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1274B1 - 흉부 압박 심폐소생술 도움 패치 - Google Patents

흉부 압박 심폐소생술 도움 패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1274B1
KR101671274B1 KR1020140144340A KR20140144340A KR101671274B1 KR 101671274 B1 KR101671274 B1 KR 101671274B1 KR 1020140144340 A KR1020140144340 A KR 1020140144340A KR 20140144340 A KR20140144340 A KR 20140144340A KR 101671274 B1 KR101671274 B1 KR 1016712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pr
pressure
compression
chest
pa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43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47872A (ko
Inventor
오유진
Original Assignee
오유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유진 filed Critical 오유진
Priority to KR10201401443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1274B1/ko
Publication of KR201600478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78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12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12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1/00Artificial respiration or heart stimulation, e.g. heart massage
    • A61H31/004Heart stimulation
    • A61H31/005Heart stimulation with feedback for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08Use-related aspects
    • A61N1/046Specially adapted for shock therapy, e.g. defibril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1/00Artificial respiration or heart stimulation, e.g. heart massage
    • A61H2031/002Artificial respiration or heart stimulation, e.g. heart massage fixed on the chest by adhes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1/00Artificial respiration or heart stimulation, e.g. heart massage
    • A61H2031/003Artificial respiration or heart stimulation, e.g. heart massage with alternated thorax decompression due to lateral compress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73Means for preventing injur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5Wearable interfa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58Sensors or detectors
    • A61H2201/5071Pressure sensors

Abstract

본원은 심폐소생술의 시행에 있어서, 정확한 압박위치, 압박강도, 및 압박속도를 확보하여 심폐 소생률을 높이기 위한 흉부 압박 심폐소생술시 사용되는 도움 패치에 관한 것이다.
본원의 제 1 측면은, 흉부 압박을 위한 압박 위치를 나타내는 압박 위치 표시부; 및, 상기 압박 위치 표시부의 하단에 위치하는 접착 안내 척도부:를 포함하는, 흉부 압박 심폐소생술 도움 패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원에 의하면, 심폐소생술 교육을 받지 않은 일반인의 경우를 포함하여 누구나 쉽고 안전하게 그리고 정확하게 심폐소생술을 시행할 수 있도록 심폐소생술의 핵심 요소인 압박의 위치, 압박 강도, 및 압박 속도에 대한 정보 제공 및 시행 가이드를 제공하여, 심정지 환자들의 생존율을 높일 수 있다.또한, 기존의 자동제세동기(AED)의 보급에 따르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흉부 압박 심폐소생술 도움 패치{GUIDE-PATCH FOR HANDS-ONLY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본원은 심폐소생술의 시행에 있어서, 정확한 압박위치, 압박강도, 및 압박속도를 확보하여 심폐 소생률을 높이기 위한 흉부 압박 심폐소생술시 사용되는 도움 패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우리나라 내에서 급성 심장마비의 응급상황은 하루에 70명꼴로 발생하며 이러한 급성 심장마비의 80%는 가정, 길거리나 직장에서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심정지(심장마비) 환자가 발생하면 심장마비 후 4분이 지나면 뇌손상이 시작되고 10분이 지나면 사망에 이르기 때문에 4분 안에 심폐소생술을 해야 생존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구조대가 오기 전까지 심폐소생술을 시행해야 한다. 그러나, 일반인들은 그런 경험에 자주 노출되는 경우가 아니어서 막상 응급상황이 발생하면 심폐소생술을 시행하지 못하는 경우가 허다하며, 실제로 통계에 따르면 주변 사람이 심 정지 상황을 목격한 경우는 전체의 38.2% 정도였으나 응급조치로 심폐소생술을 시행한 사례는 2.1%에 불과하다.
현재 여러 지자체에서는 심 정지 환자들의 생존율을 높이기 위하여 많은 예산을 투입하여 심폐소생술 교육을 실시하고 자동제세동기(AED)를 보급하고 있다. 하지만 사람들이 심폐소생술 교육을 받았다고 하더라도 잊어버릴 수 있고, 막상 심폐소생술을 해야 할 때는 압박 속도나 흉부를 5cm 압박하는 것을 제대로 시행하기란 쉽지 않다. 자동제세동기 보급의 경우,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 제47조 제2항(심폐소생을 위한 응급장비의 구비의무)에 따라 다중이용시설 및 다세대 공동주택 설치의무화로 최근 자동제세동기를 보급하고 있지만, 200만 원 이상의 비싼 가격으로 전국적으로 보급이 쉽지 않고 필요한 최소한의 숫자의 절반도 아직 보급되지 않은 실정이며, 사용의 어려움으로 무용지물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설령 심 정지 현장에서 자동제세동기가 있다고 하더라도 환자의 신경학적 손상을 적게하고, 심폐소생 성공확률이 2 ~ 3배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흉부압박과 병행해야 하는 점도 간과해서는 안 된다.
일반적으로 심폐소생술이란 심폐기능이 심하게 저하되거나 정지되었을 때 심폐기능을 회복시켜 소생시키는 처치인데, 통상 호흡기능장애나 호흡정지에 대해서는 우선 의식을 확인하고 기도를 확보한 후에 인공호흡을 실시하고, 심장기능을 회복시키기 위해서는 심장마사지를 한다. 인공호흡방법에는 흉골을 척추를 향하여 4∼5㎝ 아래로 누름으로써 심장을 압박하여 혈액을 박출시키는 흉부 압박식 심장마사지 방법이 있는데, 보통 심장마사지라고 하면 이를 가리킨다.
흉부 압박을 통한 심폐 소생술에 대한 가이드라인의 내용을 살펴보면, 흉부 압박 심폐 소생술의 경우, 가슴의 중앙인 흉골의 아래쪽 절반 부위에 한 쪽 손꿈치를 대고, 다른 한 손을 그 위에 포개어 깍지를 낀 후, 성인의 경우 가슴 압박의 깊이는 최소 5cm 이상, 최대 6cm 이하로, 1분에 최저 100회 이상, 최고 120회 미만으로 해야 한다.
그러나, 관계자의 경우를 제외한 일반인의 경우 심폐 소생술에 대한 경험이 없는 경우가 허다하며, 위급한 상황에서 심폐소생술을 제대로 시행하지 못해 생명을 살릴 수 있는 골든 타임을 놓치는 경우가 많다. 더불어, 심폐소생술이 올바르게 시행되지 않았을 때는 효과가 없는 경우와 유사하게, 정확하지 못한 위치에서의 과도한 압박, 정확하지 못한 시행횟수 또는 바르지 못한 시행 속도로 인해 오히려 갈비뼈 골절과 같은 2차적인 피해로 사망하는 경우도 자주 발생하는 상황이기 때문에 일반인은 도움을 주고 싶어도 도움을 줄 수 없는 상황도 함께 존재한다.
이와 관련하여, 응급 처치에 대한 중요성이 널리 인지되면서 심폐 소생술에 대한 교육을 일반인에게도 널리 행해지고 있다. 그러나 교육장에서는 간단한 시험 후 통상 마네킹을 이용하여 일반인이 한번 시연해 보는 경우에 지나지 않아, 단발적인 교육과 훈련만이 체화되지 못해서 급작스럽게 발생하는 응급 상황에 대처하기는 매우 곤란한 실정이다.
한편, 심폐 소생술과 관련된 선행기술에 있어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2010-0107114 호(이하, '선행기술 1'이라 함)는 "심폐소생술용 흉부압박 보조기구"를 제시하고 있는데, 상세하게는, 부재의 정중앙 부분을 지시하는 정중앙 지시부를 상부 표면에 형성하며, 심폐소생술을 요하는 환자의 흉부에 부착되어 흉부압박시 심폐소생술 시행자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을 전달하는 압력 전달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압력 전달부재를 통해 흉부 압박시의 압력을 환자의 가슴 정중앙에 위치한 흉골위로만 전달되도록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폐소생술용 흉부압박 보조기구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흉부압박의 적절 위치는 환자의 가슴 정중앙 부위로 예를 들면 젖꼭지를 횡방향으로 연결하는 가상선이 흉골과 만나는 부위인데, 상기 선행기술 1은 단순히 정중앙에 가로 및 세로 중심선이 그려져 있고, 크기가 일정한 블록형태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환자의 젖꼭지 사이로 가상선을 상상하고 흉골을 찾아 그곳의 중심에 맞추어서 붙여야 하는 불안정성이 존재하는 한편, 사람들의 체형이나 성별에 따라 젖꼭지 사이의 간격이 다 다름에도 불구하고, 가로 및 세로선의 크기가 일정한 형태를 갖고 있어 성별이나 나이에 따라 차이가 나는 환자에게 그 때마다 정확하게 위치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선행기술 1은 일정한 부피를 갖는 블록 모양으로 이루어져 있고 그 안에는 전원스위치, 전원부, 신체감지부, 발광부 등 내부 부속품들이 존재하는데, 이는 실제 심폐소생 시 250N(kg·m/s2) 이상의 흉부 압박 힘이 전달될 때 회로 등이 망가지고 단선 등의 고장이 있을 수 있으며, 흉부 압박의 힘이 환자 몸에 딱딱하고 두꺼운 부품이 있는 부분으로 과도하게 실릴 수 있다. 더불어, 흉부 압박 심폐소생술을 할 때에는 적절한 위치를 압박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적절한 속도, 적절한 힘의 세기로 압박하는 것도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선행기술 1의 경우에는 심폐소생술의 위치를 유도하는 기능만을 하고 있어, 실제 일반 사람들이 사용할 때 위치를 파악했다고 하더라도 압박속도나 세기를 모른다면 효과적인 심폐소생술을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한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2013-0122822 호(이하, '선행기술 2'라 함)는 "심폐소생술 장갑"에 관한 기술로서, 상세하게는 장갑, 장갑 바닥면에 구비된 압력센서, 장갑의 손목부에 벨크로 형태의 벨크로 벨트와 벨크로, 장갑과 제어판넬을 결합시키는 접속부, 청색 LED와 적색 LED와 스피커와 외부단자를 포함한 제어판넬 및 외부모니터로 구성되는 심폐 소생술 장갑을 제시한다.
그러나, 선행기술 2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장갑을 끼고 심폐소생술을 할 때, 사람에 따른 손의 크기의 다른 관계로 손이 작은 사람이 끼게 되면 장갑바닥의 압력센서가 손등 쪽에 놓이게 되고, 손이 큰 사람의 경우 장갑이 맞지 않아 압력센서 부분이 손바닥 중심 부분에 놓이지 않고, 손가락 쪽에 놓이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심폐소생술을 할 때에는 팔을 손바닥과 수직으로 되게 하여 세게 압박하기 때문에 심폐압박에 있어 가장 큰 힘은 손바닥 중에서도 손등 쪽에서 전달되는데, 착용하는 사람에 따라 압력센서가 놓이게 되는 위치가 달라진다면 압력을 측정하는데 있어서 오차가 생긴다. 또한, 손바닥을 팔과 수직으로 꺾어 심폐소생술 시 누르는 자세를 취해보면, 실제로는 손바닥의 중심은 오히려 움푹 들어간 것을 느낄 수 있는데, 이럴 경우에도 압박센서가 장갑바닥 중심에 놓여있더라도 실제보다 더 적은 힘이 전달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더불어, 상기 선행기술 2는 제어판넬에서는 심폐소생술의 힘과 속도가 정확하면 청색LED가 점등되고, 속도나 세기 어느것이 정확하게 만족되지 못하면 적색LED가 점등되고 경고음이 발생하는데, 시행자의 입장에서는 이렇게 적색LED가 켜지고 경고음이 발생하면 압박의 세기, 속도, 및 위치 중의 어떤 변수가 잘못되었는지 알기 힘들기 때문에, 오류에 대한 문제 해결이 원만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더불어, 선행기술 2는 심폐소생술 시 압박해야 하는 위치(흉골의 아래쪽 절반부위)에 대한 정보가 여전히 없어 정확한 심폐소생술을 시행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여전히 존재한다.
마지막으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2014-0053523 호(이하, '선행기술 3'이라 함)는 "조끼 형태의 자동 및 수동 심폐 소생술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인체의 상반신 전면부에 착용 가능한 조끼 형태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어깨부와 측면부에 형성된 벨트 및 본체 전면의 측단에 형성된 벨트 결합부와; 상기 본체 전면의 중앙상부에 청색 LED 및 적색 LED와 데이터 연결단자와 내부에 컨트롤 제어부를 구비한 손잡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형성된 에어백 및 상기 에어백의 하단 밑면에 형성된 압력센서와; 상기 에어백에 압축공기를 주입하는 에어커넥터 및 에어호스와 상기 에어백에 에어호스를 통하여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에어펌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끼 형태의 자동 및 수동 심폐 소생술 장치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 3은 조끼 형태를 지니고 있어, 환자의 몸을 움직여 등 쪽으로 둘러서 띠를 착용시켜 고정해야 하는데, 이는 위급상황이 발생 시 환자를 돌리고 움직이는 행위는 위험할 수 있으며, 구조자의 경우에도 누워있는 환자에게 띠를 돌려 채우는 것이 힘들고, 수동으로 작동시에 직접 장치 위로 압박을 하면 힘 전달이 제대로 되지 않음과 더불어, 단단한 부품들로 인해 환자의 몸에도 상처가 생길 수 있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본원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한 것으로서, 심폐소생술 교육을 받지 않은 일반인의 경우를 포함하여 누구나 쉽고 안전하게 그리고 정확하게 심폐소생술을 시행할 수 있도록 심폐소생술의 핵심 요소인 압박의 위치, 압박 강도, 및 압박 속도에 대한 정보 제공 및 시행 가이드가 될 수 있는 흉부 압박 심폐소생술 도움 패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원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원의 제 1 측면은, 흉부 압박을 위한 압박 위치를 나타내는 압박 위치 표시부; 및, 상기 압박 위치 표시부의 하단에 위치하는 접착 안내 척도부:를 포함하는, 흉부 압박 심폐소생술 도움 패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접착 안내 척도부는 상기 압박 위치 표시부를 중심으로 대칭적으로 길이방향으로 펼쳐진 패드 형상이며, 패드에는 길이 척도의 눈금이 표시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패드는 1축 패드 또는 2축 패드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본원의 흉부 압박 심폐소생술 도움 패치는, 상기 접착 안내 척도부 하단에 점접착제를 추가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본원의 흉부 압박 심폐소생술 도움 패치는, 상기 압박 위치 표시부의 하단에 위치하는 압력 센서 및, 상기 압력 센서와 연결되며 압력의 강도를 빛 또는 소리로 표출하는 압박 확인 장치를 추가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에 의하면, 심폐소생술 교육을 받지 않은 일반인의 경우를 포함하여 누구나 쉽고 안전하게 그리고 정확하게 심폐소생술을 시행할 수 있도록 심폐소생술의 핵심 요소인 압박의 위치, 압박 강도, 및 압박 속도에 대한 정보 제공 및 시행 가이드를 제공하여, 심정지 환자들의 생존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기존의 자동제세동기(AED)의 보급에 따르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른, 흉부 압박 심폐소생술 도움 패치의 평면도
도 2는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른, 흉부 압박 심폐소생술 도움 패치의 정면 단면도
도 3은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1축 패드로 구성된 접착 안내 척도부를 포함하는 흉부 압박 심폐 소생술 도움 패치의 평면도
도 4의 (a)는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압력센서 및 압박 확인 장치를 포함하는 흉부 압박 심폐 소생술 도움 패치의 평면도
도 4의 (b)는 도 4(a)의 I-I' 선의 단면도
도 5는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흉부 압박 심폐소생술 도움 패치의 사용 실시예
이하,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구현예 및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구현예 및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단계가 다른 단계와 “전에”또는 “후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또는 어느 장치와 “연계”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단계(장치)가 다른 단계(장치)와 직접 연동하는 경우 뿐만 아니라 두 단계 사이에 또 다른 단계가 존재하여도 실질적으로 동일한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용어 “~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도 1은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른, 흉부 압박 심폐소생술 도움 패치의 평면도이며, 도 2는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른, 흉부 압박 심폐소생술 도움 패치의 정면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원을 상세히 설명하면, 본원의 제 1 측면은, 흉부 압박을 위한 압박 위치를 나타내는 압박 위치 표시부(100); 및, 상기 압박 위치 표시부의 하단에 위치하는 접착 안내 척도부(200):를 포함하는, 흉부 압박 심폐소생술 도움 패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압박 위치 표시부(100)는 흉부 압박 심폐소생술을 시행할 때 시행자의 손바닥이 위치하는 부위로서 그 재질은 고무 또는 실리콘과 같은 엘라스토머 수지, 또는 직물을 사용할 수 있으나,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바람직하게는 그 압박 위치 표시부를 붉은색 계통의 원을 표시할 수 있으며, 그 원은 손바닥에 의해 압박을 할 때 유효한 압력이 전달될 수 있게 하는 일반적인 표시를 모두 포함하여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접착 안내 척도부(200)는 상기 압박 위치 표시부(100)의 하단에 위치하며, 환자의 특정 신체 부위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압박 위치 표시부가 가슴 중앙 흉골의 아래쪽 절반 부위에 위치할 수 있도록 가이드를 하는 역할을 한다.
도 1 및 도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접착 안내 척도부(200)는 상기 압박 위치 표시부(100)를 중심으로 대칭적으로 길이방향으로 펼쳐진 패드 형상이며, 패드에는 길이 척도의 눈금(210)이 표시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패드는 1축 패드(도 3 참조) 또는 2축 패드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5는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흉부 압박 심폐소생술 도움 패치의 사용 실시예로서, 도 1, 도 2,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원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접착 안내 척도부(200)는 2축 패드의 형상을 지니면서 그 2축 사이에는 관통되어 있거나, 투명재질로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2축 사이에는 환자의 젖꼭지가 위치되도록 하되, 상기 길이 척도의 눈금(210)이 상기 압박 위치 표시부(100)와 대칭되도록 표시되어 있기 때문에, 흉부 압박 심폐소생술을 시행하는 사람은 본원의 패치를 간단히 젖꼭지를 기준으로하여 길이 척도 눈금을 대칭적으로 위치시키기만 하면, 압박을 해야할 압박 위치 표시부가 가슴 중안 흉골의 아래쪽 절반 부위에 정확히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시행자는 급박한 상황이라 하더라도 압박을 해야할 부위를 본원의 패치가 정확히 안내하므로 보다 빠르게 심폐소생술을 바로 시행할 수 있다.
도 3은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1축 패드로 구성된 접착 안내 척도부를 포함하는 흉부 압박 심폐 소생술 도움 패치의 평면도로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앞서 언급한 2축 패드가 아닌 1축 패드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패드를 투명재질을 사용하여 제작하며, 상기 투명재질 위에 길이 척도의 눈금(210) 또는 숫자(220)를 상기 압박 위치 표시부(100)와 대칭되도록 제작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본원에서 상기 압박 위치 표시부(100)가 접착 안내 척도부(200)의 상부에 위치하는 모습을 2단의 형식으로 표현하였으나, 상기 접착 안내 척도부 위에 압박 위치 표시부를 도료로 표시한 것도 본원에서 포함한다. 또한, 본원의 구성 중의 상기 접착 안내 척도부는 그 기준을 대표적으로 젖꼭지를 기준으로 하였으나, 그 기준은 신체의 특정 부위, 예를 들어 어깨나 배꼽 등의 기준을 새롭게 잡을 수 있으며, 본원은 신체의 특정 부위의 기준을 참조하여 상기 압박 위치 표시부와 연계된 패치의 형태로 제작될 수도 있다.
한편,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본원의 흉부 압박 심폐소생술 도움 패치는, 상기 접착 안내 척도부 하단에 점접착제(10; 도 2 참조)를 추가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점접착제는 환자의 피부에 접착되어 심폐 소생술을 시행하는 동안 정확하게 맞춰진 압박부위에서 본원의 패치가 움직이거나 위치 이탈하는 것을 막고, 지속적인 압박에 의하더라도 정확한 위치를 설정할 수 있게 한다.
도 4(a)는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압력센서 및 압박 확인 장치를 포함하는 흉부 압박 심폐 소생술 도움 패치의 평면도이고 도 4(b)는 I-I' 선의 단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본원을 상세히 설명하면,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본원의 흉부 압박 심폐소생술 도움 패치는, 상기 압박 위치 표시부(100)의 하단에 위치하는 압력 센서(300) 및, 상기 압력 센서(300)와 연결되며 압력의 강도를 빛 또는 소리로 표출하는 압박 확인 장치(400)를 추가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압력센서는 변위, 변형, 또는 분자밀도의 열전도율 등을 이용하여 압력을 계측하는 센서로서, 본원에서는 다양한 압력센서를 사용할 수 있으나, 예시적으로 실리콘을 재료로 한 변형게이지형의 압력센서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집적화 압력센서를 이용하여 압박에 의한 센서의 손상을 없앨 수도 있다.
상기 압박 확인 장치(400)는 상기 압력 센서(300)와 연결되며 압력의 강도를 빛 또는 소리로 표출하는 장치로서, 예시적으로 상기 빛은 LED 램프를 이용하고, 상기 소리는 스피커를 통해 흉부를 압박하는 정확한 압력의 강도와 속도를 표출하여 시행자가 그 빛이나 소리를 통해 흉부 압박을 정확하게 하고 있는지를 가이드할 수 있다. 상기 압박 확인 장치(400) 센서로 부터 입력되는 압력의 값과 시행 속도의 데이터를 수집하여, 내부에 프로그램화 되어 있는 제어부를 통해 압력의 값의 높고 낮음과 올바름, 또는 압박 시행 속도의 빠르고 느림과 올바름의 설정 값의 밴드 범위 내에서 빛의 경우에는 적색, 녹색, 황색을 통해 예시적으로 표시할 수 있고, 소리는 각 설정 값에 따라 녹음된 소리를 출력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구성은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평균적 지식을 가진 자가 과도한 시행착오 없이 상기 압박 확인 장치를 제작할 수 있는 것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10 : 점점착제 100 : 압박 위치 표시부
200 : 접착 안내 척도부 210 : 눈금
220 : 숫자 300 : 압력 센서
400 : 압력 확인 장치

Claims (5)

  1. 흉부 압박을 위한 압박 위치를 나타내는 압박 위치 표시부; 및
    상기 압박 위치 표시부의 하단에 위치하는 접착 안내 척도부를 포함하되,
    상기 접착 안내 척도부는 상기 압박 위치 표시부를 중심으로 대칭적으로 길이방향으로 펼쳐진 패드 형상이고,
    상기 패드에는 길이 척도의 눈금이 표시되고 상기 패드는 2축 패드이며, 상기 2축 패드 사이에는 관통되어 있거나 투명재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흉부 압박 심폐소생술 도움 패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안내 척도부 하단에 점접착제를 추가 포함하는,
    흉부 압박 심폐소생술 도움 패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박 위치 표시부의 하단에 위치하는 압력 센서 및,
    상기 압력 센서와 연결되며 압력의 강도를 빛 또는 소리로 표출하는 압박 확인 장치를 추가 포함하는,
    흉부 압박 심폐소생술 도움 패치.
KR1020140144340A 2014-10-23 2014-10-23 흉부 압박 심폐소생술 도움 패치 KR1016712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4340A KR101671274B1 (ko) 2014-10-23 2014-10-23 흉부 압박 심폐소생술 도움 패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4340A KR101671274B1 (ko) 2014-10-23 2014-10-23 흉부 압박 심폐소생술 도움 패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7872A KR20160047872A (ko) 2016-05-03
KR101671274B1 true KR101671274B1 (ko) 2016-11-01

Family

ID=560225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4340A KR101671274B1 (ko) 2014-10-23 2014-10-23 흉부 압박 심폐소생술 도움 패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127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5106B1 (ko) * 2017-08-17 2019-03-06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질분비물 관찰 표준화를 위한 휴대용 관찰 키트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17806A (ja) * 2000-07-06 2002-01-22 Sabado:Kk 心肺蘇生を適確に行うための図解シート
CN2565446Y (zh) * 2002-09-02 2003-08-13 贺海龙 简易胸外心脏按压仪
JP2008307362A (ja) * 2007-06-15 2008-12-25 Board Of Regents The Univ Of Texas System 心肺蘇生センサ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7114A (ko) * 2009-03-25 2010-10-05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심폐소생술용 흉부압박 보조기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17806A (ja) * 2000-07-06 2002-01-22 Sabado:Kk 心肺蘇生を適確に行うための図解シート
CN2565446Y (zh) * 2002-09-02 2003-08-13 贺海龙 简易胸外心脏按压仪
JP2008307362A (ja) * 2007-06-15 2008-12-25 Board Of Regents The Univ Of Texas System 心肺蘇生センサ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5106B1 (ko) * 2017-08-17 2019-03-06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질분비물 관찰 표준화를 위한 휴대용 관찰 키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7872A (ko) 2016-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51671B1 (en) System for measuring and analyzing cardio-pulmonary-resuscitation (CPR) parameters for use with and by an external defibrillator (AED) or a training defibrillator
US10413475B2 (en) Wearable CPR assist, training and testing device
US20080300518A1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assisting a rescuer in resuscitation
EP1157717B1 (en) System for measuring and analysing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PR) parameters for use with and by an external defibrillator (AED)
KR101445978B1 (ko) 심폐소생술 교육시스템
KR101856203B1 (ko) 심폐소생술 훈련장치
KR101355963B1 (ko) 심폐소생술 장갑
KR101671274B1 (ko) 흉부 압박 심폐소생술 도움 패치
JP2020527425A (ja) 心肺蘇生で応急処置者を支援するためのセンサ装置
KR20170013091A (ko) 자동제세동기의 사용 및 교육안내 시스템
KR20140140700A (ko) 심폐소생술을 위한 글로브
KR101628073B1 (ko) 응급처치용 cpr플레이트
KR101986324B1 (ko) 흉부 압박을 보조하는 장치 및 그 방법
CN105232308A (zh) 心肺复苏系统
KR20170024946A (ko) 모바일기기와 센서를 이용한 심폐소생술 훈련 시스템 및 방법
JP3216881U (ja) 心肺蘇生(cpr)補助装置
KR102116906B1 (ko) 심폐소생술 실습 장치
KR102378632B1 (ko) 흉부 압박위치 및 전극패드 부착위치 검출 장치
KR101437835B1 (ko) 조끼 형태의 자동 및 수동 심폐 소생술 장치
TWM574038U (zh) 心肺復甦(cpr)輔助裝置
AU781601B2 (en) External defibrillator
CN215081964U (zh) 心肺复苏用贴板
CN106955105A (zh) 一种呼吸状态检测装置
KR20240054595A (ko) 심폐소생술 보조기구
KR20170013090A (ko) 자동제세동기를 이용한 심폐소생술 교육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