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9376A - 수조 속 살균기능을 갖는 기화식 가습기 - Google Patents

수조 속 살균기능을 갖는 기화식 가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9376A
KR20160079376A KR1020140190638A KR20140190638A KR20160079376A KR 20160079376 A KR20160079376 A KR 20160079376A KR 1020140190638 A KR1020140190638 A KR 1020140190638A KR 20140190638 A KR20140190638 A KR 20140190638A KR 20160079376 A KR20160079376 A KR 201600793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tank
lamp
humidifier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06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재준
Original Assignee
(주)쿠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쿠첸 filed Critical (주)쿠첸
Priority to KR10201401906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79376A/ko
Publication of KR201600793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93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1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 F24F6/16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using rotating el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with mechanical oscillations
    • C02F1/3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with mechanical oscillations ultrasonic vibr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2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 F24F8/22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using UV ligh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54Free-cooling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조 속 살균기능을 갖는 기화식 가습기에 관한 것으로, 저수조 바닥의 적어도 일부를 빛이 투과할 수 있는 투명 재질의 패널 또는 유리로 구성하고, 상기 투명 패널의 아래쪽으로 상기 수조의 하부에는 UV 램프를 배치하여 자외선을 조사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저수조 내부에 발생되는 각종 세균 또는 미생물을 근본적으로 살균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수조 속 살균기능을 갖는 기화식 가습기{VAPORIZING HUMIDIFIER HAVING BACTERICIDAL FUNCTION FOR WATER TANK}
본 발명은 수조 속 살균기능을 갖는 기화식 가습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조 내부의 물을 근본적으로 살균하여 분무하는 자연 기화식 가습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 공장 등과 같은 실내 또는 작업 현장이나 물류 저장창고 등과 같은 산업설비의 실내에 공기조절시스템(이하, 공조기라 함)을 설치하여 실내의 습도, 온도 등 공조상태를 적정하게 조절하고 있다.
더욱이 동절기와 같은 건조기에는 난방기구의 사용 등으로 인하여 건물 실내의 공기가 건조해지는 현상이 극심하게 나타나 실내공기 건조로 인한 정전기 등의 발생에 따른 쇼크와 정전기 등으로 인한 기기의 오동작 등의 원인으로 나타나 작업에 많은 지장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실내 공기의 건조로 인하여 먼지가 많이 발생하고, 이에 의한 부유 먼지와 이들의 응집 등으로 인하여 실내에 거주하는 사람이나 작업자의 눈 또는 호흡기에 장애를 일으키는 등 건강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게 되어 실내 공기의 습도조절에 상당한 주의가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라 각종 건물이나 공장 등의 실내 또는 작업 현장이나, 물류 저장 창고 등과 같은 산업 설비의 실내에는 공기조화 시스템이 설치되어 있어서 실내의 습도, 온도 등과 같은 공조 상태를 적정한 상태로 조정하고 있다.
근래에 설치되는 공조기에 주로 사용되는 기화식 가습기의 일 예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에서 기화식 가습기는 급수관(14) 일측 외주면에 불순물 흡착수단을 설치하여 급수관(14)의 내부를 흐르는 물 중의 중금속이나 철분 등의 불순물을 자화 및 흡착하고, 급수관(14)의 타측에는 하우징(20)에 내장된 형태의 자외선 살균램프(22)를 설치하여 불순물이 제거된 상태로서 급수관 내부를 흐르는 물 중의 세균을 살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불순물 흡착수단은 살균수단 설치부와 일정한 간격을 두고 급수관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ㄷ'자형 단면을 갖는 케이스(30)의 내측 수납부에 영구자석이나 전자석 등의 마그네트(magnet;32)가 내장되어 있으며, 이와 같은 마그네트(32)의 자력에 의해 급수관(14)의 내부를 따라 흐르는 물(W) 중의 각종 중금속이나 철분 등과 같은 불순물이 자화되어 급수관(14)의 내벽에 흡착된다.
또한, 불순물 흡착수단을 통과한 급수관(14) 중의 물은 살균수단의 하우징(20) 내부를 지나면서 물 속에 설치된 자외선 살균램프(22)의 점등에 의해 살균됨에 따라 중금속 제거 및 살균된 물이 급수관(14) 및 살수관(16)을 통해 산수되어 가습 엘레먼트(12)에 접촉하면서 흐르고, 이와 동시에 송풍된 공기가 가습 엘레먼트(12)를 통과하면서 수분이 증발 가습되어 건물이나 공장 등의 실내 또는 작업 현장, 물류 저장 창고 등과 같은 산업 설비의 실내에 청정한 공기를 공급하게 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가습기는 수조 내부에 항상 물이 채워져 있음으로 인해 곰팡이나 세균이 번식하기에 용이한 환경이 제공되나, 위와 같은 기화식 가습기의 구조는 급수관 도중에 자외선 살균램프가 설치되어 있을 뿐 수조 내부를 직접 살균 소독할 수 있는 어떠한 수단도 갖추고 있지 않다.
따라서, 급수관 도중에 설치된 자외선 살균램프가 유동중인 물 속 세균들을 신속 완벽하게 살균하기는 쉽지 않고, 특히 정전 등의 작동 중단 상태에서 재가동되는 경우 미처 살균되지 않은 물이 기화되어 공기 중에 분무될 가능성이 높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실내 가습을 위한 물 공급원을 직접적으로 살균함으로써 보다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수조 속 살균기능을 갖는 기화식 가습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해결과제에 따라서 본 발명은 저수조 바닥의 적어도 일부를 빛이 투과할 수 있는 투명 재질의 패널 또는 유리로 구성하고, 상기 투명 패널의 아래쪽으로 상기 수조의 하부에는 UV 램프를 배치하여 자외선을 조사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저수조 내부에 발생되는 각종 세균 또는 미생물을 근본적으로 살균할 수 있게 구성한 수조 속 살균기능을 갖는 기화식 가습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UV 램프로부터 조사된 자외선이 수조 내부와 그 속에 채워진 물을 직접적으로 살균할 수 있도록 수조와 UV 램프는 상호간에 광 소통 구조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은 구성 특징에 따라 구성된 본 발명은 수조 내부와 그 속의 물을 살균함으로써 가습 물 입자에 포함되어 분출되는 세균 등을 근원적으로 제거할 수 있어 보다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화식 가습기의 자외선 살균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화식 가습기의 구성 일부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기화식 가습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측면도,
도 4a,b는 도 2에 도시된 기화식 가습기에 따라서 수조 속 살균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보여주는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들을 설명한다.
먼저, 아래의 실시형태들은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필연적인 부분들을 제외하고는 그 도시와 설명을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반복하지 않고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화식 가습기의 구성 일부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기화식 가습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기화식 가습기의 경우, 가습 필터는 기화식 가습기 본체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회전하면서 수조에 저장된 물을 공급받는다.
가습 필터가 물을 공급받는 방식은 크게 2 가지로 구분될 수 있다. 첫째는 가습 필터의 하부가 수조의 물에 잠기도록 마련되어 가습 필터가 직접 수조의 물을 흡수하는 방식이고, 둘째는 가습 필터는 물에 잠기지 않도록 마련되고 가습 필터의 외곽에 마련되는 물포켓이 수조의 물을 퍼올려서 가습 필터의 상부로 공급하는 방식이다.
후자의 방식은 전자의 방식에 비해 청결하고 가습효율도 뛰어나지만, 일반적으로 물포켓은 일면이 개방된 보울(bowl) 형상을 가지므로 금형비가 상승한다. 또한, 이러한 보울 형상의 물포켓은 개방된 일면이 상승하는 방향으로 회전해야만 물을 퍼올릴 수 있으며,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물을 퍼올릴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자의 방식으로 구성된 기화식 가습기의 구조를 기본으로 한다.
도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기화식 가습기는 가습기 본체(100)의 하부에 수조(110)가 배치되어 있고, 수조(110)의 일측 상부에는 수조 안으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통이 장착되는 공간(120; 이하 '물통장착부')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수조(110)의 일측에는 회전가능한 가습 디스크(130; 가습 필터)의 하부가 수조(110)의 물(W)에 잠기도록 마련되고, 가습 디스크(130)의 상부에는 송풍팬(140)을 설치하여 회전으로 디스크 표면에 적셔진 물을 송풍팬(미도시)이 기화시켜 배출함으로써 실내 가습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가습기는 수조 바닥면(111)의 적어도 일부(112)를 빛이 투과할 수 있는 투명 재질의 패널 또는 유리 등으로 구성하고, 이 유리 또는 패널(112)의 아래쪽으로 수조의 하부에는 자외선을 조사하는 UV 램프(150)가 설치된다.
이와 같은 구성은 수조(110)와 UV 램프(150) 간 광 소통(light communication) 구조를 제공하는 것으로, UV 램프(150)로부터 조사된 자외선이 수조 내부와 그 속에 채워진 물을 직접적으로 살균할 수 있게 된다.
한편, UV 램프(150)의 전원은 본 발명의 가습기가 온(ON) 됨과 동시에 켜질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 별도의 전원 스위치를 갖추어 전원을 제어할 수도 있다.
도 4는 도 2의 가습기 구성에 따라서 수조 속 살균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a와 b로 각각 나누어 도시한 것으로, 도 4a에서 물통장착부(120)에 물통(미도시)이 놓여지면 물통 내부의 물이 관로를 따라 이동하여 수조 내부 공간을 채우게 된다. 이때 필터 하우징(131)에 내장되어 있는 가습 필터 또는 가습 디스크(130)는 적어도 일부가 물 속에 잠기게 되고, 그로 인해 가습 디스크(130)의 표면에는 물이 스며들어 적셔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UV 램프의 전원이 온(ON)되면 수조 아래의 UV 램프(150)로부터 자외선이 수조 바닥의 투명 패널(112)을 통과하여 수조 내부를 직접 조사하게 된다. 이때, 자외선은 수조(110)의 내부 공간과 그 속에 채워진 물(W)을 근본적으로 살균하여 수조 내부에 각종 세균이나 미생물 등의 서식할 수 없는 환경을 만들고, 또한 가습 디스크(130)와 송풍팬(미도시)에 의해 기화되어 외부로 분무되는 가습공기를 통해서는 청정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저수조를 직접 살균할 있는 UV 램프를 설치함으로써 기존에 살균제를 사용하던 위험한 방식으로부터 인체에 무해한 자외선 살균방식으로 바뀌게 되어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살균제와 같은 항균성분을 수조 속 물에 첨가하지 않아도 되므로 물 속 첨가물로 인한 세척상 불편함을 제거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와 작동형태들을 설명하였으나, 지금까지 설명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 중 그 일부를 예시한 정도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내에서 발명의 요지를 변경시키지 않고 본 발명에 대하여 다양한 변형을 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0 : 가습기 본체
110 : 수조
111 : 수조 바닥면
112 : 투명 패널
120 : 물통장착부
130 : 가습 디스크
131 : 필터 하우징
150 : UV 램프
W : 물

Claims (3)

  1. 저수조 바닥의 적어도 일부를 빛이 투과할 수 있는 투명 재질의 패널 또는 유리로 구성하고, 상기 투명 패널의 아래쪽으로 상기 수조의 하부에는 UV 램프를 배치하여 자외선을 조사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저수조 내부에 발생되는 각종 세균 또는 미생물을 근본적으로 살균할 수 있게 구성한 수조 속 살균기능을 갖는 기화식 가습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UV 램프로부터 조사된 자외선이 상기 수조 내부와 그 속에 채워진 물을 직접적으로 살균할 수 있도록 상기 수조와 상기 UV 램프 상호간에 광 소통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조 속 살균기능을 갖는 기화식 가습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의 일측에는 회전가능한 가습 디스크의 하부가 수조의 물에 잠기도록 마련되고, 상기 가습 디스크의 상부에는 송풍팬이 설치되어 회전으로 디스크 표면에 적셔진 살균된 물을 상기 송풍팬이 기화시켜 배출함으로써 안전한 실내 가습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조 속 살균기능을 갖는 기화식 가습기.
KR1020140190638A 2014-12-26 2014-12-26 수조 속 살균기능을 갖는 기화식 가습기 KR2016007937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0638A KR20160079376A (ko) 2014-12-26 2014-12-26 수조 속 살균기능을 갖는 기화식 가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0638A KR20160079376A (ko) 2014-12-26 2014-12-26 수조 속 살균기능을 갖는 기화식 가습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9376A true KR20160079376A (ko) 2016-07-06

Family

ID=56502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0638A KR20160079376A (ko) 2014-12-26 2014-12-26 수조 속 살균기능을 갖는 기화식 가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7937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41311A1 (en) * 2019-01-02 2020-07-09 Dyson Technology Limited Air treatment apparatu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41311A1 (en) * 2019-01-02 2020-07-09 Dyson Technology Limited Air treatment apparatus
WO2020141312A1 (en) * 2019-01-02 2020-07-09 Dyson Technology Limited Air treatment apparatus
CN111397060A (zh) * 2019-01-02 2020-07-10 戴森技术有限公司 空气处理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3227622A (ja) 殺菌水を用いた除菌脱臭空調システム
JP2000257914A (ja) 強酸性水を用いた除菌空調システム
KR100918708B1 (ko) 광 살균 항온항습기
CA2676654C (en) Air decontamination system
KR102446045B1 (ko) 가습공기청정기
JP2011163645A (ja) 空気調和機
KR20140010650A (ko) 가습기
KR20160079376A (ko) 수조 속 살균기능을 갖는 기화식 가습기
JP3415108B2 (ja) 空気調和機
JP5569017B2 (ja) 空気調和機
JP3154192U (ja) 次亜塩素酸水を使用した除菌消臭超音波加湿器
KR20220013745A (ko) 공기조화용 음압식 원심형 더블드럼 블로워
KR20210091072A (ko) 공기청정기
JP4258422B2 (ja) 換気設備
JP4492152B2 (ja) 換気設備
KR101041857B1 (ko) 공기정화 기능을 갖는 조명기구
KR100787543B1 (ko) 가습기능을 갖는 공기조화기
KR101798913B1 (ko) 살균 기능을 가진 조명 장치
KR20170031934A (ko) 공기청정기
KR200373763Y1 (ko) 침대 매트리스의 자동 크리닝 장치
KR100978563B1 (ko) 방호여과막을 구비한 에어커튼
KR200439633Y1 (ko) 플라즈마 클러스터 이온을 이용한 살균장치
KR200369042Y1 (ko) 자외선 살균수단을 구비한 기화식 가습기
KR100550382B1 (ko) 살균 및 가습 시스템
KR102100893B1 (ko) 수분 증발식 가습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