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7280A -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7280A
KR20160077280A KR1020140185970A KR20140185970A KR20160077280A KR 20160077280 A KR20160077280 A KR 20160077280A KR 1020140185970 A KR1020140185970 A KR 1020140185970A KR 20140185970 A KR20140185970 A KR 20140185970A KR 20160077280 A KR20160077280 A KR 201600772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d rolling
grains
excluding
cold
annea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59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50256B1 (ko
Inventor
강형구
박지언
박수호
이계만
허무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401859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0256B1/ko
Publication of KR201600772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72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02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02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05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2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obium or tantalum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Heat Treatment Of Sheet Ste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성형성을 향상시킨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제조방법은, C: 0.02 wt%이하(0 제외), N: 0.02 wt%이하(0 제외), Si: 1.0wt%이하(0 제외), Cr : 15.5 ~ 20.0 wt%, Nb: 0.1 ~ 0.55 wt%를 함유하고 나머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슬래브를 제조하는 과정; 상기 슬래브를 열간압연하는 과정; 열간압연된 상기 슬래브를 제1 냉간압연 및 제1 냉연소둔하여, 조대 결정립및 상기 조대 결정립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조대 결정립과 고각경계(high-angle boundary)를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미세 결정립으로 구성된 비정상 결정립군을 성장시키는 과정; 및 상기 비정상 결정립군이 성장된 슬래브를 제2 냉간압연 및 제2 냉연소둔하여 상기 비정상 결정립군을 복수의 정상 결정립으로 분해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방법{FERRITIC STAINLESS STE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성형성을 향상시킨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에서는 연속주조 시 로테이티드 큐브(rotated cube) 방위를 가지는 거대한 주상정이 생성된다.
이 주상정 조직은 열간압연 시 또는 열연소둔 공정에서 파괴되지 않고 압연재의 중앙층 부근에서 잔류하여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열연판재에는 상기 로테이티드 큐브 방위를 가지고 100㎛ 이상의 결정립 크기를 가지는 조대한 팬케익 형태의 결정립들이 존재하게 된다.
이러한 결정립들은 최종 제품의 성형성을 저하시키는 조직을 형성시키기 때문에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성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이러한 조직을 반드시 개선시켜야 한다.
따라서, 성형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조대한 결정립을 파괴하여 미세조직과 접합조직을 균질화시키는 공정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종래, 판재를 2겹으로 적층시켜, 열간압연을 실시함으로써, 연속주조 시 생성된 주조조직을 파괴하여 열간압연 및 열연소둔 후 미세조직과 집합조직을 균일하게 하는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해서는 "내리징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방법(공개특허 10-2014-0017694)" 등에서 구체적으로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2개의 판재를 겹쳐친 상태로 열간압연을 실시함에 따라, 판재 사이에 윤활유를 분사하더라도 두 판재가 접합될 수 있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동일한 압하율을 적용하더라도, 판재 간의 적층 상태 등에 따라 판재의 두께가 달라져 생산되는 판재의 두께가 서로 달라질 수 있어, 일정한 품질의 제품을 생산하기 어려운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한국 공개특허 10-2014-0017694 (2014. 02. 11.)
본 발명은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미세조직을 개질시킴으로써, 최종 제품의 성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제조방법은, C: 0.02 wt%이하(0 제외), N: 0.02 wt%이하(0 제외), Si: 1.0wt%이하(0 제외), Cr : 15.5 ~ 20.0 wt%, Nb: 0.1 ~ 0.55 wt%를 함유하고 나머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슬래브를 제조하는 과정; 상기 슬래브를 열간압연하는 과정; 열간압연된 상기 슬래브를 제1 냉간압연 및 제1 냉연소둔하여, 조대 결정립및 상기 조대 결정립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조대 결정립과 고각경계(high-angle boundary)를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미세 결정립으로 구성된 비정상 결정립군을 성장시키는 과정; 및 상기 비정상 결정립군이 성장된 슬래브를 제2 냉간압연 및 제2 냉연소둔하여 상기 비정상 결정립군을 복수의 정상 결정립으로 분해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냉간압연은, 65 ~ 92%의 압하율로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1 냉연소둔은, 980 ~ 1040℃의 온도에서 1시간 이상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 냉연소둔은, 900 ~ 950℃의 온도에서 1시간 미만(0 제외)으로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라이트 스테인리스강은 C: 0.02 wt%이하(0 제외), N: 0.02 wt%이하(0 제외), Si: 1.0wt%이하(0 제외), Cr : 15.5 ~ 20.0 wt%, Nb: 0.1 ~ 0.55 wt%를 함유하고 나머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진 슬래브를 열간압연한 다음, 제1 냉간압연 및 제1 냉연소둔을 실시하여 조대 결정립 및 상기 조대 결정립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조대 결정립과 고각경계(high-angle boundary)를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미세 결정립으로 구성된 비정상 결정립군의 분율이 60% 이상인 냉연소둔강을 제2 냉간압연 및 제2 냉연소둔을 실시하여 상기 비정상 결정립군을 제거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은 하기의 식 (1)로 정의되는 평균 r값이 1.6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평균 r값 = {r(0°)+2×r(45°)+r(90°)}/4 -------------- (1)
이때, r(x°)에서 x는 압연방향 대비 측정방향을 의미함.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비정상 결정립군을 성장시킨 후 정상 결정립으로 분해시켜 미세조직을 개질함으로써, 생산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성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미세조직에 성장된 정상 결정립과 비정상 결정립군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조성을 갖는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제1 냉연소둔 온도에 따른 비정살 결정립군의 성장을 비교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조성을 갖는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제1 냉연소둔 온도에 따른 비정상 결정립군의 성장을 비교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제1 냉간압연시 압하율에 따른 비정상 결정립군의 성장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은 C: 0.02 wt%이하(0 제외), N: 0.02 wt%이하(0 제외), Si: 1.0wt%이하(0 제외), Cr : 15.5 ~ 20.0 wt%, Nb: 0.1 ~ 0.55 wt%를 함유하고 나머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며, 비정상 결정립군을 형성시킨 후, 이를 다시 정상 결정립으로 분해시킴으로써, 성형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 성분 함량의 수치한정 이유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탄소(C)의 양은 0.02 wt% 이하(0 제외)인 것이 바람직하다.
탄소(C)는 크롬(Cr)과 결합하여 석출물을 형성함으로써, 크롬(Cr)이 제공하는 내식성 효과를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이러한 석출물이 입계에 형성될 경우 크롬(Cr) 고갈층을 형성하여 입계 부식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0.02 wt% 이하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질소(N)의 양은 0.02 wt% 이하(0 제외)로 제한한다.
질소(N)는 탄소(C)와 마찬가지로 크롬(Cr)과 결합하여 석출물을 형성하여 생산되는 제품의 내식성을 저하시킬 수 있기 때문에, 0.02 wt% 이하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리콘(Si)의 양은 1.0 wt% 이하(0 제외)인 것이 바람직하다.
실리콘(Si)은 탈산에 중요한 원소로 필수적으로 첨가되는 원소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내식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과도하게 첨가되는 경우 소재를 경질화시키며, 산소화 결합되어 개재물을 형성함에 따라 내식성을 저하시킬 수 있기 때문에 1.0 wt% 이하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크롬(Cr)의 양은 15.5 wt% 이상, 20.0 wt%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크롬(Cr)은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내식성을 확보하기 위해 가장 중요하게 첨가되는 원소이다.
본 발명에서는 높은 내식성을 위해 15.5 wt% 이상의 크롬(Cr)을 첨가하였다. 그러나, 20.0 wt%를 초과하여 과도하게 높은 함량의 크롬(Cr)이 첨가되는 경우 소재의 경질화를 유발하고 제조원가를 상승시키기 때문에 20 wt%이하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니오븀(Nb)의 양은 0.1 wt% 이상, 0.55 wt%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니오븀(Nb)은 탄소(C), 질소(N), 철(Fe) 및 크롬(Cr)과 결합하여 내식성의 저하를 억제하는 석출물을 형성시킬 뿐만 아니라, 비정상 결정립군의 성장을 유발시켜 성형성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0.1 wt%이상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니오븀(Nb)은 고가의 원소로 과도하게 첨가되는 경우, 원료비가 상승되기 때문에 그 함량을 0.1 ~ 0.55 wt%로 제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제조방법은 성형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을 제조하기 위하여 상기와 같은 조성을 갖는 용강을 통상의 방법으로 연주하여 슬래브를 제조하는 과정과 상기 슬래브를 열간압연하는 과정과 열간압연된 슬래브를 제1 냉간압연 및 제1 냉연소둔을 실시하는 비정상 결정립군을 성장시키는 과정 및 제2 냉간압연 및 제2 냉연소둔을 실시하여 비정상 결정립군을 다수의 정상 결정립으로 분해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조대 결정립과 전자후방산란패턴(Electro Back-Scattered Pattern, EBSP)법으로 측정한 조대 결정립과의 방위차가 15°이상이며, 조대 결정립 내부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미세 결정립으로 구성된 결정립군을 "비정상 결정립군"이라 정의한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이용하여 본발명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제조방법은 상기와 같은 조성을 갖는 용강을 연속주조하여 두께가 150㎜인 슬래브를 제조하여 1180℃로 가열한 다음, 5.5㎜로 열간압연을 실시한 후, 냉간압연 및 냉연소둔을 2회 실시하여 최종 생산 제품의 미세조직을 개질시켰다.
본 발명에서는 미세조직의 개질은 비정상 결정립군 성장의 발현이 중요하다.
비정상 결정립군의 성장이란, 통상적으로 냉연소둔 시 100㎛ 이하의 분포가 균일한 재결정 결정립이 형성되는 정상 결정립 성장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조대한 소수의 결정립이 성장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는 정상 결정립의 성장과 비정상 결정립군의 성장을 보다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비정상 결정립군을 그 내부에 방위차가 15˚이상인 미세 결정립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조대 결정립으로 정의하였다.
도 1은 미세조직에 성장된 정상 결정립과 비정상 결정립군을 보여주는 도면으로, 방위차가 15˚ 이상인 경우 음영이 차이로서 나타내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상 결정립 성장(a)에서는 결정립 내부에 별다른 결정립이 없는 반면, 비정상 결정립군 성장(b)에서는 조대한 결정립 내부에 또 다른 결정립이 존재함을 알 수 있다.
C Si Cr Nb N 비정상 결정립군
성장 유무
실시예 1 0.007 0.4 19.4 0.45 0.010
실시예 2 0.003 0.1 17.9 0.32 0.007
실시예 3 0.008 0.4 18.6 0.52 0.010
실시예 4 0.009 1.0 18.7 0.36 0.009
실시예 5 0.014 0.6 15.8 0.25 0.015
실시예 6 0.016 0.3 19.8 0.13 0.018
비교예 1 0.007 0.6 15.9 0.05 0.006 ×
비교예 2 0.008 0.5 18.3 0.07 0.005 ×
비교예 3 0.012 0.9 19.5 0.02 0.009 ×
표 1은 본 발명의 65% 압하율로 냉간압연후 냉연소둔시 다양한 실시예 및 비교예의 각 성분별 조성 범위에 따른 비정상 결정립군의 성장 유무를 나타낸 표이다.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비정상 결정립군의 성장을 유발시는 원소인 니오븀(Nb)의 함량이 0.1 ~ 0.55 wt%를 만족하여 비정상 결정립이 성장이 발현된 반면, 비교예들에서 니오븀(Nb)의 함량은 0.1 wt% 미만으로 비정상 결정립군의 성장이 나타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소재의 성형성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지표로 널리 사용되는 평균 r값은 하기의 식 (1)로 정의되며, r값은 소재의 1축 인장 시 폭 방향 변형률과 두께 방향 변형률의 비이다.
평균 r값 = {r(0°)+2×r(45°)+r(90°)}/4 -------------- (1)
이때, r(x°)에서 x는 압연방향 대비 측정방향을 의미한다.
온도(℃) 960 980 1010 1040 1050 1080
평균 r값 1.35 1.65 1.93 1.85 1.41 1.52
표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조성을 갖는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제1 냉연소둔 시 온도에 따른, 15% 1축 인장 후 r값을 측정하여 상기 식 (1)에 따라 평균 r값을 계산하여 나타내었다.
표 2에서 알 수 있듯, 980 ~ 1040℃의 온도에서 제1 냉연소둔을 실시하여 비정상 결정립군을 형성시킨 다음 이를 다시 제2 냉간압연 및 제2 냉연소둔을 실시하여 복수의 정상 결정립으로 분해한 경우, 평균 r값이 1.6이상으로 나타나 성형성이 우수한 반면, 그 외의 온도에서 냉연소둔을 실시한 경우 평균 r값이 1.6 미만으로 성형성이 떨어짐을 알 수 있다.
이는, 980 ~ 1040℃ 이외의 온도 범위에서는 비정상 결정립군의 성장이 발현되지 않기 때문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조성을 갖는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제1 냉연소둔 온도에 따른 비정살 결정립군의 성장을 비교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조성을 갖는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제1 냉연소둔 온도에 따른 비정상 결정립군의 성장을 비교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성범위를 만족하더라도 제1 소둔 온도가 980 ~ 1040℃의 온도구간에서는 비정상 결정립 성장이 발현되는 반면, 그 이외 구간에서는 비정질 결정립 성장이 발현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냉연소둔 시 980 ~ 1040℃의 온도에서 소둔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니오븀(Nb)은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강 제조공정 중 탄소(C), 질소(N), 철(Fe) 및 크롬(Cr)과 결합하여 석출물을 형성시키는데, 이러한 석출물은 냉연소둔 열처리시 결정립계에 분포되어 정상 결정립의 성장을 방해하는 효과를 갖는다.
상기와 같이, 정상 결정립의 성장이 방해되는 상태에서 소수의 결정립이 조대하게 성장될 수 있어 비정상 결정립군의 성장을 발현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비정상 결정립군의 성장이 발현될 수 있도록, 니오븀(Nb)의 함량을 최적화하여 석출물을 형성시켜, 비정상 결정립 성장이 발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석출물의 효과는 제1 냉연소둔시 석출물에 포함된 니오븀(Nb)의 함량을 측정함으로써 예측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조성을 갖는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제1 냉연소둔 온도에 따라 생성된 석출물에 함유된 니오븀(Nb)의 총량을 측정하여 표 3에 나타내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조성을 갖는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석출물에 함유된 니오븀(Nb)의 총량을 측정하여 표 4에 나타내었다.
온도(℃) 960 980 1010 1040 1050 1080
석출물로 추출되는 Nb 총량 0.09 0.31 0.32 0.28 0.01 0.00
온도(℃) 960 980 1030 1080
석출물로 추출되는 Nb 총량 0.02 0.13 0.18 0.00
표2 및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조성을 갖는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에 대하여, 비정상 결정립군의 성장이 관찰된 980 ~ 1040℃ 온도구간에서는 석출물 중 니오븀(Nb)의 총량이 0.25 wt% 이상 관찰된 반면, 1040℃를 초과하는 경우 석출물 중 니오븀(Nb)의 총량이 급격히 감소됨을 알 수 있다.
이는, 1040℃를 초과하여 소둔을 실시하는 경우, 석출물이 모재로 재고용되기 때문이다.
한편, 일반적으로 980 ~ 1040℃의 온도에서 냉연소둔을 실시하더라도, 냉연소둔 시간이 짧은 경우(약 0 ~ 5분)석출물의 방해 없이 정상 결정립 성장이 발생되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비정상 결정립군의 성장을 유도하기 위해서 제1 냉연소둔 시간을 장시간, 즉 1시간의 열처리 시간을 부여하였으며, 그 이상의 시간에서는 동 현상이 일어남은 자명하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냉간압연 시 하기의 식 (2)으로 정의되는 압하율(%)을 제어함으로써, 비정상 결정립군의 성장을 구현한다.
압하율(%) = {(초기두께-최종두께)/초기두께}×100 ------------ (2)
압하율(%) 45 55 65 75 78 82 85 88 92 95
평균 r값 1.25 1.58 1.93 1.88 1.85 1.87 1.82 1.75 1.62 1.48
표 5는 제1 냉간압연 시 압하율에 따른 평균 r값을 나타낸 표이다.
표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1 냉간압연 시 압하율(%)이 65 ~ 92%인 경우 평균 r값이 1.6 이상으로 나타나 성형성이 향상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4는 제1 냉간압연 시 압하율에 따른 비정상 결정립군의 성장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냉간압연 시 압하율(%)을 65 ~ 92%로 제어함에 따라, 비정상 결정립군의 분율이 높게 나타나 성형성이 향상시킬 수 있는 반면, 그 외의 범위의 압하율로 냉간압연을 실시하는 경우 비정상 결정립군의 분율이 급격히 저하되어 제2 냉간압연 및 제2 냉연소둔을 실시하더라도 성형성이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제1 냉간압연 및 제1 냉연소둔으로 형성된 비정상 결정립군을 제2 냉간압연 및 제2 냉연소둔을 실시하여 복수의 정상 결정립으로 분해시켜 소재의 성형성을 향상시킨다.
이때, 제2 냉연소둔은 900 ~ 950℃ 미만의 온도 범위로 제어하고, 소둔 시간은 1시간 미만으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제1 냉간압연 및 제1 냉연소둔으로 형성된 비정상 결정립군이 복수의 결정립으로 분해되어 성형성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며, 950℃ 이상의 온도로 1시간 이상 제2 냉연소둔을 실시하는 경우 비정상 결정립군이 다시 성장되어 성형성이 저하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평균 r값이 1.6 이상으로 성형성이 우수한 페라이트 스테인리스강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첨부 도면과 전술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다.

Claims (6)

  1. C: 0.02 wt%이하(0 제외), N: 0.02 wt%이하(0 제외), Si: 1.0wt%이하(0 제외), Cr : 15.5 ~ 20.0 wt%, Nb: 0.1 ~ 0.55 wt%를 함유하고 나머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슬래브를 제조하는 과정;
    상기 슬래브를 열간압연하는 과정;
    열간압연된 상기 슬래브를 제1 냉간압연 및 제1 냉연소둔하여, 조대 결정립및 상기 조대 결정립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조대 결정립과 고각경계(high-angle boundary)를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미세 결정립으로 구성된 비정상 결정립군을 성장시키는 과정; 및
    상기 비정상 결정립군이 성장된 슬래브를 제2 냉간압연 및 제2 냉연소둔하여 상기 비정상 결정립군을 복수의 정상 결정립으로 분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냉간압연은, 65 ~ 92%의 압하율로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제조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냉연소둔은, 980 ~ 1040℃의 온도에서 1시간 이상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제조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냉연소둔은, 900 ~ 950℃의 온도에서 1시간 미만(0 제외)으로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제조방법.
  5. C: 0.02 wt%이하(0 제외), N: 0.02 wt%이하(0 제외), Si: 1.0wt%이하(0 제외), Cr : 15.5 ~ 20.0 wt%, Nb: 0.1 ~ 0.55 wt%를 함유하고 나머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진 슬래브를 열간압연한 다음, 제1 냉간압연 및 제1 냉연소둔을 실시하여 조대 결정립 및 상기 조대 결정립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조대 결정립과 고각경계(high-angle boundary)를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미세 결정립으로 구성된 비정상 결정립군의 분율이 60% 이상인 냉연소둔강을 제2 냉간압연 및 제2 냉연소둔을 실시하여 상기 비정상 결정립군을 제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라이트 스테인리스강.
  6. 청구항 5에 있어서,
    하기의 식 (1)로 정의되는 평균 r값이 1.6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평균 r값 = {r(0°)+2×r(45°)+r(90°)}/4 -------------- (1)
    이때, r(x°)에서 x는 압연방향 대비 측정방향을 의미함.
KR1020140185970A 2014-12-22 2014-12-22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제조방법 KR1016502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5970A KR101650256B1 (ko) 2014-12-22 2014-12-22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5970A KR101650256B1 (ko) 2014-12-22 2014-12-22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7280A true KR20160077280A (ko) 2016-07-04
KR101650256B1 KR101650256B1 (ko) 2016-08-23

Family

ID=56500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5970A KR101650256B1 (ko) 2014-12-22 2014-12-22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025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0789A (ko) * 2019-11-19 2021-05-27 주식회사 포스코 고투자율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6183A (ko) * 1999-12-09 2001-09-10 이구택 성형성 및 리찡 저항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스테인레스강의 제조방법
KR20140017694A (ko) 2014-01-22 2014-02-11 주식회사 포스코 내리징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방법
KR20140080351A (ko) * 2012-12-20 2014-06-30 주식회사 포스코 내리징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 방법
KR20140120768A (ko) * 2013-04-04 2014-10-14 주식회사 포스코 성형성이 향상된 저크롬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6183A (ko) * 1999-12-09 2001-09-10 이구택 성형성 및 리찡 저항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스테인레스강의 제조방법
KR20140080351A (ko) * 2012-12-20 2014-06-30 주식회사 포스코 내리징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 방법
KR20140120768A (ko) * 2013-04-04 2014-10-14 주식회사 포스코 성형성이 향상된 저크롬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방법
KR20140017694A (ko) 2014-01-22 2014-02-11 주식회사 포스코 내리징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0789A (ko) * 2019-11-19 2021-05-27 주식회사 포스코 고투자율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WO2021101007A1 (ko) * 2019-11-19 2021-05-27 주식회사 포스코 고투자율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JP2023503079A (ja) * 2019-11-19 2023-01-26 ポスコホールディングス インコーポレーティッド 高透磁率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0256B1 (ko) 2016-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35919B9 (en) Grain-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US10907231B2 (en) Grain-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KR20140080348A (ko) 내리징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 방법
KR101485639B1 (ko) 내리징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 방법
WO2016060248A1 (ja) 絞り缶用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650256B1 (ko)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제조방법
KR20180027689A (ko) 성형성 및 리징 특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제조 방법
KR20180068089A (ko) 리징성 및 표면품질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방법
KR101695758B1 (ko) 가공성이 향상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403849B1 (ko) 생산성 및 원가 절감 효과가 우수한 고강도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21832B1 (ko) 내리징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제조 방법
JP5534112B2 (ja) 冷間圧延の素材用の熱延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20066476A (ko) 내리징성이 우수한 ti 첨가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방법
KR20140080353A (ko) 내리징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 방법
KR101569589B1 (ko) 내리징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방법
KR101207085B1 (ko) 표면품질이 우수한 스테인리스 냉연강판의 제조방법
KR101569590B1 (ko) 성형성 및 내리징성이 향상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방법
KR101485662B1 (ko) 성형성이 향상된 저크롬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방법
KR101485640B1 (ko) 내리징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 방법
KR101543854B1 (ko) 성형성이 우수한 법랑용 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0832693B1 (ko) 표면 연마에 의하여 내식성을 향상시킨 페라이트계스테인리스강 제조방법
KR101082158B1 (ko)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제조방법
KR101641792B1 (ko) 표면 광택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79967A (ko) 표면품질 및 내리징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KR101630964B1 (ko) 법랑 밀착성 및 내피쉬스케일성이 우수한 법랑용 냉연강판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