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8751A - Display Device Having a Touch Sensor and Driv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Display Device Having a Touch Sensor and Driv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8751A
KR20160078751A KR1020140188875A KR20140188875A KR20160078751A KR 20160078751 A KR20160078751 A KR 20160078751A KR 1020140188875 A KR1020140188875 A KR 1020140188875A KR 20140188875 A KR20140188875 A KR 20140188875A KR 20160078751 A KR20160078751 A KR 201600787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touch screen
signal
interval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887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59565B1 (en
Inventor
박종민
권용철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888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9565B1/en
Publication of KR201600787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875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95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956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4Connections between sensors and controllers, e.g. routing lines between electrodes and connection 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a signal-to-noise ratio (SNR) by avoiding screen abnormality or touch sensing error due to touch noise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with a touch sensor, including a display panel, a touch screen, a touch screen control unit and a timing control unit. The display panel displays an image, and the touch screen is placed in the inside or the outside of the display panel. The touch screen control unit senses touch data through the touch screen. To perform a sensing operation with respect to the touch screen by corresponding to a section to delete the data signal supplied to the display panel, the timing control unit supplies a touch sync signal to the touch screen control unit.

Description

터치 센서를 갖는 표시장치와 이의 구동방법{Display Device Having a Touch Sensor and Driving Method thereof}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device having a touch sensor and a driv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터치 센서를 갖는 표시장치와 이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device having a touch sensor and a driving method thereof.

정보화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사용자와 정보간의 연결 매체인 표시장치의 시장이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OLED),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및 플라즈마표시장치(Plasma Display Panel: PDP) 등과 같은 표시장치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As the information technology is developed, the market of display devices, which is a connection medium between users and information, is getting larger. Accordingly, the use of display devices such as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OLED),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nd a plasma display panel (PDP) is increasing.

앞서 설명한 표시장치 중 일부 예컨대, 액정표시장치나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에는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된 복수의 서브 픽셀을 포함하는 표시패널과 표시패널을 구동하는 구동부가 포함된다. 구동부에는 표시패널에 스캔신호(또는 게이트신호)를 공급하는 스캔 구동부 및 표시패널에 데이터신호를 공급하는 데이터 구동부 등이 포함된다.Some of the above-described display devices, for example,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include a display panel including a plurality of sub-pixels arranged in a matrix form and a driver for driving the display panel. The driving unit includes a scan driver for supplying a scan signal (or a gate signal) to the display panel, and a data driver for supplying a data signal to the display panel.

액정표시장치의 경우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하기 위해 표시 패널의 내부에 터치 센서(또는 터치 스크린)를 내장하는 인셀 터치 센서(In-cell touch sensor)나 표시 패널의 외부에 터치 센서를 형성하는 온셀 터치 센서(On-cell touch sensor) 형태의 터치 스크린이 구현되고 있다.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In the case of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 in-cell touch sensor that incorporates a touch sensor (or a touch screen) in a display panel to meet various needs of a user or an on- A touch screen in the form of an on-cell touch sensor is implemented.

최근 액정표시장치와 더불어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등의 표시장치에도 표시 패널에 터치 센서를 내장(또는 형성)하는 인셀이나 온셀 터치 센서 기술을 적용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하지만, 표시장치는 다양한 구조 및 구동 특성을 갖는바 액정표시장치에 제안된 터치 센서 기술을 막연히 적용할 경우 터치 노이즈(Touch noise)로 인한 화면 이상이나 터치 센싱 동작의 오류 등을 회피하기 어려운바 이를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In recent years, in-cell and on-cell touch sensor technologies for embedding (or forming) a touch sensor on a display panel have been increasingly applied to a display device such as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in addition to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owever, when the touch sensor technology proposed in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various structures and driving characteristics is vigorously applied to the display device, it is difficult to avoid a screen abnormality due to the touch noise or an error in the touch sensing operation We need to find ways to improve.

상술한 배경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양한 구조 및 구동 특성을 갖는 표시장치에 터치 센서를 적용할 수 있도록 적용성이 뛰어나고, 터치 노이즈(Touch noise)로 인한 화면 이상이나 터치 센싱 동작의 오류 등을 회피하여 신호대잡음비(SNR)를 향상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related art is excellent in applicability to apply a touch sensor to a display device having various structures and driving characteristics, and is applicable to a touch sensor, Thereby improving the signal-to-noise ratio (SNR).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으로 본 발명은 표시 패널, 터치 스크린, 터치 스크린 제어부 및 타이밍 제어부를 포함하는 터치 센서를 갖는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표시 패널은 영상을 표시한다. 터치 스크린은 표시 패널의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한다. 터치 스크린 제어부는 터치 스크린을 통해 터치 데이터를 센싱한다. 타이밍 제어부는 표시 패널에 공급된 데이터신호를 삭제하는 구간에 대응하여 터치 스크린에 대한 센싱 동작이 수행되도록 터치 스크린 제어부에 터치 동기신호를 공급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isplay device having a touch sensor including a display panel, a touch screen, a touch screen control unit, and a timing control unit. The display panel displays the image. The touch screen is located inside or outside the display panel. The touch screen control unit senses the touch data through the touch screen. The timing control unit supplies a touch synchronous signal to the touch screen control unit so that a sensing operation for the touch screen is performed corresponding to a period in which the data signal supplied to the display panel is deleted.

표시 패널은 타이밍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데이터 구동부로부터 서브프레임 단위로 배열된 데이터신호를 기반으로 영상을 표시하고, 타이밍 제어부는 서브프레임의 삭제구간에 대응하여 터치 동기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The display panel displays an image based on the data signal arranged in units of subframes from the data driver controlled by the timing controller, and the timing controller can generate the touch synchronous signal corresponding to the erasure interval of the subframe.

삭제구간은 서브프레임의 모든 비트에 포함되거나 서브프레임의 하위 비트에 포함될 수 있다.The erase interval may be included in all bits of the subframe or may be included in the lower bits of the subframe.

터치 스크린 제어부는 1 프레임 동안 터치 스크린에 대하여 N(N은 삭제구간에 대응되는 개수)번 분할 센싱할 수 있다.The touch screen control unit may sense N (N is the number corresponding to the erasure interval) times of the touch screen for one frame.

터치 스크린 제어부는 1 프레임 동안 터치 스크린에 대하여 T(T는 첫 번째 삭제구간의 시작 구간부터 마지막 삭제구간의 종료 구간까지의 합에 대응되는 시간)시간 동안 센싱할 수 있다.The touch screen control unit may sense T (T corresponds to the sum of the start interval of the first deletion interval to the end interval of the last deletion interval) for the touch screen for one frame.

타이밍 제어부는 데이터신호를 서브프레임 단위로 배열하기 위한 서브프레임 동기신호와 데이터신호를 삭제하기 위한 삭제신호를 생성하는 서브프레임 제어신호 발생부와, 서브프레임 제어신호 발생부로부터 전달된 삭제신호를 기반으로 터치 동기신호를 발생시키는 터치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timing control unit includes a subframe control signal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a subframe synchronization signal for arranging the data signal in units of subframes and a deletion signal for deleting the data signal, And a touch control unit for generating a touch synchronous signal.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터치 센서를 갖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구동방법을 제공한다. 터치 센서를 갖는 표시장치의 구동방법은 디스플레이 구동 구간 동안 표시 패널에 스캔신호와 데이터신호를 공급하고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 및 터치 스크린 구동 구간 동안 터치 스크린에 구동신호를 공급하고 터치 데이터를 센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터치 스크린 구동 구간은 표시 패널에 공급된 데이터신호를 삭제하는 구간에 대응하여 터치 스크린에 대한 센싱 동작이 수행된다.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driv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having a touch sensor. A method of driving a display device having a touch sensor includes: supplying a scan signal and a data signal to a display panel during a display driving period and displaying an image; And sensing the touch data by supplying a driving signal to the touch screen during a touch screen driving period, wherein the sensing operation of the touch screen corresponds to a period in which the data signal supplied to the display panel is deleted, .

터치 스크린 구동 구간은 디스플레이 구동 구간과 분리되거나 디스플레이 구동 구간 내에 공존할 수 있다.The touch screen driving section may be separated from the display driving section or coexist within the display driving section.

터치 스크린 구동 구간은 1 프레임 동안 터치 스크린에 대하여 N(N은 삭제구간에 대응되는 개수)번 분할 센싱할 수 있다.The touch screen driving section can sense N (N is a number corresponding to the erasure interval) times of the touch screen during one frame.

터치 스크린 구동 구간은 1 프레임 동안 터치 스크린에 대하여 T(T는 첫 번째 삭제구간의 시작 구간부터 마지막 삭제구간의 종료 구간까지의 합에 대응되는 시간)시간 동안 연속 센싱할 수 있다.The touch screen driving section can continuously sense T for the touch screen during one frame (T corresponds to the sum from the start section of the first erasure section to the end section of the last erasure section).

본 발명은 인셀이나 온셀 터치 센서를 갖는 표시장치의 구현 시 터치 노이즈(Touch noise)로 인한 화면 이상이나 터치 센싱 동작의 오류 등을 회피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구조 및 구동 특성을 갖는 표시장치에 터치 센서를 적용할 때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영상을 표시하는 구간과 구분하여 터치 센싱을 하므로 신호대잡음비(SNR)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avoiding a screen abnormality due to a touch noise or an error of a touch sensing operation when a display device having an in-cell or an on-cell touch sensor is implemented.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preventing a problem that may occur when a touch sensor is applied to a display device having various structures and driving characteristics. 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improving a signal-to-noise ratio (SNR) by performing touch sensing by distinguishing from a section for displaying an image.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터치 센서를 갖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 주는 블록도.
도 2는 뮤추얼 터치 센싱 방식으로 구현된 터치 스크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예시도.
도 3은 셀프 터치 센싱 방식으로 구현된 터치 스크린의 구성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4는 디지털 구동 방식으로 동작하는 서브 픽셀의 회로 구성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5는 디지털 구동 방식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파형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터치 센서를 갖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구동 방법을 보여주는 파형도.
도 7은 도 6에서의 터치리포트 전송 방법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타이밍 제어부의 주요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터치 센서를 갖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구동 방법을 보여주는 파형도.
도 10은 도 9에서의 터치리포트 전송 방법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터치 센서를 갖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구동 방법을 보여주는 파형도.
도 12는 도 11에서의 터치리포트 전송 방법을 보여주는 예시도.
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having a touch sens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emplary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touch screen implemented by a mutual touch sensing method; FIG.
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touch screen implemented by a self-touch sensing method.
4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 circuit configuration of a sub-pixel operating in a digital driving manner;
5 is a waveform diagram for helping understanding of the digital driving method.
6 is a waveform diagram showing a driving method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having a touch sens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 method of transmitting a touch report in FIG. 6; FIG.
FIG. 8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main configuration of a timing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9 is a waveform diagram showing a driving method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having a touch senso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10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 method of transmitting a touch report in Fig. 9; Fig.
11 is a waveform diagram showing a driving method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having a touch senso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 touch report transmission method in FIG. 11; FIG.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센서를 갖는 표시장치는 텔레비젼, 셋톱박스, 네비게이션, 영상 플레이어, 블루레이 플레이어, 개인용 컴퓨터(PC), 홈시어터 및 모바일폰 등으로 구현된다. 표시장치의 표시 패널은 액정표시패널, 유기발광표시패널, 전기영동표시패널, 플라즈마표시패널 등이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A display device having a touch 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as a television, a set-top box, a navigation device, a video player, a Blu-ray player, a personal computer (PC), a home theater and a mobile phone. The display panel of the display device may be a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an electrophoretic display panel, a plasma display panel, or the like, but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센서를 갖는 표시장치는 표시 패널에 전류 또는 전압을 공급하여 구동하는 아날로그 구동 방식 또는 발광구간을 조절하는 디지털 구동 방식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A display device having a touch 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alized by an analog driving method of supplying current or voltage to a display panel or a digital driving method of controlling a light emitting period.

디지털 구동 방식은 데이터신호를 공급하는 어드레싱 구간과 빛을 발광하는 발광구간이 구분되는 ADS(Address Display Separation) 구동 방식과 어드레싱 구간 동안 발광구간이 발생하는 AWD(Address While Display) 구동 방식을 포함한다.The digital driving method includes an ADS (Address Display Separation) driving method in which an addressing period for supplying a data signal and a light emitting period for emitting light are separated, and an AWD (Address While Display) driving method in which a light emitting period occurs during an addressing period.

앞서 언급하였듯이, 표시 패널은 디지털 구동 방식뿐만 아니라 기 저장된 데이터신호를 삭제(제거)하기 위한 삭제(리셋 또는 초기화) 동작을 요구하는 방식이나 전류 또는 전압 구동 방식에도 적용할 수 있다. 다만, 이하의 설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디지털 구동 방식의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를 일례로 설명한다.As mentioned above, the display panel can be applied not only to a digital driving method, but also to a method requiring a deletion (reset or initialization) operation to erase (remove) a previously stored data signal or a current or voltage driving metho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 digital driving typ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제1실시예>&Lt; Embodiment 1 >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터치 센서를 갖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 주는 블록도이고, 도 2는 뮤추얼 터치 센싱 방식으로 구현된 터치 스크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예시도이며, 도 3은 셀프 터치 센싱 방식으로 구현된 터치 스크린의 구성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FIG. 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having a touch sens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touch screen implemented by a mutual touch sensing method. FIG. 3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touch screen implemented by a self-touch sensing method.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센서를 갖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에는 영상 공급부(110), 타이밍 제어부(120), 데이터 구동부(130), 스캔 구동부(140), 표시 패널(PNL), 터치 스크린(TPNL), 터치 스크린 제어부(160) 및 전원 공급부(180)가 포함된다.1 to 3,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having a touch sensor includes an image supply unit 110, a timing control unit 120, a data driving unit 130, a scan driving unit 140, a display panel (PNL) A touch screen TPNL, a touch screen control unit 160, and a power supply unit 180.

영상 공급부(110)는 데이터신호(DATA)를 영상처리하고 수직 동기신호, 수평 동기신호,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 및 클록신호 등과 함께 출력한다. 영상 공급부(110)는 LVDS(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 인터페이스나 TMDS(Transition Minimized Differential Signaling) 인터페이스 등을 통해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ata Enable, DE) 및 데이터신호(DATA)와 더불어 수직 동기신호, 수평 동기신호 및 클록신호 등을 타이밍 제어부(120)에 공급한다.The image supply unit 110 processes the data signal DATA and outputs it together with a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a 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 a data enable signal, and a clock signal. The image supply unit 110 supplies a data enable signal DE and a data signal DATA via a 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 (LVDS) interface or a TMDS (Transition Minimized Differential Signaling) And supplies a signal, a clock signal, and the like to the timing controller 120.

타이밍 제어부(120)는 영상 공급부(110)로부터 데이터신호(DATA) 및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E) 등을 공급받고, 스캔 구동부(140)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게이트 타이밍 제어신호(GDC)와 데이터 구동부(130)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 타이밍 제어신호(DDC)를 출력한다.The timing controller 120 receives a data signal DATA and a data enable signal DE from the image supply unit 110 and receives a gate timing control signal GDC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timing of the scan driver 140 And outputs a data timing control signal DDC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timing of the data driver 130.

타이밍 제어부(120)는 EPI 인터페이스 등을 통해 게이트 타이밍 제어신호(GDC)와 데이터 타이밍 제어신호(DDC) 등과 함께 데이터신호(DATA)를 출력하며, 스캔 구동부(140)와 데이터 구동부(130)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한다.The timing controller 120 outputs a data signal DATA together with a gate timing control signal GDC and a data timing control signal DDC through an EPI interface and the like to control operations of the scan driver 140 and the data driver 130 Timing.

데이터 구동부(130)는 타이밍 제어부(120)로부터 공급된 데이터 타이밍 제어신호(DDC)에 응답하여 데이터신호(DATA)를 샘플링하고 래치하며 감마 기준전압에 대응하여 디지털신호를 아날로그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The data driver 130 samples and latches the data signal DATA in response to the data timing control signal DDC supplied from the timing controller 120 and converts the digital signal into an analog signal corresponding to the gamma reference voltage and outputs the analog signal .

데이터 구동부(130)는 데이터라인들(DL1 ~ DLn)을 통해 표시 패널(PNL)에 포함된 서브 픽셀들(SP)에 데이터신호(DATA)를 공급한다. 데이터 구동부(130)는 집적회로(Integrated Circuit; IC) 형태로 형성된다.The data driver 130 supplies the data signal DATA to the sub-pixels SP included in the display panel PNL through the data lines DL1 to DLn. The data driver 130 is formed in the form of an integrated circuit (IC).

스캔 구동부(140)는 타이밍 제어부(120)로부터 공급된 게이트 타이밍 제어신호(GDC)에 응답하여 게이트전압의 레벨을 시프트시키면서 스캔신호를 출력한다. 스캔 구동부(140)에는 레벨 시프터와 시프트 레지스터가 포함된다.The scan driver 140 outputs a scan signal while shifting the level of the gate voltage in response to the gate timing control signal GDC supplied from the timing controller 120. The scan driver 140 includes a level shifter and a shift register.

스캔 구동부(140)는 스캔라인들(GL1 ~ GLm)을 통해 표시 패널(PNL)에 포함된 서브 픽셀들(SP)에 스캔신호를 공급한다. 스캔 구동부(140)는 집적회로(Integrated Circuit; IC) 형태로 형성되거나 표시 패널(PNL)에 게이트인패널(Gate In Panel) 방식으로 형성된다. 스캔 구동부(140)에서 게이트인패널 방식으로 형성되는 부분은 시프트 레지스터이다.The scan driver 140 supplies the scan signals to the sub-pixels SP included in the display panel PNL through the scan lines GL1 to GLm. The scan driver 140 is formed in the form of an integrated circuit (IC) or a gate-in-panel type display panel PNL. The portion formed by the gate-in-panel method in the scan driver 140 is a shift register.

표시 패널(PNL)은 스캔 구동부(140)로부터 공급된 스캔신호와 데이터 구동부(130)로부터 공급된 데이터신호(DATA)에 대응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표시 패널(PNL)에는 영상을 표시하기 위해 자체적으로 빛을 발광하는 서브 픽셀들(SP)이 포함된다. 표시 패널(PNL)은 전면발광(Top-Emission) 방식, 배면발광(Bottom-Emission) 방식 또는 양면발광(Dual-Emission) 방식으로 구현된다.The display panel PNL displays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scan signal supplied from the scan driver 140 and the data signal DATA supplied from the data driver 130. The display panel (PNL) includes sub pixels (SP) that emit light to display an image. The display panel PNL may be implemented as a top emission type, a bottom emission type, or a dual emission type.

터치 스크린(TPNL)은 표시 패널(PNL)의 내부에 터치 센서(In-cell touch sensor)가 내장되도록 구현된다. 터치 스크린(TPNL)의 터치 센서는 사용자의 접촉 유무에 따른 변화를 추출할 수 있는 전극 형태로 구현된다. 터치 스크린(TPNL)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하의 설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뮤추얼 커패시턴스(Mutual Capacitance)와 셀프 커패시턴스(Self Capacitance)를 기반으로 구현된 예를 일례로 설명한다.The touch screen TPNL is implemented such that an in-cell touch sensor is built in the display panel PNL. The touch sensor of the touch screen (TPNL) is implemented in the form of an electrode capable of extracting a change depending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user. Although the touch screen TPNL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made by way of example on the basis of mutual capacitance and self capacitance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터치 스크린 제어부(160)는 터치 스크린(TPNL)을 이용하여 터치의 유무 및 위치를 센싱한다. 터치 스크린 제어부(160)는 터치 스크린(TPNL)의 터치 센서로부터 사용자의 접촉 유무에 의해 가변된 정전용량의 차이를 센싱한다. 터치 스크린 제어부(160)는 타이밍 제어부(120)로부터 공급된 터치 동기신호(Tsync)에 응답하여 터치 스크린(TPNL)의 터치 센서를 센싱하거나 센싱 동작을 휴지(또는 생략)한다.The touch screen control unit 160 senses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touch using the touch screen TPNL. The touch screen control unit 160 senses a difference in capacitance that varies depending on whether or not the user touches the touch sensor of the touch screen TPNL. The touch screen control unit 160 senses the touch sensor of the touch screen TPNL or suspends (or omits) the sensing operation in response to the touch synchronization signal Tsync supplied from the timing control unit 120. [

터치 스크린 제어부(160)는 터치 스크린(TPNL)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신호(전압)을 생성하는 구동 회로부, 터치 센서를 센싱하고 터치의 유무 및 좌표 정보 등을 검출하기 위한 데이터를 생성하는 센싱 회로부 및 센싱된 터치 데이터를 기반으로 터치의 유무 및 위치 좌표를 전송하는 제어 회로부 등이 포함된다.The touch screen control unit 160 includes a driving circuit for generating a driving signal (voltage) for driving the touch screen TPNL, a sensing circuit for sensing the touch sensor, generating data for detecting presence / absence of touch and coordinate information, And a control circuit unit for transmitting presence / absence of touch and position coordinates based on the sensed touch data.

터치 센서와 관련된 장치가 뮤추얼 커패시턴스(Mutual Capacitance)를 기반으로 구현된 경우, 도 2와 같이 터치 스크린 제어부(160)의 구동 회로부(161), 센싱 회로부(163) 및 제어 회로부(165)는 분리 형성될 수 있다.2, the driving circuit unit 161, the sensing circuit unit 163, and the control circuit unit 165 of the touch screen control unit 160 are separated and formed as shown in FIG. 2, .

구동 회로부(161)는 Tx라인들(Tx1 ~ Txn)을 통해 터치 센싱에 필요한 구동신호를 출력한다. 센싱 회로부(163)는 Rx라인들(Rx1 ~ Rxn)을 통해 구동신호의 변화를 센싱한다. 제어 회로부(165)는 터치 동기신호(Tsync)에 대응하여 구동 회로부(161)와 센싱 회로부(163)를 구동하고, 터치 좌표 데이터(XY)를 영상 처리부(110)나 타이밍 제어부(120)에 공급한다.The driving circuit unit 161 outputs driving signals necessary for touch sensing through the Tx lines Tx1 to Txn. The sensing circuit unit 163 senses a change in the driving signal through the Rx lines Rx1 to Rxn. The control circuit unit 165 drives the driving circuit unit 161 and the sensing circuit unit 163 in response to the touch synchronous signal Tsync and supplies the touch coordinate data XY to the image processing unit 110 and the timing control unit 120 do.

터치 센서와 관련된 장치가 셀프 커패시턴스(Self Capacitance)를 기반으로 구현된 경우, 도 3과 같이 터치 스크린 제어부(160)의 구동 회로부, 센싱 회로부 및 제어 회로부는 하나의 집적회로(IC) 형태로 통합 형성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제어부(160)는 센싱라인(S1 ~ Si)를 통해 구동신호를 공급 및 센싱한다. 그러나, 도 2 및 도 3은 하나의 예시일 뿐 터치 스크린 제어부(160)는 설계 방식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통합 또는 분리될 수 있다.3, the driving circuit unit, the sensing circuit unit, and the control circuit unit of the touch screen control unit 160 are integrally formed (integrated) in the form of an integrated circuit (IC) . The touch screen controller 160 supplies and senses a driving signal through the sensing lines S1 to Si. However, FIGS. 2 and 3 are merely examples, and the touch screen control unit 160 can be integrated or separated into various forms according to a design method.

전원 공급부(180)는 제1전원전압(ELVDD), 제2전원전압(ELVSS), 고전위전압(VCC) 및 저전위전압(GND) 등의 전원(PWR)을 생성 및 출력한다. 전원 공급부(180)로부터 출력된 전원(PWR)은 타이밍 제어부(120), 스캔 구동부(140), 데이터 구동부(120) 및 표시 패널(PNL) 등에 구분되어 공급된다.The power supply unit 180 generates and outputs a power source PWR such as a first power source voltage ELVDD, a second power source voltage ELVSS, a high potential voltage VCC, and a low potential voltage GND. The power supply PWR output from the power supply unit 180 is supplied separately to the timing controller 120, the scan driver 140, the data driver 120, and the display panel PNL.

이하, 디지털 구동 방식으로 동작하는 서브 픽셀을 갖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에 대해 설명을 부가한다.Hereinafter, a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having subpixels operating in a digital driving system will be described.

도 4는 디지털 구동 방식으로 동작하는 서브 픽셀의 회로 구성을 보여주는 예시도이고, 도 5는 디지털 구동 방식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파형도이다.FIG. 4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circuit configuration of a sub-pixel that operates in a digital driving method, and FIG. 5 is a waveform diagram for helping an understanding of a digital driving method.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구동 방식으로 동작하는 서브 픽셀(SP)에는 제1트랜지스터(T1), 제2트랜지스터(T2), 커패시터(Cst), 유기 발광다이오드(OLED) 및 이레이징 트랜지스터(ETFT)가 포함된다.As shown in FIG. 4, the sub-pixel SP operating in the digital driving mode includes a first transistor T1, a second transistor T2, a capacitor Cst,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ETFT).

제1트랜지스터(T1)는 제1A스캔 라인(SL1A)에 게이트전극이 연결되고 제1데이터 라인(DL1)에 제1전극이 연결되며 제2트랜지스터(T2)의 게이트전극에 연결된 제1노드(N1)에 제2전극이 연결된다. 제1트랜지스터(T1)는 스캔신호에 응답하여 데이터신호를 커패시터(Cst)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The first transistor T1 has a first node N1 connected to a gate electrode of the first scan line SL1A and a first electrode connected to the first data line DL1 and connected to a gate electrode of the second transistor T2, The second electrode is connected. The first transistor T1 responds to a scan signal and transmits a data signal to the capacitor Cst.

제2트랜지스터(T2)는 제1트랜지스터(T1)의 제2전극에 게이트전극이 연결되고 제1전원라인(ELVDD)에 제1전극이 연결되고 유기 발광다이오드(OLED)의 애노드전극에 제2전극이 연결된다. 제2트랜지스터(T2)는 커패시터(Cst)에 저장된 데이터전압에 대응하여 유기 발광다이오드(OLED)를 구동하는 역할을 한다.The second transistor T2 has a gate electrode connected to the second electrode of the first transistor T1 and a first electrode connected to the first power line ELVDD and a second electrode coupled to the anode electrode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Lt; / RTI &gt; The second transistor T2 serves to drive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corresponding to the data voltage stored in the capacitor Cst.

커패시터(Cst)는 제1트랜지스터(T1)의 제2전극 및 제2트랜지스터(T2)의 게이트전극에 연결된 제1노드(N1)에 일단이 연결되고 제2트랜지스터(T2)의 제2전극 및 기 발광다이오드(OLED)의 애노드전극에 연결된 제2노드(N2)에 타단이 연결된다. 커패시터(Cst)는 데이터전압을 저장하고 저장된 데이터전압을 제2트랜지스터(T2)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The capacitor Cst is connected at one end to the first node N1 connected to the second electrode of the first transistor T1 and to the gate electrode of the second transistor T2 and to the second electrode of the second transistor T2,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second node N2 connected to the anode electrode of the light emitting diode OLED. The capacitor Cst serves to store the data voltage and to transfer the stored data voltage to the second transistor T2.

유기 발광다이오드(OLED)는 제2트랜지스터(T2)의 제2전극 및 커패시터(Cst)의 타단이 연결된 제2노드(N2)에 애노드전극이 연결되고 제2전원라인(ELVSS)에 캐소드전극이 연결된다.I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the anode electrode is connected to the second node N2 of the second transistor T2 and the other end of the capacitor Cst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cathode electrode is connected to the second power supply line ELVSS, do.

이레이징 트랜지스터(ETFT)는 제1B스캔 라인(SL1B)에 게이트전극이 연결되고 제2트랜지스터(T2)의 제2전극 및 커패시터(Cst)의 타단에 연결된 제2노드(N2)에 제1전극이 연결되며 이레이징 신호가 공급되는 이레이징 신호라인(ER)에 제2전극이 연결된다. 이레이징 트랜지스터(ETFT)는 이전에 공급된 데이터신호를 삭제하는 역할을 한다.The erasing transistor ETFT has a first electrode connected to the second node N2 connected to the gate electrode of the first B scan line SL1B and the second electrode of the second transistor T2 and the other end of the capacitor Cst And the second electrode is connected to the erasing signal line ER to which the erasing signal is supplied. The erasing transistor ETFT serves to erase the previously supplied data signal.

도 4에서는 이레이징 트랜지스터(ETFT)의 제2전극이 이레이징 신호라인(ER)에 연결된 것을 일례로 하였다. 그러나 이는 하나의 예시일 뿐 이레이징 트랜지스터(ETFT)의 제2전극은 제1노드(N1)에 연결되는 형태 등으로 변경될 수 있다.In FIG. 4, the second electrode of the erasing transistor (ETFT) is connected to the erasing signal line (ER). However, this is only an example, and the second electrode of the erasing transistor ETFT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node N1.

한편, 위의 설명에서 제1전극과 제2전극은 트랜지스터의 소오스전극과 드레인전극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접속관계 등에 따라 드레인전극과 소오스전극으로 정의될 수도 있다. 그리고 트랜지스터는 N타입이나 P타입으로 선택될 수 있다.In the above description,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may be defined as a source electrode and a drain electrode of a transistor, and may be defined as a drain electrode and a source electrode, depending on the connection relation and the like. The transistor may be selected as N type or P type.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구동 방식은 1 프레임(1 Frame)을 다수의 서브프레임(SF1 ~ SF6)으로 나누고 발광구간의 비율을 분할하는 방식으로 전류의 세기를 조절하며 계조를 조절한다. 이를 위해, 디지털 구동 방식은 2 진법의 조합으로 서브프레임을 1 (=ON), 0 (=OFF)으로 조절하며 전류의 세기를 조절한다. 서브프레임은 제N(N은 4 이상 정수)개로 정의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5, the digital driving method divides one frame into a plurality of subframes SF1 to SF6, and divides the ratio of the emission periods, thereby adjusting the intensity of the current and controlling the gradation. For this purpose, the digital driving method adjusts the intensity of the current by adjusting the subframe to 1 (= ON) and 0 (= OFF) by a combination of binary methods. The subframe may be defined as Nth (N is an integer of 4 or more).

각 서브프레임은 각각 하나의 비트(bit)를 나타내며, 각 서브프레임의 발광구간은 대략 2배씩 증가하거나 감소하게 된다. 제1서브프레임(SF1)은 6개의 서브프레임 중에서 발광구간이 가장 긴 것을 의미하고, 제6서브프레임(SF6)은 6개의 서브프레임 중에서 발광구간이 가장 짧은 것을 의미한다.Each subframe represents one bit, and the light emitting period of each subframe is increased or decreased approximately twice. The first subframe SF1 means that the light emitting period is the longest among the six subframes, and the sixth subframe SF6 means that the light emitting period is the shortest among the six subframes.

디지털 구동 방식은 하나의 서브프레임에 대한 어드레싱 구간이 종료되어야만 다음 서브프레임에 대한 어드레싱이 이루어진다. 이 때문에, 하나의 서브프레임에 대한 어드레싱 구간이 해당 서브프레임의 발광구간보다 길 경우, 다음 서브프레임의 어드레싱이 시작되기 전까지 시간을 보유하기 위해 데이터신호를 삭제(또는 제거)할 수 있는 삭제구간이 필요하다. 즉, 디지털 구동 방식은 1 프레임(1 Frame)이라는 제한된 시간 내에 8비트 이상의 색을 표현할 경우 삭제구간은 필수 요건이 된다.In the digital driving method, the addressing for the next subframe is performed only when the addressing period for one subframe ends. Therefore, if the addressing period for one sub-frame is longer than the light emitting period of the corresponding sub-frame, a deletion interval in which the data signal can be deleted (or removed) so as to hold the time until the addressing of the next sub- need. That is, when the digital driving method expresses 8 bits or more within a limited time of one frame (1 frame), a deletion interval becomes a necessary requirement.

만약, 삭제구간을 생략한 상태에서 비트 표현력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1) 어드레싱 속도 증가(Addressing (=Scan) speed 증가), 2) 1 프레임 주파수 변경 ( 20Hz -> 60Hz -> 30Hz) 등으로 가능하다. 그러나 1)의 방식은 스캔 구동부의 스펙 변경 및 표시 패널의 구조 변경(1 수평 시간 감소) 등과 같이 제약 요소가 많다. 그리고 2)의 방식은 제약 요소는 적으나 기존 대비 화질이 손상된다.1) Increase the addressing speed (increase the scanning speed), 2) Change the frame frequency (20Hz -> 60Hz -> 30Hz), and so on. However, the method 1) has many constraints such as specification change of the scan driver and structural change of the display panel (one horizontal time reduction). And 2) the method has few constraints but the image quality is degraded.

이와 같은 이유로 삭제구간은 디지털 구동 방식에서 채택해야 하는 필수 불가결인 방법이며, 구동 방법 측면에서는 자연 발생적인 구간이라고도 볼 수 있다. 그러나, 삭제구간의 사용이 많아지면 비트의 표현력은 향상되나 블랙 몬스터(Black monster) 구간이 증가 되므로 이를 고려해야 한다.For this reason, the erase interval is an indispensable method to be adopted in the digital driving method, and it can also be said to be a spontaneous period in terms of the driving method. However, if the use of the erase interval is increased, the expressiveness of the bit is improved, but the black monster interval is increased, so this should be considered.

최근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도 액정표시장치와 더불어 표시 패널의 내부에 터치 센서를 내장하는 인셀 터치 센서나 표시 패널의 외부에 터치 센서를 형성하는 온셀 터치 센서 기술을 적용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인셀이나 온셀 터치 센서 방식은 표시 패널에 터치 센서가 위치하므로 표시 패널의 구동신호와 관련된 커플링이나 노이즈에 취약하다.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Recently, a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has been increasingly applied to an in-line touch sensor that incorporates a touch sensor in a display panel and an on-cell touch sensor technology that forms a touch sensor outside a display panel, in addition to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The insole or on-cell touch sensor type is vulnerable to coupling or noise related to the driving signal of the display panel because the touch sensor is located on the display panel.

때문에, 인셀이나 온셀 터치 센서를 갖는 액정표시장치는 서브 픽셀들과 터치 센서들의 커플링(Coupling)으로 인한 상호 영향을 줄이기 위하여, 서브 픽셀들을 구동하는 구간("디스플레이 구동 구간"이라고도 함)과 터치 센서들을 구동하는 구간("터치 스크린 구동 구간"이라고도 함)을 시분할 한다.Therefore, in order to reduce mutual influence due to coupling between sub pixels and touch sensors,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an in-cell or an on-cell touch sensor has a period (also called a "display driving period & Time division of the section driving the sensors (also referred to as "touch screen driving section").

반면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는 다양한 구조 및 구동 특성을 갖는바 액정표시장치에 제안된 인셀 터치 센서 기술을 막연히 적용할 경우 터치 노이즈(Touch noise)로 인한 화면 이상이나 터치 센싱 동작의 오류 등을 회피하기 어려운바 이를 개선 또는 대체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inelic touch sensor technology proposed in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various structures and driving characteristics is vaguely applied,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voids a screen abnormality due to the touch noise or an error of the touch sensing operation It is difficult to find ways to improve or replace it.

이하, 터치 센서를 갖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가 디지털 구동 방식으로 구현된 경우를 일례로 본 발명에 대한 설명을 구체화한다.Hereinafter,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in which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having a touch sensor is implemented by a digital driving method.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터치 센서를 갖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구동 방법을 보여주는 파형도이고, 도 7은 도 6에서의 터치리포트 전송 방법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타이밍 제어부의 주요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FIG. 6 is a waveform diagram showing a driving method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having a touch sens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method of transmitting a touch report in FIG. FIG. 8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main configuration of a timing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디지털 구동 방식에서 사용하는 전형적인 형태로 1 프레임(1 Frame)을 다수의 서브프레임(SF1 ~ SF6)으로 나누어진다. 다수의 서브프레임(SF1 ~ SF6)은 어드레싱 구간, 발광구간, 삭제구간을 포함한다. 다만, 삭제구간은 제4 내지 제6서브프레임(SF4 ~ SF6)과 같이 발광구간이 짧은 그룹에 속하는 서브프레임에만 존재한다.As shown in FIG. 6,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ubframes SF1 to SF6 in a typical form used in the digital driving method. The plurality of subframes SF1 to SF6 includes an addressing period, a light emitting period, and a erasing period. However, the erase interval exists only in the subframes belonging to the group having the shortest light emission period, such as the fourth to sixth subframes SF4 to SF6.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삭제구간을 갖는 제4 내지 제6서브프레임(SF4 ~ SF6)에 대응하여 분할 터치 센싱(Touch)을 한다. 예컨대, 제4서브프레임(SF4)의 삭제구간에 대응하여 제1터치 센싱을 하고, 제5서브프레임(SF5)의 삭제구간에 대응하여 제1터치 센싱을 하고, 제6서브프레임(SF6)의 삭제구간에 대응하여 제3터치 센싱을 한다.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split touch sensing corresponding to the fourth to sixth subframes SF4 to SF6 having a deletion interval. For example, the first touch sensing is performed corresponding to the erase interval of the fourth sub-frame SF4, the first touch sensing is performed corresponding to the erase interval of the fifth sub-frame SF5, And performs a third touch sensing corresponding to the deletion section.

제1 내지 제6서브프레임(SF1 ~ SF6)에서 어드레싱 구간과 발광구간은 영상을 표시하기 위해 소요되는 시간에 해당하므로 이들 구간은 서브 픽셀들을 구동하는 디스플레이 구동 구간(DSP)으로 정의된다. 그리고 제4 내지 제6서브프레임(SF4 ~ SF6)에서 삭제구간은 터치 센서들을 구동하는 터치 스크린 구동 구간(TSP)으로 정의된다.In the first to sixth sub-frames SF1 to SF6, the addressing period and the light emitting period correspond to the time required for displaying an image, and therefore these intervals are defined as a display driving period (DSP) for driving sub-pixels. In the fourth to sixth sub-frames SF4 to SF6, the deletion interval is defined as a touch screen driving interval TSP for driving the touch sensors.

앞서 언급하였듯이, 제4 내지 제6서브프레임(SF4 ~ SF6)의 발광구간은 제4서브프레임(SF4)에서 제6서브프레임(SF6)으로 갈수록 짧아진다. 하지만, 삭제구간은 이와 반대로 제4서브프레임(SF4)에서 제6서브프레임(SF6)으로 갈수록 길어진다. 그러므로, 터치 스크린 구동 구간(TSP)에 포함된 제1 내지 제3터치 구간(T1 ~ T3)은 제4서브프레임(SF4)에서 제6서브프레임(SF6)으로 갈수록 길어지는 형태가 된다.As mentioned above, the emission periods of the fourth to sixth sub-frames SF4 to SF6 are shorter in the fourth sub-frame SF4 to the sixth sub-frame SF6. However, the erase interval is increased from the fourth subframe SF4 to the sixth subframe SF6. Therefore, the first to third touch periods T1 to T3 included in the touch screen driving period TSP are formed to be longer from the fourth subframe SF4 to the sixth subframe SF6.

한편,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서브프레임을 총 6개로 구분하였기 때문에 이의 절반인 제4 내지 제6서브프레임(SF4 ~ SF6)에 포함된 삭제구간만 터치 스크린 구동 기간으로 정의한 것일 뿐이다. 그러므로 서브프레임의 개수가 많아지거나 적어질 경우 삭제구간 또한 이에 대응하여 달라질 수 있다.In the meantime, since the subframe is divided into six subframes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ly the erase interval included in the fourth to sixth subframes SF4 to SF6, which is half of the subframe, is defined as the touch screen driving period. Therefore, when the number of subframes is increased or decreased, the erase interval may be correspondingly changed.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 내지 제6서브프레임(SF4 ~ SF6)에 포함된 삭제구간에 대응하여 이루어진 제1 내지 제3터치 구간(T1 ~ T3) 동안에는 터치 데이터를 센싱하고 이를 알고리즘 처리하여 터치리포트로 전송해야 한다. 그런데, 터치 스크린 구동 구간(TSP)은 제1 내지 제3터치 구간(T1 ~ T3)으로 분할되어 있는바 터치리포트는 다음과 같이 전송될 수 있다.7, the touch data is sensed during the first to third touch periods T1 to T3 corresponding to the deletion intervals included in the fourth to sixth sub-frames SF4 to SF6, And transmit it to the touch report. However, the bar touch report, which is divided into the first to third touch periods T1 to T3, may be transmitted as follows.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리포트(TRD1)는 마지막으로 터치 데이터를 센싱한 제3터치 구간(T3)에 동기하여 전송되거나 그 이후에 전송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7 (a), the touch report TRD1 may be transmitted in synchronization with the third touch period T3 in which the touch data is finally sensed, or may be transmitted thereafter.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리포트(TRD1 ~ TRD3)는 터치 데이터를 센싱할 때마다 동기하여 전송되거나 그 이후에 전송될 수 있다. 예컨대, 제1터치리포트(TRD1)는 제1터치 구간(T1)에 동기하여 전송되거나 그 이후에 전송되고, 제2터치리포트(TRD2)는 제2터치 구간(T2)에 동기하여 전송되거나 그 이후에 전송되고, 제3터치리포트(TRD3)는 제3터치 구간(T3)에 동기하여 전송되거나 그 이후에 전송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하나의 예시일 뿐 터치리포트를 전송하는 방식은 터치 센싱 방식이나 터치 알고리즘 등의 변화에 대응하여 다양한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7 (b), the touch reports TRD1 to TRD3 may be transmitted synchronously or every time after touch data is sensed. For example, the first touch report TRD1 is transmitted in synchronism with or after the first touch interval T1, the second touch report TRD2 is transmitted in synchronization with the second touch interval T2, or thereafter And the third touch report TRD3 may be transmitted in synchronization with the third touch period T3 or thereafter. However, this is only one example, and the method of transmitting the touch report can be changed into various forms corresponding to the change of the touch sensing method, the touch algorithm, and the like.

위의 설명과 같이 1 프레임 내에 디스플레이 구동 구간(DSP)과 터치 스크린 구동 구간(TSP)이 공존하는 형태로 구동하기 위해서는 타이밍 제어부와 터치 스크린 제어부 간의 연동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 타이밍 제어부는 다음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drive the display driving section DSP and the touch screen driving section TSP coexist within one frame, it is required to interlock the timing controller and the touch screen controller. To this end, the timing control unit may be configured as follows.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이밍 제어부(120)에는 클록 발생부(121), LVDS 인터페이스부(122), 내부신호 발생부(123), 소오스 송신부(124), 전원 제어신호 발생부(125), 스캔 제어부(126), 서브프레임 제어신호 발생부(127) 및 터치 제어부(128)가 포함된다. 도 8은 본원 발명과 관계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타이밍 제어부(120)의 디지털 구동과 관련된 블록의 일부를 도시한 것이다.8, the timing controller 120 includes a clock generator 121, an LVDS interface 122, an internal signal generator 123, a source transmitter 124, a power control signal generator 125, A scan control unit 126, a sub-frame control signal generation unit 127, and a touch control unit 128. 8 shows a part of a block related to the digital driving of the timing control unit 120 in order to explain a configuration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클록 발생부(121)는 영상 공급부로부터 공급된 클록신호에 대응하여 내부 클록신호를 발생시키는 역할을 한다. 클록 발생부(121)로부터 발생된 내부 클록신호는 내부신호 발생부(123), 소오스 송신부(124), 전원 제어신호 발생부(125), 스캔 제어부(126) 및 서브프레임 제어신호 발생부(127)를 제어하기 위해 사용된다.The clock generating unit 121 generates an internal clock signal in response to the clock signal supplied from the image supply unit. The internal clock signal generated from the clock generator 121 is supplied to the internal signal generator 123, the source transmitter 124, the power supply control signal generator 125, the scan controller 126 and the subframe control signal generator 127 ). &Lt; / RTI &gt;

LVDS 인터페이스부(122)는 영상 공급부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신호 등의 각종 신호를 수신하는 역할을 한다. LVDS 인터페이스부(122)는 영상 공급부와 타이밍 제어부(120) 간의 데이터 전송(또는 통신)을 하기 위해 사용되는데, 이는 다른 인터페이스 체계로 선택될 수 있다.The LVDS interface unit 122 serves to receive various signals such as a data signal output from the image supply unit. The LVDS interface unit 122 is used for 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between the image supply unit and the timing control unit 120, which can be selected by a different interface scheme.

내부신호 발생부(123)는 LVDS 인터페이스부(122)로부터 전달된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 등을 기반으로 내부 수직 동기신호, 수평 동기신호 및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 등을 발생시키는 역할을 한다. 내부신호 발생부(123)는 발생된 내부 수직 동기신호, 수평 동기신호 및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 등을 서브프레임 제어신호 발생부(127)에 전달한다.The internal signal generating unit 123 generates an internal vertical synchronizing signal, a horizontal synchronizing signal, and a data enable signal based on a data enable signal or the like transmitted from the LVDS interface unit 122. The internal signal generating unit 123 transmits the generated internal vertical synchronizing signal, horizontal synchronizing signal, and data enable signal to the sub frame control signal generating unit 127.

서브프레임 제어신호 발생부(127)는 내부신호 발생부(123)로부터 전달된 내부 수직 동기신호, 수평 동기신호 및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 등을 기반으로 데이터신호를 서브프레임 단위로 배열하기 위한 서브프레임 동기신호와 데이터신호를 삭제하기 위한 삭제신호 등을 생성한다. 서브프레임 제어신호 발생부(127)는 삭제신호 등을 터치 제어부(128)에 전달한다. 서브프레임 제어신호 발생부(127)는 서브프레임 체계에 대응하여 내부 수직 동기신호, 수평 동기신호 및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 등을 변환한다. 서브프레임 제어신호 발생부(127)는 변환된 신호들과 동기신호 등을 기반으로 생성된 각종 제어신호를 소오스 송신부(124)에 전달한다.The sub-frame control signal generating unit 127 generates a sub-frame control signal for arranging the data signals on a sub-frame basis based on the internal vertical synchronizing signal, the horizontal synchronizing signal, and the data enabl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internal signal generating unit 123, A deletion signal for deleting the signal and the data signal, and the like. The subframe control signal generator 127 transmits a delete signal or the like to the touch controller 128. The sub-frame control signal generator 127 converts an internal vertical synchronous signal, a horizontal synchronous signal, and a data enable signal in accordance with a sub-frame system. The sub-frame control signal generator 127 transmits various control signals generated based on the converted signals and the synchronization signal to the source transmitter 124.

소오스 송신부(124)는 LVDS 인터페이스부(122)로부터 전달된 데이터신호를 서브프레임 체계에 맞게 정렬 또는 재배치한 후 이를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소오스 송신부(124)는 클록 발생부(121)로부터 전달된 클록신호, LVDS 인터페이스부(122)로부터 전달된 데이터신호, 서브프레임 제어신호 발생부(127)로부터 전달된 내부 수직 동기신호, 수평 동기신호 및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 등을 기반으로 데이터신호를 서브프레임 체계에 맞게 정렬 또는 재배치한다. 소오스 송신부(124)로부터 출력된 데이터신호 등은 데이터 구동부(130)에 공급된다.The source transmission unit 124 aligns or rearranges the dat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LVDS interface unit 122 according to the subframe scheme, and outputs the data signal. The source transmission unit 124 receives the clock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lock generation unit 121, the dat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LVDS interface unit 122, the internal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ubframe control signal generation unit 127, And a data enable signal or the like to align or rearrange the data signal according to the subframe scheme. The data signal and the like outputted from the source transmission unit 124 are supplied to the data driver 130.

전원 제어신호 발생부(125)는 전원 공급부(180)와 스캔 제어부(126)를 제어하는 신호를 발생하는 역할을 한다. 전원 제어신호 발생부(125)는 클록 발생부(121)로부터 전달된 클록신호를 기반으로 전원 공급부(180)와 스캔 제어부(126)를 제어하는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The power control signal generating unit 125 generates a signal for controlling the power supply unit 180 and the scan control unit 126. The power supply control signal generator 125 may generate a signal for controlling the power supply unit 180 and the scan controller 126 based on the clock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lock generator 121.

스캔 제어부(126)는 스캔 구동부(140)를 제어하는 각종 신호를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스캔 제어부(126)는 클록 발생부(121)로부터 전달된 클록신호와 서브프레임 제어신호 발생부(127)로부터 전달된 제어신호를 기반으로 스캔 구동부(140)를 제어하는 각종 신호를 출력한다.The scan controller 126 outputs various signals for controlling the scan driver 140. The scan controller 126 outputs various signals for controlling the scan driver 140 on the basis of the clock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lock generator 121 and the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ubframe control signal generator 127.

터치 제어부(128)는 삭제신호에 대응하여 터치 스크린을 구동할 수 있는 터치 동기신호(Tsync)를 발생하고 이를 기반으로 터치 스크린 제어부를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터치 제어부(128)는 서브프레임 제어신호 발생부(127)로부터 전달된 삭제신호 등을 기반으로 터치 동기신호(Tsync)를 발생시킬 수 있다.The touch controller 128 generates a touch sync signal Tsync that can drive the touch screen in response to the delete signal, and controls the touch screen controller based on the generated touch sync signal Tsync. The touch controller 128 may generate a touch sync signal Tsync based on the erasure signal or the like transmitted from the subframe control signal generator 127. [

위의 설명과 같이 타이밍 제어부(120)는 서브프레임의 삭제구간에 대응하여 터치 동기신호(Tsync)를 마련하므로, 1 프레임 내에 디스플레이 구동 구간과 터치 스크린 구동 구간이 공존하는 형태로 터치 스크린 제어부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timing controller 120 provides the touch sync signal Tsync in response to the erase interval of the sub-frame, so that the touch-screen control unit is controlled in the form that the display drive period and the touch- .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는 구동 특성 및 구조가 액정표시장치와 다른바, 디스플레이 구동 구간과 터치 스크린 구동 구간으로 시분할을 하지 않아도 인셀 터치 센서 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Th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is different from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 driving characteristics and structure, and can realize the in-cell touch sensor technology even if the display driving period and the touch screen driving period are not time-divided.

그러나, 데이터신호를 공급하는 어드레싱 구간이나 발광구간 동안 터치 스크린을 구동하면 신호의 커플링이나 터치 노이즈(Touch noise)로 인한 화면 이상이나 터치 센싱 동작의 오류 등이 유발될 가능성이 있다.However, if a touch screen is driven during an addressing period or a light emitting period for supplying a data signal, there is a possibility that a signal abnormality due to coupling of a signal, touch noise, or a touch sensing operation may be caused.

이로 인하여, 본 발명은 신호의 커플링이나 터치 노이즈(Touch noise)로 인한 화면 이상이나 터치 센싱 동작의 오류 등을 회피하기 위해 영상을 실질적으로 표시하는 구간과 무관한 삭제구간 동안 터치 스크린을 구동한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drives the touch screen during the deletion interval irrespective of the interval in which the image is substantially displayed in order to avoid a screen error due to coupling of a signal, a touch noise, or an error of a touch sensing operation .

어드레싱 구간이나 발광구간은 영상을 표시하는 동작과 관계하므로 디스플레이 구동 구간으로 볼 수 있다. 반면, 삭제구간은 영상을 표시하는 것이 아닌 삭제 동작과 관계하고 또한 터치 스크린을 구동하므로 터치 스크린 구동 구간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구동 구간과 터치 스크린 구동 구간은 공존하지만 서로 구분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The addressing period or the light emitting period can be regarded as a display driving period since it relates to an operation of displaying an image. On the other hand, the erase interval relates to the erase operation, not the image display, and also drives the touch screen, so that it can be viewed as the touch screen drive section. Therefore, the display driving period and the touch screen driving period coexist but can be defined as being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한편, 제4 내지 제6서브프레임(SF4 ~ SF6)과 같이 발광구간이 짧은 그룹에 속하는 서브프레임에만 존재하는 삭제구간은 영상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을 수 있는바 영상(동영상 또는 정지영상의 구분 등)에 따라 터치 스크린은 다음과 같이 구동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 deletion interval existing only in a subframe belonging to a group having a short light emission period, such as the fourth to sixth subframes SF4 to SF6, may be a bar image (classification of a moving image or a still image, ), The touch screen can be driven as follows.

이하에서는 제1실시예 대비 변경되는 부분만 설명하고 이를 구성하는 장치나 방법 등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생략하되, 경우에 따라 도 1 내지 도 8 등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only the parts that are change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and the details of the device, the method, and the like constituting the same will be omitted in order to avoid duplication of description, an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제2실시예>&Lt; Embodiment 2 >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터치 센서를 갖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구동 방법을 보여주는 파형도이고, 도 10은 도 9에서의 터치리포트 전송 방법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FIG. 9 is a waveform diagram showing a driving method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having a touch senso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method of transmitting a touch report in FIG.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디지털 구동 방식에서 사용하는 전형적인 형태로 1 프레임(1 Frame)을 다수의 서브프레임(SF1 ~ SF6)으로 나누어진다. 다수의 서브프레임(SF1 ~ SF6)은 어드레싱 구간, 발광구간, 삭제구간을 포함한다. 다만, 삭제구간은 제4 내지 제6서브프레임(SF4 ~ SF6)과 같이 발광구간이 짧은 그룹에 속하는 서브프레임에만 존재한다.As shown in FIG. 9,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ubframes SF1 to SF6 in a typical form used in the digital driving method. The plurality of subframes SF1 to SF6 includes an addressing period, a light emitting period, and a erasing period. However, the erase interval exists only in the subframes belonging to the group having the shortest light emission period, such as the fourth to sixth subframes SF4 to SF6.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삭제구간을 갖는 제4 내지 제6서브프레임(SF4 ~ SF6) 동안 터치 센싱(Touch)을 한다. 예컨대, 제4서브프레임(SF4)의 삭제구간이 시작되는 구간부터 제6서브프레임(SF6)의 삭제구간이 종료되는 구간(또는 시간) 동안에 대응하여 터치 센싱(Touch)을 한다.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touch sensing during the fourth to sixth sub-frames SF4 to SF6 having the erase interval. For example, touch sensing is performed corresponding to a period (or time) during which the erase interval of the sixth sub-frame SF6 ends, from the erase interval of the fourth sub-frame SF4.

제1 내지 제6서브프레임(SF1 ~ SF6)에서 어드레싱 구간과 발광구간은 영상을 표시하기 위해 소요되는 시간에 해당하므로 이들 구간은 서브 픽셀들을 구동하는 디스플레이 구동 구간(DSP)으로 정의된다. 그리고 제4 내지 제6서브프레임(SF4 ~ SF6)에서 어드레싱 구간과 발광구간은 디스플레이 구동 구간(DSP)으로 정의되고 삭제구간은 터치 센서들을 구동하는 터치 스크린 구동 구간(TSP)으로 정의된다. 즉, 하위 서브프레임(또는 서브프레임의 하위 비트)에서는 디스플레이 구동 구간(DSP)과 터치 스크린 구동 구간(TSP)이 공존하되, 첫 번째 삭제구간이 시작되는 구간부터 마지막 삭제구간이 종료되는 구간까지 다 구간에 걸쳐 일부 중첩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In the first to sixth sub-frames SF1 to SF6, the addressing period and the light emitting period correspond to the time required for displaying an image, and therefore these intervals are defined as a display driving period (DSP) for driving sub-pixels. In the fourth to sixth sub-frames SF4 to SF6, the addressing period and the light emitting period are defined as the display driving period DSP and the erasing period is defined as the touch screen driving period TSP for driving the touch sensors. That is, in the lower subframe (or the lower bit of the subframe), the display driving period (DSP) and the touch screen driving period (TSP) coexist, and the period from the start of the first erase interval to the end of the last erase interval It can be defined as overlapping some portions over a period.

이와 같이, 하위 서브프레임에서 디스플레이 구동 구간(DSP)과 터치 스크린 구동 구간(TSP)이 공존하되, 다 구간에 걸쳐 일부 중첩하도록 제어하면, 영상의 화질 저하가 가장 적은 지점에서 터치 센싱(Touch)을 하기 위한 시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display driving section DSP and the touch screen driving section TSP coexist in the lower sub-frame, the touch sensing operation can be performed at a point where the deterioration of the image quality is minimized. It is possible to secure a sufficient time for the operation.

이와 같은 논리로 터치 센싱(Touch)을 하기 위한 시간을 확보하기 위해 삭제구간을 가변할 수도 있다. 또한, 터치 센싱(Touch)에 소요되는 수직 블랭크 시간(V blank time)은 예컨대, 백 포치(back porch), 프론트 포치(front porch) 및 폭(width)을 포함할 수 있다.With this logic, the deletion interval may be varied to secure time for touch sensing. In addition, the V blank time required for the touch sensing may include, for example, a back porch, a front porch, and a width.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서브프레임(SF4)의 삭제구간이 시작되는 구간부터 제6서브프레임(SF6)의 삭제구간이 종료되는 구간 동안에는 터치 데이터를 센싱하고 이를 알고리즘 처리하여 터치리포트로 전송해야 한다.As shown in FIGS. 9 and 10, the touch data is sensed during the period from the start of the erase interval of the fourth subframe SF4 to the end of the erase interval of the sixth subframe SF6, and the algorithm is processed Must be sent to touch report.

터치 스크린 구동 구간(TSP)은 제4서브프레임(SF4)의 삭제구간이 시작되는 구간부터 제6서브프레임(SF6)의 삭제구간이 종료되는 구간까지 이어지므로 터치리포트는 제6서브프레임(SF6)의 삭제구간이 종료되는 구간에 동기하여 전송되거나 그 이후에 전송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하나의 예시일 뿐 터치리포트를 전송하는 방식은 터치 센싱 방식이나 터치 알고리즘 등의 변화에 대응하여 다양한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Since the touch screen driving period TSP continues from the period from the start of the erase interval of the fourth subframe SF4 to the end of the erase interval of the sixth subframe SF6, May be transmitted in synchronization with or transmitted after a period in which the deletion interval of the &lt; RTI ID = 0.0 &gt; However, this is only one example, and the method of transmitting the touch report can be changed into various forms corresponding to the change of the touch sensing method, the touch algorithm, and the like.

<제3실시예>&Lt; Third Embodiment >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터치 센서를 갖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구동 방법을 보여주는 파형도이고, 도 12는 도 11에서의 터치리포트 전송 방법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FIG. 11 is a waveform diagram illustrating a driving method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having a touch senso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2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 method of transmitting a touch report in FIG.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는 디지털 구동 방식에서 사용하는 전형적인 형태로 1 프레임(1 Frame)을 다수의 서브프레임(SF1 ~ SF5)으로 나누어진다. 다수의 서브프레임(SF1 ~ SF5)은 모두 어드레싱 구간, 발광구간, 삭제구간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 6,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ubframes (SF1 to SF5) in a typical form used in the digital driving method. The plurality of subframes SF1 to SF5 includes an addressing period, a light emitting period, and a erasing period.

본 발명의 제3실시예는 삭제구간을 갖는 제1 내지 제5서브프레임(SF1 ~ SF5)에 대응하여 터치 센싱(Touch)을 한다. 예컨대, 제1서브프레임(SF1)의 삭제구간에 대응하여 제1터치 센싱(T1)을 하고, 제2서브프레임(SF2)의 삭제구간에 대응하여 제2터치 센싱(T2)을 하고, ~~(중략)~~ 제4서브프레임(SF4)의 삭제구간에 대응하여 제4터치 센싱(T4)을 하고, 제5서브프레임(SF5)의 삭제구간에 대응하여 제5터치 센싱(T5)을 한다.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touch sensing corresponding to the first to fifth subframes SF1 to SF5 having a deletion interval. For example, the first touch sensing T1 is performed corresponding to the deletion interval of the first sub-frame SF1, the second touch sensing T2 is performed corresponding to the deletion interval of the second sub-frame SF2, The fourth touch sensing T4 is performed corresponding to the deletion interval of the fourth subframe SF4 and the fifth touch sensing T5 is performed corresponding to the deletion interval of the fifth subframe SF5 .

제1 내지 제5서브프레임(SF1 ~ SF5)에서 어드레싱 구간과 발광구간은 영상을 표시하기 위해 소요되는 시간에 해당하므로 이들 구간은 서브 픽셀들을 구동하는 디스플레이 구동 구간(DSP)으로 정의된다. 그리고 제1 내지 제5서브프레임(SF1 ~ SF5)에서 삭제구간은 터치 센서들을 구동하는 터치 스크린 구동 구간(TSP)으로 정의된다.In the first to fifth sub-frames SF1 to SF5, the addressing period and the light emitting period correspond to a time required for displaying an image, and therefore these intervals are defined as a display driving period (DSP) for driving sub-pixels. In the first to fifth sub-frames SF1 to SF5, the erase interval is defined as a touch screen driving interval TSP for driving the touch sensors.

제3실시예에서는 제1 및 제2실시예와 달리 제1 내지 제5서브프레임(SF1 ~ SF5)에 어드레싱 구간, 발광구간, 삭제구간이 포함된다. 이와 같이 모든 서브프레임에 삭제구간이 포함되면, 이전 서브프레임에 대한 서브 픽셀의 상태(턴온 또는 턴오프)에 따라 현재 서브프레임에 대한 서브 픽셀의 실제 휘도를 결정하는 전압이 달라지는 오차를 개선 및 방지할 수 있다.In the third embodiment, unlike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the first to fifth sub-frames SF1 to SF5 include the addressing period, the light emitting period, and the erase period. When the erase interval is included in all subframes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improve and prevent an error that varies the voltage that determines the actual brightness of the subpixel with respect to the current subframe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subpixel (turn on or turn off) can do.

제3실시예를 통해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은 삭제구간이나 이와 유사하게 영상을 비표시하는 구간(또는 데이터신호를 공급하거나 발광시키는 구간과 구동과 무관한 구간)에 대응하여 터치 센싱을 할 수 있다.As can be seen from the third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can perform touch sensing in correspondence with a deletion interval or a section in which an image is not displayed similarly (or a section for supplying or emitting a data signal and a section not related to driving) have.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5서브프레임(SF1 ~ SF5)에 포함된 삭제구간에 대응하여 이루어진 제1 내지 제5터치 구간(T1 ~ T5) 동안에는 터치 데이터를 센싱하고 이를 알고리즘 처리하여 터치리포트로 전송해야 한다. 그런데, 터치 스크린 구동 구간(TSP)은 제1 내지 제5터치 구간(T1 ~ T5)으로 분할되어 있는바 터치리포트는 다음과 같이 전송될 수 있다.12, the touch data is sensed during the first to fifth touch periods T1 to T5 corresponding to the deletion intervals included in the first to fifth sub-frames SF1 to SF5, And transmit it to the touch report. Meanwhile, the bar touch report divided into the first to fifth touch periods T1 to T5 may be transmitted as follows.

도 1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리포트(TRD)는 마지막으로 터치 데이터를 센싱한 제5터치 구간(T3)에 동기하여 전송되거나 그 이후에 전송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2A, the touch report TRD may be transmitted in synchronization with the fifth touch period T3 in which the touch data was last sensed, or may be transmitted thereafter.

도 1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리포트(TRD1 ~ TRD5)는 터치 데이터를 센싱할 때마다 동기하여 전송되거나 그 이후에 전송될 수 있다. 예컨대, 제1터치리포트(TRD1)는 제1터치 구간(T1)에 동기하여 전송되거나 그 이후에 전송되고, 제2터치리포트(TRD2)는 제2터치 구간(T2)에 동기하여 전송되거나 그 이후에 전송되고, ~~(중량)~~ 제5터치리포트(TRD5)는 제5터치 구간(T5)에 동기하여 전송되거나 그 이후에 전송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하나의 예시일 뿐 터치리포트를 전송하는 방식은 터치 센싱 방식이나 터치 알고리즘 등의 변화에 대응하여 다양한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As shown in (b) of FIG. 12, the touch reports TRD1 to TRD5 may be transmitted synchronously or every time after touch data is sensed. For example, the first touch report TRD1 is transmitted in synchronism with or after the first touch interval T1, the second touch report TRD2 is transmitted in synchronization with the second touch interval T2, or thereafter And the fifth touch report TRD5 may be transmitted in synchronization with the fifth touch interval T5 or thereafter. However, this is only one example, and the method of transmitting the touch report can be changed into various forms corresponding to the change of the touch sensing method, the touch algorithm, and the like.

이상의 모든 실시예를 통해 알 수 있듯이, 터치 스크린 제어부는 1 프레임 동안 터치 스크린에 대하여 N(N은 삭제구간에 대응되는 개수)번 분할 센싱하거나 T(T는 첫 번째 삭제구간의 시작 구간부터 마지막 삭제구간의 종료 구간까지의 합에 대응되는 시간)시간 동안 연속 센싱할 수 있다.As can be seen from all the embodiments above, the touch screen control unit senses N (N is the number corresponding to the deletion interval) times of division with respect to the touch screen during one frame or T (T is the time from the beginning of the first deletion interval to the last deletion The time corresponding to the sum up to the end interval of the interval).

이상 본 발명은 인셀이나 온셀 터치 센서를 갖는 표시장치의 구현 시 터치 노이즈(Touch noise)로 인한 화면 이상이나 터치 센싱 동작의 오류 등을 회피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구조 및 구동 특성을 갖는 표시장치에 터치 센서를 적용할 때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영상을 표시하는 구간과 구분하여 터치 센싱을 하므로 신호대잡음비(SNR)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avoiding a screen abnormality due to a touch noise or an error of a touch sensing operation when a display device having an in-cell or an on-cell touch sensor is implemented.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preventing a problem that may occur when a touch sensor is applied to a display device having various structures and driving characteristics. 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improving a signal-to-noise ratio (SNR) by performing touch sensing by distinguishing from a section for displaying an image.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진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may be practiced.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to be considered in all respects only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In addi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lso,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10: 영상 공급부 120: 타이밍 제어부
130: 데이터 구동부 140: 스캔 구동부
PNL: 표시 패널 TPNL: 터치 스크린
160: 터치 스크린 제어부 180: 전원 공급부
128: 터치 제어부 127: 서브프레임 제어신호 발생부
DSPL: 디스플레이 구동 구간 TSP: 터치 스크린 구동 구간
110: image supply unit 120: timing control unit
130: Data driver 140:
PNL: Display panel TPNL: Touch screen
160: Touch screen control unit 180: Power supply unit
128: Touch controller 127: Sub-frame control signal generator
DSPL: Display driving section TSP: Touch screen driving section

Claims (10)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의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하는 터치 스크린;
상기 터치 스크린을 통해 터치 데이터를 센싱하는 터치 스크린 제어부; 및
상기 표시 패널에 공급된 데이터신호를 삭제하는 구간에 대응하여 상기 터치 스크린에 대한 센싱 동작이 수행되도록 상기 터치 스크린 제어부에 터치 동기신호를 공급하는 타이밍 제어부를 포함하는 터치 센서를 갖는 표시장치.
Display panel;
A touch screen located inside or outside the display panel;
A touch screen controller for sensing touch data through the touch screen; And
And a timing controller for supplying a touch synchronous signal to the touch screen controller so that a sensing operation for the touch screen is performed corresponding to a section for deleting the data signal supplied to the display pane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타이밍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데이터 구동부로부터 서브프레임 단위로 배열된 데이터신호를 기반으로 영상을 표시하고,
상기 타이밍 제어부는 상기 서브프레임의 삭제구간에 대응하여 상기 터치 동기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센서를 갖는 표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isplay panel
An image is displayed on the basis of a data signal arranged in units of subframes from a data driver controlled by the timing controller,
Wherein the timing control unit generates the touch synchronizing signal in response to the erasing period of the sub-fram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삭제구간은
상기 서브프레임의 모든 비트에 포함되거나 상기 서브프레임의 하위 비트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센서를 갖는 표시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deletion interval
Wherein the bit is included in all bits of the sub-frame or is included in the lower bits of the sub-fram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 제어부는
1 프레임 동안 상기 터치 스크린에 대하여 N(N은 상기 삭제구간에 대응되는 개수)번 분할 센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센서를 갖는 표시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touch screen control unit
(N is a number corresponding to the erasure interval) times for one frame of the touch scree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 제어부는
1 프레임 동안 상기 터치 스크린에 대하여 T(T는 첫 번째 삭제구간의 시작 구간부터 마지막 삭제구간의 종료 구간까지의 합에 대응되는 시간)시간 동안 연속 센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센서를 갖는 표시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touch screen control unit
Wherein the touch sensor continuously senses the touch screen for a time T (T is a time corresponding to a sum from a start interval of a first erasure interval to an end interval of a last erasure interval) for one fram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신호를 서브프레임 단위로 배열하기 위한 서브프레임 동기신호와 상기 데이터신호를 삭제하기 위한 삭제신호를 생성하는 서브프레임 제어신호 발생부와,
상기 서브프레임 제어신호 발생부로부터 전달된 상기 삭제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터치 동기신호를 발생시키는 터치 제어부를 포함하는 터치 센서를 갖는 표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timing control unit
A subframe control signal generator for generating a subframe synchronization signal for arranging the data signal in subframe units and a deletion signal for deleting the data signal,
And a touch controller for generating the touch synchronizing signal based on the eras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ub-frame control signal generator.
디스플레이 구동 구간 동안 표시 패널에 스캔신호와 데이터신호를 공급하고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 및
터치 스크린 구동 구간 동안 터치 스크린에 구동신호를 공급하고 터치 데이터를 센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 구동 구간은
상기 표시 패널에 공급된 데이터신호를 삭제하는 구간에 대응하여 상기 터치 스크린에 대한 센싱 동작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센서를 갖는 표시장치의 구동방법.
Supplying a scan signal and a data signal to a display panel during a display driving period and displaying an image; And
Supplying a driving signal to the touch screen and sensing touch data during a touch screen driving period,
The touch screen driving section
Wherein the sensing operation of the touch screen is performed corresponding to a period in which the data signal supplied to the display panel is deleted.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 구동 구간은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 구간과 분리되거나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 구간 내에 공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센서를 갖는 표시장치의 구동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The touch screen driving section
Wherein the display driving section is separated from the display driving section or coexist within the display driving section.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 구동 구간은
1 프레임 동안 상기 터치 스크린에 대하여 N(N은 상기 삭제구간에 대응되는 개수)번 분할 센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센서를 갖는 표시장치의 구동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The touch screen driving section
Wherein the touch sensor is divided into N (N is a number corresponding to the erasure interval) times for the touch screen during one fram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 구동 구간은
1 프레임 동안 상기 터치 스크린에 대하여 T(T는 첫 번째 삭제구간의 시작 구간부터 마지막 삭제구간의 종료 구간까지의 합에 대응되는 시간)시간 동안 센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센서를 갖는 표시장치의 구동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The touch screen driving section
(T is a time corresponding to the sum from the start period of the first erasure interval to the end interval of the last erasure interval) for one frame of the touch screen. Way.
KR1020140188875A 2014-12-24 2014-12-24 Display Device Having a Touch Sensor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225956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8875A KR102259565B1 (en) 2014-12-24 2014-12-24 Display Device Having a Touch Sensor and Driv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8875A KR102259565B1 (en) 2014-12-24 2014-12-24 Display Device Having a Touch Sensor and Driving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8751A true KR20160078751A (en) 2016-07-05
KR102259565B1 KR102259565B1 (en) 2021-06-04

Family

ID=56501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8875A KR102259565B1 (en) 2014-12-24 2014-12-24 Display Device Having a Touch Sensor and Driving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9565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6196A (en) * 2017-08-08 2019-02-18 주식회사 실리콘웍스 Display driving devic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1842013B2 (en) 2020-11-18 2023-12-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Touch controller, touch screen driving circuit comprising the same, and method of operating touch screen driving circui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46437A (en) * 2008-10-27 2010-05-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JP2012138036A (en) * 2010-12-28 2012-07-19 Panasonic Corp Touch panel device and plasma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140075542A (en) * 2012-12-11 2014-06-1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Display device with integrated touch screen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KR20140076054A (en) * 2012-12-12 2014-06-2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Display device having touch sensors and control method of gate driving circuit thereof
KR20140097886A (en) * 2013-01-30 2014-08-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Touch Screen Integrated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46437A (en) * 2008-10-27 2010-05-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JP2012138036A (en) * 2010-12-28 2012-07-19 Panasonic Corp Touch panel device and plasma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140075542A (en) * 2012-12-11 2014-06-1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Display device with integrated touch screen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KR20140076054A (en) * 2012-12-12 2014-06-2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Display device having touch sensors and control method of gate driving circuit thereof
KR20140097886A (en) * 2013-01-30 2014-08-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Touch Screen Integrated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6196A (en) * 2017-08-08 2019-02-18 주식회사 실리콘웍스 Display driving devic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1842013B2 (en) 2020-11-18 2023-12-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Touch controller, touch screen driving circuit comprising the same, and method of operating touch screen driving circu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9565B1 (en) 2021-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69624B1 (en) Display panel and electroluminescence display using the same
EP2463849B1 (en) Pixel,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20140129832A (en) Display device with integrated touch screen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KR101964769B1 (en) Pixel,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2516371B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KR20140050361A (en) Pixel, stereopsis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CN105741816A (en) Display device and self-calibration method thereof
EP3836132B1 (en) Display device
KR20190030067A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Using a Multiplexer
KR20220068537A (en)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CN103426398B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2625961B1 (en) Electroluminescence display using the same
KR20170021678A (en) Display device and data compensation method thereof
KR20160074758A (en) Method of displaying a stereoscopic image and display device
KR102458079B1 (en) Display device and charge sharing methode thereof
KR102259565B1 (en) Display Device Having a Touch Sensor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2383564B1 (en) Display panel and electroluminescence display using the same
US11521556B2 (en) Channel controller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20190012053A (en)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2493592B1 (en) Pixel circuit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101993747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2390673B1 (en) Electroluminescence display
KR20140140935A (en) Display device with integrated touch screen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KR102467180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US11308863B2 (en) Timing controller for controlling emission of emission element for recognizing touch coordinates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