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6697A - 바퀴 제동 장치 - Google Patents

바퀴 제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6697A
KR20160076697A KR1020140187062A KR20140187062A KR20160076697A KR 20160076697 A KR20160076697 A KR 20160076697A KR 1020140187062 A KR1020140187062 A KR 1020140187062A KR 20140187062 A KR20140187062 A KR 20140187062A KR 20160076697 A KR20160076697 A KR 201600766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ing
frame
moving means
wheel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70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철희
Original Assignee
박철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철희 filed Critical 박철희
Priority to KR10201401870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76697A/ko
Publication of KR201600766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66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3/00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3/00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 B60B33/0002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assembling to the object, e.g. furni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3/00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 B60B33/0002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assembling to the object, e.g. furniture
    • B60B33/0005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assembling to the object, e.g. furniture characterised by mounting meth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3/00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 B60B33/02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with disengageable swivel action, i.e. comprising a swivel locking mechanis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듀얼 스프링 구조에 의해 작동하고 스프링의 탄성이 조절될 수 있는 제동 부재를 적용함으로써, 제동시 완충 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고, 사용자의 체중에 따른 적절한 제동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는 바퀴 제동 장치가 소개된다. 이러한 바퀴 제동 장치는 이동 수단의 바퀴의 축을 지지하고, 이동 수단의 프레임에 대해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하부 브라켓과, 상기 이동 수단의 프레임에 대해 상하 이동 가능하고 일정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하부 브라켓의 상측에 스프링을 매개로 지지되는 상부 브라켓과, 상기 이동 수단의 프레임의 하단에 형성되는 홈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이동 수단의 프레임에 스프링을 매개로 지지되는 제동 로드와, 상기 제동 로드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 수단의 바퀴에 접촉될 때 제동력을 가하는 제동 부재와, 상기 이동 수단의 프레임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하부 브라켓 및 상기 제동 로드의 하방향 이동 거리와 상기 제동 부재의 상방향 이동 거리를 제한하는 지지 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바퀴 제동 장치{WHEEL BRAKING DEVICE}
본 발명은 바퀴 제동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지되는 무게를 통해 바퀴에 제동력이 가해지도록 구성된 바퀴 제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아용 보행기나 보행보조기의 경우 사용자의 운동능력이 부족하기에 적절한 제동 장치가 설치될 필요가 있다.
유아용 보행기에 설치되는 제동 장치의 경우, 바퀴와는 별도로 프레임의 하부에 스토퍼를 설치하고 유아의 무게가 가해질 때 프레임에 대해 바퀴를 상승시킴으로써, 스토퍼가 지면에 닿아 제동을 하도록 구성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한편, 보행보조기는 환자나 노약자 또는 다리나 몸이 불편한 사람이 보행할 때 보조기구로 사용하는 것으로, 가벼운 걷기 운동이나 다른 곳으로 이동할 때 몸을 지탱하여 이동가능하도록 도움을 주는 기구이다.
이러한 보행보조기에 설치되는 제동 장치의 경우, 보행보조기에 바퀴와 접촉할 수 있는 제동 부재를 설치하여 사용자가 체중을 실을 때에 제동 부재가 하강하면서 바퀴와 접촉하도록 함으로써, 제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그런데 위와 같은 종래의 제동 장치는 제동 부재와 바퀴 또는 스토퍼와 지면 사이에 제동을 위한 마찰이 발생할 때에 완충 과정이 없었기에 유아나 환자 또는 노약자에게 충격이 전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제동 장치의 경우, 스토퍼나 제동 부재를 작동시키는 구조부에는 스토퍼나 제동 부재를 작동시킨 뒤 다시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 오도록 하기 위해 스프링과 같은 탄성 부재가 사용되었다.
이러한 탄성 부재는 보행기나 보행보조기의 제조 당시에 고려된 사용자의 체중에 맞추어 탄성력을 갖도록 하였기 때문에, 사용자의 체중이 제조시에 고려된 체중보다 가벼울 경우에는 충분한 제동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반대로 제조시에 고려된 체중보다 무거울 경우에는 지나친 제동이 갑자기 이루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 실용신안 제1995-0007982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듀얼 스프링 구조에 의해 작동하고 스프링의 탄성이 조절될 수 있는 제동 부재를 적용함으로써, 제동시 완충 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고, 사용자의 체중에 따른 적절한 제동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필요시 하중이 가해지더라도 제동 작동이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는 바퀴 제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퀴 제동 장치는, 이동 수단의 바퀴의 축을 지지하고, 이동 수단의 프레임에 대해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하부 브라켓과, 상기 이동 수단의 프레임에 대해 상하 이동 가능하고 일정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하부 브라켓의 상측에 스프링을 매개로 지지되는 상부 브라켓과, 상기 이동 수단의 프레임의 하단에 형성되는 홈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이동 수단의 프레임에 스프링을 매개로 지지되는 제동 로드와, 상기 제동 로드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 수단의 바퀴에 접촉될 때 제동력을 가하는 제동 부재와, 상기 이동 수단의 프레임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하부 브라켓 및 상기 제동 로드의 하방향 이동 거리와 상기 제동 부재의 상방향 이동 거리를 제한하는 지지 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 브라켓은 하방으로 개구된 형상으로 형성되고, 측면부와 상기 이동 수단의 프레임이 관통하는 상면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 브라켓은 하방으로 개구된 형상으로 형성되고, 측면부와 상기 이동 수단의 프레임이 관통하는 상면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동 수단의 프레임은 상기 상부 브라켓의 상면부와 나사 결합 방식에 의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 브라켓의 상면부 내측에는 상기 상부 브라켓의 하방 이동 범위를 제한하는 스토퍼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동 수단의 프레임은 상기 상부 브라켓의 상면부와 걸림 홈과 걸림 돌기에 의한 결합 방식에 의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바퀴 제동 장치에 따르면, 듀얼 스프링 구조에 의해 작동하고 스프링의 탄성이 조절될 수 있는 제동 부재를 적용함으로써, 제동시 완충 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필요시 하중이 가해지더라도 제동 작동이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퀴 제동 장치를 나타낸 제1 사용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퀴 제동 장치를 나타낸 제2 사용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퀴 제동 장치를 나타낸 제3 사용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퀴 제동 장치를 나타낸 제4 사용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퀴 제동 장치를 나타낸 제5 사용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퀴 제동 장치를 나타낸 제6 사용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퀴 제동 장치를 바퀴의 측면에 대해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퀴 제동 장치를 나타낸 절개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퀴 제동 장치를 나타낸 제1 사용 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퀴 제동 장치를 나타낸 제2 사용 상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퀴 제동 장치를 나타낸 제3 사용 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퀴 제동 장치를 나타낸 제4 사용 상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퀴 제동 장치를 나타낸 제5 사용 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퀴 제동 장치를 나타낸 제6 사용 상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퀴 제동 장치를 바퀴의 측면에 대해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퀴 제동 장치를 나타낸 절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퀴 제동 장치는 유아용 보행기나 보행보조기 등의 이동 수단(미도시)의 프레임(300) 및 바퀴(10)에 설치되는 것으로, 하부 브라켓(100)과, 상부 브라켓(200)과, 제동 로드(400)와, 제동 부재(600)와, 지지 브라켓(500)을 포함한다.
상기 이동 수단의 프레임(300)은 이동 수단에 설치되는 프레임 부재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이동 수단의 프레임 부재에 연결되어 하중을 지지하는 다른 부재일 수도 있다.
이러한 상기 이동 수단의 프레임(300)은 다각형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도시된 것처럼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동 수단의 프레임(300)의 외주에는 나사산(310)이 형성되며, 하단에 상기 제동 로드(400)가 삽입되어 상하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홈(320)이 형성된다. 또한, 이 홈(320)의 하측에는 상기 홈(320)과 연장되고 상기 홈(320)보다 더 큰 크기로 형성되는 확장 홈(330)이 더 형성된다.
한편, 상기 이동 수단의 프레임(300)의 하단에 형성된 홈(320)에는 상기 제동 로드(400)가 상기 홈(320)을 따라 상하 이동만 가능하고 회전은 할 수 없도록 하는 걸림 홈(340)이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이에 상응하여 상기 제동 로드(400)에는 상기 걸림 홈(340)에 삽입되는 걸림 돌기(430)가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또한, 상기 이동 수단의 프레임(300)의 외주에는 상기 하부 브라켓(100)이 상기 이동 수단의 프레임(300)을 따라 상하 이동만 가능하고 회전은 할 수 없도록 하는 걸림 홈(350)이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이에 상응하여 상기 하부 브라켓(100)의 내측에는 상기 걸림 홈(350)에 삽입되는 걸림 돌기(미도시)가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상기 이동 수단의 바퀴(10)는 휠 프레임(11)과, 이 휠 프레임(11)의 외주에 설치되는 타이어(12)를 포함하고, 상기 바퀴(10)의 휠 프레임(11) 중앙부에는 축(20)이 설치된다.
상기 하부 브라켓(100)은 상기 이동 수단의 바퀴(10)의 축(20)을 지지하고, 이동 수단의 프레임(300)에 대해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하부 브라켓(100)은 하방으로 개구된 형상으로 형성되고, 측면부(110)와 상기 이동 수단의 프레임(300)이 관통하는 상면부(120)를 포함한다. 상기 측면부(110)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시된 것처럼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브라켓(200)은 상기 이동 수단의 프레임(300)에 대해 상하 이동 가능하면서 일정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설치되며, 상기 하부 브라켓(100)의 상측 즉, 상기 하부 브라켓(100)의 상면부(120)에 스프링(S1)을 매개로 지지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 브라켓(200)은 하방으로 개구된 형상으로 형성되고, 측면부(210)와 상기 이동 수단의 프레임(300)이 관통하는 상면부(220)를 포함한다. 상기 측면부(210)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시된 것처럼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부 브라켓(200)의 상면부(220)는 상기 이동 수단의 프레임(300)과 나사 결합 방식에 의해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 브라켓(200)이 상기 이동 수단의 프레임(300)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면서 특정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구조와 관련하여 상기 상부 브라켓(200)과 상기 이동 수단의 프레임(300)을 나사 결합 방식에 의해 결합하는 실시예로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상기 상부 브라켓(200)을 상하 이동 가능하게 하면서 특정 위치에서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면 다양한 다른 구조를 적용해도 무방하다. 예컨대, 상기 이동 수단의 프레임(300)에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된 다수의 걸림 홈을 형성하고, 상기 상부 브라켓(200)에 상기 걸림 홈에 걸림될 수 있는 걸림 장치를 설치한 구조를 적용할 수도 있다.
상기 제동 로드(400)는 상기 이동 수단의 프레임(300)의 하단에 형성되는 홈(320)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이동 수단의 프레임(300)에 스프링(S2)을 매개로 지지된다.
여기서, 상기 제동 로드(400)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도시된 것처럼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홈(320)은 상기 제동 로드(400)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제동 로드(400)는 상기 이동 수단의 프레임(300)에 형성된 홈(320)에 삽입되어 상하 이동하는 몸체부(410)와, 이 몸체부(410)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지도록 상기 몸체부(410)의 외주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플랜지부(4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플랜지부(420)는 상기 이동 수단의 프레임(300)에 형성된 확장 홈(330)에 삽입되어 상하 이동한다. 또한, 상기 플랜지부(420)의 상면에는 스프링(S2)의 일측이 연결되고, 스프링(S2)의 타측은 상기 프레임(300)의 홈(320)과 확장 홈(330)의 경계부에 형성된 단턱에 연결된다.
상기 제동 부재(600)는 상기 제동 로드(400)의 하단부에 볼트 등의 체결 수단(700)에 의해 설치되며, 상기 이동 수단의 프레임(300)에 하중이 가해져서 상기 제동 로드(400)가 하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이동 수단의 바퀴(10)의 타이어(12)와 접촉하여 바퀴(10)에 제동력을 가한다.
상기 지지 브라켓(500)은 상기 이동 수단의 프레임(300)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하부 브라켓(100) 및 상기 제동 로드(400)의 하방향 이동 거리를 제한하고, 이와 더불어 후술할 제동 부재(600)의 상방향 이동 거리를 제한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러한 상기 지지 브라켓(500)의 중앙부에는 상기 제동 로드(400)가 관통된다.
한편, 상기 상부 브라켓(200)의 상면부(220) 내측에는 상기 상부 브라켓(200)의 하방 이동 범위를 제한하는 스토퍼(230)가 형성된다.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상부 브라켓(200)이 어느 정도 하강하는 경우 상기 스토퍼(230)에 의해 걸림되기 때문에 상기 상부 브라켓(200)은 일정 거리 이상 하강하지 않게 된다.
이러한 상기 스토퍼(230)의 작용으로 인해 상기 상부 브라켓(200)을 일정 위치에 고정시킬 경우 상기 프레임(300)에 큰 하중이 가해지더라도 상기 상부 브라켓(200)의 하강이 제한되어 제동 작동이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게 되며, 이러한 경우 바퀴는 항상 자유 굴림 상태가 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퀴 제동 장치의 작동을 설명한다.
도 1에는 상기 하부 브라켓(100)과 상부 브라켓(200)이 이동 수단의 프레임(300)에 대해 일정한 위치에 있게 되어 상기 제동 부재(600)가 이동 수단의 바퀴(10)의 타이어(12)에 접촉되지 않은 상태가 도시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제동 부재(600)는 이동 수단의 바퀴(10)에 제동력을 가하지 않게 된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상태에서 이동 수단의 프레임(300)에 가해지는 하중의 일부는 상기 상부 브라켓(200)과 스프링(S1)을 통해 상기 하부 브라켓(100)으로 가해지고, 상기 하부 브라켓(100)에 가해진 하중은 이동 수단의 바퀴(10)의 축(20)을 통해 이동 수단의 바퀴(10)로 전달된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상태에서 이동 수단의 프레임(300)에 가해지는 하중의 일부는 스프링(S2)을 통해 상기 제동 로드(400)로 가해지고, 상기 제동 로드(400)로 가해진 하중은 상기 제동 부재(600)로 전달된다.
이러한 도 1에 도시된 상태에서 상기 이동 수단의 프레임(300)에 일정 크기 이상의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 스프링(S1)은 수축하게 되고, 이에 따라 이동 수단의 프레임(300)과 상부 브라켓(200)과 지지 브라켓(500)과 제동 로드(400) 및 제동 부재(600)는 하강하게 된다. 여기서, 스프링(S2)은 상기 제동 부재(600)가 바퀴(10)의 타이어(12)와 접촉할 때까지는 수축하지 않으며, 상기 제동 로드(400)가 일정 거리만큼 하강하는 경우,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제동 부재(600)가 이동 수단의 바퀴(10)의 타이어(12)에 접촉하게 된다.
도 2에 도시된 상태에서 상기 이동 수단의 프레임(300)에 더 큰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이동 수단의 프레임(300)과 상기 상부 브라켓(200)과 상기 지지 브라켓(500)은 더욱 하강하게 되고, 상기 제동 로드(400) 및 제동 부재(600)는 상기 제동 부재(600)가 이동 수단의 바퀴(10)의 타이어(12)에 접촉되기에 가시적으로는 하강을 멈추게 되며, 도 3에 도시된 상태와 같이 된다.
이때, 스프링(S1)은 도 2에 도시된 상태에서 더욱 수축하게 되고, 이때부터 스프링(S2)은 수축하기 시작한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S2)의 수축이 진행될수록 상기 제동 부재(600)는 이동 수단의 바퀴(10)의 타이어(12)에 대해 하방향으로 점점 가압을 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동 부재(600)가 상기 이동 수단의 바퀴(10)의 타이어(12)에 접촉된 상태에서도 상기 스프링(S2)이 수축되기에 제동시 완충 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도 3에 도시된 상태에서 상기 이동 수단의 프레임(300)에 더욱 더 큰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스프링(S1)은 도 3에 도시된 상태에서 더욱 더 수축하게 되고, 스프링(S2) 또한 도 3에 도시된 상태에서 더욱 더 수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S2)의 수축이 진행될수록 상기 제동 부재(600)는 이동 수단의 바퀴(10)의 타이어(12)에 대해 하방향으로 점점 더 가압을 하게 된다.
이러한 도 4에 도시된 상태에서 상기 제동 부재(600)는 스프링(S2)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이동 수단의 바퀴(10)의 타이어(12)에 강한 제동력을 가하게 되고, 도 3에 도시된 상태에서는 약한 제동력을 가하게 되며, 도 2에 도시된 상태에서는 좀더 약한 제동력을 가하게 된다.
한편,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상태에서 상부 브라켓(200)을 회전시켜 상기 이동 수단의 프레임(300)에 대해 최대한 높이 상승시킨 상태이다.
상기 제동 부재(600)가 상기 이동 수단의 바퀴(10)의 타이어(12)와 일정 거리 이격되어 있는 도 1에 도시된 상태와는 달리, 도 5에 도시된 상태에서는 상기 상부 브라켓(200)은 더욱 높이 상승된 상태가 된다.
이러한 도 5에 도시된 상태의 경우, 상기 상부 브라켓(200)의 상면부(220)의 내측과 스프링(S1)의 상단이 접촉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이미 제동 부재(600)가 이동 수단의 바퀴(10)의 타이어(12)와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이동 수단의 프레임(300)에 작은 하중만 가해지더라도 스프링(S2)이 수축을 시작하면서 제동 작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에는 스프링(S1)의 탄성력의 개입을 줄이거나 없앨 수 있어 매우 강한 제동력이 발생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상태에서 상부 브라켓(200)을 회전시켜 상기 이동 수단의 프레임(300)에 대해 최대로 하강시킨 상태이다.
이러한 도 6에 도시된 상태는 상기 상부 브라켓(200)이 스토퍼(230)에 의해 걸림될 때까지 최대로 하강한 상태이며, 이러한 상태에서는 상기 프레임(300)에 큰 하중이 가해지더라도 상기 상부 브라켓(200)의 하강이 제한되어 제동 작동이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게 되며, 이러한 경우 바퀴는 항상 자유 굴림 상태가 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퀴 제동 장치에 따르면, 듀얼 스프링 구조에 의해 작동하고 스프링의 탄성이 조절될 수 있는 제동 부재를 적용함으로써, 제동시 완충 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필요시 큰 하중이 가해지더라도 제동 작동이 이루어지지 않게 될 수도 있으며 작은 하중이 가해지더라도 제동 작동이 이루어지게 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이 이해될 필요가 있다.
10 : 바퀴
20 : 축
100 : 하부 브라켓
200 : 상부 브라켓
300 : 프레임
400 : 제동 로드
500 : 지지 브라켓
600 : 제동 부재

Claims (6)

  1. 이동 수단의 바퀴의 축을 지지하고, 이동 수단의 프레임에 대해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하부 브라켓;
    상기 이동 수단의 프레임에 대해 상하 이동 가능하고 일정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하부 브라켓의 상측에 스프링을 매개로 지지되는 상부 브라켓;
    상기 이동 수단의 프레임의 하단에 형성되는 홈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이동 수단의 프레임에 스프링을 매개로 지지되는 제동 로드;
    상기 제동 로드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 수단의 바퀴에 접촉될 때 제동력을 가하는 제동 부재; 및
    상기 이동 수단의 프레임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하부 브라켓 및 상기 제동 로드의 하방향 이동 거리와 상기 제동 부재의 상방향 이동 거리를 제한하는 지지 브라켓;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퀴 제동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 브라켓은 하방으로 개구된 형상으로 형성되고, 측면부와 상기 이동 수단의 프레임이 관통하는 상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퀴 제동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 브라켓은 하방으로 개구된 형상으로 형성되고, 측면부와 상기 이동 수단의 프레임이 관통하는 상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퀴 제동 장치.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수단의 프레임은 상기 상부 브라켓의 상면부와 나사 결합 방식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퀴 제동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상부 브라켓의 상면부 내측에는 상기 상부 브라켓의 하방 이동 범위를 제한하는 스토퍼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퀴 제동 장치.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수단의 프레임은 상기 상부 브라켓의 상면부와 걸림 홈과 걸림 돌기에 의한 결합 방식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퀴 제동 장치.
KR1020140187062A 2014-12-23 2014-12-23 바퀴 제동 장치 KR2016007669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7062A KR20160076697A (ko) 2014-12-23 2014-12-23 바퀴 제동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7062A KR20160076697A (ko) 2014-12-23 2014-12-23 바퀴 제동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6697A true KR20160076697A (ko) 2016-07-01

Family

ID=565003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7062A KR20160076697A (ko) 2014-12-23 2014-12-23 바퀴 제동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7669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45567A1 (zh) * 2017-02-09 2018-08-16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衣机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7982A (ko) 1993-09-03 1995-04-15 박기종 관 및 그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7982A (ko) 1993-09-03 1995-04-15 박기종 관 및 그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45567A1 (zh) * 2017-02-09 2018-08-16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衣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83136B2 (en) Walking aid
KR101061563B1 (ko) 보행 보조기
CN204972145U (zh) 一种多功能助行器
JP3196955U (ja) 階段昇降用多機能歩行器
JP2007105069A (ja)
KR101702938B1 (ko) 보행 보조장치
KR101274051B1 (ko) 캐스터 및 캐스터를 포함하는 화이트 보드
KR20160076697A (ko) 바퀴 제동 장치
KR102043282B1 (ko) 보행보조기
US5573025A (en) Cane with engaging member
US9801777B2 (en) Walking aid device
KR100969461B1 (ko) 보행 보조기
CN205736662U (zh) 具有减震功能的脚轮
KR101900418B1 (ko) 접어서 부피를 감소시킬 수 있는 보행 보조기
KR20130006467U (ko) 작업발판
KR101798753B1 (ko) 보조지지부가 설치되는 목발
KR200490857Y1 (ko) 손잡이 간격조절기능을 갖는 보행기
CN204445158U (zh) 一种新型杯座
KR20160000732U (ko) 트레드밀의 조정완충내진구조
CN107280923A (zh) 一种适用于偏瘫患者下肢康复助行器的制动装置
CN207969789U (zh) 一种杆件可伸缩的四角稳定拐杖
KR101589940B1 (ko) 보행 보조장치
CN203152747U (zh) 拐杖防滑垫
KR101206514B1 (ko) 완충성이 우수한 목발
KR20120064165A (ko) 길이조절이 가능한 지팡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