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9324A - 심폐소생 보조기구 - Google Patents

심폐소생 보조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9324A
KR20160079324A KR1020140190543A KR20140190543A KR20160079324A KR 20160079324 A KR20160079324 A KR 20160079324A KR 1020140190543 A KR1020140190543 A KR 1020140190543A KR 20140190543 A KR20140190543 A KR 20140190543A KR 20160079324 A KR20160079324 A KR 201600793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est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present
patient
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05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재빈
이창재
김준서
배준영
Original Assignee
유재빈
김준서
이창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재빈, 김준서, 이창재 filed Critical 유재빈
Priority to KR10201401905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79324A/ko
Publication of KR201600793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93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1/00Artificial respiration or heart stimulation, e.g. heart massage
    • A61H31/004Heart stimulation
    • A61H31/007Manual driv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53Driving means driven by a human being, e.g. hand driv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19Thorax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8Trunk
    • A61H2205/082Breas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심폐소생 보조기구에 관한 것으로, 심폐소생술이 시행되기 이전에 환자의 흉부압박위치를 정확히 안내하여 심폐소생술 중 흉부압박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이 환자의 가슴 정중앙에 위치한 흉골 위에만 정확하게 전달되도록, 가슴 전면을 덮는 덮개부와, 상기 덮개부를 가슴에 올려놓을 때 심장의 위치와 대응된 위치에 형성된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의 하부에 심폐소생의 순서를 기재한 설명부를 통해, 비전문가도 심폐소생술을 손쉽게 행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심폐소생 보조기구{Subsidiary utensil of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본 발명은 심폐소생 보조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심폐소생술이 시행되기 이전에 환자의 흉부압박위치를 정확히 안내하여 심폐소생술 중 흉부압박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이 환자의 가슴 정중앙에 위치한 흉골 위에만 정확하게 전달되도록 한 심폐소생 보조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심폐소생술이란 갑작스런 심장마비나 사고로 인해 심정지가 발생하였을 때에 심장, 뇌, 그 밖의 장기에 산소를 공급하기 위해 실시되는 응급처치로서, 기본 심폐소생술은 기도유지, 환기, 흉부압박을 포함한다.
기도유지는 환자의 기도를 유지하기 위한 방법이다. 누운 자세에서는 혀가 환자의 기도를 폐쇄하므로 머리 기울임-턱들어올리기 방법을 통해 기도를 개방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환기는 환자의 호흡을 보조하는 방법이다. 기도가 유지되어도 자발호흡이 없으면 장기에 필요한 산소가 부족하거나 없어지므로, 환기를 통해 산소를 공급할 수 있다.
흉부압박은 환자의 순환을 보조하는 방법이다. 심정지 상태에서는 뇌, 심장을 포함한 중요 장기로의 혈류가 멈추게 되므로, 환자의 흉부를 압박하여 어느 정도의 혈액순환을 유지시킬 수 있다. 흉부압박은 환기와 함께 시행해야 효과가 높다.
갑작스런 심장마비나 사고로 인해 심정지를 일으킨 응급 환자의 경우 심정지 발생 후 환자의 혈액순환이 4~6분 동안 이루어지지 않으면 환자의 뇌는 비가역적인 손상을 받기 시작하며, 6분 이상 이루어지지 않으면 환자의 뇌와 모든 장기의 기능이 정지되어 생명을 잃을 수 있다.
따라서 심정지가 발생된 응급 환자에게는 흉부압박과 인공환기를 통한 심폐소생술이 이루어져야 하며, 이러한 심폐소생술 도중 흉부압박을 정확한 속도와 깊이로 시행하여야 뇌, 심장 등 주요 장기에 효과적인 순환을 제공할 수 있다. 반면에 과다한 환기의 제공은 자발순환회복의 가능성을 떨어뜨리므로 정확한 속도로 흉부압박과 환기를 시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한편, 심폐소생술은 심정지 환자에게 정확한 응급치료를 수행할 수 있도록 표준화되어 있다.
2005년 발표된 국제소생술연합위원회(International Liaison Committee on Resuscitation)의 심폐소생술 권고안에서는 흉부압박시 구조자의 손의 위치와 자세를 강조하고 있다. 그 중 손의 위치의 경우 2005년 유럽소생학회(European Resuscitation Council)의 심폐소생술 지침에서는 환자의 가슴 정중앙 부위를 구조자의 손바닥 중 손꿈치(heel)를 사용하여 양손을 깍지끼어서 압박하도록 설명하고 있다.
이때 가슴의 정중앙 부위는 환자의 양쪽 젖꼭지를 연결하는 가상선이 흉골 (sternum)과 만나는 부위를 가리킨다. 흉골은 가슴의 정중앙에 위치하는 막대모양의 납작한 뼈로 자루(manubrium)와 몸통(body), 칼돌기(xiphoid process)로 이루어지는데 양쪽 젖꼭지를 연결하는 가상선은 몸통 위를 수평으로 지나게 되므로 흉부압박시 직접적으로 압박을 받는 부위의 대부분을 몸통이 차지하고 있다. 흉골의 몸통은 성인의 경우 너비가 5cm 내외이므로 손꿈치를 이용하여 압박을 시행해야 한다.
또한 기관내 삽관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심폐소생술은 흉부압박과 인공호흡을 30:2의 비율로 시행하도록 권장되기 때문에 30회의 연속된 흉부압박과 2회의 인공호흡을 번갈아 시행하여야 한다.
이때, 흉부압박을 보조하는 기구의 필요성이 생기게 되었다.
위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종래기술은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01-0032189호에서 보는 바와 같이, 환자의 흉부에 접촉하는 접촉면과,구조원이 상기 접촉면에 그의 체중을 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지지 부재와, 상기 접촉면에 대하여 상기 지지 부재를 상대이동시키도록 작동하는 변위기를 포함하는, 구조원이 환자의 흉부에 그의 체중을 가하는 것을 허용한다.
그런데 종래의 기술구성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구성은 흉부압박을 보조하긴 하지만 인공호흡과 함께 번갈아 시행되는 흉부압박시 매번 동일한 부위를 압박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실제 심폐소생술 시행시에는 손바닥 전체로 압박하게 되는 경우가 많아 한쪽 흉곽에 과도한 압력이 전달되어 늑골 골절이 유발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01-0032189호.(2001년04월16일)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심폐소생술이 시행되기 이전에 환자의 흉부압박위치를 정확히 안내하여 심폐소생술 중 흉부압박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이 환자의 가슴 정중앙에 위치한 흉골 위에만 정확하게 전달되도록 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심폐소생술의 순서를 기억하지 못하더라도 심폐소생술을 시행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어,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흉부를 정확히 압박하고 있는지 확인하고 힘이 약한 사람도 압박을 손쉽게 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가슴 전면을 덮는 덮개부와, 상기 덮개부를 가슴에 올려놓을 때 심장의 위치와 대응된 위치에 형성된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의 하부에 심폐소생의 순서를 기재한 설명부로 구성한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덮개부는, 모서리에 고정끈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덮개부는, 어깨선과 대응되는 안내선과 보조안내선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표시부는, 손바닥모양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표시부의 내측에 공기층이 설치된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표시부와 설명부에 야광물질을 도포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심폐소생 보조기구는 심폐소생술이 시행되기 이전에 환자의 흉부압박위치를 정확히 안내하여 심폐소생술 중 흉부압박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이 환자의 가슴 정중앙에 위치한 흉골 위에만 정확하게 전달되도록, 가슴 전면을 덮는 덮개부와, 상기 덮개부를 가슴에 올려놓을 때 심장의 위치와 대응된 위치에 형성된 표시부를 통해, 비전문가도 심폐소생술을 손쉽게 행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심폐소생 보조기구는 심폐소생술의 순서를 기억하지 못하더라도 심폐소생술을 시행할 수 있도록, 표시부의 하부에 심폐소생의 순서를 기재한 설명부를 통해, 심폐소생술의 오류가 없어서 심폐소생술의 정확성이 증가하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심폐소생 보조기구는 흉부를 정확히 압박하고 있는지 확인하고 힘이 약한 사람도 압박을 손쉽게 할 수 있도록, 표시부의 내측에 공기층이 설치되어, 흉부를 압박시 공기층에서 소리가 나고 공기층의 압력이 부가되어 흉부압박의 효율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심폐소생 보조기구를 나타낸 정면도.
이하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심폐소생 보조기구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먼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심폐소생 보조기구 100의 구성상태를 살펴보면, 덮개부 110, 표시부 120, 설명부 130로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심폐소생 보조기구 100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덮개부 110는 가슴 전면을 덮는데 사용한다. 이러한, 덮개부 110는 직사각형 형상이고, 천 재질이 바람직하나 이에 국한된 것은 아니다. 즉, 첨 재질의 덮개부 110를 말아서 보관할 수 있기 때문에 휴대가 간편하여 야외에서 사용이 용이하다.
또한, 덮개부 110는 모서리에 고정끈 111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고정끈 111은 덮개부 110 각 모서리에 연결공 117이 관통되어 있고, 각각의 연결공 117에 고정끈 111을 연결한다.
상기와 같은 고정끈 111을 이용하여 어깨 또는 허리에 묶어서 덮개부 110가 흔들리지 않도록 한다.
나아가, 덮개부 110는 어깨선과 대응되는 안내선 113과 보조안내선 115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안내선 113과 보조안내선 115은 환자의 신체 사이즈에 맞추어 어깨에 안내선 113 또는 보조안내선 115을 맞추어 접어서 사용한다.
더불어, 표시부 120는 상기 덮개부 110를 가슴에 올려놓을 때 심장의 위치와 대응된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표시부 120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는 원형 형상이다.
또한, 표시부 120의 또 다른 실시 예에는 성인의 흉부를 압박시 주로 측면에서 손바닥을 올려놓고 시행하기 때문에 표시부 120a를 손바닥모양으로 표시할 수 있다.
나아가, 12개월 미망의 유아인 경우 손가락 2개만을 이용하여 압박을 해야 하기 때문에 표시부 120b를 손가락 2개만 올려놓을 수 있는 모양으로 표시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심폐소생 보조기구 100는 심폐소생술이 시행되기 이전에 환자의 흉부압박위치를 정확히 안내하여 심폐소생술 중 흉부압박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이 환자의 가슴 정중앙에 위치한 흉골 위에만 정확하게 전달되도록, 가슴 전면을 덮는 덮개부 110와, 상기 덮개부 110를 가슴에 올려놓을 때 심장의 위치와 대응된 위치에 형성된 표시부 120를 통해, 비전문가도 심폐소생술을 손쉽게 행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한편, 설명부 130는 표시부 120의 하부에 심폐소생의 순서를 기재한다. 이러한, 설명부 130는 1. 의식을 확인한다.(어깨 살짝 두드림) 2. 119에 신고한다.(신고자 지정) 3. 고정끈을 이용하여 천을 몸에 묶는다. - 고정끈을 양팔과 허리에 묶는다. 4. 이물질 제거 및 기도를 유지한다.(머리를 뒤로, 턱은 위로) 5. 표시부에 손바닥을 수직으로 올려놓고 흉부 압박을 실시한다.(분당 100회)-영아는 2손가락으로 6. 흉부압박 30회 후 인공호흡 2회를 반복 ※ 당황하지 마시고, 심호흡을 하신 후 응급처치를 하시기 바랍니다.
결국, 본 발명의 심폐소생 보조기구 100는 심폐소생술의 순서를 기억하지 못하더라도 심폐소생술을 시행할 수 있도록, 표시부 120의 하부에 심폐소생의 순서를 기재한 설명부 130를 통해, 심폐소생술의 오류가 없어서 심폐소생술의 정확성이 증가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덮개부 110에는 공기층 140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공기층 140은 표시부 120의 내측에 설치된다. 이때, 공기층 140의 일측에는 공기가 유입시 소리가 나는 장치(미도시)가 설치되어 있다.
즉, 표시부 120를 일정압력 이상으로 가압하면 공기층 140에서 소리가 나기 때문에 가압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 공기층 140의 압력을 이용하여 가압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심폐소생 보조기구 100는 흉부를 정확히 압박하고 있는지 확인하고 힘이 약한 사람도 압박을 손쉽게 할 수 있도록, 표시부 120의 내측에 공기층 140이 설치되어, 흉부를 압박시 공기층 140에서 소리가 나고 공기층 140의 압력이 부가되어 흉부압박의 효율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심폐소생 보조기구
110 : 덮개부 111 : 고정끈
113 : 안내선 115 : 보조안내선
120 : 표시부 130 : 설명부
140 : 공기층

Claims (6)

  1. 가슴 전면을 덮는 덮개부와,
    상기 덮개부를 가슴에 올려놓을 때 심장의 위치와 대응된 위치에 형성된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의 하부에 심폐소생의 순서를 기재한 설명부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폐소생 보조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모서리에 고정끈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폐소생 보조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어깨선과 대응되는 안내선과 보조안내선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폐소생 보조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손바닥모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폐소생 보조기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의 내측에 공기층이 설치된 것을 포함하는 심폐소생 보조기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와 설명부에 야광물질을 도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폐소생 보조기구.
KR1020140190543A 2014-12-26 2014-12-26 심폐소생 보조기구 KR2016007932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0543A KR20160079324A (ko) 2014-12-26 2014-12-26 심폐소생 보조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0543A KR20160079324A (ko) 2014-12-26 2014-12-26 심폐소생 보조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9324A true KR20160079324A (ko) 2016-07-06

Family

ID=565023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0543A KR20160079324A (ko) 2014-12-26 2014-12-26 심폐소생 보조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79324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2189A (ko) 1997-11-18 2001-04-16 추후제출 심폐 소생용 보조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2189A (ko) 1997-11-18 2001-04-16 추후제출 심폐 소생용 보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722551B (zh) 用于受控的除颤和通气的系统
US7361151B2 (en) Device and kit for assisting in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s
KR101798534B1 (ko) 흉부모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심폐소생술 시뮬레이터
US20150327807A1 (en) Device and method for monitoring compressions at a cardiac massage
KR101355963B1 (ko) 심폐소생술 장갑
Phillips et al. European Resuscitation Council Guidelines 2000 for basic paediatric life support: a statement from the paediatric life support working group and approved by the executive committee of the European Resuscitation Council
US10420905B2 (en) CPR template
US10188813B2 (en) Device and method for artificial respiration in emergencies
Lee et al. Part 5. Pediatric basic life support: 2015 Korean guidelines fo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KR102059536B1 (ko) 영아를 위한 심폐소생술 훈련 장치
KR200366260Y1 (ko) 심폐소생시술 훈련용 마네킹
KR20160079324A (ko) 심폐소생 보조기구
JP6887391B2 (ja) 陽圧パルス心肺蘇生デバイス
CN204275218U (zh) 一种人工简易呼吸器
TWM574038U (zh) 心肺復甦(cpr)輔助裝置
TW201601790A (zh) 具自動引導功能之救援裝置
KR101671274B1 (ko) 흉부 압박 심폐소생술 도움 패치
KR101437835B1 (ko) 조끼 형태의 자동 및 수동 심폐 소생술 장치
Paul et al. Design of auto adjustable CPR assistive device for non-expertise usability scenarios
Bhanupriya Basic Life Support for Infants
CN213311575U (zh) 一种院前急救背心
Rughani BASIC LIFE SUPPORT: THE ULTIMATE GUIDE.
Fisher ABC of resuscitation. Recognising a cardiac arrest and providing basic life support.
TW201941758A (zh) 心肺復甦(cpr)輔助裝置
RU2554207C2 (ru) Способ сердечно-легочной реанимаци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