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1681A - 실시간 다자 통역 무선 송수신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실시간 다자 통역 무선 송수신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1681A
KR20190101681A KR1020180021969A KR20180021969A KR20190101681A KR 20190101681 A KR20190101681 A KR 20190101681A KR 1020180021969 A KR1020180021969 A KR 1020180021969A KR 20180021969 A KR20180021969 A KR 20180021969A KR 20190101681 A KR20190101681 A KR 201901016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voice
receiving
translation server
man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19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42247B1 (ko
Inventor
백민호
Original Assignee
(주)에어사운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어사운드 filed Critical (주)에어사운드
Priority to KR10201800219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2247B1/ko
Priority to PCT/KR2018/010398 priority patent/WO2019164078A1/ko
Publication of KR201901016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16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22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22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F17/289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6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 H04L12/18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 H04L12/189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in combination with wireless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40Support for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5/403Arrangements for multi-party communication, e.g. for confere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Machine Transla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시간 다자 통역 무선 송수신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언어 정보를 설정하는 ID 세팅부와, 음성을 입력받아 ID 데이터와 음성데이터를 인코딩하여 전송하는 송신단과, 상기 ID 데이터와 음성데이터를 수신받아 디코딩하여 해당 언어로 출력하는 수신단을 포함하는 송수신장치 및 1 대 다수 또는 다수 대 다수로 구성되는 다수개의 송수신장치의 송신부에서 전송되는 ID 데이터와 음성데이터를 수신 받아 미리 정의된 복수개의 언어별로 ID 데이터와 음성데이터를 상기 다수개의 송수신장치의 수신부로 전송하는 번역서버를 포함하는 실시간 다자 통역 무선 송수신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실시간 다자 통역 무선 송수신 시스템 및 그 방법{Wireless transceiver for Real-time multi-user multi-language interpretation and the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실시간 다자 통역 무선 송수신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실시간 다자 통역 무선 송수신 장치가 입력된 음성과 해당 언어정보에 대한 ID 신호가 결합되는 데이터를 번역서버를 통해 송수신하여 1 대 다수 또는 다수 대 다수에 대한 통번역을 실시간으로 수행하는 실시간 다자 통역 무선 송수신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들어 교통 및 통신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국제교류가 활발하게 이루어진지고 있다. 많은 사람이 서로 다른 언어를 사용하는 국가를 방문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어 해당 국가의 언어를 자국어로 통번역할 수 있는 인력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특히, 외국에 지사를 둔 기업, 기관이나 개인 간의 국제교류의 증가로 인하여 다양한 분야에서 통번역에 대한 서비스가 절실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다양한 번역 장치 및 방법에 대한 기술도 계속하여 발전해 왔는데, 인터넷을 통해 자국의 언어를 해당 국가의 언어로 통번역하는 문자 번역 서비스는 이미 상당한 번역 수준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스마트 기기에 의해 전용 통번역 어플리케이션 또는 전용 번역기를 이용하면 일정 수준의 통번역도 가능하다.
이러한 스마트 기기 또는 전용 번역기는 사용자가 해당 국가의 사람을 만나 직접 대면할 때 사용자가 미리 해당 국가의 언어를 설정해 두거나 전용 번역기가 상대방의 음성을 인식함으로써 실시간으로 자국어를 해당 국가의 음성으로 통번역하게 된다.
하지만, 회의 등과 같이 다양한 국가의 다양한 언어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동시에 모일 때는 서로 다른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과 대화할 때마다 사용자가 직접 번역기를 조작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하고, 설령 번역기가 음성을 인식하여 자동으로 해당 언어로 번역한다고 하더라도 현재 기술 수준으로는 음성 인식에 따른 지연에 대한 문제점과 음성 인식 불량에 대한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회의 등과 같이 다양한 국적의 사람들과 실시간으로 원활하게 대화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사용자가 동시에 대화를 하더라도 지연이 발생하지 않는 번역기에 대한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관련 선행기술로는 한국등록특허 10-2016-0122371호(등록일: 2016. 10. 24)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종래의 통역기가 장치에 하드웨어적으로 해당 언어정보에 대한 ID를 부여받아 언어를 분석 및 인식하고 있어 복수의 언어를 통번역할 때 발생하는 인식 지연 및 인식 불량을 해소하기 위하여 실시간 다자 통역 무선 송수신 장치가 입력된 음성과 해당 언어정보에 대한 ID 신호가 결합되는 데이터를 번역서버를 통해 송수신함으로써 ID 신호만을 분석하면 곧바로 해당 언어를 통역할 수 있어 복수의 언어를 통번역할 때에도 음성 인식 지연 및 인식 불량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한 실시간 다자 통역 무선 송수신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간 다자 통역 무선 송수신 시스템은, 사용자의 언어 정보를 설정하는 ID 세팅부와, 음성을 입력받아 ID 데이터와 음성데이터를 인코딩하여 전송하는 송신단과, 상기 ID 데이터와 음성데이터를 수신받아 디코딩하여 해당 언어로 출력하는 수신단을 포함하는 송수신장치 및 1 대 다수 또는 다수 대 다수로 구성되는 다수개의 송수신장치의 송신부에서 전송되는 ID 데이터와 음성데이터를 수신 받아 미리 정의된 복수개의 언어별로 ID 데이터와 음성데이터를 상기 다수개의 송수신장치의 수신부로 전송하는 번역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송신단은, 음성을 입력받아 전기 신호를 변환하는 음성입력부와, 상기 ID 세팅부의 신호를 전송받아 분석하는 제1 헤더분석부와, 입력된 음성과 제1 헤더 분석부에서 분석된 ID 신호를 데이터로 변환하고 결합하는 인코딩부 및 상기 인코딩부에서 변환된 음성데이터와 ID 데이터가 결합된 데이터를 상기 번역서버로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신단은, 번역서버로부터 음성데이터와 ID 데이터가 결합된 데이터를 전송 받는 수신부와, 상기 음성데이터와 ID 데이터가 결합된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음성데이터와 ID 데이터로 분리하는 디코딩부와, 상기 ID 데이터를 분석하여 해당 언어 정보를 추출하고 매칭시키는 제2 헤더분석부 및 해당 언어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음성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간 다자 통역 무선 송수신 방법은, 번역서버가 대상 송수신장치의 수를 결정하는 노드설정단계와, 번역서버가 1 대 다수 또는 다수 대 다수의 통신 방식을 결정하는 통신방식결정단계와, 번역서버가 상기 통신 방식이 1 대 다수이면 다수개의 송수신장치 중에서 마스터/슬레이브를 결정하는 마스터/슬레이브결정단계와, 번역서버가 ID를 정의하는 ID정의단계와, 다수개의 송수신장치가 번역서버를 통해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받아 통번역하는 통번역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통번역단계에서 송수신장치가 번역서버를 통해 데이터를 송신받는 송신단계는, 음성입력부로 음성을 입력받는 음성입력단계와, 제1 헤더 분석부가 ID 세팅부의 신호를 전송받아 분석하는 송신ID분석단계와, 상기 음성입력단계에서 전송된 음성과 상기 송신ID분석단계에서 분석된 신호를 데이터로 변환하고 결합하는 인코딩단계 및 상기 인코딩단계에서 전송되는 음성데이터와 ID 데이터를 번역서버로 전송하는 데이터송신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통번역단계에서 송수신장치가 번역서버를 통해 데이터를 수신받는 수신단계는, 상기 번역서버로부터 음성데이터와 ID 데이터가 결합된 데이터를 전송 받는 데이터수신단계와, 상기 ID 데이터를 분석하여 해당 언어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송수신장치에 설정된 ID와 매칭되는 ID 데이터와 음성데이터를 선택하는 수신ID분석단계와, 상기 음성데이터와 ID 데이터가 결합된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음성데이터와 ID 데이터로 분리하고 음성으로 변환하는 디코딩단계 및 상기 디코딩단계에서 변환된 해당 언어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음성출력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종래의 통역기가 장치에 하드웨어적으로 해당 언어정보에 대한 ID를 부여받아 언어를 분석 및 인식하는 것과는 달리 실시간 다자 통역 무선 송수신 장치가 입력된 음성과 해당 언어정보에 대한 ID 신호가 결합되는 데이터를 번역서버를 통해 송수신하고 있기 때문에, 실시간 다자 통역 무선 송수신 장치는 상기 번역 서버에서 전송되는 데이터 중에서 ID 신호만을 분석하면 곧바로 해당 언어를 통역할 수 있어 음성을 인식할 때 발생하는 인식 지연 및 인식 불량이 발생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다자 통역 무선 송수신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송수신장치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는 도 1에 도시된 송수신장치에서 번역서버로 송수신되는 데이터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다자 통역 무선 송수신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통번역단계의 송신단계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통번역단계의 수신단계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송수신장치가 1 대 다수 또는 다수 대 다수로 구성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송수신장치가 다수 대 다수로 구성된 후 릴레이로 연결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다자 통역 무선 송수신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로서, 본 발명의 실시간 다자 통역 무선 송수신 시스템은 복수의 사용자에 할당되는 번역기에 해당하는 단말기, 즉, 다수개의 송수신장치(100)와 송수신장치(100) 다수개가 무선을 통해 송수신하는 번역서버(200)를 포함할 수 있다. 해당 송수신장치(100)를 소지하고 있는 사용자는 상대방의 언어를 자국의 언어로 통역된 음성으로 들을 수 있고 상대방은 사용자가 말하는 언어를 자국 언어로 통역된 음성으로 들을 수 있게 된다. 이를 도 1에 송신장치 1(100) 내지 송신장치 n(100)이 번역서버(200)로 연결되는 것으로 나타내었다.
여기서, 송신장치 1(100) 내지 송신장치 n(100)이 서로 구성되는 방식, 즉, 서로 통신하는 방식은 1 대 다수 또는 다수 대 다수로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후술하기로 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송수신장치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로서, 본 발명의 송수신장치(100)는 ID 세팅부(110), 송신단(120) 및 수신단(13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이러한 송수신장치(100)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송신장치와 수신장치가 하나의 장치에 함께 장착된 것을 가정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송신장치와 수신장치가 별도의 장치에 분리되어 장착되어서 서로 송수신하면서 하나의 세트로 구성되게 할 수도 있고, 송신장치 하나와 다수개의 수신장치의 세트로 구성되게 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하면, 다수명이 서로 동시에 대화하는 회의 같은 경우에는 송신장치와 수신장치과 하나의 세트로 구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한명이 다수명에게 발표하는 경우에는 하나의 송신장치와 다수개의 수신장치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ID 세팅부(110)는 사용자의 언어 정보를 설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다시 말하면, 사용자가 자신의 국적, 즉, 듣고자 원하는 자기 나라의 언어를 설정하게 되면 해당 언어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여 송수신장치(100)의 송신부(120) 및 수신부(130)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ID 세팅부(110)를 장치의 외부에 인식 가능한 디스플레이와 버튼의 조합이거나, 터치스크린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가정하였는데, ID 세팅부(110)가 위의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유사한 기능의 다른 수단으로 얼마든지 변용이 가능함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송신단(120)은, 음성을 입력받아 ID 데이터와 음성데이터를 인코딩하여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음성입력부(121), 제1 헤더분석부(122), 인코딩부(123) 및 송신부(124)를 포함할 수 있다.
음성입력부(121)는 음성을 입력받아 전기 신호를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음성입력부(121)가 다양한 종류의 마이크로폰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물론 이러한 음성입력부(121) 이외에도 텍스트 입력 장치 또는 터치펜 등의 다양한 입력기기가 대체 사용될 수도 있다 하겠다.
제1 헤더분석부(122)는 ID 세팅부(110)의 신호를 전송받아 분석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사용자가 자신의 언어, 즉, 듣고자 하는 해당 언어를 설정하게 되면 그에 따라 ID 세팅부(110)에 의해 해당 언어의 정보가 포함한 ID 신호가 발생하고 이러한 신호는 수신단(120)으로 전송되어 제1 헤더분석부(122)로 전송되며, 제1 헤더분석부(122)는 해당 신호를 분석하여 이후 인코딩부(123)에서 변활될 데이터 형식에 적합한 신호를 생성해내게 된다.
인코딩부(123)는, 입력된 음성과 제1 헤더분석부(122)에서 분석된 ID 신호를 데이터로 변환하고 결합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이와 같이 함으로써 번역서버(200)로 전송되는 데이터는 ID 신호에 해당하는 헤드 데이티와 입력된 음성에 해당하는 음성 데이터로 이루어지도록 한다(도 3 참조).
송신부(124)는, 인코딩부(123)에서 변환된 음성데이터와 ID 데이터가 결합된 데이터를 번역서버(200)로 송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송신부(124)는 일정 거리이상 떨어진 번역서버(200)와 무선으로 송수신할 수 있도록 송신부(124)가 RF 통신모듈, Wifi 모듈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가정하였는데, 이외에도 다양한 통신 모듈이 사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수신단(130)은 ID 데이터와 음성데이터를 수신받아 디코딩하여 해당 언어로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음성출력부(131), 제2 헤더분석부(132), 디코딩부(133) 및 수신부(134)를 포함할 수 있다.
음성출력부(131)는, 해당 언어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보통 스피커로 구성될 수 있고, 이어폰을 이용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고, 이들 모두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제2 헤더분석부(132)는, ID 데이터를 분석하여 해당 언어 정보를 추출하고 매칭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다시 말하면, 번역서버(200)에서 전파되는 다양한 언어에 대한 데이터를 전송받아 전송 데이터열의 헤드부만을 빠르게 분석함으로써 헤드부에 수록된 ID 데이터의 해당 언어 정보를 쉽게 추출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종래의 번역기처럼 음성 자체를 인식하여 내부의 미리 저장된 언어와 비교하지 않아도 해당 번역기가 원하는 언어를 빠르게 통역할 수 있게 된다.
디코딩부(133)는, 음성데이터와 ID 데이터가 결합된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음성데이터와 ID 데이터로 분리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다시 말하면, 번역서버(200)에서 전파되는 다양한 언어에 대한 데이터 중에서 제2 헤더분석부(132)가 해당 번역기에 맞는 데이터를 선택하면 선택된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음성데이터와 ID 데이터로 분리하고 분리된 음성데이터를 변환하여 음성 신호로 바꿀 수 있도록 한다.
수신부(134)는, 번역서버(200)로부터 음성데이터와 ID 데이터가 결합된 데이터를 전송 받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수신부(134)는 일정 거리이상 떨어진 번역서버(200)와 무선으로 송수신할 수 있도록 RF 통신모듈, Wifi 모듈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가정하였는데, 이외에도 다양한 통신 모듈이 사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번역서버(200)는 1 대 다수 또는 다수 대 다수로 구성되는 다수개의 송수신장치(100)의 송신부(124)에서 전송되는 ID 데이터와 음성데이터를 수신 받아 미리 정의된 복수개의 언어별로 ID 데이터와 음성데이터를 상기 다수개의 송수신장치(100)의 수신부(134)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번역서버(200)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내부에 다양한 언어별 데이터 베이스와, 이들 데이터 베이스에 수록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각각의 언어로 번역하는 알고리즘이 수록된 연산장치, 데이터 신호를 송수신 할 수 있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간 다자 통역 무선 송수신 시스템의 작동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송수신장치(100)의 ID 세팅부(110)를 조작한다.
다음으로 송신단(120)은 입력되는 음성과 ID 세팅부(110)의 신호를 인코딩하고 합쳐서 번역서버(200)로 송신한다.
다음으로, 번역서버(200)는 복수개의 송수신장치(100)로부터 송신되는 데이터를 전송받아 송수신장치(100)의 구성을 파악하여 ID를 정의한 후,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어느 하나의 송수신장치(100)의 데이터를 미리 정의된 ID에 따라 다수개의 국가별 언어 데이터를 생성하여 송수신장치(100)로 전파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수신단(130)은 이러한 다수개의 국가별 언어 데이터를 수신한 후 수신된 데이터의 ID 데이터를 분석하여 해당 기기의 ID 정보와 일치하는 데이터를 선택하여 디코딩하고 음성으로 출력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다자 통역 무선 송수신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로서, 본 발명의 실시간 다자 통역 무선 송수신 방법은, 노드설정단계(S310), 통신방식결정단계(S320), 마스터/슬레이브결정단계(S330), ID정의단계(S340) 및 통번역단계(S350)를 포함할 수 있다.
노드설정단계(S310)는, 번역서버(200)가 대상 송수신장치(100)의 수를 결정하는 단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다수의 사용자가 동시에 대화를 하는 회의 석상이나, 한 명이 다수명에게 발표를 하는 경우를 상정하였고, 이에 따라 번역기에 해당하는 송수신장치(100)가 다수개가 필요하게 되므로 번역서버(200)는 실시간 다자 통역 무선 송수신 시스템의 작동 시작을 위해서 전체적인 송수신장치(100)의 개수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
통신방식결정단계(S320)는, 번역서버(200)가 1 대 다수 또는 다수 대 다수의 통신 방식을 결정하는 단계로서, 상술한 바와 같이 파악된 다수개의 송수신장치(100)가 어떠한 방식으로 서로 연결되어 구성되는 가를 파악하여 브로드 캐스팅 방식으로 시스템을 운용할 것인지 다자간 쌍방향 방식으로 시스템을 운용할 것인지를 결정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크게 1 대 다수 이거나 다수 대 다수의 통신방식으로 송수신장치(100)가 구성되는 것을 가정하였지만, 이외에도 다양한 방식으로 송수신장치(100)가 구성되어 그에 따른 통신 방식으로 시스템이 운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통신방식결정단계(S320)에서 송수신장치(100)의 구성이 1 대 다수이면 이후의 마스터/슬레이브결정단계(S330)로 진행하고, 송수신장치(100)의 구성이 1 대 다수가 아니고 다수 대 다수이면 ID정의단계(S340)로 진행하게 된다.
도 7과 도 8에는 송수신장치(100)의 구성 방식을 개략적으로 도형으로 표시한 것을 표시하였다.
도 7의 좌측상단에는 피어 투 피어 일방향 네트워크로 송수신장치(100)가 구성되는 것을 나타내었다. 즉, 여기서 사용되는 송수신장치(100)는 송신장치와 수신장치가 별도로 구성되어 일방향으로만 통신되는 것을 표시한 것이다.
그 아래에는 피어 투 피어 양방향 네트워크로 송수신장치(100)가 구성되는 것을 나타내었다. 즉, 여기서 사용되는 송수신장치(100)는 송신장치와 수신장치가 별도로 구성되어 양방향으로만 통신되는 것을 표시한 것이다.
그 아래에는 일 대 다수 네트워크로 송수신장치(100)가 구성되는 것을 나타내었다. 즉, 여기서는 송수신장치(100)가 송신장치 하나와 다수개의 수신장치로 구성되어 송신장치 하나에서 일방향으로 전파되는 것을 표시한 것이다. 이를 방송국의 송출방식과 유사하므로 브로드캐스트 네트워크라고 지칭하기도 한다.
우측에는 성형망 네트워크로 송수신장치(100)가 다수개가 서로 서로 송수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나타내었다. 다시 말하면, 송수신장치(100)가 분리되지 않고 일체로 작동하여 다수개가 서로 서로 양방향 통신을 하는 것을 표시한 것이다.
이외에도, 도 8에 도시한 것과 같이 성형망 네트워크가 중간에 릴레이로 중계되어 서로 연결도록 송수신장치(100)가 구성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하면 2개의 성형망 네트워크가 일종의 통신장치인 릴레이로 연결되는 것을 표시한 것으로, 가령, 공간이 분리된 장소에서 하나의 공간과 하나의 공간이 서로 연결되는 경우를 예정한 것이다.
마스터/슬레이브결정단계(S330)는, 번역서버(200)가 상기 통신 방식이 1 대 다수이면 다수개의 송수신장치(100) 중에서 마스터/슬레이브를 결정하는 단계로서, 가령, 송수신장치(100)가 번역서버(200)에 의해 1 대 다수의 통신방식으로 구성되었다고 판단하게 되면 그 중 송신을 담당하는 송수신장치(100)를 찾아서 마스터로 지정하고 수신을 담당하는 송수신장치(100)를 찾아서 슬레이브로 지정하게 된다. 예를 들면 마스터로 지정된 송수신장치(100)의 경우에는 회의 석상의 발표자인 것을 예상할 수 있고 슬레이브로 지정된 송수신장치(100)의 경우에는 발표자의 발표를 청취하는 참석자인 것을 예상할 수 있다.
ID정의단계(S340)는, 번역서버(200)가 ID를 정의하는 단계로서, 앞의 단계에서처럼 송수신장치(100)를 파악하여 통신방식을 정하고 난 후, 송수신장치(100)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전송받아 각각의 송수신장치(100)에 저장된 ID 데이터에 따라 각각의 언어로 데이터를 생성하여 송출을 준비하는 단계이다. 따라서, 이후, 어느 하나의 송수신장치(100)에서라도 음성 데이터가 실린 신호가 전송되면 ID정의단계(S340)에서 정해진 모든 ID 데이터의 언어별 데이터를 생성하여 실시간으로 송수신장치(100)로 송출하기 위함이다.
통번역단계(S350)는, 다수개의 송수신장치가 번역서버를 통해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받아 통번역하는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 사용자는 비로소 자신이 말한 음성이 상대방에게 해당 언어로 통역되어 들리게 되고 상대방이 말한 음성이 사용자의 언어로 통역되어 들리게 된다.
통번역단계(S350)는, 구체적으로 송신단계와 수신단계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통번역단계의 송신단계를 나타낸 순서도로서, 통번역단계(S350)에서 송수신장치(100)가 번역서버(200)를 통해 데이터를 송신받는 송신단계는, 음성입력단계(S410), 송신ID분석단계(S420), 인코딩단계(S430) 및 데이터송신단계(S440)를 포함할 수 있다.
음성입력단계(S410)는, 음성입력부(121)로 음성을 입력받는 단계로서, 마이크 등을 통해 사용자가 말할 때 그 음성을 입력 받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다.
송신ID분석단계(S420)는, 제1 헤더 분석부(122)가 ID 세팅부(110)의 신호를 전송받아 분석함으로써 이후의 인코딩단계(S430)에서 데이터로 변환될 수 있도록 한다.
인코딩단계(S430)는, 음성입력단계(S410)에서 전송된 음성과 상기 송신ID분석단계(S420)에서 분석된 신호를 데이터로 변환하고 결합하는 단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와 같이 송수신장치(100)가 번역서버(200)로 송수신하는 데이터 신호열을 헤드부의 ID 데이터와 음성부의 음성데이터로 구성함으로써 차후에 음성을 직접 인식하지 않고서도 해당 데이터 신호가 어떠한 언어에 해당하는지를 쉽게 빠르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데이터송신단계(S440)는, 인코딩단계(S430)에서 전송되는 음성데이터와 ID 데이터를 번역서버(200)로 전송하는 단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통번역단계의 수신단계를 나타낸 순서도로서, 통번역단계에서 송수신장치가 번역서버를 통해 데이터를 수신받는 수신단계는, 데이터수신단계(S510), 수신ID분석단계(S520), 디코딩단계(S530) 및 음성출력단계(S540)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수신단계(S510)는, 번역서버(200)로부터 음성데이터와 ID 데이터가 결합된 데이터를 전송 받는 단계로서, 번역서버(200)는 ID정의단계(S34)에서 정의된 바와 같이 미리 정해진 각각의 송수신장치(100)에 해당한 ID 별로 데이터를 만들어 동시에 송출하면 송수신장치(100)가 이를 수신하게 된다.
수신ID분석단계(S520)는, ID 데이터를 분석하여 해당 언어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송수신장치(100)에 설정된 ID와 매칭되는 ID 데이터와 음성데이터를 선택하는 단계이다. 다시 말하면, 동시에 송출되는 각각의 언어별 데이터 신호를 수신 받은 후 각각의 데이터 신호에서 빠르게 ID 데이터만을 분석하여 해당 송수신장치(100)에서 요구하는 언어별 ID 데이터가 수록된 데이터 신호를 선택하는 단계이다.
디코딩단계(S530)는, 음성데이터와 ID 데이터가 결합된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음성데이터와 ID 데이터로 분리하고 음성으로 변환하는 단계로서, 선택된 데이터 신호를 디코딩함으로써 이후 음성출력단계(S340)에서 실제처로 스피커 또는 이어폰을 울릴 수 있도록 해당 음성데이터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이다.
음성출력단계(S540)는, 디코딩단계(S330)에서 변환된 해당 언어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단계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종래의 통역기가 장치에 하드웨어적으로 해당 언어정보에 대한 ID를 부여받아 언어를 분석 및 인식하는 것과는 달리 실시간 다자 통역 무선 송수신 장치가 입력된 음성과 해당 언어정보에 대한 ID 신호가 결합되는 데이터를 번역서버를 통해 송수신하고 있기 때문에, 실시간 다자 통역 무선 송수신 장치는 상기 번역 서버에서 전송되는 데이터 중에서 ID 신호만을 분석하면 곧바로 해당 언어를 통역할 수 있어 음성을 인식할 때 발생하는 인식 지연 및 인식 불량이 발생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00: 송수신장치 110: ID 세팅부
120: 송신단 121: 음성입력부
122: 제1 헤더분석부 123: 인코딩부
124: 송신부 130: 수신단
131: 음성출력부 132: 제2 헤더분석부
133: 디코딩부 134: 수신부
200: 번역서버부

Claims (6)

  1. 사용자의 언어 정보를 설정하는 ID 세팅부와, 음성을 입력받아 ID 데이터와 음성데이터를 인코딩하여 전송하는 송신단과, 상기 ID 데이터와 음성데이터를 수신받아 디코딩하여 해당 언어로 출력하는 수신단를 포함하는 송수신장치; 및
    1 대 다수 또는 다수 대 다수로 구성되는 다수개의 송수신장치의 송신부에서 전송되는 ID 데이터와 음성데이터를 수신 받아 미리 정의된 복수개의 언어별로 ID 데이터와 음성데이터를 상기 다수개의 송수신장치의 수신부로 전송하는 번역서버;를 포함하는 실시간 다자 통역 무선 송수신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송신단은,
    음성을 입력받아 전기 신호를 변환하는 음성입력부;
    상기 ID 세팅부의 신호를 전송받아 분석하는 제1 헤더분석부;
    입력된 음성과 제1 헤더 분석부에서 분석된 ID 신호를 데이터로 변환하고 결합하는 인코딩부; 및
    상기 인코딩부에서 변환된 음성데이터와 ID 데이터가 결합된 데이터를 상기 번역서버로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실시간 다자 통역 무선 송수신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신단은,
    번역서버로부터 음성데이터와 ID 데이터가 결합된 데이터를 전송 받는 수신부;
    상기 음성데이터와 ID 데이터가 결합된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음성데이터와 ID 데이터로 분리하는 디코딩부;
    상기 ID 데이터를 분석하여 해당 언어 정보를 추출하고 매칭시키는 제2 헤더분석부; 및
    해당 언어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음성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다자 통역 무선 송수신 시스템.
  4. 번역서버가 대상 송수신장치의 수를 결정하는 노드설정단계;
    번역서버가 1 대 다수 또는 다수 대 다수의 통신 방식을 결정하는 통신방식결정단계;
    번역서버가 상기 통신 방식이 1 대 다수이면 다수개의 송수신장치 중에서 마스터/슬레이브를 결정하는 마스터/슬레이브결정단계;
    번역서버가 ID를 정의하는 ID정의단계;
    다수개의 송수신장치가 번역서버를 통해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받아 통번역하는 통번역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다자 통역 무선 송수신 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통번역단계에서 송수신장치가 번역서버를 통해 데이터를 송신받는 송신단계는,
    음성입력부로 음성을 입력받는 음성입력단계;
    제1 헤더 분석부가 ID 세팅부의 신호를 전송받아 분석하는 송신ID분석단계;
    상기 음성입력단계에서 전송된 음성과 상기 송신ID분석단계에서 분석된 신호를 데이터로 변환하고 결합하는 인코딩단계; 및
    상기 인코딩단계에서 전송되는 음성데이터와 ID 데이터를 번역서버로 전송하는 데이터송신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다자 통역 무선 송수신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통번역단계에서 송수신장치가 번역서버를 통해 데이터를 수신받는 수신단계는,
    상기 번역서버로부터 음성데이터와 ID 데이터가 결합된 데이터를 전송 받는 데이터수신단계;
    상기 ID 데이터를 분석하여 해당 언어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송수신장치에 설정된 ID와 매칭되는 ID 데이터와 음성데이터를 선택하는 수신ID분석단계;
    상기 음성데이터와 ID 데이터가 결합된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음성데이터와 ID 데이터로 분리하고 음성으로 변환하는 디코딩단계; 및
    상기 디코딩단계에서 변환된 해당 언어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음성출력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다자 통역 무선 송수신 방법.
KR1020180021969A 2018-02-23 2018-02-23 실시간 다자 통역 무선 송수신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0422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1969A KR102042247B1 (ko) 2018-02-23 2018-02-23 실시간 다자 통역 무선 송수신 시스템 및 그 방법
PCT/KR2018/010398 WO2019164078A1 (ko) 2018-02-23 2018-09-06 주제문 추출 가능한 실시간 다자 통역 무선 송수신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송수신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1969A KR102042247B1 (ko) 2018-02-23 2018-02-23 실시간 다자 통역 무선 송수신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1681A true KR20190101681A (ko) 2019-09-02
KR102042247B1 KR102042247B1 (ko) 2019-11-07

Family

ID=67951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1969A KR102042247B1 (ko) 2018-02-23 2018-02-23 실시간 다자 통역 무선 송수신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224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46678A (zh) * 2019-12-10 2020-04-21 深圳市润屋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网络的可扩展连接实现同声翻译的装置和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77855B2 (en) 2020-11-10 2024-05-07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speech translation based on zero user interface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2527A (ko) * 2000-06-30 2002-01-10 조용환 실시간 다 국어 다중 번역 대화 장치 및 그 방법
KR20020026228A (ko) * 2002-03-02 2002-04-06 백수곤 실시간 음성 변환
KR20040028178A (ko) * 2002-09-30 2004-04-03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자동 음성번역 전화통신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100754210B1 (ko) * 2006-03-08 2007-09-03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개의 유무선 통신 기기를 이용한 다채널 음악 재생방법 및 장치
KR20160080328A (ko) * 2014-12-29 2016-07-08 권형석 전자장치의 식별정보를 통한 번역/통역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실시간 번역/통역 전송 방법.
US20170357643A1 (en) * 2011-12-12 2017-12-14 Google Inc. Auto-translation for multi user audio and video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2527A (ko) * 2000-06-30 2002-01-10 조용환 실시간 다 국어 다중 번역 대화 장치 및 그 방법
KR20020026228A (ko) * 2002-03-02 2002-04-06 백수곤 실시간 음성 변환
KR20040028178A (ko) * 2002-09-30 2004-04-03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자동 음성번역 전화통신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100754210B1 (ko) * 2006-03-08 2007-09-03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개의 유무선 통신 기기를 이용한 다채널 음악 재생방법 및 장치
US20170357643A1 (en) * 2011-12-12 2017-12-14 Google Inc. Auto-translation for multi user audio and video
KR20160080328A (ko) * 2014-12-29 2016-07-08 권형석 전자장치의 식별정보를 통한 번역/통역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실시간 번역/통역 전송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이동욱 외, LSA를 이용한 문장 상호 추천과 문상 성향 분석을 통한 문서 요약, 한국지능시스템학회 논문지 제22권제5호, pp.656-662 (2012.10)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46678A (zh) * 2019-12-10 2020-04-21 深圳市润屋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网络的可扩展连接实现同声翻译的装置和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2247B1 (ko) 2019-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919562B (zh) 一种实时翻译系统、方法及装置
US8868430B2 (en) Methods, device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providing real-time language translation capabilities between communication terminals
US20210074298A1 (en) Video conference captioning
CN108650484A (zh) 一种基于音视频通讯的远程同声传译的方法及装置
JP2014021485A (ja) 多国言語音声翻訳を具えるテレビシステム及びその実現方法
CN111739553A (zh) 会议声音采集、会议记录以及会议记录呈现方法和装置
KR102042247B1 (ko) 실시간 다자 통역 무선 송수신 시스템 및 그 방법
US10817674B2 (en) Multifunction simultaneous interpretation device
KR20120073795A (ko) 수화-자막 변환 기능을 이용한 화상회의 시스템 및 방법
KR101223975B1 (ko) 멀티 코덱, 멀티 채널 기반의 동시 통역 음성 전송 시스템 및 방법
KR101606128B1 (ko) 언어권 인식을 이용한 자동 번역 메신저가 탑재된 스마트기기
CN208675397U (zh) 一种基于音视频通讯的远程同声传译的装置
CN110915239B (zh) 用于助听器用户的在线自动音频转录
CN111554280A (zh) 对利用人工智能的翻译内容和口译专家的口译内容进行混合的实时口译服务系统
US11140484B2 (en) Terminal, audio cooperative reproduction system, and content display apparatus
KR102170902B1 (ko) 실시간 다자 통역 무선 이어셋 및 이를 이용한 송수신 방법
KR20140121516A (ko) 실시간 통역 자막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H0965424A (ja) 無線携帯端末を用いた自動翻訳システム
CN108712271A (zh) 翻译方法和翻译装置
WO2019164078A1 (ko) 주제문 추출 가능한 실시간 다자 통역 무선 송수신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송수신 방법
KR20200049404A (ko) 장애인을 위한 동시통역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JP3221050U (ja) 多機能即時音声翻訳装置
JP3217741U (ja) 多機能即時音声翻訳装置
CN115066907A (zh) 用户终端、广播装置、包括该装置的广播系统及其控制方法
JP2007325201A (ja) 音源分離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