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6778A - 흡착형 조명 장치 - Google Patents

흡착형 조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6778A
KR20160076778A KR1020140187266A KR20140187266A KR20160076778A KR 20160076778 A KR20160076778 A KR 20160076778A KR 1020140187266 A KR1020140187266 A KR 1020140187266A KR 20140187266 A KR20140187266 A KR 20140187266A KR 20160076778 A KR20160076778 A KR 201600767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ource
light
adsorption
source unit
upper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72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82629B1 (ko
Inventor
문명지
신은성
허용구
조동희
오수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루멘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루멘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루멘스
Priority to KR10201401872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2629B1/ko
Publication of KR201600767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67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26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26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8Devices for easy attachment to any desired place, e.g. clip, clamp, magnet
    • F21V21/092Suction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8Devices for easy attachment to any desired place, e.g. clip, clamp, magn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62/00Illumination
    • Y10S362/806Ornamental or decorative
    • Y10S362/81Imitation cand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리창 등의 흡착 대상물에 흡착시켜서 사용할 수 있는 흡착형 조명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일면에 발광면이 형성되는 광원부; 및 상기 광원부를 흡착 대상물에 흡착시킬 수 있도록 일면에 흡착판이 형성되고, 타면에 상기 광원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광원부 수용부가 형성되는 흡착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광원부의 상기 발광면을 통해 발산된 빛이 상기 흡착 부재를 통과하여 상기 흡착 대상물 방향으로 조사될 수 있도록 상기 흡착 부재의 적어도 일부분은 투광성 재질이고, 상기 광원부의 상기 발광면을 통해 발산된 빛이 상기 흡착 대상물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도 조사될 수 있도록 상기 광원부의 상기 일면의 적어도 일부분과 타면의 적어도 일부분은 서로 대칭 형상일 수 있다.

Description

흡착형 조명 장치{Adsorption type lighting device}
본 발명은 흡착형 조명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리창 등의 흡착 대상물에 흡착시켜서 사용할 수 있는 흡착형 조명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는 화합물 반도체(compound semiconductor)의 PN 다이오드 형성을 통해 발광원을 구성함으로써, 다양한 색의 광을 구현할 수 있는 일종의 반도체 소자를 말한다. 이러한 발광 소자는 수명이 길고, 소형화 및 경량화가 가능하며, 저전압 구동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LED는 충격 및 진동에 강하고, 예열시간과 복잡한 구동이 불필요하며, 다양한 형태로 기판이나 리드프레임에 실장한 후, 패키징할 수 있어서 여러 가지 용도로 모듈화하여 백라이트 유닛(backlight unit)이나 각종 조명 장치 등에 적용할 수 있다.
이러한 발광 소자로 이루어진 조명 장치는, 그 크기와 무게를 줄일 수 있고, 충분한 광량을 적은 전력으로도 확보할 수 있어서 다양한 용도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종래의 발광 소자를 이용한 흡착형 조명 장치는, 흡착판에 발광 소자를 설치한 것으로서, 유리창이나, 벽면에 흡착시켜서 주위로 빛을 조사할 수 있는 장치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흡착형 조명 장치는, 발광 소자와 흡착판이 일체형이고, 이로 인하여 빛이 조사될 수 있는 방향이 이미 결정된 것으로서, 다양한 방향으로 빛을 조사할 수 없었던 제약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흡착형 조명 장치는, 발광 소자의 직광을 그대로 이용한 것으로서, 다양한 모양, 즉 하트, 눈의 결정, 별 등 다양한 모양을 표현할 수 없었고, 다양한 부가 기능을 수행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포함하여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광원부와 흡착 부재를 분리형으로 제작하여 사용 환경에 맞추어 다양한 방향 및 형태로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어서 제품의 편의성 및 부품의 교체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교체가 가능한 다양한 모양의 도광판을 이용하여 하트 모양, 눈의 결정 모양, 별 모양 등 다양한 형태의 조명이 가능하며, 신뢰도가 높은 소재를 사용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미관이 수려하며, 진공 흡착의 실패시 각종 경고가 가능하고, 자력을 이용하는 등 다양한 기능으로 제품을 고급화하여 부가 가치를 창출할 수 있게 하는 흡착형 조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흡착형 조명 장치는, 일면에 발광면이 형성되는 광원부; 및 상기 광원부를 흡착 대상물에 흡착시킬 수 있도록 일면에 흡착판이 형성되고, 타면에 상기 광원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광원부 수용부가 형성되는 흡착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광원부의 상기 발광면을 통해 발산된 빛이 상기 흡착 부재를 통과하여 상기 흡착 대상물 방향으로 조사될 수 있도록 상기 흡착 부재의 적어도 일부분은 투광성 재질이고, 상기 광원부의 상기 발광면을 통해 발산된 빛이 상기 흡착 대상물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도 조사될 수 있도록 상기 광원부의 상기 일면의 적어도 일부분과 타면의 적어도 일부분은 서로 대칭 형상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상기 광원부는, 전체적으로 돔 형상이고, 투광성 재질인 상부 케이스; 상기 상부 케이스와 적어도 일부가 대칭을 이루는 돔 형상이고, 상기 상부 케이스와 조립되며, 상기 상부 케이스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불투광성 재질인 하부 케이스; 상기 상부 케이스와 상기 하부 케이스 사이의 수용 공간에 설치되는 기판; 상기 기판의 상면에 설치되는 발광 소자 또는 발광 소자 패키지; 상기 발광 소자 또는 상기 발광 소자 패키지의 광경로에 설치되는 도광판; 및 상기 기판의 하방에 설치되는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상기 도광판은, 서로 교체가 가능하도록 별모양, 눈의 결정 모양, 하트 모양, 원형, 다색 모양, 다각 모양, 문자 모양, 숫자 모양 및 기호 모양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스마트폰용 반응형 무선 리모콘은, 상기 상부 케이스와 상기 하부 케이스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상부 케이스 또는 상기 하부 케이스에 압력이 가해지면 작동되는 접촉식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상기 광원부의 설치 각도가 조정될 수 있도록 상기 흡착 부재는 탄성 재질이고, 상기 흡착 부재가 탄성 변형되면서 상기 상부 케이스 또는 상기 하부 케이스가 부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광원부 수용부의 입구는 적어도 상기 상부 케이스 또는 상기 하부 케이스의 크기 보다 작은 개구가 형성되며, 상기 광원부 수용부는 적어도 상기 상부 케이스 또는 상기 하부 케이스 보다 큰 여유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흡착 부재는 오목한 돔형 표면을 갖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상기 흡착판은 제 1 흡착판 및 제 2 흡착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흡착판의 흡착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제 1 센서; 상기 제 2 흡착판의 흡착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제 2 센서; 및 상기 제 1 센서 또는 상기 제 2 센서의 흡착 상태 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광원부에 비상 점멸 신호를 인가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상기 광원부는 적어도 일부가 제 1 자성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흡착 부재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1 자성체와 인력이 작용하는 제 2 자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상기 광원부는 충전용 배터리가 설치되고, 소리를 출력할 수 있는 스피커가 설치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용 환경에 맞추어 다양한 방향 및 형태로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어서 제품의 편의성 및 부품의 교체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직접 조명은 물론 다양한 모양의 반간접 조명이 가능하며, 제품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미관이 수려하며, 진공 흡착의 실패시 각종 경고가 가능하고, 자력을 이용하는 등 다양한 기능으로 제품을 고급화하여 부가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물론 이러한 효과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흡착형 조명 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부품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흡착형 조명 장치의 부품 조립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흡착형 조명 장치의 광원부를 나타내는 부품 분해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1의 흡착형 조명 장치의 광원부의 여러 일례에 따른 도광판을 나타내는 사시도들이다.
도 6 및 도 7은 도 1의 흡착형 조명 장치가 흡착 대상물에 흡착된 다양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들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부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흡착형 조명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부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흡착형 조명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부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흡착형 조명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들은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도면에서 각 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된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막, 영역 또는 기판과 같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연결되어", "적층되어" 또는 "커플링되어" 위치한다고 언급할 때는, 상기 하나의 구성요소가 직접적으로 다른 구성요소 "상에", "연결되어", "적층되어" 또는 "커플링되어" 접촉하거나, 그 사이에 개재되는 또 다른 구성요소들이 존재할 수 있다고 해석될 수 있다. 반면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직접적으로 상에", "직접 연결되어", 또는 "직접 커플링되어" 위치한다고 언급할 때는, 그 사이에 개재되는 다른 구성요소들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해석된다.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은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 1, 제 2 등의 용어가 다양한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분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지만, 이들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분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됨은 자명하다. 이들 용어는 하나의 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을 다른 영역, 층 또는 부분과 구별하기 위하여만 사용된다. 따라서, 이하 상술할 제 1 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은 본 발명의 가르침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도 제 2 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을 지칭할 수 있다.
또한, "상의" 또는 "위의" 및 "하의" 또는 "아래의"와 같은 상대적인 용어들은 도면들에서 도해되는 것처럼 다른 요소들에 대한 어떤 요소들의 관계를 기술하기 위해 여기에서 사용될 수 있다. 상대적 용어들은 도면들에서 묘사되는 방향에 추가하여 소자의 다른 방향들을 포함하는 것을 의도한다고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면들에서 소자가 뒤집어 진다면, 다른 요소들의 상부의 면 상에 존재하는 것으로 묘사되는 요소들은 상기 다른 요소들의 하부의 면 상에 방향을 가지게 된다. 그러므로, 예로써 든 "상의"라는 용어는, 도면의 특정한 방향에 의존하여 "하의" 및 "상의" 방향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소자가 다른 방향으로 향한다면(다른 방향에 대하여 90도 회전),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상대적인 설명들은 이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면들에 있어서, 예를 들면, 제조 기술 및/또는 공차(tolerance)에 따라, 도시된 형상의 변형들이 예상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의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 도시된 영역의 특정 형상에 제한된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예를 들면 제조상 초래되는 형상의 변화를 포함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흡착형 조명 장치(100)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부품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도 1의 흡착형 조명 장치(100)의 부품 조립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흡착형 조명 장치(100)의 광원부(10)를 나타내는 부품 분해 사시도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흡착형 조명 장치(100)는, 크게 광원부(10) 및 흡착 부재(20)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광원부(10)는, 일면에 발광면(F)이 형성되는 발광 구조체로서, LED 발광 소자를 이용하여 빛을 발생시킬 수 있는 발광 장치의 일종일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광원부(10)는, 전체적으로 돔 형상이고, 투광성 재질인 상부 케이스(11)와, 상기 상부 케이스(11)와 적어도 일부가 대칭을 이루는 돔 형상이고, 상기 상부 케이스(11)와 조립되며, 상기 상부 케이스(11)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불투광성 재질인 하부 케이스(12)와, 상기 상부 케이스(11)와 상기 하부 케이스(12) 사이의 수용 공간에 설치되는 기판(13)과, 상기 기판(13)의 상면에 설치되는 발광 소자 또는 발광 소자 패키지(14)와, 상기 발광 소자 또는 상기 발광 소자 패키지(14)의 광경로에 설치되는 도광판(15) 및 상기 기판(13)의 하방에 설치되는 배터리(16)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부 케이스(11)와 상기 하부 케이스(12)는 트위스트 캡 방식 또는 나사 조립 방식으로 서로 조립되거나, 또는 나사, 볼트, 너트, 리벳, 암수 결합 구조, 자석, 벨크로우테잎, 스냅 버튼, 고정끈 등을 이용하여 서로 착탈이 가능하게 조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케이스(11)와 상기 하부 케이스(12)는 서로 조립되어 그 내부에 상기 기판(13)과, 상기 발광 소자 또는 발광 소자 패키지(14)와, 상기 도광판(15)과, 상기 배터리(16) 및 후술될 제어부(30) 등 각종 전자 부품들을 수용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상부 케이스(11)와 상기 하부 케이스(12)를 분해하여 상기 배터리(16)나 기타 부품들을 교체할 수 있다.
한편, 예컨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흡착 부재(20)는, 상기 광원부(10)를 흡착 대상물(1)에 흡착시킬 수 있도록 일면에 흡착판(21)이 형성되고, 타면에 상기 광원부(10)를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광원부(10)와 대응되는 형상의 광원부 수용부(22)가 형성되는 부재일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후술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광원부(10)의 상기 발광면(F)을 통해 발산된 빛이 상기 흡착 부재(20)를 통과하여 상기 흡착 대상물(1) 방향으로 조사될 수 있도록 상기 흡착 부재(20)의 적어도 일부분은 투광성 재질일 수 있다.
또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광원부(10)의 상기 발광면(F)을 통해 발산된 빛이 상기 흡착 대상물(1)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도 조사될 수 있도록 상기 광원부(10)의 상기 일면(10a)의 적어도 일부분과 타면(10b)의 적어도 일부분은 마치 바둑알이나 타원형 구체 형태로 서로 대칭 형상일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광원부(10)의 설치 각도가 조정될 수 있도록 상기 흡착 부재(20)는 탄성 재질이고, 상기 흡착 부재(20)가 탄성 변형되면서 상기 상부 케이스(11) 또는 상기 하부 케이스(12)가 부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광원부 수용부(22)의 입구는 적어도 상기 상부 케이스(11) 또는 상기 하부 케이스(12)의 크기(L2) 보다 작은 크기(L1)의 개구(H)가 형성되며, 상기 광원부 수용부(22)는 적어도 상기 상부 케이스(11) 또는 상기 하부 케이스(12) 보다 큰 여유 공간(A)을 형성하도록 상기 흡착 부재(20)는 오목한 돔형 표면을 갖는 것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상기 광원부(10) 및 상기 흡착 부재(2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형상이나 상술된 재질 등에 반드시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상이나 재질로 변형되어 적용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도 1의 흡착형 조명 장치(100)가 흡착 대상물(1)에 흡착된 다양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들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흡착형 조명 장치(100)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면, 먼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리창과 같은 상기 흡착 대상물(1)의 표면에 상기 흡착 부재(20)를 흡착시키고, 상기 광원부(10)의 상기 발광면(F)이 상기 흡착 부재(20)의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광원부(10)를 상기 흡착 부재(20)의 상기 광원부 수용부(22)에 수용하여 조립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흡착 대상물(1)의 내측 방향에 조명광을 조사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흡착 부재(20)는 탄성 재질이므로 상기 개구(H)의 크기(L1)를 확장시켜서 상기 광원부(10)를 상기 광원부 수용부(22)에 삽입시켜서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착 부재(20)를 기준으로 상기 광원부(10)의 각도를 강제로 미세하게 조정하여 상기 흡착 대상물(1)의 내측 방향에 위치하는 원하는 장소에 조명광을 조사할 수 있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리창과 같은 상기 흡착 대상물(1)의 표면에 상기 흡착 부재(20)를 흡착시키고, 상기 광원부(10)의 상기 발광면(F)이 상기 흡착 부재(20)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광원부(10)를 상기 흡착 부재(20)의 상기 광원부 수용부(22)에 수용하여 조립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흡착 부재(20)는 투명 재질이므로 상기 발광면(F)에서 발생된 빛이 상기 흡착 부재(20)를 통과하여 상기 흡착 대상물(1)의 외측 방향에 조명광을 조사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흡착 부재(20)는 탄성 재질이므로 상기 개구(H)의 크기(L1)를 확장시켜서 상기 광원부(10)를 상기 광원부 수용부(22)에 삽입시켜서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착 부재(20)를 기준으로 상기 광원부(10)의 각도를 강제로 미세하게 조정하여 상기 흡착 대상물(1)의 외측 방향에 위치하는 원하는 장소에 조명광을 조사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도 1의 흡착형 조명 장치(100)의 광원부(10)의 여러 일례에 따른 도광판(15)을 나타내는 사시도들이다.
한편, 예컨대, 상기 도광판(15)은, 서로 교체가 가능하도록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트 모양(15-1)이거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눈의 결정 모양(15-2)이거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 모양(15-3)일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도광판(15)의 형상은 도면에 반드시 국한되지 않고, 원형, 다색 모양, 다각 모양, 문자 모양, 숫자 모양, 기호 모양 등 다양한 모양 및 다양한 색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광원부(10)의 상기 도광판(15)을 원하는 형상으로 교체하여 예컨대, 크리스마스나 기념일이나 사용자의 기분 등에 따라 간접적인 조명으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부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흡착형 조명 장치(200)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부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흡착형 조명 장치(200)는, 상기 상부 케이스(11)와 상기 하부 케이스(12)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상부 케이스(11) 또는 상기 하부 케이스(12)에 압력이 가해지면 작동되는 접촉식 스위치(SW)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상부 케이스(11) 또는 상기 하부 케이스(12)를 손으로 터치하는 동작만으로도 상기 광원부(10)를 온오프시키거나 디밍을 하거나 깜박거리게 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부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흡착형 조명 장치(300)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부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흡착형 조명 장치(300)의 흡착판(21)은 제 1 흡착판(21-1) 및 제 2 흡착판(21-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부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흡착형 조명 장치(300)는 상기 제 1 흡착판(21-1)의 흡착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제 1 센서(S1)와, 상기 제 2 흡착판(21-2)의 흡착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제 2 센서(S2) 및 상기 제 1 센서(S1) 또는 상기 제 2 센서(S2)의 흡착 상태 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광원부(10)에 비상 점멸 신호를 인가하는 제어부(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센서(S1) 및 상기 제 2 센서(S2)는, 상기 제 1 흡착판(21-1) 및 상기 제 2 흡착판(21-2)의 내부 압력에 따라 다이아프램이 전진 또는 후진하면서 전력이 인가되거나 단속되는 압력 측정식 스위치이거나, 상기 제 1 흡착판(21-1) 및 상기 제 2 흡착판(21-2)이 상기 흡착 대상물(1)로부터 멀어지면 전력이 인가되거나 단속되는 접촉식 스위치이거나, 기타 각종 압력 센서나 변형 센서일 수 있다.
따라서, 예컨대, 상기 제 1 흡착판(21-1)과 상기 제 2 흡착판(21-2) 중 어느 하나의 흡착 상태가 불량하면 상기 제 1 센서(S1) 또는 상기 제 2 센서(S2)로부터 흡착 상태 신호를 인가받은 상기 제어부(30)가 상기 광원부(10)에 비상 점멸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흡착 부재(20)의 흡착 상태가 불량하면 상기 흡착 부재(20)가 낙하되기 이전에 사용자가 이를 인식할 수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흡착 부재(20)를 재흡착시키는 등의 조치를 취할 수 있게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부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흡착형 조명 장치(400)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부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흡착형 조명 장치(400)의 광원부(10)는 적어도 일부가 제 1 자성체(M1)로 이루어지고, 상기 흡착 부재(2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1 자성체(M1)와 인력이 작용하는 제 2 자성체(M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자성체(M1) 및 상기 제 2 자성체(M2)는 영구 자석, 전자석 또는 자석과 자력을 형성할 수 있는 철 등의 자성체일 수 있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부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흡착형 조명 장치(400)의 광원부(10)는 충전 단자를 이용하여 전력을 충전할 수 있는 충전용 배터리(B)가 설치될 수 있고, 이외에도 각종 음악, 음성, 효과음이나 경고음 등의 소리를 출력할 수 있는 스피커(SP)가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광원부(10)를 간단하게 충전하여 사용할 수 있고, 다양한 음악이나 음성이나 효과음이나 경고음을 재생하여 다양한 조명과 함께 다양한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흡착 대상물
10: 광원부
F: 발광면
10a: 일면
10b: 타면
11: 상부 케이스
12: 하부 케이스
13: 기판
14: 발광 소자 패키지
15: 도광판
16: 배터리
15-1: 하트 모양
15-2: 별 모양
15-3: 눈의 결정 모양
SW: 접촉식 스위치
H: 개구
A: 여유 공간
20: 흡착 부재
21: 흡착판
21-1: 제 1 흡착판
21-2: 제 2 흡착판
22: 광원부 수용부
S1: 제 1 센서
S2: 제 2 센서
30: 제어부
M1: 제 1 자성체
M2: 제 2 자성체
B: 충전용 배터리
SP: 스피커
100, 200, 300, 400: 흡착형 조명 장치

Claims (8)

  1. 일면에 발광면이 형성되는 광원부; 및
    상기 광원부를 흡착 대상물에 흡착시킬 수 있도록 일면에 흡착판이 형성되고, 타면에 상기 광원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광원부 수용부가 형성되는 흡착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광원부의 상기 발광면을 통해 발산된 빛이 상기 흡착 부재를 통과하여 상기 흡착 대상물 방향으로 조사될 수 있도록 상기 흡착 부재의 적어도 일부분은 투광성 재질이고,
    상기 광원부의 상기 발광면을 통해 발산된 빛이 상기 흡착 대상물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도 조사될 수 있도록 상기 광원부의 상기 일면의 적어도 일부분과 타면의 적어도 일부분은 서로 대칭 형상인, 흡착형 조명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는,
    전체적으로 돔 형상이고, 투광성 재질인 상부 케이스;
    상기 상부 케이스와 적어도 일부가 대칭을 이루는 돔 형상이고, 상기 상부 케이스와 조립되며, 상기 상부 케이스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불투광성 재질인 하부 케이스;
    상기 상부 케이스와 상기 하부 케이스 사이의 수용 공간에 설치되는 기판;
    상기 기판의 상면에 설치되는 발광 소자 또는 발광 소자 패키지;
    상기 발광 소자 또는 상기 발광 소자 패키지의 광경로에 설치되는 도광판; 및
    상기 기판의 하방에 설치되는 배터리;
    를 포함하는, 흡착형 조명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은, 서로 교체가 가능하도록 별모양, 눈의 결정 모양, 하트 모양, 원형, 다색 모양, 다각 모양, 문자 모양, 숫자 모양 및 기호 모양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이루어지는 것인, 흡착형 조명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스와 상기 하부 케이스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상부 케이스 또는 상기 하부 케이스에 압력이 가해지면 작동되는 접촉식 스위치;
    를 더 포함하는, 흡착형 조명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의 설치 각도가 조정될 수 있도록 상기 흡착 부재는 탄성 재질이고, 상기 흡착 부재가 탄성 변형되면서 상기 상부 케이스 또는 상기 하부 케이스가 부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광원부 수용부의 입구는 적어도 상기 상부 케이스 또는 상기 하부 케이스의 크기 보다 작은 개구가 형성되며, 상기 광원부 수용부는 적어도 상기 상부 케이스 또는 상기 하부 케이스 보다 큰 여유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흡착 부재는 오목한 돔형 표면을 갖는 것인, 흡착형 조명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판은 제 1 흡착판 및 제 2 흡착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흡착판의 흡착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제 1 센서;
    상기 제 2 흡착판의 흡착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제 2 센서; 및
    상기 제 1 센서 또는 상기 제 2 센서의 흡착 상태 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광원부에 비상 점멸 신호를 인가하는 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흡착형 조명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는 적어도 일부가 제 1 자성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흡착 부재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1 자성체와 인력이 작용하는 제 2 자성체를 포함하는, 흡착형 조명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는 충전용 배터리가 설치되고, 소리를 출력할 수 있는 스피커가 설치되는 것인, 흡착형 조명 장치.
KR1020140187266A 2014-12-23 2014-12-23 흡착형 조명 장치 KR1016826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7266A KR101682629B1 (ko) 2014-12-23 2014-12-23 흡착형 조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7266A KR101682629B1 (ko) 2014-12-23 2014-12-23 흡착형 조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6778A true KR20160076778A (ko) 2016-07-01
KR101682629B1 KR101682629B1 (ko) 2016-12-05

Family

ID=565004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7266A KR101682629B1 (ko) 2014-12-23 2014-12-23 흡착형 조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262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7140A (ko) * 2020-06-19 2021-12-28 진무성 Uv led를 이용한 다중 살균 조명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1661A (ko) * 2000-03-17 2001-10-23 신석균 다목적 간이 무드등
US20110063825A1 (en) * 2009-09-17 2011-03-17 Chi-Wen Cheng Cupulate light
JP2012518265A (ja) * 2009-02-18 2012-08-09 ジエー ヨン ホー 吸着板が取り付けられたled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1661A (ko) * 2000-03-17 2001-10-23 신석균 다목적 간이 무드등
JP2012518265A (ja) * 2009-02-18 2012-08-09 ジエー ヨン ホー 吸着板が取り付けられたled
US20110063825A1 (en) * 2009-09-17 2011-03-17 Chi-Wen Cheng Cupulate ligh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7140A (ko) * 2020-06-19 2021-12-28 진무성 Uv led를 이용한 다중 살균 조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2629B1 (ko) 2016-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51489B1 (en) Electric lighting devices that simulate a flickering flame
JP5221960B2 (ja) 照明システム
USD688399S1 (en) Vehicle LED lighting fixture
USD675758S1 (en) Vehicle LED lighting fixture
USD676162S1 (en) Vehicle LED lighting fixture
US20170370541A1 (en) Imitation flame lamp head and flickering imitation flame lamp
US10401002B2 (en) LED lamp and LED light source module thereof
US8944629B2 (en) Power generating device
JP6975565B2 (ja) 自動車の照明手段用の支持体
KR101682629B1 (ko) 흡착형 조명 장치
WO2011049373A3 (ko) 발광소자 패키지 및 이를 구비한 조명 시스템
KR101875570B1 (ko) 원형 센서등
JP3968403B2 (ja) スピーカ用振動板およびこの振動板を利用した光拡散型のスピーカ
US6035447A (en) Halloween mask with flash device
JP4966833B2 (ja) 照明器具
JP2004007308A (ja) スピーカ
KR20170136217A (ko) 주/야간 모드 조절버튼을 가지는 원형 센서등
WO2020103362A1 (zh) 可替换点灯图案的照明装置及汽车
KR101883267B1 (ko) 원형 센서등의 엘이디모듈
CN110454730B (zh) 一种磁吸oled灯
JP3179912U (ja) 照明装置
CN217816512U (zh) 一种用于氛围装饰的投影装置
JP3236247U (ja) 懐中電灯
JP3207298U (ja) 照明装置および照明具
JP2017059495A (ja) 照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