호 연결 요청에 따라 해당 서비스 대응자(상대편) 전자장치의 수신번호를 추출하여 추출된 수신번호와 맵핑 등록된 정보와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로 번역/통역 정보를 추출한 다음 추출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서비스에 대응하는 대응자(상대편)가 이용하는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로 번역/통역정보를 출력(생성)하여 전송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의 식별정보를 통한 번역/통역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실시간 번역/통역 전송 방법.
  22. 상기 위치 정보는,
    GPS에 의한 위치정보 획득 방법 또는 기존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위치정보 획득 방법을 포함한 위치 정보 획득 방법에 의해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의 식별정보를 통한 번역/통역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실시간 번역/통역 전송 방법.
  2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유 식별정보는,
    해당 전자장치의 이용자 정보와 전자장치 식별정보 또는 전자장치에서 이용하는 국가적/지리적/언어적으로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의 식별정보를 통한 번역/통역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실시간 번역/통역 전송 방법.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유 식별정보는,
    URL 정보가 포함되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전자장치 현재 위치에서 통신을 통하여 수신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소정의 형태로 상기 URL 정보와 이용하는 서비스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소정의 형태로 화면에 표시하여 배치된 서비스를 상기 이용자가 선택하여 이용하고 상기 전자장치는 URL 정보의 표시 영역에 대한 터치 시 상기 서비스제공·요청 신호를 상기 서비스 통합관리서버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의 식별정보를 통한 번역/통역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실시간 번역/통역 전송 방법.
  25. 상기 전자장치의 고유 식별정보는,
    상기 이용자/대응자(상대편)가 이용하는 전자장치의 국가별, 지역별, 언어별, 전문용어별로 데이터베이스에 등록 또는 상기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받은 공용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정보와 각 국가의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별로 각각 작성되어 상기 서버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의 식별정보를 통한 번/통역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실시간 번/통역 전송 방법.
  2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장치의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이용자/대응자(상대편)가 이용하는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를 상기 전자장치의 고유 식별정보를 상기 전자장치의 표시 화면에 메뉴로서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를 메뉴로부터 희망하는 고유 식별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의 식별정보를 통한 번역/통역 시스템 및 이용한 실시간 번역/통역 전송 방법.
  2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언어별 번역/통역 요청 정보는,
    상기 서버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전자장치가 이용하는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다른 전자 장치가 이용하는 해당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에 해당하는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별로 번역되어 출력(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의 식별정보를 통한 번역/통역 시스템 및 이용한 실시간 번역/통역 전송 방법.
  2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반경은,
    번역/통역 상황 발생 시 상기 이용자가 직접 입력하여 상기 서비스 번역/통역 요청정보에 포함시켜 상기 서버로 전송되어 요청과 함께 저장되고 또는 가장 근접한 다른 전자장치에 번역/통역을 요청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의 식별정보를 통한 번역/통역 시스템 및 이용한 실시간 번역/통역 전송 방법.
  2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전자 장치 또는 상기 다른 전자 장치를 포함한 다수의 전자 장치들의 위치를 주기적으로 확인하여 전자 장치들 각각의 위치 정보를 저장해 두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의 식별정보를 통한 번역/통역 시스템 및 이용한 실시간 번역/통역 전송 방법.
  3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통합관리서버로부터 번역/통역서비스 전용의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여 설치한 후 상기 이용자 전자장치는 상기 전자장치의 고유 식별정보 및 상기 이용할 번역/통역서비스 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여 상기 서비스 통합 관리서버에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의 식별정보를 통한 번역/통역 시스템 및 이용한 실시간 번역/통역 전송 방법.
  3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통합관리서버에 등록되는 상기 번역/통역서비스 이용자 전자장치의 고유 식별정보에는 해당 번역/통역서비스 이용자 전자장치의 발신번호가 포함되고,
    상기 서비스 통합관리서버는 상기 번역/통역서비스 대응자(상대편) 전자장치의 통신망을 통한 호 연결 요청에 따라 해당 서비스 대응자(상대편) 전자장치의 발신번호를 추출하여 추출된 발신번호와 맵핑된 번역/통역서비스요청 정보를 추출한 다음 추출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서비스요청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의 식별정보를 통한 번역/통역 시스템 및 이용한 실시간 번역/통역 전송 방법.
  32. 상기 서비스는,
    상기 이용자/대응자(상대편)의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에 의한 특정한 단어 혹은 문장, 음성의 발성 입력에 의해 이루어지고, 상기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추출/출력(생성)/송신이 실시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의 식별정보를 통한 번역/통역 시스템 및 이용한 실시간 번역/통역 전송 방법.
  3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통합관리서버는
    상기 이용자의 전자장치에서 사용하는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가 테이터로 변환되어 대응자(상대편)의 전자장치에서 사용하는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에 대응하는 테이터로 변환되어 상기 변환된 데이터가 요청한 서비스에 해당되는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로 추출되어 출력(생성)/송신이 실시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의 식별정보를 통한 번역/통역 시스템 및 이용한 실시간 번역/통역 전송 방법.
  34.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자 및 대응자(상대편)가 이용하는 전자장치에서 단어/문장이 음성언어로 음성언어가 단어/문장으로 추출/출력(생성)/송신이 실시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의 식별정보를 통한 번역/통역 시스템 및 이용한 실시간 번역/통역 전송 방법.
  35. 상기 이용자가 입력된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를 상기 대응자(상대편) 전자장치의 고유 식별정보에 매칭하여 상기 대응자(상대편)가 사용하는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로 출력(생성)하도록 하고, 상기 대응자(상대편)가 사용하는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로 된 통역이나 번역된 정보를 전송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의 식별정보를 통한 번역/통역 시스템 및 이용한 실시간 번역/통역 전송 방법.
  36. 상기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 형태로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부;에 서비스 요청된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에 대응하는 데이터가 없는 경우,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서 유사도가 가장 높은 순서대로 데이터를 추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의 식별정보를 통한 번역/통역 시스템 및 이용한 실시간 번역/통역 전송 방법.
  37. 상기 전자장치에 기 저장된 사용자 정보는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받은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의 식별정보를 통한 번역/통역 시스템 및 이용한 실시간 번역/통역 전송 방법.
  38. 상기 디스플레이된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로 상기 전자장치에 필요한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를 입력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로 번역된 이용자/대응자(상대편) 전자장치에 디스플레이 되는 단계;
    상기 입력된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단계; 및 상기 입력된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를 상기 각 전자장치로 실시간 송·수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의 식별정보를 통한 번역/통역 시스템 및 이용한 실시간 번역/통역 전송 방법.
  39. 상기 이용자 전자장치의 고유 식별정보를 근거로 전자장치에 설정된 언어 값,
    상기 가입자 정보에서 추출한 전자장치의 식별정보를 포함하고 이용자가
    상기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여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도록 접속을 형성하고,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화면 출력부와 표시부;
    상기 출력된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로 작성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 통신부와, 상기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 통신부에서 송출된 정보를 전달받아 구현할 수 있는 전자장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의 식별정보를 통한 번역/통역 시스템 및 이용한 실시간 번역/통역 전송 방법.
  40.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변환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서버와 모바일 인터넷 액세스망으로 접속된 전자장치의 화면에 상기 서버에 저장된 전자장치가 사용하는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를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전자장치로부터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변환 서비스의 접속 지시를 받아 상기 전자장치와 상기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 변환 요청을 통신망을 통하여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
    상기 이용자의 전자장치에서 사용하는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가 테이터로 변환되는 단계;
    상기 대응자(상대편)의 전자장치에서 사용하는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에 대응하는 테이터로 변환되는 단계;
    상기 변환된 데이터가 대응자(상대편)의 전자장치에 해당되는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데이터가 대응자(상대편)의 전자장치에 해당되는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로 생성(출력)하는 단계;
    상기 전자장치가 사용하는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로 생성(출력)된 상태에서 통신망을 통하여 대응자(상대편) 전자장치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대응자(상대편) 전자장치에 수신된 내용을 대응자(상대편)가 이용하는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로 응답하여 재 송신하는 단계;
    상기 이용자/대응자(상대편)가 이용하는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로 추출되어 출력(생성)/송신이 실시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의 식별정보를 통한 번역/통역 시스템 및 이용한 실시간 번역/통역 전송 방법.
  41. 상기 전자장치가 이용자로부터 번역/통역 요청이 발생했음을 나타내는 서비스 요청 신호를 입력 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요청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전자장치가 현재 위치 정보와 미리 저장된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번역/통역 요청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번역/통역 요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수신된 서비스 요청 정보로부터 상기 추출된 전자장치 정보의 위치를 중심으로 설정된 반경 내에 가장 근접하거나 또는 이용자가 지정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장치를 검색하여 고유 식별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상기 다른 전자장치의 고유 식별 정보로부터 해당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별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가 상기 해당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별 정보에 해당하는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별 번/통역된 정보를 상기 다른 전자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의 식별정보를 통한 번역/통역 시스템 및 이용한 실시간 번역/통역 전송 방법.
  42. 제 41 항에 있어서,
    상기 번역/통역서비스 요청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전에,
    상기 번역/통역서비스 요청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의 식별정보를 통한 번역/통역 시스템 및 이용한 실시간 번역/통역 전송 방법.
  43. 제 4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는,
    GPS에 의한 위치정보 획득 방법 또는 기존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위치정보 획득 방법을 포함한 위치정보 획득 방법에 의해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의 식별정보를 통한 번역/통역 시스템 및 이용한 실시간 번역/통역 전송 방법.
  44. 상기 고유 식별정보는,
    해당 전자장치의 국가 코드번호 이용자 정보와 전자장치 전화번호 정보에 매칭되는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별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의 식별정보를 통한 번역/통역 시스템 및 이용한 실시간 번역/통역 전송 방법.
  45. 제 40, 4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별 정보는,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 전문용어, 특수용어 종류별/국가별/지리적으로 각각 작성되어 상기 서버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의 식별정보를 통한 번역/통역 시스템 및 이용한 실시간 번역/통역 전송 방법.
  46. 제 40, 4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요청 정보는,
    상기 서버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다른 전자장치가 이용하는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별 정보에 해당하는 상기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별로 번역되어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의 식별정보를 통한 번역/통역 시스템 및 이용한 실시간 번역/통역 전송 방법.
  47. 제 4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반경은,
    상기 번역/통역서비스 요청 시 상기 설정된 반경을 나타내는 서비스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서비스 요청 정보 생성 시 함께 포함시켜 상기 서버로 전송되며, 상기 서버에 저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의 식별정보를 통한 번역/통역 시스템 및 이용한 실시간 번역/통역 전송 방법.
  48. 제 4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정보는,
    상기 서버에 미리 저장된 상기 설정된 정보를 변경하여 이용자 서비스 요청 신호를 상기 서버가 수신하여 변경된 단어/문장 또는 음성언어별 정보로 변환하여 서비스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의 식별정보를 통한 번역/통역 시스템 및 이용한 실시간 번역/통역 전송 방법.
KR1020140191824A 2014-12-29 2014-12-29 전자장치의 식별정보를 통한 번역/통역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실시간 번역/통역 전송 방법. KR201600803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1824A KR20160080328A (ko) 2014-12-29 2014-12-29 전자장치의 식별정보를 통한 번역/통역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실시간 번역/통역 전송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1824A KR20160080328A (ko) 2014-12-29 2014-12-29 전자장치의 식별정보를 통한 번역/통역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실시간 번역/통역 전송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0328A true KR20160080328A (ko) 2016-07-08

Family

ID=565027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1824A KR20160080328A (ko) 2014-12-29 2014-12-29 전자장치의 식별정보를 통한 번역/통역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실시간 번역/통역 전송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8032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1681A (ko) * 2018-02-23 2019-09-02 (주)에어사운드 실시간 다자 통역 무선 송수신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152262B1 (ko) * 2019-05-16 2020-09-07 (주)바인테크 레저용 장소에서 대여되는 공용무전기의 반납을 안내하는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1681A (ko) * 2018-02-23 2019-09-02 (주)에어사운드 실시간 다자 통역 무선 송수신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152262B1 (ko) * 2019-05-16 2020-09-07 (주)바인테크 레저용 장소에서 대여되는 공용무전기의 반납을 안내하는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43010B2 (ja) ワイヤレスネットワークのアクセスポイントに関連したエンティティの識別
US7272377B2 (en) System and method of ubiquitous language translation for wireless devices
US9031579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location services
US8738355B2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providing predictive translation information services to mobile stations
US20140180671A1 (en) Transferring Language of Communication Information
US10542069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customized resource
US10558655B2 (en) Data query method supporting natural language, open platform, and user terminal
CN104135716A (zh) 一种兴趣点信息的推送方法及系统
US10069970B1 (en) Keyword based phone dialing
US9571443B2 (en) Mobile device message enabled on-line community bulletin board
US20230194302A1 (en) Method of updating map data,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KR20160122371A (ko) 전자장치를 이용한 자동 통·번역 시스템 및 방법.
CN110209956B (zh) 提供阅读服务的方法、介质、装置和计算设备
JP2016058057A (ja) 翻訳システム、翻訳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コンピュータが読み取り可能な記憶媒体
KR20160080328A (ko) 전자장치의 식별정보를 통한 번역/통역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실시간 번역/통역 전송 방법.
KR20150037104A (ko) 클라우드 소싱 기반 관심 지점 정보 업데이트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및 장치
KR102310065B1 (ko) 메시지 분석을 통한 일정 관리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및 장치
JP6378263B2 (ja) イメージを用いた翻訳文提供方法、ユーザ端末、サーバ、システ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2151322B1 (ko) 정보 푸시 방법 및 장치
KR20140020593A (ko) 전화번호와 연관된 url 정보를 이용하여 부가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이를 위한 서비스장치 및 이를 위한 단말기
KR101968287B1 (ko) 지식재산 거래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US20120004900A1 (en) Method for automatically setting language types of push-based services, client, and server thereof
KR101754304B1 (ko) Poi별 특화된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CN115292440A (zh) 远程指导方法、装置、设备及介质
CN106034154B (zh) 公交信息共享方法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