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9522A - 영유아용 양말신발 - Google Patents
영유아용 양말신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079522A KR20160079522A KR1020140191012A KR20140191012A KR20160079522A KR 20160079522 A KR20160079522 A KR 20160079522A KR 1020140191012 A KR1020140191012 A KR 1020140191012A KR 20140191012 A KR20140191012 A KR 20140191012A KR 20160079522 A KR20160079522 A KR 2016007952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hoes
- sock
- infants
- present
- foo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3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specially adapted for babies or small childre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영유아용 양말신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양말처럼 착화가 가능한 양말부 및 상기 양말부의 하부에 위치한 신발부를 포함하고, 상기 신발부는 발가락이 배치되는 선단부; 뒤꿈치가 배치되는 후단부; 및 상기 발가락과 뒤꿈치 사이 발바닥과 발등이 배치되는 중단부;를 포함하는 내부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중단부의 일측 상방으로부터 상기 선단부의 선단 하방으로 제1 요홈부가 형성된 영유아용 양말신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영유아용 양말신발에 관한 것이다.
영유아용 신발은 영유아가 걸음마를 익히기 시작하는 단계에서부터 사용되는 신발로서, 영유아의 보행을 보조하거나, 외출 시 영유아의 발을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은 영유아용 신발과 관련한 기술로는 한국공개특허 제2006-0057303호 "실내외 겸용 유아 신발", 한국공개특허 제2004-0076585호 "유소아용 신발의 안창 세트",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81420호 "유아용 신발", 한국등록실용신안 제447718호 "유아용 신발" 등이 안출된 바 있다.
상기와 같이, 종래 안출된 영유아용 신발은 성인용 신발 형태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크기만을 영유아에 맞추어 축소시킨 것으로, 성인과 다른 영유아의 신체적인 특성, 즉, 부채꼴의 형태인 발바닥 등과, 보행 특성, 예컨대 발가락의 움직임을 통한 보행 시 밸런스 유지 등에 대한 고려가 없음에 따라, 영유아의 신발 착용에 따른 부작용이 발생될 소지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한국등록특허 제1031972호 "영유아용 신발"에 성이과 다른 영유아의 신체적인 특성, 즉, 부채꼴의 형태인 발바닥 등과, 보행 특성, 예컨대 발가락의 움직임을 통한 보행 시 밸런스 유지 등을 고려하여 설계한 영유아용 신발이 안출된 바 있다.
도 6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일례에 따른 영유아용 신발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종래 기술의 일례에 따른 영유아용 신발은 선단부 내부 공간(21)이 크고, 앞꿈치가 거의 들려있지 않으며, 앞꿈치의 폭이 매우 넓기 때문에 신발과 발의 밀착성이 떨어지고, 이에 따라 신발에 걸려 넘어지는 등 보행에 방해를 줄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발의 크기가 확장되는 한편 발의 형태도 변하게 되는 영유아기(期)에 신체 특성에 맞지 않은 신발을 착용하여 발의 형태가 신발에 의하여 구속되고 제한되면, 영유아 발의 발육이 비정상적으로 이루어져 기형이 되거나, 신체가 균형있게 발달하지 못하게 되고, 신발에 의해 구속된 발의 움직임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면서 정상적인 보행 패턴을 익히지 못하게 되어 잘못된 걸음걸이를 가지게 될 수도 있다.
또한, 발이 신발에 구속됨에 따라, 발의 움직임을 비롯한 각종 신체 동작을 통한 인지적 행동 발달이 저하되면서 영유아의 지적 발달에도 장애가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영유아의 신체적 형태특성과 보행특성이 고려된 영유아용 신발의 개발이 현재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아직 보행에 미숙한 영유아가 신발을 착용하게 되면, 신발의 바닥창 높이만큼 상승하는 무게중심으로 인하여 보행 시 몸의 균형을 잡기가 어려워지는데, 영유아용 신발 설계 시 이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부채꼴의 형태인 발바닥 등과 같은 영유아의 신체적인 특성과, 발가락의 움직임을 통한 보행 시 밸런스 유지 등의 보행 특성을 고려하여 영유아용 신발을 설계함으로써, 영유아가 신발을 착용 시 발의 압박이나 마찰 등에 의한 통증을 최소화하고, 안정적인 보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영유아용 양말신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발의 크기가 확장되는 한편 발의 형태도 변하게 되는 영유아기(期)에 신체 특성에 맞도록, 발의 크기 및 형태에 따라 신발의 전장(전체길이)이 신축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비교적 오랜 기간 동안 사용한 영유아용 양말신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신발을 착용 시, 무게중심을 최대한 낮추어줄 수 있도록 설계됨으로써, 보행 시 몸의 균형을 잡기가 수월한 영유아용 양말신발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통풍이 양호한 영유아용 양말신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부채꼴의 형태인 발바닥 등과 같은 영유아의 신체적인 특성과, 발가락의 움직임을 통한 보행 시 밸런스 유지 등의 보행 특성을 고려하여 영유아용 신발을 설계함으로써, 영유아가 신발을 착용 시 발의 압박이나 마찰 등에 의한 통증을 최소화하고, 안정적인 보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영유아용 양말신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발의 크기가 확장되는 한편 발의 형태도 변하게 되는 영유아기(期)에 신체 특성에 맞도록, 발의 크기 및 형태에 따라 신발의 전장(전체길이)이 신축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비교적 오랜 기간 동안 사용한 영유아용 양말신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신발을 착용 시, 무게중심을 최대한 낮추어줄 수 있도록 설계됨으로써, 보행 시 몸의 균형을 잡기가 수월한 영유아용 양말신발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통풍이 양호한 영유아용 양말신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부채꼴의 형태인 발바닥 등과 같은 영유아의 신체적인 특성과, 발가락의 움직임을 통한 보행 시 밸런스 유지 등의 보행 특성을 고려하여 영유아용 신발을 설계함으로써, 영유아가 신발을 착용 시 발의 압박이나 마찰 등에 의한 통증을 최소화하고, 안정적인 보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영유아용 양말신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발의 크기가 확장되는 한편 발의 형태도 변하게 되는 영유아기(期)에 신체 특성에 맞도록, 발의 크기 및 형태에 따라 신발의 전장(전체길이)이 신축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비교적 오랜 기간 동안 사용한 영유아용 양말신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신발을 착용 시, 무게중심을 최대한 낮추어줄 수 있도록 설계됨으로써, 보행 시 몸의 균형을 잡기가 수월한 영유아용 양말신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통풍이 양호한 영유아용 양말신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유아용 양말신발의 측면도(1)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유아용 양말신발의 측면도(2)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유아용 양말신발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유아용 양말신발의 착용 전 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유아용 양말신발의 착용 후 상태도이다.
도 6은 종래 기술의 일례에 따른 영유아용 신발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유아용 양말신발의 측면도(2)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유아용 양말신발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유아용 양말신발의 착용 전 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유아용 양말신발의 착용 후 상태도이다.
도 6은 종래 기술의 일례에 따른 영유아용 신발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다만, 이는 예시로서 제시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은 후술할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유아용 양말신발의 측면도(1)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유아용 양말신발의 측면도(2)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유아용 양말신발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양말부(100) 및 신발부(200)를 포함하고, 상기 신발부(200)는 선단부(211), 후단부(213), 및 중단부(212)를 포함하고, 상기 중단부(212)의 일측 상방으로부터 상기 선단부(211)의 선단 하방으로 제1 요홈부(2111)가 형성된 영유아용 양말신발을 제공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영유아용 양말신발의 양말부(100)는 양말처럼 착화가 가능하다.
이 때, 상기 양말부(100)는 직물로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양말부(100)가 직물로 이루어지는 경우, 통풍이 양호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영유아용 양말신발의 신발부(200)는 상기 양말부(100)의 하부에 위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신발부(200)는 발가락이 배치되는 선단부(211)와, 뒤꿈치가 배치되는 후단부(213), 그리고 상기 발가락과 뒤꿈치 사이 발바닥과 발등이 배치되는 중단부(212)를 포함하는 내부공간(210)을 포함한다.
이 때, 영유아가 본 발명에 따른 양말신발을 착용 시, 상기 후단부(213)에 의해 복사뼈의 주변부가 감싸짐으로써, 복사뼈가 압박 또는/및 마찰되지 않고, 발목이 보호 가능한 이점이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하며, 상기 제1 요홈부(2111)는 상기 중단부(212)의 일측 상방으로부터 상기 선단부(211)의 선단 하방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 요홈부(2111)가 형성됨에 따라, 영유아가 본 발명에 따른 양말신발을 착용 시 발가락에 의해 선단부(211)의 중앙부가 상기 발가락이 위치된 전방 측으로 밀려 내려갈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요홈부(2111)는 상기 발가락이 정면으로 향하도록 할 때, 좌우 대칭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요홈부(2111, 2111')가 한쌍으로 형성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양말신발의 전체길이가 소폭 증가될 수 있어 발의 크기가 확장되거나, 발의 형태가 변하게 되어도 발을 압박하지 않게 되는 이점이 있다.
이 때, 상기 제1 요홈부(2111)의 내부는 상기 양말부(100)의 연장으로 이루어져 상기 신발부(2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양말부(1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직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영유아용 양말신발은 제2 요홈부(213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요홈부(2131)는 상기 중단부(212)의 타측 상방으로부터 상기 후단부(213)의 후단 하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요홈부(2131)가 형성됨에 따라, 영유아가 본 발명에 따른 양말신발을 착용 시 발뒤꿈치에 의해 후단부(213)의 후단부, 즉, 상기 발뒤꿈치가 위치된 부분이 상기 제2 요홈부(2131)를 중심으로 좌우로 벌어지면서 후방 하측으로 밀려 내려갈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2 요홈부(2131)는 상기 발가락이 정면으로 향하도록 할 때, 좌우 대칭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요홈부(2131, 2131’)가 한쌍으로 형성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양말신발의 전체길이가 소폭 증가될 수 있어 발의 크기가 확장되거나, 발의 형태가 변하게 되어도 발을 압박하지 않게 되는 이점이 있다.
이 때, 상기 제2 요홈부(2131)의 내부는 상기 양말부(100)의 연장으로 이루어져 상기 신발부(2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양말부(1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직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제1 요홈부(2111, 2111') 또는/및 제2 요홈부(2131, 2131’)가 형성됨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영유아용 양말신발의 착용 전과, 후의 형태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유아용 양말신발의 착용 전 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유아용 양말신발의 착용 후 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유아용 양말신발의 내부공간(210)은 선단부(211)의 높이를 영유아의 보행특성에 맞추어 최적화시키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양말신발을 착용 전, 상기 양말신발의 전체길이(전장)의 80~85%에 해당되는 지점의 상단으로부터의 높이가 20~30mm가 되도록 한다. 이는, 상기 양말신발의 전체길이를 110~140mm로 가정했을 때의 한정된 수치다.
그러나, 상기 양말신발을 착용한 후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양말신발의 전체길이(전장)의 80~85%에 해당되는 지점의 상단으로부터의 높이가 20mm 이하가 되게 된다.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유아용 양말신발의 신발부(200) 앞꿈치 부분에 형성된 제1 요홈부(2111, 2111')에 기인한 것으로서, 상기 양말신발을 착용 시, 앞꿈치 밑창이 발가락에 의해 눌려 하강하므로 높이가 낮아지고, 앞꿈치 너비가 넓지 않게 되며, 앞꿈치 중앙이 가운데 발가락을 중심으로 발가락들을 지지해줄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유아용 양말신발의 신발부(200) 뒤꿈치 부분에 형성된 제2 요홈부(2131, 2131')에 의해 상기 양말신발을 착용 시, 뒤꿈치 밑창이 발 뒤꿈치에 의해 눌려 하강하므로 높이가 낮아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안정적인 보행이 가능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갑피 2: 밑창
20: 내부공간 21: 선단부 공간
22: 후단부 공간 23: 중단부 공간
100: 양말부 200: 신발부
210: 내부공간 211: 선단부
2111, 2111': 제1 요홈부
212: 중단부 213: 후단부
2131, 2131': 제2 요홈부
20: 내부공간 21: 선단부 공간
22: 후단부 공간 23: 중단부 공간
100: 양말부 200: 신발부
210: 내부공간 211: 선단부
2111, 2111': 제1 요홈부
212: 중단부 213: 후단부
2131, 2131': 제2 요홈부
Claims (5)
- 양말처럼 착화가 가능한 양말부 및 상기 양말부의 하부에 위치한 신발부를 포함하고,
상기 신발부는 발가락이 배치되는 선단부; 뒤꿈치가 배치되는 후단부; 및 상기 발가락과 뒤꿈치 사이 발바닥과 발등이 배치되는 중단부;를 포함하는 내부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중단부의 일측 상방으로부터 상기 선단부의 선단 하방으로 제1 요홈부가 형성된 영유아용 양말신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단부의 타측 상방으로부터 상기 후단부의 후단 하방으로 제2 요홈부가 형성된 영유아용 양말신발.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요홈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발가락이 정면으로 향하도록 할 때, 좌우 대칭으로 형성된 것인 영유아용 양말신발.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영유아용 양말신발은,
상기 내부공간의 후단에서 상기 내부공간 전장의 80 내지 85%에 해당되는 지점의 상기 선단부 공간의 상단으로부터 높이가 착용 전 20 내지 30 mm인 상태에서, 착용 후 0초과 및 20 mm 이하가 되는 영유아용 양말신발.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요홈부는 상기 양말부로 채워져 상기 신발부와 연결되며,
상기 양말부는 직물로 이루어지는 것인 영유아용 양말신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91012A KR101669247B1 (ko) | 2014-12-26 | 2014-12-26 | 영유아용 양말신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91012A KR101669247B1 (ko) | 2014-12-26 | 2014-12-26 | 영유아용 양말신발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79522A true KR20160079522A (ko) | 2016-07-06 |
KR101669247B1 KR101669247B1 (ko) | 2016-11-09 |
Family
ID=565024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91012A KR101669247B1 (ko) | 2014-12-26 | 2014-12-26 | 영유아용 양말신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69247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741410A (zh) * | 2018-05-04 | 2018-11-06 | 东莞市顺风运动器材有限公司 | 一种袜子鞋垫二合一鞋垫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32596A (ja) * | 1989-05-30 | 1991-01-08 | Toshiba Corp | 放射能汚染金属の除染装置 |
JPH0721705U (ja) * | 1993-09-30 | 1995-04-21 | 三谷繊維工業株式会社 | 靴 下 |
KR20100118337A (ko) * | 2009-04-28 | 2010-11-05 | (주)와일드캣 | 양말형 신발 및 그 제조 방법 |
KR101031972B1 (ko) * | 2010-09-07 | 2011-04-29 | (주)와일드캣 | 영유아용 신발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002596B2 (ja) * | 1992-03-17 | 2000-01-24 | 日本コーリン株式会社 | 圧脈波検出装置 |
-
2014
- 2014-12-26 KR KR1020140191012A patent/KR10166924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32596A (ja) * | 1989-05-30 | 1991-01-08 | Toshiba Corp | 放射能汚染金属の除染装置 |
JPH0721705U (ja) * | 1993-09-30 | 1995-04-21 | 三谷繊維工業株式会社 | 靴 下 |
KR20100118337A (ko) * | 2009-04-28 | 2010-11-05 | (주)와일드캣 | 양말형 신발 및 그 제조 방법 |
KR101031972B1 (ko) * | 2010-09-07 | 2011-04-29 | (주)와일드캣 | 영유아용 신발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741410A (zh) * | 2018-05-04 | 2018-11-06 | 东莞市顺风运动器材有限公司 | 一种袜子鞋垫二合一鞋垫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69247B1 (ko) | 2016-11-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WO2013095709A3 (en) | Footwear | |
JP6154436B2 (ja) | ヒール及びパンプス用組立式インソール | |
JP2015500078A (ja) | 履き物/履き物用インソール | |
WO2007083898A1 (en) | Footwear | |
KR101031972B1 (ko) | 영유아용 신발 | |
KR101669247B1 (ko) | 영유아용 양말신발 | |
JP2006346397A (ja) | 矯正履物 | |
JP2006193844A (ja) | 健康促進用の靴下 | |
JP5959079B1 (ja) | クッション付靴下 | |
KR101178866B1 (ko) | 기능성 신발 | |
JP3210276U (ja) | 靴用中敷及びハイヒール靴 | |
KR101228299B1 (ko) | 맨발보행의 구름운동이 이루어지는 기능성 신발 | |
JP2014233563A (ja) | 足底用パッド | |
KR200343131Y1 (ko) | 발바닥지압용 신발 | |
KR100928712B1 (ko) | 아치 보정이 가능한 신발 | |
CN203028239U (zh) | 多功能儿童矫正鞋 | |
JP6811495B1 (ja) | アウトソール、及び履物 | |
KR20110065581A (ko) | 기능성 신발창 | |
KR20100043001A (ko) | 보행 교정을 위한 신발용 바닥 창 | |
KR200422487Y1 (ko) | 전후 구분이 없는 슬리퍼 | |
GB2459256A (en) | Padded hosiery | |
KR101691591B1 (ko) | 3단 보행용 미드솔 | |
TWI599323B (zh) | 足弓鞋墊 | |
KR20060107020A (ko) | 신발용 보조 깔창 | |
JP3108243U (ja) | 健康履物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022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