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6752A - 유아 겸용 변기시트 - Google Patents

유아 겸용 변기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6752A
KR20160076752A KR1020140187190A KR20140187190A KR20160076752A KR 20160076752 A KR20160076752 A KR 20160076752A KR 1020140187190 A KR1020140187190 A KR 1020140187190A KR 20140187190 A KR20140187190 A KR 20140187190A KR 20160076752 A KR20160076752 A KR 201600767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small
toilet
cover
gene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71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갑수
김영주
Original Assignee
한갑수
김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갑수, 김영주 filed Critical 한갑수
Priority to KR10201401871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76752A/ko
Publication of KR201600767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67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005Auxiliary or portable se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02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of plastic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04Buffers for se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06Auxiliary or portable seats for childre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12Hing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24Parts or details not covered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A47K13/02 - A47K13/22, e.g. devices imparting a swinging or vibrating motion to the seats
    • A47K13/26Mounting devices for seats or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24Parts or details not covered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A47K13/02 - A47K13/22, e.g. devices imparting a swinging or vibrating motion to the seats
    • A47K13/28Adjustably-mounted seats or cov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oilet Supp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른이 사용하는 일반좌판의 위쪽으로 유아들이 사용할 수 있는 소형좌판을 설치하되, 상기 소형좌판을 사용하지 않을 때 변기커버에 달라붙어서 일반좌판의 사용에 불편을 주지 않도록 하였으며, 소형좌판이 일반좌판에 포개진 상태에서 체중이 실리 않을 때 약간 떨어지게 함으로써, 일반좌판에 포개진 소형좌판을 들어올릴 때 편리하고 또한 상기 소형좌판을 변기커버에서 완전 분리할 수 있는 유아 겸용 변기시트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일반좌판의 후방 양단으로 좌판힌지부가 구비되고, 변기커버의 후방 양단에는 상기 좌판힌지부와 대응되는 커버힌지부가 구비되며, 변기에는 상기 좌판힌지부 및 커버힌지부가 끼워지는 힌지핀을 갖는 한쌍의 브래킷이 고정되고, 상기 각 브래킷에는 상기 힌지핀과 나란하게 고리핀이 구비되며, 상기 일반좌판에 놓이는 소형좌판의 후방 양단에는 상기 고리핀에 끼워지는 고리를 갖는 유아 겸용 변기시트에 있어서, 상기 소형좌판의 각 고리에는 상기 고리핀에서 벗겨지는 개방부가 구비되고; 상기 변기커버에는 상기 소형좌판의 안쪽 테두리가 끼워져 걸리는 걸림편이 구비되어 상기 소형좌판이 상기 변기커버와 함께 변기에서 여닫히도록 한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유아 겸용 변기시트{Combination infant toilet seat}
본 발명은 유아 겸용 변기시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어른이 사용하는 일반좌판의 위쪽으로 유아들이 사용할 수 있는 소형좌판을 설치하되, 상기 소형좌판을 사용하지 않을 때 변기커버에 달라붙어서 일반좌판의 사용에 불편을 주지 않도록 하였으며, 소형좌판이 일반좌판에 포개진 상태에서 체중이 실리 않을 때 약간 떨어지게 함으로써, 일반좌판에 포개진 소형좌판을 들어올릴 때 편리하고 또한 상기 소형좌판을 변기커버에서 완전 분리할 수 있는 유아 겸용 변기시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좌변기(坐便器)는 걸터앉아서 대소변을 보게 된 수세식 서양 변기를 일컫는 것으로 '양변기'라고도 한다. 이러한 좌변기는 주로 어린이나 어른을 위한 것으로 그 크기가 규격화되어 있다. 따라서 유아가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시트의 크기가 커서 사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유아가 사용할 경우 좌판 내측의 구멍으로 엉덩이가 빠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감안하여 최근에는 기존 변기 좌판의 구멍에 끼워지는 플라스틱 고정부재에 스펀지의 비닐커버가 씌워진 쿠션부재를 고정한 보조 좌판이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보조 좌판의 경우 고정부재와 쿠션부재를 별도로 제작 후 결합하므로 제작성이 떨어지고, 제조비용도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쿠션부재의 경우 스펀지에 비닐커버를 씌운 구성이므로 충격 등에 쉽게 찢어질 염려가 있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 실용등록 제339496호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일반좌판의 안쪽으로 소형좌판을 설치하여 유아들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는 소형좌판의 고리가 일반좌판과 함께 하나의 힌지핀에 끼워져서 회동가능하게 변기에 놓이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소형좌판의 고리를 힌지핀에서 분리하여 따로 보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하나의 힌지핀에 일반좌판의 힌지부와 소형좌판의 고리가 함께 끼워지기 때문에 조립공차로 인하여 소형좌판이 좌우측으로 움직이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변기커버 역시 상기 하나의 힌지핀에 끼워지므로 조립에 어려움이 있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소형좌판을 사용하지 않을 때 위쪽으로 들어서 변기커버와 함께 열어두어야 되는데, 일반좌판과 밀착된 소형좌판을 들어올리기 위한 별도의 손잡이가 일반좌판의 밖으로 돌출되므로 미관상 좋지 않은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개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어른이 사용하는 일반좌판의 위쪽으로 유아들이 사용할 수 있는 소형좌판을 설치하되, 상기 소형좌판을 사용하지 않을 때 변기커버에 달라붙어서 일반좌판의 사용에 불편을 주지 않도록 하였으며, 소형좌판이 일반좌판에 포개진 상태에서 체중이 실리 않을 때 약간 떨어지게 함으로써, 일반좌판에 포개진 소형좌판을 들어올릴 때 편리하고 또한 상기 소형좌판을 변기커버에서 완전 분리할 수 있는 유아 겸용 변기시트를 제공함에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일반좌판의 후방 양단으로 좌판힌지부가 구비되고, 변기커버의 후방 양단에는 상기 좌판힌지부와 대응되는 커버힌지부가 구비되며, 변기에는 상기 좌판힌지부 및 커버힌지부가 끼워지는 힌지핀을 갖는 한쌍의 브래킷이 고정되고, 상기 각 브래킷에는 상기 힌지핀과 나란하게 고리핀이 구비되며, 상기 일반좌판에 놓이는 소형좌판의 후방 양단에는 상기 고리핀에 끼워지는 고리를 갖는 유아 겸용 변기시트에 있어서, 상기 소형좌판의 각 고리에는 상기 고리핀에서 벗겨지는 개방부가 구비되고; 상기 변기커버에는 상기 소형좌판의 안쪽 테두리가 끼워져 걸리는 걸림편이 구비되어 상기 소형좌판이 상기 변기커버와 함께 변기에서 여닫히도록 한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일반좌판의 위쪽으로 소형좌판이 포개진 상태로 놓이기 때문에 유아들이 사용하는데 편리하다. 특히 소형좌판은 변기커버의 안쪽면과 결합된 상태로 구비되어 사용할 때 분리되는 구성이므로 변기커버를 닫은 상태에서 좌변기를 사용하기 위해 변기커버를 열면 소형좌판도 함께 열리므로 일반좌판의 사용에 불편이 없다.
그리고 소형좌판은 일반좌판과 포개진 상태에서 유아의 체중이 실리지 않으면 일반좌판에서 약간 떠있는 상태로 구비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하여 소형좌판의 힌지 연결부에 탄성편을 마련하여 자체 탄성으로 소형좌판이 일반좌판에서 들뜬 상태가 되도록 하였다. 따라서 소형좌판을 다 사용한 뒤 들어올릴 때 별도의 손잡이 없이도 소형좌판의 밑면을 잡아서 올려주면 되므로 별도의 손잡이가 불필요한 등이 이점이 있다.
또한 소형좌판을 사용하지 않을 때 일반좌판과 연결된 힌지부를 분리하면 좌변기에서 제거할 수 있으므로 사용이 편리한 등의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 한 실시예의 변기시트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한 실시예의 변기시트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한 실시예의 변기시트의 변기커버를 연 상태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한 실시예의 변기시트의 소형좌판을 연 상태의 단면도
도 1 내지 도 4에서 본 발명 한 실시예의 변기시트는 변기의 후방에 볼트로 고정되는 한쌍의 브래킷(40)이 구비된다. 이들 브래킷(40)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고리핀(42) 및 힌지핀(41)을 갖는다. 힌지핀(41)은 고리핀(42) 보다 2배 이상 길게 돌출되는데, 직경은 힌지핀(41)이 고리핀(42) 보다 작게 형성된다.
그리고 성인이나 어린이 등이 앉는 일반좌판(10)의 후방에는 상기 각 힌지핀(41)에 끼워지는 좌판힌지부(11)가 한쌍 구비된다. 또한 일반좌판(10)의 상부를 덮는 변기커버(20)에도 후방으로 커버힌지부(21)가 구비되어서 이들 좌판힌지부(11) 및 커버힌지부(21)가 차례로 상기 힌지핀(41)에 끼워진다. 이때 좌판힌지부(11)는 고리핀(42)의 측면에 걸려 끼움 길이가 제한된다.
상기 일반좌판(10)의 상부에 놓이는 소형좌판(30)은 유아들이 앉을 수 있는 크기로 제작되는데, 상기 소형좌판(30)의 후방 양측에는 상기 고리핀(42)에 끼워지는 한쌍의 고리(31)가 구비된다. 상기 각 고리(31)는 상기 소형좌판(30)이 일정각도 들린 상태에서 상기 고리핀(42)에서 벗겨지도록 개방부(32)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변기커버(20)의 안쪽면에는 전방으로 걸림편(22)을 갖는다. 상기 걸림편(22)은 상기 소형좌판(30)의 안쪽 테두리가 끼워져 걸리는 것으로서, 소형좌판(30)이 변기커버(20)와 함께 변기에서 여닫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각 고리(31) 쪽에는 일반좌판(10)의 표면에 놓이는 탄성편(33)이 구비되고, 탄성편(33)과 대응되는 소형좌판(30)의 밑면에는 탄성편(33)이 수용되는 공간부(34)가 구비된다.
이처럼 구성된 본 발명 한 실시예는 소형좌판(30)이 고리(31)에 의해 변기커버(20)에 분해 조립식으로 결합된다. 소형좌판(30)을 일반좌판(10)에 대하여 약 45도 기울기를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고리(31)를 고리핀(42)에 멀어 넣으면 고리(31)가 고리핀(42)에 끼워져 소형좌판(30)을 자유롭게 여닫을 수 있는 상태로 일반좌판(10)과 변기커버(20)의 사이에 소형좌판(30)이 결합된다.
이 상태에서 소형좌판(30)을 변기커버(20)의 안쪽면으로 밀착시키면 변기커버(20)의 걸림편(22)에 소형좌판(30)의 안쪽 테두리가 끼워져 걸린 상태로 변기커버(20)와 소형좌판(30)이 결합된다. 따라서 변기커버(20)를 변기에서 여닫는 동안 소형좌판(30)도 함께 여닫히므로 일반좌판(10)을 사용하는데 불편함이 없다.
또한 소형좌판(30)을 사용하기 위하여 걸림편(22)을 약간 구부려주면 소형좌판(30)이 변기커버(20)에서 분리된다. 이후 소형좌판(30)을 일반좌판(10)의 표면에 올려 놓으면 후방의 탄성편(33)에 의해 소형좌판(30)이 일반좌판(10)에서 약간 들뜬 상태로 놓인다. 이후 유아를 소형좌판(30)에 올려 놓으면 체중에 의해 소형좌판(30)이 일반좌판(10)과 밀착되고 이때 탄성편(33)은 공간부(34)로 들어가면서 휨변형된다.
또한 유아를 들어주면 상기 휨변형된 탄성편(33)이 자체 탄성에 의해 복원되고 이때 소형좌판(30)이 밀착되었던 일반좌판(10)에서 약간 들뜬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발생된 틈새로 손가락을 넣어 소형좌판(30)을 들어올리면 일반좌판(10)에서 쉽게 분리되고, 또한 변기커버(20)로 밀착시키면 걸림편(22)에 소형좌판(30)의 안쪽 테두리가 끼워져 걸리면서 소형좌판(30)이 열린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소형좌판(30)을 들어 올리기 위한 별도의 손잡이 구성이 불필요한 등의 이점이 있다.
그리고 소형좌판(30)을 변기에서 완전 분리시킬 경우 조립할 때의 역순으로 소형좌판(30)을 약 45도 정도 열어준 상태에서 잡아당기면 개방부(32)가 고리핀(42)에서 빠지면서 고리(31)가 분리되어 소형좌판(30)을 따로 보관할 수 있다.
10 : 일반좌판 11 : 좌판힌지부
20 : 변기커버 21 : 커버힌지부
22 : 걸림편 30 : 소형좌판
31 : 고리 32 : 개방부
33 : 탄성편 34 : 공간부
40 : 브래킷 41 : 힌지핀
42 : 고리핀

Claims (2)

  1. 일반좌판의 후방 양단으로 좌판힌지부가 구비되고, 변기커버의 후방 양단에는 상기 좌판힌지부와 대응되는 커버힌지부가 구비되며, 변기에는 상기 좌판힌지부 및 커버힌지부가 끼워지는 힌지핀을 갖는 한쌍의 브래킷이 고정되고, 상기 각 브래킷에는 상기 힌지핀과 나란하게 고리핀이 구비되며, 상기 일반좌판에 놓이는 소형좌판의 후방 양단에는 상기 고리핀에 끼워지는 고리를 갖는 유아 겸용 변기시트에 있어서,
    상기 소형좌판의 각 고리에는 상기 고리핀에서 벗겨지는 개방부가 구비되고;
    상기 변기커버에는 상기 소형좌판의 안쪽 테두리가 끼워져 걸리는 걸림편이 구비되어 상기 소형좌판이 상기 변기커버와 함께 변기에서 여닫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 겸용 변기시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형좌판의 각 고리에는 상기 일반좌판의 표면에 놓이는 탄성편이 구비되고,
    상기 소형좌판의 밑면에는 상기 각 탄성편이 들어가는 공간부가 형성되어서, 상기 소형좌판이 일반좌판에 놓이면 상기 탄성편의 탄성으로 인하여 상기 소형좌판이 일반좌판에서 들뜬 상태가 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 겸용 변기시트.
KR1020140187190A 2014-12-23 2014-12-23 유아 겸용 변기시트 KR2016007675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7190A KR20160076752A (ko) 2014-12-23 2014-12-23 유아 겸용 변기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7190A KR20160076752A (ko) 2014-12-23 2014-12-23 유아 겸용 변기시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6752A true KR20160076752A (ko) 2016-07-01

Family

ID=565003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7190A KR20160076752A (ko) 2014-12-23 2014-12-23 유아 겸용 변기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7675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84418A1 (ko) * 2016-11-02 2018-05-11 임준호 화장실 겸용 접이식 의자
KR200487545Y1 (ko) * 2017-08-22 2018-11-21 정원모 유아 겸용 좌변기시트
CN109381095A (zh) * 2017-08-04 2019-02-26 南宁市黑晶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坐垫可调的坐蹲马桶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84418A1 (ko) * 2016-11-02 2018-05-11 임준호 화장실 겸용 접이식 의자
CN109381095A (zh) * 2017-08-04 2019-02-26 南宁市黑晶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坐垫可调的坐蹲马桶
KR200487545Y1 (ko) * 2017-08-22 2018-11-21 정원모 유아 겸용 좌변기시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76752A (ko) 유아 겸용 변기시트
MX2013004836A (es) Ensamble de asiento de excusado combinado para adultos y niños.
US9936843B2 (en) Combination footstool and child potty
KR102018627B1 (ko) 영유아용 변기
JP6765182B2 (ja) 椅子の肘掛け、椅子
KR102010662B1 (ko)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다용도 간이의자
KR200487545Y1 (ko) 유아 겸용 좌변기시트
US20140259338A1 (en) Child's Potty Ring
KR101476701B1 (ko) 유아용 보조변기
KR200487228Y1 (ko) 유아 겸용 양변기 커버
TW201434426A (zh) 嬰幼兒用便器(一)
KR101257187B1 (ko) 좌변기와 소변기로의 사용이 가능한 변기의자
JP6923847B2 (ja) ライニングユニット
TWI606805B (zh) Auxiliary toilet seats for infants and infant toilets (1)
JP2008212217A (ja) トイレ
KR101930629B1 (ko) 휴대 가능한 유아용 좌변대
US20150101118A1 (en) Combination infant bathtub and seat
KR102083102B1 (ko) 유아용 변기시트
KR101574477B1 (ko) 노약자용 좌변기의 안전손잡이가 장착된 변기시트
JP3219386U (ja) 幼児用補助便座構造
KR101631196B1 (ko) 일반 의자 또는 좌식 의자로 용도 변경이 가능한 의자
JP4516300B2 (ja) ポータブルトイレ
KR200273928Y1 (ko) 유아 및 아동용 좌변기
JP6529155B2 (ja) 椅子用荷重支持部材および椅子
KR20170060441A (ko) 등받이부의 허리 서포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